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0408B1 - Retensioned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Retensioned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408B1
KR102540408B1 KR1020220109324A KR20220109324A KR102540408B1 KR 102540408 B1 KR102540408 B1 KR 102540408B1 KR 1020220109324 A KR1020220109324 A KR 1020220109324A KR 20220109324 A KR20220109324 A KR 20220109324A KR 102540408 B1 KR102540408 B1 KR 10254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ar
barrel
wedge
phc pile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정생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주)하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하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09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4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40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6Placing by using several means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ensioned PHC pile which increases the shear strength and bending strength of an upper part of a pile, and to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re-tensioned PHC pile comprises: a filler; a mount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filler; a wedge barrel of a pipe shape formed with a thread; a mounting barrel formed with a screw groove; and a wedge installed between a hollow part of the wedge barrel and a PC steel rod.

Description

재긴장 PHC 말뚝 및 그 시공방법{Retensioned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Retensioned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말뚝의 두부정리 과정에서 긴장재 정착부의 제거로 인해 소실되는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를 복원할 수 있는 재긴장 PHC 말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장 큰 전단력과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PHC 말뚝 상단부에 연속적인 나선철선 대신에 단속적인 원형보강철근을 내설하고 말뚝의 두부정리 후에 긴장재의 재긴장을 통해 소실된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를 복원함으로써 말뚝 상단부의 전단강도 및 휨강도를 증대시킨 재긴장 PHC 말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ensioning PHC pile capable of restoring concrete prestress lost due to the removal of the tendon anchorage during the head preparation process of the pil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C that has the largest shear force and bending moment Re-tensioning PHC piles that increase the shear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upper part of the pile by inserting intermittent circular reinforcing bars instead of continuous spiral wire at the top of the pile and restoring the lost concrete prestress through re-tensioning of the tension member after the head of the pile is straightened. It's about how it's built.

PHC 말뚝(Prestress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은 지지력이 크고 경제성이 뛰어나 국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말뚝형식 중 하나이다. PHC pile (Prestress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ile types in Korea because of its high bearing capacity and economic feasibility.

도 1은 전형적인 PHC 말뚝의 구조도이다. 양단에 긴장 정착되는 이형 PC 강봉에 의해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며, PC 강봉에 용접되는 연속적인 나선철선으로 전단강도를 보강한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typical PHC pil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by the deformed PC steel bar tensioned at both ends, and the shear strength is reinforced by the continuous spiral wire welded to the PC steel bar.

도 2a는 지반에 근입시킨 PHC 말뚝을 기초콘크리트와 연결하기 위해 말뚝 상단부의 콘크리트를 제거하여 PC 강봉을 외부로 노출시킨 시공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통상 노출하는 PC 강봉의 길이는 강봉직경(D)의 35배 정도이다. PC 강봉을 외부로 노출하는 과정에서 정착부가 제거되기 때문에 PC 강봉과 콘크리트 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하면서 말뚝 상단부에서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가 소실된다. 이러한 슬립 현상이 발생하는 구간의 길이를 전달길이(transfer length)라고 하는데 통상 50D 정도이다. 프리스트레스가 사라지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천이 되면서 전단강도와 휨강도가 현저히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말뚝의 상단부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휨모멘트가 가장 크기 때문에 이러한 상단부의 성능저하는 PHC 말뚝의 보유 성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게 만든다.Figure 2a shows a construction step in which the PC steel bar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removing the concrete at the top of the pile to connect the PHC pile embedded in the ground with the foundation concrete. The length of the PC steel bar normally exposed is about 35 times the diameter (D) of the steel bar. Since the anchoring part is removed in the process of exposing the PC steel bar to the outside, slip occurs between the PC steel bar and the concrete, and the concrete prestress is lost at the top of the pile. The length of the section where the slip phenomenon occurs is called a transfer length, and is usually about 50D. When the prestress disappears, the transition from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to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ignificantly reduces shear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In general, since the shear force and bending moment acting at the upper end of the pile are the larges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upper end makes it impossible to properly utilize the retention performance of the PHC pile.

도 2b는 등록특허 10-0444555(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의 두부보강 공법)의 도면으로서 말뚝의 두부정리 과정에서 소실된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를 복원하기 위한 PC 강봉의 긴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출된 PC 강봉을 긴장 정착시키기 위해서 정착 쐐기(wedge)를 사용하였는데, 쐐기는 정착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활동(slip)을 동반하기 때문에 PC 강봉을 반복하여 긴장하고 쐐기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정착 활동(anchorage slip)에 의한 긴장력 손실을 상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쐐기의 정착 활동량은 보통 6mm 정도인데 PC 강봉(D=9.2mm)의 총신장량은 전달길이 내 신장량 1.0mm와 노출된 강봉(35D)의 신장량 1.5mm의 합인 2.5mm 정도이기 때문에 여러 번의 재긴장 및 쐐기플레이트 삽입을 통하여 쐐기 활동량을 점차 줄여나가야 하므로 긴장작업이 상당히 번거롭다. 이러한 과정에서 쐐기플레이트 두께 정도의 정착 오차는 피할 수 없는데, 총신장량이 매우 작아서 작은 정착 오차도 영향이 크므로 정밀한 긴장력 도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Figure 2b is a drawing of Registered Patent No. 10-0444555 (head reinforcement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pile), which relates to a method of tensioning PC steel bars for restoring concrete prestress lost in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head of a pile. An anchorage wedge was used to tense the exposed PC steel bar, but since the wedge inevitably accompanies slip during the anchoring process, the PC steel bar was repeatedly tensioned and a wedge plate inserted to fix the anchorage slip ), a method for offsetting the loss of tension force was proposed. However, the anchoring activity of the wedge is usually about 6mm, but the total elongation of the PC steel bar (D=9.2mm) is about 2.5mm, which is the sum of 1.0mm of elongation within the transmission length and 1.5mm of the elongation of the exposed steel bar (35D). And the wedge activity must be gradually reduced through the insertion of the wedge plate, so the tension work is quite cumbersome. In this process, a fixation error of the thickness of the wedge plate is unavoidable, but since the total elongation is very small, even a small fixation error has a large effect, making it virtually impossible to introduce precise tension.

또한, 도 2c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콘크리트를 파쇄하여 PC 강봉을 노출하는 작업은 상당히 거칠어서 일부 PC 강봉에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손상된 PC 강봉을 긴장하면 파단될 수도 있는데 하나라도 파단되면 프리스트레스의 온전한 복원이 불가능해진다. 이밖에 두부보강재가 상부판, 하부판 및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어서 제작비용이 비싸다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the photo of Figure 2c, the work of exposing the PC steel bar by crushing the concrete is quite rough, so it is easy to damage some PC steel bars. If the damaged PC steel bar is strained, it may break. If even one is broken, complete restoration of the prestress becomes im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head reinforcement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and a suppor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expensive.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PHC 말뚝의 두부정리 과정에서 소실되는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의 복원을 위한 PC 강봉의 재긴장 작업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말뚝의 두부정리 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PHC 말뚝 및 그 시공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nd easily perform the re-tensioning work of the PC steel bar for restoring the concrete prestress lost in the process of tidying up the head of the PHC pile, and the work of tidying up the head of the pile can also be easily performed. PHC piles and their construction methods are required.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초콘크리트와의 결합을 위해 노출시킨 PC 강봉을 정착 활동(anchorage slip)에 의한 긴장력 손실 없이 긴장할 수 있는 정착장치와 긴장시스템을 사용하여 재긴장함으로써 말뚝의 두부정리 과정에서 소실되는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를 온전히 복원하고, 말뚝의 두부정리 시에 PC 강봉의 노출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 말뚝 상단부의 전단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재긴장 PHC 말뚝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and uses a fixing device and a tension system that can tension the PC steel bar exposed for bonding with the foundation concrete without loss of tension due to anchorage slip. By re-tensioning, the concrete prestress that is lost during the pile head preparation process is completely restored, and th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shear strength of the upper part of the pile can be increased while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exposure work of the PC steel bar during the pile head preparation process. It is to provide a re-tensioned PHC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s a means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C 강봉과 상기 PC 강봉에 결합하는 전단철근, 상기 PC 강봉과 전단철근을 수용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PHC 말뚝에 있어서,In the PHC pile including the PC steel bar, the shear reinforcing bar coupled to the PC steel bar, and the concrete for accommodating the PC steel bar and the shear reinforcing bar,

상기 전단철근은 상기 PHC 말뚝의 하부 쪽에 배치되는 나선철근과 상부 쪽에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 설치되는 원형철근을 포함하고,The shear reinforcing bar includes a spiral reinforcing bar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HC pile and a plurality of circular reinforcing b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상기 PHC 말뚝이 지반에 근입된 이후에 지반의 상부에 위치한 콘크리트의 일부는 제거되어 상기 PC 강봉이 노출되며,After the PHC pile is driven into the ground, a part of the concrete located on the top of the ground is removed to expose the PC steel bar,

상기 콘크리트 일부가 제거되고 남은 콘크리트의 상단부에 도포되는 채움재;A filler applied to the upper end of the remaining concrete after a portion of the concrete has been removed;

상기 채움재의 상부에 결합하고 강재로 제작되며 상기 PC 강봉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정착판;A fix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lling material, made of steel,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 penetrating the PC steel bar;

상기 PC 강봉의 노출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쐐기 배럴;A pipe-shaped wedge barrel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exposed portion of the PC steel bar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내주면에 상기 쐐기 배럴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한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쐐기 배럴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하는 정착 배럴;a fusing barrel having a screw groove connectable to the thread of the wedge barrel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barrel and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barrel;

상기 쐐기 배럴과 상기 PC 강봉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 배럴의 중공부와 PC 강봉 사이에 설치되는 쐐기;를 포함하며,A wedge installed between the hollow part of the wedge barrel and the PC steel bar to fix the wedge barrel and the PC steel bar; includes,

상기 쐐기에 의해 PC 강봉이 쐐기 배럴에 고정되고 쐐기 배럴과 정착 배럴이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인양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PC 강봉, 쐐기 배럴, 정착 배럴 및 쐐기 조립체를 상기 PC 강봉의 상부 쪽으로 인양하고 상기 정착 배럴을 정착판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PC 강봉에 인장력이 재하된 상태를 유지하되,In a state where the PC steel bar is fixed to the wedge barrel by the wedge and the wedge barrel and the fixing barrel are screwed together, the PC steel bar, the wedge barrel, the fixing barrel and the wedge assembly are lifted to the upper part of the PC steel bar and the fixation The barrel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is loaded on the PC steel bar,

상기 쐐기 배럴과 정착 배럴을 나사 결합했을 때 상기 쐐기 배럴의 상단부는 상기 정착 배럴의 상단부에 비하여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양수단은 상기 쐐기 배럴의 상단부와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 PHC 말뚝을 제공한다When the wedge barrel and the fixing barrel are screwed together, the upper end of the wedge barrel is installed to be exposed upward compar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rel, and the lifting means is screwed with the upper end of the wedge barrel Re-tension PHC,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 stakes

상기 PC 강봉은 상기 PHC 말뚝의 상단부 쪽의 비부착부와 상기 비부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PHC 말뚝의 하단부까지 마련되는 부착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The PC steel rod may include a non-attached portion toward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and an attachment portion provi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non-attached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PHC pile,

상기 PC 강봉은 상기 PHC 말뚝의 상단부 쪽의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아래로부터 일정거리에 걸쳐 형성되는 비부착부와 상기 비부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PHC 말뚝의 하단부까지 마련되는 부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C steel bar may include an attachment portion toward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a non-attachment portion formed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elow the attachment portion, and an attachment portion provi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non-attachment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PHC pile.

상기 비부착부의 하단부는 상기 콘크리트의 상단부 일부를 제거할 때 노출되는 상기 PC 강봉의 하단부에 비하여 낮게 배치되고, 상기 비부착부의 상단부는 노출되는 상기 PC 강봉의 상단부에 비하여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non-adherent portion is dispos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C steel bar exposed when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is removed, and the upper end of the non-adherent portion is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PC steel bar exposed.

상기 인양수단은, 중공부와 램을 포함하는 유압잭; 상기 정착판과 접하면서 상기 유압잭을 지지하는 체어; 일단부는 상기 유압잭의 램에 의해 재하되는 힘을 PC 강봉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 배럴과 나사결합하고 상기 유압잭과 램을 관통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강봉; 상기 램의 단부에 결합하는 강봉정착판; 상기 중공강봉의 타단부를 강봉정착판에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ing means includes a hydraulic jack including a hollow part and a ram; a chair supporting the hydraulic jack while in contact with the anchoring plate; One end is screwed with the wedge barrel to transmit the force loaded by the ram of the hydraulic jack to the PC steel bar, penetrates the hydraulic jack and the ram, and has a threaded hollow steel ba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a steel rod fixing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ram;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xing nut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hollow steel bar to the steel bar fixing plate.

상기 정착 배럴의 외주면의 단면은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A cross sec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arrel is preferably a polygonal shape.

상기 PC 강봉은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는 제1강봉과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강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은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강봉의 단면적이 제2강봉의 단면적에 비해 클 수도 있다.The PC steel bar includes a first steel bar disposed relatively upward and a second steel bar disposed relatively downward, and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steel bar is the second steel bar. may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부착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steel rods are connected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attachment portion.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은 나사식 커플러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고,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may be connected by a threaded coupler,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 사이에는 정착판이 설치되며 제1강봉의 하단부와 제2강봉의 상단부가 각각 상기 정착판에 정착될 수도 있다.A fixing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teel bar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eel bar may be fixed to the fixing plate, respectively.

본 발명은 또한, The present invention also

전술한 PHC 말뚝을 마련하는 마련단계;A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the aforementioned PHC pile;

상기 마련단계에서 마련된 PHC 말뚝 중 PC 강봉, PC 강봉에 결합하되 상기 PHC 말뚝의 하부 쪽에 배치되는 나선철근과 상부쪽에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 설치되는 원형철근을 포함하는 전단철근, 상기 PC 강봉과 전단철근을 수용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PHC 말뚝을 지반에 근입하는 근입단계;Among the PHC piles prepared in the preparation step, PC steel bars, shear bars including spiral bars coupled to the PC steel bars but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HC piles and several circular b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the PC steel bars and shear bars An embedding step of embedding a PHC pile containing concrete into the ground;

상기 근입단계에서 근입된 PHC 말뚝의 노출된 상단부 일부를 제거하여 PC 강봉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정리단계;A cleaning step of exposing a part of the PC steel rod by removing a part of the exposed upper end of the PHC pile inserted in the insertion step;

상기 정리단계 이후에 PHC 말뚝 상단부의 콘크리트 상면에 채움재를 도포하고 채움재의 상부에 상기 정착판을 설치하되 상기 PC 강봉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로 정착판을 설치하는 정착판 설치단계;After the cleaning step, a fixing plate installation step of applying a filling materi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at the top of the PHC pile and installing the fixing plate on top of the filling material, but installing the fixing plate in a state where the PC steel rod penetrates the through hole;

상기 쐐기 배럴과 정착 배럴을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단계;A screw coupling step of screwing the wedge barrel and the fusing barrel together;

상기 쐐기 배럴의 중공부에 상기 PC 강봉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PC 강봉과 중공부 사이에 쐐기를 설치하여 쐐기 배럴과 PC 강봉을 고정하는 고정단계;A fixing step of fixing the wedge barrel and the PC steel bar by installing a wedge between the PC steel bar and the hollow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C steel bar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wedge barrel;

인양수단에 의하여 상기 PC 강봉, 쐐기 배럴, 정착 배럴 및 쐐기를 상기 PC 강봉의 상부쪽으로 인양하여 PC 강봉에 인장력을 재하하고 상기 정착 배럴을 정착판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PC 강봉에 인장력이 재하된 상태를 유지하되, The PC steel bar, wedge barrel, fixing barrel, and wedge are lifted to the upper part of the PC steel bar by the lifting means to load the PC steel bar with tensile force and move the fixing barrel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to load the PC steel bar with tensile force keep,

상기 쐐기 배럴과 정착 배럴을 나사 결합했을 때 상기 쐐기 배럴의 상단부는 상기 정착 배럴의 상단부에 비하여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인양수단은 상기 쐐기 배럴과 나사결합하는 재긴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말뚝 시공방법을 제공한다.and a re-tensioning step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wedge barrel is exposed upward compar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rel when the wedge barrel and the fixing barrel are screwed together, and the lifting means is screwed into the wedge barrel. It provides a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상기 PC 강봉은 상기 PHC 말뚝의 상단부 쪽의 비부착부와 상기 비부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PHC 말뚝의 하단부까지 마련되는 부착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The PC steel rod may include a non-attached portion toward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and an attachment portion provi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non-attached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PHC pile,

상기 PC 강봉은 상기 PHC 말뚝의 상단부 쪽의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아래로부터 일정거리에 걸쳐 형성되는 비부착부와 상기 비부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PHC 말뚝의 하단부까지 마련되는 부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C steel bar may include an attachment portion toward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a non-attachment portion formed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elow the attachment portion, and an attachment portion provi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non-attachment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PHC pile.

상기 비부착부의 하단부는 상기 콘크리트의 상단부 일부를 제거할 때 노출되는 상기 PC 강봉의 하단부에 비하여 낮게 배치되고, 상기 비부착부의 상단부는 노출되는 상기 PC 강봉의 상단부에 비하여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non-adherent portion is dispos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C steel bar exposed when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is removed, and the upper end of the non-adherent portion is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PC steel bar exposed.

상기 인양수단은, 중공부와 램을 포함하는 유압잭; 상기 정착판과 접하면서 상기 유압잭을 지지하는 체어; 일단부는 상기 유압잭의 램에 의해 재하되는 힘을 PC 강봉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 배럴과 나사결합하고 상기 유압잭과 램을 관통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강봉; 상기 램의 단부에 결합하는 강봉정착판; 상기 중공강봉의 타단부를 강봉정착판에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ing means includes a hydraulic jack including a hollow part and a ram; a chair supporting the hydraulic jack while in contact with the anchoring plate; One end is screwed with the wedge barrel to transmit the force loaded by the ram of the hydraulic jack to the PC steel bar, penetrates the hydraulic jack and the ram, and has a threaded hollow steel ba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a steel rod fixing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ram;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xing nut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hollow steel bar to the steel bar fixing plate.

상기 정착 배럴의 외주면의 단면은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A cross sec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arrel is preferably a polygonal shape.

상기 PC 강봉은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는 제1강봉과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강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은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강봉의 단면적이 제2강봉의 단면적에 비해 클 수도 있다.The PC steel bar includes a first steel bar disposed relatively upward and a second steel bar disposed relatively downward, and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steel bar is the second steel bar. may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부착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steel rods are connected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attachment portion.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은 나사식 커플러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고,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may be connected by a threaded coupler,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 사이에는 정착판이 설치되며 제1강봉의 하단부와 제2강봉의 상단부가 각각 상기 정착판에 정착될 수도 있다.A fixing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teel bar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eel bar may be fixed to the fixing plate,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콘크리트와의 결합을 위해 노출시킨 PC 강봉을 정착 활동(anchorage slip)에 의한 긴장력 손실 없이 긴장할 수 있는 정착장치와 긴장시스템을 사용하여 재긴장함으로써 말뚝의 두부정리 과정에서 소실되는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를 온전히 복원하고, 말뚝의 두부정리 시에 PC 강봉의 노출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 말뚝 상단부의 전단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재긴장 PHC 말뚝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C steel bar exposed for bonding with the foundation concrete is re-tensioned using an anchoring device and a tension system capable of tensioning without loss of tension due to anchorage slip, thereby reducing the concrete lost in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head of the pi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strength PHC pile with an improved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o fully restore the pre-stress and increase the shear strength of the upper part of the pile while being able to easily perform the exposure work of the PC steel bar during the head preparation of the pile. there is.

도 1은 종래의 PHC 말뚝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기초콘크리트와의 결합을 위해 PC 강봉을 노출시킨 PHC 말뚝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종래의 PHC 말뚝의 노출된 PC 강봉의 긴장 방법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종래의 PHC 말뚝의 PC 강봉 노출작업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PHC 말뚝의 PC 강봉의 부착부와 비부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나사식 커플러를 이용하여 제1강봉과 제2강봉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정착판을 이용하여 제1강봉과 제2강봉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PHC 말뚝의 전단철근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PHC 말뚝의 쐐기 배럴, 정착 배럴 및 쐐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쐐기 배럴, 정착 배럴 및 쐐기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PHC 말뚝 시공방법의 정리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PC 강봉의 재긴장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인양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PC 강봉에 철근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는 비부착부를 포함하는 PC 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 도입되는 긴장력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b는 제1강봉과 제2강봉과 비부착부를 포함하는 PC 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 도입되는 긴장력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c는 정착판을 이용하여 제1강봉과 제2강봉을 연결하고 비부착부를 포함하는 PC 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 도입되는 긴장력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HC pile structure.
Figure 2a is a view showing a PHC pile with exposed PC steel rods for bonding with foundation concrete.
Figure 2b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tensioning exposed PC steel rods of conventional PHC piles.
Figure 2c is a photograph of the PC steel rod exposure work of the conventional PHC pile.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ttachment and non-attachment of the PC steel bar of the PHC p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 first steel bar and a second steel bar using a threaded coupler.
Figure 4b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 first steel bar and a second steel bar using a fixing plat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ear reinforcement arrangement of the PHC p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wedge barrel, a fixing barrel and a wedge of a PHC p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dge barrel, fixing barrel and wedge shown in Fig. 6a;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step of the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a method of re-tensioning a PC steel bar.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ifting means.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 reinforcing bar to a PC steel bar.
Figure 11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tension force introduced in the case of using a PC steel bar including a non-adhesive portion.
Figure 11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tension force introduced in the case of using a PC steel bar including a first steel bar, a second steel bar, and a non-attached portion.
Figure 11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the tension force introduced in the case of connecting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using a fixing plate and using a PC steel bar including a non-adhesive por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재긴장 PHC 말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tensioned PHC p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PHC 말뚝의 PC 강봉의 부착부와 비부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나사식 커플러를 이용하여 제1강봉과 제2강봉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정착판을 이용하여 제1강봉과 제2강봉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PHC 말뚝의 전단철근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PHC 말뚝의 쐐기 배럴, 정착 배럴 및 쐐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쐐기 배럴, 정착 배럴 및 쐐기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PC 강봉의 재긴장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인양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PC 강봉에 철근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ttachment and non-attachment of the PC steel bar of the PHC p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method for connecting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using a threaded coupler A drawing for explanation, Figure 4b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using a fixing plate, Figure 5 explains the shear reinforcement arrangement of the PHC p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wedge barrel, anchorage barrel and wedge of the PHC p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combination of the wedge barrel, anchorage barrel and wedge shown in Figure 6a 8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re-tension method of the PC steel bar,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ifting means, and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 to the PC steel bar.

본 실시예에 따른 재긴장 PHC 말뚝은 PC 강봉(10), 전단철근(20), 콘크리트(30), 채움재(31), 정착판(32), 쐐기 배럴(40), 정착 배럴(50), 쐐기(60)를 포함한다.The re-tensioned PHC pi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PC steel bar 10, shear reinforcing bar 20, concrete 30, filling material 31, anchoring plate 32, wedge barrel 40, anchoring barrel 50, Includes wedge (60).

PC 강봉(10)이 상기 전단철근(20)과 결합한 상태에서 PC 강봉(10)에 인장력이 도입되고 콘크리트(30)에 수용되어 원심 성형되는 것은 통상의 PHC 말뚝과 동일하지만 PC 강봉(10)이 콘크리트(30)에 부착되는 부분이나 형태, 전단철근(20)의 형태는 차이가 있는데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PC steel bar 10 is combined with the shear reinforcing bar 20,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PC steel bar 10 and it is accommodated in the concrete 30 and centrifugally formed is the same as a conventional PHC pile, but the PC steel bar 10 i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art or shape attached to the concrete 30 and the shape of the shear reinforcing bar 20, which will be described sequentially.

상기 PC 강봉(10)의 상부는 PHC 말뚝이 지반에 근입된 이후에 지반 위쪽으로 노출된 콘크리트(30)의 일부가 제거되면서 노출되는데 도 2a나 도 2b,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upper part of the PC steel bar 10 is exposed as part of the concrete 30 exposed above the ground is removed after the PHC pile is driven into the ground, as shown in FIGS. 2a, 2b, and 7(d). .

상기 PC 강봉(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10a)와 비부착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PC steel bar 10 includes an attachment portion 10a and a non-attachment portion 10b.

상기 부착부(10a)는 콘크리트(30)와 PC 강봉(10)이 직접 접촉하여 PC 강봉(10)과 콘크리트(30)가 부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비부착부(10b)는 PC 강봉(10)에 피복(15)을 씌워 PC 강봉(10)과 콘크리트(30)가 부착하지 않는 부분이다.The attachment part 10a is a part where the concrete 30 and the PC steel bar 10 are in direct contact and the PC steel bar 10 and the concrete 30 are attached, and the non-adhesive portion 10b is the PC steel bar 10 It is a part where the PC steel bar 10 and the concrete 30 are not attached by covering the coating 15 on the.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부착부(10b)는 PHC 말뚝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비부착부(10b)의 하부로부터 PHC 말뚝의 하단부까지는 부착부(10a)가 마련될 수도 있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HC 말뚝의 상단부의 일부와 비부착부의 하부로부터 PHC 말뚝의 하단부까지 부착부(10a)가 마련되어, 부착부(10a) 사이에 비부착부(10b)가 마련될 수도 있다.As shown in (a) of FIG. 3, the non-adhesive portion 10b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and an attachment portion 10a may be provi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non-attached portion 10b to the lower end of the PHC pile. As shown in (b), an attachment portion 10a is provided from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and a lower portion of the non-attachment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PHC pile, and a non-attachment portion 10b is provided between the attachment parts 10a. It could be.

상기 비부착부(10b)의 하단부는 상기 콘크리트(30)의 상단부 일부를 제거할 때 노출되는 PC 강봉(10)의 하단부에 비해서 낮게 배치되고, 비부착부(10b)의 상단부는 노출되는 PC 강봉(10)의 상단부에 비해서 높게 배치된다(C1과 C2사이). 이때 PHC 말뚝의 지반 근입길이 오차를 감안하여 콘크리트(30)의 상단부 일부를 제거하는 두부 정리 후에 PC 강봉(10)의 노출부가 항상 비부착부의 내에 있도록 충분한 여유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non-adhesive portion 10b is dispos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C steel bar 10 exposed when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30 is removed, and the upper end of the non-adhesive portion 10b is exposed to the PC steel bar. It is plac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10) (between C1 and C2).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leave enough margin so that the exposed part of the PC steel bar 10 is always within the non-attached part after the head preparation of removing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30 in consideration of the error in the ground penetration length of the PHC pile.

상기 비부착부(10b)를 포함하는 이유는 PHC 말뚝의 상부 일부를 제거할 때 PC 강봉(10)과 콘크리트(30)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고 PHC 말뚝의 상단부에 더 많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e reason for including the non-adhesive portion 10b is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PC steel bar 10 and the concrete 30 when removing the upper part of the PHC pile and to introduce more prestress to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It is to do.

한편, 상기 PC 강봉(10)은 제1강봉(11)과 제2강봉(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C steel bar 10 may include a first steel bar 11 and a second steel bar 12.

상기 제1강봉(11)은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고 제2강봉(12)은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는데 제1강봉(11)과 제2강봉(12)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1강봉(11)의 단면적이 제2강봉(12)의 단면적에 비하여 크다. The first steel bar 11 is disposed relatively upper and the second steel bar 12 is disposed relatively lower, and the first steel bar 11 and the second steel bar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steel bar 11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steel bar 12.

상기 제1강봉(11)과 제2강봉(12)이 연결되는 부분은 부착부(10a)에 위치하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식 커플러(71)에 의해 제1강봉(11)과 제2강봉(12)이 연결될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환 형태의 정착판(72)에 제1강봉(11')의 하단부와 제2강봉(12')의 상단부가 각각 엇갈리게 정착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데 도시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간압출 연결방법 등 다양한 방법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정착판(72)을 사용하는 경우 제1강봉(11')의 수와 제2강봉(12')의 개수를 달리할 수도 있으며 정착판(72)을 기준으로 양쪽에 서로 다른 크기의 불연속적인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The part where the first steel bar 11 and the second steel bar 12 are connected is located in the attachment part 10a, and as shown in FIG. The second steel bar 12 may be connected, and as shown in FIG. 4B, the lower end of the first steel bar 11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eel bar 12' are alternately fixed to the annular fixing plate 72 It may be connected in a way that is not limited to the shown method, and can be selected from various methods such as a cold extrusion connection method. When using the fixing plate 72, the number of first steel bars 11 'and the number of second steel bars 12' may be varied, and discontinuous sizes of different sizes on both sides based on the fixing plate 72 Prestress can be introduced.

상기 제1강봉(11)의 직경(단면적)이 제2강봉(12)의 직경(단면적)에 비하여 크게 구성되면 PHC 말뚝의 상단부에 더 큰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큰 휨 모멘트가 작용하는 PHC 말뚝의 상부 쪽의 휨강도를 추가로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When the diamet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steel bar 1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steel bar 12, a larger tension force can be introduced to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but a relatively large bending moment acts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reinforce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upper side of the PHC pil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ection describing the construction method.

상기 전단철근(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철근(21)과 원형철근(22)을 포함한다. The shear reinforcing bar 20 includes a spiral reinforcing bar 21 and a circular reinforcing bar 22, as shown in FIG.

상기 나선철근(21)은 PHC 말뚝의 하부 쪽에 배치되는데 PC 강봉(10)에 용접되면서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원형철근(22)은 PHC 말뚝의 상부 쪽에 배치되는데 이형철근을 원형으로 가공하여 사용한다.The spiral reinforcing bar 21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HC pile and is continuously installed while being welded to the PC steel bar 10, and the circular reinforcing bar 2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HC pile. The deformed reinforcing bar is processed into a circular shape and used .

종래에는 PHC 말뚝 전체에 나선철근이 이용되었는데 말뚝의 두부 정리 과정에서 콘크리트 제거 작업을 할 때 나선철근(21)은 상당한 불편을 초래한다. 더욱이 나선철근(21)은 표면이 매끄럽고 직경이 작기 때문에 PHC 말뚝의 전단보강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Conventionally, spiral reinforcing bars were used for the entire PHC pile, but spiral reinforcing bars 21 cause considerable inconvenience when removing concrete in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head of the pile. Moreover, since the spiral reinforcement 21 has a smooth surface and a small diamet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greatly help the shear reinforcement of the PHC pile.

상기 나선철근(21)은 직경이 작고 마디가 없기 때문에 직경이 크고 마디가 있는 이형철근과 구분하기 위하여 통상 나선철선이라고 부른다.Since the spiral reinforcing bar 21 has a small diameter and no nodes, it is usually called a spiral wire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a deformed reinforcing bar having a large diameter and nodes.

그런데 원형철근(22)으로 사용되는 이형철근은 콘크리트(30)와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단면적이 커서 PHC 말뚝의 전단강도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결속선(미도시)을 이용하여 원형철근(22)을 PC 강봉(10)에 고정하면 두부정리시에 원형철근(22)과 PC 강봉(10)을 분리하기도 용이하다. PHC 말뚝의 두부정리를 위하여 콘크리트 절단면의 위치를 결정할 때 말뚝 상단부로부터 거리를 측정하여 원형철근(22)의 위치를 계산하거나 철근 탐사기를 사용하여 원형철근(22)의 위치를 파악하면 콘크리트 절단위치가 원형철근(22)과 겹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However, the deformed reinforcing bar used as the circular reinforcing bar 22 has excellent adhesion to the concrete 30 and has a large cross-sectional area, and can sufficiently increase the shear strength of the PHC pile. ) is fixed to the PC steel bar 10, it is also easy to separate the circular reinforcing bar 22 and the PC steel bar 10 during head cleaning. Whe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oncrete cutting surface for the head preparation of the PHC pile, the position of the circular reinforcing bar 22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pile or the position of the circular reinforcing bar 22 is determined using a reinforcing bar explorer, and the concrete cutting position is determ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lapping with the circular reinforcing bar 22.

상기 채움재(31)는 콘크리트의 일부가 제거되고 남은 콘크리트의 상단부에 도포되는 구성으로서 콘크리트의 절단면이 매끄럽지 않기 때문에 정착판(32)과 울퉁불퉁한 콘크리트 면 사이를 채운다. 상기 채움재(31)로는 에폭시, 에폭시 모르타르, 무수축 모르타르 등과 같이 이질의 부재를 접합하면서 조기에 충분한 강도발현이 가능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The filling material 31 is applied to the upper end of the remaining concrete after a portion of the concrete is removed, and fills the gap between the anchoring plate 32 and the uneven concrete surface because the cut surface of the concrete is not smooth. As the filling material 31, a material capable of exhibiting sufficient strength at an early stage while bonding heterogeneous members, such as epoxy, epoxy mortar, non-shrinkage mortar, etc., may be used.

상기 정착판(32)은 상기 채움재(31)의 상부에 결합하는 강재이다. 상기 정착판(32)에는 상기 PC 강봉(10)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33; 도 6a 참조)이 형성된다.The fixing plate 32 is a steel material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ling material 31 . The fixing plate 32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33 (see FIG. 6A) through which the PC steel bar 10 passes.

상기 쐐기 배럴(40), 정착 배럴(50) 및 쐐기(60)는 상기 PC 강봉(10)에 인장력을 가하고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정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각각의 구성을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wedge barrel 40, the fixing barrel 50, and the wedge 60 are configured to apply tensile force to the PC steel bar 10 and fix it while maintaining the tensile force.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turn.

상기 쐐기 배럴(40)은 중공부(41)를 가지는 기둥형상으로서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2)을 포함한다. 상기 중공부(41)는 PC 강봉(10)의 노출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다. 쐐기 배럴(40)의 단면의 외주면의 단면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형에서 일부가 제거된 형태가 될 수도 있는데 쐐기 배럴(40)의 외주면과 정착 배럴(50)을 나사결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The wedge barrel 40 is a columnar shape having a hollow part 41 and includes a screw thread 42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ollow part 41 is a hole for accommodat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PC steel bar 1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wedge barrel 40 is preferably circular, but may be a shape in which a part is removed from the circular shape. do.

상기 정착 배럴(50)은 중공부를 포함하는 기둥형상으로서 중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홈(51)을 포함하는데 상기 나사홈(51)은 상기 쐐기 배럴(40)의 나사산(42)과 나사 결합할 수 있기 위해 마련된다. 정착 배럴(50)의 외주면의 단면은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렌치 등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데 편리하기 때문이다.The fixing barrel 50 has a columnar shape including a hollow portion and includes a threaded groove 51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The threaded groove 51 can be screwed with the thread 42 of the wedge barrel 40. prepared to be The cross s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arrel 50 is preferably made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hexagon because it is convenient to rotate it using a wrench or the like.

상기 쐐기(60)는 상기 PC 강봉(10)을 상기 쐐기 배럴(4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중공부(41)와 PC 강봉(1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쐐기(60)는 두 조각 또는 세 조각으로 구성되는 쐐기 콘(wedge cone) 형태이다.The wedge 60 is installed between the hollow part 41 and the PC steel bar 10 as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PC steel bar 10 to the wedge barrel 40. The wedge 60 is in the form of a wedge cone composed of two or three pieces.

상기 쐐기 배럴(40)의 상단부에는 상기 쐐기(60)를 수용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는 형상의 수용부가 형성된다. 쐐기(6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관련된 구성은 쐐기를 이용하여 강봉이나 강연선을 정착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order to accommodate the wedge 60, an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increases toward the top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wedge barrel 40. Since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wedge 60 is a technique generally used for fixing a steel bar or strand using a wedge, additional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 배럴(40)의 길이(설치되었을 때 상하방향의 길이)가 정착 배럴(50)의 길이에 비하여 길어서 쐐기 배럴(40)과 정착 배럴(50)이 결합했을 때 쐐기 배럴(40)의 상단부가 정착 배럴(50)의 상단부에 비하여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구성하면 쐐기 배럴(40)의 노출된 부분과 다른 부재를 나사 결합하는데 용이하기 때문이다. 물론 쐐기 배럴(40)의 길이가 정착 배럴(50)의 길이와 같거나 정착 배럴(50)이 더 긴 경우에도 쐐기 배럴(40)의 상단부가 정착 배럴(50)의 상단부에 비하여 높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문제될 것은 없다. 이처럼 쐐기 배럴(40)의 상단부가 정착 배럴(50)의 상단부에 비하여 높게 설치되면 PC 강봉(10) 인장력을 재하하는 인양수단을 상기 쐐기 배럴(40)의 상단부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As shown in (c) of FIG. 8, the length of the wedge barrel 40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installe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xing barrel 50, so that the wedge barrel 40 and the fixing barrel 50 are When coup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wedge barrel 40 is installed so that it is exposed upward compared to the upper end of the fusing barrel 50. In this configuration, it is easy to screw the exposed part of the wedge barrel 40 and other members together. because it does Of course, even when the length of the wedge barrel 40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fusing barrel 50 or the fusing barrel 50 is longer, the upper end of the wedge barrel 40 can be fasten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using barrel 50. so there is no problem As such, when the upper end of the wedge barrel 40 is install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rel 50, the lifting means for loading the tensile force of the PC steel bar 10 can be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wedge barrel 40.

상기 쐐기(60)에 의해 PC 강봉(10)이 쐐기 배럴(40)에 고정되고 쐐기 배럴(40)과 정착 배럴(50)이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인양수단(100)을 이용하여 상기 PC 강봉(10), 쐐기 배럴(40), 정착 배럴(50) 및 쐐기(60)의 조립체를 PC 강봉의 상부 쪽으로 인양하고 상기 정착 배럴(50)을 정착판(32) 방향으로 이동시켜 PC 강봉(10)에 인장력이 재하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정착 배럴(50)을 회전시켜 정착판(3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PC steel bar 10 is fixed to the wedge barrel 40 by the wedge 60, and the PC steel bar 10 ), the wedge barrel 40, the fixing barrel 50 and the wedge 60 assembly are lifte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PC steel bar and the fixing barrel 5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32 to the PC steel bar 10 Maintain the loaded state of tension. The fixing barrel 50 may be rotated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32 .

쐐기(60)를 설치할 때 통상의 쐐기 설치 방법처럼 쐐기를 가볍게 타격하여 쐐기 배럴(40)에 밀착시키는 것이 긴장량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When installing the wedge 60, it is preferable to lightly hit the wedge and bring 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dge barrel 40, as in a conventional wedge installation method, because the amount of tension can be reduced.

상기 인양수단(100)은 유압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데 도 9에 인양수단(10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인양수단(100)은 체어(101), 중공강봉(102), 유압잭(103), 강봉정착판(105), 고정너트(1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lifting means 100 may use a hydraulic device, and an example of the lifting means 100 is shown in FIG. 9 . The lifting means 100 may include a chair 101, a hollow steel bar 102, a hydraulic jack 103, a steel bar fixing plate 105, and a fixing nut 106.

체어(101)는 상기 정착판(32)에 접한 상태로 유압잭(103)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hair 101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hydraulic jack 103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32.

유압잭(103)은 유압에 의한 인양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중공강봉(102)이 관통할 수 있는 중공부와 램(104)을 포함한다. The hydraulic jack 103 is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lifting force by hydraulic pressure, and includes a hollow part through which a hollow steel bar 102 can penetrate and a ram 104.

중공강봉(102)의 일단부는 유압잭(103)의 램(104)에 의해 재하되는 힘을 PC 강봉(10)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 배럴(40)과 나사결합하고 상기 유압잭(103)을 관통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07)이 형성된다.One end of the hollow steel bar 102 is screwed with the wedge barrel 40 to transmit the force loaded by the ram 104 of the hydraulic jack 103 to the PC steel bar 10 and penetrates the hydraulic jack 103, A thread 107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강봉정착판(105)은 유압잭(103)의 램(104)의 단부에 결합하는 판이다.The steel rod fixing plate 105 is a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ram 104 of the hydraulic jack 103.

고정너트(105)는 유압잭(103)의 램(104)에 의한 인양력을 중공강봉(102)에 전달하기 위하여 중공강봉(102)의 나사산(107)에 나사결합한 상태로 강봉정착판(105)에 밀착하며 상기 중공강봉(102)의 타단부를 강봉정착판(105)에 고정한다.The fixing nut 105 is screwed to the thread 107 of the hollow steel bar 102 in order to transmit the lifting force by the ram 104 of the hydraulic jack 103 to the hollow steel bar 102, and the steel bar fixing plate 105 Adhering to and fixing the other end of the hollow steel bar 102 to the steel bar fixing plate 105.

PC 강봉과 같은 긴장재를 기계Ÿ‡지로 물고 긴장재에 직접 인장력을 가하는 통상적인 긴장방법과는 달리 쐐기 배럴(40)과 나사 결합되는 중공강봉(102)을 이용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는 PC 강봉(1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긴장이 가능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는 PC 강봉(10)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긴장이 가능하다. 또한, 긴장완료 후에 정착 배럴(50)을 사용하여 정착시키면 정착시의 쐐기활동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Unlike the usual tensioning method in which a tension member such as a PC steel bar is bitten with a mechanical paper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directly to the tension member, using a hollow steel bar 102 screwed with the wedge barrel 40 is exposed as shown in FIG. 6B Tension is possible even when the length of the PC steel bar 10 is short, and tension is possible even when the length of the exposed PC steel bar 10 is long,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f the fixing is done using the fixing barrel 50 after tension is completed, the problem of wedge action during fixing can be solved.

도 10은 노출된 PC 강봉(10)의 길이가 짧거나 말뚝의 두부정리 시에 손상되어 규정된 노출길이를 확보할 수 없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긴장완료 후에 쐐기 위로 노출된 PC 강봉(10)을 절단하고 쐐기배럴(40)의 돌출부에 나사식 커플러(80)를 설치하여 철근과 연결하여 보강하는 방법이다. 철근의 인장강도가 PC 강봉의 인장강도 보다 작기 때문에 철근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철근의 단면적과 인장강도의 곱셈이 PC 강봉(10)의 단면적과 인장강도의 곱셈보다 크게 하다면 성능저하 없이 PC 강봉(10)의 노출길이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다. Figure 10 is a method that can be used when the length of the exposed PC steel bar 10 is short or damaged during the head clearance of the pile and the prescribed exposure length cannot be secured. After tension is completed, the exposed PC steel bar (10 ) and installing a threaded coupler 80 on the protrusion of the wedge barrel 40 to reinforce it by connecting it to the reinforcing bar. Sinc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C steel ba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inforcing bar is increas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tensile strength are multiplied by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C steel bar (10) and the tensile strength. PC steel bar (10 ) can satisfy the exposure length regulation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PHC 말뚝을 시공하면서 PC 강봉(10)을 재긴장하고 재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a construction method for re-tensioning the PC steel bar 10 and maintaining the re-tensioned state while constructing the above-described PHC pi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PHC 말뚝 시공방법의 정리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PHC 말뚝 시공방법의 정착판 설치단계, 나사결합단계, 고정단계, 재긴장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인양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는 비부착부를 포함하는 PC 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 도입되는 긴장력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b는 제1강봉과 제2강봉과 비부착부를 포함하는 PC 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 도입되는 긴장력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c는 정착판을 이용하여 제1강봉과 제2강봉을 연결하고 비부착부를 포함하는 PC 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 도입되는 긴장력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step of the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ixing plate installation step, screw coupling step of the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fixing step and the re-tensioning step, Figure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lifting means, Figure 11a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the tension force introduced when using a PC steel bar including a non-attachment portion, Figure 11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the tension force introduced in the case of using a PC steel bar including a first steel bar, a second steel bar, and a non-attachment portion, Figure 11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using a fixing plate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tension force introduced when using a PC steel bar that is connected and includes a non-adhesive portion.

본 실시예에 따른 PHC 말뚝 시공방법은 마련단계, 근입단계, 정리단계, 정착판 설치단계, 나사 결합단계, 고정단계, 재긴장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reparation step, an insertion step, a cleanup step, a fixing plate installation step, a screw coupling step, a fixing step, and a re-tensioning step.

상기 마련단계는 전술한 PHC 말뚝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PHC 말뚝은 PC 강봉(10), 전단철근(20), 콘크리트(30), 채움재(31), 정착판(32), 쐐기 배럴(40), 정착 배럴(50), 쐐기(60)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reparing step is a step of preparing the aforementioned PHC pile. The PHC pile includes a PC steel bar (10), shear reinforcing bar (20), concrete (30), filling material (31), anchoring plate (32), wedge barrel (40), anchoring barrel (50), wedge (60) However, since each configura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근입단계는 상기 마련단계에서 마련된 PHC 말뚝 중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정착되는 PC 강봉(10), PC 강봉(10)에 결합하되 상기 PHC 말뚝의 하부 쪽에 배치되는 나선철근(21)과 상부 쪽에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 설치되는 원형철근(22)을 포함하는 전단철근(20), 상기 PC 강봉(10)과 전단철근(20)을 수용하는 콘크리트(30)를 포함하는 PHC 말뚝을 지반에 근입하는 단계이다. 오거를 이용하여 지반을 천공하고 천공된 부분에 PHC 말뚝을 근입할 수 있다. PC 강봉(10)을 재긴장하기 위한 구성은 제외한 상태로 근입되는 것이다.The insertion step is coupled to the PC steel bar 10 and the PC steel bar 10, which are fixed in a state in which tensile force is applied among the PHC piles prepared in the preparation step, but the spiral reinforcement 21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HC pile and the upper side determined Shear reinforcing bars 20 including circular reinforcing bars 22 installed at intervals, PHC piles containing concrete 30 accommodating the PC steel bars 10 and shear reinforcing bars 20 are inserted into the ground It is a step. It is possible to drill the ground using an auger and insert the PHC pile into the drilled part. The configuration for re-tensioning the PC steel bar 10 is inserted in an excluded state.

상기 정리단계는 상기 근입단계에서 근입된 PHC 말뚝의 상단부 일부를 제거하여 PC 강봉(10)의 일부(상단부)를 노출시키는 단계이다.The cleaning step is a step of exposing a part (top part) of the PC steel bar 10 by removing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inserted in the insertion step.

도 7은 정리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커팅 방식으로 PHC 말뚝의 상단부를 절단한다. C1은 원커팅이 이루어지는 위치로서 PC 강봉(10)의 노출 길이를 고려하여 PHC 말뚝의 두부를 절단한다. PC 강봉(10)의 긴장력은 7 내지 10ton 정도로 상당이 크기 때문에 PC 강봉(10)의 비부착부(10b)를 절단하면 위쪽의 PC 강봉(10)이 튀어나가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긴장되어 있는 PC 강봉(10)이 밖으로 튀어나오지 못하도록 비부착부(10b)의 상부에 부착부(10a)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leaning step. First, as shown in (a) of FIG. 7,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is cut in a one-cutting manner. C1 is a position where the circular cutting is performed, and the head of the PHC pile is cut in consideration of the exposed length of the PC steel bar 10. Since the tensile force of the PC steel bar 10 is as large as 7 to 10 tons, cutting the non-attached portion 10b of the PC steel bar 10 may cause the PC steel bar 10 at the top to protrude, resulting in a dangerous situation. In order to do this, it is preferable to place the attachment portion 10a on top of the non-attachment portion 10b to prevent the PC steel bar 10 being tensed from protruding out.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커팅 방식에 의해 PHC 말뚝의 두부가 제거되면 C2로 표시된 부분의 콘크리트 외측에 홈을 형성하고,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HC 말뚝의 상부에 충격을 가하여 관통 균열을 발생시켜 콘크리트를 절단한 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의 상부 일부를 제거한다. 이때 C2로 표시된 부분의 PC 강봉(10)은 비부착부(10b)이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쉽게 절단할 수 있다. 원커팅에 의해 PC 강봉(10)에 의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가 소실되고 PC 강봉(10)이 콘크리트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며 전단 철근이 없으므로 작은 충격으로도 콘크리트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C1과 C2 사이의 콘크리트는 PC 강봉(10)과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뽑아 낼 수 있어서 콘크리트를 파쇄하지 않고 제거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7, when the head of the PHC pile is removed by the one-cutting method, a groov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ncrete in the portion marked C2, and as shown in (c), the top of the PHC pile is impacted. After cutting the concrete by generating a through crack by applying a through crack, the upper part of the pile is removed as shown in (d). At this time, since the PC steel bar 10 in the portion marked C2 is a non-adhesive portion 10b, the concrete can be easily cut. By one-cutting, the prestress introduced by the PC steel bar 10 is lost, and since the PC steel bar 10 is not attached to the concrete and there is no shear reinforcing bar, the concrete can be cut even with a small impact. In addition, since the concrete between C1 and C2 is not attached to the PC steel bar 10, it can be pulled out using an appropriate lifting device and can be removed without crushing the concrete.

상기 정착판 설치단계는 상기 정리단계 이후에 PHC 말뚝 상단부의 콘크리트 상면에 채움재(31)를 도포하고 채움재(31)의 상부에 정착판(32)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정리단계의 PHC 말뚝의 절단면은 매끄럽지 않으므로 정착판(32)을 설치하기 전에 채움재(31)로 정착판과 불규칙한 콘크리트의 상면 사이를 채운다. 도면에는 채움재(31)의 아래쪽 면이 평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시 상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실제로는 불규칙한 절단면이 형성된다.The fixing plate installation step is a step of applying the filling material 3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at the top of the PHC pile after the cleaning step and installing the fixing plate 32 on top of the filling material 31. Since the cut surface of the PHC pile in the preparation stage is not smooth, the filling material 31 is filled between the anchoring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rregular concrete before installing the anchoring plate 32. In the dra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lling material 31 is shown as being flat, which is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and in reality, an irregular cut surface is formed.

도 8의 (a)가 상기 정리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움재(31)와 정착판(32)을 설치한다. 정착판(32)에는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출된 PC 강봉(10)이 관통공(33)을 관통한 상태로 정착판(32)을 설치한다. Figure 8 (a)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cleaning step is completed, and as shown in Figure 8 (b), the filling material 31 and the fixing plate 32 are installed. Since the through hole 33 is formed in the fixing plate 32, the fixing plate 32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exposed PC steel bar 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3.

상기 나사 결합단계는 상기 쐐기 배럴(40)과 정착 배럴(50)을 나사 결합하는 단계이다. 쐐기 배럴(40)과 정착 배럴(50)을 나사 결합하는 것은 고정단계 이전이면 언제든 관계 없다. The screw coupling step is a step of screw coupling the wedge barrel 40 and the fusing barrel 50 together. Screwing the wedge barrel 40 and the fixing barrel 50 is irrelevant at any time prior to the fixing step.

상기 고정단계는 상기 쐐기 배럴(40)의 중공부(41)에 상기 PC 강봉(10)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PC 강봉(10)과 중공부(41) 사이에 쐐기(60)를 설치하여 PC 강봉(10)을 쐐기 배럴(40)에 고정한다. 이때 쐐기(60)를 가볍게 타격하여 쐐기를 쐐기 배럴(40)에 밀착시키는 것이 긴장량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단계가 완료된 상태가 도 8의 (c)에 도시되어 있다.In the fixing step, a wedge 60 is installed between the PC steel bar 10 and the hollow part 41 in a state where the PC steel bar 10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part 41 of the wedge barrel 40, so that the PC steel bar (10) is fixed to the wedge barrel (4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lightly hit the wedge 60 to bring the wedg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dge barrel 40 because it can reduce the amount of tension.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step is completed is shown in (c) of FIG. 8 .

상기 재긴장 단계는 상기 정리단계에서 긴장력이 해소된 PC 강봉(10)에 인장력을 재하하고 인장력이 재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이다.The re-tensioning step is a step of loading a tensile force on the PC steel bar 10 from which the tension is relieved in the arranging step and maintaining the loaded state.

이를 위해 상기 PC 강봉(10), 쐐기 배럴(40), 정착 배럴(50), 쐐기(60)의 조립체를 PC 강봉의 상부쪽으로 인양하여 PC 강봉(10)에 인장력을 재하한다.To this end, the assembly of the PC steel bar 10, the wedge barrel 40, the fixing barrel 50, and the wedge 60 is lifte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PC steel bar to load the PC steel bar 10 with a tensile force.

상기 조립체에 인장력을 재하하면 PC 강봉(10)의 신장과 쐐기활동(wedge slip)이 동시에 발생한다. 긴장량은 PC 강봉의 신장량과 쐐기활동이 더해진 값이다. 도 8(d)에 상기 조립체가 인양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d)에는 인양수단(100) 중 중공강봉(102)만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시 상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assembly, elongation and wedge slip of the PC steel bar 10 occur simultaneously. The amount of tension is the sum of the elongation of the PC steel bar and the wedge action. 8(d) shows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is lifted. In (d) of FIG. 8, only the hollow steel bar 102 of the lifting means 100 is shown, which is for convenience in illustration.

상기 조립체에 인장력이 재하되어 PC 강봉(10)에 인장력이 도입되면 정착 배럴(50)을 회전시켜 정착판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PC 강봉(10)을 정착한다. 정착 배럴(50)을 충분한 토크로 조여서 정착판(32)에 밀착시키면 긴장력을 제거해도 긴장된 상태를 온전히 유지할 수 있다. 중공 강봉(102)에 의한 긴장 도중에 쐐기활동이 완료되기 때문에 긴장재를 물고 긴장하는 통상의 방법과는 다르게 추가적인 쐐기활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8의 (e)에는 정착 배럴(50)이 정착판(32)에 밀착된 상태, 다시 말해 PC 강봉(10)에 인장력이 재하된 상태로 정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When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assembly and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the PC steel bar 10, the fixing barrel 50 is rotated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to fix the PC steel bar 10. If the fixing barrel 50 is tightened with sufficient torque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32, the tensioned state can be maintained intact even when the tension is removed. Since the wedge action is completed during tension by the hollow steel bar 102, no additional wedge action occurs, unlike the usual method of biting and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8(e)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arrel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32,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PC steel bar 10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ensile force is loaded.

정착 배럴(50)에 의한 정착 후에 중공 강봉(102)을 해체하여 도 8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긴장 단계가 완료되면 PHC 말뚝의 PC 강봉(10)에 재긴장이 완료된 상태로 PHC 말뚝의 시공이 완료된다.After settling by the fixing barrel 50, the hollow steel bar 102 is dismantled, and when the re-tensioning step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8(f), the PC steel bar 10 of the PHC pile is re-tensioned The construction of the PHC piles is complete.

이하에서는 도 11a 내지 도 11c을 참조하면서 PHC 말뚝의 상부 일부분에 비부착 PC 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 도입되는 긴장력 변화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hange in tension force introduced when a non-attached PC steel bar is used in the upper part of the PHC pi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A to 11C.

도 11a는 직경이 일정한 PC 강봉(10)의 상부 일부분에 피복을 씌운 경우이다. PHC 말뚝 제작 시에 도입된 긴장력은 말뚝 두부정리 시의 강봉 절단으로 인해 비부착부(10b)에서는 사라지며 부착부(10a) 시작지점부터 강봉이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부착력이 발생한다. 부착력의 누적 총합이 긴장력과 같아지면 강봉의 미끄러짐은 멈추는데, 이러한 강봉 미끄러짐 발생 구간의 길이를 전달길이(transfer length; La)라고 한다. 전달길이(La) 내의 긴장력의 변화를 편의상 선형변화로 도시하였는데 실제로는 포물선 형태로 변화한다. 두부정리 후에 PC 강봉(10)을 재긴장하면 제작시의 긴장력을 복원할 수 있다.Figure 11a is a case where the coating is covered on the upper part of the PC steel bar 10 having a constant diameter. The tension introduced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PHC pile disappears in the non-attached portion 10b due to the cutting of the steel bar during the pile head preparation, and the adhesive force is generated as the steel bar slides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attachment portion 10a. The sliding of the steel bar stops when the cumulative sum of the attachment forces becomes equal to the tension force. The change in tension within the transmission length (La) is shown as a linear change for convenience, but actually changes in a parabolic shape. If the PC steel bar 10 is re-tensioned after the head is straightened, the tension at the time of manufacture can be restored.

도 11b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71)로 단면적이 다른 강봉을 연결한 경우의 긴장력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강봉(11)으로는 지름 13mm 강봉을 사용하고, 제2강봉(12)으로는 지름 9.2mm 강봉을 이용하는 예이다. 말뚝 제작시에는 작은 직경(9.2mm)인 제2강봉(12)이 허용할 수 있는 최대 긴장력으로 긴장된다. 두부정리 과정에서 강봉의 상단부 쪽 일부가 절단되면 비부착부(10b)의 긴장력은 사라지고 비부착 경계부로부터 전단길이(La) 구간이 형성된다. 큰 직경(13mm)의 제1강봉(11)이 수용할 수 있는 긴장력은 초기 긴장력보다 크기 때문에 강봉을 초기 긴장력보다 큰 힘으로 재긴장하면 전단길이(La) 보다 길이가 긴 정착길이(Lb)가 형성된다. 부착력이 발생하여 긴장력이 변화하는 구간길이를 전달길이와 정착길이(development length)로 명칭을 달리한 것은 콘크리트와 강봉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할 때 전단길이(La) 내에서는 강봉의 축력이 감소하면서 포아송(Poisson) 효과에 의해 단면적이 팽창하여 부착력이 증가하고, 정착길이 (Lb)내에서는 강봉의 축력이 증가하면서 단면적이 축소되어 부착력이 감소하는 현상이 프리텐션 방식에서의 전달길이 및 정착길이와 그 구조적 특성이 같기 때문이다. 정착길이가 나사식 커플러(71)를 넘어서 작은 직경(9.2mm)의 제2강봉 구간까지 넘어가면 작은 직경 강봉의 응력이 허용 응력을 초과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큰 직경(13mm) 제1강봉(11)의 부착부 길이가 정착길이(Lb) 보다 길도록 해야 한다.11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tension force when steel bar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are connected with a coupler 71 as shown in FIG. 4A, and a steel bar having a diameter of 13 mm is used as the first steel bar 11, and the second As the steel bar 12, it is an example using a steel bar having a diameter of 9.2 mm. When the pile is manufactured, the second steel bar 12 having a small diameter (9.2 mm) is tensioned with the maximum allowable tension. When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steel bar is cut during the head straightening process, the tension of the non-adhesive portion 10b disappears and a shear length La section is formed from the non-adherent boundary portion. Since the tension force that the first steel bar 11 of large diameter (13 mm) can accommodate is greater than the initial tension force, when the steel bar is re-tensioned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initial tension force, the fixation length Lb longer than the shear length La is formed The name of the length of the section where the tension force changes due to the occurrence of adhesion force is changed to the transmission length and the development length is that when slippage occurs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steel rod, the axial force of the steel rod decreases within the shear length (La) and Poisson ( Poisson) effect, the cross-sectional area expands and the adhesion increases, and within the anchorage length (Lb), the axial force of the steel bar increases while the cross-sectional area shrinks and the adhesive force decrease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If the fixing length goes beyond the threaded coupler 71 to the second steel bar section of small diameter (9.2 mm), the stress of the small diameter steel bar may exceed the allowable stress, so be sure to use the large diameter (13 mm) first steel bar (11 ) should be longer than the anchorage length (Lb).

도 11c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판(72)이 있는 경우의 긴장력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강봉(11)으로는 지름 13mm 강봉을 사용하고, 제2강봉(12)으로는 지름 9.2mm 강봉을 이용하는 예이다. 정착판(72)은 자체로 긴장력을 온전히 정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착판(72)을 기준으로 부착부(10a)와 비부착부(10b)를 구성할 수 있다. 강봉의 상단부 쪽 일부가 절단되면 비부착부(10b)의 제1강봉(11)의 초기 긴장력은 사라진다. 두부정리 후에 큰 직경(13mm)의 제1강봉(11)이 허용할 수 있는 최대 긴장력으로 긴장하면 말뚝의 상부에 큰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다. 이때 정착판(72)으로 긴장력이 정착되기 때문에 불연속적인 긴장력이 작용된다.FIG. 11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hange in tension in the case where a fixing plate 72 is present as shown in FIG. 4B. This is an example in which a steel bar having a diameter of 13 mm is used as the first steel bar 11 and a steel bar having a diameter of 9.2 mm is used as the second steel bar 12 . Since the fixing plate 72 can fully fix the tension by itself, the attachment portion 10a and the non-adhesion portion 10b may be formed based on the fixation plate 72 . When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steel bar is cut, the initial tension of the first steel bar 11 of the non-adhesive portion 10b disappears. After the head is straightened, if the first steel bar 11 of large diameter (13 mm) is tensioned with the maximum tension that can be allowed, a large tension can be introduced to the top of the pile. At this time, since the tension is fixed by the fixing plate 72, discontinuous tension is appl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큰 전단력이 작용하는 PHC 말뚝 상부에 나선철근(21) 대신에 이형철근으로 제작한 원형철근(22)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되 PC 강봉(10)에 용접하지 않고 결속함으로써 전단강도를 증진시키면서 두부정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말뚝의 두부정리 시에 절단면이 형성될 수 있는 구간에는 PC 강봉(10)을 비부착부(10b)로 만들어 콘크리트를 파쇄하지 않고도 PC 강봉(10)과 콘크리트(3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면 두부정리 작업이 더욱 쉬워지며 PC 강봉(10)의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정착활동(anchorage slip)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착장치(쐐기 배럴(40), 정착 배럴(50) 및 쐐기(60))와 중공강봉(102), 체어(101), 유압잭(103)으로 구성된 인양수단(100)을 사용하여 긴장함으로써 PC 강봉(10)에 정밀한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circular reinforcing bars 22 made of deformed reinforcing bar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stead of spiral reinforcing bars 21 at the top of the PHC pile where a large shear force acts, but they are bound without welding to the PC steel bar 10. By doing so, the shear strength is improved and the head cleaning work is facilitated. In addition, in the section where the cut surface can be formed during the head preparation of the pile, the PC steel bar 10 is made into a non-attached portion 10b so that the PC steel bar 10 and the concrete 30 can be separated without crushing the concrete. Doing so makes head cleaning work easier and damage to the PC steel bar 10 can be minimized. Consisting of anchorage devices (wedge barrel 40, anchorage barrel 50 and wedge 60) that can solve the anchorage slip problem, hollow steel bar 102, chair 101, and hydraulic jack 103 By tensioning using the lifting means 100, it is possible to introduce precise tension to the PC steel bar 1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In the above, specific detai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ovided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form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terialized.

10 : PC 강봉 20 : 전단철근
30 : 콘크리트 40 : 쐐기 배럴
50 : 정착 배럴 60 : 쐐기
10: PC steel bar 20: Shear reinforcing bar
30: concrete 40: wedge barrel
50: settling barrel 60: wedge

Claims (20)

PC 강봉과 상기 PC 강봉에 결합하는 전단철근, 상기 PC 강봉과 전단철근을 수용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PHC 말뚝에 있어서,
상기 전단철근은 상기 PHC 말뚝의 하부 쪽에 배치되는 나선철근과 상부 쪽에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 설치되는 원형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PHC 말뚝이 지반에 근입된 이후에 지반의 상부에 위치한 콘크리트의 일부는 제거되어 상기 PC 강봉이 노출되며,
상기 콘크리트 일부가 제거되고 남은 콘크리트의 상단부에 도포되는 채움재;
상기 채움재의 상부에 결합하고 강재로 제작되며 상기 PC 강봉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정착판;
상기 PC 강봉의 노출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쐐기 배럴;
내주면에 상기 쐐기 배럴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한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쐐기 배럴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하는 정착 배럴;
상기 쐐기 배럴과 상기 PC 강봉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 배럴의 중공부와 PC 강봉 사이에 설치되는 쐐기;를 포함하며,
상기 쐐기에 의해 PC 강봉이 쐐기 배럴에 고정되고 쐐기 배럴과 정착 배럴이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인양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PC 강봉, 쐐기 배럴, 정착 배럴 및 쐐기 조립체를 상기 PC 강봉의 상부 쪽으로 인양하고 상기 정착 배럴을 정착판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PC 강봉에 인장력이 재하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쐐기 배럴과 정착 배럴을 나사 결합했을 때 상기 쐐기 배럴의 상단부는 상기 정착 배럴의 상단부에 비하여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양수단은 상기 쐐기 배럴의 상단부와 나사결합하며,
상기 PC 강봉은 상기 PHC 말뚝의 상단부 쪽의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아래로부터 일정거리에 걸쳐 형성되는 비부착부와 상기 비부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PHC 말뚝의 하단부까지 마련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 PHC 말뚝.
In the PHC pile including the PC steel bar, the shear reinforcing bar coupled to the PC steel bar, and the concrete for accommodating the PC steel bar and the shear reinforcing bar,
The shear reinforcing bar includes a spiral reinforcing bar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HC pile and a plurality of circular reinforcing b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After the PHC pile is driven into the ground, a part of the concrete located on the top of the ground is removed to expose the PC steel bar,
A filler applied to the upper end of the remaining concrete after a portion of the concrete has been removed;
A fix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lling material, made of steel,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 penetrating the PC steel bar;
A pipe-shaped wedge barrel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exposed portion of the PC steel bar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xing barrel having a screw groove connectable to the screw thread of the wedge barrel formed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barrel;
A wedge installed between the hollow part of the wedge barrel and the PC steel bar to fix the wedge barrel and the PC steel bar; includes,
In a state where the PC steel bar is fixed to the wedge barrel by the wedge and the wedge barrel and the fixing barrel are screwed together, the PC steel bar, the wedge barrel, the fixing barrel and the wedge assembly are lifte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PC steel bar and the fixation The barrel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is loaded on the PC steel bar,
When the wedge barrel and the fixing barrel are screwed together, the upper end of the wedge barrel is installed to be exposed upward compar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rel, and the lifting means is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wedge barrel,
The PC steel bar includes an attachment part at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a non-attachment part formed over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attachment part, and an attachment part provided from the bottom of the non-attachment part to the lower end of the PHC pile. Retension PHC stakes ma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부착부의 하단부는 상기 콘크리트의 상단부 일부를 제거할 때 노출되는 상기 PC 강봉의 하단부에 비하여 낮게 배치되고, 상기 비부착부의 상단부는 노출되는 상기 PC 강봉의 상단부에 비하여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 PHC 말뚝.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non-adhesive portion is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C steel bar exposed when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is removed, and the upper end of the non-adhesive portion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PC steel bar exposed. Characterized in that Retension PHC stak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수단은,
중공부와 램을 포함하는 유압잭;
상기 정착판과 접하면서 상기 유압잭을 지지하는 체어;
일단부는 상기 유압잭의 램에 의해 재하되는 힘을 PC 강봉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 배럴과 나사결합하고 상기 유압잭과 램을 관통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강봉;
상기 램의 단부에 결합하는 강봉정착판;
상기 중공강봉의 타단부를 강봉정착판에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 PHC 말뚝.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means,
A hydraulic jack including a hollow part and a ram;
a chair supporting the hydraulic jack while in contact with the anchoring plate;
One end is screwed with the wedge barrel to transmit the force loaded by the ram of the hydraulic jack to the PC steel bar, penetrates the hydraulic jack and the ram, and has a threaded hollow steel ba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a steel rod fixing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ram;
A re-tension PHC pile comprising a fixing nut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hollow steel bar to the steel bar fix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배럴의 외주면의 단면은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 PHC 말뚝.
According to claim 1,
The re-tension PHC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ation barrel is a polyg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 강봉은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는 제1강봉과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강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은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강봉의 단면적이 제2강봉의 단면적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 PHC 말뚝.
According to claim 1,
The PC steel bar includes a first steel bar disposed relatively upward and a second steel bar disposed relatively downward, and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steel bar is the second steel bar. Re-strength PHC pi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arge compare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부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 PHC 말뚝.
According to claim 7,
Re-tensioning PHC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where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are connected is located in the attachment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은 나사식 커플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 PHC 말뚝.
According to claim 8,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are re-tensioned PHC pile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y a threaded coupl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 사이에는 정착판이 설치되며 제1강봉의 하단부와 제2강봉의 상단부가 각각 상기 정착판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 PHC 말뚝.
According to claim 8,
A fixing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teel bar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eel bar are fixed to the fixing plate, respectively.
청구항 제1항의 PHC 말뚝을 마련하는 마련단계;
상기 마련단계에서 마련된 PHC 말뚝 중 PC 강봉, PC 강봉에 결합하되 상기 PHC 말뚝의 하부 쪽에 배치되는 나선철근과 상부쪽에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 설치되는 원형철근을 포함하는 전단철근, 상기 PC 강봉과 전단철근을 수용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PHC 말뚝을 지반에 근입하는 근입단계;
상기 근입단계에서 근입된 PHC 말뚝의 노출된 상단부 일부를 제거하여 PC 강봉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정리단계;
상기 정리단계 이후에 PHC 말뚝 상단부의 콘크리트 상면에 채움재를 도포하고 채움재의 상부에 상기 정착판을 설치하되 상기 PC 강봉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로 정착판을 설치하는 정착판 설치단계;
상기 쐐기 배럴과 정착 배럴을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단계;
상기 쐐기 배럴의 중공부에 상기 PC 강봉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PC 강봉과 중공부 사이에 쐐기를 설치하여 쐐기 배럴과 PC 강봉을 고정하는 고정단계;
인양수단에 의하여 상기 PC 강봉, 쐐기 배럴, 정착 배럴 및 쐐기를 상기 PC 강봉의 상부쪽으로 인양하여 PC 강봉에 인장력을 재하하고 상기 정착 배럴을 정착판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PC 강봉에 인장력이 재하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쐐기 배럴과 정착 배럴을 나사 결합했을 때 상기 쐐기 배럴의 상단부는 상기 정착 배럴의 상단부에 비하여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인양수단은 상기 쐐기 배럴과 나사결합하는 재긴장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C 강봉은 상기 PHC 말뚝의 상단부 쪽의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아래로부터 일정거리에 걸쳐 형성되는 비부착부와 상기 비부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PHC 말뚝의 하단부까지 마련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말뚝 시공방법.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the PHC pile of claim 1;
Among the PHC piles prepared in the preparation step, PC steel bars, shear bars including spiral bars coupled to the PC steel bars but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HC piles and several circular b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the PC steel bars and shear bars An embedding step of embedding a PHC pile containing concrete into the ground;
A cleaning step of exposing a part of the PC steel rod by removing a part of the exposed upper end of the PHC pile inserted in the insertion step;
After the cleaning step, a fixing plate installation step of applying a filling materi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at the top of the PHC pile and installing the fixing plate on top of the filling material, but installing the fixing plate in a state where the PC steel rod penetrates the through hole;
A screw coupling step of screwing the wedge barrel and the fusing barrel together;
A fixing step of fixing the wedge barrel and the PC steel bar by installing a wedge between the PC steel bar and the hollow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C steel bar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wedge barrel;
The PC steel bar, wedge barrel, fixing barrel, and wedge are lifted to the upper part of the PC steel bar by the lifting means to load the PC steel bar with tensile force and move the fixing barrel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to load the PC steel bar with tensile force keep,
When the wedge barrel and the fixing barrel are screwed together, the upper end of the wedge barrel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upward compar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rel, and the lifting means is screwed into the wedge barrel.
The PC steel bar includes an attachment part at the upper end of the PHC pile, a non-attachment part formed over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attachment part, and an attachment part provided from the bottom of the non-attachment part to the lower end of the PHC pile. How to construct PHC pil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부착부의 하단부는 상기 콘크리트의 상단부 일부를 제거할 때 노출되는 상기 PC 강봉의 하단부에 비하여 낮게 배치되고, 상기 비부착부의 상단부는 노출되는 상기 PC 강봉의 상단부에 비하여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lower end of the non-adhesive portion is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C steel bar exposed when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is removed, and the upper end of the non-adhesive portion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PC steel bar exposed. Characterized in that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수단은,
중공부와 램을 포함하는 유압잭;
상기 정착판과 접하면서 상기 유압잭을 지지하는 체어;
일단부는 상기 유압잭의 램에 의해 재하되는 힘을 PC 강봉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 배럴과 나사결합하고 상기 유압잭과 램을 관통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강봉;
상기 램의 단부에 결합하는 강봉정착판;
상기 중공강봉의 타단부를 강봉정착판에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lifting means,
A hydraulic jack including a hollow part and a ram;
a chair supporting the hydraulic jack while in contact with the anchoring plate;
One end is screwed with the wedge barrel to transmit the force loaded by the ram of the hydraulic jack to the PC steel bar, penetrates the hydraulic jack and the ram, and has a threaded hollow steel ba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a steel rod fixing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ram;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fixing nut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hollow steel bar to the steel bar fixing pl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배럴의 외주면은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1,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ation barrel is a polyg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C 강봉은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는 제1강봉과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강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은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강봉의 단면적이 제2강봉의 단면적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PC steel bar includes a first steel bar disposed relatively upward and a second steel bar disposed relatively downward, and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steel bar is the second steel bar.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부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7,
The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where the first steel rod and the second steel rod are connected is located in the attachment por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은 나사식 커플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8,
The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are connected by a threaded coupl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봉과 제2강봉 사이에는 정착판이 설치되며 제1강봉의 하단부와 제2강봉의 상단부가 각각 상기 정착판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8,
A fixing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teel bar and the second steel bar,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teel bar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eel bar are fixed to the fixing plate, respectively.
KR1020220109324A 2022-08-30 2022-08-30 Retensioned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ctive KR1025404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324A KR102540408B1 (en) 2022-08-30 2022-08-30 Retensioned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324A KR102540408B1 (en) 2022-08-30 2022-08-30 Retensioned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408B1 true KR102540408B1 (en) 2023-06-07

Family

ID=8676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324A Active KR102540408B1 (en) 2022-08-30 2022-08-30 Retensioned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40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555B1 (en) * 2001-05-22 2004-08-18 주식회사 한가람 Reinforced Method of Head in a Prestress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KR100605029B1 (en) * 2004-09-24 2006-07-28 김준홍 Retensioning method of permanent anchor
KR20160057238A (en) * 2014-11-13 2016-05-23 (주)하경엔지니어링 Composite phc pile with concrete filling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CN112095585A (en) * 2020-08-26 2020-12-18 中国建筑技术集团有限公司 Prestressed composite anchor cable uplift pi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555B1 (en) * 2001-05-22 2004-08-18 주식회사 한가람 Reinforced Method of Head in a Prestress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KR100605029B1 (en) * 2004-09-24 2006-07-28 김준홍 Retensioning method of permanent anchor
KR20160057238A (en) * 2014-11-13 2016-05-23 (주)하경엔지니어링 Composite phc pile with concrete filling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CN112095585A (en) * 2020-08-26 2020-12-18 中国建筑技术集团有限公司 Prestressed composite anchor cable uplift pi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40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ensioning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KR100671437B1 (en) Ground Anchorage
US20220112718A1 (en) Tendon anchora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a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JPS62296013A (en) Detachable tensile material and its production
KR102540408B1 (en) Retensioned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JP3130216B2 (en) PC steel rod unit and method for tightening hardened cement using the PC steel rod unit
KR100933220B1 (en) Repairing method for bulging of reinforced soil retaing wall and soil-nail structure used for it
CN110469140B (en)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 reinforcement of frame beam
CN110685282B (en) Anchor cable bearing device, anchor cable and tension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482795B1 (en) Strand wire re-prestressing structure
KR100444555B1 (en) Reinforced Method of Head in a Prestress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JP7028728B2 (en) Joint structure of foundation pile and foundation slab
KR20040077592A (en) Post-Tensioning Method by Joint Unit and Nut
US5113634A (en) Method of producing a tension part anchorable in the earth
KR100908901B1 (en) Removable prestressed saw nailing construction
JP2896988B2 (en)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masonry structure
JP4326518B2 (en) Pre-tension member
JPH07300819A (en) Adhesive protection net construction method for falling rocks and its rope and net anchor structure
US20050019103A1 (en) System and method of supporting structural foundations
JP2017193899A (en) Widening structure of existing PC floor slab
JP4944679B2 (en) Truss construction method
JPH07103573B2 (en) Construction method of the legal framework
KR102613053B1 (en) Composite Wall of PHC File Wall and RC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Composite Wall
KR102685118B1 (en) Anchor for concrete member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H02256712A (en) Precast pc p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