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3993B1 - 시뮬레이션된 현실(sr)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 및 상호작용성 - Google Patents

시뮬레이션된 현실(sr)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 및 상호작용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993B1
KR102543993B1 KR1020217006665A KR20217006665A KR102543993B1 KR 102543993 B1 KR102543993 B1 KR 102543993B1 KR 1020217006665 A KR1020217006665 A KR 1020217006665A KR 20217006665 A KR20217006665 A KR 20217006665A KR 102543993 B1 KR102543993 B1 KR 10254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ser
representation
input
implementatio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975A (ko
KR102543993B9 (ko
Inventor
브루노 엠 솜머
알렉산드르 다 비에고
로아나 네고이타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36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993B1/ko
Publication of KR10254399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993B9/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2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or l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8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motion or position input signals, e.g. signals representing the rotation of an input controller or a player's arm motions sensed by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63F13/52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 A63F13/525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according to dedicated instructions from a player, e.g. using a secondary joystick to rotate the camera around a player's charac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구현예에서, 시뮬레이션된 현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 및 상호작용성을 제공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행된다. 본 방법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의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의 표현을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입력 메시지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입력 지시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입력 메시지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뮬레이션된 현실(SR)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 및 상호작용성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다기능 디바이스들 상의 시뮬레이션된 현실 애플리케이션들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 설정은 개인들이 감지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개인들이 전자 시스템들의 보조 없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세계를 지칭한다. 물리적 설정들(예를 들어, 물리적 숲)은 물리적 요소들(예를 들어, 물리적 나무들, 물리적 구조물들, 및 물리적 동물들)을 포함한다. 개인들은, 예를 들어 촉각, 시각, 후각, 청각, 및 미각을 통해, 물리적 설정과 직접 상호작용 및/또는 감지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시뮬레이션된 현실(simulated reality, SR) 설정은 개인들이 감지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개인들이 전자 시스템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컴퓨터-생성된 설정을 지칭한다. SR에서, 개인의 움직임들의 서브세트가 모니터링되고, 이에 응답하여, SR 설정에서의 하나 이상의 가상 객체들의 하나 이상의 속성들은 하나 이상의 물리 법칙들을 지키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SR 시스템은 개인이 몇 걸음 앞으로 걷는 것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이러한 풍경과 소리가 물리적 설정에서 변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개인에게 제시되는 그래픽 및 오디오를 조정할 수 있다. SR 설정에서의 가상 객체(들)의 속성(들)에 대한 수정은 또한 움직임의 표현들(예를 들어, 오디오 명령어들)에 응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개인은 촉각, 후각, 시각, 미각, 및 청각을 포함하는 자신의 감각들 중 임의의 하나를 이용하여 SR 객체와 상호작용하고 그리고/또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은 다차원(예를 들어, 3차원) 또는 공간 청각적 설정을 생성, 및/또는 청각적 투명성을 가능하게 하는 청각 객체들과 상호작용하고 그리고/또는 감지할 수 있다. 다차원 또는 공간 청각적 설정들은 개인에게 다차원 공간에서 개별적인 청각적 소스들에 대한 인식을 제공한다. 청각적 투명성은 물리적 설정으로부터의 소리를, 컴퓨터-생성 오디오와 함께 또는 그것 없이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일부 SR 설정들에서, 개인은 오직 청각적 객체들과 상호작용하고 그리고/또는 감지할 수 있다.
SR의 일 예는 가상 현실(VR)이다. VR 설정은 감각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컴퓨터-생성 감각 입력들만을 포함하도록 설계되는 시뮬레이션된 설정을 지칭한다. VR 설정은 개인이 상호작용 및/또는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가상 객체들을 포함한다. 개인은 컴퓨터-생성 설정 내의 개인의 액션들의 서브세트의 시뮬레이션, 및/또는 컴퓨터-생성 설정 내의 개인 또는 그의 존재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VR 설정 내의 가상 객체들과 상호작용 및/또는 감지할 수 있다.
SR의 다른 예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이다. MR 설정은 컴퓨터-생성 감각 입력들(예를 들어, 가상 객체들)을 물리적 설정, 또는 그것들의 표현으로부터의 감각 입력들과 통합하도록 설계되는 시뮬레이션된 설정을 지칭한다. 현실 스펙트럼 상에서, 혼합 현실 설정은 한편으로의 VR 설정과, 다른 한편으로의 완전히 물리적 설정 사이에 존재하며, 이들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일부 MR 설정들에서, 컴퓨터-생성 감각 입력들은 물리적 설정으로부터의 감각 입력들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 또한, MR 설정들을 제시하기 위한 일부 전자 시스템들은 가상 객체들과 실제 객체들(이들은 물리적 설정 또는 이들의 표현들로부터의 물리적 요소들임) 사이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물리적 설정에 대한 배향 및/또는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움직임들을 모니터링하여 가상 식물이 물리적 건물에 대해 고정된 것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혼합 현실의 일 예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다. AR 설정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가 물리적 설정, 또는 그의 표현 위에 중첩되는 시뮬레이션된 설정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전자 시스템은 불투명 디스플레이, 및 물리적 설정의 표현들인, 물리적 설정의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를 캡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징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시스템은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를 가상 객체들과 조합하고, 불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그 조합을 디스플레이한다. 개인은, 시스템을 사용하여, 물리적 설정의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를 통해 간접적으로 물리적 설정을 보고, 물리적 설정 위에 중첩된 가상 객체들을 관찰한다. 시스템이 이미지 센서(들)를 사용하여 물리적 설정의 이미지들을 캡처하고, 이러한 이미지들을 사용하여 불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AR 설정을 제시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은 비디오 패스-스루(pass-through)라고 불린다. 대안적으로, AR 설정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전자 시스템은 개인이 물리적 설정을 직접 볼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시스템은 가상 객체들을 투명 또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개인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물리적 설정 상에 중첩된 가상 객체들을 관찰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스템은 가상 객체들을 물리적 설정 내로 투영하는 투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객체들은, 예를 들어, 물리적 표면 상에 또는 홀로그래프로서 투영되어, 개인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물리적 설정 상에 중첩된 가상 객체들을 관찰하게 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설정은 또한 물리적 설정의 표현이 컴퓨터-생성 감각 정보에 의해 변경되는 시뮬레이션된 설정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설정의 표현의 일부가 그래픽적으로 변경되어(예를 들어, 확대됨), 변경된 부분이 여전히 대표성은 있지만 원래 캡처된 이미지(들)의 충실하게 재현된 버전은 아닐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비디오 패스-스루를 제공함에 있어서, 시스템은 센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이미지 센서(들)에 의해 캡처된 관점과 상이한 특정 관점을 부과할 수 있다. 부가적인 예로서, 물리적 설정의 표현은 그의 부분들을 그래픽적으로 모호하게 하거나 배제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혼합 현실의 다른 예는 증강 가상(augmented virtuality, AV)이다. AV 설정은 컴퓨터-생성 또는 가상 설정이 물리적 설정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감각 입력을 통합하는 시뮬레이션된 설정을 지칭한다. 물리적 설정으로부터의 감각 입력(들)은 물리적 설정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객체는 이미지 센서(들)에 의해 캡처된 물리적 요소의 색상을 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가상 객체는 이미징, 날씨-관련 센서, 및/또는 온라인 날씨 데이터를 통해 식별되는 바와 같이, 물리적 설정의 실제 날씨 조건들에 일치하는 특성들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증강 현실 숲은 가상 나무들 및 구조물들을 가질 수 있지만, 동물들은 물리적 동물들의 촬영된 이미지들로부터 정확하게 재현되는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많은 전자 시스템들은 개인이 다양한 SR 설정들과 상호작용하고 그리고/또는 이들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일 예는 머리 장착형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머리 장착형 시스템은 불투명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들)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머리 장착형 시스템은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머리 장착형 시스템은 각각 이미지들/비디오를 촬영하고 그리고/또는 물리적 설정의 오디오를 캡처하기 위한 이미징 센서(들) 및/또는 마이크로폰들을 가질 수 있다. 머리 장착형 시스템은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투명 또는 반투명 디스플레이는 이미지들을 표현하는 광이 그를 통해 개인의 눈들로 지향되는 기판을 통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LED들, OLED들, 디지털 광 프로젝터, 레이저 스캐닝 광원, 실리콘 액정표시장치, 또는 이 기술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합할 수 있다. 광이 통과해서 투과될 수 있는 기판은 광 도파관, 광학 결합기, 광학 반사기, 홀로그래픽 기판, 또는 이 기판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 디스플레이는 불투명 상태와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자 시스템은 투영-기반 시스템일 수 있다. 투영-기반 시스템은 이미지들을 개인의 망막 상으로 투영하기 위해 망막 투영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투영 시스템은 또한 가상 객체들을 물리적 설정 안에(예를 들어, 물리적 표면 상에 또는 홀로그래프로서) 투영할 수 있다. SR 시스템들의 다른 예들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들, 그래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능력을 갖는 자동차 앞유리들, 그래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능력을 갖는 창들, 그래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능력을 갖는 렌즈들, 헤드폰들 또는 이어폰들, 스피커 배열들, 입력 메커니즘들(예를 들어, 햅틱 피드백을 갖거나 갖지 않는 제어기들), 태블릿들, 스마트폰들, 및 데스크톱 또는 랩톱 컴퓨터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SR 기술은 공유된 공간에서 사용자들에게 대화형 설정을 제공한다. 그러나, 스마트 폰, 태블릿, 랩톱, PC 스크린 등과 같은 현실-세계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공유는 이전에 SR 시스템들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구현예들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시뮬레이션된 현실(SR) 설정에서의 현실-세계 디바이스를 공유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 SR 디바이스에서 수행된다. 본 방법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의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SR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본 방법은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의 표현을 제2 SR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2 SR 디바이스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입력 메시지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SR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입력 지시(input directive)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입력 메시지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비일시적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비일시적 메모리에 저장되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거나 그의 수행을 야기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거나 그의 수행을 야기하는 명령어들을 내부에 저장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비일시적 메모리,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거나 그의 수행을 야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도록, 더 상세한 설명이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양태들에 대한 참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설정들의 도면들이다.
도 2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제어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머리-장착형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동작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가 트리거되는 예시적인 설정들의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SR 설정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을 스케일링(scaling)하는 도면들이다.
도 7은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의 방법의 흐름도 표현이다.
일반적인 실시에 따라, 도면에 예시된 다양한 특징부들은 축척대로 그려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특징부들의 치수들은 명료함을 위해 임의대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들 중 일부는 주어진 시스템, 방법 또는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 모두를 도시하지는 않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도면 번호들은 명세서 및 도면들 전반에 걸쳐 동일한 특징부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세부사항들이 설명된다. 그러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양태들만을 도시할 뿐이며, 따라서 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당업자들은 다른 효과적인 양태들 및/또는 변형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특정 세부사항들 모두를 포함하지는 않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시스템들, 방법들, 컴포넌트들, 디바이스들 및 회로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더 적절한 양태들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기 위해 철저히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구현예들은 공유된 시뮬레이션된 현실(SR) 설정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 경험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제1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제1 SR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머리 장착형 디바이스(HMD)를 착용하고 스마트폰을 자신의 손에 파지(hold)하고 있으며, 여기서 통신 범위 내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HMD와 스마트폰은 페어링된다. 제1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스처 입력을 제공할 때, 예컨대, 스마트폰을 제2 사용자를 향해 이동시키거나 기울일 때, 제2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을 제공받는데, 예를 들어, 제2 사용자에 의해 볼 수 있는 벽 상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투영하고/하거나, SR 설정에서 TV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표현하는 SR 설정에서 떠 있는(floating) 패널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2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부들을 제공받아, 제2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입력 지시들을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2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지시들은 제2 SR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되고, 제1 SR 디바이스로 송신될 입력 메시지들로서 패키징된다. 이어서, 제1 SR 디바이스는 실행을 위해 입력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공유된 SR 설정에서,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로부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의 수신을 에뮬레이트(emulate)하고/하거나, SR 설정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의 움직임들을 에뮬레이트하고/하거나, SR 설정에서 표면 상에 그것을 배치하는 것을 에뮬레이트하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으로의 터치 입력들을 에뮬레이트하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된 SR 설정을 통해, 제2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및 동작을 제1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도 1a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SR 설정(100A)의 예를 예시한다. 관련 특징부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다양한 다른 특징부들이 간결함을 위해 그리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더 적절한 양태들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예시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를 위해, 비제한적인 예로서, 동작 환경(100A)은 다수의 SR 디바이스들(104), 예컨대 SR 디바이스들(104-A, 104-N, 및 104-X)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 예컨대 사용자(10-A, 10-N, 및 10-X)에게 제공된(예컨대, 이용가능한) 공유된 가상 공간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SR 디바이스들(104) 각각은 제어기(102)와 연관된다. 도 1a의 예에서, SR 디바이스들(104) 각각은 사용자(10)에 의해 착용되며, 예컨대 SR 디바이스(104-A)는 사용자(10-A)에 의해 착용되고, SR 디바이스(104-N)는 사용자(10-N)에 의해 착용되고, SR 디바이스(104-X)는 사용자(10-X)에 의해 착용되는 등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각각의 SR 디바이스(104)는 머리-장착가능 디바이스(HMD), 태블릿, 모바일 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등에 대응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각각의 SR 디바이스(104)는 SR 경험을 연관된 사용자(10)에게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각각의 SR 디바이스(104)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SR 디바이스(104)는 연관된 사용자(10)가 장면(106) 내에 가상적으로 그리고/또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동안 SR 경험을 연관된 사용자(10)에게 제시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개개의 아바타(108)는 장면(106) 내의 사용자(10)를 표현하는데, 예컨대 장면(106)에서 아바타(108-A)는 사용자(10-A)를 표현하고, 아바타(108-N)는 사용자(10-N)를 표현하고, 아바타(108-X)는 사용자(10-X)를 표현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SR 경험을 제시하는 동안, SR 디바이스(104)는 SR 콘텐츠를 제시하도록 그리고 장면(106)의 비디오 패스-스루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SR 디바이스(104)는 SR-인에이블된 모바일 폰 또는 태블릿에 대응함). 일부 구현예들에서, SR 경험을 제시하는 동안, SR 디바이스(104)는 SR 콘텐츠를 제시하도록 그리고 장면(106)의 광학 시스루(see-through)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SR 디바이스(104)는 SR-인에이블된 안경에 대응함). 일부 구현예들에서, SR 경험을 제시하는 동안, SR 디바이스(104)는 SR 콘텐츠를 제시하도록 그리고 선택적으로 장면(106)의 비디오 패스-스루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SR 디바이스(104)는 SR-인에이블된 HMD에 대응함).
일부 구현예들에서, 사용자(10)는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머리 상에 SR 디바이스(104)를 착용한다. 이와 같이, SR 디바이스(104)는 SR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SR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SR 디바이스(104-A)는 사용자(10-A)의 시야를 둘러싸고, SR 디바이스(104-N)는 사용자(10-N)의 시야를 둘러싸고, SR 디바이스(104-X)는 사용자(10-X)의 시야를 둘러싼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SR 디바이스(104)는, 사용자(10)가 SR 디바이스(104)를 착용하지 않는, SR 콘텐츠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SR 챔버, 인클로저, 또는 방으로 대체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사용자(10)는 SR 디바이스(104)를 자신의 손(들)에 파지하고, SR 디바이스(104)와 연관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장면(106)의 적어도 일부를 본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기(102)는 사용자(10)에 대한 SR 경험을 관리 및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기(102)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기(102)는 장면(106)에 대해 로컬 또는 원격인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제어기(102)는 장면(106) 내에 위치된 로컬 서버이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2)는 장면(106)의 외부에 위치된 원격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중앙 서버 등)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기(102)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들(예를 들어, 블루투스, IEEE 802.11x, IEEE 802.16x, IEEE 802.3x 등)을 통해 SR 디바이스(104)와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들을 통해, SR 디바이스들(104)은 서로 통신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기(102)의 기능들은 장면을 업데이트하고 가상 공간을 공유하기 위해 SR 디바이스(104)에 의해 제공되고/되거나 그와 조합된다.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SR 디바이스(104)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기(102) 및/또는 SR 디바이스(104)에 의해 생성되는 장면(106)을 제시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장면(106)은 현실-세계 장면의 시뮬레이션된 대체물인 가상 장면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일부 구현예들에서, 장면(106)은 제어기(102) 및/또는 SR 디바이스(104)에 의해 시뮬레이션된다. 그러한 구현예들에서, 장면(106)은 SR 디바이스(104)가 위치되는 현실-세계 장면과 상이하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장면(106)은 현실-세계 장면의 수정된 버전인 증강 장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기(102) 및/또는 SR 디바이스(104)는, 장면(106)을 생성하기 위해 SR 디바이스(104)가 위치되는 현실-세계 장면을 수정(예를 들어, 증강)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기(102) 및/또는 SR 디바이스(104)는 SR 디바이스(104)가 위치되는 현실-세계 장면의 복제물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장면(106)을 생성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기(102) 및/또는 SR 디바이스(104)는 SR 디바이스(104)가 위치되는 현실-세계 장면의 시뮬레이션된 복제물로부터 아이템들을 제거 및/또는 부가함으로써 장면(106)을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기(102) 및/또는 SR 디바이스(104)는 가상 콘텐츠와 현실-세계 장면으로부터의 콘텐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SR의 생성을 용이하게 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도 1b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동작 환경(100B)의 도면이다. 관련 특징부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다양한 다른 특징부들이 간결함을 위해 그리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더 적절한 양태들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예시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를 위해, 비제한적인 예로서, 동작 환경(100B)은 네트워크(20), 컴퓨팅 디바이스(30), 현실-세계 장면(40), 및 디바이스(104)를 포함한다.
도 1b의 예에서, 현실-세계 장면(40)은 사람(10)를 포함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4)는 장면(40)의 이미지들의 세트를 캡처하고, (예컨대, 도 1a의 장면 데이터(106)를 생성하기 위해) 장면 데이터(106c)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30)로 송신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4)는 제어기(102) 및 카메라(104c)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카메라(104c)는 이미지들의 세트를 캡처하고, 제어기(102)는 이미지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장면 데이터(106c)를 생성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장면 데이터(106c)는 카메라(104c)의 시야에 있는 사람(10)에 대한 신체 포즈 정보(108)를 포함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신체 포즈 정보(108)는 카메라(104c)의 시야에 있는 사람(10)의 신체 포즈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들에서, 신체 포즈 정보(108)는 사람(10)의 관절 포지션들 및/또는 관절 배향들(예를 들어, 어깨 관절들, 팔꿈치 관절들, 손목 관절들, 골반 관절, 무릎 관절들, 및 발목 관절들의 포지션들/배향들)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신체 포즈 정보(108)는 사람(10)의 다양한 신체 부분들의 포지션들/배향들(예를 들어, 머리, 몸통, 윗팔, 아래 팔, 윗다리, 및 아래 다리의 포지션들/배향들)을 나타낸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네트워크(20)를 통해 신체 포즈 정보(108)를 송신하는 것은 카메라(104c)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들을 송신하는 것보다 더 적은 대역폭을 소비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4)는 이용가능한 양의 대역폭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다. 그러한 구현예들에서, 신체 포즈 정보(108)를 송신하는 것은 이용가능한 양의 대역폭보다 적게 소비하는 반면, 카메라(104c)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들을 송신하는 것은 이용가능한 양의 대역폭보다 더 많이 소비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예를 들어, 이미지들을 송신하는 대신에) 신체 포즈 정보(108)를 송신하는 것은, 예를 들어 더 적은 네트워크 자원들을 이용함으로써(예를 들어, 더 적은 대역폭을 이용함으로써) 네트워크(20)의 동작성을 개선시킨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는 사람(10)의 아바타를 렌더링하기 위해 신체 포즈 정보(108)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는 가상 장면에 아바타를 렌더링하기 위해 신체 포즈 정보(108)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엔진(예를 들어, 렌더링 및 디스플레이 파이프라인)에 신체 포즈 정보(108)를 제공한다. 컴퓨팅 디바이스(30)가 아바타들을 렌더링하기 위해 신체 포즈 정보(108)를 이용하기 때문에, 아바타들의 신체 포즈는 현실-세계 장면(40)에서 사람(10)의 신체 포즈와 어느 정도의 유사성 내에 있다. 이와 같이, 가상 장면에서 아바타를 보는 것은 현실-세계 장면(40)의 이미지들을 보는 것과 어느 정도의 유사성 내에 있다.
도 2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제어기(102)의 일 예의 블록도이다. 소정의 특정 특징부들이 예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들은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다양한 다른 특징부들이 간결함을 위해 그리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예들의 더 적절한 양태들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예시되지 않았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를 위해, 비제한적인 예로서,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기(10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202)(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필드-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PU)들,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들, 프로세싱 코어들 등), 하나 이상의 입/출력(I/O) 디바이스들(206),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들(208)(예를 들어, 범용 직렬 버스(USB), FIREWIRE, THUNDERBOLT, IEEE 802.3x, IEEE 802.11x, IEEE 802.16x, 모바일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적외선(IR), 블루투스, 지그비, 및/또는 유사한 유형의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예를 들어, I/O) 인터페이스들(210), 메모리(220), 및 이들 및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상호연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들(204)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들(204)은 시스템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을 상호연결시키고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I/O 디바이스들(206)은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조이스틱,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들,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메모리(220)는 동적-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정적 랜덤-액세스 메모리(CGRAM), 더블-데이터-레이트 랜덤-액세스 메모리(DDR RAM), 또는 다른 랜덤-액세스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고속 랜덤-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메모리(2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220)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202)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메모리(220)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메모리(220) 또는 메모리(220)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다음의 프로그램들,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 또는 선택적인 운영 체제(230) 및 SR 경험 모듈(240)을 포함하는 그들의 서브세트를 저장한다.
운영 체제(230)는 다양한 기본 시스템 서비스들을 처리하고 하드웨어 의존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들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SR 경험 모듈(24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SR 경험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 대한 단일 SR 경험,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의 개개의 그룹들에 대한 다수의 SR 경험들)을 관리하고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SR 경험 모듈(240)은 데이터 획득 유닛(242), 추적 유닛(244), 조정 유닛(246), 및 데이터 송신 유닛(248)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데이터 획득 유닛(242)은 적어도 HMD(104)로부터 데이터(예컨대, 제시 데이터, 상호작용 데이터, 센서 데이터, 위치 데이터 등)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데이터 획득 유닛(242)은 그에 대한 명령어들 및/또는 로직, 및 그에 대한 휴리스틱스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추적 유닛(244)은 장면(105)을 맵핑하도록 그리고 장면(106)에 대한 적어도 HMD(104)의 포지션/위치를 추적하도록 구성된다(도 1a). 일부 구현예들에서, 추적 유닛(244)은 장면(106) 내의 다른 요소들과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도출하기 위해, 장면(106)(도 1a)에 대한 사용자의 손, 팔, 눈 포지션/위치를 추적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추적 유닛(244)은 그에 대한 명령어들 및/또는 로직, 및 그에 대한 휴리스틱스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조정 유닛(246)은 HMD(104)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SR 경험을 관리 및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조정 유닛(246)은 그에 대한 명령어들 및/또는 로직, 및 그에 대한 휴리스틱스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데이터 송신 유닛(248)은 데이터(예컨대, 제시 데이터, 위치 데이터 등)를 적어도 HMD(104)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데이터 송신 유닛(248)은 그에 대한 명령어들 및/또는 로직, 및 그에 대한 휴리스틱스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 유닛(242), 추적 유닛(244), 조정 유닛(246), 및 데이터 송신 유닛(248)이 단일 디바이스(예컨대, 제어기(102))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데이터 획득 유닛(242), 추적 유닛(244), 조정 유닛(246), 및 데이터 송신 유닛(248)의 임의의 조합이 별개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내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예들의 구조적 개략도와는 대조적으로 특정 구현예에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특징부들의 기능 설명으로서 더 의도된다.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별개로 도시된 아이템들은 조합될 수 있고 일부 아이템들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도 2에서 별개로 도시된 일부 기능 모듈들은 단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단일 기능 블록들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의 실제 수량 및 특정 기능들의 분할 그리고 특징부들이 그들 사이에서 어떻게 할당되는지는 구현예들마다 변할 것이고, 일부 구현예들에서, 특정 구현예에 대해 선택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특정 조합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은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SR 디바이스(104)(예컨대, HMD(104))의 예의 블록도이다. 소정의 특정 특징부들이 예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들은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다양한 다른 특징부들이 간결함을 위해 그리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예들의 더 적절한 양태들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예시되지 않았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를 위해, 비제한적인 예로서, 일부 구현예들에서, HMD 디바이스(1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302)(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들, ASIC들, FPGA들, GPU들, CPU들, 프로세싱 코어들 등), 하나 이상의 입/출력(I/O) 디바이스들 및 센서들(306),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들(308)(예를 들어, USB, FIREWIRE, THUNDERBOLT, IEEE 802.3x, IEEE 802.11x, IEEE 802.16x, GSM, CDMA, TDMA, GPS, IR, 블루투스, 지그비, 및/또는 유사한 유형의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예를 들어, I/O) 인터페이스들(310), 하나 이상의 SR 디스플레이들(312), 하나 이상의 내부 또는 외부 대면 이미지 센서들(314), 메모리(320), 및 이들 및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상호연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들(304)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들(304)은 시스템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을 상호연결시키고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I/O 디바이스들 및 센서들(306)은 관성 측정 유닛(IMU),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온도계,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센서들(예를 들어, 혈압 모니터, 심박수 모니터, 혈중 산소 센서, 혈당 센서 등),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들(307A),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307B)(예를 들어, 헤드폰들 또는 라우드스피커들), 햅틱 엔진, 하나 이상의 심도 센서들(예를 들어, 구조화된 광, 비행시간 등)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SR 디스플레이들(312)은 SR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SR 디스플레이들(312)은 홀로그래픽, 디지털 광 프로세싱(DLP), 액정 디스플레이(LCD), 실리콘 액정 표시장치(LCoS), 유기 발광 전계-효과 트랜지터리(OLET),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전도 전자-방출기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D-LED),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MEMS), 및/또는 유사한 디스플레이 유형들에 대응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SR 디스플레이들(312)은 회절, 반사, 편광, 홀로그래픽 등의 도파관 디스플레이들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HMD(104)는 단일 S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HMD(104)는 사용자의 각각의 눈에 대한 S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SR 디스플레이들(312)은 SR 콘텐츠를 제시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314)은 사용자의 눈들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얼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그리고 눈-추적 카메라로 지칭될 수 있음).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314)은 사용자의 손가락들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그리고 손-추적 카메라로 지칭될 수 있음).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314)은 HMD(104)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사용자에 의해 보여질 장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전방-대면하도록 구성된다(그리고 장면 카메라로 지칭될 수 있음).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314)은 하나 이상의 RGB 카메라들(예를 들어, 상보성 금속-산화물-반도체(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를 가짐), 하나 이상의 적외선(IR) 카메라들, 하나 이상의 이벤트-기반 카메라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DRAM, SRAM, DDR RAM, 또는 다른 랜덤-액세스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고속 랜덤-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메모리(3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320)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302)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메모리(320)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메모리(320) 또는 메모리(320)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다음의 프로그램들,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 또는 선택적인 운영 체제(330) 및 SR 제시 모듈(340)을 포함하는 그들의 서브세트를 저장한다.
운영 체제(330)는 다양한 기본 시스템 서비스들을 처리하고 하드웨어 의존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들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SR 제시 모듈(340)은 하나 이상의 SR 디스플레이들(312)을 통해 SR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SR 제시 모듈(340)은 데이터 획득 유닛(342), 오디오/SR 제시 유닛(344), 및 데이터 송신 유닛(346)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데이터 획득 유닛(342)은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308)를 통해) 제어기(102), I/O 디바이스들 및 센서들(306), 또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314)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데이터(예를 들어, 제시 데이터, 상호작용 데이터, 센서 데이터, 위치 데이터 등)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데이터 획득 유닛(342)은 그에 대한 명령어들 및/또는 로직, 및 그에 대한 휴리스틱스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오디오/SR 제시 유닛(344)은 하나 이상의 SR 디스플레이들(312)(및, 다양한 구현예들에서는 스피커(307B) 및/또는 마이크로폰(307A))을 통해 오디오/SR 경험을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SR 제시 유닛(344)은 그에 대한 명령어들 및/또는 로직, 및 그에 대한 휴리스틱스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데이터 송신 유닛(346)은 데이터(예컨대, 제시 데이터, 위치 데이터 등)를 적어도 제어기(102)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데이터 송신 유닛(346)은 그에 대한 명령어들 및/또는 로직, 및 그에 대한 휴리스틱스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 유닛(342), 오디오/SR 제시 유닛(344), 및 데이터 송신 유닛(346)이 단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HMD(104))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데이터 획득 유닛(342), 오디오/SR 제시 유닛(344), 및 데이터 송신 유닛(346)의 임의의 조합이 별개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내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도 3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예들의 구조적 개략도와는 대조적으로 특정 구현예에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특징부들의 기능 설명으로서 더 의도된다.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별개로 도시된 아이템들은 조합될 수 있고 일부 아이템들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도 3에서 별개로 도시된 일부 기능 모듈들은 단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단일 기능 블록들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의 실제 수량 및 특정 기능들의 분할 그리고 특징부들이 그들 사이에서 어떻게 할당되는지는 구현예들마다 변할 것이고, 일부 구현예들에서, 특정 구현예에 대해 선택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특정 조합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4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동작 환경(400)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를 예시한다. 동작 환경(400)은 제1 사용자(410-1) 및 제2 사용자(410-2)에게 공유된 SR 공간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 및 상호작용성을 위한 공유된 SR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제1 사용자(410-1)에 의해 사용되는 제1 SR 디바이스(405-1)는 하나 이상의 SR 디스플레이들(407-1)과 연관된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410-2)에 의해 사용되는 제2 SR 디바이스(405-2)는 하나 이상의 SR 디스플레이들(407-2)과 연관된다. 또한, 제1 SR 디바이스(405-1) 및 제2 SR 디바이스(405-2)는 네트워크(예컨대, 피어-투-피어 연결)를 통해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R 디바이스(405-1)를 사용하는 것(예컨대, HMD를 착용하거나 또는 SR 디바이스로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에 더하여, 제1 사용자(410-1)는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와 연관되며,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를 파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SR 디바이스(405-1) 및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는 제1 사용자(410-1)에 대해 로컬이고 제2 사용자(410-2)에 대해서는 원격이다. 유사한 맥락에서, 제2 SR 디바이스(405-2)를 사용하는 것(예컨대, HMD를 착용하거나 또는 SR 디바이스로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에 더하여, 제2 사용자(410-2)는 또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와 연관되며,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를 사용 및 파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SR 디바이스(405-2) 및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는 제2 사용자(410-2)에 대해 로컬이고 제1 사용자(410-1)에 대해서는 원격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SR 디바이스(405-1)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와 페어링된다.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에의 페어링을 통해, 제1 SR 디바이스(405-1)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의 SR 표현을 획득하고, 공유된 SR 공간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의 SR 표현을 제2 SR 디바이스(405-2)로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2 SR 디바이스(405-2)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와 페어링된다.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에의 페어링을 통해, 제2 SR 디바이스(405-2)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의 SR 표현을 획득하고, 공유된 SR 설정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의 SR 표현을 제1 SR 디바이스(405-1)로 송신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페어링은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SR 디바이스(405-1)의 IMU 및/또는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제1 SR 디바이스(405-1)는 제1 사용자(410-1)의 손 추적, 신체 포즈들, 및/또는 움직임들을 획득하고; 제2 SR 디바이스(405-2)의 IMU 및/또는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제2 SR 디바이스(405-2)는 제2 사용자(410-1)의 손 추적, 신체 포즈들, 및/또는 움직임들을 획득한다. 개개의 사용자(410)의 손 제스처들, 신체 포즈들 및/또는 움직임들은 제스처 입력들이고, 개개의 사용자(410)가 협업 모드에 진입하려고 의도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 제1 SR 디바이스(405-1) 및/또는 제2 SR 디바이스(405-2)는 제스처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 손 추적, 및/또는 IMU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스처 입력들은 개개의 SR 디바이스(405)에 의해 검출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스처 입력들은 개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에 의해 검출되고, 개개의 페어링을 통해 페어링된 SR 디바이스(405)로 송신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스처 입력들을 검출하는 것에 더하여,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 제1 SR 디바이스(405-1), 및/또는 제2 SR 디바이스(405-2)는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로 지향된 입력 지시들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는 제1 사용자(410-1)로부터 입력 지시들을 획득한다. 제1 사용자(410-1)로부터의 입력 지시들은 SR 환경에서의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의 조작들, 예컨대, SR 설정에서의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의 표현으로 지향되는 터치, 토글링, 음성 커맨드들, 및/또는 움직임들로 지향된다. 입력 지시들은 입력 메시지들로서 패키징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SR 디바이스(405-2)로 전송된다. 이어서, 제2 SR 디바이스(405-2)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에 의한 로컬 실행을 위해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에의 페어링을 통해 입력 메시지들을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로 전달한다. 다른 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는 제2 사용자(410-2)로부터 입력 지시들을 획득한다. 제2 사용자(410-2)로부터의 입력 지시들은 SR 설정에서의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의 조작들, 예컨대, SR 설정에서의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의 표현으로 지향되는 터치, 토글링, 음성 커맨드들, 및/또는 움직임들로 지향된다. 입력 지시들은 입력 메시지들로서 패키징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SR 디바이스(405-1)로 전송된다. 이어서, 제1 SR 디바이스(405-1)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에 의한 로컬 실행을 위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에의 페어링을 통해 입력 메시지들을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로 전달한다.
도 4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 제1 SR 디바이스(405-1), 및 SR 디스플레이(들)(407-1)를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예시하지만,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 제1 SR 디바이스(405-1), 및/또는 SR 디스플레이(들)(407-1)는 통합된다. 마찬가지로, 도 4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 제2 SR 디바이스(405-2), 및 SR 디스플레이(들)(407-2)를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예시하지만,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 제2 SR 디바이스(405-2), 및/또는 SR 디스플레이(들)(407-2)는 통합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갖는 스마트폰은 SR 디바이스로서 그리고 원격 사용자와 공유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둘 모두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디바이스 공유를 위한 SR 설정들(500A 내지 500E)의 예들의 도면들이다. SR 설정(500A)의 예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410-1)는 거리를 따라 걷고, 자신의 손에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예컨대, 스마트폰)를 파지하고 있다. SR 설정(500A)의 예에서, 또한 여러 건물들(501)이 먼 곳에 있다. 건물들(501) 중 하나의 내부에서, 제2 사용자(410-2)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예컨대, 태블릿 컴퓨터)를 파지하고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 및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는 컴퓨팅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랩톱, 또는 PC 스크린 등과 같은 현실-세계 물리적 디바이스들이다. 각각의 개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는 디스플레이(예컨대, 터치 감응형 표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I/O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 비일시적 메모리, 및 커맨드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4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사용자(410-1)는 제1 SR 디바이스(405-1)와 연관되고 제2 사용자(410-2)는 제2 SR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와 연관된다. 이와 같이, 제1 SR 디바이스(405-1) 및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는 제1 사용자(410-1)에 대해 로컬이고 제2 사용자(410-2)에 대해서는 원격이다. 마찬가지로, 제2 SR 디바이스 및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2)는 제2 사용자(410-2)에 대해 로컬이고 제1 사용자(410-1)에 대해서는 원격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사용자(410-1)에 의해 파지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와 연관된 제스처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는 제1 사용자(410-1)와 제2 사용자(410-2) 사이에서 공유된다. 예를 들어, 도 5b의 예시적인 SR 설정(500B)에서, 제1 사용자(410-1)는 걷고 있고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를 파지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를 자신의 신체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자신의 손바닥에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를 파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이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를 다른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처 입력은 협업 모드를 트리거한다. 예를 들어, 도 5b에서, 제1 사용자(410-1)는 공유된 SR 설정(500B)에서 제2 사용자(410-2)(도시되지 않음)가 제1 사용자(410-1)의 전방에 서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따라서, 제1 사용자(410-1)는 자신의 전방에 있는 제2 사용자(410-2)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를 건네주어서, 제2 사용자(410-2)가 공유된 SR 설정(500B)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를 받고/받거나, 보고/보거나, 그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한다. 도 5c의 예시적인 설정(50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업 모드에 진입할 때, SR 설정은 제1 사용자의 오른손(410R-1')에 의해 파지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420-1')을 포함한다. SR 설정(500C)은 현실-세계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에 터치 입력(예컨대, 핀치 제스처)을 입력하는 제1 사용자를 표현하는 제1 사용자의 왼손(410L-1')을 추가로 포함한다. SR 설정(500C)은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420-1')에 에뮬레이트된 터치 입력(예컨대, 에뮬레이트된 탭 제스처)을 입력하는 제2 사용자를 표현하는 제2 사용자의 왼손의 표현(410L-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현실-세계에서 제1 사용자(410-1)와 제2 사용자(410-2) 사이의 물리적 거리에도 불구하고(예컨대, 한 명은 거리를 걷고, 다른 한 명은 고층 건물에 있음), SR 설정(500C)을 통해 제1 사용자(410-1) 및 제2 사용자(410-2) 둘 모두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긴밀한 협업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5d의 예시적인 설정(500D)에서, 제1 사용자(410-1)를 표현하는 제1 아바타(410-1')가 SR 설정(500)에 도시된다. 제1 아바타(410-1')는 현실-세계 장면에서 제1 사용자(410-1)의 신체 포즈들과 어느 정도의 유사성 내에 있다. 또한, SR 설정(500D)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420-2')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SR 설정(500D)은 제2 사용자(410-2)에 대응하는 제2 아바타(410-2')를 포함한다. 제2 아바타(410-2')는 현실-세계 장면에서 제2 사용자(410-2)의 신체 포즈들과 어느 정도의 유사성 내에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아바타(410-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제2 사용자는 초기에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420-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자신의 신체에 가깝게 파지하고 있다. 이어서, 제2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자신의 신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거나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기울인다. 제스처 입력의 결과로서, 협업 모드로 진입한다.
협업 모드에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둘 모두는 SR 설정에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보고 그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e의 예시적인 SR 설정(50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의 손들(410L-2', 410R-2')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420-2') 옆에 디스플레이되어, 현실-세계에서의 제2 사용자의 손들에 의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움직임들이 SR 설정(500E)에서 렌더링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SR 설정(500E)은 또한 제1 사용자의 오른손(410R-1')을 포함하여, 현실-세계에서의 제1 사용자의 오른손의 움직임들, 예컨대, 탭핑, 핀칭, 플릭킹, 스와이핑, 잡기, 누르기가 SR 설정(500E)에서 검출 및 에뮬레이트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제1 사용자의 오른손의 에뮬레이트된 제스처들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420-2')과의 상호작용을 보여주기 위해, SR 설정(500E)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에뮬레이트된 제스처들과 연관된 입력 지시들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된다.
도 5a 내지 도 5e가 협업 모드를 트리거하는 예시적인 제스처 입력들을 예시하지만, 다른 유형들의 입력들이 협업 모드를 트리거하기 위한 표시자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한 입력들은 음성 커맨드들 및/또는 터치 입력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e가 2명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물리적 디바이스의 공유를 트리거하는 제스처 입력들의 예들을 예시하지만, 물리적 디바이스는 2명 초과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의 그룹을 향한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교수는 디바이스의 제어를 그 그룹과 공유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SR 설정(600)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을 스케일링하는 것을 예시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SR 설정(600)은 디바이스의 장면 카메라에 의해 조사(survey)되는 현실 환경에 기초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장면 카메라는 사용자와 연관된(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디바이스의 일부이고, SR 설정(600)을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사용자는 환경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장면 카메라는 장면 카메라로부터의 패스-스루 이미지 데이터를 로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원격 디바이스(예컨대, 드론 또는 로봇)의 일부이며, 로컬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고, SR 설정(60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 그러한 구현예들에서, 사용자는 물리적으로 환경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SR 설정(600)을 렌더링하기 위한 패스-스루 이미지 데이터는 현실-세계 장면에서 사람의 신체 포즈와 어느 정도의 유사성 내에 있는 아바타를 포함한다. 도 6a 내지 도 6d에서, SR 설정(600)은 사람을 표현하는 아바타 또는 현실 환경에서의 실제 사람일 수 있는 사용자(605)를 포함한다.
도 6a에서, 패스-스루 이미지 데이터는 TV 프로그램들, 예를 들어, 뉴스 및/또는 주식 시장 분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TV(610)가 벽에 있는 방에 서 있는 사용자(605)를 특성화한다. 방은 또한 사용자(605) 옆에 가구(615)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상이한 사용자(도시되지 않음),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파지하고 있는 원격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이 SR 설정(600)에서 렌더링된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은 SR 설정(600)에서 사용자(605)의 전방에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620)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실제 스케일(true scale) 3D 표현, 예컨대 태블릿 컴퓨터의 실제 스케일 3D 표현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사용자(605)는 SR 설정(600) 내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20)를 이리저리 옮기고/옮기거나, 컴퓨팅 디바이스(620)를 가구(615) 상에 배치하고/하거나, 컴퓨팅 디바이스(620)의 버튼을 누르고/누르거나, 컴퓨팅 디바이스(620)를 탭하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605)와 컴퓨팅 디바이스(620)의 이들 상호작용은 원격 디스플레이가능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들을 위해 의도된 입력 지시들과 연관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사용자(605)와 연관된 SR 디바이스는 (예컨대, 손 제스처들 및/또는 신체 포즈들을 추적하기 위해 IMU, 손 추적, 및/또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들 입력 지시들을 획득하고,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의 실행을 위해 입력 지시들을 캡슐화하는 입력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은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실제 스케일 3D 렌더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관찰 및 상호작용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현예들에서,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은 스케일링가능하다(scalable). 예를 들어, 도 6c에서, 태블릿 컴퓨터의 SR 표현은 TV(610)에 맞도록 스케일링되고, 원격 태블릿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TV(61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사용자(605)는 가구(615) 주위를 걷고, 입력 지시들을 입력하기 위해, 예를 들어 쇼핑 어포던스를 선택하기 위해, TV(610)를 터치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6d에서, 원격 태블릿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는 TV(610) 옆의 벽 상에 투영되고, TV(610)보다 더 크게 스케일링된다. 이어서, 사용자(605)는 SR 설정(600) 내에서 떨어져서 벽 상에 투영된 어포던스(예컨대, 카메라 어포던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입력 메시지에 포함된 입력 지시들을 실행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허용들 및/또는 정책들은 하나 이상의 자원들에 대한 사용자의 액세스 권한들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정책들은 제2 사용자가 어포던스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지 여부 또는 제2 사용자가 어포던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특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2 SR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메시지는 제2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및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될 동작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입력 메시지를 수신할 때,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사용자의 액세스 권한들을 찾아보고, 제2 사용자가 입력 메시지 내에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7은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SR 설정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의 방법(700)의 흐름도 표현이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방법(700)은, 블록(70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비일시적 메모리를 갖는 제1 SR 디바이스에서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디바이스는 머리-장착형 디바이스, 모바일 폰, 태블릿, 웹캠, 키오스크 및/또는 드론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방법(700)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방법(700)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예를 들어, 코드)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제어기(예를 들어, 도 1a의 제어기(102))에 의해 수행된다. 간략하게는, 일부 상황들에서, 방법(700)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의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SR 디바이스와 통신함 -;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을 제2 SR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제2 SR 디바이스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입력 메시지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SR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입력 지시를 포함함 -; 및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입력 메시지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700)은, 블록(704)에서, 제1 SR 디바이스가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의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로 시작된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제스처 입력은 사용자(410-1)가 자신의 팔을 들어올리고 자신의 손바닥 상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20-1)를 지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제스처 입력은, 제2 아바타(410-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제2 사용자가, 420-2'에 의해 표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기울이고, 제1 아바타(410-1')에 의해 표현된 제1 사용자에 더 근접하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제1 SR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SR 디바이스와 페어링된다. 이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입력들(예컨대, 제스처 입력)은 일부 구현예들에 따라 페어링을 통해 제1 SR 디바이스로 통신된다. 따라서, 블록(706)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제1 SR 디바이스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라 페어링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SR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스처 입력의 표시자를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입력(예컨대, 도 5b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고, 제스처 입력의 표시자를 제1 SR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스처 입력의 표시자는 협업 모드에 진입하도록 제1 SR 디바이스를 트리거하여,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둘 모두가 도 5c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보고 그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스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대신에, 블록(708)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제1 SR 디바이스는 제스처 입력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제1 SR 디바이스와 연관된 카메라 및/또는 IMU를 이용하여, 제1 SR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파지하고 있는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제1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제스처 입력을 도출할 수 있다.
방법(700)은, 블록(710)에서, 제1 SR 디바이스가,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을 제2 SR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로 계속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은 공유된 SR 설정으로 실시간으로(예컨대, 상당한 지연 없이) 스트리밍된다. 공유된 SR 설정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 디스플레이의 라이브 이미지들 및/또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렌더링(예컨대, 3D 렌더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환경에서, SR 표현(620)은 공중에 떠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실제 스케일 3D 렌더링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블록(71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은 스케일링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c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는 상이한 치수를 가질 수 있는 TV(610)에 맞도록 스케일링된다. 또 다른 예에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SR 표현(630)은 표면 상에 투영되고, 관찰 및 상호작용성을 위해 큰 크기로 스케일링된다.
여전히 도 7을 참조하면, 블록(714)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방법(700)은, 제1 SR 디바이스가, 제2 SR 디바이스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 계속되며, 여기서 입력 메시지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SR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입력 지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입력 지시는 손 및/또는 신체 움직임들을 포함하며, 이는 의도된 입력들을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한다. 다시 말하면, 입력 지시는 제2 사용자의 신체 부위들/관절들의 공간 및/또는 각도 좌표들의 변화들과 연관된다. 그러한 구현예들에서, 손 및/또는 신체 움직임들은 제2 SR 디바이스에 의해(예컨대, 제2 SR 디바이스와 연관된 카메라, 손 추적, 및/또는 IMU를 사용하여) 검출되고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으로 지향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블록(716)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그러한 입력 지시들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SR 디바이스는 입력 지시들에 기초하여 입력 메시지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의 절대 및/또는 상대 위치 및/또는 신체 부위들/관절들의 공간 및/또는 각도 좌표들에 기초하여, 제2 SR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SR 표현 상의 입력 위치(들)를 계산하고, 입력 위치(들)로 지향된 대응하는 입력 지시들(예컨대, 탭핑, 누르기, 슬라이딩 등)을 결정한다. 입력 위치(들) 및 입력 지시들과 연관된 움직임들에 기초하여, 제2 SR 디바이스는 입력 메시지를 구성하며(예컨대, 생성함), 여기서 입력 메시지는 입력 지시들을 통해 구현되도록 의도된 동작들을 특정한다(예컨대, 쇼핑 어포던스 상의 탭핑은 쇼핑 동작을 나타낸다) 도 6b 내지 도 6d에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과 상호작용하는 사용자(605)의 팔, 손, 및/또는 손가락 움직임들은 사용자(605)에 의해 착용된 SR 디바이스와 연관된 IMU, 손 추적, 및/또는 카메라에 의해 검출된 입력 지시들이다. 사용자(605)와 SR 표현의 상호작용들, 예컨대 도 6c에서의 쇼핑 어포던스를 선택하는 것 또는 도 6d에서의 카메라 어포던스를 선택하는 것은, 실행을 위해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될 입력 메시지들에 포함된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방법(700)은, 블록(718)에서, 제1 SR 디바이스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입력 메시지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로 계속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블록(72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제1 SR 디바이스와 페어링되고,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은 피어-투-피어 연결을 통해 제2 SR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제2 SR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메시지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의 실행을 위해 제1 SR 디바이스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통신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블록(72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방법(700)은 제2 사용자를 표현하는 아바타 및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을 렌더링하여, 제2 사용자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호작용이 SR 설정에서 보여질 수 있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한 구현예들에서, 제2 사용자를 표현하는 아바타의 신체 포즈들 및/또는 손 제스처들은 입력 메시지에 기초하여 SR 설정에서 업데이트된다. 또한, 입력 메시지에 특정된 동작들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동작들을 수행하고, 업데이트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반영하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업데이트된 SR 표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제2 사용자의 상호작용성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SR 표현에 근접한 제2 사용자를 표현하는 아바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렌더링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블록(724)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공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방법(700)은 공유된 SR 설정에서 제1 사용자를 표현하는 아바타 및 제2 사용자를 표현하는 아바타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표현과 함께 렌더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를 표현하는 아바타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사이의 물리적 거리에 관계없이 제2 사용자를 표현하는 아바타에 근접하게 렌더링된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410-1) 및 제2 사용자(410-2)는 현실-세계에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공존 경험을 생성하기 위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410-1)를 표현하는 아바타(410-1')는 SR 설정 내로 합성되고, 제2 사용자(410-2)를 표현하는 아바타(410-2') 옆에 렌더링된다. 렌더링은 제1 사용자(410-1)가 제2 사용자(410-2)에 인접해 있는 외관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입력 메시지는 제2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및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될 동작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구현예들에서, 방법(700)은, 제2 사용자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업데이트된 SR 표현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업데이트된 SR 표현은, 제2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될 동작들, 또는 정책들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정책들은 소정 유형들의 상호작용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을 허용할지 또는 불허할지 여부를 특정한다. 이와 같이, 제2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 및 기능들의 서브세트와 상호작용하도록 제한된다. 따라서, 제2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반면에, 제2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된다는 결정에 따라, 동작은 수행된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의 구현예들의 다양한 양태들이 위에서 설명되지만, 위에서 설명된 구현예들의 다양한 특징들이 광범위하게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임의의 특정 구조 및/또는 기능이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가 임의의 다른 양태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들 양태들 중 2개 이상이 다양한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수의 양태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고/있거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태들 중 하나 이상에 부가하여 또는 그 이외의 다른 구조 및/또는 기능을 사용하여 그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고/있거나 그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용어들 "제1", "제2" 등이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모든 "제1 노드"의 발생이 일관되게 재명명되고 모든 "제2 노드"의 발생이 일관되게 재명명되기만 한다면, 제1 노드는 제2 노드로 지칭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노드는 제1 노드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설명의 의미를 변경한다. 제1 노드 및 제2 노드는 둘 모두 노드들이지만, 그것들은 동일한 노드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현예들만을 설명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청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구현예들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들("a", "an" 및 "the")은 문맥상 명확하게 달리 나타나지 않으면 복수형들도 또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및/또는"은 열거되는 연관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나타내고 그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들은 진술되는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맥락에 의존하여, 진술된 선행 조건이 사실"인 경우(if)"라는 용어는 그가 사실"일 때(when)", 그가 사실"일 시(upon)" 또는 그가 사실"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rmining)" 또는 그가 사실"이라는 결정에 따라(in accordance with a determination)" 또는 그가 사실"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cting)"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어구 "[진술된 선행 조건이 사실이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진술된 선행 조건이 사실]인 경우" 또는 "[진술된 선행 조건이 사실]일 때"는, 맥락에 의존하여, 진술된 선행 조건이 사실"이라고 결정할 시" 또는 그가 사실"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그가 사실"이라는 결정에 따라" 또는 그가 사실"임을 검출할 시" 또는 그가 사실"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20)

  1.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함 -;
    상기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3D 표현을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으로 지향되는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입력 메시지는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입력 지시(input directive)를 포함함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상기 입력 메시지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를 표현하는 아바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을 렌더링하는 단계;
    상기 입력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신체 포즈들 또는 손 제스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업데이트된 3D 표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아바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업데이트된 3D 표현을 렌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을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을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상기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스처 입력의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스처 입력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상기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파지(hold)하고 있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스처 입력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1 크기 및 비율과는 상이한 제2 크기 및 비율로 스케일링가능한(scalable),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지시는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움직임들과 연관되고;
    상기 움직임들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으로 지향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피어-투-피어 연결을 통한 통신을 위해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되고, 상기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을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을 피어-투-피어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공유된 시뮬레이션된 현실(simulated reality, SR) 설정에서, 상기 제1 사용자를 표현하는 아바타 및 상기 제2 사용자를 표현하는 상기 아바타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과 함께 렌더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될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그리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아이덴티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동작의 수행을 보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된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는 머리-장착형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모바일 폰, 태블릿, 웹캠, 또는 키오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 전자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비일시적 메모리; 및
    상기 비일시적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의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고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함 -;
    상기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3D 표현을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으로 지향되는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입력 메시지는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입력 지시를 포함함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상기 입력 메시지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상기 제2 사용자를 표현하는 아바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을 렌더링하고;
    상기 입력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신체 포즈들 또는 손 제스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업데이트된 3D 표현을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아바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업데이트된 3D 표현을 렌더링하게 하는, 제1 전자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상기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스처 입력의 표시자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스처 입력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전자 디바이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상기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파지하고 있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스처 입력을 도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전자 디바이스.
  18.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메모리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제1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의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고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함 -;
    상기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3D 표현을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으로 지향되는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입력 메시지는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입력 지시를 포함함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상기 입력 메시지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상기 제2 사용자를 표현하는 아바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3D 표현을 렌더링하고;
    상기 입력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신체 포즈들 또는 손 제스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업데이트된 3D 표현을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아바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업데이트된 3D 표현을 렌더링하게 하는, 비일시적 메모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상기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스처 입력의 표시자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스처 입력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비일시적 메모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상기 제스처 입력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파지하고 있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스처 입력을 도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메모리.
KR1020217006665A 2018-09-04 2019-09-03 시뮬레이션된 현실(sr)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 및 상호작용성 Active KR102543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26903P 2018-09-04 2018-09-04
US62/726,903 2018-09-04
PCT/US2019/049287 WO2020051111A1 (en) 2018-09-04 2019-09-03 Display device sharing and interactivity in simulated reality (sr)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975A KR20210036975A (ko) 2021-04-05
KR102543993B1 true KR102543993B1 (ko) 2023-06-22
KR102543993B9 KR102543993B9 (ko) 2024-03-15

Family

ID=6798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665A Active KR102543993B1 (ko) 2018-09-04 2019-09-03 시뮬레이션된 현실(sr)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 및 상호작용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33956B2 (ko)
EP (1) EP3847530B1 (ko)
JP (1) JP7081052B2 (ko)
KR (1) KR102543993B1 (ko)
CN (1) CN112639685B (ko)
WO (1) WO2020051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5953A4 (en) * 2019-09-03 2023-10-04 Light Field Lab, Inc. LIGHT FIELD DISPLAY SYSTEM FOR GAME ENVIRONMENTS
US11651074B2 (en) * 2020-04-30 2023-05-16 Musarubra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accelerate security threat investigation
JP7665161B2 (ja) 2021-02-08 2025-04-21 サイトフル コンピューターズ リミテッド エクステンデッドリアリティにおけるユーザ相互作用
KR20230144042A (ko) 2021-02-08 2023-10-13 사이트풀 컴퓨터스 리미티드 생산성을 위한 확장 현실
EP4295314A4 (en) 2021-02-08 2025-04-16 Sightful Computers Ltd EXTENDED REALITY CONTENT SHARING
WO2023009580A2 (en) 2021-07-28 2023-02-02 Multinarity Ltd Using an extended reality appliance for productivity
US12238059B2 (en) 2021-12-01 2025-02-2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Generating a summary of a conversation between users for an additional user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e additional user is joining the conversation
US12175614B2 (en) 2022-01-25 2024-12-24 Sightful Computers Ltd Recording the complete physical and extended reality environments of a user
US11948263B1 (en) 2023-03-14 2024-04-02 Sightful Computers Ltd Recording the complete physical and extended reality environments of a user
US20230334795A1 (en) * 2022-01-25 2023-10-19 Multinarity Ltd Dual mode presentation of user interface elements
CN114627270B (zh) * 2022-03-16 2023-02-03 深圳市博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ar/vr技术的虚拟空间共享方法及系统
JP7661928B2 (ja) 2022-05-17 2025-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4465160A4 (en) 2022-08-12 2025-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USING AN AVATAR IN A VIRTUAL SPACE
WO2024034776A1 (ko) * 2022-08-12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공간의 아바타를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장치
US12169598B2 (en) 2022-09-19 2024-12-17 Snap Inc. AR glasses as IoT remote control
US12100111B2 (en) * 2022-09-29 2024-09-24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Mapping a real-world room for a shared artificial reality environment
US12073054B2 (en) 2022-09-30 2024-08-27 Sightful Computers Ltd Managing virtual collisions between moving virtual objects
US20240244285A1 (en) * 2023-01-17 2024-07-18 Piotr Gurgul Ar glasses as iot device for enhanced screen experience
US12265664B2 (en) * 2023-02-28 2025-04-01 Snap Inc. Shared augmented reality eyewear device with hand tracking align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68322A1 (en) 2015-09-04 2017-03-09 Eyesight Mobile Technologies Ltd. Gesture recognition control device
WO2017100753A1 (en) * 2015-12-11 2017-06-15 Google Inc. Methods and apparatus using gestures to share private windows in shared virtual environments
US20170262045A1 (en) * 2016-03-13 2017-09-14 Logitech Europe S.A. Transition betwe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US20180219975A1 (en) 2015-08-04 2018-08-02 Nokia Technologies Oy Sharing Mediated Reality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469A (en) * 1995-02-21 1997-01-14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Hand gesture machine control system
DE19917660A1 (de) * 1999-04-19 2000-11-02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Verfahren und Eingabeeinrichtung zum Steuern der Lage eines in einer virtuellen Realität graphisch darzustellenden Objekts
CA2694095C (en) * 2007-05-18 2016-03-22 The Uab Research Foundation Virtual interactive presence systems and methods
US8914462B2 (en) * 2009-04-14 2014-12-1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776201B2 (ja) * 2011-02-10 2015-09-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共有方法、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KR101818024B1 (ko) 2011-03-29 2018-01-1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각각의 사용자의 시점에 대해 공유된 디지털 인터페이스들의 렌더링을 위한 시스템
WO2012135378A1 (en) * 2011-04-01 2012-10-04 Analog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vibration response profiling and feedback
US9560314B2 (en) 2011-06-14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ractive and shared surfaces
US20130002532A1 (en) * 2011-07-01 2013-01-0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ed synchronous viewing of content
US20140063061A1 (en) * 2011-08-26 2014-03-06 Reincloud Corporation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item in a virtual augmented space
US8949910B2 (en) * 2012-10-22 2015-02-03 At&T Mobility Ii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content presentation
US9978178B1 (en) * 2012-10-25 2018-05-22 Amazon Technologies, Inc. Hand-based interaction in virtually shared workspaces
EP3920148A1 (en) 2013-04-04 2021-12-08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372543B2 (en) * 2013-12-16 2016-06-21 Dell Products, L.P. Presentation interface in a virtual collaboration session
US20160027214A1 (en) * 2014-07-25 2016-01-28 Robert Memmott Mouse sharing between a desktop and a virtual world
US20170061700A1 (en) * 2015-02-13 2017-03-02 Julian Michael Urbach Intercommunication between a head mounted display and a real world object
US10062208B2 (en) * 2015-04-09 2018-08-28 Cinemoi North America, LL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interactive virtual environments
JP2017010387A (ja) 2015-06-24 2017-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複合現実表示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18228B2 (en) * 2015-08-07 2017-11-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ixed reality social interaction
US10235808B2 (en) * 2015-08-20 2019-03-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munication system
US10120635B2 (en) * 2016-03-09 201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display devices including device management
US20180032299A1 (en) * 2016-07-29 2018-02-01 Iadea Corporation Pairing system and pairing method for display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US10192363B2 (en) * 2016-08-28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th operations in mixed or virtual reality
US10325407B2 (en) * 2016-09-15 2019-06-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ttribute detection tools for mixed reality
US10445925B2 (en) * 2016-09-30 2019-10-1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Using a portable device and a head-mounted display to view a shared virtual reality space
DE202017105929U1 (de) * 2016-10-14 2018-01-09 Google LLC (n.d.Ges.d. Staates Delaware) Privatsphäre-Einstellungen für virtuelle Realität
US10928888B2 (en) * 2016-11-14 2021-02-23 Logitech Europe S.A.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hub-centric virtual/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10212428B2 (en) * 2017-01-11 2019-02-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projecting holographic video to enhance streaming bandwidth/quality
JP2018109940A (ja) 2017-08-21 2018-07-12 株式会社コロプラ 情報処理方法及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190081993A1 (en) * 2017-09-11 2019-03-14 Akn Korea Inc. Method for sharing user screen in multiple reality environment and server system for the method
GB2568475A (en) * 2017-11-15 2019-05-22 Cubic Motion Ltd A method of generating training data
US10390171B2 (en) * 2018-01-07 2019-08-20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for generating customized spatial audio with head tracking
WO2020210298A1 (en) * 2019-04-10 2020-10-15 Ocelot Laboratories Llc Techniques for participation in a shared setting
CN112100284A (zh) * 2019-06-18 2020-12-18 明日基金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通过虚拟孪生现实与现实世界物品及对应数据库交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19975A1 (en) 2015-08-04 2018-08-02 Nokia Technologies Oy Sharing Mediated Reality Content
US20170068322A1 (en) 2015-09-04 2017-03-09 Eyesight Mobile Technologies Ltd. Gesture recognition control device
WO2017100753A1 (en) * 2015-12-11 2017-06-15 Google Inc. Methods and apparatus using gestures to share private windows in shared virtual environments
US20170262045A1 (en) * 2016-03-13 2017-09-14 Logitech Europe S.A. Transition betwe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방준성 외 5인. 가상현실/증강현실 원격 협업 기술 동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2권 제6호 96-104페이지. 2017년12월.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7530B1 (en) 2023-12-27
CN112639685A (zh) 2021-04-09
KR20210036975A (ko) 2021-04-05
WO2020051111A1 (en) 2020-03-12
CN112639685B (zh) 2024-03-08
US11733956B2 (en) 2023-08-22
JP2021535526A (ja) 2021-12-16
US20210349676A1 (en) 2021-11-11
EP3847530A1 (en) 2021-07-14
KR102543993B9 (ko) 2024-03-15
JP7081052B2 (ja) 202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3993B1 (ko) 시뮬레이션된 현실(sr)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공유 및 상호작용성
KR102370257B1 (ko) 2d/3d 혼합 콘텐츠의 검출 및 디스플레이
EP3676745B1 (en) Privacy screen for computer simulated reality
US118362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rfacing physical environment interactions during simulated reality sessions
KR102546535B1 (ko) 설정을 중심으로 한 이동
US120396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ailoring a synthesized reality experience to a physical setting
US10984607B1 (en) Displaying 3D content shared from other devices
US20240104871A1 (en)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media and manipulating virtual objects
US202304017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visualizing sensory perception
EP39149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ketch-based placement of virtual objects
US114301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orientation-based view switching
US202403120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solving focal conflict
US11468611B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lementing a virtual environment
WO2025024476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udio presentation 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US20240070931A1 (en) Distributed Content Rendering
US12033240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solving focal conflict
US11308716B1 (en) Tailoring a computer-generated reality experience based on a recognized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5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4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