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500B1 -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1500B1 KR102551500B1 KR1020210071976A KR20210071976A KR102551500B1 KR 102551500 B1 KR102551500 B1 KR 102551500B1 KR 1020210071976 A KR1020210071976 A KR 1020210071976A KR 20210071976 A KR20210071976 A KR 20210071976A KR 102551500 B1 KR102551500 B1 KR 1025515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light
- bracket
- key groove
- inner bracket
- 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8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mounted on a bracket,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ting of the lamps on the vehicl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장착할 때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헤드라이트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공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장착 시 헤드라이트측에 결합되는 내측 브라켓과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체결되는 외측 브라켓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의 브라켓을 구현함으로써, 1개의 내측 브라켓에 여러 타입의 외측 브라켓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할 수 있고, 브라켓 장착 위치와 관계없이 헤드라이트를 회전시켜서 LED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등 헤드라이트의 충분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장착 시 헤드라이트측에 결합되는 내측 브라켓과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체결되는 외측 브라켓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의 브라켓을 구현함으로써, 1개의 내측 브라켓에 여러 타입의 외측 브라켓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할 수 있고, 브라켓 장착 위치와 관계없이 헤드라이트를 회전시켜서 LED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등 헤드라이트의 충분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장착할 때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헤드라이트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공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야간 및 악천후 운전 시에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명 장치로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고정된 광도와 고정된 상/하향 조사각도로 불빛을 조사하는 단순한 ON/OFF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라이트는 KS 규격 및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주행빔의 광도 등이 적정 수준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자동차 조광 안전기준법에서는 전방 15m 이내에서 하향빔이 10m 이내의 조사 범위 내에 있는 장애물 등을 관측 및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헤드라이트는 렌즈, 전구, 반사경 등을 조립한 형태의 것이 주로 적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대부분 일체식 구조로 된 실드빔 전구가 주로 사용되며, 상/하향 헤드라이트 일체형 전조등 또는 상향 헤드라이트와 하향 헤드라이트가 분리된 형태로 각각 한 쌍씩 좌우에 구비되어 있는 것들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성능이 뛰어나고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이 적은 LED 광원을 적용한 헤드라이트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장착하는 경우, 헤드라이트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을 헤드라이트 하우징에 체결하여 헤드라이트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장착한다.
예를 들면, 헤드라이트 하우징의 더스트 캡을 열고, 헤드라이트에 있는 브라켓을 헤드라이트 하우징의 홀에 방향을 맞춰 끼운 상태에서 클립을 눌러서 브라켓을 고정한 다음, 전선을 정리한 후에 더스크 캡을 닫으면 헤드라이트 장착이 완료된다.
그러나, 기존의 브라켓들은 차종별로 여러가지의 다양한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해당 차종에 맞는 전용 브라켓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종류 또한 많아서 로트(Lot) 관리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그리고, 헤드라이트 장착 시 브라켓에 있는 다수 개의 돌기(예컨대, "A" 타입은 3개의 돌기, "B" 타입은 2개의 돌기, "C" 타입은 1개의 돌기 등)를 헤드라이트 하우징에 있는 해당 갯수의 홀에 맞춰서 끼우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차종별로 돌기와 홀 간의 방향이 통일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헤드라이트를 정해져 있는 제 위치에 장착했다 하더라도 헤드라이트의 자세가 옆으로 틀어진 상태로 장착되면서 충분한 밝기를 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경우 양편에 있는 LED가 양쪽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어야 제 밝기를 낼 수 있는데, 어떤 차종의 경우 돌기와 홀의 방향을 맞춰서 브라켓을 제대로 끼웠다 하더라도 LED의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위아래로 삐딱하게 틀어진 상태로 헤드라이트가 장착되면서 제 밝기를 충분히 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등 소비자들이 컴플레인을 제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장착 시 헤드라이트측에 결합되는 내측 브라켓과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체결되는 외측 브라켓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의 브라켓을 구현함으로써, 1개의 내측 브라켓에 여러 타입의 외측 브라켓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할 수 있고, 브라켓 장착 위치와 관계없이 헤드라이트를 회전시켜서 LED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등 헤드라이트의 충분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돌기를 이용하여 헤드라이트 하우징의 홀에 체결되는 링블록 형태의 외측 브라켓과, 내측에 헤드라이트측과의 결속을 위한 키 홈을 가지는 동시에 외측 브라켓의 내주면에 동축 구조로 끼워져 결합되면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헤드라이트와 함께 회전 가능한 원형관 형태의 내측 브라켓을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브라켓의 돌기를 이용하여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헤드라이트와 내측 브라켓을 회전시켜서 헤드라이트에 있는 LED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외측 브라켓에 형성되는 돌기는 1개, 180°간격으로 위치되는 2개, 120°간격으로 위치되는 3개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갯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브라켓은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밀착되면서 기밀성 및 결속력을 강화시켜주는 링 형태의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내측 브라켓은 외주면의 링 홈에 결합되어 외측 브라켓과의 긴밀한 결속관계를 유지시켜주는 적어도 1개의 O-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브라켓의 키 홈은 서로 연통되면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축소형 키 홈과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확장형 키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축소형 키 홈을 통해 진입한 헤드라이트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서 확장형 키 홈에 위치시키면 헤드라이트가 내측 브라켓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은 하나의 내측 브라켓에 사양이 다른 여러 종류의 외측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결합되는 내측 브라켓과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체결되는 외측 브라켓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공용 브라켓을 채택함으로써, 1개의 내측 브라켓에 여러 타입의 외측 브라켓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한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내측 브라켓과 외측 브라켓 간의 회전 가능한 구조를 이용하여 헤드라이트에 있는 LED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헤드라이트의 충분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는 등 헤드라이트의 기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하나의 브라켓으로 모든 차종의 헤드라이트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관리 부품의 축소로 로트(Lot) 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넷째, 헤드라이트측과 브라켓측 간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이용하여 헤드라이트 교체 시 브라켓을 재활용할 수 있는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을 헤드라이트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헤드라이트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을 헤드라이트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헤드라이트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은 외측 브라켓과 내측 브라켓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져 헤드라이트 장착 시 LED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맞출 수 있고, 또 하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여러 다양한 사양의 헤드라이트를 차종에 관계없이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은 헤드라이트 하우징(도 5의 도면부호 21)측에 장착되는 외측 브라켓(11)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 브라켓(11)은 원형의 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내측 브라켓 끼움부(25)를 가지는 원형의 링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외측 브라켓(11)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돌기(10)가 형성되는 동시에 전면에는 단차부(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10)는 헤드라이트 하우징(21)에 있는 홀(도 5의 도면부호 22)에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이때의 돌기(10)는 차종에 따른 홀의 갯수 및 위치에 상응하는 1개, 180°간격으로 위치되는 2개, 120°간격으로 위치되는 3개 등과 같이 다양한 갯수 및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측 브라켓(11)이 갖는 돌기(10)는 차종별 모든 헤드라이트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브라켓(11)의 전면에 형성되는 단차부(14)에는 링 형태의 패드(미도시), 예를 들면 실리콘 소재나 고무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패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장착되는 패드는 외측 브라켓(11)이 헤드라이트 하우징(21)측에 체결되었을 때 헤드라이트 하우징(21)측에 밀착되면서 체결 부위에 대한 기밀성 및 결속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외측 브라켓(11)에는 120°간격으로 위치되는 3개의 돌기(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3개의 돌기(10)를 갖춤에 따라 현재 적용되고 있는 "A" 타입, "B" 타입, "C" 타입 브라켓을 모두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외측 브라켓(11)의 경우 돌기(10)가 1개, 180°간격으로 위치되는 2개, 120°간격으로 위치되는 3개로 이루어진 것을 각각 구비하여, 각각의 외측 브라켓(11)을 내측 브라켓(13)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은 외측 브라켓(11)과 일체식으로 결합되면서 헤드라이트(도 4와 도 5의 도면부호 18)를 끼울 수 있는 내측 브라켓(13)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 브라켓(13)은 한쪽 단부에 플랜지(17)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내측 브라켓(13)은 외측 브라켓(11)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 브라켓 끼움부(25)의 내주면에 동축 구조로 끼워져 결합되면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내측 브라켓(13)에 끼워지는 헤드라이트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 브라켓(13)은 플랜지(17)가 외측 브라켓(11)의 단부에 걸려질 때까지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되는 내측 브라켓(13)은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내측 브라켓(13)에 끼워져 결속되는 헤드라이트(18)도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결국 헤드라이트(18)에 있는 LED(20)의 방향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브라켓(13)과 헤드라이트(18) 간의 결합을 위하여 내측 브라켓(13)의 내주면에는 축선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파여 있는 형태의 키 홈(12)이 형성되는 동시에 헤드라이트(18)의 외주면에는 키 홈(12)에 끼워져 걸려지는 헤드라이트 돌기(19)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라이트(18)의 헤드라이트 돌기(19)를 내측 브라켓(13)에 끼우게 되면, 헤드라이트(18)와 내측 브라켓(13)은 일체식으로 결속되면서 회전 방향으로 걸려지게 되므로, 헤드라이트(18)와 내측 브라켓(13)이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내측 브라켓(13)의 키 홈(12)은 서로 연통되면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축소형 키 홈(12a)과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확장형 키 홈(12b)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라이트(18)를 내측 브라켓(13)에 결합시킬 때, 헤드라이트(18)의 헤드라이트 돌기(19)를 축소형 키 홈(12a)을 따라 축선 방향으로 끼운 후, 헤드라이트 돌기(19)가 축소형 키 홈(12a)이 형성되어 있는 구간을 벗어난 시점, 즉 헤드라이트(18)를 내측 브라켓(13)에 완전히 끼운 시점에서 헤드라이트(18)를 옆으로 돌려서 일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헤드라이트 돌기(19)가 확장형 키 홈(12b)의 구간 내에 위치되므로서, 헤드라이트(18)는 헤드라이트 돌기(19)와 확장형 키 홈(12b) 간의 걸림 구조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물론, 헤드라이트 교체 시 헤드라이트(18)를 반대로 돌려서 헤드라이트 돌기(19)를 축소형 키 홈(12b)의 구간 내에 위치시키게 되면 헤드라이트(18)를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브라켓(1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링 홈(15)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링 홈(15)에는 실리콘 소재, 고무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O-링(16)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 브라켓(13)과 외측 브라켓(11)은 O-링(16)이 발휘하는 마찰력에 의해 서로 간에 긴밀한 결속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 LED 방향을 조절한 상태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내측 브라켓(13)은 외측 브라켓(11), 예를 들면 3개의 돌기(10)를 갖춘 외측 브라켓(11)과 조합되어 모든 차종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 하나의 내측 브라켓(13)에 사양이 다른 여러 타입의 외측 브라켓(11)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각 차종에 맞게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을 헤드라이트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브라켓(11)의 내측으로 내측 브라켓(13)이 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된 내측 브라켓(13)의 중심부를 따라 헤드라이트(18)가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외측 브라켓(11)과 내측 브라켓(13)은 서로 간의 내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O-링(16)에 의해 긴밀한 결속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헤드라이트(18)는 헤드라이트 돌기(19)를 이용하여 내측 브라켓(13)의 키 홈(12), 즉 확장형 키 홈(12b) 내에 걸려져 내측 브라켓(13)과 긴밀한 결속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헤드라이트(18)를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돌리게 되면, 내측 브라켓(13)은 O-링(16)의 마찰력을 이기면서 함께 같은 방향으로 돌아가게 되고, 결국 이러한 회전 구조에 의해 헤드라이트(18)에 있는 LED(2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헤드라이트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라이트 교체 시 더스트 캡(24)을 열어서 고장난 헤드라이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신규 헤드라이트(18)에 장착되어 있는 내측 브라켓(13) 및 외측 브라켓(11)의 돌기(10)의 위치를 헤드라이트 하우징(21)에 있는 홀(22)의 위치에 맞춘다.
계속해서, 상기 돌기(10)를 홀(22)에 끼운 다음, 클립(23)으로 외측 브라켓(11)의 후면을 눌러주면 헤드라이트(18)를 포함하는 내외측 브라켓(13,11) 전체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라이트(18)에 있는 LED(20)의 위치가 제 위치(예컨대, 양편에 있는 LED가 양쪽 수평 방향을 향하는 위치)가 아닌 경우, 헤드라이트(18)를 손으로 잡고 옆으로 돌리면 헤드라이트(18) 및 내측 브라켓(13)이 회전되므로, LED(20)의 위치를 제 위치에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되고, 결국 헤드라이트(19)는 제 밝기를 낼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더스트 캡(24)을 헤드라이트 하우징(21)에 체결하여 닫게 되면 헤드라이트 교체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헤드라이트측에 결합되는 내측 브라켓과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체결되는 외측 브라켓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공용 브라켓을 제공함으로써, 1개의 조합형 브라켓을 이용하거나 1개의 내측 브라켓에 여러 타입의 외측 브라켓을 결합한 형태를 이용하여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할 수 있고, 또 차종별로 다른 브라켓 장착 위치와 관계없이 헤드라이트를 회전시켜서 LED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헤드라이트의 충분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돌기
11 : 외측 브라켓
12 : 키 홈
12a : 축소형 키 홈
12b : 확장형 키 홈
13 : 내측 브라켓
14 : 단차부
15 : 링 홈
16 : O-링
17 : 플랜지
18 : 헤드라이트
19 : 헤드라이트 돌기
20 : LED
21 : 헤드라이트 하우징
22 : 홀
23 : 클립
24 : 더스트 캡
11 : 외측 브라켓
12 : 키 홈
12a : 축소형 키 홈
12b : 확장형 키 홈
13 : 내측 브라켓
14 : 단차부
15 : 링 홈
16 : O-링
17 : 플랜지
18 : 헤드라이트
19 : 헤드라이트 돌기
20 : LED
21 : 헤드라이트 하우징
22 : 홀
23 : 클립
24 : 더스트 캡
Claims (6)
- 원형의 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내측 브라켓 끼움부(25)를 가지면서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돌기(10)를 이용하여 헤드라이트 하우징(21)의 홀(22)에 체결되는 링블록 형태의 외측 브라켓(11)과, 내측에 헤드라이트(18)측과의 결속을 위한 키 홈(12)을 가지는 동시에 외측 브라켓(11)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 브라켓 끼움부(25)의 내주면에 동축 구조로 끼워져 결합되면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헤드라이트(18)와 함께 회전 가능한 원형관 형태의 내측 브라켓(13)을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브라켓(11)의 돌기(10)를 이용하여 헤드라이트 하우징(21)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헤드라이트(18)와 내측 브라켓(13)을 회전시키되, 헤드라이트(18)의 헤드라이트 돌기(19)를 내측 브라켓(13)의 키 홈(12)에 끼워서 헤드라이트(18)와 내측 브라켓(13)이 일체식으로 결속되도록 하면서 회전 방향으로 걸려지게 하여 헤드라이트(18)를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돌리면 내측 브라켓(13)은 O-링(16)의 마찰력을 이기면서 헤드라이트(18)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돌아가게 되므로서, 헤드라이트(18)에 있는 LED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브라켓(13)은 외주면의 링 홈(15)에 결합되어 외측 브라켓(11)과의 긴밀한 결속관계를 유지시켜주는 적어도 1개의 O-링(16)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브라켓(13)의 키 홈(12)은 서로 연통되면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축소형 키 홈(12a)과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확장형 키 홈(12b)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축소형 키 홈(12a)을 통해 진입한 헤드라이트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서 확장형 키 홈(12b)에 위치시키면 헤드라이트가 내측 브라켓(13)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브라켓(11)에 형성되는 돌기(10)는 1개 또는 180°간격으로 위치되는 2개 또는 120°간격으로 위치되는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 브라켓(11)은 헤드라이트 하우징측에 밀착되면서 기밀성 및 결속력을 강화시켜주는 링 형태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의 내측 브라켓(13)에 사양이 다른 여러 종류의 외측 브라켓(11)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1976A KR102551500B1 (ko) | 2021-06-03 | 2021-06-03 |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1976A KR102551500B1 (ko) | 2021-06-03 | 2021-06-03 |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3612A KR20220163612A (ko) | 2022-12-12 |
KR102551500B1 true KR102551500B1 (ko) | 2023-07-05 |
Family
ID=8439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1976A Active KR102551500B1 (ko) | 2021-06-03 | 2021-06-03 |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150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5474Y1 (ko) * | 2003-06-11 | 2003-09-03 | K.D.G.Eng | 벌브홀더를 갖춘 차량 전조등용 가스방전램프 |
KR200430539Y1 (ko) * | 2006-08-23 | 2006-11-13 | 케이유엠 주식회사 | 차량용 벌브홀더 브라켓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90138C (zh) | 2001-07-06 | 2006-12-13 |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 尤其用于汽车头灯的灯 |
KR100993398B1 (ko) | 2008-04-21 | 2010-11-09 |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 Hid 램프를 적용한 자동차 상향/하향등 전환장치 |
KR200467611Y1 (ko) | 2011-04-26 | 2013-06-24 | 김인수 | 차량 전조등용 헤드램프 |
KR101272748B1 (ko) | 2012-11-30 | 2013-06-11 | 정남림 | 차량용 엘이디 헤드램프 |
KR101651738B1 (ko) * | 2014-09-05 | 2016-08-29 | 케이유엠 유한회사 |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
-
2021
- 2021-06-03 KR KR1020210071976A patent/KR10255150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5474Y1 (ko) * | 2003-06-11 | 2003-09-03 | K.D.G.Eng | 벌브홀더를 갖춘 차량 전조등용 가스방전램프 |
KR200430539Y1 (ko) * | 2006-08-23 | 2006-11-13 | 케이유엠 주식회사 | 차량용 벌브홀더 브라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3612A (ko) | 2022-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7630B1 (ko) | 차량용 헤드램프 | |
US10502390B1 (en) | Vehicle lamp assembly having a bezek, lens and lamp housing with a micro mesh of holes in a side wall | |
KR20100114804A (ko) |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 |
US7055999B2 (en) | Auxiliary light ring device for a vehicular light | |
US7111967B2 (en) | Hub light | |
KR102551500B1 (ko) |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 |
KR101181485B1 (ko) | 차량용 헤드 램프 | |
KR100438263B1 (ko) | 차량용 등기구 | |
US3610917A (en) | Lighting fixture | |
KR101211311B1 (ko) |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 |
JP2003281930A (ja) | 車輌用前照灯 | |
JP7082925B2 (ja) | 車両用灯具及びその組立方法 | |
CN210921238U (zh) | 可调节一体式led车灯 | |
US10393338B2 (en) | Headlight and housing end cap | |
KR200493836Y1 (ko) | 차량용 램프 | |
KR200329134Y1 (ko) | 동심원 패턴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용 램프 | |
KR101250394B1 (ko) |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 | |
JP3120287U (ja) | サイドミラー用発光警告装置 | |
JP2024078685A (ja) | 車両用led灯具 | |
KR20240001853A (ko) | 자동차용 룸램프 | |
US20110188259A1 (en) | Motor vehicle lighting accessory for optimizing emitted light from headlamp systems | |
JPH11151971A (ja) | 車輌用灯具の照射角度調整機構 | |
JP3756175B1 (ja) | 車両用放電ランプ | |
JP3199526U (ja) | 車両の日中走行用ライト | |
KR200423405Y1 (ko) | 차량 보조 조향등 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8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