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650B1 - Device for reducing foreign substances in coarse aggregates by applying blowing and suction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ducing foreign substances in coarse aggregates by applying blowing and s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5650B1 KR102545650B1 KR1020220071682A KR20220071682A KR102545650B1 KR 102545650 B1 KR102545650 B1 KR 102545650B1 KR 1020220071682 A KR1020220071682 A KR 1020220071682A KR 20220071682 A KR20220071682 A KR 20220071682A KR 102545650 B1 KR102545650 B1 KR 1025456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ggregate
- suction
- width direction
- unit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5/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컨베이어벨트로서 일측으로 투입되는 골재를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측으로 분리 및 포집되도록 유도하는 흡입부; 및 상기 이송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 송풍구가 연결되도록 상기 이송부와 인접하게 설치된 한 쌍의 송풍기를 통해 상기 흡입부의 타측 단부를 향해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로서, 상기 흡입부는, 종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상호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 상에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하부가 상호 이격되어 골재가 이송되는 이송로드를 형성하는 케이스;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 방향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높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한 쌍의 상기 케이스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타측으로 이송되는 골재가 타고 넘어가면서 뒤집어져 타측 단부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유도뒤집개; 및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타측 단부로 떨어진 골재로부터 분리되면서 부양하게 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ducing foreign matter in coarse aggregate to which blowing and suction are applie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veyor belt, a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aggregate input to one side to the other side; At least one suction unit installed on the transfer unit to suck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aggregate and induce them to be separated and collected outside; And a blowing unit for supplying win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unit through a pair of blowers installed adjacent to the transfer unit so that the tuyer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transfer uni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As a foreign matter reducing device, the suction part is provided with a pair of longitudinal cross-sections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transfer part,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detachably fastened, and the pair of lower parts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installed on the transfer part. Cas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transport rod through which the aggregate is transported; An induction flipper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cases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that rises obliquely upward as it gather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induces the aggregate transported to the other side to fall over and fall to the other end while riding over; and an aspirator for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that float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aggregate that has fallen to the other end by the wind supplied from the blow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송풍과 흡입을 적용하여 굵은골재에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 특히 폐비닐, 종이, 천조각, 폐플라스틱, 스티로폼 또는 폐목재 등과 같은 가연성 이물질을 분리 및 포집하여 배출을 유도하는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ducing foreign matter in coarse aggregate by applying blowing and suction, and more specifically, by applying blowing and suction, foreign matter mixed in coarse aggregate, particularly waste vinyl, paper, cloth, waste plastic, Styrofoam or waste It relates to a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for coarse aggregates using blowing and suction that separates and collects combustible foreign matter such as wood and induces discharge.
친환경적이면서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한 측면에서 건설 또는 건축구조물의 해체시 발생하는 폐기물은 매립되지 않고 소정의 장소로 수집된 후, 파쇄공정, 이물질 선별공정, 골재와 모르타르 분리공정 및 골재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의 박리공정 등 일련의 중간 처리과정을 통해 양질의 자원으로 생산되고 있다.In order to b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to recycle resources, wastes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or demolition of building structures are not landfilled, but are collected in a designated place, followed by a crushing process, a foreign matter sorting process, an aggregate and mortar separation process, and morta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ggregate. It is being produced as a high-quality resource through a series of intermediate treatment processes such as the peeling process.
여기에서, 골재에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 중 금속재는 전자석 자선기에 의해 부착 제거되기 때문에 선별과 제거에 특별한 문제가 없지만, 폐비닐, 종이, 천조각, 폐플라스틱, 스티로폼 또는 폐목재 등과 같이 비교적 비중이 낮은 가연성 이물질의 경우에는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수작업으로 선별 및 제거해야 했기 때문에, 그 선별 및 제거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 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Here, among the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aggregate, metal materials are attached and removed by the electromagnetic magnetic machine, so there is no particular problem in sorting and removing them, but relatively low specific gravity such as waste vinyl, paper, pieces of cloth, waste plastic, Styrofoam or waste wood In the case of combustible foreign substances, since they had to be manually checked and removed manually, the selection and removal work wa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took a lot of time.
이렇게 비중이 낮은 가연성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으로, 수조를 이용한 선별제거방식과 풍력을 이용한 선별제거방식이 제시된 바 있다.As a conventional method for selecting and removing combustible foreign substances having such a low specific gravity, a selective removal method using a water tank and a selective removal method using wind power have been proposed.
이와 같이, 종래의 수조를 이용한 선별제거방식은 폭기조가 설치된 수조의 수중으로 건설 또는 건축폐기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를 통과시켜 건설 또는 건축폐기물에 혼재된 이물질이 수면 위로 부상하게 한 후, 별도의 채집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물질의 선별과정에서 먼지가 비산되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지만, 컨베이어가 수중을 통과하면서 수조의 물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측면에 역행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가 수중을 통과하면서 부식되어 내구성이 약화되고, 수집된 이물질을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건조장치가 요구되어 제반시설들을 구비하기 위한 설치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었다.As such, in the conventional sorting and removal method using a water tank, a conveyor carrying construction or construction waste passes through the water of an aeration tank install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mixed in construction or construction waste float to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en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As a method of sort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using a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dust is not scattered during the sorting process of foreign substances, but there is a problem against the eco-friendly aspect because the conveyor pollutes the water in the tank while passing through the water. However, as the conveyor passes through the water, it corrodes and the durability is weakened, and a separate drying device for drying the collected foreign substances is required, which increases the installation cost for providing the facilities.
이와 함께, 종래의 풍력을 이용한 선별제거방식은 건설 또는 건축폐기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측면에서 풍력을 공급하면 건설 또는 건축폐기물에 혼재된 이물질이 컨베이어 측면으로 분리되어 제거하는 방식으로, 수조를 이용한 선별제거방식에 비해 물을 오염시키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은 있지만, 골재 등에 끼워져 있거나 눌려있는 이물질은 풍력으로도 날아가기 어려워 그 선별 및 제거가 용이하지 못해 선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orting and removal method using wind power, when wi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side of a conveyor carrying construction or construction waste, foreign substances mixed in construction or construction waste are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side of the conveyor, and sorted and removed using a water tank. Although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co-friendly because it does not pollute water compared to the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orting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sort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embedded in or pressed down by the wind.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과 흡입을 적용하여 굵은골재에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 특히 폐비닐, 종이, 천조각, 폐플라스틱, 스티로폼 또는 폐목재 등과 같은 가연성 이물질을 분리 및 포집하여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blowing and suction to separate and collect foreign substances mixed in coarse aggregate, especially combustible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ste vinyl, paper, pieces of cloth, waste plastic, styrofoam or waste wood, to induce discharge. It is to provide a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for coarse aggregate to which blowing and suction are appli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는, 컨베이어벨트로서 일측으로 투입되는 골재를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측으로 분리 및 포집되도록 유도하는 흡입부; 및 상기 이송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 송풍구가 연결되도록 상기 이송부와 인접하게 설치된 한 쌍의 송풍기를 통해 상기 흡입부의 타측 단부를 향해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로서, 상기 흡입부는, 종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상호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 상에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하부가 상호 이격되어 골재가 이송되는 이송로드를 형성하는 케이스;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 방향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높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한 쌍의 상기 케이스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타측으로 이송되는 골재가 타고 넘어가면서 뒤집어져 타측 단부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유도뒤집개; 및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타측 단부로 떨어진 골재로부터 분리되면서 부양하게 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기;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reducing foreign substances of coarse aggregate to which blowing and suction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veyor belt, comprising: a conveyor belt for conveying aggregate input to one side to the other side; At least one suction unit installed on the transfer unit to suck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aggregate and induce them to be separated and collected outside; And a blowing unit for supplying win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unit through a pair of blowers installed adjacent to the transfer unit so that the tuyer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transfer uni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As a foreign matter reducing device, the suction part is provided with a pair of longitudinal cross-sections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transfer part,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detachably fastened, and the pair of lower parts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installed on the transfer part. Cas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transport rod through which the aggregate is transported; An induction flipper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cases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that rises obliquely upward as it gather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induces the aggregate transported to the other side to fall over and fall to the other end while riding over; and an aspirator for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that float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aggregate that has fallen to the other end by the wind supplied from the blower.
상기 이송부는, 투입된 골재를 이송시키도록 모터와 연결된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골재들이 상기 이송로드를 향해 모아지도록 유도하는 이송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connected to a motor to transfer the input aggregate, and a transfer guide installed at one end to induce the input aggregate to be collected toward the transfer rod.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기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어 흡입기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포집하여 외부로의 배출을 유도하는 사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이송부의 골재 이송 및 상기 송풍부의 바람 공급에는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기 케이스를 커버링하여 골재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폐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haler may include a cyclone dust collecto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inhale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through the inhaler and discharge them to the outside; and an airtight housing that covers the case to prevent scattering of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ggregate while not interfering with the transport of the aggregate by the transport unit and the supply of air to the blower unit.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 한 쌍의 하부에 폭 방향으로 장착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구동이나 랙과 모터와 연결된 피니언의 기어 치합에 의해 상기 케이스 한 쌍의 하부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일측으로부터 투입되는 골재의 투입량에 따라 상기 이송로드의 폭 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suction part induces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cases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by driving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mount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cases in the width direction or gear teeth of a rack and a pinion connected to a motor to move from one side to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cases. The length of the transfer rod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put amount of aggregate.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 한 쌍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구동이나 랙과 모터와 연결된 피니언의 기어 치합에 의해 상기 유도뒤집개가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유도하여 일측으로부터 투입되는 골재의 투입량에 따라 상기 유도뒤집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guides the induction flipper to asc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driving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cases or by gear engagement of a rack and a pinion connected to a motor, thereby inducing the aggregate introduced from one side. The height of the induction flipp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put.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골재에 혼재되어 있는 폐비닐, 종이, 천조각, 폐플라스틱, 스티로폼 또는 폐목재 등과 같은 가연성 이물질을 흡입부와 송풍부에 의해 분리 및 포집하여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ombustible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ste vinyl, paper, pieces of cloth, waste plastic, Styrofoam, or waste wood mixed in the aggregate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re separated and collected by the suction unit and the blower unit.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discharge.
그리고, 밀폐하우징의 구성을 통해, 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부양하는 이물질들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대기의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irtight housing,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environmental pollution of the atmosphere 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aggregate and floating to the outside from scatter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로 골재가 이송되면서 골재에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 및 포집하여 배출을 유도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에서 이송로드의 폭 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에서 유도뒤집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for coarse aggregate to which blowing and suction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for coarse aggregate to which blowing and suction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inducing discharge by separating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aggregate while the aggregate is transferred to the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for coarse aggregate to which blowing and suction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n to explain the adjustment of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rod in the coarse aggregate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to which blowing and suction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n to explain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induction flipper in the coarse aggregate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to which blowing and suction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implementation configurations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operati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s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figurations in the same or the same category as the prior art will be omitted. do it with
본 발명은 송풍과 흡입을 적용하여 굵은골재에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 특히 폐비닐, 종이, 천조각, 폐플라스틱, 스티로폼 또는 폐목재 등과 같은 가연성 이물질을 분리 및 포집하여 배출을 유도하는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blowing and suction to separate and collect foreign substances mixed in coarse aggregate, especially combustible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ste vinyl, paper, pieces of cloth, waste plastic, styrofoam or waste wood, and blow and suction to induce discharge. It relates to a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for applied coarse aggregat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로서 일측으로 투입되는 골재를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0)와, 이송부(10) 상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측으로 분리 및 포집되도록 유도하는 흡입부(20)와, 이송부(10)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 송풍구(31)가 연결되도록 이송부(10)와 인접하게 설치된 한 쌍의 송풍기(32)를 통해 흡입부(20)의 타측 단부를 향해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부(30)를 포함하는 것을 근간으로 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S. 1 to 8, the configuration of the coarse aggregate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to which blowing and s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conveyor belt, which includes a
본 발명의 이송부(1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일측에서 투입된 골재를 이송시키도록 모터와 연결된 다수의 롤러(11)를 구비하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골재들이 후술하는 흡입부(20)의 이송로드(22)를 향해 모아지도록 유도하는 이송가이더(1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이를 통해, 이송과정에서 골재가 이송부(10) 외측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ggregate from fall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본 발명의 흡입부(20)는,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케이스(21), 유도뒤집개(23) 및 흡입기(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8 , the
여기에서, 케이스(21)는 종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상호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이송부(10) 상에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하부가 상호 이격되어 골재가 이송되는 이송로드(22)를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이렇게 케이스(21)의 상부와 하부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케이스(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후술할 유도뒤집개(23)가 골재의 이송과정에서 골재와의 잦은 마찰 또는 부딪힘으로 인해 마모,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될 경우, 케이스(21)의 하부만을 상부와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그리고, 유도뒤집개(23)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 방향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높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한 쌍의 케이스(21)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타측으로 이송되는 골재가 타고 넘어가면서 뒤집어져 타측 단부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tion flipper 23 protru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이때, 유도뒤집개(23) 타단의 높이는 대략 10cm 정도일 수 있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골재가 유도뒤집개(23)를 타고 넘어가면서 흡입부(20)의 타측 단부에 떨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골재가 뒤집어지면서 골재에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들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이물질들은 송풍부(30)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부양하여 흡입기(24)를 통해 흡입되어 포집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특히, 유도뒤집개(23)를 타고 넘어가서 뒤집어진 골재도 송풍부(30)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유도뒤집개(23)의 타측면에 부딪힐 수 있게 되면서 충격에 의해 털리게 되어 골재들에 끼워져 있거나 눌려있을지 모르는 이물질 마저도 분리를 유도하여 부양시킬 수 있게 되고, 유도뒤집개(23)의 타측면에 부딪힌 골재는 자중에 의해 떨어져 이송부(10) 상에서 다시 타측으로의 이동을 재개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aggregate that has been overturned by riding over the
또한, 흡입기(24)는 송풍부(30)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타측 단부로 떨어진 골재로부터 분리되면서 부양하게 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더불어, 본 발명의 흡입부(20)는 흡입기(24)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어 흡입기(24)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포집하여 외부로의 배출을 유도하는 사이클론 집진기(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사이클론 집진기(25)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흡입부(20)에서 흡입기(24)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흡입기(24)에 각각 설치되는 사이클론 집진기(25)는 상호 연결되는 하나의 배출로드를 통해 포집된 이물질의 배출을 한꺼번에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ese
게다가, 본 발명의 흡입부(20)는 이송부(10)의 골재 이송 및 송풍부(30)의 바람 공급에는 간섭하지 않으면서 케이스(21)를 커버링하여 골재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폐하우징(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통해, 골재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분리되어 부양하는 이물질이 흡입기(24)로 집중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scattering of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ggregate, but also to induce the separated and floating foreign substances to be concentrated into the
이와 함께, 본 발명의 흡입부(20)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이송부(10)로 투입되는 골재의 투입량에 따라 상술한 이송로드(22)의 폭 방향 길이를 조절하거나 유도뒤집개(2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A)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에서, 조절부재(A)를 통해 이송로드(22)의 폭 방향 길이를 조절할 경우, 도 5 및 도 6과 같이, 흡입부(20)는 케이스(21) 한 쌍의 하부에 폭 방향으로 장착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C)의 구동이나 랙과 모터와 연결된 피니언(R/P)의 기어 치합에 의해 케이스(21) 한 쌍의 하부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일측으로부터 투입되는 골재의 투입량에 따라 이송로드(22)의 폭 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Here, w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그리고, 조절부재(A)를 통해 유도뒤집개(23)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도 7 및 도 8과 같이, 흡입부(20)는 케이스(21) 한 쌍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C)의 구동이나 랙과 모터와 연결된 피니언(R/P)의 기어 치합에 의해 유도뒤집개(23)가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유도하여 일측으로부터 투입되는 골재의 투입량에 따라 유도뒤집개(2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nd,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induction flipper 23 through the adjusting member A,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이러한 흡입부(20)를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이송부(10) 상에 2개가 설치된 것으로 표시하였지만, 굵은골재의 투입량에 따른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의 분리 및 포집과 배출의 유도 효율을 높이기 위해, 더 많은 개수의 흡입부(20)를 이송부(10) 상에 설치할 수 있다.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한 쌍의 송풍기(32)에 일체로 구성되어 이송부(10)에서 흡입부(20)의 타측 단부와 인접하게 연결되도록 폭 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송풍구(31) 또한 흡입부(20)의 설치 개수에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pair of
결국, 본 발명의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는, 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되는 골재에 혼재되어 있는 폐비닐, 종이, 천조각, 폐플라스틱, 스티로폼 또는 폐목재 등과 같은 가연성 이물질을 흡입부(20)와 송풍부(30)에 의해 분리 및 포집하여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coarse aggregate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using the blowing and s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combustible foreign matter such as waste vinyl, paper, cloth, waste plastic, styrofoam, or waste wood mixed in the aggregate transported through the
그리고, 밀폐하우징(26)의 구성을 통해, 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부양하는 이물질들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대기의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An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specific specific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이송부 11 : 롤러
12 : 이송가이더 20 : 흡입부
21 : 케이스 22 : 이송로드
23 : 유도뒤집개 24 : 흡입기
25 : 사이클론 집진기 26 : 밀폐하우징
30 : 송풍부 31 : 송풍구
32 : 송풍기 A : 조절부재
C :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R/P : 랙과 피니언10: transfer unit 11: roller
12: transfer guider 20: inlet
21: case 22: transfer rod
23: induction flipper 24: inhaler
25: cyclone dust collector 26: sealed housing
30: blower 31: blower
32: blower A: adjusting member
C: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R/P: rack and pinion
Claims (5)
상기 흡입부는,
종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상호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 상에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하부가 상호 이격되어 골재가 이송되는 이송로드를 형성하는 케이스;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 방향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높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한 쌍의 상기 케이스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타측으로 이송되는 골재가 타고 넘어가면서 뒤집어져 타측 단부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유도뒤집개; 및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타측 단부로 떨어진 골재로부터 분리되면서 부양하게 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A conveyor belt for conveying aggregate input to one side to the other side as a conveyor belt; At least one suction unit installed on the transfer unit to suck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aggregate and induce them to be separated and collected outside; And a blowing unit for supplying win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unit through a pair of blowers installed adjacent to the transfer unit so that the tuyer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transfer uni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As a foreign matter reducing device,
the suction part,
A transfer rod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conveying unit,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detachably fastened, and the pair of lower parts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transport the aggregate. case forming a;
An induction flipper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cases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that rises obliquely upward as it gather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induces the aggregate transported to the other side to fall over and fall to the other end while riding over; and
An aspirator for sucking in foreign matter that is separated from the aggregate that has fallen to the other end by the wind supplied from the blowing unit and is suspended.
상기 이송부는,
투입된 골재를 이송시키도록 모터와 연결된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골재들이 상기 이송로드를 향해 모아지도록 유도하는 이송가이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connected to the motor to transport the injected aggregate,
A coarse aggregate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using blowing and s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veying guide installed at one end and guiding the injected aggregates to be collected toward the conveying rod.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기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어 흡입기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포집하여 외부로의 배출을 유도하는 사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이송부의 골재 이송 및 상기 송풍부의 바람 공급에는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기 케이스를 커버링하여 골재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폐하우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part,
a cyclone dust collecto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inhale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through the inhaler and to discharge them to the outside; and
Coarse aggregate applied with blowing and s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led housing that covers the cas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transport of aggregate in the conveyor and the supply of wind to the blower to prevent scattering of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ggregate. of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 한 쌍의 하부에 폭 방향으로 장착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구동이나 랙과 모터와 연결된 피니언의 기어 치합에 의해 상기 케이스 한 쌍의 하부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일측으로부터 투입되는 골재의 투입량에 따라 상기 이송로드의 폭 방향 길이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part,
By driving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mount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cases in the width direction or gear engagement of a pinion connected to a rack and a motor,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cases is induced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ggregate introduced from one side. Coarse aggregate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using blowing and su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rod according to the input amount.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 한 쌍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구동이나 랙과 모터와 연결된 피니언의 기어 치합에 의해 상기 유도뒤집개가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유도하여 일측으로부터 투입되는 골재의 투입량에 따라 상기 유도뒤집개의 높이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part,
By driving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cases or by gear engagement of a rack and a pinion connected to a motor, the induction flipper is induced to asc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put amount of aggregate input from one side. Coarse aggregate foreign matter reduction device applying blowing and su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induction flipp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1682A KR102545650B1 (en) | 2022-06-13 | 2022-06-13 | Device for reducing foreign substances in coarse aggregates by applying blowing and s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1682A KR102545650B1 (en) | 2022-06-13 | 2022-06-13 | Device for reducing foreign substances in coarse aggregates by applying blowing and su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5650B1 true KR102545650B1 (en) | 2023-06-20 |
Family
ID=8699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1682A Active KR102545650B1 (en) | 2022-06-13 | 2022-06-13 | Device for reducing foreign substances in coarse aggregates by applying blowing and s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565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48026B1 (en) * | 2023-11-14 | 2024-12-31 | 주식회사 신서이엔티 | Foreign matter separator for treatment of construction wast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1014A (en) * | 2002-09-25 | 2003-02-06 | 주식회사 오성개발 | the foreign material quality sorting system which i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
KR200383357Y1 (en) | 2005-02-07 | 2005-05-03 | 민원 | Wind Separator for Building Waste |
KR100544233B1 (en) | 2005-05-30 | 2006-01-23 | 주식회사 신텍 | Method for producing high-quality circulating aggregate including air circulation type foreign matter and fine dust removing means and apparatus |
KR200411272Y1 (en) * | 2005-12-30 | 2006-03-10 | 세창환경건설(주) | Shredded Soil Separator |
KR20130119619A (en) * | 2012-04-24 | 2013-11-01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Landslide debris screening system for landfill |
KR101938656B1 (en) * | 2018-06-25 | 2019-01-15 | 신은식 | Foreign suvstance removal device for separate collection system and foreign suvstance removal method for separate collection system |
KR102128539B1 (en) * | 2019-07-26 | 2020-06-30 |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 Device that produces rotated soil that reduces odour through inorganic binder during middle progress of construction wastes |
-
2022
- 2022-06-13 KR KR1020220071682A patent/KR1025456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1014A (en) * | 2002-09-25 | 2003-02-06 | 주식회사 오성개발 | the foreign material quality sorting system which i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
KR200383357Y1 (en) | 2005-02-07 | 2005-05-03 | 민원 | Wind Separator for Building Waste |
KR100544233B1 (en) | 2005-05-30 | 2006-01-23 | 주식회사 신텍 | Method for producing high-quality circulating aggregate including air circulation type foreign matter and fine dust removing means and apparatus |
KR200411272Y1 (en) * | 2005-12-30 | 2006-03-10 | 세창환경건설(주) | Shredded Soil Separator |
KR20130119619A (en) * | 2012-04-24 | 2013-11-01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Landslide debris screening system for landfill |
KR101938656B1 (en) * | 2018-06-25 | 2019-01-15 | 신은식 | Foreign suvstance removal device for separate collection system and foreign suvstance removal method for separate collection system |
KR102128539B1 (en) * | 2019-07-26 | 2020-06-30 |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 Device that produces rotated soil that reduces odour through inorganic binder during middle progress of construction wast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48026B1 (en) * | 2023-11-14 | 2024-12-31 | 주식회사 신서이엔티 | Foreign matter separator for treatment of construction was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9932B1 (en) | Foreign substance s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waste | |
KR100968793B1 (en) | Recycled aggregate sort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refuse clearing and dust collection | |
KR20120084825A (en) | System of equipment for separating of impurity content by high pressure wind power for production of recyling grevel from constructional waste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 |
KR102545650B1 (en) | Device for reducing foreign substances in coarse aggregates by applying blowing and suction | |
CN105666299B (en) | A kind of novel steel ball processor | |
KR101346354B1 (en) | Landslide debris screening system for landfill | |
CN107876200A (en) | A kind of building waste light materials separation equipment and its separation method | |
CN115582394A (en) | Waste recovery processing device for papermaking equipment | |
CN108686960A (en) | Building waste dry-type separation system | |
KR100688123B1 (en) | Screening treatment method of construction waste and its device | |
KR101402597B1 (en) | Lake was formed with the blower unit interval adjustment flammable waste sorting device screening | |
CN208758070U (en) | The soft light rubbish grabbing device of dry type sorter | |
KR100516002B1 (en) | Refuse sorting structures of intermediate handling for disposal of construction | |
CN111318967A (en) | Track passing type shot blasting machine for stone | |
CN108607671B (en) | Dry type classification and separation method for construction waste | |
CN214554253U (en) | Online intelligent control system sand production line | |
CN112452539A (en) | Concurrent flow wet-type pre-selection method for removing ferromagnetic minerals | |
CN207981401U (en) | Building waste light materials separation equipment | |
JP3163451U (en) | Wind sorter | |
KR20030034483A (en) | Suction separate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and construction-waste separating system | |
EP0271608B1 (en) | Device for separating lighter objects from waste material | |
CN114537975B (en) | Comprehensive utilization treatment device for metal tailings | |
CN113385518B (en) | Waste glass treatment system | |
CN215235933U (en) | Building rubbish wind selects for use wooden stone sorting unit | |
CN214682889U (en) | Waste glass treat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6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