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677B1 - 에어 워시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워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9677B1 KR102539677B1 KR1020160149730A KR20160149730A KR102539677B1 KR 102539677 B1 KR102539677 B1 KR 102539677B1 KR 1020160149730 A KR1020160149730 A KR 1020160149730A KR 20160149730 A KR20160149730 A KR 20160149730A KR 102539677 B1 KR102539677 B1 KR 1025396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module
- indoor
- outdoor
- dust concent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52—Air quality properties of the outsid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의 구성과 흡기구 및 배기구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Claims (11)
- 현관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과 현관 공간을 구분하는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1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1 에어 모듈;
상기 현관 공간에 위치한 사람에게서 이물질을 털어내는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는 샤워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2 에어 모듈;
상기 샤워용 에어에 의해 털어낸 상기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장치를 구동하는 흡입 모듈;
상기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가 분사되게, 상기 제1, 2 분사 장치로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유동시키는 실내 흡기구 또는 실외 흡기구의 개폐하는 공기 조절 모듈;
상기 실내 공기에 대한 제1 오염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IoT 센서 모듈;
상기 제1 오염 정보 및 외부 서버에서 송신된 실외 공기에 대한 제2 오염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2 오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실내 공기 또는 상기 실외 공기가 상기 제1, 2 분사 장치로 유동되게 상기 공기 조절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2 오염 정보를 기반으로 실내 먼지 농도 및 실외 먼지 농도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실내 먼지 농도 및 상기 실외 먼지 농도를 비교하고, 상기 실내 먼지 농도가 상기 실외 먼지 농도보다 낮으면 제1 비교신호 및 상기 실외 먼지 농도가 상기 실내 먼지 농도보다 낮으면 제2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센서 모듈에서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로 감지하면 상기 제1 에어 모듈에서 상기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공기 차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공기 차단 모드로 동작 중 상기 현관의 현관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감지하면,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 또는 상기 실외 공기가 상기 제1, 2 분사 장치로 유동되게 상기 공기 조절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교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및 상기 제2 에어 모듈에서 상기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 시, 상기 실내 공기가 상기 제1, 2 분사 장치로 유동되게 상기 공기 조절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 중 적어도 하나의 풍량이 조절되게 상기 제1, 2 에어모듈을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센서 모듈은,
상기 실내 공기의 실내 먼지 농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오염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에어 워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실외 공기의 실외 먼지 농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오염 정보를 생성 및 수집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외부 서버와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상기 제2 오염 정보를 수신하는 에어 워시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의 현관 출입문이 닫힘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근접 센서 및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 워시 장치.
에어 워시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현관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과 현관 공간을 구분하는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1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1 에어 모듈;
상기 현관 공간에 위치한 사람에게서 이물질을 털어내는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는 샤워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2 에어 모듈;
상기 샤워용 에어에 의해 털어낸 상기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장치를 구동하는 흡입 모듈;
상기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가 분사되게, 상기 제1, 2 분사 장치로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유동시키는 실내 흡기구 또는 실외 흡기구의 개폐하는 공기 조절 모듈;
상기 실내 공기에 대한 제1 오염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IoT 센서 모듈;
상기 제1 오염 정보 및 외부 서버에서 송신된 실외 공기에 대한 제2 오염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2 오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실내 공기 또는 상기 실외 공기가 상기 제1, 2 분사 장치로 유동되게 상기 공기 조절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2 오염 정보를 기반으로 실내 먼지 농도 및 실외 먼지 농도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실내 먼지 농도 및 상기 실외 먼지 농도를 비교하고, 상기 실내 먼지 농도가 상기 실외 먼지 농도보다 낮으면 제1 비교신호 및 상기 실외 먼지 농도가 상기 실내 먼지 농도보다 낮으면 제2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센서 모듈에서 상기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로 감지하면 상기 제1 에어 모듈에서 상기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공기 차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공기 차단 모드로 동작 중 상기 현관의 현관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감지하면,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 또는 상기 실외 공기가 상기 제1, 2 분사 장치로 유동되게 상기 공기 조절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비교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및 상기 제2 에어 모듈에서 상기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 시, 상기 실외 공기가 상기 제1, 2 분사 장치로 유동되게 상기 공기 조절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 중 적어도 하나의 풍량이 조절되게 상기 제1, 2 에어모듈을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시, 상기 현관 공간으로 분사된 상기 샤워용 에어에 따른 상기 이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오염 공기를 상기 흡입 장치가 설정된 흡입력으로 흡입하게 상기 흡입 모듈을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먼지 농도 및 상기 실외 먼지 농도가 설정된 기준 오염도를 초과하면, 상기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상기 흡입 장치에서 흡입한 상기 오염 공기를 실외 공간으로 배출하며,
상기 실내 먼지 농도 및 상기 실외 먼지 농도가 상기 기준 오염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오염 공기를 필터링 및 살균한 클린 공기가 상기 제1, 2 분사 장치로 유동되게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9730A KR102539677B1 (ko) | 2016-11-10 | 2016-11-10 | 에어 워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9730A KR102539677B1 (ko) | 2016-11-10 | 2016-11-10 | 에어 워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2821A KR20180052821A (ko) | 2018-05-21 |
KR102539677B1 true KR102539677B1 (ko) | 2023-06-05 |
Family
ID=6245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9730A Active KR102539677B1 (ko) | 2016-11-10 | 2016-11-10 | 에어 워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967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6218B1 (ko) | 2019-05-29 | 2022-01-03 | 최우용 | 학습형 실내 미세먼지 순차적 저감시스템 |
KR102089221B1 (ko) * | 2019-09-09 | 2020-03-13 | 한서영 | 미세먼지 제거장치 |
KR102113435B1 (ko) * | 2019-11-18 | 2020-05-20 | 주식회사 다산피앤지 | 하이브리드 클린룸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
KR102395912B1 (ko) * | 2020-04-02 | 2022-05-09 | 주식회사 알에스팀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연구실 통합 안전관리 방법 |
KR102349290B1 (ko) * | 2021-05-20 | 2022-01-10 | (주)신도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동작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49864A (ja) * | 2011-01-15 | 2012-08-09 | Tornex Inc | 汚染遮断エアーゲート |
JP2016114255A (ja) * | 2014-12-11 | 2016-06-23 | 新菱冷熱工業株式会社 | 空気流通遮断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19355A (ko) * | 2005-08-12 | 2007-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환기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
-
2016
- 2016-11-10 KR KR1020160149730A patent/KR10253967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49864A (ja) * | 2011-01-15 | 2012-08-09 | Tornex Inc | 汚染遮断エアーゲート |
JP2016114255A (ja) * | 2014-12-11 | 2016-06-23 | 新菱冷熱工業株式会社 | 空気流通遮断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2821A (ko) | 2018-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39677B1 (ko) | 에어 워시 장치 | |
KR101956143B1 (ko) | 에어샤워 게이트 | |
KR102570624B1 (ko) | 에어 워시 장치 | |
KR102473046B1 (ko) | 에어 워시 장치 | |
KR101975918B1 (ko) | 에어 샤워 시스템 | |
KR200488804Y1 (ko) | 가정용 외부 먼지 제거 장치 | |
KR20180130808A (ko) | 에어샤워 게이트 | |
KR200471708Y1 (ko) | 신발세척이 용이한 에어샤워장치 | |
KR102570623B1 (ko) | 에어 워시 장치 | |
KR102485737B1 (ko) | 건축물 현관의 음압 에어샤워 시스템 | |
KR102696489B1 (ko) | 에어 워시 장치 | |
KR20150095489A (ko) | 흡연부스용 공기순환시스템 | |
KR102356153B1 (ko) | 에어샤워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 시스템 | |
KR102771861B1 (ko) |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80051818A (ko) | 에어 워시 장치 | |
JP2004011315A (ja) |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 |
KR102539682B1 (ko) | 에어 워시 장치 | |
KR102387962B1 (ko) | 자동 인체 에어샤워 장치 | |
KR102040319B1 (ko) | 주택 현관에 설치되는 에어샤워장치 | |
KR102346218B1 (ko) | 학습형 실내 미세먼지 순차적 저감시스템 | |
KR20180065594A (ko) | 의류 클리닝 장치 | |
KR100781089B1 (ko) | 로봇청소기 | |
KR102781313B1 (ko) | 에어 워시 장치 | |
KR20180003369U (ko) | 먼지떨이 집진장치 | |
KR102337075B1 (ko) |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