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567B1 - Lock Type Catheter Fixation Device - Google Patents
Lock Type Catheter Fix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0567B1 KR102540567B1 KR1020220070477A KR20220070477A KR102540567B1 KR 102540567 B1 KR102540567 B1 KR 102540567B1 KR 1020220070477 A KR1020220070477 A KR 1020220070477A KR 20220070477 A KR20220070477 A KR 20220070477A KR 102540567 B1 KR102540567 B1 KR 1025405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band
- catheter
- lock
- fixing 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6717 Fistul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02 di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90 fistula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226 Arteriovenous fistul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31 haemodi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22 hemodi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0 peritone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81 pleur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0 scar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clip or clamp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 A61M2025/02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where the straps are releasably secured, e.g. by hook and loop-type fasten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고, 고정부의 구조를 통해 고정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카테터를 1차로 고정하고, 고정부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며 감싸는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를 통해 2차로 고정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카테터의 고정력을 극대화하며 고정할 수 있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s convenient to use, primarily fixes a catheter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pressurizes the fixing part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It relates to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capable of rapidly and stably maximizing the fixing force of a catheter by fixing it secondarily through a first band portion and a second band portion that surround it.
일반적으로 카테터(Catheter)는 환자의 신체 일부분에 삽입되어 체강(늑막강, 복막강), 소화관, 방광 등의 내용액의 배출을 측정 또는 혈액 투석 및 약물 주입을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튜브와 같은 배액 장치이다. 이러한 카테터는 혈액의 투석을 목적으로 하는 A-V Fistula(Ateriovenous Fistula) 동정맥루, 정맥관, 복막 투석 카테터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된다. In general, a catheter is inserted into a part of a patient's body to measure the discharge of internal fluids from body cavities (pleural cavity, peritoneal cavity), digestive tract, bladder, etc., or a drainage device such as a medical tube used for hemodialysis and drug infusion. am. These catheters are variously classified into A-V Fistula (Ateriovenous Fistula) arteriovenous fistulas, venous tubes, peritoneal dialysis catheters, etc. for the purpose of dialysis of blood.
종래에는 환자의 신체 일부에 삽입된 카테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카테터의 여러 부위에 반창고를 부착하여 카테터를 환자의 신체에 고정하였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fix the catheter inserted into a patient's body part, bandages are attached to various parts of the catheter to fix the catheter to the patient's body.
하지만, 원형 단면을 갖는 카테터는 반창고를 이용하는 고정하더라도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 위치에서 흔들림이 발생하고, 반창고가 피부에서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even if the catheter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is fixed using a bandage, problems such as shaking in the fixed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tient and the bandage falling off the skin occur.
이에 따라,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카테터가 신체로부터 이탈되거나, 움직임에 의해 해당 부위에 상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창고를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피부가 민감한 환자의 경우 잦은 반창고 교체로 인해 피부에 상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of the patient is separated from the body or a wound is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part due to movement. In order to prevent this, when a bandage is periodically replaced, or in the case of a patient whose skin is sensitive, problems such as scarring occur on the skin due to frequent replacement of the bandage.
또한, 카테터 외벽에 끈적한 테이프의 잔해가 남아 잠재적인 감염원의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remnants of the sticky tape remain on the outer wall of the catheter, which is a potential source of infec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카테터 고정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실시예로, 벨크로 타입의 카테터 고정장치 또는 락타입 고정장치가 개발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catheter fixat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 one embodiment, a Velcro-type catheter fixation device or lock-type fixation device has been developed.
하지만, 벨크로 타입의 경우 튜브 고정이 편리한 반면, 벨크로의 특성 상 튜브 교환 등과 같이 벨크로를 반복 분리 및 체결하는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벨크로에 부착되어 부착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Velcro type, while it is convenient to fix the tube, there is a problem in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attached to the Velcro and the adhesive force is reduced when the Velcro is repeatedly separated and fastened, such as exchanging the tube due to the nature of the Velcro.
또한, 락타입 고정장치의 경우 보다 강력한 고정을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대를 사용하여 고정력은 향상되지만, 튜브를 고정하는 방식에 어려움이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로 인하여 환자의 착용감이 감소하여 불편을 호소하고, 다양한 직경의 카테터의 호환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ock-type fixation device, the fixation force is improved by using a fixation table made of plastic for stronger fixation, but there is a difficulty in fixing the tube, and the plastic material reduces the patient's wearing comfort, complaining of inconvenience, There is a problem that compatibility of catheters of various diameters is not easy.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고정부의 구조를 통해 고정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카테터를 1차로 고정하고, 고정부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며 감싸는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를 통해 2차로 고정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카테터의 고정력을 극대화하며 고정할 수 있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is convenient to use, and the first band unit primarily fixes the catheter inserted into the fixing unit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fixing unit, pressurizes the fixing unit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wraps it. And it aims to provide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and fixing the fixing force of the catheter quickly and stably by fixing it secondarily through the second band por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는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카테터가 삽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절개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감싸는 제1밴드부 및 상기 제1밴드부와 대향되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밴드부와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밴드부와 함께 상기 고정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2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의 길이의 합은 상기 고정부의 외경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a hollow inside, a fixing part with one side cut so that the catheter can be inserted,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to protrude the fixing part A first band part surrounding the first band part and a second band part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opposite to the first band part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irst band part and wrapping and fixing the fixing part together with the first band part. Including,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band portion and the second band portion is form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outer diameter length of the fixing portion.
이때, 상기 고정부,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the first band part and the second band part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또한,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카테터의 테두리를 가압하기 위한 제1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an edge of the catheter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또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중심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rotrusion may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fixing part.
또한, 상기 제1밴드부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상기 제1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밴드부의 중심 일측에는 상기 제1밴드부가 관통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protrude from at least on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band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part, and the first band part penetrates through the central one side of the second band part to form the fixing protrusion. At least one fixing hole that can be fixed by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제1밴드부가 상기 고정부를 감싸는 상기 제1밴드부의 일면에는 상기 제1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절개부에 삽입 또는 절개부를 폐쇄하여 상기 카테터를 고정하는 제2가압돌기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first band par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nd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part to surround the fixing part, and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of the fixing part or closes the incision to open the catheter. A second pressing protrusion for fixing may be formed to protrude further.
또한, 상기 고정공은 상기 제2가압돌기가 형성된 상기 제1밴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T'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hole may be formed in a 'T' shape so that the first band portion in which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는 제1접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adhesive surfac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또한, 상기 고정부 및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 배치되고, 일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되는 제2접착면이 형성되는 접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pad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user's skin and having a second adhesive surface adhered to the user's skin on one surface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락타입 구조를 적용하여, 고정부에 삽입되어 1차 고정되고, 고정부를 가압하여 감싸는 밴드부를 통해 2차 고정되어 카테터의 고정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by applying a lock-type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fixing force of the catheter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and firstly fixed, and then secondarily fixed through the band part surrounding the fixing part by pressing the fixing part.
둘째, 고정부 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가압돌기 또는 가압부재를 통해 카테터의 직경과 무관하게 다양한 직경의 카테터를 적용하여도 안정적으로 카테터의 고정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maximizing the fixing force of the catheter even if catheters of various diameters are applied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catheter through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or the pressing member protruding inside the fixing part.
셋째, 고정부를 감싸는 밴드부가 고정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카테터를 보다 안정적이고 강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atheter can be fixed more stably and strongly by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surrounding the fixing part.
넷째, 밴드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가압돌기가 고정부의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어 카테터의 상, 하 이동의 움직임을 억제하거나, 제2가압돌기를 통해 절개부를 폐쇄하여 안정적으로 카테터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urth, a second pressure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and part is inserted through the incision of the fixing part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up and down, or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catheter by closing the incision through the second pressure protrusion. There are possible effects.
다섯째, 고정부의 일측에 절개된 절개부를 형성하여 카테터의 결합이 용이하고, 밴드부의 체결방식 역시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fth, by forming a cutout on one side of the fixing unit, the coupling of the catheter is easy, and the fastening method of the band unit is also easy, so that the user can use it conveniently.
여섯째, 전반적인 재질을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제작하여 환자가 장시간 사용하여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Sixth, the overall material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 so that the patient can use it conveniently without feeling uncomfortable even after using it for a long time.
일곱째,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카테터를 반복 교체하더라도 고정력이 감소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카테터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잇다. Seventh, since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xing force is not reduced even when the catheter is repeatedly replaced, and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maintaining the fixing force of the catheter.
여덟째, 체결 뿐만 아니라 카테터 교체 등의 이유로 카테터를 분리하는 경우 소정의 힘으로 밴드부를 당겨주는 동작만으로 밴드부가 분리되어 카테터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Eighth, when the catheter is separated for reasons such as fastening as well as catheter replacement, the band unit is separated only by pulling the band unit with a predetermined force, thereby facilitating catheter replacem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접착패드를 제외한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착패드를 제외한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에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가 카테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에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가 카테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가 카테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가 카테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excluding an adhesive p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excluding an adhesive p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theter is inserted into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pressurizes and fixes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theter is inserted into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pressurizes and fixes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pressurizes and fixes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3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state in which 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pressurizes and fixes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s used herei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lock-type catheter fix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접착패드를 제외한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착패드를 제외한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excluding an adhesive p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side view of 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except for the adhesive p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FIG. 6 is a plan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of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10)는 의료용 튜브 또는 카테터(1000) 등의 배액관(이하, '카테터'로 통일하여 명명함)을 흔들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피부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 제1밴드부(200), 제2밴드부(300) 및 접착패드(40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ck-type
고정부(100)는 삽입되는 의료용 튜브 또는 카테터(1000) 등의 배액관을 고정하여 흔들림을 억제하여 배치위치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100)는 카테터(10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부(100)는 카테터(10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1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되고, 상면에 절개부(130)가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면 외에 측면에 절개부(130)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고정부(100)의 재질은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The fixing
또한, 절개부(130)를 통해 삽입되는 다양한 직경의 카테터(1000)를 보다 강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100)의 내주면 일측에는 제1가압돌기(1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압돌기(110)는 중공으로 형성된 고정부(100)의 내주면 일측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카테터(1000)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카테터(1000)의 움직임을 보다 강하게 억제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more strongly and stably fix the
제1실시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돌기(110)는 고정부(100)의 내주면 일측에 고정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기둥 형상,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가압돌기(110)로 인해 카테터(10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테터(10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동시에 카테터(1000)의 직경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의 내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호 형상 단면을 갖도록 제1가압돌기(110)가 돌출 형성되고, 돌출 형성된 제1가압돌기(110)의 가동범위를 확장하기 위하여 제1가압돌기(110)와 대응되는 고정부(100)의 내주면 일측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압돌기(110)은 홈이 결합되어 중공인 기둥 형상으로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제1가압돌기(110)가 고정부(100)의 내측 양쪽 측면, 바람직하게는 측면 중심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고정부(100)의 절개부(130)와 대향되는 바닥면에 추가적으로 제1가압돌기(1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더 많은 수의 제1가압돌기(1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s a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3, at least one first
제2실시에에 따른 제1가압돌기(11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달리 고정부(100)의 내부로 삽입된 카테터(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얇은 막대 형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가압돌기(110)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복수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복수 구비되는 경우에는 절개부(130)의 중공부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1가압돌기(110)는 가압하는 카테터(1000)의 외주면을 손상시키거나,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테터(10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As shown in FIGS. 4 to 7 , the first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서 고정부(100)의 내주면에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같은 제1가압돌기(110)가 돌출 형성되지 않고, 고정부(100)의 내주면을 전반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스펀지 등과 같은 가압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usage mode, the first
고정부(10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절개부(130)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되는 타측 외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1접착면(12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접착면(120)이라 명명하지만, 고정부(100)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층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00)를 사용자의 피부 또는 접착패드(400)의 일측에 접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접착면(120)에는 이형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임의로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접착면(120)은 사용양태에 따라 형성되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 고정부(100)는 후술하는 접착패드(400)의 일측에 접착패드(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 first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는 고정부(100)의 외주면 일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 형성된 부위로 고정부(100)의 외주면을 감싸 상호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부(100)를 소정의 힘으로 가압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때,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는 원활하게 고정부(100)를 감쌀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이 있는 탄성재질,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는 고정부(100)의 일측에 고정부(10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고정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는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 각각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제1밴드부(200)는 고정부(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절개부(130)가 형성된 일면과 인접한 측면의 일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절개부(130)가 형성된 일면과 인접한 일측 및 절개부(130)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1밴드부(200)의 길이는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적어도 절개부(130)가 형성된 일면을 충분히 감쌀 수 있는 길이,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하여 고정부(100)의 외주면 직경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제1밴드부(200)의 폭은 고정부(100)의 측면부 폭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제2밴드부(300)에 형성되는 결합공을 용이하게 관통하기 위하여 제1밴드부(200)의 종단부는 종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웨지(Wedge)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1밴드부(20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 바람직하게는 양측면에는 제2밴드부(300)의 결합공을 통과 후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돌기(21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기(21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의 타면은 제1밴드부(200)의 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즉,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밴드부(300)의 관통공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공(310)을 관통한 후에는 수직면이 관통공에 걸릴 수 있도록 관통공의 폭보다 양측 수직면의 종단 상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The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밴드부(200)의 상면, 즉, 제1밴드부(200)가 고정부(100)를 감싸는 경우 고정부(100)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고정부(100)를 감싸는 경우 고정부(100)의 절개부(130)에 삽입되어 고정부(100)의 제1가압돌기(110)와 함께 카테터(1000)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카테터(1000)가 절개부(130)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2가압돌기(220)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2가압돌기(220)의 돌출 길이는 절개부(130)의 높이, 즉, 절개부(130)가 형성되는 고정부(100)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2가압돌기(220)는 카테터(1000)의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1밴드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실시예에 대한 도 4 내지 도 7에만 제2가압돌기(2200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예를 표시하기 위한 것일 뿐,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밴드부(200)에도 제2가압돌기(2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to 7, the upper surface of the
제2밴드부(300)는 제1밴드부(200)와 대향되는 고정부(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1밴드부(200)와 함께 고정부(100)를 감싸고, 제1밴드부(200)와 결합되어 고정부(100)를 감싼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제1밴드부(200)의 구성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때, 제2밴드부(300)의 폭은 제1밴드부(200)가 관통해야 하기 때문에 제1밴드부(20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The
이때, 제2밴드부(300)의 중심 일측에는 제1밴드부(200)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고정공(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공(310)은 제1밴드부(200)의 종단면 형상에 따라 그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밴드부(200)의 종단면은 얇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공(310) 역시 이와 대응되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제1밴드부(200)의 종단면은 제2가압돌기(220)가 돌출 형성됨에 고정공(310) 역시 제2가압돌기(220)가 돌출 형성되는 단면과 대응되도록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고정공(310)의 폭은 관통된 제1밴드부(200)의 고정돌기(210)가 걸릴 수 있도록 제1밴드부(20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210)의 가장 긴 부분 보다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도록 한다. 고정공(310)의 폭이 제1밴드부(20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더라도,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 압력 이상의 힘으로 제1밴드부(200)를 삽입하는 경우에 제1밴드부(200)는 제2밴드부(300)의 관통공을 원활하게 관통할 수 있으며, 관통 후 고정돌기(210)의 수직면이 관통공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노출되기 때문에 기준 압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제1밴드부(200)가 제2밴드부(30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고정공(310)은 하나만 형성될 수 있으나, 카테터(1000)의 직경에 따라 카테터(1000)를 고정하기 위한 최적의 체결위치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제2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ixing
접착패드(400)는 고정부(100)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부(100)의 배치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접착패드(400)는 고정부(1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일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제2접착면(41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패드(400)가 부착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접착면(4100)이라 명명하지만, 접착패드(400)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층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때, 제2접착면(410)에는 이형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접착패드(400)가 임의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접착패드(400)를 사각 형상의 패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 접착패드(40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패드(400)는 고정부(1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정부(100)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부착되는 것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접착패드(400)의 재질은 고정부(100)의 제1접착면(120)이 접착 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피부에 장시간 접촉되어도 피부질환을 유발하지 않으며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The
전술한 구성을 갖는 락타입 카테터 고장장치(10)는 일실시예로 하나의 고정부(1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의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하나의 고정부(100)의 양측에 각각 두 개 이상의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가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the lock-type
또한, 하나의 접착패드(400)에 하나의 고정부(100)가 부착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 및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양태 및 접착패드(400)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따라 하나의 접착패드(400)에 복수의 고정부(100)가 부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In addition, although one fixing
또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10)는 카테터(100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카테터(1000)와 대면하는 적어도 일측의 표면에 광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type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용양태Usage mode of lock-type catheter fixation device
전술한 구성을 갖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10)의 사용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hen the usage mode of the lock-type
먼저, 카테터(1000)를 고정할 위치와 대응되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패드(400)를 부착한다. 이를 위해, 접착패드(400)의 제2접착면(410)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하고, 제2접착면(410)이 사용자의 피부를 향하도록 접착패드(400)를 부착한다. 이때, 부착패드는 고정부(1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체의 굴곡, 주름 등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First,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에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가 카테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에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고정부(100)를 접착패드(400)의 상면 일측에 부착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100)의 제1접착면(120)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하고, 제1접착면(120)이 접착패드(400)의 상면과 대면하도록 하여 부착한다. 이때, 고정부(100)의 부착은 도 8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1000)의 배치 위치와 고정부(100)의 절개부(130)가 대응되도록 부착한다. 접착패드(400)의 상면은 사용자의 피부와 같이 주름이 없는 매끈한 표면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부착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인 부착이 가능하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urizing and fixing the catheter.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theter is inserted into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xt, the fixing
물론,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접착패드(400)를 부착하지 않고, 고정부(100)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접착면(120)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충분한 실험을 통해 안정적으로 피부에 부착이 가능하지만, 환자의 상태, 움직임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보다 안정적인 부착을 위하여 접착패드(400)를 활용하는 것일 뿐, 접착패드(400)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 고정부(100)의 일면이 접착패드(4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접착패드(400)의 부착만으로 고정부(100)의 배치가 완료될 수도 있다. Of course, depending on the usage mode, the fixing
다음으로, 도 8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의 절개부(130)를 통해 카테터(1000)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카테터(1000)를 고정부(100)의 내부로 삽입하는 공정만으로도 카테터(1000) 또는 환자의 큰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카테터(1000)는 고정부(10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더욱이 고정부(100) 내부의 제1가압돌기(110)가 카테터(1000)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카테터(1000)를 고정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8 or 10 ,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가 카테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가 고정부(100)를 감싸도록 체결하면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가 고정부(100)의 외측에서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고정부(100)의절개부(130)가 벌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카테터(1000)를 고정할 수 있다.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의 체결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pressurizes and fixes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xt, when the
먼저, 제1밴드부(200)를 소정의 힘으로 당겨 고정부(100)의 외주면을 감싼다. Fir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이때, 제1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10)인 경우에는 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가압돌기(110)가 카테터(1000)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카테터(100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휘어지며 카테터(1000)를 가압한다. 이때, 제1가압돌기(110)가 형성된 일측과 대응되는 고정부(100)에는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홈 부분이 함께 구부러지며 카테터(1000)를 가압하더라도 카테터(1000)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카테터(1000)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압돌기(110)는 고정부(100)의 내부 중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양측 벽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테터(1000)를 하방으로 가압지지하기 때문에 한 쌍의 제1가압돌기(110) 및 고정부(100)의 내부 바닥면의 3부위에서 카테터(1000)를 가압하기 때문에 카테터(1000)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부(10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부(100)의 절개부(130)가 형성된 양단 역시 후술하는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가 감싸는 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휘어지며 카테터(1000)의 상면을 가압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lock-type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가 카테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가 카테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urizes and fixes the catheter, and FIG. 13 is a lock-type catheter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the catheter. It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state of being fixed by
만약, 제2실시에에 따른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정부(100)의 내측으로 복수 돌출 형성되는 얇은 막대 형상의 제1가압돌기(110)가 카테터(1000)의 외주면을 따라 휘어지면서 카테터(1000)를 가압 고정한다. 이때, 제1가압돌기(110)는 고정부(100)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카테터(1000)를 고정부(100)의 중심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If, in the case of using the lock-type
또한, 제2실시예와 같이, 제1밴드부(200)에 제2가압돌기(220)가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부(100)의 중공부 단면적, 제1가압돌기(110)의 돌출 길이, 카테터(1000)의 직경 등에 따라 제1밴드부(200)에 구비되는 제2가압돌기(22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의 절개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절개부(130)에 삽입되어 카테터(1000)를 상부에서 지지하여 카테터(1000)의 상, 하 움직임의 억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사용양태로, 제1밴드부(200)에 구비되는 제2가압돌기(220)가 고정부(100)의 절개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지 않으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압돌기(220)가 구부러지며 고정부(100)의 절개부(130)를 폐쇄하고, 구부러진 제2가압돌기(220)가 절개부(130)의 종단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카테터(1000)의 상, 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second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밴드부(200)가 고정부(100)를 감싸도록 당겨진 상태에서 제2밴드부(300)를 제1밴드부(200) 방향으로 소정의 힘으로 당겨주며 제2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고정공(310) 중 최적의 위치를 선택하여 제1밴드부(200)와 제2밴드부(300)를 체결한다. 이때, 제1밴드부(200)의 종단은 종단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밴드부(200)의 종단 및 제2밴드부(300)의 고정공(310)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제1밴드부(200)를 고정공(310)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으며, 종단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중심이 맞춰지며 체결된다. 또한, 고정공(310)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밴드부(200)의 제2가압돌기(220)에 의해 걸리지 않고 제1밴드부(200)가 고정공(310)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1밴드부(200)의 고정돌기(210)의 최대폭이 고정공(31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지만,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체결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어 고정돌기(210)가 제2밴드부(300)의 고정공(310)에 큰 어려움 없이 삽입 가능하다. 하지만, 제1밴드부(200)의 고정돌기(210)의 최대폭이 고정공(31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돌기(210)의 수직면이 고정공(310)에 걸려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분리를 위하여 일정 압력 이상의 힘으로 제1밴드부(200)를 당기지 않으면 단순한 환자 또는 카테터(1000)의 움직임 만으로는 제1밴드부(200)가 분리되지 않아서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전술한 과정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밴드부(200)를 통해 고정부(100)를 감싼 후 제2밴드부(300)를 통해 고정부(100)를 감싸 고정하는 순서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의 체결 순서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즉, 사용양태에 따라 제2밴드부(300)를 먼저 감싸거나,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를 동시에 당겨서 체결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the above proces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xing
또한, 제1밴드부(200) 및 제2밴드부(300)의 체결은 일실시예로 제1밴드부(200)가 제2밴드부(300)의 고정공(3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양한 체결방법을 통해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
100: 고정부
110: 제1가압돌기
120: 제1접착면
130: 절개부
200: 제1밴드부
210: 고정돌기
220: 제2가압돌기
300: 제2밴드부
310: 고정공
400: 접착패드
410: 제2접착면
1000: 카테터10: lock type catheter fixing device
100: fixing part
110: first pressure protrusion
120: first adhesive surface
130: incision
200: first band part
210: fixed protrusion
220: second pressure protrusion
300: second band unit
310: fixed hole
400: adhesive pad
410: second adhesive surface
1000: catheter
Claims (9)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감싸는 제1밴드부;
상기 제1밴드부와 대향되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밴드부와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밴드부와 함께 상기 고정부를 감싸 2차적으로 고정하는 제2밴드부; 및
상기 2차 고정 전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의 탄성에 의해 1차로 고정되는 상기 카테터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 일측에 상기 카테터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가압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의 길이의 합은 상기 고정부의 외경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A fixing portion made of a hollow interior, one side of which is cut so that a catheter can be inserted, 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 first band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art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surround the fixing part;
a second band unit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fixing unit facing the first band uni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astened with the first band unit to surround and secondarily fix the fixing unit together with the first band unit; and
In order to more stably fix the catheter, which is primarily fix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xing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before the secondary fixing,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theter to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protruding inwardly. 1 pressure protrusion;
including,
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wherein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part.
상기 고정부, 제1밴드부 및 제2밴드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the first band part and the second band part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제1가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중심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상기 제1밴드부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상기 제1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밴드부의 중심 일측에는 상기 제1밴드부가 관통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are protrudingly form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band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part,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in which at least one fixing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band is passed through and at least one fixing hole that can be fixed by th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second band portion.
상기 제1밴드부가 상기 고정부를 감싸는 상기 제1밴드부의 일면에는 상기 제1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절개부에 삽입 또는 절개부를 폐쇄하여 상기 카테터를 고정하는 제2가압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band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and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part, and at least one is provid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band part to fix the catheter by inserting it into the incision or closing the incision of the fixing part.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in which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to protrude.
상기 고정공은 상기 제2가압돌기가 형성된 상기 제1밴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T'자형으로 형성되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6,
The fixing hole is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formed in a 'T' shape so that the first band portion formed with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는 제1접착면이 형성되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in which a first adhesive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상기 고정부 및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 배치되고, 일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되는 제2접착면이 형성되는 접착패드를 더 포함하는 락타입 카테터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A lock-type catheter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pad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user's skin and having a second adhesive surface adhered to the user's skin on one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0477A KR102540567B1 (en) | 2022-06-10 | 2022-06-10 | Lock Type Catheter Fix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0477A KR102540567B1 (en) | 2022-06-10 | 2022-06-10 | Lock Type Catheter Fixa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0567B1 true KR102540567B1 (en) | 2023-06-08 |
Family
ID=8676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0477A Active KR102540567B1 (en) | 2022-06-10 | 2022-06-10 | Lock Type Catheter Fix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0567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43685A1 (en) * | 2002-03-30 | 2005-02-24 | Delia Schinkel-Fleitmann | Device for fixing a tube within a hole in a body tissue layer |
JP2009507533A (en) * | 2005-08-31 | 2009-02-26 | ヴェネテ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Catheter fixation system |
KR20200024574A (en) * | 2018-08-28 | 2020-03-09 | 최성중 | Catheter fixing band and method for fixing catheter using the same |
-
2022
- 2022-06-10 KR KR1020220070477A patent/KR1025405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43685A1 (en) * | 2002-03-30 | 2005-02-24 | Delia Schinkel-Fleitmann | Device for fixing a tube within a hole in a body tissue layer |
JP2009507533A (en) * | 2005-08-31 | 2009-02-26 | ヴェネテ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Catheter fixation system |
KR20200024574A (en) * | 2018-08-28 | 2020-03-09 | 최성중 | Catheter fixing band and method for fixing catheter using the same |
KR102178130B1 (en) | 2018-08-28 | 2020-11-12 | 최성중 | Catheter fixing band and method for fixing catheter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79337B2 (en) | Catheter fixation device | |
US5100395A (en) | Fluid drain for wounds | |
JP4679026B2 (en) | Attachment device such as catheter | |
US4516968A (en) | Catheter shield and method of use | |
JP4094664B2 (en) | Tampon that can be anatomically embedded in the body | |
WO1981001518A1 (en) | Fitting for use in performing a vascular puncture | |
JP2012034821A (en) | Tourniquet | |
JP2000245850A (en) | Catheter connector | |
AU2024203620A1 (en) | Catheter assembly | |
KR20180111187A (en) | Medical fixing clip | |
EP1855754B1 (en) | A device for fixating a tube relative to a skin surface and assembly | |
KR102540567B1 (en) | Lock Type Catheter Fixation Device | |
US10946174B2 (en) | Tube securing device | |
EP3531925A1 (en) | Device for treatment of anal fistula | |
JP2024500448A (en) | Improvement of fixation device | |
KR20210016736A (en) | Catheter Fixing Clip | |
JPH04227274A (en) | Catheter retainer | |
CN219804043U (en) | Subcutaneous negative pressure aspirator | |
KR100858334B1 (en) | Nasal insertion tube fixing member | |
JP3186070U (en) | Hemostatic device | |
CN212593350U (en) | An indwelling needle fixing device | |
KR200354158Y1 (en) | Endotracheal tube clipper | |
CN209270500U (en) | A convenient and easy-to-use infusion needle fixing device | |
CN221470694U (en) | An easily externally fixed thoracic and abdominal interventional drainage tube | |
CN213589478U (en) | Medical surgical drainage tube fix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4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23060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31115 Appeal identifier: 2023100003637 |
|
J121 |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23060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31220 Appeal identifier: 2023100003996 |
|
PJ1201 | Withdrawal of trial |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231220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23100003637 Request date: 20231115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23060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40227 Appeal identifier: 2024100000603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410000060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40227 Effective date: 202408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399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1220 Effective date: 20240829 |
|
PJ1301 | Trial decision |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40227 Decision date: 20240829 Appeal identifier: 2024100000603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24082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31220 Decision date: 20240829 Appeal identifier: 2023100003996 |
|
PJ0202 | Trial for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