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577B1 -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1577B1 KR102551577B1 KR1020160174188A KR20160174188A KR102551577B1 KR 102551577 B1 KR102551577 B1 KR 102551577B1 KR 1020160174188 A KR1020160174188 A KR 1020160174188A KR 20160174188 A KR20160174188 A KR 20160174188A KR 102551577 B1 KR102551577 B1 KR 1025515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display panel
- reflector
- polarizing film
- reflective polariz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7—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slanted parallax optic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6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involving reflecting prisms and mirrors on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varifocal lenses or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는 기존의 다층 디스플레이 구조들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다층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제 2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제 2 영상을 제 1 영상의 투과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모아레(Moire)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해상도 저하가 없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구조 대비 외광 CR이 우수하며,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multi-layer display using one display panel while solving problems of existing multi-layer display structures. The light path chang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the second image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in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first image. 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generate a Moire phenomenon. In the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degradation in resolution. 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a single display panel. Accordingly, the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external light CR compared to a structure using two display panels, and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예는 다층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display device.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했다.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표시 장치 관련 기술들은 표시 장치의 박형화, 경량화, 및 소비전력 감소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이 발전할수록, 표시 장치의 적용 분야가 계속 증가하여, 대부분의 전자장치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s we enter the information age, the display field that displays image information has developed rapidly. In response to this, various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in the spotlight. Display device-related technologies relate to thinning and lightening of display devices, and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As related technologies develop, application fields of display devices continue to increase and are used as one of user interfaces in most electronic devices or mobile devices.
최근에는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로서 다층 디스플레이(Multi-Layer Display, MLD) 구조가 개발되었다. 다층 디스플레이 구조 중 하나의 예로는 전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진 적층 구조의 다층 디스플레이 구조가 있다.Recently, a multi-layer display (MLD) structure has been developed as one technology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One example of the multi-layer display structure is a multi-layer display structure of a laminated structure composed of a front display panel and a rear display panel.
적층 구조의 다층 디스플레이 구조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적층하여 깊이 정보가 다른 영상을 선별하여 표시함으로써 입체감 표현이 가능하다. 전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시하는 영상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영상으로 시인되고, 후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시하는 영상은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한 영상으로 시인된다. 이에 따라, 원근감이 있는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두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깊이를 조절한다.In the multi-layer display structure of the laminated structure, a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expressed by stacking two display panels to selectively display images having different depth information. An image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panel is viewed as an image located at a relatively short distance, and an image displayed on the rear display panel is recognized as an image located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Accordingly, an image having a sense of perspective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this structure, the dep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isplay panels.
이 구조에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적층함으로 인하여 휘도가 저하되고, 모아레(moire)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색 간섭 현상으로 인해 색 표현 범위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In this structure, luminance is lowered due to stacking of the two display panels, and a moiré phenomenon may occur. Also, a color expression range may be restricted due to color interference between display panels.
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직으로 놓고, 사이에 45°로 하프 미러 또는 반사형 편광 필름를 배치한 다층 디스플레이 구조도 있다. 하프 미러 또는 반사형 편광 필름는 특정 축으로 편광된 광은 투과시키고, 그와 수직인 축으로 편광된 광은 반사시켜서 선택적으로 영상이 표시된다. 선택된 영상들은 플로팅(floating)되어, 다층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하프 미러 또는 반사형 편광 필름 사이의 거리에 따라 깊이를 조절한다.Alternatively, there is also a multi-layer display structure in which two display panels are placed vertically and a half mirror or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disposed between them at an angle of 45°. The half mirror or reflective polarizing film selectively displays an image by transmitting light polarized along a specific axis and reflecting light polarized along an axis perpendicular thereto. The selected images may be floated so that a multilayer display may be implemented. In this structure, the dep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half mirror or reflective polarizing film.
이 구조에서는 휘도가 상승하고, 모아레 현상이 제거된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기구적 부피가 증가하며, 상하 시야각에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하프 미러 또는 반사형 편광 필름에 의하여 외광 명암비 저하가 발생한다.In this structure, the luminance is increased and the moiré phenomenon is eliminated. However, in this structure, the mechanical volume increases and 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are restricted. In addition, the external light contrast ratio is lowered by the half mirror or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또한, 기존의 다층 디스플레이 구조들에서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다층 디스플레이를 구현한다.In addition, in existing multi-layer display structures, a multi-layer display is basically implemented using two display panels.
본 발명의 일 예는 기존의 다층 디스플레이 구조들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다층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multi-layer display using one display panel while solving problems in existing multi-layer display structures.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 1 영상을 투과시키고, 제 2 영상을 반사시키는 광 경로 변경 부재, 광 경로 변경 부재에 의해 반사된 제 2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 1 반사판, 및 제 1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제 2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 2 반사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제 2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제 2 영상을 제 1 영상의 투과 방향으로 반사시킨다.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display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 light path changing member that transmits the first image and reflects the second image, and is reflected by the light path changing member. and a first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second image, and a second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second image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The light path chang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the second image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in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first image.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구조 대비 외광 CR이 우수하며,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a single display panel. Accordingly, the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external light CR compared to a structure using two display panels, and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 1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결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반 파장 지연 셀의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의 반 파장 지연 셀의 구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반 파장 지연 셀의 파형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의 반 파장 지연 셀의 구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at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first image.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at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econd imag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tereoscopic image by combin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4 is a side view of 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at 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first image.
6 is a waveform diagram of a display panel and a half-wavelength delay cell when 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first image.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driving of a half-wavelength delay cell when a first image is displayed in 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side views illustrating that 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econd image.
11 is a waveform diagram of a display panel and a half-wavelength delay cell when a second image is displayed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driving of a half-wavelength delay cell when a second image is displayed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example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is appl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is appl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exemplary,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appl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When 'includes', 'has', 'consists',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In the case where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cluding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on top of', 'on top of', 'at the bottom of', 'next to', etc. Or, unless 'directly' is used,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hip is described in terms of 'after', 'following', 'next to', 'before', etc. It can also include non-continuous cases unles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제1 수평 축 방향", "제2 수평 축 방향" 및 "수직 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출원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First horizontal axis direction", "second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vertical axis direc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only as a geometric relationship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s vertical, and the rang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function functionally It can mean having a wider direction than within.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respectively, but also two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one or more.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xample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can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xamp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 1 영상(I1)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 2 영상(I2)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at a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표시 영역(DA)에서 필드 순차 구동(FSC) 방식으로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을 교번하면서 표시한다. 임의의 프레임 기간 동안에는 제 1 영상(I1)을 표시 영역(DA) 상에서 표시한다. 임의의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 기간 동안에는 제 2 영상(I2)을 표시 영역(DA) 상에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은 프레임 마다 교번하면서 표시 영역(DA) 상에서 표시한다.The
프레임 주파수는 60Hz 이상 120Hz 이하이다. 1초에 60회 이상 120회 이하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의 영상이 교번하는 경우, 제 1 영상(I1)에서 제 2 영상(I2), 또는 제 2 영상(I2)에서 제 1 영상(I1)으로 전환되는 것은 시인할 수 없다.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은 동시에 표시 영역(DA) 상에 표시되는 것처럼 시인된다.The frame frequency is 60 Hz or more and 120 Hz or less. When the images 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을 결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the
제 1 영상(I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DA) 상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사용자(500)에게 시인된다. 제 2 영상(I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DA)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것처럼 사용자(500)에게 시인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500)는 제 2 영상(I2)에서 표시되는 사물들은 근거리에 있는 사물들로 인식하고, 제 1 영상(I1)에서 표시되는 사물들은 원거리에 있는 사물들로 인식하게 된다.The first image I1 is recognized by the
제 2 영상(I2)으로 표시되는 사물들을 제 1 영상(I1)으로 표시되는 사물들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한 사물로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제 2 영상(I2)을 표시할 때 광 경로를 변경시켜 주어야 한다. 제 2 영상(I2)을 표시할 때 나오는 광이 실제로는 더 짧은 경로를 진행한 것처럼 위상을 앞당기거나 경로를 더 짧게 하는 경우, 또는 허상에서 나오는 광을 이용하는 경우 가까운 곳에 위치한 사물을 표현하는 것처럼 광을 바꿀 수 있다.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은 동시에 시인되므로, 사용자(500)는 입체감이 있는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In order to recognize objects displayed in the second image I2 as objects located closer than objects displayed in the first image I1, an optical path must be changed when displaying the second image I2. When displaying the second image (I2), when the phase is advanced or the path is shortened as if the light actually traveled a shorter path, or when using light from a virtual image, light is used to express an object located nearby. can change Since the first image I1 and the second image I2 are simultaneously viewed, the
반대의 경우로서, 제 2 영상(I2)으로 표시되는 사물들이 제 1 영상(I1)으로 표시되는 사물들보다 먼 곳에 위치한 사물로 인식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 2 영상(I2)을 표시할 때 나오는 광의 경로를 더 길게 하는 경우, 제 2 영상(I2)에서 표시되는 광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DA) 표면보다 더 먼 곳에서 나온 광으로 사용자(500)에게 인식된다. 따라서, 제 2 영상(I2)은 먼 곳을 표시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이하에서는 제 1 영상(I1)에 비해서 제 2 영상(I2)의 광 경로를 더 길게 하기 위하여, 제 2 영상(I2)의 광 경로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opposite case, it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objects displayed in the second image I2 are recognized as objects located further away from the objects displayed in the first image I1. When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when displaying the second image I2 is made longer, the light displayed in the second image I2 is light emitted from a place further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display area DA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부 편광 필름(110), 광 경로 변경 부재, 제 1 반사판(310), 제 1 원편광판(320), 제 2 반사판(410), 및 제 2 원편광판(420)을 포함한다.4 is a side view of 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필드 순차 구동 방식에 따라 프레임 별로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을 교번하여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액정 디스플레이(LCD)로 구현할 수도 있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내부의 타이밍 컨트롤러에 의해서 프레임 주파수를 조절하여, 설정된 프레임 주파수에 따라 필드 순차 구동할 수 있다.The
상부 편광 필름(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의 전면에 부착된다. 상부 편광 필름(110)은 일정한 방향으로 편광 방향을 갖는다. 상부 편광 필름(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방출한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을 편광 방향으로 편광시킨다. 일 예로, 상부 편광 필름(110)의 편광 방향이 도 4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방출한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을 표시하는 광들 또한 좌우 방향으로 편광된다.The upper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제 1 영상(I1)을 투과시키고, 제 2 영상(I2)을 반사시킨다. 투과한 제 1 영상(I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사용자(500) 간의 실제 거리와 동일한 광 경로를 갖는다. 반사된 제 2 영상(I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사용자(500) 간의 실제 거리보다 긴 광 경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2 영상에 의해 표시된 사물들은 사용자(500)에게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사용자(500) 간의 실제 거리보다 먼 곳에 위치한 사물들로 인식된다. 광 경로 변경 부재는 반 파장 지연 셀(210)과 반사형 편광 필름(220)를 포함한다.The light path changing member transmits the first image I1 and reflects the second image I2. The transmitted first image I1 has the same light path as the actual distance between the
반 파장 지연 셀(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 배치된다. 반 파장 지연 셀(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반 파장 지연 셀(2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이루는 각도는 45°일 수 있다. 반 파장 지연 셀(210)의 일 측 모서리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측 모서리는 접할 수 있다. The half-
반 파장 지연 셀(210)은 턴-오프 된 경우에는 광 경로를 변환하거나 위상을 지연시키지 않고, 입사하는 광을 투과시킨다. 반 파장 지연 셀(210)은 턴-온 된 경우에는 반 파장(λ/2)만큼 위상을 지연시킨다. 반 파장만큼 위상이 지연된 광은 반 파장만큼 멀리서 진행한 것처럼 시인된다. 또한, 반 파장만큼 위상이 지연된 광은 편광 방향이 수직하게 변하게 된다.When turned off, the half-
반 파장 지연 셀(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프레임 주파수와 동일한 횟수만큼 턴-온 되었다가 턴-오프 된다. 반 파장 지연 셀(210)은 제 1 영상(I1)을 표시하는 광과 제 2 영상(I2)을 표시하는 광이 입사하는 시점에 일치시키는 시점에 싱크(sync)하여 교번 구동한다. 이를 위해, 반 파장 지연 셀(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프레임 주파수를 설정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타이밍 신호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half-
반사형 편광 필름(220)은 반 파장 지연 셀(210)의 배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반사형 편광 필름(220)은 투과축과 반사축을 갖는다.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투과축과 반사축은 서로 수직이다. 반사형 편광 필름(220)은 투과축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편광된 광은 투과시킨다. 반사형 편광 필름(220)은 반사축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편광된 광은 반사시킨다. 즉, 반사형 편광 필름(220)은 투과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편광된 광은 반사시킨다. 반사형 편광 필름(220)은 APF로 통칭되며, APF의 대표적인 예로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사의 상품명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를 들 수 있다.A reflective
실험에 따르면, 반사형 편광 필름(220)으로서 DBEF를 적용할 경우, 92%의 투과율과 95%의 반사율을 갖는다. 이에 따라, 반사형 편광 필름(220)은 투과율과 반사율의 합이 100%를 초과함으로써 입체 영상의 휘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experiments, when DBEF is applied as the reflective
반사형 편광 필름(220)은 반투과 미러(또는 하프 미러)로 대체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반투과 미러는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나머지를 반사시키기 때문에 대략 50%의 투과율과 50%의 반사율을 가지며, 투과율과 반사율의 합이 100%를 초과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반사형 편광 필름(220)으로서 반투과 미러(또는 하프 미러)를 사용하는 경우, 반투과 미러의 낮은 투과율, 예를 들어 50%의 투과율에 따른 영상의 휘도 저하로 인하여 선명하면서 생동감 있는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90% 이상의 투과율과 반사율을 각각 가지거나 투과율과 반사율의 합이 100%를 초과하는 DBER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영상(I1, I2)의 편광 상태에 따라 제 1 및 제 2 영상(I1, I2) 각각을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킴으로써 반투과 미러 대비 입체 영상의 휘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The reflective
제 1 반사판(3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측면에 배치된다. 제 1 반사판(3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반사판(310)은 반 파장 지연 셀(210)의 전면에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제 1 반사판(310)과 반 파장 지연 셀(210)이 이루는 각도는 45°일 수 있다. 제 1 반사판(310)의 일 측 모서리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측 모서리는 접할 수 있다. 제 1 반사판(310)의 타 측 모서리와 반 파장 지연 셀(210)의 일 측 모서리는 접할 수 있다. 제 1 반사판(310)은 금속 반사판 또는 거울로 구현할 수 있다. 제 1 반사판(310)은 광 경로 변경 부재에 의해 반사된 제 2 영상(I2)을 반사시킨다. 제 1 반사판(310)은 광 경로 변경 부재 방향으로 제 2 영상(I2)을 반사시킨다.The
제 1 원편광판(320)은 제 1 반사판(31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 1 원편광판(3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원편광판(320)은 반 파장 지연 셀(210)의 전면에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제 1 원편광판(320)과 반 파장 지연 셀(210)이 이루는 각도는 45°일 수 있다. 제 1 원편광판(320)의 일 측 모서리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측 모서리는 접할 수 있다. 제 1 원편광판(320)의 타 측 모서리와 반 파장 지연 셀(210)의 일 측 모서리는 접할 수 있다.The first
제 1 원편광판(320)은 광 경로 변경 부재에 의해 반사된 제 2 영상(I2)을 원 편광 시킨다. 원 편광된 제 2 영상(I2)은 원 편광된 상태가 된다. 원 편광된 상태의 제 2 영상(I2)은 광 경로 변경 부재 내부의 반 파장 지연 셀(210)을 투과하면서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투과축과 일치한 방향으로 편광된다. 이에 따라, 제 1 반사판(310)에서 반사된 제 2 영상(I2)은 광 경로 변경 부재를 투과하게 된다.The first
제 2 반사판(4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 측면에 배치된다. 제 2 반사판(4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반사판(410)은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전면에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제 2 반사판(410)과 반사형 편광 필름(220)가 이루는 각도는 45°일 수 있다. 제 2 반사판(410)의 일 측 모서리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측 모서리는 접할 수 있다. 제 2 반사판(410)의 타 측 모서리와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일 측 모서리는 접할 수 있다. 제 2 반사판(410)은 금속 반사판 또는 거울로 구현할 수 있다. 제 2 반사판(410)은 제 1 반사판(310)에 의해 반사된 후 광 경로 변경 부재를 투과한 제 2 영상(I2)을 반사시킨다. 제 2 반사판(410)은 광 경로 변경 부재 방향으로 제 2 영상(I2)을 반사시킨다.The
제 2 원편광판(420)은 제 2 반사판(41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원편광판(4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원편광판(420)은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전면에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제 2 원편광판(420)과 반사형 편광 필름(220)가 이루는 각도는 45°일 수 있다. 제 2 원편광판(420)의 일 측 모서리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측 모서리는 접할 수 있다. 제 2 원편광판(320)의 타 측 모서리와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일 측 모서리는 접할 수 있다.The second
제 2 원편광판(420)은 제 1 반사판(310)에 의해 반사된 후 광 경로 변경 부재를 투과한 제 2 영상(I2)을 원 편광 시킨다. 원 편광된 제 2 영상(I2)은 원 편광된 상태가 된다. 원 편광된 상태의 제 2 영상(I2)은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투과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편광된다. 이에 따라, 제 2 반사판(410)에서 반사된 제 2 영상(I2)은 광 경로 변경 부재에서 제 1 영상의 투과 방향으로 반사된다.The secon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영상(I1)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at 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first image I1.
제 1 영상(I1)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표시되는 경우,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투과축은 상부 편광 필름(110)의 편광축과 일치하도록 반사형 편광 필름(220)를 부착한다. 즉, 제 1 영상(I1)의 편광 방향과 일치하도록 반사형 편광 필름(220)를 배치한다.When the first image I1 is displayed on the
제 1 영상(I1)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표시되는 경우, 반 파장 지연 셀(210)은 턴-오프 된 상태이다. 즉, 반 파장 지연 셀(210)이 비구동 상태이다. 따라서 반 파장 지연 셀(210)은 제 1 영상(I1)의 축을 변경하거나 위상을 지연시키지 않는다. When the first image I1 is displayed on the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나온 제 1 영상(I1)은 반 파장 지연 셀(210)과 반사형 편광 필름(220)를 그대로 투과하여, 사용자(500)에게 시인된다. 제 1 영상(I1)은 사용자(500)에게 시인될 때까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사용자(50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의 광 경로를 갖는다.The first image I1 emitted from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영상(I1)을 표시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반 파장 지연 셀(210)의 파형도이다.6 is a waveform diagram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필드 순차 구동 방식으로 매 프레임마다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을 교번하여 표시한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영상(I1)을 표시하는 경우, 제 1 프레임(Frame 1)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반 파장 지연 셀(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프레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턴-온(On)과 턴-오프(Off) 된다. 제 1 프레임(Frame 1)에서는 반 파장 지연 셀(210)이 턴-오프(Off) 된다.The half-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영상(I1)을 표시하는 경우의 반 파장 지연 셀(210)의 구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driving of the half-
반 파장 지연 셀(210)은 하부 전극(211), 상부 전극(212), 및 액정셀(213)을 포함한다. 액정셀(213)은 하부 전극(211)과 상부 전극(212) 사이에서 캡슐화되거나 셀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영상(I1)을 표시하는 경우, 반 파장 지연 셀(210)은 턴-오프(Off) 되어 있다. 이 경우, 반 파장 지연 셀(210)의 하부 전극(211)과 상부 전극(212)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되지 않는다. 전계가 없을 경우, 반 파장 지연 셀(210)에 적용하는 액정셀(213)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다. 즉, 액정셀(213)은 광을 차단하거나 지연시키지 않고, 투과시키는 형태로 배치된다.The half-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영상(I2)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8 to 10 are side views illustrating that 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econd image I2.
제 2 영상(I2)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표시되는 경우,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투과축은 상부 편광 필름(110)의 편광축과 일치하도록 반사형 편광 필름(220)를 부착한다. 예를 들어, 상부 편광 필름(110)의 편광축이 좌우 방향인 경우,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투과축 역시 좌우 방향이다. 이 때,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반사축은 투과축과 수직인 상하 방향이다.When the second image I2 is displayed on the
제 2 영상(I2)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표시되는 경우, 반 파장 지연 셀(210)은 턴-온 된 상태이다. 즉, 반 파장 지연 셀(210)이 구동 상태이다. 따라서 반 파장 지연 셀(210)은 제 2 영상(I2)의 축을 수직으로 변경시킨다. 또한, 반 파장 지연 셀(210)은 제 2 영상(I2)의 위상을 반 파장 만큼 지연시킨다.When the second image I2 is displayed on the
도 8에서는 제 2 영상(I2)의 제 1 진행 단계를 나타낸다.8 shows the first progress step of the second image I2.
제 2 영상(I2)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상부 편광 필름(110)을 통과하면서 좌우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다. 좌우 방향으로 편광된 제 2 영상(I2)은 반 파장 지연 셀(210)을 통과하게 된다. 이 때, 반 파장 지연 셀(210)은 제 2 영상(I2)의 축을 수직으로 변경시킨다. 또한, 반 파장 지연 셀(210)은 제 2 영상(I2)의 위상을 반 파장만큼 지연시킨다. 따라서, 반 파장 지연 셀(210)을 통과한 제 2 영상(I2)은 상하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다.The second image I2 has a left-right polarization axis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따라서, 제 2 영상(I2)은 반사형 편광 필름(220)에 도달할 때에는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반사축과 일치한 편광 방향을 갖게 되므로, 반사형 편광 필름(220)에서 반사된다. 제 2 영상(I2)은 제 1 반사판(310) 방향으로 반사된다. 반사형 편광 필름(220)에서 반사된 제 2 영상(I2)은 반 파장 지연 셀(210)을 한 번 더 거치면서 좌우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상태로 제 1 반사판(310) 방향으로 향한다.Therefore, when the second image I2 reaches the reflective
도 9에서는 제 2 영상(I2)의 제 2 진행 단계를 나타낸다.9 shows a second progress step of the second image I2.
제 1 반사판(310)으로 입사하는 제 2 영상(I2)은 제 1 원편광판(320)에 의해 좌원편광(Left Circular Polarization)된다. 제 1 원편광판(320)에 의해 좌원편광된 제 2 영상(I2)은 제 1 반사판(310)에 반사된다. 제 2 영상(I2)은 제 1 반사판(310)에서 고정단 반사하면서 편광 방향이 반대로 변화하여, 우원편광(Right Circular Polarization)된다. 반사하면서 우원편광된 제 2 영상(I2)은 제 1 원편광판(320)을 다시 거치면서 상하 방향으로 편광된다.The second image I2 incident on the
제 1 반사판(310)에서 반사된 제 2 영상(I2)은 반 파장 지연 셀(210) 방향으로 향한다. 제 2 영상(I2)은 반 파장 지연 셀(210)을 통과하면서 위상이 반 파장 지연됨과 동시에, 편광 방향이 상하 방향에서 좌우 방향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제 1 반사판(310)에서 반사된 제 2 영상(I2)은 좌우 방향이 투과축인 반사형 편광 필름(220)을 투과한다. 반사형 편광 필름(220)를 투과한 제 2 영상(I2)은 제 2 반사판(410) 방향으로 향한다.The second image I2 reflected from the
도 10에서는 제 2 영상(I2)의 제 3 진행 단계를 나타낸다.10 shows a third progress step of the second image I2.
제 2 반사판(410)으로 입사하는 제 2 영상(I2)은 제 2 원편광판(420)에 의해 좌원편광(Left Circular Polarization)된다. 제 2 원편광판(420)에 의해 좌원편광된 제 2 영상(I2)은 제 2 반사판(410)에 반사된다. 제 2 영상(I2)은 제 2 반사판(410)에서 고정단 반사하면서 편광 방향이 반대로 변화하여, 우원편광(Right Circular Polarization)된다. 반사하면서 우원편광된 제 2 영상(I2)은 제 2 원편광판(420)을 다시 거치면서 상하 방향으로 편광된다. The second image I2 incident on the
제 2 반사판(410)에서 반사된 제 2 영상(I2)은 반사형 편광 필름(220) 방향으로 향한다. 제 2 영상(I2)은 상하 방향이 반사축인 반사형 편광 필름(220)에서 반사된다. 반사형 편광 필름(220)에서 반사된 제 2 영상(I2)은 제 1 영상(I1)의 투과 방향인 사용자(500) 방향으로 향한다.The second image I2 reflected by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반 파장 지연 셀의 파형도이다.11 is a waveform diagram of a display panel and a half-wavelength delay cell when a second image is displayed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필드 순차 구동 방식으로 매 프레임마다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을 교번하여 표시한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영상(I2)을 표시하는 경우, 제 2 프레임(Frame 2)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반 파장 지연 셀(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프레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턴-온(On)과 턴-오프(Off) 된다. 제 2 프레임(Frame 2)에서는 반 파장 지연 셀(210)이 턴-온(On) 된다.The half-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의 반 파장 지연 셀의 구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driving of a half-wavelength delay cell when a second image is displayed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반 파장 지연 셀(210)은 하부 전극(211), 상부 전극(212), 및 액정셀(213)을 포함한다. 액정셀(213)은 하부 전극(211)과 상부 전극(212) 사이에서 캡슐화되거나 셀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영상(I2)을 표시하는 경우, 반 파장 지연 셀(210)은 턴-온(On) 되어 있다. 이 경우, 반 파장 지연 셀(210)의 하부 전극(211)과 상부 전극(212)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전계가 있을 경우, 반 파장 지연 셀(210)에 적용하는 액정셀(213)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다. 즉, 액정셀(213)은 광을 차단하거나 지연시키는 형태로 배치된다.The half-
이와 같이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이 별도의 광 경로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구현한 경우, 반 파장 지연 셀(210), 반사형 편광 필름(220), 제 1 및 제 2 반사판(310, 410), 제 1 및 제 2 원편광판(320, 420)의 반사율 및 투과율을 알고 있는 경우, 최종적인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의 휘도를 비교해 볼 수 있다.In this way, when a 3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separate light paths for the first image I1 and the second image I2 is implemented, the half-
예를 들어, 반 파장 지연 셀(210), 제 1 및 제 2 원편광판(320, 420)의 투과율은 95%,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투과율은 92%, 반사형 편광 필름(220), 제 1 및 제 2 반사판(310, 410)의 반사율은 95%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nsmittance of the half-
이 경우, 투과 또는 반사되는 경로에 따라 상부 편광판(110)에서 반 파장 지연 셀(210)로 향할 때의 휘도 대비 최종 휘도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 결과, 제 1 영상(I1)은 초기 휘도 대비 약 87.4%, 제 2 영상(I2)은 약 52.3%의 휘도를 갖는다.In this case, a ratio of final luminance to luminance at the time of passing from the
투과 또는 반사하는 과정이 보다 많은 제 2 영상(I2)의 휘도가 제 1 영상(I1)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제 2 영상(I2)은 원거리에 있는 사물을 표현하는 영상이므로 휘도가 낮은 것이 자연스럽다. 또한 기존의 방식의 다층 디스플레이 구조 중 패널을 적층하는 방식에 비하여 제 2 영상(I2)의 휘도가 크게 상승하였다.The luminance of the second image I2, which has more transmission or reflection, is reduced compared to the first image I1, but since the second image I2 is an image representing a distant object, it is natural that the luminance is low. In addition, the luminance of the second image I2 is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method of stacking panels among existing multi-layer display structures.
정리하면, 본 발명은 시퀀셜(Sequential) 구동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 1대로 플로팅(floating) 다층 디스플레이(multi layer display, MLD)를 구현할 수 있다.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floating multi-layer display (MLD) with one
제 1 프레임(Frame 1)에서는 제 1 영상(I1)이 표시된다. 제 1 영상(H1)은 턴-오프(Off) 상태의 반 파장 액정 셀(210)과, 투과축이 제 1 영상(I1)의 편광 방향과 일치한 반사형 편광 필름(220)를 투과하여 사용자(500)에게 시인된다.In the first frame (Frame 1), the first image (I1) is displayed. The first image H1 is transmitted through the half-wavelength
제 2 프레임(Frame 2)에서는 제 2 영상(I2)이 표시된다. 제 2 영상(H2)은 턴-온(On) 상태의 반 파장 액정 셀(210)에 의해 위상 지연된다. 위상 지연되면서 편광 방향 또한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반사축과 일치하게 되어, 반사형 편광 필름(220)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제 2 영상(I2)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제 1 반사판(310), 제 1 원편광판(320), 제 2 반사판(410), 및 제 2 원편광판(420)에 의해 2번 반사된다. 반사된 제 2 영상(I2)은 반사형 편광 필름(220)의 반사축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500)에게 시인된다.In the second frame (Frame 2), the second image (I2) is displayed. The phase of the second image H2 is delayed by the turned-on half-wavelength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모아레(Moire)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해상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나온 두 개의 영상을 광 경로 변경 부재를 통해 서로 다른 편광 상태를 갖는 제 1 영상과 제 2 영상 각각을 투과 및 반사시킴으로써 고휘도와 고해상도를 가지면서 생동감 있는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과되는 제 1 영상과 함께 제 2 영상과 대응되는 플로팅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고휘도와 고해상도를 가지면서 생동감 있는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generate a Moiré phenomenon and can prevent resolution deterioratio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reflects two images from a single display panel to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having different polarization states through an optical path changing member, thereby providing high brightness and high resolu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ively three-dimensional image while having That is, the 3D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lively 3D image with high brightness and high resolution by displaying a float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together with the transmitted first image.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구조 대비 외광 명암비(Contrast Ratio, CR)가 우수하며,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A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a single display panel. Accordingly, the 3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xternal light contrast ratio (CR) compared to a structure using two display panels, and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application belong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 디스플레이 패널 DA: 표시 영역
110: 상부 편광 필름 210: 반 파장 지연 셀
211: 하부 전극 212: 상부 전극
213: 액정셀 220: 반사형 편광 필름
310: 제 1 반사판 320: 제 1 원편광판
410: 제 2 반사판 420: 제 2 원편광판
500: 사용자 I1, I2: 제 1 및 제 2 영상100: display panel DA: display area
110: upper polarizing film 210: half-wave retardation cell
211: lower electrode 212: upper electrode
213: liquid crystal cell 220: reflective polarizing film
310: first reflector 320: first circular polarizer
410: second reflector 420: second circular polarizer
500: users I1, I2: first and second images
Claims (8)
상기 제 1 영상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 2 영상을 반사시키는 광 경로 변경 부재;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 2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 1 반사판; 및
상기 제 1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 2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 2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상기 제 2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영상의 투과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panel display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n optical path changing member that transmits the first image and reflects the second image;
a first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second image reflected by the optical path changing member; and
A second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second image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The light path changing member,
A 3D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reflects a second image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in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first image.
턴-온 된 경우 투과하는 광의 위상을 반 파장 지연시키는 반 파장 지연 셀; 및
내부의 투과축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편광된 광은 투과시키고, 상기 투과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편광된 광은 반사시키는 반사형 편광 필름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path changing member,
a half-wavelength delay cell that retards the phase of transmitted light by half-wavelength when turned on;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that transmits light polarized in a direction coincident with an internal transmission axis and reflects light polariz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mission axis.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 2 영상을 원 편광 시키는 제1 원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2,
and a first circular polarizing plate for circularly polarizing the second image reflected by the optical path changing member.
상기 제 1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 2 영상을 원 편광 시키는 제2 원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3,
and a second circular polarizing plate for circularly polarizing the second image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plate.
상기 반 파장 지연 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제 1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턴-오프 되고,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표시한 상기 제 1 영상을 투과시키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4,
The half-wavelength delay cell,
Turned off when the display panel displays the first imag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that transmits the first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상기 반 파장 지연 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턴-온 되고,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표시한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반사판으로 반사시키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4,
The half-wavelength delay cell,
Turned on when the display panel displays the second imag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A 3D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reflects the second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to the first reflector.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는,
상기 제 1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반사판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6,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transmits the second image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toward the second reflector.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는,
상기 제 2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영상의 투과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7,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reflecting the second image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on plate in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first ima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188A KR102551577B1 (en) | 2016-12-20 | 2016-12-20 |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188A KR102551577B1 (en) | 2016-12-20 | 2016-12-20 |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1487A KR20180071487A (en) | 2018-06-28 |
KR102551577B1 true KR102551577B1 (en) | 2023-07-04 |
Family
ID=6278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4188A Active KR102551577B1 (en) | 2016-12-20 | 2016-12-20 |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157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5492A (en) * | 2022-07-05 | 2024-0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aly apparatus for providing 3D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2806A (en) | 2000-10-16 | 2002-04-26 | Sony Corp | Display device and enlarged picture forming method |
WO2016041872A1 (en) | 2014-09-15 | 2016-03-24 | Sanofi | Skin-patch type large volume bolus drug injector with medicament pre-heating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8226B1 (en) * | 2007-11-23 | 2009-11-24 | 전자부품연구원 | Head mounted display devices |
KR101378343B1 (en) * | 2007-12-06 | 2014-03-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3D image display device |
-
2016
- 2016-12-20 KR KR1020160174188A patent/KR1025515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2806A (en) | 2000-10-16 | 2002-04-26 | Sony Corp | Display device and enlarged picture forming method |
WO2016041872A1 (en) | 2014-09-15 | 2016-03-24 | Sanofi | Skin-patch type large volume bolus drug injector with medicament pre-heat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1487A (en) | 2018-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66094B1 (en) | Optical stack for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 |
US9977251B2 (en) |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for the display device | |
US7522340B2 (en) | Highly efficient 2D/3D switchable display apparatus | |
CN105572889B (en) | A kind of 3D display device | |
TWI443380B (en) | Automatic holographic display device | |
US9383589B2 (en) | Display device | |
JP4119085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US20080204874A1 (en) | Highly efficient 2d/3d switchable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 |
KR20080086110A (en) | High efficiency 2D / 3D video display device | |
CN104380177A (en) | Polarization recovery in directional display device | |
CN102654653B (en) | Depth-of-field fused typ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 |
EP2703875A1 (en) | A device for displaying 3D-images which employs a parallax-barrier based on a switchable, cholesteric liquid crystal cell | |
TWI476482B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20140096661A (en) | Glasses-free reflective 3D color display | |
US9128295B2 (en) | Liquid crystal lens panel, three dimensional panel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2551577B1 (en) |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 |
JP5656194B2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KR102623052B1 (en) |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 |
US9628765B2 (en) | Spatial image projection apparatus | |
KR102466283B1 (en) | 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reflective polarizer film | |
KR101578436B1 (en) | Optical apparatus for stereoscopic display and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TWI687909B (en) | Display apparatus | |
JP2010008501A (en)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JP5804501B2 (en) |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30010217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