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개시는 3GPP NR (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LTE-A), LTE-Pro,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L; DownLink)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L; UpLink)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UE; User Equipment 또는 MS; Mobile Station)이 기지국(eNode B 또는 BS; Base Station)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LTE 이후의 향후 통신 시스템으로서, 즉, 5G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 등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하는 서비스가 지원되어야 한다. 5G 통신시스템을 위해 고려되는 서비스로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통신(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대규모 기계형 통신(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초신뢰 저지연 통신(URLLC; Ultra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eMBB는 기존의 LTE, LTE-A 또는 LTE-Pro가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더욱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통신시스템에서 eMBB는 하나의 기지국 관점에서 하향링크에서는 20Gbps의 최대 전송 속도(peak data rate), 상향링크에서는 10Gbps의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5G 통신시스템은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증가된 단말의 실제 체감 전송 속도(User perceived data rate)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더욱 향상된 다중 안테나 (MIMO; Multi Input Multi Output) 전송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송수신 기술의 향상을 요구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LTE가 사용하는 2GHz 대역에서 최대 20MHz 전송대역폭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반면에 5G 통신시스템은 3~6GHz 또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20MHz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함으로써 5G 통신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동시에, 5G 통신시스템에서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mMTC가 고려되고 있다. mMTC는 효율적으로 사물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셀 내에서 대규모 단말의 접속 지원,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향상된 배터리 시간, 단말의 비용 감소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은 여러 가지 센서 및 다양한 기기에 부착되어 통신 기능을 제공하므로 셀 내에서 많은 수의 단말(예를 들어, 1,000,000 단말/km2)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서비스의 특성상 건물의 지하와 같이 셀이 커버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5G 통신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 대비 더욱 넓은 커버리지가 요구될 수 있다.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저가의 단말로 구성되어야 하며, 단말의 배터리를 자주 교환하기 힘들기 때문에 10~15년과 같이 매우 긴 배터리 생명시간(battery life time)이 요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RLLC의 경우, 특정한 목적(mission-critical)으로 사용되는 셀룰러 기반 무선 통신 서비스로서, 로봇(Robot) 또는 기계 장치(Machinery)에 대한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무인 비행장치(Unmanned Aerial Vehicle), 원격 건강 제어(Remote health care), 비상 상황 알림(emergency alert) 등에 사용되는 서비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URLLC가 제공하는 통신은 매우 낮은 저지연(초저지연) 및 매우 높은 신뢰도(초신뢰도)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는 0.5 밀리초보다 작은 무선 접속 지연시간(Air interface latency)를 만족해야 하며, 동시에 10-5 이하의 패킷 오류율(Packet Error Rate)의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위해 5G 시스템은 다른 서비스보다 작은 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t Time Interval)를 제공해야 하며, 동시에 통신 링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에서 넓은 리소스를 할당해야 하는 설계사항이 요구될 수 있다.
전술한 5G 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세가지 서비스들, 즉 eMBB, URLLC, mMTC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서비스들이 갖는 상이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간에 서로 다른 송수신 기법 및 송수신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mMTC, URLLC, eMBB는 서로 다른 서비스 유형의 일 예일 뿐, 본 개시의 적용 대상이 되는 서비스 유형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LTE, LTE-A, LTE Pro 또는 5G(또는 NR,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한 개 이상의 기지국 및 한 개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며 비면허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다른 비면허대역을 사용하는 무선전송기술들과 공존을 위하여 전송 전 채널 센싱을 수행해야 하는 기지국과 단말이 효과적으로 동기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한 개 이상의 기지국 및 한 개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에서 단말이 부분 주파수 대역(Bandwidth Part; 이하 BWP),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 이하 DC), 또는 보조 상향링크 전송 (Supplementary Uplink; 이하 SUL)과 관련하여 스스로 해결 불가능한 장치 내 공존(In Device Coexistence; 이하 IDC) 문제를 발견 시 이를 망에게 보고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단말은 망에게 자신의 역량(Capability)을 알리기 위해 어떠한 정보구조(Information Element)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구조는 해당 단말이 BWP, DC, 또는 SUL 과 관련된 IDC 문제를 판단하고 IDC 문제에 대한 정보를 망으로 전송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대역에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필연적으로 주파수대역을 다른 비면허 무선통신 단말 및 기지국들(예를 들면 무선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LTE LAA 단말들)과 공유해야 하기 때문에, 비면허대역에서의 무선 전송은 자원의 점유를 위한 경쟁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쟁에서 서로 다른 단말의 전송으로 인한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전송 전에 채널 상황을 살피는 Listen-Before-Talk(이하 LBT)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다른 단말의 채널 점유 및 해당 단말의 LBT 수행으로 인해 비면허대역에서는 어떠한 미래의 특정한 전송 시점을 예약하더라도 해당 전송 시점에 확정적으로 전송을 성공 시키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송신단과 수신단 간에 어떠한 특정 시점을 예약하기 보다는 특정한 시점에서 시작하여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어떠한 구간(window duration)을 예약하고 해당 구간에서 송신 및 수신을 시도하는 방법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indow) 구간을 가지고 설정되는 주기적인 동기 신호 송수신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특정 시간부터 동기 신호 전송 윈도우(window) 구간을 시작하고, 윈도우(window) 구간이 지속되는 동안 LBT 및 동기신호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윈도우(window) 구간 내에 전송을 성공하거나, 전송을 성공하지 못하였는데 윈도우(window) 구간이 종료되면 기지국은 다음 주기에 시작되는 윈도우(window) 구간을 기다릴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의 동기 신호 전송은 단말이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파악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단 한번의 동기 신호 검출로도 단말은 동기 신호 전송에 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동기 신호 전송에 관한 정보는 어떠한 동기 신호 묶음(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내에 동시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는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Master Information Bit (MIB), Secondary Information Bit (SIB),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PBCH payload 등을 인접한 서로 다른 OFDM symbol 및 주파수 대역으로 묶어서 다음과 같이 전송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묶음(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이하 SSB)의 예시를 보여준다.
기지국은 동기 신호 묶음(SSB) 내에 동기 신호의 주기 정보, 그리고 및 동기 신호 전송 윈도우 구간(window duration)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동기 신호의 주기 정보를 다음과 같이 PSS, SSS, MIB, SIB1, SIB2 등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동기 신호 전송 윈도우 구간(window duration) 정보 역시 다음과 같이 PSS, SSS, MIB, SIB1, SIB2 등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윈도우 구간(window duration) 의 길이를 subframe 의 배수, half frame의 배수, slot의 배수, OFDM symbol의 배수, 또는 어떠한 특정 주기(예를 들면 모든 빔에 대한 SSB들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배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c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비면허대역에서 동기 신호 송신 윈도우(window) 구간을 이용한 주기적인 SSB 송신 및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말이 Idle 모드가 아닌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SSB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단말이 Idle 모드인 경우, 단말은 블라인드(blind) SSB 검출(detection)을 시작할 수 있다.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돌아오는 윈도우 구간(window duration) 내에서 LBT 성공 시, SSB를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SSB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SSB를 통해 동기 신호(PSS, SSS)를 검출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MIB, SIB, 및 DMRS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SSB를 통해 동기 신호 송신 주기, 동기 신호 offset, 및 윈도우 구간(window duration)을 파악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은 이상의 프로세스를 SSB 송수신 주기마다 반복할 수 있다.
도 1d 및 도 1e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NR에서의 기지국의 SSB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면허대역에서는 기존의 LTE나 NR과 같은 면허대역과는 달리, 기지국이 고정된 시간에 SSB 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d를 참조하면 NR에서 기지국은 프레임(Frame) 내의 어떠한 고정된 OFDM symbol 위치에서만 특정 SSB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단순히 SSB 1 및 2를 전송하는 경우의 프레임(frame) 구조가 도 1e에 나와있다.
도 1f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서로 다른 SSB Burst Length 안에서 전송하는 SSB들과, SSB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Occationindex를 도시한다.
비면허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윈도우(window)를 사용하고 LBT를 성공해야 SSB의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비면허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 내의 고정된 위치에서만 SSB를 전송할 수 있는 경우 SSB의 전송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윈도우(Window) 구간 내에서 해당 위치 이전에 LBT를 성공 하지 못하면 단말은 결국 다음 주기까지 기다려야 하고, 다음 주기의 윈도우(window) 구간이 돌아오더라도 해당 구간 내에서 SSB 의 위치 이전에 LBT가 성공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본 개시에서는 SSB 전송을 완료하는 주기를 SSB Burst Length 라고 정의하고, 해당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동일한 offset(예를 들면 도 1e의 O1 과 O2)를 갖는 SSB를 전송할 것을 제안한다. 기지국은 SSB를 전송하는 위치를 SSB Burst Length 의 배수로 설정할 수 있으며, SSB 내에서 단말에게 제공하는 윈도우(window) 구간 또한 SSB Burst Length 의 배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단말이 Half Frame, Radio Frame boundary를 제대로 찾게 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전송되는 SSB가 몇 번째 반복된 SSB Burst Length 내에 속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 알려줘야 하고, 이를 Occasionindex라고 지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Occasionindex를 SSB 내의 PSS/SSS/PBCH/DMRS/MIB/SIB/PBCH payload 내에 포함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g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SSB Burst Length 주기로 SSB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ga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4개의 SSB burst length 를 윈도우(window) 구간으로 갖는 SSB 전송을 시도하고 있으며, 해당 윈도우(window) 구간 내에서 LBT를 시도하여 첫 번째 SSB Burst Length 가 끝나기 전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기지국이 LBT를 성공한 시점은 이미 SSB 전송을 시작하기에는 늦은 시점이기에 기지국은 다음 SSB Burst Length 가 올 때까지 기다리며 defer 신호를 전송한다. 해당 defer 신호는 다른 단말의 채널 점유를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채널 점유 신호일 수 있으며,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종류의 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defer 신호로서 전송할 수 있다.
- Noise 만 존재하는 전력 신호
- Broadcast 되는 특정 Defer 신호
- 특정 단말에게 전송하는 특정 Defer 신호
- 특정 단말에게 전송하는 특정 data 신호
도 1ga를 참조하면, defer 신호 전송이 끝난 뒤 새로운 SSB Burst Length 가 시작되면, 기지국은 적합한 Occasionindex를 포함하는 SSB들을 정해진 위치에서 전송한다. 모든 전송이 끝난 뒤 기지국은 Ending Partial 신호를 단말에 전송하여 SSB 들의 전송이 끝났음을 알릴 수 있다.
도 1g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SSB Burst Length 주기로 SSB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ga는 도 1ga의 또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gb에서 기지국은 긴 대기 시간 동안 defer 신호를 전송하는 대신 예약 신호를 전송하고 자원을 풀어주어 다른 단말들 또는 다른 RAT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지국이 전송하는 예약 신호는 자원을 예약하는 주체(예를 들면 Cell ID, PLMN Info, RRH Id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예약을 실행할 시점(예를 들면 다음 SSB Burst Length가 시작하는 OFDM Symbol 번호, Subframe 번호 (SFN), slot 번호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자원을 open 하는 시간 duration 정보가 Subframe, slot, OFDM symbol의 배수와 같은 형태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예약 신호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gc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SSB Burst Length 주기로 SSB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gc는 도 1gb의 또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gc에서 기지국은 긴 대기 시간 동안 defer 신호를 전송하는 대신 예약 신호를 전송하고 자원을 풀어주어 다른 단말들 또는 다른 RAT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gc의 실시예와 도 1gc의 실시예의 차이점은, 도 1gc 는 예약시점이 다가오면 기지국이 사전에 매우 짧은 LBT를 수행하여 채널이 사용 가능한지를 한번 더 체크한다는 점이다. 비면허대역 자원은 LTE LAA, NR Unlicensed 뿐만 아니라 무선랜, 블루투스, 지그비 등 다양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이 사용 가능하므로 예약 신호의 정보를 이해하지 못하고 자원을 점유하고 사용하는 시스템이 존재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지국은 예약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는 안전한 전송을 위하여 LBT를 수행하고 만약 자원이 다른 시스템에 의하여 점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 기회를 노리는 것이다.
도 1h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SSB Burst Length를 이용한 비면허대역에서의 SSB 송수신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단말이 Idle 모드가 아닌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SSB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단말이 Idle 모드인 경우, 단말은 블라인드(blind) SSB 검출(detection)을 시작할 수 있다.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돌아오는 윈도우 구간(window duration) 내에서 LBT 성공 시, 다음 SSB Burst Length 시작 전까지 Defer 신호(또는, 다른 DL 신호)를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SSB Burst Length 시작 후 정해진 위치에서 Occasion index를 포함한 SSB를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SSB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SSB를 통해 동기 신호(PSS, SSS)를 검출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MIB, SIB, 및 DMRS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SSB를 통해 동기 신호 송신 주기, 동기 신호 offset, 및 윈도우 구간(window duration)을 파악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SSB 내의 Occasion index를 이용해 수신한 SSB가 몇 번째 SSB Burst Length에서 송수신된 SSB인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수신한 SSB 내에 포함된 정보들을 이용해 Frame boundary를 검출(detection)할 수 있다.
도 1i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SSB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i에서는 기지국의 LBT가 하나의 SSB Burst Length 시작점 이전에는 종료되지 못했지만 실질적인 SSB 전송 시작 전에는 종료된 경우, 기지국은 예정된 위치에서의 SSB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i에서와 같이, LBT의 종료시점은 SSB Burst Length 이전에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질적인 SSB 전송 시작 전에만 LBT 가 종료되면 된다.
도 1j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SSB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j에서는 기지국의 LBT가 어떠한 SSB(예를 들어, 도 1j의 SSB1의 시작점 이전)에는 종료되지 못했지만 다른 SSB(예를 들어, 도 1j의 SSB2)의 전송 시작 전에는 종료된 경우, 기지국은 SSB2부터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j와 같이, LBT의 종료시점은 SSB Burst Length 이전에 발생하지 않아도 될 수 있으며, 어떤 시점에든지 전송 가능한 SSB가 남아 있으면 해당 SSB부터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자원이 점유된 뒤 전송하기로 한 모든 SSB들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예를 들면 도 1j에서 SSB 1 과 2를 한 번씩 전송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은 SSB1의 전송을 위하여 일정 시간 Defer가 필요할 수도 있다. 기지국이 보내야 하는 전체 SSB의 수가 K 개라고 할 때, 기지국은 LBT가 종료된 후 전송 가능한 SSB 번호가 L 이라면 L 부터 K 까지는 해당 SSB Burst Length 에서 동일한 Occasion index로 SSB를 전송하고, 1 번 SSB 부터 L-1 번 SSB 까지는 다음 SSB Burst Length 에서 앞의 L 내지 K 번까지와는 다른(예를 들면 index가 하나 증가한) Occasion index를 가지고 SSB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e 내지 도 1gc, 도 1i, 및 도 1j의 실시예들은 Radio frame 내에서 SSB를 전송하는 OFDM symbol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예 (도 1e) 및 어떠한 SSB Burst Length 내에서 SSB를 전송하는 OFDM symbol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SSB Burst Length 는 어떠한 SSB Window 구간 내에서 반복될 수 있는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보다 더 유연하고 자유로운 전송 방법은, SSB 위치를 어떠한 곳에도 고정하지 않고 LBT가 끝나면 바로 전송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1k 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LBT가 끝난 직후 바로 SSB 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된 SSB 전송 위치가 존재하지 않기에 기지국은 LBT가 끝나면 바로 SSB를 전송할 수 있다.
고정된 SSB 전송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SSB 전송 방법은 불필요한 대기 시간 및 잉여 시간이 존재하지 않아 가장 효율적이고 빠른 SSB 전송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송을 위해서는 Slot 및 Frame boundary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각각의 SSB들이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전송되어야 하는 정보들이 필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SB들에 포함되어 전송되어야 하는 정보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Slot 내에서 SSB가 전송되는 위치 특정을 위한 OFDM symbol 번호
- Subframe 내에서 SSB가 전송되는 slot 특정을 위한 slot 번호
기지국이 위의 두 정보만 추가적으로 단말에게 전송해 준다면, 단말은 SSB를 수신하는 OFDM symbol 번호를 알 수 있어 Slot boundary를 특정할 수 있게 되고, slot 번호를 알 수 있어 Radio frame boundary를 특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Slot 내에서 SSB 전송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OFDM symbol 번호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한 개 slot 내 OFDM symbol은 최대 14개가 들어갈 수 있다. 모든 Symbol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4 bit의 추가 정보가 SSB 내 PSS/SSS/MIB/SIB/DMRS/PBCH payload 등에 포함되어 전송되어야 한다.
- PSS/PBCH/SSS/PBCH 의 4 개 OFDM symbol이 하나의 SSB를 구성할 때, 3개 symbol을 뺀 11개 OFDM symbol 만이 SSB의 시작 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11개 Symbol을 지칭할 bit가 필요하고 여전히 4 bit가 필요할 수 있다. SSB가 전송되는 Slot 번호를 M 이라 할 때, 11개의 Symbol 번호들은'Mx14+N' 으로 표현 가능하며 여기서 N은 slot 내에서의 OFDM symbol 번호로 0 부터 13까지 존재한다. 여기서 11개의 Symbol 번호들은 PSS 위치, PBCH 위치, SSS 위치 등을 특정함에 따라 'Mx14+0 내지 Mx14+11', 'Mx14+1 내지 Mx14+12', 'Mx14+2 내지 Mx14+13', 'Mx14+3 내지 Mx14+14'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4 bit의 추가 정보는 SSB 내 PSS/SSS/MIB/SIB/DMRS/PBCH payload 등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 전송되는 bit 수를 더 줄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규칙을 정할 필요가 있다. 11 symbol 을 8 symbol 로 3개를 더 줄이면 3bit만 전송하여도 된다. 3개 symbol을 줄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더 존재할 수 있다.
- SSB전송은 slot 내 a, b, c 위치의 symbol에서 시작하지 않도록 한다. 이 때 {a,b,c} 각각의 symbol은 단말과 망이 서로 사전에 알고 있거나 SSB 내 포함되어 전송되는 정보이며 slot 내 0번째 내지 13번째 안에서 어떠한 조합이라도 가능하다. 예: {0,6,13}, {0,7,13}, {0,1,13}, {0,12,13}, …
- SSB 전송을 홀수(또는 짝수) 번째 OFDM symbol에서만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홀수/짝수 정보는 1 bit 지시자로 PSS/SSS/MIB/SIB/DMRS/PBCH payload 등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 3 bit의 추가 정보는 SSB 내 PSS/SSS/MIB/SIB/DMRS/PBCH payload 등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 전송되는 bit 수를 더 줄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규칙을 정할 필요가 있다. 11 symbol 을 4 symbol 로 줄이면 2bit만 전송하여도 된다. 전송 symbol을 줄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더 존재할 수 있다.
- SSB전송은 slot 내 a, b, c, d 위치의 symbol에서만 시작 가능하도록 한다. 이 때 {a,b,c,d} 각각의 symbol은 단말과 망이 서로 사전에 알고 있거나 SSB 내 포함되어 전송되는 정보이며 slot 내 0번째 내지 13번째 안에서 어떠한 조합이라도 가능하다. 예: {0,3,6,9}, {1,4,7,10}, {2,4,6,8}, {1,3,5,7}, …
- 2 bit의 추가 정보는 SSB 내 PSS/SSS/MIB/SIB/DMRS/PBCH payload 등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Half frame 내에서 SSB 전송 Slot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Slot 번호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Subcarrier spacing 에 따라 slot 번호는 0부터 최대 80까지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중 이미 SSB 내 포함되어 있는 half frame index 1 bit를 고려하면 추가적으로 단말에게 알려주어야 하는 최대 slot 번호는 40개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최대 6 bit의 추가 정보가 SSB 내 PSS/SSS/MIB/SIB/DMRS/PBCH payload 등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1k에 따른 유연한 SSB 전송 방법은 고정된 위치의 SSB 전송이 가지는 불필요한 대기시간 및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망은 단말에게 해당 망이 유연한 SSB 전송 방법을 채택하고 있음을 알려주거나 채택하고 있지 않음을 알려주는 1 bit 지시자를 SSB 내 PSS/SSS/MIB/SIB/DMRS/PBCH payload 등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역량 정보를 망에게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망(예를 들면 NR 기지국 또는 EUTRAN 기지국)은 RRC_CONNECTED 상태에 있는 단말에게 단말 역량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UECapabilityEnquiry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UECapabilityEnquiry 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다양한 단말 역량 정보를 포함하여 UECapabilityInforamtion 신호를 작성하고 이를 망에게 전송할 수 있다. UECapabilityInformation 신호를 생성할 때 단말은 다중 BWP 지원 여부, LTE-NR DC, NR-LTE DC, 또는 NR-NR DC와 같은 다양한 DC 구조 지원 여부, SUL 지원 여부 및 이러한 다중 BWP, DC, SUL 들을 사용하는 경우 IDC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역량이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포함하여 UECapabilityInformation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의 경우 해당 DC와 관련된 문제를 망에게 보고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음을 아래와 같은 메시지들을 포함하여 상기 UECapabilityInforamtion 신호를 생성하고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ECapabilityInforamtion 신호는 단말이 지원하는 다양한 역량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DC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IDC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 단말은 inDeviceCoexInd-UL-DC를 'supported'로 설정한 메시지를 포함하여 UECapabilityInforamtion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DeviceCoexInd-UL-DC 는 단말이 IDC를 지원하는 경우, 예를 들면 단말이 inDeviceCoexInd 를 UECapabilityInforamtion 신호 내에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만 설정 될 수도 있다.
UECapabilityInforamtion 신호는 단말이 지원하는 다양한 역량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한 개 이상의 BWP를 설정받고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중 BWP들에서 단말은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IDC 문제를 발견할 수도 있다. 이러한 IDC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단말의 경우 IDC 문제가 발견된 해당 BWP와 관련된 IDC 문제를 망에게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이러한 BWP 관련 IDC 문제를 보고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음을 망에게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포함한 UECapabilityInforamtion 신호를 전송하여 알려줄 수 있다.
inDeviceCoexInd-UL-BWP 는 단말이 IDC를 지원하는 경우, 예를 들면 단말이 inDeviceCoexInd 를 UECapabilityInforamtion 신호 내에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만 설정 될 수도 있다.
UECapabilityInforamtion 신호는 단말이 지원하는 다양한 역량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한 개 이상의 SUL를 설정받고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중 SUL들에서 단말은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IDC 문제를 발견할 수도 있다. 이러한 IDC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단말의 경우 IDC 문제가 발견된 해당 SUL와 관련된 IDC 문제를 망에게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이러한 SUL관련 IDC 문제를 보고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음을 망에게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포함한 상기 UECapabilityInforamtion 신호를 전송하여 알려줄 수 있다.
inDeviceCoexInd-UL-SUL 는 단말이 IDC를 지원하는 경우, 예를 들면 단말이 inDeviceCoexInd 를 UECapabilityInforamtion 신호 내에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만 설정 될 수도 있다.
상기 네 가지 단말의 IDC 문제 관측 및 보고 역량을 포함하는 메시지 구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역량 정보를 망에게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IDC 정보 제공을 지원하는 단말은 UECapabilityInforamtion를 망에게 제공하여 단말 역량을 망에게 알려 줄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 역량을 알고 있는 망은 RRC 신호를 통해 단말에게 IDC 정보 제공을 설정할 수 있다. IDC 정보 제공을 설정 받은 단말은 설정된 IDC 문제가 발생하는지 모니터링 하다가 IDC 문제 발생시 관련 정보를 포함한 보고 신호를 생성하여 망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단말 동작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단말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1> 만약 수신한 RRCConfig 신호 내에 idc - Config 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판단:
2> 만약 RRCConfig 신호 내에 idc - Config 이 포함되어 있다면 (i.e. setup으로 설정):
3> 단말은 IDC indication을 전송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하고 (간주하고) IDC indication 관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3> 만약 idc - Config 내에 idc - Indication -UL- CA 이 포함되어 있다면 (i.e. setup으로 설정):
4> 단말은 UL CA 관련 정보를 IDC indication내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하고 (간주하고) IDC indication 관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3> 만약 idc - Config 내에 idc - Indication -UL- DC 이 포함되어 있다면 (i.e. setup으로 설정):
4> 단말은 UL DC 관련 정보를 IDC indication내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하고 (간주하고) IDC indication 관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3> 만약 idc - Config 내에 idc - Indication -UL- BWP 이 포함되어 있다면 (i.e. setup으로 설정):
4> 단말은 UL BWP 관련 정보를 IDC indication내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하고 (간주하고) IDC indication 관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3> 만약 idc - Config 내에 idc - Indication -UL- SUL 이 포함되어 있다면 (i.e. setup으로 설정):
4> 단말은 UL SUL 관련 정보를 IDC indication내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하고 (간주하고) IDC indication 관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2> 그렇지 않다면(즉, RRCConfig 신호 내에 idc - Config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3> 단말은 IDC indication을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된 것으로 간주한다;
단말은 idc-Config 를 포함하고 있는 RRCConfig 메시지(예를 들면 otherConfig) 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RRCConfig 메시지 내에 idc-Indication 이 설정되었는지를 확인 수 있다. 만약 idc-Indication 이 설정(예를 들면 Setup 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은 망에게 IDC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단말은 RRCConfig 메시지 내에 idc-Indication-UL-CA 가 설정되었다면 Carrier Aggregation 관련 IDC 정보를 망에게 제공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RRCConfig 메시지 내에 idc-Indication-UL-DC 가 설정되었다면 Dual Connectivity 관련 IDC 정보를 망에게 제공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RRCConfig 메시지 내에 idc-Indication-UL-BWP 가 설정되었다면 Bandwidth Part 관련 IDC 정보를 망에게 제공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RRCConfig 메시지 내에 idc-Indication-UL-SUL 가 설정되었다면 Supplementary Uplink 관련 IDC 정보를 망에게 제공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RRCConfig 메시지 내에 HardwareSharingIndicationEutra 가 설정되었다면 단말이 E-UTRA 시스템에서 겪는 단말 스스로가 해결할 수 없는 하드웨어 문제 발생 정보를 망에게 제공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RRCConfig 메시지 내에 HardwareSharingIndicationNR 이 설정되었다면 단말이 NR 시스템에서 겪는 단말 스스로가 해결할 수 없는 하드웨어 문제 발생 정보를 망에게 제공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idc-Config 설정 정보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말은 설정 받은 정보에 따라 각각의 자원 및 연결에 대한 IDC 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어떠한 IDC 문제가 해당 자원 및 연결에 대하여 관측되거나 기타 IDC 문제 정보 송신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은 아래와 같은 동작으로 해당 IDC 문제에 대한 정보를 망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trigger하고 시작할 수 있다.
IDC indication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고 IDC indiction을 제공하도록 설정받은 단말은 다음 절차들을 IDC 문제 정보의 변경 상황에 따라 시작할 수 있다.
절차의 시작에 따라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 만약 단말이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2> 만약 단말이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 받은 뒤 한 번도 InDeviceCoexIndication 신호를 전송한 적이 없는 경우:
3> 만약 한 개 이상의 주파수들이 measObjectEUTRA 로 설정되어 있고, 단말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IDC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면; 또는
3> 만약 한 개 이상의 주파수들이 measObjectNR 로 설정되어 있고, 단말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IDC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면; 또는
3> 만약 UL CA(Uplink Carrier Aggregation)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 가 설정 되어 있는 carrier frequency들과 관련된 UL CA 조합들에 대해서, 단말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IDC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면:
4> 단말은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한다;
3> 만약 UL DC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 가 설정 되어 있는 carrier frequency들과 관련된 UL DC 조합들에 대해서, 단말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IDC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면:
4> 단말은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한다;
3> 만약 UL BWP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 가 설정 되어 있는 carrier frequency들과 관련된 UL BWP 조합들에 대해서, 단말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IDC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면:
4> 단말은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한다;
3> 만약 UL SUL과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 가 설정 되어 있는 carrier frequency들과 관련된 UL SUL 조합들에 대해서, 단말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IDC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면:
4> 단말은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한다;
2> 그렇지 않다면(즉, 단말이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 받은 뒤 InDeviceCoexIndication 신호를 전송한 적이 있는 경우):
3> 만약 한 개 이상의 주파수들이 measObjectEUTRA 로 설정되어 있고 단말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IDC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주파수들의 set 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가 지시하는 set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한 개 이상의 주파수들이 measObjectNR 로 설정되어 있고 단말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IDC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주파수들의 set 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가 지시하는 set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이전에 보고된 주파수들의 set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주파수들에 대해서, interferenceDirection 값이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interferenceDirection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이전에 보고된 주파수들의 set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주파수들에 대해서, AffectedDlBWPList 값이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AffectedDlBWPList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이전에 보고된 주파수들의 set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주파수들에 대해서, AffectedUlBWPList 값이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했던 AffectedUlBWPList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이전에 보고된 주파수들의 set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주파수들에 대해서, SUL - Id 값이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SUL-Id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TDM 보조 정보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TDM 보조 정보와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CA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victimSystemType 이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victimSystemType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CA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affectedCarrierFreqCombList 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affectedCarrierFreqCombList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CA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AffectedUlBWPList 가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AffectedUlBWPList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CA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SUL - Id 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SUL - Id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DC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victimSystemType 이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victimSystemType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DC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affectedCarrierFreqCombList 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affectedCarrierFreqCombList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DC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AffectedUlBWPList 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AffectedUlBWPList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DC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SUL - Id 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SUL - Id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BWP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victimSystemType 이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victimSystemTyp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BWP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affectedCarrierFreqCombList 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affectedCarrierFreqCombList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BWP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AffectedUlBWPList 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AffectedUlBWPList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BWP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SUL - Id 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SUL-Id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SUL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victimSystemType 이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victimSystemType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SUL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affectedCarrierFreqCombList 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affectedCarrierFreqCombList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SUL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AffectedUlBWPList 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AffectedUlBWPList 값과 다르다면; 또는
3> 만약 UL SUL와 관련된 IDC indication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SUL - Id 가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했던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 내 포함된 SUL-Id 값과 다르다면:
4> 단말은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한다;
NOTE 1: The term "IDC problems" refers to interference issues applicable across several subframes/slots where not necessarily all the subframes/slots are affected.
NOTE 2: For the frequencies on which a serving cell or serving cells is configured that is activated, IDC problems consist of interference issues that the UE cannot solve by itself, during either active data exchange or upcoming data activity which is expected in up to a few hundred milliseconds.
For frequencies on which a SCell or SCells is configured that is deactivated, reporting IDC problems indicates an anticipation that the activation of the SCell or SCells would result in interference issues that the UE would not be able to solve by itself.
For a non-serving frequency, reporting IDC problems indicates an anticipation that if the non-serving frequency or frequencies became a serving frequency or serving frequencies then this would result in interference issues that the UE would not be able to solve by itself.
단말의 IDC 송신 신호 생성 절차에서고려하는 단말이 생성하고 망에게 보고하는 IDC 정보 신호 (InDeviceCoexIndication) 내에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IDC 정보 신호 (InDeviceCoexIndication) 내에 포함된 IDC 정보에는 아래와 같은 IDC 의 영향을 받는 E-UTRA 캐리어 주파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maxFreqIDCEutra는 E-UTRA에서 IDC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최대 캐리어 주파수 수이다. maxFreqIDCEutra 는 maxFreqIDCNR과 같은 값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하나의 상수(maxFreqIDC)로 maxFreqIDCNR 및 maxFreqIDCEutra를 대체할 수도 있다.
carrier frequency는 NR 서빙셀과 비 서빙셀에 대하여 Measurement Object Id 또는 ARFCN 값을 통해 단말이 주파수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interferenceDirection 은 IDC로인한 간섭의 영향을 받는 피해자 무선 시스템 (victim radio) 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AffectedDlBWPList는 IDC로인한 간섭의 영향을 받는 피해 하향링크 BWP들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AffectedDlBWPList는 IDC로인한 간섭의 영향을 받는 피해 상향링크 BWP들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AffectedDlBWPList 및 AffectedUlBWPList 등의 List 들은 한 개의 값만을 설정하도록, 예를 들면 AffectedDlBWP 및 AffectedUlBWP 등의 아래의 양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BWP 관련 필드들인 AffectedDlBWPList, AffectedUlBWPList, AffectedDlBWP, 및 AffectedUlBWP 에는 interferenceDirectionIsNR라는 설정 조건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EUTRA에는 BWP 설정이 없기에 오직 IDC 간섭의 영향을 받는 시스템에 NR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만 해당 BWP 관련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는 조건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IDC 정보 신호 (InDeviceCoexIndication) 내에 포함된 IDC 정보에는 아래와 같은 IDC 의 영향을 받는 NR 캐리어 주파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maxFreqIDCNR은 NR에서 IDC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최대 캐리어 주파수 수 가 될 수 있다. 이 maxFreqIDCNR 은 maxFreqIDCEutra와 같은 값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하나의 상수(maxFreqIDC)로 maxFreqIDCNR 및 maxFreqIDCEutra를 대체할 수도 있다.
carrier frequency는 NR 서빙셀과 비 서빙셀에 대하여 Measurement Object Id 또는 ARFCN 값을 통해 단말이 주파수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interferenceDirection 은 IDC로인한 간섭의 영향을 받는 피해자 무선 시스템 (victim radio) 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AffectedDlBWPList는 IDC로인한 간섭의 영향을 받는 피해 하향링크 BWP들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AffectedDlBWPList는 IDC로인한 간섭의 영향을 받는 피해 상향링크 BWP들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AffectedDlBWPList 및 AffectedUlBWPList 등 List 들은 한 개의 값만을 설정하도록, 예를 들면 AffectedDlBWP 및 AffectedUlBWP 등의 아래의 양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단말의 IDC 송신 신호 생성 절차에서 고려하는 단말이 생성하고 망에게 보고하는 IDC 정보 신호 (InDeviceCoexIndication) 내에는 다음과 같은 UL CA 관련 IDC 의 영향을 받는 보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UL CA 관련 보조 정보에는 해당 UL CA에서 발견된 IDC로 인한 영향을 받는 carrier frequency들의 조합 정보가 affectedCarrierFreqCombList라는 이름의 필드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최대 maxCombIDC 개수의 영향을 받는 주파수 조합 (AffectedCarrierFreqComb)들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AffectedCarrierFreqComb 는 두 개 이상, 최대 maxServCell 개 이하의 상향링크(UL) 주파수 정보들 (AffectedCarrierFreqUL) 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여기서 UL 주파수 정보 (AffectedCarrierFreqUL) 는 carrier frequency, SUL indicator, 및 AffectedUlBWPLis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UL CA 관련 보조 정보에는 해당 UL CA에서 발견된 IDC로 인하여 피해를 받는 victimSystemType 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단말의 IDC 송신 신호 생성 절차에서 고려하는 단말이 생성하고 망에게 보고하는 IDC 정보 신호 (InDeviceCoexIndication) 내에는 다음과 같은 UL DC 관련 IDC 의 영향을 받는 보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UL DC 관련 보조 정보에는 해당 UL DC에서 발견된 IDC로 인한 영향을 받는 carrier frequency들의 조합 정보가 affectedCarrierFreqCombList라는 이름의 필드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최대 maxCombIDC 개수의 영향을 받는 주파수 조합 (AffectedCarrierFreqComb)들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AffectedCarrierFreqComb 는 두 개 이상, 최대 maxServCell 개 이하의 상향링크(UL) 주파수 정보들 (AffectedCarrierFreqUL) 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여기서 UL 주파수 정보 (AffectedCarrierFreqUL) 는 carrier frequency, SUL indicator, 그리고 AffectedUlBWPLis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의 IDC 송신 신호 생성 절차에서 고려하는 단말이 생성하고 망에게 보고하는 IDC 정보 신호 (InDeviceCoexIndication) 내에는 다음과 같은 UL BWP 관련 IDC 의 영향을 받는 보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UL BWP 관련 보조 정보에는 해당 UL BWP들에서 발견된 IDC로 인한 영향을 받는 carrier frequency들의 조합 정보가 affectedCarrierFreqCombList라는 이름의 필드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최대 maxCombIDC 개수의 영향을 받는 주파수 조합 (AffectedCarrierFreqComb)들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AffectedCarrierFreqComb 는 두 개 이상, 최대 maxServCell 개 이하의 상향링크(UL) 주파수 정보들 (AffectedCarrierFreqUL) 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여기서 UL 주파수 정보 (AffectedCarrierFreqUL) 는 carrier frequency, SUL indicator, 그리고 AffectedUlBWPLis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의 IDC 송신 신호 생성 절차에서 고려하는 단말이 생성하고 망에게 보고하는 IDC 정보 신호 (InDeviceCoexIndication) 내에는 다음과 같은 UL SUL 관련 IDC 의 영향을 받는 보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UL SUL 관련 보조 정보에는 해당 UL SUL들에서 발견된 IDC로 인한 영향을 받는 carrier frequency들의 조합 정보가 affectedCarrierFreqCombList라는 이름의 필드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최대 maxCombIDC 개수의 영향을 받는 주파수 조합 (AffectedCarrierFreqComb)들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AffectedCarrierFreqComb 는 두 개 이상, 최대 maxServCell 개 이하의 상향링크(UL) 주파수 정보들 (AffectedCarrierFreqUL) 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여기서 UL 주파수 정보 (AffectedCarrierFreqUL) 는 carrier frequency, SUL indicator, 그리고 AffectedUlBWPLis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IDC 정보 신호(InDeviceCoexIndication) 를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생성한 뒤 망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InDeviceCoexIndication 신호를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1> 만약 적어도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E-UTRA 캐리어 주파수가 IDC 문제를 겪는 경우:
2> IDC 문제들의 영향을 받는 각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E-UTRA 캐리어 주파수에 대하여 affectedCarrierFreqListEutra 필드를 포함한다;
2> 각각의 affectedCarrierFreqListEutra 에 포함된 E-UTRA 캐리어 주파수에 대하여, interferenceDirection 필드를 포함하고 설정한다;
1> 만약 단말이 UL CA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CA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2> ul - CA - AssistanceInfo 에 victimSystemType 을 포함시킨다;
2> 만약 단말이 victimSystemType 을 wlan 또는 Bluetooth로 설정하는 경우:
3> ul - CA - AssistanceInfo 내에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CA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affectedCarrierFreqCombList 를 포함시킨다;
2> 그렇지 않으면(즉, 단말이 victimSystemType 을 wlan 또는 Bluetooth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
3> ul - CA - AssistanceInfo 내에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CA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affectedCarrierFreqCombList 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킨다;
1> 만약 단말이 UL DC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DC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2> ul - DC - AssistanceInfo 에 victimSystemType 을 포함시킨다;
2> 만약 단말이 victimSystemType 을 wlan 또는 Bluetooth로 설정하는 경우:
3> ul - DC - AssistanceInfo 내에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DC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affectedCarrierFreqCombList 를 포함시킨다;
2> 그렇지 않으면(즉, 단말이 victimSystemType 을 wlan 또는 Bluetooth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
3> ul - DC - AssistanceInfo 내에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DC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affectedCarrierFreqCombList 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킨다;
1> 만약 단말이 UL BWP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BWP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2> ul - BWP - AssistanceInfo 에 victimSystemType 을 포함시킨다;
2> 만약 단말이 victimSystemType 을 wlan 또는 Bluetooth로 설정하는 경우:
3> ul - BWP - AssistanceInfo 내에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BWP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affectedCarrierFreqCombList 를 포함시킨다;
2> 그렇지 않으면(즉, 단말이 victimSystemType 을 wlan 또는 Bluetooth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
3> ul - BWP - AssistanceInfo 내에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BWP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affectedCarrierFreqCombList 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킨다;
1> 만약 단말이 UL SUL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SUL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2> ul - SUL - AssistanceInfo 에 victimSystemType 을 포함시킨다;
2> 만약 단말이 victimSystemType 을 wlan 또는 Bluetooth로 설정하는 경우:
3> ul - SUL - AssistanceInfo 내에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SUL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affectedCarrierFreqCombList 를 포함시킨다;
2> 그렇지 않으면(즉, 단말이 victimSystemType 을 wlan 또는 Bluetooth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
3> ul - SUL - AssistanceInfo 내에 IDC 문제들에 영향을 받는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UL SUL combination 이 존재하는 경우 affectedCarrierFreqCombList 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킨다;
1> 만약 idc -HardwareSharingIndicationEutra 이 설정되었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E-UTRA 캐리어 주파수가 단말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하드웨어 문제를 겪는 경우:
2> hardwareSharingProblem 을 포함하고 적절히 세팅한다;
1> 만약 idc - HardwareSharingIndicationNR 이 설정되었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measurement object가 설정된 NR 캐리어 주파수가 단말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하드웨어 문제를 겪는 경우:
2> hardwareSharingProblem 을 포함하고 적절히 세팅한다;
도 2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c을 참조하면, 단말은 송수신부(2c-10), 메모리(2c-20) 및 프로세서(2c-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의 통신 방법에 따라, 단말의 송수신부(2c-10), 메모리(2c-20) 및 프로세서(2c-3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2c-10), 메모리(2c-20) 및 프로세서(2c-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2c-10)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2c-10)는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2c-10)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송수신부(2c-10)의 구성 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2c-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2c-3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2c-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c-2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c-20)는 단말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c-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c-3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c-30)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수신부(2c-10)를 통해 수신한 동기 신호 묶음(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동기 신호 오프셋(offset), 동기 신호 묶음의 윈도우 구간(window duration)을 판단하여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 단말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c-3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RCConfiguration 신호에 포함된 idc-Config 메시지에 포함된 DC(Dual Connectivity), BWP(Bandwidth Part), SUL(Supplementary Uplink) 관련 IDC 보고를 설정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IDC 문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IDC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발생한 IDC 문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 신호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단말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d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d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2d-10), 메모리(2d-20) 및 프로세서(2d-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지국의 통신 방법에 따라, 기지국의 송수신부(2d-10), 메모리(2d-20) 및 프로세서(2d-3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2d-10), 메모리(2d-20) 및 프로세서(2d-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2d-10)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2d-10)는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2d-10)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송수신부(2d-10)의 구성 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2d-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2d-3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2d-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d-20)는 기지국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d-20)는 기지국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d-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d-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d-30)는 동기 신호 묶음(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전송과 관련하여 특정 시간 길이를 가지는 SSB Burst Length를 설정하고, SSB Burst Length를 단위로 하는 복수의 구간으로 구성된 윈도우 구간(window duration)을 설정하고, 복수의 구간 내에서 동기 신호 묶음을 전송하는 시점을 설정하고, LBT(Listen-Before-Talk)를 수행하며, LBT에 성공한 경우, LBT에 성공한 시점 및 상기 복수의 구간 내에서 설정된 동기 신호 묶음을 전송하는 시점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묶음을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d-30)는 idc-Config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RRCConfiguration 신호를 단말에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예를 들면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들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들은 NR 시스템을 기준으로 제시되었지만, FDD 또는 TDD LTE 시스템 등 다른 시스템에도 해당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