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852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Line on the Basis of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I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Line on the Basis of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I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9852B1 KR102539852B1 KR1020210084389A KR20210084389A KR102539852B1 KR 102539852 B1 KR102539852 B1 KR 102539852B1 KR 1020210084389 A KR1020210084389 A KR 1020210084389A KR 20210084389 A KR20210084389 A KR 20210084389A KR 102539852 B1 KR102539852 B1 KR 1025398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ire
- temperature
- server
- artificial intelligence
- fluid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85 electric 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HMUNWXXNJPVALC-UHFFFAOYSA-N 1-[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N1CC2=C(CC1)NN=N2)=O HMUNWXXNJPVA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JLUBHOZZTYQIP-UHFFFAOYSA-N 2-[5-[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1,3,4-oxadiazol-2-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NN=C(O1)CC(=O)N1CC2=C(CC1)NN=N2 YJLUBHOZZTYQ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ONKBQPVFMXDOV-QHCPKHFHSA-N 6-[(5S)-5-[[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methyl]-2-oxo-1,3-oxazolidin-3-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H]1CN(C(O1)=O)C1=CC2=C(NC(O2)=O)C=C1 CONKBQPVFMXDOV-QHCPKHFH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DXJRKWFNNFDSA-UHFFFAOYSA-N 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N(CC2=NNN=C21)CC(=O)N3CCN(CC3)C4=CN=C(N=C4)NCC5=CC(=CC=C5)OC(F)(F)F LDXJRKWFNNFD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XAMGRAIZSSWIH-UHFFFAOYSA-N 2-[3-[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1,2,4-oxadiazol-5-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NOC(=N1)CC(=O)N1CC2=C(CC1)NN=N2 SXAMGRAIZSSWI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LZOPXRUQYQQID-UHFFFAOYSA-N 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O)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 YLZOPXRUQYQQ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FGKGUXTPFWHIX-UHFFFAOYSA-N 6-[2-[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acet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O)C1=CC2=C(NC(O2)=O)C=C1 DFGKGUXTPFWHI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EXFNLNNUZKHNO-UHFFFAOYSA-N 6-[3-[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idin-1-yl]-3-oxoprop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CCN(CC1)C(CCC1=CC2=C(NC(O2)=O)C=C1)=O DEXFNLNNUZKH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PNSKYNPDTRPC-UHFFFAOYSA-N N-[2-oxo-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NIPNSKYNPDTR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으로 열선을 무선 제어하여 유체파이프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동파방지를 위하여 유체파이프의 외측에 구간별로 형성되는 열선과 복수의 열선에 각각 형성되며, 열선의 온도를 제어하는 중계서버와 복수의 중계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메인서버와 메인서버에 형성되며, 유체파이프의 인접 외기 온도에 따라 복수의 중계서버를 제어하는 인공지능서버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apable of preventing freezing of a fluid pipe by wirelessly controlling a hot wir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pecifically, to prevent freezing of a fluid pipe, a section outside the fluid pipe It is formed in each hot wire and a plurality of hot wires formed separately, and is formed in a relay server that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ire and a main server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relay servers, and a plurality of relay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adjacent outside air of the fluid pipe. A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controlling the server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공지능으로 열선을 무선 제어하여 유체파이프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apable of preventing freezing of a fluid pipe by wirelessly controlling a hot wir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특허문헌 001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전기열선 제어장치는, 전기담요, 전기요, 전기이불, 전기장판, 전기돌침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전기열선을 제어하는 전기열선 제어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전기열선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기; 온도설정기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페어링을 설정하는 페어링설정기; 페어링설정기를 통해 온도설정기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과 페어링이 설정되면, 온도설정기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과 연결된 유선을 개방하고 온도설정기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본체무선통신기; 및 온도설정기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전기열선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1 is an electric heating wire control device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electric heating wir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heating wir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an electric blanket, an electric blanket, an electric blanket, an electric pad, and an electric stone bed,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installed, a temperature setter for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a pairing setter connected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mperature setter by wire to set pairing; When pairing wit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mperature setter is set through the pairing setter, the wire connected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mperature setter is opene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ain body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mperature setter;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t by the temperature setter.
특허문헌 002는 보안 구역 내 설치된 열선감지기를 통해 상기 보안 구역 내 열량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초저전력을 소비하는 슬립 모드에서 상기 초저전력 이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감지된 열량에 기초한 이상 상태의 발생 판단 처리와 상기 이상 상태의 발생에 따른 침입 감지 신호의 생성 및 무선 송출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 열선감지장치 및 상기 무선 열선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침입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보안 구역에 대한 실시간 경보 처리를 수행하는 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In Patent Document 002, when the amount of heat in the security area is detected through a heat wire detector installed in the security area, the sleep mode that consumes a predetermined ultra-low power is switched to a wake-up mode that consumes more than the ultra-low power, and the detected heat amount A wireless hot wire detection device that performs processing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based on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 state, generation of an intrus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 state, and wireless transmission processing, and receiving the intrus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wireless hot wire detection device, and detecting the intrusion A technique including a main controller performing real-time alarm processing for the security area according to a signal is proposed.
특허문헌 003은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제어 객체로 전송하는 열선 무선 송신기에 있어서,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인체로부터 방사된 열선(heat ray)을 감지함으로써, 사람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를 감지하는 휴먼 센서; 및 상기 휴먼 센서로부터 공급된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임의의 시구간(time interval)에서 상기 제어 객체를 제어하기 위해 두 개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고 전송하며,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에, 상기 휴먼 센서로부터 공급된 상기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제1 제어 신호의 출력으로부터 임의의 시구간에서 상기 제어 객체의 가동 시간(drive time)을 연장하기 위한 확장 신호(extension signal)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3 detects whether a person exists or does not exist by detecting heat rays emitted from a human body existing in a sensing area in a heat ray wireless transmitter that transmits a radio signal to a control object a human sensor;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wo control signals to control the control object in an arbitrary time interval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human sensor, and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human sensor A control unit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extension signal for extending the drive time of the control object in an arbitrary time period from the output of the firs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supplied from technology is presented.
특허문헌 004는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조명 장치로 송신하는 열선 무선 송신기(heat ray wireless transmitter)에 있어서, 상기 열선 무선 송신기는, 감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몸으로부터 방출된 열을 감지함으로써,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사람 감지기(human sensor);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위 밝기(ambient lightness)를 감지하는 밝기 감지기(lightness sensor); 및 상기 사람 감지기에 의해 사람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밝기 감지기로부터 공급된 감지 신호에 기초한 상기 주위 밝기를 나타내는 조도 신호(illuminance signal)와, 조명 기구를 점등하는 점등 시간을 나타내는 점등 시간 신호로 이루어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자체 내부 타이머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점등 시간 신호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기 점등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4 is a heat ray wireless transmitter that transmits a radio signal to a lighting device, wherein the heat ray wireless transmitter detects heat emitted from a human body existing in a sensing area, a huma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a person is present; a lightness sensor that detects ambient lightness at preset time intervals; and an illuminance signal indicating the ambient brightness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brightness sensor and a lighting time signal indicating a lighting time for lighting the lighting fixture when the presence of a person is detected by the person detector.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med and counts the lighting time indicated by the lighting time signal by activating its own internal timer simultaneously with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은 인공지능으로 열선을 무선 제어하여 유체파이프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apable of preventing freezing of a fluid pipe by wirelessly controlling a hot wir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동파방지를 위하여 유체파이프(10)의 외측에 구간별로 형성되는 열선(100); 복수의 상기 열선(100)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열선(100)의 온도를 제어하는 중계서버(200);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와 무선 통신하는 메인서버(300); 상기 메인서버(300)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파이프(10)의 인접 외기 온도에 따라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를 제어하는 인공지능서버(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t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열선(100); 중계서버(200); 메인서버(300); 인공지능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열선(100)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파이프(10)에 접하는 전류코일(110); 상기 전류코일(1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중계서버(200)에 연결되는 연결코일(120);을 부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cludes th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열선(100); 중계서버(200); 메인서버(300); 인공지능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중계서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열선(100)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210); 상기 중계서버(2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파이프(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20);를 부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cludes th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열선(100); 중계서버(200); 메인서버(300); 인공지능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중계서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센서(220)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를 상기 메인서버(300)로 무선 송신하는 중계통신부(230); 상기 무선통신부에 형성되며, 상기 인공지능서버(400)에서 수신받은 정보로 상기 열선(100)의 전류 공급 및 온도를 조작하는 조작부(240);를 부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cludes th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열선(100); 중계서버(200); 메인서버(300); 인공지능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메인서버(300)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와 무선 통신하는 메인통신부(310); 상기 메인통신부(310)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320); 정전시 통신 유지를 위한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전류공급부(330);를 부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cludes th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열선(100); 중계서버(200); 메인서버(300); 인공지능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메인통신부(310)는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와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RF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것;을 부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cludes th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열선(100); 중계서버(200); 메인서버(300); 인공지능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인공지능서버(40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열선(100) 제어를 위한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설정부(410); 상기 설정부(410)에서 설정된 설정온도와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인접 외기 온도를 비교하는 비교부(420); 상기 비교부(420)에서 비교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430);를 부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cludes th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열선(100); 중계서버(200); 메인서버(300); 인공지능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설정부(410)는 상기 열선(100)이 설치된 구간, 계절, 시간에 따라 설정온도를 각각 설정하는 것;을 부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cludes th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청구항 1의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유체파이프(10) 및 인접 외기 온도를 취합하여 메인서버(300)에서 열선(100)의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설정단계(S1100); (b) 상기 설정단계(S1100) 후, 유체파이프(10)에 구간마다 설치된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유체파이프(10)의 표면온도 및 인접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200); (c) 상기 측정단계(S1200) 후,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측정온도를 메인서버(300)와 무선 통신하는 제 1통신단계(S1300); (d) 상기 제 1통신단계(S1300) 후, 인공지능서버(400)에서 설정온도와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측정온도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1400); (e) 상기 비교단계(S1400) 후, 상기 인공지능서버(400)에서 각각의 상기 중계서버(200)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하는 제 2통신단계(S1500); (f) 상기 제 2통신단계(S1500) 후,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상기 유체파이프(10)에 구간마다 감싸는 열선(100)에 전류를 공급하는 열선제어단계(S1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 a main server (300) ) Setting step of setting the set temperature of the hot wire 100 (S1100); (b) after the setting step (S1100), a measuring step (S1200) of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설정단계(S1100); 측정단계(S1200); 제 1통신단계(S1300); 비교단계(S1400); 제 2통신단계(S1500); 열선제어단계(S16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열선제어단계(S1600)는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구간의 열선(100)에 전류를 공급하여 유체파이프(10)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을 부가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cludes the setting step (S1100) presented above; Measuring step (S1200); A first communication step (S1300); Comparison step (S1400); a second communication step (S1500); In the invention consisting of a hot wire control step (S1600), the hot wire control step (S1600) supplies current to the
본 발명은 열선이 유체파이프에 구간별로 설치됨에 따라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 waste can be reduced as the hot wire is installed section by section in the fluid pipe.
본 발명은 인공지능(AI)서버에서 설정온도와 측정온도를 비교하여 열선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control the hot wire by comparing the set temperature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rver.
본 발명은 무선 통신으로 열선을 제어함에 따라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by controlling the hot wire by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유체파이프의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를 측정하여 열선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ontrol the heating wire by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luid pipe and the outside air temperature.
본 발명은 메인서버와 무선 통신된 중계서버에서 열선의 온도 및 on/off를 제어함에 따라 각각의 열선의 파손 및 고장을 간단히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eakage and failure of each hot wire can be easily identifi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on/off of the hot wire in a relay serve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main server.
도 1는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을 나타낸 개념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클립이 설치된 유체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클립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uilding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and 3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id pipe in which the fixing cli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clip shown in Figure 4;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o the ext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Numbers cited in the examples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referenced subject and can be applied to all examples. An object that exhibits the same purpose and effect as the configuration presented in the embodiment corresponds to an equivalent replacement object. The high-level concept presented in the examples includes sub-concept objects that are not described.
(실시예 1-1)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동파방지를 위하여 유체파이프(10)의 외측에 구간별로 형성되는 열선(100); 복수의 상기 열선(100)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열선(100)의 온도를 제어하는 중계서버(200);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와 무선 통신하는 메인서버(300); 상기 메인서버(300)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파이프(10)의 인접 외기 온도에 따라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를 제어하는 인공지능서버(400);를 포함한다.(Embodiment 1-1)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herein the
(실시예 1-2)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유체파이프(10)는 온수, 냉수, 소방수 중 선택된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Embodiment 1-2)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eating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1-1, the
(실시예 1-3)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열선(100)은 상기 유체파이프(10)에 복수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설치됨에 따라 구간별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Example 1-3)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1-2, the
(실시예 1-4)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200)는 벽체 및 바닥에 매립 및 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Embodiment 1-4)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1-1, the
(실시예 1-5)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300)는 상기 유체파이프(10)가 구비되는 실내 또는 건물(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Embodiment 1-5)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eating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1-1, th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건물(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실, 지하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유체파이프(10)의 동파방지를 위하여 형성되는 열선(100)을 인공지능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형 건물(20)의 지하 주차장 또는 다양한 용도의 실에 설치되는 냉수, 온수, 소방수 등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 파이프로 형성되는 유체파이프(10)의 동파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열선(100)을 구간별로 제어하는 것으로 열선(100)은 메인서버(300)에서 무선 통신으로 제어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eating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pecifically, a heating wire formed to prevent freezing of a
이때, 열선(100)은 구간별로 형성되어 복수로 형성됨에 따라 각각의 열선(100)은 중계서버(200)가 형성되며, 중계서버(200)는 인공지능으로 제어됨에 따라 각각의 열선(100)의 구동 및 온도가 제어된다. 그리고 유체파이프(10)의 외측에 감싸지는 열선(100)은 유체파이프(10)에 복수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구간별로 각각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열선(100)은 동파방지를 위하여 유체파이프(10)의 전체를 감싸거나 동파가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유체파이프(10)의 동파 위치는 예측이 어려우므로 일부를 감싸는 것은 동파 방지가 되지 않으며, 유체파이프(10)의 전체를 열선(100)으로 감쌀 경우 동파가 방지되지 않는 위치까지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열선(100)이 등간격으로 구간별로 구획되어 제어됨에 따라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s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중계서버(200)에서 열선(100)을 제어하는 메인서버(300)에 인공지능 서버가 형성되어 유체파이프(10)의 온도를 측정하여 열선(100)을 구동하지 않고 외기온도와 실내 온도 등의 유체파이프(10)의 인접 외기 온도로 동파를 예측하여 유체파이프(10)에 열을 가하는 것이다. 이는 유체파이프(10)의 온도를 측정한 후 열선(100)에 열을 공급할 경우 열이 공급되기 전 유체파이프(10) 내부가 얼은 상태일 수 있으므로 사전에 유체파이프(10)에 일정한 열을 가하여 유체파이프(10)의 피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is formed in the
이와 같이 유체파이프(10)에 구간별로 설치되는 열선(100)은 중계서버(200)가 형성되며, 중계서버(200)는 메인서버(300)와 무선으로 통신함에 따라 케이블 배선의 낭비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계서버(200)는 벽체, 바닥에 매립되어 형성되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되어 메인서버(300)와 무선통신하는 것이며, 메인서버(300)는 각 실에 설치되거나 건물(20) 전체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각각의 중계서버(200)를 인공지능으로 제어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실시예 2-1)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열선(100)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파이프(10)에 접하는 전류코일(110); 상기 전류코일(1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중계서버(200)에 연결되는 연결코일(120);을 포함한다.(Example 2-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 Example 1-1, it is formed on the
(실시예 2-2)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열선(100)은 과부하를 방지하는 열선(100)감시제어반;을 포함한다.(Embodiment 2-2)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2-1, the
(실시예 2-3)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열선(100)감시제어반은 과부하가 발생할 시 전류를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Example 2-3)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2-1, the
(실시예 2-4)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열선(100)은 식별 코드를 할당받는 것;을 포함한다.(Embodiment 2-4)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Example 2-2, that the
본 발명은 열선(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열선(100)은 금속,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유체파이프(10)의 외측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것으로 전류가 공급되어 열이 유체파이프(1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열선(100)은 도 3을 참조하면, 전류가 공급되는 전류코일(110)이 형성되며, 전류코일(110)은 유체파이프(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전류코일(110)은 구간별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전류코일(110)의 일단부는 연결코일(120)이 형성되어 중계서버(200)와 연결된다. 이때, 전류코일(110)과 연결코일(120)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중계서버(200)에 의하여 전류를 공급받는 것이다. 그리고 열선(100)은 열선(100)감시제어반이 형성되며, 열선(100)감시제어반은 열선(100)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것으로 열선(100)의 온도가 높게 형성될 경우 전류코일(110)의 전류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는 열선(100)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유체파이프(10)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그리고 열선(100)은 유체파이프(10)에 구간별로 형성되며, 각각의 열선(100)은 유체코드에 설치될 시 식별코드를 할당받아 열선(100)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간단히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실시예 2-5)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열선(1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파이프(10)의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클립(130);을 포함한다.(Example 2-5) In Example 2-1,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utside the
(실시예 2-6)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130)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파이프(10)를 양면에 각각 접하는 접합판(131); 복수의 상기 접합판(131)을 연결하며, 각각의 상기 접합판(131)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탄성체(132);를 포함한다.(Embodiment 2-6)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2-5, it is formed on the fixing
(실시예 2-7)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접합판(131)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열선(100)이 삽입되는 가열패드(133);를 포함한다.(Embodiment 2-7)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s 2-6, it is formed inside the
(실시예 2-8)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2-7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130)에 형성되며, 전원이 공급되는 커넥터(134);를 포함한다.(Embodiment 2-8)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2-7, is formed on the fixing
(실시예 2-9)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2-7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130)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서버(300)와 통신하는 통신장치(135);를 포함한다.(Embodiment 2-9) In Embodiment 2-7,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fixing
본 발명은 고정클립(1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고정클립(130)은 열선(100)이 삽입되어 유체파이프(10)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클립(130)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체파이프(10)의 외측에 감싸지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의 접합판(131)의 간격이 조절되어 유체파이프(10)에 접합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클립(130)의 접합판(131)은 일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사선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복수의 접합판(131)은 탄성체(132)에 의하여 연결되어 사선으로 형성되는 접합판(131)에 압력을 가하면 타단부의 접합판(131) 간격이 벌어져 유체파이프(10)를 감싸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접합판(131)에는 내측에 가열패드(133)가 형성되며, 가열패드(133)는 유체파이프(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가열패드(133)는 열선(100)이 삽입되거나 유체파이프(10)와 접하는 일면에 형성되어 유체파이프(10)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클립(130)은 열선(100)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열이 발생하도록 커넥터(134)가 형성되며, 커넥터(134)는 전류가 공급된다. 케넥터는 통신장치(135)가 형성되어 메인서버(300)와 통신하거나 중계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xing
이와 같이, 고정클립(130)은 간단하게 유체파이프(10)에 열선(100)이 결합되도록 간격이 벌어지는 것으로 각각의 고정클립(130)은 인공지능서버(40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fixing
(실시예 3-1)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열선(100)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210); 상기 중계서버(2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파이프(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20);를 포함한다.(Example 3-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 Example 2-1, it is formed in the
(실시예 3-2)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외기온도센서(222)는 상기 유체파이프(10)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표면온도센서(221); 상기 유체파이프(10)와 인접한 위치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센서(222);를 포함한다.(Example 3-2)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eating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3-1, the outside
(실시예 3-3)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200)는 상기 열선(100) 및 상기 유체파이프(10)에 동파가 발생할 시 경고하는 경보장치(223);를 포함한다.(Embodiment 3-3)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3-1, the
본 발명은 중계서버(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중계서버(200)는 메인서버(300)와 통신하여 열선(100)을 제어하는 것이며, 유체파이프(10)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열선(100)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계서버(200)는 열선(100)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210)가 형성되며, 열선(100)의 열선(100)감시제어반을 통해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류공급부(210)에는 연결코일(120)이 결합되는 것으로 전류공급부(210)로 전류케이블이 연결되어 열선(100)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그리고 중계서버(200)는 온도센서(220)가 형성되며, 온도센서(220)는 유체파이프(10)의 표면에 설치되어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표면온도센서(221)가 형성된다. 또한, 유체파이프(10)와 인접한 위치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센서(222)가 형성된다. 외기온도센서(222)는 유체파이프(10)와 인접한 바닥, 벽체 등에 형성되거나 유체파이프(10) 주변의 문, 창문, 실외에 설치되어 외기 온도를 측정한다. 이는 외기온도에 의하여 유체파이프(10)에 발생하는 동파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실시예 4-1)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센서(220)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를 상기 메인서버(300)로 무선 송신하는 중계통신부(230); 상기 무선통신부에 형성되며, 상기 인공지능서버(400)에서 수신받은 정보로 상기 열선(100)의 전류 공급 및 온도를 조작하는 조작부(240);를 포함한다.(Embodiment 4-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Embodiment 3-1, it is formed in the
본 발명은 중계서버(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중계서버(200)는 온도센서(220)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를 메인서버(300)로 무선 송신하여 열선(100)을 조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계서버(200)는 표면온도센서(221) 및 외기온도센서(222)에서 측정한 온도를 메인서버(300)로 무선 송신하는 중계통신부(230)가 형성되며, 중계통신부(230)는 메인서버(300)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중계통신부(230)에서 수신받은 정보에 의하여 열선(100)의 전류 공급 및 온도를 조작하는 조작부(240)가 형성된다. 조작부(240)는 열선(100)에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유체파이프(10)의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에 의하여 유체파이프(10)에 동파가 발생하기 전에 열선(100)의 온도를 조작하는 것이다. 이때, 열선(100)의 온도는 유체파이프(10)의 표면온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되며, 이는 열선(100)에 사용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실시예 5-1)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300)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와 무선 통신하는 메인통신부(310); 상기 메인통신부(310)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320); 정전시 통신 유지를 위한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전류공급부(330);를 포함한다.(Embodiment 5-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Embodiment 4-1, it is formed in the
(실시예 5-2)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메인통신부(310)는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와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RF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것;을 포함한다.(Embodiment 5-2)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5-1, the
(실시예 5-3)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부(320)는 상기 유체파이프(10)의 구간에 따른 표면온도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Example 5-3)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5-1, the
본 발명은 메인서버(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메인서버(300)는 복수의 중계서버(200)와 통신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메인서버(300)는 건물(20)의 각 실 또는 건물(20)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복수의 중계서버(200)를 제어한다. 이때, 메인서버(300)는 복수의 중계서버(200)와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RF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무선 통신하는 것이며, 무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시공 시의 재료비, 인건비, 공사기간의 단축을 통한 비용절감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메인통신부(310)는 기상청과 연동하여 실외의 온도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이는 외기 온도에 따른 동파를 유체파이프(10)의 동파를 예측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그리고 메인서버(300)는 복수의 중계서버(200)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320)가 형성되며, 정보저장부(320)는 유체파이프(10)의 구간에 따른 표면온도를 각각 저장하여 인공지능서버(400)에서 열선(100)의 설정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메인서버(300)는 정전 시 무선 통신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전류공급부(330)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정전 시 유체파이프(10)의 동파를 방지하거나 열선(100)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실시예 6-1)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서버(40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열선(100) 제어를 위한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설정부(410); 상기 설정부(410)에서 설정된 설정온도와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측정온도를 비교하는 비교부(420); 상기 비교부(420)에서 비교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430);를 포함한다.(Example 6-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Example 5-1, it is formed in the
(실시예 6-2)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410)는 상기 열선(100)이 설치된 구간, 계절, 시간에 따라 설정온도를 각각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Embodiment 6-2)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6-1, the
(실시예 6-3)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비교부(420)에서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열선(100)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Embodiment 6-3)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6-1, the
본 발명은 인공지능서버(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서버(400)는 사전에 설정된 설정온도와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측정온도를 비교하여 열선(100)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지능서버(400)는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설정부(410)가 형성되며, 설정부(410)는 열선(100)이 설치된 구간의 유체파이프(10)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와 계절 및 시간, 유체파이프(10)의 위치에 따라 설정온도를 각각 다르게 설정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동파가 발생하지 않는 계절에는 열선(10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전류를 차단하며, 겨울에는 낮이나 밤 시간에 따라 설정온도가 설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기상청 등에 의하여 한파가 발생하는 날에는 설정온도가 높게 형성되어 순간적으로 동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온도가 설정되면 비교부(420)에서 설정온도와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유체파이프(10)의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 등의 측정온도를 비교한다. 이때,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을 경우 제어부(430)에서 열선(100)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때, 제어부(430)는 복수의 중계서버(200)를 각각 설정하여 유체파이프(10)에 동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400), and specificall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400) controls the hot wire (100) by comparing a previously set set temperature with a measured temperature measured by the relay server (200). The
(실시예 7-1)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a) 복수의 청구항 1의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유체파이프(10) 및 인접 외기 온도를 취합하여 메인서버(300)에서 열선(100)의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설정단계(S1100); (b) 상기 설정단계(S1100) 후, 유체파이프(10)에 구간마다 설치된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유체파이프(10)의 표면온도 및 인접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200); (c) 상기 측정단계(S1200) 후,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측정온도를 메인서버(300)와 무선 통신하는 제 1통신단계(S1300); (d) 상기 제 1통신단계(S1300) 후, 인공지능서버(400)에서 설정온도와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측정온도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1400); (e) 상기 비교단계(S1400) 후, 상기 인공지능서버(400)에서 각각의 상기 중계서버(200)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하는 제 2통신단계(S1500); (f) 상기 제 2통신단계(S1500) 후,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상기 유체파이프(10)에 구간마다 감싸는 열선(100)에 전류를 공급하는 열선제어단계(S1600);를 포함한다.(Example 7-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 Example 6-1, (a) a plurality of relay servers 200 of claim 1 measured A setting step of setting the set temperature of the hot wire 100 in the main server 300 by coll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pipe 10 and the adjacent outside air (S1100); (b) after the setting step (S1100), a measuring step (S1200) of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luid pipe 10 and the ambient temperature in the relay server 200 installed in each section of the fluid pipe 10; (c) after the measuring step (S1200), a first communication step (S1300) of wirelessly communicating the measured temperature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relay servers 200 with the main server 300; (d) after the first communication step (S1300),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set temperature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400 with the measured temperature measured in the relay server 200 (S1400); (e) after the comparison step (S1400), a second communication step (S1500) of wirelessly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400 to each of the relay servers 200; (f) after the second communication step (S1500), a hot wire control step (S1600) of supplying current to the hot wire 100 wrapped around the fluid pipe 10 for each section in the relay server 200;
(실시예 7-2)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방법은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열선제어단계(S1600)는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구간의 열선(100)에 전류를 공급하여 유체파이프(10)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을 포함한다.(Embodiment 7-2)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9-1, the hot wire control step (S1600) is a hot wire in a section where the measure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 100) to supply current to prevent freezing and bursting of th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다수의 측정온도와 메인서버(300)에서 설정한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열선(100)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방법은 도 6을 참조하면,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설정단계(S1100)가 형성되며, 설정단계(S1100)는 메인서버(300)에 저장된 복수의 유체파이프(10)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를 취합하여 설정온도를 설정한다. 이는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으로 유체파이프(10)에 동파가 발생하는 온도를 사전에 설정온도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설정온도는 빅데이터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이며, 설정온도는 유체파이프(10)의 위치, 계절, 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설정단계(S1100) 후 복수의 중계서버(200)는 유체파이프(10)의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200)가 형성되며, 측정단계(S1200)에서 측정한 유체파이프(10)의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 등의 측정온도를 메인서버(300)로 통신하는 제 1통신단계(S13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통신단계(S1300) 후 메인서버(300)의 비교부(420)에서 설정온도와 측정온도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1400)가 형성된다. 그리고 비교부(420)에서는 기상청과 연동되어 외기 온도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to control. Referring to FIG. 6,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 setting step (S1100) of setting a set temperature is formed, and the setting step (S1100) includes a plurality of fluids stored in the
이때, 비교단계(S1400)에서 비교하여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 인공지능서버(400)에서 중계서버(200)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하는 제 2통신단계(S15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인공지능서버(400)를 통해 전달된 제어 정보는 유체파이프(10)에 구간마다 감싸는 열선(100)에 전류를 공급하는 열선제어단계(S1600)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compared in the comparison step (S1400), a second communication step (S1500) of wirelessly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10: 유체파이프 20: 건물
100: 열선 110: 전류코일
120: 연결코일 130: 고정클립
131: 접합판 132: 탄성체
133: 가열패드 134: 커넥터
135: 통신장치 200: 중계서버
210: 전류공급부 220: 온도센서
221: 표면온도센서 222: 외기온도센서
223: 경보장치 230: 중계통신부
240: 조작부 300: 메인서버
310: 메인통신부 320: 정보저장부
330: 보조전류공급부 400: 인공지능서버
410: 설정부 420: 비교부
430: 제어부
S1100: 설정단계 S1200: 측정단계
S1300: 제 1통신단계 S1400: 비교단계
S1500: 제 2통신단계 S1600: 열선제어단계10: fluid pipe 20: building
100: hot wire 110: current coil
120: connecting coil 130: fixing clip
131: junction plate 132: elastic body
133: heating pad 134: connector
135: communication device 200: relay server
210: current supply unit 220: temperature sensor
221: surface temperature sensor 222: outside temperature sensor
223: alarm device 230: relay communication unit
240: control panel 300: main server
310: main communication unit 320: information storage unit
330: auxiliary current supply unit 400: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410: setting unit 420: comparison unit
430: control unit
S1100: setting step S1200: measuring step
S1300: First communication step S1400: Comparison step
S1500: Second communication step S1600: Hot wire control step
Claims (10)
복수의 상기 열선(100)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열선(100)의 온도를 제어하는 중계서버(200);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와 무선 통신하는 메인서버(300);
상기 메인서버(300)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파이프(10)의 인접 외기 온도에 따라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를 제어하는 인공지능서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서버(300)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와 무선 통신하는 메인통신부(310);
상기 메인통신부(310)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320);
정전시 통신 유지를 위한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전류공급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저장부(320)는 상기 유체파이프(10)의 구간에 따른 표면온도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서버(40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열선(100) 제어를 위한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설정부(410);
상기 설정부(410)에서 설정된 설정온도와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인접 외기 온도를 비교하는 비교부(420);
상기 비교부(420)에서 비교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비교부(420)에서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열선(100)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A hot wire 10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luid pipe 10 for each section to prevent freezing and bursting;
A relay server 200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hot wires 100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ires 100;
a main server 300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relay servers 200;
A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400 formed in the main server 300 and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relay servers 20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ambient air adjacent to the fluid pipe 10;
a main communication unit 310 formed in the main server 300 and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relay servers 200;
an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formed in the main communication unit 310 and stor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relay servers 200;
Including; auxiliary current supply unit 330 for supplying auxiliary power for maintaining communication in case of power failur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stores the surfac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section of the fluid pipe 10; includes,
A setting unit 410 form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400 and configured to set a set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hot wire 100 by a user;
a comparison unit 420 that compares the set temperature set by the setting unit 410 with the temperature of the adjacent outdoor air measured by the relay server 200;
A control unit 430 for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 servers 20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mpared by the comparison unit 420;
The controller 430 supplies current to the hot wire 100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comparator 420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hot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상기 열선(100)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파이프(10)에 접하는 전류코일(110);
상기 전류코일(1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중계서버(200)에 연결되는 연결코일(120);을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current coil 110 formed on the hot wire 100 and in contact with the fluid pipe 10;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eating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a connection coil 120 extending from the current coil 110 and connected to the relay server 200.
상기 중계서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열선(100)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210);
상기 중계서버(2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파이프(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20);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current supply unit 210 formed in the relay server 200 and supplying current to the hot wire 100;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eating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220 formed inside and/or outside the relay server 200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pipe 10.
상기 중계서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센서(220)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를 상기 메인서버(300)로 무선 송신하는 중계통신부(230);
무선통신부에 형성되며, 상기 인공지능서버(400)에서 수신받은 정보로 상기 열선(100)의 전류 공급 및 온도를 조작하는 조작부(240);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 relay communication unit 230 formed in the relay server 200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20 to the main server 300;
A control unit 240 form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manipulating current supply and temperature of the hot wire 100 wit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400;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hot wire contro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system.
상기 메인통신부(310)는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와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RF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communication unit 310 performs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relay servers 200 us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Wi-Fi, ZigBee, Bluetooth, and RF methods;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system.
상기 설정부(410)는 상기 열선(100)이 설치된 구간, 계절, 시간에 따라 설정온도를 각각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tting unit 410 sets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section, season, and time in which the hot wire 100 is installed;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eating wire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a) 복수의 청구항 1의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유체파이프(10) 및 인접 외기 온도를 취합하여 메인서버(300)에서 열선(100)의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설정단계(S1100);
(b) 상기 설정단계(S1100) 후, 유체파이프(10)에 구간마다 설치된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유체파이프(10)의 표면온도 및 인접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200);
(c) 상기 측정단계(S1200) 후, 복수의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측정온도를 메인서버(300)와 무선 통신하는 제 1통신단계(S1300);
(d) 상기 제 1통신단계(S1300) 후, 인공지능서버(400)에서 설정온도와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측정한 측정온도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1400);
(e) 상기 비교단계(S1400) 후, 상기 인공지능서버(400)에서 각각의 상기 중계서버(200)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하는 제 2통신단계(S1500);
(f) 상기 제 2통신단계(S1500) 후, 상기 중계서버(200)에서 상기 유체파이프(10)에 구간마다 감싸는 열선(100)에 전류를 공급하는 열선제어단계(S1600);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방법.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ot wire control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 a setting step (S1100) of setting the set temperature of the hot wire 100 in the main server 300 by coll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pipe 10 and the adjacent outside air temperature measured by the relay server 200 of claim 1 (S1100);
(b) after the setting step (S1100), a measuring step (S1200) of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luid pipe 10 and the ambient temperature in the relay server 200 installed in each section of the fluid pipe 10;
(c) after the measuring step (S1200), a first communication step (S1300) of wirelessly communicating the measured temperature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relay servers 200 with the main server 300;
(d) after the first communication step (S1300),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set temperature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400 with the measured temperature measured in the relay server 200 (S1400);
(e) after the comparison step (S1400), a second communication step (S1500) of wirelessly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400 to each of the relay servers 200;
(f) after the second communication step (S1500), a hot wire control step (S1600) of supplying current to the hot wire 100 wrapped around the fluid pipe 10 for each section in the relay server 200 (S1600);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heating wire control method using intelligence.
상기 열선제어단계(S1600)는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구간의 열선(100)에 전류를 공급하여 유체파이프(10)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hot wire control step (S1600) supplies current to the hot wire 100 in a section where the measure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to prevent the fluid pipe 10 from freezing and breaking; Heat wire control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4389A KR102539852B1 (en) | 2021-06-29 | 2021-06-29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Line on the Basis of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I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4389A KR102539852B1 (en) | 2021-06-29 | 2021-06-29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Line on the Basis of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I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1637A KR20230001637A (en) | 2023-01-05 |
KR102539852B1 true KR102539852B1 (en) | 2023-06-07 |
Family
ID=8492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4389A Active KR102539852B1 (en) | 2021-06-29 | 2021-06-29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Line on the Basis of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I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985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8778B1 (en) * | 2023-05-15 | 2024-03-18 | (주)조이엔지니어링 | A heating device for preventing freezing of fire pipes in buildings |
KR102771943B1 (en) * | 2023-11-20 | 2025-02-2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Metal heater type outdoor fire pipe freeze preventing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1387B1 (en) * | 2018-12-17 | 2019-07-18 | 와써믹(주) | Water heater to perform temperature contro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KR102074198B1 (en) * | 2019-03-08 | 2020-02-06 | 주식회사 일품이앤씨 | A antifreeze wire device for piping using power conversion wireless control technology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11312B2 (en) | 2007-03-19 | 2011-11-09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Hot wire wireless transmitter and wireless receiver |
JP4995607B2 (en) | 2007-03-19 | 2012-08-0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Hot wire wireless transmitter |
KR101481885B1 (en) | 2013-03-18 | 2015-01-21 | 박덕배 | Electro Heating Wire Control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KR20150100985A (en) | 2014-02-24 | 2015-09-03 | 옵텍스코리아주식회사 | Wireless heat ray sensing device and wireless security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
-
2021
- 2021-06-29 KR KR1020210084389A patent/KR1025398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1387B1 (en) * | 2018-12-17 | 2019-07-18 | 와써믹(주) | Water heater to perform temperature contro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KR102074198B1 (en) * | 2019-03-08 | 2020-02-06 | 주식회사 일품이앤씨 | A antifreeze wire device for piping using power conversion wireless control technolog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1637A (en) | 2023-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3985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Line on the Basis of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I | |
US10208967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ly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plumbing system | |
KR101456428B1 (en) | System for controlling heating cable in apartment building | |
US10724747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ly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plumbing system | |
JP2009074541A (en) | Water supply system and water level detector | |
KR101552495B1 (en) | Freeze protection system, alarming and maintaining apparatus for freeze protection system using smart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2074198B1 (en) | A antifreeze wire device for piping using power conversion wireless control technology | |
US6987457B2 (en) | Wireless freeze sensor and alert system | |
KR102345141B1 (en) | Metal heater and freeze prevention system using the same | |
KR2015004276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reezing of water pipe | |
KR20210147344A (en) | Pipe Freeze Prevention Heating Wire Controller with IoT | |
US20150102928A1 (en) | Remote power state detector | |
US20200325660A1 (en) | Frozen Pipe Alert | |
KR102679261B1 (en) | Electric Power Based Safety Management System | |
KR10206516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leak detection | |
US2012015820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based on power consumption | |
JP7603658B2 (en) | Leak Detector System | |
JP2019145005A (en) | Alarm system and centralized monitoring system | |
JP5325133B2 (en) | Equipment control system | |
KR101404540B1 (en) | Anti-freezing apparatus of water meter and method thereof | |
KR101295851B1 (en) | Remote water level regulator | |
KR20220028619A (en) | Power control unit of the heat wire to prevent the pipe from freezing | |
KR102095285B1 (en) | Power saving control system using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 |
JP2003041633A (en) | Antifreeze device | |
KR102252533B1 (en) | Socket typed power monitoring apparatus using lora communication networ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