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31129B1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129B1
KR102531129B1 KR1020160052784A KR20160052784A KR102531129B1 KR 102531129 B1 KR102531129 B1 KR 102531129B1 KR 1020160052784 A KR1020160052784 A KR 1020160052784A KR 20160052784 A KR20160052784 A KR 20160052784A KR 102531129 B1 KR102531129 B1 KR 10253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amera module
holder
disposed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7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3796A (en
Inventor
박재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129B1/en
Priority to US16/097,184 priority patent/US10848657B2/en
Priority to CN202311059360.4A priority patent/CN117116956A/en
Priority to CN202311059219.4A priority patent/CN117352526A/en
Priority to PCT/KR2017/004573 priority patent/WO2017188781A1/en
Priority to CN201780041035.1A priority patent/CN109478554B/en
Publication of KR20170123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796A/en
Priority to US17/081,424 priority patent/US11240414B2/en
Priority to US17/561,266 priority patent/US11665421B2/en
Priority to US18/304,983 priority patent/US20230254566A1/en
Priority to KR1020230058538A priority patent/KR202300665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12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4Stacked 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3Components mounted in and supported by recessed area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하부에 베이스가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상기 베이스가 결합하고, 필터가 장착되는 제1홀더; 상기 제1홀더 하부에 결합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홀더와 결합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를 둘러싸는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the lens driv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lower base; a first holder to which the base is coupled and to which a filter is mounted; an image senso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der; and a second holder coupled to the first holder and surrounding the image sensor, wherein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may be coupl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ductive adhesive.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camera module and a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part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s and do not constitute prior art.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렌즈, 이미지 센서 모듈, 및 렌즈와 이미지 센서 모듈의 간격을 조절하는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cell phone or smart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apturing a subject and storing it as an image or video is being developed. In general, a camera module may include a lens, an image sensor module, and a lens driving device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module.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다. 렌즈 구동장치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 거리를 정렬하는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laptops have built-in micro-camera modules. The lens driving device may perform auto focusing in which focal lengths of the lenses are aligned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the lens.

또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릴 수 있는데, 사용자의 손떨림에 기인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능을 부가한 렌즈 구동장치가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shake slightly depending on the user's hand shake while shooting the subject. A lens with an Optical Image Stabilizer (OIS) function added to compensate for image or video distortion caused by the user's hand shake. Drives are being developed.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슬림(slim)한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camera module having a slim structure as a whole and a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하부에 베이스가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상기 베이스가 결합하고, 필터가 장착되는 제1홀더; 상기 제1홀더 하부에 결합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홀더와 결합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를 둘러싸는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the lens driv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lower base; a first holder to which the base is coupled and to which a filter is mounted; an image senso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der; and a second holder coupled to the first holder and surrounding the image sensor, wherein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may be coupl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ductive adhesive.

상기 렌즈 구동장치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코일; 내측에 상기 보빈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을 지지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을 지지하는 하측 탄성부재; 상기 보빈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bobbin install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housing in which the bobbin is installed; a first magnet coupled to the housing; an upper elastic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bobbin and supporting the bobbin; a lower elastic member provided below the bobbin and supporting the bobbin; The base disposed under the bobbin; And it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seated on the base.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이방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conductive adhesive may be provided as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이미지 센서는 플립칩(flip chip) 공정에 의해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holder and the image sensor may be coup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a flip chip process.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이미지 센서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holder and the image sensor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ductive adhesive.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홀더의 하면에 결합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가 접착되고, 상기 제1홀더와 결합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린트 단자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image sensor may have a print terminal portion to which the conductive adhesive is adhered and coupl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lder.

상기 제2홀더는, 외부장치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기판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holder may include a connection boar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상기 필터는 적외선차단필터 또는 블루필터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lter may be provided as an infrared cut filter or a blue filter.

상기 제2홀더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이미지 센서가 수용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holder may have a hollow portion, and the image sensor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홀더 하부에 배치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aterial disposed under the second holder.

상기 렌즈 구동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lens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supporting movement of the housing in a second direction and/or a third direction; and a second coil disposed to face the first magnet.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는 보빈; 상기 보빈을 수용하는 커버부재; 상기 보빈의 하부에 배치되고, 필터가 장착되는 제1홀더; 상기 제1홀더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필터와 제1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센싱부가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홀더와 결합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를 둘러싸는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제2홀더에 형성되는 중공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홀더의 하면에는 상기 중공부를 폐쇄하는 보강재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is a lens barrel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installed; a bobbin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a cover member accommodating the bobbin; a first holder disposed under the bobbin and to which a filter is mounted; an image senso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der and equipped with a sensing unit disposed to face the filter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holder coupled to the first holder and surrounding the image sensor, wherein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are coupl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ductive adhesive, and the image sensor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lder. It may be accommodated in a hollow part formed in the holder, and a reinforcing material closing the hollow part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카메라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부에 베이스가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상기 베이스가 결합하고, 필터가 장착되는 제1홀더; 상기 제1홀더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필터와 제1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센싱부가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홀더와 결합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를 둘러싸는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제2홀더에 형성되는 중공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홀더의 하면에는 상기 중공부를 폐쇄하는 보강재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is a lens driving device provided with a base at the bottom; a first holder to which the base is coupled and to which a filter is mounted; an image senso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der and equipped with a sensing unit disposed to face the filter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holder coupled to the first holder and surrounding the image sensor, wherein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are coupl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ductive adhesive, and the image sensor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lder. It may be accommodated in a hollow part formed in the holder, and a reinforcing material closing the hollow part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휴대용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a portable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whose color is changed by an electrical signal; The camera module converts the image incident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실시예에서, ACF를 사용하여 각 홀더들을 결합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SMT 공정과는 달리, 별도의 와이어와 땜납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와이어와 땜납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제1방향 길이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when combin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holder using an ACF, unlike the SMT process, since a separate wire and solder are not used, the space occupied by the wire and solder can be reduced, and thus the camera modu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ngth of the first direction as a whole.

또한, ACF를 사용하는 경우, 땜납의 용융온도보다 훨씬 낮은 접착성 수지의 용융온도가 될 정도의 가열만으로 충분하므로, 상기 각 홀더들에 과도한 열이 가해지지 않으며, 따라서, 기판으로 구비되는 각 홀더들에 열손상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CF, since only heating sufficient to reach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adhesive resin, which is much lower than the melting temperature of solder, excessive heat is not applied to each of the holders, and therefore, each holder provided as a substrate The occurrence of thermal damag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구조로 인해,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제1방향 길이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전체적으로 슬림(slim)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image sensor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part, a separate space in which the image sensor is disposed in the camera module is not required, and thus, the length of the camera module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reduced as a whole. Accordingly, the camera module may have a slim structure as a whol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홀더, 연결기판 및 보강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a first holder, and a secon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image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econd holder, a connecting substrate, and a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7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upper (above)" or "lower (on or under)" of each element, on or under (on or under) ) includes both elements formed by directly contacting each other or by indirectly placing one or more other elements between the two elem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on or under)”,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lational terms such as "upper/upper/upper" and "lower/lower/lower" used below do not necessarily require 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It may also be used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x, y, z) can be used in the drawing. In the drawing, the x-axis and the y-axis mean plan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for convenience,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n x-axis direction as a second direction, and a y-axis direction as a third direction.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손떨림 보정장치란 정지화상의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기인한 진동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선이 또렷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한다.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applied to a small camera module of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is designed to prevent the outline of the captured image from being formed clearly due to vibration caused by the user's hand shake when capturing a still image. means configured device.

또한, 오토 포커싱 장치는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 센서(500)에 결상 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장치와 오토 포커싱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렌즈들로 구성된 광학모듈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여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 동작 및/또는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 focusing device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focuses an image of a subject on the image sensor 500 . Such 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and an auto-focusing devic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an optical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nses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or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o compensate for such hand shake. operation and/or an auto focus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렌즈 구동장치(100), 제1홀더(400) 및 제2홀더(6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ens driving device 100 , a first holder 400 and a second holder 600 .

렌즈 구동장치(100)는 그 하부에 배치되고, 제1홀더(400)와 접착되는 베이스(21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구동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들로 구성된 광학모듈을 움직여 손떨린 보정 및/또는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 구동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The lens driving device 100 may include a base 210 disposed below and bonded to the first holder 400 . As described above, the lens driving device 100 may perform hand shake correction and/or auto focusing by moving an optical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nses. A specific structure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

제1홀더(400)는 상기 베이스(210)와 결합하고, 필터(41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홀더(400)는 하부에 이미지 센서(500)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500)는 도 4 등을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홀더(600)는 상기 제1홀더(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홀더, 이미지 센서 및 제2홀더는 회로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holder 400 may be coupled to the base 210 and a filter 410 may be mounted thereon. In addition, the image sensor 5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der 400 . The image sensor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like. The second holder 600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holder 400 . Meanwhile, the first holder, the image sensor, and the second holder may be provided as a circuit board.

상기 제2홀더(600)는 상기 렌즈 구동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의 구동 드라이버, 전류를 인가받거나, 전기적 신호를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받거나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회로들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이 없어 별도의 렌즈 구동장치가 불필요한 카메라 모듈의 경우, 상기 제2홀더(600)에는 상기 구동드라이버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second holder 60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driving drivers for driving the lens driving device 100 and circuits for receiving current or receiving or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from or to an external device. . Of course, in the case of a camera module that does not have an auto-focusing and hand-shake correction function and thus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ens driving device, the driving driver may not be provided in the second holder 600 .

또한, 상기 제2홀더(600)와 외부장치 예를 들어 전원, 디스플레이장치, 저장장치 등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기판(610)이 상기 제2홀더(600)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board 610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holder 600 and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ower supply, a display device, a storage device, etc.,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holder 600 .

제1홀더(400)와 제2홀더(600)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irst holder 400 and the second holder 6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and below.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는 가동부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는 렌즈의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동부는 보빈(110), 제1코일(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는 제1마그네트(130), 하우징(140),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movable part and a fixed part. At this time, the movable unit may perform an auto focusing function of the lens. The movable part may include the bobbin 110 and the first coil 120, and the fixed part may include the first magnet 130, the housing 140,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there is.

보빈(110)은 하우징(140) 내측에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코일(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상기 제1코일(12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12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bobbin 11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40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nd has a first coil 120 disposed inside the first magnet 130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magnet 130 ) and the first coil 120 may be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40 by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A first coil 120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10 to enabl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magnet 130 .

또한, 상기 보빈(110)은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150)(1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제1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bbin 1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150 and 160 and moves in a first direction to perform an auto focusing function.

상기 보빈(11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은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The bobbin 110 may include a lens barrel (not shown)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installed. The lens barrel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보빈(110)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보빈(11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lens barrel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110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lens barrel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110 by screwing. Alternatively, the one or more lense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bbin 110 without a lens barrel.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lens coupled to the lens barrel may be composed of one sheet, or two or more lenses may form an optical system.

오토 포커싱 기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어되며, 보빈(110)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한방향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초기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The auto focusing func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nd the auto focusing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moving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the bobbin 110 may move upward from an initial position, and when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the bobbin 110 may move downward from an initial position. Alternatively, the moving distance in one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one-way current.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지지돌기와 하측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돌기는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탄성부재(150)를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하측 지지돌기는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탄성부재(160)를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upper support protrusions and lower support protrusions may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bbin 110 .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prismatic shape, and may couple and fix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prismatic shape like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described above, and may couple and fix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

이때, 상측 탄성부재(150)에는 상기 상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하측 탄성부재(160)에는 상기 하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돌기들과 통공들은 열 융착 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In this case,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 and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 Each of the support protrusions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ixedly coupled by thermal fusion or an adhesive member such as epoxy.

하우징(140)은 제1마그네트(130)를 지지하는 중공기둥 형상을 가지고,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측면부에는 제1마그네트(130)가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내부에는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150)(160)에 가이드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110)이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140 may have a hollow pillar shape supporting the first magnet 130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first magnet 130 may be coupled to and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40 .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bbin 110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by being guided by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150 and 1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40 .

상측 탄성부재(150)는 보빈(110)의 상측에 구비되고, 하측 탄성부재(160)는 보빈(1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하우징(140) 및 보빈(110)과 결합되고,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판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11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110.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re coupled to the housing 140 and the bobbin 11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re the first part of the bobbin 110. upward and/or downward motion in the direction can be supported elastically.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provided as leaf springs.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다분할 구조를 통해 상측 탄성부재(150)의 분할된 각 부분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도 다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is multi-division structure, each divided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receive currents of different polarities or different power sources. In addition,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also have a multi-division structure an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

한편,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 보빈(110) 및 하우징(140)은 열 융착 및/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may be assembled through thermal fusion and/or bonding using an adhesive.

베이스(210)는 상기 보빈(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대략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50)이 배치 또는 안착될 수 있다.The base 210 is disposed under the bobbin 11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be disposed or seated thereon.

베이스(21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단자면(253)이 형성된 부분과 마주보는 면에는 대응되는 크기의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지지홈은 베이스(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면(253)이 형성된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돌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A support groove having a corresponding size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base 210 facing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surface 253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s formed. This support groove is formed concavely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210 to a certain depth,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surface 253 is formed does not protrude outward or the amount of protrusion can be adjusted.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40)의 측면에 하우징(14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측이 상측 탄성부재(150)에 결합하며 하측이 상기 베이스(210), 인쇄회로기판(250) 또는 회로부재(231)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코일(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2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40 and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40, the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side is the base 210,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or the circuit It is coupled to the member 231 and supports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so as to be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and/or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lso the first coil (120)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는 하우징(140)의 모서리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므로, 총 4개가 상호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부위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Since each support member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of the housing 140, a total of four may be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lso,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 That is,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또한,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별도부재로 형성되므로, 지지부재(220)와 상측 탄성부재(150)가 도전성 접착물질, 솔더링(soldering)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탄성부재(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220)를 통해 제1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ember 220 is form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ductive adhesive material, soldering, or the like. . Accordingly,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apply current to the first coil 120 through the electrically connected support member 220 .

지지부재(220)는 회로부재(231) 및 인쇄회로기판(250)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5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회로부재(231) 및/또는 인쇄회로기판(250)에 통공이 형성되지 않고, 회로부재(231)의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전기적으로 솔더링될 수도 있다.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ircuit member 2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 Alternatively,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electrically soldered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ircuit member 231 without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circuit member 231 and/or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

한편, 도 2에서는 일 실시예로 선형 지지부재(22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부재(220)는 판형부재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2 , the linear support member 220 is illustrated as an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shaped member or the like.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한 제2 및/또는 제3방향으로 하우징(140)을 움직여,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coil 230 may perform hand shake correction by moving the housing 140 in the second and/or third directions through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magnet 130 .

여기서, 제2, 제3방향은 x축(또는 제1방향), y축(또는 제2방향) 방향뿐만 아니라 x축, y축방향에 실질적으로 가까운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구동측면에서 본다면, 하우징(140)은 x축, y축에 평행하게 움직일 수도 있지만, 또한, 지지부재(220)에 의해 지지된 채로 움직일 경우 x축, y축에 약간 경사지게 움직일 수도 있다.Here,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may include directions substantially close to the x-axis (or first direction) and y-axis (or second direction) directions as well as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driving side of the embodiment, the housing 140 may move parallel to the x-axis and y-axis, but may also move slightly inclined to the x-axis and y-axis when moving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220 there is.

따라서, 상기 제2코일(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마그네트(130)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first magnet 130 needs to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il 230 .

제2코일(230)은 상기 하우징(140)에 고정되는 제1마그네트(130)와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코일(230)은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magnet 130 fixed to the housing 140 .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magnet 130 . Alternatively, the second coil 23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magnet 13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코일(230)은 회로부재(231)의 4개의 변 부분에 총 4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방향용 1개, 제3방향용 1개 등 2개만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4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total of four second coils 230 may be installed on the four sides of the circuit member 2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one for the second direction and one for the third direction. It is possible that only two such as dogs are installed, and four or more may be installed.

또는 제2방향용 제1변에 1개, 제2방향용 제2변에 2개, 제3방향용 제3변에 1개, 제3방향용 제4변에 2개가 배치되어 총 6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이 경우에 제1변과 제4변이 서로 이웃하고, 제2변과 제3변이 서로 이웃할 수 있다.Alternatively, 1 on the 1st side for the 2nd direction, 2 on the 2nd side for the 2nd direction, 1 on the 3rd side for the 3rd direction, and 2 on the 4th side for the 3rd direction, for a total of 6 It could be. Alterna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side and the fourth side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ide and the third side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실시예의 경우 회로부재(231)에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 패턴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제2코일이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직접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circuit member 231 in the shape of the second coil 230, or a separate second coil may be disposed on the circuit member 2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ircuit pattern is not limited thereto. 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member 231 in the shape of the second coil 230 .

또는, 도넛 형상으로 와이어를 권선하여 제2코일(230)을 구성하거나 또는 FP코일형태로 제2코일(230)을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econd coil 230 by winding a wire in a donut shape or to form the second coil 230 in an FP coil shape and electrically connect it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제2코일(230)을 포함한 회로부재(231)는 베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50)의 상부면에 설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코일(230)은 베이스(210)와 밀착 배치될 수도 있고,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 기판에 형성되어 이 기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적층 연결할 수도 있다.The circuit member 231 including the second coil 230 may be installed o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disposed above the base 21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210 or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and may be formed on a separate substrate to attach the substrate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Stacked connections are also possible.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20)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및/또는 본딩 결합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10, and as shown in FIG. 2, the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 Alternatively,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or bonded to the support member without forming a through hole.

인쇄회로기판(250)에는 단자(251)가 배치 또는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자(251)는 절곡된 단자면(25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면(253)에는 복수의 단자(251)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제1코일(120) 및/또는 제2코일(23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단자면(253)에 형성된 단자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단자면(253)이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 terminal 251 may be disposed or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 and the terminal 251 may be disposed on the bent terminal surface 253 . A plurality of terminals 251 are disposed on the terminal surface 253 to receive external power and supply current to the first coil 120 and/or the second coil 230 . The number of terminals formed on the terminal surface 253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omponents that need to be controlled. Als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include one or more terminal surfaces 253 .

커버부재(300)는 대략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의 일부 등을 수용하고, 베이스(21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추가적으로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제1마그네트(130), 제1코일(120), 제2코일(230)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장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제한하여 전자기장이 집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cover member 30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accommodate the movable part, the second coil 230, and a par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base 210. The cover member 300 can protect the movable part, the second coil 230,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etc. accommodated therein from being damaged, and additionally, the first magnet 130 accommodated therein. ),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coil 120, the second coil 230, etc. may be restric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so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 can be focused.

이상에서는 오토 포커싱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a camera module having auto focusing and image stabilization functions has been described.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싱은 가능하나, 손떨림 보정 기능은 없는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렌즈 구동장치에서 지지부재(220), 제2코일(230) 및 상기 제2코일(230)을 포함하는 회로부재가 제거된 구조의 렌즈 구동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lens driving device capable of auto-focusing but not having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At this time, for example, in the lens driving device shown in FIG. 2, the support member 220, the second coil 230, and the circuit member including the second coil 230 are removed to the lens driving device. may be provided.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기능이 모두 없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는 예를 들어,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는 보빈(110), 상기 보빈을 수용하는 커버부재(300)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without both auto focusing and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s. At this time, for example, a lens barrel may be provided as a camera module including a bobbin 110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and a cover member 300 accommodating the bobbin.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10), 제1홀더(400) 및 제2홀더(6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210, a first holder 400, and a second holder 6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상기 제1홀더(400)에는 필터(4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410)는 렌즈배럴 및 이미지 센서(500)와 제1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홀더(4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410)는 렌즈배럴을 통해 입사하는 광 중 특정 파장대의 광을 필터링하고, 필터(410)를 통과한 광은 상기 이미지 센서(500)에 구비되는 센싱부(510)에 입사할 수 있다.A filter 41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holder 400 . The filter 41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holder 400 at a position facing the lens barrel and the image sensor 500 in a first direction. The filter 410 filters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range among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barrel,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lter 410 may be incident to the sensing unit 510 provided in the image sensor 500. .

이때, 상기 필터(410)는, 예를 들어, 적외선이 상기 이미지 센서(500)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적외선차단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필터(410)는 블루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루필터는 표면에 자외선 차단을 위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고, 일반적인 적외선차단필터에 비해 센싱부(510)에 결상되는 이미지에 발생하는 고스트(ghost), 플레어(flare)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 410 may include, for example, an infrared cut-off filter that blocks infrared rays from entering the image sensor 500 . In another embodiment, the filter 410 may be provided as a blue filter. The blue filter may have a coating layer for blocking ultraviolet rays formed on the surface, and ghost and flare occurring in an image formed on the sensing unit 510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compared to a general infrared blocking filter.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상기 제2홀더(600)는 유연한 재질 또는 경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홀더(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기판(610)은 외부장치들과 카메라 모듈을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위치의 변경이 용이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The second holder 60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or a hard material. However, it may be appropriate for the connecting substrate 6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older 600 to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whose position can be easily changed in order to easily connect external devices and the camera modul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5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홀더(600), 연결기판(610) 및 보강재(65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image sensor 5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econd holder 600, a connecting substrate 610, and a reinforcing member 6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0)는 상기 제1홀더(400) 하부에 결합하고, 센싱부(5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 센서(500)의 센싱부(510)는 상기 필터(410)와 제1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센싱부(510)는 상기 필터(41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이다.As shown in FIG. 4 ,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sensor 500 . The image sensor 5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der 400 and a sensing unit 510 may be mounted.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510 of the image sensor 500 may be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with the filter 410 . The sensing unit 510 is a part wher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lter 410 is incident and an image is form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홀더(400)는 상면에 상기 필터(410)가 결합하고, 하면에 상기 이미지 센서(500)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필터(410)는 상기 제1홀더(400) 상면에 예를 들어, 에폭시 등의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filter 4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image sensor 5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The filter 41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lder 400 by, for example, an adhesive such as epoxy.

상기 필터(410)를 통과한 광은 상기 센싱부(510)에 입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10)와 상기 센싱부(510)가 서로 대향되는 부위에서, 상기 제1홀더(400)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Light passing through the filter 410 may be incident to the sensing unit 510 . Therefore, as shown in FIG. 4 ,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holder 400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filter 410 and the sensing unit 510 face each other. .

한편, 상기 제1홀더(400)와 상기 이미지 센서(500)는 서로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홀더(400)와 상기 이미지 센서(500)는 제2결합부(T2)에 의해 서로 결합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image sensor 5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image sensor 500 may be coup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cond coupling part T2.

제1홀더(400)와 이미지 센서(500) 간 결합 및 전기적 연결은 예를 들어 플립칩(flip chip) 공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결합부(T2)는 플립칩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Coupl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image sensor 500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flip chip process. That is, the second coupling part T2 may be formed by a flip chip process.

플립칩 공정은, 예를 들어, 제1홀더(400) 및/또는 이미지 센서(500)에 도전성 물질을 분사하여 상기 제1홀더(400)와 이미지 센서(500)를 서로 붙이면, 상기 도전성 물질이 융착하여 제1홀더(400)와 이미지 센서(500)를 서로 결합 및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In the flip chip process, for example, when a conductive material is sprayed onto the first holder 400 and/or the image sensor 500 to attach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image sensor 500 to each other, the conductive material By fusing,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image sensor 500 may be coup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플립칩 공정은, 기판의 결합 및 전기적 연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MT(Surface Mounter Technology, 표면실장기술) 공정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특히 SMT 공정에 비해 결합부위의 두께가 얇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제1방향 길이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lip chip process has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SMT (Surface Mounter Technology) process, which is generally used for board bond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area is thinner than that of the SMT process, so the camera modul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as a whole.

한편, 다른 실시예로, 제1홀더(400)와 이미지 센서(500) 간 결합 및 전기적 연결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상기 제1홀더(400)와 상기 제2홀더(600)를 결합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결합부(T2)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coupl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image sensor 500 may be coupled using a conductive adhesive. That is, in FIG. 4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2 coupl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second holder 600 may be formed of the conductive adhesive.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예를 들어, 이방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일 수 있다. 도전성 접착제에 대해서는 제1홀더(400)와 제2홀더(600)의 결합구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onductive adhesive may be, for example,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The conductive adhesi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second holder 600 .

상기 제1홀더(400)와 상기 제2홀더(600)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 상기 제1홀더(400)와 상기 제2홀더(600)를 결합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결합부(T1)는 도전성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der 400 and the second holder 6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ductive adhesive. That is, in FIG. 4 , the first coupling portion T1 coupl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second holder 60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adhesive.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예를 들어, ACF(이방 도전성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ACF는 전체적으로 필름 형태로 구비되고, 도전성 입자, 예를 들어 금(AU), 니켈(Ni) 입자 등, 를 접착성 수지에 혼합시켜 만들 수 있다.The conductive adhesive may be provided with, for example, 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The ACF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ilm as a whole, and can be made by mixing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gold (AU) and nickel (Ni) particles, with an adhesive resin.

상기 제1홀더(400)와 상기 제2홀더(600)의 결합부위에 ACF를 배치하고, 상기 ACF를 가압 및 가열하면, 상기 제1홀더(400)와 상기 제2홀더(600)는 서로 결합하고, 도전성 입자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When an ACF is placed at the joint between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second holder 600, and the ACF is pressurized and heated,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second holder 6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ductive particles.

상기 제1홀더(400)와 상기 제2홀더(600)를 SMT 공정에 의해 서로 결합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와이어(wire) 및 땜납(solder)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SMT 공정의 경우, 와이어와 땜납이 차지하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카메라 모듈의 제1방향 길이가 전체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When the first holder 400 and the second holder 600 are coup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SMT process, wires and solder may be us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MT process, since a space occupied by wires and solder is required, the length of the camera module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increased as a whole.

또한, SMT 공정에서는 땜납을 녹이고 경화시키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각 홀더들에 과도한 열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기판으로 구비되는 각 홀더들에 열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MT process, the process of melting and hardening the solder may be repeated, and excessive heat may be applied to each holder for this, and thus thermal damage may occur to each holder provided as a substrate.

그러나, ACF는 별도의 와이어와 땜납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와이어와 땜납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제1방향 길이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However, since the ACF does not use a separate wire and solder, the space occupied by the wire and solder can be reduced, and thus the length of the camera module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reduced as a whole.

또한, ACF를 사용하는 경우, 땜납의 용융온도보다 훨씬 낮은 접착성 수지의 용융온도가 될 정도의 가열만으로 충분하므로, 상기 각 홀더들에 과도한 열이 가해지지 않으며, 따라서, 기판으로 구비되는 각 홀더들에 열손상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CF, since only heating sufficient to reach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adhesive resin, which is much lower than the melting temperature of solder, excessive heat is not applied to each of the holders, and therefore, each holder provided as a substrate The occurrence of thermal damag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은 보강재(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650)는 상기 제2홀더(600) 하부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상기 제2홀더(600)의 하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6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tiffener 650 . The reinforcing member 650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holder 600 and may be coupled to, for example,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600 . As shown in FIG. 6 , the reinforcing member 650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for example, and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including, for example, stainless steel.

상기 제2홀더(600)는 상기 이미지 센서(500)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VC)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VC)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The second holder 600 has a hollow portion VC for accommodating the image sensor 500, and foreign matter may flow into the camera module through the hollow portion VC.

따라서, 보강재(650)는 상기 중공부(VC)를 폐쇄하여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이물질 유입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650)는 상기 중공부(VC)를 효과적으로 밀폐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2홀더(600)의 하면에 접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inforcing member 650 may serve to suppres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camera module by closing the hollow portion VC. The reinforcing member 65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600 using an adhesive such as epoxy to effectively seal the hollow part VC.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센서(500)는 프린트 단자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 단자부(550)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가 접착되고, 상기 제1홀더(400)와 결합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image sensor 500 may include a print terminal part 550 . The print terminal part 5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adhesive and coupled to the first holder 400 .

즉, 상기 프린트 단자부(550)에 상기 제2결합부(T2)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510)는 상기 프린트 단자부(550)를 통해 상기 제1홀더(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coupling part T2 may be coupled to the print terminal part 550 .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5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lder 400 through the print terminal unit 550 .

한편, 상기 제2홀더(600)는 상기 제1홀더(400)와 결합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500)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홀더(600)는 중공부(VC)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VC)에 상기 이미지 센서(500)가 수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holder 600 may be provided to be combined with the first holder 400 and surround the image sensor 500 . As shown in FIG. 4 , the second holder 600 has a hollow part VC, and the image sensor 500 can be accommodated in the hollow part VC.

상기 이미지 센서(500)가 상기 중공부(VC)에 수용되는 구조로 인해,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 센서(500)가 배치되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제1방향 길이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전체적으로 슬림(slim)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image sensor 500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part VC,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pace in which the image sensor 500 is disposed in the camera module, and thus the length of the camera module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reduced as a whole. there is. Accordingly, the camera module may have a slim structure as a whole.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7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디바이스(200A, 이하 "디바이스"라 한다.)는 몸체(850), 무선 통신부(710), A/V 입력부(720), 센싱부(740), 입/출력부(750), 메모리부(760), 인터페이스부(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portable device 200A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vice”) includes a body 85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10, an A/V input unit 720, a sensing unit 740, an input / It may include an output unit 750, a memory unit 760, an interface unit 770, a control unit 780, and a power supply unit 790.

도 7에 도시된 몸체(850)는 바(bar)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ve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The body 850 shown in FIG. 7 has a b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a slide type, folder type, or swing type in which two or more sub-bodies are coupled to be relatively movable. ,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wivel type.

몸체(8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850)는 프론트(front) 케이스(851)와 리어(rear) 케이스(85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디바이스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The body 850 may include a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constituting an external appearance. For example, the body 850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851 and a rear case 852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device may b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851 and the rear case 852 .

무선 통신부(710)는 디바이스(200A)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디바이스(200A)와 디바이스(200A)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200A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device 200A and a network in which the device 200A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7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7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713,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7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715. there is.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An audio/video (A/V) input unit 7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721 and a microphone 722.

카메라(721)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를 포함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The camera 721 may be a camera including the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센싱부(740)는 디바이스(200A)의 개폐 상태, 디바이스(200A)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디바이스(200A)의 방위, 디바이스(200A)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디바이스(200A)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디바이스(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A)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740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device 200A, such a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evice 200A, the location of the device 200A, whether or not there is a user contact, the direction of the device 200A, and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device 200A. By sensing,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200A may be generated. For example, if the device 200A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790 supplies power and whether or not the interface unit 7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부(750)는 디바이스(200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디바이스(2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unit 750 is for generating input or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ouch. The input/output unit 750 may generate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200A, and may also display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evice 200A.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 모듈(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input/output unit 750 may include a keypad unit 730, a display module 751, a sound output module 752, and a touch screen panel 753. The keypad unit 730 may generate input data by keypad input.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7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7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whose colors change according to electrical signals.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7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3D At least one of 3D displays may be included.

음향 출력 모듈(752)은 호(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7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1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a broadcast reception mode, or stored in the memory unit 760. Audio data can be output.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panel 753 may convert a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a user's touch to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screen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메모리부(760)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사진,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부(760)는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예컨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760 may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80, and may store input/output data (eg, phone book, messages, audio, still images, photos, videos, etc.) can be temporarily stored. For example, the memory unit 760 may store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721, for example, a photo or video.

인터페이스부(770)는 디바이스(200A)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바이스(200A)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디바이스(200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부(7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77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device 200A is connected. The interface unit 7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device 200A,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device 200A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770 may include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O (Input/ Output) port, video I/O (Input/Output) port, and earphone port.

제어부(controller, 780)는 디바이스(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 구동부의 패널 제어부(144)를 포함하거나, 패널 제어부(144)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8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device 200A. For example, the controller 780 may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The controller 780 may include the panel controller 144 of the touch screen panel driving unit shown in FIG. 1 or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anel controller 144 .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7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7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7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781 for playing multimedia. The multimedia module 781 may be implemented with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780.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capable of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790 may receive external power or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80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a few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through this, may be implemented in a new embodiment.

100: 렌즈 구동장치
210: 베이스
400: 제1홀더
410: 필터
500: 이미지 센서
510: 센싱부
550: 프린트 단자부
600: 제2홀더
610: 연결기판
650: 보강재
100: lens driving device
210: base
400: first holder
410: filter
500: image sensor
510: sensing unit
550: print terminal unit
600: second holder
610: connection board
650: stiffener

Claims (15)

제1홀을 포함하는 제1 회로 기판;
상기 제1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필터;
몸체, 상기 제1홀과 대향하여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2홀 및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상기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는 연결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
상기 제1 회로 기판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상기 제2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하면과 결합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하면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도전성 접착제; 및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2 회로 기판과 결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상기 제2홀과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접착제는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보강재의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카메라 모듈.
a first circuit board including a first hole;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base dispos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a filt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A second circuit disposed below the first circuit board, including a body, a second hole formed in the body opposite the first hole, and a connection board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body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Board;
an image sensor positioned under the first circuit board and disposed in the second hol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a first conductive adhesiv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A reinforcing material disposed under the image sensor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The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first region coupl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a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ol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adhesive overlaps the first reg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optic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동장치는,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 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driving device,
a housing disposed on the base;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 first magnet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상기 제2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상기 몸체의 하면과 결합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second circuit board to close the second hol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접착제는 이방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으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ductive adhesive is a camera module provided with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2,
The lens driving device,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second coil facing the first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하면의 가장 자리는 상기 제1 도전성 접착제에 부착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n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is attached to the first conductive adhes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적외선차단필터 또는 블루필터이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인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is an infrared cut filter or a blue filter,
The first circuit board is a camera module that is a printe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인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린트 단자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sensor,
a sensing unit that is a part wher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incident and an image is forme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printed terminal part disposed around the sensing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단자부와 상기 제1 회로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린트 단자부와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도전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8,
and a second conductive adhesive disposed between the printed terminal unit and the first circuit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inted terminal unit and the first circuit boar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성 접착제는 이방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으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9,
The second conductive adhesive is a camera module provided with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ircuit board is a camera module including a flexible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면의 가장 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상면의 제1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상면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상면의 상기 가장 자리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s coupled to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the filter is coupled to a first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reg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is positioned inside the edge of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를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하면에 부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stainless steel,
A camera module comprising an adhesive attaching the reinforcing material to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는 플립칩(flip chip) 공정 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image sensor are coup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a flip chip process or a conductive adhesive.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and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KR1020160052784A 2016-04-29 2016-04-29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Active KR1025311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84A KR102531129B1 (en) 2016-04-29 2016-04-29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311059360.4A CN117116956A (en) 2016-04-29 2017-04-28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camera module
CN202311059219.4A CN117352526A (en) 2016-04-29 2017-04-28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camera module
PCT/KR2017/004573 WO2017188781A1 (en) 2016-04-29 2017-04-28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comprising same
CN201780041035.1A CN109478554B (en) 2016-04-29 2017-04-28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camera module
US16/097,184 US10848657B2 (en) 2016-04-29 2017-04-28 Camera module having a slim overall structure and portable device comprising same
US17/081,424 US11240414B2 (en) 2016-04-29 2020-10-27 Camera module having a slim overall structure and portable device comprising same
US17/561,266 US11665421B2 (en) 2016-04-29 2021-12-23 Camera module having image sensor located between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US18/304,983 US20230254566A1 (en) 2016-04-29 2023-04-21 Camera module having image sensor located between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KR1020230058538A KR20230066537A (en) 2016-04-29 2023-05-04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84A KR102531129B1 (en) 2016-04-29 2016-04-29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538A Division KR20230066537A (en) 2016-04-29 2023-05-04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796A KR20170123796A (en) 2017-11-09
KR102531129B1 true KR102531129B1 (en) 2023-05-09

Family

ID=603858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784A Active KR102531129B1 (en) 2016-04-29 2016-04-29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230058538A Pending KR20230066537A (en) 2016-04-29 2023-05-04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538A Pending KR20230066537A (en) 2016-04-29 2023-05-04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311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0538A1 (en) 2018-06-15 2019-12-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nted circuit board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KR20240139780A (en) * 2023-03-15 2024-09-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Image sensor package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47B1 (en) * 2011-09-09 2012-07-06 옵토팩 주식회사 Photo sensor packag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659A (en) * 2009-06-30 2011-01-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268105B1 (en) * 2014-03-05 2021-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47B1 (en) * 2011-09-09 2012-07-06 옵토팩 주식회사 Photo sensor packag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537A (en) 2023-05-16
KR20170123796A (en)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421B2 (en) Camera module having image sensor located between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US11880126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US11256109B2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CN112887525B (en) Lens mo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CN107976765B (en) Lens mo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5128882B (en) Lens mo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66537A (en)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700064B1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508493B1 (en) A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KR102521060B1 (en) A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KR102652995B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176318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102500654B1 (en) A camera apparatus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KR20210121785A (en) A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KR102479002B1 (en) A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KR102663874B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26855A (en) Protective sheet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4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6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6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