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912B1 -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 - Google Patents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1912B1 KR102531912B1 KR1020210049888A KR20210049888A KR102531912B1 KR 102531912 B1 KR102531912 B1 KR 102531912B1 KR 1020210049888 A KR1020210049888 A KR 1020210049888A KR 20210049888 A KR20210049888 A KR 20210049888A KR 102531912 B1 KR102531912 B1 KR 102531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eating
- holographic
- foldable device
- hologr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24—Reflector; Mirro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7/00—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7/02—Handheld portable device, e.g. holographic camera, mobile holographic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수납부와 수납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구비한 안착부와 안착부의 하면 후단부로부터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홀로그램미러부 및 홀로그램미러부를 지지하고 안착부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ing portion having a storage portion in which the smartphone is seated and a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and forming a downward slope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t relates to a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including a hologram mirror unit and a support unit supporting the hologram mirror unit and spaced apart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seat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안착부에 무선충전부를 형성하여 입체적인 홀로그램을 감상하면서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안착부와 지지부를 회동하여 폴더형으로 접어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wireless charging unit in a seating area where the smartphone is seated, charging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while enjoying a three-dimensional hologram, rotating the seating unit and the support unit, and It relates to a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that can be folded and carried in a foldable form.
최근 3D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이 발전하여, 3D TV나 홀로그램 공연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실감영상을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providing 3D stereoscopic images, products or services providing various types of realistic images such as 3D TV or hologram performances are appearing.
즉, 영상을 좌안과 우안이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를 고려하여 제공하기도 하고, 특수안경을 통해 좌우안이 인식하는 영상을 달리하여 제공하는 것이 3D TV같은 전자적 방식이다.That is, an electronic method such as a 3D TV provides images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ewing angles of the left and right eyes, and differentiates images perceived by the left and right eyes through special glasses.
또한,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해 3D 효과를 제공하는 형태는 플로팅 이미지(floating image) 방식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필름에 투사된 이미지가 배경의 이미지와 겹쳐져 보이도록 함으로써, 전면의 반사이미지와 배경이미지간의 거리차이를 통해 입체적인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orm of providing a 3D effect using hologram technology is a floating image method, in which the image projected on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film overlaps with the background imag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ed image of the front and the background image It provides a three-dimensional effect through the difference.
여기서, 플로팅 이미지 기술은 투사되는 면을 하나로 하는 경우의 전면 고정 시야 방식이 보편적이다.Here, as for the floating image technology, a front fixed view method in which the projected surface is one is common.
또한, 투사면을 세 개 또는 네 개로 하고, 이를 삼각뿔이나 사각뿔형태로 구성한 후, 바닥면에서 각 면에 반사되어 비춰지도록 세 개 또는 네 개의 시점에서 보게 될 이미지를 각각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장면을 각 면에서 보는 시야마다 다르게 이미지를 보여주는 방식이 선보여지고 있다.In addition, three or four projection surfaces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yramid or a quadrangular pyramid, and then images to be seen from three or four viewpoints are provided so that they are reflected and reflected on each surface from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same scene can be viewed separately. Different ways of showing images for each view from the side are being presented.
이러한 투명 다각형 뿔에 이미지를 투사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내는 기술은 입체적인 효과면에서는 전자적인 방식이나 플로팅 이미지 방식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지만, 고정된 위치에서 입체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방에서 입체적인 이미지를 보게 되어 보다 생동감 있는 입체 효과를 구현하고, 구성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technology that creates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projecting an image onto such a transparent polygonal horn is inferior to the electronic method or the floating image method in terms of three-dimensional effect, but it does not provide a three-dimensional effect at a fixed location, but it is possible to see a three-dimensional image from all sides. It has the advantage of realizing a more lively three-dimensional effect and being easy to configure.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간편히 즐길 수 있도록 투명한 사각뿔대 형상으로 간단히 만들어진 홀로그램 투사장치 관련 영상이 인터넷 블로그와 유튜브에 소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a video related to a hologram projection device made simply in the shape of a transparent quadrangular truncated pyramid has been introduced on Internet blogs and YouTube so that hologram images output through smartphones can be easily enjoyed.
하지만 이같은 홀로그램 투사장치의 경우 사각뿔대 형상으로 만들어진 관계로 스마트폰 화면 위에 올려 지기는 쉬워도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는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hologram projection device, since it is made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truncated pyramid,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it could not stably support the smartphone even though it was easy to be placed on the smartphone screen.
따라서, 스마트폰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홀로그램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쉽지 않았으며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대의 용도로 활용하거나 더 나아가 광고용 판촉물로 응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t was not easy to watch the hologram image while the smartphone was placed on it, and it was difficult to use it as a cradle for holding the smartphone or further apply it as a promotional material for advertis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안착부에 무선충전부를 형성하여 입체적인 홀로그램을 감상하면서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안착부와 지지부를 회동하여 폴더형으로 접어 휴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ireless charging unit in the seating area where the smartphone is seated, charges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while enjoying a three-dimensional hologram, and rotates the seating unit and the support unit to form a folder type. It is to provide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with a new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carried.
또한, 안착부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어 지지부를 향해 조사하는 조명부에 의해 지지부에 위치한 피사체로 투영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선명하게 해주는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provide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seating unit and makes clear a holographic image projected onto a subject located in the support unit by a lighting unit that irradiates toward the support unit.
또한, 안착부의 후단과 지지부의 후단에 각 탈착되는 배경키트를 구비하여 홀로그램부를 통해 투영되는 영상 컨텐츠에 맞는 배경이미지 키트를 끼워 배경지와 컨텐츠의 영상이 맺혀지는 공간의 깊이를 느껴지게 하는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detachable background kit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art and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art, and a background image kit suitable for the image content projected through the hologram unit is inserted to make the depth of the space where the background paper and the image of the content are formed. It is to provide a foldabl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구비한 안착부;A seating portion having a storage portion in which a smartphone is seated and a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상기 안착부의 하면 후단부로부터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홀로그램미러부; 및A hologram mirror unit forming a downward slope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unit; and
상기 홀로그램미러부를 지지하고 상기 안착부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hologram mirror portion and spaced apart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seating portion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를 제공한다.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후단보다 더 연장된 길이의 케이스로 형성되고, 자석이 구비된 피사체를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안착시킬 수 있는 수용홈을 형성한 바디부; 및 상기 수용홈에 피사체를 위치 시, 상기 자석의 자력으로 전원을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of a cas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seating a subject equipped with a magnet on one side of the case. a body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and an operating unit configured to operate power with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when a subject is placed in the receiving gro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는 단자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승하강하는 전도체; 및 일측이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강하는 상기 전도체에 연결되는 전선과 일측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어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강하는 상기 전도체에 연결되는 제어전선을 구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unit includes a terminal unit receiving external power to one side of the body unit; a conductor that is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and moves up and down; And a power supply unit having a control wir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onductor moving up and down and one side connected to a control unit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moving conductor.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상기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harging unit for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may be included inside the cove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향해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ing unit disposed on an outer side of the seating unit and irradiating toward the support unit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피사체를 위치 시, 상기 피사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수용홈에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소형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ubject is placed in the receiving groove, a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subject is included, and the rotating part is formed on a rotating plate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 lower part of the rotating plate.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ed rotational shaft, a worm ge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onal shaft to rotate the rotational shaft, and a small motor for rotating the worm ge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홀로그램미러부 및 상기 지지부를 각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안착부의 후단을 축으로 상기 홀로그램미러부를 상기 안착부의 상면으로 회동시키는 제1 링크; 및 상기 홀로그램미러부의 하단을 축으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홀로그램미러부의 일면으로 회동시키는 제2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part, the holographic mirror part, and the rotation part for rotating the support part are included. The pivoting part includes a first link for rotating the hologram mirror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with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art as an axis; and a second link for pivoting the support part to one side of the hologram mirror part with the lower end of the hologram mirror part as an ax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후단과 상기 지지부의 후단에 각 탈착되어 상기 홀로그램미러부를 통해 투영되는 영상에 배경을 제공하는 배경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ackground kit for providing a background to an image projected through the hologram mirror unit by being detached from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art and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art. can do.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안착부에 무선충전부를 형성하여 입체적인 홀로그램을 감상하면서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안착부와 지지부를 회동하여 폴더형으로 접어 휴대할 수 있게 하여 장소의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ireless charging unit in a seating area where the smartphone is seated, charges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while enjoying a three-dimensional hologram, and folds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nto a folder shape for carrying.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it without restriction of location.
또한, 안착부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어 지지부를 향해 조사하는 조명부에 의해 지지부에 위치한 피사체로 투영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선명하게 해줌으로써, 시청자에게 보다 현실감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holographic image projected onto a subject located in the support unit by a lighting unit disposed on an outer side of the seating unit and irradiating towards the support unit has an advantage of enhancing a sense of reality to the viewer.
또한, 착부의 후단과 지지부의 후단에 각 탈착되는 배경키트를 구비하여 홀로그램부를 통해 투영되는 영상 컨텐츠에 맞는 배경이미지 키트를 끼워 배경지와 컨텐츠의 영상이 맺혀지는 공간의 깊이를 느껴지게 하여 입체감을 향상시키는 주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detachable background kit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attachment part and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art, and a background image kit suitable for the image content projected through the hologram part is inserted to feel the depth of the space where the background paper and the image of the content are formed, thereby improv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s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의 작동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의 조명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의 회전부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의 회동부를 통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ure 1 is disassembl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rating part of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lighting unit of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rotating part of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through a rotat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in whi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n the entire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other compon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의 작동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의 조명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의 회전부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의 회동부를 통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shown by disassembling it, and FIG. 3 is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art of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in cross section, and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ighting unit of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 rotating part of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and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part of the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10)는 안착부(100), 홀로그램미러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holographic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10)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수납부(110)와 수납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120)를 구비한 안착부(100), 안착부의 하면 후단부로부터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홀로그램미러부(200) 및 홀로그램미러부를 지지하고 안착부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logram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착부(100)는 바닥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이격되어 위치하고, 내부에 스마트폰이 수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수납부(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이 개방된 벽체로 형성되어 스마트폰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게 한다.The
또한, 수납부(110)는 스마트폰이 유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벽체에 탄성을 가지는 서브벽체(111)를 더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서브벽체(11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으로 형성되고, 수납부(110)의 중앙앙방향으로 곡률지게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을 압박하여 지지한다.The
커버부(120)는 수납부(110)의 후단에 접철되게 연결되어 수납부(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홀로그램미러부(200)는 안착부의 하면 후단부로부터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홀로그램영상을 출력한다.1 and 2, the
즉, 홀로그램미러부(200)는 경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내측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과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이 배치된다. 그리고 수납부(110)에 수납된 스마트폰의 영상 컨텐츠의 재생에 따라 이를 투과하여 지지부(300)의 상부에 홀로그램영상을 출력해준다.That is, in the
이때, 피사체를 지지부(300)에 올려놓고, 피사체에 대응하는 영상을 3D 입체감 있게 출력하거나, 홀로그램영상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지지부(300)에 올려놓는다.At this time, a subject is placed on the
한편, 여기 명세서에 사용되는 후단, 후방, 후면이라는 용어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높이에 위치하는 홀로그램미러부(200)의 상단이 안착부(100)의 하부에 연결된 위치를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rear end, rear end, and rear e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indicating a posi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또한, 피사체는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서 구 또는 화분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대신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ubject is shown as a sphere or a flower pot in the drawings of this specification,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placed with various shape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300)는 홀로그램미러부(200)를 지지하고 안착부(100)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체이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이러한 지지부(300)는 바디부(310) 및 작동부(320)를 더 포함한다.The
바디부(310)는 안착부(100)의 후단보다 더 연장된 길이의 케이스로 형성되고, 자석(M)이 구비된 피사체를 케이스의 일면에 안착시킬 수 있는 수용홈(311)을 형성한다.The
작동부(320)는 수용홈(311)에 피사체를 위치 시, 자석(M)의 자력으로 전원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를 위해, 작동부(320)는 단자부(321), 전도체(322) 및 전원부(323)를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단자부(321)는 바디부(310)의 일측에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는 단자가 형성된 것으로, USB 또는 휴대용 보조배터리의 충전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The
도 3을 참조하면, 전도체(322)는 바디부(310)의 내측에 수용되어 승하강하는 판으로 형성되어 단자부(321)로 인가되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이때, 바디부(310)의 내측 하부에 전도체(322)를 수용하는 수용홀(322a)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용홀(322a)은 전도체(322)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홀벽체를 바디부(310)의 내측 상면에 인접하는 높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n
전원부(323)는 일측이 단자부(321)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강하는 전도체(322)에 연결되는 전선(323a)과 일측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어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강하는 전도체(322)에 연결되는 제어전선(323b)을 구비한다.The
일례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322)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311)에 자석(M)이 구비된 피사체를 올려놓으면 바디부(31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한 전도체(322)가 자석(M)의 자력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승강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3, as shown in (b) of FIG. 3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이때, 전도체(322)는 바디부(31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수용홀(322a)에 수용된 상태에서 피사체의 배치여부에 따라 승하강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전도체(322)는 피사체에 구비된 자석(M)에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전선(323a)과 제어전선(323b)에 각 접촉하여 단자부(32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전선(323b)에 연결된 제어부로 공급한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10)는 무선충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무선충전부(400)는 커버부(120)의 내부에 스마트폰(S)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를 위해, 무선충전부(400)는 전원부(323)에 연결되는 전선을 구비하거나 커버부(120)의 일측에 외부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는 단자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이러한 무선충전부(400)는 스마트폰을 수납부(110)에 수용시킨 후, 커버부(120)를 회동하여 수납부(110)의 상부를 폐쇄하여 홀로그램영상을 감상하는 동안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이다.After accommodating the smartphone in the
또한, 홀로그램영상을 감상하지 않더라도 휴대용 충전기로 대신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if you do not enjoy the hologram image, it is possible to replace it with a portable charger.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10)는 조명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holographic
조명부(500)는 안착부(100)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어 지지부(300)를 향해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The
즉, 조명부(500)는 수납부(110)의 후단 하면에 형성되어 지지부(300)의 상면에 배치된 피사체를 향해 조사한다.That is, the
이러한 조명부(500)는 무드등 기능 뿐 아니라, 피사체의 형상을 선명하게 보이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The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10)는 회전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the holographic
회전부(600)는 지지부(200)의 상면 후방에 피사체를 위치 시, 피사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를 위해, 회전부(600)는 바디부(310)의 일면에 형성된 회전판(610)과 회전판(610)의 하부에 연결된 회전축(620)과 회전축(620)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축(620)을 회전시키는 웜기어(630) 및 웜기어(630)를 회전시키는 소형모터(640)를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따라서, 회전부(600)는 홀로그램영상에 대응하여 피사체를 일방향 또는 다른방향으로 회전하여 더욱 입체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홀로그램영상을 출력하지 않더라도 장식부재로 활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10)는 회동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holographic
이를 위해, 회동부(700)는 제1 링크(710) 및 제2 링크(720)를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제1 링크(710)는 안착부(100)의 후단을 축으로 홀로그램미러부(200)를 안착부의 상면으로 회동시킨다.The
제2 링크(720)는 홀로그램미러부(200)의 하단을 축으로 지지부(300)를 홀로그램미러부(200)의 일면으로 회동시킨다.The
일례로,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10)를 사용 후 보관하기 위해 먼저, 한 손으로 안착부(100)를 파지하고 제1 링크(710)를 축으로 안착부(100)를 회동시킨다.For example, in order to store the holographic
그리고 지지부(200)를 파지하여 제2 링크(720)를 축으로 홀로그램미러부(200)의 일면방향으로 회동시킨다.Then, by gripping the
이때, 홀로그램미러부(200)는 안착부(100)의 후단을 축으로 둔각이 되게 제1 링크(710)를 축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지지부(200)의 회동되는 각에 따라 직각 또는 예각의 범위로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후, 지지부(200)를 제2 링크(720)를 축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더 회동 시키면, 안착부(100)는 최초 위치에서 제1 링크(710)를 축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270도의 범위내로 회동한다. 그리고 지지부(200)는 최초 위치에서 제2 링크(720)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270도의 범위내로 회동한다.Thereafter, when the
이로 인해, 홀로그램미러부(200)를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안착부(100)와 지지부(300)를 각 홀로그램미러부(200)방향으로 밀어내면 접혀지는 상태가 된다.For this reason, when the mounting
또한, 회동부(700)는 회동하는 것 뿐 아니라 안착부(100)와 홀로그램미러부(200) 및 지지부(300)를 각 분리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제1 링크(710)와 제2 링크(720)를 서로 분리하여 각 파트별로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ivoting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10)는 배경키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holographic
배경키트(800)는 안착부(100)의 후단과 지지부(300)의 후단에 각 탈착되어 홀로그램미러부(200)를 통해 투영되는 영상에 배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즉, 배경키트(800)는 지지부(300)의 후방의 공간에 홀로그램영상 컨텐츠에 적합한 배경이미지 키트를 끼워 배경지와 홀로그램영상이 맺혀지는 공간의 깊이가 느껴지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10)는 각도조절부(900)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holographic
각도조절부(900)는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은 경사면을 이루도록 그 단면을 삼각형으로 형성한다.The
이로 인해, 지지부(300)의 전방 하면에 각도조절부(900)의 경사면을 접촉하도록 결합하여 홀로그램미러부(200)의 각도를 낮게 하여 감상할 수 있게 해준다.For this reas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but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for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that can be modified.
10 :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
100 : 안착부 110 : 수납부
120 : 커버부 200 : 홀로그램미러부
300 : 지지부 310 : 바디부
320 : 작동부 321 : 단자부
322 : 전도체 323 : 전원부
323a : 전선 323b : 제어전선
400 : 무선충전부 500 : 조명부
600 : 회전부 610 : 회전판
620 : 회전축 630 : 웜기어
640 : 소형모터 700 : 회동부
710 : 제1 링크 720 : 제2 링크
800 : 배경키트 900 : 각도조절부10: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
100: seating part 110: storage part
120: cover part 200: hologram mirror part
300: support part 310: body part
320: operation part 321: terminal part
322: conductor 323: power supply
323a:
400: wireless charging unit 500: lighting unit
600: rotating part 610: rotating plate
620: rotation shaft 630: worm gear
640: small motor 700: rotating part
710: first link 720: second link
800: background kit 900: angle adjusting unit
Claims (8)
상기 안착부의 하면 후단부로부터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홀로그램미러부; 및
상기 홀로그램미러부를 지지하고 상기 안착부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후단보다 더 연장된 길이의 케이스로 형성되고, 자석이 구비된 피사체를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안착시킬 수 있는 수용홈을 형성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는 단자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승하강하는 전도체 및 일측이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강하는 상기 전도체에 연결되는 전선과 일측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어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강하는 상기 전도체에 연결되는 제어전선을 구비한 전원부로 이루어진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수용홈에 상기 피사체를 위치 시, 상기 바디부의 내측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전도체가 상기 자석의 자력으로 승강하여 상기 전선과 상기 제어전선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단자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여 전원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
A seating portion having a storage portion in which a smartphone is seated and a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A hologram mirror unit forming a downward slope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unit; and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hologram mirror part and spaced apart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seating part,
the support
a body portion formed of a cas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nd having an accommodation groove capable of seating a subject equipped with a magnet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A terminal part receiving external power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a conductor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part and moving up and down, and a wir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terminal pa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onductor moving up and down, and one side turning on and off power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ng unit consisting of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having a control wire connected to the conductor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the working part
When the subject is plac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 conductor located at the inner lower part of the body part moves up and dow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ire and the control wire, respectively, to supply power applied from the terminal part to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by operating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s.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상기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unit for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inside the cover unit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s.
상기 안착부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향해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seating part and includes a lighting unit for irradiating toward the support part.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s.
상기 수용홈에 피사체를 위치 시, 상기 피사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수용홈에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소형모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lac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 rotat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rotary plate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a rotary shaft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ry plate, a worm ge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ry shaft to rotate the rotary shaft, and a small motor for rotating the worm gear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s.
상기 안착부와 상기 홀로그램미러부 및 상기 지지부를 각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안착부의 후단을 축으로 상기 홀로그램미러부를 상기 안착부의 상면으로 회동시키는 제1 링크; 및
상기 홀로그램미러부의 하단을 축으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홀로그램미러부의 일면으로 회동시키는 제2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seating unit, the hologram mirror unit, and the support unit, respectively.
the rotating part
a first link for pivoting the hologram mirror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with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s an axis;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link for rotating the support portion to one side of the hologram mirror por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hologram mirror portion as an axis.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s.
상기 안착부의 후단과 상기 지지부의 후단에 각 탈착되어 상기 홀로그램미러부를 통해 투영되는 영상에 배경을 제공하는 배경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폴더블 장치.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ckground kit for providing a background to the image projected through the hologram mirror unit by being detached from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art and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art.
A holographic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9888A KR102531912B1 (en) | 2021-04-16 | 2021-04-16 |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9888A KR102531912B1 (en) | 2021-04-16 | 2021-04-16 |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3411A KR20220143411A (en) | 2022-10-25 |
KR102531912B1 true KR102531912B1 (en) | 2023-05-11 |
Family
ID=8380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9888A Active KR102531912B1 (en) | 2021-04-16 | 2021-04-16 |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191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660B1 (en) * | 2014-09-04 | 2015-07-22 | 황재성 | Stereoscopic device |
KR200485618Y1 (en) * | 2017-07-17 | 2018-02-07 | 주식회사 인텍코리아 |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displaying hologram imag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0214U (en) | 2014-07-11 | 2016-01-20 | 심태보 | Structure of foldable ticket capable viewing 3D holographic image |
-
2021
- 2021-04-16 KR KR1020210049888A patent/KR1025319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660B1 (en) * | 2014-09-04 | 2015-07-22 | 황재성 | Stereoscopic device |
KR200485618Y1 (en) * | 2017-07-17 | 2018-02-07 | 주식회사 인텍코리아 |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displaying hologram im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3411A (en) | 2022-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0463B1 (en) |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device | |
US10126637B2 (en) | Projection device for projecting images on a surface of the device | |
US9494813B2 (en) | Multi-purpose display system | |
CN204593236U (en) | One waves flame front electric candle | |
JP2014115606A (en) | Display device | |
CN105739220B (en) | A kind of rotatable self-timer light compensating lamp | |
KR102531912B1 (en) |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 | |
US9818331B2 (en) | Image flipping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 |
KR20150110256A (en) | extensible display device and extensible display system | |
JP4850813B2 (en) | Display device | |
US20150268748A1 (en) | Interactive control and display method and system | |
CN106152046A (en) | One waves flame front electric candle | |
CN205003437U (en) | Improve projection arrangement that vision was enjoyed | |
CN205139835U (en) | Projection arrangement based on gesture recognition | |
CN201868065U (en) | Three-dimensional dynamic image display cabinet with optical-energy accumulating function | |
CN208316919U (en) | Intelligent sound box | |
WO2013156613A1 (en) | A housing for an electronic display screen | |
CN106287557A (en) | A kind of holographic electric candle | |
KR101429496B1 (en) | A device for reproducing cylinderical hologram data | |
KR20210075422A (en) | Plaque using hologram image | |
KR20160001320U (en) | Portable stereoscopy contents viewer | |
KR20190003063U (en) | Pseudo-hologram apparatus | |
KR102439092B1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
CN201861047U (en) | LED cosmetic mirror | |
CN201888415U (en) | Light emitting diode (LED) make-up mirror with built-in storage bat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