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3165B1 -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165B1
KR102553165B1 KR1020210047448A KR20210047448A KR102553165B1 KR 102553165 B1 KR102553165 B1 KR 102553165B1 KR 1020210047448 A KR1020210047448 A KR 1020210047448A KR 20210047448 A KR20210047448 A KR 20210047448A KR 102553165 B1 KR102553165 B1 KR 102553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barrier
frame
storage tank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195A (ko
Inventor
이성일
황상수
김기중
홍성규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16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1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09Details, e.g. container closur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돔에 적용되는 방벽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로서, 외면을 형성하며 적어도 두 면이 개방된 사각 기둥 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프레임에서 개방된 일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는 서포트부; 및 상단이 상기 서포트부의 절곡부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ㅕ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밀봉 대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testing apparatus for liquefied gas storage tank}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개발에 따라 가솔린이나 디젤을 대체하여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등과 같은 액화가스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LNG 등의 액화가스를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운반선, LNG RV(Regasification Vessel),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의 선박 내에는 LNG를 극저온 액체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소위 "화물창"으로 지칭됨)가 설치되어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에 의해 증발가스(Boil Off Gas; BOG)가 발생될 수 있으며, 단열 설계를 통해 증발 가스의 기화 비율인 자연 기화율(Boil Off Rate; BOR)을 낮추는 것이 액화가스 저장탱크 설계의 핵심 기술이다.
따라서 이러한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적어도 2층의 단열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LNG가 저장된 공간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IBS(Interbarrier Space), IS(Insulation Space)가 마련된다.
또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에는 LNG의 로딩/언로딩 등을 위하여 상면에 돔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돔은 IBS와 IS를 실링하면서도 IBS 등의 내부에 질소가스 등을 공급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데, 실링 및 단열을 위한 돔의 효율적인 구조에 있어서,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돔 부분에 적용되는 방벽의 실링을 효과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는,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돔에 적용되는 방벽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로서, 외면을 형성하며 적어도 두 면이 개방된 사각 기둥 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프레임에서 개방된 일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는 서포트부; 및 상단이 상기 서포트부의 절곡부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ㅕ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밀봉 대상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봉 대상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부분의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는 외면이 수평 방향을 따라 절단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트부 및 상기 밀봉 대상부는, 금속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봉 대상부는, 상기 서포트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봉 대상부는, 상단에 상기 절곡부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면을 향해 수평하게 꺾인 꺾임부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봉 대상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개방된 일측과 마주한 외측단은 개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 인접한 내측단은 밀폐되어 ㄷ자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는, 돔에 적용되는 방벽의 시공 시 방벽에 의한 실링 성능, 누출 위험도 등을 효과적으로 검증해볼 수 있는 시편으로서, 실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제작에 있어서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선박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고, 이때 선박은 적어도 액화가스를 추진연료/발전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일 수 있으며, 가스 운반선, 가스가 아닌 화물이나 사람을 운반하는 상선, FSRU, FPSO, Bunkering vessel, 해양플랜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선체(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된다. 이때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선체의 격벽 구조가 탱크의 외벽(21)을 이루는 멤브레인형일 수 있고, 또는 선체 내부 공간에 액화가스 저장탱크(1)가 인입 설치되는 독립형일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타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또한 액화가스 저장탱크(1)가 선체에 탑재되는 위치(선내 또는 갑판 상부 등의 선외) 역시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내측 방향으로 단열층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선체 격벽에 직접 단열층이 시공되는 멤브레인형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액화가스 저장탱크(1)가 독립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는 바, 이하에서 선체라는 표현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외체로 대체하여 해석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저장공간을 갖는다. 저장공간에는 액화가스가 저장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는 LNG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화가스가 LNG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에서 액화가스는 LNG 외에도 비등점이 상온보다 낮아 저장을 위해 강제로 액화되며 발열량을 갖는 모든 물질(LPG, 에탄, 수소, 암모니아 등)을 포괄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저장공간은 벽체(10)에 의해 둘러싸여 닫힌 공간을 이룰 수 있다. 다만 액화가스의 유출입을 위해 벽체(10)에는 상면에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개구부에는 돔(20)이 설치된다. 즉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벽체(10)와 돔(20)을 포함할 수 있다.
벽체(10)는,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또한 단열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벽체(10)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1차 방벽(11), 1차 단열벽(12), 2차 방벽(13), 2차 단열벽(14)을 갖는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내측은 액화가스가 저장된 공간 내부를 향하는 방향이고 외측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1차 방벽(11)은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1차 방벽(11)은 저온의 액화가스로 인한 취성 파괴를 억제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SUS, INVAR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1차 방벽(11)에는 슬로싱을 대비하기 위해 주름 또는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방벽(11)은 서로 겹배치되어 용접 등으로 실링됨에 따라 저장공간 전체(돔(20) 부분을 제외)를 닫힌 공간으로 만들게 된다.
1차 방벽(11)은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벽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후술할 2차 방벽(13) 역시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벽이 되므로, 본 발명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적어도 2중으로 누출 방지를 구현하는 구조를 갖는다.
1차 단열벽(12)은, 1차 방벽(11)의 외측에 배치되며 1차 단열기능을 구현한다. 1차 단열벽(12)은 플라이우드(121), 단열블록(122)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라이우드(121)는 1차 단열벽(12)에서 내측에 구비되며, 플라이우드(121)에 앵커링유닛(도시하지 않음)이 고정된다. 앵커링유닛은 1차 방벽(11)의 겹침 용접을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1차 방벽(11)과 동일/유사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블록(122)은 1차 단열벽(12)에서 외측에 구비되며 단열성을 갖는다. 단열블록(122)은 폴리우레탄폼 블록으로 이루어지거나, 단열재가 수용된 박스 블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열블록(122)은 후술할 2차 방벽(13)에 본딩 등을 통해 접합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선체 등에 볼팅 등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1차 단열벽(12)은 1차 방벽(11)과 2차 방벽(13) 사이의 닫힌 공간 내에 배치되는데, 1차 단열벽(12)이 배치되는 공간은 단열공간을 이룰 수 있고, 1차 단열벽(12)이 배치된 단열공간은 IBS(Interbarrier Space)로 지칭될 수 있다.
가장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1차 단열벽(12)은 후술할 돔 코밍(20a)의 상벽(22) 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돔 코밍(20a)의 상벽(22)과 2차 방벽(13) 사이의 실링을 위해 연결 방벽(24)을 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시공 순서에 따를 때, 2차 단열벽(14) 상에 2차 방벽(13)이 마련되고 2차 방벽(13)에 1차 단열벽(12)이 마련되는데, 최상단의 1차 단열벽(12)은 상벽(22) 대비 하방에 위치하면서 2차 방벽(13) 일부를 노출시키게 된다. 이때 노출된 2차 방벽(13)과 상벽(22) 사이에서 연결 방벽(24)이 설치되면서 돔 코밍(20a)과 2차 방벽(13)이 상호 실링 연결된다.
이후 최상단의 1차 단열벽(12)과 돔 코밍(20a)의 상벽(22) 사이의 갭에 마감 단열벽(12a)이 채워져서 연결 방벽(24)을 커버할 수 있다. 마감 단열벽(12a)은 1차 단열벽(12)과 동일/유사하게 플라이우드(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단열블록(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1차 단열벽(12)과 마감 단열벽(12a)의 내면은 상호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고, 1차 단열벽(12)의 내면과 마감 단열벽(12a)의 내면 상에 1차 방벽(11)이 설치될 수 있다.
2차 방벽(13)은, 1차 단열벽(12)의 외측에 마련된다. 2차 방벽(13)은 1차 방벽(11)과 함께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 기능을 가지며, 2차 방벽(13)은 1차 방벽(11)의 파손 시 액화가스의 누출을 2차로 방지하게 된다.
2차 방벽(13)은 1차 방벽(11)과 동일/유사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1차 방벽(11)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2차 방벽(13)은 금속시트 양면에 유리섬유시트 등이 적층된 복합시트 또는 반대로 유리섬유시트 양면에 금속시트가 적층된 복합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2차 방벽(13)는 SUS, INVAR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2차 방벽(13)은 2차 단열벽(14) 상에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2차 단열벽(14)들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기 위해, 별도의 2차 방벽(13)이 적층되는데, 2차 단열벽(14) 상의 2차 방벽(13)은 상대적 강성 재질로 마련되고, 2차 단열벽(14)들 사이의 2차 방벽(13)은 수축 팽창을 대비하여 상대적 유연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2차 단열벽(14)은, 2차 방벽(13)의 외측에 배치된다. 2차 단열벽(14)은 1차 단열벽(12)과 마찬가지로 단열 기능을 가지며, 1차 단열벽(12)과 동일/유사하게 플라이우드(141), 단열블록(142)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2차 단열벽(14)의 플라이우드(141)와 단열블록(142)의 적층 순서는, 1차 단열벽(12)과 반대될 수 있다. 1차 단열벽(12)은 1차 방벽(11)의 용접 고정을 위해 앵커링유닛이 마련되는 플라이우드(121)가 내면에 마련되는 반면, 2차 단열벽(14)은 선체 측에 고정하기 위해 플라이우드(141)가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2차 단열벽(14)은 선체 내면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마스틱(143)을 이용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마스틱(143)은 접착제로서 2차 단열벽(14)의 플라이우드(141)를 선체에 고정한다.
2차 단열벽(14)은 2차 방벽(13)과 선체 사이의 닫힌 공간 내에 배치되며, 2차 단열벽(14)이 배치된 공간은 2차 단열공간으로서 IS(Insulation Space)로 지칭될 수 있다.
즉 벽체(1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1차 방벽(11) - IBS(1차 단열벽(12)) - 2차 방벽(13) - IS(2차 단열벽(14)) - 선체 순으로 적층되도록 마련되며, IBS와 IS인 단열공간은 후술하는 돔(20)에 의해 마감된다.
이와 같이 2중의 방벽 및 2중의 단열벽(단열공간)을 갖는 벽체(10)에 의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벽체(10)는 평면 또는 곡면이나 경사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다양한 형상의 저장공간을 이룬다.
돔(20)은, 저장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벽체(10)에 마련된다. 저장공간을 형성한 벽체(10)는 액화가스나 증발가스의 유출입을 위해 상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개구된 부분에는 돔(20)이 설치되어 마감된다.
이때 저장공간 상면을 이루는 벽체(10)는 개구된 부분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돌출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고, 돌출부의 상단에 돔(20)이 설치될 수 있다.
돔(20)은 벽체(10)에 형성된 단열공간을 마감한다. 단열공간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벽체(10)에서 2차 방벽(13)의 내측과 외측에 마련되며, 돔(20)은 각각의 단열공간을 상호 분리되도록 마감할 수 있다.
돔(20)은 저장공간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벽체(10)에 고정 설치되는 돔 코밍(20a)을 포함한다. 돔 코밍(20a)은 중공의 기둥 형태로 마련되고 일례로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돔 코밍(20a)은 후술하는 구체적 구조를 통해, IBS와 IS가 상호 분리되면서 닫힌 공간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돔 코밍(20a)에는 질소라인(도시하지 않음) 등이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단열공간 내 질소의 유출입을 구현할 수 있다.
돔 코밍(20a)의 상측에는 돔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돔 커버에는 액화가스나 증발가스 등이 유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인이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돔 커버에 펌프타워(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돔(20)(또는 돔 코밍(20a))은, 외벽(21), 상벽(22), 서포트(23), 연결 방벽(24)을 포함한다.
외벽(21)은, 저장공간의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다. 외벽(21)은 돌출부의 외면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선체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선체 일부가 외벽(21)을 대체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벽(21)은 다각 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측면에 라인들이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단열공간으로의 질소 공급/단열공간에서의 질소 배출을 위한 라인이 각각 돔 코밍(20a)에서 서로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
외벽(21)의 외측에는 수평의 보강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외벽(21)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에 따라, 외벽(21)의 외측 둘레에 보강재(211)를 부가함으로써 돔 코밍(20a)의 구조 강도를 확보하게 된다.
이때 보강재(211)는 선체의 트렁크 데크와 상벽(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트렁크 데크와 상벽(22)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벽(21)의 높이가 높지 않을 경우 보강재(211)는 생략 가능하며, 트렁크 데크가 보강재(211)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벽(22)은, 외벽(21)에 의해 지지되며 적어도 일부에 돔 커버가 안착된다. 상벽(22)은 외벽(21)의 상단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수평하게 마련되어 저장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벽체(10)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벽(22)은 외벽(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내측에는 돔 커버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벽(22)의 폭은 적어도 벽체(10)의 두께 이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벽체(10)의 단열공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상벽(22)의 외측단은 외벽(21) 대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벽(22)과 보강재(211) 사이에는 수직의 웹부재(부호 도시하지 않음) 등이 마련되어 구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벽(22)의 내측에는 1차 방벽(11)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벽(22)의 내측단에는 1차 단차해소수단(221)이 구비된다. 1차 단차해소수단(221)은 상면과 하면 및 그 사이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ㄷ자 형태를 갖는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면이 상벽(22)의 내측단에 겹쳐져 고정될 수 있다.
다만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높이는 상벽(22)의 두께보다 클 수 있으므로, 상벽(22)의 내측단에 1차 단차해소수단(221)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단(222)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단(222)은 상벽(22)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상면 및 하면이 모두 상벽(2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서포트(23)는, 외벽(21)외 내측에서 상벽(2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서포트(23)는 상벽(22)을 통해 단열공간들을 커버할 때, 2차 방벽(13)의 내측 단열공간(IBS)과 2차 방벽(13)의 외측 단열공간(IS)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포트(23)는 후술할 연결 방벽(24)을 통해 2차 방벽(13)과 연결되어, 2차 방벽(13)의 외측 단열공간은 서포트(23)의 외측과 연통되고 2차 방벽(13)의 내측 단열공간은 서포트(23)의 내측과 연통된다. 다만 서포트(23)는 상단이 상벽(22)에 고정되므로, 서포트(23)는 내외 방향으로 단열공간을 구분하게 된다.
서포트(23)는 수직부(231), 절곡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231)는 상벽(2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수직부(231)는 2차 방벽(13) 대비 외측에서 2차 방벽(13)과 평행하게 마련되며 또한 외벽(21) 대비 내측에서 외벽(21)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각종 라인이 관통하는 돔 커버가 돔 코밍(20a)에 안착될 때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하기 위해, 서포트(23)는 2차 방벽(13)보다 외측 지점에서 상벽(22)으로부터 하방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23)와 2차 방벽(13)을 상호 연결하여 2차 방벽(13) 외측 단열공간을 실링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서포트(23)에 절곡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절곡부(233)는 서포트(23)의 하부에 마련되며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절곡부(233)는 절곡된 후 2차 방벽(13)과 인접한 지점까지 연장되며, 다만 절곡부(233)의 하단과 2차 단열벽(14) 사이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설치 시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절곡부(233)의 내면에는 연결 방벽(24)이 고정되고 또한 내측 단열재(26)가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절곡부(233)의 외면에는 외측 단열재(25)가 마련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서포트(23)는 하단이 2차 단열벽(14) 대비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절곡부(233)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갭에는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2차 단차해소수단(236)은, 1차 단차해소수단과 유사하게 ㄷ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고정을 위해 절곡부(233)에는 고정단(237)이 마련될 수 있고, 고정단(237)에 의해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하면이 절곡부(23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2차 단차해소수단(236)은 상면이 절곡부(233)의 상면에 겹쳐 고정될 수 있으며,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은 2차 방벽(13)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2차 단차해소수단(236)은 절곡부(233)의 내측단과 2차 방벽(13)이 내외 방향으로 불일치하는 것을 보상하여, 연결 방벽(24)에 의한 밀봉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를 실링하여 2차 방벽(13) 내외의 단열공간을 구분한다.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동일/유사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2차 단열벽(14) 상에 마련되는 2차 방벽(13) 대비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방벽(24)은 설치 시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연결 방벽(24)은 금속시트의 양면에 유리섬유시트가 적층된 복합시트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이 하단 대비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절곡부(233)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는 연결 방벽(24)의 하단을 먼저 2차 방벽(13)에 고정한 뒤, 상단을 외측으로 접어서 절곡부(233)에 본딩 등으로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연결 방벽(24)의 하단은 1차 단열벽(12)의 높이보다 상단에 위치하여, 1차 단열벽(12)이 연결 방벽(24)의 시공 전에 2차 방벽(13)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1차 단열벽(12) 보다 상방에 시공되는 연결 방벽(24)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감 단열벽(12a)이 시공되어 마감될 수 있다.
연결 방벽(24)은, 상단이 2차 단차해소수단(236)에 고정되어,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특히 연결 방벽(24)은, 상부가 2차 단차해소수단(236)을 감싸면서 외측으로 휘어져서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연결 방벽(24)은,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에 맞닿되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에 접합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수직한 방향으로 맞닿아 적층 연결되고, 상부는 하측이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접합되지 않으며, 상측이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상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접합 고정될 수 있다.
즉 연결 방벽(24)은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과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상면 사이에서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형상에 대응하여 휘어지거나 절곡된 ㄱ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방벽(24)의 하단과 상단의 고정 방향은 상호 상이할 수 있고, 이 경우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에 고정되는 하단면과,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단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마찬가지로 유리섬유시트 등의 비금속 재질이 혼합된 복합 시트로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2차 단차해소수단(236)을 감쌀 수 있다.
물론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 대비 강도가 강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연결 방벽(24)은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형상(특히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과 상면 사이에서의 곡률)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은 연결 방벽(24)과 맞닿으면서 연결 방벽(24)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연결 방벽(24)은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에 접합되지 않게 이루어지므로,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 상에서 연결 방벽(24)은 2차 단차해소수단(236)과 독립적으로 수축/팽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결 방벽(24)은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이 아닌 상면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이 반드시 2차 방벽(13)과 나란할 필요는 없다.
즉 2차 단차해소수단(236)은 절곡부(233) 대비 연결 방벽(24)의 고정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밀봉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인 바,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은 2차 방벽(13)과 비교적 나란하게 마련되거나 혹은 밀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2차 방벽(13) 대비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밀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정도라는 것은, 연결 방벽(24)이 2차 방벽(13)과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 간의 단차로 인해 휘어지거나 절곡됨에 따라, 구조 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연결 방벽(24)은,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이 2차 방벽(13) 대비 내외 방향으로 다소 편향되어 있더라도, 휘어짐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2차 방벽(13)과 2차 단차해소수단(236) 사이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미세하게 편향된 후,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에 맞닿고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포트(23)의 절곡부(233) 하단과 2차 단열벽(14) 사이는 이격 배치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는데, 이격된 부분에는 외측 단열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 단열재(25)가 마련되는 공간은 2차 방벽(13)의 외측 단열공간으로서 질소 등과 같은 비폭발성 기체가 채워질 수 있다. 참고로 내압은 IS > 저장공간 > IBS 순으로 세팅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측 단열재(25)는, 외벽(21)과 서포트(23) 사이에 채워진다. 외측 단열재(25)는 적어도 일부가 2차 단열벽(14)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2차 단열벽(14)과 함께 2차 단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외측 단열재(25)는 2차 단열벽(14)과 동일/유사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외측 단열재(25)는 글라스울, 강화 폴리우레탄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단열재(25)는 서포트(23)와 외벽(21) 사이 공간에 채워지며, 상벽(22)으로부터 서포트(23) 하단까지 연장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외측 단열재(25)의 하단은 절곡부(233)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2차 단열벽(14)에 맞닿을 수 있다.
이러한 외측 단열재(25)는 시공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 구비되고 시공 후 일체화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외측 단열재(25) 중 서포트(23) 외측 부분은 글라스울 등으로 마련되고 외측 단열재(25) 중 서포트(23) 하측 부분은 폴리우레탄폼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내측 단열재(26)는, 수직부(231)의 내측에 고정되며 2차 방벽(13) 또는 연결 방벽(24)의 내면과 나란한 내면을 갖는다. 내측 단열재(26)는 서포트(23)의 수직부(231)가 2차 방벽(13) 대비 외측으로 치우쳐 마련된 것을 보상하여, 마감 단열벽(12a)의 설치를 위한 평면 확보를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내측 단열재(26)는 우드가 다층으로 겹쳐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2차 단열벽(14)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수직부(231)에 마스틱(261)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마스틱(261)은 수직부(231)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단열재(26)의 견고한 위치 고정을 위해서, 수직부(231)에는 내측 방향으로 스터드(23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내측 단열재(26)는 스터드(2311)가 관통되고 스터드(2311)에 고정되는 고정구(262)(너트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내측 단열재(26)는, 1차 단차해소수단(221)과 서포트(23)의 수직부(231) 사이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내측 단열재(26)는 마감 단열벽(12a)을 설치하기 위해 상벽(22)의 하단 부분과 서포트(23)의 내측 부분을 사각 형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서포트(23)의 수직부(231)와 절곡부(233)에 고정되는 내측 단열재(26)는 고정력 확보를 위해 우드 재질로 마련되고, 상벽(22)의 하면에 고정되는 내측 단열재(26)는 단열 효과를 위해 폴리우레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돔(20)의 모서리에서의 연결 방벽(24)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포트(23)는 저장공간을 향하는 내면과, 내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면을 가질 수 있는데, 돔(20)의 모서리에 마련되는 연결 방벽(24)은, 코너 방벽(27)으로서 코너 메인방벽(271), 코너 마감방벽(27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돔(20)의 모서리에는 서포트(23)에 마련되는 코너 단차해소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앞서 설명한 2차 단차해소수단(236)과는 상이할 수 있다. 코너 단차해소수단은, 저장공간과 마주하되 외측으로 볼록한 내면과, 내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며 비교적 ㄴ자 형태를 갖는 상하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코너 방벽(27)은, 코너 메인방벽(271)이 코너 단차해소수단에 적층된 후, 코너 마감방벽(273)이 적층되면서 마감될 수 있다. 코너 메인방벽(271)은, 서포트(23)(본 명세서 내 코너 방벽(27)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서포트(23)는 코너 단차해소수단으로 해석될 수 있음)의 내면을 덮도록 마련된다. 또한 코너 메인방벽(271)은 앞서 설명한 연결 방벽(24)과 유사하게 ㄱ자의 단면을 갖도록 휘어지거나 절곡되어, 서포트(23)의 상면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코너 마감방벽(273)은, 코너 메인방벽(271)에 겹쳐져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코너 마감방벽(273)은 서포트(23)에 있어서 코너 메인방벽(271)이 들뜨게 될 위험성이 있는 부분을 모두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돔(20)의 모서리에서 서포트(23)와 2차 방벽(13) 사이는 코너 메인방벽(271)에 의해 주로 밀봉되며, 코너 마감방벽(273)은 제작이 다소 어려운 3차원 곡면으로 제조되지만, 액화가스의 밀봉은 충분히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코너 메인방벽(271)과 코너 마감방벽(273) 사이에 적절한 형상의 코너 보조방벽(도시하지 않음)이 추가로 적용되어, 코너 메인방벽(271)의 형상을 제작이 용이한 형태로 마련할 수도 있음을 알려둔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를 제조함에 있어서 활용될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3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 방벽(24)의 시공 전 상태인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30)를 나타내고, 도 5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30)에 연결 방벽(24)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30)는, 돔(20)에서 코너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돔(20)에 적용될 연결 방벽(24)(특히 코너 방벽(27), 이하에서 연결 방벽(24)은 코너 방벽(27)으로 해석될 수 있음)의 실링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30)는, 프레임(31), 서포트부(32), 밀봉 대상부(33)를 포함하며, 각 구성들은 모두 SUS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프레임(31)은, 외면을 형성하는 사각 기둥 형태를 갖는다. 이때 프레임(31)의 외면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가 설치되는 선체의 외벽(21)에 대응하는 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프레임(31)은 적어도 두 면이 개방된 사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저면, 상면, 그리고 2개의 인접한 측면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연결 방벽(24)의 접착 정도를 육안으로도 체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서포트부(32)는, 프레임(3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서포트부(32)는 앞서 설명한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서포트(23)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부(32)는 수직부(321)와 절곡부(322)를 포함한다. 수직부(321)는 프레임(3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직하게 연장되며, 이때 수직부(321)는 코너 구조를 표방하기 위해 ㄱ자의 평단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322)는, 프레임(31)에서 개방된 일측을 향해 절곡된다. 절곡부(322)는 앞서 서포트(23)의 절곡부(233)와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 프레임(31)의 개방된 일측을 향한다는 것은 도 4를 기준으로 전방을 의미하며, 프레임(31)의 내면을 향한다는 것은 도 4를 기준으로 후방을 의미할 수 있음을 알려둔다.
절곡부(322)는 수직부(321)의 하단에서 프레임(31)의 개방된 일측을 향해 연장되면서, 수직부(321)와 대응되도록 ㄱ자의 평단면을 갖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수직부(321)와 절곡부(322)는, 코너 구조에서의 서포트(23)를 표방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밀봉 대상부(33)는, 서포트부(32)의 하부에 마련되어 연결 방벽(24)에 의해 밀봉되는지 여부가 테스트되는 부분이다. 밀봉 대상부(33)는 상단이 서포트부(32)의 절곡부(322)에 연결되며, 하단이 프레임(31)의 저면에 연결된다.
또한 밀봉 대상부(33)는 중앙 부분에서 프레임(31)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ㅕ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이때 돌출되는 부분은 돌출부(331)로 정의될 수 있다. 돌출부(33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에서 2차 방벽(13)과 서포트(23)(특히 코너 단차해소수단) 사이의 간극을 표방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를 위해 돌출부(331)는, 프레임(31)의 내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면서, 프레임(31)에서 개방된 일측과 마주하는 외측단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돌출부(331)의 개방된 부분에 의해 밀봉 대상부(33)의 외면 중 상면과 하면이 이격되도록 마련되므로,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의 간극에 대응되는 형태가 마련된다.
돌출부(331)는 프레임(31)의 내면에 인접한 내측단이 밀폐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돌출부(331)는 ㄷ자를 이룰 수 있다. 돌출부(331)의 내측단 역시 외측단과 마찬가지로 개방된 형태를 이룰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밀봉 대상부(33)가 2개로 구분되어 제작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돌출부(331)는 내측단이 닫힌 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즉 밀봉 대상부(33)는, 프레임(31)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부분의 위치에서 프레임(31)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는 외면이, 수평 방향을 따라 절단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331)로 인해, 밀봉 대상부(33)의 상부는 코너 단차해소수단에 대응되는 부분이 되며, 밀봉 대상부(33)의 하부는 2차 단열벽(14) 상에 적층된 2차 방벽(13)에 대응되는 구성이 된다. 또한 돌출부(331)의 외측단은 2차 방벽(13)과 코너 단차해소수단 사이의 간극으로서 밀봉되어야 하는 대상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대해 도 5에서와 같이 연결 방벽(24)을 밀봉 대상부(33)에서 돌출부(331)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시공하면, 연결 방벽(24)에 대해 누출 여부 등을 명확하고 간소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밀봉 대상부(3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포트부(32)와 금속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경우 2차 방벽(13) 외측에 2차 단열벽(14) 등이 적층되어 있고 2차 방벽(13)은 비금속 재료가 혼합됨에 따라, 코너 단차해소수단과 2차 방벽(13) 등이 서로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실시예의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30)는, 연결 방벽(24)의 시공 시 누출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고 단열 성능의 테스트를 위한 것이 아니므로, 밀봉 대상부(33) 전체를 SUS 등의 금속으로 제작하더라도 테스트에는 전혀 문제 없다.
다만 밀봉 대상부(33)는, 서포트부(32)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간의 두께 차이를 고려해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밀봉 대상부(33)와 프레임(31)의 내면 사이는, 빈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32)의 수직부(321)와 프레임(31)의 내면 사이 역시 빈 공간이 될 수 있어서, 본 실시예는 2차 단열벽(14)이나 외측 단열재(25) 등이 적용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30)는, 단열재가 적용되지 않고 오로지 금속만으로 제작하므로, 제작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관리 역시 매우 간편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밀봉 대상부(33)는, 상단에 절곡부(322)의 상면에 겹쳐지는 꺾임부(332)를 갖는다. 꺾임부(332)는 밀봉 대상부(33)의 상단에 마련되며 프레임(31)의 내면을 향해 수평하게 꺾인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꺾임부(332)는 코너 단차해소수단의 상면을 표방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꺾임부(332)와 절곡부(322)가 맞닿아 일체화되는 부분은, 절곡부(322)의 두께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꺾임부(332)와 절곡부(322)가 맞닿는 부분은 서포트부(32)와 밀봉 대상부(33) 중에서 가장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된다.
꺾임부(332)와 절곡부(322)는 용접 등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꺾임부(332)는 절곡부(322) 위에 포개져서 겹쳐기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밀봉 대상부(33)와 서포트부(32) 전체를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꺾임부(332)와 절곡부(322)는 서로 분리되지 않으며 명확한 구분 지점이 확인되지 않는 일체로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에서 나타나는 돔(20)의 코너 구조에 대한 연결 방벽(24)을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되며, 단열벽 등의 구조 없이 SUS 등의 금속만으로 형태를 이룸으로써 제작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대해, 연결 방벽(24)이 시공된 후에는 Sound test, Vacuum test 등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시행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제작 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액화가스 저장탱크 10: 벽체
11: 1차 방벽 12: 1차 단열벽
121: 플라이우드 122: 단열블록
12a: 마감 단열벽 13: 2차 방벽
14: 2차 단열벽 141: 플라이우드
142: 단열블록 143: 마스틱
20: 돔 20a: 돔 코밍
21: 외벽 211: 보강재
22: 상벽 221: 1차 단차해소수단
222: 고정단 23: 서포트
231: 수직부 2311: 스터드
233: 절곡부 236: 2차 단차해소수단
237: 고정단 24: 연결 방벽
25: 외측 단열재 26: 내측 단열재
261: 마스틱 262: 고정구
27: 코너 방벽 271: 코너 메인방벽
273: 코너 마감방벽 30: 테스트용 장치
31: 프레임 32: 서포트부
321: 수직부 322: 절곡부
33: 밀봉 대상부 331: 돌출부
332: 꺾임부

Claims (6)

  1.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돔에 적용되는 방벽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로서,
    외면을 형성하며 적어도 두 면이 개방된 사각 기둥 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프레임에서 개방된 일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는 서포트부; 및
    상단이 상기 서포트부의 절곡부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ㅕ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밀봉 대상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테스트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대상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부분의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는 외면이 수평 방향을 따라 절단된 형태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테스트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 및 상기 밀봉 대상부는,
    금속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테스트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대상부는,
    상기 서포트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테스트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대상부는,
    상단에 상기 절곡부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면을 향해 수평하게 꺾인 꺾임부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테스트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대상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개방된 일측과 마주한 외측단은 개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 인접한 내측단은 밀폐되어 ㄷ자를 이루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테스트용 장치.
KR1020210047448A 2021-04-12 2021-04-12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 Active KR102553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448A KR102553165B1 (ko) 2021-04-12 2021-04-12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448A KR102553165B1 (ko) 2021-04-12 2021-04-12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195A KR20220141195A (ko) 2022-10-19
KR102553165B1 true KR102553165B1 (ko) 2023-07-10

Family

ID=8380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448A Active KR102553165B1 (ko) 2021-04-12 2021-04-12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1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80B1 (ko) 2009-04-14 2014-06-26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Lng 탱크의 보조 멤브레인용 말단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671B1 (ko) * 2012-10-04 2017-11-15 현대중공업(주) Lng 운반선 탱크 2차 방벽 테스트를 위한 측면 개구부 주변 임시 방벽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80B1 (ko) 2009-04-14 2014-06-26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Lng 탱크의 보조 멤브레인용 말단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195A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1746C2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ая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ая стенка резервуара для хран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2209265B1 (ko) 코너부를 포함하는 밀봉된, 열 절연 선박
JP2018525578A (ja) コルゲート金属シートを備えたコーナー配置が設けられた二次密閉膜を有する密閉断熱タンク
KR20180029033A (ko) 응력 완화 슬롯이 제공된 절연 코너 블록을 포함하는 선박
AU2014252951A1 (en) Insulating block for producing a sealed and insulated tank wall
KR10245947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125329A (ko) 액화가스 저장시설
KR10255316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
KR10266526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2346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3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50341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2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7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75112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49864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0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1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23470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7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75111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20230415856A1 (en) Corner structure and liquefied gas storage tank having same
RU2825793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хранения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KR20240133157A (ko) 액화수소 저장탱크 및 용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