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6427B1 - 다목적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목적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427B1
KR102546427B1 KR1020177000212A KR20177000212A KR102546427B1 KR 102546427 B1 KR102546427 B1 KR 102546427B1 KR 1020177000212 A KR1020177000212 A KR 1020177000212A KR 20177000212 A KR20177000212 A KR 20177000212A KR 102546427 B1 KR102546427 B1 KR 102546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electrical
forming substrate
generating
electrically oper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680A (ko
Inventor
루이 누노 바티스타
스테파네 안토니 헤다르체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7004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4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5Touch-screens; Virtual keyboard or keypads; Virtual buttons; Soft keys; Mouse t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에어로졸 형성 기재(54), 에어로졸 형성 기재(54)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52), 제1 데이터 저장 장치(50), 및 제1 전기 커넥터(24)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16)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이 제공되어 있다. 시스템(10)은, 전기 에너지 공급부(38), 다목적 사용자 인터페이스(3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30), 제2 데이터 저장 장치(34), 제2 데이터 저장 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34), 마이크로프로세서(36), 및 제2 전기 커넥터(18)를 포함하고 있는 다목적 연산 장치(12)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들(18, 24)은, 다목적 연산 장치(12)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16) 간의 양방향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고, 그리고 전기 에너지 공급부(38)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52)로 전류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3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 장치들(34, 50)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소정의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52)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MULTI-PURPOSE COMPUTING DEVICE}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및 다목적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니코틴 함유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특히 적용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한 유형은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이다. 전기 히터, 배터리와 제어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형성 카트리지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되어 있는 휴대용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들에서의 제어 전자기기의 일차 기능은, 가열 사이클 동안 배터리로부터 전기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어 전자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임의의 추가 기능은, 배터리의 충전과 장치 상의 지시 광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처럼 기본적이며 자율적이다.
비용 효과적이면서 소비자에게 편리한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에 증가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로졸 형성 기재,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 제1 데이터 저장 장치, 및 제1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 공급부, 다목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 제2 데이터 저장 장치, 제2 데이터 저장 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제2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다목적 연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들은, 다목적 연산 장치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간의 양방향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고, 그리고 전기 에너지 공급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로 전류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소정의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고;
도 2는 도 1의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고;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히터 조립체의 한 구현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은 사시도이고 도 4는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더 설명되고 예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와 다목적 연산 장치의 조합을 지칭한다.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와 다목적 연산 장치는 협력해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에 의한 가열시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있는 조립체를 지칭하며, 휘발성 화합물이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흡연 물품일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라는 용어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은, 눈에 보일 수도 있고 보이지 않을 수도 있으며, 증기(예를 들면, 실온에서는 보통 액체 또는 고체인, 기체 상태에 있는 물질의 미립자) 뿐만 아니라 기체 및 응축된 증기의 액적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다목적 연산 장치”라는 용어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동작에 관련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산 장치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다목적 연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는 것에 더하여, 전화 호출을 송수신하고, 문자 메시지와 이메일을 송수신하고, 인터넷 브라우징과 멀티미디어 재생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및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동작에 관련되지 않은 추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일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연산 장치”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장치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용어는, 연산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시, 연산 장치가 명령어에 따라 연산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다목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사용에 관한 연산과 그 장치의 다른 사용에 관한 연산을 위해 다목적 연산 장치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음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화상, 비디오, 및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같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장치일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도 있는 정보의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더하여, 이메일 및 문자 메시지, 인터넷 브라우징 데이터, 및 사진 같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동작에 관련되지 않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에게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스피커,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장치”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다목적 연산 장치에 데이터를 직접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다목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여 장치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는, 소프트 키, 하드 키, 및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목적 연산 장치 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를 제공하여,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를 제어하기 위한 복잡한 전용 전자 장치를 제공할 필요 없이 기존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비해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및 연관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비교적 저가로 제조 및 생성될 수 있으며, 기존의 다목적 연산 장치와 함께 사용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개인용 컴퓨터의 전력 공급 유닛 같은 주전력 공급부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배터리, 바람직하게는 재충전가능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들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커넥터들은, 서로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플러그와 소켓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케이블 같은 수동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커넥터들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배터리,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상의 제1 전기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전기 커넥터, 및 다목적 연산 장치 상의 제2 전기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배터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제1, 제2, 제3, 제4 전기 커넥터들은, 다목적 연산 장치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간의 양방향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1, 제2, 제3, 제4 전기 커넥터들은, 전기 에너지 공급부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로 전류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3 전기 접촉부들은, 배터리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로 전류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소정의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전기 에너지 공급부와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경우 다목적 연산 장치로부터의 전류 흡인(draw)을 유리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3 커넥터들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동작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로부터 전류가 흡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다목적 연산 장치 내의 전기 에너지 공급부가 배터리를 또한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류의 제한된 공급을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들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동작에 관련되지 않은 목적을 위해 연산 장치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목적 연산 장치의 배터리의 충분한 전류 공급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로부터의 전류 공급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현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동작 동안 다목적 연산 장치의 전기 에너지 공급부로부터 전류를 여전히 흡인할 수도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 요소의 열적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로부터의 전류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히터 요소에 추가 전류를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다목적 연산 장치의 전기 에너지 공급부만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히터 요소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을 지원하도록, 제1, 제2, 제3, 및 제4 전기 커넥터들은,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를 우회하면서 다목적 연산 장치의 전기 에너지 공급부로부터 배터리 유닛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기 커넥터들은, 제1 커넥터가 배터리 유닛 상의 제3 커넥터에 또는 다목적 연산 장치 상의 제2 커넥터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배터리 유닛을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들에서, 배터리는, 소정 횟수의 동작 사이클 후에 반드시 배터리 유닛을 교체해야 하는 일회용 배터리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배터리는, 바람직하게, 배터리 유닛이 재충전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재충전가능 배터리이다. 재충전가능 배터리는, 배터리 유닛 상의 제3 또는 제4 전기 커넥터에 연결될 수도 있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사용하여 충전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및 제4 전기 커넥터들은,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끔 다목적 연산 장치의 전기 에너지 공급부로부터 배터리 유닛으로 전류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가열 사이클의 지속기간과 가열 사이클의 최대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소정의 가열 프로파일을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원격 소스로부터 원격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원격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원격 소스로부터 새로운 가열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그 새로운 가열 프로파일을 제1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가 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하도록 특별하게 제조된 정품 조립체임을 검증하도록 원격 소스와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일련 번호들의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를 위해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제1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일련 번호를 원격 소스에 통신할 수도 있다. 비교에 기초하여, 원격 소스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가 정품인지 여부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나타낼 수 있다. 조립체가 진짜가 아니거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호환성이 없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에러 메시지를 통신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동작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원격 데이터 소스로부터 원격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현예들에서, 원격 소스는 원격 데이터 서버일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원격 데이터 서버와의 원격 데이터 연결을 확립해서 상기 원격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목적 연산 장치는, 원격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원격 서버와의 TCP/IP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네트워크 어댑터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구현예들 중 임의의 구현예에서, 다목적 연산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제1 데이터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목적 연산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를 식별하는 데이터와 가열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목적 연산 장치는, 조립체를 사용한 사용자들 또는 장치들의 리스트, 총 퍼프 카운트, 남은 퍼프 횟수, 가열 사이클의 횟수, 또는 조립체의 제1 동작 이후 경과된 시간 같은 조립체의 동작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구현예들 중 임의의 구현예에서, 다목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는 저항형 또는 정전용량형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구현예들 중 임의의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바람직하게, 다목적 연산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서로 다른 유형들을 식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제1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식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된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에 관한 임의의 원격 데이터가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원격 서버에 질의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식별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식별된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를 위한 갱신된 가열 프로파일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원격 서버에 질의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구현예들 중 임의의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 및 제1 데이터 저장 장치가 수용되는 공동을 정의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체의 제1 말단에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고, 제1 말단의 반대측인 본체의 제2 말단에 제1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데이터 저장 장치의 제1 전기 커넥터는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마우스피스,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완전히 사용된 후 새로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교체될 수 있도록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히터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의 청소나 교체가 용이하도록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히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별도로 제거 가능할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본체로부터 단일 유닛으로서 제거 가능하도록 함께 고정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마우스피스는 마우스피스의 교체나 청소가 용이하도록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 중 적어도 하나가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한 구현예들에서, 마우스피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 중 적어도 하나를 공동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도 있다.
사용시, 사용자는 마우스피스의 하류 말단에서 흡입하여 조립체를 통하거나 이에 인접하는 공기의 흐름을 흡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바람직하게, 조립체는 마우스피스의 하류 말단에서의 흡인 저항이 약 50 mmWG 내지 약 130 mmWG,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 mmWG 내지 약 120 mmWG, 더 바람직하게는 약 90 mmWG 내지 약 110 mmWG,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5 mmWG 내지 약 105 mmWG가 되도록 배치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흡인 저항”은 22℃ 및 101 kPa(760 Torr)에서 17.5 ml/초의 속도로 시험 하에서 공기를 물체의 총 길이를 통과시키는 데 필요한 압력을 지칭한다. 흡인 저항은 일반적으로 밀리미터 수위계(mmWG) 단위로 표현되고, ISO 6565:2011에 따라 측정된다.
전술한 임의의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임의의 적합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소정의 구현예들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세장형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으로 평평”은 두께 대 폭의 비가 적어도 약 1:2인 부품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 두께 대 폭의 비는 부품의 굴곡 또는 파단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약 1:20 미만이다.
평평한 부품은 제조 과정에서 용이하게 다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실질적으로 평평할 때, 그리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폭, 길이 또는 이들 모두를 가로질러 기류가 흡인되도록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배치될 때,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의 에어로졸 방출이 개선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전술한 임의의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가열시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담배 향미 화합물을 가지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제, 즉, 가열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예를 들어, 폴리올 에어로졸 형성제 또는 비폴리올 에어로졸 형성제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실온에서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액체이다. 적절한 폴리올은 소르비톨,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트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을 포함하고 있다. 적절한 비폴리올은 메탄올과 같은 1가 알코올, 비등점이 높은 탄화수소, 유산과 같은 산, 디아세틴, 트리아세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있다. 메틸 스테아레이트,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 및 디메틸 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와 같은 지방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에어로졸 형성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동일한 또는 상이한 비율로 에어로졸 형성제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는 반면, 트리아세틴은 안정화하기 더 어렵고 제품 내에서 그 이동을 막기 위해 캡슐화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코코아, 감초, 유기산 또는 멘톨과 같은 하나 이상의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기재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고체 기재는, 예를 들어, 허브 잎, 담배 잎, 담배 리브 조각, 재생 담배, 균질화 담배, 압출 담배 및 팽화 담배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분말, 과립, 펠릿, 슈레드, 스파게티, 스트립 또는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체 기재는 기재의 가열시 방출될, 추가의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체 기재는, 예를 들어, 추가의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캡슐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캡슐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 중에 녹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러한 캡슐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 전에, 중에, 또는 후에 분쇄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균질화 담배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고체 기재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균질화 담배 재료는 미립자 담배를 응집시켜 형성될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는 시트 형태일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5% 초과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는 대안적으로 건조 중량 기준으로 5% 내지 3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 시트는 담배 잎몸 및 담배 잎자루 중 하나 또는 모두를 분쇄하거나 또는 곱게 빻아서 얻은 미립자 담배를 응집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균질화 담배 재료 시트는, 예를 들어, 담배의 처리, 취급 및 출하 중에 생성되는 담배 가루, 담배 미분 및 기타 미립자 담배 부산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 시트는 미립자 담배를 응집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담배 내인성 바인더인 하나 이상의 내재성 바인더, 담배 외인성 바인더인 하나 이상의 외재성 바인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균질화 담배 재료 시트는,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담배 및 비담배 섬유, 에어로졸 형성제, 습윤제, 가소제, 향미제, 충전제, 수성 및 비수성 용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있는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 시트는, 미립자 담배 및 하나 이상의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는 슬러리를 컨베이어 벨트 또는 다른 지지면 상에 캐스팅하는 단계, 캐스팅된 슬러리를 건조시켜서 균질화 담배 재료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지지면으로부터 균질화 담배 재료 시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일반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유형의 캐스팅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고체 기재는 열적으로 안정한 담체 상에 제공되거나 그 안에 매립될 수 있다. 담체는 분말, 과립, 펠릿, 슈레드, 스파게티, 스트립 또는 시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담체는 US-A-5 505 214, US-A-5 591 368 및 US-A-5 388 594에 개시된 것들과 같이, 그 내표면 상에, 또는 그 외표면 상에, 또는 그 내표면 및 외표면 양 표면 상에 놓인 고체 기재의 박층을 갖는 관형 담체일 수 있다. 이러한 관형 담체는, 예를 들어, 종이, 종이류 재료, 부직 탄소 섬유 매트, 저 질량 오픈 메쉬 금속 스크린, 또는 천공된 금속 포일(foil) 또는 임의의 다른 열적으로 안정한 중합체 매트릭스로 형성될 수 있다. 고체 기재는, 예를 들어, 시트, 발포체, 겔 또는 슬러리 형태로 담체의 표면 상에 놓일 수 있다. 고체 기재는 담체의 전체 표면 상에 놓이거나, 대안적으로 사용 중에 소정의 또는 불균일한 향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패턴으로 놓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담체는 EP-A-0 857 431에 기재된 것과 같이, 담배 부품들이 통합되어 있는 부직포 직물 또는 섬유 다발일 수 있다. 부직포 직물 또는 섬유 다발은, 예를 들어, 탄소 섬유,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담배 기반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대한 대안으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액체 기재를 포함할 수 있고, 조립체는 액체 기재를 보유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하나 이상의 용기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조립체는, WO-A-2007/024130, WO-A-2007/066374, EP-A-1 736 062, WO-A-2007/131449 및 WO-A-2007/13145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액체 기재가 흡수되는 다공성 담체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액체 기재는 바람직하게, 니코틴, 니코틴 베이스, 니코틴 염, 예컨대, 니코틴-HCl, 니코틴-중주석산염(bitartrate), 또는 니코틴-이주석산염(ditartrate), 또는 니코틴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니코틴 공급원이다.
니코틴 공급원은 천연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니코틴 공급원은, 순수 니코틴, 수성 용매 또는 비수성 용매 중의 니코틴 용액, 또는 액체 담배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니코틴 공급원은 전해질 형성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 형성 화합물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금속 염, 알칼리토 금속 산화물,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공급원은,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산화리튬, 산화바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황산암모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해질 형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니코틴 공급원은, 니코틴, 니코틴 베이스, 니코틴 염, 또는 니코틴 유도체, 및 전해질 형성 화합물의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니코틴 공급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향미제, 인공 향미제 및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있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니코틴 함유 에어로졸 형성 기재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기체상에서 니코틴과 반응하여 사용자에게 니코틴을 전달하는 것을 돕는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의 공급원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둘 이상의 상이한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휘발성 액체이다.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수용액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비수용액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둘 이상의 상이한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둘 이상의 상이한 휘발성 액체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휘발성 용매 중의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화합물의 용액, 또는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액체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휘발성 액체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산을 포함하고 있다.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유기산, 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파-케토(alpha-keto) 또는 2-옥소산(2-oxo acid)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3-메틸-2-옥소펜타논산, 피루브산, 2-옥소펜타논산, 4-메틸-2-옥소펜타논산, 3-메틸-2-옥소부타논산, 2-옥소옥타논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피루브산을 포함하고 있다.
고체 또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대한 대안으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기재, 예를 들면, 기체 기재, 겔 기재, 또는 설명된 다양한 종류의 기재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전술한 임의의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단일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조성을 갖는 둘 이상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베이스층 상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개별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둘 이상의 상이한 부분을 개별적으로 저장하여, 전혀 양립되지 않는 두 물질을 동일한 조립체에 저장할 수 있다. 유리하게,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둘 이상의 상이한 부분을 개별적으로 저장하면 조립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두 가지 양립할 수 없는 물질이 동일한 조립체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각각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개별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개별적으로 에어로졸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프로파일 요건이 상이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향상된 에어로졸 형성을 위해 상이하게 가열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보다 휘발성인 물질이 덜 휘발성인 물질과 별도로 더 낮은 정도로 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을 위해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 중 상이한 것을 가열하여, 개별적인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미리 정해진 순서로 에어로졸화될 수도 있어, 조립체가 사용될 때마다 '새로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에어로졸화되도록 한다. 액체 니코틴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니코틴 및 휘발성 전달 강화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개별적으로 저장되고, 시스템이 작동 중일 때에만 기체상으로 함께 반응한다.
바람직한 소정의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60℃ 내지 약 320℃,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230℃, 바람직하게는 약 90℃ 내지 약 180℃의 기화 온도를 갖는다.
제1, 제2, 제3, 제4 전기 커넥터들의 각각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전기 커넥터들의 각각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유리하게도, 실질적으로 평평한 전기 접촉부는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는 데 더 신뢰성이 있으며 제조하기에 더 용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람직하게, 전기 접촉부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USB-A, USB-B, USB-C, USB-미니, USB-마이크로, SD, 미니SD, 또는 마이크로 SD 유형의 연결을 포함하여, 표준화된 전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표준화된 전기 연결”은 산업 표준에 명시된 전기 연결을 지칭한다. 대안적으로, 전기 접촉부는 하나 이상의 제조업자에 의해 설정된 표준에 부합하지만 산업 표준에 의해 특정되지 않은 독점 전기 연결부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스마트폰은 독점 연결부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및 재충전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전술한 임의의 구현예에서, 다목적 연산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 랩탑, 넷북,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목적 연산 장치에 직접 연결될 때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다.
전술한 임의의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부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출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기류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기류 채널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유체 연통하고 있다. 기류 채널은, 기류 채널을 통해 흡인되는 공기의 유동에서 난류 경계층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유동 교란 장치가 배치된 내부 벽면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벽면 상에 하나 이상의 유동 교란 장치를 갖는 기류 채널을 제공하여 기류 채널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난류 경계층을 생성함으로써, 시스템 상의 흡인 수준에 관계없이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는 비교적 일관성 있는 흡인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흡인의 증가가 흡인 저항의 급격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종래 기술의 시스템들과는 대조적이다. 종래 기술 시스템에서 흡인 저항의 급격한 변화는 흡인 수준이 특정 수준을 넘어 증가할 때 기류 채널의 벽으로부터 기류의 층류 경계층이 분리됨으로 인해 발생한다. 하지만, 하나 이상의 유동 교란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에서, 하나 이상의 유동 교란 장치에 의해 야기된 난류 경계층은 이 효과를 완화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동 교란 장치는 내부 벽면 상에 하나 이상의 딤플(dimple) 또는 기복(undulation)을 포함하고 있다. 유리하게, 하나 이상의 딤플 및 기복은 기류 채널에서 필요한 난류 경계층을 제공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용 부품들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에서 딤플 및 기복을 형성하는 것은 비교적 단순하다. 예를 들어, 딤플 및 기복은 성형, 스탬핑, 엠보싱, 디보싱,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딤플 또는 기복에 의해 형성된 내부 벽면의 오목부가 또한 기류 채널 내에 감소된 공기압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감소된 공기압 영역은 휘발성 화합물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기류 속으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반대측 내부 벽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하나 이상의 딤플 또는 기복이 제공된 구현예에서 특히 유리하다.
유동 교란 장치가 하나 이상의 딤플 또는 기복을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딤플 또는 기복은 바람직하게 약 0.3 mm 내지 약 0.8 mm의 수 평균 최대 깊이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딤플 또는 기복은 바람직하게 기류 채널 두께의 약 15% 내지 약 80%, 더 바람직하게는 기류 채널 두께의 약 30% 내지 약 50%의 수 평균 최대 깊이를 갖는다. 이 범위들 중 하나의 범위 또는 양쪽 범위 내의 치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딤플 또는 기복은 난류 경계층 흐름을 제공하는 데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수 평균 최대 깊이”는, 각 딤플 또는 기복의 깊이를 그 최대 깊이에서 측정할 경우 딤플 또는 기복의 평균 깊이를 지칭한다.
유동 교란 장치는 바람직하게, 내부 벽면 상에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딤플은 약 3 mm 내지 약 6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3 mm 내지 약 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mm 내지 약 4 mm의 수 평균 최대 직경을 갖는다. 딤플 크기를 6 mm보다 크게 증가시키면 원하는 난류 경계층 흐름을 생성함에 있어 딤플의 효율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수 평균 최대 직경”은, 각 딤플의 직경을 그 최대 직경에서 측정할 경우 딤플의 평균 직경을 지칭한다.
기류 채널은 바람직하게, 채널의 유동 면적이 공기 유입부로부터 공기 유출부로의 하류 방향으로 증가되는 확산부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기류 채널의 확산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확산부를 제공하면, 기류가 확산부로 들어갈 때 기류의 속도를 유리하게 감소시켜 보다 큰 크기의 에어로졸 방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확산부의 최대 단면적은 기류 유입부의 단면적에 비해 너무 크지 않은데, 그렇지 않을 경우 기류 채널의 내부에 에어로졸 방울이 응축하기 시작하는 수준으로 기류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부의 최대 단면적은 바람직하게 확산부 최대 단면적의 약 1% 내지 약 40%, 더 바람직하게는 확산부 최대 단면적의 약 5% 내지 약 20%이다. 공기 유입부가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공기 유입부의 면적은 복수의 개구의 합한 면적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동 면적”은 채널을 통과하는 일반적인 기류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기류 채널의 단면적을 지칭한다.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는 베이스층 및 베이스층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베이스층 및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평평하며,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 위에 놓여 베이스층에 고정된 상단 커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기류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기류 채널과 유체 연통되도록 상단 커버와 베이스층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다.
상단 커버를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동 교란 장치가 배치된 내부 벽면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단 커버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기류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상단 커버와 베이스층이 서로 고정되기 전에 상단 커버와 베이스층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하나 이상의 유동 장치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류 채널은 두 개의 파트로 제조될 수 있고, 이는 기류 채널의 내부 벽면 상의 특징부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 방법은, 기류 채널이 가변 단면을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예컨대, 기류 채널이 확산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특히 유리하다.
전술한 임의의 구현예에서, 유동 교란 장치는 바람직하게, 내부 벽면 표면적의 약 30% 내지 약 100%를 차지한다. 이 범위 내에서 내부 벽면의 면적에 걸쳐 유동 교란 장치를 제공하면, 경계층 흐름에 충분한 난류를 제공하여 시스템을 통한 흡인 저항의 안정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전술한 임의의 구현예들에서, 특히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베이스층 및 실질적으로 평평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기류 채널은 바람직하게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으로 장방형”은 길이가 폭보다 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지칭한다. 즉, 장방형은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이다.
유동 교란 장치가 제공되는 표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유동 교란 장치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형상의 하나의 긴 변 또는 양쪽 긴 변에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유동 교란 장치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형상의 하나의 단변 또는 양쪽 단변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확산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바람직하게 기류 채널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기류 채널의 폭은 확산부의 하류 방향을 증가한다. 즉,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형상의 단변 길이는 바람직하게 일정하게 유지되고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형상의 긴 변 길이는 바람직하게 확산부의 하류 방향으로 증가한다.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한 보호 포일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보호 포일은 기체 불투과성일 수 있다. 보호 포일은 조립체 내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밀봉 봉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밀봉 봉합”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 휘발성 화합물의 무게가 2주 기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2개월 기간에 걸쳐, 더 바람직하게는 2년 기간에 걸쳐 2% 미만만큼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립체가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베이스층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보호 포일은 하나 이상의 공동을 막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포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 가능하여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노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호 포일은 제거 가능하다. 베이스층이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공동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보호 포일은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선택적으로 개봉하도록 단계적으로 제거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포일은 하나 이상의 제거 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각각은 보호 포일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때 하나 이상의 공동을 노출시키도록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제거력이 사용자에 대한 표시로서 제거의 여러 단계들 사이에서 변하도록 보호 포일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구되는 제거력은 인접한 단계들 사이에 증가할 수 있으므로 보호 포일을 계속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보호 포일을 더 세게 당겨야 한다. 이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기는 힘은 접착층의 유형, 양, 또는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또는 보호 포일이 부착되는 접합선의 형상 또는 양을 변경함으로써 변할 수 있다.
보호 포일은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부품을 통해 간접적으로 베이스층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보호 포일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보호 포일은 초음파 접합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보호 포일은 접합선을 따라 초음파 접합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접합선은 연속적일 수 있다. 접합선은 나란히 배열된 둘 이상의 연속 접합선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로, 연속 접합선 중 적어도 하나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봉합은 유지될 수 있다.
보호 포일은 가요성 필름일 수 있다. 보호 포일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 또는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호 포일은 고분자 포일,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보호 포일은 다층의 고분자 포일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임의의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내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히터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내로 삽입되고 그로부터 제거되어 히터의 청소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착탈식 히터일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와 분리형인 착탈식 히터를 사용함으로써 히터가 다수 조립체를 가열하도록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임의의 구현예에서, 히터는 전기 절연 기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 요소는 전기 절연 기재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히터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기재는 가요성일 수 있다. 기재는 고분자일 수 있다. 기재는 다층의 고분자 재료일 수 있다. 가열 요소 또는 가열 요소들은 기재의 하나 이상의 개구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사용시, 히터는 전도, 대류 및 복사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히터는 전도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할 수 있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히터로부터의 열은 중간의 열 전도성 요소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전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히터는 사용 중에 카트리지를 통해 또는 카트리지를 지나 흡인되는 주변의 유입 공기에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이는 결국 대류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게 된다.
히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내부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내부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물질에 삽입하기에 적절한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기 히터는 외부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용어 “외부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을 지칭한다. 히터는 하나 이상의 내부 가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외부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히터는 단일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히터는 하나보다 많은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전기 저항 재료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적절한 전기 저항 재료는, 도핑된 세라믹과 같은 반도체, (예를 들어, 이규화 몰리브덴과 같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 카본, 흑연, 금속, 금속 합금, 및 세라믹 재료와 금속 재료의 복합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복합 재료는 도핑된 세라믹 또는 도핑되지 않은 세라믹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적절한 도핑 세라믹의 예는 도핑된 탄화규소를 포함하고 있다. 적절한 금속의 예는 티타늄, 지르코늄, 탄탈륨, 및 백금족 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적절한 금속 합금의 예는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코발트-, 크롬-, 알루미늄-, 티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니오븀-, 몰리브덴-, 탄탈륨-,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및 철-함유 합금, 및 니켈, 철, 코발트, 스테인리스 스틸, Timetal® 및 철-망간-알루미늄계 합금들에 기초한 초합금을 포함하고 있다. 복합 재료에서, 요구되는 외부 물리화학적 성질과 에너지 전달 동역학에 따라, 전기 저항 재료는 선택적으로, 절연 재료에 매립되거나 절연 재료로 캡슐화되거나 코팅될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로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히터는 적외선 가열 요소, 광자 소스, 또는 유도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히터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는 가열 블레이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히터는 상이한 전자 전도성 부분을 갖는 케이싱 또는 기재, 또는 전기 저항 금속 튜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히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중심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바늘 또는 로드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히터는 디스크 (엔드) 히터, 또는 가열 바늘 또는 로드와 디스크 히터의 조합일 수 있다. 히터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전기 저항 재료의 하나 이상의 스탬핑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다른 대안은, 가열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 예를 들면 Ni-Cr(니켈-크롬), 백금, 텅스텐 또는 합금 와이어나 가열판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특정 구현예에서, 히터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는, 필라멘트 메쉬 또는 어레이를 형성하거나, 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들은 필라멘트들 사이의 간극을 정의할 수 있고, 간극은 10 ㎛ 내지 100 ㎛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필라멘트는 간극에서 모세관 작용을 일으켜, 히터가 액체 함유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접촉하여 배치될 때, 기화될 액체가 간극 내로 흡인되어, 히터 조립체와 액체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는 160 내지 600 Mesh US (+/- 10%)(즉, 인치 당 160 내지 600 필라멘트(+/- 10%)) 크기의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간극의 폭은 바람직하게 25 ㎛ 내지 75 ㎛이다. 메쉬의 총 면적에 대한 간극 면적의 비인, 메쉬의 개방 영역의 백분율은 바람직하게 25% 내지 56%이다. 메쉬는 상이한 유형의 직조(weave) 또는 격자(lattice) 구조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의 메쉬, 어레이 또는 직물은 또한, 당해 분야에서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액체를 보유하는 능력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는 1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50 ㎛, 더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39 ㎛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필라멘트는 둥근 단면을 가질 수 있거나 평평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히터 필라멘트는 포일과 같은 시트 재료를 에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히터가 평행한 필라멘트들의 어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히터가 필라멘트의 메쉬 또는 직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필라멘트는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함께 얽혀 결합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는 메쉬, 어레이 또는 직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의 메쉬, 어레이 또는 직물의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25 평방 밀리미터 이하로, 작을 수 있어서, 휴대용 시스템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의 메쉬, 어레이 또는 직물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일 수 있고, 5 mm x 2 mm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의 메쉬 또는 어레이는 히터 면적의 10% 내지 50%의 면적을 커버한다. 더 바람직하게,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의 메쉬 또는 어레이는 히터 면적의 15% 내지 25%의 면적을 커버한다.
한 구현예에서, 전기 히터의 가열 요소 또는 요소들이 약 180℃ 내지 약 310℃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전기 히터에 전류가 공급된다. 요구되는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 요소 또는 요소들의 가열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조합하여 임의의 적절한 온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담배 및 궐련 래퍼의 연소가 800℃에 이를 수 있는 종래의 궐련과는 대조적이다.
바람직하게, 전기 히터와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 간의 최소 거리는 50 ㎛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조립체는 전기 히터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 사이의 공간에 하나 이상의 모세관 섬유층을 포함하고 있다.
히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위에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히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아래에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 및 에어로졸 방출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반대측에서 발생한다. 이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대해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정 구현예에서, 히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대향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히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이한 부분을 가열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베이스층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히터는 각각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 중 상이한 것을 가열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는 임의의 적절한 크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조립체는 약 5 mm 내지 약 200 mm, 바람직하게는 약 10 mm 내지 약 10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mm 내지 약 35 mm의 길이를 갖는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조립체는 약 5 mm 내지 약 12 mm, 바람직하게는 약 7 mm 내지 약 10 mm의 폭을 갖는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조립체는 약 2 mm 내지 약 10 mm, 바람직하게는 약 5 mm 내지 약 8 mm의 높이를 갖는다.
추가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 및 제어 전자기기를 수용하고 있는 본체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를 제공하고 있다. 조립체는 제어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기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체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제1 전기 커넥터의 스마트폰 상의 대응하는 제2 전기 커넥터와의 직접 연결을 통해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연결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전기 커넥터는 상기 본체의 제1 면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전기 커넥터는 상기 스마트폰의 제1 면 상에 제공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본체가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본체의 제1 면이 스마트폰의 제1 면과 접촉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본체의 제1 면의 치수는 스마트폰의 제1 면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마트폰 상에 호스팅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내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소프트웨어의 적어도 일부의 업그레이드를 촉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일부 파라미터, 특히 조립체용 가열 프로파일을 제어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가열된 담배 제품 및 니코틴 함유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본 발명을 더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을 보여주고 있다. 시스템(10)은 스마트폰의 형태인 다목적 연산 장치(12), 배터리 유닛(14) 및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16)를 포함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표준 마이크로-USB 충전기 및 데이터 케이블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USB 포트(18)를 포함하고 있다. 배터리 유닛(14)은 배터리 유닛(14)의 일측에는 마이크로-USB 플러그(20)를 포함하고 배터리 유닛(14)의 반대측에는 마이크로-USB 포트(22)를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16)는 조립체(16)의 한 말단에는 마이크로-USB 플러그(24)를 포함하고 조립체(16)의 반대측 말단에는 마우스피스(26)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 시, 조립체(16) 상의 마이크로-USB 플러그(24)는 스마트폰 상의 마이크로-USB 포트(18) 내로에 직접 플러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배터리 유닛(14) 상의 마이크로-USB 플러그(20)는 스마트폰 상의 마이크로-USB 포트(18) 내로 플러그될 수 있고 조립체(16) 상의 마이크로-USB 플러그(24)는 배터리 유닛(14) 상의 마이크로-USB 포트(22) 내로 플러그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의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스마트폰은 터치 감지형 LC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포함하고 있다. 터치 감지형 LCD 디스플레이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16)의 작동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32)을 포함하여, 다양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32)은 스마트폰 내의 데이터 저장 장치(34)에 저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36)에 의해 실행된다. 스마트폰 내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종래의 충전기(19)를 사용하여 마이크로-USB 포트(18)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는 내부 배터리(38)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배터리 유닛(14)은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40) 및 제어 전자기기(42)를 포함하고 있다.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40)는 적절한 충전기를 배터리 유닛(14) 상의 마이크로-USB 포트(22) 내로 플러그하여 재충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40)는 스마트폰 내의 배터리(38)를 사용하여 재충전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16)는 데이터 저장 장치(50), 전기 히터(52) 및 전기 히터(52)와 열 접촉하고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54)를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로-USB 포트 및 플러그(18, 20, 22, 24)의 각각은 전력의 전달 및 데이터의 양방향 전송을 지원한다.
사용 시, 스마트폰의 마이크로프로세서(36)는 마이크로-USB 포트(18) 및 마이크로-USB 플러그(20)를 통해 배터리 유닛 내의 제어 전자기기(42)와 통신해서 마이크로-USB 포트(22) 및 마이크로-USB 플러그(24)를 통해서 전기 히터(52)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한다. 전류는 배터리 유닛(14) 내의 배터리(40)로부터, 배터리 유닛(14) 내의 배터리(40)를 직접 우회하여 스마트폰 내의 배터리(38)로부터, 또는 둘다로부터, 전기 히터(52)에 공급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36)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16)의 특정 에어로졸 형성 기재(54)에 적합한 소정의 가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전류 공급을 제어한다. 가열 프로파일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16)의 데이터 저장 장치(50)에 저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36)에 의해 회수된다.
터치 감지형 LCD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16)의 작동과 관련하여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32)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32)은 사용자가 조립체(16)의 데이터 저장 장치(50)로부터 로딩된 가열 프로파일의 파라미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수정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32)은 또한 조립체의 유형 및 남아있는 퍼프의 수와 같은, 조립체(16)의 작동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를 LCD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32)은 원격 서버(60)와의 원격 연결을 구축하여 서버(60)로부터 원격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60)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16)에 대한 업데이트된 가열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업데이트된 가열 프로파일은 원격 서버(60)로부터 스마트폰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16) 내의 데이터 저장 장치(50)로 전달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히터 조립체(220)의 구현예를 보여주고 있다. 조립체(220)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평평한 형상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조립체는 베이스층(222), 베이스층(222) 상에 배치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 위에 위치한 히터(226), 히터(226) 위의 보호 포일(230), 및 베이스층(222)에 그리고 보호 포일(230) 위에 고정된 상단 커버(232)를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 히터(226), 및 보호 포일(230)은 모두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베이스층(222),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 히터(226), 보호 포일(230), 및 상단 커버(232) 중 임의의 둘 사이의 접촉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베이스층(222)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가 수용되는 그 상단 표면 상에서 공동(234)을 정의하는 하향 연장 기포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시트로 형성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는 액체 니코틴 공급원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직사각형의 다공성 담체 물질 블록에 흡수된 액체 니코틴 공급원을 포함하고 있다. 기화를 위해 액체 기재를 담체 물질의 상단 표면으로 끌어 당기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담체 물질의 상단 표면 상에 모세관 패치(225)가 제공된다.
히터(226)는 전기 접촉부(238)에 연결된 가열 요소(236)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 가열 요소(236) 및 전기 접촉부(238)는 일체형이며, 가열 요소(236)가 전기 절연 기재 포일(237)에 형성된 개구(239)에 걸쳐 연장되도록 전기 절연 기재 포일(237) 상에 가열 요소(236) 및 전기 접촉부(238)를 배치함으로써 히터(226)를 형성한다. 사용시,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에 의해 방출된 에어로졸은 전기 절연 기재 포일(237)의 개구(239) 및 가열 요소(236)를 통과한다. 전기 절연 기재 포일(237)은 베이스층(222)의 공동(234) 위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베이스층(222) 상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예에서, 전기 절연 기재 포일(237)은 공동(234) 너머로 측면으로 연장되고 베이스층(2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가지므로, 커버층(228)과 베이스층(222)의 가장자리는 일반적으로 정렬된다. 베이스층(222)은 전기 접촉부(238)가 연장되는 원위 말단에 두 개의 접촉 개구(240)를 갖는다. 전기 접촉부(238)는 접촉 개구(240)를 통해 조립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보호 포일(230)은 히터(226)의 상단에 그리고 전기 절연 기재 포일(237)의 개구(239) 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조립체(220) 내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를 봉합한다. 보호 포일(230)은 히터(226)에 접합되지만 용이하게 벗길 수 있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시트를 포함하고 있다. 시트는 나란히 배열된 두 개의 연속 접합선으로 형성된 연속 봉합선을 따라 히터(226)에 접합된다. 보호 포일(230)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사용 전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로부터 휘발성 화합물의 실질적 손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 포일(230)의 자유 말단에 탭(248)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보호 포일(230)을 잡아 개구(239) 위로부터 벗길 수 있도록 한다. 탭(248)은 보호 포일(230)의 연장에 의해 형성되고 상단 커버(232)의 가장자리 너머로 연장된다.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호 포일(230)이 연속 봉합선에 의해 히터(226)에 부착된 제1 부분(230A)과, 접힘선(249)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탭(248)에 연장되는 제2 부분(230B)으로 분할되도록 보호 포일(230)은 횡방향의 접힘선(249)에서 그 자체가 접힌다. 제2 부분(230B)은 제1 부분(230A)에 대해 평평하게 놓여 있으므로 제1 및 제2 부분(230A, 230B)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다. 이러한 배치로, 탭(248)을 길이방향으로 당겨 접힘선(249)에서 히터(226)로부터 제1 부분(230A)을 벗겨냄으로써 보호 포일(230)을 제거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는 조립체가 수용되어 있는 공동을 정의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는 슬롯을 통해 보호 포일(230)의 제거 및 추출을 허용하도록 당김 탭(24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슬롯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조립체는 본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신되어, 보호 포일(230)은 조립체를 본체 내로 삽입하기 전에 제거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보호 포일(230)을 히터(226)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접합을 설명하지만, 소비자에 의해 보호 포일(230)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면, 열 봉합 또는 접착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여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상단 커버(232)는 그 상단 표면 상에서 상향 연장 기포(233)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시트로 형성된다. 상단 커버(232)는 기포의 원위 말단쪽으로 공기 유입부(250)를 포함하고 그 근위 말단에서 공기 유출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공기 유입부(250)와 공기 유출부는 기포(233)에 의해 정의되는 기류 채널에 의해 연결된다.
사용 중에, 보호 포일(230)은 탭(248)을 길이방향으로 조립체(220)로부터 멀리 당겨 제거된다. 보호 포일(230)이 일단 제거되면, 에어로졸 형성 기재(224)는 전기 절연 기재(237)의 개구(239)를 통해 기류 채널과 유체 연통된다. 이후, 조립체의 히터(226)로 전력이 제공되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방출한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마우스피스부를 빨거나 뻐끔뻐끔 빨 때, 공기는 마우스피스의 공기 유입부로부터 상단 커버(232)의 기류 채널을 통해 상단 커버의 공기 유입부(250) 안으로 흡인되고, 거기에서 공기는 에어로졸과 혼합된다. 이후, 공기와 에어로졸 혼합물은 조립체(220)의 공기 유출부를 통해 마우스피스부의 유출부로 흡인된다.
10: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2: 다목적 연산 장치
14: 배터리 유닛
16: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18,22: 마이크로-USB 포트
19: 충전기
20,24: 마이크로-USB 플러그
26: 마우스피스
30: 인터페이스
32: 애플리케이션
34: 데이터 저장 장치
36: 마이크로프로세서
38: 내부 배터리
40: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42: 제어 전자기기
50: 데이터 저장 장치
52: 전기 히터
54: 에어로졸 형성 기재
60: 원격 서버
220: 히터 조립체
222: 베이스층
224: 에어로졸 형성 기재
225: 모세관 패치
226: 히터
228: 커버층
230: 보호 포일
230A,230B: 제1 부분,제2 부분
232: 상단 커버
233: 연장 기포
234: 공동
236: 가열 요소
237: 전기 절연 기재 포일
238: 전기 접촉부
239: 개구
240: 접촉 개구
248: 탭
249: 접힘선
250: 공기 유입부

Claims (15)

  1.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 제1 데이터 저장 장치, 및 제1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및
    전기 에너지 공급부, 다목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 제2 데이터 저장 장치, 상기 제2 데이터 저장 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제2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다목적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는, 상기 다목적 연산 장치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간의 양방향 데이터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로 전류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및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소정의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 유닛으로서,
    배터리;
    상기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상의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전기 커넥터; 및
    상기 다목적 연산 장치 상의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전기 커넥터는, 상기 다목적 연산 장치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간의 양방향 데이터 전달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로 전류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로 전류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상기 소정의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와 상기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재충전가능 배터리이고, 상기 제2 및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로부터 상기 재충전가능 배터리로 전류 공급을 가능하게 해서 상기 배터리를 재충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해서 상기 소정의 가열 프로파일을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게 하도록 추가 구성되어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원격 소스로부터 원격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원격 소스로부터 새로운 가열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새로운 가열 프로파일을 상기 제1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소스는 원격 데이터 서버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원격 데이터 서버와의 원격 데이터 연결을 확립해서 상기 원격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가 상기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는,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 및 상기 제1 데이터 저장 장치가 수용되는 공동을 정의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제1 말단에 제공된 마우스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말단의 반대측인 상기 본체의 제2 말단에 제공되어 있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커넥터는 표준화된 전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전기 연결부는 USB-A, USB-B, USB-C, USB-미니, USB-마이크로, SD, 미니SD, 또는 마이크로 SD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연산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 랩탑, 넷북,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5.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히터, 및 제어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제어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의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의 스마트폰 상의 대응하는 제2 전기 커넥터와의 직접 연결을 통해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스마트폰에 연결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KR1020177000212A 2014-08-13 2015-08-05 다목적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Active KR102546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80896 2014-08-13
EP14180896.4 2014-08-13
PCT/EP2015/068103 WO2016023809A1 (en) 2014-08-13 2015-08-05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multi-purpose compu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680A KR20170041680A (ko) 2017-04-17
KR102546427B1 true KR102546427B1 (ko) 2023-06-22

Family

ID=5135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212A Active KR102546427B1 (ko) 2014-08-13 2015-08-05 다목적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842194B2 (ko)
EP (1) EP3179871B1 (ko)
JP (1) JP6770504B2 (ko)
KR (1) KR102546427B1 (ko)
CN (2) CN106793835A (ko)
BR (1) BR112016030927B1 (ko)
IL (1) IL248708A0 (ko)
PH (1) PH12016502182A1 (ko)
WO (1) WO2016023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793B2 (en) 2005-07-19 2019-04-02 Juul Labs, Inc. Devices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US10279934B2 (en) 2013-03-15 2019-05-07 Juul Labs, Inc.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US10039321B2 (en) 2013-11-12 2018-08-07 Vmr Products Llc Vaporizer
CN111466616A (zh) 2013-11-21 2020-07-31 方特慕控股第四私人有限公司 电子香烟和记录吸烟数据的方法
GB2558806B8 (en) 2013-12-23 2018-12-19 Juul Labs Uk Holdco Ltd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076139B2 (en) 2013-12-23 2018-09-18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US10159282B2 (en) 2013-12-23 2018-12-25 Juul Labs, Inc. Cartridge for use with a vaporizer device
USD842536S1 (en) 2016-07-28 2019-03-05 Juul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D825102S1 (en) 2016-07-28 2018-08-07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cartridge
US20160366947A1 (en) 2013-12-23 2016-12-22 James Monsees Vaporizer apparatus
CN106793835A (zh) * 2014-08-13 2017-05-31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包括多用途计算装置的气溶胶生成系统
EP4464356A3 (en) 2014-12-05 2025-01-08 Juul Labs, Inc. Calibrated dose control
MX369210B (es) * 2015-04-02 2019-10-31 Philip Morris Products Sa Kit que comprende un módulo y un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operado eléctricamente.
GB201516674D0 (en) * 2015-09-21 2015-11-04 Nicoventures Holdings Ltd Topology
SG10202108578XA (en) 2016-02-11 2021-09-29 Juul Labs Inc Securely attaching cartridges for vaporizer devices
SG11201806793TA (en) 2016-02-11 2018-09-27 Juul Labs Inc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US10405582B2 (en) 2016-03-10 2019-09-10 Pax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with lip sensing
USD849996S1 (en) 2016-06-16 2019-05-28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D851830S1 (en) 2016-06-23 2019-06-18 Pax Labs, Inc. Combined vaporizer tamp and pick tool
USD836541S1 (en) 2016-06-23 2018-12-25 Pax Labs, Inc. Charging device
CN205846058U (zh) * 2016-07-05 2016-12-28 卓尔悦欧洲控股有限公司 电池装置及其电子烟
RU2747837C2 (ru) 2016-07-14 2021-05-14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Проницаемый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узел и картомайзерный картридж для генерирующей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ы
US10051893B2 (en) 2016-07-25 2018-08-21 Fontem Holdings 1 B.V.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of charge rate between electronic smoking device and charger
WO2018111843A1 (en) 2016-12-12 2018-06-21 Vmr Products Llc Vaporizer cartridge
EP3562338B1 (en) 2016-12-27 2022-07-20 Juul Labs, Inc. Thermal wick for electronic vaporizers
US10321587B2 (en) * 2017-02-03 2019-06-11 Google Llc Integrated connector receptacle device
EP3563697B1 (en) * 2017-04-24 2024-03-13 Japan Tobacco Inc. Aerosol generat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program
EP3395190B1 (en) * 2017-04-25 2022-05-04 Shenzhen First Union Technology Co., Ltd. Aerosol generation component and assembly method thereof and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GB201707050D0 (en) 2017-05-03 2017-06-1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Data communication
JP6813697B2 (ja) 2017-05-11 2021-01-13 ケーティー・アンド・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蒸気化器、及びそれを具備する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180124739A (ko)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의 종류별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포함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궐련의 종류별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WO2018223999A1 (zh) * 2017-06-08 2018-12-13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超声波电子烟电路及该超声波电子烟
US11160936B2 (en) 2017-06-23 2021-11-02 Altria Client Services Llc Non-combustible vaping device
US10575562B2 (en) 2017-06-30 2020-03-03 Rai Strategic Holdings, Inc. Smoking article for identifying an attribute of an aerosol-generating element for adaptive power output and an associated method
KR20190049391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1031825B (zh) * 2017-09-07 2023-11-21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不同基材的气溶胶生成装置及相关用户界面和方法
WO2019049028A1 (en) * 2017-09-07 2019-03-14 Philip Morris Products S.A. GENERATION OF ITS MEMS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S, AS WELL AS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USD887632S1 (en) 2017-09-14 2020-06-16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DE102017121664A1 (de) * 2017-09-19 2019-03-21 Hauni Maschinenbau Gmbh Komponententeil und Basisteil für einen Inhalator, sowie Verfahren zur Fertigung derselben
JP7397790B2 (ja) * 2017-10-06 2023-12-1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装置のための視覚的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CA3021841C (en) * 2017-10-27 2021-03-16 Shenzhen First Union Technology Co., Ltd. Low-temperature baking vaporizer and low-temperature baking smoking set
CN207444281U (zh) 2017-10-27 2018-06-05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一种加热装置及低温烘焙烟具
JP6978580B2 (ja) 2017-10-30 2021-12-08 ケイ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ヒータ
UA126599C2 (uk) 2017-10-30 2022-11-02 Кт&Г Корпорейшон Пристрій для генерування аерозолю і спосіб управління таким пристроєм
KR102057215B1 (ko) 2017-10-30 2019-12-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JP6884264B2 (ja) 2017-10-30 2021-06-09 ケイ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11528936B2 (en) 2017-10-30 2022-12-20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180421B1 (ko) 2017-10-30 2020-1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3704963B1 (en) 2017-10-30 2024-05-29 KT&G Corporation Optical modul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same
KR102138245B1 (ko) 2017-10-30 2020-07-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138246B1 (ko) 2017-10-30 2020-07-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증기화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57216B1 (ko) 2017-10-30 2019-12-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조립체
GB201719747D0 (en) * 2017-11-28 2018-01-10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generation
GB201722241D0 (en) 2017-12-29 2018-02-1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Data capture across devices
GB201722278D0 (en) 2017-12-29 2018-02-1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Device identification and method
EP3760061B1 (en) * 2018-02-27 2023-05-03 Imperial Tobacco Limited Smoking apparatus
GB201805168D0 (en) * 2018-03-29 2018-05-16 Nicoventures Holdings Ltd A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GB201805169D0 (en) 2018-03-29 2018-05-16 Nicoventures Holdings Ltd A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GB201807497D0 (en) 2018-05-08 2018-06-20 Nicoventures Trading Ltd An aerosol provision device
US11986590B2 (en) 2018-06-26 2024-05-21 Juul Labs, Inc. Vaporizer wicking elements including a hollow core
GB201810729D0 (en) * 2018-06-29 2018-08-15 Nerudia Ltd A method for manufacturing reconstituted plant material
KR102372858B1 (ko) * 2018-07-19 2022-03-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자 증기화기
JP7391076B2 (ja) * 2018-07-26 2023-12-04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を形成するための物品
US10897925B2 (en) 2018-07-27 2021-01-26 Joseph Pandolfino Articles and formulations for smoking products and vaporizers
US20200035118A1 (en) 2018-07-27 2020-01-30 Joseph Pandolfino Methods and products to facilitate smokers switching to a tobacco heating product or e-cigarettes
FR3086867A1 (fr) 2018-10-08 2020-04-10 Juul Labs, Inc. Ensemble d'adaptateur de charge pour un vaporisateur
PT3664630T (pt) 2018-10-15 2022-03-16 Juul Labs Inc Elemento de aquecimento
US12256784B2 (en) 2018-10-17 2025-03-25 Juul Labs, Inc. Cartridge for a vaporizer device
KR20210082181A (ko) 2018-10-19 2021-07-02 쥴 랩스, 인크. 기화기 전력 시스템
WO2020132127A1 (en) * 2018-12-18 2020-06-25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US11439774B2 (en) 2018-11-05 2022-09-13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s and cartridges with folded mesh
JP7411654B2 (ja) 2018-11-05 2024-01-11 ジュール・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気化器デバイス用のカートリッジ
US12144379B2 (en) * 2019-02-19 2024-11-19 Imperial Tobacco Limited Smoking substitute device
US11253001B2 (en) 2019-02-28 2022-02-22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vaporizer cartridge
EP3711583A1 (en) * 2019-03-22 2020-09-23 Nerudia Limited A dock for a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711515A1 (en) * 2019-03-22 2020-09-23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system
US11043778B2 (en) * 2019-03-26 2021-06-22 Taylor Cipully Vape cartridge cell phone power adapter
EP3721732A1 (en) * 2019-04-12 2020-10-14 Nerudia Limited Charger for smoking substitute device
HUE061986T2 (hu) 2019-05-10 2023-09-28 Jt Int Sa Személyi számítástechnikai készülék konfigurálása aeroszol elõállító készülékkel való kommunikációra
EP3737108B1 (en) 2019-05-10 2021-08-25 JT International S.A. Configuring a personal computing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CN110623305A (zh) * 2019-09-05 2019-12-31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一种气雾产生装置、发热组件以及数据交互方法
KR20210039199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4044837B1 (en) 2019-10-16 2024-04-1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modular components
EP4066107A1 (en) * 2019-11-26 2022-10-05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associated computing device, method of enabling such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of distant controlling such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KR102480478B1 (ko) * 2020-05-19 2022-12-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6856810B1 (ja) * 2020-09-07 2021-04-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6856811B1 (ja) 2020-09-07 2021-04-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6905134B1 (ja) 2020-09-07 2021-07-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GB202014516D0 (en) * 2020-09-15 2020-10-28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generation system
GB202014520D0 (en) * 2020-09-15 2020-10-28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generation system
WO2022184377A1 (en) * 2021-03-01 2022-09-09 Jt International Sa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one or more extension units
EP4301169A1 (en) * 2021-03-01 2024-01-10 JT International SA Extension unit for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EP4362731A4 (en) * 2022-09-05 2025-02-05 Kt & G Corp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24127661A1 (ja) * 2022-12-16 2024-06-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の制御方法、吸引装置の電源ユニット、及び、吸引装置のためのプログラム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7569A (ja) 2009-05-15 2011-05-06 Jbs:Kk 電子タバコ、および充電ユニット
JP2011517567A (ja) * 2008-04-17 2011-06-1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加熱式喫煙システム
US20130284192A1 (en) * 2012-04-25 2013-10-31 Eyal Peleg Electronic cigarette with communication enhancements
US20130291859A1 (en) 2012-05-03 2013-11-07 Stamford Devices Limited Nebulizer
JP2013545474A (ja) 2010-12-03 2013-12-2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ヒーター制御が改善された電気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WO2014037794A2 (en) 2012-09-04 2014-03-1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Electronic smoking article comprising one or more microheaters
US20140107815A1 (en) 2011-09-14 2014-04-17 The Safe Cig, Llc Electronically augmented container for storing and interfacing with vapor delivery devices
US20140196732A1 (en) 2013-01-17 2014-07-17 Qiuming Liu Electronic cigarette
US20160345628A1 (en) 2014-02-24 2016-12-01 Arash Abdollahi Sabet Electronic cigarette and cigar charging and operating systems integration with various cell phone and tablet types using a common cas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1368A (en) 1991-03-11 1997-01-07 Philip Morris Incorporated Heater for use in an electrical smoking system
US5505214A (en) 1991-03-11 1996-04-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388594A (en) 1991-03-11 1995-02-14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system for delivering flavo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0706352B1 (en) 1993-06-29 2002-03-20 Ponwell Enterprises Limited Dispenser
CN1113621C (zh) 1996-06-17 2003-07-09 日本烟业产业株式会社 香味生成物和香味生成器
US6379738B1 (en) 1999-11-16 2002-04-30 Nestec S.A. Meat emulsion product
NL1027533C2 (nl) 2004-11-17 2006-05-18 Berten Beheer B V N Inhaleerinrichting en bijbehorende verwarmingsinrichting en verpakking.
ITME20050008A1 (it) 2005-12-09 2006-03-10 Brumil Internat Srl Sistema che consente rilascio di nicotina per aspirazione, destinato ai fumatori di sigarette.
CN201067079Y (zh) 2006-05-16 2008-06-04 韩力 仿真气溶胶吸入器
CN201781983U (zh) * 2010-03-05 2011-04-06 唐俊杰 一种电子烟
CN201733855U (zh) * 2010-08-10 2011-02-09 刘翔 电子香烟
JP2012090427A (ja) 2010-10-19 2012-05-10 Motobayashi Co Ltd 電子タバコの充電用電源接続装置
MY177353A (en) 2011-12-30 2020-09-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consumption monitoring and feedback
US20130340775A1 (en) 2012-04-25 2013-12-26 Bernard Juster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 network with an electronic cigarette
EP2706352B1 (en) 2012-09-05 2014-1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mprehensive two-dimensional gas chromatograph and modulator for such a chromatograph
US9675114B2 (en) * 2012-11-08 2017-06-13 Ludovicus Josephine Felicien Timmermans Real time variable voltage programmable electronic cigarette and method
CN202958805U (zh) * 2012-12-14 2013-06-05 卓尔悦(常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拆卸智能装置的电子烟
US9820509B2 (en) * 2013-10-10 2017-11-21 Kyle D. Newton Electronic cigarette with encoded cartridge
CN203689071U (zh) * 2014-01-10 2014-07-02 刘秋明 电子烟盒及电子烟盒信息管理系统
GB201413036D0 (en) * 2014-02-28 2014-09-03 Beyond Twenty Ltd Beyond 9
US20190015605A1 (en) * 2014-04-24 2019-01-17 Daniel Palmer Phone Puff - Vaporizer with Data Collection
US9872520B1 (en) * 2014-06-26 2018-01-23 Jeffrey Alan Elson Vaporizer with means to power and recharge electrical devices
CN106793835A (zh) * 2014-08-13 2017-05-31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包括多用途计算装置的气溶胶生成系统
US10766728B2 (en) * 2014-10-14 2020-09-08 Philip Morris Product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cing substantially flat continuous material
US9763478B2 (en) * 2015-05-15 2017-09-19 Lunatech, Llc Electronic vapor device in cooper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7567A (ja) * 2008-04-17 2011-06-1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加熱式喫煙システム
JP2011087569A (ja) 2009-05-15 2011-05-06 Jbs:Kk 電子タバコ、および充電ユニット
JP2013545474A (ja) 2010-12-03 2013-12-2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ヒーター制御が改善された電気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US20140107815A1 (en) 2011-09-14 2014-04-17 The Safe Cig, Llc Electronically augmented container for storing and interfacing with vapor delivery devices
US20130284192A1 (en) * 2012-04-25 2013-10-31 Eyal Peleg Electronic cigarette with communication enhancements
US20130291859A1 (en) 2012-05-03 2013-11-07 Stamford Devices Limited Nebulizer
WO2014037794A2 (en) 2012-09-04 2014-03-1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Electronic smoking article comprising one or more microheaters
US20140196732A1 (en) 2013-01-17 2014-07-17 Qiuming Liu Electronic cigarette
US20160345628A1 (en) 2014-02-24 2016-12-01 Arash Abdollahi Sabet Electronic cigarette and cigar charging and operating systems integration with various cell phone and tablet types using a common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73358A1 (en) 2017-09-28
PH12016502182B1 (en) 2017-02-06
PH12016502182A1 (en) 2017-02-06
CN106793835A (zh) 2017-05-31
BR112016030927A2 (ko) 2017-08-22
JP2017522876A (ja) 2017-08-17
EP3179871B1 (en) 2023-01-25
JP6770504B2 (ja) 2020-10-14
CN116172269A (zh) 2023-05-30
WO2016023809A1 (en) 2016-02-18
IL248708A0 (en) 2017-01-31
US10842194B2 (en) 2020-11-24
KR20170041680A (ko) 2017-04-17
BR112016030927B1 (pt) 2022-01-18
EP3179871A1 (en)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427B1 (ko) 다목적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US12207679B2 (en)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improved air flow control
JP7198249B2 (ja) 取り外し可能なヒーターを備え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KR102513152B1 (ko) 카트리지 검출을 포함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JP2021121191A (ja) モジュールおよび電気的に動作す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を含む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