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502B1 - Magnetic flotation remote control and remote control holder - Google Patents
Magnetic flotation remote control and remote control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6502B1 KR102546502B1 KR1020210049920A KR20210049920A KR102546502B1 KR 102546502 B1 KR102546502 B1 KR 102546502B1 KR 1020210049920 A KR1020210049920 A KR 1020210049920A KR 20210049920 A KR20210049920 A KR 20210049920A KR 102546502 B1 KR102546502 B1 KR 102546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mote control
- holder
- magnet
- distance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339 lev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5/00—Holding or levitation devices using magnetic attraction or repul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20—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out armatures
- H01F7/206—Electromagnets for lifting, handling or transporting of magnetic pieces or materi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리모컨 홀더는 하단에 배치된 하부 자석; 상단에 배치된 상부 자석; 하단에 배치되어 리모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리모컨 하단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자석 또는 상부 자석의 자력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리모컨의 상단이 상기 리모컨 홀더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로부터 리모컨 하단까지의 거리인 제1 거리를 제공받으며, 상기 리모컨의 하단까지의 거리가 제1 거리의 절반이 되도록 상기 하부 자석의 자력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리모컨 홀더는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자석;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 자석; 하단에 배치되어 리모컨의 하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리모컨 하단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자석 또는 상부 자석의 자력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magnet disposed at the bottom; an upper magnet disposed on top; A sensor placed at the bottom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remote control;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lower magnet or the upper magnet using the distance from the sensor to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remote contro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In this state, a first distance is provided, which is the distance from the sensor to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lower magnet is controlled to increase so that the distance to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is half of the first distance.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magnet disposed at the bottom; An upper magnet disposed on top; A sensor placed at the bottom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magnetic force of the lower magnet or upper magnet using the distance to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provided from the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기부양 리모컨 및 리모컨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의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여 지정된 위치에 부양되도록 하는 자기부양 리모컨 및 리모컨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levitation remote control and a remote contro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gnetic levitation remote control and a remote control holder that are levitating to a designated position using the attraction and repulsive force of a magnet.
최근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자기기들을 리모컨으로 원격 제어하는 기술이 보편화되어 각 가정에서 보유하는 리모컨의 수도 늘어나게 되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Recently, as a technology for remotely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used in a home with a remote control has become common, the number of remote controls possessed by each home has increased.
이처럼 가정에서 사용하는 리모컨의 수가 늘어나게 되면서 리모컨의 관리 및 필요한 시점에 리모컨을 찾는 것이 어려워져 여러 리모컨의 기능이 통합된 통합 리모컨이 개발되었다.As the number of remote controls used at home increases, it becomes difficult to manage the remote control and find the remote control when necessary, and thus,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in which the functions of several remote controls are integrated has been developed.
통합 리모컨은 하나의 리모컨에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통합 리모컨은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stores a control program capabl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 one remote controller.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하지만, 종래의 통합 리모컨은 텔레비전, 비디오 재생장치를 동시에 제어할 수는 없었으며, 사용자가 해당 전자기기(텔레비전)에 할당된 코드셋(Code Set)을 입력할 경우, 통합 리모컨은 코드셋(Code Set)에 해당하는 텔레비전만을 제어할 수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integrated remote control cannot simultaneously control a television and a video player, and when a user inputs a code set assigned to a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television),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can control the code set (Code Set). Set) was able to control only the televisions corresponding to it.
도 1은 종래 리모컨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종래 일반적인 리모컨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1 shows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Hereinafter, a conventional general remote contr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에 의하면, 리모컨은 입력부 및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셋탑박스 전원버튼, TV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TV 전원버튼, TV 볼륨변경버튼, 셋탑박스 볼륨변경버튼, 셋탑박스 채널 변경버튼을 포함한 다수의 버튼들을 구비하고 있다.According to Figure 1, the remote control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The input unit includes a set-top box power button that turns on or off the power of the set-top box, a TV power button that turns on or off the TV, a TV volume change button, a set-top box volume change button, and a set-top box channel change button. It has a number of buttons including.
통신부는 버튼이 조작되면, 각 버튼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TV 또는 셋탑박스가 원격제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리모컨의 경우 버튼을 이용하여 TV 또는 셋탑박스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였다.When a button is manipulate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so that the TV or set-top box is remotely controlled. In this way, in the case of a remote control,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TV or a set-top box is transmitted using a button.
이와 같이 종래 리모컨의 경우, 다양한 버튼이 형성되어 있으며,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외부로 원격 제어신호를 송출한다.As such,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various buttons are formed, and a remot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using the formed buttons.
현재 리모컨은 단순히 원격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용도 이외에 제어 대상기기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일반적인 형태나 기능에서 벗어난 차별화된 액세사리의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Currently, the remote control is being converted into a concept of a differentiated accessory out of a general form or function according to the trend of upgrading control target devices,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simply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기부양이 가능한 리모컨을 제안함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remote control capable of self-suppor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액세사리로 사용 가능한 리모컨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remote control that can be used as an accessor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리모컨을 부양시킬 수 있는 리모컨 홀더를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remote control holder capable of supporting a remote contro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리모컨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자석의 극성을 모르는 경우에도 리모컨을 리모컨 홀더 내부에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effectively arranging a remote control inside a remote control holder even when the polarities of magnets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are not known.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리모컨 홀더는 하단에 배치된 하부 자석; 상단에 배치된 상부 자석; 하단에 배치되어 리모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리모컨 하단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자석 또는 상부 자석의 자력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리모컨의 상단이 상기 리모컨 홀더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로부터 리모컨 하단까지의 거리인 제1 거리를 제공받으며, 상기 리모컨의 하단까지의 거리가 제1 거리의 절반이 되도록 상기 하부 자석의 자력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한다.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magnet disposed at the bottom; an upper magnet disposed on top; A sensor placed at the bottom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remote control;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lower magnet or the upper magnet using the distance from the sensor to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remote contro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In this state, a first distance is provided, which is the distance from the sensor to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lower magnet is controlled to increase so that the distance to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is half of the first distance.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 부양 시스템은 리모컨의 상단 및 하단에 자석을 배치하고, 리모컨이 배치되는 리모컨 홀더의 상단 및 하단에 자석을 배치하여, 리모컨을 리모컨 홀더 내부에 배치할 수 있어, 리모컨을 하나의 인테리어 개념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emote control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magnet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and arranges magnet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where the remote control is placed, so that the remote control can be placed inside the remote control holder, so that the remote control can be placed as one unit. There are advantages to using the interior concept.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홀더는 리모컨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자석의 극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리모컨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자석의 극성을 판별하여 리모컨을 리모컨 홀더 내부에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hold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lace the remote control inside the remote control holder by discriminating the polarities of the magnets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even when the polarities of the magnets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are not recognized.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도 1은 종래 리모컨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 부양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 홀더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 홀더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shows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Figure 2 shows a remote control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addition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s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m.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 부양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 부양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Figure 2 shows a remote control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remote control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에 의하면, 리모컨 부양 시스템(200)은 리모컨(210)과 리모컨 홀더(220)로 구성된다. 리모컨 홀더(220)는 'C' 자 형태 또는 'ㄷ' 자 형태를 갖는다. 리모컨 홀더(2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전자석을 포함한 자석이 배치된다.According to FIG. 2, the remote
리모컨 홀더(2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는 자석의 자력 크기는 조절이 가능하다.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dispos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리모컨(210)은 리모컨 홀더 사이에 배치되며, 리모컨의 상단과 하단 역시 리모컨 홀더와 동일하게 자석이 배치된다.The
본 발명과 관련하여 리모컨(210)과 리모컨 홀더(220)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리모컨(210)에 배치되는 자석의 극성과 리모컨 홀더(220)에 배치되는 자석의 극성은 상이하도록 한다.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ty of the magnet disposed on the
리모컨(210)과 리모컨 홀더(220)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는 경우, 리모컨(210)은 리모컨 홀더(220)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리모컨(210)의 하단과 리모컨 홀더(220)의 하단에는 척력이 작용하며, 리모컨(210)의 상단과 리모컨 홀더(220)의 상단에는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 리모컨(210)이 리모컨 홀더(220) 상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When a repulsive force acts betwee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모컨(210)과 리모컨 홀더(220) 상에 인력이 작용되도록 하며, 다만, 리모컨(210)의 상단과 리모컨 홀더(220)의 상단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이 리모컨(210)의 하단과 리모컨 홀더(220)의 하단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인력을 갖도록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gravitational force to act 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홀더(220)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된 자석은 제어모듈에 의해 자력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한다. 또한, 리모컨(210)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자석은 영구자석을 배치하여, 일정한 자력을 갖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agnets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 홀더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리모컨 홀더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operation performed in the remote control hold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컨 홀더에 배치되는 리모컨은 상이한 크기를 갖거나, 상이한 중량을 갖는다. 따라서 리모컨 홀더 내에 배치되는 리모컨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리모컨 홀더의 자력 크기는 달리 설정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 disposed in the remote control holder has a different size or a different weight. Therefore, the magnetic force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r weight of the remote control placed in the remote control holder.
S300단계에서 리모컨이 리모컨 홀더에 배치되면, 리모컨 상단과 리모컨 홀더의 상단은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리모컨 하단과 리모컨 홀더 하단은 자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리모컨 상단과 리모컨 홀더 상단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면, 리모컨의 상단은 리모컨 홀더의 상단에 접촉된다.In step S300, when the remote control is placed in the remote control holder, the upper part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upper part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llow attraction to act, and the lower part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lower part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do not generate magnetic force. In this way, when an attract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S302단계에서 리모컨 홀더는 하단에 배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리모컨 하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센서는 거리 측정이 가능한 센서라면 모두 이에 포함된다.In step S302, the distance to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is measured using a sensor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The sensor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l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distance.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 배치하는 센서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 배치되는 자석은 원형의 센서를 중심으로 내부가 빈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nsor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magnet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round the circular sensor.
S304단계에서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 배치된 자석의 자력을 증가시켜 리모컨 홀더의 하단과 리모컨의 하단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리모컨 홀더는 S302단계에서 측정한 리모컨 홀더의 하단과 리모컨 하단 사이의 거리의 1/2가 되도록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 배치된 자력의 크기를 증가시킨다.In step S304,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is increased so that an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nd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holder increases the size of the magnetic forc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to be 1/2 of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nd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measured in step S302.
이와 같이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 배치된 자력의 크기를 서서히 증가시키면 리모컨의 하단과 리모컨 홀더의 하단 사이의 거리는 S302단계에서 측정한 거리의 1/2가 된다.In this way, when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is gradually increased,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becomes 1/2 of the distance measured in step S302.
S306단계에서 리모컨 홀더는 리모컨의 하단과 리모컨 홀더의 하단 사이의 거리가 S302단계에서 측정한 거리의 1/2가 되면,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 배치된 자석의 자력 크기를 유지한다.In step S306,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becomes 1/2 of the distance measured in step S302,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is maintain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 배치된 자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리모컨이 리모컨 홀더 내에서 원하는 지점에 배치되도록 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size of the magnetic forc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so that the remote control is placed at a desired point within the remote control holder.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 홀더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 홀더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에 의하면, 리모컨 홀더는 상부 자석, 하부 자석, 센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홀더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ure 4, the remote control holder includes an upper magnet, a lower magnet, a sensor, and a control module.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hold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부 자석(222)은 리모컨 홀더의 상단에 배치된다. 상부 자석(222)은 자력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석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자력의 크기 조절이 불가능한 영구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The
하부 자석(224)은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 배치된다. 하부 자석(224)은 상부 자석(222)과 달리 자력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석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 자석(224)의 자력 크기를 조절하여 리모컨이 리모컨 홀더 내에 정해진 지점에 위치하도록 한다.The
센서(226)는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 배치되며, 리모컨의 하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센서(226)는 리모컨의 하단까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The
제어모듈(228)은 리모컨 홀더 상에 배치된다. 제어모듈(228)은 리모컨 홀더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자석의 자력 크기를 제어한다. 제어모듈(228)은 리모컨이 리모컨 홀더 상에 배치되면, 리모컨 홀더 상단에 배치된 자석의 자력 크기를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제어하며, 리모컨 홀더 하단에 배치된 자석은 자력을 갖지 않도록 한다. 제어모듈(228)은 센서로부터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서 리모컨 하단까지의 거리를 제공받는다. 제어모듈(228)은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서 리모컨 하단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리모컨이 리모컨 홀더의 설정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 위치한 자석의 자력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제어모듈(228)은 리모컨이 리모컨 홀더의 설정된 지점에 위치하면, 리모컨 홀더의 하단에 배치된 자석의 자력 크기를 고정한 상태로 유지한다.The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홀더는 상부 자석, 하부 자석, 센서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홀더는 통신모듈,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hold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n upper magnet, a lower magnet, a sensor, and a control modu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mote control hold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storage module.
저장모듈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홀더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모듈은 각 리모컨 별로 상부 자석과 하부 자석의 자력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module stores control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remote control hold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odule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magnitude of magnetic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s for each remote control.
통신모듈은 리모컨과 통신을 수행하며, 리모컨으로부터 고유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모듈은 리모컨으로부터 제공받은 리모컨의 고유정보를 제어모듈로 제공하며, 제어모듈은 제공받은 리모컨의 고유정보를 리모컨 홀더의 상부 자석과 하부 자석의 자력 크기와 함께 저장한다. 이와 같이 리모컨의 고유정보와 리모컨 홀더의 상부 자석과 하부 자석의 자력 크기를 함께 저장함으로써, 리모컨 홀더는 동일한 리모컨이 리모컨 홀더에 배치되는 경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상부 자석과 하부 자석의 자력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es with the remote control and receiv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The communication module provid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stores the received unique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together with the magnetic strength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s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In this way, by stor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magnetic force size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s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together, the remote control holder can quickly use the stored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magnetic force size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s when the same remote control is placed on the remote control holder. can control.
본 발명과 제어모듈은 리모컨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자석의 극성을 모르는 경우에도 리모컨을 리모컨 홀더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리모컨을 리모컨 홀더를 내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제어모듈은 리모컨 홀더 상단에 배치된 자석의 자력을 설정된 크기로 증가시킨다. 이후 제어모듈은 리모컨의 하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리모컨의 하단까지의 거리의 변화가 없는 경우 리모컨 홀더의 상단에 배치된 자석과 리모컨 상단에 배치된 자석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리모컨 상단에 배치된 자석의 극성을 변경한다.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module can place the remote control inside the remote control holder even when the polarities of the magnets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are not known.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user places the remote control holder inside the remote control holder, the control module increa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disposed on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to a set size. Then, the control module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and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distance to the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attraction between the magnet placed on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nd the magnet placed on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Change the polarity of the magnet placed on top.
이외에도 리모컨 홀더의 상단에 접촉센서를 배치하고, 리모컨의 상단이 리모컨 홀더의 상단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모듈은 리모컨 홀더의 상단에 배치된 자석과 리모컨 상단에 배치된 자석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리모컨 상단에 배치된 자석의 극성을 변경한다.In addition, if the contact sensor is placed on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nd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odule creates an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magnet disposed on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nd the magnet disposed on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It is determined that this does not work and the polarity of the magnet placed on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is changed.
리모컨의 하단에 배치된 자석의 극성을 모르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리모컨의 리모컨 홀더의 상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리모콘 홀더 하단에 배치된 자석의 자력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더라도 리모컨 홀더 하단과 리모컨 하단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지 않으면, 리모컨 홀더의 하단과 리모컨 하단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리모컨 홀더 하단에 배치된 자석의 극성을 변경한다. The same can be applied even if the polarity of the magnet placed at the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is not know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nd the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is not close even i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laced at the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is sequentially increased while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and the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If it is judged that this does not work, the polarity of the magnet placed at the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is chang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홀더를 구성하는 제어모듈은 리모컨 홀더 내부에 배치되는 자석을 극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리모컨을 리모컨 홀더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rol module constituting the remote control hold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lace the remote control inside the remote control holder even when the polarity of the magnet disposed inside the remote control holder is not recogniz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210: 리모컨 220: 리모컨 홀더
222: 상부 자석 224: 하부 자석
226: 센서 228: 제어모듈 210: remote control 220: remote control holder
222: upper magnet 224: lower magnet
226: sensor 228: control module
Claims (7)
상단에 배치된 상부 자석;
하단에 배치되어 리모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리모컨 하단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자석 또는 상부 자석의 자력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리모컨의 상단이 상기 리모컨 홀더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로부터 리모컨 하단까지의 거리인 제1 거리를 제공받으며,
상기 리모컨의 하단까지의 거리가 제1 거리의 절반이 되도록 상기 하부 자석의 자력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홀더.
a lower magnet disposed at the bottom;
an upper magnet disposed on top;
A sensor placed at the bottom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remote control;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magnetic force of the lower magnet or upper magnet using the distance to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provided from the sensor; includes,
The control module,
A first distance is provided, which is a distance from the sensor to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remote contro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The remote contro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increase the magnetic force of the lower magnet so that the distance to the lower end of the remote control is half of the first distance.
상기 리모컨이 상기 하부 자석과 상부 자석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상부 자석의 자력 크기를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제어하며,
상기 하부 자석는 자력을 갖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홀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odule,
When the remote control is placed between the lower magnet and the upper magnet,
The magnetic force of the upper magnet is controlled to have a set size,
The remote contro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magnet is controlled so as not to have a magnetic force.
리모컨 홀더 상단에 배치된 상부 자석의 자력을 설정된 크기로 증가시킨 상태에서 센서와 리모컨 하단의 거리 변화가 없거나, 리모컨 홀더 상단에 배치된 접촉센서에 리모컨의 상단이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리모컨 홀더 상단에 배치된 자석의 극성을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홀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odul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and the lower part of the remote control while the magnetic force of the upper magnet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is increased to the set size, or if the upper part of the remote control does not contact the contact sensor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the upper part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Remote control holder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placed magnet.
리모컨 홀더 상단에 배치된 접촉센서에 리모컨의 상단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자석의 자력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며,
상기 센서와 리모컨까지의 거리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자석의 극성을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홀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odule,
The magnetic force of the lower magnet is sequentially increased in a state in which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or disposed on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Remote contro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arity of the lower magnet is changed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and the remote control.
상기 리모컨 홀더 내에 배치되는 리모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부양 시스템.
Any one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of claims 1 to 4; and
Remote control floa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mote control disposed in the remote control holder.
상기 리모컨의 상단에 배치되는 자석과 상기 리모컨 홀더의 상단에 배치되는 자석은 상이한 극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부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magnets are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disposed on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magnet disposed on the top of the remote control holder have different polarities.
상기 제어모듈은 리모컨의 식별정보와 상기 상부 자석 및 하부 자석의 자력 크기를 대응시키 저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부양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emote control holder comprises a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from the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o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upper magnet and the lower magnet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9920A KR102546502B1 (en) | 2021-04-16 | 2021-04-16 | Magnetic flotation remote control and remote control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9920A KR102546502B1 (en) | 2021-04-16 | 2021-04-16 | Magnetic flotation remote control and remote control hol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3426A KR20220143426A (en) | 2022-10-25 |
KR102546502B1 true KR102546502B1 (en) | 2023-06-22 |
Family
ID=8380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9920A Active KR102546502B1 (en) | 2021-04-16 | 2021-04-16 | Magnetic flotation remote control and remote control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6502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1449B1 (en) * | 2019-03-11 | 2020-09-03 | 주식회사 연후 | Magnetic levitation type wireless charg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9252A (en) * | 1999-03-09 | 2000-09-22 | Ebara Corp | Control device for magnetic levitation device |
KR20020093745A (en) * | 2002-11-22 | 2002-12-16 | 이지형 | Apparatus For Levitation Controlled With A Electromagnetism Force |
CN204069288U (en) | 2014-09-30 | 2014-12-31 | 罗挺 | Magnetic suspension sound box |
KR102151076B1 (en) | 2019-07-12 | 2020-09-02 | 주식회사 브리트코리아 | Levitation speaker |
-
2021
- 2021-04-16 KR KR1020210049920A patent/KR1025465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1449B1 (en) * | 2019-03-11 | 2020-09-03 | 주식회사 연후 | Magnetic levitation type wireless charg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3426A (en) | 2022-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30355B2 (en) |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8629941B2 (en) | Programmable remote controller and setting method thereof | |
US20100118195A1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led by remote control device | |
US20210039496A1 (en) | Vehicle fun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detachable knob | |
US20070252721A1 (en) | Spatial Interaction System | |
US9984562B2 (en) | Remote controller having tilt switch and a plurality of metal domes | |
EP3940946B1 (en) | Multidimension-controllable switch levitation system | |
JP2008035962A (en) | Game device with general-purpose remote control function | |
JPH06103956B2 (en) | Remote control transmitter that emits control commands | |
KR102546502B1 (en) | Magnetic flotation remote control and remote control holder | |
KR20200075157A (en) | In-vehicle control apparatus using detachable knob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30025877A (en) |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 |
US1166096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vehicle using a detachable control device | |
US20090290072A1 (en) | Remote controller,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170205904A1 (en) | Remote controller with jog shutt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control menu settings for electronic apparatus | |
US8860558B2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 |
JP2013243569A (en) | Remote controllable electronic apparatus | |
JP2012010096A (en) | Remote controller | |
JP4064255B2 (en) |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r | |
JPH10124246A (en) | Display control unit | |
KR102732688B1 (en) | Display device | |
KR102585907B1 (en) | A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 | |
KR20210001677A (en) | Voice search applied remote control and how to support it | |
WO2011090472A1 (en) | Programmable remote controller and setting method thereof | |
KR20210042463A (en) | Motion Detection Remote Control with Sen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