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829B1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Google Patents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5829B1 KR102545829B1 KR1020210034755A KR20210034755A KR102545829B1 KR 102545829 B1 KR102545829 B1 KR 102545829B1 KR 1020210034755 A KR1020210034755 A KR 1020210034755A KR 20210034755 A KR20210034755 A KR 20210034755A KR 102545829 B1 KR102545829 B1 KR 1025458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sensor
- flow path
- cartridge
-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내벽을 구비하고,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액체를 저장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컨테이너; 상기 제1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제2 컨테이너; 상기 제2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심지; 및 상기 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인접하는 센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가 결합하는 바디; 로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을 정의하는 바디; 및 상기 비감지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감지영역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disclose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container having an inner wall defining an elongated insertion space and having a chamber for storing a liqui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 second container combined with the first container; a wick installed in the second container and connected to the chamber; And a cartridge including a heater for heating the wick; a sensor adjacent to the cartridge; a body to which the cartridge and the sensor are coupled; A body defining a sensing area formed between the cartridge and the sensor and a non-sensing area other than the sensing area; and a shielding unit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sensing area, and the sensor may inclu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detects a change in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the sensing area.
Description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Aerosol generating devices are for extracting certain components from a medium or substance through an aerosol. The medium may contain materials of various components. Substances included in the medium may be flavor substances of various components. For example, the substance included in the medium may include a nicotine component, an herbal component, and/or a coffee component. Recently, many studies on these aerosol generating devices have been conducted.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foregoing and other problems.
또 다른 목적은 액체를 저장하는 공간의 효율이 증대되며, 에어로졸의 유동거리를 줄여, 에어로졸의 열전달 효율이 증대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Another object may be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which the efficiency of a space for storing liquid is increased and the aerosol flow distance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the aerosol.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에 저장되는 액체에 대한 정보 및 스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is information about cartridges. It may be to provide a sensor that sens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liquid stored in the cartri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stick.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나 외부 물체에 의하여 센서의 정확도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may be to prevent the accuracy of the sensor from being affected by a user's body or an external object.
또 다른 목적은 장치 외부에서 센서로 향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may be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directed to the sensor from outside the devi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내벽을 구비하고,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액체를 저장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컨테이너; 상기 제1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제2 컨테이너; 상기 제2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심지; 및 상기 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인접하는 센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가 결합하는 바디; 로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을 정의하는 바디; 및 상기 비감지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감지영역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rst container having an inner wall defining a long insertion space and having a chamber for storing a liqui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 second container combined with the first container; a wick installed in the second container and connected to the chamber; And a cartridge including a heater for heating the wick; a sensor adjacent to the cartridge; a body to which the cartridge and the sensor are coupled; A body defining a sensing area formed between the cartridge and the sensor and a non-sensing area other than the sensing area; and a shielding unit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sensing area, wherein the sensor detects a change in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the sensing area.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액체를 저장하는 공간의 효율이 증대되며, 에어로졸의 유동거리를 줄여, 에어로졸의 열전달 효율이 증대된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which the efficiency of a space for storing liquid is increased and the flow distance of the aerosol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the aerosol, can be provided.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에 저장되는 액체에 대한 정보 및 스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formation on the cartridge. A sensor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liquid stored in the cartri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stick may be provided.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나 외부 물체에 의하여 센서의 정확도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uracy of a sensor from being affected by a user's body or an external object.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장치 외부에서 센서로 향하는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electromagnetic waves directed to the sensor from outside the device may be blocked.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given as examples only.
도 1 내지 도 15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1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erosol generating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바디(110)와, 바디(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카트리지(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컨테이너(41)와, 제1 컨테이너(41)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컨테이너(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는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414)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공간(414)은 상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스틱(80, 도 2 참조)은 삽입공간(414)에 삽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바디(110)는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110)는 내부에 각종 구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바디(110)는 하부바디(110a)와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바디(11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하부바디(110a)는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바디(110a)는 카트리지(40)의 하부를 마주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하부바디(110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카트리지(4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카트리지(40)의 측면을 마주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카트리지(40)의 측벽(411, 421)을 마주할 수 있다.The
탈착공간(115)은 하부바디(110a)와 상부바디(11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탈착공간(115)에서 바디(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탈착공간(115)은 제1 탈착공간(115a)과 제1 탈착공간(115a)의 하측에 위치한 제2 탈착공간(115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는 제1 탈착공간(115a)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42)는 제2 탈착공간(115b)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 캡(120)은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와 카트리지(40)를 덮을 수 있다. 캡(120)은 바디(110)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캡(120)은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부바디(110b)를 덮을 수 있다. The
캡(120)의 측벽(121)은 상부바디(110b)의 측부와 카트리지(40)의 측부를 덮을 수 있다. 캡(120)의 상벽(122)은 상부바디(110b)의 상부와 카트리지(4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The
오프닝(124)은 캡(120)의 상벽(122)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캡(120)의 오프닝(124)은 삽입공간(4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삽입공간(414)과 연통될 수 있다. 스틱(80, 도 2 참조)은 오프닝(124)을 통과하여 삽입공간(414)에 삽입될 수 있다. The opening 124 may be formed by opening an
센서(62)는 카트리지(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카트리지(40)를 향할 수 있다. 센서(62)는 탈착공간(115)을 향할 수 있다. 센서(62)는 카트리지(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상부바디(110b)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카트리지(40)가 결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삽입공간(414)에 스틱(8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삽입공간(414)에 삽입된 스틱(80)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40)에 저장된 액체의 용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컨테이너(41)를 향할 수 있다. 센서(62)는 삽입공간(414)을 향할 수 있다.The
도 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40)는 제1 컨테이너(41)와 제1 컨테이너(41)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컨테이너(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제1 컨테이너(41)는 외벽(411)과 내벽(412)을 구비할 수 있다. 외벽(411)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외벽(411)은 제1 컨테이너(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The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내벽(412)은 제1 컨테이너(4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벽(412)은 외벽(4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외벽(411)과 내벽(412)은 상측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내벽(412)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내벽(412)은 삽입공간(414, 도 3 참조)을 둘러싸며, 삽입공간(414)을 정의할 수 있다.The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은 제1 컨테이너(41)의 외부측벽(411) 또는 컨테이너(41)의 측벽(411)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은 내부측벽(412)이라 명명될 수 있다.The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은 제1 외벽(411a)과 제2 외벽(4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제1 외벽(411a)은 상부바디(110b)의 제1 측벽(111a)을 마주할 수 있다. 컨테이너(41)의 제2 외벽(411b)은 제1 외벽(411a)에 대향될 수 있다. 제2 외벽(411b)은 외부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외벽(411a)과 제2 외벽(411b)은 제1 컨테이너(41)의 측면 둘레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외벽(411b)은 제1 외벽(411a)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제1 컨테이너(41)의 제1 외벽(411a)은 제1 컨테이너(41)의 제1 외부측벽(411a)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제2 외벽(411b)은 제1 컨테이너(41)의 제2 외부측벽(411b)으로 명명될 수 있다.The first
컨테이너(41)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챔버(C1)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과 내벽(4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저장공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The
유로부(20)는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되는 공기는 유로부(20)를 통과할 수 있다. 유로부(20)는 제1 챔버(C1)와 연통될 수 있다.The
제2 컨테이너(42)는 내부에 제2 챔버(C2)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유로부(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유로부와 연통될 수 있다.The
심지(31)는 제2 컨테이너(42)의 내부인 제2 챔버(C2)에 설치될 수 있다. 심지(31)는 제1 챔버(C1)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심지(31)는 제1 챔버(C1)로부터 액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심지(31)는 재1 챔버(C1)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심지(31)는 유로부(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히터(32)는 심지(31)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32)는 제2 챔버(C2)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32)는 심지(31)를 권선할 수 있다. 히터(32)는, 액체를 제공받은 심지(31)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The
제2 챔버(C2)에 유입된 공기는, 유로부(20) 및 삽입공간(414)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제2 챔버(C2)에 유입된 공기는, 심지(31)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동반할 수 있다. 심지(3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유로부(20)를 통하여, 삽입공간(414)에 삽입된 스틱(80)으로 전달될 수 있다.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hamber C2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이에 따라,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제1 컨테이너(41)의 제1 챔버(C1)가 스틱(8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액체를 저장하는 공간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심지(31) 및 히터(32)로부터 스틱(8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414)까지의 거리가 가깝게 배치될 수 있어, 에어로졸의 열전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first chamber C1 of the
제어부(51)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히터(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32)가 심지를 가열하도록 히터(32)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히터(3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배터리(52)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각종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52)는 제어부(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52)는 하부바디(110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카트리지(40)와 상부바디(110b)는,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바디(110a)는 카트리지(40)의 하부를 마주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카트리지(40)의 측면을 마주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하부바디(110a)의 상단면과 상부바디(110b)의 일면에 일부를 둘러싸일 수 있다.The
센서(62)는 카트리지(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카트리지(4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컨테이너(4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기장. 센서(62)는 상부바디(110b)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인접한 물체에 의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62)는 인접한 물체의 상태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62)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The
제어부(51)는 센서(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6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가 획득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스틱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에 대한 정보 등을 판단할 수 있다.The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과 내벽(412)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411)의 적어도 일부는 빛을 투과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벽(411)과 내벽(412)은 빛에 대하여 반사율과 굴절율이 낮고 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411)은 투명할 수 있다. 외벽(411)과 내벽(412)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411)과 내벽(412)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테플론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411)과 내벽(412)을 구성하는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은 상하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삽입공간(414)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공간(414)은 내벽(412)의 내측이 상하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틱(80 도 2 참조)은 삽입공간(414)에 삽입될 수 있다. 내벽(412)은 제1 챔버(C1)와 삽입공간(4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벽(412)은 삽입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삽입공간(414)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삽입공간(414)은 스틱(80)이 삽입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414)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삽입공간(41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80)이 삽입공간(414)에 삽입되면, 스틱(80)은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에 둘러싸이며, 내벽(412)에 밀착될 수 있다.The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과 내벽(412)은 제1 컨테이너(41)의 상벽(41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 내벽(412), 상벽(413) 및 제2 컨테이너(42)의 측벽(421) 및 하벽(42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The
심지(31)는 삽입공간(4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31)는 유로부(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31)는 제1 챔버(C1)와 연결되어. 제1 챔버(C1)로부터 액체를 제공받아 흡수할 수 있다. 심지(31)는,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과 제2 컨테이너(42)의 하벽(42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심지(3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심지(31)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The
히터(32)는 심지(31)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32)는 심지(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심지(31)에 권선될 수 있다. 히터(32)는 심지에 열을 가할 수 있다. 히터(32)는 전기저항 가열에 의해, 심지(31)가 흡수한 액체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히터(32)는 제어부(51)와 연결되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The
유로부(20)는 삽입공간(414)과 심지(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심지(31)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은 유로부(20)를 통과하여 삽입공간(414)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유로부(20)는 에어로졸의 유동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진 후,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의 유동 방향은 상측 방향일 수 있다.The
유로부(20)는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상부유로벽(2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유로부(20)중 상부는 상부유로벽(220)에 의해 둘러싸이고, 유로부(20)중 하부는 하부유로벽(2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은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심지(31)는 하부유로벽(210) 및 제2 컨테이너(42)의 하벽(42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The
도 4를 참조하면, 유로부(20)는 제1 유로(21), 제2 유로(22), 제3 유로(23)로 구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제1 유로(21)는 심지(3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유로(21)는 심지(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삽입공간(414)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삽입공간(414)과 연결될 수 있다.The
제3 유로(23)는 제1 유로(21) 및 제2 유로(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유로(23)는 제1 유로(2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제3 유로(2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유로(23)는 제1 유로(21) 및 제2 유로(22)를 연결할 수 있다.The
제3 유로(23)의 폭(W3)은 제1 유로(21)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유로(23)의 폭(W3)은 제2 유로(22)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최대 폭(W1)과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최대 폭(W1)은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보다 더 클 수 있다. 제2 유로(22)의 폭(W2)은 삽입공간(414)의 폭(W0)보다 작을 수 있다. A width W3 of the
유로부(20)는 제1 유로(21)로부터 제3 유로(23)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유로부(20)는 제3 유로(23)로부터 제2 유로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삽입공간(414)으로 향할수록 폭(W2)이 점차 넓어질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에어로졸은 제1 유로(21)에서 폭이 좁은 제3 유로(23)로 모인 다음, 제2 유로(22)를 통해 확산되는 바, 에어로졸이 심지(31)로부터 균일하게 발생되지 않더라도, 스틱(80, 도 2 참조)의 하부로 균일하게 유입될 수 있다(도 7 참조).Accordingly, the aerosol is collected from the
제1 유로(21)는 제3 유로(23)로 향할수록 폭(W1)이 좁아질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제3 유로(23)로 향할수록 폭(W2)이 좁아질 수 있다. The width W1 of the
제3 유로(23)를 향하면서 제1 유로(21)의 폭(W1)이 좁아지는 정도는, 제3 유로(23)를 향하면서 제2 유로(22)의 폭(W2)이 좁아지는 정도보다 급격할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최대 폭(W1)으로부터 제3 유로(23)의 폭(W3)까지 도달하기 위한 거리(L1)는,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으로부터 제3 유로(23)의 폭(W3)까지 도달하기 위한 거리(L2)보다 짧을 수 있다. 즉, 길이 대비 폭의 변화량이 제1 유로(21)에서 제3 유로(23)로 향할 때 더 클 수 있다.The degree to which the width W1 of the
제1 유로(21)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폭은 W1, 제2 유로(22)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폭은 W2, 제3 유로(23)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폭은 W3, 제1 유로(21)의 상하방향 길이는 L1, 제2 유로(22)의 상하방향 길이는 L2라 하면, (W1-W3)/(L1) > (W2-W3)/(L2)와 같은 관계를 가질 수 있다.The width 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제1 유로(21)의 상하"??* 길이(L1)는, 제2 유로(22)의 상하방향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L1 < L2).The vertical length L1 of the
이에 따라, 제1 유로(21)에서 유로 길이를 축소시키면서, 액체가 무화되어 제3 유로(23)로 모이도록 안내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3 유로(23)에 모인 에어로졸이 제2 유로(22)를 통해 삽입공간(414)으로 균일하게 확산되어 유동할 수 있다(도 7 참조). Accordingly, while reducing the length of the flow path in the
제3 유로(23)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1 유로(21)의 상하방향 길이(L1)보다 짧을 수 있다. 제3 유로(23)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2 유로(22)의 상하방향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제2 유로(22)는 제3 유로(23)로부터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폭(W2)이 점차 확대되다가, 최대 폭(W2)을 형성하는 구간부터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W2)으로 삽입공간(41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The width W2 of the
제1 유로면(211)은 제1 유로(21)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제2 유로(22)를 둘러쌀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제3 유로(23)를 둘러쌀 수 있다. The first flow path surface 211 may surround the
제1 유로면(211)은 하부유로벽(21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 및 제3 유로면(231)은 상부유로벽(22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The
제1 유로면(211)과 제3 유로면(231)은 연속된 면을 형성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surface 211 and the third flow path surface 231 may not form a continuous surface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flow path surface 211 may extend vertically. The first flow path surface 211 may exte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irst flow path surface 211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제1 유로(21)는 제3 유로(23)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W1)으로 연장되다가, 제3 유로(23) 부근에서 폭(W1)이 급격하게 좁아져 제3 유로(23)의 폭(W3)에 도달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제1 유로면(211)과 심지(31) 사이에 제1 유로(21)의 공간을 확보하여, 제1 유로면(211)과 심지(31)의 사이 부분까지 에어로졸의 생성과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pace of the
제3 유로면(231)은 제2 유로면(22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flow path surface 231 may form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second flow path surface 221 . The third flow path surface 231 may extend vertically. The third flow path surface 231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hird flow path surface 231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외측방향으로 점차 확대되도록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점차 확대되도록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대략 깔대기 형상 또는 벤츄리(Venturi)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flow path surface 221 may include an extended portion that gradually expands outward toward the
제2 유로면(221)은 제3 유로면(231)으로부터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외측으로 점차 확대되도록 연장되다가, 최대 폭(W2)을 형성하는 구간부터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W2)을 형성하며 삽입공간(41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flow path surface 221 extends gradually outward from the third flow path surface 231 toward the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제3 유로면(231)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반경 외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flow path surface 221 may include a portion that extends roundly outward toward the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제3 유로(23)로부터 제2 유로(22)로 확산될 때,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erosol diffuses from the
제2 유로(22)의 폭(W2)은 삽입공간(414)의 하단과 접촉되는 제2 유로(22)의 상단에서 최대가 될 수 있다. 제2 유로(22)의 상단의 폭(W2)은 삽입공간(414)의 폭(W0)보다 좁을 수 있다. The width W2 of the
돌출면(417)은 삽입공간(414)의 하단과 제2 유로(22)의 상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면(417)은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면(417)은 스틱(80, 도 2 참조)의 하단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돌출면(417)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을 결정할 수 있다.The protruding
돌출면(417)은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상부유로벽(220)의 상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돌출면(417)은 내벽(412)의 내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면(417)과 내벽(412)의 내면은 삽입공간(414)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돌출면(417)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예를 들어, 돌출면(417)이 돌출된 길이(L3)는, 스틱(80)의 하단의 가장자리가 지지됨과 동시에, 에어로졸의 유량 손실이 최소화되는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ding length L3 of the protruding
심지(31)는 제1 유로(2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히터(32)는 심지(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심지(31)에 권선될 수 있다. The
제1 유로(21)의 폭(W1)은 히터(32)의 폭(W4)보다 넓을 수 있다. 제3 유로(23)의 폭(W3)은 히터(32)의 폭(W4)보다 좁을 수 있다. 유로부(20)의 폭방향은 좌우방향일 수 있다.The width W1 of the
이에 따라, 히터(32)가 심지(31)에 흡수된 액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때 심지(31)의 에어로졸 생성 부위에 편차가 있더라도, 에어로졸이 제3 유로(23)로 모인 다음, 제2 유로(22)에서 삽입공간(414)으로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유로면(221)에 형성된 제1 벤딩구간(222)과 제2 벤딩구간(223)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제1 벤딩구간(222)은 제2 유로면(22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벤딩구간(222)은 제3 유로(23)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벤딩구간(222)은 제3 유로면(231)으로부터 제1 컨테이너(41)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The
제2 벤딩구간(223)은 제2 유로면(22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딩구간(223)은 삽입공간(414)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딩구간(223)은 제1 벤딩구간(222)으로부터 제1 컨테이너(41)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제2 벤딩구간(223)은 제1 컨테이너(41)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된 다음, 삽입공간(414)에 인접한 부근에서,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에어로졸은, 제2 유로면(221)의 제1 벤딩구간(222)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확산되며, 제2 유로면(221)의 제2 벤딩구간(223)을 따라 삽입공간(414)으로 직진성을 가지고 유입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제3 유로(23)로부터 제2 유로(22)로 확산되는 에어로졸의 유동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aerosol diffuses outward along the
상부유로벽(220)은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유로벽(220)은 내벽(4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유로면(221) 및 제3 유로면(231)은 상부유로벽(22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The
하부유로벽(210)은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하부유로벽(21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 The
홈부(226)는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홈부(226)는 상부유로벽(220)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삽입부(216)는 하부유로벽(2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6)는 제1 유로면(2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삽입부(216)는 하부유로벽(2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6)는 홈부(226)에 삽입되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삽입부(216)가 홈부(226)에 삽입되면, 상부유로벽(220)과 하부유로벽(21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은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하부유로벽(210)은 제1 유로(21)의 폭(W1, 도 4 참조)의 크기를 규정할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의 내면을 구성하는 제1 유로면(211)이 좌우방향으로 함몰된 정도에 따라서, 제1 유로(21)의 폭(W1)이 달라질 수 있다. The
하부유로벽(210)의 제1 유로면(211)이 내측에 가깝게 형성될 수록 제1 유로(21)의 폭(W1)이 더 좁아질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의 제1 유로면(211)이 외측에 가깝게 형성될 수록, 제1 유로(21)의 폭(W1)이 더 넓어질 수 있다. As the first flow path surface 211 of the lower
이에 따라, 제1 유로(21)의 폭(W1)은, 상부유로벽(220)에 결합되는 하부유로벽(210)의 규격에 따라 규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dth W1 of the
이에 따라, 심지(31)가 제1 유로(21)에 노출되는 길이(W1) 및 히터(32)가 심지(31)에 권선되는 폭(W4)을 변경하여, 심지(31)에서 액체가 무화되는 면적을 규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ngth W1 at which the
제1 유로면(21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심지(3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제1 유로(21)의 길이(L1)를 규정할 수 있다. The first flow path surface 211 may extend vertically. The first flow path surface 211 may be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연장면(212)은 상부유로벽(220)의 내면과 하부유로벽(210)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과 제3 유로면(23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연결면(212)이라 명명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연장면(212)은 심지(3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21)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으로부터 제3 유로(2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과 제3 유로면(231)을 연결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심지(31)로부터 이격되어 심지(31)를 마주할 수 있다.The extending
연장면(212)과 심지(31)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1 유로(21)의 높이(L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21)를 기준으로, 심지(31)에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심지(3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3 유로면(231)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제1 유로(21)의 단부는, 제1 유로면(211), 심지(31) 및 연장면(21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은 제1 유로(21)의 단부에 체류될 수 있다.An end of the
이에 따라,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이 유동하여 모일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심지(31)의 끝단까지 흡입력이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다.Accordingly, a space can be formed at the end of the
또한,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에 의하여, 제1 유로(21)의 단부에서 난류가 형성되는 바, 심지(31)에서 에어로졸의 발생 부위에 편차가 있더라도, 에어로졸을 균일하게 섞어줄 수 있다(도 7 참조).In addition, since a turbulent flow is formed at the end of the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면(211)과 연장면(2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21)의 상단의 엣지 부분과 접할 수 있다.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면(211)으로부터 연장면(212)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The
제2 엣지부(214)는 연장면(212)과 제3 유로면(2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엣지부(214)는 제1 유로(21)와 제3 유로(23)의 사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엣지부(214)는 연장면(212)으로부터 제3 유로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제1 유로(21)로부터 제3 유로(23)로 확산되는 에어로졸의 유동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flow energy loss of the aerosol diffused from the
심지삽입면(215)은 하부유로벽(210)의 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제1 유로(21)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심지(31)가 삽입되도록 심지(31)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개구를 구성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제1 유로면(211)과 연결될 수 있다. The
심지(31)는 심지삽입면(215)과 제2 컨테이너(42)의 하벽(42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심지(31)가 삽입되면, 심지삽입면(215)은 심지(31)의 상단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심지(31)에 밀착되어 액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부유로벽(220, 도 5 참조)과 하부유로벽(210, 도 5 참조)은 결합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유로벽(220a)을 구성할 수 있다. 유로벽(220a)은 상부유로벽(220)과 하부유로벽(210)이 결합된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above-described upper passage wall 220 (see FIG. 5 ) and the lower passage wall 210 (see FIG. 5 )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being coupled to form the
이에 따라, 구성요소 간 결합 공정이 제외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 간의 결합 부위를 통하여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a coupling process between components can be excluded, and leakage of liquid through a coupling portion between components can be prevented.
도 8을 참조하면, 제1 연장면(212a)은 하부유로벽(210b)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연장면(212a)은 제1 유로(21)와 접할 수 있다. 제1 연장면(212a)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장면(212a)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면(211)과 제1 연장면(212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제2 연장면(212b)은 상부유로벽(220b)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연장면(212b)은 제1 유로(21)와 접할 수 있다. 제2 연장면(212b)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면(212b)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엣지부(214)는 제1 연장면(212b)과 제3 유로면(23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함몰부(212c)는 제1 연장면(212a)과 제2 연장면(212b)의 사이에서 소정의 깊이만큼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12c)는 하부유로벽(210b)과 상부유로벽(220b)이 결합되는 부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12c)는 제1 유로(21)의 상부를 마주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에 의하여, 함몰부(212c)에 인접한 위치에서 난류가 더 형성되는 바, 심지(31)에서 에어로졸의 발생 부위에 편차가 있더라도, 에어로졸을 균일하게 섞어줄 수 있다.Accordingly, by the aerosol atomized at the end of the
도 9을 참조하면, 제어부(51)는 각종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연결된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출력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출력부(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55)는 전원의 온/오프, 히터(32)의 작동여부, 스틱에 대한 정보, 액체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배터리에 대한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구성들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출력부(55)를 제어할 수 있다.The
출력부(55)는 디스플레이(55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51)는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출력부(55)는 햅틱출력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출력부(552)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햅틱출력부(552)는 진동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The
출력부(55)는 음향출력부(553)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553)는 정보에 따른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553)는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The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입력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입력부(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54)에 전원의 온/오프, 히터(32)의 작동, 등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입력부(54)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메모리(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메모리(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56)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6)는 제어부(51)로부터 각종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부(51)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메모리(56)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제어부(51)는 센서(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62)는 인접한 물체에 의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62)는 인접한 물체의 상태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62)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센서(62)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62)는 정전용량형 센서 또는 커패시턴스 센서(capacitance senso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62)는 자기형 근접센서(magnetic proximity sensor)일 수 있다. 센서(62)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제어부(51)는 센서(62)로부터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가 획득한 정보에 따라 출력하는 값을 분석하여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에 대한 정보, 스틱에 대한 정보 등을 판단할 수 있다. The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바디(110a)는 카트리지(40)의 하부를 마주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되며, 카트리지(40)의 측부를 마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센서(62)는 상부바디(110b)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컨테이너(41)의 일측을 마주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컨테이너(4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The
차폐유닛(63)은 전자기파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에이로졸 생성장치(100) 외부의 전자기장으로부터 센서(62)가 영향을 받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전자기장이 통과되지 않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유닛(63)은 도체 또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hielding
도 10 및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바디(110b)는 카트리지(40)의 측면을 마주하는 제1 측벽(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1a)은 카트리지(40)의 일측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측벽(111a)은 제1 컨테이너(41)의 제1 외벽(411a)과 마주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측벽(111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측벽(111a)을 향할 수 있다.10 and 12, the upper body (110b) may include a first side wall (111a) facing the side of the cartridge (40). The
상부바디(110b)는 제1 측벽(111a)에 대향되는 제2 측벽(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벽(111b)은 외부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측벽(111a)과 제2 측벽(111b)은 상부바디(110b)의 측면 둘레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측벽(111b)은 제1 측벽(111a)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벽(111b)은 센서(62)를 덮을 수 있다. The
탈착공간(115)은 제1 측벽(111a)과 하부바디(110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탈착공간(115)에서 바디(110)와 결합될 수 있다. 센서(62)는 상부바디(110b)에 설치되어 탈착공간(115)을 향할 수 있다. 센서(62)는 바디(110)와 결합된 카트리지(40)를 향할 수 있다.The
바디(110)는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되는 삽입벽(113)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벽(113)은 상부바디(110b) 및 하부바디(110a)와의 사이에서 탈착공간(115)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 삽입벽(113)은 제2 컨테이너(4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도 1 참조). The
탈착공간(115)은 제1 탈착공간(115a)과 제1 탈착공간(115a)의 하측에 위치한 제2 탈착공간(115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는 제1 탈착공간(115a)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42)는 제2 탈착공간(115b)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벽(113)은 제2 탈착공간(115b)을 둘러쌀 수 있다(도 1 참조). The
바디(110)는, 감지영역과,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감지영역은, 카트리지(40)와 센서(6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센서(62)는 감지영역에 인접하여 바디(110)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62)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감지영역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40)가 바디(110)에 결합 또는 탈착되면, 감지영역에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틱(80)이 삽입공간(414)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면, 감지영역에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틱(80)이 사용되면, 사용된 정도에 따라 감지영역에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테이너(41)에 저장된 액체의 용량의 변화에 따라 감지영역에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The
차폐유닛(63)은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카트리지(40)와 센서(62)의 사이를 제외한 위치에서, 센서(62)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센서(62)를 향하는 외부 전자기장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센서(62)로 차폐유닛(63)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전자기장이 센서(62)에 영향을 주는 것을 수 있다. The shielding
차폐유닛(63)은 센서(62)의 측부 중 일부를 둘러싸는 제1 파트(632)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1 파트(632)는 제2 측벽(111b)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632)는 제2 측벽(111b)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트(632)는 센서(62)의 일부를 둘러싸고, 카트리지(40)와 센서(62)의 사이는 둘러싸지 않을 수 있다. 제1 파트(632)는 제1 측벽(111b)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The
차폐유닛(63)은 센서(62)의 상측에 배치된 제2 파트(632)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2 파트(632)는 센서(6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파트(632)는 상부바디(110b)의 상벽(1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632)는 상부바디(110b)의 상벽(112)과 결합될 수 있다. The
차폐유닛(63)은 삽입벽(1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3 파트(633)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3 파트(633)는 제2 탈착공간(115b)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3 파트(633)는 제2 컨테이너(42)의 측부 중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The
차폐유닛(63)은 하부바디(110a)와 상부바디(110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4 파트(634)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4 파트(634)는 센서(63)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제4 파트(634)는 상부바디(110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차폐유닛(63)의 제4 파트(634)는 하부바디(11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파트(634)는 제2 탈착공간(115b)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제4 파트(634)는 카트리지(40)의 하부 또는 제2 컨테이너(41)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The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영역(A3)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외측에서 제1 컨테이너(41)의 제2 외벽(411b)을 둘러싸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영역(A3)은 캡(120)의 측벽(121)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제3 영역(A3) 이외의 부분에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측부를 둘러싸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제3 영역(A3)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차폐유닛(63)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third area A3 may be defined as an area surrounding the second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와 접촉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서 전자기파가 센서(6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When using the
이에 따라, 신체나 외부 물체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접촉되더라도 센서(62)에 정확도가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body or an external o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제3 영역(A3)에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캡(120)의 측벽(121)은, 제1 컨테이너(41)를 덮는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빛을 투과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using th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3 영역(A3)에서 캡(120)의 윈도우를 통해 제1 컨테이너(41)에 저장된 액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liquid stored in the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캡(120)은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와 카트리지(40)를 덮을 수 있다. 캡(120)의 측벽(121)은 카트리지(40)의 측벽(411, 421)과 상부바디(110b)의 측벽(111)을 덮을 수 있다. 캡(120)의 상벽(122)은 카트리지(40)의 상벽(413)과 상부바디(110b)의 상벽(112)을 덮을 수 있다. 캡(120)은 바디(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4 파트(634)는 캡(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 the
차폐유닛(63)은 캡(120)의 외벽(121, 122)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캡(12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캡(120)이 바디(110)에 결합되면, 차폐유닛(63)은 센서(62)의 외부를 둘러쌀 수 있다. 캡(120)이 바디(110)로부터 이탈되면, 차폐유닛(63)도 캡(120)과 함께 바디(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The shielding
차폐유닛(63)은 캡(120)의 측벽(12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5 파트(635)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5 파트(635)는 센서(62)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5 파트(635)는 카트리지(40)의 측벽(411, 421)과 상부바디(110b)의 측벽(111)을 덮을 수 있다.The shielding
캡(120)의 측벽(121)은, 제1 컨테이너(41)를 덮는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빛을 투과하는 윈도우(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5 파트(635)는 윈도우(121a)가 형성된 부분을 덮지 않을 수 있다.The
차폐유닛(63)은 캡(120)의 상벽(122)에 배치되는 제6 파트(6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파트(636)는 센서(6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6 파트(636)는 카트리지(40)의 상벽(413)과 상부바디(110b)의 상벽(112)을 덮을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신체나 외부 물체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접촉되더라도 센서(62)에 정확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캡(120)의 윈도우(121a)를 통해 제1 컨테이너(41)에 저장된 액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body or an external o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414)을 정의하는 내벽(412)을 구비하고, 외벽(411)과 상기 내벽(412) 사이에 액체를 저장하는 챔버(C1)를 구비하는 제1 컨테이너(41); 상기 제1 컨테이너(41)와 결합되는 제2 컨테이너(42); 상기 제2 컨테이너(42) 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C1)와 연결되는 심지(31); 및 상기 심지(31)를 가열하는 히터(32)를 포함하는 카트리지(40); 상기 카트리지(4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센서(62); 상기 카트리지(40)와 상기 센서(62)가 결합되는 바디(110); 로서, 상기 카트리지(40)와 상기 센서(62)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을 정의하는 바디(110); 및 상기 비감지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차폐유닛(63)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62)는 상기 감지영역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1 to 15, the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110)는, 상기 카트리지(40)의 하부를 마주하는 하부바디(110a); 및 상기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40)의 측부를 마주하는 상부바디(110b)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62)는, 상기 상부바디(110b)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바디(110b)는, 상기 카트리지(40)의 측면을 마주하는 제1 측벽(111a); 및 상기 제1 측벽(111a)에 대향되는 제2 측벽(111b)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제2 측벽(111b)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센서(62)의 측부를 덮는 제1 파트(631)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상부바디(110a)의 상벽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62)의 상부를 덮는 제2 파트(632)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110)는, 상기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컨테이너(4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삽입벽(113)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62)는, 상기 제1 컨테이너(41)를 마주하고,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삽입벽(1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3 파트(633)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하부바디(110a)와 상기 상부바디(110b)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62)의 하부를 덮는 제4 파트(634)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 파트(634)는, 상기 카트리지(40)의 하부 및 상기 센서(62)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카트리지(40)를 덮고, 상기 삽입공간(414)과 연통되는 오프닝(124)이 형성된 캡(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캡(120)의 외벽(121, 122)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캡(120)의 측벽(12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센서(62)의 측부를 둘러싸는 제5 파트(635)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캡(120)의 상벽(122)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62)의 상부를 덮는 제6 파트(636)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폐유닛(63)은, 전자기장이 통과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hielding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Certain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their respective components or functions (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For example,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specific embodiment and/or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and/or drawing. That is, even if the coupling between components is not directly described, it means that coupling is possible except for cases where coupling is impossible (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I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1)
상기 카트리지에 인접하는 센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가 결합하는 바디; 로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을 정의하는 바디; 및
상기 비감지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감지영역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 first container having an inner wall defining an elongated insertion space, and having a chamber storing a liqui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 second container combined with the first container; a wick installed in the second container and connected to the chamber; And a cartridge including a heater for heating the wick;
a sensor adjacent to the cartridge;
a body to which the cartridge and the sensor are coupled; A body defining a sensing area formed between the cartridge and the sensor and a non-sensing area other than the sensing area; and
And a shielding unit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non-sensing area,
The sens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for detecting a change in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the sensing region.
상기 바디는,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를 마주하는 하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의 측부를 마주하는 상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상부바디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a lower body fac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and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and includes an upper body facing the side of the cartridge,
The sens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body.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카트리지의 측면을 마주하는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에 대향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제2 측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측부를 덮는 제1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body,
a first sidewall facing a side of the cartridge; and
Including a second side wall opposite to the first side wall,
The shielding unit,
and a first part dispos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idewall and covering a side portion of the sensor.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상부바디의 상벽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상부를 덮는 제2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hielding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part disposed on an upper wall of the upper body and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sensor.
상기 바디는,
상기 하부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삽입벽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컨테이너를 마주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삽입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3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and includes an insertion wall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The sensor,
Facing the first container, the shielding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third part dispos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insertion wall.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하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하부를 덮는 제4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hielding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fourth part disposed betwee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and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sensor.
상기 제4 파트는,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 및 상기 센서의 하부를 덮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fourth par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nsor.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덮고,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오프닝이 형성된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캡의 외벽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p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and the cartridge and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pace;
The shielding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stall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wall of the cap.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캡의 측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측부를 둘러싸는 제5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shielding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fifth part disposed along a circumference of a sidewall of the cap and surrounding a side portion of the sensor.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캡의 상벽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상부를 덮는 제6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shielding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sixth part disposed on an upper wall of the cap and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sensor.
상기 차폐유닛은,
전자기장이 통과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hielding unit,
An aerosol generator made of a material impermeable to electromagnetic fields.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4755A KR102545829B1 (en) | 2021-03-17 | 2021-03-17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US18/015,935 US20230263222A1 (en) | 2021-03-17 | 2022-03-07 | Aerosol-generating device |
JP2023516206A JP7591132B2 (en) | 2021-03-17 | 2022-03-07 | Aerosol Generator |
CN202280005595.2A CN115942883A (en) | 2021-03-17 | 2022-03-07 | Aerosol generating device |
PCT/KR2022/003140 WO2022196991A1 (en) | 2021-03-17 | 2022-03-07 | Aerosol-generating device |
EP22771657.8A EP4307943A4 (en) | 2021-03-17 | 2022-03-07 | AEROSOL GENERA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4755A KR102545829B1 (en) | 2021-03-17 | 2021-03-17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9877A KR20220129877A (en) | 2022-09-26 |
KR102545829B1 true KR102545829B1 (en) | 2023-06-20 |
Family
ID=8332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4755A Active KR102545829B1 (en) | 2021-03-17 | 2021-03-17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63222A1 (en) |
EP (1) | EP4307943A4 (en) |
JP (1) | JP7591132B2 (en) |
KR (1) | KR102545829B1 (en) |
CN (1) | CN115942883A (en) |
WO (1) | WO202219699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3290A1 (en) * | 2022-11-16 | 2024-05-23 | Philip Morris Products S.A. |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a sensing assembly comprising a shielding plate |
WO2024136147A1 (en) * | 2022-12-20 | 2024-06-27 | Kt&G Corporatio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90133191A1 (en) | 2017-10-25 | 2019-05-09 | Joyetech Europe Holding Gmbh | Electronic cigarette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81395B2 (en) | 2011-12-08 | 2016-03-09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Magnetic sensor device |
JP6303898B2 (en) | 2014-07-31 | 2018-04-04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Medium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
CN110248562B (en) * | 2017-02-28 | 2022-08-19 |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electrodes and sensors |
AU2018334042B2 (en) * | 2017-09-15 | 2022-01-06 |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
KR20190051787A (en) * | 2017-11-06 | 2019-05-15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UA126169C2 (en) * | 2017-12-28 | 2022-08-25 | ДжейТі ІНТЕРНЕШНЛ СА | INDUCTION HEATING ASSEMBLY FOR STEAM GENERATING DEVICE |
CN110720667A (en) | 2018-06-29 | 2020-01-24 | 深圳御烟实业有限公司 | Aerosol-generating articles, devices and systems |
KR102401553B1 (en) | 2018-11-23 | 2022-05-24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Cigarette an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thereof |
KR102219853B1 (en) * | 2019-01-16 | 2021-02-24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Method for controlling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using multiple geomagnetic sensors and apparatus thereof |
KR102262490B1 (en) | 2019-01-16 | 2021-06-08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erosol |
KR102281868B1 (en) * | 2019-06-11 | 2021-07-26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inductive coil |
-
2021
- 2021-03-17 KR KR1020210034755A patent/KR102545829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3-07 CN CN202280005595.2A patent/CN115942883A/en active Pending
- 2022-03-07 EP EP22771657.8A patent/EP4307943A4/en active Pending
- 2022-03-07 WO PCT/KR2022/003140 patent/WO202219699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3-07 JP JP2023516206A patent/JP7591132B2/en active Active
- 2022-03-07 US US18/015,935 patent/US20230263222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90133191A1 (en) | 2017-10-25 | 2019-05-09 | Joyetech Europe Holding Gmbh | Electronic cigaret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96991A1 (en) | 2022-09-22 |
EP4307943A4 (en) | 2025-03-05 |
JP7591132B2 (en) | 2024-11-27 |
US20230263222A1 (en) | 2023-08-24 |
EP4307943A1 (en) | 2024-01-24 |
KR20220129877A (en) | 2022-09-26 |
JP2023541412A (en) | 2023-10-02 |
CN115942883A (en) | 2023-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5829B1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JP7575578B2 (en) | Aerosol Generator | |
JP7570501B2 (en) | Aerosol Generator | |
JP7566141B2 (en) | Aerosol Generator | |
KR20220132946A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KR102545833B1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US20240180245A1 (en) | Cartridge and aerosol-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56525A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KR102621736B1 (en) | Cartridges and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including the same | |
KR102621735B1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KR102573820B1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KR102542026B1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RU2808406C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US20250049116A1 (en) | Aerosol-generating device | |
KR102760828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30055913A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KR102589104B1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KR102621734B1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KR20230056526A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KR20230105299A (en) | Cartridge and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with the same | |
KR20230105672A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KR20230064522A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KR20230068261A (en)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
CN118102906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30094496A (en) | Cartridge and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with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