KR102554319B1 - Process for manufacturing polymeric compound - Google Patents
Process for manufacturing polymeric compou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4319B1 KR102554319B1 KR1020210050408A KR20210050408A KR102554319B1 KR 102554319 B1 KR102554319 B1 KR 102554319B1 KR 1020210050408 A KR1020210050408 A KR 1020210050408A KR 20210050408 A KR20210050408 A KR 20210050408A KR 102554319 B1 KR102554319 B1 KR 1025543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op reactor
- valve
- reactor
- flow path
- path connec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5
- 229920006124 polyolefin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376 reac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181 Ethylene propylen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 POP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34 co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13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68 metallocene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01—Multistage polymeris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 change in reactor conditions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은 단량체 및 촉매가 공급되어 중합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로부터 배출되는 반응물로부터 중합체가 분리되는 분리기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기는 적어도 한 개의 루프 리액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eparing polyolefin elastomers.
The polyolefin elastomer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or in which a polymerization reaction is performed by supplying monomers and a catalyst and a separator in which the polymer is separated from the reactants discharged from the reactor, and the reactor may include at least one loop reactor. there is.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OE, POP, EPR, EPDM 등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olefin elastomer manufacturing proc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ctor in a polyolefin elastomer manufacturing process applicable to POE, POP, EPR, EPDM and the like.
예컨대 POE 공중합 시 물성을 좋게 만들기 위해 반응기에서 물질별 조성, 온도, 체류 시간 등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 흔히 POE 제조 공정에서 반응기로 Full Liquid CSTR(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을 사용한다. CSTR은 운전이 용이하고 반응기 내에서 물질별 조성, 온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중합열을 제거하기 위해 피드 온도를 약 -30~0℃ 정도로 낮추어 공급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냉동기, 냉매 사용 등으로 투자 및 운전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업용 스케일의 경우 임펠러 효율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큰 부피로 인해 이상적인 CSTR과 다르게 높이에 따른 온도 차가 발생한다. 이는 메탈로센 촉매가 온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함을 감안할 때 공정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POE copolymerization,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composition, temperature, residence time, etc. of each material in the reactor to make the physical properties good. Often, a Full Liquid CSTR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is used as a reactor in the POE manufacturing process. The CSTR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operate and maintaining a constant composition, temperature, etc. for each material in the reactor. However, since the feed temperature must be lowered to about -30 to 0 ° C to remove polymerization he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vestment and operating costs increase due to the use of additional refrigerators and refrigeran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mmercial scale, no matter how good the efficiency of the impeller is, the large volume causes a temperature difference with height, unlike the ideal CSTR. This causes a decrease in process efficiency, given that the metallocene catalyst reacts very sensitively to temperature.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기존 CSTR을 이용한 공정의 비효율적인 제열 시스템을 개선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fficient process for preparing polyolefin elastomers.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cess that improves an inefficient heat removal system of a process using an existing CSTR.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은 단량체 및 촉매가 공급되어 중합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로부터 배출되는 반응물로부터 중합체가 분리되는 분리기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기는 적어도 한 개의 루프 리액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lyolefin elastomer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or in which a polymerization reaction is performed by supplying monomers and a catalyst and a separator in which the polymer is separated from the reactants discharged from the reactor, and the reactor may include at least one loop reactor. there is.
또한 상기 반응기는 적어도 한 개의 CSTR과 적어도 한 개의 루프 리액터가 서로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ctor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t least one CSTR and at least one loop reactor in series or parallel.
또한 상기 반응기는 적어도 두 개의 루프 리액터가 서로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ctor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t least two loop reactors in series or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중합체는 POE, POP, EPR 또는 EPDM일 수 있다.Also, the polymer may be POE, POP, EPR or EPDM.
또한 상기 루프 리액터는 제열 수단으로서, 상기 루프 리액터의 관의 외부를 감싸는 재킷 형태, 상기 루프 리액터의 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냉각관 형태, 상기 루프 리액터의 관에 설치되는 냉각핀 형태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op reactor is a heat removal means, in the form of a jacket covering the outside of the pipe of the loop reactor, in the form of a cooling pipe inserted into the pipe of the loop reactor, in the form of a cooling fin installed in the pipe of the loop reactor, or at least one of these.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루프 리액터는 100 내지 170℃의 온도 및 50 내지 150 atm의 압력을 갖고, 상기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로서, 0.85 내지 0.9 g/cm3의 밀도 및 0.3 내지 50 g/10min의 MI(Melting Index)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oop reactor has a temperature of 100 to 170 °C and a pressure of 50 to 150 atm, and the polymer is a polyolefin elastomer, having a density of 0.85 to 0.9 g/cm 3 and a Melting Index (MI) of 0.3 to 50 g/10 min. ) can have.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 특히 POE 제조 공정은 반응기가 적어도 하나의 루프 리액터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루프 리액터는 기존 CSTR에 비해 훨씬 더 넓은 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별도의 냉동기 또는 냉매를 사용할 필요 없이, 냉각수를 이용해 원하는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운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e polyolefin elastomer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POE manufacturing process, the reactor includes at least one loop reactor, and since this loop reactor has a much larger surface area than the conventional CSTR, it is necessary to use a separate refrigerator or refrigerant. Without it, the desired cooling effect can be obtained using the cooling water, which can reduce the operating c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의 개요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의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의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의 개요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 for preparing a polyolefin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a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a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a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ac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A process for producing a polyolefin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의 개요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 for preparing a polyolefin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은 단량체(및 공단량체), 촉매 등이 공급되어 중합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기 및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반응물로부터 최종 제품으로 사용되기 위한 중합체와 그 외 미반응물이 분리되는 분리기를 포함한다. 미반응물은 이후 냉각/정제되어 반응기로 회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olyolefin elastomer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ctor in which a polymerization reaction is performed by supplying monomers (and comonomers), a catalyst, etc., and a polymer for use as a final product from the reactants discharged from the reactor and other It includes a separator through which the reactants are separated. Unreacted materials can then be cooled/purified and returned to the reactor.
이러한 제조 공정은 POE(Polyolefin Elastomer), 예컨대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POP(Polyolefin Plastomer),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등과 같이 다양한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This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applied to various polyolefin elastomers such as POE (Polyolefin Elastomer), such as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POP (Polyolefin Plastomomer), EPR (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etc. .
다만 위 제조 공정 자체는 공지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로부터 쉽게 도출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반응기(100, 200, 300, 400)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한다.However, since the above manufacturing process itself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known one or corresponds to a degree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it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hereinafter, for th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100)의 개요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100)는 루프 리액터(Loop Reactor)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보다 구체적으로 루프 리액터는 입구(I)와 출구(O)를 가지며, 루프 관(110) 및 쿨링 재킷(120)을 포함할 수 있다. 루프 관(110)은 다시 두 개의 수직 관(111, 112), 두 수직 관(111, 112)을 그 상단에서 서로 연결하는 상측 연결 관(113) 및 두 수직 관(111, 112)을 그 하단에서 서로 연결하는 하측 연결 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쿨링 재킷(120)은 두 수직 관(111, 112)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소개된 루프 리액터의 형상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수직 관 또는 수평 관의 개수가 2개 이상일 수 있고, 관의 지름은 변화할 수 있으며, 쿨링 재킷은 수직 관뿐만이 아니라 다른 어떠한 형태로든 설치될 수 있다. 물질이 관 형태로 된 리액터의 입구로 주입되어 반응 후 출구로 빠져나갈 때까지 리액터 내부를 수 바퀴 회전하는 경우 루프 리액터로 칭할 수 있다. 쿨링 재킷(120)은 냉각수를 이용해, 중합 반응 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냉각수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미도시), 탱크에 있는 냉각수를 쿨링 재킷(120)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미도시), 쿨링 재킷(120)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냉각하여 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쿨러(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루프 리액터를 적절하게 제열할 수만 있다면, 루프 리액터는 제열 수단으로서, 전술한 재킷 형태뿐만이 아니라, 예컨대 루프 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냉각관 형태, 루프 관(110)에 설치되는 냉각핀 형태,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한 형태 등을 채용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oop reactor has an inlet (I) and an outlet (O), and may include a
이러한 루프 리액터는 사용되는 촉매 종류에 따라 체류 시간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체류 시간에 따라 약 3 내지 20 m/s의 유속을 갖도록 직경과 길이가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Such a loop reactor may have various residence times depending on the type of catalyst used, and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in diameter and length to have a flow rate of about 3 to 20 m/s according to the residence time.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이 POE에 대해 적용되고, 생산량이 약 300 KTA, 체류 시간이 약 7분, 유속 10 m/s인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루프 리액터는 루프 관(110) 직경이 약 16 in, 그 길이가 약 361.7 m로 설계될 수 있다(이 경우 루프 관(110) 표면적은 약 461.8 m2). 또는 루프 관(110) 직경이 약 20 in, 그 길이가 약 231.5 m로 설계될 수 있다(이 경우 루프 관(110) 표면적은 약 369.4 m2).For example, when the polyolefin elastomer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POE, and the production volume is about 300 KTA, the residence time is about 7 minutes, and the flow rate is 10 m/s, the loop reactor is a loop tube (110) can be designed to have a diameter of about 16 inches and a length of about 361.7 m (in this case, the surface area of the
이에 의하면 위 루프 리액터 사이즈에 상당하는 CSTR(직경:높이 비가 1:3인 것으로 가정)에 비해, 상기 루프 리액터가 약 5.3 내지 6.7배 더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냉동기 또는 냉매를 사용할 필요 없이, 쿨링 재킷(120)을 통해, 다시 말해 냉각수를 이용해 원하는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운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제열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유속을 높이거나, 관의 지름을 줄이거나, 루프 리액터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관을 배치하는 등의 변형을 통해 필요한 양의 제열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loop reactor may have a surface area about 5.3 to 6.7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CSTR (assuming a diameter:height ratio of 1:3)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loop reactor. Therefore, a desired cooling effec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반응기 온도는 100 내지 170℃이고, 반응기 압력은 50 내지 150 atm이며,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밀도는 0.85 내지 0.9 g/cm3이고,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MI(Melt Index)는 0.3 내지 50 g/10 min일 수 있다. 후술할 루프 리액터 역시 마찬가지로 위 조건으로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reactor temperature is 100 to 170 ° C, the reactor pressure is 50 to 150 atm, the polyolefin elastomer density is 0.85 to 0.9 g / cm 3 , and the polyolefin elastomer MI (Melt Index) is 0.3 to 0.3 50 g/10 min. A loop reactor to be described later may also operate under the above conditions.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200)의 개요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200)는 CSTR과 루프 리액터가 서로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단일 CSTR 자체는 공지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로부터 쉽게 도출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루프 리액터는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혹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통상의 기술자라면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차이에 대응하여 당연히 변경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해 반복적인 설명 역시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3, the
이러한 반응기(200)는 각 분기점마다 밸브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그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CSTR만 이용할 수도 있고(빨간색 경로 참조), 루프 리액터만 이용할 수도 있으며(파란색 경로 참조), CSTR과 루프 리액터를 직렬로 모두 이용할 수도 있고(녹색 경로 참조), CSTR과 루프 리액터를 병렬로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빨간색 경로 및 파란색 경로 참조). CSTR과 루프 리액터를 병렬로 이용할 경우, CSTR에 의해 반응한 물질과 루프 리액터에 의해 반응한 물질을 믹서로 혼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this
한편 도면에서는 CSTR이 전단에 설치되고 루프 리액터가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루프 리액터가 전단에 설치되고 CSTR이 후단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drawing, the CSTR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the loop reactor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oop reactor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the CSTR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if necessary.
또한 도면에서는 한 개의 CSTR과 한 개의 루프 리액터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한 개 이상의 CSTR과 한 개 이상의 루프 리액터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one CSTR and one loop reactor are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the drawing, one or more CSTRs and one or more loop reactors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s needed.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300)의 개요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300)는 복수 개의 루프 리액터가 서로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루프 리액터는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혹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통상의 기술자라면 제1 실시예와 제3 실시예의 차이에 대응하여 당연히 변경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해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이러한 반응기(200) 역시 마찬가지로 분기점에 밸브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그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단일 루프 리액터만 이용할 수도 있고(빨간색 경로 또는 파란색 경로 참조), 여러 루프 리액터를 직렬로(녹색 경로 참조) 혹은 병렬로(빨간색 경로 및 파란색 경로 참조)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여러 루프 리액터를 병렬로 이용할 경우, 어느 한 루프 리액터에 의해 반응한 물질과 다른 루프 리액터에 의해 반응한 물질을 믹서로 혼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this
한편 도면에서는 두 개의 루프 리액터가 서로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세 개 이상의 루프 리액터가 서로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drawing, two loop reactors are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to each other, but three or more loop reactors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to each other as needed.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400)의 개요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400)는 복수 개의 CSTR이 서로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단일 CSTR 자체는 공지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로부터 쉽게 도출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5, the
이러한 반응기(400) 역시 마찬가지로 분기점에 밸브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그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단일 CSTR만 이용할 수도 있고(빨간색 경로 또는 파란색 경로 참조), 여러 CSTR을 직렬로(녹색 경로 참조) 혹은 병렬로(빨간색 열로 및 파란색 경로 참조)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여러 CSTR을 병렬로 이용할 경우, 어느 한 CSTR에 의해 반응한 물질과 다른 CSTR에 의해 반응한 물질을 믹서로 혼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this
한편 도면에서는 두 개의 CSTR이 서로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세 개 이상의 CSTR이 서로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drawing, two CSTRs are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to each other, but three or more CSTRs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to each other as needed.
이상으로 설명한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모두 포함한다.The polyolefin elastomer manufacturing process described above is only one of the polyolefin elastomer manufacturing process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o the extent that can be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s described in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라는 용어는 POE, POP, EPR, EPDM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넓게 사용된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polyolefin elastomer' is widely used to encompass POE, POP, EPR, EPDM, and the like.
Claims (6)
상기 반응기로부터 배출되는 반응물로부터 중합체가 분리되는 분리기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기는 CSTR과 루프 리액터를 포함하고; 제1 밸브, 제2 밸브, 믹서, 상기 제1 밸브로부터 상기 CSTR로 연결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밸브로부터 상기 루프 리액터로 연결되는 제2 유로, 상기 CSTR로부터 상기 제2 밸브로 연결되는 제3 유로, 상기 제2 밸브로부터 상기 루프 리액터로 연결되는 제4 유로, 상기 제2 밸브로부터 상기 믹서로 연결되는 제5 유로 및 상기 루프 리액터로부터 상기 믹서로 연결되는 제6 유로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가 선택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상기 CSTR과 상기 루프 리액터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는 것 또는
상기 반응기는 제1 루프 리액터와 제2 루프 리액터를 포함하고; 제1 밸브, 제2 밸브, 믹서, 상기 제1 밸브로부터 상기 제1 루프 리액터로 연결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밸브로부터 상기 제2 루프 리액터로 연결되는 제2 유로, 상기 제1 루프 리액터로부터 상기 제2 밸브로 연결되는 제3 유로, 상기 제2 밸브로부터 상기 제2 루프 리액터로 연결되는 제4 유로, 상기 제2 밸브로부터 상기 믹서로 연결되는 제5 유로 및 상기 제2 루프 리액터로부터 상기 믹서로 연결되는 제6 유로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가 선택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상기 제1 루프 리액터와 상기 제2 루프 리액터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A reactor where monomers and catalysts are supplied and a polymerization reaction takes place; and
Including a separator in which the polymer is separated from the reactants discharged from the reactor,
The reactor includes a CSTR and a loop reactor; A first valve, a second valve, a mixer, a first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first valve to the CSTR, a second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first valve to the loop reactor, and a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CSTR to the second valve 3 flow paths, a fourth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second valve to the loop reactor, a fifth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second valve to the mixer, and a sixth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loop reactor to the mixer; As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are selectively controlled, the CSTR and the loop reactor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r
the reactor includes a first loop reactor and a second loop reactor; A first valve, a second valve, a mixer, a first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first valve to the first loop reactor, a second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first valve to the second loop reactor, from the first loop reactor A third flow path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a fourth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second valve to the second loop reactor, a fifth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second valve to the mixer, and a second loop reactor connected to the mixer A sixth flow path connected to is installed; As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are selectively controlled, the first loop reactor and the second loop reactor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중합체는 POE(Polyolefin Elastomer), POP(Polyolefin Plastomer),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According to claim 1,
The polymer is POE (Polyolefin Elastomer), POP (Polyolefin Plastomomer), EPR (Ethylene Propylene Rubber) or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polyolefin elastomer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루프 리액터는 제열 수단으로서, 상기 루프 리액터의 관의 외부를 감싸는 재킷 형태, 상기 루프 리액터의 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냉각관 형태, 상기 루프 리액터의 관에 설치되는 냉각핀 형태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한 형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According to claim 1,
The loop reactor is a heat removal means, in the form of a jacket covering the outside of the pipe of the loop reactor, in the form of a cooling pipe inserted into the pipe of the loop reactor, in the form of a cooling fin installed in the pipe of the loop reactor, or at least two of these. A polyolefin elastomer manufacturing process including a combination of the above.
상기 루프 리액터는 100 내지 170℃의 온도 및 50 내지 150 atm의 압력을 갖고,
상기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로서, 0.85 내지 0.9 g/cm3의 밀도 및 0.3 내지 50 g/10 min의 MI(Melting Index)를 갖는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제조 공정.According to claim 1,
The loop reactor has a temperature of 100 to 170 ° C and a pressure of 50 to 150 atm,
The polymer is a polyolefin elastomer, and has a density of 0.85 to 0.9 g / cm 3 and a melting index (MI) of 0.3 to 50 g / 10 m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0408A KR102554319B1 (en) | 2021-04-19 | 2021-04-19 | Process for manufacturing polymeric compou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0408A KR102554319B1 (en) | 2021-04-19 | 2021-04-19 | Process for manufacturing polymeric compoun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4130A KR20220144130A (en) | 2022-10-26 |
KR102554319B1 true KR102554319B1 (en) | 2023-07-11 |
Family
ID=8378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0408A Active KR102554319B1 (en) | 2021-04-19 | 2021-04-19 | Process for manufacturing polymeric compou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4319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3513B1 (en) | 2005-11-21 | 2006-11-10 |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 Hydrogenation and Purification Method of Polyolefin Polymerization Solvent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097176B1 (en) * | 1998-07-10 | 2005-06-15 | Johnson Polymer, Llc. |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s by free radical polymerization and condensation reaction, and apparatu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
EP1564229A1 (en) * | 2004-02-13 | 2005-08-17 |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 Olefin polymerization process in the presence of an anti-fouling agent |
WO2016109264A1 (en) * | 2014-12-29 | 2016-07-07 | Dow Global Technologies Llc | Process to form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s |
CN109601003A (en) * | 2016-07-29 | 2019-04-09 |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 For generating the mixed catalyst system of multimodal elastomer |
US10538654B2 (en) * | 2017-04-19 | 2020-01-21 |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 Multi reactor solution polymerization, polyethylene and polyethylene film |
-
2021
- 2021-04-19 KR KR1020210050408A patent/KR10255431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3513B1 (en) | 2005-11-21 | 2006-11-10 |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 Hydrogenation and Purification Method of Polyolefin Polymerization Solv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4130A (en) | 2022-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48971B2 (en)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ethylene and ethylene copolymers | |
WO2011055802A1 (en) | Reactor for propylene polymeriza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propylene polymer | |
CN104628912B (en) |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Polybutene alloy material | |
CN102190832B (en) | Poly-1-butene elastomer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EP4165093B1 (en) | Process for producing ethylene copolymers | |
CN105143275B (en) | Multistage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ow temperature resistant polypropylene compositions | |
KR102554319B1 (en) | Process for manufacturing polymeric compound | |
CN111848850A (en) | A kind of propylene polymerization method | |
EP3307793B1 (en) | Polymerization plant having parallel cooling channels in a recycle connection | |
JPS6225106A (en) | Continuous polymerization method of olefin | |
CA1077195A (en) | Manufacture of ethylene polymers in an autoclave reactor | |
CN104768977B (en) | Produce the multistep method of polypropene composition | |
US7723446B2 (en) | Polypropylene series reactor | |
CN115703055B (en) | Feeding method and feeding system of propylene polymerization catalyst, polypropyle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CN108017736B (en) | Parallel gas-phase polypropylene prod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 |
CN111848841A (en) | Propylene polymerization method | |
KR101611114B1 (en) | Loop reactor providing an advanced production split control | |
CN116515028B (en) | Production device and process of impact-resistant polypropylene based on dehydrogenation chamber-depropylene tower | |
CN115612010B (en) |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polyolefin | |
JPH0322402B2 (en) | ||
CN118459634A (en) | Device and method for synthesizing polyethylene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 |
CA1340147C (en) | Process for producing cycloolefin random copolymers | |
CN109456430B (en) | Liquid phase method polypropylene prod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 |
CN118388691A (en) | Ethylene octene copolymer double-kettle series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 |
JP5568445B2 (en) | Propylene polymerization rea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propylene block copolym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