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5551B1 -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551B1
KR102545551B1 KR1020220153297A KR20220153297A KR102545551B1 KR 102545551 B1 KR102545551 B1 KR 102545551B1 KR 1020220153297 A KR1020220153297 A KR 1020220153297A KR 20220153297 A KR20220153297 A KR 20220153297A KR 102545551 B1 KR102545551 B1 KR 102545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lth functional
functional food
user
cont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버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버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버디
Priority to KR102022015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5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면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에 부합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상기 컨텐츠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추출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상기 사용자와의 연관성에 따라 서열화되어 노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PROVIDING QURATION SERVICE FOR CUSTOMIZED HEALTH FUNCTIONAL FOOD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개시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헬스 스마트 트렌드(Health-Smart Trend)에 맞지 않게, 정보의 불균형이 매우 심각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디지털화, 스마트화 세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헬스 스마트 트렌드와 관련된 주요 기능들은 여전히 IT화 되어 있지 않아, 의료 비전문가에 속하는 개인이 자신의 건강 상태에 부합하는 적절한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복용 가이드 등에 대해 신뢰할 수 있을 만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영양제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해, 오프라인 서비스의 한계로 상담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짧고, 리소스도 한정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약국이나 병원에서 기대하는 만큼의 도움을 받기는 어렵다. 통상, 개인이 약국에 체류하는 시간은 약 5분 미만이며, 복약 지도는 1분 내외이다.
또한, 전문가들이라고 하더라도 개인에 대한 종합 건강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반론적 지식과 경험에 기반하여 간단한 상담만 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비전문가는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이해없이 자가진단 및 복용을 하는 경우가 있어 사고의 발생이나 그러한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보화 시대에 걸맞게 많은 건강 관련 정보들이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생산되고 있는데, 비전문가인 개인의 입장에서 그러한 정보의 가치나 신뢰성 등에 대해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워, 단편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우려가 있고, 그로 인해 적절한 복용 관리가 어렵고 결국 남용이나 중단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23915호 (2016.08.25)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면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에 부합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사용자와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추출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상기 대상 사용자와의 연관성에 따라 서열화되어 노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면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통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에 부합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사용자와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추출하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추출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상기 대상 사용자와의 연관성에 따라 서열화되어 노출되도록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면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에 부합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사용자와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추출하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추출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상기 대상 사용자와의 연관성에 따라 서열화되어 노출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을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8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에는 연산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장치,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어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통신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통신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 (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와 관련하여 정보 제공 제어 모델이 정의되거나 관련 플랫폼이 구축될 수 있는데, 그것은 빅데이터(big data)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 기반의 컴퓨터에 의해 생성 및 제공될 수 있으며, 가상현실(Virtur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를 총칭하는 가상융합기술(eXtended Reality),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보안을 위하여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 등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이 이용 또는 참조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ICT 기술에 대한 상세 설명은 공지 기술을 참조하여 그에 관해 별도 설명은 생략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공급자 단말(3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공급자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service platform)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하는 서버(200)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에 부합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대상 사용자와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상기 대상 사용자와의 연관성에 따라 서열화되어 노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제1 소스(미도시)로부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집하고, 제2 소스(미도시)로부터 상기 수집한 제1 정보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된 제1 정보에 상기 제2 정보를 매핑하여 제3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스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소스에는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 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 검색 서버, SNS 서버 등 각종 서비스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소스에는, 웹 크롤링을 통해 웹에서 수집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웹 컨텐츠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2 소스는, 공공기관이나 의료전문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소스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보유하거나 제공하는 DB가 구축된 서버, 의학 논문을 다루거나 의료기관에서 운영 및 관리하는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제1 소스를 통해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제1 소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그대로 이용 또는 서비스 플랫폼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소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수집한 정보의 신뢰성(예를 들어, 유효성, 위험성 등)을 검증한 후에, 이용 또는 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은 신뢰성이 검증된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만 사용자에게 노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이용 만족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타 서비스 플랫폼 대비 건강기능식품 이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소스와 제2 소스에 속하는 다양한 서버들을 미리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서버(200)에서 미리 등록된 서버에서만 정보를 수집하거나 수신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서버(200)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함에 있어서, 특정 소스나 서버로부터 수집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에 오류가 많은 등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소스나 서버로부터의 건강기능식품 정보 수집을 제한하거나 등록을 취소 또는 보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1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서 추출한 검색 키워드를 기반으로 제1 소스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포함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거나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모든 형태의 컨텐츠(또는 그 액세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복수의 개별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별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재생시간을 갖는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컨텐츠 및 이미지, 텍스트, 칼럼, 논문을 포함하는 제2 컨텐츠 중 상기 검색 키워드와 연관이 있는 컨텐츠 및 상기 검색 키워드를 웹 크롤링한 다음 크롤링된 정보에 관한 제3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개별 컨텐츠는 상기 제1 내지 제3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컨텐츠는 재생시간(Run-time)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컨텐츠이고, 제2 컨텐츠는 이미지, 텍스트, 칼럼 논문 등 텍스트(text) 기반 문서 컨텐츠이며, 제3 컨텐츠는 본 개시의 서비스 플랫폼 외의 웹에서 크롤링한 정보를 포함하며, 각각의 크롤링된 정보에 관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 컨텐츠는, 영상 컨텐츠 또는 문서 컨텐츠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에 의해 검색된 검색어로부터 추출된 검색키워드를 기반으로 웹 크롤링된 컨텐츠 일 수 있다. 한편, 크롤링된 제3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인 경우, 본 개시에서의 제1 컨텐츠와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으며, 크롤링된 제3 컨텐츠가 문서 컨텐츠인 경우, 본 개시에서의 제2 컨텐츠와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다.
즉, 제1 정보는, 복수의 개별 컨텐츠 목록을 포함하는 컨텐츠 및 각각의 복수의 개별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액세스 정보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액세스된 개별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의미하며, 액세스된 개별 컨텐츠가 재생시간(Run-time)을 갖는 영상인 경우 오픈 세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픈 세션 정보란, 재생시간, 반복재생횟수, 중복재생구간 등 사용자가 영상 개별 컨텐츠에 액세스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된 개별 컨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칼럼, 논문, 이미지인 경우, 컨텐츠 액세스 정보는 열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람 정보란 사용자의 개별 컨텐츠 열람 시간, 임계치 이상의 시간동안 머무른 페이지 정보, 사용자의 컨텐츠 내 검색 이력, 사용자 입력에 의한 스크롤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 기록이라 함은,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 문서 내에서 문서의 열람에 따라 스크롤하는 도중, 열람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한 시점 및 해당 시점에서 열람되고 있던 개별 컨텐츠 내 노출되어 있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건강기능식품 정보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투브 등의 오픈된 동영상 플랫폼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로부터 수집한 제1 정보에서 건강기능식품 A와 B를 동시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면,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관련한 동시 섭취 권장 여부, 동시 섭취 시 위험성 여부, 동시 섭취의 주의점,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 등 상기 동시 섭취 권장에 대한 검증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200)는, 제2 소스 예를 들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상기 건강기능식품 A와 B의 동시 섭취와 관련하여, 공식적으로 공개(또는 공시)한 정보(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증하여 신뢰도가 임계치 미만인 제1 정보 또는 관련 컨텐츠는 필터링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서버(200)는 제2 소스의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소스로부터 수집한 제1 정보를 검증함에 있어서, 검증이 불가능한 경우, 검증 결과 신뢰성 여부가 모호한 경우 등은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필터링하여 사용자에게 노출 또는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건강기능식품 관련하여, 신뢰성이 보장된 정보 내지 컨텐츠만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우선 제1 소스로부터 수집한 제1 정보를 설정 범위 내 서버 용량만큼 추출해올 수 있고, 상기 제1 정보는 제1 소스로부터 수집한 복수의 개별 컨텐츠의 목록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0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소스로부터 수집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정보 내 개별 컨텐츠의 목록 순서를 재조정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의 개별 컨텐츠의 목록 순서 재조정은, 서버(200)에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정보에 매핑된 신뢰도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서버(200)의 재조정 과정은,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정보 내 복수의 개별 컨텐츠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단계, 신뢰도 판단이 불가하거나 판단된 신뢰도가 기 설정 값 이하인 개별 컨텐츠는 제1 정보 내 개별 컨텐츠의 목록에서 제외하는 단계, 및 잔여 개별 컨텐츠가 신뢰도가 높은 순서대로 노출되도록 개별 컨텐츠 목록을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잔여 개별 컨텐츠가 신뢰도가 높은 순서대로 노출되도록 개별 컨텐츠 목록을 재조정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개별 컨텐츠마다 신뢰도에 기반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노출 우선순위를 설정한 다음, 개별 컨텐츠 목록을 서열화하여 노출할 수 있다.
한편, 제3 정보는 제2 정보를 이용하여 검증된 제1 정보에 대하여, 제1 정보의 검증을 위해 이용된 근거 내지 이유인 제2 정보를 매핑하여 생성되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 정보를 통해 해당 정보는 제1 정보의 신뢰성 및 해당 신뢰성의 근거를 확인함으로써 안심하고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액세스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기생성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통한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사용자 맞춤형 초기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프로세서(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사용자 개인 정보, 건강 상태 정보, 건강 활동 정보, 및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학습 데이터셋으로 하되, 상기 각 정보 간 연관성을 라벨링하여 학습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학습 데이터셋으로, 상기 서비스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건강 상태 정보, 및 건강 활동 정보 대비 실제 사용자들이 구매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학습 데이터셋으로, 상기 서비스 플랫폼 내 사용자 또는 구매자의 연령, 성별, 지역, 시간대,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액세스 정보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액세스된 개별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의미하며, 액세스된 개별 컨텐츠가 재생시간(Run-time)을 갖는 영상인 경우 오픈 세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픈 세션 정보란, 재생시간, 반복재생횟수, 중복재생구간 등 사용자가 영상 개별 컨텐츠에 액세스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된 개별 컨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칼럼, 논문, 이미지인 경우, 컨텐츠 액세스 정보는 열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람 정보란 사용자의 개별 컨텐츠 열람 시간, 임계치 이상의 시간동안 머무른 페이지 정보, 사용자의 컨텐츠 내 검색 이력, 사용자 입력에 의한 스크롤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 기록이라 함은,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 문서 내에서 문서의 열람에 따라 스크롤하는 도중, 열람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한 시점 및 해당 시점에서 열람되고 있던 개별 컨텐츠 내 노출되어 있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추천 건강기능식품 정보 및 섭취관리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사용자 맞춤형 초기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기 구성된 사용자 맞춤형 초기 화면에,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내 컨텐츠 이용 정보, 건강기능식품 구매 정보, 기구매한 건강기능식품의 섭취활동데이터 및 상기 액세스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의 건강활동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워드(rewar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큐레이션 서비스의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도 본 개시에 따른 동작 수행과 관련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가 추가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을 통한 웹서비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된 후 실행되면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거나 그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통해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직접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 즉,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직접 처리하지 않고 서버(200)로 전달하여 결과 데이터를 리턴받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정보를 직접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서버(200)는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제공 내지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이나 로직(logic) 또는/및 그에 관련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나 플러그-인(plug-in) 등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여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200)에서 획득하면, 서버(200)에서 이를 처리하여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정보를 다시 단말(100)로 리턴(return)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서버(200)에 의해 수행되는 본 개시에 따른 동작(들)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가 단말(100)의 자원(resources)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정보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설치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 건강기능식품 검색 요청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300)은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된 다양한 컨텐츠 내지 상품을 서비스 플랫폼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메모리(210)와 상기 메모리(210)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2의 메모리(210)는 내장 메모리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외부에 구축된 DB(Database)나 클라우드(Cloud) 형태의 저장매체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10)는 반드시 1개일 필요는 없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공급자 단말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다양한 외부 소스들(external sources)과 연결되어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100), 공급자 단말(3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소스(미도시)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선통신모듈, 무선통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위치정보모듈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유선통신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eneration), 5G, 6G 등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모듈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Wi-Fi 모듈을 활용하면, Wi-Fi 모듈과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00)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통신모듈(3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위치정보모듈은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되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서버(200)에서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함에 있어서, 비교 대상 한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또는, 위치 정보는, 서버(200)에서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함에 있어서, 오프라인 매장 등을 안내하기 위해 참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또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220)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또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 데이터셋으로 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전처리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전술한 인공지능 기반 학습 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섭취 건강기능식품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추출된 데이터가 서로 다른 종류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건강기능식품인지에 대한 적합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간에 동시복용적합도 점수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적합도 점수 산출은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목록을 구성할 때, 참조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며, 사용자와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행하는 서비스 플랫폼 상의 다양한 동작, 처리, 데이터 구성 및 제공 등을 수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그 과정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알고리즘(algorithm)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program)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21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및 상기 메모리(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 모델을 생성하여 학습하고, 사용자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학습 과정에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정보 내 민감한 개인 정보, 질병 정보 등과 관련하여, 필요한 경우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확장현실(XR: eXtended Reality) 등과 같은 다양한 ICT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8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상 프로세서(220)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3에서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준비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준비 과정이라 함은,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데이터를 수집, 수신, 검증, 저장 등 처리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S101에서, 프로세서(220)는 제1 소스로부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S103에서, 프로세서(220)는 제2 소스로부터 상기 수집한 제1 정보 검증을 위한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105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의 신뢰성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기 검증된 제1 정보에 상기 제2 정보가 매핑된 제3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1 소스로부터 수집된 모든 정보(제1 정보)를 아무런 필터링 내지 검증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신뢰할 수 있는 제2 소스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된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된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220)는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건강기능식품 섭취 등에 따른 부작용 등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서비스 플랫폼의 신뢰도 상승과 그에 기초한 등록 회원의 수나 방문자의 수 증가와 같은 부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S107에서, 프로세서(220)는 공급자 단말(300)에 의해 구성되고 업로드되는 새로운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109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검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검증을 위하여는, 상기 제2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정보는,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신뢰도가 산출될 수 있고, 이러한 컨텐츠 신뢰도가 기 설정 값 이상으로 높은 제1 정보에 포함된 건강기능식품만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세서(220)는 서비스 플랫폼에 기 등록된 전문가의 의견이나 공공기관 등 기관의 분석 자료를 상기 분석 및/또는 검증에 이용할 수도 있다.
S111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검증된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추천 적용 대상 사용자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S113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과 결정된 추천 적용 대상 사용자 범위를 매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이렇게 저장된 정보를, 상기 획득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적용 대상 사용자 범위에 속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섭취중인 건강기능식품 정보 및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이력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알람(alarm)을 제공하거나 최우선 순위로 추천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서비스 플랫폼 액세스에 따라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하였다.
S201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S203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에 부합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개별 컨텐츠 목록 및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205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07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사용자와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209에서, 프로세서(220)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상기 대상 사용자와의 연관성에 따라 서열화되어 노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액세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서비스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사용자의 액세스 데이터를 서버(200)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고, 서버(200)에 의해 제공된 API를 통해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액세스 신호는 예를 들어, 서비스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로그인 절차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에는 자동 로그인, 수동 로그인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액세스 여부가 확인되면, 액세스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직접 입력하거나 기입력하여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미리 등록된 의료기관(예를 들어, 병원, 약국, 한의원 등)이나 건강보험관리공단 등으로부터 주기/비주기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갱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개인 정보, 질병 정보(예를 들어, 기저질환, 알러지, 유전병 정보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인 정보에는, 개인의 고유 정보 예를 들어, 나이, 성별, 체중, 유전 정보, 직업, 근무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질병 정보는 예를 들어,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온보딩 테스트 등을 통한 문진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질병 정보에는 사용자 건강 상태 정보 예를 들어, 기본 건강 정보,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 정보, 음주, 흡연, 임신, 수유, 자녀계획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건강활동데이터, 섭취중인 건강기능식품이 있는 경우에는 섭취활동데이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 예를 들어, 건강 고민에 관한 것으로 건강증진목적 예를 들어, 피로 회복, 노화 방지, 소화 불량 해소, 눈 건강 개선, 면역력 회복 내지 증진 등에 관한 데이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단기/장기 복용 약물 존재 여부, 질병 후유증 존재 유무 등에 대해 데이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기생성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통한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사용자 맞춤형 초기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사용자 맞춤형 초기 화면은, 추천 건강기능식품 정보 및 섭취관리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이용 화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내 컨텐츠 이용 정보, 건강기능식품 구매 정보, 기구매한 건강기능식품의 섭취활동데이터 및 상기 액세스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의 건강활동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워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에서는, 추천/비추천 영양소에 대한 정보와 그러한 영양소 정보에 기초한 추천/비추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추출 및 생성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사용자가 건강기능식품을 검색하는 경우에 그 대응 방법을 나타내었다.
S301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제공된 각 컨텐츠에 대한 오픈 세션 유지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303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추출된 오픈 세션 유지 시간 정보가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건강기능식품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검색어프로세서(220)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컨텐츠를 제공, 컨텐츠에 따른 상품 리스트 서열화 및 상품 가격 관리를 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설문, 건강검진기록, 처방기록 등)에 기반하여, 맞춤형 제1 컨텐츠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는 약사/의사 등 의료계 전문가의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 컨텐츠 영상, 건강기능식품 이미지를 포함한 기사 및 칼럼 등 문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0)는 컨텐츠의 속성 예를 들어, 동영상, 정지영상, 음성 등을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서 다른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추천할 건강기능식품을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분류 이후 해당 건강기능식품의 키워드가 추출되는 컨텐츠 리스트를 노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특정 건강기능식품을 검색창에 입력 시, 해당 건강기능식품의 키워드가 추출되는 컨텐츠 리스트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노출의 우선순위는 키워드 추출 빈도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입력되거나 추천되는 컨텐츠에서 키워드를 추출함에 있어서, 반드시 관련 데이터가 텍스트 형태가 아닐 수도 있는 바, 관련하여 상기 컨텐츠에 키워드가 포함되는 지 여부 판단함에 있어서, 음성인식(Speech To Text),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20)는 이미지 처리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컨텐츠 열람 이후 컨텐츠와의 연관도 높은 순 상품 리스트 서열화하여 노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영상/문서 컨텐츠에서 유저가 기 설정값 이상의 시간 동안 머무른 세션(session)에 노출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 추출 및 리스트를 서열화하여, 서열화된 각 리스트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사, 을사, 병사의 비타민 A 건강기능식품이 특정 영상에서 노출이 되는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른 세션(세션 유지)에서 을사의 비타민A가 설명되는 경우, 상품 리스트 추출 시 을사의 비타민 A 제품에 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220)는 해당 세션 오픈 후 구매까지 걸린 시간을 기준으로 가중치를 상이하게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유저의 컨텐츠 열람정도 비율에 따른 해당 컨텐츠 관련 상품 구매 시 할인율 차등 적용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컨텐츠에 가중치 부여 내지 할인율을 적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S401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건강기능식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구매요청 수신 기록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S403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구매 요청된 특정 건강기능식품에 기 부여된 가중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S405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검출되는 가중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건강기능식품의 구매 금액에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구성하는 컨텐츠의 우선순위를 결정 내지 조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S501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각 컨텐츠의 액세스 정보와 해당 컨텐츠와 연관된 건강기능식품의 구매 성공율을 산출할 수 있다.
S503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산출한 구매 성공율을 기초하여 상기 추천 건강기능식품 목록과 관련하여 제공할 컨텐츠의 가중치를 갱신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S601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판매된 건강기능식품의 판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603에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획득한 판매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건강기능식품의 구매 경험이 있는 사용자에게 추가 리워드를 제공하거나 추가 할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를 경우, 프로세서(220)는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화면 속성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의 방식을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상기 화면 속성이 초기 화면인 경우에는, 요약 정보만 제공하여 빠른 검색 내지 검색 이용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220)는 상기 화면 속성이 장바구니 화면이나 구매 화면인 경우에는,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세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선택된 건강기능식품과 가장 관련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과의 비교 정보를 함께 제공하되, 상기 가장 관련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선택된 건강기능식품이 베스트셀러가 아닌 경우에는 베스트셀러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추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사용자 복용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이렇게 산출된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복용 적합도에 기초하여, 추천 건강기능식품 목록, 우선순위, 가중치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추천 건강기능식품을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함에 있어서, 복수의 추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동시 복용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이렇게 산출된 복수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동시 복용 적합도에 기초하여 우선 추천 또는 우선 노출할 건강기능식품 목록을 구성하거나,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우선 추천 또는 우선 노출될 건강기능식품과 동시 복용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건강기능식품은 추천 또는 노출 목록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동시 복용 적합도를 고려하여, 추천 또는 노출 목록을 각 건강기능식품 별로 개별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추천 건강기능식품 리스트에 포함된 건강기능식품 중 섭취가 주의되거나 상대적으로 섭취관리가 어려운 건강기능식품(들)은 별도 목록 등으로 처리,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컨텐츠와 상품 구매 연관도에 따른 컨텐츠 우선노출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컨텐츠 별 상품 구매 연결도(성공 여부)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산출은 해당 컨텐츠 열람 후, 해당 건강기능식품의 구매로 연결되는지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컨텐츠 열람 완료 후 해당 세션에서 건강기능식품 구매로 연결되었는지 데이터를 수집 및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정보 입력에 따른 제1 컨텐츠 제공 시, 상품 구매 연결 성공률이 높은 컨텐츠를 우선하여 상위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서비스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하나가 도시되었다. 즉,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와 관련하여, 도 9a에 도시된 리뷰(또는 후기)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에서 리뷰가 선택되면,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관련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전문가의 리뷰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20)는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해당 건강기능식품과 다른 건강기능식품의 비교 리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건강기능식품이란 동일 또는 유사 성분 내지 영양소를 포함한 타사의 건강기능식품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9a를 참조하면, 하단에 추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성분과 효능이 키워드 단위로 정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이를 위하여,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성분과 효능에 대하여 키워드 단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메모리(21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상기 추천 건강기능식품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2 소스의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API 연동하여 페이지 전환 또는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도 9b의 경우에는, 섭취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각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권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현재 복용 또는 섭취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건강기능식품 정보에 대응하는 섭취 권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섭취 권장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복용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App push 방식으로 섭취 알람 정보를 제공하여, 섭취 시기를 놓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9b를 참조하면, 섭취 시 인증샷 등록 등에 기초하여, 프로세서(220)는 섭취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섭취 이력은 예를 들어, 섭취 활동 데이터 기반의 리워드 또는 할인율 제공에 참고할 수 있다. 이러한 리워드 또는 할인율 적용과 같은 보상 활동을 통하여, 사용자의 해당 건강기능식품의 지속적인 섭취 관리 및 재구매를 유도할 수 있으며, 공급자 단말(300)의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데이터 기반 섭취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220)는 컨텐츠 종료와 함께 구매링크를 호출하고, 호출된 구매링크를 통해 구매가 진행되는 경우, 사용자 DB 반영 및 사용자 배송지/배송기간을 고려한 잔여 복용량/복용기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이렇게 산출된 복용기간 도래 시 추가 섭취가 권장되는 건강기능식품관련 제2 컨텐츠 및 구매링크를 호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관련 제2 컨텐츠는, 동일 건강기능식품의 장기 복용 시 정보에 관한 컨텐츠/동일 건강기능식품과 동시복용이 권장 또는 금지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에 관한 컨텐츠 등이 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섭취 패턴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220)는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이 구매 완료되면, 동시 복용에 적합한 다른 건강기능식품 관련 제3 컨텐츠 제공 및 구매링크를 호출할 수 있으며, 당해 제3 컨텐츠의 열람 완료 및 호출된 구매 링크를 통한 구매 시(바람직한 섭취패턴으로 판단) 설정된 리워드를 지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추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이전 액세스한 건강기능식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건강기능식품 A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다가 이후 건강기능식품 B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다시 상기 건강기능식품 A에 대한 정보를 보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제공 중인 건강기능식품 B에 대한 화면상에 이전 액세스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아이콘, 이미지, 페이지 링크, 비교 요청 항목을 오버레이(overlay) 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이용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획득되는 사용자 정보 내 질병 정보 중 질병에 따라 가중치나 우선순위를 상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병이 상처와 같은 단기서 질병, 장기요양이나 장기복용이 필요하거나 반복 발병과 같은 암, 감기 등인 경우에는 이를 상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한편, 가족력 기반의 예측성 질병에 대한 건강기능식품은 전술한 단기 또는 장기 질병 정보와는 상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건강기능식품 검색, 구매, 이용 후기 등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 내지 구매패턴을 인공지능 학습 모델 기반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예측결과 기반으로 추천 건강기능식품 목록 등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이용 패턴 내지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220)는 피드백이 네거티브이거나 미리 정한 임계시간 미만만 세션을 유지한 건강기능식품이나 관련 공급자의 페이지는 미리 필터링하여 추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매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거나 서비스 플랫폼 상에서 검색 서비스 이용 등의 경우에, 원하지 않는 정보가 제공되거나 방문에 의해 혼동,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매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 그 이용 정보를 일시 저장할 수 있으며, 일시 저장된 서비스 플랫폼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요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요약 정보는, 프로세서(220)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플랫폼 이용 종료를 요청한 경우 또는 비정상적인 경로나 방식으로 서비스 플랫폼 이용이 강제 종료된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요약 정보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순 사용자의 이용 이력 정보뿐만 아니라, 핵심 이용 이력이나 그에 관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여, 핵심 키워드 기반으로 예를 들어, 하나의 윈도우에 요약된 형태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설정이나 요청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요약 정보를 이메일, 문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한 주기/비주기로 요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출하여, 추출된 키워드 기반으로 이후 서비스 제공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추천 건강기능식품, 서비스 페이지 등을 새롭게 구성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정에는 노출 우선순위의 변경, 제공되는 아이템 등의 사이즈나 해상도 변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서버
210 : 메모리
220 : 프로세서
300 : 공급자 단말

Claims (10)

  1.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에 부합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컨텐츠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상기 사용자와의 연관성에 따라 서열화되어 노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제1 정보를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정보에 포함된 건강기능식품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제2 정보를 의학 논문을 관리하는 서버 또는 의료전문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증하고,
    상기 제1 정보의 검증 결과의 신뢰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이 업로드되면,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을 분석 및 검증하고, 상기 검증된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추천 적용 대상 사용자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과 상기 결정된 추천 적용 대상 사용자 범위를 매핑시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알러지, 기저질환, 건강증진목적, 상기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섭취 활동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상기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상호간의 동시복용적합도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복수의 개별 컨텐츠 목록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개별 컨텐츠 목록 내의 복수의 개별 컨텐츠 각각에 신뢰도에 기반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여된 가중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컨텐츠 목록 내 상기 복수의 개별 컨텐츠의 노출 순서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액세스 정보는, 상기 복수의 개별 컨텐츠 각각에 부여되며,
    상기 복수의 개별 컨텐츠 각각은, 영상 기반 제1 컨텐츠, 문서 기반 제2 컨텐츠, 및 웹 크롤링 정보인 제3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개별 컨텐츠 각각이 제1 내지 제3 컨텐츠인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된 사용자 액세스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인 경우, 상기 사용자 액세스 컨텐츠의 오픈 세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픈 세션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액세스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건강기능식품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액세스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인 경우, 상기 사용자 액세스 컨텐츠의 열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열람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액세스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건강기능식품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건강기능식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구매 요청 수신 기록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개별 컨텐츠 각각의 액세스 정보와 이에 연관된 건강기능식품의 구매 성공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구매 성공율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건강기능식품 목록과 관련하여 제공할 컨텐츠의 가중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판매된 건강기능식품의 판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판매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건강기능식품의 기구매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거나 추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화면 속성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의 방식을 상이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면 속성이 초기 화면인 경우에는, 요약 정보만 제공되고,
    상기 화면 속성이 장바구니 화면이나 구매 화면인 경우에는, 선택된 건강기능식품과 가장 관련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과의 비교 정보가 함께 제공되되, 상기 선택된 건강기능식품이 베스트셀러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경우에 상기 가장 관련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은 베스트셀러 건강기능식품 정보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9.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통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에 부합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컨텐츠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컨텐츠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추출하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상기 사용자와의 연관성에 따라 서열화되어 노출되도록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제1 정보를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정보에 포함된 건강기능식품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제2 정보를 의학 논문을 관리하는 서버 또는 의료전문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증하고,
    상기 제1 정보의 검증 결과의 신뢰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이 업로드되면,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을 분석 및 검증하고, 상기 검증된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추천 적용 대상 사용자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과 상기 결정된 추천 적용 대상 사용자 범위를 매핑시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알러지, 기저질환, 건강증진목적, 상기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섭취 활동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상기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상호간의 동시복용적합도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10.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키워드에 부합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컨텐츠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기 컨텐츠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추출하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상기 사용자와의 연관성에 따라 서열화되어 노출되도록 제공하고,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제1 정보를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정보에 포함된 건강기능식품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제2 정보를 의학 논문을 관리하는 서버 또는 의료전문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증하고,
    상기 제1 정보의 검증 결과의 신뢰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이 업로드되면,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을 분석 및 검증하고, 상기 검증된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추천 적용 대상 사용자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과 상기 결정된 추천 적용 대상 사용자 범위를 매핑시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알러지, 기저질환, 건강증진목적, 상기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섭취 활동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상기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상호간의 동시복용적합도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53297A 2022-11-16 2022-11-16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ctive KR102545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297A KR102545551B1 (ko) 2022-11-16 2022-11-16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297A KR102545551B1 (ko) 2022-11-16 2022-11-16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551B1 true KR102545551B1 (ko) 2023-06-21

Family

ID=8698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297A Active KR102545551B1 (ko) 2022-11-16 2022-11-16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5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2462B1 (ko) * 2023-10-20 2024-09-04 주식회사 이노즈 섭취제품 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702464B1 (ko) * 2023-10-20 2024-09-04 주식회사 이노즈 챌린지 리워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747330B1 (ko) * 2024-05-28 2024-12-31 밸런스 주식회사 개인화된 영양상품 추천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769718B1 (ko) * 2024-08-30 2025-02-19 주식회사 그레인뱅크 사용자 연계 곡물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인공지능 모델 기반 사용자 맞춤형 커머스 관련 큐레이션 및 광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768488B1 (ko) * 2024-08-23 2025-02-19 주식회사 솔버즈 지능형 추천 시스템을 통한 개인화된 제품 추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915A (ko) 2005-12-08 2015-03-05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기판 보지 장치, 노광 장치, 노광 방법 및 디바이스 제조 방법
KR20190076381A (ko) * 2017-12-22 2019-07-02 (주)블루와이즈 빅 데이터를 활용한 건강정보 콘텐츠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20200098155A (ko) * 2019-02-12 2020-08-20 제노플랜코리아 주식회사 식습관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63877A (ko) * 2020-11-11 2022-05-18 (주)아모레퍼시픽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제품 추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915A (ko) 2005-12-08 2015-03-05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기판 보지 장치, 노광 장치, 노광 방법 및 디바이스 제조 방법
KR20190076381A (ko) * 2017-12-22 2019-07-02 (주)블루와이즈 빅 데이터를 활용한 건강정보 콘텐츠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20200098155A (ko) * 2019-02-12 2020-08-20 제노플랜코리아 주식회사 식습관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63877A (ko) * 2020-11-11 2022-05-18 (주)아모레퍼시픽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제품 추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2462B1 (ko) * 2023-10-20 2024-09-04 주식회사 이노즈 섭취제품 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702464B1 (ko) * 2023-10-20 2024-09-04 주식회사 이노즈 챌린지 리워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747330B1 (ko) * 2024-05-28 2024-12-31 밸런스 주식회사 개인화된 영양상품 추천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768488B1 (ko) * 2024-08-23 2025-02-19 주식회사 솔버즈 지능형 추천 시스템을 통한 개인화된 제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769718B1 (ko) * 2024-08-30 2025-02-19 주식회사 그레인뱅크 사용자 연계 곡물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인공지능 모델 기반 사용자 맞춤형 커머스 관련 큐레이션 및 광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551B1 (ko)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ohammadi et al. Data analytics and modeling for appointment no-show in community health centers
Marshall et al. Clinical or gimmickal: The use and effectiveness of mobile mental health apps for treating anxiety and depression
Kim et al. Identifying and prioritizing critical factors for promoting the implementation and usage of big data in healthcare
US8417660B2 (en) Modifying a patient adherence score
US2015025475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sumer evaluation of insurance options
US20130346090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Disease and/or Condition Specific Adaptive Mobile Health Content, Applications and/or Solutions
US20120179481A1 (en) Recommending Prescription Information
Klonoff Telemedicine for diabetes: current and future trends
US20160171180A1 (en) Incentivized wellness behavior modification
US2022001276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managing purchase of medications
US11120912B2 (en) Cognitive systems for generating prospective medical treatment guidance
US10073951B2 (en) Demographically filterable interface for conveying information about a medication
US20210027870A1 (en) Electronic healthcare platform that provides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for personal care products and healthcare services
KR20200104817A (ko) 한방병원 추천 장치 및 한방병원 추천 방법
US20230282326A1 (en) Interactive agent interface and optimized health plan ranking
US20210133275A1 (en) Extracting unstructured demographic information from a data source in a structured manner
US20200104887A1 (en) Techniques for identifying ingenuine online reviews
US20230351517A1 (en) System for predicting healthcare spend and generating fund use recommendations
US12198789B2 (en) Efficient crawling using path scheduling,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2670755B1 (ko) 상담을 기반으로 한 의약품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avid et al. Variations in care: a retrospective database analysis of healthcare utilization patterns for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Amawi et al. The validity of Mobile Applications to Facilitate patient care provided to Cancer patients: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US12266018B1 (en) Use determination risk coverage datastructure for on-demand and increased efficiency coverage detection and rebalancing apparatuses, processes and systems
US20240152990A1 (en) Provider search and mat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