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0354B1 - 시스템 다리미 - Google Patents

시스템 다리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354B1
KR102550354B1 KR1020160184187A KR20160184187A KR102550354B1 KR 102550354 B1 KR102550354 B1 KR 102550354B1 KR 1020160184187 A KR1020160184187 A KR 1020160184187A KR 20160184187 A KR20160184187 A KR 20160184187A KR 102550354 B1 KR102550354 B1 KR 102550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ing board
steam
ironing
outside
ir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916A (ko
Inventor
예성민
송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354B1/ko
Priority to EP17889409.3A priority patent/EP3564436B1/en
Priority to CN201780087774.4A priority patent/CN110382769A/zh
Priority to US16/474,881 priority patent/US10968561B2/en
Priority to PCT/KR2017/015699 priority patent/WO2018124795A1/ko
Publication of KR2018007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3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8Ironing boards  incorporating heating, steaming, or forced ventilation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03Ironing boards  with flat iron suppor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06Ironing boards  with fabric support or garment 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2Ironing boards  with collapsible underframe
    • D06F81/04Ironing boards  with collapsible underframe with means for adjusting h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hir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85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for pressing slee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40Holders or stretchers for the article to be p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측에 상의가 걸쳐지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분사하는 다리미판;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에 텐션을 가하는 펼침수단;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전면을 고정하는 프론트 프레스; 및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처진 상의의 소매에 텐션을 가하는 한 쌍의 암 텐셔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스템 다리미{System Iron}
본 발명은 시스템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 스팀으로 다림질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의류를 다림질 함에 있어, 의류의 종류에 따라 다리미를 이용한 다리질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스팀을 이용하여 다림질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다만, 이는 필요에 따라 다른 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스팀을 이용한 다림의 경우, 와이셔츠와 같이 단추를 이용하여 잠그는 상의를 다림장치 상에서 다시 단추를 잠그고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공개 특허 KR10-2016-0066224호, KR10-2012-0018486호는 의류 내부에서 스팀을 분사하는 다림질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스팀 다질질 장치는 다리미를 이용한 다림질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KR20160066224A호 공개특허 KR20120018486A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방법으로 다림질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다리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또 다른 과제는 와이셔츠 등의 상의의 용이하게 고정하여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다리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림질을 하는 다림질 모드 또는 외측에 상의를 걸쳐 스팀분사를 하는 스팀분사 모드에 따라 배치가 변경되는 다리미판을 포함하여, 다리미판의 배치를 변경하여 다리미를 이용하거나 스팀으로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측에 상의가 걸쳐지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분사하는 다리미판;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에 텐션을 가하는 펼침수단;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전면을 고정하는 프론트 프레스를 포함하여, 전면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는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처진 상의의 소매에 텐션을 가하는 한 쌍의 암 텐셔너를 포함하여, 상의의 소매를 고정하고 텐션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펼침장치는 상기 다리미판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다리미판 외측으로 펼쳐지는 한 쌍의 사이드 텐셔너와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어깨부분을 고정하고 텐션을 가하는 한 쌍의 숄더 텐셔너를 포함하여, 다리미판에 걸쳐진 상의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는 하나의 장치로 다리미를 이용한 다림질을 수행하거나, 스팀을 이용한 다림질을 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만으로 사용자의 맞춤형 다림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는 프론트 프레스로 와이셔츠 등의 상의의 전면을 고정하여, 별도의 단추를 잠그는 과정없이도 간편하게 스팀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는 암텐셔너가 상의의 소매를 고정 및 텐션을 가하게 하여 의류의 소매부분도 용이하게 다림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다림질 모드시의 사시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스팀분사 모드의 사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 바디의 분해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높이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다리미판이 고정된 상태, (b)는 다리미판이 이동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스팀유로와 스팀노즐을 설명하기 위해 의류다림판과 제 1 팬이 제거된 다리미판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다리미판을 회전 및 고정시키는 회전부재 내부의 힌지샤프트 및 각도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숄더 텐셔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사이드 텐셔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매고정부를 포함하는 암텐셔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가 지지다리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의 시스템 다리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프론트 프레스, 암 텐셔너 및 지지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프론트 프레스, 암 텐셔너 및 지지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다리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a)의 X-X’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을 포함하는 지지다리 단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스팀분사모드에서 작동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시스템 다리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10)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바디(100); 상기 바디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측에 상의가 걸쳐지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분사하는 다리미판(200);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에 텐션을 가하는 펼침수단;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전면을 고정하는 프론트 프레스(260); 및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처진 상의의 소매에 텐션을 가하는 한 쌍의 암 텐셔너(2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10)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제너레이터를 내부에 포함하는 바디(100); 및 상기 바디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림질을 하는 다림질 모드 또는 상의에 스팀분사을 하는 스팀분사 모드에 따라 배치가 변경되는 다리미판(200); 상기 스팀분사 모드시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에 텐션을 가하는 펼침수단; 상기 스팀분사 모드시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전면을 고정하는 프론트 프레스(260); 및 상기 스팀분사 모드시 상기 다리미판의 외측에 걸처진 상의의 소매에 텐션을 가하는 한 쌍의 암 텐셔너(27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다림질 모드시의 사시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스팀분사 모드의 사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 바디의 분해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높이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바탕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바디를 설명한다.
바디(100)는 상측에 연결된 다리미판(200)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100)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0)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기둥형태를 가진다.
바디(100)는 다리미판(200)의 회전부재(250)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부바디(110)와, 내부에 물통(120)과 스팀 제너레이터를 수용하는 하부바디(112)를 포함한다. 상부바디(110)의 하부면과 하부바디(112)의 상부면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부바디(110)의 하부면과 하부바디(112)의 상부면은 높이조절장치(130)에 의해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바디(110)는 상측에서 다리미판(200)의 회전부재(2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바디(110)의 상측에는 회전부재(250) 내부에 배치된 힌지사프트가 회전하는 것을 지지하는 2개의 고정바(142)를 포함한다. 고정바(142)에는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에 힌지샤프트(252)가 배치된다.
바디(100)는 물통(120), 상기 물통(120)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122); 상기 물통(120)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122)로 물을 공급하는 바이브레이션 펌프(124)를 포함한다. 하부바디(112)는 물통(120), 스팀 제너레이터, 바이브레이션 펌프(124)를 포함한다.
물통(120)은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물통(120)은 바디(100)에 착탈이 가능한 구성으로 외부에서 물통(120)에 물을 채우고, 물이 채워진 물통(120)을 바디(100)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122)는 물통(120)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바이브레이션 펌프(124)의 진동으로 물통(120)에 저장된 물의 일부가 스팀제너레이터(122)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100) 내부에는 스팀 제너레이터에서 발생한 스팀을 다리미판(200)의 스팀노즐(245)로 유동시키는 스팀유로(24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유로(244)는 바디(100)와 다리미판(200)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다른 시스템 다리미 내부에 배치된 스팀유로(244)는 바디 내부에 배치된 바디-스팀유로와 다리미판 내부에 배치된 다리미판-스팀유로로 구분될 수 있다. 바디-스팀유로와 다리미판-스팀유로는 서로 연결되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발생한 스팀은 바디-스팀유로와 다리미판-스팀유로를 유동하여 스팀노즐(245)로 배출된다. 스팀노즐(245)은 다리미판(200)의 펼침수단 내측에 배치되어, 펼침수단이 다리미판 외부로 펼쳐질 때, 외부로 스팀을 분사한다.
바디(100)는 상기 다리미판(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30)를 포함한다. 높이조절장치(130)는 상부바디(110)를 들어올리거나 내려, 상부바디(110)에 연결된 다리미판(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높이조절장치(130)는 바디(100) 내부로 삽입되거나, 바디(100) 외부로 인출되어 다리미판(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박스(132), 상기 높이조절박스(132)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장치(136) 및 상기 고정장치(136)와 연동되어 높이조절박스(132)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레버(13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박스(132)는 직육면체의 박스형태를 가진다. 높이조절박스(132)는 상부바디(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높이조절박스(132)는 하부바디(112)의 내측에 수용되거나, 하부바디(112)의 상측으로 인출된다. 높이조절박스(132)는 하부바디(112)의 내측과 외측을 상하로 이동한다. 높이조절박스(132)가 상하로 이동하면, 높이조절박스(132) 상측에 배치된 상부바디(110)와 다리미판(200)도 상하로 이동한다.
높이조절박스(132) 내부에는 높이조절박스(132)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장치(136)가 배치된다. 높이조절박스(132)는 일측면에 고정장치(136)의 일부구성이 높이조절박스(132)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홀(134)이 형성된다.
고정장치(136)는 높이조절박스(132)의 이동을 제한한다. 고정장치(136)는 높이조절박스(132) 내부에 배치되고, 고정장치(136)의 일부구성이 높이조절박스(132)의 돌출홀(134)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장치(136)의 돌출부재가 높이조절박스(132) 외부로 돌출되면, 돌출부재는 바디(100) 하부의 높이조절박스(132) 수용공간의 일측에 걸리게 되어 높이조절박스(132)의 이동을 제한한다.
고정장치(136)의 일부구성이 높이조절박스(132)의 돌출홀(134) 외부로 돌출되면, 높이조절장치(130)는 잠금상태로 되어 높이조절박스(132)의 상하이동이 제한된다. 고정장치(136)의 돌출부재가 높이조절박스(132)의 돌출홀(134)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 높이조절장치(130)는 잠금해제상태로 되어 높이조절박스(132)의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장치(136)는 높이조절레버(138)와 연동된다. 사용자는 높이조절레버(138)를 이용하여 높이조절장치(130)를 잠금상태 또는 잠금해제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높이조절레버(138)를 이용하여 잠금부재의 돌출부재를 높이조절박스(132)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높이조절레버(138)를 이용하여 높이조절박스(132)가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높이조절레버(138)는 상부바디(110)에 배치된다. 높이조절레버(138)는 고정장치(136)와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높이조절레버(138)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장치(136)의 돌출부재를 높이조절박스(132)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130)는 도 5의 (a)와 같이 높이조절레버(138)를 레버축(138a)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고정장치(136)가 해제되어 도 5의 (b)와 같이 높이조절박스(132)가 상하이동가능하게 된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다리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리미판(200)의 지지수단의 지지다리(266: 도 11참조)가 거치되는 지지다리거치대(160)를 포함한다. 지지다리거치대(160)는 지지다리(266)의 일단이 거치되는 부분으로 상부바디(110)에 형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다리거치대(160)는 전면부에 지지대가 안착되는 안착홈(162)이 형성되고, 안착홈(162)의 일측면에는 지지다리(266)의 고정핀(269)이 삽입되는 고정홀(164)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스팀유로와 스팀노즐을 설명하기 위해 의류다림판과 제 1 팬이 제거된 다리미판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다리미판을 회전 및 고정시키는 회전부재 내부의 힌지샤프트 및 각도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4, 도 6 내지 7을 바탕으로 시스템 다리미의 다리미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판(200)은 의류를 다림질하거나, 다리미판(200)의 외측에 걸친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는 판이다. 다리미판(200)은 바디(10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판(200)은 사용하는 모드에 따라 배치가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10)는 도 1과 같이, 다리미를 이용하여 옷을 다리는 다림질 모드 또는 도 2와 같이 다리미판(200)의 외측에 상의를 걸치고, 걸쳐진 상의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판(200)은 다림질 모드시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스팀분사 모드시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판(200)은 다림질 모드시 바디(100)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스팀분사 모드시 바디(10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판(200)은 상부바디(11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252a; 도 7 참조)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다리미판(200)은 상부바디(110)의 고정바(142)에 형성된 회전축(252a)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다림질 모드 또는 스팀분사 모드에 따라 배치를 변경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판(200)은 바디(100)의 상측에서 다림질 모드와 스팀분사 모드로 변경될 때 90°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90° 범위를 벗어난 회전이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판(20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을 참조하여, 바디(100)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면을 하면(225), 하면(225)에 반대되는 면으로 다림질 모드 시 의류를 다리를 면을 상면(224), 상면(224)과 하면(225)을 연결하는 면중 사이드텐셔너(280)와 숄더텐셔너(290)가 배치된 면을 측면(226)으로 하며, 상면(224)과 하면(225)을 연결하는 면 중에서 숄더텐셔너(290)가 배치된 부분과 인접한 면으로 넥클립(299)이 배치된 면을 전면(227), 상면(224)과 하면(225)을 연결하는 면으로 전면(227)에 반대되는 면을 후면(228)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넥 클릭과 다리미 거치대를 연결하는 직선방향을 길이방향(L), 다리미판(200) 양 측면(226)에 배치된 사이드텐셔너(280)를 연결하는 직선방향을 폭방향(W) 및 다리미판(200)의 상판(220)과 하면(225)을 연결하는 직선방향을 높이방향(H)으로 하여 설명한다. 길이방향(L)은 다리미판(200)의 전면(227)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하면(225), 높이방향(H)은 다리미판(200)의 상면(224)이 향하는 방향을 상향, 하면(225)이 향하는 방향을 하향으로 한다. 길이방향(L), 폭방향(W) 및 높이방향(H)은 각각이 서로 수직한 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향설정은 다리미판(200)을 설명함에 있어 사용되고, 도 1과 같이 다림질 모드이거나 도 2와 같이 스팀분사모드에 따른 배치가 달라지더라도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판(200)은 다리미판(200)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면(224)이 개구된 다리미판-케이스(222)와, 다리미판(200)의 상면(224)에 배치되는 상판(220)을 포함한다. 다리미판-케이스(222)와 상판(220)은 다리미판(2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다리미판-케이스(222)는 다리미판(200)의 하면(225), 측면(226), 전면(227) 및 후면(228)을 형성한다. 다리미판-케이스(222)는 하면(225)에서 바디(100)와 연결된다.
상판(220)은 이하에서 설명할 의류다림보드(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의류다림판(212)과 다리미거치대(214)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리미거치판(21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판(200)은 다림질 모드시 의류를 다리거나 스팀분사모드시 의류를 걸치는 의류다림보드(210)와 다림질 모드시 사용하는 다리미를 거치하는 다리미거치대(214)를 포함한다. 의류다림보드(210)는 다리미판(200)에서 길이방향(L)으로 전방에 배치되고, 다리미거치대(214)는 다리미판(200)에서 길이방향(L)으로 후방에 배치된다.
의류다림보드(210)는 다림질 모드시 다리미를 이용하여 의류를 다리는 부분이다. 의류다림보드(210)는 스팀분사모드시 의류가 걸쳐지는 부분이다. 의류다림보드(210)는 다리미판(200)의 길이방향(L)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줄어드는 일반적인 다리미판(200)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의류다림보드(210)는 상면(224)에 다리미판(200) 내부 및 외부의 공기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된 의류다림판(212)이 배치된다. 의류다림보드(210) 내부에는 의류다림판(212)에 형성된 연통홀로 공기를 다리미판(200) 내부로 흡입하거나 다리미판(200) 외부로 토출하는 제 1 팬(240)을 포함한다. 제 1 팬(240)은 정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 팬(240)은 축류팬(Axial Fan)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팬(240)은 다림질 모드에서 의류다림판(212)의 연통홀로 공기를 흡입하거나, 스팀분사 모드에서 의류다림판(212)의 연통홀로 공기를 배출한다. 다리미판-케이스(222) 하부에는 제 1 팬(240)에 의해 다리미판(200) 내부 및 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개구홀(246)이 형성된다.
의류다림보드(210) 내부에는 제 1 팬(24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연통홀로 유도하는 가이드판(248)이 배치된다.
의류다림보드(210)는 스팀제너레이터(122)에서 발생한 스팀을 외부로 분사하는 스팀노즐(245)을 포함한다. 스팀노즐(245)은 스팀유로(244)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122)에서 발생한 스팀을 공급받는다. 스팀분사모드시, 스팀제너레이터(122)에서 발생한 스팀이 의류다림보드(210) 내부에 배치된 스팀노즐(245)로 분사된다.
다리미거치대(214)는 다림질 모드에서 사용하는 다리미를 거치하는 영역이다. 다리미거치대(214)는 공기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홀이 형성된 다리미 거치판이 상면(224)에 배치된다. 다리미거치대(214)는 내부에 제 2 팬(242)이 배치되어 다리미거치판(216)에 형성된 다수의 홀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 2 팬(242)은 공기의 흡입방향과 토출방향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시로코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팬(242)이 작동하는 경우, 다리미거치판(216)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의류다림보드(210) 내부로 공기를 토출한다.
다리미거치판(216) 상부에는 실리콘 단열재가 배치된다. 사용중의 고온의 다리미가 다리미거치대(214)에 거치되더라도 실리콘 단열재에 거치되어 화재를 방지하고, 다리미 열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리미거치대(214) 내부의 제 2 팬(242)을 작동하여 사용이 끝난 다리미를 빠르게 냉각할 수 있다.
다리미판(200)은 다리미 거치대에 거치된 다리미가 다리미 거치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리미보호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미보호대(230)는 ‘ㄷ’자 형태를 가진다. 다리미보호대(230)의 양 단부는 다리미판(200)의 양 측면(226)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다리미 보호대는 다리미 거치대 외측에서 다리미가 다리미 거치대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바(232)와, 수평바(232) 양단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수평바(232)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2개의 수직바(234)를 포함한다.
2개의 수직바(234)는 각각의 일단이 수평바(232)의 양단과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다리미판(200)의 양 측면(226)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수직바(234)는 다리미판(200) 측면(226)에 형성된 회전축(234a)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수직바(234)가 회전함에 따라 수평바(232)의 배치가 달라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수평바(232)는 다림질 모드시 다리미 거치대 외측에 배치되어 다리미의 다리미 거치대 외부 이탈을 방지한다.
다리미보호대(230)는 스팀분사모드에서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의 뒷부분을 고정할 수 있다. 다리미보호대(230)는 다리미판(200)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후면을 고정한다. 수평바(232)는 스팀분사 모드시 의류다림판(212)에 고정되어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의 후면(228)을 고정한다. 수평바(232)는 자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모드시, 수평바(232)는 자성물질에 의해 의류다림보드(210)에 착탈된다.
다리미판(200)은 바디(1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재(250), 스팀분사 모드시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스팀분사 모드시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에 텐션을 가하는 펼침수단을 포함한다. 의류다림보드(210)는 회전부재(250), 고정수단 및 펼침수단을 포함한다.
회전부재(250)는 다리미판-케이스(222) 하면(225)에서 돌출형성된다. 회전부재(250)는 바디(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회전부재(250)는 바디(100)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바디(100) 상측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부재(250)는 바디(100)와 사이에서 형성된 회전축(252a)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회전부재(250)는 회전축(252a)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힌지샤프트(252), 힌지샤프트(252)와 다리미판(200)을 연결하는 연결바(254)를 포함한다. 회전부재(250)는 힌지샤프트(252)의 회전을 제한하는 각도잠금장치(256)와 각도잠금장치(256)와 연동되어 힌지샤프트(25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장치(258)를 더 포함한다.
힌지샤프트(252)는 2개의 고정바(142)의 중공부에 배치된다. 힌지샤프트(252)는 고정바(142)의 중공부에서 회전한다. 힌지샤프트(252)의 양단에는 연결바(254)가 배치된다. 연결바(254)는 힌지샤프트(252)의 회전력을 다리미판(200)으로 전달한다. 힌지샤프트(252)가 회전하면, 연결바(254)는 회전축(25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리미판(200)을 회전시킨다. 연결바(254)에는 힌지샤프트(252)의 회전을 제한하는 각도잠금장치(256)가 배치된다.
각도잠금장치(256)는 연결바(254)을 따라 회전한다. 고정바(142)는 각도잠금장치(256)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잠금홈이 형성된다. 각도잠금장치(256)의 일부구성은 고정바(142)에 형성된 복수개의 잠금홈 중 하나에 삽입되어 다리미판(200)을 고정한다. 각도잠금장치(256)가 고정바(142)의 홈에 삽입된 경우, 힌지샤프트(252)는 회전이 제한된다.
각도잠금장치(256)는 버튼장치(258)와 연동된다. 도 2,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판(200)은 버튼장치(258)를 누르면, 각도잠금장치(256)가 고정바(142)의 홈에서 떨어진다. 사용자가 버튼장치(258)를 누르면, 힌지샤프트(252)가 이동가능하게 된다.
고정수단은 스팀분사 모드에서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를 고정하는 부재이다. 고정수단은 자성물질을 포함한다. 고정수단은 자성물질에 의해 다리미판(200)에 착탈된다. 고정수단은 상의의 전면(227)을 고정하는 프론트프레스(260)와, 상의의 후면(228)을 고정하는 다리미보호대(230)를 포함한다.
프론트프레스(260)는 스팀분사 모드시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를 고정한다. 프론트프레스(260)는 다리미판(200)의 하면(225)에서 다리미판(200)의 길이방향(L)으로 배치된다. 프론트프레스(260)는 스팀분사 모드시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의 전면을 다리미판(200)의 하면(225)에 밀착시킨다. 프론트 프레스(260)는 다리미판(200) 외측에 걸쳐진 상의를 다리미판(200)의 하면(225)에 밀착시킨다. 프론트 프레스(260)는 자성물질에 의해 다리미판(200) 하면(225)에 착탈된다. 상기의 자성물질을 이용한 프론트 프레스의 착탈은 하나의 실시예로써, 다리미판(200)의 하면과 프론트 프레스(260) 사이에서 상의의 전면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다른 부재가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전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프론트프레스(260)와 다리미판(200)에 형성되는 자성력은 이하에서 설명할 사이드 텐셔너(280)가 상의의 측면을 펼치는 힘보다 강하게 형성된다.
프론트프레스(260)는 다리미판-케이스(222) 하면(225)에 배치된다. 프론트 프레스는 다리미판(200) 하면에 착탈되도록 다리미판(200)에 힌지고정된다. 프론트프레스(260)는 일측에 배치된 프레스판-힌지부(264)로 회전한다. 프레스판-힌지부(264)는 다리미판-케이스(222) 하면(225)에서 다리미판(200)의 길이방향(L)으로 회전부재(250)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프론트프레스(260)는 다리미판-케이스(222)와 맞닿는 프레스판(262)과, 프레스판(262)과 다리미판(200)을 힌지 연결시키는 프레스판-힌지부(264)를 포함한다. 프레스판(262)은 다리미판-케이스(222)의 하면(225)과 맞닿는다. 프론트프레스(260)는 회전부재(250)와 인접한 부분에서 다리미판(200)의 길이방향(L)으로 배치된다. 프레스판-힌지부(264)는 회전부재(250)와 인접한 프론트프레스(260)의 단부에 배치된다. 프레스판-힌지부(264)는 다리미판(200)의 폭방향(W)과 나란하게 회전축(264a)을 형성하고, 프레스판(262)을 회전시킨다.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는 프레스판(262)과 다리미판-케이스(222) 사이에 배치된다.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는 프레스판(262)과 다리미판-케이스(222) 사이에서 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숄더 텐셔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사이드 텐셔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펼침수단인 사이드 텐셔너 및 숄더 텐셔너를 설명한다.
펼침수단은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에 텐션을 주어 상의에 구김을 제거한다. 펼침수단은 상의의 좌우측에 텐션을 가하는 사이드텐셔너(280), 상의의 어깨부분을 고정하고 텐션을 가하는 숄더텐셔너(290)를 포함한다.
사이드텐셔너(280) 및 숄더텐셔너(290)는 상의의 좌우측, 어깨 양측에 텐션을 가하는 것으로 각각 좌우로 대칭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사이드텐셔너(280)는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의 좌우측에 균일하게 텐션을 주어 상의의 구김을 제거한다. 한 쌍의 사이드텐셔너(280)는 다리미판(200)의 양 측면(226)에 배치된다. 사이드텐셔너(280)는 상의의 내측면에 맞닿는 사이드바(282), 사이드바(282)를 다리미판(200) 외측의 폭방향(W)으로 왕복 직진운동 시키는 지지대(284), 지지대(284)의 단부에 압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86) 및 사이드바(282)를 측면(226)에 고정시키는 원터치 클릭버튼(28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284)는 X자 형상을 가지며, 일측 단부가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하여 사이드바(282)를 다리미판(200) 좌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86)는 지지대의 단부에 압축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사용하며, 이는 압축력을 가할 수 있는 다른 부재로 변경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사이드바(282)에 압력을 가하여 원터치 클릭버튼(288)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원터치 클릭버튼(288)의 고정이 해제되면, 탄성부재(286)의 압축력이 지지대(284)에 작용하고, 사이드바(282)는 다리미판(200)의 측면(226)에서 다리미판(200) 외부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숄더텐셔너(290)는 상의의 양쪽 어깨 부분에 텐션을 가한다. 숄터텐셔너(290)는 상의가 안정적으로 다리미판(200)에 거치되도록 한다. 숄더텐셔너(290)는 다리미판(200)의 전면(227)과 인접한 부분에서 형성된 힌지축(292a)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한 쌍의 숄더텐셔너(290)는 다리미판(200) 양 측면(226)에 배치되고, 측면(226)에서 다리미판(200)의 길이방향(L)으로 전방에 배치된다. 한 쌍의 숄더텐셔너(290)는 다리미판(200)의 양 측면(226)에서 다리미판(200)의 길이방향(L)에서 전방으로 펼쳐진다.
숄더텐셔너(290)는 다리미판의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어깨부분을 고정하는 행거(292), 행거(292)를 다리미판(200) 외측 전방으로 펼치는 탄성부재(296) 및 상기 행거(292)를 측면(226)에 고정되도록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원터치 클릭버튼(298)을 포함한다.
행거(292)는 다리미판(200)의 측면(226) 전방에 배치된다. 탄성부재(296)는 행거(292)의 단부에 압축력을 가하며, 스프링 등의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행거(292)는 행거(292)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다리미판(200) 내측으로 연장된 행거돌출부(294)를 포함한다. 행거돌출부(294)는 일단에서 행거(292)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스프링(296)과 연결된다. 행거돌출부(294)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행거(292)가 회전하는 힌지축(292a)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행거(292)의 하단부를 가압하면 원터치 클릭버튼(298)의 잠금이 해제된다. 원터치 클릭버튼(298) 의 고정이 해제되면, 스프링(296)의 압축력에 의해 행거(292) 돌출부의 타단이 스프링(296)에 의해 당겨진다. 행거돌출부(294)의 회전으로 행거(292)가 측면(226) 외부로 돌출된다. 원터치 클릭버튼(298)의 고정이 해제되면, 행거(292)가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의 어깨부분에 텐션을 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매고정부를 포함하는 암텐셔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암텐셔너를 설명하면, 한 쌍의 암텐셔너(270)는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의 양 소매자락 부분을 고정하고 텐션을 주어 상의의 양 소매부분의 구김을 제거한다. 암 텐셔너(270)도 상의의 소매 양측에 텐션을 가하는 것으로 각각 좌우로 대칭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암텐셔너(270)는 상의의 소맷자락을 당김으로써, 소매에 텐션을 가한다. 한 쌍의 암텐셔너(270)는 다리미판(200)의 높이방향(H)으로 프론트프레스(260)의 프레스판(262) 하측에 배치된다. 프레스판(262)이 프레스판-힌지부(264)에 의해 회전하면, 암텐셔너(270)도 함께 이동한다. 암텐셔너(270)는 암텐셔너-힌지부(274)에 의해 회전하여 상의의 소매에 텐션을 가한다.
암텐셔너(270)는 일단이 힌지고정되어 상기 다리미판 하면에서 회전하는 암텐션바(272); 및 상기 암텐션바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다리미판의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소맷자락을 고정하는 소매고정부(276)를 포함한다. 암텐셔너(270)는 후방의 양단이 프론트 프레스(260) 하면에 힌지고정되고, 전방의 양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한다.
암텐션바(272)는 상의의 소매에 텐션을 가하기 위해 회전한다. 암텐셔너(270)는 암텐션바(272)를 회전시키는 암텐셔너-힌지부(274)를 더 포함한다.
암텐셔너-힌지부(274)의 회전축(274a)은 프레스판(262)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암-텐션너-힌지부의 회전축(274a)은 프레스판-힌지부(264)의 회전축(264a)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암텐션바(272)의 일단부에는 암텐셔너-힌지부(274)가 배치되고, 타단부에는 소매고정부(276)가 배치된다. 한 쌍의 암텐셔너-힌지부(274)는 각각의 소매고정부(276)가 배치된 부분이 서로 멀어지도록 암텐션바(272)를 회전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가 지지대거치대지지다리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의 시스템 다리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프론트 프레스, 암 텐셔너 및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프론트 프레스, 암 텐셔너 및 지지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다리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을 포함하는 지지다리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 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는 다림질 모드시, 다리미판(20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지지수단은 다림질 모드시 바디(100)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리미판(200)을 지지한다. 지지수단은 다림질 모드시 다리미판-케이스(222) 하면(225)을 지지한다. 지지수단은 다림질 모드시 다리미판-케이스(222) 하면(225)에서 상부바디(110)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다리거치대(160)로 연결된다. 지지수단은 다리미판(200)의 의류다림보드(210)를 지지한다.
지지수단은 다림질 모드시 다리미판(200)을 지지하는 지지다리(266), 지지다리(266)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지지다리-힌지부(268)를 포함한다. 지지다리(266)는 다리미판(200)의 높이방향(H)으로 프론트프레스(260)의 프레스판(262)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다리(266)는 한 쌍의 암텐셔너(270)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다리-힌지부(268)는 지지다리(266)에서 다리미판(200)의 길이방향(L)으로 전방에 배치된다.
암텐셔너(270)와 지지수단은 프론트프레스(260) 하측에 배치된다. 프레스판(262)이 프레스판-힌지부(264)로 회전하는 경우, 지지판과 암텐션바(272)도 프레스판(262)과 같이 회전한다. 지지판이 지지판-힌지부로 회전하는 경우, 프레스판(262)과 암텐션바(272)는 회전하지 않는다. 암텐션바(272)가 암텐셔너-힌지부(274)로 회전하는 경우, 프레스판(262)이나 지지판은 회전하지 않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다리(266)는 단부가 지지다리거치대(160)의 안착홈(162)에 안착된다. 지지다리(266)는 이동가능하게 단부에서 돌출된 고정핀(269)을 포함한다. 고정핀(269)은 내부에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지지다리(266) 외부로 돌출된다. 고정핀(269)은 외부의 압력이 있는 경우 지지다리(266)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다리(266)가 지지다리거치대(160)에 거치되면, 고정핀(269)이 지지다리거치대(160)의 고정홀(164)에 끼워져, 지지다리(266)가 지지다리거치대(16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다리미판(200)은 스팀분사모드시 상의의 칼라(Collar)부분을 고정하는 넥클립(299)을 포함한다. 넥클립(299)은 다리미판(200)의 전면(227)에 배치되어 다리미판(200)의 길이방향(L)으로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다리미판(200) 내부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10)는 바디(100)와 다리미판(200)을 지지하는 베이스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300)은 다림질모드와 스팀분사모드에서 다리미판(200)이 바디(100) 상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크기와 무게를 가진다.
베이스판(300)은 시스템 다리미(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스팀분사모드에서 작동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다리미의 스팀분사모드에서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다리미판(200)을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거친다. 시스템 다리미(10)는 스팀분사모드를 작동하기 위해, 도 16의 (a)와 같이, 다리미판을 지면에 수직으로 세운다. 사용자는 버튼장치(258)를 가압하고 각도잠금장치(256)를 해제하여 다리미판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운다.
상의를 다리미판(200)에 걸치는 단계를 거친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다리미판(200)에 한 쌍의 숄더 텐셔너(290)를 펼치고, 프론트 프레스(260)를 다리미판의 높이방향의 하향으로 이동시켜, 상의를 다리미판(200)에 걸친다.
프론트 프레스(260)로 상의의 전면을 고정하는 단계를 거친다. 프론트 프레스(260)는 내부에 포함된 자성물질로 다리미판(200) 하면에 결착된다. 도 16의 (c)를 참조하면, 프론트 프레스(260)는 다리미판(200)의 하면과의 사이에서 상의의 전면을 고정한다. 프론트 프레스(260)에 의해 다림질하려는 상의의 단추가 잠기지 않더라도 상의의 전면부 고정이 가능하다.
다리미판(200) 양 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텐셔너(280)가 펼쳐지는 단계를 거친다. 도 16의 (c)를 참조하면, 사이드 텐셔너(280)가 상의의 내측면에 텐션을 가하여 의류의 구김을 방지한다. 상의의 전면이 프론트 프레스(260)에 의해 고정되므로, 사이드 텐셔너(280)가 이동하면, 상의에 텐션이 가해진다. 프론트 프레스(260)와 다리미판(200) 하면의 자성력이 사이드 텐셔너(280)가 상의의 측면에 텐션을 가하는 힘보다 크게 형성되어 사이드 텐셔너(280)가 이동하더라도, 상의의 전면이 프론트 프레스(260)에 의해 고정된다.
프론트 프레스(260) 하측에 배치된 한 쌍의 암 텐셔너가 펼쳐지는 단계를 거친다. 도 16의 (d)를 참조하면, 암 텐셔너(270)는 소매고정부(276)로 상의의 소맷자락을 고정하고, 하측의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의의 소매부분에 텐션을 가한다.
바디(100)의 스팀제너레이터(122)가 스팀을 발생하여 다리미판(200) 외부로 스팀을 토출하는 단계를 거친다. 스팀제너레이터(122)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유로로 유동한다. 스팀유로(244)로 유동하는 스팀은 스팀노즐(245)을 통해 다리미판(200) 외부로 분사된다. 스팀노즐(245)은 다리미판(200)의 펼침수단 내측에 배치되어, 다리미판(200)에 걸쳐진 상의 내측으로 스팀을 분사한다.
10 : 시스템 다리미 100 : 바디
110 : 상부바디 112 : 하부바디
122 : 스팀제너레이터 132 : 높이조절박스
136 : 고정장치 200 : 다리미판
210 : 의류다림보드 214 : 다리미거치대
230 : 다리미보호대 240 : 제 1 팬
242 : 제 2 팬 244 : 스팀유로
250 : 회전부재 260 : 프론트프레스
266 : 지지대 270 : 암텐셔너
280 : 사이드텐셔너 290 : 숄더텐셔너

Claims (19)

  1.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측에 상의가 걸쳐지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분사하는 다리미판;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에 텐션을 가하는 펼침수단;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전면을 고정하는 프론트 프레스; 및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처진 상의의 소매에 텐션을 가하는 한 쌍의 암 텐셔너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스는 상기 다리미판의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전면을 상기 다리미판 하면에 밀착시키는 시스템 다리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스는 자성물질에 의해 상기 다리미판 하면에 착탈되는 시스템 다리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에 걸쳐진 상의의 후면을 고정하는 다리미 보호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수단은
    상기 다리미판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다리미판 외측으로 펼쳐지는 한 쌍의 사이드 텐셔너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텐셔너는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측면에 텐션을 가하는 사이드바;
    상기 사이드바를 다리미판 외측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수단은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어깨부분을 고정하고 텐션을 가하는 한 쌍의 숄더 텐셔너를 포함하는 시스템다리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텐셔너는
    상기 다리미판의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어깨부분을 고정하는 행거; 및
    상기 행거를 상기 다리미판 외측 전방으로 펼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텐셔너는,
    일단이 힌지고정되어 상기 다리미판 하면에서 회전하는 암텐션바; 및
    상기 암텐션바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다리미판의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소맷자락을 고정하는 소매고정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은 상기 다리미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다리미판 하면과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다리미판을 지지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지지다리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지지다리거치대가 배치되는 시스템 다리미.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의 펼침수단 내측에 배치되어 펼침수단이 펼쳐질 때, 외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노즐;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스팀노즐로 유동시키는 스팀유로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14.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분사하는 다리미판;
    상기 다리미판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다리미판 좌우로 펼쳐지는 펼침수단;
    상기 다리미판 하면에서 착탈되도록 상기 다리미판에 힌지고정되는 프론트 프레스; 및
    후방의 양단이 상기 프론트 프레스 하면에 힌지고정되고, 전방의 양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하는 한 쌍의 암텐셔너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15.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림질을 하는 다림질 모드 또는 외측에 상의를 걸쳐 스팀분사를 하는 스팀분사 모드에 따라 배치가 변경되는 다리미판;
    상기 스팀분사 모드시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에 텐션을 가하는 펼침수단;
    상기 스팀분사 모드시 상기 다리미판 외측에 걸쳐진 상의의 전면을 고정하는 프론트 프레스; 및
    상기 스팀분사 모드시 상기 다리미판의 외측에 걸처진 상의의 소매에 텐션을 가하는 한 쌍의 암 텐셔너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은
    상기 다림질 모드시 의류를 다리거나, 상기 스팀분사 모드시 외측에 의류를 걸치는 의류다림보드; 및
    상기 다림질 모드에서 사용하는 다리미를 거치하거나 냉각시키는 다리미 거치대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은
    상기 다림질 모드에서 상기 다리미 거치대에 거치된 다리미가 상기 다리미 거치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스팀분사모드에서 상기 다리미판에 걸쳐진 상의의 후면을 고정하는 다리미 보호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은
    상기 다림질 모드에서 상기 다리미판 상면으로 공기를 토출하거나 흡입하는 제 1 팬을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은 상기 다림질모드에서 상기 다리미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지지다리거치대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리미.
KR1020160184187A 2016-12-30 2016-12-30 시스템 다리미 Active KR102550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87A KR102550354B1 (ko) 2016-12-30 2016-12-30 시스템 다리미
EP17889409.3A EP3564436B1 (en) 2016-12-30 2017-12-29 System iron
CN201780087774.4A CN110382769A (zh) 2016-12-30 2017-12-29 系统熨斗
US16/474,881 US10968561B2 (en) 2016-12-30 2017-12-29 System iron
PCT/KR2017/015699 WO2018124795A1 (ko) 2016-12-30 2017-12-29 시스템 다리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87A KR102550354B1 (ko) 2016-12-30 2016-12-30 시스템 다리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916A KR20180078916A (ko) 2018-07-10
KR102550354B1 true KR102550354B1 (ko) 2023-06-30

Family

ID=6270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187A Active KR102550354B1 (ko) 2016-12-30 2016-12-30 시스템 다리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68561B2 (ko)
EP (1) EP3564436B1 (ko)
KR (1) KR102550354B1 (ko)
CN (1) CN110382769A (ko)
WO (1) WO2018124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2182B1 (en) * 2020-01-15 2025-06-25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289544B1 (ko) 2020-10-22 2021-08-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형 다리미
CN112981895B (zh) * 2021-02-10 2023-02-17 宁波欧搏服饰有限公司 一种服饰自动熨烫装置
CN117552229B (zh) * 2023-11-24 2025-05-23 深圳市考拉妈妈科技有限公司 智能挂烫机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3297A (zh) 2011-11-17 2012-03-21 上海威士机械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衬衫熨烫机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8087A (en) * 1941-02-07 1944-01-04 American Laundry Mach Co Collar protecting hood and spray dampener for presses
US2969897A (en) * 1956-02-27 1961-01-31 August F Paris Garment air steam finisher
US3070268A (en) * 1959-05-25 1962-12-25 Unipress Company Multiple buck one-lay bosom press
US3494516A (en) * 1968-04-08 1970-02-10 Jerry N Mcmillan Process and apparatus for finishing garments utilizing supersaturated steam
US4689905A (en) * 1986-07-28 1987-09-01 Henri Vartan Collapsible laundry press
US4910894A (en) * 1988-09-13 1990-03-27 Henri Vartan Garment press with expandable buck and pressing plate
US5199353A (en) * 1991-06-06 1993-04-06 M & R Printing Equipment, Inc. Printing machine pallet assembly
FR2701497B1 (fr) * 1993-02-12 1995-04-21 Seb Sa Planche à repasser à émission de vapeur.
JPH07124393A (ja) * 1993-10-28 1995-05-16 Hideaki Shibata 衣類仕上げ機
IT233390Y1 (it) * 1994-04-29 2000-01-28 Dalf S N C Di Pessina Enzo & C Macchina perfezionata,particolarmente studiata per la stiratura di capi di vestiario come camicie o simili
DE19516219A1 (de) * 1995-05-03 1996-11-21 Samy Dipl Ing Kamal Komfort Bügeleinrichtung
FR2766848B1 (fr) * 1997-07-29 1999-10-22 Novam Sa Dispositif de maintien du linge en cours de repassage
US5909964A (en) * 1998-03-18 1999-06-08 Johns; David G. Crease ironing apparatus
US6401992B1 (en) * 2000-08-24 2002-06-11 Unipress Corporation Short sleeve shirt press adapter
US7216444B2 (en) * 2001-09-12 2007-05-15 Basuki Muljadi Ironing board
AU2002358176A1 (en) * 2002-12-23 2004-07-14 Veit Gmbh And Co. Apparatus for ironing or pressing shirts
GB2397072B (en) 2003-01-10 2006-02-22 George Docker Trouser Press / Ironing Board
WO2004085733A1 (en) * 2003-02-14 2004-10-07 Gi-Beom Lee Double-sided ironing board
ITVR20050063A1 (it) * 2004-11-25 2006-05-26 Eko S P A Tavolo da stiro e dispositivo erogatore di vapore
EP1904678B1 (en) * 2005-06-30 2014-04-09 Koninklijke Philips N.V. Ironing board having a tiltable body
US7594597B2 (en) * 2007-09-05 2009-09-29 San Kousha Engineering Co., Ltd. Method for tensioning side portions of shirt and body tensioning device applied for the method
CN101380189B (zh) * 2007-09-07 2011-06-01 株式会社三幸社工程 衬衫侧部的张紧法以及用于该方法的躯干张紧装置
CN201137009Y (zh) * 2007-10-19 2008-10-22 邓同春 一种宽度可调的烫衣板面板
KR101180982B1 (ko) * 2008-03-17 2012-10-10 양원동 기능성 다림판
US8250789B1 (en) * 2009-11-19 2012-08-28 Steven Oliver Ironing board having extendable ironing surfaces
KR101190146B1 (ko) 2010-08-23 2012-10-12 주식회사 아이언맥스 스탠드형 스팀다리미
US8763284B1 (en) * 2012-06-13 2014-07-01 James B. Falcone Garment ironing assembly
CN105121731B (zh) * 2013-04-02 2017-09-08 Lg 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KR101425557B1 (ko) * 2013-07-10 2014-08-01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스탠드형 스팀 다리미
CN203977204U (zh) * 2014-07-15 2014-12-03 张进功 一种方便收纳的挂烫机烫衣板装置
KR20160066224A (ko) 2014-12-02 2016-06-10 송영우 다림질 장치
CN107208351B (zh) * 2015-01-23 2020-02-18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具有可倾斜熨烫板和衣服架的蒸汽挂烫机设备
CN205329395U (zh) * 2016-01-13 2016-06-22 海盐锦艺家饰用品有限公司 一种折叠式带托盘可烫衣袖的烫衣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3297A (zh) 2011-11-17 2012-03-21 上海威士机械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衬衫熨烫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4436A1 (en) 2019-11-06
EP3564436A4 (en) 2020-06-24
US20190368118A1 (en) 2019-12-05
WO2018124795A1 (ko) 2018-07-05
KR20180078916A (ko) 2018-07-10
US10968561B2 (en) 2021-04-06
CN110382769A (zh) 2019-10-25
EP3564436B1 (en)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354B1 (ko) 시스템 다리미
KR102684297B1 (ko) 다림장치
US11530510B2 (en) System iron
KR102601735B1 (ko) 시스템 다리미
KR102630052B1 (ko) 시스템 다리미
KR102550353B1 (ko) 시스템 다리미
KR102604691B1 (ko) 시스템 다리미
EP3797191B1 (en) Garment steamer with a hanger movable compared to a fixed ironing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