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385B1 -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2385B1 KR102542385B1 KR1020220024108A KR20220024108A KR102542385B1 KR 102542385 B1 KR102542385 B1 KR 102542385B1 KR 1020220024108 A KR1020220024108 A KR 1020220024108A KR 20220024108 A KR20220024108 A KR 20220024108A KR 102542385 B1 KR102542385 B1 KR 1025423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main
- segment
- girder
- support s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48909 Bored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2는 교대에 세워진 주탑에 의해 지지되는 현수 보도교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지간의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4a는 도3의 'A'부분의 확대도,
도4b는 도4a의 평면도,
도5a은 도3의 직접 지지 구간(Ad)에서의 거더 세그먼트를 교축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5b는 도5a의 거더 세그먼트의 평면도,
도5c는 도5a의 거더 세그먼트의 정면도,
도6은 도3의 현수 지지 구간(As)에서의 'B'부분의 확대도,
도7은 도3의 현수 지지 구간(As)에서의 거더 세그먼트를 교축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도3의 천이 구간(At)에서의 'C'부분의 확대도,
도9a는 도8의 'C1'에서의 거더 세그먼트의 연장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9b는 도8의 'C2'에서의 거더 세그먼트의 연장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9c는 도8의 'C3'에서의 거더 세그먼트의 연장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9d는 도8의 'C4'에서의 거더 세그먼트의 연장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도3의 주탑에서의 'E'부분의 확대도,
도11a 내지 도11g는 도3의 장지간의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의 시공 순서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00: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 교량 110: 주케이블
110: 보조 케이블 130: 케이블 거더
130m: 거더 세그먼트 132: 연장 부재
132n: 연결 부재 132z: 수용 부재
132c: 수용 공간 133: 보강 프레임
138: 세그먼트 발판 140: 주탑
Claims (16)
- 일측 교대와 타측 교대의 사이에 설치된 주탑과;
상기 일측 교대로부터 주탑을 경유하여 상기 타측 교대로 연결되는 주케이블과;
세그먼트 발판과, 상기 세그먼트 발판을 지지하는 세그먼트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주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일측 교대로부터 상기 주탑까지 연속 배치되어, 상기 세그먼트 발판이 연속 배열되어 보행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거더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더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블 거더는,
상기 세그먼트 발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보행로의 양쪽에 상기 주케이블로부터 연결된 행어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주탑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에 걸쳐, 상기 행어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거더 세그먼트가 지지되는 현수 지지 구간과;
상기 세그먼트 발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보행로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 부재에 형성된 제1수용부를 상기 주케이블이 관통하여, 상기 현수 지지 구간과의 경계로부터 상기 일측 교대와 상기 타측 교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르는 길이에 걸쳐, 상기 주케이블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직접 지지 구간을;
포함하여 구획되고, 상기 직접 지지 구간에서의 상기 주케이블은 상기 세그먼트 발판의 양측에서 각각 분산된 형태로 상기 제1수용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현수 지지 구간에서의 상기 주케이블은 세그먼트 발판의 양측 상부에서 모여진 다발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세그먼트의 하부에 형성된 제2수용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거더 세그먼트를 일부 지지하는 보조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프레임은,
상기 세그먼트 발판이 지지되는 격자 형태의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행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상기 연장 부재와;
상기 수평 프레임과 연결되어 하부에 폐곡선을 형성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보강 프레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U자형 볼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 삭제
-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지지 구간에 인접한 상기 직접 지지 구간에는, 상기 세그먼트 발판의 양측에 분산 배치된 상기 주케이블이 모여진 다발 형태로 변화하는 천이 구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구간의 제1구간에 배열되는 상기 거더 세그먼트는,
상기 연장 부재에 상향 경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경계에 접근할 수록 상기 제1수용부의 높이를, 상기 상향 경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연장 부재를 구비한 세그먼트 거더의 상기 제1수용부의 높이에 비하여, 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에 비하여 상기 경계에 보다 가까운 상기 천이 구간의 제2구간에 배열되는 상기 거더 세그먼트는,
상기 주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와 상기 연장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경계에 접근할 수록 상기 수용 부재의 높이를 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현수 지지 구간과의 경계에 접근할 수록 점점 작은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교대로부터, 상기 직접 지지 구간과 상기 현수 지지 구간의 경계로부터 상기 천이 구간만큼 상기 일측 교대를 향하여 이격된 위치까지, 상기 직접 지지 구간의 보행로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지지 구간에서는 상기 주탑을 향하여 상기 보행로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 일측 교대와 타측 교대를 연결하는 케이블 보도교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일측 교대와 상기 타측 교대의 사이에 주탑을 설치하는 주탑 설치 단계와;
상기 일측 교대와 상기 타측 교대에 단부 지지대를 설치하는 지지대 설치단계와;
상기 주탑을 경유하여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도록 주케이블을 설치하는 주케이블 설치단계와;
상기 주탑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현수 지지 구간에 행어 케이블을 상기 주케이블에 연결 설치하는 행어케이블 설치단계와;
세그먼트 발판과, 상기 세그먼트 발판을 지지하는 세그먼트 프레임을 구비한 거더 세그먼트를 상기 주케이블과 상기 행어 케이블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지지되도록 연속 배치되게 설치한 케이블 거더를 설치하는 거더 설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더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는 보행로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 부재에 상기 주케이블로부터 연결된 행어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행어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거더 세그먼트가 지지되는 현수 지지 구간이 상기 주탑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구간까지의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거더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보행로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 부재에 형성된 제1수용부를 상기 주케이블이 관통하여, 상기 주케이블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직접 지지 구간이 상기 현수 지지 구간과의 경계로부터 상기 일측 단부 및 상기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르는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의 시공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탑의 상부에 중앙 삭도 타워를 설치하고, 상기 일측 교대와 상기 타측 교대에 단부 삭도 타워를 설치하고, 상기 중앙 삭도 타워를 경유하도록 상기 단부 삭도 타워를 연결하는 삭도 케이블을 설치하는 삭도 케이블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삭도 케이블을 따라 캐리어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주케이블이 상기 주탑의 새들을 통과하는 형태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의 시공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탑의 상부에 중앙 삭도 타워를 설치하고, 상기 일측 교대와 상기 타측 교대에 단부 삭도 타워를 설치하고, 상기 중앙 삭도 타워를 경유하도록 상기 단부 삭도 타워를 연결하는 삭도 케이블을 설치하는 삭도 케이블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삭도 케이블을 따라 작업 대차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주케이블에 상기 행어 케이블을 연결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의 시공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지지 구간에서의 상기 거더 설치단계는,
상기 거더 세그먼트를 상기 행어 케이블과 연결하여 설치하고, 앞서 설치된 거더 세그먼트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상기 주탑으로부터 상기 일측 교대를 향하여 설치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의 시공 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주탑의 상부에 중앙 삭도 타워를 설치하고, 상기 일측 교대와 상기 타측 교대에 단부 삭도 타워를 설치하고, 상기 중앙 삭도 타워를 경유하도록 상기 단부 삭도 타워를 연결하는 삭도 케이블을 설치하는 삭도 케이블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접 지지 구간에서의 상기 거더 설치단계는, 상기 현수 지지 구간에서의 상기 거더 세그먼트의 설치에 비하여 더 늦게 행해지고;
상기 삭도 케이블에 설치된 캐리어로 상기 거더 세그먼트를 상기 일측 교대로부터 상기 주탑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현수 지지 구간과의 상기 경계에서부터 상기 일측 교대를 향하여 설치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4108A KR102542385B1 (ko) | 2022-02-24 | 2022-02-24 |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및 그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4108A KR102542385B1 (ko) | 2022-02-24 | 2022-02-24 |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및 그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2385B1 true KR102542385B1 (ko) | 2023-06-13 |
Family
ID=8676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4108A Active KR102542385B1 (ko) | 2022-02-24 | 2022-02-24 |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및 그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238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5829B1 (ko) | 2023-09-04 | 2024-08-16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케이블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2982B1 (ko) * | 2019-12-19 | 2021-03-29 |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 트러스 구조를 갖는 내풍향상형 장지간 케이블 보도 현수교 |
KR102323751B1 (ko) * | 2021-05-13 | 2021-11-08 | 임영삼 | 형하공간 확보를 위한 주탑부 경사로를 구비하는 해상 현수인도교 |
-
2022
- 2022-02-24 KR KR1020220024108A patent/KR10254238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2982B1 (ko) * | 2019-12-19 | 2021-03-29 |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 트러스 구조를 갖는 내풍향상형 장지간 케이블 보도 현수교 |
KR102323751B1 (ko) * | 2021-05-13 | 2021-11-08 | 임영삼 | 형하공간 확보를 위한 주탑부 경사로를 구비하는 해상 현수인도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5829B1 (ko) | 2023-09-04 | 2024-08-16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케이블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235285B (zh) | 一种大跨度铁路钢筋混凝土拱桥悬臂浇筑系统及施工方法 | |
CN108374347A (zh) | 一种高速铁路大跨度提篮拱桥钢拱肋扣挂系统施工方法 | |
CN112342917A (zh) | 一种大跨度系杆拱桥先梁顶推后拱提升的组合施工工法 | |
Mazzacane et al. | MUCEM: The builder’s perspective | |
CN106012872B (zh) | 连续刚构桥的无背索斜拉加固体系及施工方法 | |
CN109750600B (zh) | 一种不对称缆索吊机的施工方法 | |
CN105133484B (zh) | 一种部分地锚高低塔斜拉桥结构 | |
KR102542385B1 (ko) |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및 그 시공 방법 | |
CN109972496A (zh) | 圆形斜拉桥结构 | |
JP2004353169A (ja) | 橋梁及びその架設方法 | |
CN205329550U (zh) | 悬索桥猫道系统 | |
CN113430908A (zh) | 一种背索式部分双层悬带拱桥及其施工方法 | |
KR102297365B1 (ko) | 유희시설을 구비한 사장교의 시공방법 | |
CN118127938A (zh) | 跨越河道的先梁后拱、原位组拼的钢结构主桥施工方法 | |
CN211079873U (zh) | 一种主道和辅道结合的人行天桥 | |
CN108330811A (zh) | 一种非对称装配式钢斜拉桥及架设方法 | |
CN114016373A (zh) | 一种山坡锚固式空间缆索体系的人行悬索桥 | |
KR102633919B1 (ko) |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 |
CN113430909A (zh) | 拱形排架悬吊桥梁结构 | |
CN217266884U (zh) | 塔锚墩一体人行悬索桥 | |
KR20240137426A (ko) |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및 그 시공 방법 | |
CN112523097A (zh) | 大跨度架桥龙门吊及其施工方法 | |
CN114250713B (zh) | 一种永临结合的山区上承式拱桥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2232680B1 (ko) | 체험시설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 |
KR102313992B1 (ko) |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