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743B1 - Connector Connected Coffee Dispenser - Google Patents
Connector Connected Coffee Dispen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8743B1 KR102538743B1 KR1020220104420A KR20220104420A KR102538743B1 KR 102538743 B1 KR102538743 B1 KR 102538743B1 KR 1020220104420 A KR1020220104420 A KR 1020220104420A KR 20220104420 A KR20220104420 A KR 20220104420A KR 102538743 B1 KR102538743 B1 KR 102538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ffee
- connector
- discharge
- dispenser
- discharge c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40000007154 Coffea arabica Species 0.000 description 6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206 bottled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of liquid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피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의 커피 원액이 보관되는 액상 커피 팩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간편하게 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connected coffee dispenser capable of conveniently drinking coffee by connecting a liquid coffee pack in which liquid coffee undiluted solution is stored using a connector.
일반 커피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커피는 냉동건조된 분말 커피에 프림이나 설탕 등이 혼합된 커피인데, 이러한 커피는 원두커피에 비해 맛과 향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요즈음은 원두커피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졌고, 원두커피를 즐기는 사람은 가격은 좀 비싸지만 원두커피 전문점을 이용하거나 직접 가정에서 커피메이커를 이용하여 만들어 마시는 경우가 많다.Coffee sold in general coffee vending machines is a mixture of freeze-dried powdered coffee with cream or sugar. These coffees have a significantly lower taste and aroma than ground coffee. For those who enjoy coffee beans, the price is a bit expensive, but they often use coffee beans specialty stores or make and drink coffee at home using a coffee maker.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반 커피 자동판매기가 아닌 커피 원두를 직접 갈아서 음용하거나, 캡슐 형태의 커피 원액을 이용하는 액상커피 디스펜서를 선호하는 추세이다.Accordingly, there is a trend in recent years to prefer a liquid coffee dispenser that grinds coffee beans directly and uses coffee undiluted solution in the form of capsules, rather than a general coffee vending machine.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의 커피 디스펜서는 복잡한 구조를 이룸으로 인해 사용 및 관리에 번거로움이 있으며, 디스펜서 기계가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고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한 커피 디스펜서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However, the coffee dispenser in the prior art is cumbersome to use and manage due to its complex structure, and since the dispenser machine is relatively expensive, a coffee dispenser device that can be used more simply and inexpensively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커피 원액이 저장되는 파우치 형태의 커피 팩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간편하게 사용이 이루어짐과 함께 교체가 가능한 디스펜서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dispenser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used and replaced by connecting a coffee pack in the form of a pouch in which an undiluted coffee solution is stored using a connector.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는, 커피 원액의 배출을 위한 배출노즐 및 배출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본체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로 공급될 액상 커피가 보관되는 커피 팩과; 상기 커피 팩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출콕크와; 상기 배출콕크에 연결이 이루어지는 커넥터와; 일단부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연결되어 액상 커피의 안내가 이루어지는 안내호스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서 안내호스 타단부에 연결 구성되어 커피 팩으로부터 액상 커피를 배출노즐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펌프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ffe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ispenser main body equipped with a discharge nozzle and a discharge button for discharging an undiluted coffee; a coffee pack storing liquid coffee to be supplied to the dispenser body; a discharge coc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ffee pack;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ck; a guide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penser body to guide the liquid coffee; A pump mo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hose in the dispenser main body and forcibly transporting the liquid coffee from the coffee pack to the discharge nozzle.
또한, 상기 배출콕크는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와 커피 팩의 입구부의 연결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구가 구성되며, 상기 개폐구에는 가동레버가 좌우 양측에 대칭 형태를 이루어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가동레버는 탄성 스프링에 의한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레버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배출콕크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cock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on one side, and an opening and closing openin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passage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of the coffee pack is formed inside, and the movable lever is formed in a symmetrical form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is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movable leve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spring, and guide grooves for guiding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of the movable lever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cock.
또한, 상기 커넥터에는 배출콕크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는 가동레버가 지지되는 레버 지지홈이 형성되며, 커넥터의 타측에는 배출콕크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유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가압볼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discharge cock is inserted and seated is formed in the connector, a lever support groove in which a movable lever is suppor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and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cock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to open the flow pa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bolt is configured.
이러한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커피 팩과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실내 또는 야외에서 장소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커피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The coffe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nnected to a coffee pack using a connector, so that coffee can be conveniently drunk indoors or outdoors regardless of location.
특히, 커넥터와 배출콕크의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상호 간에 연결 및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In particular, by us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discharge cock, mutual connection and separation can be made quickly, thereby showing an advantage that anyone can use easily and conven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디스펜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커넥터 연결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커피 팩 배출콕크 정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커피 팩 배출콕크 측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배출콕크 내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배출콕크의 내부 유로 개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커넥터 상세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커넥터에 배출콕크가 결합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배출콕크의 유로 개방을 위한 가압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디스펜서 구동부 블럭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ffee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conn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structural view of the coffee pack discharge cock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structure diagram of the coffee pack discharge cock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charge cock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open state diagram of the internal passage of the discharge cock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structural diagram of a connecto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tate diagram coupled to the discharge cock to the connecto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ressurized state diagram for opening the passage of the discharge cock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enser driv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refore, the shape of the component expressed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 구조를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a connector connection type coffee dispens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S. 1 to 10.
본 실시 예에서의 커피 디스펜서는, 커피 원액의 배출을 위한 배출노즐(13)이 하부에 구비되고, 상면에는 배출버튼(11)이 구비된 디스펜서 본체(10)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10)로 공급될 액상 커피가 일정 용량으로 보관되는 봉지 형태의 커피 팩(20)과, 상기 커피 팩(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출콕크(40)와, 상기 배출콕크(40)에 연결이 이루어지는 커넥터(30)와, 일단부가 상기 커넥터(3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10)에 연결되어 액상 커피의 공급 안내가 이루어지는 안내호스(50)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10)에서 안내호스(50) 타단부에 연결 구성되어 커피 팩(20)으로부터 액상 커피를 배출노즐(13)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펌프모터(60)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The coffee dispenser i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이때, 상기 배출콕크(40)는 일측에 배출구(42)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42)와 커피 팩(20)의 입구부(21)의 연결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구(41)가 구성되며, 상기 개폐구(41)에는 가동레버(43)가 좌우 양측에 대칭 형태를 이루어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가동레버(43)는 탄성 스프링(44)에 의한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레버(43)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45)이 배출콕크(40) 양측에 형성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커넥터(30)에는 배출콕크(40)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30)의 일측에는 가동레버(43)가 지지되는 레버 지지홈(32)이 형성되며, 커넥터(30)의 타측에는 배출콕크(40)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유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가압볼트(33)가 구성된다.In addition, a
특히, 상기 커넥터(30)에는 가압볼트(33)의 회전 가압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34)이 일정 각도의 경사 형태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가압볼트(33)에는 안내홈(34)을 따라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안내돌기(33a)가 돌출 구비되며, 가압볼트(33) 선단부에는 배출콕크(4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35)이 일체로 연결 구성된다.In particular, a
한편, 디스펜서 본체(10)에는 배출버튼(11)의 동작 신호에 의해 펌프모터(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가 구성되고, 상기 펌프모터(60)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부(12) 및 타이머(15)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ispenser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커피 디스펜서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Let's take a look at the operational effec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ffe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such a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는 커피 원액이 보관되는 커피 팩(20)을 커넥터(30)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디스펜서 본체(10)의 배출버튼(11)을 눌러서 커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e coffe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ffee can be discharged by pressing the
즉, 커피 팩(20)의 입구부(21)에 구비되어 있는 배출콕크(40)를 커넥터(30)에 형성된 안착홈(31)에 삽입하게 되면, 배출콕크(40) 양측에 구성되어 있는 가동레버(43)가 레버 지지부(32)에 끼워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볼트(33)를 일 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안내돌기(33a)가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고 있는 안내홈(34)을 따라 안내되면서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가압판(35)이 배출콕크(40)를 가압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이러한 가압 작용에 의해 배출콕크(40)의 가압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면, 양측의 가동레버(43)는 레버 지지부(32)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도 6에서와같이 개폐구(41)는 고정된 상태에서 배출콕크(40)가 전체적으로 하강이 이루어지면서 커피 팩(20)의 입구부(21)와 배출구(42) 유로가 연결되는 배출콕크(40) 개방 상태를 이루게 된다.When the pressing action of the
이와 같이 커넥터(30) 연결 및 유로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펜서 본체(10)에 구비된 배출버튼(11)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14)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프모터(60)가 구동됨으로써 커피 팩(20)으로부터 커피 원액이 안내호스(50)를 통해 공급되어 배출노즐(13)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커피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user presses the
특히, 미리 시간 설정부(12)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한 상태에서 배출버튼(11)을 누르게 되면, 타이머(15)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커피 원액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그리고, 커피 팩(20)에 커피가 소진되거나 이동을 위해 커넥터(3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압볼트(33)를 반대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배출콕크(40)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커피 팩(20)을 교체하거나 디스펜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커피 팩과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실내 또는 야외에서 장소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커피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ffe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ffee pack using the connector, so that coffee can be conveniently drunk indoors or outdoors regardless of location.
특히, 커넥터와 배출콕크의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상호 간에 연결 및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In particular, by us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discharge cock, mutual connection and separation can be made quickly, thereby showing an advantage that anyone can use easily and conveniently.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디스펜서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In addition,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dispens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커피 팩의 단독 연결을 통해 커피 원액이 배출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형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 적으로 생수 팩을 일측에 추가 연결하여 원하는 비율로 희석이 이루어진 커피가 배출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게 된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orm in which the coffee juic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through the single connection of the coffee pack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if necessary, addition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ttled water pack to dilute to the desired ratio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coffee to be discharged.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Therefore,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디스펜서 본체 11 : 배출버튼
12 : 시간 설정부 13 : 배출노즐
14 : 제어부 15 : 타이머
20 : 커피 팩 21 : 입구부
30 : 커넥터 31 : 안착홈
32 : 레버 지지부 33 : 가압볼트
34 : 안내홈 35 : 가압판
40 : 배출콕크 41 : 개폐구
42 : 배출구 43 : 가동레버
44 : 탄성 스프링 45 : 가이드홈
50 : 안내호스 60 : 펌프모터10: dispenser body 11: discharge button
12: time setting unit 13: discharge nozzle
14: control unit 15: timer
20: coffee pack 21: inlet
30: connector 31: seating groove
32: lever support 33: pressure bolt
34: guide groove 35: pressure plate
40: discharge cock 41: opening and closing
42: discharge port 43: operating lever
44: elastic spring 45: guide groove
50: guide hose 60: pump motor
Claims (5)
상기 디스펜서 본체(10)로 공급될 액상 커피가 보관되는 커피 팩(20)과;
상기 커피 팩(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출콕크(40)와;
상기 배출콕크(40)에 연결이 이루어지는 커넥터(30)와;
일단부가 상기 커넥터(3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10)에 연결되어 액상 커피의 안내가 이루어지는 안내호스(50)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10)에서 안내호스(50) 타단부에 연결 구성되어 커피 팩(20)으로 부터 액상 커피를 배출노즐(13)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펌프모터(6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콕크(40)는 일측에 배출구(42)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42)와 커피 팩(20)의 입구부(21)의 연결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구(41)가 구성되며, 상기 개폐구(41)에는 가동레버(43)가 좌우 양측에 대칭 형태를 이루어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가동레버(43)는 탄성 스프링(44)에 의한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레버(43)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45)이 배출콕크(40)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30)에는 배출콕크(40)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30)의 일측에는 가동레버(43)가 지지되는 레버 지지홈(32)이 형성되며, 커넥터(30)의 타측에는 배출콕크(40)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유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가압볼트(33)가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30)에는 가압볼트(33)의 회전 가압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34)이 일정 각도의 경사 형태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가압볼트(33)에는 안내홈(34)을 따라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안내돌기(33a)가 돌출 구비되며, 가압볼트(33) 선단부에는 배출콕크(4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35)이 일체로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
A dispenser body 10 equipped with a discharge nozzle 13 and a discharge button 11 for discharging the coffee undiluted solution;
a coffee pack 20 storing liquid coffee to be supplied to the dispenser body 10;
a discharge cock 4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ffee pack 20;
A connector 30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ck 40;
a guide hose 5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3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penser body 10 to guide liquid coffee;
A pump motor 60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hose 50 from the dispenser body 10 and forcibly transporting the liquid coffee from the coffee pack 20 to the discharge nozzle 13 side; includes,
The discharge cock 40 is provided with an outlet 42 on one side, and an opening 4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passage between the outlet 42 and the inlet 21 of the coffee pack 20 is formed inside,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41, a movable lever 43 is integrally connected in a symmetrical shap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movable lever 43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spring 44, and the movable lever 43 ) Guide grooves 45 for guid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cock 40,
A seating groove 31 into which the discharge cock 40 is inserted and seated is formed in the connector 30, and a lever support groove 32 for supporting the movable lever 4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30,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30, a pressing bolt 33 is configured to open the passage by transmitting a pressing force to the discharge cock 40,
In the connector 30, a guide groove 34 for guiding the rotational pressure of the pressure bolt 33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at a certain angle, and the pressure bolt 33 is to be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34. A guide protrusion (33a)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and a pressure plate (35) for pressing the discharge cock (4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pressure bolt (33).
상기 디스펜서 본체(10)에는 배출버튼(11)의 동작 신호에 의해 펌프모터(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가 구성되고, 상기 펌프모터(60)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부(12) 및 타이머(15)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enser main body 10 is configured with a control unit 14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pump motor 60 by an operation signal of the discharge button 11, and time setting for setting the driving time of the pump motor 60 A connector-connected coffee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12) and the timer (15) are further configur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4420A KR102538743B1 (en) | 2022-08-20 | 2022-08-20 | Connector Connected Coffee Dispens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4420A KR102538743B1 (en) | 2022-08-20 | 2022-08-20 | Connector Connected Coffee Dispens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8743B1 true KR102538743B1 (en) | 2023-06-01 |
Family
ID=8677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4420A Active KR102538743B1 (en) | 2022-08-20 | 2022-08-20 | Connector Connected Coffee Dispens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8743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0025A (en) * | 2010-05-20 | 2011-12-01 | Yoshio Yurugi | Coffee dripper |
KR20130077546A (en) * | 2011-12-29 | 2013-07-09 | 키친아트플러스(주) | Liquid coffee dispenser |
KR20140033649A (en) * | 2012-09-10 | 2014-03-19 | 김기용 | A system of water purifier and coffee pot |
KR101845449B1 (en) * | 2016-11-14 | 2018-04-04 | 이양근 | Flow control valve for dutch coffee extractor |
KR102218579B1 (en) * | 2015-12-08 | 2021-02-22 |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Drink dispensing apparatus |
KR102241783B1 (en) | 2018-07-05 | 2021-04-19 | (주) 에스브이씨 | Coffee dispenser having cooling function |
-
2022
- 2022-08-20 KR KR1020220104420A patent/KR10253874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0025A (en) * | 2010-05-20 | 2011-12-01 | Yoshio Yurugi | Coffee dripper |
KR20130077546A (en) * | 2011-12-29 | 2013-07-09 | 키친아트플러스(주) | Liquid coffee dispenser |
KR101323573B1 (en) | 2011-12-29 | 2013-10-30 | 키친아트플러스(주) | Liquid coffee dispenser |
KR20140033649A (en) * | 2012-09-10 | 2014-03-19 | 김기용 | A system of water purifier and coffee pot |
KR102218579B1 (en) * | 2015-12-08 | 2021-02-22 |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Drink dispensing apparatus |
KR101845449B1 (en) * | 2016-11-14 | 2018-04-04 | 이양근 | Flow control valve for dutch coffee extractor |
KR102241783B1 (en) | 2018-07-05 | 2021-04-19 | (주) 에스브이씨 | Coffee dispenser having cooling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53116B2 (en) |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appliance | |
US8250971B2 (en) | Device for producing coffee | |
US20090317527A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a beverage | |
US6840157B2 (en) | Coffee apparatus with vacuum-fresh coffee beans | |
US906662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liquid beverage from a cartridge | |
US9661950B2 (en) | Ergonomic handle with user-interface | |
RU2691298C2 (en) | Milk frother,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 |
US8127664B2 (en) | Appliance for brewing an infusion of coffee or tea | |
CN101258987B (en) | Brewed beverage maker with dispensing assembly | |
US20150374167A1 (en)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 |
JP2008512144A (en) | Coffee and tea dispenser with removable pod turret wheel | |
JP2008504917A (en) | Apparatus with pressurized gas supply for adjusting beverage | |
JPH0710190A (en) | Drink feeder | |
CN107427153B (en)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 |
JP2023505259A (en) | Beverage machine with actuated water supply valve | |
KR100793354B1 (en) | Liquid Beverage Ejector | |
KR102538743B1 (en) | Connector Connected Coffee Dispenser | |
US20100128556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beverage from liquid concentrate | |
US9289092B2 (en) | Piston head for french press coffee maker | |
JP3677565B2 (en) | Concentrated beverage cartridge and beverage supply device | |
US20220000306A1 (en) | Autonomous rapid batch beverage maker, system and method | |
US20220304502A1 (en) | Beverage machine heated water source with horizontal heating coil | |
AU2021221503A1 (en) |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 |
JP2008289528A (en) | Beverage extractor | |
US20220395132A1 (en) | Beverage machine with internal and external water reservoi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0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