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3900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900B1
KR102543900B1 KR1020210057138A KR20210057138A KR102543900B1 KR 102543900 B1 KR102543900 B1 KR 102543900B1 KR 1020210057138 A KR1020210057138 A KR 1020210057138A KR 20210057138 A KR20210057138 A KR 20210057138A KR 102543900 B1 KR102543900 B1 KR 10254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ing
terminal
connector
shell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9155A (ko
Inventor
준지 오오사카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91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73481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2280A external-priority patent/JP73668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5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74938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0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73954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198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455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32981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12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41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719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55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7296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155A/ko
Publication of KR10254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제1 단자(41) 및 제2 단자(42)와,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의 사이에 위치하는 차폐부(판부(44))를 구비한 그라운드 단자(40)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도전성의 셸(50)을 가지는 커넥터(100)와, 제1 단자(41) 및 제2 단자(42)와 각각 접속되는 상대측 제1 단자(71) 및 상대측 제2 단자(72)와, 상대측 제1 단자(71)와 상대측 제2 단자(72)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대측 차폐부(상대측 판부(73))를 갖춘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도전성의 상대측 셸(80)을 가지는 상대측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그라운드 단자(40)와 셸(50)을 금속판의 굽힘 가공에 의해 일체 형성한다. 그라운드 단자(40)와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는 차폐부와 상대측 차폐부가 탄성 접촉하여 서로 접속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대향되어 끼워맞춤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a, 1b, 2는 서로 끼워맞춤되어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19-12143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커넥터(특허문헌 1에서는 리셉터클이라고 칭하고 있음)(10) 및 상대측 커넥터(특허문헌 1에서는 플러그라고 칭하고 있음)(20)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커넥터(10)는 커넥터 하우징(11)에 신호 단자(12, 13, 14) 및 그라운드 단자(15, 16)가 장착되고, 또한 셸 형상 도체(17)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셸 형상 도체(17)는 커넥터 하우징(11)의 외주측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대략 장방형의 환상을 이루고, 커넥터 하우징(11)의 상면 외주 및 측면 상부를 둘러싸고 있다.
신호 단자(12∼14)는 그라운드 단자(15, 16)를 사이에 끼고 배치되어 있고, 그라운드 단자(15, 16)에 의해 신호 단자(12∼14)는 서로 떨어져 있다. 그라운드 단자(15, 16)는 판재의 블랭킹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11)은 중앙에 끼워맞춤부 삽입 구멍(11a)을 가지고, 신호 단자(12∼14) 및 그라운드 단자(15, 16)는 끼워맞춤부 삽입 구멍(11a)에 노출되어 있다. 도 1a, 1b 중, 12a∼16a는 각각 신호 단자(12∼14) 및 그라운드 단자(15, 16)의 실장 기판으로의 접속 단부를 나타낸다.
상대측 커넥터(20)는 커넥터 하우징(21)에 신호 단자(22, 23, 24)가 장착되고, 또한 셸 형상 도체(25)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신호 단자(22∼24)는 커넥터 하우징(21)의 인서트 성형 수지부(26)의 중앙부에 정렬 배치된 돌출부(26a∼26c)에 유지되어 있다. 셸 형상 도체(25)는 커넥터 하우징(21)의 둘레벽부(27)를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10) 및 상대측 커넥터(20)는 각각 외부 실드로서의 셸 형상 도체(17 및 25)를 갖추고, 또한 커넥터(10)는 신호 단자(12∼14) 사이를 차폐하는 내부 실드를 이루는 그라운드 단자(15, 16)를 갖추는 것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EMC 대책 및 신호 단자 간의 크로스 토크 대책이 시행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커넥터(10)에서는 외부 실드를 이루는 셸 형상 도체(17)와 내부 실드를 이루는 그라운드 단자(15, 16)는 별체(다른 부품)이며, 또한 그라운드 단자(15와 16)도 별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부품수가 많아, 조립 공수도 늘어나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 문제를 감안하여,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쌍방이 외부 실드 및 내부 실드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종래보다도 부품수를 줄일 수 있게 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방의 커넥터와 타방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일방의 커넥터는 원피스의 금속 부품을 가지고 있다. 금속 부품의 일부가 셸의 전부 또는 일부이며, 금속 부품의 나머지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가 그라운드 단자의 전부 또는 일부이다. 셸은 외부 실드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라운드 단자는 내부 실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차폐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끼워맞춤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커넥터에서는 외부 실드를 이루는 셸과 이종 단자 사이를 전자(電磁)적으로 차폐하는 내부 실드를 이루는 차폐부를 갖춘 그라운드 단자가 금속판의 굽힘 가공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부품수 및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커넥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상대측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일방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4a는 도 3a에 나타낸 커넥터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에서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도 3a에 있어서의 셸과 일체의 그라운드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3a에 있어서의 인슐레이터 및 인슐레이터에 유지된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상대측 커넥터를 도시하는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상대측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8a는 도 7a에 나타낸 상대측 커넥터의 정면도.
도 8b는 도 8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도 7a에 있어서의 상대측 셸의 사시도.
도 10은 도 7a에 있어서의 상대측 인슐레이터 및 상대측 인슐레이터에 유지된 상대측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b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c는 도 11b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
도 11d는 도 11b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일방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낸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도 12a에 있어서의 셸과 일체의 그라운드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상대측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4b는 도 14a에 나타낸 상대측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5a는 도 14a에 나타낸 상대측 커넥터의 정면도.
도 15b는 도 15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b는 도 16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a, 3b, 4a, 4b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일방의 커넥터(100)를 도시한 것으로, 커넥터(100)는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와 그라운드 단자(40)와 셸(50)과 인슐레이터(60)로 구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단자(40)는 이 예에서는 커넥터(100)의 외곽을 구성하는 셸(50)과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일체 형성되어 있는 그라운드 단자(40) 및 셸(50)의 상세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인슐레이터(60) 및 인슐레이터(60)에 유지되어 있는 제1 단자(41), 제2 단자(42)를 도시한 것이다.
인슐레이터(60)는 수지제로 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룬다. 인슐레이터(6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제1 단자(41)가 부착되어 있고, 인슐레이터(60)의 중앙부에는 제2 단자(42)가 2열 각 2개, 합계 4개 부착되어 있다.
제1 단자(41)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편(41a)을 가지며, 제2 단자(42)도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편(42a)을 가지고 있다. 이들 제1 단자(41) 및 제2 단자(42)의 기판과의 접속부(41b, 42b)는 인슐레이터(60)의 바닥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제1 단자(41)는 이 예에서는 고주파 신호용(고속 전송용)으로 되어 있고, 4개의 제2 단자(42)는 저주파 신호용(저속 전송용)으로 되어 있다.
도전성의 셸(50)은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ㄷ자 형상의 외벽을 가지는 2체에 의해 사각형의 프레임체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사각형의 장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51) 및 사각형의 단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52)의 각 상단에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만곡된 만곡부(51a, 5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셸(50)과 일체의 그라운드 단자(40)는 셸(50)의 프레임 내에 2개 형성되어 있고, 그라운드 단자(40)는 대향하는 외벽부(51)에 양단이 연결 지지되어 있다. 그라운드 단자(40)는 셸(50)의 길이 방향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라운드 단자(40)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ㄷ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가 이웃하여 동일 평면 위에 위치하여 구성되는 판부(44)를 중앙에 가지고,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의 서로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43a)의 선단측에는 돌기부(43b)가 서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단자(40)는 상기한 판부(44)와, 대향하는 외벽부(51)의 하단으로부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각각 절곡 연장된 형상을 이루는 연결부(45)와, 각 연결부(45)로부터 절곡되어 일으켜 세워진 피유지부(46)와, 각 피유지부(46)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의 서로 외측에 위치하는 다리부(43c)의 선단에 각각 이르는 연장부(47)로 구성된다. 또한, 각 피유지부(46)에는 각각 한 쌍의 돌기(46a)가 폭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외벽부(51)의 하단에 있어서의 2개의 연결부(45)에 사이에 끼인 부분에는 작은 크기의 절결부(53)가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부(53)는 인슐레이터(60)에 유지되어 인슐레이터(60)의 바닥면측에 노출되어 있는 제2 단자(42)의 접속부(42b)의 위치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단자(40)가 일체 형성된 셸(50)은 제1 단자(41) 및 제2 단자(42)를 유지한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된다. 부착은 인슐레이터(60)의 위로부터 셸(50)을 씌우고 밀어 넣음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2개의 그라운드 단자(40)의, 돌기(46a)를 갖춘 각 한 쌍의 피유지부(46)가 인슐레이터(60)의 4개소의 오목부(61)에 각각 압입되어 고정, 지지된다. 또, 2개의 그라운드 단자(40)의, 각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부(44)는 각각 인슐레이터(60)의 슬릿(62)에 삽입되고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차폐부를 구성하고, 이것에 의해 도 3a, 3b, 4a, 4b에 도시한 커넥터(100)가 완성된다.
다음에 상기한 커넥터(100)와 끼워맞춤되어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7b, 8a, 8b는 상대측 커넥터(200)를 도시한 것으로, 상대측 커넥터(200)는 상대측 제1 단자(71)와 상대측 제2 단자(72)와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와 상대측 셸(80)과 상대측 인슐레이터(9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상대측 셸(80)의 상세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상대측 커넥터(200)로부터 상대측 셸(80)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대측 인슐레이터(90)는 수지제로 되어 있고, 바닥판부(91)와, 바닥판부(91)의 4개의 코너부에 각각 설치된 측벽(92)을 가진다. 바닥판부(9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상대측 제1 단자(71)가 부착되어 있고, 바닥판부(91)의 중앙부에는 상대측 제2 단자(72)가 2열 각 2개, 합계 4개 부착되어 있다. 또, 2개의 상대측 제1 단자(71)와 4개의 상대측 제2 단자(72)의 각 사이에는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대측 제1 단자(71)는 기둥 형상을 이루고, 하단에는 기판과의 접속부(71a)를 갖추고 있다. 상대측 제2 단자(72)는 판 형상을 이루고, 하단에는 기판과의 접속부(72a)를 갖추고 있다. 2개의 상대측 제1 단자(71)는 고주파 신호용으로 되어 있고, 4개의 상대측 제2 단자(72)는 저주파 신호용으로 되어 있다.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 방향 중앙에 상대측 판부(73)를 가지고, 상대측 판부(73)는 서로의 사이에 상방으로 개구하는 오목부(7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75)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75)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판부(91) 위로 돌출해 있다. 상대측 판부(73)에 있어서, 한 쌍의 돌출부(75)의 하단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76)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면측에 위치하여 노출되어 있다.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대측 판부(73)와, 상대측 판부(73)의 연결부(76)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연장부(77)로 구성된다. 2개의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상대측 판부(73)는 상대측 제1 단자(71)와 상대측 제2 단자(72)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상대측 차폐부를 구성한다.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도전성의 상대측 셸(80)은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장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81)와, 사각형의 단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82)와, 외벽부(81과 82)의 상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83)를 갖춘다. 한 쌍의 연결부(83)는 사각형의 프레임의 장변 방향 양단을 각각 약간 막는 것과 같은 판면을 가진다.
한 쌍의 외벽부(81)의 서로의 외측면에는 각각 가늘고 긴 볼록부(81a)가 변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외벽부(82)의 서로의 외측면에도 각각 가늘고 긴 볼록부(82a)가 변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외벽부(81)의 변 방향 양단에는 외벽부(82)를 향하여 절곡 연장된 연장부(8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외벽부(81)의 하단에는 절결부(84)가 2개 형성되고, 또한 이들 2개의 절결부(84)의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절결부(8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84)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에 유지되어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면측에 노출되어 있는 상대측 제2 단자(72)의 접속부(72a)의 위치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절결부(85)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에 유지되어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면측에 노출되어 있는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연장부(77)의 위치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외벽부(82)의 변 방향 양단에는 돌기(82b)가 서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대측 셸(80)은 상대측 제1 단자(71), 상대측 제2 단자(72) 및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를 유지한 상대측 인슐레이터(90)에 부착된다. 상대측 셸(80)의 부착은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위로부터 상대측 셸(80)을 씌우고 밀어 넣음으로써 행해지고, 돌기(82b)를 갖춘 양쪽 외벽부(82)가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2개의 측벽(92)에 걸쳐 측벽(92)의 외측에 구성되어 있는 오목부(93)에 각각 압입되어, 도 7a, 7b, 8a, 8b에 도시한 상대측 커넥터(200)가 완성된다.
상기한 커넥터(100) 및 상대측 커넥터(200)는 서로 대향되는 기판의 서로의 대향면에 각각 실장되어 서로 끼워맞춤, 접속되는 기판대기판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커넥터(100)에서는 제1 단자(41) 및 제2 단자(42)의 각 접속부(41b, 42b), 그라운드 단자(40)의 판부(44)의, 인슐레이터(60)의 바닥면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한 쌍의 ㄷ자 형상부(43)의 ㄷ자의 각 중간 부분) 및 셸(50)이 기판의 대응하는 패드나 패턴에 납땜되어 접속된다.
한편, 상대측 커넥터(200)에서는 상대측 제1 단자(71) 및 상대측 제2 단자(72)의 각 접속부(71a, 72a),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상대측 판부(73)의 연결부(76) 및 연장부(77), 또한 상대측 셸(80)이 기판의 대응하는 패드나 패턴에 납땜되어 접속된다.
도 11a, 11b, 11c, 11d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며, 기판의 도시는 생략했다.
커넥터(100)에의 상대측 커넥터(200)의 끼워맞춤에 의해, 제1 단자(41)와 상대측 제1 단자(71), 제2 단자(42)와 상대측 제2 단자(72)가 각각 끼워맞춤, 접속된다. 또, 상대측 셸(80)에 설치되어 있는 볼록부(81a, 82a)가 셸(50)의 만곡부(51a, 52a)를 타고 넘어 끼어 들어감으로써 셸(50)의 내측에 상대측 셸(80)이 끼워맞춤된다.
한편, 그라운드 단자(40)의 판부(44)와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상대측 판부(73)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한 판면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측 판부(73)의 한 쌍의 돌출부(75)는 판부(44)의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의 ㄷ자 내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고,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의 서로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43a)는 상대측 판부(73)의 오목부(74)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한다.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43a)는 오목부(74)에의 삽입 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고, 다리부(43a)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43b)는 다리부(43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각각 한 쌍의 돌출부(75)의 서로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 사이의 차폐부를 구성하는 판부(44)와 상대측 제1 단자(71)와 상대측 제2 단자(72) 사이의 상대측 차폐부를 구성하는 상대측 판부(73)는 서로 도통된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가 결합되어, 고주파 신호용의 제1 단자(41) 및 상대측 제1 단자(71)와 저주파 신호용의 제2 단자(42) 및 상대측 제2 단자(72)와의 사이에 실드가 구성된다. 도 11d 중,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a)은 이 실드가 구성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내고, 이 실드에 의해 단자 간(고주파 신호용의 단자와 저주파 신호용의 단자 간 및 양쪽 고주파 신호용의 단자 간)의 전자 간섭이 차폐된다.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는 이 예에서는 동일한 두께(판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는 두께가 위치하는 범위가 일치되어, 즉 한 장의 판을 구성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 사이의 간극 및 상대측 판부(73)의 오목부(74)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판부(44)의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43a) 사이의 간극은 이들 판부(44) 및 상대측 판부(73)의 두께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이 예에서는 양호한 실드 성능이 확보되고 있다.
또한, 판부(44)의 두께와 상대측 판부(73)의 두께는 반드시 같지 않아도 되고, 두께가 상이한 경우,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는 그것들의 일방의 두께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 타방의 두께가 위치하는 범위가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판부(44)의 두께와 상대측 판부(73)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에는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 사이의 간극 및 오목부(74)에 위치하는 ㄷ자의 다리부(43a) 사이의 간극은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의 어느 하나의 두께가 작은 쪽의 두께보다도 작게 된다.
(실시예 2)
상기한 실시예 1에서는, 커넥터(100)의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의 사이에 위치하는 그라운드 단자(40)의 차폐부는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부(44)로 되어 있고, 또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제1 단자(71)와 상대측 제2 단자(72)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상대측 차폐부는 서로의 사이에 오목부(7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75)를 가지는 형상으로 된 상대측 판부(73)로 되어 있지만, 이들 차폐부는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실시예 2는 이와 같이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에 있어서 그라운드 단자 및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가 갖추는 차폐부를 다른 구성으로 한 것으로, 도 12a, 12b는 실시예 2에서의 커넥터(100')를 도시하고, 도 13은 커넥터(100')에서의 셸(50)과 일체의 그라운드 단자(40')를 도시한다. 또, 도 14a, 14b, 15a, 15b는 상대측 커넥터(200')를 도시하고, 도 16a, 16b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들 도 12a, 12b, 13, 14a, 14b, 15a, 15b, 16a, 16b에 있어서, 도 3a, 3b, 4a, 4b, 5, 6, 7a, 7b, 8a, 8b, 9, 10, 11a, 11b, 11c, 11d에 도시한 실시예 1의 구성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예에서는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가 갖추는 상대측 차폐부는,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평판부(78)로 구성되고,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는 이 평판부(78)와, 평판부(78)의 하변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연장부(77)로 구성된다. 평판부(78)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판부(91) 위로 돌출하여 상대측 제1 단자(71)와 상대측 제2 단자(7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평판부(78)의 하변 및 연장부(77)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면측에 위치하여 노출되어 있다.
한편, 그라운드 단자(40')가 갖추는 차폐부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한 쌍의 ㄷ자 형상부(48)로 구성된다. 한 쌍의 ㄷ자 형상부(48)의 서로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 부분은 ㄷ자 형상부(48)의 판면(48a)과 수직한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접촉부(49)로 되고, 접촉부(49)는 〈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그라운드 단자(40')는 실시예 1에서의 그라운드 단자(40)와 마찬가지로 연결부(45), 피유지부(46) 및 연장부(47)를 가지며, 한 쌍의 ㄷ자 형상부(48)의 서로 외측에 위치하는 다리부(48b)는 각각 연장부(47)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그라운드 단자(40')의, 각 한 쌍의 ㄷ자 형상부(48)는 각각 인슐레이터(60)의 슬릿(62)에 삽입되어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의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끼워맞춤, 접속된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이 예에서는,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한 판면(상대측 판면)을 가지는 평판부(78)의 판면(78a)에, 끼워맞춤 방향과 수직한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접촉부(49)가 접촉 방향이 판면(78a)과 수직으로 되어 탄성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그라운드 단자(40')의 차폐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ㄷ자 형상부(48)와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상대측 차폐부를 구성하는 평판부(78)는 서로 도통되고, 결합되어, 제1 단자(41) 및 상대측 제1 단자(71)와 제2 단자(42) 및 상대측 제2 단자(72)와의 사이에, 단자 간의 전자 간섭을 차폐하는 실드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10 커넥터 11 커넥터 하우징
11a 끼워맞춤부 삽입 구멍 12∼14 신호 단자
12a∼14a 접속 단부 15, 16 그라운드 단자
15a, 16a 접속 단부 17 셸 형상 도체
20 상대측 커넥터 21 커넥터 하우징
22∼24 신호 단자 25 셸 형상 도체
26 인서트 성형 수지부 26a∼26c 돌출부
27 둘레벽부 40, 40' 그라운드 단자
41 제1 단자 41a 접촉편
41b 접속부 42 제2 단자
42a 접촉편 42b 접속부
43 ㄷ자 형상부 43a 다리부
43b 돌기부 43c 다리부
44 판부 45 연결부
46 피유지부 46a 돌기
47 연장부 48 ㄷ자 형상부
48a 판면 48b 다리부
49 접촉부 50 셸
51, 52 외벽부 51a, 52a 만곡부
53 절결부 60 인슐레이터
61 오목부 62 슬릿
70, 70'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 71 상대측 제1 단자
71a 접속부 72 상대측 제2 단자
72a 접속부 73 상대측 판부
74 오목부 75 돌출부
76 연결부 77 연장부
78 평판부 78a 판면
80 상대측 셸 81, 82 외벽부
81a, 82a 볼록부 81b 연장부
82b 돌기 83 연결부
84, 85 절결부 90 상대측 인슐레이터
91 바닥판부 92 측벽
93 오목부 100, 100' 커넥터
200, 200' 상대측 커넥터

Claims (3)

  1.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성의 차폐부를 갖춘 그라운드 단자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도전성의 셸을 가지는 커넥터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각각 접속되는 상대측 제1 단자 및 상대측 제2 단자와, 상기 상대측 제1 단자와 상기 상대측 제2 단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성의 상대측 차폐부를 갖춘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도전성의 상대측 셸을 가지는 상대측 커넥터가 끼워맞춤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셸은 금속판의 굽힘 가공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차폐부와 상기 상대측 차폐부가 탄성 접촉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한 판면을 가지는 판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대측 차폐부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한 상대측 판면을 가지는 상대측 판부로 구성되고,
    상기 판부는 이웃하는 한 쌍의 ㄷ자 형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대측 판부는 서로의 사이에 오목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고,
    상기 판면과 상기 상대측 판면은 서로 평행하게 되고, 상기 판부와 상기 상대측 판부의 일방의 두께는 타방의 두께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ㄷ자 형상부의 ㄷ자 내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ㄷ자 형상부의 서로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는 상기 오목부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의 선단측에 서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부와 각각 탄성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과 수직한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상대측 차폐부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한 상대측 판면을 가지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 방향이 상기 상대측 판면과 수직으로 되어 상기 상대측 판면에 탄성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10057138A 2020-05-13 2021-05-03 커넥터 조립체 Active KR102543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84468 2020-05-13
JPJP-P-2020-084468 2020-05-13
JPJP-P-2020-091146 2020-05-26
JP2020091146A JP7348135B2 (ja) 2020-05-26 2020-05-26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102280 2020-06-12
JP2020102280A JP7366844B2 (ja) 2020-06-12 2020-06-12 コネクタ
JP2020105098A JP7493877B2 (ja) 2020-06-18 2020-06-18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JPJP-P-2020-105098 2020-06-18
JP2020120397A JP7395437B2 (ja) 2020-07-14 2020-07-14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120397 2020-07-14
JPJP-P-2020-121984 2020-07-16
JP2020121984A JP7445551B2 (ja) 2020-07-16 2020-07-16 コネクタ
JP2020132981A JP7461245B2 (ja) 2020-08-05 2020-08-05 コネクタ
JPJP-P-2020-132981 2020-08-05
JP2020141324A JP7471960B2 (ja) 2020-05-13 2020-08-25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141324 2020-08-25
JP2020155230A JP7467296B2 (ja) 2020-09-16 2020-09-16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155230 2020-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155A KR20210139155A (ko) 2021-11-22
KR102543900B1 true KR102543900B1 (ko) 2023-06-15

Family

ID=7862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138A Active KR102543900B1 (ko) 2020-05-13 2021-05-03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3900B1 (ko)
CN (1) CN214754554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7735A1 (en) * 2014-06-05 2015-12-1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nnector set and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7735A1 (en) * 2014-06-05 2015-12-1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nnector set an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155A (ko) 2021-11-22
CN214754554U (zh)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889B1 (ko) 커넥터 조립체
CN113690694B (zh) 连接器组装体
KR102682871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N113690688B (zh) 连接器组件
KR102682867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7348135B2 (ja) コネクタ組立体
KR20230025747A (ko) 커넥터
JP2022172741A (ja) コネクタ
KR102543913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2543900B1 (ko) 커넥터 조립체
CN109546390B (zh) 电连接器
US20240055811A1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16805772A (zh) 连接器组件以及第一连接器
JP7467296B2 (ja) コネクタ組立体
CN222261608U (zh) 端子模组以及电连接器
JP2022054592A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22143706A (ja) コネクタ
JP2022180022A (ja) コネクタ組立体
CN119340699A (zh) 电连接器
KR20210139137A (ko) 커넥터
CN120300555A (zh) 复合式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