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5625B1 - Heat exchanger unit - Google Patents

Heat exchange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625B1
KR102545625B1 KR1020190178390A KR20190178390A KR102545625B1 KR 102545625 B1 KR102545625 B1 KR 102545625B1 KR 1020190178390 A KR1020190178390 A KR 1020190178390A KR 20190178390 A KR20190178390 A KR 20190178390A KR 102545625 B1 KR102545625 B1 KR 102545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combustion chamber
pipe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5397A (en
Inventor
박준규
조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68936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4562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9017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625B1/en
Priority to KR1020200083879A priority patent/KR102546285B1/en
Priority to AU2020289867A priority patent/AU2020289867B2/en
Priority to US17/131,772 priority patent/US12130052B2/en
Priority to EP20217737.4A priority patent/EP3845825B1/en
Priority to CN202011606440.3A priority patent/CN113124563B/en
Priority to ES20217737T priority patent/ES2982679T3/en
Priority to PL20217737.4T priority patent/PL3845825T3/en
Priority to MX2021000045A priority patent/MX2021000045A/en
Publication of KR20210085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397A/en
Priority to KR1020220005966A priority patent/KR20220013427A/en
Priority to KR1020230034728A priority patent/KR102653738B1/en
Publication of KR10254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6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KR1020240019181A priority patent/KR102685372B1/en
Priority to KR1020240040455A priority patent/KR20240042390A/en
Priority to US18/752,073 priority patent/US20240344738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8Arrangements of boiler components on a frame or within a casing to build the fluid heater, e.g.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apparatus, e.g. for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은, 내부에 연소반응에 의한 화염이 위치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현열을 전달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난방수를 가열하게 마련되는 현열 열교환배관 및 상기 현열 열교환배관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현열 열교환기; 상기 연소실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연소실을 단열하기 위해, 상기 난방수를 공급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시키는 연소실 단열배관; 및 상기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현열 열교환기를 단열하기 위해, 상기 난방수를 공급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시키는 현열 단열배관을 포함한다.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in which a flame due to a combustion reaction is located; A sensible heat exchange pipe locate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receiving sensibl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to heat heat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inside, and a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ccommodating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in an internal space. a sensible heat exchanger; a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receives the heating water to flow through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insulate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disposed adjacent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heating water and flow it therethrough in order to insulat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Description

열교환기 유닛 {HEAT EXCHANGER UNIT}Heat exchanger unit {HEAT EXCHANGER UNIT}

본 발명은 콘덴싱 보일러와 같은 물 가열기에 사용되는 열교환기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unit used in a water heater such as a condensing boiler.

물 가열기는 물을 가열해 제공하는 장치이다. 보일러는 물 가열기의 일종으로, 용기 내의 유체를 가열하여 원하는 지역을 난방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보일러의 난방수를 데우기 위해, 보일러는 열원과 이를 포함하는 버너 및 연소가스 등으로부터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 유닛을 일반적으로 가진다. 연소가스의 열을 종합적으로 이용하는 콘덴싱 보일러에서는, 버너에서 발생하는 현열이 난방수에 제공되고, 버너에서 발생한 연소가스의 현열과 연소가스의 상변화에 의한 잠열이 난방수에 제공되어, 난방수가 가열된다.A water heater is a device that heats and provides water. A boiler is a type of water heater and is a device that heats a desired area by heating the fluid in a container. Therefore, in order to heat the heating water of the boiler, the boiler generally has a heat exchanger unit that heats the heating water from a heat source, a burner including the same, and combustion gas. In a condensing boiler that comprehensively uses the heat of combustion gas, sensible heat generated from the burner is provided to heating water, and sensible heat of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from the burner and latent heat due to phase change of the combustion gas are provided to heating water, so that the heating water is heated. do.

현열과 잠열을 난방수에 제공하기 위해, 난방수를 보관하는 용기를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영역과 현열이 제공되는 열원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용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난방수에 열을 전달하여, 난방수의 온도를 난방에 적합한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난방이 이루어져야 하는 지역에 공급한다. In order to provide sensible and latent heat to the heating water, a method in which a container for storing the heating water is placed adjacent to a region in which combustion gas flows and a heat source to which sensible heat is provided is mainly used. Heat is transferred to the heating water indirectly through the container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ater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heating, and then is supplied to the area where heating is required.

이러한 열전달을 위해 플레이트를 다수 적층하는 플레이트 유형의 열교환기 유닛이 주로 사용되는데, 열효율이 뛰어나지만 제조 공정의 어려움과 고비용 문제가 있다.For such heat transfer, a plate-type heat exchanger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are stacked is mainly used, and has excellent thermal efficiency, but has problems in manufacturing process and high cos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핀튜브 타입의 열교환장치가 사용되면서도 열효율이 뛰어난, 콘덴싱 보일러와 같은 물 가열기에 사용되는 열교환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to provide a heat exchanger unit used in a water heater such as a condensing boiler, which has excellent thermal efficiency while using a finned tube type heat exchang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합한 단열수단이 사용된, 콘덴싱 보일러와 같은 물 가열기에 사용되는 열교환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 exchanger unit for use in a water heater, such as a condensing boiler, in which suitable insulation means are u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은, 내부에 연소반응에 의한 화염이 위치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현열을 전달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난방수를 가열하게 마련되는 현열 열교환배관 및 상기 현열 열교환배관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현열 열교환기; 상기 연소실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연소실을 단열하기 위해, 상기 난방수를 공급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시키는 연소실 단열배관; 및 상기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현열 열교환기를 단열하기 위해, 상기 난방수를 공급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시키는 현열 단열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실은, 상기 화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연소실 케이스와, 상기 연소실 케이스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연소실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현열 열교환기는, 상기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소실 플랜지와 결합되는 열교환기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페이스트가 도포되고 가열되는 브레이징에 의해, 상기 연소실과 상기 현열 열교환기가 결합되고, 상기 페이스트는, 상기 연소실 플랜지와 상기 열교환기 플랜지의 사이에 도포된다.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in which a flame due to a combustion reaction is located; A sensible heat exchange pipe locate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receiving sensibl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to heat heat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inside, and a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ccommodating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in an internal space. a sensible heat exchanger; a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receives the heating water to flow through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insulate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disposed adjacent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to insulat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by receiving the heating water and flowing it therethrough, wherein the combustion chamber comprises an internal space where the flame is located. A combustion chamber case formed and a combustion chamber flange protruding from a lower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case, wherein the sensible heat exchanger further includes a heat exchanger flange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nd coupled to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sensible heat exchanger are coupled by brazing in which paste is applied and heated, and the paste is applied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and the heat exchanger flan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제작방법은, 브레이징용 페이스트를 이용해 열교환기를 조립하는 단계; 브레이징용 페이스트를 이용해 연소실을 조립하는 단계; 브레이징용 페이스트를 상기 열교환기와 맞닿을 상기 연소실의 연소실 플랜지의 일면 및 상기 연소실과 맞닿을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기 플랜지의 일면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연소실에 상기 열교환기를 안착시켜 열교환기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 유닛을 가열하여 브레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sembling a heat exchanger using a brazing paste; assembling a combustion chamber using brazing paste; Applying a brazing paste to at least one of one surface of a combustion chamber flange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r and on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flange of the heat exchanger to be in contact with the combustion chamber; Forming a heat exchanger unit by seating the heat exchanger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brazing by heating the heat exchanger unit.

이에 따라, 저렴하고 생산이 용이한 핀튜브 타입의 열교환기 유닛을 사용하면서도 열전달 효율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a decrease in heat transfer efficiency may not occur while using an inexpensive and easy-to-manufacture finned tube type heat exchanger unit.

이에 따라, 열교환기 유닛 및 콘덴싱 보일러가 높은 단열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heat exchanger unit and the condensing boiler can have a high insulation effect.

도 1은 예시적인 열교환기 유닛의 일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연소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현열 열교환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 중 현열 열교환배관과 현열 핀이 배치된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 중 현열 열교환배관과 현열 핀이 배치된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2 현열 일반측판을 제2 유로캡 플레이트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소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1 현열 일반측판을 제1 유로캡 플레이트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소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열교환기 유닛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1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2 메인 일반측판의 일부 영역을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소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1 메인 일반측판을 제1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소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현열유로와 잠열유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유로캡 플레이트를 각 배관과 같이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류 핀과 그 사이에 위치한 응축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2 일반측판을 제2 유로캡 플레이트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1 일반측판을 제1 유로캡 플레이트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이 포함하는 전체 유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에서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들이 분리되어 있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의 정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의 측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의 종단면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정면에서 연결 어댑터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전체적인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연소실의 정면에서 연결 어댑터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전체적인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소실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와 연소실을 결합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단면 중 연소실 플랜지와 열교환기 플랜지가 위치한 부분을 상하를 뒤집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연소실 플랜지와 열교환기 플랜지가 위치한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단면 중 패킹 브라켓과 측판 패킹이 위치한 영역을 상하를 뒤집어 도시한 것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단면 중 보호 브라켓이 위치한 영역을 상하를 뒤집어 도시한 것이다.
도 4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연결 어댑터 및 인접한 영역의 종단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엘보우 파이프 및 인접한 영역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exemplary heat exchanger unit.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nd a condensing boil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nd a condensing boil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combustion chamber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egion wher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s and sensible heat fins are disposed.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egion wher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s and sensible heat fins are disposed.
8 is a view of the second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outside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with the euro caps included in the second euro cap plate.
9 is a view of the first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inside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with the euro caps included in the first euro cap plate.
10 is a view of the heat exchanger unit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first connection euro cap plate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of a partial area of a second main general side plate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outside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with euro caps included in a second connecting euro cap plate; am.
13 is a view of the first main general side plate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inside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together with the euro caps included in the first connecting euro cap plate.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nsible heat flow path and a latent heat flow path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w path cap plate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each pipe.
1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nd a condensing boil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ide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nd a condensing boil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lan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rality of downstream fins and condensate located between th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general side plate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euro caps included in the second euro cap plate.
27 is a view showing the first general side plate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euro caps included in the first euro cap plate.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flow path included in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connection euro cap plates are separated in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front view of a condensing boil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side view of a condensing boil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a longitudinal section of a condensing boil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adapter is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flow path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adapter is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combustion chamber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flow path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exchanger for a condensing boil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mbustion chamb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heat exchanger for a condensing boiler and a combustion chamber are couple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n upside-down and enlarged view of a portion where a combustion chamber flange and a heat exchanger flange are located among cross-sections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2 shows a portion where a combustion chamber flange and a heat exchanger flange are located in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area where the packing bracket and the side plate packing are located upside down.
4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area where a protection bracket is located upside down.
45 is a front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is a side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adapter and an adjacent region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8 is a front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9 is a side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lbow pipe and an adjacent region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콘덴싱 보일러를 구성하는 버너, 열교환기 및 연소실의 배치 방법으로, 가장 하측에 위치한 버너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드라이 타입의 단열재에 의해 둘러싸인 연소실, 핀튜브(fin-tube) 타입의 현열 열교환기 및 플레이트(plate) 타입의 잠열 열교환기를 배열하여 콘덴싱 보일러를 구성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콘덴싱 보일러를 상향식 보일러로 지칭하는데, 상향식 보일러의 경우 잠열 열교환기에서 연소가스의 응축으로 인해 발생한 응축수가 낙하하여 현열 열교환기 및 연소실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현열 열교환기와, 연소실을 둘러싼 드라이 타입의 단열재가, 산도가 높은 응축수에 의해 손쉽게 부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열교환기를 서로 연결하므로, 연결부품이 추가로 발생해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As a method of arranging a burner, a heat exchanger, and a combustion chamber constituting a condensing boiler, a combustion chamber surrounded by a dry type insulation material, a fin-tube type sensible heat exchanger, and a plate ( A method of configuring a condensing boiler by arranging a plate) type latent heat exchanger may be considered. Such a condensing boiler is referred to as a bottom-up boiler. In the case of a bottom-up boiler, condensate generated due to condensation of combustion gas in a latent heat exchanger may fall and be located in a sensible heat exchanger and a combustion chamb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nsible heat exchanger and the dry type insulator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are easily corroded by condensate having a high acidity. In addition, since different types of heat exchang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costs increase due to additional connection parts.

응축수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상측에 위치한 버너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단열배관에 의해 둘러싸여 단열이 이루어지는 연소실, 핀튜브 타입의 현열 열교환기 및 플레이트 타입의 잠열 열교환기를 배열하여 콘덴싱 보일러를 구성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하향식 보일러로 지칭한다. 이러한 경우 잠열 열교환기가 가장 하측에 위치하므로, 응축수는 바로 응축수 받이 등을 통해 배출되어 현열 열교환기나 연소실에 도달하지 않아, 부식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다만 연소실 냉각을 위해 사용된 단열배관을 포함한 많은 부품이 사용되고, 그로 인해 조립 공수가 비대해져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열교환기를 서로 연결하므로, 연결부품이 추가로 발생해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condensate, a condensing boiler is formed by arranging a combustion chamber surrounded by an insulating pipe and insulated, a fin tube type sensible heat exchanger and a plate type latent heat heat exchanger from the burner located at the top to the bottom. can think of a way This is referred to as a down boiler. In this case, since the latent heat exchanger is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the condensate is directly discharged through the condensate receiver and does not reach the sensible heat exchanger or the combustion chamber,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corros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y parts, including the insulation pipe used for cooling the combustion chamber, are used,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increase in assembly man-hours. In addition, since different types of heat exchang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costs increase due to additional connection parts.

도 1은 예시적인 열교환기 유닛의 일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하향식 보일러를 사용하되, 연소실(102)과 현열 열교환기(103)를 단열재(101)로 둘러싸서 드라이(Dry) 타입으로 단열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연소실(102)에 사용된 드라이 타입의 단열재가 현열 열교환기(103) 영역에서 나오는 열의 단열을 위해 배치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현열 열교환기(103)와, 연소반응을 통해 발생한 화염과, 연소가스에서 발생하는 열이 과도하여 단열재(101)가 손상되고 내구도가 감소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열 열교환기(103)와 인접한 위치에서는 연소실(102)에 비해 응축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도면과 같이 연소실(102)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다다르는 위치보다 더 하류측까지 단열재(101)가 연장될 경우, 드라이 타입의 단열재(101)에 응축수가 닿아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exemplary heat exchanger unit. As shown in FIG. 1, a method of insulating the combustion chamber 102 and the sensible heat exchanger 103 with an insulator 101 while using a down-type boiler may be considered. That is, a case where the dry type heat insulating material us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2 is disposed to insulate heat from the region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103 can be considered.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sensible heat exchanger 103, the flame generated through the combustion reaction, and the combustion gas is excessive, which damage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01 and reduces durability. In addition, since condensate is more likely to occur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103 than in the combustion chamber 102, the heat insulator 101 extends further downstream than the location where the combustion chamber 102 extends downward as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condensate may contact the dry type insulator 101 and damage may occur.

제1 실시예Example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1)의 측면도이다.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nd a condensing boiler 1 using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nd a condensing boiler 1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은, 현열 열교환기(30)와, 잠열 열교환기(40)와, 현열 단열배관(34)을 포함한다. 열교환기 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구성요소들은,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ble heat exchanger 30, a latent heat exchanger 40, and a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r unit may be fixed in positions as shown.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을 포함하는 콘덴싱 보일러(1)는, 연소실(20)과, 버너(11)를 포함하는 버너조립체(10)를 포함한다.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따라 버너조립체(10)와 열교환기 유닛이 순서대로 배치되고, 열교환기 유닛의 내에서는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소실(20), 현열 열교환기(30), 잠열 열교환기(40) 및 현열 열교환기(30)와 같이 배치된 현열 단열배관(34)의 순서로 구성요소가 배열되어 있으므로, 상술된 배열 순서대로 콘덴싱 보일러(1)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condensing boiler 1 including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rner assembly 10 including a combustion chamber 20 and a burner 11 . The burner assembly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and the combustion chamber 20,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within the heat exchanger unit. Since the component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arranged lik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40 and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the components of the condensing boiler 1 will b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order of arrangemen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1)는, 연소가스가 연직하방으로 유동하는 하향식의 콘덴싱 보일러(1)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된다. 따라서 화살표로 표시된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은 콘덴싱 보일러(1)가 설치된 위치에서의 연직하방과 동일할 수 있다. 하향식의 콘덴싱 보일러(1)를 선택함에 따라, 연소가스가 응축하여 발생하는 응축수가 콘덴싱 보일러(1)의 가장 하측에서만 생성되어 바로 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콘덴싱 보일러(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된 연소가스가 대류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난방수의 경로를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형성할 수 있는, 상향식의 콘덴싱 보일러에 본 발명의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heat exchanger unit and the condensing boiler 1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top-down condensing boiler 1 in which combustion gas flows vertically downward. Therefore,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indicated by the arrow may be the same as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ocation where the condensing boiler 1 is installed. As the top-down condensing boiler 1 is selected,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condensing combustion gas can be generated only at the bottom of the condensing boiler 1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Accordingly, corrosion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ndensing boiler 1 can be prevented.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used in a bottom-up condensing boiler in which a path of heating water can be formed downward naturally by using the property that heated combustion gas moves upward by convec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1)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따라 가장 하류에, 응축수 받이(55)를 배치하여, 잠열 열교환기(40)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가 자중에 의해 연직하방으로 낙하할 경우 이를 수집할 수 있다. 응축수 받이(55)는 수집한 응축수가 연직하방으로 연장된 응축수 배출구(5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응축수 배출구(53)를 향해 경사진 내측면을 가질 수 있다.In the condensing boil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ate receiver 55 is disposed most downstream along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so tha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If it falls vertically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it can be collected. The condensate receiver 55 may have an inner surface inclined toward the condensate outlet 53 so that the collected condensat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condensate outlet 53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또한 응축수 배출과 동시에 잔여 연소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 덕트(52)가 응축수 받이(55)와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기 덕트(52)는 연직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잔여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In addition, the exhaust duct 52 may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densate receiver 55 so that the remaining combustion gas can be discharged simultaneously with the condensate discharge. Exhaust duct 52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upward, thereby discharging residual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버너조립체(10)Burner assembly (10)

버너조립체(10)는 열을 발산하는 버너(11)를 포함하여, 연료와 공기를 주입받아 연소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연소가스를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burner assembly 10 includes a burner 11 for dissipating heat, and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combustion gas by receiving fuel and air to cause a combustion reac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1)에 사용되는 버너조립체(10)로서, 프리믹스(premix) 버너가 사용될 수 있다. 프리믹스 타입의 버너는, 공기와 연료를 주입받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발산하는 열을 이용해 혼합된 공기와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연소가스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작용을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조립체(10)는 연료와 공기를 주입받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연소반응을 위한 혼합연료를 마련하는 공간인 믹스 챔버(12)와, 상기 믹스 챔버(12)가 혼합한 혼합연료에 열을 가하는 버너(1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반응에 적합한 비율로 혼합된 공기와 연료를 가열해 연소반응을 일으켜 최적의 연료효율 및 열효율을 얻도록 이와 같은 구조의 버너조립체(10)가 제공된다. As the burner assembly 10 used in the condensing boil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mix burner may be used. A burner of the premix type is a device that generates combustion gas by receiving air and fuel, mixing them in a predetermined ratio, and burning the mixed air and fuel using the heat generated. For this function, the burn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x chamber 12, which is a space in which fuel and air are injected and mixed in a predetermined ratio to prepare mixed fuel for a combustion reaction; The burner 11 for applying heat to the mixed fuel mixed in the mix chamber 12 may be included. The burner assembly 10 having such a structure is provided to obtain optimum fuel efficiency and thermal efficiency by heating air and fuel mixed at a ratio suitable for the combustion reaction to cause a combustion reaction.

믹스 챔버(12)에 공기를 공급하고, 버너조립체(1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연직하방으로 송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콘덴싱 보일러(1)는 송풍기(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송풍기(54)는 믹스 챔버(12)와 연결되어 믹스 챔버(12)의 연직 하방에 연결된 버너조립체(10)를 향해 공기를 압송할 수 있도록,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supply air to the mix chamber 12 and send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assembly 10 vertically downward, the condensing boil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54 . The blower 54 may include a pump so as to pressurize air toward the burner assembly 10 that is connected to the mix chamber 12 and is connected vertically below the mix chamber 12 .

연소실(20)combustion chamber(20)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실(20)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도 2 및 도 3과 같이 참조하여 연소실(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소실(20)은 버너조립체(10)에 의한 연소반응이 발생시키는 화염이 위치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내부공간(22)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연소실(20)은 내부공간(22)을 측벽으로 둘러싸서 형성된다.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기준으로 내부공간(22)의 상류측에 버너조립체(10)의 버너(11)가 위치하도록 버너조립체(10)와 연소실(20)이 결합된다. The combustion chamber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combustion chamber 20 is a component including an internal space 22 provided so that a flame generated by a combustion reaction by the burner assembly 10 can be located. Therefore, the combustion chamber 20 is formed by surrounding the inner space 22 with a side wall. The burner assembly 10 and the combustion chamber 20 are coupled so that the burner 11 of the burner assembly 10 is located upstream of the internal space 22 based on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버너조립체(10)는 공기와 연료에 열을 가하여 연소반응을 일으킨다. 연소반응의 산물로 열에너지를 동반하는 화염과 연소가스가 생성된다. 화염은 연소실(20)의 내부공간(22)에 위치하되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을 따라 버너조립체(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소가스는 내부공간(22)을 통해 유동한다.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소실(20)의 내부공간(22)이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은 연직하방이므로, 연소실(20)의 내부공간(22)은 연직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된다. The burner assembly 10 causes a combustion reaction by applying heat to air and fuel. As a product of the combustion reaction, flames and combustion gases accompanied by thermal energy are produced. The flame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22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burner assembly 10 along the flow direction D of the combustion gas. Combustion gas flows through the interior space (22). The internal space 22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may communicat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is vertically downward, the internal space 22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is formed to communi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연소실(20)을 구성하는 연소실의 측벽(21)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연소실 단열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연소실의 측벽(21)은 서로 나란한 2개의 일반측판(211)과, 일반측판(211)에 직교하고 서로 나란한 2개의 단열측판(212)으로 구성되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단열측판(212)의 내측에는 연소실 단열부(24)가 배치될 수 있다. 연소실 단열부(24)는 열유동을 차단하는 단열재로 구성되어,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열이 연소실(20)의 내측면을 통해 연소실(20)의 외부 영역으로 전달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연소실 단열부(24)에 의해, 연소실(20)의 내부공간(22)으로부터 연소실(20)의 외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저감 할 수 있다. 단열재의 일 예로 열유동을 감소시키는 다공성의 폴리스티렌(polystyrene) 패널 또는 무기질인 실리카 재질의 니들 매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단열재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art 24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 21 of the combustion chamber constituting the combustion chamber 20 . The side wall 21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composed of two general side plates 211 parallel to each other and two insulating side plates 212 orthogonal to and parallel to the general side plates 211,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mong them, a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unit 24 may be disposed inside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 212 .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unit 24 is compos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at blocks heat flow,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transferred to the outer reg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can be reduced. .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internal space 22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to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can be reduced by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unit 24 . As an example of the insulator, a porous polystyrene panel that reduces heat flow or a needle mat made of inorganic silica may be used, but the type of insulator is not limited thereto.

그러나 연소실(20)의 일반측판(211)에도 연소실 단열부(24)가 배치되어, 연소실(20)의 내부공간(22) 전체를 단열재로 둘러싸 추가적인 단열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However,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art 24 is also disposed on the general side plate 211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entire inner space 22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is surrounded by a heat insulating material, so that an additional insulation effect may be obtained.

본 발명의 열교환기 유닛은 하향식으로 구성될 수 있어, 연소실(20)에서는 응축수의 응축이 일어나지 않아 부식의 위험성이 없다. 따라서 단열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단열재를 연소실 단열부(24)를 구성하는 소재로 사용하는 드라이 타입의 연소실(20)을 구성할 수 있다.Since the heat exchang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a top-down manner, condensation of condensate does not occur in the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re is no risk of corros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dry type combustion chamber 20 using a relatively inexpensive heat insulating material as a material constituting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ng part 24 compared to the heat insulating pipe.

연소실 단열부(24)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기준으로, 후술할 현열 열교환기(30)를 둘러싸지 않고, 연소실(20)의 내부공간(22)만을 둘러싸도록 그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연소실 단열부(24)는, 후술할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의 내측에 위치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단열재(101)가 배치될 경우, 단열재(101)가 과도한 열과 응축수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2와 같이 연소실 단열부(24)가 배치됨으로써, 현열 열교환기(30)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열이 연소실 단열부(24)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The length of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art 24 may be determined so as to surround only the internal space 22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without surrounding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to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there is. That is,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unit 24 may be provided not located insid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when the insulator 101 is disposed as shown in FIG. 1, the insulator 101 may be damaged by excessive heat and condensate, bu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or 24 is disposed as shown in FIG. , Excessive heat generat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may not be transferred to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24.

현열 열교환기(30)Sensible Heat Exchanger(30)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현열 열교환기(30)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 중 현열 열교환배관(32)과 현열 핀(33)이 배치된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plan view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egion where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and the sensible heat fin 33 are disposed.

도 2,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현열 열교환기(30)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5 and 6.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기준으로, 연소실(20)보다 하류에 현열 열교환기(30)가 배치된다. 현열 열교환기(30)는 현열 열교환기(30)보다 상부에 위치한 버너조립체(10)가 연소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현열을 복사열과 연소가스의 대류에 의해 전달받아, 현열 열교환기(30)의 내부에서 흐르는 난방수를 가열하는 구성요소이다. A sensible heat exchanger 30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based on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receives the sensibl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of the burner assembly 10 located abov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by convection of radiant heat and combustion gas, so that the insid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It is a component that heats the heating water flowing from the

현열 열교환기(30)는 구체적으로, 내부를 통해 난방수가 흐르며, 연소가스가 주변에서 흐르는 현열 열교환배관(32)을 포함하고, 현열 열교환배관(32)의 양 단부가 끼워지는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를 포함한다.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 내부에 현열 열교환배관(32)이 위치하고, 연소가스가 현열 열교환배관(32) 주변에서 유동하여, 연소가스와 난방수가 간접적으로 열교환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includes a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through which heating water flows and combustion gas flows around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and both ends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are inserted in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 31). A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is located insid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 and combustion gas flows around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so that the combustion gas and the heating water indirectly exchange heat.

현열 열교환배관(32)은, 상기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소정 방향(D2)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소정 방향(D2)은, 바람직하게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에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현열 열교환배관(32)은, 상기 일 방향과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라 각각 서로 이격되어 나열된 복수의 직선부(321, 322, 323, 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extend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in a space formed insid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 .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may be, preferably,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aight parts 321, 322, 323, 32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n orthogon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and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can

복수의 직선부(321, 322, 323, 324)가 나열되고, 후술할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의 현열 일반측판(311)에 형성된 삽입 구멍들에 삽입된 각 직선부(321, 322, 323, 324)들의 단부를 연통해주는 후술할 유로캡 플레이트(361, 362)가 존재하여, 직선부(321, 322, 323, 324)의 집합이 하나의 현열 열교환배관(32)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불구불한 난방수의 연속된 유로를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배치를 통해 형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321, 322, 323, and 324 are arranged, and each straight portion 321, 322, and 323 inserted into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 to be described later. There are euro cap plates 361 and 36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ch communicate the ends of the , 324, so that a set of straight parts 321, 322, 323, and 324 form on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Therefore, a continuous flow path of meandering heating water can be form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

예를 들어 도 5의 직선부(321, 322, 323, 324)들이 직렬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생각해보면,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난방수가 유입되어, 현열 열교환배관(32)이 포함하는 제1 외측 직선부(321)를 따라 도면상 우측으로 흐르고, 제1 외측 직선부(321)의 도면상 하측에 위치하는 중간 직선부(323)를 따라 도면상 좌측으로 흐르며, 토출단계에 이르러서는 도면상 제2 외측 직선부(322)의 상방에 위치하는 중간 직선부(324)를 따라 도면상 우측으로 흐르고, 제2 외측 직선부(322)를 따라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해서 배출되는 방식으로, 난방수가 현열 열교환배관(32) 내부를 지나가면서 연소가스 및 버너조립체(10)의 현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For example, considering the case where the straight parts 321, 322, 323, and 324 of FIG. 5 are connected in series, heating water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1 Flows to the right in the drawing along the outer straight portion 321, flows to the left in the drawing along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3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on the drawing, and reaches the discharge stage In such a way that it flows to the right in the drawing along the middle straight portion 324 located above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moves to the left in the drawing along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and is discharged, heating As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 the combustion gas and the sensible heat of the burner assembly 10 are transferred and heated.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내부에는, 난방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난방수의 흐름을 난류화하는 형상을 가지는 터뷸레이터(turbulator, 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Inside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a turbulator (not shown) having a shape for turbulizing the flow of heating water by obstructing the flow of heating water may be disposed.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는, 소정 방향(D2)으로 이격되어 서로 나란한 2개의 일반측판 부분과, 소정 방향(D2)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서로 나란한 2개의 단열측판 부분으로 구성되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측판 부분과 단열측판 부분은, 서로 별물인 일반측판과 단열측판일 수도 있고, 각각 일체형의 열교환기 케이스의 측판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일반측판 부분과 단열측판 부분이, 서로 별물인 일반측판과 단열측판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 is composed of two general side plate parts spaced apar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wo insulating side plate parts spaced apart an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general side plate portion and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portion may be separate ordinary side plates and heat insulating side plates, or may be partial regions of the side plate of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case.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general side plate part and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part are composed of separate ordinary side plates and insulating side plates will be mainly described.

현열 일반측판(311)과 현열 단열측판(312)이 함께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의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현열 단열측판(312)이란, 외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감소시켜 단열을 달성하는 측판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현열 단열배관(34)이 인접하게 배치되는 측판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The sensible heat common side plate 311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side plate 312 together form an inner space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case 31 . Here,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does not mean a side plate that achieves insulation 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to the outside, but is used in the sense of a side plate to which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disposed adjacently.

현열 일반측판(311)은 소정 방향(D2)을 따라 이격된 제1 현열 일반측판(3111)과 제2 현열 일반측판(3112)을 포함하고, 각각에는 현열 열교환배관(32)을 구성하는 직선부(321, 322, 323, 324)들의 양단이 각각 끼워져서, 결과적으로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 내부에 직선부(321, 322, 323, 324)들이 수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여, 연소실(20)로부터 후술할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41)로 이동한다.The sensible heat common side plate 311 includes a first sensible heat common side plate 3111 and a second sensible heat common side plate 3112 spaced apart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each of which has a straight portion constituting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Both ends of (321, 322, 323, and 324) are inserted, respectively, and as a result, the straight parts (321, 322, 323, and 324)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 Combustion gas flows in a space formed insid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 and moves from the combustion chamber 20 to a latent heat exchanger case 41 to be described later.

현열 열교환기(30)에 인접하여 현열 단열배관(34)이 배치될 수 있다. 현열 단열배관(34)은, 내부를 통해 난방수가 유동함으로써 현열 열교환기(30)를 단열하기 위해 배치되는 파이프형의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단열이란, 열이 전달되는 것을 막는 것으로, 어떠한 위치에 열을 가두는 것과, 외부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열량이 전보다 감소하도록, 어떠한 위치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열량을 흡수하는 것을 모두 아우르는 의미이다. 이러한 단열의 의미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3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a pipe-like component disposed to insulat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by flowing heating water therethrough. Insulation here refers to preventing heat from being transferred, and encompasses both confining heat in a certain location and absorbing the amount of heat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a certain location so that the amount of heat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less than before. The meaning of this insula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cations thereof.

구체적으로, 현열 단열측판(312)의 외측면과 인접하게 현열 단열배관(34)이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현열 단열측판(312) 중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 각각 인접하게 현열 단열배관(34)이 배치될 수 있다. 현열 단열측판(312)의 외측면과 현열 단열배관(34)이 접촉하도록 현열 단열배관(34)이 배치될 수도 있고, 현열 단열측판(312)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현열 단열배관(34)이 배치될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 A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e or the other of the two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s 312, respectively.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may be arrang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come into contact, or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 may be placed.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에서는 제1 현열 단열배관(341)과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이 서로 이격되어 각각 현열 단열측판(312)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도 5에서는 마치 현열 단열측판(312)의 내측에 현열 단열배관(34)이 위치하는 것처럼 표시되었으나, 이는 현열 단열측판(312)이 현열 단열배관(34)보다 현열 열교환기(30)의 내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현열 단열배관(34)을 가리고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현열 단열배관(34)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5에서 현열 단열배관(34)으로 표시된 영역에는, 실제론 현열 단열측판(312)에 의해 덮여 있는 현열 단열배관(34)이 위치하여, 평면도상에서 현열 단열배관(34)이 드러나지 않는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and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respectively. are placed according to In FIG. 5, it is shown as i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located inside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but this is because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is located inside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0 rather than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Since it covers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at the same time as being located, the location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refore, in the area indicated by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n FIG. 5,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actually covered by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is located,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not exposed in a plan view.

따라서 현열 단열배관(34)은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현열 단열배관(34)은 연소가스와 교차하거나 만나지 않을 수 있다. 현열 단열배관(34)은 연소가스와 난방수의 열교환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난방수를 이용해 현열 열교환기(30)로부터 외부로 열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located outside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case 31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passes,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may not intersect or meet the combustion gas.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not used for heat exchange between combustion gas and heating water, but can perform only an insulation function of blocking heat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to the outside using heating water.

현열 단열배관(34)은 연소실(20)과 접촉하지 않고, 연소실(20)로부터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현열 단열배관(34)은 연소실(20)의 단열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현열 열교환기(30)의 단열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mbustion chamber 20 along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without contacting the combustion chamber 20 . Therefore,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not used for insula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but can be used only for insulation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현열 단열배관(34)은, 현열 열교환배관(32)과 함께 난방수가 유동하는 현열유로를 형성한다.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together with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forms a sensible heat passage through which heating water flows.

상기 현열 단열배관(34)의 내부공간의 형상은, 도 2 및 도 6과 같이 현열 단열배관(34)이 연장된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현열 단열배관(34)을 자른 단면상에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열 단열배관(34)의 내부공간이,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과 나란한 장축을 가지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6,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on a cross section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cut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extends. It can be. Specifically, the inner space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long axis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현열 단열배관(34)은 현열 열교환기(30)의 현열 단열측판(312)과 인접하게 위치하되,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후술할 잠열 열교환기(40) 보다는 연소실(20)에 인접한 위치에 현열 단열배관(34)이 배치될 수 있다. 연소실(20)에서 버너조립체(10)에 의해 발생하는 화염이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기준으로 연소실(20)의 하류측까지 닿을 수 있으므로, 현열 열교환기(30)의 상류측이, 연소실(20)과 맞닿으며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현열 단열배관(34)을 현열 열교환기(30)의 상류측과 인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현열 열교환기(30)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온도차가 가장 크게 발생하여 많은 양의 열이 발산될 수 있는 현열 열교환기(30)의 상류측을 단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열 단열배관(34)이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다.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but may be disposed upstream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That is,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20 rather than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to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flame generated by the burner assembly 10 in the combustion chamber 20 can reach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based on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the upstream sid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mbustion chamber 20 and may have the highest temperature. Therefore, by arranging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the largest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occurs, so that a large amount of heat can be dissipated. The upstream sid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can be insulated. However,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현열 열교환기(30)는, 현열 열교환배관(32)의 열전도도를 높일 수 있는 현열 핀(33)을 더 포함하여, 핀튜브 형태의 현열 열교환기(30)를 구성할 수 있다. 현열 핀(33)은, 현열 열교환배관(32)이 연장된 방향에 직교하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현열 열교환배관(32)에 의해 관통된다. 현열 핀(33)은 복수로 구성되어, 현열 열교환배관(32)이 연장된 소정 방향(D2)을 따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현열 열교환배관(32)과 현열 핀(33)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현열 핀(33)이 현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현열 열교환배관(32)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현열을 난방수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may further include sensible heat fins 33 capable of increas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so as to configur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in the form of a fin tube. The sensible heat fin 33 is formed in a plate shape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extends, and is penetrated by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 The sensible heat fins 33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in which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extends.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and the sensible heat fin 33 are formed of a met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so that the sensible heat fin 33 increases the surface area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to receive sensible heat, thereby allowing more sensible heat to be heated. It can be transmitted as a number.

현열 열교환배관(32)이 연장된 소정 방향(D2)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현열 열교환배관(32)을 자른 단면에서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내부공간의 형태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따라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열 열교환배관(32)은,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기준으로 한 상기 단면에서의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내부공간의 길이를,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에 수직한 방향에 따른 폭으로 나눈 값이 2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납작한 장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shap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in a cross section cut through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by a plane orthogonal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in which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extends is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extending along. As can be seen in FIG. 6,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ength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in the cross section based on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It is formed such that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 by a width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is 2 or more, and may have a shape of a flat long hole.

이러한 형상의 플랫(flat) 타입 배관을 현열 열교환배관(32)에 도입함으로써, 원형이나 타원형과 같은 다른 형상의 배관이 현열 열교환배관(32)에 도입될 경우와 비교하여, 난방수가 같은 길이의 현열 열교환배관(32)을 따라 흘러도 연소가스와의 관계에서 더 넓은 열교환면적을 가지게 되어 더 많은 열량을 전달받아,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By introducing a flat type pipe of this shape into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compared to the case where a pipe of a different shape such as a circular or oval shape is introduced into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the heating water has the same length of sensible heat. Even if it flows along the heat exchange pipe 32, it has a wider heat exchange area in relation to the combustion gas, so it can receive more heat and be sufficiently heated.

현열 핀(33)에는 현열 열교환배관(3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관통홀의 면적은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면적과 같거나 다소 작게 형성되어, 현열 열교환배관(32)이 단단하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현열 핀(33)은 현열 열교환배관(32)과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can pass may be formed in the sensible heat fin 33, and the area of the through hole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so that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 32) can be tightly fitted. In addition, the sensible heat fin 33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through brazing welding.

다만 현열 단열배관(34)의 경우, 현열 핀(33)과 결합되지 않는다. 현열 단열배관(34)은 현열 핀(33)과 체결되지 않고, 현열 단열측판(312)을 사이에 두고 현열 단열배관(34)과 현열 핀(33)이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현열 핀(33)과 현열 단열배관(34) 각각이 현열 단열측판(312)에 접촉할 수는 있으나, 현열 핀(33)과 현열 단열배관(34)이 직접 접촉하지는 않는다. 현열 단열배관(34)은 상술한 것과 같이 연소가스와 난방수의 열교환을 위해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현열 열교환기(30)의 단열을 위해서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현열 핀(33)과 현열 단열배관(34)이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현열 핀(33)과 현열 단열배관(34)은 서로 교차하지 않게 배치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t is not coupled to the sensible heat fin 33.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not fastened to the sensible heat fin 33,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fin 33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with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interposed therebetween. Each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fins 33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may contact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but the sensible heat fin 33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do not directly contact each other. Since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s not disposed for heat exchange between combustion gas and heating water as described above, but for insulation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the sensible heat fin 33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 34)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sensible heat fins 33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are disposed so as not to cross each other.

현열 핀(33)에는, 현열 열교환배관(32)이 연장된 소정 방향(D2)을 따라 관통된 루버(louver)홀(3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루버홀(331)은 펀칭을 통해 형성되어 그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버링을 포함하여, 연소가스가 유동할 때 버링에 의해 가로막혀 현열 열교환배관(32)의 주위로 흘러, 연소가스와 난방수 사이의 열교환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A louver hole 331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ensible heat fin 33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in which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extends. The louver hole 331 is formed through punching and includes a burring protruding along its circumference, so that when the combustion gas flows, it is blocked by the burring and flows around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combustion gas and the heating water. It is a component that makes the heat exchange of the better.

루버홀(331)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루버홀(3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현열 핀(33)의 가장 외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루버홀(3311)과, 서로 인접한 현열 열교환배관(32)들의 사이에,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루버홀(331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루버홀(331)은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Louver hole 33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s shown in FIG. 6, the louver holes 331 are formed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and a plurality of first louver holes 3311 formed at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sensible heat fins 33 And, between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s 32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second louver holes 3312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may be included. Each of the louver holes 33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현열 핀(33)은 골(334)과 돌출부(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열 핀(33)은 기본적으로 현열 열교환배관(32)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기준으로 현열 열교환배관(32)의 상류측 단부의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폭만큼의 영역을,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나머지 영역과 구별되게 에워쌀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현열 열교환배관(32)의 상류측 단부들 사이에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따라 파인 골(334)이 현열 핀(33)에 형성될 수 있다. 현열 열교환배관(32)의 상류측 단부와 인접한 현열 핀(33)의 영역은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돌출부(333)가 된다. 불필요한 영역을 골(334)을 형성하여 개방함으로써, 연소가스가 현열 핀(33)과 현열 열교환배관(32) 사이에서 보다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한다. The sensible heat fin 33 may further include valleys 334 and protrusions 333 . The sensible heat fin 33 is basically formed to surround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and an area of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rim of the upstream end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based on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It can surround the sensible heat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rest of the heat exchange pipe 32. Accordingly, a valley 334 may be formed in the sensible heat fin 33 between the upstream ends of the adjacent sensible heat exchange pipes 32 along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Since the region of the sensible heat fin 33 adjacent to the upstream end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protrudes relatively, it becomes the protrusion 333. By forming valleys 334 to open unnecessary areas, the combustion gas can flow more freely between the sensible heat fins 33 and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

현열 핀(33)은 오목부(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332)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기준으로 현열 핀(33)의 하류측 모서리로부터 현열 열교환배관(32)의 하류측 단부를 향해서 파여 형성된다. 오목부(332)의 형성 목적 역시 골(334)의 형성 목적과 유사하다. The sensible heat fin 33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 portion 332 . The concave portion 332 is formed by digging from the downstream edge of the sensible heat fin 33 toward the downstream end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based on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The purpose of forming the concave portion 332 is also similar to the purpose of forming the valley 334 .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현열 열교환배관(62), 현열 단열배관(64)과 현열 핀(63)의 형태는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 중 현열 열교환배관(62)과 현열 핀(63)이 배치된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hapes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62,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64, and the sensible heat fin 63 may be modified. FIG.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egion where a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62 and a sensible heat fin 63 are disposed.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현열 단열배관(64)은, 도시된 현열 열교환배관(62)의 단면이 연장된 방향 중 일 방향인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현열 열교환기(60)의 상류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현열 단열배관(64)이 연장된 방향인 소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잘랐을 때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현열 단열배관(64)이 도 6에서와 달리 단열측판(65)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제1 실시예와 달리 도 7의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서, 현열 열교환배관(62)은 6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64 is a sensible heat exchanger 60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which is one of the directions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shown sensible heat exchange pipe 62 extends. I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64, and when cut into a plane orthogonal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64 extends, its cross sect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addition,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6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ide plate 65 unlike in FIG. 6 . Unlike the first embodiment of FIG. 6 , in one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7 , six sensible heat exchange pipes 62 may be configured,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현열 핀(63)의 제1 루버홀(6311)은 제2 루버홀(6312)과 같이, 연소가스의 유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루버홀(631)의 형태는 이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louver hole 6311 of the sensible heat fin 63, like the second louver hole 6312,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 The shape of the louver hole 631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addition to this.

다시 도 2, 도 3, 도 5,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열 열교환기(30)의 유로캡 플레이트(361, 36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현열 일반측판(3112)을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2)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소정 방향(D2)을 따라 외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1 현열 일반측판(3111)을 제1 유로캡 플레이트(361)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소정 방향(D2)을 따라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Again referring to FIGS. 2, 3, 5, 6, 8 and 9, the flow cap plates 361 and 362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8 is a view of the second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outside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along with the euro caps included in the second euro cap plate 362. 9 shows the first sensible heat normal side plate 3111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first euro cap plate 361 including the euro caps from the inside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This is the drawing I was looking at.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9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도 29의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로부터 제2 메인 일반측판(5112)과 그에 결합된 배관들(32, 42, 341, 342)을 H-H' 선을 따라 바라본 모습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현열 일반측판(3112)과 현열 열교환배관(32)의 직선부(321, 322, 323, 324), 현열 단열배관(341, 342)의 모습에,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2)의 유로캡(3621, 3622, 3623)들을 점선으로 도시한 것이다. 동일한 방법으로 도 9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9의 G-G'선을 따라 제1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가 끼워지는 제1 메인 일반측판(5111)을 바라본 모습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현열 일반측판(3111)과 현열 열교환배관(32)의 직선부(321, 322, 323, 324), 현열 단열배관(341, 342)의 모습에, 제1 유로캡 플레이트(361)의 유로캡(3611, 3612)들을 점선으로 도시한 것이다.8 is described using FIG. 29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ain general side plate 5112 from 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of FIG. 29 and coupled thereto The second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2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aight portion 321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corresponding to the view of the pipes 32, 42, 341, and 342 along the H-H' line. , 322, 323, 324), the euro caps 3621, 3622, and 3623 of the second euro cap plate 362 are shown as dotted lines in the form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s 341 and 342. Referring to FIG. 9 in the same way, the first main general side plate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ng euro cap plate 71 is inserted along line G-G' in FIG. 29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view looking at 5111, the straight parts 321, 322, 323, 324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342), the euro caps 3611 and 3612 of the first euro cap plate 361 are shown as dotted lines.

열교환기 유닛은, 현열 단열배관(34)과 현열 단열배관(34)에 인접한 상기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단부를 연통하거나, 복수의 직선부(321, 322, 323, 324) 중 서로 인접한 직선부(321, 322, 323, 324)들을 연통하는 복수의 유로캡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로캡 플레이트(361, 362)를 구비할 수 있다. 유로캡 플레이트(361, 362)는 유로캡들을 포함하여, 서로 이격되어 있는 직선부(321, 322, 323, 324)들을 연통시켜 난방수가 현열 열교환기(30) 내에서 흐르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unit connects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and the end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adjacent to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or connects straight line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321, 322, 323, and 324. A plurality of euro cap plates 361 and 362 including a plurality of euro caps communicating with the parts 321 , 322 , 323 , and 324 may be provided. The euro cap plates 361 and 362 include the euro caps and may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heating water flows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by communicating the spaced apart straight parts 321 , 322 , 323 , and 324 with each other. .

구체적으로,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의 현열 일반측판(311)에는 현열 열교환배관(32)이 포함하는 직선부(321, 322, 323, 324) 및 현열 단열배관(34)들의 양 단부가 끼워지나, 각각의 단부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이다. 현열 열교환배관(32)이 포함하는 각 직선부(321, 322, 323, 324)와 현열 단열배관(34)들은 현열 일반측판(311)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까지 연장되어, 각각의 양측 단부가 현열 일반측판(311)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된다. 유로캡 플레이트(361, 362)가 현열 일반측판(311)을 외측으로부터 덮으면서 현열 일반측판(3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유로캡 플레이트(361, 362)의 유로캡이, 현열 일반측판(311)과 함께 직선부(321, 322, 323, 324)의 단부 및 현열 단열배관(34)의 단부를 에워싸는 연통공간을 형성한다.Specifically, straight portions 321, 322, 323, 324 includ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and both ends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s 34 are inserted into the sensible heat common side plate 311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 However, each end is in an open state without being closed. Each of the straight portions 321, 322, 323, 324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s 34 includ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extend from one of the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s 311 to the other, so that both ends It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 The euro cap plates 361 and 362 are coupled to the sensible heat common side plate 311 while covering the sensible heat common side plate 311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euro caps of the euro cap plates 361 and 362 together with the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 form a communication space surrounding the ends of the straight parts 321, 322, 323, 324 and the end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do.

유로캡 플레이트(361, 362)가 포함하는 유로캡은, 현열 일반측판(311)과 그 내측면 사이에 유체가 유동 가능한 빈 연통공간을 형성한다. 내부에 이러한 연통공간을 가지는 유로캡은, 현열 일반측판(311)에 삽입되는 복수의 직선부(321, 322, 323, 324)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직선부들을 연통하거나, 현열 단열배관(34)과 현열 단열배관(34)에 인접한 직선부를 연통할 수 있다. 유로캡 플레이트(361, 362)는 현열 일반측판(311)에 브레이징 용접되어 결합되거나, 끼움결합될 수 있으나, 그 결합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euro cap included in the euro cap plates 361 and 362 forms an empty communication space in which fluid can flow between the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 and its inner surface. The euro cap having such a communication space inside communicates two adjacent straight parts among a plurality of straight parts 321, 322, 323, 324 inserted into the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 or connects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34 And the straight portion adjacent to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may communicate. The euro cap plates 361 and 362 may be bonded to the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 by brazing or fitted, but the bond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각각의 유로캡들이 동시에 연통하는 직선부(321, 322, 323, 324) 또는 현열 단열배관(34)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내용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 유로캡 플레이트(361, 362)가 포함하는 유로캡의 개수 역시 도시된 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변형이 가능하다.The number of straight parts 321, 322, 323, 324 or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s 34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euro caps at the same time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shown in the drawing. Therefore, the number of eurocaps included in one eurocap plate 361 and 362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content and may be modified.

유로캡은 하나의 배관의 입구와 다른 하나의 배관의 출구가 연통되는 직렬유로를 형성하거나, 연결된 배관의 입구와 출구가 공통되는 병렬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란 난방수가 배관으로 유입되는, 배관의 일단의 개구를 의미하며, 출구란 난방수가 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관의 타단의 개구를 의미한다. 배관은 직선부(321, 322, 323, 324)와 제1, 2 현열 단열유로(341, 342)를 포함한다. 배관을 이용해 직렬유로를 형성하는 경우, 난방수가 천천히 흘러 과열되어 발생할 수 있는 비등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난방수를 빠르게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직렬유로에 병렬유로가 적어도 일부 포함된 경우, 난방수를 압송하는 펌프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flow path cap may form a serial flow path in which the inlet of one pipe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of another pipe, or may form a parallel flow passage in whic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onnected pipes are in common. Here, the inlet means an opening at one end of the pipe through which heating water flows into the pipe, and the outlet means an opening at the other end of the pipe through which heat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pipe. The pipe includes straight portions 321, 322, 323, and 324 and first and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ng passages 341 and 342. In the case of forming a serial flow path using pipes, the heating water can flow rapidly so as to reduce boiling noise that may occur due to overheating due to the slow flow of the heating water.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allel flow passages are included in the serial flow passages, the load of the pump pumping the heating water can be reduced.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단부 중 일단이 위치하고 직교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한 직선부는 제1 외측 직선부(321)로 지칭한다. 제1 외측 직선부(321)와 인접한 현열 단열배관은 제1 현열 단열배관(341)으로 지칭한다. One end of the ends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is located and the outermost straight part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first outer straight part 321 . A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adjacent to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is referred to as a first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341 .

또한 제1 현열 단열배관(341)과 직교 방향에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현열 단열배관을 제2 현열 단열배관(342)으로, 제2 현열 단열배관(342)과 인접한 직선부를 제2 외측 직선부(322)로, 제1 외측 직선부(321)와 제2 외측 직선부(322) 사이에 위치한 직선부를 중간 직선부(323, 324)로 지칭한다.In addition,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o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is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and the straight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is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 the straight parts located between the first outer straight part 321 and the second outer straight part 322 are referred to as intermediate straight parts 323 and 324 .

제1 현열 단열배관(341), 제1 외측 직선부(321), 중간 직선부(323, 324), 제2 외측 직선부(322) 및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은 차례로 연통되어 직렬적으로 연결되는 1개의 현열유로를 형성하거나, 이 중 적어도 일부의 입구와 출구가 공통되는 병렬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중 일 중간 직선부(323)와 다른 중간 직선부(324) 역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s 323 and 324,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and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are sequentially communicated in series. It is possible to form one sensible heat flow path connected to, or form a parallel flow path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inlets and outlets are common. Among them, on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3 and another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4 may also be connected in series.

배관들을 직렬적으로만 연결하여 현열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들 중 서로 인접한 배관들의 입구와 출구를 직렬적으로 연결하여, 제1 현열 단열배관(341)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외측 직선부(321), 인접한 중간 직선부(323), 제2 외측 직선부(322)에 인접한 중간 직선부(324), 제2 외측 직선부(322) 및 제2 현열 단열배관(342)으로 난방수가 전달되는 현열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직렬로만 구성된 현열유로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이 포함하는 현열유로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The sensible heat flow path can be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pipes only in series. For example, by serially connecting inlets and outlets of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ipes,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the adjacent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3, and the first straight heat insulation pipe 341 are sequentially connected. A sensible heat passage through which heating water is delivered to the middle straight portion 324 adjacent to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and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may be formed. The sensible heat flow path configured only in seri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included in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4 .

현열유로는 병렬유로를 일부 포함할 수 있으므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열유로에 대한 설명에서는, 직선부(321, 322, 323, 324) 중 일부가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Since the sensible heat flow path may include a part of the parallel flow path, in the description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some of the straight portions 321, 322, 323, and 324 The case where are connected in parallel will be described.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병렬유로의 구성이 가능하다. 제1 현열 단열배관(341)과 제1 외측 직선부(321)가 병렬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현열 단열배관(342)과 제2 외측 직선부(322)가 병렬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중간 직선부(323, 324)가 병렬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외측 직선부(321)와 중간 직선부(323)가 병렬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외측 직선부(322)와 중간 직선부(324)가 병렬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ollowing parallel flow path configuration is possible.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and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may form a parallel passage, and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and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may form a parallel passage.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s 323 and 324 may form a parallel passage,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and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3 may form a parallel passage, and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 and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4 may form a parallel passage.

또한 상기 병렬유로 중 복수의 병렬유로를 직렬유로와 조합하여 전체 현열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현열 단열배관(341)과 제1 외측 직선부(321)가 병렬유로를 형성할 때, 이에 따른 병렬유로, 중간 직선부(323, 324), 제2 외측 직선부(322) 및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이 차례로 연통되어 하나의 현열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현열 단열배관(342)과 제2 외측 직선부(322)가 병렬유로를 형성할 때, 제1 현열 단열배관(341), 제1 외측 직선부(321), 중간 직선부(323, 324) 및 이에 따른 병렬유로가 차례로 연통되어 하나의 현열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두 부분에서 모두 병렬유로가 형성되는 경우, 각 병렬유로들이 사이에 위치한 중간 직선부(323, 324)와 연통되어 하나의 현열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arallel passages among the parallel passages may be combined with a series passage to form an entire sensible heat passage.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341 and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form a parallel passage, the parallel flow passage,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s 323 and 324, and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form a parallel passage. ) and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are sequentially communicated to form one sensible heat passage. Conversely, when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342 and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form a parallel passage,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341,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3, 324) and the corresponding parallel passages are sequentially communicated to form one sensible heat passage. In addition, when the parallel passages are formed in both of the above-described portions, each parallel passage may communicate with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s 323 and 324 located therebetween to form one sensible heat passage.

현열 열교환기(30)로 난방수가 유입될 때, 병렬유로가 가장 먼저 난방수를 유입받는 경우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제1 외측 직선부(321)와 제1 현열 단열배관(341)은, 병렬로 연통되어 난방수를 같이 유입받고 배출할 수 있다. 난방수 공급구(371)가, 제2 현열 일반측판(3112)를 덮는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2)가 포함하는 유로캡 중 입구 유로캡(3621)에 형성될 수 있다. 난방수 공급구(371)는 난방수를 난방수관으로부터 전달받아 입구 유로캡(3621)에 전달하는 개구인데, 잠열 열교환기(40)에서 배출된 난방수를 전달받음으로써 현열유로와 잠열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When heating water flows in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case where the parallel flow passage receives the heating water first.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and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communicate in parallel to receive and discharge heating water together.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371 may be formed in the inlet euro cap 3621 among the euro caps included in the second euro cap plate 362 covering the second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2 .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371 is an opening that receives heating water from the heating water pipe and transfers it to the inlet flow path cap 3621, and connects the sensible heat flow path and the latent heat flow path by receiving the he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can

입구 유로캡(3621)은, 제1 외측 직선부(321)의 일단과, 상기 제1 외측 직선부(321)의 일단과 인접한 제1 현열 단열배관(341)의 일단을 연통한다. 난방수 공급구(371)를 통해 난방수가 입구 유로캡(3621)으로 공급되면서, 입구 유로캡(3621)에 연통된 제1 외측 직선부(321)의 일단과 제1 현열 단열배관(341)의 일단으로 상기 난방수가 유입되어 유동한다. The inlet flow cap 3621 communicates one end of the first outer straight part 321 and one end of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341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first outer straight part 321 . As heat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nlet flow path cap 3621 through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371, one end of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flow path cap 3621 and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Once the heating water flows in and flows.

난방수는, 제1 외측 직선부(321)와 제1 현열 단열배관(341)을 통과해서, 현열 열교환배관(32)을 기준으로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2)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1 유로캡 플레이트(361)의 제1 유로캡(3611)에 도달한다. 제1 유로캡(3611)은 제1 현열 단열배관(341)의 타단, 제1 외측 직선부(321)의 타단 및 제1 외측 직선부(321)에 인접한 중간 직선부(323)를 연통한다. 따라서 제1 외측 직선부(321)와 제1 현열 단열배관(341)은, 제1 유로캡(3611)에서 상기 인접한 중간 직선부(323)와 직렬로 연통되어, 제1 외측 직선부(321)와 제1 현열 단열배관(341)을 통과한 난방수를 전달받는다. The heating water passes through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and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and the first euro cap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euro cap plate 362 with respect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The first flow cap 3611 of the plate 361 is reached. The first euro cap 3611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the other end of the first outer straight part 321, and the intermediate straight part 323 adjacent to the first outer straight part 321. Therefore, the first outer straight part 321 and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adjacent intermediate straight part 323 in the first flow cap 3611, so that the first outer straight part 321 and the heat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is received.

상기 제1 외측 직선부(321)에 인접한 중간 직선부(323)와, 후술할 제2 외측 직선부(322)와 인접한 중간 직선부(324)는,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2)에 위치한 중간 유로캡(3623)에서 연통되어, 일 중간 직선부(323)로부터 다른 중간 직선부(324)로 난방수를 전달할 수 있다. 중간 유로캡(3623)에서 두 중간 직선부(323, 324)가 난방수 유로의 일부를 직렬로 형성하는 것이다.The middle straight part 323 adjacent to the first outer straight part 321 and the middle straight part 324 adjacent to the second outer straight part 3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euro cap plate 362. It communicates with the euro cap 3623, and heating water can be transferred from one intermediate linear portion 323 to another intermediate linear portion 324. In the middle flow path cap 3623, the two middle straight parts 323 and 324 form part of the heating water flow path in series.

현열 열교환기(30)로부터 난방수가 배출될 때, 병렬의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난방수가 배출되는 현열 단열배관(34)인 제2 현열 단열배관(342)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직선부는 제2 외측 직선부(322)이다. When heat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a case in which it is discharged through a parallel passage will be described. The straight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342, which is the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34 through which the heating water is discharged, is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제2 외측 직선부(322)와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은, 병렬로 연통되어 난방수를 같이 유입받고 배출할 수 있다. 제2 외측 직선부(322)의 일단과, 제2 외측 직선부(322)의 일단에 인접한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의 일단은, 제1 현열 일반측판(3111)을 덮는 제1 유로캡 플레이트(361)가 포함하는 유로캡 중 제2 유로캡(3612)에서, 제2 외측 직선부(322)에 인접한 다른 직선부(324)와 직렬로 연통된다. 따라서 인접한 다른 직선부(324)를 통해서 제2 유로캡(3612)으로 전달된 난방수가, 제2 외측 직선부(322)의 일단 및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의 일단으로 유입된다.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and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communicate in parallel to receive and discharge heating water together. One end of the second outer straight part 322 and one end of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adjacent to one end of the second outer straight part 322 cover the first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1 with a first euro cap. Among the eurocaps included in the plate 361, the second eurocap 3612 communicates with another straight portion 324 adjacent to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in series. Accordingly, the heating water transferred to the second flow path cap 3612 through the other adjacent straight portion 324 is introduced into one end of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and one end of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342 .

상기 난방수는, 제2 외측 직선부(322)와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을 통과해서, 제2 외측 직선부(322)의 타단과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의 타단으로 배출된다. 제2 외측 직선부(322)의 타단과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의 타단은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2)에 형성된 유로캡 중 하나인 출구 유로캡(3622)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출구 유로캡(3622)에 난방수가 위치하게 된다. 출구 유로캡(3622)은 난방수 배출구(372)를 구비하고 있어, 출구 유로캡(3622)으로 토출된 난방수는 난방수 배출구(372)를 통해 배출된다. 난방수관이 가열된 난방수를 난방수 배출구(372)를 통해 전달받아 난방수를 메인 유로로 전달할 수 있다.The heating water passes through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and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and is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 Sinc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ensible thermal insulation pipe 342 communicate with the outlet euro cap 3622, which is one of the euro caps formed on the second euro cap plate 362, the outlet flow path Heating water is located in the cap 3622. The outlet flow cap 3622 has a heating water outlet 372, so the heating water discharged to the outlet euro cap 3622 is discharged through the heating water outlet 372. The heating water pipe may receive heated water through the heating water outlet 372 and deliver the heating water to the main flow path.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의 현열유로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of the first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modifi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잠열 열교환기(40)Latent Heat Exchanger(40)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잠열 열교환기(40)에 대해 설명한다. 잠열 열교환기(40)가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기준으로 현열 열교환기(30)보다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잠열 열교환기(40)는, 연소가스의 상변화시 발생하는 잠열을 전달받아 난방수를 가열한다. 따라서 현열 열교환기(30)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잠열 열교환기(40)에 전달되고, 난방수가 잠열 열교환기(40) 내부에서 흘러 난방수와 연소가스 간에 간접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난다. Referring again to FIGS. 2 and 3 ,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will be described.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may be disposed on a downstream sid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based on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heats the heating water by receiving the latent heat generated during the phase change of the combustion gas. Therefore,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is transferred to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and the heating water flows inside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so that heat exchange occurs indirectly between the heating water and the combustion gas.

잠열 열교환기(40)는 현열 열교환기(30)와 유사하게, 내부를 통해 난방수가 흐르며, 연소가스가 주변에서 흘러 연소가스의 상변화에 의한 잠열을 난방수로 전달할 수 있는 잠열 열교환배관(42)을 포함할 수 있고, 잠열 열교환배관(42)의 양 단부가 끼워지는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41)를 포함할 수 있다. 잠열 열교환배관(42)은 현열 열교환배관(32)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 역시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예외적인 특징은 후술하되 전체적인 설명은 현열 열교환기(30)에 대한 설명에 갈음한다. 다만 잠열 열교환배관(42)의 주변에서는 연소가스의 상변화가 일어나 응축수가 발생하고, 중력에 의해 응축수 받이(55)로 낙하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Similar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has a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in which heating water flows through the inside and combustion gas flows around it to transfer latent heat due to a phase change of the combustion gas to the heating water. ), and a latent heat exchanger case 41 into which both ends of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are fitted. Since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is formed similarly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and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case may also be formed similarly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 the exceptional features will be described later, but the overall description will be given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It replaces the description of the group 30. However, in the vicinity of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a phase change of combustion gas occurs, condensate is generated, and a phenomenon in which condensate water falls to the condensate receiver 55 due to gravity may occur.

잠열 열교환기(40) 역시 현열 열교환기(30)와 같이 핀튜브 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잠열 열교환배관(42)이 연장된 소정 방향(D2)에 직교하는 판형으로 잠열 핀(43)이 형성되고, 잠열 열교환배관(42)에 의해 잠열 핀(43)이 관통된다. 잠열 핀(43)은, 잠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잠열 열전도배관(42)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잠열을 난방수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Lik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may also be a fin-tube type. Therefore, the latent heat fin 43 is formed in a plate shape orthogonal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in which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extends, and the latent heat fin 43 is penetrated by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 The latent heat fin 43 increases the surface area of the latent heat heat conduction pipe 42 that can receive latent heat, so that more latent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heating water.

잠열 핀(43)은 복수로 구성되어, 잠열 열교환배관(42)이 연장된 소정 방향(D2)을 따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잠열 핀(43)이 이격된 간격은, 인접한 잠열 핀(43) 사이에서 형성되는 응축수가 배출되기에 용이한 간격일 수 있다. 응축수가 배출되기에 용이한 간격이란, 잠열 핀(43) 사이에서 형성된 응축수의 무게가, 잠열 핀(43)과 응축수 사이에 작용하는 장력의 연직방향 합력보다 큰 상태에서의 잠열 핀(43)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잠열 핀(43) 사이에서 형성되는 응축수의 높이와,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기에 용이한 잠열 핀(43)의 최소 간격은 서로 반비례하는 관계에 있으므로, 잠열 열교환기(40)로부터 배출시키고자 하는 응축수의 적절한 높이를 선택함으로써, 응축수가 배출되기에 용이한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atent heat fins 43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in which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extends. The interval at which the latent heat fins 43 are spaced apart may be an interval at which condensate formed between adjacent latent heat fins 43 is easily discharged. The distance at which the condensate is easily discharged means that the weight of the condensed water formed between the latent heat fins 43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resultant force of tension acting between the latent heat fins 43 and the condensate between the latent heat fins 43. means interval. Since the height of the condensed water formed between the latent heat fins 43 and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latent heat fins 43 for easy discharge of the condensed water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each other, the condensed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By selecting an appropriate height for the condensat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easy interval for condensate to be discharged.

잠열 핀(43)의 개수는 현열 핀(33)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잠열 핀(43)이 서로 이격된 간격은, 인접한 현열 핀(33)이 서로 이격된 간격에 비해 크거나 같을 수 있다. 현열 핀(33)과 잠열 핀(43)의 개수 및 간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3 실시예에서 후술될 내용에 갈음한다. 잠열 열교환배관(42)이 연장된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잠열 열교환배관(42)의 내부공간의 단면적은, 현열 열교환배관(32)이 연장된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내부공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잠열 열교환배관(42)이 연장된 방향 역시 소정 방향(D2)일 수 있다. 상술한 잠열 핀(43)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게, 잠열 열교환배관(42)의 크기를 현열 열교환배관(32)의 크기보다 작게 하여, 동일한 부피 내에서 잠열 열교환배관(42)이 현열 열교환배관(32)의 표면적보다 넓은 표면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잠열 열교환배관(42)의 표면적을 넓힘에 따라, 잠열 열교환배관(42)을 따라 흐르는 난방수와 응축수간에 더 많은 양의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The number of latent heat fins 43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sensible heat fins 33 . Accordingly, the interval at which adjacent latent heat fins 4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terval at which adjacent sensible heat fins 3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sensible heat fins 33 and the latent heat fins 43 will be replaced with the content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third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of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extends is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extends. ) can be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extends may also be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the latent heat fin 43 described above, by making the size of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within the same volume is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 32) can be made to have a larger surface area. As the surface area of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is widened, a greater amount of heat exchange may occur between the condensed water and the heating water flowing along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

소정 방향(D2)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잠열 열교환배관(42)의 단면 형상은, 현열 열교환배관(32)과 같이 장공 형태일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may be a long hole like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잠열 열교환기(40)는 단열을 위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변형예에서 잠열 열교환기(40) 역시 현열 단열배관(34)과 동일한 형식으로 배치되는 잠열 단열배관(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잠열 단열배관은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난방수가 내부를 따라 유동해 잠열 열교환기(40)를 단열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is shown as having no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However, in various modified examples,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may also have a latent heat insulation pipe (not shown) dispo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The latent heat insulation pip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atent heat exchanger case, and the heating water flows along the inside to insulate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와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41)는 서로 별개로 설명되었으나, 도면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31)와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41)를 모두 포함하고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메인 케이스(51)를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현열 열교환기(30)의 현열 단열측판(312)과 잠열 열교환기(40)의 잠열 단열측판(412)이 일체로 메인 단열측판(512)를 형성할 수 있고, 현열 열교환기(30)의 현열 일반측판(311)과 잠열 열교환기(40)의 잠열 일반측판(411)이 일체로 메인 잠열 일반측판(411)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 일반측판(511)이 포함하는 제1 메인 일반측판(5111)은 소정 방향(D2)을 따라 같은 측에 위치한 제1 현열 단열측판(3111)과 제1 잠열 단열측판(4111)을 포함하고, 메인 일반측판(511)이 포함하는 제2 메인 일반측판(5112)은 소정 방향(D2)을 따라 또 다른 같은 측에 위치한 제2 현열 단열측판(3112)과 제2 잠열 단열측판(4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case 41 have been describ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the drawings. In this case, a main case 51 including both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case 41 and integrally formed may be considered. Therefore,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2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and the latent heat insulation side plate 412 of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may integrally form the main insulation side plate 512, The sensible heat common side plate 311 and the latent heat common side plate 411 of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may integrally form the main latent heat common side plate 411 . Similarly, the first main general side plate 5111 included in the main general side plate 511 includes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side plate 3111 and the first latent heat insulation side plate 4111 located on the same side alo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The second main general side plate 5112 included in the main general side plate 511 includes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ng side plate 3112 and the second latent heat insulating side plate 4112 located on the same side alo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can include

이하 도 10 내지 도 14 및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열교환기(30, 40)들이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 72)에 의해서 연결되어, 서로 연결된 현열유로와 잠열유로를 형성하는 상황에 대해서 설명한다.10 to 14 and 29, the heat exchangers 30 and 40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by connecting euro cap plates 71 and 72 , the situation of forming a sensible heat flow path and a latent heat flow path connected to each other is explain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의 외측으로부터 열교환기 유닛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1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2 메인 일반측판(5112)의 일부 영역을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소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1 메인 일반측판(5111)을 제1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소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현열유로와 잠열유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에서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들이 분리되어 있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view of the heat exchanger unit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first connection euro cap plate 71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shows a partial area of the second main general side plate 5112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euro caps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is is a view from the outside. 13 shows a first main general side plate 5111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euro caps included in a first connecting euro cap plate 71, and the inner side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This is a view from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nsible heat flow path and a latent heat flow path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connection euro cap plates are separated in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29의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로부터 H-H' 선을 따라 바라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2 메인 일반측판(5112)과 현열 열교환배관(32)의 직선부(321, 322, 323, 324), 현열 단열배관(341, 342)의 모습에,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의 유로캡(722, 723, 724, 725)들을 점선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29의 G-G'선을 따라 바라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1 메인 일반측판(5111)과 현열 열교환배관(32)의 직선부(321, 322, 323, 324), 현열 단열배관(341, 342)의 모습에, 제1 유로캡 플레이트(71)의 유로캡(712, 713, 714)들을 점선으로 도시한 것이다.12 is a view of the second main general side plate 5112 and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along the line H-H' from 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of FIG. 29 ) of the straight parts 321, 322, 323, 324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s 341 and 342, the euro caps 722, 723, 724 and 725 of 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are drawn as dotted lines. it is depicted 13 shows straight portions 321, 322 of the first main common side plate 5111 and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along the line G-G′ of FIG. 323 and 324)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s 341 and 342, the euro caps 712, 713 and 714 of the first euro cap plate 71 are shown in dotted line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잠열 열교환배관(42)에 의해 현열유로에 연통되는, 난방수가 흐르는 경로인 잠열유로가 형성되고, 현열 열교환배관(32)과 현열 단열배관(34)에 의해, 난방수가 흐르는 경로인 현열유로가 형성된다. 도 14에서, 잠열유로는 잠열 열교환배관(42)을 통해 지나가는 화살표의 형태로 표현되었고, 현열유로는 현열 열교환배관(32)과 현열 단열배관(341, 342)을 통해 지나가는 화살표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각 유로가 지나가는 영역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도 14에서는 열교환기 유닛의 각 일반측판과 단열측판 및 핀을 제거한 상태에서, 각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 72)의 유로캡을 도시하지 않았다. 현열유로와 잠열유로가 연통되어, 일체의 난방수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현열유로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직렬유로를 포함하고, 잠열유로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병렬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 및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현열유로는 직렬유로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잠열유로는 병렬유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 In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tent heat flow path,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heating water flows, communicated with the sensible heat flow path by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is formed, and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are formed. As a result, a sensible heat flow path,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heating water flows, is formed. 14, the latent heat flow path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n arrow passing through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and the sensible heat flow path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n arrow passing through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s 341 and 342. .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of the area through which each passage passes, FIG. 14 does not show the passage caps of the connection passage cap plates 71 and 72 in a state in which each common side plate, insulation side plate, and pin of the heat exchanger unit are removed. did not The sensible heat passage and the latent heat passag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n integral heating water passage. The sensible heat flow path may include a serial flow path in at least some sections, and the latent heat flow path may include parallel flow passages in at least some sections. In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0 to 14 and 29, the sensible heat flow path is configured to include only a series flow path, while the latent heat flow path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rallel flow path.

이러한 난방수 유로를 별도의 관체에 의한 연결 없이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현열 열교환기(30)와 잠열 열교환기(40)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 72)가 배치될 수 있다.In order to form such a heating water flow path without connection by a separate pipe body, in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flow cap plate connecting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respectively ( 71, 72) may be arranged.

유로캡 플레이트의 일종인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 72)는, 메인 케이스(도 2의 51)의 2개의 메인 일반측판(5111, 511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잠열 열교환배관(42), 현열 열교환배관(32) 및 현열 단열배관(34)의 개구를 연통하기 위해, 메인 일반측판(511)과의 사이에 상기 개구를 에워싸는 연통공간을 마련하는 유로캡들을 구비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nnecting euro cap plates 71 and 72, which are a kind of euro cap plate,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wo main general side plates 5111 and 5112 of the main case (51 in FIG. 2),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sensible heat exchange In order to communicate the openings of the pipe 32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t is a component having euro caps providing a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 main general side plate 511 and surrounding the opening.

이러한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 72) 중 소정 방향(D2) 일측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는, 2개의 메인 일반측판(5111, 5112) 중 어느 하나인 기준측판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잠열 열교환배관(42)에 의해 형성된 잠열유로의 출구와, 기준측판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현열 단열배관(34)으로 난방수를 유입시키는 현열유로의 입구를 연통하기 위해, 기준측판과의 사이에 잠열유로의 출구와 현열유로의 입구를 에워싸는 연통공간을 마련하는 연결 유로캡을 구비한다. One of these connecting euro cap plates 71 and 72 located on one side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ference side plate, which is one of the two main general side plates 5111 and 5112, and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 to connect the outlet of the latent heat passage formed by the reference side plate with the inlet of the sensible heat passag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ference side plate and introducing heating water into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between the reference side plate and the outlet of the latent heat passage and sensible heat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flow cap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pace surrounding the inlet of the passag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 기준측판은 제2 메인 일반측판(5112)이고, 어느 하나의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 72)는 연결 유로캡(722)이 구비되는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이다. 그러나 기준측판이 배치되는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In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side plate is the second main general side plate 5112, and any one connection euro cap plate 71, 72 is a second connection euro cap 722 is provided. Eurocap plate 72. However, the position where the reference side plate is disposed is not limited thereto.

연결 유로캡(722)은 적층된 현열 열교환기(30)와 잠열 열교환기(40)를 연결하기 위해,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연결 유로캡(722)은 잠열 열교환배관(42)이 포함하는 복수의 직선부와 현열 단열배관(34)을 연결하므로,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잠열 열교환기(4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과 완전히 나란하지 않고, 경사진 형태의 부분을 가지는 연결 유로캡(722)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flow cap 722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to connect the stacked sensible heat exchanger 30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euro cap 722 connects the plurality of straight parts included in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t extends along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and at the same tim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 can be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Accordingly, a connection flow path cap 722 having an inclined portion that is not completely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may be formed.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에는, 난방수 공급구(7211)가 형성되는 입구 유로캡(721)과, 현열유로의 출구인 난방수 배출구(7251)가 형성되는 출구 유로캡(725)이 형성된다. 현열유로의 출구는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의 출구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난방수 공급구(7211)를 통해 잠열 열교환기(40)로 난방수가 유입되어, 연결 유로캡(722)을 통해 현열 열교환기(30)로 난방수가 유동하며, 현열 열교환기(30)로부터 난방수 배출구(7251)를 통해 난방수가 데워져 배출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그러나 입구 유로캡(721) 및 난방수 공급구(7211)가 현열 열교환기(3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출구 유로캡(725) 및 난방수 배출구(7251)가 잠열 열교환기(4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현열 열교환기(30)를 통과한 난방수가 잠열 열교환기(40)로 향하도록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난방수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second connection flow path cap plate 72, an inlet flow path cap 721 having a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and an exit flow path cap 725 having a heating water outlet 7251 serving as an outlet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are formed. is formed The outlet of the sensible heat passage is realized by the outlet of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 In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ing water flows into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and the heating water flows in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through the connection flow cap 722. It is assumed that the heating water is heated and discharged from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through the heating water outlet 7251. However, the inlet euro cap 721 and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and the outlet euro cap 725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7251 are connected to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A heating water passag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heat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is directed toward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입구 유로캡(721)에는 잠열 열교환배관(42)이 포함하는 복수의 직선부가 병렬로 연통되어, 난방수 공급구(7211)를 통해 유입된 난방수가 병렬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출구 유로캡(725)에는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의 출구가 연통되어, 현열유로를 거쳐 가열된 난방수를 제2 현열 단열배관(342)으로부터 전달받아 배출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included in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let flow path cap 721, so that heat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can move along the parallel flow path. The outlet of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flow path cap 725, and heating water heated through the sensible heat flow path can be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and discharged.

잠열 열교환기(40)와 현열 열교환기(30)를 모두 수용하는 가상의 직육면체를 가정할 때, 잠열유로의 입구인 난방수 공급구(7211)와 현열유로의 출구인 난방수 배출구(7251)가, 직육면체의 여섯 면 중 어느 하나인 기준면 측에 함께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메인 케이스(도 1의 51)를 구성하는 측판 중 하나를 덮는 유로캡 플레이트에 난방수 공급구(7211)와 난방수 배출구(7251)가 모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어느 하나의 측판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의 유로캡들과 함께 연통공간을 형성하는 제2 메인 일반측판(5111)일 수 있고, 이를 덮는 유로캡 플레이트는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이다. 따라서 열교환기 유닛의 측면 중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가 배치되는 측면을 통해 난방수가 열교환기 유닛으로 유입되고, 난방수가 열교환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기준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달리 배치될 수도 있다.Assuming a virtual rectangular parallelepiped accommodating both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and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as the inlet of the latent heat flow path and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ort 7251 as the outlet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are , It may be provided together on the side of the reference plane, which is any one of the six face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other words, both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7251 may be provided on the euro cap plate covering one of the side plates constituting the main case ( 51 in FIG. 1 ). In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se side plates may be a second main general side plate 5111 forming a communication space together with the flow caps of the second connecting euro cap plate 72, , The euro cap plate covering this is 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Therefore, the heat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unit through the side of the heat exchanger unit where 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is disposed, and the heat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r unit. However, the reference plan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rranged differently.

열교환기 유닛의 동일한 측면에 난방수 공급구(7211)와 난방수 배출구(7251)가 배치되므로, 난방수 공급구(7211)를 통해 난방수가 유입되는 방향과, 난방수 배출구(7251)를 통해 난방수가 배출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될 수 있다. 난방수가 동일한 측면을 통해 유입되고 배출됨으로써, 난방수 공급구(7211)와 난방수 배출구(7251)에 연결되는 난방수관을 배치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난방수 공급구(7211)와 난방수 배출구(7251)는 서로 반대되는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Since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7251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of the heat exchanger unit,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ting water flows in through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7251 Directions in which water is discharged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Since heating wate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same side surface, space required for arranging heating water pipes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7251 can be saved. However,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7251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난방수 공급구(7211)와 난방수 배출구(7251)가 동일한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 난방수 유로는 소정 방향(D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또는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난방수가 향하는 구간을 총 짝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즉 소정 방향(D2)을 기준으로 열교환기 유닛의 어느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일측면으로 난방수가 향하는 횟수는, 전체 난방수 유로에서 짝수 회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소정 방향(D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또는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진행 방향이 바뀌는 것 만을 방향전환 횟수로 계산할 때, 난방수 유로는 총 홀수 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전체 난방수 유로가 총 7회 방향을 전환하나, 그 횟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표현하여, 잠열유로와 현열유로에서, 기준면으로부터 기준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면으로 유동한 난방수가 다시 기준면으로 돌아오도록, 소정 방향(D2)을 따라 기준면과 기준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면을 연결하는 구간은, 짝수 개일 수 있다.In order for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7251 to be located on the same side, the heating water passage includes an even number of sections in which heating water flow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r from the other side to the one side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can do. That is, the number of times the heating water flows from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r unit to the other side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may be an even number in all heating water passages. In other words, when only the change of the traveling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r from the other side to one side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is calculated as the number of direction changes, the heating water flow path can change the direction a total odd number of times. In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heating water passages change directions a total of 7 times, but the number of times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in the latent heat flow path and the sensible heat flow path, the section connecting the reference surface and the surfac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ference surface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so that the heating water flowing from the reference surface to the surfac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ference surface returns to the reference surface. , can be an even number.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의 난방수 공급구(7211)와 난방수 배출구(7251)의 위치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ositions of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7251 of the first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modifi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는, 상술한 입구 유로캡(721), 출구 유로캡(725), 연결 유로캡(722) 외에, 현열 열교환배관(32)이 포함하는 서로 인접한 직선부(321, 322, 323, 324)들을 연통시키는 제2 현열 유로캡(723), 제4 현열 유로캡(724)을 포함한다. 이 중 제2 현열 유로캡(723)은 제1 외측 직선부(321)와 중간 직선부(323)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고, 제3 현열 유로캡(724)은 제2 외측 직선부(322)와 중간 직선부(324)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nlet euro cap 721, outlet euro cap 725, and connection euro cap 722, is a linear portion 321 adjacent to each other includ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 322, 323, and 324 are connected with the second sensible heat flow path cap 723 and the fourth sensible heat flow path cap 724. Among them, the second sensible heat flow cap 723 may connect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and the middle straight portion 323 in series, and the third sensible heat flow cap 724 may connect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And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4 can be connected in series.

제1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는, 현열 열교환기(30)와 잠열 열교환기(40)를 기준으로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의 반대측에서 제1 메인 일반측판(51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 유로캡(722)이 형성되지 않고, 잠열 열교환배관(42)이 포함하는 서로 인접한 직선부들을 연통시키는 잠열 유로캡(722)과, 현열 열교환배관(32)이 포함하는 서로 인접한 직선부들을 연통시키는 제1 현열 유로캡(712), 제3 현열 유로캡(713), 제5 현열 유로캡(714)을 포함한다. 도 11에서 잠열 유로캡(711)은 하나로 형성되나, 그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connection euro cap plate 71 is coupled to the first main general side plate 511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based on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 Therefore, the connecting flow path cap 722 is not formed, and the latent heat flow path cap 722 and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which connect the adjacent straight parts included in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first sensible heat flow path cap 712, a third sensible heat flow path cap 713, and a fifth sensible heat flow path cap 714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re included. In FIG. 11, the latent heat flow cap 711 is formed as one,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plural.

잠열 유로캡(711)은 잠열 열교환배관(42)이 포함하는 복수의 직선부들의 단부와 전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잠열 열교환배관(42)이 포함하는 복수의 직선부들이 병렬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현열 유로캡(712)은 제1 현열 단열배관(341)과 제1 외측 직선부(321)를 연통하고, 제3 현열 유로캡(713)은 중간 직선부(323, 324)들을 연통하고, 제5 현열 유로캡(714)은 제2 외측 직선부(322)와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을 연통할 수 있다.The latent heat flow cap 711 may be in full communication with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parts included in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 Therefore,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included in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may form a parallel passage. The first sensible heat flow cap 712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and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and the third sensible heat flow cap 713 communicates with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s 323 and 324. , The fifth sensible heat flow path cap 714 may communicate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and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의 병렬유로를 포함하는 잠열유로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atent heat flow path including the parallel flow path of the first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modifi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1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 및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가 형성하는 난방수 유로를, 난방수의 흐름을 따라 설명한다. 난방수는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의 입구 유로캡(721)에 형성된 난방수 공급구(7211)를 통해 잠열 열교환기(40)로 유입된다. 입구 유로캡(721)은 잠열 열교환배관(42)이 포함하는 복수의 직선부를 병렬로 연결하고 있으므로, 입구 유로캡(721)에 연결된 복수의 잠열 열교환배관(42)을 통해 난방수는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에 형성된 잠열 유로캡(711)으로 병렬유로를 따라 전달된다.The heating water flow path formed by the first connection flow path cap plate 71 and the second connection flow path cap plate 72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long with the flow of the heating water. Heat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7211 formed in the inlet euro cap 721 of 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 Since the inlet euro cap 721 connects a plurality of straight parts included in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 in parallel,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connec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s 42 connected to the inlet euro cap 721. The latent heat is transferred along the parallel passage to the passage cap 711 formed on the passage cap plate 72 .

잠열 유로캡(722)은 배치된 잠열 열교환배관(42)들을 모두 병렬로 연결하고 있으므로, 입구 유로캡(712)과 연결되지 않고 연결 유로캡(713)과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잠열 열교환배관(42)들을 통해 연결 유로캡(713)으로 난방수를 전달한다. 즉 난방수 유로 중 잠열 열교환기(40)에 해당하는 영역에서는, 병렬로 난방수가 유동한다.Since the latent heat flow cap 722 connects all the arranged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s 42 in parallel, a plurality of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s 42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nnection euro cap 713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inlet flow cap 712. ) through which the heating water is delivered to the connection euro cap 713. That is, heating water flows in parallel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among the heating water passages.

연결 유로캡(722)은 제1 현열 단열배관(341)과 연결된다. 제1 현열 단열배관(341)을 통해 난방수가 흘러 제1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의 제1 현열 유로캡(712)으로 난방수를 전달하면서 현열 열교환기(30)의 열손실을 차단한다.The connection euro cap 722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 Heating water flows through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 and transfers the heating water to the first sensible heat flow path cap 712 of the first connection flow path cap plate 71 while blocking heat loss from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

제1 현열 유로캡(712)에 연결된 제1 외측 직선부(321)으로 난방수가 전달되어, 난방수는 제2 현열 유로캡(723)에 전달된다. 제2 현열 유로캡(723)에는 중간 직선부(323)가 연통되어 있으므로, 난방수가 중간 직선부(323)를 따라 흘러 제3 현열 유로캡(713)에 전달된다. 제3 현열 유로캡(713)에는 중간 직선부(324)가 연통되어 있으므로, 난방수가 중간 직선부(324)를 따라 흘러 제4 현열 유로캡(724)에 전달된다. 제4 현열 유로캡(724)에는 제2 외측 직선부(322)가 연통되어 있으므로, 난방수가 제2 외측 직선부 직선부(322)를 따라 흘러 제5 현열 유로캡(714)에 전달된다. 제5 현열 유로캡(714)에는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난방수가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을 따라 흘러 출구 유로캡(725)에 전달된다.Heating water is transferred to the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1 connected to the first sensible heat flow cap 712, and the heating water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sensible heat flow cap 723. Since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3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ensible heat flow cap 723, the heating water flows along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3 and is delivered to the third sensible heat flow cap 713. Since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4 communicates with the third sensible heat flow cap 713, the heating water flows along the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324 and is transferred to the fourth sensible heat flow cap 724. Since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communicates with the fourth sensible heat flow cap 724, the heating water flows along the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2 and is delivered to the fifth sensible heat flow cap 714. Since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communicates with the fifth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714, the heating water flows along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and is delivered to the outlet flow cap 725.

즉, 난방수는 현열유로를 따라 직렬로 흐르면서 제1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 및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의 사이를 왕복하며 현열에 의해 가열되고, 제2 현열 단열배관(342)까지 전달된다.That is, the heating water flows in series along the sensible heat flow path and reciprocates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flow path cap plate 71 and the second connection flow path cap plate 72 and is heated by sensible heat, and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delivered up to

제2 현열 단열배관(342)은 난방수를 출구 유로캡(725)으로 전달하면서 현열 열교환기(30)의 열손실을 차단하고, 난방수 배출구(7251)를 통해 난방수가 배출되어 난방에 사용되도록 한다.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342 blocks heat loss from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while transferring heating water to the outlet flow cap 725, and discharges the heating water through the heating water outlet 7251 to be used for heating. do.

메인 유로main euro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콘덴싱 보일러(1)는, 메인 유로를 포함한다. 메인 유로는, 난방을 제공하기 위한 난방 유로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통되어 난방수를 난방 유로에 공급하는 배관이다. 메인 유로는 현열 열교환기(30) 또는 잠열 열교환기(40)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통되어, 난방수가 데워지도록 열교환기에 난방수를 제공하거나, 가열된 난방수를 열교환기로부터 난방 유로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술하였던 현열 열교환기(30) 및 잠열 열교환기(40)와 연결되어 난방수를 공급하거나 전달받은 난방수관이 메인 유로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densing boiler 1 including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low path. The main passage is a pipe that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a heating passage for providing heating and supplies heating water to the heating passage. The main flow passage directly or in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or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to provide heating water to the heat exchanger so that the heating water is warmed up, or to provide heated heating water from the heat exchanger to the heating passage. do Accordingly, a heating water pip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sensible heat exchanger 30 and latent heat exchanger 40 to supply or receive heating water may be included in the main flow path.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1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은, 현열 열교환기(81)와, 2열로 구성된 잠열 열교환기(82)를 가질 수 있다. 이 중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위치한 제1 잠열 열교환기(821)가 직교 방향을 따라서 가지는 폭이, 제2 잠열 열교환기(822)가 가지는 폭보다 클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ensible heat exchanger 81 and a latent heat exchanger 82 composed of two rows. Among them, a width of the first latent heat exchanger 821 located upstream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along the orthogonal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latent heat exchanger 822 .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보다 더 많은 개수의 잠열 열교환배관이 포함하는 직선부(8211)의 개수와, 현열 열교환배관이 포함하는 직선부(811)의 개수를 가질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1 잠열 열교환기(821)가 가지는 직선부의 개수가 제2 잠열 열교환기(821)가 가지는 직선부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ght portion 8211 included in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having a larger number tha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ber of straight parts 811 includ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Among them, the number of straight parts of the first latent heat exchanger 821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straight parts of the second latent heat exchanger 821 .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유로캡 플레이트(90)를 각 배관과 같이 나타낸 정면도이다. 배관은 점선으로 표시되었다.1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low cap plate 90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ach pipe. Tubing is indicated by dotted lines.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유로캡 플레이트(90)는, 유로캡에 개구되어 형성되지 않고, 유로캡 플레이트(90)에 바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난방수 배출구(91)를 구비한다. 이러한 난방수 배출구(91)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따라 현열 열교환배관(95)보다 하류측에 위치하지 않고, 직교 방향을 따라 동일한 선상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flow path cap plate 90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opening directly to the flow path cap plate 90 without being formed through the flow path cap. A heating water outlet 91 is provided. The heating water outlet 91 may not be located downstream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95 along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bu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ame line along the orthogonal direc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유로캡 플레이트(90)는, 변형된 연결 유로캡(9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연결 유로캡(도 10의 722)에 비해, 직교 방향 및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에 나란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형성된 경사부(922)의 길이가,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따라 연장된 부분(923) 및 직교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921)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직교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921) 대비 경사부(922)의 폭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연결 유로캡(도 10의 722)에 비해서 적게 줄어든다.The euro cap plate 9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dified connection euro cap 92 . Compared to the connection euro cap (722 in FIG. 10)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inclined portion 922 formed obliquely rather than parallel to the orthogonal direction and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 is formed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portion 923 extending along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and the portion 921 extending along the orthogo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inclined portion 922 compared to the portion 921 extending along the orthogonal direction is reduced less than that of the connection euro cap (722 in FIG. 10 )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난방수 배출구(912)의 위치와 연결 유로캡(92)의 형상에 의해, 유로캡 플레이트(90)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과 나란한 직선을 기준으로 선대칭하지 않은 비대칭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로캡 플레이트(90)가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따라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도 16 상에서 좌측의 경사부(93)와 우측의 경사부(94)가 연소가스의 유동방향(D1)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개소로부터 또 다른 서로 상이한 개소까지 테이퍼진 외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불필요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은 잘라내어 소재 낭비를 줄이기 위함이다.Due to the location of the heating water outlet 912 and the shape of the connection euro cap 92, the euro cap plate 90 has an asymmetric structure that is not line-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can have The euro cap plate 90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along the flow direction D1 of the combustion gas. In FIG. 16, the inclined portion 93 on the left and the inclined portion 94 on the right are combustion Based on the gas flow direction (D1),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apered outer surface from a different location to another different location. This is to reduce material waste by cutting off parts corresponding to unnecessary areas.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열 열교환기(81) 및 잠열 열교환기(82)의 형상이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유로캡 플레이트(90)의 형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shapes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81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8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r the shape of the euro cap plate 9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different from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modifications. Examples can also be appli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2)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2)의 측면도이다.1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nd a condensing boiler 2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ide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nd a condensing boiler 2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2)는, 연소실(20)과, 열교환기 유닛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densing boiler 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20 and a heat exchanger unit.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을 포함하는 콘덴싱 보일러(2)는, 버너(11)를 포함하는 버너조립체(10)를 포함한다.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인 기준방향(D1)을 따라 버너조립체(10)와 열교환기 유닛이 순서대로 배치되고, 열교환기 유닛 내에서는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소실(20) 및 열교환기 유닛의 순서로 구성요소가 배열되어 있으므로, 상술된 배열 순서대로 콘덴싱 보일러(2)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condensing boiler 2 including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rner assembly 10 including a burner 11 . The burner assembly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are arranged in order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which is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and the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within the heat exchanger unit. Since are arranged, the components of the condensing boiler 2 will b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order.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2)가 포함하는 버너조립체(10), 연소실(20), 응축수 받이(55), 응축수 배출구(53) 및 배기 덕트(52)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제1 실시예에 대해 전술된 내용으로 대신한다.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densing boiler 2 using the same include a burner assembly 10, a combustion chamber 20, a condensate receiver 55, a condensate outlet 53, and an exhaust duct 52 ) is the same as or very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first embodiment, so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for the first embodiment.

열교환기 유닛heat exchanger unit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19 is a plan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은, 현열 열교환부(300)와, 잠열 열교환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 유닛은, 이러한 각 열교환부(300, 400)가 배치되는 현열 열교환 영역과 잠열 열교환 영역을 둘러싸서 그 내측에서 열교환 영역들을 정의하는 하우징(51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ble heat exchanger 300 and a latent heat exchanger 400. 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510 that surrounds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and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where each of the heat exchange units 300 and 400 are disposed to define heat exchange areas inside the housing 510 .

현열 열교환 영역과 잠열 열교환 영역에는, 각각 현열 열교환부(300)와 잠열 열교환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현열 열교환 영역과 잠열 열교환 영역이 연결되어, 연소실(20)로부터 전달된 연소가스가 그 유동방향인 기준방향(D1)을 따라서 현열 열교환 영역과 잠열 열교환 영역에서 유동할 수 있다.A sensible heat exchanger 300 and a latent heat exchanger 400 may be dispos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and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respectively.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and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are connected, so that the combustion gas transferr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20 can flow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and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which is the flow direc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현열 열교환부(300), 현열 열교환 영역, 잠열 열교환부(400) 및 잠열 열교환 영역이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현열 열교환기(도 2의 30) 및 잠열 열교환기(도 2의 40)가 포함하는 대응되는 구성요소들과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기본적인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고, 이하 제1 실시예와의 관계에서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 더 서술한다.Description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0, the sensible heat exchange region, the latent heat exchanger 400, and the latent heat exchange reg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of the first embodiment (Fig. 2 30)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in FIG. 2) are the same as or very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cluded.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each basic component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ifference in relation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further described below.

열교환기 유닛 - 현열 열교환부(300)Heat exchanger unit - sensible heat exchanger (300)

현열 열교환 영역은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연소실(20)보다 하류에 위치하고, 상류에서 발생하는 현열을 전달받아 난방수를 가열하기 위한 영역이다. 현열 열교환 영역은, 하우징(510)에 둘러싸인 공간 중 기준방향(D1)을 따라 현열 열교환부(300)의 가장 상류측부터 가장 하류측까지 이르는 공간으로 그 크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현열 열교환 영역은 연소실(20)의 내부공간(22)과 연통되어, 연소가스가 유동할 수 있고, 버너(11)로부터 복사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현열 열교환 영역에서는 난방수에 현열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하므로, 현열 열교환 영역에는, 현열 열교환배관(320)과 현열 핀(330)을 포함하는 현열 열교환부(300)가 배치된다. 제3 실시예의 현열 열교환배관(320)은 제1 실시예의 현열 열교환배관(도 2의 32)에 대응되므로, 후술할 하우징(510)의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에 결합됨으로써, 난방수가 흐르는 하나의 현열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현열 핀(330)은 제1 실시예의 현열 핀(도 1의 33)에 대응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루버 홀(3303, 3304)는 제1 실시예의 루버 홀(도 6의 331)에 대응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현열 단열배관(340)은 제1 실시예의 현열 단열배관(도 2의 34)에 대응될 수 있다.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based on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is an area for heating heating water by receiving sensible heat generated upstream. The siz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is determined as a space extending from the most upstream side to the most downstream sid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unit 300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among the spaces surrounded by the housing 510 . Therefore,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22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so that combustion gas can flow and radiant heat can be received from the burner 11. In addition, since sensible heat must be transferred to heating water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a sensible heat exchange unit 300 including a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and sensible heat fins 330 is dispos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Since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of the third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in FIG. 2)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coupled to the euro cap plates 363 and 364 of the housing 51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which heating water flows. A single sensible heat flow path may be formed. The sensible heat fin 330 of the third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the sensible heat fin (33 in FIG. 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louver holes 3303 and 3304 of the third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the louver holes (331 in FIG. 6 )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0 of the third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 in FIG. 2 ) of the first embodiment.

루버홀(3303, 3304)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루버홀 (3303, 330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방향(D1)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루버홀(3303)과, 현열 열교환배관(320)의 서로 인접한 현열 직선부들의 사이에, 기준방향(D1)에 대해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루버홀(330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루버홀(3303, 3304)은 기준방향(D1)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louver holes 3303 and 3304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ouver holes 3303 and 3304 are the first louver holes 3303 formed by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the sensible heat straight portions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adjacent to each other. In between, a second louver hole 3304 extending in an orthogon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may be included. Each of the louver holes 3303 and 330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제3 실시예의 현열 핀(330)은 제1 실시예의 현열 핀(도 2의 33)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현열 핀(330)은 골(3302)과 돌출부(3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ble heat fin 330 of the third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the sensible heat fin (33 in FIG. 2 )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ly, the sensible heat fin 330 may further include valleys 3302 and protrusions 3301 .

열교환기 유닛 - 잠열 열교환부(400)Heat exchanger unit - latent heat exchanger (400)

잠열 열교환 영역은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현열 열교환 영역보다 하류에 위치하고, 연소가스의 상변화시 발생하는 잠열을 전달받아 난방수를 가열하기 위한 영역이다. 잠열 열교환 영역은, 하우징(510)에 둘러싸인 공간 중 기준방향(D1)을 따라 잠열 열교환부(400)의 가장 상류측부터 가장 하류측까지 이르는 공간으로 그 크기가 결정된다. 잠열 열교환 영역에는, 내부를 통해 난방수가 흐르며 연소가스가 주변에서 흐르는 잠열 열교환배관(420) 및 잠열 열교환배관(420)이 연장된 소정 방향(D2)을 가로지르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잠열 열교환배관(420)에 의해 관통되는 잠열 핀(430)을 포함하는 잠열 열교환부(400)가 배치된다. 제3 실시예의 잠열 열교환배관(420)은 제1 실시예의 잠열 열교환배관(도 2의 42)에 대응될 수 있다.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is an area for heating heating water by receiving latent heat generated during a phase change of combustion gas. The size of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s determined as a space extending from the most upstream side to the most downstream side of the latent heat exchange unit 400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among the spaces surrounded by the housing 510 . In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a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and a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through which heating water flows and combustion gas flows around are formed in a plate shape cross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in which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is extended, and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 A latent heat heat exchange unit 400 including a latent heat fin 430 penetrated by is disposed.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of the third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 in FIG. 2 ) of the first embodiment.

잠열 열교환배관(420)과 제1 실시예의 잠열 핀(도 2의 43)에 대응되는 잠열 핀(430)의 구성은, 현열 열교환배관(320) 및 현열 핀(330)과 유사하다. 따라서 잠열 열교환배관(420)과 잠열 핀(430)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현열 열교환배관(320)과 현열 핀(330)의 구조에 대한 위 설명에 갈음한다. 따라서 잠열 열교환부(400)도 핀튜브 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and the latent heat fin 430 corresponding to the latent heat fin (43 in FIG. 2 ) of the first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0 and the sensible heat fin 330.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basic structure of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and the latent heat fin 430 replaces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and the sensible heat fin 330. Therefore, the latent heat exchanger 400 may also be configured as a fin tube type.

잠열 열교환배관(420)은, 복수의 상류 직선부(421) 및 상류 직선부(421)보다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위치하고, 복수의 상류 직선부(421) 중 하나의 상류 직선부(421)와 어느 하나가 연통되는 복수의 하류 직선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잠열 열교환배관(420)이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잠열 열교환배관(420)은 2열보다 많은 수의 열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여러 열의 직선부를 잠열 열교환배관(420)이 가짐으로써, 핀튜브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자칫 떨어질 수 있는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plurality of upstream straight parts 421 and the upstream straight part 421 relativ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is one of the plurality of upstream straight parts 421 upstream.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ownstream straight parts 422, any one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part 421. That is,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may be arranged in two rows.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may be arranged to have more than two rows. In this way, by having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having several rows of straight part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rmal efficiency, which may drop due to the use of the fin tube method.

도 20에서는 상류 직선부(421)가 4개, 하류 직선부(422)가 3개 배치되도록 하였다. 후술할 내용과 같이 잠열 열교환 영역의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 잠열 열교환배관(420)을 구성하는, 소정 방향(D2)으로 연장된 복수의 잠열 직선부(421, 42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20, four upstream straight parts 421 and three downstream straight parts 422 are arranged. This is becau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may decrease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However,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atent heat straight lines 421 and 422 extending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constituting each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is not limited thereto.

잠열 열교환배관(420)이 2열로 배치되는 만큼, 잠열 핀(430) 역시 각 잠열 열교환배관(420)에 맞추어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류 직선부(421)에는 잠열 핀(430)이 포함할 수 있는 상류 핀(431)이 결합되고, 하류 직선부(422)에는 잠열 핀(430)이 포함할 수 있는 하류 핀(432)이 결합될 수 있다.As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s 420 are arranged in two rows, the latent heat fins 430 may also be separately arranged according to each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 That is, the upstream fin 431, which may include the latent heat fin 430, is coupled to the upstream straight portion 421, and the downstream fin 432, which may include the latent heat fin 430, is coupled to the downstream straight portion 422. can be combined.

잠열 열교환배관(420)이 2열로 배치됨에 따라, 잠열 열교환 영역에서 전열면적의 부족으로 인해 연소가스가 충분히 난방수에 열을 전달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전체 연소가스에 대해 넓은 면적에 걸쳐서 충분히 열교환이 일어남에 따라 연소가스가 상변화하지 못하고 배출되는 분율을 줄일 수 있다.As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is arranged in two row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combustion gas does not sufficiently transfer heat to the heating water due to a lack of heat transfer area in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and a large area for the entire combustion gas can be prevented. As sufficient heat exchange occurs over the heat exchange, the fraction of the combustion gas that is not phase-changed and discharged can be reduced.

잠열 열교환배관(420)의 잠열 직선부(421, 422)의 내부공간의 단면적은, 현열 열교환배관(320)의 현열 직선부의 내부공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현열 직선부의 내부공간의 단면적과 현열 열교환배관(320)의 총연장의 곱이, 잠열 직선부(421, 422)의 내부공간의 단면적과 잠열 열교환배관(420)의 총연장의 곱에 대응되는 수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열 직선부(421, 422) 의 단면적이 현열 직선부의 내부공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대신, 현열 직선부들의 총 개수가 잠열 직선부(421, 422)의 총 개수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of the latent heat straight portions 421 and 422 of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of the sensible heat straight portion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0. The product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of the sensible heat straight part and the total extension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can maintain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of the latent heat straight parts 421 and 422 and the total extension of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Instead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atent heat linear portions 421 and 422 being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sensible heat linear portion, the total number of sensible heat linear portions may be less than the total number of latent heat linear portions 421 and 422. .

달리 표현하여, 현열 열교환배관(320)이 연장된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현열 열교환배관(320)을 자른 단면에서, 상기 현열 직선부의 둘레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개수는, 상기 잠열 직선부(421, 422)의 둘레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개수보다 적도록, 잠열 열교환배관(420)이 형성될 수 있다. 잠열 직선부(421, 422) 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배관이 동일하거나 더 많은 개수만큼 현열 열교환부(300) 에 배치되면, 인접한 현열 열교환배관(320)으로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를 거쳐 난방수가 이동할 때, 유로가 급격하게 꺾이는 구간에서 발생하는 난방수의 급격한 압력강하로 인해 효율적인 난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현열 열교환배관(320)과 잠열 열교환배관(420)의 단면적과 총 개수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교환배관의 단면적과 총 개수에 대한 내용은,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잠열 핀(430) 역시 현열 핀(330)과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잠열 열교환배관(420)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In other words, in a cross section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cut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extends, the number of closed curves formed by the circumference of the sensible heat straight line portion is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may be formed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422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closed curves formed. When the same or a greater number of pipes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latent heat straight parts 421 and 422 are dispos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part 300, the adjacent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0 passes through the euro cap plates 363 and 364. When the heating water moves, efficient circulation of the heating water may not be achieved due to a sudden pressure drop of the heating water occurring in a section where the flow path is sharply bent.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otal number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and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are adjusted in this way. The information on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otal number of heat exchange pipes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thereof. Like the sensible heat fins 330, the latent heat fins 430 also consist of a plurality,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extends.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잠열 핀(430)들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층 중 현열 핀(330)과 가장 인접한 층에 배치되는 잠열 핀(430)의 총 개수는, 현열 핀(330)의 총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At least one layer in which the latent heat fins 430 are disposed at the same loc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may be formed. The total number of latent heat fins 430 disposed on the layer most adjacent to the sensible heat fins 330 among these layers may be less than the total number of sensible heat fins 330 .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류 핀(431)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의 층과, 하류 핀(432)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의 층을 포함하여 총 2개의 층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층 중에서 현열 핀(330)과 가장 인접한 층에는 상류 핀(431)이 배치된다. 상류 핀(431)의 총 개수가 현열 핀(330)의 총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total of two layers including one layer formed by the upstream fins 431 and one layer formed by the downstream fins 432 may be disposed. An upstream fin 431 is disposed on a layer closest to the sensible heat fin 330 among these layers. The total number of upstream fins 431 may be less than the total number of sensible heat fins 330 .

인접한 2개의 잠열 핀(430)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는, 인접한 2개의 현열 핀(330)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응축수가 잠열 핀(430) 사이에서 쉽게 맺혀 연소가스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현열 핀(330) 간의 간격보다 큰 잠열 핀(430) 간의 간격을 가지는 것이다. 잠열 핀(430) 내에서도, 인접한 2개의 하류 핀(432)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가, 인접한 2개의 상류 핀(431)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길 수 있다.A distance at which two adjacent latent heat fins 4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longer than a distance at which two adjacent sensible heat fins 3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condensed water from forming easily between the latent heat fins 430 and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combustion gas, the gap between the latent heat fins 430 is greater than the gap between the sensible heat fins 330. Even within the latent heat fin 430, the distance at which two adjacent downstream fins 4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at which two adjacent upstream fins 4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인접한 잠열 핀(430)이 소정 방향(D2)을 따라 이격된 거리인 소정의 간격은, 인접한 잠열 핀(430) 사이에서 연소가스가 응축되어 형성되는 응축수가 인접한 잠열 핀(430)을 서로 연결하지 않을 만큼의 거리일 수 있다. 즉, 인접한 잠열 핀(430) 간의 거리는, 응축수가 배출되기에 용이한 간격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interval,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latent heat fins 430 alo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condensate formed by condensing combustion gas between the adjacent latent heat fins 430 does not connect the adjacent latent heat fins 430 to each other. It may be far enough away.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latent heat fins 430 may be a distance that allows condensed water to be easily discharged.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류 핀(432)과 그 사이에 위치한 응축수(W)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여 잠열 핀(430) 중 하류 핀(432)을 예시로, 인접한 잠열 핀(430) 간의 거리에 대해 설명한다.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rality of downstream fins 432 and condensate water W disposed therebetwe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1 ,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latent heat fins 430 will be described using the downstream fin 432 of the latent heat fins 430 as an example.

하류 핀(432)의 표면에 응축수 물방울이 형성되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인접한 하류 핀(432)의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 물방울들이 합쳐져 잠열 핀(430) 사이의 공간을 막는 큰 응축수(W) 물방울이 되어, 연소가스가 원활하게 기준방향(D1)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하류 핀(432)을 소정의 간격 이상으로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응축수 물방울들이 서로 합쳐지지 않아 인접한 하류 핀(432) 사이로 연소가스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Condensate water droplets may be formed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ownstream fin 432. The condensat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djacent downstream fin 432 are combined to form a large condensate water droplet (W) blocking the space between the latent heat fins 430. Therefore, a problem may occur in that the combustion gas does not smoothly move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refore, by disposing the downstream fins 432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 condensed water droplets do not merge with each other and the combustion gas can flow between the adjacent downstream fins 432 .

구체적으로, 응축수(W)가 배출되기에 용이한 간격이란, 하류 핀(432) 사이에서 형성된 응축수(W)의 무게가, 하류 핀(432)과 응축수(W) 사이에 작용하는 장력(T)의 연직방향 합력보다 큰 상태에서의 인접한 하류 핀(432)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Specifically, the easy interval for the condensate (W) to be discharged means that the weight of the condensate (W) formed between the downstream fins 432 is the tension (T) acting between the downstream fins 432 and the condensate (W). It means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downstream fins 432 in a state greater than the vertical resultant force of .

도면을 살펴보면, 응축수(W)가 서로 d만큼의 거리를 두고 떨어진, 서로 인접하고 소정 방향(D2)으로 b만큼의 폭을 가진 하류 핀(432) 사이를 막고 있다. 이 때 h만큼의 높이로 형성되는 응축수(W)의 체적력인 무게는, 응축수(W)의 체적인, 거리 d와 폭 b와 높이 h의 곱에, 응축수(W)의 비중인 Υ을 곱한 값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무게는 응축수에 연직하방으로 작용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 condensed water (W) blocks between downstream fins 43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 adjacent to each other and having a width of b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At this time, the weight, which is the volume force of the condensate (W) formed at a height of h, is the product of the volume of the condensate (W), the distance d, the width b, and the height h, multiplied by Υ,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densate (W). appears as a value. This weight acts vertically downward on the condensate.

한편, 이러한 응축수(W)에 연직상방으로 작용하는 힘은, 표면장력의 합력으로 형성된다. 응축수(W)의 수면을 연장한 선이 각 하류 핀(432)과 이루는 각도를 θ라 하고, 응축수(W)가 하류 핀(432)에 의해 당겨지는 표면장력을 T라고 할 때, 아래 수학식을 만족하는 거리 d가, 응축수(W)가 배출되기에 용이한 간격이다.On the other hand, the force acting vertically upward on the condensed water (W) is formed as a resultant force of the surface tension.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line extending the water surface of the condensate W and each downstream pin 432 is θ, and the surface tension of the condensate W pulled by the downstream pin 432 is T, the following equation A distance d that satisfies is an easy interval for the condensate (W) to be discharged.

Figure 112019135734074-pat00001
Figure 112019135734074-pat00001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이다.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고 하고 상기 수학식 1을 등식으로 바꿔서 사용하면, 응축수(W)의 높이(h)와, 응축수(W)가 배출되기에 용이한 하류 핀(432)의 간격(d)은 서로 반비례하는 관계에 있으므로, 잠열 열교환기(40)로부터 배출시키고자 하는 응축수의 적절한 높이를 선택함으로써, 응축수가 배출되기에 용이한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where g is the acceleration due to gravity. If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and Equation 1 is used as an equation, the height (h) of the condensate (W) and the distance (d) of the downstream pin 432, which is easy to discharge the condensate (W), are mutually Since the relationship is inversely proportional, by selecting an appropriate height of the condensed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latent heat exchanger 4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easy interval for the condensed water to be discharged.

일 상황에서 측정된 장력 T는 0.073N/m이다. 상온을 가정하면 응축수의비중은 1000kg/m3 이고, θ는 0도로 근사할 수 있으며, g는 9.8m/s2으로 근사할 수 있다. 응축수의 높이인 h가 주로 5mm 이상 8mm 이하의 구간에 분포하므로, 소정의 간격인 d는, 상기 값들을 대입하여 구하면, 일 상황에서 1.9mm 이상 3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핀의 개수와 간격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tension T measured in one situation is 0.073 N/m. Assuming room temperature, the specific gravity of condensate is 1000 kg/m 3 , θ can be approximated to 0 degrees, and g can be approximated to 9.8 m/s 2 . Since h, the height of the condensate, is mainly distributed in a range of 5 mm or more and 8 mm or less, the predetermined interval, d, can be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above values to be 1.9 mm or more and 3 mm or less in one situation. The description of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pins may also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ations thereof.

열교환기 유닛 - 하우징(510)과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Heat exchanger unit - housing (510) and Eurocap plates (363, 364)

다시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하우징(510)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510)은 현열 열교환 영역과 잠열 열교환 영역을 둘러싸서 정의하는 구성요소로, 단열측판(5120)과 일반측판(5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측판(5110)은 소정 방향(D2)을 따라 이격된 제1 일반측판(5113)과 제2 일반측판(5114)을 포함하고,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에 의해 각각 덮일 수 있다. 단열측판(5120)은 기준방향(D1) 및 소정 방향(D2)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형의 구성요소이다. 단열측판(5120)은 2개로 구성되어, 직교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측판(5120)가 열교환기 유닛의 두 측면을 형성한다. 단열측판(5120)의 내측면의 형상에 따라, 현열 열교환 영역과 잠열 열교환 영역의 측면 형상이 결정되는 것이다.The housing 510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0 . The housing 510 is a component that surrounds and defines a sensible heat exchange area and a latent heat exchange area, and may include an adiabatic side plate 5120 and a general side plate 5110. The general side plate 5110 includes a first general side plate 5113 and a second general side plate 5114 spaced apart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and may be covered by euro cap plates 363 and 364, respectively. The insulating side plate 5120 is a plate-shaped component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The insulating side plates 5120 may be composed of two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orthogonal direction. Thus, the insulating side plates 5120 form the two sides of the heat exchanger uni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ide plate 5120,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and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s determined.

여기서 단열측판(5120)이란, 외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감소시켜 단열을 달성하는 측판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현열 단열배관(340)이 인접하게 배치되는 측판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단열측판(5120)과 인접하게, 현열 단열배관(3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현열 단열배관(340)은, 현열 열교환 영역을 둘러싼 하우징(510)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내부를 통해 난방수가 유동함으로써, 현열 열교환 영역의 열이 하우징(51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양을 감소시키는 파이프형의 구성요소이다. 현열 단열배관(340)은 도시된 것과 같이 2개로 구성되어, 현열 열교환배관(320)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소정 방향(D2)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 5120 does not mean a side plate that achieves insulation 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to the outside, but is used in the sense of a side plate to which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0 is disposed adjacent to. Adjacent to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5120, a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340 may be further dispose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ousing 510 surrounding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and heating water flows through the insid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escaping from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510. It is a pipe type component.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0 is composed of two as shown, and may be disposed extending in the same predetermined direction D2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extends.

현열 단열배관(340)은, 도면과 같이 현열 단열배관(340)이 연장된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현열 단열배관(340)을 자른 단면상에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열 단열배관(340)이, 기준방향(D1)과 나란한 장축을 가지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현열 단열배관(340)에는, 제1 실시예의 현열 단열배관(도 2의 34)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0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on a cross section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0 cut with a plane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0 extends. Specifically,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0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long axis parallel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description of the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34 in FIG. 2)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340 of the third embodiment in the same manner.

일반측판(5110)과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는 기준방향(D1) 및 직교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의 구성요소이다. 일반측판(5110)은 2개로 구성되어, 현열 열교환배관(320)이나 잠열 열교환배관(420)이 연장된 소정 방향(D2)으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일반측판(5110)이 배치될 때, 각 현열 직선부와 각 잠열 직선부(421, 422)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현열 직선부와 잠열 직선부(421, 422)의 양단이 2개의 일반측판(5113, 5114)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도 마찬가지로 2개로 구성되어, 일반측판(5110)을 외측으로부터 덮으며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측판(5110)과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가, 단열측판(512)이 덮지 않은 열교환기 유닛의 나머지 2개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측판(5110)의 내측면의 형상에 따라, 현열 열교환 영역과 잠열 열교환 영역의 다른 측면 형상이 결정되는 것이다.The general side plate 5110 and the euro cap plates 363 and 364 are plate-shaped components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orthogonal directions. The general side plate 5110 is composed of two pieces, and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2 in which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or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extends. When the two normal side plates 5110 are arranged, they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each sensible heat straight part and each latent heat straight part 421, 422,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sensible and latent heat linear portions 421 and 422 may be coupled through the two general side plates 5113 and 5114 . The euro cap plates 363 and 364 are similarly composed of two, and may be combined while covering the general side plate 5110 from the outside. Thus, the normal side plate 5110 and the euro cap plates 363 and 364 may form the other two sides of the heat exchanger unit not covered by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512 .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normal side plate 5110, the shape of the other sid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and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s determined.

유로캡 플레이트(312, 313)는 복수의 유로캡이 형성되는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4)와 제1 유로캡 플레이트(363)를 포함하여, 각각이 제2 일반측판(5114)과 제1 일반측판(5113)을 덮어, 현열 직선부 또는 잠열 직선부(421, 422) 의 양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중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4)에는 난방수 공급구(3710)와 난방수 배출구(3720)가 배치될 수 있다. 난방수 공급구(3710)는 외부로부터 잠열 열교환배관(420)이 형성하는 일체의 잠열유로의 일단으로 난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개구로, 잠열유로의 입구가 될 수 있으며, 난방수 배출구(3720)는 현열 열교환배관(320)이 형성하는 일체의 현열유로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난방수를 배출할 수 있는 개구로, 현열유로의 출구가 될 수 있다. The euro cap plates 312 and 313 include a second euro cap plate 364 and a first euro cap plate 363 on which a plurality of euro caps are formed, respectively, the second general side plate 5114 and the first general side plate 5114. Covering the side plate 5113, it can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sensible or latent heat linear portions 421 and 422. Among them, a heating water supply port 3710 and a heating water outlet 372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euro cap plate 364 .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3710 is an opening through which heating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one end of the latent heat passage formed by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and can be an inlet to the latent heat passage,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3720 is an opening through which heating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one end of the integral sensible heat passage formed by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to the outside, and can be an outlet of the sensible heat passage.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난방수 공급구(3710)를 통해서 난방수가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잠열 열교환배관(420)에 난방수가 전달될 수 있다.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난방수 배출구(3720)를 통해, 현열 열교환배관(320)에서 가열된 난방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난방수 공급구(3710)와 난방수 배출구(372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ating water may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3710 located at a relatively down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the heating water may be delivered to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The heating water heated in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ort 3720 located on a relatively up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However, the locations of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3710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3720 are not limited thereto.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 중 어느 하나는, 하우징(510)을 구성하는 측판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잠열유로의 출구와, 상기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현열유로의 입구를 연통하기 위해, 상기 어느 하나와의 사이에 잠열유로의 출구와 현열유로의 입구를 에워싸는 연통공간을 마련하는 유로캡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유로캡은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4)에 구비되는 제2 유로캡(3642)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측판 중 어느 하나는,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4)와 함께 연통공간을 마련하는 제2 일반측판(5112)이 된다. 그러나 현열유로의 입구와 잠열유로의 출구를 연통하는 측판과 유로캡 플레이트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One of the flow cap plates 363 and 364 communicates the outlet of the latent heat flow path exposed to the outside of any one of the side plates constituting the housing 510 with the inlet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exposed to the outside of any one of the side plates constituting the housing 510. To do this, a flow path cap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bove one and a communication space surrounding the outlet of the latent heat flow path and the inlet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euro cap may be a second euro cap 3642 provided on the second euro cap plate 364 . Therefore, one of the side plates becomes the second general side plate 5112 providing a communication space together with the second euro cap plate 364 . However, the side plate and the flow cap plate communicating the inlet of the sensible heat passage and the outlet of the latent heat passage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난방수 공급구(3710)와 난방수 배출구(3720)에 연결될 수 있는 난방수관과 메인 유로에 대해서, 제1 실시예의 난방수관과 메인 유로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heating water pipe and the main flow path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heating water pipe and the main flow path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3710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3720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우징(510)이 형성하는 열교환 영역의 형상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 area formed by the housing 510

기준방향(D1)에 수직한 평면에서 정의되는 각 열교환 영역의 단면적을 기준 단면적이라고 하자. 하우징(510)은,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가장 상류측의 기준 단면적보다 가장 하류 측의 기준 단면적이 작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 현열 열교환 영역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속도보다, 잠열 열교환 영역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열교환 영역의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점차 줄어드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형성되도록, 하우징(510)이 마련될 수 있다.Assum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heat exchange region defined i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is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The housing 510 may have a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most downstream side smaller than a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most upstream side in the reference direction D1 .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t exchange area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is formed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s higher than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510) may be provided.

기준 단면적이 상기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드는 구간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도록 하우징(5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 영역은 전체적으로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테이퍼(taper)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열교환 영역의 기준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하우징(5120)이 형성됨에 따라, 연소가스가 잠열 열교환 영역에서 유동할 때 특정한 위치에서 유속이 매우 감소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데드존(dead zone)이 발생하는 것을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잠열 열교환배관(420)이 2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응축수가 잠열 핀(430) 사이의 공간을 가로막거나, 잠열 열교환 영역의 기준방향(D1)을 따른 길이가 길어져, 열효율이 저해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테이퍼진 형상을 하우징에 의해 열교환 영역이 가짐으로써 극복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직교 방향에서의 열교환 영역의 폭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가면서 줄어드는 구간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도록 하우징(510)이 형성되고, 소정 방향(D2)에서의 열교환 영역의 폭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준방향(D1)을 따라가면서 소정 방향(D2)에서의 폭은 유지되는 상태로, 직교 방향의 폭만 줄어들어서, 기준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측판(5110)은 일반적인 판형으로 형성되되, 단열측판(5120)이 도시된 것과 같이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510 may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refore, the entire heat exchange area may have a tapered shape as it go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As the housing 5120 is formed such that the standard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t exchange area is reduced in this way, when the combustion gas flows in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the flow rate is greatly reduced at a specific location, resulting in a dead zone with very low heat transfer efficiency. This can be prevented by Bernoulli's principle. In particular, when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is formed of two or more layers a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ensed water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latent heat fins 430, or the reference direction D1 of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area The length along the length increases, and thermal efficiency may be hindered. However, this tapered shape can be overcome by having a heat exchange area by the housing. Specifically, the housing 510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heat exchange reg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the width of the heat exchange region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is It may be formed to be kept constant as it goes along the direction (D1). That is, while the width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2 is maintain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only the width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n order to form such a shape, the general side plate 5110 may be formed in a general plate shape, but the insulating side plate 5120 may be formed by being bent as shown.

구체적으로, 도 20을 참조하면, 잠열 열교환 영역에 해당하는 구간은 상류 핀(431)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A2)으로부터 하류 핀(432)의 출구단이 위치하는 지점까지의 구간이다. 잠열 열교환 영역에서 기준방향(D1)을 따라 기준 단면적이 줄어드는 구간이, 제2 지점(A2)과 제3 지점(A3) 사이 및 제4 지점(A4)과 제6 지점(A6) 사이에 형성된다. 반대로, 기준 단면적이 유지되는 구간이, 제3 지점(A3)과 제4 지점(A4) 사이 및 제6 지점(A6)과 하류 핀(432)의 출구단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잠열 열교환 영역에는 해당하지 않으나, 열교환 영역의 일부인 제1 지점(A1)과 제2 지점(A2)의 사이 구간 역시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줄어드는 구간이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0 ,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latent heat exchange region is the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A2 where the inlet end of the upstream fin 431 is located to the point where the outlet end of the downstream fin 432 is located. am. A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in the latent heat exchange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oint A2 and the third point A3 and between the fourth point A4 and the sixth point A6. . Conversely, a section where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maintained is formed between the third point A3 and the fourth point A4 and between the sixth point A6 and the outlet end of the downstream pin 432 . Also, the section between the first point A1 and the second point A2,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but is a part of the heat exchange area, is also a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도 20에서는, 열교환 영역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직교 방향에서의 폭이 줄어드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과, 직교 방향에서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In FIG. 20 , the heat exchange region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width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width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s kept constant. You can check.

구체적으로, 제2 지점(A2)으로부터 제3 지점(A3)에 이르는 구간 및 제4 지점(A4)에서 제6 지점(A6)에 이르는 구간에서는 잠열 열교환 영역의 직교 방향에서의 폭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3 지점(A3)에서 제4 지점(A4)에 이르는 구간과, 제6 지점(A6)에서 하우징(510)의 가장 하류측에 이르는 구간에서는 직교 방향에서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A2 to the third point A3 and the section from the fourth point A4 to the sixth point A6, the width of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s the reference direction ( It can be seen that it decreases along D1).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width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s maintained constant in the section from the third point A3 to the fourth point A4 and the section from the sixth point A6 to the most downstream side of the housing 510. can

잠열 열교환배관(420)의 각 직선부(421, 422)가 위치하는 구간에서는, 직교 방향에서의 폭이 대략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각 직선부 사이에 위치한 구간에서는 유속이 빨라지도록,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In the section where each of the straight parts 421 and 422 of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are located, the width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s maintained approximately constant so that heat exchange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and in the section located between each straight part, the flow rate It can be seen that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so that the reference cross-section becomes faster.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각 핀(330, 431, 432)의 가장 상류 측을 입구단, 가장 하류 측을 출구단이라 지정하여 이러한 열교환 영역의 형상을 설명할 수 있다. 하우징(510)은, 현열 핀(330)의 출구단 측에서 잠열 핀(430)의 입구단 측으로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들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0에서는, 현열 핀(330)의 출구단이 위치하는 제1 지점(A1)에서, 잠열 핀(430)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A2)까지 이르는 구간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들도록 하우징(510)이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 area can be explained by designating the most upstream side of each fin 330 , 431 , and 432 as an inlet end and the most downstream side as an outlet end of each fin 330 , 431 , and 432 based on the reference direction D1 . The housing 510 may have a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reduced from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 to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at is, in FIG. 20 , the sec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oint A1 where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 is located to the second point A2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 is located is the reference direction D1 ), the housing 5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along.

상류 핀(431)의 입구단측의 기준 단면적보다, 하류 핀(432)의 입구단 측의 기준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하우징(51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류 핀(431)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A2)에서의 기준 단면적보다, 하류 핀(432)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5 지점(A5)에서의 기준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되도록, 제2 지점(A2)과 제5 지점(A5) 사이의 구간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줄어드는 구간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The housing 51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standard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end side of the downstream pin 432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end side of the upstream pin 431 . That is,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fifth point A5 where the inlet end of the downstream pin 432 is located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second point A2 where the inlet end of the upstream pin 431 is located. , The section between the second point A2 and the fifth point A5 includes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도 20을 참조하면, 현열 열교환 영역의 일부 구간의 기준 단면적 역시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들도록 하우징(51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 the housing 5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a partial section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also decreases gradually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열교환 영역의 폭이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화하므로,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직교 방향에서의 폭이 줄어드는 구간을 각 핀이 가질 수 있다.Since the width of the heat exchange region changes as described above, each fin may have a section in which the width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열교환 영역 내에 위치한 현열 핀(330)이나 잠열 핀(430) 중 하우징(510)의 내측면과 맞닿는 영역은, 기준방향(D1)에 수직한 방향에서 정의되는 핀의 폭을 기준으로,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것에 대응되게, 기준방향(D1)을 따라 폭이 점차 줄어들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현열 핀(330)의 출구단과 인접한 영역 및 제4 지점(A4)에서 상류 핀(431)의 출구단에 이르는 구간에 위치한 상류 핀(431)의 폭이, 하우징(510)의 내측면의 형상에 따라 기준방향(D1)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mong the sensible heat fins 330 or latent heat fins 430 located in the heat exchange area,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510 has a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based on the width of the fin defin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Corresponding to the gradual reduction, the width may be gradually reduc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Referring to FIG. 20 , the width of the upstream fin 431 locat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 and in the section from the fourth point A4 to the outlet end of the upstream fin 431 is the housing 51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 it can be confirmed that it decreases toward the reference direction (D1).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2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1열의 현열 열교환배관(320)과 2열의 잠열 열교환배관(420)을 가지는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22,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having one row of sensible heat exchange pipes 320 and two rows of latent heat exchange pipes 420 a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510b) 역시,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가장 상류 측의 기준 단면적보다 가장 하류 측의 기준 단면적이 작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The housing 510b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may also be provided so that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most downstream sid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most up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하우징(510b)은, 현열 열교환 영역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속도보다 잠열 열교환 영역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기준방향(D1)을 따라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형성되게 마련될 수 있다. 기준 단면적이 줄어드는 구간이 배치됨에 따라 열교환기 유닛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도 20에 대해 설명된 내용에 갈음한다.In the housing 510b,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is formed so that the flow rate of combustion gas in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s higher than the flow rate of combustion gas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can be provided. As th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is arranged, the effect obtained by the heat exchanger unit replaces the description with respect to FIG. 20 .

하우징(510b)은, 현열 핀(330b)의 출구단 측에서 잠열 핀(430b)의 입구단 측으로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들게 마련될 수 있다. 현열 핀(330b)의 출구단이 위치하는 제1 지점(B1)으로부터, 잠열 핀(430b)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B2)까지 이르는 구간의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점차 줄어들도록 하우징(510b)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510b may have a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reduced from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b to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b.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oint B1 where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b is located to the second point B2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b is located follows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housing 510b may be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along the way.

잠열 핀(430b)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B2)으로부터 하류 핀(432b)의 출구단까지 이르는 구간에서, 열교환 영역이 그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드는 구간과 유지되는 구간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점(B2)에서의 기준 단면적보다, 하류 핀(432b)의 출구단에서의 기준 단면적이 더 작을 수 있다.In the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B2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b is located to the outlet end of the downstream fin 432b, the heat exchange area is maintained with th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It can only have a section that is . Therefore,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outlet end of the downstream pin 432b may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second point B2 .

하우징(510b)은, 잠열 핀(430b)의 입구단 측에서 잠열 핀(430b)의 출구단 측으로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들게 마련될 수 있다. 잠열 핀(430b)의 일종인 상류 핀(431b)의 입구단이 위치한 제2 지점(B2)으로부터 상류 핀(431b)의 출구단이 위치한 제3 지점(B3)에 이르는 구간의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510b may gradually decrease from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b to the out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b.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B2 where the inlet end of the upstream fin 431b, which is a type of latent heat fin 430b, is located to the third point B3 where the outlet end of the upstream fin 431b is located, is It may be formed to decrease as it goes along the direction D1.

하우징(510b)은, 상류 핀(431b)의 입구단 측의 기준 단면적보다 하류 핀(432b)의 입구단 측의 기준 단면적이 작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류 핀(431b)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B2)으로부터 하류 핀(432b)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4 지점(B4)에 이르는 구간에서,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들도록 하우징(510b)이 마련되어,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The housing 510b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tandard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end of the downstream pin 432b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end of the upstream pin 431b. In the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B2 where the inlet end of the upstream pin 431b is located to the fourth point B4 where the inlet end of the downstream pin 432b is located,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housing 510b is provided so as to gradually decrease, and this condition can be satisfied.

도면을 참조하면, 잠열 열교환 영역은,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드는 구간인 제2 지점(B2)부터 제5 지점(B5)에 이르는 구간과, 기준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인 제5 지점(B5)부터 하류 핀(432b)의 출구단에 이르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ncludes a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B2 to the fifth point B5, which is a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a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kept constant. It may have a section from the fifth point B5 to the outlet end of the downstream pin 432b.

잠열 핀(430b) 중 하우징(510b)의 내측면과 맞닿는 영역은, 직교 방향에서 정의되는 핀의 폭을 기준으로,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것에 대응되게, 기준방향(D1)을 따라 폭이 점차 줄어들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잠열 열교환 영역이 포함하는, 상류 핀(431b)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B2)부터 출구단이 위치하는 제3 지점(B3)까지의 구간의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들도록 하우징(510b)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류 핀(431b)의 직교 방향에서 정의되는 폭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들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Of the latent heat fins 430b,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510b gradually decreases in width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corresponding to the gradual decrease i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based on the width of the fin defin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can be provided.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B2 where the inlet end of the upstream fin 431b is located to the third point B3 where the outlet end of the upstream fin 431b is located, which is included in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s the reference The housing 510b is provided so as to decrease as it goes along the direction D1. Therefore, the upstream fin 431b may be formed in a tapered shape such that the width defin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2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1열의 현열 열교환배관(320c)과 2열의 잠열 열교환배관(420c)을 가지는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와 본 제2 변형예의 열교환배관은, 본 변형예에서 현열 열교환배관(320c)의 직선부가 총 5개, 상류 직선부(421c)가 총 6개 배치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In FIG. 23,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having one row of sensible heat exchange pipes 320c and two rows of latent heat exchange pipes 420c a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 The heat exchange pipe of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second modified example are different in that a total of 5 straight parts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c and a total of 6 upstream straight parts 421c are arranged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but tha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510c) 역시,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가장 상류 측의 기준 단면적보다 가장 하류 측의 기준 단면적이 작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The housing 510c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may also be provided so that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most downstream sid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most up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하우징(510c)은, 현열 열교환 영역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속도보다 잠열 열교환 영역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기준방향(D1)을 따라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형성되게 마련될 수 있다. 기준 단면적이 줄어드는 구간이 배치됨에 따라 열교환기 유닛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도 20에 대해 설명된 내용에 갈음한다.In the housing 510c,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is formed so that the flow rate of combustion gas in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s higher than the flow rate of combustion gas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can be provided. As th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is arranged, the effect obtained by the heat exchanger unit replaces the description with respect to FIG. 20 .

하우징(510c)은, 현열 핀(330c)의 출구단 측에서 잠열 핀(430c)의 입구단 측으로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들게 마련될 수 있다. 현열 핀(330c)의 출구단이 위치하는 제1 지점(C1)으로부터, 잠열 핀(430c)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C2)까지 이르는 구간의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점차 줄어들도록 하우징(510c)이 형성될 수 있다.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510c may gradually decrease from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c to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c.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oint C1 where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c is located to the second point C2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c is located follows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housing 510c may be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along the way.

하우징(510c)은, 잠열 핀(430c)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C2)으로부터 하류 핀(432c)의 출구단까지 이르는 구간에서, 열교환 영역이 그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드는 구간과 유지되는 구간만을 가지도록 마련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점(C2)에서의 기준 단면적보다, 하류 핀(432c)의 출구단에서의 기준 단면적이 더 작을 수 있다.In the housing 510c, in a sec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point C2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c is located to the outlet end of the downstream fin 432c, the heat exchange region has a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n the reference direction D1. It may be prepared to have only a section that decreases as it goes along and a section that is maintained. Accordingly,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outlet end of the downstream pin 432c may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second point C2.

이러한 잠열 열교환 영역의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한정하여, 하우징(510c)은, 상류 핀(431c)의 입구단 측의 기준 단면적보다 하류 핀(432c)의 입구단 측의 기준 단면적이 작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류 핀(431c)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C2)으로부터 하류 핀(432c)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5 지점(C5)에 이르는 구간에서,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들도록 하우징(510c)이 마련되어,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By more specifically limiting the shape of the latent heat exchange region, the housing 510c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standard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side of the downstream fin 432c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side of the upstream fin 431c. there is. In the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C2 where the inlet end of the upstream pin 431c is located to the fifth point C5 where the inlet end of the downstream pin 432c is located,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housing 510c is provided so as to gradually decrease, and this condition can be satisfied.

도면을 참조하면, 잠열 열교환 영역은,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드는 구간인 제2 지점(B2)으로부터 제3 지점(C3)에 이르는 구간 및 제5 지점(C5)으로부터 제6 지점(C6)에 이르는 구간과, 기준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인 제3 지점(C3)으로부터 제4 지점(C4)에 이르는 구간 및 제6 지점(C6)으로부터 하류 핀(432c)의 출구단에 이르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ncludes a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B2 to the third point C3, and a section from the fifth point C5 to the sixth point C5, which is a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section from the point C6, the section from the third point C3 to the fourth point C4, which is th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kept constant, and the outlet end of the downstream pin 432c from the sixth point C6 can have an interval reaching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르면, 잠열 핀(430c) 중 어느 하나의 입구단은 다른 핀과 같이 골과 돌출부를 복수 개 가지는 것이 아니라,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end of any one of the latent heat fins 430c may be formed flat instead of having a plurality of valleys and protrusions like other fins.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2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은, 1열의 현열 열교환배관(320e)과 1열의 잠열 열교환배관(420e)을 포함한다. 현열 열교환배관(320e)이 포함하는 직선부는 4개로, 잠열 열교환배관(420e)이 포함하는 직선부는 6개로 구성되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24 ,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row of sensible heat exchange pipes 320e and one row of latent heat exchange pipes 420e. The straight part includ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e is composed of 4 pieces, and the straight part included in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e is composed of 6 pieces,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510e) 역시,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가장 상류 측의 기준 단면적보다 가장 하류 측의 기준 단면적이 작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The housing 510e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may also be provided so that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most downstream sid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most up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하우징(510e)은, 현열 열교환 영역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속도보다 잠열 열교환 영역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기준방향(D1)을 따라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형성되게 마련될 수 있다. 기준 단면적이 줄어드는 구간이 배치됨에 따라 열교환기 유닛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도 20에 대해 설명된 내용에 갈음한다.In the housing 510e,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is formed so that the flow rate of combustion gas in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s higher than the flow rate of combustion gas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can be provided. As th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is arranged, the effect obtained by the heat exchanger unit replaces the description with respect to FIG. 20 .

하우징(510e)은, 현열 핀(330e)의 출구단 측에서 잠열 핀(430e)의 입구단 측으로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들게 마련될 수 있다. 현열 핀(330e)의 출구단이 위치하는 제1 지점(E1)으로부터, 제1 지점(E1)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지점(E2)까지의 구간은 기준 단면적이 유지되도록 형성되고, 제2 지점(E2)으로부터 잠열 핀(430e)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3 지점(E3)까지 이르는 구간의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점차 줄어들도록 하우징(510e)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현열 핀(330e)의 출구단 측에서 잠열 핀(430e)의 입구단 측으로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증가하지 않는다.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510e may gradually decrease from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e to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e. The section from the first point E1 where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e is located to the second point E2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point E1 is formed such that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maintained. The housing 510e may be formed such that a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a sec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point E2 to the third point E3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e is located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re is. Accordingly,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does not increase from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e to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e.

하우징(510e)은, 잠열 핀(430e)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3 지점(E3)으로부터 잠열 핀(430e)의 출구단이 위치한 제5 지점(E5)까지 이르는 구간에서, 열교환 영역이 그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드는 구간과 유지되는 구간만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잠열 핀(430c)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3 지점(E3)으로부터 제3 지점(E3)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4 지점(E4)에 이르는 구간에서,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들 수 있고, 제4 지점(E4)으로부터 제5 지점(E5)에 이르는 구간에서는 기준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잠열 핀(430e)의 입구단이 위치한 제3 지점(E3)에서의 기준 단면적보다, 잠열 핀(430e)의 출구단이 위치한 제5 지점(E5)에서의 기준 단면적이 더 작을 수 있다.In the housing 510e, the heat exchange area is the reference in the section from the third point E3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e is located to the fifth point E5 where the out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e is located. It may be prepared to have only a section where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it go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a section where the section is maintained. In the section from the third point E3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c is located to the fourth point E4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third point E3,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follows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maintained constant in the section from the fourth point E4 to the fifth point E5, so that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maintained at the third point E3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e is located.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fifth point E5 where the out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e is located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하우징(510e)은, 현열 핀(330e)의 출구단 측에서 잠열 핀(430e)의 입구단 측으로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제1 구간과, 잠열 핀(430e)이 하우징(510e)과 맞닿는 영역에서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가장 상류 측과 잠열 핀(430e)의 출구단 측의 사이에서 기준 단면적이 유지되는 제2 구간이 형성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간은 현열 핀(330e)의 출구단과 인접한 제2 지점(E2)으로부터 잠열 핀(430e)의 입구단이 위치한 제3 지점(E3)에 이르는 구간이고, 제2 구간은 제4 지점(E4)으로부터 제5 지점(E5)에 이르는 구간이다. 잠열 핀(430e)의 영역 중 하우징(510e)의 내측면과 맞닿는 영역은, 기준방향(D1)에 수직한 방향인 직교 방향에서 정의되는 핀의 폭을 기준으로, 제2 구간에 대응되는 부분에서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housing 510e is formed in a first section in which the standard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e to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e, and a region where the latent heat fin 430e contacts the housing 510e. A second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maintained may be formed between the most upstream side of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the out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e. The first section is a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E2 adjacent to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e to the third point E3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e is located, and the second section is the fourth point E4. ) to the fifth point E5. Among the regions of the latent heat fin 430e, the reg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510e corresponds to the second section based on the width of the fin defin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width of may be provided to be kept constant.

도면을 참조하면, 잠열 열교환 영역은,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드는 구간인 제2 지점(E2)으로부터 제4 지점(E4)에 이르는 구간 과, 기준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인 제1 지점(E1)으로부터 제2 지점(E2)에 이르는 구간 및 제4 지점(E4)으로부터 제5 지점(E5) 에 이르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ncludes a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E2 to the fourth point E4, which is a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the reference direction D1 decreases, and a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kept constant. It may have a section from the first point E1 to the second point E2 and a section from the fourth point E4 to the fifth point E5.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2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은, 1열의 현열 열교환배관(320f)과 1열의 잠열 열교환배관(420f)을 포함한다. 현열 열교환배관(320f)이 포함하는 직선부는 6개로, 잠열 열교환배관(420f)이 포함하는 직선부는 6개로 구성되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25 ,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row of sensible heat exchange pipes 320f and one row of latent heat exchange pipes 420f. The straight part includ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f is composed of 6 pieces, and the straight part included in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f is composed of 6 pieces,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제3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510f) 역시,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가장 상류 측의 기준 단면적보다 가장 하류 측의 기준 단면적이 작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The housing 510f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may also be provided so that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most downstream sid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most up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하우징(510f)은, 현열 열교환 영역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속도보다 잠열 열교환 영역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기준방향(D1)을 따라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형성되게 마련될 수 있다. 기준 단면적이 줄어드는 구간이 배치됨에 따라 열교환기 유닛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도 20에 대해 설명된 내용에 갈음한다.In the housing 510f,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is formed so that the flow rate of combustion gas in the latent heat exchange area is higher than the flow rate of combustion gas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area. can be provided. As the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is arranged, the effect obtained by the heat exchanger unit replaces the description with respect to FIG. 20 .

하우징(510f)은, 현열 핀(330f)의 출구단 측에서 잠열 핀(430f)의 입구단 측으로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점차 줄어들게 마련될 수 있다. 현열 핀(330f)의 출구단이 위치하는 제1 지점(F1)으로부터, 잠열 핀(430f)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E2)까지 이르는 구간의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점차 줄어들도록 하우징(510f)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현열 핀(330f)의 출구단 측에서 잠열 핀(430f)의 입구단 측으로 갈수록 기준 단면적이 증가하지 않는다.The housing 510f may have a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reduced from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f to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f.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oint F1 where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f is located to the second point E2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f is located follows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housing 510f may be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along the way. Accordingly,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does not increase from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0f to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f.

하우징(510f)은, 잠열 핀(430f)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F2)으로부터 잠열 핀(430f)의 출구단까지 이르는 구간에서, 열교환 영역이 그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드는 구간과 유지되는 구간만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잠열 핀(430f)의 입구단이 위치하는 제2 지점(F2)으로부터 제2 지점(F2)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3 지점(F3)에 이르는 구간에서, 기준 단면적이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줄어들 수 있고, 제3 지점(F3)으로부터 잠열 핀(430f)의 출구단에 이르는 구간에서는 기준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잠열 핀(430f)의 입구단이 위치한 제2 지점(F2)에서의 기준 단면적보다, 잠열 핀(430f)의 출구단에서의 기준 단면적이 더 작을 수 있다.In the housing 510f, in a sec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point F2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f is located to the out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f,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510f follows the reference direction D1. It may be prepared to have only a section that gradually decreases and a section that is maintained along the way. In the section from the second point F2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f is located to the third point F3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point F2,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follows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is kept constant in the section from the third point F3 to the out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f, so that at the second point F2 where the inle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f is located.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exit end of the latent heat fin 430f may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of .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잠열 핀(430f)은, 그 가장 하류측 단부에, 뽀족부(4201f)를 구비할 수 있다. 뾰족부(4201f)는 기준방향(D1)을 따라 갈수록 기준방향(D1)에 수직한 직교 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져, 뾰족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직교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뾰족부는, 연소가스의 상변화에 의해 잠열 핀(430f)에서 형성된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상술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latent heat fin 430f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ointed portion 4201f at its most downstream end. The sharp portion 4201f has a narrower width in the orthogo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as it goe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is formed as a sharp portion. A plurality of pointed portions 4201f may be provided along the orthogonal direction. The pointed portion may have the above-described shape so that condensate formed in the latent heat fin 430f due to a phase change of combustion gas may be collected.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의 각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according to each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2 일반측판(5114)을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4)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제1 일반측판(5113)을 제1 유로캡 플레이트(363)가 포함하는 유로캡들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이 포함하는 전체 유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6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general side plate 5114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euro caps included in the second euro cap plate 364. 27 is a view showing the first general side plate 5113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euro caps included in the first euro cap plate 363.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flow path included in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 내지 도 2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현열 열교환배관(320), 잠열 열교환배관(420) 및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에 의해서 형성되는 유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유로가 지나가는 영역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도 28에서는 열교환기 유닛의 일반측판(5110)과 단열측판(5120) 및 핀을 제거한 상태에서, 각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의 유로캡을 도시하지 않았다.26 to 28 for the flow path formed by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and the flow cap plates 363 and 364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FIGS. Explain. 28, in a state in which the general side plate 5110,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5120, and the pins of the heat exchanger unit are removed, the passages of the respective passage cap plates 363 and 364 are shown in FIG. Cap not shown.

도 26은, 도 29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도 29의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2)로부터 H-H' 선을 따라 열교환기 유닛을 바라본 모습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2 일반측판(5114)과 현열 열교환배관(320), 잠열 열교환배관(420), 현열 단열배관(3410, 3420)의 모습에,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4)의 유로캡(3641, 3642, 3643, 3644, 3645)들을 점선으로 도시한 것이다. 동일한 방법으로 도 9를 설명하면, 도 29의 G-G'선을 따라 제1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71)가 끼워지는 제1 메인 일반측판(5111)을 바라본 모습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1 현열 일반측판(5111)과 현열 열교환배관(320), 잠열 열교환배관(420), 현열 단열배관(3410, 3420)의 모습에, 제1 유로캡 플레이트(363)의 유로캡(3631, 3632, 3633, 3634)들을 점선으로 도시한 것이다.26 is described us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29,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a view of the heat exchanger unit along the line H-H' from the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of FIG. 29 In the appearance of the second general side plate 5114,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s 3410 and 3420 of the third embodiment, the euro cap of the second euro cap plate 364 ( 3641, 3642, 3643, 3644, and 3645) are shown as dotted lines. Referring to FIG. 9 in the same way,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view of the first main general side plate 5111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euro cap plate 71 is inserted along the line G-G' of FIG. 29 In the form of the first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5111,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20,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0, 3420 of the embodiment, the euro cap 3631 of the first euro cap plate 363 , 3632, 3633, 3634) are shown as dotted lines.

현열 직선부들은, 난방수가 유동하는 현열유로를 형성하고, 잠열 직선부(421, 422)들은 난방수가 유동하고 상기 현열유로에 연통되는 잠열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현열유로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직렬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잠열유로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병렬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ble heat straight parts may form a sensible heat passage through which heating water flows, and the latent heat straight parts 421 and 422 may form a latent heat passage through which heating water flows and communicates with the sensible heat passage. The sensible heat flow path may include a serial flow path in at least some sections, and the latent heat flow path may include parallel flow passages in at least some sections.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로캡 플레이트(363)와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4)에는 제1 유로캡(3641), 제2 유로캡(3642), 제3 유로캡(3643), 제4 유로캡(3644) 및 제5 유로캡(3645)이 형성되고, 제1 유로캡 플레이트(363)에는 제6 유로캡(3631), 제 7 유로캡(3632), 제 8 유로캡(3633) 및 제 9 유로캡(3634)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에 형성되는 유로캡은, 열교환기 유닛의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고, 현열 열교환배관(320)이 포함하는 직선부들 또는 잠열 열교환배관(420)이 포함하는 직선부들(421, 422)의 단부와 연통되어, 난방수가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유로캡 플레이트(363, 364)의 유로캡이 일반측면(도 17의 5110)을 덮을 때 일반측면과 유로캡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난방수가 유동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uro cap plates 363 and 364 may include the first euro cap plate 363 and the second euro cap plate 364 . A first euro cap 3641, a second euro cap 3642, a third euro cap 3643, a fourth euro cap 3644, and a fifth euro cap 3645 are formed on the second euro cap plate 364. A sixth euro cap 3631, a seventh euro cap 3632, an eighth euro cap 3633, and a ninth euro cap 3634 may be formed on the first euro cap plate 363. The euro cap formed on each of the euro cap plates 363 and 364 is form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of the heat exchanger unit, and includes straight parts includ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or included in the latent heat exchange pipe 420. It communicates with the ends of the straight parts 421 and 422 and is formed so that the heating water can flow therein. When the euro cap of the euro cap plates 363 and 364 covers the general side surface (5110 in FIG. 17), the heating water flows in the space formed inside the general side surface and the euro cap.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4)의 가장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1 유로캡(3641)에는 난방수 공급구(3710)가 형성된다. 난방수 공급구(3710)를 통해서 난방수가 열교환기 유닛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난방수는 제1 유로캡(3641)에 일단이 연통된 하류 직선부(422)들을 통해서 유동한다. 따라서, 하류 직선부(422)들이 병렬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A heating water supply port 3710 is formed in the first flow cap 3641 located at the most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flow cap plate 364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Heat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unit through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3710 . The introduced heating water flows through downstream straight parts 422 having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flow cap 3641. Thus, the downstream straight portions 422 may form parallel passages.

하류 직선부(422)을 통해서, 하류 직선부(422)의 타단이 연통된 제6 유로캡(3631)에 난방수가 도달한다. 제6 유로캡(3631)에는, 하류 직선부(422)의 타단과 상류 직선부(421)들의 일단이 연통된다. 따라서 난방수는 제6 유로캡(3631)에서 상류 직선부(421)들로 유입되어, 상류 직선부(421)들을 따라 유동한다. 따라서, 상류 직선부(421)들이 병렬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rough the downstream straight part 422, the heating water reaches the sixth flow path cap 3631 with which the other end of the downstream straight part 422 communicates. The other end of the downstream straight part 422 and one end of the upstream straight part 421 communicate with the sixth flow cap 3631 . Accordingly, the heat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upstream straight parts 421 from the sixth flow cap 3631 and flows along the upstream straight parts 421 . Accordingly, the upstream straight portions 421 may form parallel passages.

상류 직선부(421)들의 타단은 제2 유로캡(3642)에 연통되어, 상류 직선부(421)들을 따라 유동한 난방수를 제2 유로캡(3642)으로 전달한다. 제2 유로캡(3642)은 제1 현열 단열배관(3410)과 연통되어, 제1 현열 단열배관(3410)으로 난방수를 전달한다.The other ends of the upstream straight parts 421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cap 3642, and the heating water flowing along the upstream straight parts 421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flow cap 3642. The second flow cap 3642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0 and transfers heating water to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0 .

제1 현열 단열배관(3410)을 따라 이동한 난방수는, 제1 현열 단열배관(3410)이 연통된 제7 유로캡(3632)에 도달한다. 제7 유로캡(3632)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고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현열 직선부들을 따라서 지그재그 형태의 현열유로가 형성되는데, 난방수는 현열유로를 따라 제7 유로캡(3632)으로부터 제3 유로캡(3643)으로, 제3 유로캡(3643)으로부터 제8 유로캡(3633)으로, 제8 유로캡(3633)으로부터 제4 유로캡(3644)으로, 제4 유로캡(3644)으로부터 제9 유로캡(3634)으로 유동한다. 이러한 현열유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현열 단열배관(3410, 3420)들이 배치되는 경우, 현열 단열배관(3410, 3420)과 현열 열교환배관(320)이 포함하는 직선부들의 연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heating water moving along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0 reaches the seventh flow path cap 3632 through which the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0 communicates. A zigzag-shaped sensible heat flow path is formed along sensible heat straight lines that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seventh euro cap 3632 and can be connected in series. 3643, from the third euro cap 3643 to the eighth euro cap 3633, from the eighth euro cap 3633 to the fourth euro cap 3644, from the fourth euro cap 3644 to the ninth flow path It flows into cap 3634. When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s 3410 and 3420 are arranged a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ble heat passage is used for connecting the straight parts included in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s 3410 and 3420 and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0. can be implemented by

제 9 유로캡(3634)은 제2 현열 단열배관(3420)과도 연통되어, 제2 현열 단열배관(3420)을 따라서 난방수가 유동해 제5 유로캡(3645)에 도달한다. 제5 유로캡(3645)은 난방수 배출구(3720)와 연통되어, 제2 현열 단열배관(3420)을 통해 전달된 난방수가 난방수 배출구(3720)를 통해 가열된 상태로 배출된다. 하류 직선부(422)의 타단과 상류 직선부(421)의 일단이 연통되어 난방수가 전달되고, 상류 직선부(421)의 타단과 현열유로의 타단이 연통되어 난방수가 전달되는 이러한 전체 유로가 도 28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전체 유로를 따라가면서, 난방수가 가열되어 배출된다.The ninth flow cap 3634 is also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0, and the heating water flows along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0 to reach the fifth flow cap 3645. The fifth euro cap 3645 communicates with the heating water outlet 3720, and the heating water transferred through the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0 is discharged through the heating water outlet 3720 in a heated state. The other end of the downstream straight part 422 communicates with one end of the upstream straight part 421 to transfer heating water, and the other end of the upstream straight part 421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sensible heat passage to deliver heating water. 28 is indicated by an arrow. Along the entire passage, the heating water is heated and discharged.

제4 실시예Example 4

도 3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3)의 정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3)의 측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3)의 종단면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사시도이다.30 is a front view of a condensing boiler 3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side view of a condensing boiler 3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ndensing boiler 3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일종인 콘덴싱 보일러(3)는, 열교환기 유닛을 포함하고, 버너조립체(10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3)가 포함하는 현열 열교환기(30g), 잠열 열교환기(40g), 버너조립체(10g), 연소실(20g), 응축수 받이(55g), 응축수 배출구(53g) 및 배기 덕트(52g)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인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형태만 다소 다른 등 매우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대해 전술된 내용으로 대신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만 서술한다. 또한 물 가열기의 대표적인 예로 콘덴싱 보일러(3)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물 가열기는 온수기 등의 다른 종류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condensing boiler 3, which is a type of water hea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unit and a burner assembly 10g.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densing boiler 3 using the same include a sensible heat exchanger (30g), a latent heat exchanger (40g), a burner assembly (10g), a combustion chamber (20g), and a condensate receiver (55g), the condensate outlet (53g), and the exhaust duct (52g) are very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which a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uch as being the same or slightly different in shape, so that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for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only the differences are described. In addition, the condensing boiler 3 is assumed and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water heater, but the water heater may be another type such as a water heater.

현열 열교환기(30g)와 잠열 열교환기(40g)는, 각각 구성되어 각각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와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를 가질 수 있으나, 도시된 것과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를 구성할 수 있다.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g)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40g) are configured respectively and may have a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nd a latent heat exchanger case, respectively, but as shown in the figure, they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a condensing boiler heat exchanger (50g). can be configured.

마찬가지로,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와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는 서로 별개일수도 있으나, 도면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인 케이스(51g)가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와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를 모두 포함하고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case may be separate from each other,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the drawings. In this case, the main case 51g may include both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case and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이 연소실의 단열을 단열재를 이용하여 하기 위해 연소실 단열부를 배치하는 경우, 분진에 의해 단열재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단열재가 이탈할 우려가 있다.In the case of arranging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unit to insulate the combustion chamber us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ability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deteriorated due to dust,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separated.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연소실(20g)은, 전술한 다른 실시예들의 연소실(20)과 유사하게 형성되되, 단열재를 배치하여 단열을 실시하는 연소실 단열부(도 2의 24) 대신, 연소실 단열배관(24g)을 가질 수 있다. 연소실 단열배관(24g)은 연소실(20g)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연소실(20g)을 단열하기 위해, 난방수를 공급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시키는 배관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단열재를 이용하여 연소실(20g)의 단열을 유지하는 것 보다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연소실 단열배관(24g)을 이용해 개선된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20g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imilarly to the combustion chamber 20 of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art (FIG. 24) Instead, it may have a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20g, and is a pipe that receives heating water and flows it through the inside in order to insulate the combustion chamber 20g. Through thi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by using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which can be used semi-permanently, rather than maintaining insula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us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제4 실시예에서 연소실 단열배관(24g)과 현열 단열배관(34g)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타원형의 파이프가 각각의 단열배관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cross sections of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g may be circular. However, as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an elliptical pipe may be used as each insulated pipe.

현열 단열배관(34g)은 도 32에서 현열 열교환기(30g)의 좌측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현열 단열배관(341g)과 우측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현열 단열배관(342g)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 개수와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In FIG. 32,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g may include a fir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1g disposed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g and a second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g disposed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g. However, the number and loca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연소실 단열배관(24g)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소실 단열배관(241g, 242g, 243g, 244g)은 도 32에서 연소실(20g)의 좌우측에 인접하여,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선 연소실 단열배관(24g)이 총 4개 배치되되, 연소실(20g)의 좌측에 2개가 서로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연소실(20g)의 우측에 2개가 서로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The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241g, 242g, 243g, and 244g may be disposed adjacent to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in FIG. 32 and spaced apart vertically. In the drawing, a total of four insulation pipes 24g are disposed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wo are spaced vertically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and two are spaced apart vertically from each other on the righ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did

도 32에서 연소실(20g)의 좌측에 배치되는 연소실 단열배관(24g)은 아래로부터 제1 연소실 단열배관(241g) 및 제3 연소실 단열배관(243g)이고, 연소실(20g)의 우측에 배치되는 연소실 단열배관(24g)은 아래로부터 제2 연소실 단열배관(242g) 및 제4 연소실 단열배관(244g)으로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연소실 단열배관(24g)의 배치와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In FIG. 32,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is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1g and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3g from below, and the combustion chamber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The insulating pipe 24g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bustion chamber insulating pipe 242g and a fourth combustion chamber insulating pipe 244g from below. However, the arrangement and number of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24g are not limited thereto.

연소실 단열배관(24g)들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한 연소실 단열배관(24g)의 하단은, 현열 열교환기(30g)가 포함하는 현열 핀(33g)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버너조립체(10g)의 하단으로부터 현열 핀(33g)의 상단까지 이르는 거리(H1)는 80mm 이상 85mm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일산화탄소의 ??칭(quenching)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ng pipe 24g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ng pipes 24g may be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g includ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g. In this case, the distance H1 from the lower end of the burner assembly 10g to the upper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3g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80 mm and less than or equal to 85 mm.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quenching of carbon monoxide can be reduced.

일산화탄소의 ??칭 현상이란, 연소를 통해 발생한 일산화탄소가 연소실(20g) 내의 고온 영역에서 산소를 만나 이산화탄소로 변환되어 배출되지 못하고,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현열 열교환기(30g)에 접촉하면서 일산화탄소 상태 그대로 배출되는 현상을 의미한다.The quenching phenomenon of carbon monoxide means that the carbon monoxide generated through combustion meets oxygen in the high-temperature reg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20g), is converted to carbon dioxide, and is not discharged. refers to the phenomenon of release.

연소실(20g)은 연소실 케이스(21g)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실 케이스(21g)는 버너조립체(10g)에의한 화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22g)을 둘러싸 형성하는 부분이다. 연소실 케이스(21g)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연소실의 일반측판 부분과,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2개의 연소실의 일반측판 부분과 함께 연소실(20g)의 내부공간(22g)을 형성하는 2개의 연소실의 단열측판 부분을 포함하여, 상하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소실 케이스(21g)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combustion chamber 20g may include a combustion chamber case 21g.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is formed by surrounding the inner space 22g where the flame by the burner assembly 10g is located.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includes the general side plate parts of the two combustion cha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general side plate parts of the two combustion cha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internal space 22g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top and bottom open, including portions of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s of the two combustion chambers forming a. However,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is not limited thereto.

연소실의 일반측판 부분과 연소실의 단열측판 부분은, 서로 별물인 연소실의 일반측판(211g)과 연소실의 단열측판(212g)일 수도 있고, 각각 연소실 케이스(21g)의 측판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연소실의 일반측판 부분과 연소실의 단열측판 부분이, 서로 별물인 연소실의 일반측판(211g)과 연소실의 단열측판(212g)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general side plate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may be the general side plate 211g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212g of the combustion chamber, which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or may be part of the side plate of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l side plate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insulating side plate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will be mainly described when they are composed of the general side plate 211g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insulating side plate 212g of the combustion chamber, which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연소실의 단열측판(212g)의 외측면에 연소실 단열배관(24g)이 접촉하여, 연소실(20g)을 단열할 수 있다. 연소실 단열배관(24g)을 통해 난방수가 흘러,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열이 연소실 케이스(21g)를 통해 연소실(20g)의 외부 영역으로 전달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20g may be insulated by contacting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side plate 212g. Heating water flows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transferred to the outer reg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can be reduced.

연소실 단열배관(24g)이 접촉하는 연소실의 단열측판(212g)의 일부는, 연소실 단열배관(24g)의 외관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실의 단열측판(212g)이 단순한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연소실 단열배관(24g)의 외측면이 연소실의 단열측판(212g)과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접촉할 수 있다.A part of the insulation side plate 212g of the combustion chamber that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contacts may have a convexly protruding shape to correspond to the appearanc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Therefore, the out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pipe 24g can contact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side plate 212g over a wider area than when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side plate 212g is formed in a simple flat plate shape.

연소실(20g)은 연소실의 일반측판(211g)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1g, 252g)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1g, 252g)는, 후면에 위치하는 제1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1g)와, 정면에 위치하는 제2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2g)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1g, 252g)가 포함하는 연소실 유로캡(2511g, 2512g, 2521g, 2522g)은, 연소실의 일반측판(211g)과의 사이에 연통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연소실 유로캡(2511g, 2512g, 2521g, 2522g)이 아닌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1g, 252g)의 다른 부분은 연소실의 일반측판(211g)에 접촉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연소실 유로캡(2511g, 2512g, 2521g, 2522g)은 연소실의 일반측판(211g)으로부터 이격되어, 난방수가 수용될 수 있는 연통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20g may include combustion chamber passage cap plates 251g and 252g disposed outside the general side plate 211g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combustion chamber euro cap plates 251g and 252g may include a first combustion chamber euro cap plate 251g positioned at the rear and a second combustion chamber euro cap plate 252g positioned at the front. The combustion chamber passage caps 2511g, 2512g, 2521g, and 2522g inclu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passage cap plates 251g and 252g may provide a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m and the general side plate 211g of the combustion chamber. Other parts of the combustion chamber euro cap plates 251g and 252g other than the combustion chamber euro caps 2511g, 2512g, 2521g and 2522g may contact or be coupled to the general side plate 211g of the combustion chamber. However, the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caps 2511g, 2512g, 2521g, and 2522g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general side plate 211g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form a communication space in which heating water may be accommodated.

연통공간은, 연소실 단열배관(24g)들을 연통하기 위해, 연소실 단열배관(24g)들의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들을 에워싼다. 따라서 연통공간에 의해 연소실 단열배관(24g)들이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연소실 단열배관(24g)과 연통공간에 의해 난방수가 유동하는 연소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연소실 유로는, 입구인 연소실 공급구(261g)로 유입된 난방수가 출구인 연소실 배출구(262g)를 통해 배출되기 전 까지, 연소실 단열배관(24g)과 연통공간에 의해서 유동하는 경로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space surrounds openings formed at the ends of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24g to communicate with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24g. Therefore,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24g can be fluid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mmunication space, and a combustion chamber passage through which heating water flows can be formed by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and the communication space. The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may be a path through which heat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as an inlet flows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and the communication space until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discharge port 262g as an outlet.

열교환기 유닛이 포함할 수 있는 연결 어댑터(61g)를 이용하여, 현열 열교환기(30g)의 현열 열교환배관(32g)과 유로캡들에 의해 형성되는 현열유로와, 연소실 단열배관(24g)에 의해서 형성되는 연소실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어댑터(61g)는 도시된 것과 같이 정면에 위치하여 난방수 공급구(371g)가 형성되는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2g)에 형성되는 난방수 배출구(372g)와,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1g, 252g)에 형성되는 연소실 공급구(261g)를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에 대해 좌우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후면에는 제1 유로캡 플레이트(361g)가 배치될 수 있다.By using the connection adapter 61g that may be included in the heat exchanger unit, the sensible heat flow path formed by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g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g and the flow caps, and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The formed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may be connect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nection adapter 61g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and includes a heating water outlet 372g formed in the second euro cap plate 362g where the heating water supply port 371g is formed, a combustion chamber euro cap plate 251g, 252g) may be incline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nnect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formed therein. A first euro cap plate 361g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도 3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정면에서 연결 어댑터(61g)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전체적인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3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adapter 61g is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flow path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 및 도 3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연소실 유로(CR1)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실 유로(CR1)는 병렬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유로(HR)과 연결되어 난방수를 전달받는 연소실(20g)의 좌측에 배치된 연소실 단열배관들(241g, 243g)의 입구는 서로 공통될 수 있다. 연소실 공급구(261g)가 형성된 제1 연소실 유로캡(2521g)에 난방수가 유입되고, 이러한 제1 연소실 유로캡(2521g)에 연소실(20g)의 좌측에 배치된 연소실 단열배관들(241g, 243g)이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실(20g)의 좌측에 배치된 연소실 단열배관들(241g, 243g)의 입구가 공통되어, 난방수가 제1 연소실 단열배관(241g)과 제3 연소실 단열배관(243g)을 통해 갈라져 흘러갈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s. 34 and 35, the combustion chamber passage CR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chamber passages CR1 may be formed in parallel. Inlets of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241g and 243g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flow path HR and receiving heating water may be common to each other. Heating water flows into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flow cap 2521g in which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is formed, and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241g and 243g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in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flow cap 2521g this can be intertwined. Therefore, the inlet of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241g and 243g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is common, so that the heating water can flow through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1g and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3g. there is.

제1 연소실 단열배관(241g) 및 제3 연소실 단열배관(243g)을 통해 갈라져, 흘러간 난방수는, 각각 제2 연소실 유로캡(2511g)과 제3 연소실 유로캡(2512g)에 도달한다. 제3 연소실 유로캡(2512g)은 제2 연소실 유로캡(2511g)과 같은 제1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1g)에서, 그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소실 단열배관(241g)에 의해서 제1 연소실 유로캡(2521g)과 제2 연소실 유로캡(2511g)이 연통될 수 있고, 제2 연소실 단열배관(242g)에 의해서 제1 연소실 유로캡(2521g)과 제3 연소실 유로캡(2512g)이 연통될 수 있다.The heating water that flows through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1g and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3g reaches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flow cap 2511g and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flow cap 2512g, respectively.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euro cap 2512g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euro cap plate 251g like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euro cap 2511g. Therefore,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cap 2521g and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cap 2511g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1g, and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cap 2511g by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2g ( 2521g) and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euro cap 2512g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2 연소실 유로캡(2511g)과 제3 연소실 유로캡(2512g)은 좌우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소실 유로캡(2511g)과 제3 연소실 유로캡(2512g)은, 각각 연소실(20g)의 우측에 배치된 제2 연소실 단열배관(242g) 및 제4 연소실 단열배관(244g)과 연통될 수 있다. 연소실(20g)의 우측에 배치된 연소실 단열배관들(242g, 244g)은, 제1 연소실 유로캡(2521g)과 같은 제2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2g)에 형성되고 연소실 배출구(262g)가 형성되는 제4 연소실 유로캡(2522g)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실(20g)의 우측에 배치되는 연소실 단열배관들(242g, 244g)의 출구가 공통되어, 유체적으로 연결된 연소실 단열배관(24g)들이 전체적으로 병렬인 연소실 유로(CR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병렬유로를 가지는 연소실(20g) 구조는, 특히 콘덴싱 보일러(3)에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passage cap 2511g and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passage cap 2512g may be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cap 2511g and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cap 2512g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2g and the fourth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4g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respectively. there is.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pipes 242g and 244g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are formed on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passage cap plate 252g, such as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passage cap 2521g, and the combustion chamber outlet 262g is formed. It may communicate with the fourth combustion chamber euro cap 2522g. Therefore, the outlets of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242g and 244g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are common, so that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24g fluidically connected form a parallel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CR1 as a whole. The struct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having such a parallel passage can be particularly suitably used in the condensing boiler (3).

도 3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연소실(20g)의 정면에서 연결 어댑터(61g)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전체적인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3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adapter 61g is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flow path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 및 도 3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제3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3g)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실 유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르면, 제2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2g) 대신 제3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3g)에 의해, 열교환기 유로(HR)과 연결되어 난방수를 전달받는 연소실 유로(CR2)가 직렬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S. 36 and 37 , a combustion chamber passage formed by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passage cap plate 253g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cap plate 253g instead of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cap plate 252g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flow path HR to receive heating water. Combustion chamber passages CR2 may be formed in series.

제1 연소실 단열배관(241g)이 연소실 공급구(261g)와 연통되고, 제1 연소실 단열배관(241g)이 제2 연소실 유로캡(2511g)에 의해서 제2 연소실 단열배관(242g)과 연통되고, 제2 연소실 단열배관(242g)이 제3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3g)에 형성되는 제1 연소실 유로캡(2531g)에 의해서 제3 연소실 단열배관(243g)과 연통되고, 제3 연소실 단열배관(243g)이 제3 연소실 유로캡(2512g)에 의해서 제4 연소실 단열배관(244g)과 연통되어, 연소실 배출구(262g)로 난방수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연소실 유로캡(2511g, 2512g, 2531g)과 연소실 단열배관(241g, 242g, 243g, 244g)들이, 하나씩 차례로 연통되어 직렬적으로 연결된 직렬의 연소실 유로(CR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직렬유로를 가지는 연소실(20g)의 구조는, 특히 온수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1g communicates with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and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1g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2g by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flow cap 2511g,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insulated pipe 242g communicates with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insulated pipe 243g by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passage cap 2531g formed on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passage cap plate 253g, and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insulated pipe 243g ) communicates with the fourth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pipe 244g by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flow cap 2512g, so that heating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outlet 262g. Accordingly, the combustion chamber passage caps 2511g, 2512g, and 2531g and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241g, 242g, 243g, and 244g are communicated one by one to form a series of combustion chamber passages CR2 connected in series. The struct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having such a serial flow path can be particularly suitably used for a water heater.

도 3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50g for a condensing boil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는, 상술하였던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별물일 수 있는 현열 단열배관(34g), 현열 열교환배관(32g), 현열 핀(33g), 메인 단열측판(512g), 메인 일반측판(511g), 유로캡 플레이트(361g, 362g) 등을 서로 조립하되, 도 38에 도시된 것과 현열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를 배치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50g for a condensing boiler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assembling the sam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Assembl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g),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g), sensible heat fin (33g), main insulation side plate (512g), main general side plate (511g), euro cap plate (361g, 362g), etc. However, the heat exchanger 50g for the condensing boiler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sensible heat part faces downward as shown in FIG. 38 .

도 3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소실(20g)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mbustion chamber 20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연소실(20g)은,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별물일 수 있는 연소실 단열배관(24g), 연소실의 단열측판(212g), 연소실의 일반측판(211g) 및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1g, 252g) 등을 서로 조립하여 연소실(20g)을 구성하고 연소실 단열배관(24g)을 더 조립할 수 있고, 도 3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소실 공급구(261g)가 연소실 배출구(262g)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연소실(20g)을 배치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20g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assembling 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side plate (212g), combustion chamber general side plate (211g), combustion chamber flow cap plate (251g, 252g), etc., which may be separate products, are assembled together to form a combustion chamber (20g) and to insulate the combustion chamber. The pipe 24g may be further assembled, and the combustion chamber 20g may be arranged so that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is located above the combustion chamber outlet 262g as shown in FIG. 39 .

도 4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와 연소실(20g)을 결합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4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heat exchanger 50g for a condensing boiler and a combustion chamber 20g are couple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열교환기와 연소실을 기계요소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립불량의 발생이 빈번할 수 있고, 조립 과정이 번잡스러워져 조립에 필요한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A case in which the heat exchanger and the combustion chamber ar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mechanical elements may be considered. In this case, assembly defects may occur frequently, and assembly costs may increase due to a complicated assembly process.

도면을 참조하면, 도 39의 연소실(20g) 상에 도 38의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를 안착하고 서로 결합시켜 열교환기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와 연소실(20g)은, 금속성의 브레이징용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가열하여 용접하는 브레이징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와 맞닿을 연소실(20g)의 일면 및 연소실(20g)와 맞닿을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의 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연소실(20g) 상에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을 안착시켜 열교환기 유닛을 형성하고 브레이징 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eat exchanger 50g for the condensing boiler of FIG. 38 may be seated on the combustion chamber 20g of FIG. 39 and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heat exchanger unit. At this time, the condensing boiler heat exchanger 50g and the combustion chamber 20g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brazing method in which a metallic brazing paste is applied and heated to weld. Paste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one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densing boiler heat exchanger (50g) and one surface of the condensing boiler heat exchanger (50g) to be in contact with the combustion chamber (20g), and on the combustion chamber (20g). A heat exchanger unit for a condensing boiler (50g) may be seated to form a heat exchanger unit and brazing may be performed.

연소실(20g)과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를 조립할 때에도, 각각의 구성요소 간에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후에 가열을 통해 브레이징으로 각 구성요소들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조립과정에서의 비용이 감소하므로, 단열재에 비해 더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연소실 단열배관(24g)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Even when assembling the combustion chamber (20g) and the condensing boiler heat exchanger (50g), paste is applied between each component, and then each component can be firmly coupled by brazing through heating. Since the cost in the assembly process is reduced, it may be possible to use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which requires more cost than the insulation material.

연소실(20g)과 메인 케이스(51g)가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연소실(20g)과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50g)에는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연소실(20g)은 연소실 플랜지(213g)를 포함하고, 현열 열교환기(30g)는 연소실 플랜지(213g)와 맞닿는 열교환기 플랜지(513g)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플랜지(513g)와 연소실 플랜지(213g) 사이에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도 40과 같은 형태로 서로 접촉시킨 뒤, 로(furnace)에 진입시켜 가열함에 따라, 페이스트가 용융되고 젖음 현상 및 모세관 현상에 의해 두 부재 사이에 스며들어 브레이징이 이루어질 수 있다.A structure for sufficiently securing a contact area may be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20g and the heat exchanger 50g for a condensing boiler so that the combustion chamber 20g and the main case 51g can be firmly bonded. The combustion chamber 20g may include a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and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g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flange 513g abutting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After the paste is appli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flange 513g and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orm shown in FIG. Brazing can be achieved by permeating between the two members.

도 4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단면 중 연소실 플랜지(213g)와 열교환기 플랜지(513g)가 위치한 부분을 상하를 뒤집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41 is an upside down and enlarged view of a portion where a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and a heat exchanger flange 513g are located in a cross section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연소실 플랜지(213g)는 연소실 케이스(21g)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플랜지(513g)는,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소실 플랜지(213g)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징에 의해, 연소실(20g)과 현열 열교환기(30g)가 결합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The heat exchanger flange 513g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nd may be coupled with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Therefore, the combustion chamber 20g and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g can be coupled by brazing.

연소실 플랜지(213g)는 연소실 케이스(21g)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연소실의 단열측판(212g)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연소실(20g)은 연소실 케이스(21g)의 전후측에 배치되어 연소실의 일반측판(211g)으로부터 연장되는 전후 연소실 플랜지(214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현열 열교환기(30g)는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메인 단열측판(512g)으로부터 연장되는 열교환기 플랜지(513g)와,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의 전후측에 배치되어 메인 일반측판(511g)으로부터 연장되는 전후 열교환기 플랜지(514g)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flanges 213g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and may extend from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s 212g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combustion chamber 20g is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so that the general side plates of the combustion chamber ( 211g) may further include front and rear combustion chamber flanges 214g. Correspondingly,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g has heat exchanger flanges 513g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nd extending from the main adiabatic side plate 512g, and main common side plates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Front and rear heat exchanger flanges 514g extending from 511g.

연소실 플랜지(213g)와 열교환기 플랜지(513g)가 서로 결합되고, 전후 연소실 플랜지(214g)와 전후 열교환기 플랜지(514g)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연소실 플랜지(213g) 및 열교환기 플랜지(513g)에 대해 설명하는 내용은, 전후 연소실 플랜지(214g) 및 전후 열교환기 플랜지(514g)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and the heat exchanger flange 513g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ront and rear combustion chamber flanges 214g and the front and rear heat exchanger flanges 514g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and the heat exchanger flange 513g below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combustion chamber flanges 214g and the front and rear heat exchanger flanges 514g.

도 4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연소실 플랜지(213g)와 열교환기 플랜지(513g)가 위치한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42 shows a portion where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and the heat exchanger flange 513g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ocated.

도 42를 더 참조하여 플랜지 돌기(5133g)와 플랜지 개구(2133g)에 대해 설명한다. 연소실 플랜지(213g)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열교환기 플랜지(513g)는, 제1 결합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1 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중 하나는 플랜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랜지 돌기(5133g)이고, 다른 하나는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플랜지 개구(2133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제2 결합부로 플랜지 돌기(5133g)가 형성되고, 제1 결합부로 플랜지 개구(2133g)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나, 그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Further referring to Fig. 42, the flange projection 5133g and the flange opening 2133g will be described.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heat exchanger flange 513g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o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here is.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a flange protrusion 5133g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flange, and the other may be a flange opening 2133g formed through which the projection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flange protrusion 5133g is formed a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flange opening 2133g is formed as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hereto.

플랜지 개구(2133g)에 플랜지 돌기(5133g)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메인 케이스(51g)가 연소실(20g)에 안착되는 것이 가이드될 수 있다. 플랜지 개구(2133g)와 플랜지 돌기(5133g) 없이 메인 케이스(51g)를 연소실(20g)에 안착시키면, 올바른 위치와 배열을 가지지 못한 채로 두 부재가 접촉 및 결합되어 불량을 유발할 수 있으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플랜지 개구(2133g)와 플랜지 돌기(5133g)가 올바른 위치 및 배열을 가지고 메인 케이스(51g)가 연소실(20g)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flange protrusion 5133g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lange opening 2133g, so that the main case 51g can be guided to be se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20g. If the main case 51g is se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20g without the flange opening 2133g and the flange protrusion 5133g, the two members may contact and combine without having the correct position and arrangement, causing defects. The flange opening 2133g and the flange protrusion 5133g formed at the correct position and arrangement may allow the main case 51g to be se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20g.

열교환기 플랜지(513g)는, 메인 케이스(51g)의 열교환기 케이스에 해당하는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열교환기 플랜지 몸체(5131g)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 플랜지 몸체(5131g)로부터, 열교환기 플랜지 벤딩부(5131g)와 열교환기 플랜지 엠보(5132g)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플랜지 벤딩부(5131g)는 열교환기 플랜지 몸체(5131g)의 외측 말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꺾여 연장될 수 있다. 열교환기 플랜지 엠보(5132g)는 열교환기 플랜지 몸체(5131g)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flange 513g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flange body 5131g extending outward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at exchanger case of the main case 51g. A heat exchanger flange bending portion 5131g and a heat exchanger flange embossing 5132g may protrude from the heat exchanger flange body 5131g. The heat exchanger flange bending portion 5131g may extend downward by bending from an outer end of the heat exchanger flange body 5131g. The heat exchanger flange embossing 5132g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heat exchanger flange body 5131g.

연소실 플랜지(213g)는, 연소실 케이스(21g)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소실 플랜지 몸체(2131g)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소실 플랜지 몸체(2131g)로부터, 연소실 플랜지 벤딩부(2131g)와 연소실 플랜지 엠보(2132g)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소실 플랜지 벤딩부(2131g)는 연소실 플랜지 몸체(2131g)의 외측 말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꺾여 연장될 수 있다. 연소실 플랜지 엠보(2132g)는 연소실 플랜지 몸체(2131g)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may include a combustion chamber flange body 2131g extending outwar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A combustion chamber flange bending portion 2131g and a combustion chamber flange embossing 2132g may protrude from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body 2131g.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bending portion 2131g may extend downward by bending from an outer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body 2131g.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embossing (2132g) may be formed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body (2131g).

연소실 플랜지 벤딩부(2131g)는 열교환기 플랜지 벤딩부(5131g)를 외측으로부터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실(20g)이 메인 케이스(51g)로부터 좌우 또는 전후로 이탈하려 해도, 연소실 플랜지 벤딩부(2131g)의 내측면이 열교환기 플랜지(513g)에 의해 걸려,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연소실 플랜지 벤딩부(2131g)와 열교환기 플랜지 벤딩부(5131g)가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거나, 서로 이격된 간격을 매우 작게 둘 경우, 연소실 플랜지 벤딩부(2131g) 및 열교환기 플랜지 벤딩부(5131g)는 열교환기 유닛의 제작 과정에서 연소실(20g)과 메인 케이스(51g)가 올바른 위치 및 배열을 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bending part 2131g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heat exchanger flange bending part 5131g from the outside. Therefore, even if the combustion chamber 20g tries to leave the main case 51g in a left-right or front-back direc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bending portion 2131g is caught by the heat exchanger flange 513g, so that it cannot escape. When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bending part 2131g and the heat exchanger flange bending part 5131g are disposed to contact each other or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very small,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bending part 2131g and the heat exchanger flange bending part 5131g ar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heat exchanger unit, it may play a role in ensuring that the combustion chamber 20g and the main case 51g have the correct location and arrangement.

연소실 플랜지 엠보(2132g)는 열교환기 플랜지 엠보(5132g)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열교환기 플랜지 엠보(5132g)의 하측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실 플랜지 엠보(2132g)와 열교환기 플랜지 엠보(5132g)는, 도 40과 같이 열교환기 유닛이 뒤집혀 배치된 상태에서, 연소실 플랜지(213g)와 열교환기 플랜지(513g) 사이에 도포되는 페이스트가 연소실(20g)과 현열 열교환기(30g)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엠보(2132g, 5132g)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페이스트가 중력에 의해 흘러내려, 연소실 플랜지 엠보(2132g)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한 골에 위치하려 할 것이므로, 페이스트가 열교환기 유닛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embossing 2132g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eat exchanger flange embossing 5132g and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flange embossing 5132g.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embossing 2132g and the heat exchanger flange embossing 5132g, the paste applied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213g and the heat exchanger flange 513g in a state where the heat exchanger unit is turned upside down as shown in FIG. (20g) and sensible heat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r (30g). Since the paste placed adjacent to each embossing (2132g, 5132g) flows down by gravity and tries to be located in the concave valley formed by the combustion chamber flange embossing (2132g), the paste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r unit, resulting in a defect.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도시된 것과 같이, 전후 연소실 플랜지(214g)에도 전후 플랜지 개구(2143g)가 형성될 수 있고, 전후 열교환기 플랜지(514g)에도 전후 플랜지 돌기(5143g)가 형성되어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다.As shown, the front and rear flange openings 2143g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combustion chamber flanges 214g, and the front and rear flange projections 5143g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heat exchanger flanges 514g to perform the same action.

도 4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단면 중 패킹 브라켓(71g)과 측판 패킹(72g)이 위치한 영역을 상하를 뒤집어 도시한 것이다.FIG. 4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area where the packing bracket 71g and the side plate packing 72g are located upside down.

도 43을 더 참조하여, 측판 패킹(72g)과 패킹 브라켓(71g)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 유닛의 내측에서, 현열 단열배관(34g)과 연소실 단열배관(24g)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는 측판 패킹(72g)을 열교환기 유닛이 더 포함해, 메인 케이스(51g)의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에 해당하는 부분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측판 패킹(72g)은 연소실(20g)을 향해 더 연장되어, 연소실 케이스(21g)의 내측면에 더 접촉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 43, the side plate packing 72g and packing bracket 71g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r unit further includes a side plate packing 72g disposed between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g and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inside the heat exchanger unit, It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of the main case 51g. The side plate packing 72g extends further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20g, and can further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현열 단열배관(34g)과 연소실 단열배관(24g) 사이의 영역은 단열 또는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아 과열될 위험이 있다. 다른 실시예들과 같이 단열재를 사용하여 연소실(20g)을 단열하는 경우, 이러한 과열 가능 영역이 단열재에 의해 가려져, 과열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그러나 제4 실시예와 같이 과열 가능 영역이 노출되는 경우, 과열로 인해 변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측판 패킹(72g)이 과열 가능 영역에 배치 및 접촉되어,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The area between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g and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is not insulated or cooled, so there is a risk of overheating. When the combustion chamber 20g is insulated using an insulator as in other embodiments, the overheatable region is covered by the insulator, so the risk of overheating may be relatively small. However, when the overheatable region is exposed as in the fourth embodiment, discoloration may occur due to overheating.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ide plate packing 72g may be disposed in and contacting the overheatable region, preventing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열교환기 유닛은 패킹 브라켓(71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브라켓(71g)은 측판 패킹(72g)이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에 해당하는 메인 케이스(51g)의 일부분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에 해당하는 메인 케이스(51g)의 일부분의 내측면과 함께 측판 패킹(72g)을 샌드위치하여 지지하는 브라켓이다.The heat exchang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packing bracket 71g. The packing bracket 71g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ide plate packing 72g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a part of the main case 51g corresponding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It is a bracket that sandwiches and supports the side plate packing (72g) together.

패킹 브라켓(71g)은, 패킹 브라켓 몸체(711g)와 패킹 브라켓 결합부(712g)와 패킹 브라켓 가이드(713g)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브라켓 결합부(712g)가 메인 케이스(51g)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패킹 브라켓 결합부(712g)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패킹 브라켓 몸체(711g)는 메인 케이스(51g)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측판 패킹(72g)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패킹 브라켓 몸체(711g)가 측판 패킹(72g)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과열 가능 영역에 밀착시킬 수 있다. 패킹 브라켓 가이드(713g)는 패킹 브라켓 몸체(711g)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가면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측판 패킹(72g)이 패킹 브라켓 몸체(711g)가 형성한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packing bracket 71g may include a packing bracket body 711g, a packing bracket coupling part 712g, and a packing bracket guide 713g. The packing bracket coupling portion 712g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case 51g, and the packing bracket body 711g protrudes inward from the packing bracket coupling portion 712g toward the insi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case 51g. It is spaced apart to form a space into which the side plate packing 72g can be inserted. The packing bracket body 711g presses the side plate packing 72g outward to bring 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verheatable region. The packing bracket guide 713g is formed inclined inwardly from one end of the packing bracket body 711g upward and guides the side plate packing 72g to be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packing bracket body 711g.

패킹 브라켓 결합부(712g)는 패킹 브라켓 몸체(711g)의 하단에 연결되되,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에 해당하는 메인 케이스(51g)의 메인 단열측판(512g)을 사이에 두고 현열 단열배관(34g)과 만나도록,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에 해당하는 메인 케이스(51g)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현열 단열배관(34g)에 의해서 이에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패킹 브라켓 결합부(712g)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어, 과열 가능 영역으로 열전달 되는 것을 방해하는 측판 패킹(72g)의 작용을 도울 수 있다.The packing bracket coupling part 712g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acking bracket body 711g, with the main insulating side plate 512g of the main case 51g corresponding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interposed between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34g and To meet, it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case 51g corresponding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34g can cool the packing bracket coupling portion 712g indirectly in contact therewith, thereby helping the side plate packing 72g to prevent heat transfer to the overheatable region.

도 4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단면 중 보호 브라켓(73g)이 위치한 영역을 상하를 뒤집어 도시한 것이다.4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area where the protection bracket 73g is located upside down.

도 4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이 포함할 수 있는 보호 브라켓(73g)에 대해 설명한다.Further referring to FIG. 44 , a protection bracket 73g that may be included in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보호 브라켓(73g)은 과열 가능 영역으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해하도록, 단열을 위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브라켓이다. 보호 브라켓(73g)은 현열 단열배관(34g)과 연소실 단열배관(24g) 사이에서,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에 해당하는 메인 케이스(51g)의 내측면과 연소실(20g)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부분인 보호 브라켓 몸체(731g)를 가지고,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에 해당하는 메인 케이스(51g)의 내측면 및 연소실 케이스(21g)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protection bracket 73g is a bracket that forms an air layer for insulation to prevent heat from escaping to the overheatable region. The protection bracket 73g is spaced inward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case 51g corresponding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g between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g and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It has a protective bracket body 731g, which is a part, and can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case 51g corresponding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보호 브라켓 몸체(731g)의 상하 양단에는 각각 보호 브라켓 상측 결합부(733g)와, 보호 브라켓 하측 결합부(732g)가 형성되어 각각 연소실 케이스(21g)의 내측면과 메인 케이스(51g)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브라켓(73g)과 메인 케이스(51g)의 내측면 및 연소실 케이스(21g)의 내측면에 의해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공기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되고, 공기층이 단열재 역할을 하여 과열 가능 영역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A protection bracket upper coupling part 733g and a protection bracket lower coupling part 732g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rotection bracket body 731g, respectivel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case 51g, respectively. can be coupled to Therefor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y the protective bracket 73g,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case 51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and air can be located. An air layer is formed by air located in this space, and the air layer serves as a heat insulator to prevent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verheatable region.

보호 브라켓 하측 결합부(732g)는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에 해당하는 메인 케이스(51g)를 사이에 두고 현열 단열배관(34g)과 만나도록, 메인 케이스(51g)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브라켓 상측 결합부(733g)는 연소실 케이스(21g)를 사이에 두고 연소실 단열배관(24g)과 만나도록, 연소실 케이스(21g)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현열 단열배관(34g)과 연소실 단열배관(24g)에 의해 보호 브라켓(73g)의 냉각이 이루어져, 보호 브라켓(73g)이 상술한 공기층의 단열작용을 도울 수 있다.The lower coupling portion 732g of the protection bracket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case 51g to meet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g with the main case 51g corresponding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upper coupling portion 733g of the protection bracket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to meet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with the combustion chamber case 21g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fore, the protection bracket 73g is cooled by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g and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so that the protection bracket 73g can help the above-described air layer insulation.

보호 브라켓(73g)은, 보호 브라켓 하측 결합부(732g)와 보호 브라켓 몸체(731g) 사이에 위치한 보호 브라켓 연결부(734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브라켓 연결부(734g)는, 메인 케이스(51g)의 내측면에 밀착할 수 있다.The protection bracket 73g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bracket connection part 734g located between the protection bracket lower coupling part 732g and the protection bracket body 731g. The protective bracket connecting portion 734g may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case 51g.

도 4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연결 어댑터(62g) 및 인접한 영역의 종단면도이다.45 is a front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is a side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adapter 62g and an adjacent region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 내지 도 4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연결 어댑터(62g)에 대해서 설명한다. A connection adapter 62g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45 to 47 .

제4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이 포함할 수 있는 연결 어댑터(62g)를 이용하여, 현열 열교환기(30g)의 현열 열교환배관(32g)과 유로캡(3631g)들에 의해 형성되는 현열유로와, 연소실 단열배관(24g)에 의해서 형성되는 연소실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어댑터(62g)는 도시된 것과 같이 정면에 위치한 제3 유로캡 플레이트(363g)에 형성되는 난방수 배출구(373g)와, 제2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252g)에 형성되는 연소실 공급구(261g)를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 구조가 가능하도록, 제3 유로캡 플레이트(363g)의 형상이 도 34의 제2 유로캡 플레이트(362g)의 형상과 다르게, 난방수 배출구(373g)와 연소실 공급구(261g)가 동일한 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med by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g and the euro caps 3631g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g using the connection adapter 62g that may be included in the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sensible heat flow path and the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formed by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g may be connect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on adapter 62g includes a heating water outlet 373g formed on the third euro cap plate 363g located on the front side and a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formed on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euro cap plate 252g. It may be dispos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nnect. To enable this flow path structure, the shape of the third flow path cap plate 363g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second flow path cap plate 362g of FIG. 34, and the heating water outlet 373g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are on the same side It can be formed to be placed on.

연결 어댑터(62g)는, 난방수 배출구(373g)와 연소실 공급구(261g)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어댑터(62g)는 상하에 각각 서로 연결되는 연결 어댑터 상부(622g)와 연결 어댑터 하부(621g)를 가져, 각각이 난방수 배출구(373g)와 연소실 공급구(261g)에 연결됨에 따라 난방수 배출구(373g)와 연소실 공급구(261g)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연결 어댑터 상부(622g)는 난방수 배출구(373g)에 결합되는 일단인 어댑터 상측 연결부(6221g)를 가질 수 있고, 연결 어댑터 하부(621g)는 연소실 공급구(261g)에 결합되는 일단인 어댑터 하측 연결부(6211g)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adapter 62g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ting water outlet 373g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The connection adapter 62g has an upper connection adapter 622g and a lower connection adapter 621g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s they are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outlet 373g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so that the heating water outlet (373g)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may be connected. The upper connection adapter 622g may have an adapter upper connection part 6221g, one end coupled to the heating water outlet 373g, and the lower connection adapter 621g have an adapter lower connection part, one end coupled to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6211g).

연결 어댑터(62g)는 연결 어댑터 오링(623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어댑터 오링(623g)은 연결 어댑터 상부(622g)와 연결 어댑터 하부(621g)가 연결되는 어댑터 상측 결합부(6222g)와 어댑터 하측 결합부(6212g)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로, 탄성을 가져 연결 어댑터 상부(622g)와 연결 어댑터 하부(621g) 사이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adapter 62g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adapter O-ring 623g. The connection adapter O-ring 623g is a member disposed between the adapter upper coupling part 6222g and the adapter lower coupling part 6212g, to which the upper connection adapter 622g and the lower connection adapter 621g are connected, and are connected by elasticity. Watertightness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adapter 622g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adapter 621g may be maintained.

어댑터 상측 결합부(6222g)는 어댑터 하측 결합부(6212g)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난방수가 연결 어댑터(62g)를 통해 흐를 때, 연결 어댑터 오링(623g)에 의해서도 수밀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바로 난방수가 누출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adapter upper coupling portion 6222g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lower adapter coupling portion 6212g. When the heating water flows through the connection adapter 62g, even if a situation occurs in which watertightness cannot be maintained even by the connection adapter O-ring 623g, this is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heating water leaks.

연결 어댑터 상부(622g)와 연결 어댑터 하부(621g)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연결 어댑터 클립(624g)이 배치되어, 두 부분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어댑터(62g)가 각 난방수 배출구(373g)와 연소실 공급구(261g)에 결합되는 부분에도 별도의 클립이 배치되어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A connection adapter clip 624g is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connection adapter 622g and the lower connection adapter 621g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parts can be more firmly coupled by pressing the two parts inward. In addition, a separate clip is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adapter 62g is coupled to each heating water outlet 373g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to make the coupling more robust.

연결 어댑터 상부(622g)와 연결 어댑터 하부(621g)는 'L'자로 꺾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두 부재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연결 어댑터(62g)는 각진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onnection adapter 622g and the lower connection adapter 621g may have an 'L' bent shape. Accordingly, the connection adapter 62g formed by combining the two members may be formed in an angular 'U' shape.

도 4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엘보우 파이프(63g) 및 인접한 영역의 종단면도이다.48 is a front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9 is a side view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lbow pipe 63g and an adjacent region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8 내지 도 50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 유닛의 엘보우 파이프(63g)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보우 파이프(63g)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기본적으로 제4 실시예의 제4 변형예는 제4 실시예의 제3 변형예와 동일하나, 연결 어댑터(도 45의 62g) 대신 엘보우 파이프(63g)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n elbow pipe 63g of a heat exchang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48 to 50 . The elbow pipe 63g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Basically, the fourth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third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but it differs in that the elbow pipe 63g is disposed instead of the connection adapter (62g in FIG. 45), so only the difference is specific. explained by

엘보우 파이프(63g)는, 난방수 배출구(373g)와 연소실 공급구(261g)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엘보우 파이프(63g)는 상하에 각각 서로 연결되는 엘보우 파이프 상부(632g)와 엘보우 파이프 하부(631g)를 가져, 각각이 난방수 배출구(373g)와 연소실 공급구(261g)에 연결됨에 따라 난방수 배출구(373g)와 연소실 공급구(261g)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엘보우 파이프 상부(632g)는 난방수 배출구(373g)에 결합되는 일단인 파이프 상측 연결부(6321g)를 가질 수 있고, 엘보우 파이프 하부(631g)는 연소실 공급구(261g)에 결합되는 일단인 파이프 하측 연결부(6311g)를 가질 수 있다.The elbow pipe 63g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ting water outlet 373g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The elbow pipe 63g has an upper elbow pipe 632g and a lower elbow pipe 631g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s they are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outlet 373g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so that the heating water outlet (373g)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may be connected. The upper part of the elbow pipe 632g may have an upper pipe connection part 6321g, which is one end coupled to the heating water outlet 373g, and the lower part of the elbow pipe 631g is a lower pipe connection part that is one end coupled to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6311g).

엘보우 파이프 상부(632g)와 엘보우 파이프 하부(631g)는 곡선을 그리며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두 부재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엘보우 파이프(63g)는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elbow pipe 632g and the lower elbow pipe 631g may have a curved shape. Therefore, the elbow pipe 63g formed by combining the two members may be formed in a 'U' shape.

파이프 상측 결합부(6322g)와 파이프 하측 결합부(6312g)가 결합되는 지점, 파이프 상측 연결부(6321g)가 연소실 공급구(261g)와 결합되는 지점, 파이프 하측 연결부(6311g)가 난방수 배출구(373g)와 결합되는 지점에는 페이스트가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징이 이루어짐에 따라, 각 결합되는 부분이 견고하게 결합되고, 해당 부분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The point where the upper pipe coupling portion 6322g and the lower pipe coupling portion 6312g are coupled, the point where the upper pipe coupling portion 6321g is coupled with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1g, and the lower pipe coupling portion 6311g is the heating water outlet 373g ) Paste may be applied to the point where it is combined with. Therefore, as the brazing is performed, each coupled part is firmly coupled, and the watert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part can be maintained.

이러한 페이스트의 도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이프 상측 결합부(6322g)의 내측으로 파이프 하측 결합부(6312g)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40에서와 같이, 조립 및 브레이징 과정에서는 전체 열교환기 유닛의 상하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각 과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50에 도시된 엘보우 파이프(63g)는 조립 과정에서는 뒤집혀 배치되므로, 브레이징 전의 페이스트 도포 과정에서 파이프 하측 결합부(6312g)와 파이프 상측 결합부(6322g)의 사이에 배치된 페이스트가 자중에 의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파이프 상측 결합부(6322g)의 내측으로 파이프 하측 결합부(6312g)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o smoothly apply the paste, the pipe lower coupling portion 6312g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ipe upper coupling portion 6322g. As shown in FIG. 40,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and brazing, each process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entire heat exchanger unit is upside down. Therefore, since the elbow pipe 63g shown in FIG. 50 is placed upside down in the assembly process, the paste disposed between the pipe lower coupling part 6312g and the pipe upper coupling part 6322g in the paste application process before brazing is caused by its own weight. The pipe lower coupling portion 6312g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pipe coupling portion 6322g so as not to flow to the outsid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2, 3 : 콘덴싱 보일러
10, 10g : 버너조립체
11 : 버너
12 : 믹스 챔버
20, 20g : 연소실
21 : 연소실의 측벽
21g : 연소실 케이스
22, 22g : 내부공간
24 : 연소실 단열부
24g : 연소실 단열배관
30, 60, 81, 30g : 현열 열교환기
31 :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
32, 62, 95, 32g : 현열 열교환배관
33, 63, 33g : 현열 핀
34, 64, 34g : 현열 단열배관
40, 82, 40g : 잠열 열교환기
41 :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
42 : 잠열 열교환배관
43, 430 : 잠열 핀
50g :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
51, 51g : 메인 케이스
52, 52g : 배기 덕트
53, 53g : 응축수 배출구
54 : 송풍기
55, 55g : 응축수 받이
61g, 62g : 연결 어댑터
63g : 엘보우 파이프
71 : 제1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
72 : 제2 연결 유로캡 플레이트
71g : 패킹 브라켓
72g : 측판 패킹
73g : 보호 브라켓
90 : 유로캡 플레이트
211, 211g : 연소실의 일반측판
212, 212g : 연소실의 단열측판
213g : 연소실 플랜지
214g : 전후 연소실 플랜지
241g : 제1 연소실 단열배관
242g : 제2 연소실 단열배관
243g : 제3 연소실 단열배관
244g : 제4 연소실 단열배관
251g, 252g, 253g : 연소실 유로캡 플레이트
261g : 연소실 공급구
262g : 연소실 배출구
300 : 현열 열교환부
311, 611 :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의 일반측판
312, 612 :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의 단열측판
321 : 제1 외측 직선부
322 : 제2 외측 직선부
323, 324 : 중간 직선부
331, 631 : 루버홀
332 : 오목부
333 : 돌출부
334 : 골
341, 341g : 제1 현열 단열배관
342, 342g : 제2 현열 단열배관
361, 361g : 제1 유로캡 플레이트
362, 362g : 제2 유로캡 플레이트
363g : 제3 유로캡 플레이트
371, 3710, 7211, 371g : 난방수 공급구
372, 3720, 7251, 372g, 373g : 난방수 배출구
400 : 잠열 열교환부
411 :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의 일반측판
412 :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의 단열측판
420 : 잠열 직선부
421 : 상류 직선부
422 : 하류 직선부
431 : 상류 핀
432 : 하류 핀
510 : 하우징
511, 511g : 메인 일반측판
512, 512g : 메인 단열측판
513g : 열교환기 플랜지
514g : 전후 열교환기 플랜지
621g : 연결 어댑터 하부
622g : 연결 어댑터 상부
623g : 연결 어댑터 오링
624g : 연결 어댑터 클립
631g : 엘보우 파이프 하부
632g : 엘보우 파이프 상부
711 : 잠열 유로캡
711g : 패킹 브라켓 몸체
712g : 패킹 브라켓 결합부
713g : 패킹 브라켓 가이드
712, 713, 714, 723, 724 : 현열 유로캡
722 : 연결 유로캡
731g : 보호 브라켓 몸체
732g : 보호 브라켓 하측 결합부
733g : 보호 브라켓 상측 결합부
734g : 보호 브라켓 연결부
821 : 제1 잠열 열교환기
822 : 제2 잠열 열교환기
922 : 경사부
2131g : 연소실 플랜지 몸체
2132g : 연소실 플랜지 엠보
2133g : 플랜지 개구
2131g : 연소실 플랜지 벤딩부
2143g : 전후 플랜지 개구
2511g, 2512g, 2521g, 2522g, 2531g : 연소실 유로캡
3111 : 제1 현열 일반측판
3112 : 제2 현열 일반측판
3311, 6311 : 제1 루버홀
3312, 6312 : 제2 루버홀
3611 : 제1 유로캡
3612 : 제2 유로캡
3621, 721 : 입구 유로캡
3621g, 3631g : 유로캡
3622, 725 : 출구 유로캡
3623 : 중간 유로캡
4111 : 제1 잠열 일반측판
4112 : 제2 잠열 일반측판
5110 : 일반측판
5111 : 제1 메인 일반측판
5112 : 제2 메인 일반측판
5131g : 열교환기 플랜지 몸체
5132g : 열교환기 플랜지 엠보
5133g : 플랜지 돌기
5131g : 열교환기 플랜지 벤딩부
5143g : 전후 플랜지 돌기
5120 : 단열측판
6211g : 어댑터 하측 연결부
6212g : 어댑터 하측 결합부
6221g : 어댑터 상측 연결부
6222g : 어댑터 상측 결합부
6311g : 파이프 하측 연결부
6312g : 파이프 하측 결합부
6321g : 파이프 상측 연결부
6322g : 파이프 상측 결합부
D1 : 연소가스의 유동방향
D2 : 소정 방향
1, 2, 3 : Condensing Boiler
10, 10g: burner assembly
11 : burner
12: mix chamber
20, 20g: combustion chamber
21: side wall of combustion chamber
21g: combustion chamber case
22, 22g: internal space
24: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24g: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30, 60, 81, 30g: sensible heat exchanger
31: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2, 62, 95, 32g: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3, 63, 33g: sensible heat pin
34, 64, 34g: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40, 82, 40g: latent heat exchanger
41: latent heat exchanger case
42: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
43, 430: latent heat pin
50g: heat exchanger for condensing boiler
51, 51g: main case
52, 52g: exhaust duct
53, 53g: condensate outlet
54: blower
55, 55g : Condensate tray
61g, 62g : Connection adapter
63g : Elbow Pipe
71: first connection euro cap plate
72: second connection euro cap plate
71g : Packing bracket
72g: side plate packing
73g : Protection Bracket
90: Eurocap plate
211, 211g: general side plate of combustion chamber
212, 212g: insulation side plate of combustion chamber
213g: combustion chamber flange
214g: front and rear combustion chamber flanges
241g: 1st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2g: 2nd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3g: 3rd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44g: 4th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251g, 252g, 253g : Combustion chamber Euro cap plate
261g: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62g: combustion chamber outlet
300: sensible heat exchange unit
311, 611: general side plate of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12, 612: Insulation side plate of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321: first outer straight portion
322: second outer straight portion
323, 324: middle straight part
331, 631: Louver Hall
332: recess
333: protrusion
334: goal
341, 341g: 1s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342, 342g: 2nd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361, 361g: 1st Eurocap plate
362, 362g: 2nd Eurocap plate
363g: 3rd Eurocap plate
371, 3710, 7211, 371g: heating water supply port
372, 3720, 7251, 372g, 373g: heating water outlet
400: latent heat exchange unit
411: general side plate of latent heat exchanger case
412: insulated side plate of latent heat exchanger case
420: latent heat straight line
421: upstream straight part
422: downstream straight part
431: upstream pin
432 downstream pin
510: housing
511, 511g: Main general side plate
512, 512g: main insulation side plate
513g: heat exchanger flange
514g: Front and rear heat exchanger flanges
621g: lower connection adapter
622g: top of connection adapter
623g : Connection adapter O-ring
624g: Connection adapter clip
631g: lower elbow pipe
632g: Upper elbow pipe
711: latent heat Eurocap
711g: packing bracket body
712g: packing bracket joint
713g : Packing Bracket Guide
712, 713, 714, 723, 724: sensible heat Eurocap
722: connection eurocap
731g: protection bracket body
732g: protection bracket lower joint
733g: protection bracket upper joint
734g: protection bracket connection
821: first latent heat exchanger
822: second latent heat exchanger
922: slope
2131g: combustion chamber flange body
2132g: combustion chamber flange embossing
2133g: Flange opening
2131g: Combustion chamber flange bending part
2143g: Front and rear flange openings
2511g, 2512g, 2521g, 2522g, 2531g : Combustion chamber Euro cap
3111: first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112: second sensible heat general side plate
3311, 6311: 1st louver hole
3312, 6312: 2nd louver hole
3611: 1st Eurocap
3612: 2nd Eurocap
3621, 721: inlet eurocap
3621g, 3631g : Eurocap
3622, 725: exit eurocap
3623 : Medium Eurocap
4111: first latent heat general side plate
4112: second latent heat general side plate
5110: general side plate
5111: first main general side plate
5112: second main general side plate
5131g: heat exchanger flange body
5132g : heat exchanger flange emboss
5133g: flange projection
5131g: heat exchanger flange bending part
5143g: Front and rear flange projections
5120: insulation side plate
6211g: adapter lower connection
6212g: adapter lower joint
6221g: adapter top connection
6222g: adapter upper joint
6311g: pipe lower connection
6312g: pipe lower joint
6321g: pipe top connection
6322g: pipe upper joint
D1: flow direction of combustion gas
D2: predetermined direction

Claims (2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내부에 연소반응에 의한 화염이 위치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현열을 전달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난방수를 가열하게 마련되는 현열 열교환배관 및 상기 현열 열교환배관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현열 열교환기;
상기 연소실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연소실을 단열하기 위해, 상기 난방수를 공급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시키는 연소실 단열배관;
상기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현열 열교환기를 단열하기 위해, 상기 난방수를 공급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시키는 현열 단열배관; 및
상기 현열 단열배관과 상기 연소실 단열배관 사이에서, 상기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는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연소실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부분을 가지고,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 및 상기 연소실에 결합되는 보호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브라켓은, 상기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상기 현열 단열배관과 만나도록, 상기 현열 열교환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연소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연소실 단열배관과 만나도록, 상기 연소실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열교환기 유닛.
A combustion chamber in which a flame due to a combustion reaction is located therein;
A sensible heat exchange pipe locate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receiving sensibl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to heat heat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inside, and a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ccommodating 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in an internal space. a sensible heat exchanger;
a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receives the heating water to flow through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insulate the combustion chamber;
a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disposed adjacent to the cas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and receiving the heating water to flow through the insid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in order to insulate the heat exchanger; and
A portion spaced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form an air layer between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and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to prevent heat transfer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And a protective bracket coupled to the heat exchanger case and the combustion chamber,
The protection bracket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to meet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with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se therebetween, and meets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with the combustion chamber therebetwee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78390A 2019-12-30 2019-12-30 Heat exchanger unit Active KR1025456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390A KR102545625B1 (en) 2019-12-30 2019-12-30 Heat exchanger unit
KR1020200083879A KR102546285B1 (en) 2019-12-30 2020-07-08 Heat exchanger unit
AU2020289867A AU2020289867B2 (en) 2019-12-30 2020-12-18 Heat exchanger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7/131,772 US12130052B2 (en) 2019-12-30 2020-12-23 Heat exchanger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0217737.4A EP3845825B1 (en) 2019-12-30 2020-12-30 Heat exchanger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2011606440.3A CN113124563B (en) 2019-12-30 2020-12-30 Heat exchanger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 exchanger unit
ES20217737T ES2982679T3 (en) 2019-12-30 2020-12-30 Heat exchanger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PL20217737.4T PL3845825T3 (en) 2019-12-30 2020-12-30 Heat exchanger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X2021000045A MX2021000045A (en) 2019-12-30 2021-01-06 Heat exchanger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220005966A KR20220013427A (en) 2019-12-30 2022-01-14 Heat exchanger unit
KR1020230034728A KR102653738B1 (en) 2019-12-30 2023-03-16 Heat exchanger unit
KR1020240019181A KR102685372B1 (en) 2019-12-30 2024-02-07 Heat exchanger unit
KR1020240040455A KR20240042390A (en) 2019-12-30 2024-03-25 Heat exchange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8/752,073 US20240344738A1 (en) 2019-12-30 2024-06-24 Heat exchanger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390A KR102545625B1 (en) 2019-12-30 2019-12-30 Heat exchanger un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879A Division KR102546285B1 (en) 2019-12-30 2020-07-08 Heat exchanger unit
KR1020220005966A Division KR20220013427A (en) 2019-12-30 2022-01-14 Heat exchanger unit
KR1020230034728A Division KR102653738B1 (en) 2019-12-30 2023-03-16 Heat exchanger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397A KR20210085397A (en) 2021-07-08
KR102545625B1 true KR102545625B1 (en) 2023-06-21

Family

ID=7689364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390A Active KR102545625B1 (en) 2019-12-30 2019-12-30 Heat exchanger unit
KR1020220005966A Ceased KR20220013427A (en) 2019-12-30 2022-01-14 Heat exchanger unit
KR1020230034728A Active KR102653738B1 (en) 2019-12-30 2023-03-16 Heat exchanger unit
KR1020240019181A Active KR102685372B1 (en) 2019-12-30 2024-02-07 Heat exchanger unit
KR1020240040455A Ceased KR20240042390A (en) 2019-12-30 2024-03-25 Heat exchange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966A Ceased KR20220013427A (en) 2019-12-30 2022-01-14 Heat exchanger unit
KR1020230034728A Active KR102653738B1 (en) 2019-12-30 2023-03-16 Heat exchanger unit
KR1020240019181A Active KR102685372B1 (en) 2019-12-30 2024-02-07 Heat exchanger unit
KR1020240040455A Ceased KR20240042390A (en) 2019-12-30 2024-03-25 Heat exchange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54562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286B1 (en) * 2004-10-13 2006-04-11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Heat exchanger
KR101810122B1 (en) * 2016-06-28 2017-12-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Mathod of Manufacturing Body and Connection Flange of Heat Exchanger for Latent Heat of Condensing Boiler
JP2019128083A (en) * 2018-01-24 2019-08-01 株式会社ノーリツ Heat exchange device and heat source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1889B2 (en) * 2015-12-22 2019-10-16 リンナイ株式会社 Combustion device
KR102546693B1 (en) * 2016-07-15 2023-06-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Structure for preventing damage of heat exchanger components by combustion heat
KR102240319B1 (en) * 2018-06-05 2021-04-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Heat exchanger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286B1 (en) * 2004-10-13 2006-04-11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Heat exchanger
KR101810122B1 (en) * 2016-06-28 2017-12-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Mathod of Manufacturing Body and Connection Flange of Heat Exchanger for Latent Heat of Condensing Boiler
JP2019128083A (en) * 2018-01-24 2019-08-01 株式会社ノーリツ Heat exchange device and heat sourc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738B1 (en) 2024-04-03
KR20220013427A (en) 2022-02-04
KR20210085397A (en) 2021-07-08
KR20240024145A (en) 2024-02-23
KR102685372B1 (en) 2024-07-17
KR20230042683A (en) 2023-03-29
KR20240042390A (en)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285B1 (en) Heat exchanger unit
KR102365697B1 (en) Heat exchanger unit
KR102536797B1 (en) Heat exchanger unit including heat exchange pipe and condensing boiler using the same
KR102405497B1 (en) Heat exchanger unit
KR102545625B1 (en) Heat exchanger unit
KR20250099096A (en) Heat exchanger unit
KR20250099095A (en) Heat exchanger unit
KR20230043093A (en) Heat exchange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641390B1 (en) Heat exchanger unit
KR20250111279A (en) Heat exchang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30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7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00708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3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7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