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1953B1 - 클렌징 바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렌징 바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953B1
KR102551953B1 KR1020180066181A KR20180066181A KR102551953B1 KR 102551953 B1 KR102551953 B1 KR 102551953B1 KR 1020180066181 A KR1020180066181 A KR 1020180066181A KR 20180066181 A KR20180066181 A KR 20180066181A KR 102551953 B1 KR102551953 B1 KR 102551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leansing bar
weight
saturated fatty
fatty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566A (ko
Inventor
서보현
권미정
김종협
박재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06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9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9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렌징 바 조성물 및 클렌징 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포화지방산, pH 조정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클렌징 바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리지방산 함량이 1.5 내지 1.9 중량%인 클렌징 바를 제조함으로써, 사용감이 우수하고 기포력 및 세정력이 현저히 향상된 클렌징 바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렌징 바 및 그 조성물{Cleansing bar and Composition for the bar}
본 발명은 클렌징 바 조성물 및 클렌징 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화지방산 30 내지 70 중량%, pH 조정제 8.5 내지 9.5 중량%, 양이온성 폴리머 2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클렌징 바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되어 유리지방산 1.5 내지 1.9 중량%를 포함하는, 사용감이 우수하고 기포력 및 세정력이 향상된 클렌징 바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발달에 따른 대중 매체의 범람은 미를 추구하고 싶어하는 인간의 본능을 자극시키고 있다. 그러나 사회 활동의 증가에 따라 외부 환경에 대한 노출이 증가하여 피부 오염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과거 4500년 동안 사용되어온 비누는 20세기 석유화학 시대를 맞이하면서, 석유화학 성분이 포함되기 시작하였다. 시중에 판매되는 거의 모든 비누는 방부제, 화학색소 및 인공합성 향 등 각종 화학첨가물이 포함되어 있어 피부의 민감성을 유발하고 피부보호막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비누는 기포의 크기가 크며 세정력이 미흡하여, 최근에는 비누 세정 후 전문 세안 화장품인 폼 클렌저를 별도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0320호에서는 계면활성제를 주세정 기재로 하여 세정력이 우수한 클렌징 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기포의 크기는 감소되지 않아 여전히 폼 클렌저를 별도로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폼 클렌저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오염을 제거할 수 있고, 또 사용감이 우수한 비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03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감이 우수하고, 기포력 및 세정력이 향상된 클렌징 바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클렌징 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화지방산 30 내지 70 중량%, pH 조정제 8.5 내지 9.5 중량%, 양이온성 폴리머 2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클렌징 바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되어 유리지방산 1.5 내지 1.9 중량%를 포함하는 클렌징 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화지방산 30 내지 70 중량%, pH 조정제 8.5 내지 9.5 중량% 및 양이온성 폴리머 2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클렌징 바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리지방산 함량이 1.5 내지 1.9 중량%인 클렌징 바를 제조함으로써, 사용감이 우수하고 기포력 및 세정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바와 비교예의 기포력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바와 비교예의 기포력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바와 비교예의 세정력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바와 비교예의 세정력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클렌징 바는 유지 또는 지방산을 알칼리로 비누화한 지방산계, 계면활성제를 주 세정 성분으로 하는 합성계 및 지방산계와 합성계를 혼합한 혼합계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는 상기 지방산계, 합성계 및 혼합계 클렌징 바를 모두 지칭한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은 종래 클렌징 바에서의 사용감, 기포력 및 세정력의 개선을 위하여 포화지방산 30 내지 70 중량%, pH 조정제 8.5 내지 9.5 중량% 및 양이온성 폴리머 2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포화지방산은 탄소수 14 이하의 단쇄 포화지방산과 탄소수 15 이상의 장쇄 포화지방산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단쇄 포화지방산의 예로는 뷰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르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라이데실산, 미리스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장쇄 포화지방산의 예로는 펜타데칸산, 팔미트산, 마르가르산, 스테아르산, 노나데실산, 아라키드산, 헨에이코실산, 베헨산, 트라이코실산, 리그노세르산, 펜타코실산, 세로트산, 헵타코실산, 몬탄산, 노나코실산, 멜리스산, 헨트라이아콘틸산, 라세로산, 프실산, 게드산, 세로플라스트산, 헥사트라이아콘탄산, 헵타트라이아콘탄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화지방산은 제형화, 사용감, 기포력 및 세정력 면에서 2종 이상의 탄소수 10 내지 18의 포화지방산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에서 상기 단쇄 포화지방산은 1종,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제형화, 사용감, 기포력 및 세정력 면에서 라우르산과 미리스트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에서 상기 장쇄 포화지방산은 1종,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제형화, 사용감, 기포력 및 세정력 면에서 팔미트산과 스테아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 중의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3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4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 중의 단쇄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을 경우 생성되는 기포의 양이 많아지는 장점이 있으나, 클렌징 바의 고형화가 어려우며 제조과정 중 압출속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 중의 장쇄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을 경우 생성된 기포의 유지 시간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비누의 결합력이 감소하여 클렌징 바의 형상을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은 생성되는 기포의 양 및 생성된 기포의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단쇄 포화지방산과 장쇄 포화지방산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단쇄 포화지방산과 장쇄 포화지방산의 혼합물 중의 단쇄 포화지방산과 장쇄 포화지방산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25 내지 7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 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1이다. 상기 혼합비로 포함되어야 생성되는 기포의 양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생성된 기포의 유지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비로 포함되어야 클렌징 바의 형상을 조절하기 용이하면서 동시에 고형화를 이룰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에서 상기 포화지방산으로서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물 중의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10 : 1 내지 4 : 0.5 내지 2 : 1인 것이 제형화, 사용감, 기포력 및 세정력 면에서 바람직하며, 5 : 2 : 1: 1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은 지방산 또는 지방산 혼합물을 중화시켜 pH를 조정하기 위하여 pH 조정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에 포함되는 pH 조정제의 함량은 첨가된 지방산의 산가에 따라 조절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바 조성물 중의 포화지방산의 함량 범위를 고려할 때, 8.5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8.75 중량% 내지 9.2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의 제조에 있어서, 지방산 또는 지방산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유리 형태로 도입되며 그 후 pH 조정제가 첨가되어 중화가 일어나 비누가 형성된다. pH 조정제는 알칼리금속 히드록시드, 알칼리토금속 히드록시드, 수성 암모니아 등의 무기 염기일 수 있으며,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모로이소프로파놀아민, N-메틸글루카민, 라이신, 아르기닌 등의 유기 염기일 수 있다.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칼리금속 히드록시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제형화, 사용감, 기포력 및 세정력 면에서 바람직하다. 수산화칼륨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생성되는 기포의 조밀도가 증가한다. 생성되는 기포의 조밀도, 세정력 및 사용감 측면에서, 4.0 내지 4.5 중량%의 수산화칼륨 및 4.5 내지 5.0 중량%의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여 pH 조정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은 세정력 및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종 이상의 양이온성 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에 포함되는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은 2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이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세정력을 달성하기 어려우며, 상기 함량을 초과할 경우 클렌징 바의 형상을 조절하기 어렵다.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니움계 양이온성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37, 폴리쿼터늄-39 및 폴리쿼터늄-100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양이온성 폴리머는 대체로 전기적으로 음성을 띠는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데 특히 유용하며 제형화, 사용감, 기포력 및 세정력 면에서 폴리쿼터늄-6 및 폴리쿼터늄-7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폴리쿼터늄-6의 함량은 1 내지 5 중량%이고, 폴리쿼터늄-7의 함량은 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쿼터늄-6 및 폴리쿼터늄-7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1.5 내지 5인 것이 제형화, 사용감 및 세정력 면에서 바람직하며, 1 : 4 내지 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클렌징 바는 유리지방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로부터 클렌징 바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지방산 또는 지방산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유리 형태로 도입되며 그 후 pH 조정제가 첨가되어 중화가 일어나 비누가 형성된다. 이 때 유리지방산은 지방산 또는 지방산 혼합물 중 pH 조정제와 중화 반응하여 비누화되는 과정에 참여하지 않고 산 형태로 남아있는 지방산을 의미한다.
유리지방산은 지방산 또는 지방산 혼합물 사이에 끼어들어가 비누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거품의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양이온 폴리머 사이에도 끼어들어가 과량의 양이온 폴리머에 의한 이물감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에 포함되는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지방산 또는 지방산 혼합물과 pH 조정제 간의 중화도에 따라 결정되며, 1.5 내지 1.9 중량%가 바람직하다.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 생성되는 기포의 양이 감소하며, 상기 함량을 초과할 경우 생성된 기포를 소멸시키는 소포 작용을 하여 기포의 유지 시간이 짧아진다. 따라서 상기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생성되는 기포의 양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생성된 기포의 유지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클렌징 바 조성물은 또한 상기 기재한 구성성분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클렌징 바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 예컨대 결합제, 부형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잔량으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지방알콜,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글리콜, 경화 피마자 오일, 지방 알킬 케톤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형제로는 덱스트린, 전분, 무수망초, 소금, 탈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직쇄 사슬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아실 타우레이트,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아실 사코시네이트, 아실 글루타메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 글리세롤 설포네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소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색소 및 향료는 비누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물질들 중에서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8의 클렌징 바 조성물의 제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을 정제수에 첨가한 다음 80℃에서 패들 믹서기(Brushless DC Motor, SWISS AMIET 社)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85℃에서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을 추가로 혼합하여 중화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때 수산화칼륨을 먼저 첨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일으킨 후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였으며, 총 중화반응 시간은 1시간으로 하였다. 감압 믹서(Oil rotary high vacuum pump, WOOSUNG AUTOMA 社)를 이용하여 탈기 공정을 거친 후 향과 폴리쿼터늄-6 및 폴리쿼터늄-7을 추가로 첨가하여 클렌징 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클렌징 바 조성물의 성분 조성은 표 1(단위: 중량%)에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라우르산 25 30 20 30 - 25 25 25 25 25 25
미리스트산 10 10 20 10 - 10 10 10 10 10 10
팔미트산 5 5 5 - 30 5 5 5 5 5 5
스테아르산 5 5 5 - 15 5 5 5 5 5 5
수산화칼륨 4.5 5.355 2.92 4.5 4.5 11.13 - 4.5 4.5 4.5 4.05
수산화나트륨 4.75 6 3.02 4.75 4.75 - 7.95 4.75 4.75 4.75 4.75
폴리쿼터늄-6 1 2 3 1 1 - - - 1 - 1
폴리쿼터늄-7 5 5 5 5 5 - - - - 5 5
향료 2 2 2 2 2 2 2 2 2 2 2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2 2 2 2 2 2 2 2 2 2 2
라우레스-23 2 2 2 2 2 2 2 2 2 2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조예 2>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8의 조성물에 따른 클린징 바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클렌징 바 조성물을 몰드에 부어서 성형 및 압출하였다. 압출된 조성물을 약 50일 간 숙성시킨 후, 최종적으로 절단 및 형타하여 하기 표 2의 클렌징 바(100g)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클렌징 바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비교제형예 4 비교제형예 5 비교제형예 6 비교제형예 7 비교제형예 8
질량(g)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시험예 1> 유리지방산 함량 측정
제형예 1 ~ 3 및 비교제형예 1 ~ 8의 클렌징 바에 함유된 유리지방산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방법을 이용하였다.
300ml의 삼각 플라스크에 시료(클렌징 바 각 5g)를 취하고 무수에탄올 200 ㎖를 넣어 환류냉각기를 연결하여 끓여 녹였다. 70℃에서 페놀프탈레인 용액 0.5 ㎖를 가한 후 미홍색이 30초 간 지속될 때까지 0.1 M의 KOH로 적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유리지방산의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18056435781-pat00001
f(규정도 계수): 적정액이 규정된 농도에서 벗어나는 정도
상기 평균 산가는 클렌징 바 조성물 내의 지방산 함량으로부터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8056435781-pat00002
당해 지방산 산가: 라우르산 280, 미리스트산 245, 팔미트산 217.5, 스테아르산 203.5
최종적으로, 건조 시료에 대한 유리지방산 함량(중량%)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8056435781-pat00003
유리지방산 함량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비교제형예 4 비교제형예 5 비교제형예 6 비교제형예 7 비교제형예 8
유리지방산
(중량%)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5.4
표 3으로부터 비교제형예 8에서 높은 함량의 유리지방산을 얻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 1 조성물에 비하여 pH 조정제인 수산화칼륨의 함량이 증대된 비교예 8 조성물에 의한 결과이며, 위와 같이 pH 조정제의 함량을 통해서 유리지방산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형예 1 ~ 3 및 비교제형예 1 ~ 8의 클렌징 바에 대한 기포력, 세정력 및 사용감은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시험예 2> 기포력(생성되는 기포의 양) 평가
1. 클렌징 바의 준비
제형예 1 ~ 3 및 비교제형예 1 ~ 8의 클렌징 바를 사용하였다.
2. 기포력(생성되는 기포의 양) 평가 방법
제형예 1 ~ 3및 비교제형예 1 ~ 8의 클렌징 바를 거품망 안에 넣고 25℃의 흐르는 수돗물에서 10회 문질러 거품의 정도를 관능으로 평가하였다. 10인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하기 표 4의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여 평가토록 한 후, 그 평균값으로 평가하였다.
구분 생성되는 기포의 양 생성되는 기포의 조밀도
5점 기포가 매우 잘 난다 기포가 매우 조밀하다
4점 기포가 잘 나는 편이다 기포가 조밀한 편이다
3점 기포가 보통이다 기포가 보통이다
2점 기포가 잘 나지 않는 편이다 기포가 성근 편이다
1점 기포가 잘 나지 않는다 기포가 매우 성글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예 1에 따른 클렌징 바와 시중에서 판매되는 클렌징 바(시셰이도 社)를 거품망 안에 넣고 25℃의 흐르는 수돗물에서 10회 문질러 생성되는 기포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3. 기포력(생성되는 기포의 양) 평가 결과
생성되는 기포의 양 평가 결과를 하기 표 5,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생성되는 기포의 양 생성되는 기포의 조밀도
제형예 1 5 5
제형예 2 5 4
제형예 3 4 5
비교제형예 1 4 3
비교제형예 2 3 4
비교제형예 3 3 4
비교제형예 4 4 3
비교제형예 5 4 3
비교제형예 6 4.5 4
비교제형예 7 4.5 4.5
비교제형예 8 2 3
표 5로부터, 제형예 1 내지 3과 달리 단쇄 포화지방산만을 함유하거나 장쇄 포화지방산만을 함유하여 제조된 비교제형예 1 및 2, 한 가지 종류의 pH 조정제만을 함유하여 제조된 비교제형예 3 및 4의 경우 생성되는 기포의 양이 감소되고 기포의 조밀도가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수산화칼륨 단독 함유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비교제형예 3의 경우는 풍부한 거품이 생성되지 않으며, 수산화나트륨 단독 함유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비교제형예 4의 경우는 생성되는 기포가 조밀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내지 3과 달리 양이온성 폴리머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제형예 5, 한 가지 종류의 양이온성 폴리머만을 함유하여 제조된 비교제형예 6 및 7의 경우 생성되는 기포의 양이 감소되고 기포의 조밀도가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양이온성 폴리머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제형예 5의 경우는 기포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형예 1에 비하여 유리지방산 함량이 증가하여 바람직한 함량을 벗어난 비교제형예 8의 경우, 생성되는 기포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고 기포의 조밀도가 현저히 떨어져 성근 기포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로부터 시중에서 판매되는 클렌징 바(도 1(a), 시셰이도 社)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형예 1에 따른 클렌징 바(도 1(b))의 기포의 양이 현저히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2로부터 시중에서 판매되는 클렌징 바(도 2(a), 시셰이도 社)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형예 1에 따른 클렌징 바(도 2(b))의 기포가 조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기포력(생성된 기포의 유지 시간) 평가
1. 클렌징 바의 준비
제형예 1 ~ 3 및 비교제형예 1 ~ 8의 클렌징 바를 사용하였다.
2. 기포력(생성된 기포의 유지 시간) 평가 방법
제형예 1 ~ 3 및 비교제형예 1 ~ 8의 클렌징 바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1 리터 비커에 10% 수용액을 만들고, 아지믹서의 속도를 360 rpm으로 고정하여 30분 동안 교반하여 기포를 생성하였다. 25℃에서 일반적인 기포력 측정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Hart De George Foam 방법으로 기포력을 측정하였다. 생성된 기포를 깔때기에 붓고 깔때기 아래에 놓인 메쉬를 통과시켜 기포를 수집하였다. 30분 후 수집된 기포의 질량(g)을 측정하였다.
3. 기포력(생성된 기포의 유지 시간) 평가 결과
수집된 기포의 질량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질량(g)
제형예 1 78.16
제형예 2 77.5
제형예 3 77.86
비교제형예 1 86.2
비교제형예 2 88.5
비교제형예 3 82.87
비교제형예 4 82.3
비교제형예 5 85.2
비교제형예 6 80.1
비교제형예 7 79.18
비교제형예 8 87.3
표 6으로부터, 제형예 1 내지 3과 달리 한 가지 종류의 양이온성 폴리머만을 함유하여 제조된 비교제형예 6 및 7의 경우, 제형예 1 내지 3에 비하여 다소 많은 양의 기포가 메쉬를 통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과 달리 한 가지 종류의 pH 조정제만을 함유하여 제조된 비교제형예 3 및 4의 경우, 제형예 1 내지 3에 비하여 많은 양의 기포가 메쉬를 통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형예 1 내지 3과 달리 단쇄 포화지방산만을 함유하거나 장쇄 포화지방산만을 함유하여 제조된 비교제형예 1 및 2, 제형예 1 내지 3과 달리 양이온성 폴리머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제형예 5, 제형예 1에 비하여 유리지방산 함량이 증가하여 바람직한 함량을 벗어난 비교제형예 8의 경우, 현저히 많은 양의 기포가 메쉬를 통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교제형예 8의 경우 유리지방산이 소포 작용을 하여 기포를 깨뜨린 결과로 추정된다.
이는 포화지방산, pH 조정제, 양이온성 폴리머를 혼용하면서 동시에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바람직한 범위로 함유될 경우 좀 더 안정되고 조밀한 기포를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4> 세정력(색조화장 제거력) 평가
1. 클렌징 바의 준비
제형예 1 및 시중에서 판매되는 클렌징 바(시셰이도 社)를 사용하였다.
2. 세정력(색조화장 제거력) 평가 방법
제형예 1 및 시중에서 판매되는 클렌징 바를 거품망 안에 넣고 25℃의 흐르는 수돗물에서 20회 문질러 기포를 생성하였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파운데이션(쿠션)과 립스틱 및 마스카라를 5 cm×5 cm 면적의 판지 표면에 약 1 g씩 발라준다. 30분의 건조 과정을 거친 후, 앞에서 만든 기포를 10회 문질러 색조화장 제거력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3. 세정력(색조화장 제거력) 평가 결과
색조화장 제거력 평가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예 1에 따른 클렌징 바(도 3(b))가 시중에서 판매되는 클렌징 바(도 3(a))에 비하여 색조화장 제거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세정력(미세 먼지 제거력) 평가
1. 클렌징 바의 준비
제형예 1 및 시중에서 판매되는 클렌징 바(시셰이도 社)를 사용하였다.
2. 세정력(미세 먼지 제거력) 평가 방법
제형예 1 및 시중에서 판매되는 클렌징 바를 거품망 안에 넣고 25℃의 흐르는 수돗물에서 10회 문질러 기포를 생성하였다. 모공 모사체(폴리디메틸실록산 재질, 직경 200 μm, 깊이 100μm)에 탄산염을 5% 함유한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TG) 오일을 도포한 후, 앞에서 만든 기포를 10회 문질러 미세 먼지 제거력을 현미경(40x 배율)으로 확인하였다.
3. 세정력(미세 먼지 제거력) 평가 결과
미세 먼지 제거력 평가 결과를 하기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예 1에 따른 클렌징 바(도 4(b))가 시중에서 판매되는 클렌징 바(도 4(a))에 비하여 미세 먼지 제거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9)

  1. 포화지방산 30 내지 70 중량%, pH 조정제 9.25 내지 9.5 중량% 및 양이온성 폴리머 2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포화지방산은 탄소수 10 내지 14의 포화지방산 및 탄소수 15 내지 18의 포화지방산의 혼합물이고,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늄-6 및 폴리쿼터늄-7의 혼합물인, 클렌징 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 내지 14의 포화지방산은 카프르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라이데실산 및 미리스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클렌징 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5 내지 18의 포화지방산은 펜타데칸산, 팔미트산, 마르가르산 및 스테아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클렌징 바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 내지 14의 포화지방산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또는 상기 둘 모두인, 클렌징 바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5 내지 18의 포화지방산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상기 둘 모두인, 클렌징 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중의 탄소수 10 내지 14의 포화지방산 및 탄소수 15 내지 18의 포화지방산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25 내지 7 : 1인, 클렌징 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산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혼합물인, 클렌징 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중의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10 : 1 내지 4 : 0.5 내지 2 : 1인, 클렌징 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정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클렌징 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정제는 수산화칼륨 4.0 내지 4.5 중량% 및 수산화나트륨 4.5 내지 5.0 중량%의 혼합물인, 클렌징 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쿼터늄-6의 함량은 1 내지 5 중량%이고, 폴리쿼터늄-7의 함량은 1 내지 5 중량%인, 클렌징 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쿼터늄-6 및 폴리쿼터늄-7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1.5 내지 5인, 클렌징 바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클렌징 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 바에 포함된 유리지방산 함량이 1.5 내지 1.9 중량%인, 클렌징 바.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80066181A 2018-06-08 2018-06-08 클렌징 바 및 그 조성물 Active KR102551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181A KR102551953B1 (ko) 2018-06-08 2018-06-08 클렌징 바 및 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181A KR102551953B1 (ko) 2018-06-08 2018-06-08 클렌징 바 및 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566A KR20190139566A (ko) 2019-12-18
KR102551953B1 true KR102551953B1 (ko) 2023-07-06

Family

ID=6905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181A Active KR102551953B1 (ko) 2018-06-08 2018-06-08 클렌징 바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709854B2 (ja) * 2020-06-10 2025-07-17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浮遊粒子状物質吸着用多孔性複合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1423A (ja) * 2006-06-26 2008-02-14 Lion Corp 固形洗浄剤組成物
US20150275150A1 (en) * 2014-03-26 2015-10-01 P & Pf Co., Ltd. Solid soa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320A (ko) 2005-10-31 2007-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렌징바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1423A (ja) * 2006-06-26 2008-02-14 Lion Corp 固形洗浄剤組成物
US20150275150A1 (en) * 2014-03-26 2015-10-01 P & Pf Co., Ltd. Solid so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566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8721A (ja) 混合物および表面を洗浄する方法
JP623717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102551953B1 (ko) 클렌징 바 및 그 조성물
JP2002167325A (ja) 洗浄剤組成物
JP5827516B2 (ja) ペースト状石鹸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20153216A1 (ja) 固形石けん
EP1486558A1 (en) Skin cleansing compositions
KR20120084754A (ko) 액체 피부 세제 조성물
JP2023519802A (ja) 石けん組成物
JP2009242356A (ja) 洗浄料
JP5176827B2 (ja) 洗浄剤組成物
JP3811168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4294628B2 (ja) 泡沫洗浄剤用組成物及び泡沫洗浄剤
JP2008291094A (ja) 透明石鹸組成物、及び透明固形石鹸
JP2004284964A (ja) 固形洗浄剤
JP5192871B2 (ja) 洗浄剤組成物
KR20130053768A (ko) 클렌징 조성물
JP7326728B2 (ja) 固形石鹸組成物
JP4381270B2 (ja) ペースト状洗顔料組成物
JP2008179543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6753161B2 (ja) 固形石けん組成物
JP2010254758A (ja) 透明石鹸組成物
JP4054799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100564222B1 (ko) 복합 비누 조성물
JP7502086B2 (ja) ブリケット型入浴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6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