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38327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327B1
KR102538327B1 KR1020160160253A KR20160160253A KR102538327B1 KR 102538327 B1 KR102538327 B1 KR 102538327B1 KR 1020160160253 A KR1020160160253 A KR 1020160160253A KR 20160160253 A KR20160160253 A KR 20160160253A KR 102538327 B1 KR102538327 B1 KR 10253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coupled
back cover
display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2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1518A (en
Inventor
전용준
조석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327B1/en
Publication of KR2018006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32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며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 이들을 구조물에 결합하는 고정 프레임등이 구비되어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s relate to a display device,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connec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ranged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 back cover, and a fixed frame that couples them to a structure, so that users are not limited by the viewing angle and any movement path.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ecuring a viewing angl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is directly installed on a curved structure such as a cylinder or installed in a column shape in a wide space without a column, so that users can secure a viewing angle in any movement path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viewing ang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lement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relate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directly installing the display device on a curved structure such as a cylinder or installing it in a column shape in a wide space without a column so that users can move in any movement path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viewing angle. It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ecuring a viewing angle.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In general, a flat panel type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device,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like. Although actively research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in the limelight due to the advantages of mass production technology, ease of driving means, and implementation of high quality.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기술적인 단점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곡면형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erms of design of curved products that can appeal to consumers has been particularly highlighted along wit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chnical disadvantages of flat panel display devices.

이러한 배경과 관련하여 종래의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면,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 소자(1), 엘이디 바(LED bar, 2), 회전 프레임(3), 회전축(4), 모터(5), 몸체(6), 제어부(7), 및 광학계(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which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otatable display device 10 in relation to this background, the rotatable display device 10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element 1, an LED bar ( It includes LED bar, 2), rotation frame 3, rotation shaft 4, motor 5, body 6, control unit 7, and optical system 9.

광학계(9)는 회전면(8)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회전면(8)을 둘러싸는 사방 측벽 형태이며, 엘이디 소자(1)는 모든 종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광원을 포함한다.The optical system 9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surface 8, and has a four-sided sidewall shape surrounding the rotating surface 8, and the LED element 1 may include all types of light emitting elements.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red, green, and blue light sources.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바(2)는 각각 복수개의 엘이디 소자(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바(2)가 복수일 경우, 복수개의 엘이디 바(2)는 서로가 원통형의 면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된다.Each of the at least one LED bar 2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 elements 1 .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t least one LED bar 2 , the plurality of LED bars 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 cylindrical surface.

회전 프레임(3)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바(2)를 지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바(2)가 복수개일 경우, 회전 프레임(3)은 복수개의 엘이디 바(2)가 원주방향으로 등각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엘이디 바(2)를 지지한다.The rotating frame 3 may support at least one LED bar 2 . When the at least one LED bar 2 is plural, the rotating frame 3 supports the plurality of LED bars 2 so that the plurality of LED bars 2 can be equally ang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회전축(4)은 회전 프레임(3)과 연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바(2)와 회전축(4)은 회전 프레임(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4)은 몸체(6)와 연결된다.The rotation shaft 4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frame 3, and more specifically, at least one LED bar 2 and the rotation shaft 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frame 3. The rotating shaft 4 is connected to the body 6.

모터(5)는 몸체(6)에 설치되며, 회전축(4)과 연결된 회전 프레임(3)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몸체(6)는 지면에 고정되는 비회전체로서, 회전 프레임(3)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프레임(3)을 회전 지지하며, 몸체(6)에 설치된 모터(5)는, 회전축(4)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4)과 연결된 회전 프레임(3)을 회전시킨다. 또한 회전 프레임(3)과 연결된 회전축(4)은 몸체(6)와 연결되므로, 몸체(6)는 회전 프레임(3)을 지지한다.The motor 5 is installed on the body 6 and can rotate the rotating frame 3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4, and the body 6 is a non-rotating body fixed to the ground, and the rotating frame 3 rotates Rotating and supporting the rotating frame 3 so as to be possible, and the motor 5 installed on the body 6 rotates the rotating frame 3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4 by rotating the rotating shaft 4. In addition, since the rotating shaft 4 connected to the rotating frame 3 is connected to the body 6, the body 6 supports the rotating frame 3.

제어부(7)는 엘이디 바(2)의 회전각도에 따라 엘이디 소자(1)에 그래픽 정보 또는 동영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 may apply graphic information or video signals to the LED element 1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ED bar 2 .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실제 가시되는 영역이 평면 영역이어서 실내외 공간에 설치시 시야각에 제한이 따르게 되어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since the actually visible area is a flat area, the viewing angle is limited when installed in an indoor or outdoor space, making it difficult to implement various innovative columnar display devices required by consumers.

특히,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research on a display device that can secure a viewing angle in any movement path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viewing angle of users by directly installing the display device on a curved structure such as a cylinder or installing it in a column-shaped form in a wide space without a column is a study. It is necessary.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실내외 공간에 설치시 시야각에 제한이 따르지 않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gainst this background,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provide a variety of innovative columnar display devices required by consumers without restrictions on viewing angles when installed in indoor and outdoor spaces in display devices.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directly install the display device on a curved structure such as a cylinder or install it in a column shape in a wide space without a column in a display device so that users can have a viewing angle in any moving path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viewing angle. It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secured.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며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 이들을 구조물에 결합하는 고정 프레임등이 구비되어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nd a back cover that are connec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ranged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nd a fixed frame that combines them to a structure so that users are not limited by the viewing angl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ecuring a viewing angle in any movement path is provi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실내외 공간에 설치시 시야각에 제한이 따르지 않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n indoor or outdoor space, there is an effect of promoting various and innovative columnar display devices required by consumers without being subject to restrictions on viewing angles.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is directly installed on a curved structure such as a cylinder or installed in a column shape in a wide space without a column, so that users are not limited by the viewing angle and can view the viewing angle in any movement pat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lement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secured.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위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otatable display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A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f th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8 and 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f th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der, or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is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at other element, but intervenes between each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interposed",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위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A of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S. 8 and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며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201),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배면에 배치되는 곡면형상의 백 커버(205), 디스플레이 패널(201) 각각의 전면 상하측 단부를 각각 감싸면서 백 커버(205)와 결합되는 상하측 탑케이스(207), 백 커버(205)의 배면에 구비되며 백 커버(205)와 상하측 탑케이스(207)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10), 디스플레이 패널(201) 각각의 전면 좌우측 단부를 각각 감싸면서 고정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좌우측 탑케이스(209)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cludes a plurality of curved display panels 201 connected and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nd a display devic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1 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cover 205, the upper and lower top cases 207 coupled to the back cover 205 while wrapping the fron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urved back cover 205 and the display panel 201, respectively. The fixed frame 210 coupled to and fixed to the back cover 205 and the top and bottom top cases 207, and the left and right top cases coupled to the fixed frame 210 while wrappi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201, respectively ( 209).

여기서, 본실시예들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202)에 결합되며 고정되거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공간의 어느 위치에나 거치가 가능하도록 이동될 수 있는 이동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coupled and fixed to a curved structure 202 such as a cylinder as shown in FIGS. 2 to 7, or mounted anywhere in an open space as shown in FIGS. 8 to 10. It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fixture that can be moved to enable it.

먼저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202)에 결합되며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실내외 기둥 구조물에 원통형으로 설치되어 일반적인 평판형 또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설치 각도에 제한 없이 볼 수 있는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2 to 7 showing a case of being coupled to and fixed to a curved structure 202 such as a cylinder,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s installed in a cylindrical shape on an indoor/outdoor pillar structure and is installed on a general flat surface. Unlike a type or curved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lumn type display device that can be viewed without limiting the installation angle.

그리고,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 구현을 위해 본 실시예들에서는 전면이 오목한 일반적인 컵(Cup)형상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달리 전면이 볼록한 캡(Cap)형상으로 대략 반지름 700~900 mm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a columnar display device, in the present embodiments, a display having a radius of about 700 to 900 mm in a cap shape with a convex front surface, unlike a general cup-shaped curved display panel 201 with a concave front surface. A plurality of curved display panels 201 are arranged so that the panels 201 are connec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orm a cylindrical shape.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 백 커버(205), 고정 프레임(210), 상하측 탑케이스(207), 좌우측 탑케이스(209)가 원통형상의 곡면을 이루면서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도록 결합된다.That is, the display panel 201, the back cover 205, the fixing frame 210, the upper and lower top cases 207, and the left and right top cases 209 are combined to form a cylindrical curved surface to implement a columnar display device.

따라서, 종래에 비해 설치 각도에 따라서 시야각이 제한되던 한계를 극복하고 원통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360도 전 범위에서 다양한 영상을 끊기지 않고 볼 수 있게 된다.Therefore, compared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viewing angl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ngle and to view various images without interruption in the entire 360-degree range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shape.

이러한 본 실시예들에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se embodiments, the curved display panel 201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isplay panel 201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t further includes a backlight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lower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the lower substrate, and an upper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It may be configured, 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is a driving mod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for example, TN (Twisted Nematic) mode, VA (Vertical Alignment) mode, IPS (In plane switching) mode, and FFS (Fringe field switching) mode, etc.,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known in the art.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panel 201 is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cludes a lower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formed in each region defined by a gate line, a data line, and a power supply (VDD) line, and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t may include an upper substrate bonded to the substrate in opposition to each other.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is controlled according to at least one switching transistor connected to a gate line and a data line, at least one driving transistor connected to the switching transistor and a power supply (VDD) line, and switching of the driving transisto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eg, OLED) that emits light by current, and the upper substrate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isture absorbent and the like to protect the light emitting element from moisture or oxygen in the air.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connected to the driving transistor.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lower substrate may be omitted.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상 패널로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이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201 is shown as an example, and a backlight unit emitting light to the panel is not shown due to a structure that emits light itself, and th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201 will be described below. do it with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어레이에 있는 유기 화합물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픽셀 열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부재(encapsulation member, 201a)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에 접합되어 픽셀 어레이를 밀봉할 수 있다. Since the organic compounds in the pixel array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may deteriorate when exposed to moisture or oxygen, in order to prevent such pixel deterioration, an encapsulation member 201a is bon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1 to prevent pixel deterioration. The array can be sealed.

여기서, 봉지부재(201a)는 금속 기판이나 유리 기판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01)의 전면에는 편광필름이 접착될 수 있으며, 봉지부재(201a)와 백 커버(205)의 사이에는 금속재질의 백 커버(205)와 결합을 위한 자석부재(203)가 구비되며, 백 커버(205)가 플라스틱이나 유리재질인 경우 방열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encapsulation member 201a may be a metal substrate or a glass substrate, a polarizing film may be adhered to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301, and a metal material may be formed between the encapsulation member 201a and the back cover 205. A magnet member 203 for coupling with the back cover 205 is provided, and when the back cover 205 is made of plastic or glass, a heat dissipation member may be provided.

여기서, 방열부재는 흑연(graphite), 접착성 열전도 테이프,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등이 이용될 수 있다.Here, as the heat dissipation member, graphite, an adhesive thermal conductive tape, a 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 or the like may be used.

그리고, 픽셀 어레이로부터의 빛이 측면을 통해 방출되어 빛샘을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에는 사이드 씰부재(side seal member)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light from the pixel array is emitted through the side surface and causes light leakage, a side seal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1 .

여기서, 사이드 씰부재는 흑색 안료가 첨가된 고분자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이드 씰부재가 픽셀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을 통해 방출되는 빛이 보이지 않게 된다.Here, the side seal member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to which black pigment is added, and since the side seal member absorbs light emitted from the pixel array, light emitted through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201 is invisible.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의 배면에는 IC(231a)가 실장된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231)이 디스플레이 패널(201) 및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films 231 on which ICs 231a are mounte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20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the rear surface of at least one end of the display panel 201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

그리고,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231)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01) 및 인쇄회로기판에 레진 등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films 231 ar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20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with resin or the like by a TAB (Tape Automated Bonding) process, and TCP (Tape Carrier Package) or COF (Chip On Flexible Board or Chip On Film).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231)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가요성 회로필름(2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display panel 201 is electrical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a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films 2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films 231 to display Various signals for displaying images on the panel 201 are provided.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회로필름(2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구동을 위한 구동 IC(231a) 등이 실장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ircuit films 231 and provides various signals for displaying images on the display panel 20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driving IC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201 ( 231a) and the like are mounted.

그리고, 회로필름(231)과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에는 곡면형상의 백 커버(205)가 구비되며 백 커버(205)의 배면에는 고정 프레임(21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curved back cover 205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1 so that the circuit film 2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embedded, and a fixed frame 21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cover 205.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를 보호하면서 백 커버(205), 고정 프레임(210)과 결하되는 상하측 탑케이스(207)와 좌우측 탑케이스(209)가 구비된다.In addition, upper and lower top cases 207 and left and right top cases 209 coupled to the back cover 205 and the fixing frame 210 are provided while protecting the ends of the display panel 201 .

백 커버(205)의 배면에 구비되는 고정 프레임(210)은 상하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211)와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고정부재(213)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frame 21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cover 205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2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fixing member 21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상하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211)는 전면이 백 커버(205)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곡면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제1고정부재(211)의 후면에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지지홈(211a)이 구비되어 있어서 제2고정부재(2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ixing member 211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201 is provided with a curved surface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cover 205,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member 211 are provided. Support grooves 211a are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so that they can be combined with the second fixing member 213.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제1고정부재(211)의 지지홈(211a)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213)는 제1고정부재(211)와 격자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무게를 줄이면서도 강성을 보완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member 21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splay panel 201 and coupled to the support groove 211a of the first fixing member 211 forms a lattice shape with the first fixing member 211. It is formed to reduce weight while supplementing rigidity.

이러한 고정 프레임(210)은 연결부재(206)로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원주방향으로 인접된 제1고정부재(211) 각각의 단부 상측면에 고정홀(211b)이 구비되어 있고 이들 고정홀(211b)에 체결부재로 연결부재(206)가 결합됨으로써 상단과 하단 각각의 제1고정부재(211)가 원주방향으로 결합되면서 백 커버(205)와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xing frame 210 is coupled and fixed by a connecting member 206, and fixing holes 211b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each end of the first fixing member 211 adjac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se fixing holes 211b ) by coupling the connecting member 206 as a fastening member, the upper and lower first fixing members 211 are coup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support the back cover 205 and the display panel 201.

그리고, 제1고정부재(211)의 끝단부 전면에는 결합홈(211c)이 형성되어 있어서 백 커버(205)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0)가 안착되며 체결홀(211d)를 통해 체결부재로 결합된다.In addition, a coupling groove 211c is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fixing member 211, so that the support member 220 supporting the end of the back cover 205 is seated and the fastening member through the fastening hole 211d. combined with

그리고, 지지부재(220)는 대략 장방형 단면을 가지면서 백 커버(205)의 단부 후면의 상측에서 하측까지를 지지하여 백 커버(205)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Further, the support member 22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back cover 205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end of the back cover 205 is stably supported.

여기서, 백 커버(205)는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 스틸, 전기아연도금강판 등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들에서는 금속재질이나 유리 재질로 형성되어 2개의 백 커버(205a, 205b)가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백 커버(205a, 205b)를 1개의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back cover 205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luminum alloy, stainless steel, electrogalvanized steel, glass material, or plastic material.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formed of metal material or glass material, Although two back covers 205a and 205b are illustrated as an exampl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two back covers 205a and 205b may be injection molded from a single plastic material.

한편, 상하측 탑케이스(207)는 후면 하단부에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전면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207a)이 구비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전면쪽으로 이탈되지 않고 백 커버(205a, 205b)와 함께 지지부재(220)와 고정 프레임(210)에 견고하게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top cases 207 have first seating grooves 207a in which the front ends of the display panel 201 are seated at the lower rea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top cases 207, thereby protecting the ends of the display panel 201 from external impact and displaying the display panel 201. The panel 201 is firmly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fixed frame 210 together with the back covers 205a and 205b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side.

또한, 상하측 탑케이스(207)는 후면 상단부에 백 커버(205a, 205b)의 단부 전면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207b)이 구비되어 있어서, 백 커버(205a, 205b)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외관 디자인 품질을 높일 수 있게 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top cases 207 are provided with second seating grooves 207b in which the front ends of the back covers 205a and 205b are seat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so that the ends of the back covers 205a and 205b can be extend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otect from external shocks while making it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xterior design so as not to be exposed.

그리고, 백 커버(205a, 205b)의 단부와 제2안착홈(207b)에 서로 연통되는 커버결합홀(204)이 구비되어 체결부재로 결합되거나, 제2안착홈(207b) 내측에 인서트 너트(204a)를 구비하여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coupling hole 204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s provided at the ends of the back covers 205a and 205b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207b to be coupled with a fastening member, or an insert nut inside the second seating groove 207b ( 204a) to be coupled with a fastening member.

따라서, 백 커버(205a, 205b)가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함께 상하측 탑케이스(207)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the back covers 205a and 205b are firmly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top cases 207 together with the display panel 201 so that they are not lifted or separated.

좌우측 탑케이스(209)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전면을 감싸는 전면부(209a)와 전면부(209a)에서 절곡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와 지지부재(220)를 감싸는 측면부(209b)가 구비되어 있다.The left and right top cases 209 include a front portion 209a covering the front end of the display panel 201 and a side portion 209b bent at the front portion 209a and wrapping the end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201 and the support member 220. is provided.

따라서, 전면부(209a)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전면을 보호하면서 측면부(209b)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와 지지부재(220)를 지지하여 이들 부품들이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ile the front part 209a protects the front end of the display panel 201, the side part 209b supports the end of the display panel 201 and the support member 220 so that these parts do not come out of position and are solid. can be well supported.

이러한 좌우측 탑케이스(209)는 측면부(209b)와 지지부재(220)에 서로 연통되는 지지부재결합홀(222)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체결부재로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양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보호하고 인접된 디스플레이 패널(201)과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이룰 수 있게 된다.The left and right top cases 209 are provided with support member coupling holes 222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s 209b and the support member 220, and are coupled with fastening members through which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201 ar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narrow bezel by protecting impact from the outside and minimizing a gap with the adjacent display panel 201 without being affected.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면형 구조물에 고정 프레임(210)이 체결부재로 직접 결합되거나 별도의 브라켓(202a)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인쇄회로기판들은 별도의 셋톱박스(226) 형태로 바닥에 거치되거나 곡면형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In such a display device, the fixing frame 210 may be directly coupled to a curved structure as a fastening member or coupled through a separate bracket 202a, and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each display panel 201 They may be mounted on the floor in the form of a separate set-top box 226 or coupled to a curved structure.

한편, 개방된 공간의 어느 위치에나 거치가 가능하도록 이동될 수 있는 이동 고정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1)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인쇄회로기판(242)이 실장되는 보드 플레이트(240)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이루는 원통형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a movable fixture capable of being mounted at any position in an open space is provided,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display panels 201 as shown in FIGS. 8 to 10 A board plate 240 on which 242 is mounted may be radially disposed at the center of a cylindrical shape formed by the display panel 201 .

즉, 별도의 셋톱박스 구조물없이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인쇄회로기판(242)이 보드 플레이트(240)에 실장되어 원통형의 중심부에 배치됨으로써 별도의 셋톱박스 설치공간이 필요없게 되고 개방된 공간의 어느 위치에나 거치가 가능하도록 이동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242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each display panel 201 without a separate set-top box structure is mounted on the board plate 240 and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ylinder, thereby providing a separate set-top box installation space. It becomes unnecessary and can be moved so that it can be mounted anywhere in the open space.

이러한 보드 플레이트(24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중심부에서 외측까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45)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43), 제어 인쇄회로기판(242)이 장착되며 가이드부재(243)의 가이드 레일(245)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재(2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ard plate 240 is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nd a guide member 243 provided with a guide rail 24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242 is mounted, and the guide member 243 ) It may include a plate member 241 detach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245.

따라서, 각각의 제어 인쇄회로기판(242)이 장착된 평판형의 플레이트부재(241)를 가이드부재(243)에 슬라이딩시켜 탈부착됨으로써 조립이 간편해짐과 동시에 작동 오류시 제어 인쇄회로기판(242)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해지게 된다.Therefore, by sliding the flat plate member 241 on which each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242 is mounted on the guide member 243 to attach and detach, assembly is simplifi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242 in the event of an operation error. Repair and replacement becomes easy.

또한, 가이드부재(243)의 내측 단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이루는 원통형의 중심부에서 허브(245)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며 고정되고 가이드부재(243)의 외측 단부는 고정 프레임(210)을 결합하는 연결부재(206)와 결합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inner end of the guide member 243 is coupled and fixed to the hub 245 and a fastening member at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shape formed by the display panel 201, and the outer end of the guide member 243 is coupled to the fixing frame 210. It is coupled and fix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206 to be.

따라서, 가이드부재(243)에 결합된 플레이트부재(241)가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제어 인쇄회로기판(242)들과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late member 241 coupled to the guide member 243 is dispos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ach display panel 201 and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242 can be stably maintained. .

그리고, 하단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243)에는 스탠드 베이스(250)가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원통형의 지지구조물인 스탠드 베이스(250)가 바닥에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상하측 탑케이스(207)가 직접적인 충격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게 되며 시야각의 편의상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보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tand base 250 is coupled and fixed to the guide member 243 disposed at the lower end. By allowing the stand base 250, which is a cylindrical support structure, to be placed on the floor, the display panel 201 and the upper and lower top cases ( 207) is protected from direct impact, and the height from the floor is compensat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viewing angle.

이러한 스탠드 베이스(250)에는 구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름부재(253)가 구비될 수 있으며, 구름부재(253)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위치를 변경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e stand base 250 may be equipped with a rolling member 253 so as to enable rolling movement, and the user can install the display device while easily changing the position through the rolling member 253.

한편, 본 실시예들의 도면에서는 일례로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며 이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모듈이, 광원모듈, 광원모듈에서 방사된 광을 가공하여 액정패널에 적절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 광조절부재 및 광반사체 등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광원모듈은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전환하는 부품이며,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어셈블리, 냉음극 형광관(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열음극 형광관(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등이 이용될 수 있음은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the case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shown as an example, bu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also applicable to the cas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in this case, the backlight module provid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consists of a light source module, a light guide plate that proces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and provides appropriate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a light adjusting member and a light reflector, etc. Here, the light source module is a part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energy, and emits light. A light emitting diode (LED) assembly,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or a 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s belong. Since it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실내외 공간에 설치시 시야각에 제한이 따르지 않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n indoor or outdoor space, there is an effect of promoting various and innovative columnar display devices required by consumers without being subject to restrictions on viewing angles.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is directly installed on a curved structure such as a cylinder or installed in a column shape in a wide space without a column, so that users are not limited by the viewing angle and can view the viewing angle in any movement pat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lement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secur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1: 디스플레이 패널 203: 자석부재
205: 백 커버 206: 연결부재
210: 고정 프레임 211: 제1고정부재
213: 제2고정부재 220: 지지부재
240: 보드 플레이트 241: 플레이트부재
243: 가이드부재 245: 가이드 레일
250: 스탠드 베이스
201: display panel 203: magnet member
205: back cover 206: connecting member
210: fixed frame 211: first fixing member
213: second fixing member 220: support member
240: board plate 241: plate member
243: guide member 245: guide rail
250: stand base

Claims (15)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며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곡면형상의 백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전면 상하측 단부를 각각 감싸면서 상기 백 커버와 결합되는 상하측 탑케이스;
상기 백 커버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백 커버와 상하측 탑케이스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전면 좌우측 단부를 각각 감싸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결합되는 좌우측 탑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은,
전면이 상기 백 커버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곡면으로 구비되고 후면에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지지홈이 구비되어 상하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의 지지홈에 결합되며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제2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plurality of curved display panels connec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ranged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 curved back cover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upper and lower topcases coupled to the back cover while surrounding upper and lower front ends of each of the display panels;
a fixing fram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back cover and coupled to and fixed to the back cover and upper and lower top cases;
left and right topcases coupled to the fixing frame while surrounding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each of the display panels;
Including,
The fixed frame,
a first fixing member having a front surface curved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cover and having support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rear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 second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groov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rranged in a lattice shape with the first fixing member;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인접된 상기 제1고정부재 각각의 단부 상측면에 고정홀이 구비되고 이들 고정홀에 체결부재로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device in which fixing hole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end of each of the first fixing members adjacent to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nnecting members are coupled to the fixing holes as fastening member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끝단부 전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백 커버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display device in which a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end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back cover is se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탑케이스는 후면 하단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 전면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upper and lower top cases are provided with first seating grooves at lower rear portions of the rear surfaces of which the front ends of the display panels are sea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탑케이스는 후면 상단부에 상기 백 커버의 단부 전면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upper and lower top cases are provided with second seating grooves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back cover is seat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단부와 상기 제2안착홈에 서로 연통되는 커버결합홀이 구비되어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display device coupled to a fastening member by providing a cover coupling ho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t an end of the back cover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탑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 전면을 감싸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감싸는 측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left and right top cases are provided with a front portion that surrounds the front end of the display panel and a side portion that is bent from the front portion and surrounds the end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support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서로 연통되는 지지부재결합홀이 구비되어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8,
A display device having a support member coupling ho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on the side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인쇄회로기판이 실장되는 보드 플레이트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루는 원통형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display device in which a board plate on which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display panels is mounted is radially disposed in a cylindrical center of the display pane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플레이트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중심부에서 외측까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 레일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board plate
Guide members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and provided with guide rai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a plate member to which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mount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of the guide member;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루는 원통형의 중심부에서 허브와 체결부재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inner end of the guide member is fixed by being coupled with a hub and a fastening member at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shape formed by the display pane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n outer end of the guide member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connection member.
제 13 항에 있어서,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부재는 스탠드 베이스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guide member disposed at the bottom is fixed by being coupled to a stand bas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베이스에는 구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름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a roll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stand base to enable rolling movement.
KR1020160160253A 2016-11-29 2016-11-29 Display device Active KR102538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53A KR102538327B1 (en) 2016-11-29 2016-11-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53A KR102538327B1 (en) 2016-11-29 2016-11-29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18A KR20180061518A (en) 2018-06-08
KR102538327B1 true KR102538327B1 (en) 2023-06-01

Family

ID=6259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253A Active KR102538327B1 (en) 2016-11-29 2016-11-29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3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9037B2 (en) 2019-01-25 2023-12-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1508382B (en) * 2019-01-31 2024-08-20 利亚德智慧显示(深圳)有限公司 Display screen
WO2021060594A1 (en) * 2019-09-26 2021-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Rotatable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iodes
US12235533B2 (en) * 2019-10-17 2025-02-25 Corning Incorporated Perimeter adhesive for improved reliability and reduced stress mura in curved displays with cover glass
JP7268632B2 (en) * 2020-04-02 2023-05-08 株式会社デンソー In-vehicle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139Y1 (en) * 2004-06-15 2004-09-22 박인표 Panel for Preventing Leaflet Adhesion
KR200465128Y1 (en) 2008-03-27 2013-02-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Notice board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540B1 (en) * 2009-12-18 2011-10-27 최천식 a pole type advertisement frame
KR20110076741A (en) * 2010-07-30 2011-07-06 박봉호 Advertising device using LCD and LED
JP6823927B2 (en) * 2015-01-21 2021-02-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139Y1 (en) * 2004-06-15 2004-09-22 박인표 Panel for Preventing Leaflet Adhesion
KR200465128Y1 (en) 2008-03-27 2013-02-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Notice board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18A (en)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327B1 (en) Display device
KR102552047B1 (en) Display device
KR102357930B1 (en) Display device
KR102369318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274397B1 (en) Rollable display device
US9007755B2 (en) Flat panel 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55011B1 (en) Display device
KR10127786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7437590A (en) Display device
KR20140036715A (en) Display module of display device
US9736950B2 (en) Display device
KR20160024264A (en) Display device
JP2012242445A (en) Display device
US10466540B2 (en) Display device with bottom cover glass
KR102567375B1 (en) Display device
US20140009962A1 (en) Backlight unit
KR102423109B1 (en) Display device
KR102754565B1 (en) Display device
US10600990B2 (en) Display device with resin layer and improved cooling
KR10091806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20190075525A (en) Display device
KR102436180B1 (en) Display device
KR102457074B1 (en) Display device
KR10217996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2113627B1 (en) Flat 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ma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