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3280B1 -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280B1
KR102543280B1 KR1020220102133A KR20220102133A KR102543280B1 KR 102543280 B1 KR102543280 B1 KR 102543280B1 KR 1020220102133 A KR1020220102133 A KR 1020220102133A KR 20220102133 A KR20220102133 A KR 20220102133A KR 102543280 B1 KR102543280 B1 KR 102543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atform
electric vehicles
electric
passeng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준희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2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B61D47/005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road vehicles carrying wagons, e.g. ramps, turntables, lif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은, 출발역/종착역/중간역이 설치되어 있는 본선과, 서로 평행한 구간을 구비하며 본선에 합류되는 복수 개의 지선으로 이루어진 선로와;도로와 연결되며, 전기차가 상기 지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입되고, 플랫폼 측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제 1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수 개의 플랫폼과;상기 선로를 따라 자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동원과, 플랫폼 상의 전기차를 탑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2 이송장치와, 전기차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시스템을 구비한 복수 대의 동력 객차;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 및 동력객차가 목적지별로 지정되고, 복수의 동력 객차가 해당 플랫폼에서 전기차를 탑재할 수 있도록 각 지선으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2 이송장치의 작동에 따라 동력 객차에 전기차가 탑재되는 단계와; 전기차를 탑재한 복수의 동력 객차가 지선을 따라 자력으로 본선에 진입하고, 진입한 동력객차들은 전후의 연결기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먼 목적지로 가는 동력객차를 앞세우는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철도차량을 이루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Rail Transport Method For Electric Vehicle And Passenger}
본 발명은 전기차 및 승객을 운송하기 위한 철도 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는 배터리 용량에 따라 주행가능 거리가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고 충전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시 잦은 충전 및 긴 충전시간으로 그 이용이 불편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차와 승객을 철도 차량으로 목적지까지 운송하고, 운송 중 전기차를 충전하여 목적지 도착후 별도의 충전없이 전기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를 승객과 함께 운송하는 철도 시스템이 국제공개특허공보 WO 99/29552호(도 1) 등에 의해 제안된 바 있고,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5-286437호에는 철도차량 및 선박 등으로 전기차를 수송하면서 충전하겠다는 개념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철도차량은 출발역, 종착역 및 중간역에서 플랫폼에 오랫동안 정차하지 않으므로, 여러 대의 자동차를 정차 시간 내 철도 차량에 신속히 탑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미국 등록특허 US 4237794호에서는 리프트 장비에 의해 자동차를 철도차량에 탑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단시간 내 여러 대의 차량을 탑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07594호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랫폼 측면으로 진입된 차량을 철도차량의 진행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철도차량에 탑재한 후, 철도차량 내에서 차량의 방향을 회전시키는 탑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역에서는 선로가 병렬로 배치되고 그 선로들 사이에 플랫폼들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플랫폼의 측면으로 차량을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플랫폼이 설치된 역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0-170406호에서는 별도의 적재시설을 차량을 입고시킨후, 팔레트 또는 컨베이어에 의해 자동차를 1대씩 철도차량에 탑재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단시간에 차량들을 탑재시키기 불가능하며, 승객은 별도의 교통수단을 통해 목적지로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제공개특허공보 WO 99/29552호 미국 등록특허 US 423779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07594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0-170406호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이용하여 전기차를 운반하면서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토록 하는 철도 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이용해 자동차와 승객을 장거리 운송함에 따라 운전자의 피로를 줄이고 안전하고 빠른 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철도 운송시스템에 적용가능하며, 짧은 정차 시간 중에도 많은 대수의 자동차를 철도차량에 상하차할 수 있도록 한 철도 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은,
출발역과 종착역을 연결하며 그 사이에 중간역이 설치되어 있는 본선과, 상기 각 역에 설치되며 서로 평행한 구간을 구비하며 본선에 합류되는 복수 개의 지선으로 이루어진 선로와;
도로와 연결되며, 전기차가 상기 지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입되고, 진입된 전기차를 플랫폼 측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제 1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수 개의 플랫폼과;
상기 선로를 따라 자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동원과, 상기 복수 개의 제 1 이송장치와 연동하여 플랫폼 상의 전기차를 방향 변경없이 탑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제 2 이송장치와, 탑재된 전기차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시스템을 구비한 복수 대의 동력 객차;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 및 동력객차가 목적지별로 지정되고, 복수의 동력 객차가 해당 플랫폼에서 전기차를 탑재할 수 있도록 각 지선으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의 제 1 이송장치와 상기 동력 객차의 제 2 이송장치가 서로 연동될 수 있는 위치에 동력 객차가 정지하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으로 전기차가 진입하여 제 1 이송장치에 탑재되는 단계와;
상기 제 1,2 이송장치의 작동에 따라 동력 객차에 전기차가 탑재되는 단계와;
전기차를 탑재한 복수의 동력 객차가 지선을 따라 자력으로 본선에 진입하고, 진입한 동력객차들은 전후의 연결기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먼 목적지로 가는 동력객차를 앞세우는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철도차량을 이루는 단계와;
연결된 동력객차들이 목적지로 이동하며, 동력객차 내의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단계와;
목적지에 도착한 동력객차가 분리되어 본선을 벗어나 목적지 지선에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목적지 플랫폼의 제 1 이송장치와 상기 동력객차의 제 2 이송장치가 서로 연동될 수 있는 위치에 동력객차가 정지되는 단계와;
상기 제 1,2 이송장치의 작동에 따라 전기차가 동력 객차로부터 적하되는 단계와;
적하된 전기차가 플랫폼을 벗어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시스템은 본선을 따라 가설된 전기 선로 또는 동력 객차에 별도로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시스템은 전기차 배터리의 잉여 전기를 상기 동력 객차의 전기 선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2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또는 구동 롤러로 이루어지는 이송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객차는 상하 2층 구조의 전기차 탑재공간을 구비하고, 제 2 이송장치는 각 층에 설치되며, 플랫폼의 제 1 이송장치는 이송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이송장치의 이송부는 전기차의 앞바퀴를 지지하는 제 1 이송부와, 뒷바퀴를 지지하는 제 2 이송부로 별도로 구성되며, 제 1, 2 이송부의 상호 작동에 따라 전기차 방향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객차에는 탑재된 전기차가 동력 객차 진행방향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객차의 탑재공간은 벽체로 분리되어 각각 1 대의 전기차가 탑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객차의 분리된 탑재 공간의 벽체에는 정보 전달을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은 도로와 연결되어 전기차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은 동력 객차에서 플랫폼으로 이동된 전기차가 전진하여 도로로 진입하도록 진출부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대의 동력 객차의 제어는 중앙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대의 동력 객차는 본선 주행시 별도의 동력차에 의해 견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은 1~3 대의 동력객차가 정차할 수 있는 길이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차량을 이용하여 전기차를 운반하면서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로 충전을 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없어 여행시간이 단축되고, 목적지에 도착하여서도 전기차를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기차 뿐만 아니라 일반차에 대해서도 운전에 따른 피로를 줄이고 보다 안전하고 빠른 운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철도 운송시스템에 적용가능하며, 단시간의 정차 시간 내에서 다수의 전기차 및 일반차를 철도차량에 상하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승객용 열차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의 형태를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2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2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가 탑재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가 탑재된 형태를 나타낸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가 적하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시스템은 전기차 뿐만 아니라, 내연기관 자동차를 운송시킬 때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자동차'라는 용어는 전기차 뿐 만 아니라 내연기관 자동차에 구분없이 적용될 때 사용되며, '전기차'라는 용어는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 모터의 구동만으로도 이동가능한 자동차에 적용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시스템은,
출발역과 종착역을 잇고 출발역과 종착역 사이에 중간역이 설치되어 있는 본선(11)과, 상기 각 역에 설치되며 서로 평행한 구간을 구비하며 본선(11)에 합류되는 복수 개의 지선(12)으로 이루어진 선로(10)와;
도로(30)와 연결되며, 자동차가 상기 지선(12)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입되고, 진입된 자동차를 플랫폼(20) 측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제 1 이송장치(23)가 구비된 복수 개의 플랫폼과;
상기 선로(10)를 따라 자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동원과, 상기 복수 개의 제 1 이송장치(23)와 연동하여 플랫폼(20) 상의 자동차를 방향 변경없이 탑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제 2 이송장치(43)와, 탑재된 전기차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시스템을 구비한 복수 대의 동력 객차(4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운송시스템이 적용되는 선로(10)는 본선(11)과 지선(12)으로 구분된다. 본선(11)은 출발역과 종착역을 연결하며, 출발역과 종착역 사이에는 중간역이 설치되어 있다.
지선(12)은 출발역, 종착역, 중간역에 각각 설치되며, 본선(11)에서 분기된 복수 개의 지선(12)들은 서로 평행한 구간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 역에서는 본선이 복수 개의 선로로 분기되었다가 합쳐지며 각각 분기된 선로들 사이에 플랫폼이 설치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서로 평행한 구간을 갖는 복수 개의 지선들 사이에는 플랫폼이 배치되는 차이가 있다. 기존의 차량기지등에는 서로 평행한 구간을 갖는 복수 개의 지선이 이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실시되는 철도 운송 시스템은 기존 철도 차량기지 등을 활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다.
플랫폼(20)은 지선(12)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도 4와 같이 지선(12)으로 진입한 동력객차(40)의 탑재칸 바닥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 플랫폼은 자동차가 통행하는 도로(30)와 연결된 경사진 진입부(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자동차는 진입부(21)를 통해 플랫폼(20)으로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다. (도 3)
본 발명에서의 플랫폼(20)은 자동차 1대가 진입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구비하고 있으면 충분하다.
플랫폼(20)에는 진입한 자동차를 방향변경없이 동력객차로 그대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이송장치(23)가 구비된다.
동력객차(40)에는 제 2 이송장치(43)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이송장치(23)에 의해 이동되는 자동차를 동력 객차 내로 진입시키게 된다.
제 1,2 이송장치(23,43)는 컨베이어 또는 구동 롤러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롤러부는 체인이나 기어로 롤러가 복수 개 연결되어 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
각 이송장치는 하나의 컨베이어나 구동 롤러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앞바퀴 부분을 지지하는 제 1 이송부(23-1,43-1)와 뒷바퀴를 지지하는 제 2 이송부(23-2,43-2)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이송장치(23)의 제 1 이송부(23-1)와 제 2 이송부(23-2)의 작동거리를 달리하면 자동차의 방향을 미세조정하여, 동력객차(40)의 방향과 정확하게 일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력객차(40)는 탑재된 자동차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방지부(4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차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인, 로프 고정수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통상 열차는 길이 20m, 폭 3m 정도의 탑재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대형 승용차는 길이 5.2m, 폭 1.9m 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한 대의 동력객차에 3 대의 자동차를 탑재할 수 있다.
동력객차(40)의 탑재 공간을 2층으로 구비하게 되면, 더 많은 자동차를 탑재할 수도 있다. 이때 도 5와 같이 플랫폼(20)의 제 1 이송장치(23)는 동력객차(40)의 2층 탑재공간에 자동차를 탑재시키기 위해서 승하강부(25)를 구비하게 된다.
동력객차(40)의 1,2층에는 각각 제 2 이송장치(43)이 구비된다.
동력객차(40)의 탑재 공간은 벽체(45)로 분리되고, 각 분리된 공간마다 1대의 자동차가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각 분리된 공간의 벽체(45)에는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에게 운행상황, 엔터테인먼트 등 각종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는 평면TV 형태 또는 빔 프로젝터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동력객차의 분리된 공간 내에는 충전기가 각각 구비된다.
충전기로 공급되는 전원은 동력객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선로로부터 전력망 연결부를 통해 공급될 수도 있고, 동력객차의 바퀴에 설치된 발전기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
충전기에는 직류-교류 변환을 위한 인버터가 포함되어 있다.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를 충전시키고 과금할 수 있는 충전시스템이 구비된다.
충전시스템은 전기선로로부터, 또는 동력객차의 바퀴에 설치된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이와 같은 충전시스템에 의해 동력객차에 탑재된 전기차는 목적지를 향해 이동 중 충전을 계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동력객차가 전기선로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경우, 상기 충전시스템은 시간대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의 잉여 전기를 전기선로로 공급함으로써, 전기를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기차 승객은 판매비용 만큼 운송비를 할인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양방향 변압기 등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원리를 이해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제작가능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동력객차의 구동원은 전기 선로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로부터 구동되는 전기모터, 내연/외연 기관, 또는 별도 구비된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로 구동되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
자동차와 승객을 모두 실은 동력객차(40)들은 지선을 따라 자력으로 이동하여 본선으로 합류하고 동력객차 전후의 연결기(4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목적지가 먼 동력객차를 앞세우는 순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선에 진입한 동력객차는 각 동력객차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동력차에 의해 전체 동력객차를 견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출발역에서 출발하여 중간역에 도착하면, 중간역이 목적지인 동력객차들은 분리되어, 중간역의 지선으로 진입하고, 제 1,2 이송장치에 의해 중간역의 플랫폼으로 자동차를 적하(積下)하게 된다.
적하된 자동차는 플랫폼을 벗어나게 된다. 이때 자동차의 방향이 열차 진행방향과 동일하기 때문에, 플랫폼은 진입부 반대측에 진출부를 구비하여 자동차가 후진하지 않고 직진하여 도로로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도 8 참조)
또한, 중간역에서는 예를 들어 종착역까지 가는 자동차를 동력객차에 탑재시키고, 그 동력객차가 다시 본선에 합류하여 종착역까지 이동할 수도 있다.
종착역에 도착하면, 각 동력열차는 지선으로 이동하여 플랫폼에 자동차를 적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출발역과 종착역을 잇고 출발역과 종착역 사이에 중간역이 설치되어 있는 본선과, 상기 각 역에 설치되며 서로 평행한 구간을 구비하며 본선에 합류되는 복수 개의 지선으로 이루어진 선로와;
도로와 연결되며, 자동차가 상기 지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입되고, 진입된 자동차를 플랫폼 측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제 1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수 개의 플랫폼과;
상기 선로를 따라 자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동원과, 상기 복수 개의 제 1 이송장치와 연동하여 플랫폼 상의 자동차를 방향 변경없이 탑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제 2 이송장치와, 탑재된 전기차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시스템을 구비한 복수 대의 동력 객차로; 이루어진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시스템을 구비한다.
플랫폼(20) 또는 동력객차(40)가 목적지 별로 지정되고, 동력객차(40)는 지정된 플랫폼(20)에 대응되는 지선(12)으로 진입하여 정차하게 된다.
이때, 플랫폼(20)의 제 1 이송장치(23)와 동력객차(40)의 제 2 이송장치(43)는 플랫폼(20)에서 동력객차(40)로 자동차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위치가 정렬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와 별도로 진입부(21)를 통해 플랫폼(20)에 진입한 자동차는 제 1 이송장치(23) 상에 정차하게 된다.
플랫폼(20)의 제 1 이송장치(23)는 자동차의 앞바퀴를 지지하는 제 1 이송부(23-1)와, 뒷바퀴를 지지하는 제 2 이송부(23-2)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고, 제 1,2 이송부(23-1, 23-2)의 작동거리를 서로 다르게 함에 따라 자동차의 방향을 동력객차(4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미세하게 조정한다.
자동차의 방향은 자동차 전후방으로 플랫폼에 설치된 광센서 등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플랫폼(20)의 자동차는 도 6과 같이 제 1,2 이송장치(23,43)에 의해 동력객차에 탑재된다.
도 7과 같이 자동차를 모두 탑재한 동력객차(40)들은 본선(11)으로 이동하여 서로 연결되게 된 후, 목적지로 향해 이동한다.
하나의 플랫폼(20)에는 1~3대의 동력객차(40)가 정차하여 자동차를 탑재할 수 있도록 플랫폼(20)에 여러 조의 제 1 이송장치(23)가 설치될 수 있다.
동력객차(40)의 이동은 각 역 또는 각 선로의 철도 관제실의 중앙제어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각 동력객차(40)마다 동력객차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동 중, 동력객차(40) 내의 전기차는 충전시스템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자동차가 적하될 역에 도달하면, 동력객차(40)는 다른 동력객차(40)와 분리되어 지선(12)으로 진입하게 된다.
지선(12)으로 진입한 동력객차(40)는 동력객차(40) 전후에 구비된 연결기를 통해 서로 연결된 후, 종착역을 향해 출발하게 된다.
동력객차(40)에 탑재된 전기차는 동력객차(40)에 구비된 충전시스템에 연결되어 목적지로 이동하는 동안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각 동력객차(40)에는 동일한 목적지로 향하는 자동차들이 탑재되어 있으므로, 중간역이 목적지인 동력객차(40)가 중간역에 도착하면, 연결기(46)를 분리하고 중간역의 플랫폼(20)으로 지선을 따라 진입하게 된다.
지선(12)을 따라 진입한 동력객차(40)는 제 1,2 이송장치(23,43)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 후 플랫폼(20)에 자동차를 적하하게 된다.
동력객차(40)에서 플랫폼(20)으로 이동된 차량은 플랫폼 진입부(21) 반대편에 위치한 진출부(22)를 통해 플랫폼을 벗어나게 된다.
종착역에 도착하여서도 앞서 중간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동력객차(40)는 지선(12)을 따라 플랫폼(20)으로 진입한 후, 자동차를 플랫폼(20)에 적하하게 된다.
10 : 선로 11 : 본선 12 : 지선 20 : 플랫폼 21 : 진입부
22 : 진출부 23 : 제 1 이송장치 23-1, 43-1: 제 1 이송부
23-2, 43-2 : 제 2 이송부 25: 승하강부 30 : 도로
40: 동력객차 43 : 제 2 이송장치 45 : 벽체 46 : 연결기
47: 이동방지부

Claims (18)

  1. 출발역과 종착역을 연결하며 그 사이에 중간역이 설치되어 있는 본선과, 상기 각 역에 설치되며 서로 평행한 구간을 구비하며 본선에 합류되는 복수 개의 지선으로 이루어진 선로와;
    도로와 연결되며, 전기차가 상기 지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입되고, 진입된 전기차를 플랫폼 측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제 1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수 개의 플랫폼과;
    상기 선로를 따라 자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동원과, 상기 복수 개의 제 1 이송장치와 연동하여 플랫폼 상의 전기차를 방향 변경없이 탑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제 2 이송장치와, 탑재된 전기차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시스템을 구비한 복수 대의 동력 객차;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 및 동력객차가 목적지별로 지정되고, 복수의 동력 객차가 해당 플랫폼에서 전기차를 탑재할 수 있도록 각 지선으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의 제 1 이송장치와 상기 동력 객차의 제 2 이송장치가 서로 연동될 수 있는 위치에 동력 객차가 정지하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으로 전기차가 진입하여 제 1 이송장치에 탑재되는 단계와;

    상기 제 1,2 이송장치의 작동에 따라 동력 객차에 전기차가 탑재되는 단계와;

    전기차를 탑재한 복수의 동력 객차가 지선을 따라 자력으로 본선에 진입하고, 진입한 동력객차들은 전후의 연결기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먼 목적지로 가는 동력객차를 앞세우는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철도차량을 이루는 단계와;

    연결된 동력객차들이 목적지로 이동하며, 동력객차 내의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단계와;

    목적지에 도착한 동력객차가 분리되어 본선을 벗어나 목적지 지선에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목적지 플랫폼의 제 1 이송장치와 상기 동력객차의 제 2 이송장치가 서로 연동될 수 있는 위치에 동력객차가 정지되는 단계와;

    상기 제 1,2 이송장치의 작동에 따라 전기차가 동력 객차로부터 적하되는 단계와;

    적하된 전기차가 플랫폼을 벗어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시스템은 본선을 따라 가설된 전기 선로 또는 동력 객차에 별도로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시스템은 전기차 배터리의 잉여 전기를 상기 동력 객차의 전기 선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또는 구동 롤러로 이루어지는 이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객차는 상하 2층 구조의 전기차 탑재공간을 구비하고, 제 2 이송장치는 각 층에 설치되며, 플랫폼의 제 1 이송장치는 이송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장치의 이송부는 전기차의 앞바퀴를 지지하는 제 1 이송부와, 뒷바퀴를 지지하는 제 2 이송부로 별도로 구성되며, 제 1, 2 이송부의 상호 작동에 따라 전기차 방향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객차에는 탑재된 전기차가 동력 객차 진행방향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객차의 탑재공간은 벽체로 분리되어 각각 1 대의 전기차가 탑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객차의 분리된 탑재 공간의 벽체에는 정보 전달을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도로와 연결되어 전기차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동력 객차에서 플랫폼으로 이동된 전기차가 전진하여 도로로 진입하도록 진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대의 동력 객차의 제어는 중앙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대의 동력 객차는 본선 주행시 별도의 동력차에 의해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1~3 대의 동력객차가 정차할 수 있는 길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220102133A 2022-05-26 2022-08-16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Active KR102543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4919 2022-05-26
KR1020220064919 2022-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280B1 true KR102543280B1 (ko) 2023-06-14

Family

ID=8674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133A Active KR102543280B1 (ko) 2022-05-26 2022-08-16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28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7794A (en) 1976-01-06 1980-12-09 Southern Pacific Transportation Company Automobile securement mechanism to freight car
DE3037031A1 (de) * 1980-10-01 1982-05-06 Hans-Jürgen 5250 Engelskirchen Jung Vorrichtung zum be- und entladen eines autoreisezuges
JPH10211878A (ja) * 1997-01-30 1998-08-11 Furukawa Co Ltd 列車用の自動車の積込積卸設備
WO1999029552A2 (en) 1997-12-08 1999-06-17 Hofman Jiri Closed railway carriage for joint transport of passengers and passenger cars and/or transportation modules
JP2000170406A (ja) 1998-12-04 2000-06-20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鉄道による自動車輸送システム
KR20130047902A (ko) * 2011-11-01 2013-05-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차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KR20140028488A (ko) * 2012-08-29 2014-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카페리선의 화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90007594A (ko) 2017-07-13 2019-01-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운송용 객차
WO2021070100A1 (en) * 2019-10-11 2021-04-15 Crain Mobility S.R.L. Integrated mobility system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7794A (en) 1976-01-06 1980-12-09 Southern Pacific Transportation Company Automobile securement mechanism to freight car
DE3037031A1 (de) * 1980-10-01 1982-05-06 Hans-Jürgen 5250 Engelskirchen Jung Vorrichtung zum be- und entladen eines autoreisezuges
JPH10211878A (ja) * 1997-01-30 1998-08-11 Furukawa Co Ltd 列車用の自動車の積込積卸設備
WO1999029552A2 (en) 1997-12-08 1999-06-17 Hofman Jiri Closed railway carriage for joint transport of passengers and passenger cars and/or transportation modules
JP2000170406A (ja) 1998-12-04 2000-06-20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鉄道による自動車輸送システム
KR20130047902A (ko) * 2011-11-01 2013-05-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차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KR20140028488A (ko) * 2012-08-29 2014-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카페리선의 화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90007594A (ko) 2017-07-13 2019-01-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운송용 객차
WO2021070100A1 (en) * 2019-10-11 2021-04-15 Crain Mobility S.R.L. Integrated mobilit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4186B2 (en) Tugger train trailer,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KR100936582B1 (ko) 개별 운송 시스템
US3847085A (en) Dual-mode transportation system
AU2006231369A1 (en) A method of mass transportation of people or cargo, and an associated transport infrastructure
US3484002A (en) Transportation system
KR20170133403A (ko) 독립 주행 차량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9663A (ko) 통합 모빌리티 시스템
RU2758921C1 (ru) Поездная система с самоходным одиночным вагоном
US20050166785A1 (en) High-speed magnetic train system with two-tier tracks
CN110461692A (zh) 用于在电驱动的机动车的装配期间运送该机动车的方法和车辆
JP2002514146A (ja) 乗客及び貨物の輸送装置
JP3364901B2 (ja) 走行路の使用方法
US20200317232A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sharing railway cars lower chassis with upper chassis or cabins
KR102543280B1 (ko) 전기차 및 승객용 철도 운송방법
CN103832441A (zh) 轨道车辆和列车
JPH0617553A (ja) 車両格納装置
KR102543279B1 (ko) 전기차 탑재 철도차량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방법
JP2006022599A (ja) 新交通システム用列車格納システム
KR101314856B1 (ko) 자기부상열차의 일반 철도 운행용 결합 차량
CN110550054A (zh) 一种将道路交通与轨道交通连接起来运行的方法与装置
JPH07330131A (ja) 台車使用の搬送装置
JP2011236656A (ja) 工事用運搬車両及びその運行方法
US11845481B2 (en) Rail and train system
JPS6357270B2 (ko)
JP2000170406A (ja) 鉄道による自動車輸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