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32164B1 -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 Google Patents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164B1
KR102532164B1 KR1020220125604A KR20220125604A KR102532164B1 KR 102532164 B1 KR102532164 B1 KR 102532164B1 KR 1020220125604 A KR1020220125604 A KR 1020220125604A KR 20220125604 A KR20220125604 A KR 20220125604A KR 102532164 B1 KR102532164 B1 KR 102532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belt
length
surgical gown
skin
disposable surg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홍
장양순
Original Assignee
아얀테 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얀테 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아얀테 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22012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164B1/ko
Priority to PCT/KR2023/014643 priority patent/WO2024071900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09Surgeons' gowns or d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2허리벨트로서, 전피와 후피의 양측 단부를 접합하여 수술 가운의 몸통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2허리 벨트 각각의 일측 단이 상기 전피와 후피의 양측 단부에 동시에 접합 고정되고, 길이를 가지며 연장된 상기 제1,2허리 벨트 각각의 타측 단은 상기 전피 전방에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접혀서 마주하고, 마주한 양측 선단이 파지부재에 의해 점착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WAIST BELT OF DISPOSABLE SURGICAL GOWN}
본 발명은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 시 착용하는 수술 가운의 허리를 조여 맬 수 있도록 하는 허리 벨트로서, 공장 자동화 라인에서 수술 가운의 전피에 적용이 적합하게 이루어지고, 제조 과정이나 사용 준비 중에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에 관한 것이다.
수술실이나 중환자실 또는 응급실에서의 의료 업무를 수행하는 의사와 간호사가 환자의 혈액이나 분비물을 포함한 오염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감염을 방지하거나, 이와 반대로 수술 시 환자의 절개된 체내로 오염물 또는 세균이 침투하여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소독 처리된 가운, 모자, 장갑 등의 방호용 복장을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복장 중 수술용 가운(1)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통(2)과 팔(3)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몸통(2)은 전면과 상기 전면의 후방에 양분된 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의 허리 부분에 허리벨트(4; 허리 묶음 끈)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 수술용 가운(1)의 제조 공정은 거의 대부분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허리벨트(4) 또한 수작업으로 전면에 재봉 결합되므로, 일회용 수술 가운(1)의 제조성은 물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제조 원가가 높아 가격 경쟁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수술용 가운(1)은 제조 과정 대부분이 수작업으로 진행되므로, 세균이나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 환경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0314호(명칭: 일회용 수술 가운; 공개일: 2017.12.22.)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를 통해 자동 생산하여, 제조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조 후 포장 시 흐트러짐 없이 가지런히 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된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를 제공하는데 1차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조 과정이나 사용을 위한 준비 과정에서 오염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를 제공하는데 2차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회용 수술 가운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2허리벨트로서, 전피(前被(Front Cover))와 후피(後被(Rear Cover))의 양측 단부를 접합하여 수술 가운의 몸통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2허리 벨트 각각의 일측 단이 상기 전피와 후피의 양측 단부에 동시에 접합 고정되고, 길이를 가지며 연장된 상기 제1,2허리 벨트 각각의 타측 단은 상기 전피 전방에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접혀서 마주하고, 마주한 양측 선단이 파지부재에 의해 점착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몸통부와 제1,2허리벨트의 접합은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 접합 또는 열 융착 접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제1허리벨트는 상기 전피의 측면에 접합된 일측 단에서부터 상기 전피 중간 부분으로 연장된 제1-1길이부; 상기 제1-1길이부에서 상기 전피 측면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1-2길이부; 상기 제1-2길이부에서 상기 전피 중간 부분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1-3길이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1길이부는 상기 전피에 접하고, 상기 제1-2길이부는 제1-1길이부에 접하고, 상기 제1-3길이부는 제1-2길이부에 접하도록 겹쳐지게 접혀서 정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1길이부의 상기 전피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1고정부재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전피에 점착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1길이부의 길이는 상기 전피 폭의 40~5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2길이부의 상기 전피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2고정부재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제1-1길이부에 점착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3길이부의 상기 전피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3고정부재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파지부재 일측 하부면에 점착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제2허리벨트는 상기 전피의 측면에 접합된 일측 단에서부터 상기 전피 중간 부분 방향으로 연장된 제2-1길이부; 상기 제2-1길이부에서 상기 전피 측면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2-2길이부; 상기 제2-2길이부에서 상기 전피 중간 부분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2-3길이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1길이부는 상기 전피에 접하고, 상기 제2-2길이부는 제2-1길이부에 접하고, 상기 제2-3길이부는 제2-2길이부에 접하도록 겹쳐지게 접혀서 정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1길이부의 상기 전피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4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전피에 접합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1길이부의 길이는 상기 전피 폭의 20~3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2길이부의 상기 전피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5고정부재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제2-1길이부에 점착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3길이부의 상기 전피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6고정부재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파지부재 타측 상부면에 점착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전피에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허리벨트와 제2허리벨트의 선단이 점착 고정되는 부위와 손으로 파지 조작하는 부위를 갖는 시트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파지부재에는 상기 제1허리벨트의 선단만 접착 고정되고, 상기 제2허리벨트의 선단은 자유공간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를 통한 자동생산 공정에서, 상기 전피(2a)와 상기 후피(2b)의 양측 단부를 접합하여 일회용 수술 가운(1)의 몸통부(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피(2a)와 후피(2b)의 양측 단부에 제1,2허리벨트(11)(12) 각각의 일측 단이 동시에 접합하고, 타측 단은 상기 전피(2a) 전방에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접어서 마주한 양측 선단이 상기 파지부재(13)에 의해 감싸여 점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공장 자동화를 통해 자동 생산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제조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조 후 포장 시 흐트러짐 없이 가지런히 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수술 가운(1)을 수작업이 아닌 공장 자동화를 통해 제조하는 과정에서, 허리벨트(10)를 자동으로 부착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 오염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을 최소화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하여 오염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사용을 위한 준비 과정에서 허리벨트(10)를 직접 만지지 않고 파지부재(13)를 잡고 묶음 위치까지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허리벨트(10)를 만지는 횟수나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을 위한 준비 과정에서 오염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1길이부(12-1)의 길이가 상기 전피(2a) 폭의 1/4인 상태로, 상기 전피(2a)의 중간 부분 방향으로 접혀 제4고정부재(15-4)에 의해 접합 고정될 경우, 상기 제1허리벨트(11)와의 묶음 부위가 상기 전피(2a)의 전면 중간 부분과 측면 부분이 아닌 측면에 치우친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묶음 동작이 측면에 위치할 때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전피(2a)의 중간 부분에 있을 때 수술을 포함한 의료 행위 시 동작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일회용 수술 가운의 몸통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한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전피와 허리벨트가 면접하도록 접힌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전피에 대해 허리벨트가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전피에 대해 허리벨트가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인 허리벨트의 묶음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중 파지부재에 제1허리벨트만 점착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실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10)는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수술 가운(1)의 몸통부(2) 허리 부분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2허리벨트(11)(12)로서, 상기 전피(2a; 前被(Front Cover))와 상기 후피(2b; 後被(Rear Cover))의 양측 단부를 접합하여 일회용 수술 가운(1)의 몸통부(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피(2a)와 후피(2b)의 양측 단부에 제1,2허리벨트(11)(12) 각각의 일측 단이 동시에 접합 고정되고, 길이를 가지며 연장된 각각의 타측 단은 상기 전피(2a) 전방에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접혀서 마주하고, 마주한 양측 선단이 상기 파지부재(13)에 의해 점착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제1허리벨트(11)는 상기 전피(2a)의 측면에 접합된 일측 단에서부터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으로 연장된 제1-1길이부(11-1); 상기 제1-1길이부(11-1)에서 상기 전피(2a) 측면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1-2길이부(11-2); 상기 제1-2길이부(11-1)에서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1-3길이부(11-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제2허리벨트(12)는 상기 전피(2a)의 측면에 접합된 일측 단에서부터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 방향으로 연장된 제2-1길이부(12-1); 상기 제2-1길이부(12-1)에서 상기 전피(2a) 측면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2-2길이부(12-2); 상기 제2-2길이부(12-2)에서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2-3길이부(12-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파지부재(13)는 상기 전피(2a)에 점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허리벨트(11)와 제2허리벨트(12)의 선단이 점착 고정되는 부위와 손으로 파지 조작하는 부위를 갖는 시트인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세부적인 실시예와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수술 가운(1)의 몸통부(2) 허리 부분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2허리벨트(11)(12)로서, 상기 전피(2a; 前被(Front Cover))와 상기 후피(2b; 後被(Rear Cover))의 양측 단부를 접합하여 일회용 수술 가운(1)의 몸통부(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피(2a)와 후피(2b)의 양측 단부에 제1,2허리벨트(11)(12) 각각의 일측 단이 동시에 접합 고정되고, 길이를 가지며 연장된 각각의 타측 단은 상기 전피(2a) 전방에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접혀서 마주하고, 마주한 양측 선단이 상기 파지부재(13)에 의해 점착 고정되어 이루어진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10)인 것을 기본적인 실시예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상기 제1,2허리벨트(11)(12) 및 파지부재(13)는 SMS(Sponbonded Meltblown Sponbonded)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몸통부(2)와 제1,2허리벨트(11)(12)의 접합은 초음파 접합 또는 재봉 접합 또는 열 융착 접합인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를 통한 자동생산 공정에서, 상기 전피(2a)와 상기 후피(2b)의 양측 단부를 접합하여 일회용 수술 가운(1)의 몸통부(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피(2a)와 후피(2b)의 양측 단부에 제1,2허리벨트(11)(12) 각각의 일측 단이 동시에 접합하고, 타측 단은 상기 전피(2a) 전방에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접어서 마주한 양측 선단이 상기 파지부재(13)에 의해 감싸여 점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공장 자동화를 통해 자동 생산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제조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조 후 포장 시 흐트러짐 없이 가지런히 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수술 가운(1)을 수작업이 아닌 공장 자동화를 통해 제조하는 과정에서, 허리벨트(10)를 자동으로 부착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 오염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을 최소화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하여 오염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사용을 위한 준비 과정에서 허리벨트(10)를 직접 만지지 않고 파지부재(13)를 잡고 묶음 위치까지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허리벨트(10)를 만지는 횟수나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을 위한 준비 과정에서 오염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허리벨트(10) 중 손으로 만지는 것이 집중되는 제1,2허리벨트(11)(12)의 선단을 상기 파지부재(13)가 외부와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2허리벨트(11)(12)의 선단부 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1허리벨트(11)는 상기 전피(2a)의 측면에 접합된 일측 단에서부터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으로 연장된 제1-1길이부(11-1); 상기 제1-1길이부(11-1)에서 상기 전피(2a) 측면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1-2길이부(11-2); 상기 제1-2길이부(11-1)에서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1-3길이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1길이부(11-1)는 상기 전피(2a)에 접하고, 상기 제1-2길이부(11-2)는 제1-1길이부(11-1)에 접하고, 상기 제1-3길이부(11-3)는 제1-2길이부(11-2)에 접하도록 겹쳐지게 접혀서 정리된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길이가 길게 늘어지는 상기 제1허리벨트(11)를 짧은 길이로 접어서 정리하여 제조 및 포장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제1-1길이부(11-1)의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1고정부재(15-1)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전피(2a)에 점착 고정된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1-1길이부(11-1)의 길이는 상기 전피(2a) 폭의 약40~50%인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2길이부(11-2)의 상기 전피(2a)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2고정부재(15-2)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제1-1길이부(11-1)에 점착 고정된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3길이부(11-3)의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3고정부재(15-3)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파지부재(13) 일측 하부면에 점착 고정된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제1허리벨트(11)를 이루는 제1-1길이부(11-1)와 제1-2길이부(11-2) 및 제1-3길이부(11-3)가 접히는 부분의 서로 면접하는 부위 일부가 고정부재들(15-1)(15-2)(15-3)으로 점착되어, 제조와 포장 및 사용 전까지 접혀서 정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을 위해 착용자 또는 착용 보조자가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점착 부위가 탈리되면서 묶을 수 있도록 길게 늘어지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2허리벨트(12)는 상기 전피(2a)의 측면에 접합된 일측 단에서부터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 방향으로 연장된 제2-1길이부(12-1); 상기 제2-1길이부(12-1)에서 상기 전피(2a) 측면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2-2길이부(12-2); 상기 제2-2길이부(12-2)에서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2-3길이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1길이부(12-1)는 상기 전피(2a)에 접하고, 상기 제2-2길이부(12-2)는 제2-1길이부(12-1)에 접하고, 상기 제2-3길이부(12-3)는 제2-2길이부(12-2)에 접하도록 겹쳐지게 접혀서 정리된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전술한 제1허리벨트(11)와 마찬가지로, 길이가 길게 늘어지는 상기 제2허리벨트(12)를 짧은 길이로 접어서 정리하여 제조 및 포장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제2-1길이부(12-1)의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4고정부재(15-4)에 의해 상기 전피(2a)에 접합 고정된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2-1길이부(12-1)의 길이는 상기 전피(2a) 폭의 1/4인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1길이부(12-1)의 길이가 상기 전피(2a) 폭의 1/4인 상태로, 상기 전피(2a)의 중간 부분 방향으로 접혀 제4고정부재(15-4)에 의해 접합 고정될 경우, 상기 제1허리벨트(11)와의 묶음 부위가 상기 전피(2a)의 전면 중간 부분과 측면 부분이 아닌 측면에 치우친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묶음 동작이 측면에 위치할 때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전피(2a)의 중간 부분에 있을 때 수술을 포함한 의료 행위 시 동작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2길이부(12-2)의 상기 전피(2a)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5고정부재(15-5)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제2-1길이부(12-1)에 점착 고정된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3길이부(12-3)의 상기 전피(2a)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6고정부재(15-6)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파지부재(13) 타측에 점착 고정된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제2허리벨트(12)를 이루는 제2-1길이부(12-1)와 제2-2길이부(12-2) 및 제2-3길이부(12-3)가 접히는 부분의 서로 면접하는 부위 일부가 고정부재들(15-5)(15-6)으로 점착되어, 제조와 포장 및 사용 전까지 접혀서 정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을 위해 착용자 또는 착용 보조자가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점착 부위가 탈리되면서 묶을 수 있도록 길게 늘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성 고정부재들(15-1, 15-2, 15-3, 15-5, 15-6)은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일정 면적에 도포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파지부재(13)는 상기 전피(2a)에 점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허리벨트(11)와 제2허리벨트(12)의 선단이 점착 고정되는 부위와 손으로 파지 조작하는 부위를 갖는 시트인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파지부재(13)는 상기 몸통부(2)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허리벨트(11)와 제2허리벨트(12)를 묶어 착용하기 전까지, 착용자 또는 착용 보조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시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파지부재(13)는 상기 몸통부(2)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2허리벨트(12) 선단을 탈리하여, 상기 제1허리벨트(11)가 점착된 상태로 상기 몸통부(2) 뒤로 돌려서, 상기 제2허리벨트(12)가 위치한 상기 몸통부(2) 앞으로 향하도록 한 후, 상기 제1허리벨트(11) 선단과도 탈리하여 상기 제1허리벨트(11)와 제2허리벨트(12)를 묶어 착용할 때까지, 착용자 또는 착용 보조자가 손으로 잡는 부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되면, 일회용 수술 가운(1)을 착용하기 위한 준비 과정에서 허리벨트(10)인 제1,2허리벨트(11)(12)를 직접 만지지 않고 파지부재(13)를 잡고 묶음 위치까지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허리벨트(10)를 만지는 횟수나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을 위한 준비 과정에서 오염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10)의 착용 상태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일회용 수술 가운(1)의 팔 부분에 착용자의 팔을 끼워 넣고, 상기 몸통부(2)에 몸을 위치시켜 감싸서 착용한다.
이후,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상기 전피(2a) 전면 중간 부분에 위치한 상기 파지부재(13)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재(13)로부터 상기 제2허리벨트(12)를 탈리시킨다.
이후,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상기 파지부재(13) 잡은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재(13)의 일측 선단이 점착된 제1허리벨트(11)를 상기 몸통부(2)의 뒤로 돌려서, 상기 전피(2a) 정면에 위치한 제2허리벨트(12) 부분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허리벨트(11)로부터 상기 파지부재(13)를 탈리 제거한 후, 상기 제1허리밸트(11)와 제2허리벨트(12)를 조여 묶는다.
상기와 같이 제1허리밸트(11)와 제2허리벨트(12)를 조여 묶으면,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일회용 수술 가운(1)의 허리 부분이 조여진 상태로 묶여서 착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재(13)에 상기 제1허리벨트(11)의 선단만 접착 고정되고, 상기 제2허리벨트(12)의 선단은 자유공간에 위치하는 것도 다른 실시예로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제1허리벨트(11)의 선단만 점착된 상기 파지부재(13)를 착용자가 상기 파지부재(13)를 상기 전피(2a)로부터 탈리시키고, 상기 파지부재(13)의 일측 선단이 점착된 제1허리벨트(11)를 상기 몸통부(2)의 뒤로 돌려서, 상기 전피(2a) 정면에 위치한 제2허리벨트(12) 부분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허리벨트(11)로부터 상기 파지부재(13)를 탈리 제거한 다음, 상기 제1허리밸트(11)와 제2허리벨트(12)를 조여 묶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파지부재(13)에서 상기 제2허리벨트(12)를 탈리시키는 동작이 필요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일회용 수술 가운 2: 몸통부
2a,2b: 전피, 후피 10: 허리벨트
11: 제1허리벨트 11-1: 제1-1길이부
11-2: 제1-2길이부 11-3: 제1-3길이부
12: 제2허리벨트 12-1: 제2-1길이부
12-2: 제2-2길이부 12-3: 제2-3길이부
13: 파지부재

Claims (16)

  1. 일회용 수술 가운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2허리벨트로서,
    전피와 후피의 양측 단부를 접합하여 수술 가운의 몸통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2허리 벨트 각각의 일측 단이 상기 전피와 후피의 양측 단부에 동시에 접합 고정되고,
    길이를 가지며 연장된 상기 제1,2허리 벨트 각각의 타측 단은 상기 전피 전면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접혀서 마주하고, 마주한 양측 선단이 파지부재에 의해 점착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제1허리벨트의 지그재그로 겹쳐지면서 접히는 단부 부분들은 상호 면접하는 부위에 탈리 가능한 상태로 일부가 점착 고정되어지되, 상기 전피와 접하는 제1허리벨트 부위인 제1-1길이부의 접혀지는 선단은 전피에 대해 탈리 가능하게 점착 고정되고,
    상기 제2허리벨트의 지그재그로 겹쳐지면서 접히는 단부 부분들은 상호 면접하는 부위에 탈리 가능한 상태로 일부가 점착 고정되어지되, 상기 전피와 접하는 제2허리벨트 부위인 제2-1길이부의 접혀지는 선단은 제4고정부재에 의해 전피와 접합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제1,2허리벨트의 접합은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 접합 또는 열 융착 접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허리벨트는,
    상기 전피의 측면에 접합된 일측 단에서부터 상기 전피 중간 부분으로 연장된 제1-1길이부;
    상기 제1-1길이부에서 상기 전피 측면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1-2길이부;
    상기 제1-2길이부에서 상기 전피 중간 부분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1-3길이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길이부는 상기 전피에 접하고,
    상기 제1-2길이부는 제1-1길이부에 접하고,
    상기 제1-3길이부는 제1-2길이부에 접하도록 겹쳐지게 접혀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길이부의 상기 전피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1고정부재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전피에 점착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길이부의 길이는 상기 전피 폭의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길이부의 상기 전피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2고정부재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제1-1길이부에 점착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3길이부의 상기 전피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3고정부재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파지부재 일측 하부면에 점착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허리벨트는,
    상기 전피의 측면에 접합된 일측 단에서부터 상기 전피 중간 부분 방향으로 연장된 제2-1길이부;
    상기 제2-1길이부에서 상기 전피 측면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2-2길이부;
    상기 제2-2길이부에서 상기 전피 중간 부분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된 제2-3길이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길이부는 상기 전피에 접하고,
    상기 제2-2길이부는 제2-1길이부에 접하고,
    상기 제2-3길이부는 제2-2길이부에 접하도록 겹쳐지게 접혀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길이부의 상기 전피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4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전피에 접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길이부의 길이는 상기 전피 폭의 20~30%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2길이부의 상기 전피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5고정부재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제2-1길이부에 점착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3길이부의 상기 전피 중간 부분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은 제6고정부재에 의해 탈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파지부재 타측 상부면에 점착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전피에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허리벨트와 제2허리벨트의 선단이 점착 고정되는 부위와 손으로 파지 조작하는 부위를 갖는 시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에는 상기 제1허리벨트의 선단만 접착 고정되고, 상기 제2허리벨트의 선단은 자유공간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KR1020220125604A 2022-09-30 2022-09-30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Active KR102532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604A KR102532164B1 (ko) 2022-09-30 2022-09-30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PCT/KR2023/014643 WO2024071900A1 (ko) 2022-09-30 2023-09-25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604A KR102532164B1 (ko) 2022-09-30 2022-09-30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164B1 true KR102532164B1 (ko) 2023-05-26

Family

ID=8653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604A Active KR102532164B1 (ko) 2022-09-30 2022-09-30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2164B1 (ko)
WO (1) WO20240719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900A1 (ko) * 2022-09-30 2024-04-04 아얀테 첨단소재(주)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608Y2 (ja) * 1989-09-08 1994-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外科用外衣
KR101910314B1 (ko) 2016-05-04 2018-10-19 오앤엠 할리야드 인터내셔널 언리미티드 컴퍼니 일회용 수술 가운
KR20220061031A (ko) * 2020-11-05 2022-05-12 (주)나라물산 1회용 가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5596A (en) * 1974-11-06 1976-02-03 Johnson & Johnson Surgical gown with transfer device
US4370782A (en) * 1980-08-25 1983-02-01 The Kendall Company Belt retainer
JP2999983B2 (ja) * 1997-07-15 2000-01-17 大衛株式会社 手術用ガウン
US9687032B2 (en) * 2012-06-05 2017-06-27 Operating Room Innovations, Inc Surgical gow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rgical gown
KR102532164B1 (ko) * 2022-09-30 2023-05-26 아얀테 첨단소재(주)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608Y2 (ja) * 1989-09-08 1994-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外科用外衣
KR101910314B1 (ko) 2016-05-04 2018-10-19 오앤엠 할리야드 인터내셔널 언리미티드 컴퍼니 일회용 수술 가운
KR20220061031A (ko) * 2020-11-05 2022-05-12 (주)나라물산 1회용 가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900A1 (ko) * 2022-09-30 2024-04-04 아얀테 첨단소재(주)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900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4386B2 (en) Disposable surgical gown of back-closable type
US7971274B2 (en) Over the head, full coverage disposable medical gown
US4944312A (en) Disposable face shield
US10188476B1 (en) Medical gown having an integral protective sleeve for medical equipment
KR102532164B1 (ko) 일회용 수술 가운의 허리벨트
US20100064408A1 (en) Wearable protective barrier with detachable hand and instrument covers
KR200489311Y1 (ko) 통기성 천과 비닐을 이용한 일회용 감염방지 가운
US8037544B2 (en) Self-securing garment
WO2005115297A1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KR101365593B1 (ko) 착용이 용이한 수술가운
US11627767B2 (en) Total protection garment fold
CN114727675A (zh) 用于医疗用途的防护性的护罩
KR102504018B1 (ko) 일회용 가운
JP2012249943A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90081067A (ko) 일회용 보호복 제조장치
WO2024071898A1 (ko) 일회용 의료 가운
KR20200144357A (ko) 의료용 가운
US20100319102A1 (en) Self-securing garment with a yoke
WO2024071904A1 (ko) 일회용 수술 가운의 포장 패키지 및 그 포장 방법
JP2018040072A (ja) 医療用ガウン
JP2017214667A (ja) 医療用ガウン
KR101261593B1 (ko) 일회용 위생복
CN218043889U (zh) 一种骨科病员服
CN211129832U (zh) 免系腰带手术衣
CN214318259U (zh) 一种可固定手臂的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