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0397B1 - Method for form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form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397B1
KR102540397B1 KR1020210077089A KR20210077089A KR102540397B1 KR 102540397 B1 KR102540397 B1 KR 102540397B1 KR 1020210077089 A KR1020210077089 A KR 1020210077089A KR 20210077089 A KR20210077089 A KR 20210077089A KR 102540397 B1 KR102540397 B1 KR 10254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guide
golf ball
virtual golf
hole c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8193A (en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안효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21007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397B1/en
Publication of KR2022016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39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91Golf practising terr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56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for statistical or strategic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은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그린 영역 및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는 단계, 퍼팅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퍼팅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퍼팅에 의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예상 궤적을 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forming a putting guide and a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The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includes displaying a green area where a virtual golf ball is located before putting and a hole cup that is a target point of putting, generating a putting guide indicating putt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putting guide, The putting guide displays an expected trajectory of the virtual golf ball moving by putting.

Description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METHOD FOR FORM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Putting guide formation method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퍼팅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퍼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orming a putting guide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putting to a user in a putting situation and a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최근 골프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골프는 야외의 골프장에서 플레이하는 실제의 골프뿐만 아니라 가상 골프 장치 등을 이용하여 골프를 플레이 할 수 있는 스크린 골프도 인기가 있다. 스크린 골프에서는 스크린을 통하여 골프장의 영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마치 야외에서 실제의 골프 경기를 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면서도, 야외의 골프장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세이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playing golf is increasing. As for golf, not only actual golf played on an outdoor golf course, but also screen golf that can be played using a virtual golf device and the like are popular. In screen golf, since an image of a golf course is displayed through a screen, it gives the impression that an actual golf game is being played outdoors, but has the advantage of saving time and money compared to playing on an outdoor golf course.

골프는 홀컵에 골프공을 넣어야 코스 공략이 끝나기 때문에, 그린 영역에서 홀컵을 향하여 골프공을 굴리는 '퍼팅'은 골프에 있어서 다른 어떠한 타격 동작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실제의 골프에서 사용자는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를 가늠하고 또한 골프공과 홀컵 사이 영역의 지형 특성을 감안하여 퍼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골프공과 홀컵 사이 영역의 주요한 지형 특성 중 하나는 해당 영역에서 높낮이가 변화하여 경사가 생긴다는 것이다. 스크린 골프에서도 실제 골프에서의 골프공과 홀컵 사이 영역의 지형 특성이 반영되도록 구성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2차원 평면 스크린을 보는 것만으로 그린 영역의 경사 등과 같은 지형 특성을 인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스크린 골프에서는 사용자에게 퍼팅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별도로 알려줄 필요가 있다. In golf, since the course strategy is completed only when the golf ball is put into the hole cup, 'putting', which rolls the golf ball toward the hole cup in the green area,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hitting motion in golf. In actual golf, the user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cup and performs putting in consideration of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n area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cup. Here, one of the main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cup is that the height changes in the area, resulting in a slope. Screen golf is configured to reflect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cup in actual golf, but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nclination of the green area just by looking at the two-dimensional flat screen. Therefore, in screen golf,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user of information useful for putting.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퍼팅 상황에서 퍼팅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퍼팅가이드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forming a putting guide to provide a putting guide indicating information on putting in a putting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을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은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그린 영역 및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는 단계, 퍼팅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퍼팅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퍼팅에 의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예상 궤적을 표시한다.A method for forming a putt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a green area where a virtual golf ball is located before putting and a hole cup that is a target point of putting, generating a putting guide indicating putt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putting guide. and the putting guide displays an expected trajectory of the virtual golf ball moving by putting.

상기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퍼팅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예상 궤적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at least two or more different expected trajectories may be displayed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putting guide.

상기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은 사용자가 퍼팅을 완료한 후, 사용자의 퍼팅에 의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인 궤적과 상기 예상 궤적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trajectory of the virtual golf ball moved by the user's putting and the expected trajectory together after the user completes putting.

상기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예상 궤적은 상기 가상의 골프공에 대해서 적어도 1회 이상의 모의 퍼팅을 실시하여 얻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모의 퍼팅은 복수의 방향에 대해서 각 방향마다 복수회 실시되고, 상기 모의 퍼팅의 실시 결과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상기 홀컵에 홀인되는 횟수가 최대인 경우의 방향을 상기 퍼팅가이드에 있어서의 퍼팅방향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의 퍼팅은 n회차 모의 퍼팅을 제n 방향으로 실시하며(n은 1이상의 자연수), 상기 n회차 모의 퍼팅의 실시 결과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상기 홀컵에 홀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n 방향을 상기 퍼팅가이드의 방향으로 하고, 상기 n회차 모의 퍼팅의 실시 결과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상기 홀컵에 홀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n 방향을 제n+1 방향으로 변경하고 n+1회차 모의 퍼팅을 실시할 수 있다.In the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the expected trajectory may be obtained by performing at least one simulated putting on the virtual golf ball. Here, the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in each direction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as a result of the simulated putting, the direction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virtual golf ball is holed into the hole cup is the maximum is determined as the putting direction in the putting guide. direction can be Alternatively, the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n times in the n-th directio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and when the virtual golf ball is holed in the hole cup as a result of the n-time mock putting, the n-th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n-th direction. direction of the putting guide, and when the virtual golf ball does not hole in the hole cup as a result of the nth round of mock putting, the nth direction is changed to the n+1th direction and n+1th round of mock putting is performed. can

상기한 퍼팅 가이드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퍼팅가이드는 상기 홀컵에 인접한 인접 영역의 지형 특성을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forming the putting guide, the putting guide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representing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n area adjacent to the hole cup.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은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그린 영역 및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는 단계, 퍼팅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퍼팅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퍼팅방향 및 퍼팅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홀컵에 인접한 인접 영역의 지형 특성을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한다.A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a green area where a virtual golf ball is located before putting and a hole cup that is a target point of putting, generating a putting guide indicating putting information, and the putting guide. and displaying, wherein the putting guide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putting direction and a putting strength, and further includes add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n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hole cup.

상기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인접 영역의 경사도 및 경사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인접 영역 중에서 과거 사용자들의 플레이 기록상 퍼팅의 성공확률이 높거나 낮은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lope and a slope direction of the adjacent area. Alternatively,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area having a high or low probability of success in putting based on past users' play records among the adjacent area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그린 영역 및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퍼팅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그린 영역에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퍼팅 단계에서 퍼팅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퍼팅에 의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예상 궤적을 표시한다.In the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green area where a virtual golf ball is located before putting and a hole cup, which is a target point of putting, and a result of a user actually putting a golf ball are displayed in the green area. A controller that calculates the motion of a virtual golf ball,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a putting guide representing putting information in a putting step and provides it to a user, and the putting guide predicts an expected trajectory of the virtual golf ball moving by putting displa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그린 영역 및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퍼팅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그린 영역에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퍼팅 단계에서 퍼팅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퍼팅방향 및 퍼팅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홀컵에 인접한 인접 영역의 지형 특성을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한다.A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green area where a virtual golf ball is located before putting and a hole cup, which is a target point of putting, and a display unit in the green area based on a result of a user actually putting a golf ball.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motion of the virtual golf ball,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putting guide representing putting information in a putting step and provides it to the user, wherein the putting guide is configured to determine at least one of a putting direction and a putting strength. information, and further includes add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n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hole cup.

본 발명에 따르면, 퍼팅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퍼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사용자의 퍼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user with appropriate putting information in a putting situation,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nd the user's putting abi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의 개별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퍼팅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복수의 가상 골프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그린 영역의 지형 특성에 대한 부가정보를 스크린에 표시하는 일예를 나타낸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putt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are views showing individual processes of the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7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7 show various examples displayed on the screen to provide a putting guide to the user.
18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virtual golf devices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20 shows an example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 green area on a screen.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s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though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elements from one another.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can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lements or the relative sizes between elem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slightly changed due to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ome degree of mod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타격플레이트(10), 제어부(20), 감지부(30), 입력부(40), 사운드부(50) 및 표시부(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tting plate 10, a control unit 20, a sensing unit 30, an input unit 40, a sound unit 50, and a display unit 60. include

타격 플레이트(10)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영역으로, 타격 플레이트(10)에는 타격 매트가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는 상기 타격 매트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타격 매트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의 오토 티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토 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타격용 골프공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hitting plate 10 is an area where a user is positioned to hit a golf ball. The hitting plate 10 includes a hitting mat, and the user puts the golf ball on the hitting mat and hits the hitting plat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auto te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move up and down is installed on the hitting mat, so that a golf ball for hitting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auto tee.

제어부(20)는 가상 골프 장치의 각 구성품 사이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타격 매트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오토 티를 컨트롤하여, 사용자가 타격하는 시점에 맞추어 상기 오토 티에서 타격용 골프공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골프코스를 선택한 경우, 해당 골프코스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부(20)는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0)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수단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골프코스의 영상을 표시부(6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하여 아이디나 패스워드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입력된 개인정보를 체크하여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 등에 근거하여 상기 감지된 상태대로 골프공이 실제 골프장에서 비행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궤적을 산출한다.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virtual golf device. For example, the controller 20 may control the auto tee installed on the hitting mat so that a golf ball for hitting is provided from the auto tee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e user's hitting. Also,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golf course, the controller 20 performs necessary operations so that the user can play on the golf course. That is, the controller 20 may transmit an image of a specific golf cours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60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means to display the image.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n ID or password for log-in, the control unit 20 may play a role of determining whether to approve the log-in by checking 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 calculates a trajectory assuming that the golf ball flies in an actual golf course in the sensed state based on the physical state of the golf ball hit by the user.

감지부(30)는 골프 클럽의 움직임이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타격된 골프공 등에 관한 물리적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골프 클럽이나 골프공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의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에는 이미지 센싱, 발광/수광 센싱, 레이저 센싱 등 다양한 센싱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센싱 방식으로 골프 클럽의 움직임이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1대만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 대가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nsing unit 30 detects the motion of the golf club or the motion of the golf ball hit by the user to grasp physical state information about the hit golf ball, etc., and is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the motion of the golf club or golf ball. A sensing means such as a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Various sensing methods such as image sensing, light emitting/light receiving sensing, and laser sensing may be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and the motion of a golf club or state information of a golf ball hit by a user may be grasped by such a sensing method. The camera or detection sensor may be used alone or together, and only one may be used, or several may be used as needed.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사용자의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고,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되면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에 입력부(4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골프에서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플레이 난이도 등을 선택하는 경우 등에도 입력부(40)가 사용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40 is for receiv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rom a user, and a keyboard or mouse may be used. A login system that requires a user to log in before providing service may be applied to screen golf, and if the login system is applied, the input unit 40 may be used when a user inputs his/her ID or password. In addition, the input unit 40 can be used even when a user selects a golf course to play or a level of difficulty in screen golf.

사운드부(50)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 상황을 안내하고 게임의 진행에 따른 각종 효과음을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ound unit 50 may include a sound device such as a speaker, and through this, guides the user to the progress of the game and plays a role of playing various sound effect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game.

표시부(60)는 빔 프로젝터와 스크린 등과 같은 기기를 포함한다. 빔 프로젝터는 골프코스와 골프공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관련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며, 스크린은 투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일부 대상에 대해 '가상'이라는 용어를 붙여서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스크린 속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며,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대상물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공'이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골프공이라는 의미이고, 이는 현실 세계에서 사용자가 타격하는 실제의 골프공과 혼동되지 않도록 '가상'이라는 용어를 붙여서 표현한 것이다. The display unit 60 includes devices such as a beam projector and a screen. The beam projector projects a related image onto the screen so that the golf course and the golf ball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creen serves to display the projected image to the user. In this specification, there is a case where the term 'virtual' is attached to some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which is used to mean that they are displayed as images on the screen, and to avoid confusion with objects existing in the real world. it will be used For example, 'virtual golf ball' means a golf ball displayed on a screen, and it is expressed by attaching the term 'virtual' so as not to be confused with a real golf ball hit by a user in the real world.

가상 골프 장치는 스크린 골프장에 설치되어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때에 가상 골프 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동작한다.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면 감지부(30)는 골프클럽의 움직임이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속도나 이동방향 등과 같은 물리적 상태를 감지한다. 감지부(30)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20)에 전달되고, 제어부(20)는 전달된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야외의 실제 골프장에서 골프공을 타격했다고 가정했을 때에 골프공이 어떠한 궤적을 나타낼 것인지를 산출한다. 골프공의 궤적은 골프공의 움직임만으로 산출될 수 있고 또는 타격시의 골프클럽의 움직임까지 감안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표시부(60)에서는 상기 산출된 궤적대로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영상을 표시하며, 이때에 가상의 골프공은 산출된 궤적으로 비행한 후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코스의 특정지점에 착지하게 되고,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된 지점에서 넥스트 타격을 이어가게 된다. The virtual golf device is a device installed in a screen golf course to play screen golf, and when a user plays screen golf, the virtual golf device operates in the following process. When the user strikes the golf ball, the sensing unit 30 detects physical conditions such as the movement of the golf club or the speed or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golf ball hit by the user.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 and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e trajectory of the golf ball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ssuming that the user hits the golf ball at an outdoor golf course. Calculate what to show The trajectory of the golf ball may be calculated only by the movement of the golf ball or may be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movement of the golf club at the time of hitting. The display unit 60 displays an image of the virtual golf ball mov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trajectory. At this time, the virtual golf ball flies along the calculated trajectory and lands at a specific point of the virtual golf course on the screen, and the user can The next hit continues at the point where the virtual golf ball landed.

위와 같은 타격 과정을 거쳐서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그린 영역에 착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그린 영역에 위치하는 홀컵에 가상의 골프공이 홀인되도록 골프공을 굴리는 '퍼팅'을 하게된다. 퍼팅 단계에서 제어부(20)는 퍼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퍼팅가이드를 생성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퍼팅가이드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When the virtual golf ball lands on the green area of the virtual golf course through the above hitting process, the user performs 'putting' by rolling the golf ball so that the virtual golf ball is holed in the hole cup located in the green area. In the putting step, the controller 20 generates a putting guide to provide information on putting, and the putting guid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screen. Hereinafter, a specific method of forming a putting gui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의 개별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putt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6 are diagrams showing individual processes of the method of forming a putting guide.

도 2를 참조하면,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의 과정은 제1 내지 제3 단계(S1, S2, S3)를 포함한다. 제1 단계(S1)에서는 그린 영역에 위치하는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과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고, 제2 단계(S2)에서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에 대해서 적어도 1회 이상의 모의 퍼팅을 실시함으로써 퍼팅 정보를 알려주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고, 제3 단계(S3)에서는 생성된 퍼팅가이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process of the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includes first to third steps (S1, S2, S3). In the first step (S1), a virtual golf ball before putting on the green area and a hole cup, which is the target point of putting, are displayed, and in the second step (S2), mock putting is performed on the virtual golf ball at least once. By doing so, a putting guide that informs putting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in the third step (S3), the generated putting guide is displayed and provided to the user.

도 3(a)를 참조하면 제1 단계(S1)에서는 그린 영역에 위치하는 가상의 골프공 및 목표지점인 홀컵이 표시된다. 가상의 골프공은 퍼팅 직전 단계에서 그린 영역에 정지하여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는 스크린에 표시된 가상의 골프공과 홀컵을 보고 가상의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거리를 체크할 수 있다. 퍼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가상의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거리를 파악하고 또한 가상의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지형을 파악하여 적절한 방향과 세기로 골프공을 굴릴 필요가 있다. 실제 골프에서 그린 영역의 지형은 단순한 평지로 되어 있는 경우보다는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고 복잡한 경사 지형인 경우가 더 많다. 가상 골프 장치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대부분의 가상 골프코스는 실제 골프장의 골프코스를 모델로 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가상 골프코스의 그린 영역도 경사 지형인 경우가 많지만,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코스는 2차원 평면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가 스크린 속 영상만으로 그린 영역의 경사를 파악하기 쉽지 않다. 예를 들면, 도 3(a)에서는 가상의 골프공의 정면에 홀컵이 위치하는 배치 상황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가상의 골프공에 대응하는 실제 골프공을 정면으로 퍼팅하더라도 그린 영역에 경사가 있다면 퍼팅에 성공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예를 들어 스크린 속 그린 영역의 지형이 평탄하지 않고 좌측이 높고 우측이 낮은 경사진 지형이라면, 정면으로 퍼팅하더라도 가상의 골프공이 홀컵에 대해서 우측으로 굴러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퍼팅 단계에서는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그린 영역의 지형 특성을 고려해서 퍼팅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그린 영역의 지형 특성을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린 영역에 복수의 횡라인(G1)과 종라인(G2)으로 이루어진 그리드(G)가 표시되고, 상기 횡라인(G1)과 종라인(G2)에는 각각 복수의 횡인디케이터(I1)와 종인디케이터(I2)가 이동하도록 표시되어 그린 영역의 지형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횡인디케이터(I1)는 횡라인(G1) 위를 소정의 속도로 이동하고, 종인디케이터(I2)는 종라인(G2) 위를 소정의 속도로 이동한다. 횡인디케이터(I1) 및 종인디케이터(I2)는 해당 인디케이터(I)가 있는 그린 영역의 경사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경사가 크면 클수록 그 이동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그리드(G)와 인디케이터(I)가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인디케이터(I)의 이동방향과 이동속도를 통하여 그린 영역에 있어서 경사지는 방향과 경사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드(G)와 인디케이터(I)는 반드시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들이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a), in the first step S1, a virtual golf ball located in the green area and a hole cup as a target point are displayed. The virtual golf ball is in a state of resting on the green area at the stage immediately before putting. The user may check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golf ball and the hole cup by looking at the virtual golf ball and the hole cup displayed on the screen. In order to successfully put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golf ball and the hole cup and also to determine the topography between the virtual golf ball and the hole cup to roll the golf ball in an appropriate direction and strength. In actual golf, the terrain of the green area is more often a complex sloped terrain with irregular heights than a simple flat land. Since most of the virtual golf course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virtual golf device are modeled after the golf course of the actual golf course, the green area of the virtual golf course is often a sloped terrain, but the virtual golf course on the screen is a two-dimensional plane. Since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grasp the slope of the drawn area only with the image on the screen. For example, in FIG. 3 (a), there is shown a situation in which a hole cup is positioned in front of a virtual golf ball. In this situation, even if a real golf ball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golf ball is putt frontally, the green area is inclined. If there is, the probability of succeeding in putting is not high. For example, if the topography of the green area in the screen is not flat but slopes with a high left side and a low right sid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virtual golf ball will roll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hole cup even when putting forward. Therefore, in the putting step, it is necessary to putt in consideration of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area in the virtual golf course, and for this purpose,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area may be display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b), a grid G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G1 and vertical lines G2 is displayed in the green area, and the horizontal lines G1 and vertical lines In (G2), a plurality of horizontal indicators I1 and a plurality of vertical indicators I2 are displayed to move, respectively, so that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area can be indicated. The horizontal indicator I1 moves at a predetermined speed on the horizontal line G1, and the longitudinal indicator I2 moves at a predetermined speed on the vertical line G2. The horizontal indicator (I1) and the longitudinal indicator (I2) move from a high slope to a low slope of the green area where the corresponding indicator (I) is located, and their moving speed increases as the slope increases. Accordingly, when the grid G and indicator I are displayed, the user can grasp the direction and degree of slope in the green area through the moving direction and moving speed of the indicator I. The grid G and the indicator I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displayed, and if the user does not want them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3(a), they may not be displayed.

도 4를 참조하면, 제2 단계(S2)에서는 가상의 골프공에 대해서 적어도 1회 이상의 모의 퍼팅을 실시하여 퍼팅가이드를 생성한다. 모의 퍼팅은 제어부(20)에서 내부적으로 실시되며 그 구체적인 과정은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 모의 퍼팅은 퍼팅 전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특정 방향으로 골프공을 퍼팅했다고 가정하고, 상기 퍼팅의 결과가 어떻게 되는지를 제어부(20)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한 산출과정을 수행하여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상기 특정 방향에 대해 복수회 실시하고, 또한 상기 퍼팅 방향을 변경해가면서 모의 퍼팅을 반복한다. 예를 들면, 퍼팅 전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를 시작위치라 하고 홀컵의 위치를 목표위치라 하고 시작위치에서 목표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한다. 또한 제1 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치우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고, 제1 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치우친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하고, 제2 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더 치우친 방향을 제4 방향이라 하고, 제3 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더 치우친 방향을 제5 방향이라 가정한다. 또한 상기 모의 퍼팅은 제1 내지 제5 방향에 대해 각각 10회씩 실시된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이 모의 퍼팅을 수행하여 각 퍼팅 방향에 대해서 홀인에 성공한 횟수를 체크한다. 가령 제1 퍼팅 방향에 대해서는 1회 성공하고 제2 퍼팅 방향에 대해서는 8회 성공하고 제3 방향에 대해서는 0회 성공하고 제4 퍼팅 방향에 대해서는 3회 성공하고 제5 방향에 대해서는 0회 성공하였다고 하면(그린 영역이 제1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좌측이 높고 우측이 낮아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져 있다고 가정하면, 제1 방향의 우측에 해당하는 제3, 5 방향으로 퍼팅하였을 때에는 골프공이 그린 영역의 경사를 따라 우측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퍼팅에 성공하기 어렵다), 제2 퍼팅 방향이 퍼팅의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퍼팅 방향으로 선정한다.Referring to FIG. 4 , in the second step (S2), a putting guide is created by performing simulated putting at least once on a virtual golf ball. The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internally in the control unit 20, and the specific process is not displayed externally. The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by assuming that the user puts a golf ball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virtual golf ball is placed before putting, and the control unit 20 calculates the result of the putting through simulation. . This process is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in the specific direction, and the simulated putting is repeated while changing the putting direction. For example, a position of a virtual golf ball before putting is referred to as a starting position, a position of a hole cup is referred to as a target position, and a direction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In addition, a direction bias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a direction bias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third direction, and a direction more bias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fourth direction, Assume that a direction more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third direction is a fifth direction. It is also assumed that the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10 times in each of the first to fifth directions. In this way,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to check the number of successful hole-ins for each putting direction. For example, 1 success in the 1st putting direction, 8 successes in the 2nd putting direction, 0 success in the 3rd direction, 3 successes in the 4th putting direction, and 0 success in the 5th direction. (Assuming that the green area slopes from left to right because the left side is high and the right side is low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when putting in the 3rd and 5th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right of the first direction, the golf ball tilts the green area It is difficult to succeed in putting because it curves to the right along the right side), and since the second putting direction has the highest possibility of putting success, this is selected as the putting direction.

퍼팅은 방향뿐만 아니라 퍼팅의 강도(골프공을 퍼팅할 때에 어느 정도의 세기로 굴리는가를 나타내는 강도)도 퍼팅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퍼팅의 적정 강도를 파악하기 위한 모의 퍼팅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모의 퍼팅은 퍼팅 전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특정 방향에 대해서 다양한 강도로 골프공을 퍼팅했다고 가정하고, 상기 퍼팅의 결과가 어떻게 되는지를 제어부(20)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한 산출과정을 수행하여 파악한다. 퍼팅 전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를 시작위치라 하고 홀컵의 위치를 목표위치라 하고 시작위치에서 목표위치를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좌측으로 치우친 소정의 방향을 퍼팅 방향으로 하면, 상기 방향에 대해 특정한 강도로 모의 퍼팅을 실시한다. 상기 특정 강도에 대해 모의 퍼팅은 복수회 실시하고, 또한 상기 퍼팅 강도를 변경해가면서 모의 퍼팅을 반복한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제1 강도 내지 제3 강도에 대해 각각 10회씩 모의 퍼팅이 실시되고, 각 모의 퍼팅에 대해 홀인에 성공한 횟수를 체크한다. 가령 제1 퍼팅 강도에 대해서는 퍼팅에 1회 성공하고 제2 퍼팅 강도에 대해서는 8회 성공하고 제3 퍼팅 강도에 대해서는 0회 성공하였다고 하면, 제2 퍼팅 강도가 퍼팅의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퍼팅 강도로 선정한다.Not only the direction of putting, but also the strength of putting (strength indicating how hard the golf ball is rolled when putting) may affect the putting result. Therefore, mock putting can b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per strength of putting. The simulated putting assumes that the user puts a golf ball with various strengths in a specific direction at a position where a virtual golf ball is placed before putting, and the control unit 20 calculates the result of the putting through simulation. understand by doing If the position of the imaginary golf ball before putting is called the starting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hole cup is called the target position, and the putting direction is a predetermined direction skew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a specific intensity for that direction is obtained. Practice mock putting. Mock putting is performed multiple times for the specific strength, and mock putting is repeated while changing the putting strength. For example, mock putting is performed 10 times for each of the different first to third strengths, and the number of successful hole-ins for each mock putting is checked. For example, if there is one successful putting for the first putting strength, eight successes for the second putting strength, and zero successes for the third putting strength, it can be said that the second putting strength has the highest possibility of putting success. Therefore, it is selected as putting strength.

도 6을 참조하면, 제3 단계(S3)에서는 상기한 과정을 통하여 파악된 퍼팅 방향이나 퍼팅 강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퍼팅가이드(PG)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퍼팅가이드는 가상의 골프공에서 출발하는 화살표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을 통하여 퍼팅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퍼팅가이드에 있어서 화살표의 굵기나 길이를 다르게 표시하고, 상기 굵기나 길이에 따라 퍼팅 강도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화살표의 굵기나 길이를 일정하게 하고 화살표의 컬러를 다르게 표현하여 퍼팅 강도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퍼팅가이드(PG)를 화살표의 형태로 표현했지만, 퍼팅가이드(PG) 화살표의 형태로만 표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표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in the third step (S3), a putting guide PG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a putting direction or putting intensity identifi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provided to the user. The putting guide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n arrow departing from a virtual golf ball, where the putting direction may be indicated through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In addition, in the putting guide,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arrow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and the putting strength may be indica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r length. Alternatively,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arrow may be constant and the color of the arrow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to indicate the putting intensity. Here, although the putting guide PG has been expressed in the form of an arrow, the putting guide PG does not have to be expressed only in the form of an arrow, and may be expressed in various shapes or shapes.

위와 같이, 퍼팅 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그린 영역의 지형 특성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퍼팅가이드에 의거하여 정확하게 퍼팅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putting guide indicating putting information, the user can accurately grasp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area and accurately putt based on the putting guide.

퍼팅가이드를 형성할 때에 무작위로 복수의 방향과 강도로 모의 퍼팅을 하여 최적의 퍼팅 방향과 퍼팅 강도를 찾는 전술의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n회차 모의 퍼팅을 수행하면서 최적의 퍼팅 방향과 퍼팅 강도를 추적해가는 방법으로서 모의 퍼팅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forming a putting guide, other methods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of finding the optimal putting direction and putting strength by randomly simulate putting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strengths. The method described below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simulated putts as a method of tracking the optimal putting direction and putting strength while performing nth mock putting.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가이드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의 퍼팅의 결과 퍼팅에 성공(가상의 골프공이 홀컵에 홀인)할 때까지 반복하여 모의 퍼팅이 실시된다. 예를 들어 n회차 모의 퍼팅에서의 퍼팅 방향을 제n 방향이라고 하면(n은 1이상의 자연수), n회차 모의 퍼팅에서 제n 방향의 퍼팅이 성공한 경우에 모의 퍼팅은 중단되고 사용자에게 제n 방향을 퍼팅 방향으로 안내하는 퍼팅가이드가 제공된다. 만약 n회차 모의 퍼팅에서 제n 방향의 퍼팅이 실패한 경우에는 제n 방향과 다른 제n+1 방향으로 방향을 수정한 후 n+1회차 모의 퍼팅을 실시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a result of the mock putting, the mock putting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putting is successful (the virtual golf ball is holed in the hole cup). For example, if the putting direction in the nth mock putting is the n-directio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if the n-th direction is successful in the nth mock putting, the mock putting is stopped and the nth direction is given to the user. A putting guide for guiding in the putting direction is provided. If the nth direction of mock putting fails in the nth mock putting, the n+1th mock putting is performed after correcting the direction to the n+1th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nth direction.

n회차 모의 퍼팅에 있어서의 퍼팅 방향(제n 방향)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선정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퍼팅 전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를 시작위치라 하고 홀컵의 위치를 목표위치라 하고 시작위치에서 목표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방향이라 할 때에, 1회차 모의 퍼팅은 제1 방향이 상기 기준방향으로 설정되어 실시된다. 만약 그린 영역의 지형이 경사가 없고 평평한 상태라면, 1회차 모의 퍼팅에서 가상의 골프공은 홀컵 방향으로 퍼팅되므로 홀컵에 홀인될 가능성이 높으며, 1회차 모의 퍼팅에서 홀인이 되면 제1 방향을 퍼팅 방향으로 안내하는 퍼팅가이드를 제공하고 모의 퍼팅은 종료한다. The putting direction (nth direction) in the nth mock putting is selected in the following way. Referring to FIG. 7, whe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golf ball before putting is referred to as the starting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hole cup is referred to as the target position, and the direction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is referred to as the reference direction, the first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This is set as the reference direction and implemented. If the topography of the green area is flat and has no slope, the virtual golf ball is putt in the direction of the hole cup in the first round of mock putting,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hole-in in the hole cup. Provides a putting guide that guides you to and ends mock putting.

만약 그린 영역의 지형이 좌측이 높고 우측이 낮아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져 있는 상태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차 모의 퍼팅에서 가상의 골프공은 홀컵으로부터 우측으로 휘어져서 홀인에 실패하게 된다. 제1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그린 영역의 좌측을 좌측 영역이라고 하고 우측을 우측 영역이라고 하면, 1회차 모의 퍼팅에서 가상의 골프공은 홀인되지 않고 우측 영역에 도달하여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1회차 모의 퍼팅의 결과 가상의 골프공이 홀인되지 않고 우측 영역에 도달한 경우에는 2회차 이후의 모의 퍼팅에 있어서의 퍼팅방향은 좌측 영역을 향하도록 설정된다. 2회차 이후의 모의 퍼팅에서는 그 퍼팅방향이 좌측 영역을 향하도록 하되, 기준방향과 퍼팅방향 사이의 각도를 다르게 하면서 가상의 골프공이 홀인될 때까지 모의 퍼팅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회차 이후의 n회차 모의 퍼팅에서 제n 방향으로 모의 퍼팅을 한 결과, 가상의 골프공이 홀인되지 않고 좌측 영역에 도달한 경우, 제n+1 방향은 제n 방향보다 기준방향에 더 가까운 쪽(기준방향과 제n+1 방향 사이의 각도가 기준방향과 제n 방향 사이의 각도에 비하여 작아짐)으로 조정되어 n+1회차 모의 퍼팅이 실시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회차 이후의 n회차 모의 퍼팅에서 제n 방향으로 모의 퍼팅을 한 결과, 가상의 골프공이 홀인되지 않고 우측 영역에 도달한 경우, 제n+1 방향은 제n 방향보다 기준방향에 더 먼 쪽(기준방향과 제n+1 방향 사이의 각도가 기준방향과 제n 방향 사이의 각도에 비하여 커짐)으로 조정되어 n+1회차 모의 퍼팅이 실시된다. 이와 같이 이전 회차에서의 모의 퍼팅의 결과를 반영하여 다음 회차에서의 모의 퍼팅에서의 퍼팅 방향을 설정하면, 모의 퍼팅을 진행할수록 점점 적정방향에 수렴하여 홀인에 성공하게 되고, 홀인에 성공했을 때의 방향을 퍼팅 방향으로 안내하는 퍼팅가이드를 제공하고 모의 퍼팅은 종료한다. If the topography of the green area is in a state where the left side is high and the right side is low, so that it is inclined from left to right, as shown in FIG. If the left side of the green area is referred to as the left area and the right side of the green area is referred to as the right area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the virtual golf ball arrives at the right area without being holed in the first round of mock putting and stops. In this way, when the virtual golf ball reaches the right area without hole-in as a result of the first round of mock putting, the putting direction in the second and subsequent rounds of mock putting is set to face the left area. In the mock putting after the second round, the putting direction is directed to the left area, but the mock putting is performed until the virtual golf ball is holed while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direction and the putting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a), as a result of simulated putting in the n-th direction in the n-th mock putting after the second round, when the virtual golf ball reaches the left area without hole-in, n+ The first direction is adjusted to the side closer to the reference direction than the nth direction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direction and the n+1th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direction and the nth direction), and the n+1th round of mock putting is conducted. do.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b), as a result of simulated putting in the n-th direction in the n-th mock putting after the second round, when the virtual golf ball reaches the right area without hole-in, the n+1-th direction is The n+1th mock putting is performed by adjusting to a side farther from the reference direction than the nth direction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direction and the n+1th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direction and the nth direction). In this way, if the putting direction of the mock putting in the next round is set by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mock putting in the previous round, the more the mock putting proceeds, the more it converges to the proper direction and the hole-in succeeds. A putting guide is provided to guide the direction to the putting direction, and the simulated putting is finished.

만약 그린 영역의 지형이 좌측이 낮고 우측이 높아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져 있는 상태라면, 1회차 모의 퍼팅에서 가상의 골프공은 홀컵으로부터 좌측으로 휘어져서 홀인에 실패하게 된다. 즉 1회차 모의 퍼팅에서 가상의 골프공은 홀인되지 않고 좌측 영역에 도달하여 멈추게 된다(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반대의 상황). 이와 같이 1회차 모의 퍼팅의 결과 가상의 골프공이 홀인되지 않고 좌측 영역에 도달한 경우에는 2회차 이후의 모의 퍼팅에 있어서의 퍼팅방향은 우측 영역을 향하도록 설정된다. 2회차 이후의 모의 퍼팅에서는 그 퍼팅방향이 우측 영역을 향하도록 하되, 기준방향과 퍼팅방향 사이의 각도를 다르게 하면서 가상의 골프공이 홀인될 때까지 모의 퍼팅을 실시한다. 그 결과, n회차 모의 퍼팅에서 홀인에 성공하면 제n 방향을 퍼팅 방향으로 안내하는 퍼팅가이드를 제공하고 모의 퍼팅은 종료한다.If the topography of the green area is in a state where the left side is low and the right side is high, so that it slopes from right to left, the virtual golf ball in the first simulated putt is bent to the left from the hole cup and fails to hole-in. That is, in the first simulated putt, the virtual golf ball does not hole in and stops after reaching the left area (a situation opposite to that shown in FIG. 7). In this way, when the virtual golf ball reaches the left area without hole-in as a result of the first round of mock putting, the putting direction for the second and subsequent rounds of mock putting is set to face the right area. In the mock putting after the second round, the putting direction is directed to the right area, but the mock putting is performed until the virtual golf ball is holed while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direction and the putting direction. As a result, if hole-in is successful in the nth mock putting, a putting guide for guiding the nth direction to the putting direction is provided, and the mock putting is finished.

퍼팅은 방향뿐만 아니라 강도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퍼팅의 적정 강도를 파악하기 위한 모의 퍼팅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회차 모의 퍼팅에서의 퍼팅 강도를 제n 강도라고 하면(n은 1이상의 자연수), n회차 모의 퍼팅에서 퍼팅에 성공(가상의 골프공이 홀컵에 홀인)한 경우에 모의 퍼팅은 중단되고 사용자에게 제n 강도를 퍼팅강도로 안내하는 퍼팅가이드가 제공된다. 만약 n회차 모의 퍼팅에서 퍼팅에 실패한 경우에는 제n 강도와 다른 제n+1 강도로 퍼팅강도를 변경한 후 n+1회차 모의 퍼팅을 실시한다. Since the results of putting can vary depending on the strength as well as the direction, a simulated putting can b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per strength of putting. For example, if the putting intensity in the nth mock putting is nth intensity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the mock putting is stopped if the putting is successful in the nth mock putting (the virtual golf ball is holed in the hole cup), A putting guide for guiding the n-th strength to the putting strength is provided to the user. If the nth simulated putting fails, the n+1th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after changing the putting intensity to the n+1th intensity different from the nth intensity.

n회차 모의 퍼팅에 있어서의 퍼팅강도(제n 강도)는 다음과 같이 선정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퍼팅 전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를 시작위치라 하고 홀컵의 위치를 목표위치라 하고 시작위치에서 목표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방향이라 하면, 1회차 모의 퍼팅은 상기 기준방향으로 실시되는데 이 때의 퍼팅강도는 목표위치보다 시작위치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가 타깃이 되도록 설정된다. 즉 시작위치에서 목표위치까지의 거리를 'L'이라고 하면, 제1 강도는 시작위치에서 타깃이 되는 위치(타깃위치)까지의 거리가 'L+ΔL'이 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ΔL은 대략 0.5m ~ 1.5m 정도로 설정되며, 바람직하게는 1m로 설정된다. 또는 ΔL은 시작위치에서 목표위치까지의 거리(L)에 대해 대략 L/10 ~ L/5 정도가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시작위치에서 목표위치까지의 거리가 5m라면, 시작위치에서 타깃위치까지의 거리는 6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5m 전방에 있는 목표위치를 1m 정도 지나칠 수 있는 강도로 퍼팅한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퍼팅강도를 목표위치를 약간 지나칠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하는 이유는, 퍼팅강도가 너무 약하면 퍼팅된 골프공이 굴러가는 힘이 부족하여 홀컵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고, 퍼팅강도가 너무 강하면 올바른 방향으로 퍼팅하더라도 퍼팅된 골프공이 홀컵을 지나쳐갈 수 있기 때문이다.The putting strength (nth strength) in the nth round of simulated putting is selected as follows. Referring to FIG. 9, if the position of a virtual golf ball before putting is the starting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hole cup is the target position, and the direction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is the reference direction, the first simulated putting is in the reference direction. The putting strength at this time is set so that the target is a position farther away from the starting position than the target position. That is, if the distance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is 'L', the first strength is set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target position) is 'L+ΔL'. The ΔL is set to approximately 0.5m to 1.5m, preferably 1m. Alternatively, ΔL may be set to be about L/10 to L/5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L)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For example, if the distance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is 5 m, the distance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may be set to 6 m. This means putting with an intensity that can pass the target position 5m ahead by about 1m. The reason why the putting strength is set to a level that can slightly exceed the target position is that if the putting strength is too weak, the putt golf ball may not reach the hole cup due to lack of rolling power, and if the putting strength is too strong, the putt will go in the right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putt golf ball can pass through the hole cup even if it does.

2회차 이후의 모의 퍼팅에 있어서의 퍼팅강도도 마찬가지로 목표가 되는 지점에서 조금 더 떨어져 있는 위치를 타깃으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n회차 모의 퍼팅을 제n 방향으로 한다고 가정하고, 제n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상의 직선이 홀컵(목표지점의 위치)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과 만나는 지점의 위치를 제n 위치라고 하면, 모의 퍼팅의 퍼팅강도(제n 강도)는 제n 위치에서 제n 방향으로 대략 0.5m ~ 1.5m 정도 더 떨어져 있는 위치를 타깃으로 하는 정도의 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 2회차 이후의 모의 퍼팅에 있어서의 퍼팅강도는 이전 회차의 모의 퍼팅에서의 퍼팅 결과를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n회차 모의 퍼팅의 실시 결과 가상의 골프공이 홀인되지 않은 경우에 n회차 모의 퍼팅의 퍼팅강도를 제n 강도라 하고 가상의 골프공이 모의 퍼팅의 결과로서 도달한 위치를 제n 위치라고 가정한다.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상의 골프공이 퍼팅 전에 위치하는 시작위치에서 제n 위치까지의 수직거리(l)가 가상의 골프공이 퍼팅 전에 위치하는 시작위치와 홀컵이 위치하는 목표지점의 위치 사이의 거리(L) 보다 작은 경우, 퍼팅강도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제n+1 강도를 제n 강도보다 크게 설정하고 n+1회차 모의 퍼팅을 실시한다. 또한 반대로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상의 골프공이 퍼팅 전에 위치하는 시작위치에서 제n 위치까지의 수직거리(l)가 가상의 골프공이 퍼팅 전에 위치하는 시작위치와 홀컵이 위치하는 목표지점의 위치 사이의 거리(L) 보다 큰 경우, 퍼팅강도가 너무 강하다고 판단하여 제n+1 강도를 제n 강도보다 작게 설정하고 n+1회차 모의 퍼팅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이전 회차에서의 모의 퍼팅의 결과를 반영하여 다음 회차에서의 모의 퍼팅에서의 퍼팅 강도를 설정하면, 모의 퍼팅을 진행할수록 점점 적정강도에 수렴하여 홀인에 성공하게 되고, 홀인에 성공했을 때의 강도를 퍼팅 강도로 안내하는 퍼팅가이드를 제공하고 모의 퍼팅은 중단된다. The putting intensity in the simulated putting after the second round may also be set as a target at a position slightly further away from the target poi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assuming that n times of mock putting is performed in the n-th direction, a point where a virtual straight line moving along the n-th direction meets a virtual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hole cup (the location of the target point) If the position of is called the n-th position, the putting intensity (n-th intensity) of the simulated putting can be set to a level of intensity that targets a position approximately 0.5m to 1.5m further away from the nth position in the n-th direction. there is. Alternatively, the putting strength of the mock putting after the second round may be set by reflecting the putting result of the previous round of mock putting. Referring to FIG. 11, when the virtual golf ball is not holed as a result of the nth mock putting, the putting strength of the nth mock putting is referred to as nth strength,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virtual golf ball arrives as a result of the simulated putting is nth. Assume the location As shown in FIG. 11 (a), the vertical distance (l) from the starting position where the virtual golf ball is located before putting to the n-th position is the target where the virtual golf ball is located before putting and the hole cup is located. If it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L)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points, it is determined that the putting strength is insufficient, and the n+1th strength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nth strength, and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for the n+1th roun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b), on the contrary, the vertical distance (l) from the starting position at which the virtual golf ball is located before putting to the n-th position is the starting position at which the virtual golf ball is located before putting and the position of the hole cup. If it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L)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target points to be played, it is determined that the putting strength is too strong, and the n+1th strength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nth strength, and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for the n+1th round. In this way, if the putting strength of the mock putting in the next round is set by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mock putting in the previous round, the more the mock putting proceeds, the more it converges to the proper strength and the hole-in is successful. A putting guide that guides strength to putting strength is provided, and mock putting is stopp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으로 형성된 퍼팅가이드를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은 퍼팅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tting guide formed by the above metho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various ways as follows. 12 to 17 show various examples displayed on the screen to provide a putting guide to the user.

도 12를 참조하면, 퍼팅가이드(PG)는 퍼팅에 의하여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예상 궤적을 나타내도록 표시될 수 있다. 앞에서 모의 퍼팅을 통하여 퍼팅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는데, 모의 퍼팅을 하는 경우에는 퍼팅 전 가상의 골프공이 있는 위치에서부터 모의 퍼팅을 통하여 퍼팅에 성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홀컵에 홀인될 때까지의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궤적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기 궤적을 예상 궤적으로서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린 영역에 경사가 있을 때에 상기 예상 궤적은 경사때문에 가상의 골프공이 휘어지는 위치와 어느 정도로 휘어지는지 등을 나타내므로,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예상 궤적으로 퍼팅가이드(PG)를 표시하면, 사용자가 그린 영역의 경사도와 경사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명확하게 파악하여 퍼팅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putting guide PG may be displayed to indicate an expected trajectory of a virtual golf ball moving by putting. Previously, it was explained that a putting guide can be formed through mock putting. In the case of mock putting, the virtual golf ball position before putting to the hole in the hole cup in case of successful putting through mock putting is explained. Since the trajectory of the golf ball can be grasped, the trajectory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an expected trajectory. When there is an inclination in the green area, the expected trajectory indicates the location and degree of bending of the virtual golf ball due to the inclination. Therefore, if the putting guide PG is displayed with the expected trajectory of the virtual golf ball moving, the user can enter the green area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tuitively and clearly grasp the slope and direction of the slope and use it for putting.

도 13을 참조하면, 퍼팅가이드(PG)는 복수로 표시될 수 있다. 퍼팅가이드(PG)에서 나타내는 2가지 주요 정보는 퍼팅방향과 퍼팅강도이다. 퍼팅방향은 그린 영역이 경사져 있는 방향에 따라 달라지고, 퍼팅강도는 그린 영역이 어느 정도의 경사도를 갖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그린 영역의 동일한 위치에서 퍼팅하는 경우에도 퍼팅방향과 퍼팅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린 영역의 경사를 최대한 이용하는 경우에는 퍼팅방향과 강도를 작게 할 수 있고, 그린 영역의 경사를 최소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퍼팅방향과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팅가이드(PG)를 화살표로 표현하여 화살표의 방향으로 퍼팅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의 길이로 퍼팅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퍼팅가이드(PG)는 복수로서 서로 다른 퍼팅방향과 퍼팅강도를 가진 제1 퍼팅가이드(PG1)와 제2 퍼팅가이드(PG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린 영역의 지형이 좌측이 높고 우측이 낮아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져 있다고 가정하면, 퍼팅방향은 가상의 골프공에서 홀컵을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좌측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퍼팅가이드(PG1)는 제2 퍼팅가이드(PG2)에 비하여 더 좌측방향으로 치우쳐 있고, 제1 퍼팅가이드(PG1)는 제2 퍼팅가이드(PG2)에 비하여 더 강한 강도로 설정되어 있다. 가상의 골프공이 퍼팅에 의하여 최초위치에서 퍼팅방향을 따라 출발할 때에는 보통 그린 영역의 경사를 거스르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어느 정도 가상의 골프공이 굴러간 후에는 그린 영역의 경사의 영향을 받아서 가상의 골프공이 굴러가는 방향이 최초의 퍼팅방향으로부터 대략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변경되며, 상기 방향이 변경된 후에 가상의 골프공은 그린 영역의 경사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퍼팅방향은 가상의 골프공이 최초위치에서 그린 영역의 경사를 거스르고 출발하는 방향에 해당하기 때문에, 펴팅방향이 기준방향에 비하여 좌측으로 더 치우치게 되면 그만큼 더 그린 영역의 경사를 거스르고 이동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가상의 골프공은 더 강한 속도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퍼팅가이드(PG1)는 제2 퍼팅가이드(PG2)에 비하여 더 좌측방향으로 치우쳐 있고 이에 따라 제1 퍼팅가이드(PG1)는 제2 퍼팅가이드(PG2)에 비하여 더 강한 퍼팅강도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퍼팅가이드(PG)는 퍼팅방향과 퍼팅강도가 서로 다른 복수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복수의 퍼팅가이드(PG)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퍼팅가이드(PG)를 선택하여 이를 이용하여 퍼팅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3, the putting guide (PG) may be displayed in plurality. The two main pieces of information indicated in the putting guide (PG) are the putting direction and the putting strength. The putting dire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een area is inclined, and the putting strength may vary depending on how steep the green area is. In addition, even when putting at the same location on the green area, the putting direction and putting intensity may be different. When using the slope of the green area as much as possible, the putting direction and strength can be reduced, and when the slope of the green area is used as little as possible, the putting direction and strength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the putting guide PG may be represented by an arrow,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ing the putting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arrow indicating the putting strength. Here, the putting guide (PG) may be composed of a first putting guide (PG1) and a second putting guide (PG2) having different putting directions and putting strengths as a plurality. If it is assumed that the topography of the green area is high on the left and low on the right, so that it slopes from left to right, the putting direction may be set to be bias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from the virtual golf ball to the hole cup. The first putting guide PG1 is more biased to the left than the second putting guide PG2, and the first putting guide PG1 is set to a stronger strength than the second putting guide PG2. When the virtual golf ball starts along the putting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by putting, it usually moves in the direction of going against the slope of the green area. After the virtual golf ball has rolled to some extent, it is affected by the slope of the green area,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ll rolls is changed from the initial putting direction to a substantially opposite direction, and after the direction is changed, the virtual golf ball moves along the slope of the green area. As above, since the putting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irtual golf ball starts from the initial position against the slope of the green area, if the putting direction is more to the left than the reference direction, it moves against the slope of the green area by that much. Therefore, the virtual golf ball needs to move at a higher speed. Therefor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3, the first putting guide (PG1) is biased more leftward than the second putting guide (PG2), and accordingly, the first putting guide (PG1) is the second putting guide ( Compared to PG2), it has stronger putting strength.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tting guide PG may be display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putting directions and putting strengths, and the user selects the putting guide PG he or she want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utting guides PG. Putting can be performed using this.

도 14를 참조하면, 퍼팅가이드(PG)는 복수로 표시되며 복수의 퍼팅가이드(PG)는 각각 골프공의 예상 궤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퍼팅가이드(PG)는 제1 예상 궤적을 나타내는 제1 퍼팅가이드(PG1)와 제2 예상 궤적을 나타내는 제2 퍼팅가이드(PG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퍼팅가이드(PG1)가 가상의 골프공에서 홀컵을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가장 크게 좌측으로 치우쳐 있는 방향을 나타내고, 제2 퍼팅가이드(PG2)가 가상의 골프공에서 홀컵을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가장 작게 좌측으로 치우쳐 있는 방향을 나타낸다면, 제1 퍼팅가이드(PG1)의 퍼팅방향과 제2 퍼팅가이드(PG2)의 퍼팅방향 사이의 퍼팅방향은 퍼팅에 성공할 수 있는 중간정도의 퍼팅방향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예상 궤적으로 퍼팅가이드(PG)를 표현하는 경우에, 제1 퍼팅가이드(PG1)의 예상 궤적과 제2 퍼팅가이드(PG2)의 예상 궤적에 의하여 둘러싸인 소정의 영역(PGA)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 영역(PGA) 내의 적정 방향을 선택하여 퍼팅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4 , a plurality of putting guides PG are display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utting guides PG may be expressed as an expected trajectory of a golf ball. For example, the putting guide PG may include a first putting guide PG1 indicating a first expected trajectory and a second putting guide PG2 indicating a second expected trajectory. The first putting guide PG1 shows the direction that is most leftwardly biased in the direction from the virtual golf ball to the hole cup, and the second putting guide PG2 shows the smallest direction in the direction from the virtual golf ball to the hole cup. If it indicates a direction that is biased to the left, the putting direction between the putting direction of the first putting guide (PG1) and the putting direction of the second putting guide (PG2) can be seen as an intermediate putting direction that can be successful in putting. Therefore, when the putting guide PG is expressed as a plurality of expected trajectories, a predetermined area PGA surrounded by the expected trajectory of the first putting guide PG1 and the expected trajectory of the second putting guide PG2 is displayed The user may select an appropriate direction within this area (PGA) to putt.

도 15를 참조하면, 퍼팅가이드(PG)는 사용자가 퍼팅을 하기 전에 필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퍼팅 전에만 스크린에 표시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퍼팅을 완료한 후에 사용자의 퍼팅에 의하여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인 궤적(T)(실제 퍼팅 궤적)과 퍼팅가이드(PG)로 나타낸 예상 궤적이 함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퍼팅에 실패한 경우에 어떠한 점이 잘못되어 실패한 것인지 체크할 필요가 있는데, 퍼팅가이드(PG)가 나타내는 예상 궤적은 바람직한 퍼팅을 하는 경우의 이상적인 모델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으므로, 퍼팅가이드(PG)와 실제 퍼팅에 의한 결과로서의 궤적(T)이 스크린에 함께 표시되면, 사용자는 양자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퍼팅에 있어서의 문제점(퍼팅방향이 잘못되었다거나 퍼팅강도가 너무 강하거나 약하다는 점 등)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여 퍼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putting guide PG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ly before putting because it is necessary information before the user puts, but in this embodiment,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putt, the virtual golf ball The moving trajectory T (actual putting trajectory) and the expected trajectory indicated by the putting guide PG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hen a user fails to putt, it is necessary to check what is wrong and failed. Since the expected trajectory indicated by the putting guide (PG) can be seen as representing an ideal model for a desirable putting, the putting guide (PG) and the actual putting When the trajectory (T) as a result of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the user identifies problems in his/her putting (wrong putting direction, too strong or weak putting strength, etc.) You can improve your putting ability by supplementing it.

도 16을 참조하면, 스크린에 퍼팅가이드(PG)는 퍼팅방향이나 강도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표시되고 이에 더하여 부가정보(PI)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정보(PI)로서 홀컵에 인접한 인접 영역의 경사도 등과 같은 지형 정보가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홀컵과 인접한 영역에서의 경사도는 골프공이 홀컵에 홀인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 홀컵 근방 영역의 경사도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일예로서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경사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의 갯수로 경사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putting guide PG on the screen is displayed as an arrow indicating the putting direction or strength, and may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PI in addition to this. For example, topographical information such as a gradient of an adjacent area adjacent to a hole cup may be separately displayed as additional information PI. An inclination in an area adjacent to the hole cup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golf ball is holed into the hole cup. The gradient of the region near the hole cup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6,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s the direction of inclination and the number of arrows indicates the degree of inclination.

홀컵 근방의 좌측 영역(A1)에 홀컵 방향으로 내리막 경사가 있다면 가상의 골프공은 해당 영역(A1)을 경유하는 경우에는 해당 경사를 따라 쉽게 홀인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하여 홀컵 근방의 아랫쪽 영역(A2)에 홀컵의 반대 방향으로 내리막 경사(홀컵 방향으로 오르막 경사)가 있다면 가상의 골프공은 해당 영역(A2)을 경유하는 경우에는 경사에 밀려서 쉽게 홀인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홀컵 근방의 우측 영역(A3)에 홀컵의 반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내리막 경사(홀컵 방향으로 오르막 경사)가 있다면 가상의 골프공은 해당 영역(A3)을 경유하는 경우에 경사에 밀려서 쉽게 홀인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홀컵에 인접하여 있는 근방 영역의 경사도는 홀컵 근방까지 굴러간 가상의 골프공을 홀컵까지 쉽게 인도하거나 또는 홀컵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서, 퍼팅의 성공 여부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며 퍼팅을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주요 관심사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반영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퍼팅가이드(PG)의 부가정보(P1)로서 상기 홀컵 근방 영역의 지형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한다. If there is a downward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hole cup in the left region A1 near the hole cup, the virtual golf ball may be easily holed in along the slope when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region A1. In contrast, if there is a downhill slope (uphill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hole cup)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ole cup in the lower area A2 near the hole cup, the virtual golf ball is likely to be pushed by the slope and not easily holed in when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area A2 there is In addition, if there is a downhill slope (uphill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hole cup)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ole cup in the right area A3 near the hole cup, the virtual golf ball is pushed by the slope when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area A3. There is a possibility. As such, the slope of the area adjacent to the hole cup can act a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an easily guide a virtual golf ball that has rolled up to the hole cup to the hole cup or get it out of the hole cup, so i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determine the success of putting. It is a factor and can be a major concern for users who perform putting. Reflecting this point, in the present embodiment,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near the hole cup is provided as additional information P1 of the putting guide PG.

도 17을 참조하면, 퍼팅가이드(PG)는 복수로 표시되며 복수의 퍼팅가이드(PG)는 각각 골프공의 예상 궤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퍼팅가이드(PG)는 제1 예상 궤적을 나타내는 제1 퍼팅가이드(PG1)와 제2 예상 궤적을 나타내는 제2 퍼팅가이드(PG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퍼팅가이드(PG1)는 홀컵 근방의 제1 영역(A1)을 경유하고 제2 퍼팅가이드(PG2)는 홀컵 근방의 제2 영역(A2)을 경유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영역(A1, A2)의 지형 특성에 따른 퍼팅의 유불리를 고려하여 제1 및 제2 퍼팅가이드(PG1, PG2)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고 나머지를 비추천하거나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A1)은 홀컵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고 제2 영역(A2)은 홀컵과 반대 방향으로 급경사를 이루어 있어서 통상의 사용자에게는 제1 영역(A1)이 퍼팅에 유리하다고 하면, 제1 및 제2 퍼팅가이드(PG1, PG2)를 함께 표시하되 제1 퍼팅가이드(PG1)를 추천한다는 메시지(또는 제2 퍼팅가이드(PG2)를 비추천한다는 메시지)가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또는 사운드부(50)를 통하여 음성으로 추천/비추천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추천된 제1 퍼팅가이드(P1)를 이용하여 퍼팅할 수 있고, 또는 어려운 난이도에 도전하는 입장에서 일부러 제2 퍼팅 가이드(P2)를 이용하여 퍼팅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7, a plurality of putting guides PG are display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utting guides PG may be expressed as an expected trajectory of a golf ball. For example, the putting guide PG may include a first putting guide PG1 indicating a first expected trajectory and a second putting guide PG2 indicating a second expected trajectory. As shown in FIG. 17, when the first putting guide PG1 passes through the first area A1 near the hole cup and the second putting guide PG2 passes through the second area A2 near the hole cup ,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utting guides PG1 and PG2 is recommended in consideration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utting according to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A1 and A2, and the others are not recommended or not recommended. can For example, if the first area A1 is gently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hole cup and the second area A2 is steeply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ole cup, the first area A1 is advantageous for putting to normal users. , The first and second putting guides PG1 and PG2 are displayed together, but a message recommending the first putting guide PG1 (or a message not recommending the second putting guide PG2)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lternatively, a recommendation/non-recommendation message may be transmitted by voice through the sound unit 50).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putt using the recommended first putting guide P1, or to putt using the second putting guide P2 on purpose in a position to challenge a difficult level of difficulty.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8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복수의 부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각 부스(101, 102, 103)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부스(101)는 타격 플레이트(101a), 키오스크 화면이 구비된 시뮬레이터 기기(101b), 스크린(101c) 등을 가지고 있고, 다른 부스(102, 103)도 동일한 구성품을 가지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부스(101, 102, 103)에는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등을 비롯한 다른 기기가 더 구비되어 있다. 각 부스(101, 102, 103)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번갈아가면서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각 부스(101, 102, 103)에서는 사용자 혼자서 다른 부스의 사용자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솔로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시뮬레이터 기기(101b)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퍼팅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퍼팅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 the virtual golf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booths 101, 102, and 103. Each booth 101, 102, 103 is configured identically. For example, the first booth 101 has a hitting plate 101a, a simulator device 101b equipped with a kiosk screen, a screen 101c, and the like, and the other booths 102 and 103 also have the same component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each booth 101, 102, 103 is further equipped with other devices including a camera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 golf ball. In each of the booths 101, 102, and 103, a plurality of users can alternately play golf. Alternatively, in each of the booths 101, 102, and 103, the user alone can enjoy a solo play while being separated from users of other booths. The simulator device 101b of the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rol unit identical to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and a putting guide that informs the user of pu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도 19는 복수의 가상 골프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그린 영역의 지형 특성에 대한 부가정보를 스크린에 표시하는 일예를 나타낸다.19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virtual golf devices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FIG. 20 shows an example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 green area on a screen.

도 19를 참조하면, 가상 골프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 및 서버유닛(2)을 포함한다. 스크린 골프장(1)에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18 등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가상 골프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스크린 골프장(1)에 구비된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서버유닛(2)과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각 스크린 골프장(1)은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에게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의 역할을 한다. 서버유닛(2)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을 운영하는 서비스 업자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에 구비되어 있는 가상 골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앙서버가 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먼저 로그인을 수행하는데, 서버유닛(2)은 로그인을 할 때에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유닛(2)에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3)가 구비되어 있다. 저장부(3)에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각 사용자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다. 각 사용자에 대한 저장영역에는 신상정보, 플레이 정보, 설정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신상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로그인 과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 정보로는 해당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이나 과거 플레이 기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용자의 개인기록(클럽별 평균비거리, 평균타수 등)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사항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과거 플레이 하였던 골프장, 플레이 난이도, 플레이 방식, 선호하는 동작조건 등을 설정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매번 플레이할 때마다 각종 선택사항을 입력하는 것을 번거롭게 생각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선택사항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사항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3)에 다양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됨으로써, 서버유닛(2)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린 골프장(1)의 가상 골프 장치들은 서버유닛(2)에 유선 및/또는 무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장부(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함께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스크린 골프장(1) 각각에서는 사용자의 정보를 별도로 저장할 필요가 없다. 각 스크린 골프장(1)의 가상 골프 장치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퍼팅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퍼팅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팅가이드(PG)는 퍼팅방향과 퍼팅강도를 나타내는 화살표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정보로서 홀컵 근방의 복수의 영역(A1, A2)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A1)은 퍼팅에 성공확률이 높은 영역을 나타내고, 제2 영역(A2)은 퍼팅에 성공확률이 낮은 영역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퍼팅의 성공확률은 과거 플레이어들이 해당 골프코스에서 플레이했던 기록을 분석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저장부(3)에 사용자 개인의 플레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특정 골프코스에서 사용자들의 기록을 취합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취합 정보를 분석하면 사용자들이 퍼팅에 성공했을 때에 골프공이 지나가는 경로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영역을 제1 영역(A1)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들이 퍼팅에 실패했을 때에 골프공이 지나가는 경로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영역을 제2 영역(A2)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과거 플레이 기록이라는 객관적인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성공 확률이 높은 제1 영역(A1)를 타깃으로 퍼팅할 수 있고, 또는 성공 확률이 낮아서 일부러 도전한다는 마음으로 제2 영역(A2)을 타깃으로 퍼팅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영역(A1, A2)의 2개 영역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더 많은 수의 영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영역(A1, A2)은 시각적으로 쉽게 식별되도록 서로 다른 컬러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A1)은 블루나 그린 계통의 컬러로 표현하고 제2 영역(A2)은 레드 계통의 컬러로 표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a system in which virtual golf devices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includes a plurality of screen golf courses 1 and a server unit 2. The screen golf course 1 is provided with virtual golf devices as shown in FIGS. 1 to 18 and the like so that screen golf play can be enjoyed. The virtual golf device provided in the screen golf course 1 is connected to the server unit 2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ach screen golf course 1 serves as a service providing unit providing a screen golf service to the user when login is made. The server unit 2 may be a central server used by a service provider operating a plurality of screen golf courses 1 to manage virtual golf device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screen golf courses 1 . A user who wants to use the screen golf service logs in first to receive the service, and the server unit 2 can confirm the user's identity when logging in and determine whether to approve the log-in. To this end, the server unit 2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3 that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verifying the user's identity. In the storage unit 3,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users is stored separately for each user. In the storage area for each user, personal information, play information,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stored. The personal information is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can be used in a log-in process or the like. The play information may include a past play record of the corresponding user or a user's personal record (average distance per club, average number of strokes, etc.) obtained from the past play record.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items set by the user, and the like. For example, a golf course the user has played in the past, play difficulty, play method, and preferred operating conditions may be stored as setting information. Users may find it cumbersome to input various options every time they play, but if the user does not input the options, the options may be automatically set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is way, by storing various user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3, the virtual golf devices of the screen golf course 1 connected to the server unit 2 are connected to the server unit 2 by wire and/or wirelessly. In this stat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3 can be commonly used together, and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store user information in each screen golf course 1. The virtual golf device of each screen golf course 1 is provided with the same or similar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and a putting guide that informs the user of information on putting can be provided through the control uni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0, the putting guide PG may be represented by an arrow indicating a putting direction and a putting strength. Also, as additional information, a plurality of areas A1 and A2 near the hole cups may be displayed.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the first area A1 may represent an area with a high probability of success in putting, and the second area A2 may indicate an area with a low probability of success in putting. The probability of success of putting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records played by players in the past on the corresponding golf course. That is, since the user's individual play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by collecting records of users on a specific golf course. If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analyzed, the golf ball passes when the users successfully putt. An area containing many paths may be displayed as a first area A1, and an area containing many paths through which golf balls may pass when users fail in putting may be displayed as a second area A2. This is the result of statistically analyzing objective data such as past play record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putt the first area (A1) with a high probability of success according to one's preference, or to deliberately challenge because the probability of success is low. You can putt the second area A2 as a target with your mind. Here, an embodiment in which two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A1 and A2 are displayed has been described, but a larger number of areas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1 and A2 may be expressed in different colors so as to be visually easily identified. For example, the first area A1 may be expressed in blue or green color, and the second area A2 may be expressed in red color.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스크린 골프장
2: 서버유닛
10: 타격 플레이트
20: 제어부
30: 감지부
40: 입력부
50: 사운드부
60: 표시부
1: Screen golf course
2: server unit
10: hitting plate
20: control unit
30: sensing unit
40: input unit
50: sound unit
60: display unit

Claims (12)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그린 영역 및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는 단계;
퍼팅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퍼팅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퍼팅에 의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예상 궤적을 표시하며,
상기 예상 궤적은 상기 가상의 골프공에 대해서 적어도 1 회 이상의 모의 퍼팅을 실시하여 얻어지고,
상기 모의 퍼팅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퍼팅가이드에 대해 각각 복수회 실시되고, 상기 모의 퍼팅의 실시 결과 상기 제1 및 제2 퍼팅가이드 중에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상기 홀컵에 홀인되는 횟수가 최대인 것을 상기 퍼팅가이드로서 표시하는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displaying a green area where a virtual golf ball before putting is located and a hole cup that is a target point of putting;
Generating a putting guide representing putt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putting guide;
include,
The putting guide displays an expected trajectory of the virtual golf ball moving by putting,
The expected trajectory is obtained by performing at least one mock putt on the virtual golf ball,
The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utting guides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display as the putting guide
How to form a putting guide.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그린 영역 및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는 단계;
퍼팅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퍼팅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퍼팅에 의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예상 궤적을 표시하되, 상기 퍼팅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예상 궤적에 의하여 둘러싸인 소정의 영역을 표시하는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displaying a green area where a virtual golf ball before putting is located and a hole cup that is a target point of putting;
Generating a putting guide representing putt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putting guide;
include,
The putting guide displays an expected trajectory of the virtual golf ball moving by putting, and displays a predetermined area surrounded by at least two or more different expected trajectories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putting guide.
How to form a putting guid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퍼팅을 완료한 후, 사용자의 퍼팅에 의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인 궤적과 상기 예상 궤적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forming a putting guid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 trajectory of the virtual golf ball moved by the user's putting and the expected trajectory together after the user completes putt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궤적은 상기 가상의 골프공에 대해서 적어도 1회 이상의 모의 퍼팅을 실시하여 얻어지는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expected trajectory is obtained by performing at least one simulated putting on the virtual golf bal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퍼팅은 복수의 방향에 대해서 각 방향마다 복수회 실시되고, 상기 모의 퍼팅의 실시 결과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상기 홀컵에 홀인되는 횟수가 최대인 경우의 방향을 상기 퍼팅가이드에 있어서의 퍼팅방향으로 하는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in each direction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as a result of the simulated put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number of times the virtual golf ball is holed into the hole cup is the maximum is referred to as the putting direction in the putting guide. How to form a putting gui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퍼팅은 n회차 모의 퍼팅을 제n 방향으로 실시하며(n은 1이상의 자연수),
상기 n회차 모의 퍼팅의 실시 결과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상기 홀컵에 홀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n 방향을 상기 퍼팅가이드의 방향으로 하고, 상기 n회차 모의 퍼팅의 실시 결과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상기 홀컵에 홀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n 방향을 제n+1 방향으로 변경하고 n+1회차 모의 퍼팅을 실시하는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mock putting is performed n times in the n-th direction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When the virtual golf ball is holed in the hole cup as a result of the nth round of mock putting, the nth direction is the direction of the putting guide, and as a result of the nth round of mock putting, the virtual golf ball is holed in the hole cup. If not, the putting guide forming method of changing the n-th direction to the n + 1-th direction and performing simulated putting n + 1 times.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그린 영역 및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는 단계;
퍼팅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퍼팅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퍼팅방향 및 퍼팅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홀컵에 인접한 인접 영역만의 지형 특성을 별도로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인접 영역의 경사도 및 경사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displaying a green area where a virtual golf ball before putting is located and a hole cup that is a target point of putting;
Generating a putting guide representing putt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putting guide;
include,
The putting guide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putting direction and a putting strength, and further includes additional information separately indicating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only an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hole cup,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rectly indicates at least one of a slope and a slope direction of the adjacent area.
How to form a putting gui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인접 영역 중에서 과거 사용자들의 플레이 기록상 퍼팅의 성공확률이 높거나 낮은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n area having a high or low probability of success in putting based on past users' play records among the adjacent areas.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그린 영역 및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는 단계;
퍼팅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퍼팅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퍼팅방향 및 퍼팅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홀컵에 인접한 인접 영역만의 지형 특성을 별도로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정보에 의하여 상기 지형 특성이 나타내지는 상기 인접 영역은 서로 다른 지형 특성을 가지며 서로 구분되어 있는 복수의 인접 영역을 포함하는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displaying a green area where a virtual golf ball before putting is located and a hole cup that is a target point of putting;
Generating a putting guide representing putt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putting guide;
include,
The putting guide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putting direction and a putting strength, and further includes additional information separately indicating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only an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hole cup,
The adjacent area in which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re indicated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djacent areas having different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being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How to form a putting guid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가이드는 상기 홀컵에 인접한 인접 영역의 지형 특성을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하는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putting guide further comprises add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n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hole cup.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그린 영역 및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퍼팅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그린 영역에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퍼팅 단계에서 퍼팅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퍼팅에 의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예상궤적을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에 대해서 적어도 1 회 이상의 모의 퍼팅을 실시하여 상기 예상궤적을 획득하고, 또한 상기 모의 퍼팅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퍼팅가이드에 대해 각각 복수회 실시되고, 상기 모의 퍼팅의 실시 결과 상기 제1 및 제2 퍼팅가이드 중에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이 상기 홀컵에 홀인되는 횟수가 최대인 것을 상기 퍼팅가이드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green area where a virtual golf ball before putting is located and a hole cup that is a target point of putting; and
a control unit that calculates a motion of the virtual golf ball in the green area based on a result of putting a real golf ball by a user;
include,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putting guide representing putting information in a putting step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nd the putting guide displays an expected trajectory of the virtual golf ball moving by putting,
The control unit acquires the expected trajectory by performing mock putting on the virtual golf ball at least once, and the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respectively, for first and second putting guides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imulated putting is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As a result of putting, providing the user with the maximum number of times the virtual golf ball is holed in the hole cup among the first and second putting guides as the putting guide
virtual golf device.
퍼팅 전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그린 영역 및 퍼팅의 목표지점인 홀컵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퍼팅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그린 영역에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퍼팅 단계에서 퍼팅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는 퍼팅방향 및 퍼팅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홀컵에 인접한 인접 영역만의 지형 특성을 별도로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인접 영역의 경사도 및 경사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가상 골프 장치.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green area where a virtual golf ball before putting is located and a hole cup that is a target point of putting; and
a control unit that calculates a motion of the virtual golf ball in the green area based on a result of putting a real golf ball by a user;
include,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putting guide indicating putting information in a putting step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e putting guide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putting direction and a putting strength, and also the topography of only an area adjacent to the hole cup. It further includes add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characteristics separately,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rectly indicates at least one of a slope and a slope direction of the adjacent area.
virtual golf device.
KR1020210077089A 2021-06-15 2021-06-15 Method for form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Active KR1025403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089A KR102540397B1 (en) 2021-06-15 2021-06-15 Method for form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089A KR102540397B1 (en) 2021-06-15 2021-06-15 Method for form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193A KR20220168193A (en) 2022-12-23
KR102540397B1 true KR102540397B1 (en) 2023-06-08

Family

ID=8453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089A Active KR102540397B1 (en) 2021-06-15 2021-06-15 Method for form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39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324B1 (en) * 2017-06-15 2018-10-08 주식회사 에스지엠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717B1 (en) * 2011-10-27 2014-04-18 마음골프 주식회사 Screen golf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KR101433031B1 (en) * 2011-11-23 2014-08-25 (주) 알디텍 Screen golf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utting simul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324B1 (en) * 2017-06-15 2018-10-08 주식회사 에스지엠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193A (en)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2604A1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sports device
KR20240060560A (en) Virtual sports device providing contents images
KR102540397B1 (en) Method for form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KR102644005B1 (en) Virtual golf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JP7495730B2 (en)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multiple play modes and virtual golf system using the same
KR20220168192A (en) Method for form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KR102565110B1 (en)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putting practice mode and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KR102752823B1 (en)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putting guide images
KR102442476B1 (en)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golf play information
KR102617566B1 (en) Virtual golf device showing the area around hole cup
KR20230112768A (en) Method for provid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KR102814204B1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golf system providing golf match with virtual player
KR102807928B1 (en) Method for evaluating shot of golf ball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KR102807926B1 (en) Virtual golf device availble for left-handed and right-handed users
KR20250093634A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golf system informing putting information
KR102735322B1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golf system setting goal
US20220176227A1 (en) Virtual golf device, virtual golf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irtual golf device
KR102807927B1 (en) Virtual golf device capable of applying various game rules and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KR20250021405A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golf system informing putting information
KR102551375B1 (en) Virtual golf device selecting play timing
KR20230049157A (en) Virtual golf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real images of green area
KR20250033504A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golf system showing modified green area
KR20250007477A (en) Virtual golf system providing virtual character
KR20230020076A (en)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KR20240173225A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golf system providing putting play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