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4857B1 -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 - Google Patents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857B1
KR102544857B1 KR1020220125986A KR20220125986A KR102544857B1 KR 102544857 B1 KR102544857 B1 KR 102544857B1 KR 1020220125986 A KR1020220125986 A KR 1020220125986A KR 20220125986 A KR20220125986 A KR 20220125986A KR 102544857 B1 KR102544857 B1 KR 102544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bamboo
salt
bamboo salt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옥
Original Assignee
장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옥 filed Critical 장경옥
Priority to KR102022012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8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와 소나무 및 느릅나무의 성분을 엑기스로 추출하고, 여기에 소금을 용해시킨 소금물을 저온에서 가열하여 1차로 송죽염 결정체를 얻은 다음, 2차로 법제된 송진을 직접 첨가하여 고온에서 용융시킨 후 식히는 방식의, 신규한 느릅송죽염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1차 엑기스 제조 과정에서는 대나무와 소나무 및 유근피 성분이 소금과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면서, 2차로 송진과 고온 용융 과정에서 비로소 느릅송죽염 제조가 간단한 1회의 공정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Resin bamboo sal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송죽염(松竹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에는 칼륨, 철분, 이놀렌산, 아미노산, 유기산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있고,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성분도 함유하고 있으며, 대나무 잎에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어서,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등에 좋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하면,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피부의 주름살 형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더욱이, 솔잎은 비타민 A 및 C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소나무의 송진은 중풍이나 신경통과 같은 신경계질환이나 신경이 약하여 오는 골다공증 등에 특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일염에 소나무 성분과 대나무 성분을 포함시키는 신규한 '송죽염(松竹鹽)' 제조방법을 제안하되,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죽염의 단점인 소화불량이나 피부트러블의 완화에 도움을 주는 느릅나무 껍질 성분을 침투시킨 신규한 '느릅송죽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 감에 따라 고혈압, 비만, 동맥 경화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고, 보다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자 천일염 대신 죽염과 같은 기능성 소금을 먹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고, 죽염과 같은 기능성 소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죽염은 소금을 대나무통 속에 충진한 후 아홉 번 구워 만드는데, 소금을 충진한 대나무통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구우면, 대나무통은 재가 되고 소금은 녹으면서 굳어 소금 기둥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소금 기둥을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고 새로운 대나무통 속에 넣은 후 다시 가열하는 과정을 8회 반복한다. 이렇게 대나무통 속에 충진된 소금이 반복적으로 소성되면서 대나무의 성분이 소금 속에 흡착되어 소금의 분자가 바뀌고 미네랄의 변화가 일어나 죽염이 얻어지게 된다.
종래의 죽염 제조 방법은 철솥이나 드럼통 또는 철근을 이용하여 만든 선반 위에 소금이 충진된 대나무를 쌓아 놓고, 선반 아래에서 나무, 가스, 석유 등을 이용하여 직화로 소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죽염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제1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특허등록 제10-0185017호) 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나무통의 외주면에 황토흙층을 피착하여 대나무통에 간접적인 고온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죽력(대나무진)이 소손되지 않고 천일염 내에 모두 함유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대나무통(1)의 상부에 천일염(2)을 충만한 상태로 투입한 뒤, 상부의 투입구를 송진(3)으로 폐쇄시켜주는 공정을 거친 뒤, 대나무통(1)의 외주면을 볏짚으로 엮은 새끼줄 내지는 칡넝쿨(4)을 회권시켜 고정시키고 다음으로 대나무통(1)의 외주면에 황토흙층(5)을 일정한 두께로 피착시켜 황토흙층(5) 내에 상기 대나무통(1)이 몰입된 상태로 한 뒤, 이를 가열로(6) 내에 투입하여 약 1,200℃ ~ 1,500℃의 온도로 10 시간 ~ 13 시간 정도 고온가열시켜 대나무통과 새끼줄 내지는 칡넝쿨이 완전 소실되게 한 후, 황토흙층(5)을 절단하여 내부의 죽력이 함유된 염을 다시 인출하여 상기한 과정을 공지된 바와 같이 9회 연속 반복 수행한 후, 형성된 고형물을 분말상태로 분쇄하여 죽염을 제조하는 죽염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종래기술의 죽염 제조 방식에 의하면, 대나무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다이옥신, 염소 가스 등의 유해 가스가 많이 발생하며,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조 공장의 주변 환경이 유해 가스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종래기술의 죽염 제조 방법에 의하면 대나무 성분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대나무에 함유된 다량의 영양 성분이 전부 전소되고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할 염려가 존재한다. 즉, 종래 기술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인체에 유 익한 대나무 성분이 죽염에 남는 것이 아니라 인체에 백해무익한 다이옥신이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2002년에 일부 죽염 제품에서 다이옥신이 검출되어 소비자들에게 심각한 불안을 초래하였다.
한편, 상기 제1 종래기술의 죽염 제조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2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특허등록 제10-2332053호) 가 개시되었는바, 상기 제2 종래기술의 '기능성 소금 제조 방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일염을 가열하여 구운 소금을 취득하는 로스팅 단계(S21); 감초와 물을 혼합한 감초 혼합물을 100시간 이상 60℃ ~ 80℃ 사이의 온도로 가열하여 감초 엑기스를 취득하는 감초 엑기스 취득 단계(S22); 상기 감초 엑기스가 2.5 중량% ~ 3.0 중량% 사이의 염도를 갖도록 상기 감초 엑기스에 상기 구운 소금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0일 이상 산소를 공급하면서 숙성발효시켜서 숙성발효 감초 엑기스를 취득하는 숙성발효 감초 엑기스 취득 단계(S23); 대나무, 죽순, 조릿대, 소나무, 송화가루, 뽕나무, 오디, 해죽순, 홍삼, 인삼, 스테비아, 게 껍질, 톳 및 해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성 첨가 재료와 물을 혼합한 기능성 첨가 혼합물을 10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여 기능성 첨가물 엑기스를 취득하는 기능성 첨가물 엑기스 취득 단계(S24); 상기 기능성 첨가물 엑기스가 2.5 중량% ~ 3.0 중량% 사이의 염도를 갖도록 상기 기능성 첨가물 엑기스에 상기 구운 소금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0일 이상 숙성발효시켜서 숙성발효 기능성 첨가물 엑기스를 취득하는 숙성발효 기능성 첨가물 엑기스 취득 단계(S25); 및 상기 기능성 소금 취득 단계에서는, 상기 숙성발효 감초 엑기스와 상기 숙성발효 기능성 첨가물 엑기스의 엑기스 혼합물을 상기 구운 소금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구운 소금과 상기 엑기스 혼합물을 혼합하고, 수분 함량비가 1중량% 이하가 되도록 60℃ ~80℃ 사이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감초 및 기능성 첨가 재료가 함유된 기능성 소금을 취득하는 기능성 소금 취득 단계(S26); 를 포함하고, 상기 로스팅 단계는, 제1 염수 탱크에서 상기 천일염을 물과 혼합하여 22 중량% ~ 25 중량%의 염도를 갖는 염수를 취득하는 염수 취득 단계와, 상기 제1 염수 탱크와 제2 염수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염수를 상기 제2 염수 탱크로 이동시켜서, 상기 연결관 내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 의해 상기 염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필터링하고, 바닥면에 제3 필터가 설치된 제2 염수 탱크로 이동시켜서, 제3 필터에 의해 탱크의 바닥면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필터링하여 제2 염수 탱크의 상부의 필터링된 염수를 취득하는 불순물 제거 단계와, 상기 필터링된 염수를 증발기를 이용하여 소금이 생성되도록 90℃ ~ 100 ℃ 로 가열한 후에, 생성된 소금을 400 ℃ ~ 800℃ 사이의 온도로 10분 ~ 5시간 동안 회전식 로스팅 장치에서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송근(松根)이나 송진(松津)은 중풍이나 신경통과 같은 신경계질환이나 신경이 약하여 오는 골다공증 등에 특효인 것으로, 예로부터 많은 질병 치료에 사용되어 왔는바, 그와 같은 이유로 상기 제2 종래기술에서도 "소나무나 송화가루의 기능성 첨가 재료와 물을 혼합한 기능성 첨가 혼합물을 가열하여 기능성 첨가물 엑기스를 취득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상기 제2 종래기술의 기능성 소금은, 비록 "소나무나 송화가루의 기능성 첨가물 엑기스 취득 단계"가 포함되어 있기는 하나, 여러가지를 섞다 보니, 그 함량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고, 단순히 몸에 좋으니 여러가지를 넣어보자는 단순 열거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송진의 약효에는 명백히 한계가 있는 기술이다.
다른 한편, 이러한 송진의 직접적인 첨가를 행하는 송죽염 제조방법에 관한 제3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3 (등록특허공보 특허등록 제10-2024804호) 이 개시되었는바, 상기 제3 종래기술의 '송죽염 제조방법'은, 10매시 크기의 송진 가루 1Kg을 5000cc의 막걸리액에 풀어준 후 100℃에서 30분간 끓인 다음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후 분말로 만드는 법제화 과정을 수행하고, 천일염 30Kg, 법제된 송진 100g, 죽력(竹瀝) 50cc를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준비된 천일염 30Kg, 법제된 송진 100g, 죽력 50cc를 혼합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혼합과정에서 혼합된 내용물은 스테인레스 용기에 넣고 600~800℃의 고열을 90분간 가하여 송진과 죽력이 탄소화되어 연기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 가열을 중지한 다음 30℃ 이하로 서서히 식힌 후 분쇄기에 넣고 100매시의 입자로 분쇄하는 1차 굽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1차 굽는 과정에서 얻어진 송죽염 분말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넣은 후 600~800℃의 고열을 60분간 가한 후, 섭씨 30℃ 이하로 서서히 식힌 다음 100매시의 크기로 분쇄하는 2차 굽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2차 굽는 과정과 동일하게 3차 굽는 과정을 수행하여 송죽염 분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제3 종래기술의 송죽염 제조방법은, 적어도 3번에 걸친 가열과 분쇄과정을 거친 것을 사용하여야 하고, 더욱이 높은 약리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9회 이상 15회까지의 굽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약리 효과를 갖는다고 한다.
이는, 처음부터 고형분만을 사용하여 굽기 때문에 대나무나 소나무 성분이 충분히 소금과 섞이지 않기 때문이며, 특히 천일염 자체의 미량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번 반복해서 굽기와 식혀서 분말을 만드는 과정을 반복수행하는 것인바, 여간 불편하지 않는 복잡한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85017호(죽염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2053호(기능성 소금 제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4804호(송죽염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나무와 소나무의 성분을 엑기스로 추출하고, 여기에 소금을 용해시킨 소금물을 저온에서 가열하여 1차로 송죽염 결정체를 얻은 다음, 2차로 법제된 송진을 직접 첨가하여 고온에서 용융시킨 후 식히는 방식의, 신규한 송죽염 제조방법을 제공하되, 대나무와 소나무의 성분을 엑기스로 추출하는 단계에서, 느릅나무껍질도 같이 집어넣고 엑기스로 추출하여, 느릅송죽염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1차 엑기스 제조 과정에서는 대나무와 소나무 및 유근피 성분이 소금과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면서, 2차로 송진과 고온 용융 과정에서 비로소 느릅송죽염 제조가 간단한 1회의 공정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은, (a) 천일염 1중량부에 대해, 소나무잎 0.3~1.0 중량부, 대나무 5~15 중량부, 유근피 0.5~1.5 중량부 및 대나무잎 0.1~1.0 중량부를 준비하여, 잘게 파쇄한 후 혼합하는, 원료 준비 단계; (b) 상기 소나무잎, 대나무, 유근피 및 대나무잎이 혼합된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의 4~6배(중량기준)의 물에 희석하여, 100℃ 이하에서 2~3시간 끓여서 엑기스로 만드는, 1차 추출액 수득 단계: (c) 상기 엑기스에 천일염 1중량부를 투입하여 천일염이 상기 엑기스에 녹아들도록 용해시킨 후, 바닥에 가라않은 침전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 송죽염 용액 수득 단계; (d) 상기 1차 송죽염 용액 수득 단계에서의 용액을 가열하여 수분을 완전 증발시킴으로써, 1차 송죽염 결정체를 얻는, 1차 송죽염 결정체 수득 단계; 및 (e) 상기 1차 송죽염 결정체 수득 단계에서 얻어진 1차 송죽염 결정체에 법제된 송진가루를 투입하되, 1차 송죽염 99~99.7 중량부와 법제된 송진 0.3 ~ 1.0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한 후, 800~1200℃로 30분 내지 90분 가열하여, 송진가루와 송죽염 결정체가 용융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느릅송죽염을 완성하는, 2차 느릅송죽염 수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은, (a') 천일염 1중량부에 대해, 소나무잎 0.3~1.0 중량부, 대나무 5~15 중량부 및 유근피 0.5~1.5 중량부를 준비하여, 잘게 파쇄한 후 혼합하는, 원료 준비 단계; (b') 상기 소나무잎, 대나무 및 유근피가 혼합된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의 4~6배(중량기준)의 물에 희석하여, 100℃ 이하에서 2~3시간 끓여서 엑기스로 만드는, 1차 추출액 수득 단계: (c) 상기 엑기스에 천일염 1중량부를 투입하여 천일염이 상기 엑기스에 녹아들도록 용해시킨 후, 바닥에 가라않은 침전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 송죽염 용액 수득 단계; (d) 상기 1차 송죽염 용액 수득 단계에서의 용액을 가열하여 수분을 완전 증발시킴으로써, 1차 송죽염 결정체를 얻는, 1차 송죽염 결정체 수득 단계; 및 (e) 상기 1차 송죽염 결정체 수득 단계에서 얻어진 1차 송죽염 결정체에 법제된 송진가루를 투입하되, 1차 송죽염 99~99.7 중량부와 법제된 송진 0.3 ~ 1.0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한 후, 800~1200℃로 30분 내지 90분 가열하여, 송진가루와 송죽염 결정체가 용융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느릅송죽염을 완성하는, 2차 느릅송죽염 수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나무와 소나무 및 느릅나무의 성분을 물에 희석한 후에 가열하여 엑기스로 추출하고 이 추출액에 소금을 용해시킨 소금물을 증발시켜 1차로 송죽염 결정체를 얻는 1차 혼합단계에 의해 완전 균질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2차로 법제된 송진을 직접 첨가하여 고온에서 용융시킨 후 식히는 방식의 분리된 공정을 통해, 기본 성분의 혼합이 잘 되면서도 한편으로는 한 번의 공정으로 신규한 느릅송죽염을 얻기 때문에, 종래 방식의 송죽염 제조방법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렇게 얻어진 느릅송죽염은, 건강에 유익한 대나무와 소나무의 성분이 소금에 균질하게 함유되어 질 좋은 송죽염이 얻어지는바, 여기에 유근피 성분이 가해짐으로써, 죽염의 단점인 소화불량이나 피부트러블의 완화에 도움을 주는 느릅송죽염이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종래기술에 따른 죽염 제조방법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제2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성 소금 제조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느릅송죽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에 사용되는 느릅나무는, 느릅나무 껍질에 해당하는 유피(楡皮)나 느릅나무 뿌리를 감싸는 껍질인 유근피(楡根皮)가 모두 사용가능하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여 '유근피'로 통칭한다.
유근피를 물에 담그면 진액이 나오는데, 마치 콧물처럼 생겼다고 하여 느릅나무를 '코나무'라고 부르기도 하는바, 유근피의 점액질은 코 점막이 마르지 않게 보습해주며, 비염, 축농증 등의 코에 관련된 질환에 도움이 된다.
또한, 느릅나무는 고름을 빨아내고 새 살을 돋아나게 하는 작용을 하는바, 부스럼, 종기, 종창에 느릅나무 진액을 발라주면 효과를 볼 수 있고, 아토피 등 피부질환을 개선하거나 피부 미용에도 느릅나무를 활용할 수 있으며, 느릅나무 뿌리 껍질에 함유된 루테올, 피토스테롤 같은 항산화 물질이 알레르기 반응을 진정시키고 염증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느릅나무는 암을 예방하는 약재로도 좋으며, 위궤양, 십이지장궤 양, 소장궤양 등 갖가지 질병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는가 하면, 이뇨작용을 활발하게 도와주며 부기를 빼는 데에도 좋다.
특히, 유근피는 죽염의 단점인 소화불량이나 피부트러블의 완화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유근피 가루를 죽염 가루와 혼합하는 불완전 침투 방식이 아닌, 유근피 성분을 송죽염에 완전히 침투시킴으로써, 유근피 성분과 송죽염의 상승된 상호작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은, 먼저 느릅나무(뿌리) 껍질인 유근피와 대나무 및 소나무를 같이 혼합하여 물을 넣어 끓인 1차 엑기스(추출액) 및 여기에 천일염을 용해시킨 후 증류한 1차 생성물을 수득하고, 1차 생성물에 법제된 송진을 첨가하여 고온에서 가열 후 식힌 최종 생성물을 수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송죽염의 제조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송죽염의 제조방법
1. 원료 준비 단계:
천일염 1중량부에 대해, 소나무잎 0.3~1.0 중량부, 대나무 5~15 중량부, 유근피 0.5~1.5 중량부 및 대나무잎 0~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부) 를 준비하여, 잘게 파쇄한 후, 잘 혼합한다.
2. 1차 추출액 수득 단계:
상기 소나무잎, 대나무 및 유근피 (선택적으로 대나무잎 추가 가능) 가 혼합된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의 4~6배(중량기준)의 물에 희석하여,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90~100℃) 에서 2~3시간 끓여서 엑기스로 만든다.
끓는 시간이 너무 짧으면 당연히 고형분 성분의 추출이 미흡하게 되며, 반대로 끓는 시간이 너무 길면 독성 성분까지 우러날 염려가 있는바, 상기 2~3 시간이 적당하다.
3. 1차 송죽염 용액 수득 단계:
상기 엑기스에 천일염 1중량부를 투입하여 천일염이 충분히 상기 엑기스에 녹아들도록 용해시킨 후, 바닥에 가라않은 모래 등의 침전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천일염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미리 로스팅된 천일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투입되는 천일염과 상기 엑기스의 중량비는 2:1 정도가 되도록, 미리 상기 1차 추출물 수득 단계에서의 엑기스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이후의 공정에서 효율적이다.
4. 1차 송죽염 결정체 수득 단계:
상기 1차 송죽염 용액 수득 단계에서의 용액을 가열하여 수분을 완전 증발시킴으로써, 1차 송죽염 결정체를 얻는다.
5. 2차 느릅송죽염 수득 단계:
상기 1차 송죽염 결정체 수득 단계에서 얻어진 1차 송죽염 결정체에 법제된 송진가루를 투입하되, 1차 송죽염 99~99.7 중량부와 법제된 송진 0.3 ~ 1.0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한 후, 세라믹 통에 넣고, 청정한 전기로에서 800~1200℃로 30분 내지 90분 (바람직하게는, 50~70분) 가열하여, 송진가루와 송죽염 결정체가 용융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느릅송죽염을 완성한다. 이때, 상기 1차 송죽염 결정체와 법제된 송진가루를 세라믹 통에 넣고 청정한 전기로에서 가열함으로써, 제1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그을음이 송죽염으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법제된 송진가루'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탁주에 넣어 가열하는 방식과 같은 기존의 알려진 법제 방식을 사용하여도 된다.
6. 2차 느릅송죽염 분말 수득 단계:
상기 2차 느릅송죽염 수득 단계에서 얻어진 최종 느릅송죽염은 그 자체로 출하하여도 되나, 더 바람직하게는, 충분히 식힌 후에 가루로 분쇄함으로써 더 혼합이 잘 되도록 하여, 느릅송죽염 분말 형태로 출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적 실시예)
이상의 본 발명의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다.
소나무잎 0.5kg, 대나무 9kg, 유근피 1kg 및 대나무잎 0.5kg을 준비하여 잘게 파쇄 및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고형분의 약 5배의 물 50kg에 희석하여 90~100℃ 정도에서 2시간 30분 정도 끓인 후, 찌꺼기를 걷어내어 2kg의 엑기스로 만들었다.
상기 엑기스에 미리 로스팅된 천일염 1kg를 투입하여 천일염이 충분히 상기 엑기스에 녹아들도록 용해시킨 후, 바닥에 가라않은 모래 등의 침전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열하여 수분을 완전 증발시킴으로써, 1차 송죽염 결정체를 얻었다.
상기 얻어진 1차 송죽염 결정체 1kg 당 법제된 송진가루 5g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세라믹 통에 넣고, 청정한 전기로에서 800~1200℃로 60분 정도 가열하여, 송진가루와 송죽염 결정체가 용융 혼합되도록 한 후, 다시 충분히 식혀서 가루로 분쇄함으로써 느릅송죽염 분말 형태로 만들었다.
(제2 실시예)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대나무잎 0.5kg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대나무 9.5kg을 사용한 점만이 상이할 뿐, 나머지 공정은 상기 최적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7)

  1. (a) 천일염 1중량부에 대해, 소나무잎 0.3~1.0 중량부, 대나무 5~15 중량부, 유근피 0.5~1.5 중량부 및 대나무잎 0.1~1.0 중량부를 준비하여, 잘게 파쇄한 후 혼합하는, 원료 준비 단계;
    (b) 상기 소나무잎, 대나무, 유근피 및 대나무잎이 혼합된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의 4~6배(중량기준)의 물에 희석하여, 90~100℃ 이하에서 2~3시간 끓여서 엑기스로 만드는, 1차 추출액 수득 단계:
    (c) 상기 엑기스에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미리 로스팅된 천일염 1중량부를 투입하여 천일염이 상기 엑기스에 녹아들도록 용해시킨 후, 바닥에 가라앉은 침전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 송죽염 용액 수득 단계;
    (d) 상기 1차 송죽염 용액 수득 단계에서의 용액을 가열하여 수분을 완전 증발시킴으로써, 1차 송죽염 결정체를 얻는, 1차 송죽염 결정체 수득 단계;
    (e) 상기 1차 송죽염 결정체 수득 단계에서 얻어진 1차 송죽염 결정체에 법제된 송진가루를 투입하되, 1차 송죽염 결정체 99~99.7 중량부와 법제된 송진가루 0.3 ~ 1.0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한 후, 상기 1차 송죽염 결정체와 법제된 송진가루를 세라믹 통에 넣고, 청정한 전기로에서 800~1200℃로 50분 내지 70분 가열하여, 송진가루와 송죽염 결정체가 용융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느릅송죽염을 완성하는, 2차 느릅송죽염 수득 단계; 및
    (f) 상기 2차 느릅송죽염 수득 단계에서 얻어진 최종 느릅송죽염을 식힌 후에 가루로 분쇄하는, 2차 느릅송죽염 분말 수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엑기스와 천일염의 중량비는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의하여 제조된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
KR1020220125986A 2022-10-04 2022-10-04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 Active KR102544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986A KR102544857B1 (ko) 2022-10-04 2022-10-04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986A KR102544857B1 (ko) 2022-10-04 2022-10-04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857B1 true KR102544857B1 (ko) 2023-06-16

Family

ID=86948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986A Active KR102544857B1 (ko) 2022-10-04 2022-10-04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8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330A (ko) * 1993-10-08 1995-05-15 김춘섭 죽염(竹鹽)의 제조방법
KR0185017B1 (ko) 1996-12-26 1999-03-20 이학수 죽염제조방법
KR102024804B1 (ko) 2019-03-18 2019-09-24 송석기 송죽염 제조방법
KR20200061818A (ko) * 2018-11-26 2020-06-03 박정자 산야초 추출성분을 함유한 소금 및 이를 이용한 염장방법
KR102332053B1 (ko) 2021-05-25 2021-12-01 원플랫 주식회사 기능성 소금 제조 방법
KR20220073300A (ko) * 2020-11-26 2022-06-03 금은혁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330A (ko) * 1993-10-08 1995-05-15 김춘섭 죽염(竹鹽)의 제조방법
KR0185017B1 (ko) 1996-12-26 1999-03-20 이학수 죽염제조방법
KR20200061818A (ko) * 2018-11-26 2020-06-03 박정자 산야초 추출성분을 함유한 소금 및 이를 이용한 염장방법
KR102024804B1 (ko) 2019-03-18 2019-09-24 송석기 송죽염 제조방법
KR20220073300A (ko) * 2020-11-26 2022-06-03 금은혁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
KR102332053B1 (ko) 2021-05-25 2021-12-01 원플랫 주식회사 기능성 소금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8548B (zh) 一种营养竹盐的制备工艺
CN104147280B (zh) 一种法半夏的炮制方法
CN101906351B (zh) 一种低酸值米糠原油的制备方法
KR102332053B1 (ko) 기능성 소금 제조 방법
CN104666430A (zh) 一种响应面法优化提取茉莉总黄酮的方法
KR101140156B1 (ko) 뽕잎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N101161113A (zh) 松籽仁油的萃取、萃取剩余油渣食品及其制造方法
KR100830761B1 (ko) 식물의 뿌리, 잎, 줄기,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KR102544857B1 (ko)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
CN109331103A (zh) 一种姜半夏的炮制方法
CN105663527A (zh) 一种适用于法半夏、法水半夏的炮制方法
CN108853296A (zh) 一种法半夏炮制工艺及其产品与应用
KR100364898B1 (ko) 대나무 초액을 이용한 죽염 제조방법 및 그 죽염
KR100453206B1 (ko) 죽염제조방법
KR900001844B1 (ko) 위생 재제재염의 제조방법
Quincy Pharmacopoeia Officinalis [et] Extemporanea: Or, A Complete English Dispensatory, in Two Parts. Theoretic and Practical...
CN104473320B (zh) 一种水烟具上的水烟果肉制备方法
CN103571626A (zh) 青花椒芳香油的提取工艺
KR100701471B1 (ko) 죽염의 제조 방법
CN106036992A (zh) 用超临界萃取法从葫芦巴中提取烟用添加剂的方法
KR101281237B1 (ko) 죽염지장수 및 그 제조방법
Lewis The New Dispensatory: Containing: The elements of pharmacy. The materia medica.... The preparations and compositions of the new London and Edinburgh pharmacopœias... the most useful of those directed in the hospitals; sundry elegant extemporaneous forms, &c., digested in such a method as to compose a regular system of pharmacy; with remarks on their preparation and uses; the means of distinguishing adulterations; of performing the more difficult and dangerous processes with ease and safety, &c., the whole interspersed with practical cautions and observations. I.. II.. III.
CN101002825A (zh) 富含α-亚麻酸、杜仲有效成分的杜仲软胶囊的制备方法
CN111034886A (zh) 一种天麻茎杆生产饮料的方法
CN103316172A (zh) 一种半夏饮片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