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740B1 - Heating block comprising buffer structure - Google Patents
Heating block comprising buffer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1740B1 KR102531740B1 KR1020210053877A KR20210053877A KR102531740B1 KR 102531740 B1 KR102531740 B1 KR 102531740B1 KR 1020210053877 A KR1020210053877 A KR 1020210053877A KR 20210053877 A KR20210053877 A KR 20210053877A KR 102531740 B1 KR102531740 B1 KR 1025317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
- buffer
- protruding
- hollow case
- buffer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유체가 수용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중공케이스; 및 중공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중공케이스의 일면과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사이에 돌출된 완충구조;를 포함하고, 완충구조는,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대하여 변형이 발생됨으로써 완충을 수행하면서 층간소음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block including a buffer structure, comprising: a hollow case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an outlet through which fluid flows out,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accommodating the fluid; and a buffer structure disposed in the hollow case and protruding between one surface of the hollow case and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wherein the buffer structure is deformed against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thereby buffering the interlayer. There is provided a heating block including a buff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solve the noise.
Description
본 발명은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block including a buffer structure.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의 다층 구조를 가지면서 상시 거주하는 각종 건축물은 각 층마다 슬래브(slab)로 차단되게 설계 및 시공되지만, 슬래브만으로는 층간소음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이러한 층간소음은 옆집이나 아래층이나 위층의 이웃들과 소통이 없는 현대사회에서 공동주택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었으며, 일반적인 슬래브 상면의 바닥에는 난방을 위한 온수관이나 전기매트 등을 부설하여 난방을 수행하면서 쿠션부재나 단열재 등을 깔아서 충격을 완충시켜 층간소음을 줄이도록 하고 있었던 실정이다.In general, various buildings that have a multi-story structure such as an apartment or row house and are always inhabited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so that each floor is blocked with slabs, but there is a limit to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with only slabs, and such noise from next door However,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re is no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on the lower or upper floors, it has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for apartment houses, and hot water pipes or electric mats for heating ar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upper surface of a general slab to perform heating, while cushion members or insulation materials are installed. The situation was to reduce the noise between floors by cushioning the impact by laying the floor.
이와 같이 완충 및 방음의 목적으로 추가적인 부재를 설치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별도의 완충이나 쿠션을 목적으로 부재를 추가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 비용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며, 미설치된 바닥과의 단차가 커질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난방블럭이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As such, a method of installing additional members for the purpose of buffering and soundproofing can be applied, but in the case of additionally installing members for the purpose of separate buffering or cushioning, additional installation costs are required and the level difference with the uninstalled floor may increase. there will be only Therefore, it is a reality that a heating block capable of solving these conventional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난방블럭에 완충구조를 내장함으로써 외력에 대하여 완충능력을 갖추는 것과 더불어 층간소음 없애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minate inter-floor noise in addition to having a buffering capacity against an external force by embedding a buffer structure in a heating block.
본 발명은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유체가 수용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중공케이스; 및 중공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중공케이스의 일면과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사이에 돌출된 완충구조;를 포함하고, 완충구조는,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대하여 변형이 발생됨으로써 완충을 수행하는,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block including a buffer structure, comprising: a hollow case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an outlet through which fluid flows out,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accommodating the fluid; And a buffer structure disposed in the hollow case and protruding between one side of the hollow case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wherein the buffer structure is deformed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one side or the other side to perform buffering, A heating block including a buffer structure is provided.
그리고, 완충구조는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해 돌출되는 완충돌기 및 타면으로부터 일면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돌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structur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uff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toward the other surface 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toward one surface.
또한, 완충구조는 돌출방향 단부에 하나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structure may be disposed such that one or more air gaps are formed at an end portion in the protruding direction.
또한, 완충돌기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지지돌기는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완충돌기의 돌출단부와 지지돌기의 돌출단부는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protrusion protrudes from one surface and the support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buffer protrusion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완충돌기의 돌출단부에 돌출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지지돌기의 돌출단부에 돌출방향으로 함몰된 홈부를 더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돌출부는 홈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 a protruding direction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buffer protrusion and a groove portion recessed in a protruding direction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by an external force.
또한, 돌출부 및 홈부는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되, 홈부에 형성된 사다리꼴의 측면 기울기가 돌출부에 형성된 사다리꼴의 측면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cross-section, and the trapezoidal side slope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trapezoidal side slope formed in the protrusion portion.
또한, 완충돌기 또는 지지돌기는 단부가 중공케이스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외력에 의해 단부와 중공케이스의 내면이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buffer protrusion or the support protrusion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case, and the end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case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an external force.
또한, 완충구조는 중공케이스와 상이한 소재의 탄성체이고, 양단부가 중공케이스와 접촉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structure is an elastic body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ollow case, and both ends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in contact with the hollow case.
또한, 완충구조는, 중공케이스와 양단이 접촉되는 완충돌기; 및 일단이 완충돌기의 측방으로부터 돌출되어 타단이 이웃한 완충돌기 또는 중공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structure, the hollow case and both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buffer protrusion; and a connecting portion having one end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uffer protrusion and having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neighboring buffer protrusion or a hollow c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난방블럭에 완충구조를 내장함으로써 외력에 대하여 완충능력을 갖추는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mbedding the buffer structure in the heating block,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eating block including a buffer structure having a buffer capacity against an external force.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케이스가 측방으로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없어져 난방수를 보다 넓게 구비할 수 있어서 난방효율이 높아지며, 케이스가 상하로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없어져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실내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re is no need to have a separate case, the problem of the case taking up space laterally is eliminated, so the heating water can be provided more widely, so the heating efficiency is increased, and the problem of the case taking up space is eliminated, so the height can be lowered, so the interior space can be reduc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cure a large amount of
케이스가 없는 만큼 구성품이 간소해짐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고, 추후 유지보수도 용이해진다.As the components are simplified as there is no case, installation is easy and maintenance is also easy.
또한 하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소음을 크게 감쇄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greatly attenuating inter-floor noise by absorbing the impact according to the load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블럭의 일부를 절개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블럭의 단면도이고, 도 2(a)는 난방블럭의 측면측 단면도, 도 2(b)는 난방블럭 간 결합되는 결합부의 측면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블럭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f) 및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구조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완충구조에 압력이 미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완충구조에 중압이 작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c)는 완충구조에 고압이 작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블럭 간 결합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partial incision of a heat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ing block, FIG. 2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part coupled between heating blocks,
3 is a view showing tha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 heat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to 4 (f) and FIG. 5 are diagrams showing embodiments of the buff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buffe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ressure is not acting on the buffer structure, and FIG. 6 (c) is a diagram showing that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buffer structure,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upling between heating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구조(200)를 포함하는 난방블럭(10)(이하, 난방블럭(10))의 일부를 절개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away heating block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ating block 10) including a
도 1을 참조하면, 난방블럭(10)은 유체(5)가 유입되는 유입구(101) 및 유출되는 유출구(102)를 포함하고, 유체(5)가 수용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중공케이스(100) 및 중공케이스(100) 내에 배치되고, 중공케이스(100)의 일면과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사이에 구성된 완충구조(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여기서, 완충구조(200)는 상기 중공케이스(100)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대하여 변형이 발생됨으로써 완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일면과 타면은 서로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중공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된 완충구조(200)의 돌출된 양단방향으로 상하방향일 수 있다. 완충구조(200)는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예시의 경우 중공케이스(100) 내부에서 일면 측에 배치된 완충돌기(210)와 타면 측에 배치된 지지돌기(220)를 포함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완충돌기(210)와 지지돌기(22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Here, the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구조(200)는 돌출방향 단부에 하나 이상의 공극(200a)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극(200a)은 이웃한 부재와 이격된 공간으로, 본 예시와 같이 완충부재와 이웃한 완충부재 간의 이격된 공간일 수도 있고, 완충구조(200)와 중공케이스(100) 간의 이격된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극(200a)에 의해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변형은 탄성변형으로 상기 외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변형 전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따라서, 본 예시와 같이 완충돌기(210)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지지돌기(220)는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완충돌기(210)의 돌출단부와 지지돌기(220)의 돌출단부는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육면체 형태의 중공케이스(100)는 일면 및 타면이 각각 1m인 장방형일 수 있고, 상기 공극(200a)은 2 내지 3mm 일 수 있다. 여기서 완충구조(200)는 복수개 마련될 수 있는데, 중공케이스(100) 내에서 20 내지 30mm 사이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수치는 선택적인 것이며 중공케이스(100)의 크기 및 재질, 난방용량(온수의 수용량) 등의 요인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형설계가능한 것이다. 본 예시에서는 중공케이스(100)가 엑셀파이프와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as in this example, the
한편, 중공케이스(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중공부에 유체(5)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01)가 마련되고, 유체(5)가 배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10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구(101)는 보일러와 연결되어 가열된 유체(5)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유출구(102)는 열교환을 통해 난방을 수행한 유체(5)가 재가열되기 위해 보일러 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복수 개의 난방블럭(10)이 서로 연결되어 유출구(102) 및 유입구(101)가 난방블럭(10) 간에 연결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이와 같이 난방블럭(10) 간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는 기 결정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도 2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way, in order to more easily connect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블럭(10)의 단면도이고, 도 2의 (a)는 난방블럭(10)의 측면측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난방블럭(10) 간 결합되는 결합부(110)의 측면측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완충구조(200)는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해 돌출되는 완충돌기(210) 및 타면으로부터 일면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돌기(22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바닥재(2) 상에 배치된 난방블럭(10)은 바닥재(2)와 난방블럭(10)의 저면 사이에 단열재(320)가 배치되고, 상면에는 장판(1)이 배치될 수 있다. 장판(1)은 난방블럭(10)의 오염을 방지하고 난방블럭(10) 간 형성되는 틈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단열재(320)는 중공블럭 내에 유입된 온수가 중공블럭의 표면을 통해 열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목적하는 상방 외에 하방으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재(2) 사이에 개재시킨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될 수 있는 구성이다. In addition, the
상기 단열재(320)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난방블럭(10)의 저면측 모서리는 지지부(310)가 배치되도록 한다. 단열재(320)는 일반적으로 연질의 물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난방블럭(10)에 상방으로부터 하중(P)이 작용했을 때 반복적으로 압축되면 단열성능이 저하되고 사람이 딛을 때 보행감이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장석과 같은 경질의 지지부(310)가 난방블럭(10)의 모서리측에 배치되어 비압축지지를 상방으로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한편, 복수 개의 난방블럭(10) 간을 연결하는데 있어, 난방블럭(10) 간 거리는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공간(100a)은 상방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P)에 의해 중공케이스(10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측방으로 팽창하면 난방블럭(10) 간의 접촉이 발생하고 반복되는 접촉은 중공케이스(100)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기 결정된 이격공간(100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100a)은 10mm 이하로 결정될 수 있으나, 중공케이스(100)의 소재에 따른 탄성변형량 등의 요인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heating blocks 10,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ing blocks 10 may b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그리고, 도 2(b)를 참조하면 난방블럭(10) 간의 연결을 위해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에는 너트(N)를 통해 체결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유입부 및 유출구(102)의 어느 하나의 구성에는 너트(N)가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유출구(102)에 마련된 자유회전부(102a)에 너트(N)가 연결되어 자유회전이 될 수 있고, 너트(N)에 형성된 암나사에 유입구(10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01a)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너트(N)의 회전에 의해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의 개구가 접촉되어 연결되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의 접촉부 사이에는 실링부재(도면 미도시)가 개재되어 유체(5)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 2 (b),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through a nut (N) is provided i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블럭(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a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구조에 의해 하중(P)이 발생하면, 난방블럭(10)은 탄성변형이 이루어지고 하방으로 소정거리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처짐은 중공케이스(100)의 상부에 위치한 일면에 한해서 발생하고 상부에 위치한 타면은 이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는 지지돌기(220)가 완충돌기(210)를 지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처짐은 완충돌기(210)와 지지돌기(220) 간의 공극(200a)이 형성되는 거리만큼 발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when a load P is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도 1 내지 도 3을 기준으로 원뿔대형으로 형성된 완충돌기(210)와 지지돌기(220)가 서로 맞닿는 도중에서, 1차로 완충돌기(210)와 지지돌기(2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던 난방수가 압착되면서 유체의 저항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그리고 2차로 완충돌기(210) 또는 지지돌기(220)에 형성된 돌기 또는 개재물에 의한 재질이 갖는 탄성력 등에 의해 충격흡수가 이루어진다.1 to 3, while the
이러한 지지를 수행하는 완충구조(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원기둥, 다각형기둥, 테이퍼형, 확장형, 탄성형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이와 관련한 복수의 실시예를 이하의 도 4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4(a) 내지 도 4(f) 및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구조(200)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4(a) to 4(f) and FIG. 5 are diagrams showing embodiments of the
우선, 도 4(a)를 참조하면, 중공케이스(100)로부터 돌출된 완충구조(200)는 테이퍼 지지 않고 상하로 수직형인 완충돌기(211) 및 지지돌기(221)를 포함하고, 완충돌기(211) 및 지지돌기(221)는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중(P)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면이 맞닿음으로써 상방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하중(P)에 의해 완충돌기(211)가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는 공극(200a)이 완충돌기(211)와 지지돌기(2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완충구조(200)의 기본형에 해당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이하에서 설명할 실시예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4 (a), the
도 4(b)를 참조하면, 완충돌기(212)와 지지돌기(222)는 기 결정된 공극(200a)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하중(P)에 의해 완충돌기(212)와 지지돌기(222)가 맞닿는 면인 완충돌기(212)의 단면과 지지돌기(222)의 단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쿠션재(211a)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쿠션재(211a)는 탄성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고무재를 포함하는 소재일 수 있다. 즉, 하중(P)에 의해 완충돌기(212) 및 지지돌기(222)가 맞닿을 때 쿠션재(211a) 간의 접촉으로 완충돌기(212) 및 지지돌기(222)에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 the
도 4(c)를 참조하면, 완충부재(213) 및 지지부재(223)가 하중(P)에 의해 맞닿는 면이 만곡면(213a)으로 형성되어 접촉시에 선접촉 또는 점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접촉에 의한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the surface where the
또한, 도 4(b) 및 도 4(c)의 경우 완충돌기(212, 213) 및 지지돌기(222, 223)는 돌출방향으로 돌출되며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도 4(d)에 도시된 실시예도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완충구조(200)에 해당한다.4(b) and 4(c), the
구체적으로 도 4(d)의 경우 완충구조(200)인 완충돌기(214)(완충돌기(210) 또는 지지돌기(220)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나 본 예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완충돌기(214)로 지칭하도록 함)는 돌출단부가 중공케이스(100)의 내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외력에 의해 돌출단부가 중공케이스(100)의 내면이 접촉될 수 있다. 즉, 공극(200a)이 형성되는 위치는 완충돌기(214)와 중공케이스(100) 내면 사이일 수 있고, 돌출방향으로 점점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예시의 경우 돌출방향으로 돌출될수록 확장되는 테이퍼형으로 도시되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FIG. 4 (d), the buffer protrusion 214 (
도 4(e)를 참조하면, 완충구조(200)인 완충돌기(215)(완충돌기(210) 또는 지지돌기(220)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나 본 예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완충돌기(215)로 지칭하도록 함)는 중공케이스(100)와 상이한 소재의 탄성체일 수 있다. 양단부가 중공케이스(100)와 접촉되어 외력에 의해 공극(200a) 없이 탄성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소재의 탄성체라는 것은 중공케이스(100)보다 탄성범위가 더 넓게 형성된 소재로서 예를 들면 고무재를 포함하는 소재일 수 있다. 본 예시의 완충구조(200)는 공극(200a)만큼 이동되며 변형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압축되어 변형됨으로써 보다 적게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완충구조(200)는 중공케이스(100)와 양단이 접촉되는 완충돌기(215) 및 일단이 완충돌기(215)의 측방으로부터 돌출되어 타단이 이웃한 완충돌기(215) 또는 중공케이스(100)에 연결되는 연결부(215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조는 이하의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e), the
도 4(f)를 참조하면, 완충돌기(216)와 지지돌기(226)가 대향하는 면이 확장된 확장부(216a)일 수 있다. 확장부(216a) 간의 접촉은 보다 안정적인 접촉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확장은 돌출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형도 가능하나, 본 예시의 경우 T자 형태로 확장된 형태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구비할 경우 난방수와 같은 유체(5)가 담기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f) , the surface on which the
도 5는 전술한 도 4(e)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케이스(100) 내에 다수개의 완충돌기(215)가 마련될 수 있고, 완충돌기(215) 간은 기 결정된 간격을 유지하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결정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연결부(215a)가 완충돌기(215)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완충돌기(215)를 연결함으로써 간격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15a)는 완충돌기(215) 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중공케이스(100) 및 완충돌기(215)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배치됨으로써 중공케이스(100)와 완충돌기(215) 간의 간격도 유지할 수 있다. 5 is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4 (e)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이러한 완충돌기(215)는 중공케이스(10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중공케이스(100)가 사출에 의해 제조될 때 완충돌기(210)를 포함한 형태로 제조되지 않고 별도의 완충돌기(215)가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케이스(100) 및 완출돌기 간의 접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열융착 등의 수단을 통한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s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구조(200)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완충구조(200)에 압력이 미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완충구조(200)에 중압(Pa)이 작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c)는 완충구조(200)에 고압(Pb)이 작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shows a
도 6을 참조하면, 완충돌기(217)의 돌출단부에 돌출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7a) 및 지지돌기(227)의 돌출단부에 돌출방향으로 함몰된 홈부(227a)를 더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돌출부(217a)는 홈부(227a)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부(227a)가 함몰된 깊이와 돌출부(217a)가 돌출된 길이는 유사하고, 홈부(227a)가 개방된 측면과 돌출부(217a)가 돌출부(217a)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도 서로 유사할 수 있으며, 다만 홈부(227a)의 폭 또는 직경 보다 돌출부(217a)의 폭 또는 직경이 더 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기 결정된 깊이까지 삽입되는데 있어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지만, 돌출길이만큼 삽입되기 전에 상기 측면이 서로 먼저 접촉되어 삽입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충격을 1차 흡수할 수 있고, 돌출부(217a)가 홈부(227a)에 탄성압착되어 가압됨에 따라 충격을 2차 흡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protruding
또는 본 예시의 경우에 돌출부(217a) 및 홈부(227a)는 단면형상이 사다리꼴로 형성되되, 홈부(227a)에 형성된 사다리꼴의 측면 기울기가 돌출부(217a)에 형성된 사다리꼴의 측면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깊이만큼은 중압(Pa)에 의해 간섭없이 삽입(도 6(b) 참조)이 가능하나, 제2깊이만큼 삽입(도 6(c) 참조)이 되기 위해서는 상기 중압(Pa)보다 큰 고압(Pb)의 하중(P)이 요구되며, 이 과정에서 홈부(227a)의 측면은 탄성적으로 측방을 향해 확장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지지돌기(227)의 경우 변형 후에 복원이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is example,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블럭(10) 간 결합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upling between heating block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난방블럭(10)은 복수 개가 연결되어 기 결정된 유체이동경로(F)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자유로운 난방블럭(10) 간의 조립을 위해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의 위치는 한정적이지 않고 선택적으로 중공케이스(100)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가 서로 멀리 배치되어 중공케이스(100) 내에 유입된 유체(5)가 중공부 내에서 열교환에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의 위치는 선택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7 , a plurality of heating blocks 10 may be connected to form a predetermined fluid flow path F. For more free assembly between the heating blocks 10, the positions of the
나아가, 복수 개의 난방블럭(10)에 의해 형성된 난방영역에 유체(5)가 유입되는 유입방향(F1) 및 유출방향(F2)은 서로 인접한 곳에 위치되는 것이 보일러 등의 설비와 근접할 수 있어 유리하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설계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Furthermore, the inflow direction F1 and the outflow direction F2, in whic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 : 장판
2 : 바닥재
5 : 유체
10 : 난방블럭
100 : 중공케이스
100a : 이격공간
101 : 유입구
101a : 수나사
102 : 유출구
102a : 자유회전부
110 : 결합부
200 : 완충구조
200a : 공극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 완충돌기
211a : 쿠션재
213a : 만곡면
215a : 연결부
216a : 확장부
217a : 돌출부
220, 221, 222, 223, 226, 227: 지지돌기
227a : 홈부
310 : 지지부
320 : 단열재
F : 유체이동경로
F1 : 유입방향
F2 : 유출방향
N : 너트
G : 공극
P : 하중
Pa : 중압
Pb : 고압1 : linoleum
2 : Flooring
5: fluid
10: heating block
100: hollow case
100a: separation space
101: inlet
101a: male thread
102: outlet
102a: free rotation part
110: coupling part
200: buffer structure
200a: air gap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buffer protrusion
211a: cushion material
213a: curved surface
215a: connection part
216a: extension
217a: protrusion
220, 221, 222, 223, 226, 227: support protrusion
227a: groove
310: support
320: insulation
F: fluid movement path
F1: inflow direction
F2: outflow direction
N: Nut
G: air gap
P: load
Pa: medium pressure
Pb: high pressure
Claims (6)
상기 중공케이스(100) 내에 배치되고, 중공케이스(100)의 일면과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사이에 돌출된 완충구조(200);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구조(200)는 상기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대하여 변형이 발생되어 완충을 수행하며;
상기 일면으로부터 상기 타면을 향해 돌출되는 완충돌기(210) 및 상기 타면으로부터 상기 일면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돌기(22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
A hollow case 100 including an inlet 101 through which the fluid 5 flows and an outlet 102 through which the fluid 5 flows,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accommodating the fluid 5; and
A buffer structure 200 disposed in the hollow case 100 and protruding between one side of the hollow case 100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includes,
The buffer structure 200 is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one side or the other side to perform buffering;
A heating block comprising a buff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buffer protrusion 210 protruding from the one surface toward the other surface and a support protrusion 220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toward the one surface.
상기 완충돌기(210)는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지지돌기(220)는 상기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완충돌기(210)의 돌출단부와 상기 지지돌기(220)의 돌출단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
The method of claim 2,
The buffer protrusion 210 protrudes from the one surface, and the support protrusion 220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buffer protrusion 210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22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eating block comprising a buff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being.
상기 완충돌기(210)의 돌출단부에 돌출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7a) 및 상기 지지돌기(220)의 돌출단부에 돌출방향으로 함몰된 홈부(227a)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217a) 및 상기 홈부(227a)는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217a)의 외경이, 홈부(227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217a)는 상기 홈부(227a)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rotruding portion 217a protruding in a protruding direction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buffer protrusion 210 and a groove portion 227a recessed in a protruding direction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220,
The protruding portion 217a and the groove portion 227a are formed in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ortion 217a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roove portion 227a,
The heating block including a buff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art of the protrusion (217a)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27a) by an external force.
상기 완충돌기(210) 또는 상기 지지돌기(220)는 단부가 상기 중공케이스(10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단부와 상기 중공케이스(100)의 내면이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
The method of claim 2,
The buffer protrusion 210 or the support protrusion 220 is disposed such that an end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case 100, and the end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case 100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xternal force. Heating block comprising a buff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일단이 중공케이스(100) 내부와 양단이 접촉되는 완충돌기(210)의 측방으로부터 돌출되어 타단이 이웃한 완충돌기(210) 또는 중공케이스(100)에 연결되는 연결부(215a);
를 포함하여 완충돌기(210)가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The method of claim 2,
a connecting portion 215a, one end of which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buffer protrusion 210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hollow case 1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buffer protrusion 210 or the hollow case 100;
A heating block comprising a buff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protrusion 210 is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3877A KR102531740B1 (en) | 2021-04-26 | 2021-04-26 | Heating block comprising buffer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3877A KR102531740B1 (en) | 2021-04-26 | 2021-04-26 | Heating block comprising buffer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6945A KR20220146945A (en) | 2022-11-02 |
KR102531740B1 true KR102531740B1 (en) | 2023-05-12 |
Family
ID=8404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3877A Active KR102531740B1 (en) | 2021-04-26 | 2021-04-26 | Heating block comprising buffer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1740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1296B1 (en) | 2015-07-17 | 2016-05-16 | 장안하이텍주식회사 | The execution method preventing noise using double panel and the panel preventing noise to between floor of public housing |
KR102076943B1 (en) | 2019-09-18 | 2020-02-13 |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Floor structure for noise prevention between layer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1523A (en) | 2013-02-12 | 2014-08-20 | 김재욱 | Floor-to-floor noise preventive floor heating system using sound insulation / general heating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20150091579A (en) * | 2014-02-03 | 2015-08-12 | 김경중 | building material to noise prevention |
KR101794923B1 (en) * | 2016-03-14 | 2017-11-07 | (주)메덱스힐링 | Boiler apparatus having a slim mat |
-
2021
- 2021-04-26 KR KR1020210053877A patent/KR1025317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1296B1 (en) | 2015-07-17 | 2016-05-16 | 장안하이텍주식회사 | The execution method preventing noise using double panel and the panel preventing noise to between floor of public housing |
KR102076943B1 (en) | 2019-09-18 | 2020-02-13 |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Floor structure for noise prevention between lay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6945A (en) | 2022-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5262B1 (en) | a floor structure for a building | |
KR200431410Y1 (en) | Assembly panel structure to prevent noise between floors | |
KR102035669B1 (en) | Module panel structure for heating pipe support | |
KR102342880B1 (en) | Floor Construction Method to Prevent Noise Between Floor | |
KR20130076848A (en) | Noise protection for floor panel | |
KR20090127692A (en) | Seismic Expansion Joint for Bridge | |
KR102531740B1 (en) | Heating block comprising buffer structure | |
KR20190079758A (en) |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 |
KR102196538B1 (en) | Earthquake-resistant valve room for prevention of water accumulation | |
KR20150111176A (en) |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 |
KR100966730B1 (en) | Interfloor soundproof panel | |
JP5687894B2 (en) | Fireproof and waterproof joint structure between RC housings | |
KR20130094040A (en) | Ondol panel for proofing inter layer noise and for arranging heating pipe | |
KR102382006B1 (en) | Impact load concentrated floor absorbing system | |
KR101654236B1 (en) | Connecting members for insulating roof structure | |
KR20130000387A (en) | Load supporting panel having impact absorbing structure | |
KR100798873B1 (en) | Floor impact sound blocking structure of building | |
KR102515950B1 (en) | The buffer mat for the building floor | |
KR102435824B1 (en) | Module Panel for Heating Pipe Support | |
KR101477136B1 (en) | Floor structure for noise absorption between floors | |
KR102717464B1 (en) | Floor assembly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and system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with thereof | |
KR101549921B1 (en) | The vibration insulation for reduce noise prevention between floors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112780045A (en) | Sound-absorbing floor panel unit and sound-absorbing floor panel assembly using same | |
KR20110121312A (en) | Hysteresis damper for seismic reinforcement | |
KR20160099823A (en) |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