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8773B1 - Flying object with thrust vector controller - Google Patents

Flying object with thrust vector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773B1
KR102548773B1 KR1020230021179A KR20230021179A KR102548773B1 KR 102548773 B1 KR102548773 B1 KR 102548773B1 KR 1020230021179 A KR1020230021179 A KR 1020230021179A KR 20230021179 A KR20230021179 A KR 20230021179A KR 102548773 B1 KR102548773 B1 KR 102548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ush
coupled
cylinder
thru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1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봉섭
홍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거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거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거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2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7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77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24Transmitting means
    • B64C13/26Transmitting means without power amplification or where power amplification is irrelevant
    • B64C13/28Transmitting means without power amplification or where power amplification is irrelevant mechanical
    • B64C13/30Transmitting means without power amplification or where power amplification is irrelevant mechanical using cable, chain, or ro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24Transmitting means
    • B64C13/38Transmitting means with power amplification
    • B64C13/50Transmitting means with power amplification using electric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ying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flying vehicle that is provided with a thrust vectoring control device so that generation of thrust for flight and fine altitude control of a fuselage can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thereby capable of stabilizing the flight altitude by overcoming aerodynamic instability,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thrust vectoring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and ensuring flight stability even in emergencies by enabling manual control. The flight vehicle includes a fuselage, a thrust part, and a thrust vectoring control device.

Description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구비한 비행체{Flying object with thrust vector controller}Flying object with thrust vector controller}

본 발명은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구비하여 비행을 위한 추력의 발생과 동체의 미세한 자세제어를 동시에 구현하여 공기역학적 불안정성을 극복해 비행 자세를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추력 편향 조종장치의 전자동적인 제어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사시에도 비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to simultaneously realize the generation of thrust for flight and fine attitude control of the fuselage, thereby overcoming aerodynamic instability and more stabilizing the flight attitude. In addition,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n air vehicle capable of securing flight stability in case of emergency by enabling manual control as well as fully automatic control of a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추력 편향 조종장치는 주로 수평 꼬리날개가 없는 기체나 디지털 제어의 도움을 받아야 수평비행이 가능한 비행체의 추력 편향 제어(TVC: Thrust Vector Control)를 위한 장치로, 추력 발생기 후방 부분에 연계 설치되는 장치이며, 예컨대, 가스터빈 기관에 장착된 배기 노즐 제어기, 제트 베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The thrust deflection controller is a device for thrust vector control (TVC: Thrust Vector Control) of aircraft without horizontal tail fins or aircraft that can fly horizontally with the help of digital control. It is a device installed in conjunction with the rear part of the thrust generator. , for example, an exhaust nozzle controller mounted on a gas turbine engine, a jet vane, and the like.

추력 편향 제어는 비행체가 보조 날개(aileron)나 러더(rudder) 등 주 날개 및 꼬리날개 조종면의 움직임에만 의지하지 않고 비행체의 추력 방향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동체 자세를 제어한다는 큰 의미를 담고 있다.Thrust deflection control has a great meaning in controlling the attitude of the aircraft by changing the thrust direction of the aircraft without relying only on the movement of the main wing and tail wing control surfaces such as aileron or rudder.

따라서, 추력 편향 제어는 플라이 바이 와이어(fly by wire)에 의한 제어와 함께 사용하면 운동의 폭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수직 이착륙기(S/VTOL)나 근접전 시 기동성이 요구되는 군용기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Therefore, thrust deflection control can increase the range of motion when used together with fly-by-wire control. There are many cases.

한편, 추력 편향 조종장치는 추력 발생기에 유기적으로 연계 설비된 기계구조를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해 작동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기계 오류의 발생 등과 같은 유사시 정상적인 작동이 안되는 상황에 직면하면 비행체의 자세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때로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system is based on digitally controlling and operating the mechanical structure organically linked to the thrust generator, but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the occurrence of a mechanical error, the aircraft's attitude may change. Since there ar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deal with, sometimes it is necessary to perform control in an analog manner.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7-038695호(1997.07.29.공개)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7-038695 (published on July 29, 199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통해 비행을 위한 추력의 발생과 동체의 미세한 자세제어를 동시에 구현하여 공기역학적 불안정성을 극복해 비행 자세를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추력 편향 조종장치의 전자동적인 제어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사시에도 비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비행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by implementing the generation of thrust for flight and the fine attitude control of the fuselag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the flight attitude is improved by overcoming aerodynamic instability.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ir vehicle that can be more stabilized and, in particular, enable manual control as well as fully automatic control of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to ensure flight stability in case of emergency.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동체, 상기 동체에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력부 및 상기 추력부의 후단 주변에 설치되며 트림탭을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여 트림탭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포함하는 비행체에 있어서, 상기 추력 편향 조종장치는, 상기 추력부 중심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트림탭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운트; 및 동체에 내장된 사용자의 수동 조작부와 상기 마운트에 지지된 트림탭을 연결하는 푸쉬-풀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fuselage, a thrust unit coupled to the fuselage and generating propulsive force according to rotation, and a thrust unit installed around the rear end of the thrust unit and adjusting the angle of the trim tab by supporting the trim tab in an adjustable manner. An aircraft comprising a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that changes, wherein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 mount installed across the center of the thrust unit and rotatably supporting a trim tab; and a push-pull rod connecting a user's manual manipulation unit built into the fuselage and a trim tab supported by the mount.

또한, 상기 푸쉬-풀 로드는, 상기 수동 조작부와 연결되는 제1 로드; 상기 트림탭에 연결되는 제2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로드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제2 로드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로드;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푸쉬풀모터; 및 상기 푸쉬풀모터와 상기 실린더 로드를 연결하여 상기 푸쉬풀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실린더 로드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풀 로드는, 상기 수동 조작부의 조작으로 제1 로드를 직접 움직여 트림탭을 움직이는 수동 방식 또는 상기 푸쉬풀모터의 작동에 따라 실린더 로드를 움직여 푸쉬-풀 로드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트림탭을 움직이는 자동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트림탭을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sh-pull rod may include a first rod connected to the manual manipulation unit; a second rod connected to the trim tab;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holder coupled to the first rod; a cylinder coupled to the holder; a cylinder rod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cond rod; a push-pull motor coupled to the hold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ush-pull motor and the cylinder rod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ush-pull motor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cylinder rod, wherein the push-pull rod is controlled by the manual control unit. The trim tab is moved by either a manual method of moving the trim tab by directly moving the first rod or an automatic method of moving the trim tab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push-pull rod by moving the cylinder ro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pull motor.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홀더는. 홀더바디, 상기 홀더바디에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암; 및 제2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은 각각 관통홀을 형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는 상기 관통홀의 타측에 결합하고, 상기 홀더바디에는 상기 푸쉬풀모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holder. a holder body, a first arm extending from the holder body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second arm, wherein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include curv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forming a through hole, the first rod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ylinder r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ccommodat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accommodating the push-pull motor is formed in the holder body.

또한, 상기 실린더에는 장공형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로드에는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길이방향은 상기 푸쉬풀모터의 축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푸쉬풀모터의 축부와 연결되는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longated guide hole is formed in the cylinder, and a guide protrus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through the guide hole inside the cylinder is formed in the cylinder rod,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is the push-pull. a first link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tor and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push-pull motor; and a second link connecting the first link and the guide protrusion.

또한, 상기 푸쉬-풀 로드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를 둘러싸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로드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제1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 사이에서 상기 제2 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연결하지 못할 때,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를 둘러싸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로드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로드에 고정되는 제1 측부와, 상기 연결바디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로드와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제1 로드에 결합하는 제1 허브와, 상기 제1 허브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바디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제2 로드에 결합하는 제2 허브와, 상기 제2 허브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바디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는 상기 연결바디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포크는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허브는 상기 연결바디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스포크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sh-pull rod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surround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ro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adially outward.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each protrude,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rod,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slides between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to the second rod Possibly coupled, wh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fails to connect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first rod to the second rod. A connection body surrounding the connection part, a first side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ody and engaged with the first rod and fixed to the first rod, and a first side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ody and coupled to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 second side portion slidably coupled between a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wherein the first side portion includes a first hub coupled to the first rod and extending radially from the first hub to the connection A plurality of first spokes connected to the body, wherein the second side portion includes a second hub coupled to the second rod, and a plurality of second spokes radially extending from the second hub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A spoke, wherein the first hub is disposed rearward of the connection body so that the first spoke is inclined and the second hub is disposed forward of the connection body so that the second spoke is inclined. to be

본 발명은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구비하여 비행을 위한 추력의 발생과 동체의 미세한 자세제어를 동시에 구현하여 공기역학적 불안정성을 극복해 비행 자세를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추력 편향 조종장치의 전자적인 제어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사시에도 비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to generate thrust for flight and implement fine attitude control of the fuselage at the same time to overcome aerodynamic instability to more stabilize the flight attitude. In particular,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In addition to electronic control, manual control is possible, providing an advantageous effect of securing flight stability in case of emerg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의 요부 구성인 추력부와 추력 편향 조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트림탭의 각도 조절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푸쉬-풀 로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실린더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어 신호에 의해 전자식으로 푸쉬-풀 로드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2 연결부가 적용된 푸쉬-풀 로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2 연결부가 적용된 푸쉬-풀 로드의 일측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conceptually illustrates the plan configuration of FIG. 1; FIG.
3 to 4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rust unit and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exploded configuration of Figure 3;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djusting an angle of a trim tab by way of example;
7 shows a push-pull rod;
8 is a view showing a first connection part;
9 is a view showing a cylinder;
1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a push-pull rod is electronically varied by a control signal;
11 is a view showing a push-pull rod to which a second connection is applied.
1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one side of a push-pull rod to which a second connec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define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는 크게, 동체(1000), 추력부(2000) 및 추력 편향 조종장치(Ta)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An ai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rgely illustrated as including a fuselage 1000, a thrust unit 2000, and a thrust deflection controller (Ta).

먼저, 동체(1000)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의 전체적인 골격을 구성하며, 내부로 조종석, 승객석, 조작부(1300) 등을 구비하고, 비행체가 무인기로 운영될 경우 내부로 기타 장치들을 내장하기 위한 공간 또는 카고를 형성할 수 있다.First, the fuselage 1000 constitutes the overall skeleton of the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cockpit, a passenger seat, a control unit 1300, etc. inside, and a space for embedding other devices inside when the aircraft is operated as an unmanned aerial vehicle. Or you can form a cargo.

동체(1000)의 좌우 측면에는 날개(1200)가 형성될 수 있고,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추력부(20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Wings 1200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uselage 1000, and are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to support the thrust unit 2000.

다음으로, 추력부(2000)는 동체(1000)에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비행체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내부가 빈 원통형의 덕트, 상기 덕트 내부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추력모터 및 추력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펠러 동력장치 구조를 이룰 수 있다.Next, the thrust unit 2000 is coupled to the fuselage 1000 to generate propulsion of the aircraft according to rotation, and is coupled to a cylindrical duct with an empty interior, a thrust motor fixed to the center of the duct, and a thrust motor. It is possible to achieve a general propeller power unit structure including a rotating propeller.

즉, 추력부(2000)는 추력모터에 프로펠러가 직결돼 회전하는 구조로서, 추력모터의 구동에 따라 프로펠러가 회전하면 추력모터에 방사상으로 뻗어 일체화된 각각의 프로펠러 날개들이 회전하여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That is, the thrust unit 20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pell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hrust motor and rotates, and when the propeller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thrust motor, each propeller blade integrated radially extending to the thrust motor rotates to obtain propulsive force. .

추력부(2000)는 비행체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한 구조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thrust unit 20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tructures on the line that can obtain the propulsive force of the aircraf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추력 편향 조종장치(Ta)는 추력부(2000)의 후단 주변에 설치되며 트림탭(T)을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여 트림탭(T)의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에일러론의 역할을 수행하고, 아울러, 엘리베이터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롤링, 피칭, 요잉 등의 불안정한 진동을 억제 내지 제어해 동체(1000) 자세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Ta) is installed around the rear end of the thrust part (2000) and supports the trim tab (T) in an adjustable way to change the angle of the trim tab (T), thereby serving as an aileron, In addition, it not only serves as an elevator, but also suppresses or controls unstable vibrations such as rolling, pitching, and yawing to contribute to stabilizing the posture of the body 1000.

이를 위한 추력 편향 조종장치(Ta)는 크게, 마운트(10) 및 푸쉬-풀 로드(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Ta for this purpose can be largely exemplified as including a mount 10 and a push-pull rod 20.

먼저, 마운트(10)는 추력부(2000) 덕트의 중심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소정 두께를 지닌 판상의 구성으로서, 동일선상에서 트림탭(T)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First, the mount 10 is a plate-shaped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stalled across the center of the duct of the thrust unit 2000, and can rotatably support the trim tab T on the same line.

마운트(10)의 타단에는 축결합대(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축결합대(11) 상에는 트림탭(T)의 회전 기준이 되는 트림축(T')이 축결합될 수 있다.A shaft coupling unit 11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ount 10, and a trim shaft T′ serving as a rotation reference of the trim tab T may be shaft coupled to the shaft coupling unit 11.

트림탭(T)의 일단에 형성된 트림축(T')은 상기 마운트(10)에 형성된 축결합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타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트림탭(T)의 회전 제어는 이어 설명할 푸쉬-풀 로드(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trim shaft (T') formed on one end of the trim tab (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coupling table (11) formed on the mount 10, and the other end is in the form of a free end, and the other end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made possible. Rotation control of the trim tab T may be controlled by a push-pull rod 20 to be described later.

푸쉬-풀 로드(20)는 동체(1000)에 내장된 사용자의 수동 조작부(1300)와 상기 마운트(10)에 지지된 트림탭(T)을 연결하여 수동 조작부(1300)의 수동 조작 또는 푸쉬-풀 로드(20)의 자체 구동에 의해 트림탭(T)을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ush-pull rod 20 connects the user's manual control unit 1300 built in the fuselage 1000 and the trim tab T supported on the mount 10 to manually operate the manual control unit 1300 or push-pull rod 20. It serves to rotate the trim tab (T) up and down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by the self-driving of the pull rod (20).

트림탭(T)은 플랩의 일종으로, 추력부(2000) 후단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The trim tab T is a type of flap, and can control the flow of air at the rear end of the thrust unit 2000 .

즉, 이러한 트림탭(T)은 조종석 내 마련된 조작부(1300)를 조작하여 푸쉬-풀 로드(20)가가 움직이면 이러한 작동에 의해 움직임이 제어되는 구조이다.That is, when the push-pull rod 20 moves by manipulating the control unit 1300 provided in the cockpit, the movement of the trim tab T is controlled by such an operation.

다만, 트림탭(T)이 수동 조작으로 움직이는 경우, 돌풍에 의해 순간적으로 동체(1000)의 자세가 흔들리는 것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trim tab T is moved manu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momentary shaking of the body 1000 due to gusts of wind.

이에, 푸쉬-풀 로드(20)는 제어 신호와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동체(1000) 자세를 자동으로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방식의 추력 편향 조종장치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부로 이루어진 액츄에이터가 트림탭(T)을 움직이도록 구성되거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움직이는 액츄에이터를 조종석 내 조작부(1300)에 직접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ush-pull rod 20 may be implemented to automatically maintain the posture of the torso 1000 by using a control signal and a driving force of a motor. In this automatic type of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an actuator consisting of a motor and a link part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s configured to move the trim tab (T), or an actuator that moves based on a control signal is directly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300 in the cockpit can be configured to

그러나, 액츄에이터의 크기와 무게가 크기 때문에 소형 항공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구조가 복잡한 액츄에이터의 경우,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어 신호가 끊어지면 조작부(1300)에서 제어가 어려운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However, due to the large size and weight of the actuator, it is difficult to apply to small aircraft.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actuator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operation reliability is lowered.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is disconnected, there is a fatal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control unit 1300.

이에, 본 발명에서의 추력 편향 조종장치(Ta)는 트림탭(T)에 연결 설치되어 트림탭(T)의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푸쉬-풀 로드(20)의 위치를 조절하되, 조작자의 수동 조작에 대응하는 기계식 움직임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전자동식 움직임을 함께 구현해 다양한 비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하는게 특징이라 할 수 있다.Therefore,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Ta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rim tab T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push-pull rod 20 for changing the angle of the trim tab T, but the operator's manual Its feature is that it can effectively cope with various flight situations by realizing both mechanical movements in response to manipulation and fully automatic movements in response to control signals.

이를 위해, 추력 편향 조종장치(Ta)는 동체(1000)에 마련된 사용자의 수동 조작부(1300)와 트림탭(T)을 연결하는 푸쉬-풀 로드(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Ta may include a push-pull rod 20 connecting the user's manual manipulation unit 1300 provided in the fuselage 1000 and the trim tab T.

경우에 따라 추력 편향 조종장치(Ta)는 링크부를 추가로 두어 링크부를 수동 조작부(1300)와 직접 연결하고, 푸쉬-풀 로드(20)를 링크부와 트림탭(T) 사이에 연결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ler Ta may additionally connect the link unit to the manual control unit 1300 and connect the push-pull rod 20 between the link unit and the trim tab T.

이때, 링크부는 조종석까지 동체(1000) 내부로 길게 연장 설치될 수 있고, 푸쉬-풀 로드(20)는 상기 링크부와 트림탭(T)을 연결해 링크부의 움직임을 트림탭(T)에 직접 전달하거나 혹은 링크부의 움직임 없이도 트림탭(T)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nk part may be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fuselage 1000 to the cockpit, and the push-pull rod 20 directly transfers the movement of the link part to the trim tab T by connecting the link part and the trim tab T. Alternatively, it may play a role of enabling the movement of the trim tab T to be controlled without movement of the link unit.

따라서, 수동 조작부(1300)의 조작에 따라 푸쉬-풀 로드(20)가 전체적으로 움직이면서 트림탭(T)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거나, 기계적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푸쉬-풀 로드(20)가 신축해 트림탭(T)이 움직일 수 있다.Therefore, the angle of the trim tab T can be adjusted while the push-pull rod 20 moves as a whole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manual control unit 1300, or the push-pull rod 20 moves based on a mechanical control signal. By extending and contracting, the trim tab (T) can move.

보다 구체적으로, 푸쉬-풀 로드(20)는 동체 내부와 마운트(10) 하부를 가로질러 트림탭(T)에 연결 설치되는 긴 축형 구조로서, 제1 로드(21)와, 제2 로드(22)와, 제1 연결부(23)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ush-pull rod 20 is a long shaft-type structure connected to the trim tab T across the inside of the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 10, and includes a first rod 21 and a second rod 22 ) and a first connection part 23.

제1 로드(21)와 제2 로드(22)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1 연결부(23)는 제1 로드(21)와 제2 로드(22)를 연결한다.The first rod 21 and the second rod 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connects the first rod 21 and the second rod 22 .

제1 로드(21)는 수동 조작부(1300)와 직접 연결되거나 링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로드(22)는 트림탭(T)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rod 2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nual manipulation unit 1300 or connected to the link unit. The second rod 22 may be connected to the trim tab T.

제1 연결부(23)는 제1 로드(21)와 제2 로드(22)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푸쉬-풀 로드(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23)는 푸쉬-풀 로드(20)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3 can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push-pull rod 20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d 21 and the second rod 22 . This first connection part 23 may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push-pull rod 20 .

제2 로드(22)는 트림탭(T)의 회전기준이 되는 트림축(T')에 링크(R)를 통해 결합하여 제2 로드(22)의 직선 운동에 따라 트림탭(T)을 제자리 회전시킴으로써 트림탭(T)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rod 22 is coupled to the trim shaft T′, which is the rotation reference of the trim tab T, through a link R, and moves the trim tab T in place according to the linear motion of the second rod 22. By rotating, the angle of the trim tab (T) can be adjusted.

즉, 링크(R)에 제2 로드(22) 및 트림탭(T)의 트림축(T')이 서로 편심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rod 22 and the trim shaft T' of the trim tab 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R while being eccentric from each other.

제1 연결부(23)는 홀더(100)와, 실린더(200)와, 실린더 로드(300)와, 푸쉬풀모터(400)와, 연결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may include a holder 100 , a cylinder 200 , a cylinder rod 300 , a push-pull motor 400 , and a connection member 500 .

홀더(100)는 제1 로드(21)에 결합한다. 실린더(200)는 홀더(100)에 결합한다. 실린더 로드(300)는 제2 로드(22)에 결합된 상태로 실린더(20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다.Holder 100 is coupled to the first rod (21). The cylinder 200 is coupled to the holder 100. The cylinder rod 3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200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cond rod 22 .

푸쉬풀모터(400)는 홀더(100)의 내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실린더 로드(300)는 제2 로드(22)에 결합한다. 연결부재(500)는 푸쉬풀모터(400)와 실린더 로드(300)를 연결한다.The push-pull motor 400 is mounted inside the holder 100 . And the cylinder rod 300 is coupled to the second rod (22). The connecting member 500 connects the push-pull motor 400 and the cylinder rod 300.

제1 연결부(23)의 홀더(100)는,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1 로드(21)와 실린더(200) 사이에 배치된다. The holder 100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d 21 and the cylinder 20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sh-pull rod 20 .

홀더(100)는 홀더바디(110)와, 제1 암(120)과 제2 암(1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er 100 may include a holder body 110 , a first arm 120 and a second arm 130 .

홀더바디(110)는 내부에 푸쉬풀모터(400)를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부(111)를 형성한다. 제1 암(120)과 제2 암(130)은 각각 홀더바디(110)의 일면에서 연장된다. 제1 암(120)과 제2 암(130)은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된다.The holder body 110 forms an accommodating portion 111, which is a space accommodating the push-pull motor 400 therein. The first arm 120 and the second arm 130 each extend from one surface of the holder body 110 . The first arm 120 and the second arm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제1 암(120)과 제2 암(130)의 대향면에는 각각 곡면을 포함하여 관통홀(PH)을 형성한다. 관통홀(PH)은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암(120)과 제2 암(130)은 각각 홀더바디(110)에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드(21)는 홀더(100)의 이러한 관통홀(PH)에 삽입된다. Through-holes PH are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arm 120 and the second arm 130 by including curved surfaces, respectively. The through hole PH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sh-pull rod 20 . Each of the first arm 120 and the second arm 130 may extend to the holder body 110 in a cantilever shape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The first rod 2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of the holder 100 .

제1 로드(21)는 상기 관통홀(PH)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300)는 상기 관통홀(PH)의 타측에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rod 21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PH, and the cylinder rod 30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hole PH.

실린더(2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부재이다. 실린더(200)는 실린더(20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장공형 가이드 홀(2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홀(210)은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200)는 홀더(10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100)와 결합을 위해, 실린더(200)는 일측에 결합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220)는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방향을 돌출되어 홀더(100)의 관통홀(PH)에 삽입될 수 있다.The cylinder 200 is a hollow cylindrical member. The cylinder 200 may include an elongated guide hole 210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ylinder 200 . The guide hole 210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sh-pull rod 20 . This cylinder 20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100. For coupling with the holder 100, the cylinder 200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220 on one side. The coupling protrusion 220 may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sh-pull rod 20 and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of the holder 100 .

실린더(200)의 타측면에는 실린더 로드(300)가 지나는 홀(230)이 배치될 수 있다.A hole 230 through which the cylinder rod 300 passes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200 .

실린더 로드(300)는 실린더(2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다. 실린더 로드(300)는 실린더(200) 내부에 배치되는 로드바디(320)를 포함한다. 로드바디(320)는 실린더(200)의 홀(230)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 로드(300)는 로드바디(320)에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10)는 가이드 홀(210)을 관통하여 실린더(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가이드 돌기(310)는 가이드 홀(210)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한다. The cylinder rod 3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cylinder 200 . The cylinder rod 300 includes a rod body 320 disposed inside the cylinder 200 . The load body 320 may have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hole 230 of the cylinder 200 . The cylinder rod 300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310 protruding from the rod body 320 . The guide protrusion 310 passes through the guide hole 21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200 . The guide protrusion 310 linearly reciprocates along the guide hole 210 .

푸쉬풀모터(400)는, 홀더(100)의 수용부(111)에 장착된다. 푸쉬풀모터(400)는 비행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받아 작동한다. 푸쉬풀모터(400)는 그 축방향이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ush-pull motor 400 is moun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1 of the holder 100 . The push-pull motor 400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flight and operates. The push-pull motor 400 may be arranged so that its axial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sh-pull rod 20 .

연결부재(500)는 푸쉬풀모터(400)와 상기 실린더 로드(300)를 연결하여 푸쉬풀모터(400)의 회전력을 실린더 로드(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500)를 통해 푸쉬풀모터(400)의 회전운동이 실린더 로드(300)의 직선이동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연결부재(500)는 제1 링크(510)와 제2 링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510)는 푸쉬풀모터(400)의 축부와 연결된다. 제2 링크(520)는 제1 링크(510)와 실린더 로드(300)의 가이드 돌기(310)를 연결한다. 이때 가이드 돌기(310)의 길이방향은 푸쉬풀모터(400)의 축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2 링크(520)는 제1 링크(510)과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500 connects the push-pull motor 400 and the cylinder rod 30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of the push-pull motor 400 to the cylinder rod 300 .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ush-pull motor 400 is converted into linear motion of the cylinder rod 30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500 . This connection member 500 may include a first link 510 and a second link 520. The first link 510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push-pull motor 400 . The second link 520 connects the first link 510 and the guide protrusion 310 of the cylinder rod 300. 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310 may be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push-pull motor 400 . The second link 520 may be dispos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first link 510 .

도 10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전자식으로 푸쉬-풀 로드(20)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push-pull rod 20 is varied electronically by a control signal.

도 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풀모터(400)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 푸쉬-풀 로드(20)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기계식으로 수동조작부(1)에 의해 푸쉬-풀 로드(20) 전체가 움직임으로써, 트림탭(T)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A, when the push-pull motor 400 does not operate, the length of the push-pull rod 20 is maintained constant, and the push-pull rod 20 is mechanically controlled by the manual manipulation unit 1. ), the angle of the trim tab (T)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whole.

도 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신호에 의해 푸쉬풀모터(400)가 작동하는 경우, 푸쉬풀모터(400)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부재(500)가 실린더 로드(300)를 밀거나 당겨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를 변화시킨다. 푸쉬-풀 로드(20)의 길이가 달라짐에 따라 트림탭(T)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푸쉬-풀 로드(20)의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기계식으로 트림탭(T)을 조절할 때, 보다 정밀하게 트림탭(T)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B, when the push-pull motor 400 is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he connection member 500 pushes or pulls the cylinder rod 300 as the push-pull motor 400 rotates. Change the length of the pull rod (20). As the length of the push-pull rod 20 changes, the angle of the trim tab T may be adjusted. Also, when adjusting the trim tab T mechanically as the length of the push-pull rod 20 is changed, the angle of the trim tab T can be more accurately adjusted.

즉, 푸쉬-풀 로드(20)는 상기 수동 조작부(1300)의 조작으로 제1 로드(21)를 직접 움직여 트림탭(T)을 움직이는 수동 방식 또는 상기 푸쉬풀모터(400)의 작동에 따라 실린더 로드(300)를 움직여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트림탭(T)을 움직이는 자동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트림탭(T)을 움직이게 된다.That is, the push-pull rod 20 is a manual method of moving the trim tab T by directly moving the first rod 21 by manipulation of the manual control unit 1300 or a cylind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pull motor 400. By moving the rod 300 and changing the length of the push-pull rod 20, the trim tab T is moved in one of the automatic methods of moving the trim tab T.

도 11은 제2 연결부(24)가 배치된 푸쉬-풀 로드(2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2 연결부(24)가 배치된 푸쉬-풀 로드(20)의 측면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sh-pull rod 20 i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part 24 is disposed, and FIG. 12 is a side view of the push-pull rod 20 i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part 24 is disposed.

푸쉬-풀 로드(20)는 제2 연결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4)는 제1 연결부(23)에 고장이 발생하여, 제1 연결부(23)가 작동하지 않을 때를 대비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1 연결부(23)에 문제가 발생하여 제1 연결부(23)가 작동하지 않으면, 제1 로드(21)의 움직임이 제2 로드(22)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아, 트림탭(T)의 각도 조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push-pull rod 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art 24 . The second connection unit 24 is a device for preparing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connection unit 23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23 does not operate. If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does not operate due to a problem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the movement of the first rod 21 is not transmitted to the second rod 22 as it is, so the angle of the trim tab T Control problems may arise.

이때, 제2 연결부(24)는 제1 로드(21)와 제2 로드(22)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제1 연결부(23)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제1 로드(21)의 움직임을 제2 로드(22)에 그대로 전달하여 트림탭(T)의 각도 조절을 정상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4 physically connects the first rod 21 and the second rod 22, so that even if a problem occurs 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3, the movement of the first rod 21 is controlled by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normalize the angle adjustment of the trim tab T by transferring it to the rod 22 as it is.

이러한 제2 연결부(24)는 연결바디(600)와, 제1 측부(700)와, 제2 측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디(600)는 제1 연결부(23)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 연결부(23)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연결바디(6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연결바디(600)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개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연결바디(600)의 전면,후면,상면 및 하면은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디(600)가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물질이 유입되어 제1 연결부(23)를 타격하여 제1 연결부(23)를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24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600 , a first side part 700 and a second side part 800 . The connection body 600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and is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 The connection body 60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sh-pull rod 20,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ody 600 are open. And the front, rea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body 600 may be formed of a mesh. Since the connection body 600 is formed of a ne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by hit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due to an inflow of external substances.

제1 측부(700)는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연결바디(600)의 일측면에 위치한다. 제1 측부(700)는 제1 허브(710)와 복수 개의 제1 스포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허브(710)는 제1 로드(21)와 결합하여, 제2 연결부(24)를 제1 로드(21)에 고정시킨다. 제1 스포크(720)는 제1 허브(710)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바디(600)에 연결된다. 이때, 제1 허브(710)는 연결바디(60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제1 스포크(720)는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first side part 7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ody 60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sh-pull rod 20 . The first side part 700 may include a first hub 710 and a plurality of first spokes 720 . The first hub 710 is coupled to the first rod 21 to fix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4 to the first rod 21 . The first spokes 720 extend radially from the first hub 710 an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600 . At this time, the first hub 710 is disposed rearward than the connection body 600, and the first spoke 720 is disposed inclined.

이처럼, 제1 스포크(720)가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강한 구조를 갖는 이점이 있다.As such, since the first spokes 720 are inclined, there is an advantage of having a structure resistant to external force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sh-pull rod 20 .

한편, 제2 로드(22)는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스토퍼(22a)와 제2 스토퍼(22b)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rod 22 protrud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may include a first stopper 22a and a second stopper 22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때, 제2 연결부(24)의 일측은 상기 제1 로드(2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24)의 타측은 상기 제1 스토퍼(22a)와 상기 제2 스토퍼(22b) 사이에서 상기 제2 로드(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4 is connected to the first rod 21,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4 is between the first stopper 22a and the second stopper 22b. It can be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rod 22 .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측부(800)는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연결바디(600)의 타측면에 위치한다. 제2 측부(800)는 제2 허브(810)와 복수 개의 제2 스포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허브(810)는 제2 로드(22)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 연결부(24)를 일정한 스트로크 범위내에서 제2 로드(22)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2 연결부(24)와 제2 로드(22)를 연결한다. 제2 스포크(820)는 제2 허브(810)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바디(600)에 연결된다. 이때, 제2 허브(810)는 연결바디(60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제2 스포크(820)는 경사지게 배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ide portion 800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ody 60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sh-pull rod 20 . The second side part 800 may include a second hub 810 and a plurality of second spokes 820 . The second hub 810 is coupled to the second rod 22 to be slidably movable, so that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4 moves along the second rod 22 within a certain stroke range. Connect the second rod 22. The second spokes 820 extend radially from the second hub 810 an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600 . At this time, the second hub 8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nnection body 600, and the second spoke 820 is disposed inclined.

제2 스포크(820)도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푸쉬-풀 로드(20)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강한 구조를 갖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second spokes 820 are also inclined, there is an advantage of having a structure resistant to an external force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sh-pull rod 20 .

제1 연결부(23)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실린더 로드(300)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제1 스토퍼(22a)와 제2 스토퍼(22b) 사이에서 제2 연결부(24)가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제1 연결부(23)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경우, 제1 로드(21)가 움직이면, 제2 허브(810)가 제1 스토퍼(22a) 또는 제2 스토퍼(22b)에 걸려 제1 로드(21)의 움직임이 제2 로드(22)에 전달되기 때문에, 제1 연결부(23)와 무관하게 트림탭(T)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operates normally, the second connection part 24 may move between the first stopper 22a and the second stopper 22b in response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cylinder rod 300. If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does not operate normally and the first rod 21 moves, the second hub 810 is caught by the first stopper 22a or the second stopper 22b and the first rod ( Since the motion of 21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od 22,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ngle of the trim tab T can be adjusted regardles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3.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추력 편향 조종장치(Ta)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In the above,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Ta) for aircraft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transformable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se claims as well as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동체
2000: 추력부
Ta: 추력 편향 조종장치
20: 푸쉬-풀 로드
1000: fuselage
2000: Thrust
Ta: thrust deflection control
20: push-pull rod

Claims (5)

동체, 상기 동체에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력부 및 상기 추력부의 후단 주변에 설치되며 트림탭을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여 트림탭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포함하는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구비한 비행체에 있어서,
상기 추력 편향 조종장치는,
상기 추력부 중심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트림탭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운트; 및
동체에 내장된 사용자의 수동 조작부와 상기 마운트에 지지된 트림탭을 연결하는 푸쉬-풀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Thrust deflection control including a fuselage, a thrust part coupled to the fuselage to generate propulsive force according to rotation, and a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installed around the rear end of the thrust part and adjusting the angle of the trim tab by supporting the trim tab in an adjustable manner. In the aircraft equipped with the device,
The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a mount installed across the center of the thrust part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trim tab; and
An aircraft equipped with a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comprising a; push-pull rod connecting a user's manual control unit built in the fuselage and the trim tab supported on the mou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쉬-풀 로드는,
상기 수동 조작부와 연결되는 제1 로드;
상기 트림탭에 연결되는 제2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로드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제2 로드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로드;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푸쉬풀모터; 및
상기 푸쉬풀모터와 상기 실린더 로드를 연결하여 상기 푸쉬풀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실린더 로드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풀 로드는,
상기 수동 조작부의 조작으로 제1 로드를 직접 움직여 트림탭을 움직이는 수동 방식 또는 상기 푸쉬풀모터의 작동에 따라 실린더 로드를 움직여 푸쉬-풀 로드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트림탭을 움직이는 자동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트림탭을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push-pull rod,
a first rod connected to the manual control unit;
a second rod connected to the trim tab;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includes,
The first connection part,
a holder coupled to the first rod;
a cylinder coupled to the holder;
a cylinder rod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cond rod;
a push-pull motor coupled to the hold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ush-pull motor and the cylinder rod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ush-pull motor into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cylinder rod;
The push-pull rod,
Either a manual method of moving the trim tab by directly moving the first rod by manipulation of the manual control unit or an automatic method of moving the trim tab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push-pull rod by moving the cylinder ro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pull motor. An aircraft equipped with a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he trim tab in a mann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홀더바디;
상기 홀더바디에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암; 및 제2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은 각각 관통홀을 형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는 상기 관통홀의 타측에 결합하고,
상기 홀더바디에는 상기 푸쉬풀모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der,
holder body;
first arms extending from the holder body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second arm;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each include a curved surface facing each other forming a through hole,
The first ro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ylinder ro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hole;
An aircraft equipped with a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body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push-pull moto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장공형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로드에는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길이방향은 상기 푸쉬풀모터의 축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푸쉬풀모터의 축부와 연결되는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The method of claim 3,
An elongated guide hole is formed in the cylinder,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cylinder rod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through the guide hole inside the cylind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is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push-pull motor,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link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push-pull motor; and
An aircraft with a thrust deflection control device comprising a; second link connecting the first link and the guide protrus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푸쉬-풀 로드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를 둘러싸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로드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제1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 사이에서 상기 제2 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연결하지 못할 때,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를 둘러싸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로드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로드에 고정되는 제1 측부와, 상기 연결바디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로드와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제1 로드에 결합하는 제1 허브와, 상기 제1 허브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바디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제2 로드에 결합하는 제2 허브와, 상기 제2 허브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바디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는 상기 연결바디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포크는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허브는 상기 연결바디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스포크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편향 조종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The method of claim 4,
The push-pull ro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surround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second rod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respectively protrud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rod,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rod between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When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cannot be connecte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disposed on a connection body surround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 first side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ody and coupled to the first rod and fixed to the first rod,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ody. It includes a second side that is slidably coupled between the second rod and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The first side portion includes a first hub coupled to the first rod, and a plurality of first spoke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first hub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The second side portion includes a second hub coupled to the second rod, and a plurality of second spoke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second hub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The first hub is disposed rearward than the connection body so that the first spokes are inclined.
The second hub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nnection body, and the second spoke is inclined.
KR1020230021179A 2023-02-17 2023-02-17 Flying object with thrust vector controller Active KR1025487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179A KR102548773B1 (en) 2023-02-17 2023-02-17 Flying object with thrust vector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179A KR102548773B1 (en) 2023-02-17 2023-02-17 Flying object with thrust vector contro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773B1 true KR102548773B1 (en) 2023-06-28

Family

ID=8699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179A Active KR102548773B1 (en) 2023-02-17 2023-02-17 Flying object with thrust vector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77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695A (en) 1995-12-29 1997-07-24 김태구 Indoor ceiling structure for bus
JP2005205989A (en) * 2004-01-21 2005-08-04 Fuji Heavy Ind Ltd Disengagement device
CN103359285A (en) * 2012-03-27 2013-10-23 波音公司 Enhanced performance rotorcraft rotor blade
US20140061380A1 (en) * 2012-09-04 2014-03-06 Jie Zhao Modularized airplane structures and methods
US20160340025A1 (en) * 2014-05-20 2016-11-24 Mecaer Aviation Group S.P.A. Aircraft hybrid flight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695A (en) 1995-12-29 1997-07-24 김태구 Indoor ceiling structure for bus
JP2005205989A (en) * 2004-01-21 2005-08-04 Fuji Heavy Ind Ltd Disengagement device
CN103359285A (en) * 2012-03-27 2013-10-23 波音公司 Enhanced performance rotorcraft rotor blade
US20140061380A1 (en) * 2012-09-04 2014-03-06 Jie Zhao Modularized airplane structures and methods
US20160340025A1 (en) * 2014-05-20 2016-11-24 Mecaer Aviation Group S.P.A. Aircraft hybrid flight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1854B2 (en) Variable pitch rotor assembly for electrically driven vectored thrust aircraft applications
US11919630B2 (en) Separated lift-thrust VTOL aircraft with articulated rotors
US11912404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JP3668224B2 (en) Aircraft improvements
US8960592B1 (en) VTOL propulsion for aircraft
US7070145B2 (en) Tailboom-stabilized VTOL aircraft
US9878788B2 (en) Aircraft
EP0629164B1 (en) Thrust vectoring free wing aircraft
US7883051B2 (en) Ducted propulsion vector system
US20040075017A1 (en) Control of an aircraft as a thrust-vectored pendulum in vertical, horizontal and all flight transitional modes thereof
JPH08509930A (en) Aerodynamic auxiliary structure for unmanned air vehicles with counter-rotating coaxial rotor with duct
JPH06509770A (en) Shroud structure of unmanned aerial vehicle
JP2021529695A (en) Tail sitter
US11053003B2 (en) Cyclorotor thrust control, transmission and mounting system
US10889369B2 (en) Passive gust alleviation systems for aircraft devices
US11958593B2 (en) Passive mechanical rotor lock for small unmanned aircraft systems (UAS)
GB2583971A (en) Control arrangement for fluid borne vehicles
KR102548773B1 (en) Flying object with thrust vector controller
CN117465669B (en) A submersible aircraft
KR102548772B1 (en) Flying object with Wing-Rotor
JP2022150020A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CN119654277A (en) Ultra-quiet drone
AakarshDeep et al. Air Stream Flaps in an Ornitho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