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5140B1 - Braille pen and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raille pen and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140B1
KR102545140B1 KR1020210110378A KR20210110378A KR102545140B1 KR 102545140 B1 KR102545140 B1 KR 102545140B1 KR 1020210110378 A KR1020210110378 A KR 1020210110378A KR 20210110378 A KR20210110378 A KR 20210110378A KR 102545140 B1 KR102545140 B1 KR 10254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braille
wavelength
accommodating
light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7988A (en
Inventor
고승희
김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링크
김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링크, 김두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링크
Priority to KR102021011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140B1/en
Publication of KR2023002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9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14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81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6Tubular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은, 선단부, 상기 선단부와 타측에서 연결되고 일측에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점자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 상기 선단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잉크수용부와 연통된 일단을 통해서 상기 점자잉크가 내부로 유입되어 타단을 통해 토출되는 잉크관을 포함하되, 상기 잉크수용부는 압력이 공급되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에서 유동시켜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의 타측으로 토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은 다양한 형상, 재질등의 기재 표면에도 보존성 및 가독성 측면에서 우수한 점자를 형성할 수 있다.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p portion,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tip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on one side, and an ink receiving unit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accommodating braille ink in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nd an ink tube inserted into the front end and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flows into the inside throug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k accommodating part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wherein the ink accommodating part is accommodated inside when pressure is supplied. The braille ink is introduced into the ink tube and the braille ink flows inside the ink tube to discharge the braille ink to the other side of the ink tube.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braille excellent in terms of preservation and readability even on the surface of substrates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Description

점자펜 및 이를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Braille pen and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Braille pen and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Braille pen and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점자펜 및 이를 포함하는 점자형상장치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pen and a braille device including the braille pen.

시각장애인들은 일상생활에서 비 시각장애인들이 느끼기 어려운 위험요소에 자주 직면한다. 이러한 위험요소는 비 시각장애인들에게는 사전에 회피할 수 있는 사소한 문제에 불과할 수 있으나, 시각장애인들에게는 생명과도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의약품의 복용방법이나, 전자제품의 전원 온/오프 상태, 기타 일상생활에서 위험요소 등이 그러하다. 이러한 위험요소들은 주로 기호나 문자등 시각적 정보를 통해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비 사각장애인들은 사전에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들은 이러한 시각적 정보를 수용할 수 없으므로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위험요소에 자주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Blind people often face risk factors in everyday life that are difficult for non-blind people to feel. These risk factors may be only trivial problems that can be avoided in advance for non-blind people, but they may be serious problem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lif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For example, how to take medicines, power on/off state of electronic products, and other risk factors in daily life. Since these risk factors can be easily recognized through visual information such as symbols or letters, non-blind people can prevent damage in advance. However, since the visually impaired cannot accommodate such visual information, they often face various risk factors in their daily liv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점자가 있다. 점자는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일종의 문자이다. 하나의 점자는 가로로 2칸, 세로로 3줄, 총 6개의 볼록하게 돌출된 점으로 구성된다. 이때 6개의 점을 어떻게 돌출시키는지에 따라 63개의 서로 다른 점형이 생긴다. 그리고 사전에 약속된 규칙에 따라 각각의 점형에는 그와 대응하는 음절이 부여된다. 예를들어, '어머니'라는 단어는 'ㅇ','ㅓ','ㅁ','ㅓ','ㄴ','l'의 6개의 음절로 구성되므로, 점자기록자는 각각의 음절에 대응하는 6개의 점형으로 점자를 기록 함으로써 '어머니'라는 단어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점자를 촉지하여 정보를 받아들이는 촉지자는 기록된 점자를 순서대로 촉지하고, 촉지하여 얻은 음절을 조합하여 '어머니'라는 단어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점자는 '한국점자규정, 통일영어점자, 일본어점자규정 등' 각 나라마다 정해둔 규칙 또는 규정이 있으며,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6점 또는 8점 등 그 이상을 해당 규칙 및 규정에 따라 적용할 수도 있다.Braille is a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Braille is a type of writing used by visually impaired people. One braille is composed of a total of 6 convexly protruding dots, 2 squares horizontally and 3 vertical lines. At this time, depending on how the 6 dots are extruded, 63 different dot shapes are created. And according to the rules promised in advance, each dot type is given a corresponding syllable. For example, since the word 'mother' is composed of six syllables, 'ㅇ', 'sh', 'ㅁ', 'sh', 'ㄴ', and 'l', the braille writer has a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The word 'Mother' can be recorded by recording braille in the form of 6 dots. Also, the facilitator who accepts information by palpating the braille letters can accept the word 'mother' by palpating the recorded braille letters in order and combining the syllables obtained by palpating. In addition, Braille has rules or regulations established in each country, such as 'Korean Braille Regulations, Unified English Braille, Japanese Braille Regulations, etc.' may be

종래에 주로 점자를 형성하는 수단에는 가압식 점자기록수단이 있었다. 가압식 접자기록수단은 종이의 반대쪽 면을 가압함으로써 다른쪽 면에 점형을 돌출되게 하여 점자를 기록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압성형이 어려운 재질의 기록 매체에는 이러한 방법으로 점자를 기록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점자기록수단은 촉지되는 면의 반대면에서 가압하여 점자를 형성하므로, 점자를 역상으로 가압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들어, 종래의 가압식 점자기록수단으로 종이에 '어머니'라는 단어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점자기록자는 종이의 뒷면에서 'l','ㄴ','ㅓ','ㅁ','ㅓ','ㅇ'의 오른쪽에서 왼쪽의 순서대로 점자를 역상으로 기록하여야 했다. 즉, 점자기록자는 기록하고자 하는 점자를 반전하여 기록해야 했던 것이다. [0003] Conventionally, as a means for forming braille characters, there has been a pressurized braille recording means. The pressurized scribble recording means presses the opposite side of the paper so that the dot pattern protrudes on the other side to record braill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recording Braille using this method on a recording medium made of a material that is difficult to press. In addition, since these braille recording means form braille by pressing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to be palpated, there is a problem that braille must be pressed in reverse. For example, in order to record the word 'mother' on paper with a conventional pressurized braille recording means, the braille writer writes 'l', 'b', 'sh', 'ㅁ', 'sh',' on the back of the paper. Braille characters had to be written in reverse order from the right to the left of ㅇ'. That is, the braille writer had to reverse and record the braille to be recorded.

KRKR 10-2016-0037394 10-2016-0037394 A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은 점자잉크가 일정하게 토출되어 점자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하고 불규칙적인 기재의 표면에서도 촉지하는 방향으로 점자를 기록할 수 있는 점자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braille p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braille pen capable of recording braille in a tactile direction even on the surface of various and irregular substrates by consistently discharging braille ink to form brail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는 경화기를 통해 점자잉크를 신속하게 경화시켜 점자를 형성하도록 점자형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braill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ill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quickly curing braille ink through a curing machine to form brail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은, 선단부, 상기 선단부와 타측에서 연결되고 일측에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점자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 상기 선단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잉크수용부와 연통된 일단을 통해서 상기 점자잉크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단을 통해 점자잉크가 토출되는 잉크관을 포함하되, 상기 잉크수용부는 압력이 공급되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에서 유동시켜 상기 잉크관의 타측으로 토출시킨다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p portion,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tip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on one side, and an ink receiving unit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accommodating braille ink in an internal receiving space. and an ink tube insert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wherein when pressure is supplied to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The braille ink accommodated therein is introduced into the ink tube, and the braille ink flows in the ink tube to be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k tube.

또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부터 상기 잉크수용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잉크수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ink receiving portion to support the ink receiving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잉크관은 상기 잉크관의 내주면에서부터 상기 점자잉크가 유동하는 상기 잉크관내부의 방향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잉크관의 내부에서 상기 점자잉크의 유동을 방해하는 잉크관 돌기를 더 포함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k tube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tube toward the inside of the ink tube in which the braille ink flows, and includes an ink tube protrusion that hinders the flow of the braille ink inside the ink tube. can include more

또한, 상기 잉크관은, 상기 점자잉크가 유입되는 상기 잉크관의 일단에서부터 상기 점자잉크가 토출되는 상기 잉크관 타단에 이르기까지의 내주면의 직경은 1mm 내지 3mm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ink tube may have a diameter of 1 mm to 3 mm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ink tube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is introduced to the other end of the ink tube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또한, 상기 잉크수용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일측에서 상기 점자잉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잉크수용부가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할 때, 상기 잉크수용부가 상기 잉크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잉크관의 일단에 의해 중심부가 천공되며, 상기 잉크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연통된 잉크관으로만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k accommoda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braille ink from leaking at one side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topper may include a stopper, when the ink accommodating part is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the ink accommodating part A central portion may be pierced by one end of the ink tube to communicate with the ink tube, and a passage for guiding the braille ink accommodated in the ink receiving unit only to the communicating ink tube may be provided.

또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선단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에 의해 수용되는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수용되어 상기 선단부가 상기 덮개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o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for accommodating all or part of the tip portion therein, wherein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portion accommodated by the cover por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 coupl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cover portion.

또한,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는 상기 덮개부 내부의 수용공간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점자잉크가 토출되는 상기 선단부의 타측을 수용하는 누출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over part may further include a leakage preventing member formed smaller than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cover part and accommodating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part from which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또한, 상기 누출방지부재에 수용되는 상기 선단부 타측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출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누출방지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누출방지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누출방지돌기를 수용하는 누출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와 상기 덮개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의 타측으로 상기 점자잉크가 토출될 때, 상기 누출방지돌기가 수용된 상기 누출방지홈에 의해 상기 점자잉크의 유동이 차단되어 상기 누출방지부재의 외부로 상기 점자잉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tip portion accommodated in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and inside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a leakage preventing groove accommodating the leak preventing proj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akage preventing projection is formed, and when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in a state in which the distal end is coupled with the cover, the flow of the braille ink is blocked by the leak-preventing groove in which the leakage-prevent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thereby preventing leak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aille ink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prevention member.

또한, 상기 점자잉크는 자외선을 조사받으면 경화되고 접착성을 갖도록,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및 비닐 에테르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노머는 상기 점자잉크의 점도가 200,000cPs 내지 300,000cPs가 되도록 단관능 모노머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60% 내지 98% 질량으로 구성되고, 단관능 모노머의 하나가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인 것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25% 내지 65% 질량으로 구성되며, 단관능 모노머의 하나가 N-비닐카프로락탐 인 것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12.5% 내지 60% 질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ille ink includes a monome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including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vinyl ether group so as to be cured and adhesive whe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and the monomer has a viscosity of 200,000 cPs to 300,000 cPs. Monofunctional monomers constitute 60% to 98%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by mass, and one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s is isobornyl acrylate constitutes 25% to 65%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by mass, provided One of the functional monomers being N-vinylcaprolactam may constitute 12.5% to 60% by mass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형성장치는, 점자펜, 점자잉크 및 경화기를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자펜은 선단부, 상기 선단부와 타측에서 연결되고 일측에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점자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 상기 선단부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잉크수용부와 연통된 일단을 통해서 상기 점자잉크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단을 통해 상기 선단부의 타측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점자잉크를 안내하는 잉크관;을 포함하되, 상기 잉크수용부는, 외부에서 압력이 공급되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로 유동시키고, 상기 점자잉크는, 자외선을 조사받으면 경화되고 접착성을 갖도록,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및 비닐 에테르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노머는, 상기 점자잉크의 점도가 200,000cPs 내지 300,000cPs가 되도록 단관능 모노머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60% 내지 98% 질량으로 구성되고, 단관능 모노머의 하나가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인 것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25% 내지 65% 질량으로 구성되며, 단관능 모노머의 하나가 N-비닐카프로락탐 인 것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12.5% 내지 60% 질량으로 구성되며,In the braill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ll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braille pen, braille ink, and a curing device, wherein the braille pen has a front end, a body connected to the front end and the other side, and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on one side. An ink accommodating part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accommodating braille ink in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insert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and throug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k accommodating part, the braille ink flows into the inside, and an ink tube for guiding the braille ink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to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wherein the ink accommodating unit allows the braille ink stored therein to flow into the ink tube when pressure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braille ink includes a monome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including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vinyl ether group so as to be cured and adhesive whe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and the monomer has a viscosity of 200,000 cPs to 300,000 cPs. As much as possible, monofunctional monomers constitute 60% to 98% by mass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and one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s is isobornyl acrylate constitutes 25% to 65% by mass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One of the monomers is N-vinylcaprolactam, which constitutes 12.5% to 60% by mass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상기 경화기는, 상기 토출된 점자잉크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제1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 제2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 제3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3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 복수 개가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1 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제1 열에 나열된 상기 제1 광원의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제2 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3 광원 복수 개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광원에 대응하도록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3 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3 파장의 범위는 360nm 내지 410nm이며, 상기 제1 파장은 상기 제2 파장 및 상기 제3 파장보다 짧고, 상기 제2 파장은 상기 제3 파장보다는 짧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3 파장은 서로 다른 파장의 범위로 정해진다.The curing device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discharged braille ink,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f a first wavelength, a second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f a second wavelength, and a third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f a second wavelength.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are regularly arranged to form a first column, and at least one second light sourc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s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Alternately arranged to form a second column, the plurality of third light sources are regularly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ight sources in the first column to form a third column, and the first wavelength to the third wavelength The range is 360 nm to 410 nm, the first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second wavelength and the third wavelength, and the second wavelength is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third wavelength, but the first wavelength to the third wavelength are mutually It is set to a range of different wavelengths.

또한, 상기 광원부는 제4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4 광원, 제5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5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4 광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제3 열에 나열된 상기 제3 광원의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제4 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5 광원 복수개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광원에 대응하도록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5 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5 파장의 범위는 360mm 내지 410nm 이며, 상기 제3 파장은 상기 제4 파장 및 상기 제5 파장보다 짧고, 상기 제4 파장은 상기 제5 파장보다 짧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5 파장은 서로 다른 파장의 범위로 정해질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fourth light source emitting light of a fourth wavelength and a fifth light source emitting light of a fifth wavelength,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ourth light sources is included in the third light source listed in the third column. The plurality of fifth light sources are regularly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ight sources in the first column to form a fifth column, and the first wavelength to the fifth The wavelength range is 360 mm to 410 nm, the third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fourth wavelength and the fifth wavelength, and the fourth wavelength is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fifth wavelength, and the first to fifth wavelengths may be set to different wavelength ranges.

또한, 상기 제1 광원, 상기 제2 광원, 상기 제3 광원, 상기 제4 광원 및 상기 제5 광원은 UV-LED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파장, 상기 제2 파장, 상기 제3 파장, 상기 제4 파장 및 상기 제5 파장은, 360nm 내지 369nm 범위의 제1 구간, 370nm 내지 379nm 범위의 제2 구간, 380nm 내지 389nm 범위의 제3 구간, 390nm 내지 399nm 범위의 제4 구간, 400nm 내지 410nm 범위의 제5 구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간으로 정해지되, 상기 제1 파장, 상기 제2 파장, 상기 제3 파장, 상기 제4 파장 및 상기 제5 파장은 서로 다른 구간의 파장의 범위로 정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 source, the second light source, the third light source, the fourth light source, and the fifth light source are composed of UV-LEDs, and the first wavelength, the second wavelength, the third wavelength, the The fourth wavelength and the fifth wavelength include a first range of 360 nm to 369 nm, a second range of 370 nm to 379 nm, a third range of 380 nm to 389 nm, a fourth range of 390 nm to 399 nm, and a range of 400 nm to 410 nm. It is determined as any one interval among the fifth intervals, and the first wavelength, the second wavelength, the third wavelength, the fourth wavelength, and the fifth wavelength may be determined as wavelength ranges of different intervals. there i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은, 점자를 기재 뒷면에서 역상으로 기록 할 필요가 없으며 기재의 앞면에서 촉지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점자를 기록 할 수 있어 점자기록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record braille in reverse on the back side of the base material, and can record brail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palpa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material, thereby facilitating braille writing.

또한, 잉크관 내부에서 유동하는 점자잉크의 흐름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점자잉크가 과도하게 토출되지 않고 적절한 일정량이 토출되도록 하고, 압력을 가하지 않았을 때 점자잉크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low of the braille ink flowing inside the ink tube is appropriately controlled so that the braille ink is not excessively discharged and an appropriate amount is discharged,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braille ink from leaking when pressure is not applied.

또한, 표면의 형상, 매끄러운 정도, 경사면의 각도 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어 점자를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Braille can be recorded by being attached to the surface of various substrates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surface, the degree of smoothness,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like.

또한, 일정한 지름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조성물을 구성하므로, 우수한 가독성 및 보존성 측면에서 우수한 점자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position is configured to be formed at a constant height with a constant diameter, there is an effect of forming excellent braille characters in terms of excellent readability and preservation.

또한, 일정한 점도 및 높이를 형성하는 갖는 점자잉크를 사용하여 점자를 기록할 경우 정확하고 가독성이 높은 점자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존성 측면에서도 뛰어난 점자를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braille is recorded using braille ink having a certain viscosity and height, it is possible to form braille that is accurate and highly readable, and has an effect of recording braille that is excellent in terms of preservation.

또한, 덮개부 및 누출방지부재를 통해 점자잉크의 누출을 방지하고 선단부 타측을 보호하여 내구도를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leakage of braille ink is prevented through the cover part and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and durability is improved by protecting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형성장치는, 점자잉크가 효율적으로 경화될 수 있도록 광원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어 자외선 복합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경화기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점자를 경화시킬 수 있뿐 아니라, UV-LED를 사용하므로 휴대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The braill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uring machine in which light sources are arranged in a certain pattern to irradiate light of a complex wavelength of ultraviolet light so that braille ink can be cured efficiently, thereby curing braille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In addition, since UV-LED is used, there is an effect of easy por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잉크관 돌기의 부분확대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잉크수용부의 부분확대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잉크수용부가 몸체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잉크수용부가 잉크관과 연통되면서 몸체부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잉크관의 직경이 0.5mm일 경우 압력과 토출량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잉크관의 직경이 2.0mm일 경우 압력과 토출량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선단부와 덮개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a는 비교예 1의 잉크가 토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비교예 2의 잉크가 토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c는 비교예 3의 잉크가 토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d는 비교예 4의 잉크가 토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잉크가 토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면 7a,7b, 7c,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의 경화기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점자판을 나타낸 도면
1 is a plan view of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 ink tube projection of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 ink receiving portion of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ink accommodating part of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ody, and FIG. 3C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ink accommodating part of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ink tube and is connected to the body. A drawing showing what is combined with the part
4A is a graph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when the diameter of an ink tube of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5 mm;
4B is a graph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when the diameter of an ink tube of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0 mm.
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coupling of a tip portion and a cover portion of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1 is ejected
Figure 6b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2 is ejected
Figure 6c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3 is ejected
Figure 6d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4 is ejected
6E is a view showing that braille ink is ej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7b, 7c, and 7d are enlarged views of a curing device of a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braille board that can be used in a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of the invention, certain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one side", "other side",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no. Hereinafter,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like memb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잉크관의 직경이 0.5mm일 경우 압력과 토출량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잉크관의 직경이 2.0mm일 경우 압력과 토출량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선단부와 덮개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a는 비교예 1의 잉크가 토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비교예 2의 잉크가 토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c는 비교예 3의 잉크가 토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d는 비교예 4의 잉크가 토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잉크가 토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when the diameter of the ink tube of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5 mm,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essure and discharge amount when the diameter of the ink tube of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0 mm, and FIG. Figure 6a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1 is ejected, Figure 6b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2 is ejected, Figure 6c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3 is ejected, 6d is a view showing the ejection of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4, and FIG. 6e is a view showing the ejection of the braille 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은, 선단부(110), 상기 선단부와 타측에서 연결되고 일측에 체결부재(121)를 포함하는 몸체부(120), 상기 체결부재(121)와 결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점자잉크(131)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130),상기 선단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되, 상기 잉크수용부(130)와 연통된 일단을 통해서 상기 점자잉크(131)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단을 통해 상기 선단부의 타측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점자잉크(131)를 안내하는 잉크관(140)을 포함하되, 상기 잉크수용부는(130) 외부에서 압력이 공급되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점자잉크(131)를 상기 잉크관(140)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에서 유동시켜 상기 잉크관의 타측으로 토출시킨다.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a tip portion 110, a body portion 120 connected to the tip portion at the other side and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121 on one side, and the fastening member 121, An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accommodating braille ink 131 in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inserted into and positioned inside the front end portion 110, throug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the braille ink ( 131)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and includes an ink tube 140 for guiding the braille ink 131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to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and when pressure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ink receiving part 130, the inside The braille ink 131 accommodated in the ink tube 140 is introduced into the ink tube 140, and the braille ink flows inside the ink tube to be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k tube.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은 몸체부(120)에 결합된 잉크수용부(130)를 가압하면 잉크수용부(130) 내부의 점자잉크(131)가 잉크관(140) 내부로 유입되어 유동하고, 선단부(110)의 타측을 통해 토출되어 상기 점자잉크가 토출되어 점자를 기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 in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20 is pressed, the braille ink 131 inside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is released. I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ink tube 140, flows,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110, so that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to record braille.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Each configuration is explained.

선단부(110)는 일측이 몸체부(120)와 연결되고 타측을 통해 잉크관(140) 내부를 유동하던 점자잉크(131)가 토출된다. 이때, 선단부(110)는 상기 몸체부(12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몸체부(120)와 일측이 결합된 것일수도 있다, 또한, 선단부는 내부의 중공(中空)에 잉크관(140)이 위치하여 잉크관(140) 휘거나 파단되지 않도록 외부의 충격 등으로 부터 지지 및 보호 한다. 즉 잉크관(140)은 선단부의 내부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선단부(110)는 도 1과 같이 몸체부(120)와 연결되는 일측에서 점자잉크(131)가 토출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front end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20 and braille ink 131 flowing inside the ink tube 140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side. At this time, the distal end 110 may be integrally extended with the body 120 or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20. In addition, the distal end is an ink tube (hollow) inside the ink tube ( 140) is located to support and protect the ink tube 140 from external shocks so that it is not bent or broken. That is, the ink tube 140 can be inserted into the hollow inside the front en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the front end portion 110 may be formed such that its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20 to the other side where the braille ink 131 is discharged.

이러한 형상을 갖는 선단부(110)는 점자잉크(131)가 토출되는 타측이 얇게 형성되어 점자잉크(131)가 토출되는 영역을 정확하게 안내 및 지시할 수 있게 되면서 몸체부(120)와 연결되는 일측의 두께는 두꺼우므로 비교적 견고하게 지지될수 있는 것이다. 즉, 잉크관(140)을 지지하는 선단부(110)의 타측부는 몸체부(120)와 결합되는 선단부(110)의 일측부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The distal end 110 having such a shape has the other side where the braille ink 131 is ejected is formed thinly so that the area where the braille ink 131 is ejected can be accurately guided and directed,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body part 120 is formed. The thickness is thick, so it can be supported relatively firmly. That is,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110 supporting the ink tube 140 may be formed thinner than one side of the front end 110 coupled to the body 120 .

또한, 선단부(110)의 타단과 외부는 내구성 및 인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질플라스틱 폴리염화 비닐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and the outside of the front end 110 may be formed of soft plastic polyvinyl chloride for durability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human body.

몸체부(120)는 일측에 체결부재(121)가 형성되어 잉크수용부(130)가 결합되고, 타측으로는 선단부(110)와 연결된다. 즉, 선단부(110)의 일측과 몸체부(120)의 타측이 연결되고, 몸체부(120)의 일측에 잉크수용부(130)가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부(120)는 점자기록자의 손이 파지될 수 있는 구역이므로 인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20 has a fastening member 121 formed on one side to which the ink receiving portion 130 is coupled, a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110 on the other side. That is, one side of the front end portion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20 are connected, and the ink receiving portion 1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20 . Also, since the body portion 120 is an area that can be gripped by a braille writer's hand, it may be formed of soft plastic to prevent damage to the human body.

체결부재(121)는 잉크수용부(130)와 결합되어 잉크수용부(130)를 몸체부(120)의 일측에 고정시킨다. 체결부재(121)는 몸체부(120)와 잉크수용부(13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잉크수용부(130)에 압력이 가해질때 점자잉크(131)가 체결부재(121)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체결부재(121)는 볼트결합되도록 일정하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잉크수용부(130)의 나사산을 안내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부재(121)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체결부재(121)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점자잉크(131)가 체결부재(121)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121 is coupled to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to fix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20 . The shape of the fastening member 121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body portion 120 and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ut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the braille ink 131 is fastened In order not to leak to the outside of the member 121,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member 121 be coupled by guiding the thread of the ink receiving portion 130 so that the screw thread is constantly formed so as to be bolted. In addition, when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fastening member 121, a sealing portion may be formed to surrou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121 to prevent the braille ink 131 from leaking out of the fastening member 121.

또한, 몸체부(120)는 지지부재(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22)는 몸체부(120)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형성 될 수 있다. 지지부재(122)는 점자기록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거나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점자기록자는 점자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기록할 수 있게된다. 또한, 지지부재(122)는 잉크수용부(130)의 적어도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22)는 잉크수용부(130)를 지지 및 보호하므로 잉크수용부(130)에 과하게 압력이 가해져 점자잉크(131)가 과도하게 토출되거나, 잉크수용부(130)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2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122 . The support member 122 may extend from the body 120 in one direction. The support member 122 provides a space to be stably seated or gripped in the braille writer's hand, and through this, the braille writer can accurately and stably record braille.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22 may support at least one side of the ink receiving unit 130 . In this case, since the support member 122 supports and protects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resulting in excessive ejection of braille ink 131 or breakage of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that can be prevented.

잉크수용부(130)는 체결부재(121)에 의해 몸체부(120)와 결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점자를 형성하는 점자잉크(131)를 수용한다. 잉크수용부(130)는 외부에서 압력이 공급되면 부피가 감소하여 내부에 수용된 점자잉크(131)를 후술할 잉크관(140)의 일단부로 유입시킨다. 즉, 잉크수용부(130)에 압력이 공급되면 잉크수용부(130)가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점자잉크(131)를 잉크관(140) 내부로 유입시키고, 점자잉크(131)를 잉크관(140) 내부에서 잉크관(140)의 타측으로 유동시켜 점자잉크(131)를 선단부(110)의 타측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것이다.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20 by a fastening member 121 and accommodates braille ink 131 forming Braille characters in an internal receiving space. When pressure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volume of the ink accommodating unit 130 is reduced so that the braille ink 131 accommodated therein flows into one end of the ink tube 14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when pressure is supplied to the ink accommodating part 130, the ink accommodating part 130 introduces the braille ink 131 accommodated therein into the ink tube 140, and transfers the braille ink 131 to the ink tube 140. ) to discharge the braille ink 131 to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portion 110 by flowing from the in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ink tube 140.

이때 잉크수용부(130)의 소재는 외부에서 압력을 가해지면 자신의 부피가 감소되어 점자잉크(131)에 압력을 전달하여 점자잉크(131)를 유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으나, 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s volume is reduced when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braille ink 131 so that the braille ink 131 can flow, but it has ductility.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from a material.

그리고, 잉크수용부(130)는 체결부재(121)에 의해 몸체부(120)와 결합되기 위하여 체결부재(121)에 대응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체결부재(121)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면 잉크수용부(130)에는 상기 나사산을 수용하기 위해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Also, the ink receiv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member 121 to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20 by the coupling member 121 . For example, if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fastening member 121, a corresponding screw thread may be formed in the ink accommodating part 130 to accommodate the screw thread.

또한, 잉크수용부(130) 표면에 자외선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자잉크(131)가 외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UV coating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surface of the ink receiving unit 130 .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braille ink 131 from being cured by external ultraviolet rays.

점자잉크(131)는 활성 에너지선 자외선을 조사받으면 경화되고 접착성을 갖도록,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및 비닐 에테르기를 포함한다. 점자잉크(131)에 접착성을 갖도록 포함되는 접착제는 기록매체 표면상에 토출된 점자잉크(131)가 기록매체에서 흘러내리지 않기 위해 적절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닐에테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가 포함된 점자잉크(131)는 특히 플라스틱재에 대한 접착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곡면이나 요철 등 불규칙적인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체 등의 표면에도 용이하게 부착되어 점자를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braille ink 131 includes a monome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including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vinyl ether group so as to be cured and adhesive when irradiated with active energy ray ultraviolet rays. The adhesive included to have adhesiveness to the braille ink 131 can impart appropriate adhesiveness to prevent the braille ink 131 ejected on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medium from flowing down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preferably contains a vinyl ether group. can do. Braille ink 131 including such an adhesive has excellent adhesion to plastic materials. Therefore,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plastic molded body having an irregular shape such as a curved surface or unevenness, so that Braille can be expressed.

그리고, 자외선을 조사받으면 경화되도록 점자잉크(131)에 포함되는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자외선(360nm 내지 410nm)의 광을 조사받아 경화되는 수지로써,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일반적으로는 올리고머(Olygomer)와 모노머(Monomer), 그리고 개시제(Initiator)로 이루어져있다. In additio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included in the braille ink 131 to be cured whe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is a resin that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360 nm to 410 nm), and contains an active energy ray polymerizable compound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do.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is generally composed of an oligomer, a monomer, and an initiator.

올리고머는 프리폴리머 (Prepolymer)로 최종으로 얻으려 하는 물질의 주체가 되고, 모노머는 올리고머를 용해하며 부족한 특성을 부여해 주기 위해 필요한 단량체이다. 개시제인 광개시제(Photoinitiator)는 자외선의 광을 조사받아 분해되면서 올리고머와 모노머가 화학결합을 하여 원하는 수지가 되도록 도와준다. 즉,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에 각종 올리고머나 접착성 수지등을 첨가하여 접착성과 점도를 높여 안정적인 점자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Oligomer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material to be finally obtained as a prepolymer, and monomer is a monomer necessary to dissolve the oligomer and impart insufficient properties. A photoinitiator, an initiator, is decomposed by being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and helps oligomers and monomers to chemically bond to form desired resins. That is, stable braille can be obtained by adding various oligomers or adhesive resins to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to increase adhesion and viscosity.

이때, 점자잉크(131)의 접착성과 점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에서 모노머는 중합성 단관능 모노머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60%질량 내지 98% 질량으로 구성되고, 당해 단관능 모노머의 하나가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인 것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25%질량 내지 65% 질량으로 구성되며, 당해 단관능 모노머의 하나가 N-비닐카프로락탐 인 것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12.5%질량 내지 60% 질량인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and viscosity of the braille ink 131, the monomers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are composed of 60% to 98%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by mass of polymerizable monofunctional monomers, and the monofunctional monomers One of which is isobornyl acrylate is composed of 25% to 65% by mass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and one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s is N-vinylcaprolactam, which is 12.5% to 60% by mass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It is preferred that it consists of % mass.

위와 같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한 점자잉크(131)는 적절한 부착력, 표면장력을 갖는다. 그리고 점자잉크(131)의 점도가 적어도 200,000cPs가 되도록 형성되어, 점자잉크(131)를 지름이 D가 되도록 표면상에 토출시켰을 때 형성되는 높이의 평균값이 약 1/2D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점자잉크(131)를 평면상에 지름이 1.5mm 내지 1.6mm가 되도록 토출시켰을 때, 형성되는 높이가 가독성 있는 높이인 0.6mm 내지 0.9mm 가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점자잉크(131)의 점도는 적어도 200,000cPs 이상으로 형성되며 200,000cPs 내지 300,000cPs로 형성될 수도 있다. Braille ink 131 including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has appropriate adhesion and surface tension.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the braille ink 131 may be at least 200,000 cPs so that the average height formed when the braille ink 131 is ejected onto the surface to have a diameter of D is about 1/2D. That is, when the braille ink 131 is ejected on a flat surface to have a diameter of 1.5 mm to 1.6 mm, the formed height can be 0.6 mm to 0.9 mm, which is a readable height. At this time, the viscosity of the braille ink 131 is at least 200,000 cPs or more, and may be formed at 200,000 cPs to 300,000 cPs.

아래의 표 1 은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잉크(131)와 비교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아래의 표에 따라 형성되는 점자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6a는 비교예 1의 잉크이고, 도 6b는 비교예 2의 잉크이며, 도 6c는 비교예 3의 잉크이고, 도 6d는 비교예 4잉크이며, 그리고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점자잉크이다. 아래 표 1은 실험을 통해 점자잉크의 테스트 점도(이하, '잉크점도'라고 한다.)와 이때, 지름이 1.5mm가 되도록 표면에 토출시켰을 때 형성되는 높이(이하, '단위면적높이'라고 한다.)를 구체적인 수치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Table 1 below shows braille ink 1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arative examples through experiments. 6 is a schematic diagram of braille formed according to the table below. 6A is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1, FIG. 6B is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2, FIG. 6C is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3, FIG. 6D is the ink of Comparative Example 4, and FIG. 6E is the ink of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raille ink. Table 1 below shows the test viscosity of braille i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k viscosity') through experiments and the height formed when ejected on the surface to have a diameter of 1.5 mm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it area height'). .) is expressed as a specific numerical valu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Example 1 테스트용 점도
(잉크점도),(cPs)
Viscosity for testing
(ink viscosity), (cPs)

10,000

10,000

30,000

30,000

50,000

50,000

100,000

100,000

200,000

200,000
지름이 1.5mm일 때 형성되는 높이(단위면적높이),(mm)Height formed when the diameter is 1.5mm (unit area height), (mm)
0.17

0.17

0.23

0.23

0.28

0.28

0.35

0.35

0.6

0.6

비교예 1은 위 표 1에서 10,000cPs일때 단위면적높이가 0.17mm 이다. 비교예 2는 잉크점도가 30,000cPs이고 이때 단위면적높이는 0.23mm이다. 비교예 3은 잉크점도가 50,000cPs이고 이때 단위면적높이는 0.28mm이다. 비교예 4는 잉크점도가 100,000cPs이고, 이때 단위면적높이가 0.35mm이다. 실시예 1은 잉크점도가 200,000cPs이고, 이때의 단위면적높이는 0.6mm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이 비교예 1 내지 4보다 점자잉크로써 적합하다. 실시예 1이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높이가 높게 형성되므로 촉지자가 점자임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정확한 의미을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1.5mm 내지 1.6mm가 되도록 표면상에 토출시켰을 때 높이가 0.6mm 내지 0.9mm로 형성되는 점자는 촉지자가 점자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점자의 가독성이 높아지는 것이다.Comparative Example 1 has a unit area height of 0.17 mm when 10,000 cPs in Table 1 above. Comparative Example 2 has an ink viscosity of 30,000 cPs and a unit area height of 0.23 mm. Comparative Example 3 has an ink viscosity of 50,000 cPs and a unit area height of 0.28 mm. Comparative Example 4 has an ink viscosity of 100,000 cPs, and a unit area height of 0.35 mm. In Example 1, it was found that the ink viscosity was 200,000 cPs, and the unit area height at this time was 0.6 mm. Therefore, Example 1 is more suitable as braille ink than Comparative Examples 1 to 4. Since the height of Example 1 is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he palpater can more easily recognize that it is braille and can accept the correct meaning. As described above, braille formed to have a height of 0.6 mm to 0.9 mm when ejected on the surface to be 1.5 mm to 1.6 mm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by the tactile device, and the readability of the braille is increased.

즉, 점자잉크(131)는 기재에 접착되고, 일정한 파장의 광에 의해 경화되는 잉크로써, 200,000cPs이상의 점도를 갖고 가독성 있는 점자의 높이인 0.6mm 내지 0.9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경화기(200)가 조사하는 복합파장에의해서 빠르게 경화되어 점자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braille ink 131 is an ink that is adhered to a substrate and cured by light of a certain wavelength, and may have a viscosity of 200,000 cPs or more and be formed to a height of 0.6 mm to 0.9 mm, which is the height of a legible brail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rapidly cured by the complex wavelength irradiated by the curing machine 200 to form braille.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수용부의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잉크수용부가 몸체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의 잉크수용부와 잉크부가 연통되면서 몸체부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3A is a view of an ink accommod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ink accommodating unit of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body part, and FIG. 3C is an illust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at the ink accommodating part and the ink part of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the body part.

도 3a에서와 같이 잉크수용부(130)의 일측에는 점자잉크(131)의 누출을 방지하는 마개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133)는 도 3b에서와 같이 잉크수용부(130)가 체결부재(121)와 결합될 때, 도 3c에서 같이 잉크관(140)의 일단에 의해서 잉크수용부(130)의 마개부(133)가 천공되면서 잉크수용부(130)가 잉크관(140)과 연통된다. As shown in FIG. 3A , a stopper 133 for preventing leakage of braille ink 131 may be further included at one side of the ink accommodating unit 130 . When the ink receiving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121, as shown in FIG. 3B, the stopper portion 133 is the stopper portion of the ink receiving portion 130 by one end of the ink tube 140 as shown in FIG. 3C. As the 133 is perforated, the ink receiving portion 130 communicates with the ink tube 140.

즉, 잉크수용부(130)가 체결부재(121)와 결합할 때, 잉크수용부(130)가 잉크관(140)과 연통되도록 잉크관(140)의 일단에 의해 중심부가 천공되며, 잉크수용부(140)에 수용된 점자잉크(131)를 잉크수용부(130)와 연통된 잉크관(140)으로만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is coupled with the fastening member 121, the central portion is perforated by one end of the ink tube 140 so that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130 communicates with the ink tube 140,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ssage for guiding the braille ink 131 accommodated in the unit 140 only to the ink tube 140 communicating with the ink receiving unit 130 .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점자잉크(131)를 모두 소진한 경우, 기존의 잉크수용부(130)를 제거하고, 점자잉크(131)가 수용된 새로운 잉크수용부(130)를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마개부(133)는 잉크관(140)의 일측 단부에 의해서 천공되면서 점자잉크(131)가 누출되지 않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user exhausts all the braille ink 131, the existing ink accommodating part 130 is removed and a new ink accommodating part 130 containing the braille ink 131 is fastened. The stopper 133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braille ink 131 does not leak while being perforated by one end of the ink tube 140, and more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잉크관(140)은 선단부(110)의 내측에 위치하되, 일단이 잉크수용부(130)에 연통되어 타단을 통해 선단부(110) 타측으로 점자잉크(131)를 토출한다. 즉, 잉크관(140)은 선단부(110)의 내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잉크수용부(130)와 연통된 일단을 통해서 점자잉크(131)가 내부로 유입되며, 타단을 통해 선단부(110)의 타측으로 토출되도록 점자잉크(131)를 안내한다. 그리고 잉크관(140)의 내부는 점자잉크(131)가 유동하는 공간이므로 점자잉크(131)가 잉크관(140) 내부에서 적체되지 않고 잘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잉크관(140)의 내부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k tube 140 is located inside the distal end 110, and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ink receiving part 130 to discharge braille ink 131 to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110 through the other end. That is, the ink tube 14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inside the front end 110, and the braille ink 131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k receiving part 130, and the front end 110 through the other end. ) Guides the braille ink 131 to be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ink tube 140 is a space in which the braille ink 131 flows, the inside of the ink tube 140 is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stainless material.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잉크관(140)은 내주면에서부터 점자잉크(131)가 유동하는 잉크관(140) 내부의 방향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돌출 형성되고, 잉크관(140)의 내부에서 점자잉크(131)의 유동을 일부 차단하는 잉크관 돌기(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관(140)의 일단에서 상기 잉크관(140)의 타단을 통해서 상기 점자잉크(131)가 유동할 때, 상기 잉크관 돌기(141)는 상기 점자잉크(131)가 유동하는 방향의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점자잉크(131)가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ink tube 140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inside of the ink tube 140 in which the braille ink 131 flows, and is formed from the inside of the ink tube 140. An ink tube protrusion 141 may be further included to partially block the flow of the braille ink 131 . In addition, when the braille ink 131 flows from one end of the ink tube 140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ink tube 140, the ink tube protrusion 141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aille ink 131 flows. protrudes vertically to effectively prevent the braille ink 131 from flowing.

즉, 잉크관 돌기(141)는 잉크관(140) 내부에서 점자잉크(131)가 유동을 방해하여 잉크수용부(130)에 과도한 압력이 공급되더라도 토출되는 점자잉크(131)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ink tube protrusion 141 hinders the flow of the braille ink 131 inside the ink tube 140, so that the amount of the braille ink 131 discharged is kept constant even if excessive pressure is supplied to the ink receiving unit 130. it can be done

잉크관 돌기(141)는 잉크관(141) 내부에서 직진으로 유동하는 점자잉크(131)에 정체구간을 형성하여 점자잉크(131)가 과도하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잉크관(140)의 내주면의 직경이 증가하면 토출되는 점자잉크(131)의 양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과도하게 토출될 우려가 있으나, 잉크관 돌기(141)를 형성함으로써 잉크관(140)의 내주면의 직경이 증가하더라도 점자잉크(131)가 과도하게 토출되지 않고 일정하게 토출되도록 점자잉크(131)의 유량 및 유속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정체구간이란 잉크관(14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점자잉크(131)의 이동경로를 길게 형성하거나 일부 차단시켜 점자잉크(131)의 유속을 늦추고, 단위시간당 잉크관(140)의 단일면적을 통과하는 점자잉크(131) 유량을 줄이는 것을 말한다. The ink tube protrusion 141 forms a stagnation section in the braille ink 131 flowing straight inside the ink tube 141 to prevent the braille ink 131 from being excessively discharged. That is, when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tube 140 increases, the amount of the discharged braille ink 131 increases proportionally and there is a risk of excessive discharge. ),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braille ink 131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braille ink 131 is not discharged excessively and is discharged constantly even if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 increases. Here, the stagnant section refers to slowing down the flow rate of the braille ink 131 by forming a long or partially blocking the movement path of the braille ink 131 flowing inside the ink tube 140, and reducing a single area of the ink tube 140 per unit time. It refers to reducing the flow rate of the braille ink 131 passing through.

또한, 도 2에서의 잉크관 돌기(141)는 잉크관(140)의 내부에서 점자잉크(141)가 유동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잉크관(140)의 내주면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상호 교호적으로 형성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잉크관 돌기(141)의 형상, 높이 및 배치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잉크관 돌기(141)가 서로 마주보고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잉크관(141)돌기의 높이는 잉크관(140) 직경의 50%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잉크관 돌기(141)는 잉크관(14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k tube protrusions 141 in FIG. 2 cross each oth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tube 14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aille ink 141 flows inside the ink tube 140. However, the shape, height and arrangement of the ink tube protrusion 14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The ink tube protrusions 141 may be formed to face and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ink tube 141 protrusions may be less than 50% of the ink tube 140 diameter. In addition, the ink tube protrusion 141 may b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k tube 140 .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잉크관(140)의 내주면의 직경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그래프는 잉크관(140)의 직경에 따라서 잉크수용부(130)에 가해지는 압력과 토출되는 점자잉크(131)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잉크관의 직경은 점자잉크(131)가 유동하는 잉크관(140) 내부의 내주면의 직경을 의미한다. 이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점자잉크(131)의 토출량, 세로축은 잉크수용부(130)에 공급되는 압력을 나타낸다. 여기서 가로축 100은 해당 직경을 가진 잉크관(140)에서 토출될 수 있는 단위면적당 점자잉크(140)의 최대 토출량을 의미하며, 세로축 100은 잉크수용부(130)에 가한 최대 압력, 즉 잉크수용부(130)가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 잉크수용부(130)에 가한 압력을 의미한다.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tub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3A and 3B show a correlation betwe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k container 130 and the amount of the braille ink 131 discharg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k tube 140.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ink tube means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tube 140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131 flows. In this graph,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discharge amount of the braille ink 131,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pressure supplied to the ink receiving unit 130. Here, the horizontal axis 100 means the maximum discharge amount of the braille ink 140 per unit area that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k tube 140 having the corresponding diameter, and the vertical axis 100 means the maximum pressure applied to the ink accommodating part 130, that is, the ink accommodating part It mean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k receiving portion 130 when 130 is compressed to the maximum.

잉크관(140)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그래프에서 점자잉크(131)의 토출량이 40 내지 70의 구간을 만족하는 직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보다 낮으면 점자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70보다 높으면 점자잉크(131)가 과하게 토출되기 때문이다.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tube 140 is preferably a diameter that satisfies the range of 40 to 70 in the discharge amount of the braille ink 131 in the above graph. If the value is lower than 40, it is difficult to form braille characters, and if the value is higher than 70, braille ink 131 is excessively discharged.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잉크관(140)의 내주면의 직경이 0.5mm인 경우에는 압력이 100임에도 점자잉크(131)의 토출량이 40에도 못미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잉크관(140)의 내주면의 직경이 2mm인 경우에는 40이상이 토출되므로 적절하다. 그러므로 0.5mm의 내주면 직경을 갖는 잉크관(140)보다 2mm의 내주면 직경을 갖는 잉크관(140)이 바람직 하다고 할 것이다. 즉, 잉크관(140)의 내주면의 직경이 2mm인 경우에는 일정한 압력을 가했을 때 점자잉크(130)의 토출량도 40~70이므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점자잉크가 유입되는 상기 잉크관의 일단에서부터 상기 점자잉크가 토출되는 상기 잉크관 타단에 이르기까지의 내주면의 직경은 1mm 내지 3mm로 형성되는 것이 점자기록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A, when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tube 140 is 0.5 mm, it can be seen tha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braille ink 131 is less than 40 even though the pressure is 100.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C, when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tube 140 is 2 mm, it is appropriate because 40 or more are discharged. 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the ink tube 140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2 mm is more preferable than the ink tube 140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0.5 mm. That is, when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tube 140 is 2 mm, the discharge amount of the braille ink 130 is 40 to 70 when a certain pressure is applied, so it is suitable for general use. Therefore,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braille recording that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one end of the ink tube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is introduced to the other end of the ink tube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is formed to be 1 mm to 3 mm.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선단부(1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덮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덮개부(150)에 의해 수용되는 선단부(11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11)가 형성되고, 덮개부(150)의 내주면에는 이에 대응하도록 결합돌기(111)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돌기(111)를 수용하는 결합홈(151)이 형성 되어, 결합돌기(111)가 결합홈(151)에 수용되어 결착됨으로써 선단부(110)가 덮개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덮개부(150)에 의해서 선단부(110)를 외부의 충격 등에서 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점자잉크(131)가 일부 누출되어도 덮개부(150)의 수용공간에 적절하게 수용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150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all or part of the distal end 110 therein. At this time,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1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110 accommodated by the cover portion 150,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50. Coupling grooves 151 accommodating the coupling protrusions 111 are formed therein,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11 are received and bound to the coupling grooves 151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110 can be coupled to the cover portion 150. The front end 110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by the cover 150, and even if a portion of the braille ink 131 leaks, it can be proper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ver 150 to prevent leakage to the outside. can

또한, 덮개부의 내부에는 점자잉크(131)가 토출되는 선단부(110)의 타측을 수용하는 누출방지부재(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누출방지부재(153)에 수용되는 선단부(110) 타측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출방지돌기(112)가 형성되고, 누출방지부재(153)의 내부에는 누출방지돌기(112)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누출방지돌기(112)를 수용하는 누출방지홈(152)이 형성될 수 있다. 선단부(110)와 덮개부(1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선단부(110) 타측으로 점자잉크(131)가 토출될 때, 누출방지돌기(112)가 수용된 누출방지홈(152)에 의해 점자잉크(131)의 유동이 차단되어 상기 누출방지부재(153)의 외부로 점자잉크(131)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leakage preventing member 153 accommodating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110 from which the braille ink 131 is discharged may be further included inside the lid. At this time, at least one leakage preventing projection 11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110 accommodated in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153, and the leakage preventing projection 112 and the corresponding inside of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153 are formed. A leak-preventing groove 152 for accommodating the leak-preventing protrusion 112 in position may be formed. When the braille ink 131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110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110 and the lid 150 are coupled, the braille ink 131) is blocked so that the leakage of braille ink 131 to the outside of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153 can be prevented.

이때, 누출방지돌기(112)는 누출방지부재(153)에 의해 수용되는 선단부(110)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원형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점자잉크(131)는 덮개부(150)의 내부에서 흐르거나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k-preventing protrusion 112 may have a circularly protruding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110 accommodated by the leak-preventing member 153,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in double as shown in FIG. Through this, the braille ink 131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r scattering inside the cover part 150 .

그리고 누출방지부재(153)의 재질은 탄성을 갖고 있어 선단부(110)의 타측에 적절하게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누출방지부재(153)는 덮개부(150)내부에서 점자잉크(131)의 비산을 방지하고 선단부(110)의 타측을 밀폐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153 has elasticity, it is preferable to appropriately apply pressure to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portion 110. In this case,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153 is more preferably made of silicon in order to prevent the braille ink 131 from scattering inside the cover part 150 and to seal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part 110.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는, 점자펜(100)과 경화기(200)를 포함한다. 점자펜(100)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의 경화기(200)를 설명한다. A braill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ille pen 100 and a hardener 200. Since the braille pen 100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ndant details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curing device 200 of a braill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a, 도 7b, 도7c 및 도 7d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의 경화기를 나타낸 도면이다.7a, 7b, 7c, and 7d are views illustrating a curing unit of a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경화기(200)는 토출된 점자잉크(131)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210)를 포함한다. 광원부(210)는 복수의 광원이 파장에 따라 미리 설계된 복합파장패턴을 이루어 배치되어 복합파장광을 조사하여 점자잉크(131)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경화시킨다. 광원부(210)는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한다.The curing device 200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210 that irradiates ultraviolet light to the ejected braille ink 131 . In the light source unit 210,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disposed in a pre-designed complex wavelength pattern according to wavelengths to irradiate light with complex wavelengths to quickly and efficiently cure the braille ink 131. The light source unit 210 includes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보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체에서 경화기(200)의 광원부(210)는 제1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211), 제2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212), 제3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3 광원(213)을 포함한다. 이때, 제1 광원(211), 제2 광원(212), 제3 광원(213)은 소형화, 발열관리 측면에서 UV-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광원(211) 복수 개가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1 열을 형성하고, 제2 광원(212)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제1 열에 나열된 상기 제1 광원의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제2 열을 형성하며, 제3 광원(213) 복수 개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광원에 대응하도록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3 열을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7A and 7B , the light source unit 210 of the curing device 200 in the braille body including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its light of a first wavelength. It includes a light source 211, a second light source 212 that emits light of a second wavelength, and a third light source 213 that emits light of a third wavelength. At this time, the first light source 211, the second light source 212, and the third light source 213 are preferably UV-LEDs in terms of miniaturization and heat management.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211 are regularly arranged to form a first column, and at least one or more second light sources 212 are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s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to form a second light source. A column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third light sources 213 may be regularly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ight source in the first column to form a third column.

그리고, 제1 광원의 제1 파장, 제2 광원(212)의 제2 파장 및 제3 광원(213)의 제3 파장은 자외선 파장인 360nm 내지 410nm의 범위의 파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장 내지 제3 파장은, 360nm 내지 369nm 범위의 제1 구간, 370nm 내지 379nm 범위의 제2 구간, 380nm 내지 389nm 범위의 제3 구간, 390nm 내지 399nm 범위의 제4 구간, 400nm 내지 410nm 범위의 제5 구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간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각 파장의 구간이 중복될 경우에는 효율성이 낮아지므로 상기 제1 파장 내지 제3 파장은 서로 다른 파장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때, 제1 파장은 제2 파장 및 제3 파장보다 파장이 짧게 형성되고, 제2 파장은 제3 파장보다 파장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광원부(210)에서 제1 광원(211), 제2 광원(212), 제3 광원(213)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파장은 제1 구간, 제2 구간 또는 제3 구간 중에서 정해질 수 있고, 제2 파장은 제2 구간, 제3 구간 또는 제4 구간 중에서 정해지며, 제3 파장은 제4 구간 또는 제5 구간 중에서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wavelength of the first light source, the second wavelength of the second light source 212, and the third wavelength of the third light source 213 are preferably formed in a wavelength range of 360 nm to 410 nm, which is an ultraviolet wavelength. Specifically, the first to third wavelengths include a first range of 360 nm to 369 nm, a second range of 370 nm to 379 nm, a third range of 380 nm to 389 nm, a fourth range of 390 nm to 399 nm, and a 400 nm range. It may be determined as any one of the fifth sections in the range of 410 nm to 410 nm. In addition, since the efficiency is lowered when the sections of each wavelength overlap,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o third wavelengths are selected as different wavelengths. At this time, the first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second and third wavelengths. It is formed shorter, and the second wavelength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third wavelength. For example, when the light source unit 210 includes the first light source 211, the second light source 212, and the third light source 213, the first wavelength is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or a third section. It may be determined from among, the second wavelength is determined from the second interval, the third interval or the fourth interval, and the third wavelength may be determined from the fourth interval or the fifth interval.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에서 광원부(210)는 제1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 제2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 제3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3 광원을 포함하며,상기 제1 광원 복수 개가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1 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제1 열에 나열된 상기 제1 광원의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제2 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3 광원 복수 개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광원에 대응하도록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3 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3 파장의 범위는 360nm 내지 410nm이며, 상기 제1 파장은 상기 제2 파장 및 상기 제3 파장보다 짧고, 상기 제2 파장은 상기 제3 파장보다는 짧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3 파장은 서로 다른 파장으로 형성된다.That is, in the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unit 210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emitting light of a first wavelength, a second light source emitting light of a second wavelength, and a third light source emitting light of a second wavelength. It includes a third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f a wavelength, wherein a plurality of the first light sources are regularly arranged to form a first column, and at least one second light sourc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s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Alternately arranged to form a second column, the plurality of third light sources are regularly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ight sources in the first column to form a third column, and the first wavelength to the third wavelength The range is 360 nm to 410 nm, the first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second wavelength and the third wavelength, and the second wavelength is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third wavelength, but the first wavelength to the third wavelength are mutually formed at different wavelengths.

한 종류의 광원만 배치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점자잉크(131)의 경화가 충분하게 일어나지 않거나, 완전히 경화되기 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상이한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파장별로 일정한 정렬로 배치하여 복합파장패턴을 구현함으로써, 점자잉크(131)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는것이다.When only one type of light source is disposed to irradiate the braille ink 131, the curing of the braille ink 131 does not occur sufficiently, or it takes a long time to completely cure the braille ink 131. Accordingly, the braille ink 131 can be cured quickly and efficiently by arrang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rradiating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in a regular arrangement for each wavelength to realize a complex wavelength patter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는 제4 광원(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211), 제2 광원(212), 제3 광원(213), 제4 광원(214)은 소형화, 발열관리 측면에서 UV-LED인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light source 214 . At this time, the first light source 211, the second light source 212, the third light source 213, and the fourth light source 214 are preferably UV-LEDs in terms of miniaturization and heat management.

또한, 제4 광원(214)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제3 열에 나열된 제3 광원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제4 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원(211)의 제1 파장, 제2 광원(212)의 제2 파장, 제3 광원(213)의 제3 파장, 제4 광원(214)의 제4 파장은 360nm 내지 410nm범위의 파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장 내지 제5 파장은, 360nm 내지 369nm 범위의 제1 구간, 370nm 내지 379nm 범위의 제2 구간, 380nm 내지 389nm 범위의 제3 구간, 390nm 내지 399nm 범위의 제4 구간, 400nm 내지 410nm 범위의 제5 구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간으로 선택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ourth light sources 214 may be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third light sources listed in the third column to form a fourth column. And the first wavelength of the first light source 211, the second wavelength of the second light source 212, the third wavelength of the third light source 213, and the fourth wavelength of the fourth light source 214 are in the range of 360 nm to 410 nm. It is preferable to form with a wavelength. Specifically, the first to fifth wavelengths include a first range of 360 nm to 369 nm, a second range of 370 nm to 379 nm, a third range of 380 nm to 389 nm, a fourth range of 390 nm to 399 nm, and a 400 nm range. It may be selected as any one of the fifth sections in the range of 410 nm to 410 nm.

또한, 각 파장의 구간이 중복될 경우에는 효율성이 낮아지므로 상기 제1 파장 내지 제4 파장은 서로 다른 파장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파장은 제2 파장 내지 제4 파장보다 파장이 짧게 형성되고 제2 파장은 제3 파장 내지 제4 파장보다 파장이 짧게 형성되며, 제3 파장은 제4 파장 및 제5 파장보다 파장이 짧게 형성되어 복합파장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fficiency is lowered when the sections of each wavelength overlap,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o fourth wavelengths are selected as different wavelengths. In this case, the first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second to fourth wavelengths, the second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third to fourth wavelengths, and the third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fourth and fifth wavelengths. This short formation can implement a complex wavelength pattern.

또한, 도 7c 및 도7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는 제4 광원(214) 및 제5 광원(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211), 제2 광원(212), 제3 광원(213), 제4 광원(214), 제5 광원(215)는 소형화, 발열관리 측면에서 UV-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C and 7D , the braill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light source 214 and a fifth light source 215 . At this time, the first light source 211, the second light source 212, the third light source 213, the fourth light source 214, and the fifth light source 215 are preferably UV-LEDs in terms of miniaturization and heat management. .

또한, 제4 광원(214)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3 열에 나열된 제3 광원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제4 열을 형성하며, 제5 광원(215) 복수개가 제3 열의 제3 광원에 대응되도록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5 열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ourth light sources 214 is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third light sources listed in the third column to form a fourth column, and a plurality of fifth light sources 215 correspond to the third light source in the third column. They may be arranged as uniformly as possible to form a fifth column.

그리고 제1 광원(211)의 제1 파장, 제2 광원(212)의 제2 파장, 제3 광원(213)의 제3 파장, 제4 광원(214)의 제4 파장 및 제5 광원(215)의 제5 파장은 자외선 파장인 360nm 내지 410nm범위의 파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장 내지 제5 파장은, 360nm 내지 369nm 범위의 제1 구간, 370nm 내지 379nm 범위의 제2 구간, 380nm 내지 389nm 범위의 제3 구간, 390nm 내지 399nm 범위의 제4 구간, 400nm 내지 410nm 범위의 제5 구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간으로 선택될 수 있다. And the first wavelength of the first light source 211, the second wavelength of the second light source 212, the third wavelength of the third light source 213, the fourth wavelength of the fourth light source 214, and the fifth light source 215 ) The fifth wavelength is preferably formed of a wavelength in the range of 360 nm to 410 nm, which is an ultraviolet wavelength. Specifically, the first to fifth wavelengths include a first range of 360 nm to 369 nm, a second range of 370 nm to 379 nm, a third range of 380 nm to 389 nm, a fourth range of 390 nm to 399 nm, and a 400 nm range. It may be selected as any one of the fifth sections in the range of 410 nm to 410 nm.

또한, 각 파장의 구간이 중복될 경우에는 효율성이 낮아지므로 상기 제1 파장 내지 제5 파장은 서로 다른 파장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파장은 제2 파장 내지 제5 파장보다 파장이 짧게 형성되고 제2 파장은 제3 파장 내지 제5 파장보다 파장이 짧게 형성되며, 제3 파장은 제4 파장 및 제5 파장보다 파장이 짧게 형성되고, 제4 파장은 제5 파장보다 파장이 짧게 형성되어 복합파장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fficiency is lowered when the sections of each wavelength overlap,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o fifth wavelengths are selected as different wavelengths. In this case, the first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second to fifth wavelengths, the second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third to fifth wavelengths, and the third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fourth and fifth wavelengths. This is formed short, and the fourth wavelength is formed shorter than the fifth wavelength, so that a complex wavelength pattern can be implemented.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은, 경화기(200)의 광원부(210)는 제4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4 광원, 제5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5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광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제3 열에 나열된 상기 제3 광원의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제4 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5 광원 복수개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광원에 대응하도록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5 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5 파장의 범위는 360mm 내지 410nm 이며, 상기 제3 파장은 상기 제4 파장 및 상기 제5 파장보다 짧고, 상기 제4 파장은 상기 제5 파장보다 짧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5 파장은 서로 다른 파장의 범위로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braill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unit 210 of the curing machine 200 has a fourth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f a fourth wavelength and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f a fifth wavelength. 5 light source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ourth light sources is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third light sources listed in the third column to form a fourth column; are regularly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ight source to form a fifth column, the range of the first wavelength to the fifth wavelength is 360 mm to 410 nm, the third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fourth wavelength and the fifth wavelength, , The fourth wavelength is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fifth wavelength, but the first to fifth wavelengths may be set to different wavelength ranges.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에서, 점자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점자판(300)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braille board 300 that can be used for forming braille in the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a braill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형성장치는 점자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점자판(300)에 대해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8 , the braill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raille board 300 . Hereinafter, the braille board 300 will be described.

점자판(300)은 지지판(310), 지지판(310) 내부에 형성되어 점자펜을 가이드 하는 점자칸(320), 점자칸(320) 내부를 6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321) 및 구획부재(321)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점자칸 중공(322)를 포함한다. The braille plate 300 includes a support plate 310, a braille compartment 320 formed inside the support plate 310 to guide a braille pen, a partition member 321 dividing the interior of the braille compartment 320 into six spaces, and a partition member. A braille compartment hollow 322 formed by being partitioned by 321 is included.

지지판(310)은 하나 이상의 점자칸(320)을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점자칸(320)이 가로로 32칸, 세로로 18줄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지지판(3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310)은 울퉁불퉁하거나, 굴곡진 표면등에서도 점자를 기록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연성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휨성과 견착성을 고려하여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late 310 includes one or more braille cells 320, but preferably, the braille cells 320 may be formed inside the support plate 310 by maintaining 32 horizontal lines and 18 vertical lines at regular intervals. . The support plate 31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ductility so as to be able to record braille even on a bumpy or curved surface, etc.,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bendability and grip.

지지판(310)의 표면에는 점자의자간이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310)의 표면에는 점자기록자가 점자를 쉽게 표시하기 위하여 점자예시를 포함할 수 있다. A measuring member capable of measuring a length may be includ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10 in order to measure the spacing or location of braille characters. In addition, braille examples may be includ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10 so that a braille writer can easily display braille characters.

지지판(310)은 하나 이상의 점자칸(320)을 포함한다. 점자칸(320)은 지지판(310)의 일부가 천공되어 형성된다. 점자칸(320)을 여러개 포함는 경우에는 잠자칸(320)은 일렬로 줄칸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점자칸(3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 하다. The support plate 310 includes one or more braille cells 320 . The braille compartment 320 is formed by punching a part of the support plate 310 . In the case of including a plurality of braille spaces 320, the sleeping spaces 320 may be arranged in a row.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braille box 3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rectangular.

하나의 점자칸(320)의 가로길이는 3.5mm 내지 4.5mm, 바람직하게는 3.8mm 내지 3.9mm이다. 하나의 점자칸(320)의 세로길이는 5.5mm 내지 6.5mm, 바람직하게는 6.1mm 내지 6.2mm 이다. 하나의 점자칸(320)에서 수평 위치에 있는 다른 점자칸(320)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 1.6mm 내지 1.7mm 이이고, 하나의 점자칸(320)에서 수직 위치에 있는 또 다른 점자칸(320)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 2.5mm 내지 3.5mm, 바람직하게는 3.0mm 내지 3.1mm이다The horizontal length of one braille box 320 is 3.5 mm to 4.5 mm, preferably 3.8 mm to 3.9 mm. The vertical length of one braille box 320 is 5.5 mm to 6.5 mm, preferably 6.1 mm to 6.2 mm. The distance between one braille compartment 320 and another braille compartment 320 in a horizontal position is preferably 1.6 mm to 1.7 mm, and one braille compartment 320 to another braille compartment 320 in a vertical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preferably 2.5 mm to 3.5 mm, preferably 3.0 mm to 3.1 mm.

점자칸 구획부재(321)는 점자칸(320)을 세로 3줄, 가로 2칸 로 구획하여 총 6개의 점자칸 중공(322)을 형성한다. 점자칸 구획부재(321)는 점장잉크(131)가 토출되는 일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선단부(110) 또는 미세토출부(142)를 지지하여 점자펜(100)의 떨림이나 진동 등을 흡수하여 안정적으로 점자를 기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점자칸 구획부재(321)의 직경은 0.5mm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0.7mm 내지 0.8mm이고, 점자칸 구획부재(321)의 재질은 지지판(310)이 휘어짐에도 버틸수 있도록 재질로 구성되되, 텅스텐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raille compartment partitioning member 321 divides the braille compartment 320 into three vertical lines and two horizontal compartments to form a total of six braille compartment hollows 322 . The braille compartment partition member 321 provides a constant guideline through which the dotted ink 131 is discharged, and supports the distal end 110 or the micro-dispensing unit 142 to absorb shaking or vibration of the braille pen 100. It enables stable recording of braille. The diameter of the braille compartment partition member 321 is 0.5 mm to 1.0 mm, preferably 0.7 mm to 0.8 mm, and the material of the braille compartment partition member 321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the bending of the support plate 310, It is preferably made of tungsten wire.

점자칸 중공(322)에는 하나의 점이 기록된다. 즉, 하나의 점자칸 중공(322)에는 점형을 이루는 점이 하나 기록될 수 있으며, 하나의 점자칸(310)은 6개의 점자칸 중공(322)에서 기록된 점을 조합하여 하나의 점자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점자칸 중공(322)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1.5mm 내지 1.6mm이고, 하나의점자칸(320) 내부에 형성된 점자칸 중공(322)들의 중심부간 최단거리는 2.0mm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2.3mm 이다.One dot is recorded in the hollow 322 of the Braille box. That is, one dot forming a dot shape may be recorded in one braille block hollow 322, and one braille block 310 may form one braille character by combining the dots recorded in the six braille block hollows 322. will be able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of the braille compartment hollow 322 are 1.5 mm to 1.6 mm, and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braille compartment hollows 322 formed inside one braille compartment 320 is 2.0 mm to 2.5 mm, preferably. It is 2.3 mm.

또한, 점자칸 중공(322)의 형상은 점자잉크(131)가 토출되어 점자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으나,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braille compartment hollow 322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braille ink 131 is ejected to form braille, bu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자펜 및 이를 포함한 점자형성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braille pen and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imple variations or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점자펜 110: 선단부
111: 결합돌기 112: 누출방지돌기
120: 몸체부 121: 체결부재
122: 지지부재 130: 잉크수용부
131: 점자잉크 133: 잉크마개부
140: 잉크관 141: 잉크관 돌기
150: 덮개부 151: 결합홈
152: 누출방지홈 153: 누출방지부재
200 : 경화기 210: 광원부
211: 제1 광원 212: 제2 광원
213: 제3 광원 214: 제4 광원
215: 제5 광원 300: 점자판
310: 입력판 320: 점자칸
321: 점자칸 구획부재 322: 점자칸 중공
100: braille pen 110: distal end
111: coupling protrusion 112: leak prevention protrusion
120: body part 121: fastening member
122: support member 130: ink receiving unit
131: braille ink 133: ink stopper
140: ink tube 141: ink tube projection
150: cover part 151: coupling groove
152: leak prevention groove 153: leak prevention member
200: curing machine 210: light source unit
211: first light source 212: second light source
213: third light source 214: fourth light source
215: fifth light source 300: braille board
310: input board 320: braille box
321: braille compartment partition member 322: braille compartment hollow

Claims (11)

선단부;
상기 선단부와 타측에서 연결되고 일측에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점자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
상기 선단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잉크수용부와 연통된 일단을 통해서 상기 점자잉크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단을 통해 상기 점자잉크가 토출되는 잉크관;을 포함하되,
상기 잉크수용부는,
압력이 공급되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에서 유동시켜 상기 잉크관의 타측으로 토출시키고,
상기 잉크수용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일측에서 상기 점자잉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잉크수용부가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할 때, 상기 잉크수용부가 상기 잉크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잉크관의 일단에 의해 중심부가 천공되며, 상기 잉크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연통된 잉크관으로만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점자펜.
tip;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other side and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on one side;
an ink accommodating unit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accommodating braille ink in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n ink tube insert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The ink receiving part,
When pressure is supplied, the braille ink accommodated therein is introduced into the ink tube, and the braille ink flows inside the ink tube and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k tube;
The ink receiving part further includes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braille ink from leaking at one side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The stopper,
When the ink accommodating part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member, the central portion is perforated by one end of the ink tube so that the ink accommodating part communicates with the ink tube, and the braille ink accommodated in the ink accommodating part is transferred to the communicating ink tube. A braille pen that provides a passageway for guidance on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부터 상기 잉크수용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잉크수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점자펜.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ille pen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toward the ink container and supporting the ink contai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관은,
상기 잉크관의 내주면에서부터 상기 점자잉크가 유동하는 상기 잉크관 내부의 방향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잉크관의 내부에서 상기 점자잉크의 유동을 방해하는 잉크관 돌기를 더 포함하는 점자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k tube,
and a braille pen further comprising an ink tub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tube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an inside direction of the ink tube in which the braille ink flows, and obstructing the flow of the braille ink inside the ink tub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관은, 상기 점자잉크가 유입되는 상기 잉크관의 일단에서부터 상기 점자잉크가 토출되는 상기 잉크관 타단에 이르기까지의 내주면의 직경은 1mm 내지 3mm 인 점자펜.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ille pen of claim 1 , wherein a diameter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tub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ink tube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is introduced to the other end of the ink tube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is 1 mm to 3 mm.
선단부;
상기 선단부와 타측에서 연결되고 일측에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점자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
상기 선단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잉크수용부와 연통된 일단을 통해서 상기 점자잉크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단을 통해 상기 점자잉크가 토출되는 잉크관;을 포함하되,
상기 잉크수용부는,
압력이 공급되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에서 유동시켜 상기 잉크관의 타측으로 토출시키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선단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에 의해 수용되는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수용되어 상기 선단부가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는 점자펜.
tip;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other side and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on one side;
an ink accommodating unit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accommodating braille ink in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n ink tube insert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The ink receiving part,
When pressure is supplied, the braille ink accommodated therein is introduced into the ink tube, and the braille ink flows inside the ink tube and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k tube;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o further include a cover for accommodating all or part of the front end therein,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portion accommodated by the cover portion, and a coupl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A braille pen accommodated in a groove and having the distal end coupled to the cov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는 상기 덮개부 내부의 수용공간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점자잉크가 토출되는 상기 선단부의 타측을 수용하는 누출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출방지부재에 수용되는 상기 선단부 타측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출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누출방지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누출방지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누출방지돌기를 수용하는 누출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와 상기 덮개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의 타측으로 상기 점자잉크가 토출될 때, 상기 누출방지돌기가 수용된 상기 누출방지홈에 의해 상기 점자잉크의 유동이 차단되어 상기 누출방지부재의 외부로 상기 점자잉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자펜.
The method of claim 5,
a leak-prevention member formed inside the cover part smaller than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cover part and accommodating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from which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At least one leakage preventing project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portion accommodated in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and a leakage preven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leakage preventing proj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akage preventing projection is formed inside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When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is coupled to the cover, the flow of the braille ink is blocked by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in which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thereby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braille ink. A braille pen that prevents the braille ink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선단부;
상기 선단부와 타측에서 연결되고 일측에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점자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
상기 선단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잉크수용부와 연통된 일단을 통해서 상기 점자잉크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단을 통해 상기 점자잉크가 토출되는 잉크관;을 포함하되,
상기 잉크수용부는,
압력이 공급되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에서 유동시켜 상기 잉크관의 타측으로 토출시키고,
상기 점자잉크는, 자외선을 조사받으면 경화되고 접착성을 갖도록,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및 비닐 에테르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노머는,
상기 점자잉크의 점도가 200,000cPs 내지 300,000cPs가 되도록 단관능 모노머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60% 내지 98% 질량으로 구성되고, 단관능 모노머의 하나가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인 것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25% 내지 65% 질량으로 구성되며, 단관능 모노머의 하나가 N-비닐카프로락탐 인 것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12.5% 내지 60% 질량으로 구성되는 점자펜.
tip;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other side and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on one side;
an ink accommodating unit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accommodating braille ink in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n ink tube insert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through which the braille ink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k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The ink receiving part,
When pressure is supplied, the braille ink accommodated therein is introduced into the ink tube, and the braille ink flows inside the ink tube and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k tube;
The braille ink include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including a monomer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vinyl ether group so as to be cured and adhesive whe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he monomer,
Monofunctional monomers are composed of 60% to 98%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by mass so that the viscosity of the braille ink is 200,000 cPs to 300,000 cPs, and one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s is isobornyl acrylate, the total amount of the polymerizable monomers A braille pen composed of 25% to 65% by mass, and one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s being N-vinylcaprolactam is composed of 12.5% to 60% by mass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점자펜, 점자잉크 및 경화기를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자펜은,
선단부; 상기 선단부와 타측에서 연결되고 일측에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점자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선단부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잉크수용부와 연통된 일단을 통해서 상기 점자잉크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단을 통해 상기 선단부의 타측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점자잉크를 안내하는 잉크관;을 포함하되, 상기 잉크수용부는, 외부에서 압력이 공급되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점자잉크를 상기 잉크관 내부로 유동시키고,
상기 점자잉크는, 자외선을 조사받으면 경화되고 접착성을 갖도록,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및 비닐 에테르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노머는, 상기 점자잉크의 점도가 200,000cPs 내지 300,000cPs가 되도록 단관능 모노머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60% 내지 98% 질량으로 구성되고, 단관능 모노머의 하나가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인 것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25% 내지 65% 질량으로 구성되며, 단관능 모노머의 하나가 N-비닐카프로락탐 인 것은 전체 중합성 모노머의 12.5% 내지 60% 질량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화기는,
상기 토출된 점자잉크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제1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 제2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 제3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3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 복수 개가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1 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제1 열에 나열된 상기 제1 광원의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제2 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3 광원 복수 개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광원에 대응하도록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3 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3 파장의 범위는 360nm 내지 410nm이며, 상기 제1 파장은 상기 제2 파장 및 상기 제3 파장보다 짧고, 상기 제2 파장은 상기 제3 파장보다는 짧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3 파장은 서로 다른 파장의 범위로 정해지는 점자형성장치.
In the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a braille pen, braille ink, and a curing device,
The braille pen,
tip;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other side and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on one side; An ink accommodating part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accommodating braille ink in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ll or part of which is located inside the front end, but the braille ink flows into the inside throug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k accommodating part. and an ink tube for guiding the braille ink so that the braille ink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to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wherein the ink accommodating unit flows the braille ink accommodated therein into the ink tube when pressure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
The braille ink includes a monome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including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vinyl ether group so as to be cured and adhesive whe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wherein the monomer has a viscosity of 200,000 cPs to 300,000 cPs Monofunctional monomers constitute 60% to 98%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by mass, and one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s is isobornyl acrylate constitutes 25% to 65%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by mass, provided One of the functional monomers is N-vinylcaprolactam, which constitutes 12.5% to 60% by mass of the total polymerizable monomers,
The curing machine,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ejected braille ink,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comprises a first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f a first wavelength, a second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f a second wavelength, and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f a third wavelength. Including a third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are regularly arranged to form a first column, and at least one or more second light sources are alternately arrang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s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to form a second column, A plurality of third light sources are regularly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ight sources in the first column to form a third column;
The range of the first wavelength to the third wavelength is 360 nm to 410 nm, the first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second wavelength and the third wavelength, and the second wavelength is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third wavelength, The first to third wavelengths are determined in different wavelength range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제4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4 광원, 제5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5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4 광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제3 열에 나열된 상기 제3 광원의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제4 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5 광원 복수개가 상기 제1 열의 상기 제1 광원에 대응하도록 일정하게 나열되어 제5 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5 파장의 범위는 360mm 내지 410nm 이며, 상기 제3 파장은 상기 제4 파장 및 상기 제5 파장보다 짧고, 상기 제4 파장은 상기 제5 파장보다 짧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 파장 내지 상기 제5 파장은 서로 다른 파장의 범위로 정해지는 점자형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light source unit,
A fourth light source emitting light of a fourth wavelength and a fifth light source emitting light of a fifth wavelength,
At least one of the fourth light sources is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third light sources listed in the third column to form a fourth column, and a plurality of fifth light sources are constant to correspond to the first light sources in the first column. are arranged to form a fifth column,
The range of the first wavelength to the fifth wavelength is 360 mm to 410 nm, the third wavelength is shorter than the fourth wavelength and the fifth wavelength, and the fourth wavelength is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fifth wavelength, The first to fifth wavelengths are set to different wavelength range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상기 제2 광원, 상기 제3 광원, 상기 제4 광원 및 상기 제5 광원은 UV-LED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파장, 상기 제2 파장, 상기 제3 파장, 상기 제4 파장 및 상기 제5 파장은, 360nm 내지 369nm 범위의 제1 구간, 370nm 내지 379nm 범위의 제2 구간, 380nm 내지 389nm 범위의 제3 구간, 390nm 내지 399nm 범위의 제4 구간, 400nm 내지 410nm 범위의 제5 구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간으로 정해지되,
상기 제1 파장, 상기 제2 파장, 상기 제3 파장, 상기 제4 파장 및 상기 제5 파장은 서로 다른 구간의 파장의 범위로 정해지는 점자펜을 포함하는 점자형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light source, the second light source, the third light source, the fourth light source, and the fifth light source are composed of UV-LEDs,
The first wavelength, the second wavelength, the third wavelength, the fourth wavelength, and the fifth wavelength include a first range of 360 nm to 369 nm, a second range of 370 nm to 379 nm, and a second range of 380 nm to 389 nm. It is determined as any one of the 3 sections, the 4th section in the range of 390 nm to 399 nm, and the 5 section in the range of 400 nm to 410 nm,
The braill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braille pen in which the first wavelength, the second wavelength, the third wavelength, the fourth wavelength, and the fifth wavelength are set within wavelength ranges of different sections.
삭제delete
KR1020210110378A 2021-08-20 2021-08-20 Braille pen and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ctive KR1025451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378A KR102545140B1 (en) 2021-08-20 2021-08-20 Braille pen and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378A KR102545140B1 (en) 2021-08-20 2021-08-20 Braille pen and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988A KR20230027988A (en) 2023-02-28
KR102545140B1 true KR102545140B1 (en) 2023-06-20

Family

ID=8532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378A Active KR102545140B1 (en) 2021-08-20 2021-08-20 Braille pen and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14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1156A1 (en) 2006-09-12 2008-03-20 Braille-Oz Pty Ltd Automated braille inserter
WO2016030761A2 (en) 2014-08-29 2016-03-03 Creopop Pte. Ltd. Method of 3d printing and pen therefor
US20200327830A1 (en) 2018-05-11 2020-10-15 Jack B. Martin Braille Prin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8116A (en) * 1987-09-14 1990-02-06 Onoda Cement Company, Ltd. Powder coating booth
KR20160037394A (en) 2014-09-27 2016-04-06 오영현 Dot P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1156A1 (en) 2006-09-12 2008-03-20 Braille-Oz Pty Ltd Automated braille inserter
WO2016030761A2 (en) 2014-08-29 2016-03-03 Creopop Pte. Ltd. Method of 3d printing and pen therefor
US20200327830A1 (en) 2018-05-11 2020-10-15 Jack B. Martin Braille Printing Devic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고실용신안 제1989-0004775호(1989.7.20. 공고) 1부.*
중국특허공개공보 제107283820호(2017.10.24. 공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988A (en)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6406B2 (en) Fingerprint easily erasible film
JP537485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otective plate integrated display module
KR870001566B1 (en) Ink jet printing apparatus and its filling method
US7961281B2 (en) Display device integral with protection plat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463606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L367303A1 (en) Thermoplastic polymer film sealing of nozzles on fluid ejection devices and method
JP5134685B2 (en) Light guide plate and light guide plate manufacturing method
US7810914B2 (en) Liquid jet head and liquid jet device
KR102545140B1 (en) Braille pen and braill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44103B1 (en) Transparent panel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EP1839891A3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14515687A (en) How to mark low dose single dose containers, containers marked in that way
US10310168B2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98047B1 (en) Optical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50225612A1 (en) Ink refill device of an ink cartridge
US5521624A (en) Thin type of ink jet cartridge
JP4459684B2 (en) Peep prevention medium and peep prevention label
KR102006221B1 (en) Applicator and applicator set for attaching protection film
KR20200022620A (en) Protection film structure and method for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portable display
CN216719358U (en) Signboard of lamellar structure
JP4464578B2 (en) Reflector for backlight
KR100999291B1 (en) Transparent layer coating method on metal mesh film
US1017541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W202026671A (en)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equipment, and film
KR101743291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