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3399B1 -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399B1
KR102553399B1 KR1020220035711A KR20220035711A KR102553399B1 KR 102553399 B1 KR102553399 B1 KR 102553399B1 KR 1020220035711 A KR1020220035711 A KR 1020220035711A KR 20220035711 A KR20220035711 A KR 20220035711A KR 102553399 B1 KR102553399 B1 KR 10255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air supply
damper
in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돈
Original Assignee
(주)그렉스
일성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렉스, 일성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그렉스
Priority to KR102022003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3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보드에 설치되며 공기청정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하부에 장착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천장 보드에 체결되면서 하우징을 천장 보드에 고정하는 내부 덮개,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며 급기관을 통해 환기장비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급기하는 하우징 급기구, 하우징 내부 공간을 공기 흡기부와 공기 배출부의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격벽, 실내 공기를 하우징내로 흡기하며 공기 배출부의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는 팬, 공기 흡기부와 공기 배출부로의 유입 또는 배출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급기 댐퍼와 제1 공기청정 댐퍼 및 제2 공기청정 댐퍼, 실내공기 흡기구와 중간 흡기구 사이에 장착되는 필터, 실내 공기의 CO2 농도 및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공기청정기가 센서에서 감지된 CO2 농도 및 먼지량에 따라 정지, 급기 모드 또는 공기청정 모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공기청정기와 급기 디퓨저의 기능 통합이 이루어진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Air Purifier with Air Supply Diffuser Function}
본 발명은 천장 보드에 형성된 설치구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가 급기관을 통해 환기장비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급기하고, 공기청정기 내부에는 필터가 장착되어 실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센서에서 감지된 CO2 농도 및 먼지량에 따라 공기청정기에 장착된 댐퍼를 제어하여 공기청정기의 작동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실외 공기의 급기 또는 실내 공기의 공기청정을 수행하는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실내 공기의 CO2농도와 청정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장비가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나 주방에서 조리 과정 중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게 된다.
환기장비는 급기관을 통해 건물을 구성하는 각 실내 공간에 설치된 급기 디퓨저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여 점차 높아지는 실내 공기 중의 CO2농도를 낮추게 되는데, 공기청정기와 급기 디퓨저를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별도의 장치를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 시공 비용 및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고, 한정된 크기의 실내 공간 활용성을 악화시킬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7081호 (2006.08.22.등록)에서는 케이스 저면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케이스 일측면에 실외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형성하며, 케이스 내부에 팬과 필터 및 댐퍼를 설치하여, 댐퍼의 제어에 의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토출구로 배출하거나,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구로 흡입하여 여과한 후 토출구로 재공급하는 공기청정용 환기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17081호와 같은 공기청정용 환기시스템은 공기청정기와 급기 디퓨저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설치 시공 비용 및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실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공기청정용 환기시스템에서는 실외 공기를 공급하는 분기 덕트가 형성된 한쪽 구석 천장 모서리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외 공기 급기 또는 오염된 실내 공기청정 작동 시 실내 공간 위치에 따른 환기 및 공기청정 효과에 차이가 발생하여, 일부 실내 공간에서 환기 및 공기청정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필터에서 여과되어 실내 공간으로 재공급되는 실내 공기 유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0-0617081호의 공기청정용 환기시스템에서는 케이스가 벽면 및 천장 표면으로부터 일정 길이와 너비 및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흡입구와 토출구의 단면적을 확보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공기청정용 환기시스템이 실내 공간으로 돌출되어 실내공간 활용도 및 실내 인테리어의 심미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를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7081호 (2006.08.22.등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급기 디퓨저 기능이 통합된 공기청정기를 건물의 실내 공간 천장 슬래브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장착된 천장 보드 상부 공간에 설치하여, 실내 공간으로 노출되는 공기청정기의 부피를 최소화 함으로써, 실내공간 활용도 및 실내 인테리어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기청정기 작동에 의한 실내 공기 흡기 및 실외 공기 급기 시, 실내 공간내 균일한 흡기 및 급기가 발생하도록 하여, 실내 공간 위치에 따른 환기 및 공기청정 효과 차이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천장 보드에 형성된 설치구에 설치되며, 공기청정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 설치구보다 큰 크기를 이루도록 천장 보드 표면을 따라 하우징 외측부 표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돌출된 하부면이 천장 보드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우징 플렌지, 하우징 하부에 장착되고, 가장자리에 설치구보다 큰 크기를 이루도록 돌출된 고정 플렌지가 형성되며, 천장 보드 하부면과 접촉한 고정 플렌지가 체결부재에 의해 천장 보드에 체결되면서 하우징을 천장 보드에 고정하는 내부 덮개,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며, 급기관을 통해 환기장비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급기하는 하우징 급기구, 하우징 급기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급기된 실외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내부 덮개 일측에 형성된 제1 중간 급기구, 실내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기하도록 내부 덮개 타측에 형성되는 중간 흡기구, 제1 중간 급기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중간 흡기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흡기된 실내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재공급하는 제2 중간 급기구, 하우징 내부 공간을, 중간 흡기구와 연결되는 공기 흡기부, 하우징 급기구 및 제1,2 중간 급기구와 연결되는 공기 배출부의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공기 흡기부와 공기 배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된 격벽, 중간 흡기구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흡입구 및 격벽의 연결구와 연결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스파이럴 형상의 쉘 구조를 가지는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른 회전 구동을 통해 실내 공기를 하우징내로 흡기하며, 공기 배출부의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는 팬, 케이스의 흡입구 중앙부에 실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에 내부 덮개 장착 시 내부 덮개에 형성된 고정구를 통과하여 내부 덮개 하부로 돌출되며, 고정부재가 결속되어 내부 덮개 하부면을 고정함으로써, 하우징과 내부 덮개를 결속하는 고정핀, 내부 덮개 하부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외부 덮개, 중간 흡기구와 연통하도록 외부 덮개에 형성된 실내 공기 흡기구, 제1 중간 급기구와 연통하도록 외부 덮개에 형성된 실내 급기구, 제2 중간 급기구와 연통하도록 외부 덮개에 형성된 공기청정 배기구, 하우징 급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기 댐퍼, 배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공기청정 댐퍼, 공기청정 배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공기청정 댐퍼, 실내공기 흡기구와 중간 흡기구 사이에 장착되는 필터, 실내 공기의 CO2 농도 및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 공기청정기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공기청정기가 센서에서 감지된 CO2 농도 및 먼지량에 따라 정지, 급기 모드 또는 공기청정 모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자동 전환되되, 급기 모드에서는 제1,2 공기청정 댐퍼의 폐쇄 작동에 따른 배기구와 공기청정 배기구의 폐쇄 및 급기 댐퍼의 개방 작동에 따른 하우징 급기구의 개방 상태에서 환기장비의 작동에 의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실내 급기구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급기되고, 공기청정 모드에서는 제1,2 공기청정 댐퍼의 개방 작동에 따른 배기구와 공기청정 배기구의 개방 및 급기 댐퍼의 폐쇄 작동에 따른 하우징 급기구의 폐쇄 상태에서, 팬의 가동에 의해 실내 공기 흡기구로 실내 공기가 흡기되어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후, 공기청정 배기구 및 실내 급기구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재공급됨으로써, 공기청정기와 급기 디퓨저의 기능 통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급기 댐퍼는 하우징 내측 표면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1 공기청정 댐퍼는 공기 배출부 방향 격벽 표면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급기 댐퍼와 제1 공기청정 댐퍼의 회전축은 하우징 내측 표면이나 격벽 표면으로부터 평행 또는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급기 댐퍼와 제1 공기청정 댐퍼가 각각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는 스윙 작동 또는 플랩 작동에 의한 회전축 각도 제어를 통해 하우징 급기구와 배기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공기청정 댐퍼의 상부 표면에는 하우징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랙이 형성되고, 제2 중간 급기구의 일측면에는 스테핑 모터 및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피니언이 장착되며, 피니언과 랙의 톱니가 서로 연결되어, 스테핑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른 랙의 상하 이동 방향 전환에 따른 제2 공기청정 댐퍼 승하강 이동을 통해 제2 중간 급기구의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는 내부 덮개에 장착되고, 외부 덮개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공기청정기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며, 센서는 디스플레이 창 가장자리에 형성된 센서구를 통해 실내 공간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에 급기 디퓨저의 기능을 통합시킴으로써, 환기장비와 연결되어 실내 공간으로 실외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급기 디퓨저 설치를 요구하지 아니하며, 이에 따라 급기 디퓨저 및 공기청정 시스템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시스템 통합 및 소형화에 따른 공간 활용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 작동을 제어하는 제1 공기청정 댐퍼가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는 플랩 작동을 하면서 배기구를 개폐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는 천장 보드 상부의 한정된 공간 안에서 배기구의 대형화 및 완전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며, 배기구를 통과하는 여과 공기의 유량 증가에 따른 공기청정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환기장비 작동 시 하우징 급기구를 통해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급기를 조절하는 급기 댐퍼가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는 스윙 작동을 통해 하우징 급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공기청정 댐퍼의 플랩 작동을 통해 공기청정기 부피 대비 배기구의 단면적 비율을 높여 공기청정 효율을 향상시키고, 급기 댐퍼의 스윙 작동을 통해 제1 공기청정 댐퍼와 급기 댐퍼간 개폐 시 간섭이 발생하는 거리를 줄임으로써, 공기청정기의 소형화에 따른 경량화 및 설치 공간의 효율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덮개의 측면에 실내 공기 흡기구와 실내 급기구를 형성하여 실내 공기 흡기구와 실내 급기구가 각각 3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기청정기의 실외 공기 급기 또는 공기청정 작동 시 실내 공기 흡기구와 실내 급기구에서 무지향성의 실내 공기 흡기 및 실외 공기 급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실내 공간내 균일한 흡기 및 급기가 발생하도록 하여, 실내 공간 위치에 따른 환기 및 공기청정 효과 차이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팬이 설치되는 케이스에 스파이럴 형상의 쉘 구조를 적용하여, 팬 작동 시 발생하는 풍절음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키고, 케이스의 부피 감소시켜 하우징을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 설치 과정에서 하우징과 내부 덮개의 천장 보드 장착 작업 수행 시, 고정핀과 고정부재간 결속을 통해 내부 덮개와 하우징간 가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내부 덮개의 고정 플렌지에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천장 보드에 고정하는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내부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내부 단면 구조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외부 덮개의 실내 공기 흡기구와 실내 급기구 및 공기청정 배기구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와 연결되어, 공기청정기와 급기 디퓨저간 기능 통합을 이루는 환기장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작동 정지 상태에서의 댐퍼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급기 모드에서의 댐퍼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 모드에서의 댐퍼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건물의 실내 공간 천장 슬래브에는 천장 슬래브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천장 보드(1)가 부착되고, 천장 보드(1)에는 천장 보드(1) 상부에 형성된 공간 및 실내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설치구(2)가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00)이 설치구(2) 상부에 고정되어, 공기청정기(10)가 천장 슬래브 하부와 천장 보드(1) 상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공기청정기(1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 외측부 표면에는 천장 보드(1) 표면 방향을 따라 설치구(2)보다 큰 크기를 이루도록 일정 길이 돌출된 하우징 플렌지(110)가 형성되며, 하우징 플렌지(110)는 돌출된 하부면이 설치구(2) 가장자리의 천장 보드(1) 상부면에 걸리면서 하우징(100)이 천장 보드(1) 상부 공간에 안착되도록 한다.
하우징(110) 하부에는 내부 덮개(200)가 결합되어 고정 장착되고, 내부 덮개(200) 가장자리에는 천장 보드(1) 표면 방향을 따라 설치구(2)보다 큰 크기를 이루도록 일정 길이 돌출된 고정 플렌지(120)가 형성되며, 고정 플렌지(120) 상부면이 설치구(2) 가장자리의 천장 보드(1) 하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부재(3)가 고정 플렌지(120)를 관통하여 천장 보드(1)에 체결됨으로써, 하우징(100) 및 내부 덮개(200)를 천장 보드(1)에 고정시킨다.
하우징(100) 내부에는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을 따라 공기 흡기부(141)와 공기 배출부(142)의 두 개의 공간으로 각각 분리하는 격벽(140)이 형성되며, 공기 흡기부(141)와 공기 배출부(142)는 격벽(140)에 형성된 연결구(14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공기 흡기부(141)에서는 실내 공기의 하우징(100) 내부로의 유입이 이루어지고, 공기 배출부(142)에서는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실내 또는 실외 공기의 실내 공간으로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하 공기 배출부(142) 방향을 하우징(100)의 일측, 공기 흡기부(141) 방향을 하우징(100)의 타측으로 정의하여 공기청정기(10)의 구조를 설명한다.
하우징(100)의 일측 벽면에는 하우징 급기구(130)가 형성되고,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급기구(130)는 급기관(21)을 통해 환기장비(20)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하우징(100) 내부로 급기하며, 급기관(21)은 천장 보드(1) 상부에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된다.
공기 흡기부(141)의 내부 공간에는 스파이럴 형상의 쉘 구조를 가지는 케이스(151)가 장착되며, 케이스(151)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하우징(100) 내부로 흡기하고 하우징(100)의 공기 배출부(142)내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는 팬(150)이 장착된다.
팬(150)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의 회전축은 케이스(151)의 스파이럴 중심축상에 배치되며, 케이스(151) 하부면에는 케이스(151)의 모터 장착부 가장자리를 따라 흡입구(152)가 형성되고, 케이스(151)의 격벽(140) 방향 측면에는 통기구(143)와 연결되는 배기구(153)가 형성된다.
팬(150) 작동 시 흡입구(152)를 통해 하우징(100)의 공기 흡기부(141)로 흡기된 실내 공기가 배기구(153) 및 연결구(143)를 통해 공기 배출부(142)로 이동한 다음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
케이스(151)에 형성된 스파이럴 형상의 쉘 구조는 흡입구(152)를 통해 흡입된 실내 공기가 배기구(153)를 통하여 공기 배출부(14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풍절음 발생을 최소화하여 팬(150) 작동 소음을 감소시키고, 케이스(151)의 부피 감소에 따른 하우징(100)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151)의 흡입구(152) 중앙부 외측 표면에는 고정핀(154)이 실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100)에 내부 덮개(200) 장착 과정에서 고정핀(154)이 배치되는 내부 덮개(200) 위치에는 내부 덮개(200) 상하면을 관통하는 고정구(24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과 내부 덮개(200) 연결 시 고정핀(154)이 고정구(240)를 통과하여 내부 덮개(200) 하부로 돌출되며, 내부 덮개(200) 하부로 돌출된 고정핀(154)에는 고정부재(241)가 결속되어 고정부재(241)를 통해 내부 덮개(200) 하부면을 고정한다.
또한, 하우징(100)과 내부 덮개(200)의 천장 보드(1) 장착 작업 수행 시, 고정핀(154)과 고정부재(241)간 결속을 통해 내부 덮개(200)와 하우징(100)간 가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내부 덮개(200)의 고정 플렌지(120)에 체결부재(3)를 관통시켜 천장 보드(1)에 고정하는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내부 덮개(200) 일측에는 제1 중간 급기구(210)가 형성되어, 하우징 급기구(130)를 통해 하우징(100)의 공기 배출부(142)로 급기된 실외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며, 내부 덮개(200) 타측에는 흡입구(152)와 대향 배치되도록 중간 흡기구(220)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하우징(100)의 공기 흡기부(141)로 흡기한다.
또한, 내부 덮개(200) 일측에는 제1 중간 급기구(21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2 중간 급기구(230)가 형성되며, 중간 흡기구(220)는 중간 흡기구(220)·흡입구(152)·공기 흡기부(141)·배기구(153)를 순차로 통과하여 공기 배출부(142)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배출하여 실내 공간으로 재공급한다.
내부 덮개(200)의 케이스(151) 장착부 하부면은 하우징(100)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흡입구(152)와 중간 흡기구(2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케이스(151) 장착부 하부 공간에는 필터(170)가 장착되어, 팬(150) 가동 시 중간 흡기구(220) 및 흡입구(152)를 통해 공기 배출부(142)로 이동하는 실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필터(170)는 실내 공기 중의 미세 먼지 여과나 유해 세균의 제균 및 탈취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급기구(130) 측면에는 하우징 급기구(130)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기 댐퍼(131)가 장착되며, 배기구(153) 측면에는 배기구(153)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장착된다.
공기 배출부(142)와 대향하는 하우징(100) 내벽 방향으로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열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 배출부(142) 방향 격벽(140)에 격벽(140) 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회전축이 형성된 힌지를 통해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격벽(140)과 연결된다.
1. 급기 댐퍼(131)를 통한 하우징 급기구(130) 개폐 작동:
급기 댐퍼(131)의 힌지 회전축은 하우징(100) 내측 표면과 평행 또는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하우징(100)과 연결되며, 급기 댐퍼(131)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 시 하우징(100) 내측 표면과 평행 또는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힌지의 설계 구성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기 댐퍼(131)가 하우징(100) 내측 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급기 댐퍼(131)가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는 스윙(swing) 작동을 통해 하우징 급기구(130)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며, 급기 댐퍼(131)가 하우징(100) 내측 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급기 댐퍼(131)가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는 플랩(flap) 작동을 통해 하우징 급기구(130)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이때, 급기 댐퍼(131)의 힌지 회전축에는 급기 댐퍼(131)의 개폐 작동 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테핑 모터가 직접 연결되거나 기어 등의 회전력 전달 구조를 통해 간접 연결되어, 스테핑 모터 가동에 의한 회전축 각도 제어를 통해 급기 댐퍼(131)가 하우징 급기구(13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급기 댐퍼(131)의 힌지 회전축에 스프링이 연결되어, 하우징 급기구(13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의한 풍압에 의해 급기 댐퍼(131)가 열리면서 하우징 급기구(130)가 개방되고, 풍압 작용 중단 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급기 댐퍼(131)가 닫히면서 하우징 급기구(130)가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을 통한 급기 댐퍼(131)의 개폐 제어 방식은 급기 댐퍼(131)가 플랩 작동을 통해 하우징 급기구(130)를 개폐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적용되며, 환기장비(20)를 통한 실외 공기의 실내 공간으로의 급기 작동 시 급기관(21)을 통해 공기 배출부(142)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실내 급기구(320)을 통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면서 급기 댐퍼(131)에 풍압을 작용하게 되고, 풍압에 의해 급기 댐퍼(13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급기 댐퍼(131)에 연결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보다 커지면 급기 댐퍼(131)가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 급기구(130)가 개방되는 플랩 개방 작동이 이루어진다.
실내 공기청정 작동이 이루어지거나, 공기청정기(10)를 정지시켜 환기장비(20)를 통한 실외 공기의 실내 공간으로의 급기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 급기 댐퍼(131)에 연결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 작용에 의해 급기 댐퍼(131)가 힌지를 축으로 역회전하면서 하우징 급기구(130)가 폐쇄되는 플랩 폐쇄 작동이 이루어진다.
2. 제1 공기청정 댐퍼(160)를 통한 배기구(153) 개폐 작동: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힌지 회전축은 공기 배출부(142) 방향 격벽(140) 표면과 평행 또는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격벽(140)과 연결되며,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 시 격벽(140) 표면과 평행 또는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힌지의 설계 구성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격벽(140) 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는 스윙(swing) 작동을 통해 배기구(153)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며,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격벽(140) 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는 플랩(flap) 작동을 통해 배기구(153)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이때,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힌지 회전축에는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개폐 작동 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테핑 모터가 직접 연결되거나 기어 등의 회전력 전달 구조를 통해 간접 연결되어, 스테핑 모터 가동에 의한 회전축 각도 제어를 통해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배기구(153)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힌지 회전축에 스프링이 연결되어, 배기구(153)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의한 풍압에 의해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열리면서 배기구(153)가 개방되고, 풍압 작용 중단 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닫히면서 배기구(153)가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을 통한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개폐 제어 방식은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플랩 작동을 통해 배기구(153)를 개폐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적용되며, 제1 공기청정 댐퍼(160) 개폐 작동을 위한 스프링 적용 시, 실내 공기청정 작동을 위한 팬(150)이 가동하면 케이스(151)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배기구(153)을 통해 배출되면서 제1 공기청정 댐퍼(160)에 풍압이 작용하게 되고, 풍압에 의해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제1 공기청정 댐퍼(160)에 연결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보다 커지면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배기구(153)가 개방되는 플랩 개방 작동이 이루어진다.
실내 공기청정 작동이 중단되거나, 환기장비(20)를 통한 실외 공기의 실내 공간으로의 급기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팬(150)의 가동이 정지되며, 제1 공기청정 댐퍼(160)에 연결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 작용에 의해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힌지를 축으로 역회전하면서 배기구(153)가 폐쇄되는 플랩 폐쇄 작동이 이루어진다.
팬(150)의 가동에 의해 실내 공간으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170)를 통해 제거하고, 실내 공간으로 재공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청정 기능의 작동 특성상, 공기청정 기능의 이물질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순환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이 환기장비(20)를 통해 실외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급기하는 급기 디퓨저 기능 작동 시 형성되는 실외 공기 유량에 비해 큰 유량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배기구(153)의 단면적이 하우징 급기구(13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기구(153)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단면적 또한 하우징 급기구(130)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기 댐퍼(131)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진다.
공기청정기(10)의 높이는 천장 보드(1) 상부 공간의 천장 슬래브 구조물과 천장 보드(1) 상부면 사이의 거리 미만으로 제한되므로, 공기청정기(1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0)의 높이를 감축하는 소형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하우징(100)의 소형화를 이루기 위하여 격벽(140)의 높이가 제한된다.
이때, 제1 공기청정 댐퍼(160)를 스윙 작동 방식으로 개폐하는 경우,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스윙 작동이 가능한 높이가 한정되어 배기구(153)의 완전 개방이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배기구(153)의 완전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크기로 배기구(153)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배기구(153)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이 감소하면서 공기청정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배기구(153)의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더라도 배기구(153)의 완전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공기청정 댐퍼(160)는 플랩 작동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공기청정 댐퍼(160)와 급기 댐퍼(131)를 동시에 플랩 작동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 공기청정기(10)의 실내 공기청정 작동과 환기장비(20)를 통한 실외 공기 급기 작동 전환 과정에서 제1 공기청정 댐퍼(160) 개폐 시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힌지 연결부 반대측 끝단이 이동하는 궤적과, 급기 댐퍼(131) 개폐 시 급기 댐퍼(131)의 힌지 연결부 반대측 끝단이 이동하는 궤적이 서로 중첩되면서, 급기 댐퍼(131)와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간섭에 따른 댐퍼 개폐 작동 불량이나 댐퍼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급기 댐퍼(131)와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동시에 플랩 작동 방식으로 개폐되는 경우, 급기 댐퍼(131)와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간 작동 궤적의 중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10) 내측 표면과 격벽(140) 표면이 급기 댐퍼(131)와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너비의 합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하거나, 하우징 급기구(130)와 배기구(153)가 형성된 위치가 하우징(110) 내측 표면 및 격벽(140) 표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그러나 하우징 급기구(130)와 배기구(153)의 플랩 작동에 따른 동시 개폐 시 급기 댐퍼(131)와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 급기구(130)와 배기구(153)간 이격 배치 간격을 늘리는 경우, 공기청정기(10)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공기청정기(10)의 무게 증가 및 설치 공간 효율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급기 댐퍼(131)를 스윙 작동 방식으로 구성하여, 급기 댐퍼(131)의 개폐 작동 시 급기 댐퍼(131)가 형성하는 이동 궤적이 플랩 방식의 개폐 작동 중 형성되는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이동 궤적과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1 공기청정 댐퍼(160)와 급기 댐퍼(131)가 동시에 개폐 작동될 때, 제1 공기청정 댐퍼(160)와 급기 댐퍼(131)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이격 배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공기청정기(10)의 소형화에 따른 경량화 및 설치 공간의 효율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외부 덮개(300)는 내부 덮개(200)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며, 외부 덮개(300) 일측부에는 제1 중간 급기구(210)와 연통하는 실내 급기구(320) 및 제2 중간 급기구(230)와 연통하는 공기청정 배기구(330)가 형성되고, 외부 덮개(300) 타측부에는 중간 흡기구(220)와 연통하도록 실내 공기 흡기구(310)가 형성된다.
필터(170)가 장착된 내부 덮개(200) 내측 및 격벽(140) 사이의 공간 가장자리에는 실내 공기의 CO2 농도 및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180)가 장착되며, 센서(180)가 장착된 내부 덮개(200) 외측 중앙부에는 공기청정기(10)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장착된다.
센서(180) 및 디스플레이부(250)가 배치되는 위치의 외부 덮개(30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창(340)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된 공기청정기(10)의 작동 상태 정보를 실내 공간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센서(180)가 장착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창(340) 가장자리에는 실내 공간과 내부 덮개(200) 내부를 연결하는 센서구(341)가 형성되어, 센서(180)를 통해 실내 공기의 CO2 농도 및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기청정 배기구(330)에는 공기청정 배기구(33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공기청정 댐퍼(231)가 장착된다.
제2 공기청정 댐퍼(231)의 상부 표면에는 하우징(100)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랙(232)이 형성되고, 제2 중간 급기구(230)의 일측면에는 스테핑 모터 및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피니언(233)이 장착되며, 피니언(233)과 랙(232)의 톱니가 서로 연결된다.
스테핑 모터의 회전 운동은 피니언(233)과 랙(232)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전환되며, 스테핑 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랙(232)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이동 방향 전환이 발생하면서 제2 공기청정 댐퍼(231)의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2 공기청정 댐퍼(231)를 통한 제2 중간 급기구(230)의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이 이루어진다.
제2 공기청정 댐퍼(231)의 승하강 방향을 안내하고, 제2 공기청정 댐퍼(231)를 제2 중간 급기구(230)에 연결하는 연결 가이드 끝단에는 제2 공기청정 댐퍼(231)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테핑 모터의 오작동에 의한 제2 공기청정 댐퍼(231)의 과도한 하강 발생 시, 스토퍼가 제2 중간 급기구(230)에 걸리면서 제2 공기청정 댐퍼(231)의 하향 진행을 중단하여, 제2 공기청정 댐퍼(231)의 분리 또는 파손 발생을 방지한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공기 흡기구(310)와 실내 급기구(320)는 천장 보드(1) 하부 표면으로부터 실내 공간 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장착된 외부 덮개(300) 측면을 따라 3방향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공기청정기(10)의 공기청정 작동 시 실내 공기 흡기구(310)에서 무지향성 실내 공기 흡기가 이루어지면서 실내 공간내 균일한 흡기가 발생하도록 하여, 실내 공기 오염원 발생 위치에 따른 공기청정 효과 차이 발생을 최소화하며, 환기장비(20) 가동에 의한 공기청정기(10)의 급기 작동 시 실내 급기구(320)에서 무지향성 실외 공기 급기가 이루어지면서 실내 공간내 균일한 급기가 발생하도록 하여, 실내 공간 위치에 따른 환기 효과 차이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때, 제1 중간 급기구(210) 및 실내 급기구(320)에는 별도의 댐퍼가 장착되지 아니하여 상시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실내 공기청정 작동 중 필터(170)에 의해 여과되어 공기 배출부(142)로 유입된 청정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재공급될 때, 제2 공기청정 댐퍼(231)의 개방 작동에 의해 개방된 공기청정 배기구(330) 뿐만 아니라 실내 급기구(320)로의 청정공기 배기가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실내 공기청정 작동에 의한 청정공기 배기를 위한 유량 단면적은 공기청정 배기구(330)와 실내 급기구(320)를 통해 충분히 확보 가능하므로, 외부 덮개(300) 측면에 형성된 실내 급기구(320)의 유량 단면적에 비해 실내 공기 흡기구(310)의 유량 단면적을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내 공기 흡기구(310)와 실내 급기구(320)간 유량 단면적 크기 차이는 공기청정 배기구(330)의 유량 단면적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센서(180)에서 감지된 CO2 농도 및 먼지량에 따라 정지, 급기 모드(M1) 또는 공기청정 모드(M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작동한다.
공기청정기(10)의 정지 상태에서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기 장비(20)와 팬(150)의 작동이 중지되고, 급기 댐퍼(131) 및 제1,2 공기청정 댐퍼(160,231)의 폐쇄 작동에 의해 배기구(153)와 공기청정 배기구(330) 및 하우징 급기구(131)가 폐쇄된다.
공기청정기(10)의 급기 모드(M1)로의 작동 모드 전환 시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2 공기청정 댐퍼(160,231)의 폐쇄 작동에 의해 배기구(153)와 공기청정 배기구(330)가 폐쇄되고, 급기 댐퍼(131)의 개방 작동에 의해 하우징 급기구(130)가 개방되며, 팬(150)의 가동이 정지된다.
환기장비(20)의 작동에 의해 실외 공기가 급기관(21) 및 하우징 급기구(130)를 통해 공기 배출부(142) 내부로 유입된 후, 제1 중간 급기구(210)와 실내 급기구(320)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급기되어 실내 공기 중의 CO2 농도를 낮춘다.
공기청정기(10)의 공기청정 모드(M2)로의 작동 모드 전환 시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2 공기청정 댐퍼(160,231)의 개방 작동에 의해 배기구(153)와 공기청정 배기구(330)가 개방되고, 급기 댐퍼(131)의 폐쇄 작동에 의해 하우징 급기구(130)가 폐쇄되며, 팬(150)이 가동된다.
팬(150)의 작동에 의해 실내 공기 흡기구(310)를 통해 외부 덮개(300) 내부로 흡기된 실내 공기는 필터(17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후, 중간 흡기구(220)와 흡입구(152) 및 배기구(153)을 순차로 통과하여 공기 배출부(142) 내부로 유입되며, 공기청정 배기구(330)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재공급되어 실내 공기청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중간 급기구(210)와 실내 급기구(320)에는 댐퍼가 형성되지 아니하여 공기청정 모드(M2) 작동 시 공기청정 배기구(330) 뿐만 아니라 실내 급기구(320)를 통한 청정 공기의 실내 공간 재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 모드(M2)에서는 공기청정 기능의 이물질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급기 모드(M1)에 비해 공기청정기(10)를 통과하는 공기 유량이 크게 형성되므로, 실내 급기구(320)와 공기청정 배기구(330)에서 동시에 청정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공기청정 모드(M2)의 공기청정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공기청정 모드(M2) 작동 시 제2 공기청정 댐퍼(231)가 하강하면서 외부 덮개(300)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50)의 작동 정보 표시를 근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공기청정 모드(M2) 작동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에서는 환기장비(20)와 연결되어 실내 공간으로 실외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급기 디퓨저 설치를 요구하지 않고, 공기청정기(10)에 급기 디퓨저의 기능을 통합시킴으로써, 급기 디퓨저 및 공기청정 시스템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장치 통합 및 소형화에 따른 공간 활용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천장 보드 2: 설치구
3: 체결부재 10: 공기청정기
20: 환기장비 21: 급기관
100: 하우징 110: 하우징 플렌지
120: 고정 플랜지 130: 하우징 급기구
131: 급기 댐퍼 140: 격벽
141: 공기 흡기부 142: 공기 배출부
143: 연결구 150: 팬
151: 케이스 152: 흡입구
153: 배기구 154: 고정핀
160: 제1 공기청정 댐퍼 170: 필터
180: 센서 200: 내부 덮개
210: 제1 중간 급기구 220: 중간 흡기구
230: 제2 중간 급기구 231: 제2 공기청정 댐퍼
232: 랙 233: 피니언
240: 고정구 241: 고정부재
250: 디스플레이부 300: 외부 덮개
310: 실내 공기 흡기구 320: 실내 급기구
330: 공기청정 배기구 340: 디스플레이 창
341: 센서구

Claims (4)

  1. 천장 보드(1)에 형성된 설치구(2)에 설치되며, 공기청정기(10)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00);
    설치구(2)보다 큰 크기를 이루도록 천장 보드(1) 표면을 따라 하우징(100) 외측부 표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돌출된 하부면이 천장 보드(1)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우징 플렌지(110);
    하우징(100) 하부에 장착되고, 가장자리에 설치구(2)보다 큰 크기를 이루도록 돌출된 고정 플렌지(120)가 형성되며, 천장 보드(1) 하부면과 접촉한 고정 플렌지(120)가 체결부재(3)에 의해 천장 보드(1)에 체결되면서 하우징(100)을 천장 보드(1)에 고정하는 내부 덮개(200);
    하우징(100) 일측에 형성되며, 급기관(21)을 통해 환기장비(20)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하우징(100) 내부로 급기하는 하우징 급기구(130);
    하우징 급기구(13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급기된 실외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내부 덮개(200) 일측에 형성된 제1 중간 급기구(210);
    실내 공기를 하우징(100) 내부로 흡기하도록 내부 덮개(200) 타측에 형성되는 중간 흡기구(220);
    제1 중간 급기구(2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중간 흡기구(22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흡기된 실내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재공급하는 제2 중간 급기구(230);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중간 흡기구(220)와 연결되는 공기 흡기부(141), 하우징 급기구(130) 및 제1,2 중간 급기구(210,230)와 연결되는 공기 배출부(142)의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며, 공기 흡기부(141)와 공기 배출부(14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143)가 형성된 격벽(140);
    중간 흡기구(220)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흡입구(152) 및 격벽(140)의 연결구(143)와 연결되는 배기구(153)가 형성된 스파이럴 형상의 쉘 구조를 가지는 케이스(151) 내부에 장착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른 회전 구동을 통해 실내 공기를 하우징(100)내로 흡기하며, 공기 배출부(142)의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는 팬(150);
    케이스(151)의 흡입구(152) 중앙부에 실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100)에 내부 덮개(200) 장착 시 내부 덮개(200)에 형성된 고정구(240)를 통과하여 내부 덮개(200) 하부로 돌출되며, 고정부재(241)가 결속되어 내부 덮개(200) 하부면을 고정함으로써, 하우징(100)과 내부 덮개(200)를 결속하는 고정핀(154);
    내부 덮개(200) 하부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외부 덮개(300);
    중간 흡기구(220)와 연통하도록 외부 덮개(300)에 형성된 실내 공기 흡기구(310);
    제1 중간 급기구(210)와 연통하도록 외부 덮개(300)에 형성된 실내 급기구(320);
    제2 중간 급기구(230)와 연통하도록 외부 덮개(300)에 형성된 공기청정 배기구(330);
    하우징 급기구(130)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기 댐퍼(131);
    배기구(153)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공기청정 댐퍼(160);
    공기청정 배기구(33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공기청정 댐퍼(231);
    실내공기 흡기구(310)와 중간 흡기구(220) 사이에 장착되는 필터(170);
    실내 공기의 CO2 농도 및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180);
    공기청정기(10)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0);
    로 구성되는 공기청정기(10)가 센서(180)에서 감지된 CO2 농도 및 먼지량에 따라 정지, 급기 모드(M1) 또는 공기청정 모드(M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자동 전환되되,
    급기 모드(M1)에서는 제1,2 공기청정 댐퍼(160,231)의 폐쇄 작동에 따른 배기구(153)와 공기청정 배기구(330)의 폐쇄 및 급기 댐퍼(131)의 개방 작동에 따른 하우징 급기구(130)의 개방 상태에서 환기장비(20)의 작동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실내 급기구(320)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급기되고,
    공기청정 모드(M2)에서는 제1,2 공기청정 댐퍼(160,231)의 개방 작동에 따른 배기구(153)와 공기청정 배기구(330)의 개방 및 급기 댐퍼(131)의 폐쇄 작동에 따른 하우징 급기구(130)의 폐쇄 상태에서, 팬(150)의 가동에 의해 실내 공기 흡기구(310)로 실내 공기가 흡기되어 필터(17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후, 공기청정 배기구(330) 및 실내 급기구(320)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재공급됨으로써,
    공기청정기와 급기 디퓨저의 기능 통합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급기 댐퍼(131)는 하우징(100) 내측 표면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1 공기청정 댐퍼(160)는 공기 배출부(142) 방향 격벽(140) 표면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급기 댐퍼(131)와 제1 공기청정 댐퍼(160)의 회전축은 하우징(100) 내측 표면이나 격벽(140) 표면으로부터 평행 또는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급기 댐퍼(131)와 제1 공기청정 댐퍼(160)가 각각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는 스윙(swing) 작동 또는 플랩(flap) 작동에 의한 회전축 각도 제어를 통해 하우징 급기구(130)와 배기구(153)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2 공기청정 댐퍼(231)의 상부 표면에는 하우징(100)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랙(232)이 형성되고, 제2 중간 급기구(230)의 일측면에는 스테핑 모터 및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피니언(233)이 장착되며, 피니언(233)과 랙(232)의 톱니가 서로 연결되어, 스테핑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른 랙(232)의 상하 이동 방향 전환에 따른 제2 공기청정 댐퍼(231) 승하강 이동을 통해 제2 중간 급기구(230)의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250)는 내부 덮개(200)에 장착되고, 외부 덮개(30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창(340)을 통해 공기청정기(10)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며, 센서(180)는 디스플레이 창(340) 가장자리에 형성된 센서구(341)를 통해 실내 공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1020220035711A 2022-03-23 2022-03-23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Active KR10255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711A KR102553399B1 (ko) 2022-03-23 2022-03-23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711A KR102553399B1 (ko) 2022-03-23 2022-03-23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399B1 true KR102553399B1 (ko) 2023-07-11

Family

ID=8716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711A Active KR102553399B1 (ko) 2022-03-23 2022-03-23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3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081B1 (ko) 2005-02-1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KR100674271B1 (ko) * 2005-09-2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청정 장치
KR102056255B1 (ko) * 2018-08-10 2019-12-16 롯데건설 주식회사 실내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급기시스템
KR20210030589A (ko) * 2019-09-10 2021-03-18 (주)그렉스 주방 공기청정 시스템
KR20210002942U (ko) * 2020-06-23 2021-12-30 (주)그렉스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081B1 (ko) 2005-02-1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KR100674271B1 (ko) * 2005-09-2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청정 장치
KR102056255B1 (ko) * 2018-08-10 2019-12-16 롯데건설 주식회사 실내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급기시스템
KR20210030589A (ko) * 2019-09-10 2021-03-18 (주)그렉스 주방 공기청정 시스템
KR20210002942U (ko) * 2020-06-23 2021-12-30 (주)그렉스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2962B2 (ja) 空気清浄機
CN109996593A (zh) 能够调节风向的空气净化器
KR20180138247A (ko) 상이한 토출 방향의 양방향 팬들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010021408A (ko) 공기조화기
JP4775414B2 (ja) 空気清浄機
JP5862717B2 (ja) 空気清浄機
KR102142196B1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CN101839524A (zh) 空调机
JP2010017685A (ja) 空気清浄機
KR20180065355A (ko)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CN104879838A (zh) 一种具有多种工作模式的空气处理器
KR20120016901A (ko) 환기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JP2009250448A (ja) 空気調和装置
KR20120033590A (ko) 필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JP2011016072A (ja) 空気清浄機
KR102279407B1 (ko) 환기형 공기청정기
KR20230098509A (ko) 공기 청정기
KR102553399B1 (ko)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WO2019003511A1 (ja) 空気調和機
KR20220126825A (ko) 실내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창문 장착형 환기장치
KR101923149B1 (ko) 공기 청정기
JP2005046590A (ja) 空気清浄器
KR101284962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915396B1 (ko) 화장실용 환기장치
KR20100086831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