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253B1 - Sterilizing device of elevator - Google Patents
Sterilizing device of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4253B1 KR102534253B1 KR1020210014946A KR20210014946A KR102534253B1 KR 102534253 B1 KR102534253 B1 KR 102534253B1 KR 1020210014946 A KR1020210014946 A KR 1020210014946A KR 20210014946 A KR20210014946 A KR 20210014946A KR 102534253 B1 KR102534253 B1 KR 1025342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ge
- air
- unit
- elevator
- air fl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에 마련된 승강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로 상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케이지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서로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지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을 구동시키기 위한 윈치와, 상기 케이지에 설치되어 케이지 내의 탑승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송풍기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유닛과, 상기 케이지의 탑승공간의 상부에 설치되어 송풍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탑승공간의 수직방향으로 분할하여 공급함으로써 탑승자 상호 간에 호흡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유동을 줄일 수 있는 복수개의 독립된 기류형성부 구비한 분할기류형성유닛과, 상기 케이지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할기류형성유닛에 의해 송풍공간부들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유닛을 구비한다. An elevator having a quarantin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ge installed movably along a hoistway provided inside a building; a counterweight installed on the hoistway to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ge; A winch for driving a cable interconnecting the cage and the counterweight so that the cage and the counterweight mov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a blower unit installed in the cage to cool or heat the boarding space in the cage.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unit installed above the boarding space of the cage are divided and su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arding space to form a plurality of independent air streams that can reduce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respiratory system between the occupants. and a divided air flow forming unit provided with the cage, and an exhaust unit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cage to discharge the air injected from the blowing space parts by the divided air flow form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케이지의 탑승공간 내의 공기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탑승객들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having a disinfection function capable of minimizing air contamination in a boarding space of a cage and preventing contamination by passengers.
현대사회는 밀집된 도시화로 인하여 건축물들이 고층화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사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엘리베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In modern society, as buildings become high-rise and diversified due to dense urbanization, elevators are used to smoothly move objects.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건축구조물에 케이지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이 공간 통해 케이지가 수직으로 이동되면서 인력 및 화물을 수송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이동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는 탑승공간을 개폐하는 케이지도어와 건축물의 각 층에 설치되는 홀도어와 연계하여 개폐된다. Such an elevator secures a space in which a cage can be moved in a building structure, and transports personnel and cargo while the cage moves vertically through this space. To this end, the cage of the elevator moving along the moving space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a cag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boarding space and a hall door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한편, 상기 케이지는 운행 중에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공기의 청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조화 장치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age maintains a sealed state during operation, an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order to maintain a clean state of the ai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8-049687호에는 산소발생기와 에어컨이 구비된 승강기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20-058179호에는 엘리베이터용 공기조화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975321호에는 엘이베이터용 난방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49687 discloses an elevator equipped with an oxygen generator and an air conditioner,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58179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vator. 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75321 discloses a heating system for an elevator.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를 탑승공간의 공기조화를 위한 장치는 송풍기유닛에 의해 탑승공간 내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The device for air conditioning the boarding space of the cag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described above is made by supplying cool air or warm air into the boarding space by means of a blower unit.
그러나 이러한 순환구조는 외기와의 케이지 내의 공기순환이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엘리베이터 케이지 탑승공간은 폐쇄적으로 설계될 수밖에 없으므로 탑승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엘리베이터 내부면 및 버튼 등에 점착되어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살균이 용이하지 않다. However, in this circulation structure, air circulation within the cage with outside air is not achieved within a short time. In particular, since the boarding space of the elevator cage is inevitably designed to be closed, the occupants are inevitably exposed to bacteria or viruses.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sterilize bacteria or viruses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or and buttons.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19, 메르스(mers), 홍콩독감, 신종플루, 사스(sars) 등과 같이 전염성 및 치사율이 높은 바이러스는 공기에 의해 전염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염이 이루어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밀폐된 탑승공간의 살균 및 전염을 예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Viruses with high contagiousness and lethality, such as the epidemic COVID-19, MERS, Hong Kong flu, swine flu, and SARS, tend to be transmitted because they are transmitted by air.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prevent sterilization and infection of the enclosed boarding space of the elevator cag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136837호에는 체온감지 및 방역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19-061183호에는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 살균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가 게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36837 discloses an elevator system with body temperature detection and disinfection functions,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61183 discloses an elevator using an air sterilizer using ultraviolet light and plasma.
게시된 엘리베이터의 공기 살균기는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구성을 가진다. The posted elevator air sterilizer has a configuration using ultraviolet light and plasma.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68938호에는 엘리베이터의 자외선 살균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90129호에는 엘리베이터 스마트공기 살균기가 게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68938 discloses an elevator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0129 discloses an elevator smart air sterilize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8-085964호에는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기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공기 청정기는 광촉매 코팅층을 가지는 살균박스를 구비한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85964 discloses an elevator air purifier. The posted air purifier has a sterilization box having a photocatalyst coating layer.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가동기간 동안 수시로 탑승객의 타고 내리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살균박스 또는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은 엘리베이터의 사용 기간 중에는 케이지의 탑승공간을 살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levator frequently gets on and off passengers during the operating period, the above-described sterilization box or sterilization using ultraviolet rays has a problem in that the boarding space of the cage cannot be sterilized during the elevator use perio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지의 탑승공간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탑승자들의 사이를 구획할 수 있어 탑승공간에서 바이러스의 전염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elevator having a quarantine function capable of minimizing transmission of viruses in the boarding space by partitioning between passengers using air flow in the boarding space of the cage is in provi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지의 탑승공간에서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속적인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케이지 하부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할 수 있으므로 바이러스의 확산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quarantine function that can minimize the spread of viruses by generating a continuous flow of ai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the boarding space of the cage and discharging the air from the lower side of the cage to the outside. To provide an eleva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에 마련된 승강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로 상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케이지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서로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지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을 구동시키기 위한 윈치와, 상기 케이지에 설치되어 케이지 내의 탑승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송풍기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유닛과, An elevator having a disinf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ag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a hoistway provided inside a building, a counterweight installed on the hoistway to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ge, and A winch for driving a cable interconnecting the cage and the counterweight so that the cage and the counterweight mov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a blower unit installed in the cage to cool or heat the boarding space in the cage. an air conditioning unit,
상기 케이지의 탑승공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탑승공간의 수직방향으로 분할하여 공급함으로써 탑승자 상호간의 공기유동을 줄일 수 있는 복수개의 독립된 송풍공간부를 형성하는 송풍공간형성노즐부를 구비한 구획에어커튼형성유닛과,A blower space forming nozzle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space of the cage to form a plurality of independent blower space parts capable of reducing air flow between passengers by dividing and supply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arding space. a compartment air curtain forming unit provided;
상기 케이지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에어커튼형성유닛에 의해 송풍공간부들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케이지공기배출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age air discharge uni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ge and discharging the air injected from the ventilation spaces by the compartment air curtain forming unit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획에어컨튼형성유닛은 상기 케이지의 천정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분사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분사공간과 연결되는 분기덕트들과, 상기 각 분기덕트들과 제1송풍기유닛을 연결하는 메인덕트을 구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air conditioner forming unit includes a partition member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ceiling of the cage and partitions into a plurality of jet spaces, and branch ducts connected to each jet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member. and a main duct connecting each of the branch ducts and the first blower unit.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송풍공간부들의 경계부위에는 제2송풍기와, 이 송풍기와 연결되어 송풍공간부들의 사이에 송풍공간노즐부로부터 분사되는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분리에어벽을 형성하기 위 에어컨튼노즐을 더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blow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blower at the boundary of the blowing space part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member, and air is sprayed at a pressu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pressure injected from the blowing space nozzle part between the blowing space parts. An air conditioner nozzle is further provided to form the separation air wall.
상기 배출유닛은 케이지의 하부측의 외주면 또는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배출배출구를 포함하는 배출덕트와, 상기 배출덕트와 연결되는 배출송풍기유닛을 구비한다.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discharge duct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outlet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cage, and a discharge blower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duct.
상기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분사공간의 내면에 상기 케이지의 바닥면측으로 광을 조사하여 탑승자의 탑승위치를 한정하는 빔발사유닛을 더 구비한다. A beam emitting unit configured to radiate light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ge on an inner surface of the spray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member to limit a boarding position of the occupant is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는 탑승자의 머리 주위에 구획된 분사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탑승자 상호간의 공기 유동을 최소화하여 바이러스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다. The elevator having a disinf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lock virus contamination by minimizing air flow between passengers by forming a partitioned injection space around the head of the occupant.
그리고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탑승자의 탑승위치를 정하여 줌으로써 캐이지 내부에서 탑승자들 상호간의 거리두기를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determining the boarding position of the occupant inside the cage, it is possible to induc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inside the c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를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구획에어커튼형성유닛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vator having a quarantin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or cage having a quarantin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ge of the elevator having a quarantine function shown in Figure 2;
4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ition air curtain forming unit of an elevator having a quarantin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An embodiment of an elevator having a quarantin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1 to 4.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10)는 건물의 내부에 마련된 승강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지(20)와, 상기 케이지(20)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로 상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11)와, 상기 케이지(20)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11)가 서로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지(20)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11)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13)을 구동시키기 위한 윈치(12)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그리고 상기 케이지(20)에는 이의 내부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공기조화유닛(30)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지(20)의 탑승공간의 상부에 설치되어 송풍유닛(53)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탑승공간의 상부 측을 수직방향으로 분할하여 공급함으로써 케이지에 탑승한 탑승자의 탑승영역 상호간의 공기유동을 줄일 수 있는 복수개의 독립된 기류형성부(41)를 구비한 분할기류형성유닛(40)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케이지(2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할기류형성유닛(40)에 의해 송풍노즐부(45)들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를 캐이지(20)의 하부에서 배출하는 배기유닛(80)을 구비한다. In addition, an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10)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본 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10)의 케이지(20)에 설치되는 분할기류형성유닛(40)의 기류형성부(41)는 케이지(20)의 천정부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분사되는 구획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구획부재(42)가 케이지(20)의 천정부를 복수개로 분할 구획할 수 있도록 격자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ir flow forming unit 41 of the divided air
상기 기류형성부(41)는 케이지(20)의 천장에 설치 시 탑승자들 사이의 거리두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류형성부(41)의 설치 높이는 각 탑승자들의 머리 수직 상부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탑승자의 머리 주위에 독립된 송풍기류가 형성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air flow forming unit 41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그리고 상기 각각의 기류형성부(41)에는 구획을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송풍노줄부(45)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노즐부(45)는 상기 기류형성부(41)를 통하여 하부측으로 충분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a
상기 분할기류형성유닛(40)의 각 송풍노즐부(45)는 분기덕트(51)와 연결되고, 상기 각 분기덕트(51)들은 메인덕트(52)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덕트(52)는 송풍노즐부(45)를 통하여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유닛(53)과 연결된다. 상기 송풍기유닛(53)은 케이지에 설치된 공기조화유닛 즉, 냉, 난방유닛을 구성하는 송풍기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송풍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송풍유닛의 풍량은 각각의 송풍노즐부(45)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기류가 형성되어 탑승자의 머리와 주위를 감쌀 수 있어야 한다. Each blowing
한편 송풍노즐부(45)의 가장자리 즉, 탑승자의 머리주위에 기류의 흐름을 유발시키기 위한 송풍노즐부(45)의 구획된 공간의 가장자리에는 기류형성부(41)의 가장자리궤적을 따라 상기 송풍노즐부(45)보다 상대적을 풍속이 강한 분리에어벽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에어커튼부(60)를 구비한다.Meanwhile, at the edge of the blowing
상기 보조에어커튼부(60)는 기류형성부(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에어커튼노즐(61)들을 구비하는데, 이 에어커튼노즐(61)은 상기 기류형성부(41)의 궤적을 따라 설치되는 노즐본체부(61a)을 구비하는데, 상기 노즐본체부(61a)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분사공들 또는 소정길이의 분사슬롯들이 형성된다. The auxiliary
상기 에어커튼노즐(61)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공급하기 위해 보조송풍기(62) 또는 압축기와 공급관(63)에 의해 연결된다. The
상기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에어컨튼노즐(61)들은 상기 기류형성부(41)를 이루는 구획부재(42)의 하단부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상기 분할기류형성유닛(40)의 각 기류형성부(41)와 대응되는 상기 케이지(20)의 바닥면에는 탑승자의 탑승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탑승위치표시유닛(7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탑승위치표시유닛(70)은 케이지(20)의 바닥면에 탑승위치를 한정하는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71)는 케이지(2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투광판과 상기 투광판이 설치되는 케이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boarding
상기 탑승위치표시유닛(7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케이지(20)의 천정 또는 측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류형성부(41)와 대응되는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엘이디를 이용한 발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체에 영향을 주지않는 레이저빔이 이용될 수도 있다.The boarding
그리고 상기 배기유닛(80)은 케이지(20)의 하부측의 외주면 또는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배기배출구(81)가 형성되고, 이 배기배출구(81)는 배출덕트(82)에 의해 배기송풍유닛(85)과 연결된다. 상기 배기송풍유닛(85)은 상대적으로 소음이 적은 시로코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닛(80)에 의해 케이지(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함에 있어서, 상기 기류형성부(41)에 의해 분사되는 기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배기량과 배출위치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케이지(20)의 하부측 벽면의 외주면에 케이지(20)를 감싸는 배기덕트(82)를 설치하고, 배기덕트와 접촉되는 케이지(20)의 벽면에 연속하여 배기배출구(81)가 형성된 배기그릴(83)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배기그릴(83)을 통하여 유입되는 배출공기가 배기덕트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배기유닛(80)과 분할기류형성유닛(40) 및 보조에어커튼부(60)의 작동은 케이지(20)에 탑승자가 탑승한 경우에만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케이지(20) 내에 탑승자의 탑승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탑승자검출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having the quarantin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1)는 케이지(20)에 탑승한 승객마다 기류형성부(41)에 의해 형성된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하게 되므로 탑승객들 상호 간의 비대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The elevator 1 having a disinf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an independent space formed by the airflow forming unit 41 for each passenger boarding the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지(20)의 상부측에 형성된 분할기류형성유닛(40)의 송풍유닛(53)의 구동으로 이와 메인덕트(52)와 분기덕트(51)에 의해 연결된 각각의 송풍노즐부(45)에 의해 각 기류형성부(41)로부터 하방으로 신선한 공기가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기류형성부(41)에 의해 케이지(20)의 상부측에는 상호 구획되는 기류가 형성된다.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by driving the
아울러 구획된 기류형성부(41)를 형성하는 구획부재(45a)의 하부측는 보조에어커튼부(60)의 에어커튼노즐(6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의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기류형성부(41)로부터 분사되는 기류들의 구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 배기유닛(80)은 배기송풍유닛(85)의 구동으로 배출덕트(82)와 연결된 배기배출구(81)를 통하여 케이지(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Also,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배기유닛(80)과 분할기류형성유닛(40)의 작동은 제어부에 의해 캐이지(20)의 내부에 탑승자가 탑승한 경우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케이지(20)에 설치된 분할기류형성유닛(40)과 배기유닛(80)의 작동으로 각 기류형성부(41)의 하부와 인접된 기류형성부(41)의 하부에는 서로 구획된 기류가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by the operation of the divided air
따라서 엘이베이터의 케이지(20)에 탑승한 탑승객들이 각각 기류형성부(41)의 하부에 탑승자의 머리가 독립된 기류 내에 위치하게 된다. Therefore, the heads of the passengers boarding the
그리고 탑승자의 호흡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송풍노즐부(45)로부터 배출되는 기류에 편승하여 케이지(20) 내의 하부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배기유닛(8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므로 탑승자들의 호흡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각종 바이러스 및 오염물질이 케이지(20)에 동승한 탑승자들의 호흡기를 통하여 상호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exhausted by the breath of the occupants rides on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blowing
특히, 상기 기류형성부(41)와 대응측의 캐이지(20)의 바닥면에는 상기 탑승위치표시유닛(7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탑승자는 상기 기류형성부(41)의 수직하부에 설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탑승자 상호 간의 바이러스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In particular, since the boarding
이는 엘에베이터의 케이지(20)의 내부에서 탑승자들 상호간이 거리두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is can be expected to have a distance effect between passengers insid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는 밀폐된 공간 내부에서 탑승객들이 독립된 기류를 형성하여 탐승자를 보호하게 되므로 바이러스의 오염을 방지하고, 악취 등에 노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having a disinf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passengers by forming an independent airflow inside an enclosed space, thereby preventing virus contamination and exposure to odors. Can fundamentally prevent.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살균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elevator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5)
상기 케이지의 탑승공간의 상부에 설치되어 송풍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탑승공간의 수직방향으로 분할하여 공급함으로써 탑승자 상호 간에 호흡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유동을 줄일 수 있는 복수개의 독립된 기류형성부 구비한 분할기류형성유닛과,
상기 케이지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할기류형성유닛에 의해 송풍공간부들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a cage movably installed along a hoistway provided inside a building; a counterweight installed on the hoistway to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ge; A winch for driving a cable interconnecting the cage and the counterweight so that the cage and the counterweight mov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a blower unit installed in the cage to cool or heat the boarding space in the cage. an air conditioning unit;
Divider airflow hav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airflow forming units that ar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oarding space of the cage and can reduce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respirator between occupants by dividing and supply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arding space. forming unit,
An elevator having a disinf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exhaust uni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ge and discharging air sprayed from the blowing space parts by the divided air flow forming unit.
상기 분할기류형성유닛의 상기 케이지의 천정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분사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로 이루어진 기류형성부와, 상기 기류형성부의 구획된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송풍노즐부와, 상기 각 송풍노즐부와 연결되는 분기덕트들과, 상기 각 분기덕트들과 송풍유닛을 연결하는 메인덕트를 구비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According to claim 1,
An air flow forming unit composed of a partition member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ceiling of the cage of the divided air flow forming unit and partitions into a plurality of spraying spaces, a blowing nozzle unit installed in each of the divided spaces of the air flow forming unit, and each of the above An elevator having a disinfection function comprising branch ducts connected to the blowing nozzle unit and a main duct connecting each of the branch ducts and a blowing unit.
상기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기류형성부의 경계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기류형성부를 통하여 하방으로 분사되는 기류의 분사압력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차단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에어커튼노즐부와, 상기 에어커튼노즐부와 공급관에 의해 연결된 보조송풍부를 구비한 보조에어커튼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According to claim 2,
An air curtain nozzle unit installed at a boundary of the air flow forming unit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member to inject air at a pressu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spray pressure of the air flow downwardly sprayed through the air flow forming unit to form an air breaker flow; An elevator having a quarantin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air curtain unit having an auxiliary air blowing unit connected to the air curtain nozzle unit by a supply pipe.
상기 배기유닛은 케이지의 하부측의 외주면 또는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배출배출구를 포함하는 배출덕트와, 상기 배출덕트와 연결되는 배기송풍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According to claim 1,
The exhaust unit is an elevator having a quarantin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duct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outlet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cage, and an exhaust blowing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duct.
상기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분사공간의 내면에 상기 케이지의 바닥면측으로 광을 조사하여 탑승자의 탑승위치를 한정하는 탑승위치표시닛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2,
The elevator having a disinf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oarding position display panel for limiting the boarding position of the occupant by radiating light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g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ray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4946A KR102534253B1 (en) | 2021-02-02 | 2021-02-02 | Sterilizing device of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4946A KR102534253B1 (en) | 2021-02-02 | 2021-02-02 | Sterilizing device of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1549A KR20220111549A (en) | 2022-08-09 |
KR102534253B1 true KR102534253B1 (en) | 2023-05-17 |
Family
ID=8284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4946A Active KR102534253B1 (en) | 2021-02-02 | 2021-02-02 | Sterilizing device of ele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4253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37530A (en) | 2013-06-10 | 2014-12-1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Elevator passenger guiding device and elevator passenger guid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8938B1 (en) | 2004-08-25 | 2007-01-19 | 윤일식 | Ultraviolet Sterilizer of Elevator |
KR20080085964A (en) | 2007-03-21 | 2008-09-25 | (주)포브디자인 | Elevator Air Purifier |
KR20100088386A (en) * | 2009-01-30 | 2010-08-09 | (주)새한트라비스엘리베이터 | The air circulating and cleanning instrument for an elevator |
KR102169596B1 (en) | 2017-11-27 | 2020-10-23 | 유한회사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 Elevator with air sterilizer using ultraviolet rays and plasma |
KR102136837B1 (en) | 2020-03-30 | 2020-07-23 | (주)패스넷 | Elevator system with body temperature detection and quarantine function |
-
2021
- 2021-02-02 KR KR1020210014946A patent/KR1025342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37530A (en) | 2013-06-10 | 2014-12-1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Elevator passenger guiding device and elevator passenger guid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1549A (en) | 2022-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95852B1 (en) | Aircraft including lavatory with hand dryer having managed air flow | |
JP4750058B2 (en) | Operating room | |
KR20220068727A (en) | Living quarter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virus spread | |
JP2016211844A (en) | Control dilution flow in critical environment | |
EP0694151B1 (en) |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air to a ventilated space | |
KR102534253B1 (en) | Sterilizing device of elevator | |
EP0967444B1 (en) | A device for ventilation and cooling and/or heating rooms | |
JP6041844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2265910B1 (en) | Dry Photocatalyst Air Shower Sterilization Booth | |
JP2005106296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2484689B1 (en) | underfloor air distribution fan terminal unit with space sterilization function | |
JP2007078254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ion generator | |
KR102205455B1 (en) | Elevator system with combined air intake port and hand rail, and floor indicator | |
KR102317042B1 (en) | Outdoor Booth filled Purified Air and Capable of Preventing Mouth Secretions Transmission | |
JP4087676B2 (en) | Harmonic air supply system for railway vehicle cabins | |
JP2007051816A (en) | Ceiling embedded bathroom heater with mist function | |
JPS6058373B2 (en) | Air conditioning method for large spaces | |
JPH07186948A (en) | Vehicle air-conditioning duct structure | |
JPH0441384A (en) | Elevator cage equipped with air conditioner | |
JP2008151453A (en) | Humidifying air conditioning system | |
JPH07318124A (en) | Blower unit | |
JP7456201B2 (en) | Blowout unit and air conditioning/ventilation system | |
KR101888943B1 (en) | Elevator having an air-conditioner and an oxygen generator | |
CN115715360A (en) | Protective gas supply system in clean roo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tective gas flow | |
JP2015166645A (en) | Method for reducing indoor circulating filtered air blowing amount by using partial exhaust gas circulating utilization type safety cabinet and clean room reducing indoor circulation air blowing amount keeping cleanliness by using partial exhaust gas circulating utilization type safety cabin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