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6973B1 -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Bacillus velenzensis Kh2-2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Bacillus velenzensis Kh2-2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973B1
KR102546973B1 KR1020220135673A KR20220135673A KR102546973B1 KR 102546973 B1 KR102546973 B1 KR 102546973B1 KR 1020220135673 A KR1020220135673 A KR 1020220135673A KR 20220135673 A KR20220135673 A KR 20220135673A KR 102546973 B1 KR102546973 B1 KR 10254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illus
strain
cells
cell
resul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57289A (en
Inventor
김진아
고성철
김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빙진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빙진,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빙진
Publication of KR2023005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2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97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균주의 면역증강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는 IL-2, IFN-γ, TNF-a 및 IL-1β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사이토카인의 발현 및 혈청 IgA 또는 혈청 IgG의 생성 촉진을 통해 신체 내 내재 및 적응 면역을 모두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면역증강을 위한 식품, 건강기능식품, 사료, 의약품 및 피부 건강 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muno-enhancing use of the strain. The Bacillus balegensis Kh2-2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expression of at least one cytoki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L-2, IFN-γ, TNF-a and IL-1β and the production of serum IgA or serum IgG Since it can effectively promote both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in the body,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food for immunity enhancement, health functional food, feed, medicine, and skin health material.

Description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Bacillus velenzensis Kh2-2}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Bacillus velenzensis Kh2-2 strai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Bacillus velenzensis Kh2-2}

본 발명은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균주의 면역증강 용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muno-enhancing use of the strain.

인체의 면역증강은 평소 다양한 세균과 바이러스(세균성 감염질환, 감기, 에이즈 등)으로부터 우리 신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병원성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균 등 감염원에 대한 신체 조직의 방어 반응으로 정의되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연구에서 유산균, 비티도박테리아 등의 면역증강 효과에 대한 보고가 많이 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보고된 유산균은 유산균의 생존력과 유통과정에서의 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한 한계점이 있다. 또한인체에서의 활력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수십배의 함량이 증가된 고밀도의 제품이 생산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과량 균주에 의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면역증강용 균주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Human immunity enhancement is to protect our body from various germs and viruses (bacterial infectious diseases, colds, AIDS, etc.), and is defined as a defense response of body tissues against infectious agents such as pathogenic viruses and bacteria. In recent years, many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immune-enhancing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vitidobacteria. There is a limit. In addition, in recent years, high-density products with increased content dozens of times have been produced and distributed in consideration of vitality in the human body, but side effects caused by excessive strains have been reported, so there is a need for new strains for immunity enhancement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There is a need.

본 발명자들은 전통 발효 식품으로부터 유용 균주를 분리 연구하던 중, 분리 동정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균주가 우수한 면역증강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the isolated and identified Bacillus valerensis Kh2-2 strain exhibits an excellent immune enhancing effect while conducting research on isolating useful strains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실러스 밸레젠시스(Bacillus velenzensis) Kh2-2 균주(기탁번호 : KCTC14642BP)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illus velenzensis Kh2-2 strain (accession number: KCTC14642B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균체 또는 이들의 무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strain, its culture medium, its cell body or its cell-free ex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실러스 밸레젠시스(Bacillus velenzensis) Kh2-2 균주(기탁번호 : KCTC14642BP)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cillus velenzensis Kh2-2 strain (Accession Number: KCTC14642BP).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균체 또는 이들의 무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its culture medium, its cell body or its cell-free extra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균체 또는 이들의 무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its culture medium, its cell body or its cell-free extra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균체 또는 이들의 무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its culture medium, its cell body or its cell-free extra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균체 또는 이들의 무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its culture medium, its cells or its cell-free ex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는 IL-2, IFN-γ, TNF-a 및 IL-1β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사이토카인의 발현 및 혈청 IgA 또는 혈청 IgG의 생성 촉진을 통해 신체 내 내재 및 적응 면역을 모두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면역증강을 위한 식품, 건강기능식품, 사료, 의약품 및 피부 건강 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Bacillus balegensis Kh2-2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expression of at least one cytoki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L-2, IFN-γ, TNF-a and IL-1β and the production of serum IgA or serum IgG Since it can effectively promote both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in the body,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food for immunity enhancement, health functional food, feed, medicine, and skin health material.

도 1A는 바실러스 균주의 pH 2.0 조건에서 내산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B는 바실러스 균주의 0.5% 담즙염 조건에서 내담즙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C는 바실러스 균주의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D는 RAW264.7 세포에서 바실러스 균주 균체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E는 RAW264.7 세포에서 바실러스 균주 균체 처리에 따른 NO 생산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F는 RAW264.7 세포에서 바실러스 균체 처리에 따른 사이토카인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는 대식세포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에 따른 세포 분화 유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B는 RAW264.7 세포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에 따른 사이토카인 mRNA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C는 ELISA를 통해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에 따른 표적 사이토카인 단백질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 및 B는 대식세포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에 따른 MAPK 및 NF-κB 신호 전달 경로 관련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는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의 세포 독성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B는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C는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에 따른 사이토카인 mRNA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D는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에 따른 사이토카인 단백질 TNF-α, IFN-γ 및 IL-2의 단백질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A는 in vivo 실헙을 위한 대조군 및 실험군을 나타낸 도이다.
도 5B는 면역억제 마우스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균체 처리에 따른 비장 및 흉선의 기관 인덱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5C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이의 균체의 NK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D는 면역억제 마우스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이의 균체 처리에 따른 비장세포 증식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E는 면역억제 마우스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이의 균체 처리에 따른 적응 면역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F는 면역억제 마우스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이의 균체 처리에 따른 혈청 IgA 및 IgG 함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A 내지 C는 면역억제 마우스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이의 균체 처리에 따른 혈청 내 사이토카인 IL-2, IL-6 및 IFN-γ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도이다.
도 7A 및 B는 면역억제 마우스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이의 균체 처리에 따른 MAPK 및 NF-κB 신호 전달 경로 관련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A는 면역억제 마우스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이의 균체 처리에 따른 결장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B는 면역억제 마우스 결장 조직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이의 균체 처리에 따른 표적화된 사이토카인에 대한 mRNA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C는 면역억제 마우스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이의 균체 처리에 따른 장내 미생물총의 공유 풍부성에 대한 벤 다이어그램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D는 상기 도 8C의 벤 다이어그램에 기초하여, 각 그룹의 장내 미생물군의 문 수준에서의 분류학적 구성 분포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E는 상기 도 8D에 기초하여, 문 수준에서 상위 3개의 풍부한 장내 미생물총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F는 상기 장내 미생물총 공유 풍부성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그룹의 속 수준에서 장내 미생물군의 분류학적 구성 분포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Figure 1A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cid resistance of the Bacillus strain under pH 2.0 conditions.
Figure 1B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bile resistance in the 0.5% bile salt condition of the Bacillus strain.
Figure 1C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beta-glucosidase activity of Bacillus strains.
Figure 1D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cytotoxicity of Bacillus strain cells in RAW264.7 cells.
Figure 1E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NO production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strain cells in RAW264.7 cells.
Figure 1F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mount of cytokin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cells in RAW264.7 cells.
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duction of cell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in macrophages.
Figure 2B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ytokine mRNA exp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ballegensis Kh2-2 cells in RAW264.7 cells.
Figure 2C is a diagram showing the target cytokine protein expression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balegensis Kh2-2 cells through ELISA.
3A and B are views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MAPK and NF-κB signaling pathway-related proteins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in macrophages.
Figure 4A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ytotoxicity of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in mouse splenocytes.
Figure 4B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mount of NO production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bellegensis Kh2-2 cells in mouse splenocytes.
Figure 4C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mount of cytokine mRNA production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bellegensis Kh2-2 cells in mouse splenocytes.
Figure 4D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the cytokine proteins TNF-α, IFN-γ, and IL-2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bellegensis Kh2-2 cells in mouse splenocytes.
5A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for in vivo experimentation.
Fig. 5B is a diagram showing organ indices of the spleen and thymus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Bacillus balegensis Kh2-2 strain or cells in immunosuppressed mice.
Figure 5C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NK cell toxicity of the Bacillus ballegensis Kh2-2 strain or its cells.
Figure 5D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splenocyte proliferation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valerensis Kh2-2 strain or its cells in immunosuppressed mice.
Figure 5E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daptive immune effec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valerensis Kh2-2 strain or its cells in immunosuppressed mice.
Figure 5F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serum IgA and IgG conten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or its cells in immunosuppressed mice.
6A to C are diagrams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cytokines IL-2, IL-6, and IFN-γ in serum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or its cells in immunosuppressed mice.
7A and B are views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MAPK and NF-κB signaling pathways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or its cells in immunosuppressed mice.
Figure 8A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olon length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or its cells in immunosuppressed mice.
Figure 8B is a diagram showing the mRNA expression analysis results for targeted cytokines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or its cells in the colon tissue of immunosuppressed mice.
Figure 8C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Venn diagram analysis on the shared abundance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or its cells in immunosuppressed mice.
FIG. 8D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taxonomic composition distribution at the phylum level of each group of intestinal microflora based on the Venn diagram of FIG. 8C.
Figure 8E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verages of the top three abundant intestinal microflora at the phylum level, based on Figure 8D.
8F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axonomic compositional distribution of the gut microbiota at the genus level of each group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hared abundance of the gut microbiota.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실러스 밸레젠시스(Bacillus velenzensis) Kh2-2 균주(기탁번호 : KCTC14642BP)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cillus velenzensis Kh2-2 strain (Accession Number: KCTC14642BP).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는 전통 발효 인삼 음료로부터 분리된 균주로, 체내 섭취 시 안전한 균주이다. 상기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는 2021년 7월 22일에 생물자원센터에 특허기탁하였으며, 수탁번호 KCTC14642BP를 부여 받았다.The Bacillus balegensis Kh2-2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ain isolated from a traditional fermented ginseng beverage and is a safe strain when ingested into the body. The Bacillus balegensis Kh2-2 strain was patented at the Biological Resources Center on July 22, 2021, and was given accession number KCTC14642BP.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은 16S rDNA 유전자로, 균주를 동정할 때 사용한 부위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n preferably includes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is a 16S rDNA gene, and is a site used when identifying a strain.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균주는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cid resistance or bile resistance.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균주는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n preferably has an immune enhancing activity.

본 발명에 있어서, 면역증강(Immunostimulation)은 암 및 염증 질환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 대한 신체 방어 기전을 보강하는 중요한 치료학적 전략중 하나로서, 면역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반응을 자극하여 면역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식세포들은 면역반응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대식세포에서의 주요한 역할인 식세포 작용은 미생물 및 기타 발열성 입자들을 흡수하고, 또한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TNF-α), 인터루킨-1β(interleukin; IL-1β), 인터루킨-12(interleukin; IL-12)와 같은 다수의 사이토카인(cytokin) 및 일산화 질소(nitric oxide; NO)과 같은 세포독성 및 염증성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자극시킨다. 따라서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면역증강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감염 및 질병의 발생은 면역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신체 면역체계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 면역 증강 물질을 통해 이들 면역 반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mmunostimul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therapeutic strategies for reinforcing the body's defense mechanism against va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and inflammatory diseases, and increases the activity of immune cells to stimulate the immune response to enhance the immune system. can be obtained. For example, phagocytes play a major role in the immune response. Phagocytosis, a major role in macrophages, absorbs microorganisms and other pyrogenic particles, and also inhibits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interleukin-α. It stimulates the immune response by secreting a number of cytokines such as 1β (interleukin; IL-1β) and interleukin-12 (interleukin; IL-12) and cytotoxic and inflammatory substances such as nitric oxide (NO). stimulate Therefore, increasing macrophage activity can be one means for enhancing immunity. Since the occurrence of infections and diseases mainly occurs in a state of reduced immune function,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nhance these immune responses through immune enhancing substances when the function of the body's immune system is reduc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면역은 내재 면역(innate immunity) 또는 적응 면역(adaptative immune)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내재 면역 및 적응 면역 모두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munity is preferably innate immunity or adaptive immunity, and more preferably may mean both innate immunity and adaptive immunity. The scope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실러스 밸레젠시스(Bacillus velenzensis) Kh2-2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균체 또는 이들의 무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the Bacillus velenzensis Kh2-2 strain, a culture thereof, a cell cell thereof, or a cell-free extract thereof.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액체 배지에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것을 의미하며, 배양액을 제거하고 균체만 PBS 등의 버퍼에 재부유시킨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ure medium means that the strain is inoculated and cultured in a liquid medium, and the culture medium may be removed and only the cells are resuspended in a buffer such as PBS.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 The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 food composition,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r a feed com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인 경우,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균체 및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ells and excipients or diluents.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면역증강 효과를 발휘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The pharmacologically effective amount in the above refers to an amount sufficient to exert an immune enhancing effect. 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refers to a composition that is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does not usually cause allergic reactions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dizziness or similar reactions when administered to hum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 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 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 유 등이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 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 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 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ulat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into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can Suitable formulations known in the art are preferably those disclosed in the literature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recently,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s,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 benzoate, propylhydroxy 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and the like. When formulat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t is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commonly used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these solid preparations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and lactose in the composition. , gelatin, etc. are mixed and prepared.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aromatic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there is. Prepar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the lik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as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As a base for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paper, glycerogeratin and the like may be used.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인,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 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1~10,000㎎/㎏/day, 바람직하게는 1~200㎎/㎏/day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which is an amount of an active ingredient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at induces a biological or medical response in a tissue system, animal, or human considered by researchers, veterinarians, doctors, or other clinician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herapeutically effective dosage and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the desired effect. Therefore, the optimal dose to be administere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depends on the type of disease,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and other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the type of formulation, and the age, weight, and general health of the patient. Condition, sex and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and secretion rate of the composition, treatment perio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drugs used simultaneously. For desirable effect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1 to 10,000 mg/kg/day, preferably 1 to 200 mg/kg/day, and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several times. It can also be administered in divided doses.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by various routes. All modes of administration are contemplated, eg oral, rectal or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intrathecal or intracerebrovascular injection.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인 경우 상기 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composition, the type of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all foods in a conventional sense. Non-limiting examples of foods to which the substance can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When using the composition as a food additive, the composition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이고,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od means a natural product or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one or more nutrients, preferably means that it can be directly eaten through a certain degree of processing process, and is a conventional meaning, and the food The composition is intended to include all foods, food additive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beverages.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캔디,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 식품(각 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아이스크림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 비타민 복합제, 알코올 음료,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Foods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include, for example, various foods, beverages, gum, candy, tea, vitamin complexes, and functional food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includes special nutritious food (eg, formula milk, infant food, baby food, etc.), processed meat product, fish meat product, tofu, jelly, noodles (eg, ramen, noodles, etc.), health supplement food, seasoning food ( For example, soy sauce,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mixed soybean paste, etc.), sauces, confectionery (eg, snacks), dairy products (eg, fermented milk, cheese, etc.), other processed foods, kimchi, pickled foods (various types of kimchi, pickles, etc.), beverages (eg, fruit and vegetable beverages, soy milk, fermented beverages, ice cream, etc.), natural seasonings (eg, ramen soup, etc.), vitamin complexes, alcoholic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and other health supplemen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food, beverage or food additive may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 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면역증강 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The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a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by extracting, concentrating, refining, mixing, etc., a specific ingredient as a raw material or a specific ingredient contained in a food raw material for the purpose of health supplement. It refers to food designed and processed to sufficiently exert biological control functions such as regulation of biorhythms, prevention and recovery of diseases, etc., and functions related to immunity enhancement.

본 발명에 따른 균주를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When using the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health functional food, it can be adde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which can be selected and used appropriately as needed.

본 발명에 따른 균체 안전성이 보장되며, 농도 비례하여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므로, 특정범위로 제한하지 않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ell safe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uaranteed, and since the activity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ran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균주가 사용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컨대, 라면, 기타 면류,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각종 스프, 육류, 소세지, 빵, 초코렛, 캔디류, 과자류, 피자,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또는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health functional food in which the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example, ramen, other noodles, beverage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various soups, meat, sausages, bread, chocolate, candy, confectionery, pizza, chewing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or vitamin complexes.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균주는 면역증강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식품류에 추가되어 기능을 나타낼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의 선택에 따라 통상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지의 첨가제에는 본 발명에 따른 균주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미생물도 포함된다.In particular, the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to various food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immunity to exhibit functions, and suitable other auxiliary ingredients and known additives that can be commonly contained in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known additives include other microorganisms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조성물이 면역증강용 사료 조성물은 사료첨가제 또는 배합사료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muno-enhancing feed composition may be a feed additive or a formulated feed.

본 발명에 있어서, “사료첨가제”는 영양적 또는 특정 목적을 위하여 사료에 미량으로 첨가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첨가제는 균주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은 공지의 사료 첨가물들과 일정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배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에서 0.01 내지 99 중량%가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eed additive" means a substance added in small amounts to feed for nutritional or specific purposes, and the functional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strains as active ingredients.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blended with known feed additives in a certain ratio. When formulated,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in an amount of 0.01 to 99%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eed additive.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배합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균주를 포함할 수 있다. 배합사료의 일 예로 옥수수 53.71중량%, 대두박 23.2중량%, 채종박 1.0중량%, 옥배아박 2.0중량%, 주정박 3.0중량%, 소맥피 2.7중량%, 감자전분 0.3중량%, 유지 2.8중량%, 탄산칼슘 9.9중량%, 제2인산칼슘 0.68중량%, 염화나트륨 0.23중량%, 인 분해효소제 0.03중량%, 염화콜린 0.05중량%, 메치오닌 0.2중량%, 미네랄 믹스 0.1중량%, 비타민 믹스 0.1중량%로 조성된다. 이외에도 통상적인 양계용 배합사료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배합사료는 사육대상인 가축의 종류에 따라 소, 돼지, 오리 등의 배합사료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strai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formulated feed. As an example of the compound feed, 53.71% by weight of corn, 23.2% by weight of soybean meal, 1.0% by weight of rapeseed meal, 2.0% by weight of corn meal, 3.0% by weight of ginseng, 2.7% by weight of wheat hull, 0.3% by weight of potato starch, 2.8% by weight of oil 9.9%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0.68% by weight of dibasic calcium phosphate, 0.23%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0.03% by weight of phosphorus enzyme, 0.05% by weight of choline chloride, 0.2% by weight of methionine, 0.1% by weight of mineral mix, and 0.1% by weight of vitamin mix is formed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conventional poultry formulated feeds can be used.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compounded feeds such as cows, pigs, ducks, etc.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livestock to be raised.

상기 사료 조성물을 급이하여 가축을 사육할 수 있으며, 가축의 사육 시 본 발명의 균주를 물에 희석하여 식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물 100ℓ에 유효성분(본 발명의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균체 또는 이들의 무세포 추출물) 100 내지 500㎖가 적용될 수 있다.Livestock may be raised by feeding the feed composition, and 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luted in water and provided as drinking water during breeding of livestock. At this time, 100 to 500 ml of the active ingredient (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culture medium, its cell body or its cell-free extract) may be applied to 100 L of water.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당업자가 예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다른 기타 영양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nutritional components within the range exp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균주는 상업적으로 통상적인 동물 사료 조성물 내로 혼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 돼지, 양, 가금류 등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균주, 이의 배양액은 통상적인 동물 사료 구성 성분들과 혼합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정제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통상적인 동물 사료 구성성분은 예를 들어, 옥수수, 보리, 귀리, 대두, 어분, 겨, 대두유, 무기물, 미량 원소, 아미노산 및 비타민이다.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orporated into commercially common animal feed compositions, and can be fed, for example, to cattle, swine, sheep, poultry,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ulture medium can be mixed with common animal feed ingredients and, if necessary, processed into a purified form. Common animal feed ingredients are, for example, corn, barley, oats, soybeans, fishmeal, bran, soybean oil, minerals, trace elements, amino acids and vitamins.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Redundant content is omit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exity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erms not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meanings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험방법][Test method]

실험재료experimental material

LB 브로스와 한천은 BECTON DICKINSON & COMPANY(B.D., Franklin Lakes, New Jersey, USA)에서 구입하였다. RAW264.7 및 YAC-1 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한국 서울)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RPMI 1640 배양 배지, DMEM 배지, 페니실린(100 mg/mL)-스트렙토마이신(100U/mL) 및 우태아 혈청(FBS)은 GenDEPOT(Katy, TX,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MTT, DMSO, CTX(Cyclophosphamide), LMS(Levamisole hydrochloride)는 Sigma(St. Louis, MO, 미국)에서, LIVE/DEAD 세포 생존력 분석 염색은 Thermo Fisher Scientific(Thermo Scientific,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프라이머는 마크로젠(대한민국 서울)에서 디자인되었다. 모든 화학 물질과 시약은 시약 등급의 품질이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을 이용하였다. LB broth and agar were purchased from BECTON DICKINSON & COMPANY (B.D., Franklin Lakes, New Jersey, USA). RAW264.7 and YAC-1 cell lines were purchased from the Korea Cell Line Bank (Seoul, Korea) and used. RPMI 1640 culture medium, DMEM medium, penicillin (100 mg/mL)-streptomycin (100 U/mL) and fetal bovine serum (FBS) were purchased from GenDEPOT (Katy, TX, USA) and used. MTT, DMSO, CTX (Cyclophosphamide) and LMS (Levamisole hydrochloride) were purchased from Sigma (St. Louis, MO, USA), and LIVE/DEAD cell viability assay stain was purchased from Thermo Fisher Scientific (Thermo Scientific, USA). All primers were designed by Macrogen (Seoul, Korea). All chemicals and reagents were of reagent grade quality and commercially available.

세포 및 동물 실험 방법Cell and animal testing methods

시험관 내 실험을 위해 RAW 264.7 세포를 페니실린(100mg/mL)-스트렙토마이신(100 U/mL) 및 10 % FBS가 보충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5% CO2가습기에서 37 ℃에서 배양하였다. For in vitro experiments, RAW 264.7 cells were cultured in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penicillin (100 mg/mL)-streptomycin (100 U/mL) and 10% FBS. The cultured cells were cultured at 37 °C in a 5% CO 2 humidifier.

생체 외 실험을 위해, 자궁경부 탈구에 의해 BALB/c 마우스(4 주령)로부터 비장을 무균적으로 제거하였다. 또한, 10ml 주입 주사기의 플런저를 사용하여 조직을 부드럽게 균질화한 후 6겹의 거즈를 통과시켜 단일 세포가 되도록 하였다. 적혈구 용해 완충액(Sigma-Aldrich, MO, USA)을 사용하여 적혈구를 제거하고 부유 비장 세포를 PBS로 3 회 세척한 후 1200rpm에서 3 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비장 세포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의 증식 촉진은 WST-8 세포 생존 어세이 키트를 BIOMAX(대한민국 서울)에서 구입하여 평가하였다. 비장 세포를 콘카나발린 A(ConA) 또는 다양한 농도의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25, 50, 100, 200, 300, 400, 500, 600 μg/mL)과 함께 1x106세포/웰의 밀도로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0 μL의 WST-8 용액을 100 μL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광학 밀도 값은 SpectraMax ABS Plus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450nm에서 기록하였다. For ex vivo experiments, spleens were aseptically removed from BALB/c mice (4 weeks old) by cervical dislocation. In addition, the tissue was gently homogenized using the plunger of a 10 ml injection syringe and passed through 6 layers of gauze to become single cells. Red blood cells were removed using red blood cell lysis buffer (Sigma-Aldrich, MO, USA), and floating spleen cell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BS and centrifuged at 1200 rpm for 3 minutes. Proliferation of Bacillus valerensis Kh2-2 in spleen cells was evaluated using the WST-8 cell viability assay kit purchased from BIOMAX (Seoul, Korea). Splenocytes were cultured with concanavalin A (ConA) or various concentrations of Bacillus valergensis Kh2-2 cells (25, 50, 100, 200, 300, 400, 500, 600 μg/mL) at 1x10 6 cells/well. Density was seeded into 96-well plates and cultured for 48 hours. 10 μL of WST-8 solution was added to 100 μL cell culture medium, and the plate was incubated for 2 hours. Optical density values were recorded at 450 nm using a SpectraMax ABS Plus microplate reader.

SPF 등급의 수컷 ICR 마우스(6 주령, 25-27g)를 OrientBio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마우스는 23-27℃ 온도 및 50% -70 %의 습도 조건에서 12 시간 조명: 12 시간 어두운 주기로 유지된 환경에서 유지시켰다. 모든 마우스에게 표준 사료와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실험 동물 관리 원칙(NIH 간행물 # 80-23, 1996 년 개정)과 경희대학교 동물 관리 및 사용 지침(승인 번호 KHGASP-20-375)에 따라 절차를 수행하였다. 1주 적응 기간 후, 마우스를 다음과 같이 7 개의 그룹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Male ICR mice (6 weeks old, 25-27 g) of SPF grade were purchased from OrientBio and used. All mice were maintained in an environment maintained with a 12-hour light: 12-hour dark cycle at a temperature of 23-27° C. and a humidity of 50%-70%. All mice were continuously supplied with standard feed and water, and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Laboratory Animal Care Principles (NIH Publication # 80-23, revised in 1996) and the Kyung Hee University Animal Care and Use Guidelines (Approval No. KHGASP-20-375). The procedure was followed. After a 1-week acclimatization period,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7 groups as follows:

대조군(Con)Control (Con) 멸균 식염수를 사용한 CTX 미처리군CTX untreated group using sterile saline 모델군(CTX)Model group (CTX) 멸균 식염수와 CTX 처리군Sterile saline and CTX treatment group Kh2-2Kh2-2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106 CFU/mL처리군Bacillus ballegensis Kh2-2 strain 10 6 CFU/mL treatment group Kh2-2 lyKh2-2ly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106 CFU/mL처리군Bacillus balegensis Kh2-2 cells 10 6 CFU / mL treatment group LMSLMS 레바미솔 염산염으로 처리된(40mg/kg) CTX 처리군(양성 대조군)CTX-treated group treated with levamisole hydrochloride (40 mg/kg) (positive control group)

Con 그룹을 제외한 모든 마우스에 멸균 식염수 내 CTX를 체중당 80 mg/kg으로 1 일 1 회 연속 3 일 동안 함께 복강 내 주사하여 면역 억제를 유도하였다. 마우스에게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또는 이의 균체, 또는 LMS를 20 일 동안 매일 1 회 경구 투여하였다. 이후 모든 마우스를 안락사시키고 혈액을 수집한 후 3000rpm, 4℃에서 1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수집한 다음 생화학적 분석을 위해 -80℃에 보관하였다. 한편, 생화학적 마커 분석을 위해 신선한 비장 및 흉선 조직 샘플을 수확하고 -80℃에서 유지하였다. Immunosuppression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TX in sterile saline at 80 mg/kg of body weight to all mice except for the Con group once a day for 3 consecutive days.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Bacillus valergensis Kh2-2 or its cells, or LMS, once daily for 20 days. Thereafter, all mice were euthanized, blood was collected, and serum was collected by centrifugation at 3000 rpm and 4° C. for 15 minutes and stored at -80° C. for biochemical analysis. Meanwhile, fresh spleen and thymus tissue samples were harvested and maintained at -80°C for biochemical marker analysis.

ELISA 분석 방법 ELISA assay method

In vitro 및 ex vivo 실험을 위하여, RAW264.7 세포와 비장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다양한 농도의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및 LPS 또는 ConA를 각각 처리하였다. 배양 상층액 100 μl를 세포 배지로부터 수득하여 제조업체(R & D Systems)의 지침에 따른 ELISA를 사용하여 TNF-α, IL-1β, IL-2 및 INF-γ의 분비를 평가하였다. For in vitro and ex vivo experiments, RAW264.7 cells and spleen cells were dispensed into a 96-well plate, and then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and LPS or ConA, respectively. 100 μl of the culture supernatant was obtained from the cell medium and the secretion of TNF-α, IL-1β, IL-2 and INF-γ was evaluated using ELISA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R & D Systems) instructions.

in vivo 실험을 위해, 20 분 동안 1000 rpm으로 전혈로부터 마우스 혈청을 분리하였고, 혈청 내 TNF-α, IL-1β, IL-2, INF-γ(R & D Systems, Minneapolis, MN, USA) 및 IgG 및 IgA(Elabscience Biotechnology Co., Texas, USA)의 함량을 ELISA 키트로 측정하였다. For the in vivo experiment, mouse serum was separated from whole blood at 1000 rpm for 20 minutes, and TNF-α, IL-1β, IL-2, INF-γ (R & D Systems, Minneapolis, MN, USA) and The content of IgG and IgA (Elabscience Biotechnology Co., Texas, USA) was measured using an ELISA kit.

qRT-PCR 분석 방법qRT-PCR analysis method

총 mRNA는 각각 Trizol 시약 키트 지침(Invitrogen, Carlsbad, CA, USA)에 의해 RAW264.7 세포, 비장 세포 및 마우스 비장 및 흉선 기관에서 수득하였다. 먼저, 총 RNA 500ng을 amfiRivert cDNA Synthesis Platinum Enzyme Mix(GenDEPOT, Katy, TX, USA)로 역전사하였으며, 반응은 SYBR PremixExTaqTM II(TaKaRa)와 함께 CFX96TM Real-Time RT-PCR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qRT-PCR은 amfiSure qGreen Q-PCR Master Mix(GenDEOT, TX, USA)를 사용하여 20 μL 반응 부피에서 50 ng cDN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qRT-PCR에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 서열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발현은 GAPDH를 사용하여 정규화하였다. Total mRNA was obtained from RAW264.7 cells, splenocytes and mouse spleen and thymic organs by Trizol reagent kit instructions (Invitrogen, Carlsbad, CA, USA), respectively. First, 500 ng of total RNA was reverse transcribed with amfiRivert cDNA Synthesis Platinum Enzyme Mix (GenDEPOT, Katy, TX, USA), and the reaction was performed using a CFX96TM Real-Time RT-PCR system with SYBR PremixExTaqTM II (TaKaRa). qRT-PCR was performed using 50 ng cDNA in a 20 μL reaction volume using amfiSure qGreen Q-PCR Master Mix (GenDEOT, TX, USA), and gene-specific primer sequences for qRT-PCR are shown in Table 1. . Gene expression was normalized using GAPDH.

PrimerPrimer SequenceSequence GAPDHGAPDH ForwardForward 5’-ACC ACA GTC CAT GCC ATC AC-3’5'-ACC ACA GTC CAT GCC ATC AC-3' ReverseReverse 5’-CCA CCA CCC TGT TGC TGT AG-3’5'-CCA CCA CCC TGT TGC TGT AG-3' iNOSiNOS ForwardForward 5’-AAT GGC AAC ATC AGG TCG GCC ATC ACT-3’5’-AAT GGC AAC ATC AGG TCG GCC ATC ACT-3’ ReverseReverse 5’-GCT GTG TGT CAC AGA AGT CTC GAA CTC-3’5'-GCT GTG TGT CAC AGA AGT CTC GAA CTC-3' TNF-αTNF-α ForwardForward 5'-AGC CCACGTCGTAGCAAACCACCAA-3'5′-AGCCCACGTCGTAGCAAAACCACCAA-3′ ReverseReverse 5'-AAC ACC CAT TCC CTT CAC AGA GCA AT-3'5'-AAC ACC CAT TCC CTT CAC AGA GCA AT-3' IL-1βIL-1β ForwardForward 5'-TGC AGA GTT CCC CAA CTG GTA CAT C-3'5'-TGC AGA GTT CCC CAA CTG GTA CAT C-3' ReverseReverse 5'-GTG CTG CCT AAT GTC CCC TTG AATC-3'5′-GTG CTG CCT AAT GTC CCC TTG AATC-3′ IFN-γIFN-γ ForwardForward 5’-TAT CTC TTT CTA CCT CAG AC-3’5'-TAT CTC TTT CTA CCT CAG AC-3' ReverseReverse 5’-GCA ATC ACA GTC TTG GCT AAT TAG-3’5’-GCA ATC ACA GTC TTG GCT AAT TAG-3’ IL-2IL-2 ForwardForward 5’-CCT GAG CAG GAT GGA GAA TTA-3’5’-CCT GAG CAG GAT GGA GAA TTA-3’ ReverseReverse 5’-TCC AGA ACA TGC CGC AGA G-3’5'-TCC AGA ACA TGC CGC AGA G-3' IL-10IL-10 ForwardForward 5’-TAGAGCTGCGGACTGCCTTCA-3’5’-TAGAGCTGCGGACTGCCTTCA-3’ ReverseReverse 5’-GGTCTTCAGCTTCTCACCCAG-3’5'-GGTCTTCAGCTTTCTCACCCAG-3' IL-4IL-4 ForwardForward 5’-TGATCACAACATTGCATTTCA-3’5'-TGATCACACATTGCATTTCA-3' ReverseReverse 5’-ACACCAGATTGTCAGTCACTTG-3’5'-ACACCAGATTGTCAGTCACTTG-3'

면역블랏 분석Immunoblot analysis

비장을 Pierce ™ RIPA Buffer(Thermo Fisher Scientific, Rockford, USA)를 이용하여 1 시간 동안 용해하였다. 비장 세포 균체를 12,000 rpm 및 4℃ 에서 20 분 동안 원심 분리하였고, 동일한 양(50 ㎍)의 총 단백질을 10 % SDS-PAGE에 로드하고 PVDF 막으로 옮겼다. 막을 PBST에서 5% 탈지유로 1 시간 동안 차단한 다음 1 차 항체와 함께 4℃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세척 후, 막을 각각의 2 차 항체와 함께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면역 반응 밴드를 확인하고 Image 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Spleens were lysed for 1 hour using Pierce™ RIPA Buffer (Thermo Fisher Scientific, Rockford, USA). The splenocytes were centrifuged at 12,000 rpm and 4° C. for 20 minutes, and the same amount (50 μg) of total protein was loaded on 10% SDS-PAGE and transferred to a PVDF membrane. Membranes were blocked with 5% skim milk in PBST for 1 hour and then incubated overnight at 4°C with primary antibodies. After washing, the membrane was incubated with each secondary antibody for 1 hour. Immunoreactive bands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using Image J software.

동물 및 생체 내 실험 설계Design of experiments in animals and in vivo

무게 28-30*?*g(나이, 4주)의 수컷 ICR 마우스는 Orient Bio Inc.(한국 성남)에서 구입하였다. 마우스는 자유롭게 음식과 물이 제공되는 통제실에서, 습도 23 ± 2°C에서 12시간 명암 주기로 수용되었다. 모든 실험은 경희대학교 동물연구소 동물관리위원회(KHUASP(SE)-14-040)의 승인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실험동물의 관리 및 사용에 관한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Male ICR mice weighing 28-30*?*g (age, 4 weeks) were purchased from Orient Bio Inc. (Seongnam, Korea). Mice were housed on a 12-h light-dark cycle at 23 ± 2 °C humidity in a controlled room with food and water provided ad libitum.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the approval of the Animal Care Committee (KHUASP(SE)-14-040) of the Animal Research Institute of Kyung Hee University, and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일주일 동안 적응시킨 후, 마우스를 대조군(CON), 모델 대조군(CTX), 양성 대조군(LMS), Kh2-2 및 Kh2-2 균체 그룹의 5개 그룹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다음 23일 동안 모든 마우스는 멸균수와 사료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했다. 처리 첫 날부터 대조군의 마우스를 제외한 모든 마우스에 60 mg/(kg·d) CTX를 3일 연속 복강 내 주사하여 면역억제 마우스 모델을 개발하였다. 대조군의 동물은 멸균 식염수(대조군)를 주사했다. 이어서, CON 및 CTX 그룹에 PBS(100 μL/d)를 경구 투여하였다. Kh2-2 및 Kh2-2 균체 상등액 그룹에는 Kh2-2 세포(1 × 106 CFU/mL) 및 Kh2-2 균체(1 × 106 CFU/mL)을 10 mL/kg/의 부피로 경구 투여했다. 마우스를 매일 모니터링하였다. 모든 동물은 12시간 동안 엄격하게 금식시킨 후 에테르를 흡입하여 완전히 마취시킨 후 희생시켰다. 희생된 마우스의 혈액, 흉선, 비장 및 결장은 추가 연구를 위해 즉시 채취하였다. 기관 지수(organ index)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하였다.After acclimatization for one week, the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control (CON), model control (CTX), positive control (LMS), Kh2-2 and Kh2-2 cell groups. For the next 23 days, all mice had free access to sterile water and feed. An immunosuppressed mouse model was develop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60 mg/(kg·d) CTX to all mice except for the control mice from the first day of treatment for 3 consecutive days. Control animals were injected with sterile saline (control). Subsequently, PBS (100 μL/d)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CON and CTX groups. Kh2-2 and Kh2-2 cell supernatant group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Kh2-2 cells (1 × 10 6 CFU/mL) and Kh2-2 cells (1 × 10 6 CFU/mL) at a volume of 10 mL/kg/ . Mice were monitored daily.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strict fasting for 12 hours and complete anesthesia by inhalation of ether. Blood, thymus, spleen and colon of sacrificed mice were immediately collected for further study. The organ index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장기 중량비(%) = 장기 중량(g) / 체중(g) × 100%Organ weight ratio (%) = Organ weight (g) / Body weight (g) × 100%

비장세포의 증식 및 자연살해(NK) 세포의 세포독성Proliferation of splenocytes and cytotoxicity of natural killer (NK) cells

비장 세포 증식 분석을 위해 무균 조건 하에 희생된 마우스로부터 비장을 수집하였다. 비장세포를 수집한 후, 이를 96웰 플레이트에 도말했다. 비장세포 증식은 각각 LPS 및 Con A를 사용한 WST-8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30분 후 450 nm에서 분광광도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SpectraMax® ABS plus).Spleens were collected from mice sacrificed under aseptic conditions for analysis of spleen cell proliferation. After collecting splenocytes, they were plated in 96-well plates. Splenocyte proliferation was assessed using the WST-8 assay with LPS and Con A, respectively. After 30 minutes absorbance was measured in a spectrophotometric microplate reader at 450 nm (SpectraMax ® ABS plus).

비장 세포에서 NK 세포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표적 세포인 림프모세포 YAC-1 세포(2×105 cells/well)는 NK 세포 활성 분석을 검출하기 위해 5시간 동안 96-well 플레이트에서 비장세포(eector cells, 2×106 cells/well)와 공동 배양되었다. YAC-1 세포의 생존력은 WST-1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평가되었고, NK 세포 세포독성은 다음 공식에 의해 계산되었다.The cytotoxicity of NK cells in spleen cells was measured. Specifically, lymphoblast YAC-1 cells (2×10 5 cells/well), which are target cells, were cultured in a 96-well plate for 5 hours to detect NK cell activity assays (eector cells, 2×10 6 cells/well). well) and co-cultured. The viability of YAC-1 cells was evaluated using the WST-1 assay kit, and the NK cell cytotoxicity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NK 세포 세포 독성(%) = (T-(S-E))/T, (T는 표적 세포의 OD 값, S는 테스트 샘플의 OD 값, E는 효과기 세포의 OD 값)NK cell cytotoxicity (%) = (T-(S-E))/T, where T is the OD value of the target cell, S is the OD value of the test sample, and E is the OD value of the effector cell.

지연형 과민증(Delayed-type hypersensitivity, DTH) 분석Delayed-type hypersensitivity (DTH) assay

마우스의 배 털을 면도한 후, 20 μL 1% 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dinitrofluorobenzene, DNFB)을 감작화를 위해 도포했다. 감작 과정은 24시간 후에 반복했다. 4일 후, DNFB를 마우스의 각 오른쪽 귀에 24시간 동안 도포했다. 각 마우스의 양쪽 귀에 해당 부위에 5mm 구멍을 뚫어 각 귀 부위의 무게를 기록하였다. 귀 부종 정도는 각 마우스의 왼쪽 귀와 오른쪽 귀의 무게 차이로 표시했다.After shaving the belly hair of the mouse, 20 μL 1% dinitrofluorobenzene (DNFB) was applied for sensitization. The sensitization process was repeated after 24 hours. After 4 days, DNFB was applied to each right ear of the mice for 24 hours. A 5 mm hole was drilled in the corresponding part of both ears of each mouse, and the weight of each ear part was recorded. The degree of ear swelling was expressed as the difference in weight between the left and right ears of each mouse.

High throughput sequencing 및 생물정보학 분석High throughput sequencing and bioinformatics analysis

각 그룹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5마리 마우스의 신선한 대변 샘플을 액체 질소에서 신속하게 동결했다. 장기 보존을 위해 대변 샘플을 -80℃에서 보관했다. 토양용 FastDNA Spin Kit(MP Biomedicals, CA, USA)를 사용하여 대변 샘플에서 게놈 DNA를 추출했다. 16S rDNA의 V3 및 V4 영역은 이전 연구에 따라 범용 프라이머를 사용한 PCR을 사용하여 게놈 DNA에서 증폭시켰고, ChunLab, Inc.(서울, 한국)에 의해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Illumina MiSeq Sequencing system(Illumina, USA)으로 시퀀싱했다. 생성된 고품질 시퀀스는 추가 생물정보학 분석을 위해 EzBioCloud 16S 기반 MTP(천랩의 생물정보학 클라우드 플랫폼)를 사용하여 OTU(operational taxonomic unit)로 분류했다. 마지막으로 종 수준은 OTU 상동성에 따라 클러스터링했다.Fresh fecal samples from 5 mic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group were rapidly frozen in liquid nitrogen. Fecal samples were stored at -80 °C for long-term preservation.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fecal samples using the FastDNA Spin Kit for Soil (MP Biomedicals, CA, USA). The V3 and V4 regions of 16S rDNA were amplified from genomic DNA using PCR using universal primers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and purified by ChunLab, Inc. (Seoul, Korea) on an Illumina MiSeq Sequencing system (Illumina, USA)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 was sequenced. The generated high-quality sequences were classified into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using the EzBioCloud 16S-based MTP (Cheonlab's bioinformatics cloud platform) for further bioinformatics analysis. Finally, species level was clustered according to OTU homology.

통계적 분석statistical analysis

모든 실험 데이터는 평균 ± SD로 나타냈으며, 4 개 그룹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일원 분산 분석(ANOVA)에 이어 Tukey-Kramer 테스트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통계 그래프는 GraphPad Prism 8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All experimental data were presented as the mean ± S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groups were assess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followed by the Tukey-Kramer test. Statistical graphs were presented using GraphPad Prism 8.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의 분리 정제 및 균체 제조Example 1.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Bacillus valergensis Kh2-2 and cell preparation

대한민국 용인의 전통 발효 인삼 음료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16S rRNA 염기 서열을 기반으로 한 계통수 분석 결과, 분리 균주가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속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종래 알려진 균주와 상이한 16S rRNA 서열을 갖는 새로운 균주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라 명명하였다. 상기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를 생물자원센터에 2021년 7월 22일자로 기탁하고 KCTC14642BP 번호를 부여받았다. 해당 균주의 유전자 분석을 수행한 16S rRNA 서열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된다.The strain was isolated from a traditional fermented ginseng beverage in Yongin, Korea. As a result of phylogenetic tree analysis based on the 16S rRNA base sequence of the isolated str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isolated strain belonged to the genus Bacillus valerensi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new strain having a 16S rRNA sequence different from previously known strains. It was named Kh2-2. The Bacillus balegensis Kh2-2 was deposited at the Center for Biological Resources on July 22, 2021 and assigned a KCTC14642BP number. The 16S rRNA sequence subjected to genetic analysis of the strain is represented by SEQ ID NO: 1.

후술되는 실험에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의 균체를 사용하였다. 상기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균주를 600 nm에서 1.2Å의 광학 밀도에 도달할 때까지 36℃에서 24 시간 동안 100 mL LB 배지에서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 세척을 3 회 반복한 다음 동결 건조를 위해 펠릿으로 현탁하였다. Cells of Bacillus valergensis Kh2-2 were used in the experiments described below. In order to prepare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the strain was cultured in 100 mL LB medium at 36 ° C for 24 hours until it reached an optical density of 1.2 Å at 600 nm, then the medium was removed, and then washed with PBS. was repeated three times and then suspended as pellets for freeze-drying.

또한 후술되는 실험의 대조군으로는 Kh2-1, Kh8-3 및 Kh3-1 균주를 이용하였다. Kh2-1, Kh8-3 및 Kh3-1 균주는 Kh2-2 균주 분리 시 함께 분리된 균주이다.In addition, Kh2-1, Kh8-3 and Kh3-1 strains were used as control groups for experiments described later. Kh2-1, Kh8-3, and Kh3-1 strains were separated together when strain Kh2-2 was isolated.

실시예 2.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의 특성 분석Example 2.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balegensis Kh2-2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의 내산성, 내담즙성 및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Acid resistance, bile resistance and beta-glucosidase activity of Bacillus valergensis Kh2-2 were confirmed.

2.1 내산성2.1 acid resistance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를 pH 2.0인 MRS 배지에서 3, 6 및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산성 조건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의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는 도 1A에 나타내었다.After culturing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in MRS medium at pH 2.0 for 3, 6 and 12 hours, the survival rate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survival rate of Bacillus valerensis Kh2-2 in acidic conditions are shown in FIG. 1A.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는 산성 조건에서 생존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가 내산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ure 1A,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vival rate of Bacillus valerensis Kh2-2 was high in acidic conditions. This means that Bacillus valerensis Kh2-2 has excellent acid resistance.

2.2 내담즙성2.2 Biliary resistance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를 0.5% 담즙염을 포함하는 MRS 배지에서 3, 6 및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건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의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는 도 1B에 나타내었다.After culturing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in MRS medium containing 0.5% bile salt for 3, 6 and 12 hours, the survival rate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survival rate of Bacillus valerensis Kh2-2 under the above conditions are shown in FIG. 1B.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는 담즙염 존재 하에서도 생존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가 내담즙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ure 1B,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vival rate of Bacillus valerensis Kh2-2 was high even in the presence of bile salts. This means that Bacillus valerensis Kh2-2 has excellent bile resistance.

2.3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2.3 beta-glucosidase activity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의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는 bile esculin을 가수분해하고, 유리당을 에너지로 사용하여 esculetin을 배지로 방출한다. 그 후 구연산 제2철과 반응하여 페놀성 철 착물을 형성하는데, 이 때 콜로니의 색상이 짙은 갈색으로 변한다.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도 1C에 나타내었다.Beta-glucosidase activity of the Bacillus ballegensis Kh2-2 strain was analyzed. Bacillus valerensis Kh2-2 strain hydrolyzes bile esculin and releases esculetin into the medium using free sugar as energy. It then reacts with ferric citrate to form a phenolic iron complex, which changes the color of the colonies to dark brown. The results of analyzing beta-glucosidase activity are shown in FIG. 1C.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Kh2-2 및 Kh3-1 균주는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콜로니가 흑색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상기 결과는 Kh2-2 및 Kh3-1 균주가 bile esculin 배지에서 성장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담즙염을 가수분해하는 능력은 미생물이 장내 미생물총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As shown in Fig. 1C, strains Kh2-2 and Kh3-1 exhibited beta-glucosidase activity, which was confirmed by the colonies turning black.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strains Kh2-2 and Kh3-1 were grown on bile esculin medium. The ability to hydrolyze bile salts can help microbes maintain the balance of the gut microbiota.

실시예 3.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의 세포 독성 확인 Example 3. Confirmation of cytotoxicity of Bacillus balegensis Kh2-2

RAW264.7 세포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의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LIVE/DEAD 염색 키트(L-3224,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사용하여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를 RAW264.7 세포를 처리한 후,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키트의 Calcein AM 및 ethidium homodimer-1 혼합은 죽은 세포에 대해서는 적색(Ex 528 nm, Em 617 nm) 및 살아있는 세포에 대해서는 녹색(Ex 495 nm; Em 515 nm)으로 나타나 세포 간의 차이를 분석한다. RAW264.7 세포를 플레이팅하고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를 25 μg/mL, 50 μg/mL 및 100 μg/mL, 및 LPS(1μg/mL)을 처리한 후,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염료를 배지에 용해시키고 30 분 동안 배양하였다. Leica DMLS Clinical Microscope(Leica, Wetzlar, Germany)로 세포를 확인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는 도 1D에 나타내었다.The cytotoxicity of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in RAW264.7 cells was investigated. Specifically, RAW264.7 cells were treated with Bacillus valergensis Kh2-2 cells using a LIVE/DEAD staining kit (L-3224, Invitrogen, Carlsbad, CA, USA), and cytotoxicity was confirmed. The mixture of Calcein AM and ethidium homodimer-1 in the kit appears in red (Ex 528 nm, Em 617 nm) for dead cells and green (Ex 495 nm; Em 515 nm) for live cell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cells. RAW264.7 cells were plated, and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were treated with 25 μg/mL, 50 μg/mL and 100 μg/mL, and LPS (1 μg/mL), and then cultured.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the dye was dissolved in the medium and incubated for 30 minutes. Cytotoxicity was confirmed by checking the cells with a Leica DMLS Clinical Microscope (Leica, Wetzlar, Germany). The result of confirming cytotoxicity is shown in FIG. 1D.

도 1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는 세포 독성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1D,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 had almost no cytotoxicity.

세포 독성 분석 후,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가 NO 생산 및 사이토카인(iNOS)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NO 생산 및 사이토카인 분비를 확인한 결과는 도 1E 및 F에 각각 나타내었다.After cytotoxicity analysis, the effect of Bacillus ballegensis Kh2-2 cell treatment on NO production and cytokine (iNOS) secretion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confirming NO production and cytokine secretion are shown in FIGS. 1E and F, respectively.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산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가 RAW264.7 세포의 대식세포에서 사이토카인 분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As shown in FIG. 1E,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cell treatment group induced NO produc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is is a result showing that Bacillus balegensis Kh2-2 can enhance cytokine secretion in macrophages of RAW264.7 cells.

도 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군은 iNOS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에 따라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증가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As shown in FIG. 1F, it was confirmed that iNOS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Bacillus valergensis Kh2-2 cells. The above results support that the secretion of cytokines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실시예 4.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의 RAW264.7 세포 분화 유도 확인Example 4. Confirmation of induction of RAW264.7 cell differentiation of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를 RAW264.7 세포에 다양한 농도(25, 50, 100 μg/ml)로 처리한 후 세포 분화 유도 여부를 형광이미지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A에 나타내었다.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were treated with RAW264.7 cells at various concentrations (25, 50, 100 μg/ml), and then whether or not cell differentiation was induced was confirmed through fluorescence imag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A. .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는 RAW264.7 세포에서 세포 크기를 증가시키고, 위족(도 2A의 노란 화살표)을 신장시켜 분화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가 세포 독성 없이 세포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2A,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increased cell size in RAW264.7 cells and elongated pseudopods (yellow arrows in FIG. 2A) to induce differentiation. The above result means that the Bacillus ballegensis Kh2-2 strain can induce cell differentiation without cytotoxicity.

실시예 5.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에 따른 사이토카인 발현 분석Example 5. Cytokine exp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Bacillus ballegensis Kh2-2 cell treatment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를 RAW264.7 세포에 다양한 농도(25, 50, 100 μg/ml)로 처리한 후, 사이토카인 IL-6, TNF-α 및 IL-1β의 mRNA 발현을 분석하였다. 사이토카인 mRNA 분석 결과는 도 2B에 나타내었다.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were treated with RAW264.7 cells at various concentrations (25, 50, 100 μg/ml), and then mRNA expression of cytokines IL-6, TNF-α and IL-1β was analyzed. . The results of cytokine mRNA analysis are shown in FIG. 2B.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는 LPS 처리에 의해 증가된 IL-6, TNF-α 및 IL-1β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Fig. 2B,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IL-6, TNF-α and IL-1β, which were increased by LPS treatment.

상기 사이토카인 mRNA 발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표적 사이토카인의 단백질 발현을 ELISA를 통해 측정하였다. 사이토카인의 단백질 IL-6, TNF-α 및 IL-1β의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는 도 2C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cytokine mRNA exp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rotein expression of each target cytokine was measured by ELISA.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otein expression of the cytokine proteins IL-6, TNF-α and IL-1β are shown in FIG. 2C.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체만 처리하여도 농도 의존적으로 면역증강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2C, it was confirmed that the immune enhancement effect was excellen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even when only the cells were treated.

실시예 5. 대식세포에서 NF-κB 및 MAPKs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의 효과Example 5. Effects of Bacillus valergensis Kh2-2 cells on NF-κB and MAPKs signaling pathways in macrophages

NF-κB 신호 전달은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의 중요한 조절 인자이며 항 염증 치료 중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MAPK를 활성화함으로써 세포 성장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사이토카인에 대한 세포 반응과 TNF-α, IL-2, IFN-γ와 같은 유전자의 관련 발현을 조절한다. 따라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가 사이토카인 발현 조절에서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호전달 경로 관련 단백질(ERK, p38, JNK, p65 및 IκBα) 및 이들의 인산화 단백질 양을 분석하였다.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는 도 3A 및 B에 나타내었다.NF-κB signaling is an important regulator of cytokine gene expressi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tervention of anti-inflammatory therapies, and is known to affect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by activating MAPKs. It also regulates the cellular response to cytokines and the related expression of genes such as TNF-α, IL-2, and IFN-γ. 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Bacillus balegensis Kh2-2 strain on the signaling pathway in regulating cytokine expression, the signaling pathway-related proteins (ERK, p38, JNK, p65 and IκBα) and their phosphorylated protein amounts were analyzed did The results of analyzing protein expression are shown in Figures 3A and B.

도 3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 처리군에서는 NF-κB 신호 및 MAPK 단백질의 활성화가 크게 증가(즉, 면역 증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군은 인산화된 NF-κB, IκBα 및 인산화된 JNK, ERK, p38의 단백질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만 처리하여도, LPS처럼 면역 증강 효과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S. 3A and B, it was confirmed that NF-κB signaling and activation of MAPK prote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e, immune enhancement) in the LPS-treated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tein expression of phosphorylated NF-κB and IκBα and phosphorylated JNK, ERK, and p38 were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group treated with Bacillus valergensis Kh2-2 cells. The above result means that even when only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are treated, the immune enhancing effect is excellent like that of LPS.

실시예 6.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의 면역자극 효과Example 6. Immunostimulatory effect of Bacillus balegensis Kh2-2 in mouse splenocytes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의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A에 나타내었다.The cytotoxicity of Bacillus valergensis Kh2-2 cells in mouse splenocytes was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4A.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Kh2-2 균체는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4A,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illus bellegensis Kh2-2 cell did not exhibit cytotoxicity in mouse splenocytes.

세포 독성 조사 후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NO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는 도 4B에 나타내었다.After the cytotoxicity test, the amount of NO production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bellegensis Kh2-2 cell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mount of NO production are shown in FIG. 4B.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4B, it was confirmed that NO production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Bacillus bellegensis Kh2-2 cell treatment group.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가 파라프로바이오틱스로서 비장 세포에서 면역관련 사이토카인 생성 역시 유도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를 마우스 비장 세포에 다양한 농도(25, 50, 100 μg/ml)로 처리한 후, 사이토카인 IFN-γ, IL-2, TNF-α, IL-4, IL-6 및 IL-10의 mRNA 발현을 분석하였다. 사이토카인 mRNA 분석 결과는 도 4C에 나타내었다.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Bacillus balegensis Kh2-2, as a paraprobiotic, could also induce immune-related cytokine production in spleen cells. Specifically, after treating Bacillus valergensis Kh2-2 cell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25, 50, 100 μg/ml) in mouse spleen cells, the cytokines IFN-γ, IL-2, TNF-α, IL-4 , mRNA expression of IL-6 and IL-10 was analyzed. The results of cytokine mRNA analysis are shown in Figure 4C.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는 IFN-γ, IL-2, TNF-α, IL-4, IL-6 및 IL-10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4C,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IFN-γ, IL-2, TNF-α, IL-4, IL-6 and IL-10.

상기 사이토카인 mRNA 발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표적 사이토카인의 단백질 발현을 ELISA를 통해 측정하였다. 사이토카인 단백질 TNF-α, IFN-γ 및 IL-2의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는 도 4D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cytokine mRNA exp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rotein expression of each target cytokine was measured by ELISA.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otein expression of the cytokine proteins TNF-α, IFN-γ and IL-2 are shown in FIG. 4D.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는 사이토카인 단백질 TNF-α, IFN-γ 및 IL-2의 단백질 발현을 대조군(CON)에 비해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IFN-γ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4D,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illus balegensis Kh2-2 cells in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the cytokine proteins TNF-α, IFN-γ and IL-2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IFN-γ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Bacillus ballegensis Kh2-2 cells.

실시예 6. 면역억제 마우스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및 이의 균체의 면역증강 효과 확인Example 6. Confirmation of immune enhancing effect of Bacillus balegensis Kh2-2 strain and its cells in immunosuppressed mice

도 5A에 기재된 대조군 및 실험군으로, 후술되는 In vivo 면역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군은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106 CFU/mL 처리군)를 처리한 그룹; 및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균체(106 CFU/mL 처리군)을 처리한 그룹;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시클로포스포아민(CTX)-유도된 면역억제 마우스를 이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LMS 50mg/kg 처리군을 이용하였다.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described in FIG. 5A, an in vivo immune test described later was performed. Specifical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 group treated with Bacillus balegensis Kh2-2 strain (10 6 CFU/mL treatment group); and a group treated with Bacillus valerensis Kh2-2 strain cells (10 6 CFU/mL treatment group). Cyclophosphoamine (CTX)-induced immunosuppressed mice were used, and LMS 50 mg/kg treated group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group.

6.1 기관 인덱스 및 선천 면역 효과 확인 6.1 Organ index and confirmation of innate immunity effect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가 면역 조절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에 기초하여, 이의 면역 조절 효과를 in vivo에서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마우스의 체중은 실험 동안 매일 측정하였으며, 적응 기간 1주일 후 초기 체중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군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5마리 면역 억제 마우스 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CTX 처리 후 체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CTX 처리군과 달리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균체 처리군에서는 전체 실험 기간 동안 체중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Based on the results showing that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can exhibit an immunomodulatory effect, its immunomodulatory effect was additionally confirmed in vivo. The body weight of the mouse was measured every day during the experiment, and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initial body weight after 1 week of adaptation perio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maining 5 immunosuppressed mouse groups, excluding the control group, lost weight after CTX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unlike the CTX-treated group, no change in body weight was observed in the Bacillus ballegensis Kh2-2 treated group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면역 관련 기관인 비장 및 흉선에서 기관 인덱스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5B에 나타내었다.The organ index was confirmed in the spleen and thymus, which are immune-related organ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B.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X에 의한 면역학적 장애에 대한 간접적 지표로 고려될 수 있는, 비장 및 흉선의 기관 인덱스는 CTX 처리에 따라 감소되었다.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에 따라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LMS 처리군보다 더 나은 기관 인덱스 회복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가 마우스에서 CTX에 의해 유도된 위축성 면역 기관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5B, organ indices of spleen and thymus, which can be considered indirect indicators of CTX-induced immunological disorders, decreased with CTX treatmen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recover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rgan index recovery effect was better than that of the LMS-treated group used as a positive control group. The above result means that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strain can exhibit an effect on the atrophic immune system induced by CTX in mice.

6.2 NK 세포 활성 증진 효과 확인6.2 Confirmation of NK cell activity enhancement effect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가 감염을 조절하고 면역 조절 역할을 하는 선천 면역 시스템의 효과기 림프구인 NK 세포 활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장 세포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최종 밀도가 1 x 106 세포/mL가 되도록 완전 RPMI-1640 배지 용액 내 현탁하여 96-웰 플레이트 상에 위치시켰다. NK 세포 활성 분석을 위해 YAC-1 세포를 표적 세포로 사용하고 비장 세포(이펙터 세포)와 함께 배양하였다. 비장 세포 현탁액을 YAC-1 세포(1 x 105 세포/mL)에 첨가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10 : 1의 효과기 대 표적 세포 비율을 얻었다. 450nm에서 WST-8 검출 키트 및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세포 생존력을 평가하였다. RPMI 1640 배지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NK 세포 독성은 하기 수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could also affect the activity of NK cells, which are effector lymphocytes of the innate immune system that control infection and play an immune regulatory role. To prepare a spleen cell suspension, they were suspended in a complete RPMI-1640 medium solution to a final density of 1 x 10 6 cells/mL and placed on a 96-well plate. For the NK cell activity assay, YAC-1 cells were used as target cells and cultured with spleen cells (effector cells). Splenocyte suspension was added to YAC-1 cells (1 x 10 5 cells/mL) to obtain an effector to target cell ratio of 10:1 in a 96-well plate. Cell viability was assessed using the WST-8 detection kit and microplate reader at 450 nm. RPMI 1640 medium was used as a control. NK cell toxicity was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formula.

NK 세포 독성(%) = (ODT- (ODS-ODE)) / ODTNK cytotoxicity (%) = (ODT- (ODS-ODE)) / ODT

* ODT는 표적 세포 대조군의 흡광도, ODS는 테스트 샘플의 흡광도, ODE는 효과기 세포 contrtols의 흡광도.* ODT is the absorbance of the target cell control, ODS is the absorbance of the test sample, and ODE is the absorbance of the effector cell control.

NK 세포에 대한 독성을 분석한 결과는 도 5C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of analyzing toxicity to NK cells are shown in FIG. 5C.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Con) 마우스와 비교하여, CTX 처리된 마우스는 NK 세포 활성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를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감소된 NK 세포 활성이 뚜렷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균체가 CTX-유도된 선천 면역 억제에 대하여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As shown in Figure 5C, compared to the control (Con) mice, CTX-treated mice had significantly reduced NK cell activity, and in mice treated with Bacillus valergensis Kh2-2 cells, the reduced NK cell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covered confirmed that it is. The above result means that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or its cells can exhibit an effect on CTX-induced suppression of innate immunity.

6.3 비장세포 증식 효과 확인 6.3 Confirmation of splenocyte proliferation effect

CTX 처리된 마우스에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를 처리한 후, 이들이 비장 증식을 유도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비장세포 증식 효과를 확인한 결과는 도 5D에 나타내었다.After treating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cells in the CTX-treated mice, it was confirmed whether they could induce spleen proliferation. The results confirming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effect are shown in FIG. 5D.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X 처리군에서는 비장 세포의 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균체 처리군은 CTX 처리군에 비해 비장 세포의 증식이 현저히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Figure 5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liferation of spleen cell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CTX-treated group, but the proliferation of spleen cells in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strain or cell-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TX-treated group.

6.3 적응면역 효과확인6.3 Confirmation of adaptive immunity effect

지연성 과민증(Delayed hypersensitivity, DTH)은 개인의 기억 T 세포 기능을 반영하는 전형적인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을 의미한다. 지연성 과민증 반응을 통해 적응 면역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복부 털을 제거하고 20 μL의 1 % 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DNFB)을 이용하여 마우스를 감작시켰으며, 감작 과정을 24 시간 후에 반복하였다. DNFB를 4 일 후 오른쪽 귀에 도포하였다. 24 시간 반응 후 모든 마우스의 양쪽 귀를 해당 부분에 5 mm 구멍으로 펀칭하고 각 귀 부분의 무게를 기록하였고, 귀 부종의 정도를 각 마우스의 왼쪽 귀와 오른쪽 귀의 무게 차이로 표시하였다. 적응 면역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실험군에서 귀 부종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5E에 나타내었다. Delayed hypersensitivity (DTH) refers to a typical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that reflects an individual's memory T cell function. To evaluate the adaptive immune effect through delayed hypersensitivity response, the abdominal hair of the mouse was removed and the mouse was sensitized with 20 μL of 1% dinitrofluorobenzene (DNFB), and the sensitization process was repeated 24 hours later. . DNFB was applied to the right ear after 4 days. After 24 hours of reaction, both ears of all mice were punched with 5 mm holes, and the weight of each ear was recorded. The degree of ear swelling was expressed as the difference in weight between the left and right ears of each mouse. To evaluate the adaptive immune effect, changes in ear edema were confirmed in each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E.

도 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X를 주입한 군에서는 대조군(Con) 군에 비하여, 귀 부종으로 확인되는 DTH 반응이 하향 조절되었다. 귀 부종의 정도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균체 처리군에서 회복되었으며, 이는 LMS 처리군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Fig. 5E, the DTH response confirmed by ear edema was downregulated in the CTX-injec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 The degree of ear edema was recovered in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strain or cell treated group, which was confirmed to exhibit a better effect than the LMS treated group.

상기 결과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균체가 DTH 반응을 강화하고 면역 반응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above result means that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strain or strain enhances the DTH response and enhances the immune response.

6.4 혈청 IgA 및 IgG 함량 비교 6.4 Comparison of serum IgA and IgG content

면역 반응은 B-림프구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는 형질 세포로 분화하여 면역 글로불린(IgA 및 IgG)을 생성하고 특정 항원과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LISA를 이용한 혈청 IgA 및 IgG 함량 측정을 통해, 체액성 면역 반응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F에 나타내었다. The immune response is regulated by B-lymphocytes, which are known to differentiate into plasma cells, produce immunoglobulins (IgA and IgG) and bind to specific antigens. Through the measurement of serum IgA and IgG content using ELISA, the effect of the humoral immune response was confirm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F.

도 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X 처리된 마우스에서 대조군 마우스(CON)와 비교하여 혈청 IgA 및 IgG 수준이 크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군은 혈청 IgA 및 IgG 수준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CTX 처리된 마우스에서 체액성 면역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5F, it was confirmed that serum IgA and IgG levels were greatly reduced in CTX-treated mice compared to control mice (C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um IgA and IgG levels of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treated group were increased. The above result means that humoral immunity can be improved in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or CTX-treated mice.

6.5 혈청 사이토카인 분비 증진 효과 확인6.5 Confirmation of serum cytokine secretion enhancement effect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가 혈청 사이토카인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TX 처리에 의해 면역 억제 마우스에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 또는 균체를 투여하였으며, 혈청 내 IL-2, IL-6 및 IFN-γ의 수준을 확인하였다. 혈청 내 IL-2, IL-6 및 IFN-γ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는 도 6A 내지 C에 각각 나타내었다.The effect of Bacillus ballegensis Kh2-2 cell treatment on serum cytokine levels was confirmed. Specifically, the Bacillus balegensis Kh2-2 strain or cell was administered to immunosuppressed mice by CTX treatment, and the levels of IL-2, IL-6, and IFN-γ in serum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levels of IL-2, IL-6 and IFN-γ in the serum are shown in FIGS. 6A to C, respectively.

도 6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X 주입에 의한 면역억제 반응으로 혈청 사이토카인은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나,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 처리군은 CTX 처리군에 비해 혈청 사이토카인 수준이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가 면역 억제된 마우스의 혈청에서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을 회복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ures 6A to C, serum cytokines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due to the immunosuppressive reaction by CTX injection, but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cell treatment group recovered serum cytokine levels compared to the CTX treatment group Confirm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acillus valergensis Kh2-2 strain can restore cytokine gene expression in the serum of immunosuppressed mice.

실시예 7. 면역억제 마우스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가 NF-κB 및 MAPKs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 확인Example 7. Confirmation of the effect of Bacillus balegensis Kh2-2 cells on NF-κB and MAPKs signaling pathways in immunosuppressed mice

NF-κB 신호 전달은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의 중요한 조절 인자이며 항 염증 치료 중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MAPK를 활성화함으로써 세포 성장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사이토카인에 대한 세포 반응과 TNF-α, IL-2, IFN-γ와 같은 유전자의 관련 발현을 조절한다. 따라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가 사이토카인 발현 조절에서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호전달 경로 관련 단백질(ERK, p38, JNK, p65 및 IκBα) 및 이들의 인산화 단백질 양을 분석하였다.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는 도 7A 및 B에 나타내었다.NF-κB signaling is an important regulator of cytokine gene expressi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tervention of anti-inflammatory therapies, and is known to affect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by activating MAPKs. It also regulates the cellular response to cytokines and the related expression of genes such as TNF-α, IL-2, and IFN-γ. 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Bacillus balegensis Kh2-2 strain on the signaling pathway in regulating cytokine expression, the signaling pathway-related proteins (ERK, p38, JNK, p65 and IκBα) and their phosphorylated protein amounts were analyzed did The results of analyzing protein expression are shown in Figures 7A and B.

도 7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X 처리군에서는 NF-κB 신호 및 MAPK 단백질의 활성화가 크게 억제되었으나,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를 처리한 군에서는 인산화된 NF-κB(p-p65), IκBα 및 인산화된 JNK, ERK, p38의 단백질 발현 감소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가 NF-κB 및 MAPK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여 CTX에 의해 유도된 면역 억제를 회복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ures 7A and B, NF-κB signaling and activation of MAPK protein were greatly suppressed in the CTX-treated group, but phosphorylated NF-κB (p-p65) in the group treated with Bacillus valerensis Kh2-2 cells. , IκBα and phosphorylated JNK, ERK, and p38 protein expression was confirmed to be restor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acillus valerensis Kh2-2 strain can activate the NF-κB and MAPK signaling pathways to restore immune suppression induced by CTX.

실시예 8. 면역억제 마우스에서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체가 CTX 유발 결장 손상 및 장내 미생물 구성에 미치는 영향 조사Example 8.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Bacillus balegensis Kh2-2 strains on CTX-induced colon damage and intestinal microbial composition in immunosuppressed mice

CTX 처리가 결장 손상을 유발하여 장 면역 억제를 유발할 수 있음; 및 장 길이가 결장 손상 지수를 반영한다는 것;이 당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에, Kh2-2 균체 처리에 따른 결장 길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A에 나타내었다.CTX treatment may cause colon damage leading to intestinal immunosuppression; and that bowel length reflects the colon damage index; is known in the art. Accordingly, the colon length according to the Kh2-2 cell treatment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8A.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X 처리군은 대조군 마우스보다 결장 길이가 짧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CTX 처리된 마우스에 Kh2-2 균체를 처리한 마우스는 결장 길이가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8A,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n length of the CTX-treated group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n length of the mice treated with the Kh2-2 strain was restored to the CTX-treated mice.

또한, CTX 처리된 마우스의 결장 조직에서 Kh2-2 균체 처리에 따른 TNF-α, IL-1β 및 IL-6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도 8B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TNF-α, IL-1β and IL-6 according to Kh2-2 cell treatment was analyzed in the colon tissues of CTX-treated mice.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ure 8B.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X 처리군은 TNF-α, IL-1β 및 IL-6의 발현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CTX 처리된 마우스에 Kh2-2 균체를 처리한 마우스는 TNF-α, IL-1β 및 IL-6의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8B,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TNF-α, IL-1β and IL-6 was suppressed in the CTX-treated group.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TNF-α, IL-1β, and IL-6 was increased in mice treated with Kh2-2 cells in CTX-treated mice.

상기 결과는 Kh2-2 균체가 흉선/비장 지수, 결장 길이 및 사이토카인 발현을 포함하는 전신 면역을 개선함으로써 CTX 처리 마우스에서 면역자극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전 연구에서 숙주 면역이 장내 미생물총과 공생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므로 특정 박테리아 종은 T 및 B 세포 활성화를 포함한 장 면역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Kh2-2 균체의 면역 강화 효과는 장내 미생물총의 조절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h2-2 strain exhibits immunostimulatory activity in CTX-treated mice by improving systemic immunity including thymus/spleen index, colon length, and cytokine expression. A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host immunity has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the gut microbiota, certain bacterial species can modulate the gut immune response, including T and B cell activation. Therefore, the immune enhancing effect of Kh2-2 strains may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egula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실시예 9. 장내 세균 조성 분석Example 9. Intestinal bacterial composition analysis

박테리아의 공유 풍부도는 대조군, CTX, Kh2-2 균체 그룹에서 벤 다이어그램을 분석하였다. 벤 다이어그램 분석 결과는 도 8C에 나타내었다.The shared abundance of bacteria was analyzed by Venn diagram in the control, CTX, and Kh2-2 cell groups. The Venn diagram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 8C.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은 39개의 고유한 OTU(operational taxonomic units)를 확인했다. 반면, CTX, Kh2-2 및 Kh2-2 균체 상등액 그룹은 각각 28, 8 및 6개의 고유한 OTU가 있음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8C, the control group identified 39 unique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TX, Kh2-2, and Kh2-2 cell supernatant groups had 28, 8, and 6 unique OTUs, respectively.

Kh2-2 및 Kh2-2 균체 상등액 처리 후 장내 세균 조성의 변화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 CTX, Kh2-2 및 Kh2-2 균체 상등액 그룹의 세균 조성을 문 및 속 수준에서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D 및 E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further confirm the change in intestinal bacterial composition after treatment with Kh2-2 and Kh2-2 cell supernatants, the bacterial composition of the control group, CTX, Kh2-2 and Kh2-2 cell supernatant groups were compared at the phylum and genus level, and the results were It is shown in Figures 8D and E.

도 8D 및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Bacteroidetes와 Firmicutes는 문 수준(> 95%)에서 모든 그룹에서 지배적인 박테리아 군집임을 확인하였다. CTX는 Bacteroidetes의 상응하는 감소와 함께 Firmicutes 및 Proteobacteria의 상대적 풍부함을 증가시켰다. CTX 그룹과 비교하여 Kh2-2 처리는 장내 세균 불균형을 부분적으로 역전시켰다. 이는 프로바이오틱스가 CTX 유도 장내 세균 불균형을 조절하여 면역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이전 연구와 일치한다. 흥미롭게도, Kh2-2 균체 처리는 CTX로 유도된 Firmicutes/Bacteroidetes의 비율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Tenericutes의 상대적 풍부도는 증가시킨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8D and E, Bacteroidetes and Firmicutes were confirmed to be the dominant bacterial communities in all groups at the phylum level (> 95%). CTX increased the relative abundance of Firmicutes and Proteobacteria with a corresponding decrease in Bacteroidetes. Compared with the CTX group, Kh2-2 treatment partially reversed the intestinal bacterial imbalance. This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suggesting that probiotics can enhance the immune response by regulating CTX-induced gut bacterial imbalance. Interestingly, treatment of Kh2-2 cells did not seem to affect the increase in the ratio of Firmicutes/Bacteroidetes induced by CTX,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abundance of Tenericutes was increased.

상기 결과는 Kh2-2 및 Kh2-2 상등액이 다양한 패턴의 작용을 통해 CTX로 유발된 장내 세균 불균형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Kh2-2 and the supernatant of Kh2-2 can control the intestinal bacterial imbalance induced by CTX through various patterns of action.

상기 도 8D 및 E를 기반으로, 장내 미생물총을 추가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도 8F에 나타내었다.Based on Fig. 8D and E above, the intestinal microflora was further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ure 8F.

도 8F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X군은 대조군에 비해 Helicobacter, Barnesiella, Alistipes 및 Ruminococcus의 존재비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Kh2-2 또는 Kh2-2 상등액 처리군은 상기 균주들의 존재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FIG. 8F, it was confirmed that the CTX group had higher abundances of Helicobacter, Barnesiella, Alistipes, and Ruminococcu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Kh2-2 or Kh2-2 supernatant treatment group had low abundances of the strains.

상기 결과는 Kh2-2가 CTX로 유도된 면역결핍 마우스에서 일부 유익한 박테리아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여러 유해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함을 시사한다.These results suggest that Kh2-2 effectively promotes the growth of some beneficial bacteria and inhibits the growth of several harmful bacteria in CTX-induced immunodeficient mice.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In the abov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these specific description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something to do. Accordingly,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생물자원센터Biological Resource Center KCTC14642BPKCTC14642BP 2021072220210722

Claims (9)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바실러스 밸레젠시스(Bacillus velenzensis) Kh2-2 균주(기탁번호 : KCTC14642BP).Bacillus velenzensis contain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 Bacillus velenzensis ) Kh2-2 strain (accession number: KCTC14642BP).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을 갖는 것인, 균주.The strai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ain has acid resistance or bile res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것인, 균주.The strai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ain has an immune enhancing activi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은 내재 면역(innate immunity) 또는 적응 면역(adaptative immune)인, 균주.The strain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immunity is innate immunity or adaptive immunity.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균체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the strain of any one of claims 1, 3 to 5, its culture medium, and its cells.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균체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the strai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5, its culture medium, and its cells.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균체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Claims 1, 3 to 5 of any one of the strain, a culture medium thereof,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munity enhancement, including its cells.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균체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사료 조성물.
Claims 1, 3 to 5 of any one of the strain, its culture medium, comprising a cell body, immune enhancement feed composition.
KR1020220135673A 2021-10-20 2022-10-20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Bacillus velenzensis Kh2-2 Active KR10254697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338 2021-10-20
KR20210140338 2021-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289A KR20230057289A (en) 2023-04-28
KR102546973B1 true KR102546973B1 (en) 2023-06-26

Family

ID=8614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673A Active KR102546973B1 (en) 2021-10-20 2022-10-20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Bacillus velenzensis Kh2-2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97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352B1 (en) 2005-11-29 2014-12-09 케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Uses of Bacillus PB6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and Immune-Related Diseases
KR101629551B1 (en) 2014-05-16 2016-06-13 씨제이제일제당 (주) Novel Bacillus velezensis CJBV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058800B1 (en) 2018-10-24 2019-12-2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ducing 1-deoxynojirimycin using bacillus velezensis
KR102148396B1 (en) 2019-10-07 2020-08-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haracteristics of Bacillus Velezensis CE 100 and Effect of Its Culture Filtrate on Control of Citrus Melanoses
KR102430375B1 (en) 2020-10-27 2022-08-08 한국식품연구원 Bacillus velezensis L001 strain having odor removal actibity, Composition for removing or reducing odo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or reducing odo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091A (en) * 2011-03-31 2012-10-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Culture broth of novel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use thereof
KR101843574B1 (en) * 2015-10-27 2018-03-30 한국식품연구원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Th2-mediated immune disease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from Rosa multiflora as an active ingredi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352B1 (en) 2005-11-29 2014-12-09 케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Uses of Bacillus PB6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and Immune-Related Diseases
KR101629551B1 (en) 2014-05-16 2016-06-13 씨제이제일제당 (주) Novel Bacillus velezensis CJBV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058800B1 (en) 2018-10-24 2019-12-2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ducing 1-deoxynojirimycin using bacillus velezensis
KR102148396B1 (en) 2019-10-07 2020-08-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haracteristics of Bacillus Velezensis CE 100 and Effect of Its Culture Filtrate on Control of Citrus Melanoses
KR102430375B1 (en) 2020-10-27 2022-08-08 한국식품연구원 Bacillus velezensis L001 strain having odor removal actibity, Composition for removing or reducing odo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or reducing od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289A (en)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8917B2 (en)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1614262B1 (en) Novel lactic acid bacterium, drug, food or drink, and feed which contain the novel lactic acid bacterium
JP7201837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obesity or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Leuconostoc citreum WIKIM0104
JP6931718B2 (en) Lactobacillus plantarum CJLP475 strain having antiviral effect and immunomodulatory effect and composition containing it
KR20190051771A (en) 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2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995328B1 (en) Lactobacillus fermentum WiKim0102 having anti-cancer activity and composition for comprising the same
KR102479732B1 (en) Limosilactobacillus reuteri MG5458 strain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lcoholic fatty liver comprising the same
KR20090049604A (en) Inhibitors of promoting and / or decreasing blood adiponectin levels and inhibitors of visceral fat accumulation
KR20180008018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colitis disease comprising Lactobacillus sakei K040706 as an active ingredient
TW201902499A (en) COMPOSITION FOR ACTIVATING Toll-LIKE RECEPTOR 2
KR102524102B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Curtobacterium proimmune K3
KR20200007744A (en)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cjlp475 strain and lactobacillus plantarum cjlp243 strain and use thereof
KR20190051772A (en) 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1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546973B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Bacillus velenzensis Kh2-2
KR100865075B1 (en) Novel Lactobacillus SM1 Strains with Excellent Intestinal Settleability and Probiotics Produced by Them
KR102244732B1 (en) Probiotic acetic acid bacteria Acetobacter pasteurianus MGLV and its immunomodulatory effect
WO202214590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lactobacillus fermentum strain-derived nanovesicles as active ingredient
JP2010077056A (en) Infectious disease prophylactic
JP7206623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glucose metabolism disorder
WO202217741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nanovesicles derived from weissella cibaria strain
KR102814823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testinal damage comprising Leuconostoc citreum as active ingredient
KR102733203B1 (en) Pediococcus acidilactici strain having anti-cancer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uses thereof
WO202217740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ain-derived nanovesicles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US11497779B2 (en) Growth-stimulating Lactobacillus strains
WO202214590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nanovesicles derived from weissella cibaria st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