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094B1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1094B1 KR102531094B1 KR1020220117782A KR20220117782A KR102531094B1 KR 102531094 B1 KR102531094 B1 KR 102531094B1 KR 1020220117782 A KR1020220117782 A KR 1020220117782A KR 20220117782 A KR20220117782 A KR 20220117782A KR 102531094 B1 KR102531094 B1 KR 1025310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film
- pitch
- stretching
- clip p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998 heat set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DHKHKXVYLBGOIT-UHFFFAOYSA-N acetaldehyde Diethyl Acetal Natural products CCOC(C)OCC DHKHKXVYLBGO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125000002777 acetyl group Chemical class [H]C([H])([H])C(*)=O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02 stretch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925 cyclo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TLDLKLSNZMTTA-UHFFFAOYSA-N octahydro-1h-4,7-methanoindene-1,5-diyldimethanol Chemical compound C1C2C3C(CO)CCC3C1C(CO)C2 OTLDLKLSNZMT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68 polycarbonat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31 polycarbona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IBGPFATKBEMQZ-UHFFFAOYSA-N tr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CCO ZIBGPFATKBEM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KLDXJTOLSGUMSJ-BXKVDMCESA-N (3s,3as,6s,6as)-2,3,3a,5,6,6a-hexahydrofuro[3,2-b]furan-3,6-diol Chemical compound O[C@H]1CO[C@H]2[C@@H](O)CO[C@H]21 KLDXJTOLSGUMSJ-BXKVDMCESA-N 0.000 description 1
- RYHBNJHYFVUHQT-UHFFFAOYSA-N 1,4-Dioxane Chemical compound C1COCCO1 RYHBNJHYFVUH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BHWVDKCKDWQBX-UHFFFAOYSA-N 2-[2-cyclohexyl-4-[9-[3-cyclohexyl-4-(2-hydroxyethoxy)phenyl]fluoren-9-yl]phenoxy]ethanol Chemical compound OCCOC1=CC=C(C2(C3=CC=CC=C3C3=CC=CC=C32)C=2C=C(C(OCCO)=CC=2)C2CCCCC2)C=C1C1CCCCC1 YBHWVDKCKDWQB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UPZWXCTZHAVPP-UHFFFAOYSA-N 2-[2-tert-butyl-4-[9-[3-tert-butyl-4-(2-hydroxyethoxy)phenyl]fluoren-9-yl]phen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1=C(OCCO)C(C(C)(C)C)=CC(C2(C3=CC=CC=C3C3=CC=CC=C32)C=2C=C(C(OCCO)=CC=2)C(C)(C)C)=C1 CUPZWXCTZHAVP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TLKXEMTIVAKJG-UHFFFAOYSA-N 2-[2-tert-butyl-4-[9-[5-tert-butyl-4-(2-hydroxyethoxy)-2-methylphenyl]fluoren-9-yl]-5-methylphen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C1=CC(OCCO)=C(C(C)(C)C)C=C1C1(C=2C(=CC(OCCO)=C(C=2)C(C)(C)C)C)C2=CC=CC=C2C2=CC=CC=C21 JTLKXEMTIVAKJ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RTFFZWZLVOXMG-UHFFFAOYSA-N 2-[4-[9-[4-(2-hydroxyethoxy)-3,5-dimethylphenyl]fluoren-9-yl]-2,6-dimethylphen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C1=C(OCCO)C(C)=CC(C2(C3=CC=CC=C3C3=CC=CC=C32)C=2C=C(C)C(OCCO)=C(C)C=2)=C1 IRTFFZWZLVOX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RCCWWMVEGTUOR-UHFFFAOYSA-N 2-[4-[9-[4-(2-hydroxyethoxy)-3-(2-methylpropyl)phenyl]fluoren-9-yl]-2-(2-methylpropyl)phen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1=C(OCCO)C(CC(C)C)=CC(C2(C3=CC=CC=C3C3=CC=CC=C32)C=2C=C(CC(C)C)C(OCCO)=CC=2)=C1 QRCCWWMVEGTUO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UXQHIIWBDDUDE-UHFFFAOYSA-N 2-[4-[9-[4-(2-hydroxyethoxy)-3-methylphenyl]fluoren-9-yl]-2-methylphen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1=C(OCCO)C(C)=CC(C2(C3=CC=CC=C3C3=CC=CC=C32)C=2C=C(C)C(OCCO)=CC=2)=C1 LUXQHIIWBDDUD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BTONAMIPDVQRI-UHFFFAOYSA-N 2-[4-[9-[4-(2-hydroxyethoxy)-3-phenylphenyl]fluoren-9-yl]-2-phenylphenoxy]ethanol Chemical compound OCCOC1=CC=C(C2(C3=CC=CC=C3C3=CC=CC=C32)C=2C=C(C(OCCO)=CC=2)C=2C=CC=CC=2)C=C1C1=CC=CC=C1 HBTONAMIPDVQ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XNRFPMJYZGKSS-UHFFFAOYSA-N 2-[4-[9-[4-(2-hydroxyethoxy)-3-propan-2-ylphenyl]fluoren-9-yl]-2-propan-2-ylphen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1=C(OCCO)C(C(C)C)=CC(C2(C3=CC=CC=C3C3=CC=CC=C32)C=2C=C(C(OCCO)=CC=2)C(C)C)=C1 WXNRFPMJYZGKS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QXNYVAALXGLQT-UHFFFAOYSA-N 2-[4-[9-[4-(2-hydroxyethoxy)phenyl]fluoren-9-yl]phen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1=CC(OCCO)=CC=C1C1(C=2C=CC(OCCO)=CC=2)C2=CC=CC=C2C2=CC=CC=C21 NQXNYVAALXGL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QRSOHFIGHYESQ-UHFFFAOYSA-N 2-butan-2-yl-4-[9-(3-butan-2-yl-4-hydroxyphenyl)fluoren-9-yl]phenol Chemical compound C1=C(O)C(C(C)CC)=CC(C2(C3=CC=CC=C3C3=CC=CC=C32)C=2C=C(C(O)=CC=2)C(C)CC)=C1 HQRSOHFIGHYE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FIWRWAGUSQPKU-UHFFFAOYSA-N 2-butyl-4-[9-(3-butyl-4-hydroxyphenyl)fluoren-9-yl]phenol Chemical compound C1=C(O)C(CCCC)=CC(C2(C3=CC=CC=C3C3=CC=CC=C32)C=2C=C(CCCC)C(O)=CC=2)=C1 VFIWRWAGUSQPK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QFAPXHGDUABRM-UHFFFAOYSA-N 2-cyclohexyl-4-[9-(3-cyclohexyl-4-hydroxyphenyl)fluoren-9-yl]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2(C3=CC=CC=C3C3=CC=CC=C32)C=2C=C(C(O)=CC=2)C2CCCCC2)C=C1C1CCCCC1 UQFAPXHGDUAB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HEUHZKBYVNFKH-UHFFFAOYSA-N 2-tert-butyl-4-[9-(3-tert-butyl-4-hydroxyphenyl)fluoren-9-yl]phenol Chemical compound C1=C(O)C(C(C)(C)C)=CC(C2(C3=CC=CC=C3C3=CC=CC=C32)C=2C=C(C(O)=CC=2)C(C)(C)C)=C1 BHEUHZKBYVNF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BNBMKQOGZKSIM-UHFFFAOYSA-N 3-[4-[9-[4-(3-hydroxy-2,2-dimethylpropoxy)phenyl]fluoren-9-yl]phenoxy]-2,2-dimethylpropan-1-ol Chemical compound C1=CC(OCC(C)(CO)C)=CC=C1C1(C=2C=CC(OCC(C)(C)CO)=CC=2)C2=CC=CC=C2C2=CC=CC=C21 OBNBMKQOGZKS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PWNQTHUCYMVMZ-UHFFFAOYSA-N 4,4'-sulfonyldiphenol Chemical class C1=CC(O)=CC=C1S(=O)(=O)C1=CC=C(O)C=C1 VPWNQTHUCYMV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UDSREQIJYWLRA-UHFFFAOYSA-N 4-[9-(4-hydroxy-3-methylphenyl)fluoren-9-yl]-2-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1=C(O)C(C)=CC(C2(C3=CC=CC=C3C3=CC=CC=C32)C=2C=C(C)C(O)=CC=2)=C1 NUDSREQIJYWL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LMZHPQIDVOWEJ-UHFFFAOYSA-N 4-[9-(4-hydroxy-3-phenylphenyl)fluoren-9-yl]-2-phenyl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2(C3=CC=CC=C3C3=CC=CC=C32)C=2C=C(C(O)=CC=2)C=2C=CC=CC=2)C=C1C1=CC=CC=C1 FLMZHPQIDVOW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SLSQHVPMSZQGS-UHFFFAOYSA-N 4-[9-(4-hydroxy-3-propan-2-ylphenyl)fluoren-9-yl]-2-propan-2-ylphenol Chemical compound C1=C(O)C(C(C)C)=CC(C2(C3=CC=CC=C3C3=CC=CC=C32)C=2C=C(C(O)=CC=2)C(C)C)=C1 PSLSQHVPMSZQ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GCDEVISPTZJD-UHFFFAOYSA-N 4-[9-(4-hydroxy-3-propylphenyl)fluoren-9-yl]-2-propylphenol Chemical compound C1=C(O)C(CCC)=CC(C2(C3=CC=CC=C3C3=CC=CC=C32)C=2C=C(CCC)C(O)=CC=2)=C1 GUGCDEVISPTZ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WFPGFJLYRKYJZ-UHFFFAOYSA-N 9,9-bis(4-hydroxyphenyl)fluorene Chemical compound C1=CC(O)=CC=C1C1(C=2C=CC(O)=CC=2)C2=CC=CC=C2C2=CC=CC=C21 YWFPGFJLYRKYJ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5605 Bisphen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2870 Inachis i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KLDXJTOLSGUMSJ-JGWLITMVSA-N Isosorbide Chemical compound O[C@@H]1CO[C@@H]2[C@@H](O)CO[C@@H]21 KLDXJTOLSGUMSJ-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RLQHILJRHBSAY-UHFFFAOYSA-N [1-(hydroxymethyl)cyclohexyl]methanol Chemical compound OCC1(CO)CCCCC1 ORLQHILJRHBSA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QHIWVLPBUQWDMQ-UHFFFAOYSA-N butyl prop-2-enoate;methyl 2-methylprop-2-enoate;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C(=O)C(C)=C.CCCCOC(=O)C=C QHIWVLPBUQWDM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QKKWWCELHKGKB-UHFFFAOYSA-L calcium acetate monohydrate Chemical compound O.[Ca+2].CC([O-])=O.CC([O-])=O XQKKWWCELHKGK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460 calcium acetate monohyd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82 conden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78 crystallin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RMBPEFMHABBEKP-UHFFFAOYSA-N fluorene Chemical compound C1=CC=C2C3=C[CH]C=CC3=CC2=C1 RMBPEFMHABBEK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9 isosorb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IHNNTQXNPWCJQ-UHFFFAOYSA-N o-biphenylenemethan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C=C3C2=C1 NIHNNTQXNPWCJ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ROIHDHFSBIQKH-UHFFFAOYSA-N phenyl 3-[9-[[9-(3-oxo-3-phenoxypropyl)fluoren-9-yl]methyl]fluoren-9-yl]propanoate Chemical compound C=1C=CC=CC=1OC(=O)CCC1(C2=CC=CC=C2C2=CC=CC=C21)CC1(C2=CC=CC=C2C2=CC=CC=C21)CCC(=O)OC1=CC=CC=C1 GROIHDHFSBIQ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91 vacuum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4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in a direction which is not parallel or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e.g. obliqu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2—Thermal after-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장척상의 경사 연신 필름의 연속 생산에서 경시적으로 생길 수 있는 배향각의 어긋남 및 면내 위상차의 편차를 억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장척상의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단부를 각각, 종방향의 클립 피치가 변화하는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에 의해 파지하는 것(파지 공정), 상기 필름을 예열하는 것(예열 공정), 상기 좌우의 클립을 적어도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주행 이동시켜, 상기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것(경사 연신 공정), 상기 필름을 열 고정하는 것(열 고정 공정), 및 상기 필름을 상기 좌우의 클립으로부터 개방하는 것(개방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을 상기 좌우의 클립으로 파지하고 나서 열 고정이 종료되기까지의 사이에, 상기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에 정속 회전 스프로킷을 계합시킴으로써 상기 클립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하고, 상기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대로의 위상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회전의 위상을 조정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deviation of the orientation angle and the deviation of the in-plane retardation that may occur over time in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 long obliquely stretched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a long film in the width direction are respectively gripped with variable-pitch left and right clips in which the clip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nges (gripping step), and the film is preheated (preheating step). , moving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changing the clip pitch of at least one clip, obliquely stretching the film (oblique stretching step), heat fixing the film (heat setting step), and Including opening from the left and right clips (opening step),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is engaged with the link mechanism that changes the clip pitch between the film being gripped by the left and right clips and the heat fixing being completed. of the stretched film, which limits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to a predetermined speed, monitors the rotational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and adjusts the rotational phase so as to approach the set phase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manufacturing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etched fil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laminate.
액정 표시 장치(LCD),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OLE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서, 표시 특성의 향상이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원편광판이 이용되고 있다. 원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대표적으로는 λ/4판)이, 편광자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적층되어 있다. 종래, 위상차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함으로써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지상축은, 많은 경우, 장척상의 필름 원반(原反)의 횡방향(폭 방향) 또는 종방향(장척 방향)으로 발현한다. 결과로서, 원편광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위상차 필름을 폭 방향 또는 장척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재단하고, 1매씩 첩합할 필요가 있었다.BACKGROUND ART In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s (OLEDs), circularly polarizing plat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display characteristics or preventing reflection.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typically has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film (typically a λ/4 plate) laminated so that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form an angle of 45°. Conventionally, since retardation films are typically produced by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 stretching in the machine direction and/or transverse direction, the slow axis thereof is, in many cas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a long film master. ) or longitudinally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sult, in order to produce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t was necessary to cut the retardation film so as to form an angle of 45°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r the elongated direction, and bond it one by one.
또한, 원편광판의 광대역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λ/4판과 λ/2판의 2매의 위상차 필름을 적층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λ/2판은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75°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하고, λ/4판은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15°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도, 원편광판을 제작할 때에는, 위상차 필름을 폭 방향 또는 장척 방향에 대하여 15° 및 75°의 각도를 이루도록 재단하고, 1매씩 첩합할 필요가 있었다.Further, in order to secure the broadband property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there are cases in which two retardation films, a λ/4 plate and a λ/2 plate, are laminated. In that case, the λ/2 plate needs to be laminated to form an angle of 75°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λ/4 plate needs to be laminated to form an angle of 15°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lso in this case, when producing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t was necessary to cut the retardation film so as to form angles of 15° and 75°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r the elongated direction, and bond them one by one.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노트 PC로부터의 광이 키보드 등에 비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편광판으로부터 나온 직선 편광의 방향을 90° 회전시킬 목적으로 편광판의 시인 측에 λ/2판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위상차 필름을 폭 방향 또는 장척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재단하고, 1매씩 첩합할 필요가 있었다.In another embodiment, a λ/2 plate can be us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for the purpose of rotating the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polarizing plate by 90° in order to avoid light from a note PC from shining onto a keyboard or the like. Also in this case, it was necessary to cut the retardation film so as to form an angle of 45°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r the elongated direction, and bond it one by on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척상의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단부를 각각, 종방향의 클립 피치가 변화하는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에 의해 파지하고, 해당 좌우의 클립의 적어도 한쪽 클립 피치를 변화시켜, 장척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신(이하, '경사 연신'이라고도 칭함)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을 경사 방향으로 발현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 의해 경사 연신 필름을 연속 생산하면, 경시적으로 지상축의 방향이 설정값으로부터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에 부하를 가하여 클립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함으로써, 지상축의 방향을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left and right ends of a long film in the width direction are respectively held by left and right clips of a variable pitch type in which the clip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nges, and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is fixed with a clip pitch.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is expressed in an oblique direction by changing and stretching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ongate direc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oblique stretching') (eg, Patent Document 1). However, when an obliquely stretched film is continuously produced by such a technique,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may shift from the set value over time. In contrast, a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by applying a load to a link mechanism that changes the clip pitch and limiting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to a predetermined speed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2의 기술에 따르면, 장척상의 경사 연신 필름의 연속 생산에서 경시적으로 생길 수 있는 배향각(지상축의 방향)의 어긋남, 예컨대 폭 방향 중앙에서의 배향각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지만, 폭 방향에서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에 관해서는 가일층의 개선의 여지가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Patent Literature 2, shift in the orientation angle (direction of the slow axis) that may occur over time in continuous production of a long obliquely stretched film, for example, shift in the orientation angle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suppressed, but the width Regarding the deviation of the in-plane retardation in the direction, there is room for further improvement.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장척상의 경사 연신 필름의 연속 생산에서 경시적으로 생길 수 있는 배향각의 어긋남 및 면내 위상차의 편차를 억제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suppress deviations in orientation angles and deviations in in-plane retardation that may occur over time in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long obliquely stretched films.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르면, 장척상의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단부를 각각, 종방향의 클립 피치가 변화하는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에 의해 파지하는 것(파지 공정), 해당 필름을 예열하는 것(예열 공정), 해당 좌우의 클립을 적어도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주행 이동시켜 해당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것(경사 연신 공정), 해당 필름을 열 고정하는 것(열 고정 공정), 및 해당 필름을 해당 좌우의 클립으로부터 개방하는 것(개방 공정)을 포함하고, 해당 필름을 해당 좌우의 클립으로 파지하고 나서 열 고정이 종료되기까지의 사이에, 해당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에 정속 회전 스프로킷을 계합시킴으로써 해당 클립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하고, 해당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하며, 해당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대로의 위상에 가까워지도록 해당 회전의 위상을 조정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a long film in the width direction are respectively held by left and right clips of a variable pitch type in which the clip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nges (gripping step), and the film is preheated. (preheating process), moving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changing the clip pitch of at least one clip, and obliquely stretching the film (oblique stretching process), heat fixing the film (heat setting process), and opening the film from the left and right clips (opening process), and changing the clip pitch between the time when the film is held by the left and right clips and the end of the heat fixation. By engaging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speed, the rotation phase of the constant rotation sprocket is monitored, and the rotation phase is adjusted so as to approach the set phase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is provided.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예열 공정, 상기 경사 연신 공정 및 상기 열 고정 공정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공정에서, 상기 클립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한다.In one embodiment, in at least one process selected from the preheating process, the oblique stretching process, and the heat setting process,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speed.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차를 -1mm~+1mm로 조정한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al phase differenc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is adjusted to -1 mm to +1 mm.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경사 연신이, (i) 상기 좌우의 클립 중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에서 P2까지 증대시키면서,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에서 P3까지 감소시키는 것, 및 (ii) 해당 감소된 클립 피치와 해당 증대된 클립 피치가 소정의 동일한 피치가 되도록 각각의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oblique stretching, (i) the clip pitch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at P 1 Increase the clip pitch of the other clip at P 1 by increasing it to P 2 . P 3 , and (ii) changing the clip pitch of each clip so that the corresponding reduced clip pitch and the corresponding increased clip pitch are the same predetermined pitch.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P2/P1이 1.25~1.75이고, P3/P1이 0.50 이상 1 미만이다.In one embodiment, P 2 /P 1 is between 1.25 and 1.75 and P 3 /P 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0.50 1 is less than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얻는 것, 및 장척상의 광학 필름과 해당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반송하면서, 그의 장척 방향을 맞추어 연속적으로 첩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ing a long stretched film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and conveying the long optical film and the long picture-shaped stretched film, aligning the direction of the long picture and continuously bonding them together Optical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is provided.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판이고, 상기 연신 필름이 λ/4판 또는 λ/2판이다.In one embodiment, the optical film is a polarizing plate, and the stretched film is a λ/4 plate or a λ/2 plat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장척상의 경사 연신 필름의 연속 생산에서 경시적으로 생길 수 있는 배향각의 어긋남 및 면내 위상차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가 나타나는 이유로서는, 본 발명을 어느 방식으로도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즉, 종래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정속 회전 스프로킷이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와의 계합을 반복함으로써, 회전의 위상이 서서히 어긋나게 되고, 좌우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이 어긋나는 결과, 좌우의 클립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당초의 위치 관계로부터 어긋나, 배향각의 어긋남이나 면내 위상차의 편차로 이어진다. 이에 대하여, 본원 발명에 따르면,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회전의 위상이 설정대로의 위상에 가까워지도록 조정함으로써, 좌우의 클립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그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할 수 있고, 결과로서, 얻어지는 연신 필름의 배향각의 경시적인 어긋남 및 면내 위상차의 편차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ations in orientation angles and deviations in in-plane retardation that may occur over time in continuous production of long obliquely stretched films can be suppressed. The reason for such an effect is estimated as follow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any way. That is, i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as the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 repeats engagement with the link mechanism that changes the clip pitch, the rotational phase is gradually shifted, and the rotational phase of the left and right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s is shifted. As a result,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left and right clips deviates from the original positional relationship, leading to a shift in orientation angle and a deviation in in-plane phase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is monitored, and the rotational phase is adjusted so as to approach the set phase, thereby maintaining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left and right clips and increasing the movement speed to a predetermined level. can be limited to the speed of , and as a result, shift over time in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sulting stretched film and variation in in-plane retardation can be suitably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연신 장치의 일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신 장치에서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신 장치에서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개략 평면도이다.
도 4a는, 경사 연신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의 클립 피치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b는, 경사 연신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의 클립 피치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이용한 원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stretch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a link mechanism for changing a clip pitch in the stretching device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a link mechanism for changing a clip pitch in the stretching device of Fig. 1;
Fig. 4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lip pitch profile in one embodiment of oblique stretching.
4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lip pitch profile in one embodiment of oblique stretchin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ircular polarizing plate using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종방향의 클립 피치'란, 종방향에 인접하는 클립의 주행 방향에서의 중심간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장척상의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관계는, 특단의 기재가 없는 한, 해당 필름의 반송 방향을 향한 좌우 관계를 의미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lip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eans the distance between centers in the running direction of clips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left-right relationship in the width direction of a long film-shaped film means the left-right relationship toward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said film unless there is a special description.
A.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stretched film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은,A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장척상의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단부를 각각, 종 방향의 클립 피치가 변화하는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에 의해 파지하는 것(파지 공정),Graspi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longated film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with variable pitch type left and right clips in which the clip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nges (gripping step);
해당 필름을 예열하는 것(예열 공정),Preheating the film (preheating process);
해당 좌우의 클립을 적어도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주행 이동시켜, 해당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것(경사 연신 공정),Moving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changing the clip pitch of at least one clip, and obliquely stretching the film (oblique stretching step);
해당 필름을 열 고정하는 것(열 고정 공정), 및heat setting the film (heat setting process), and
해당 필름을 해당 좌우의 클립으로부터 개방하는 것(개방 공정)을 포함하고,Including opening the film from the left and right clips (opening process),
해당 필름을 해당 좌우의 클립으로 파지하고 나서 열 고정이 종료되기까지의 사이에, 해당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에 정속 회전 스프로킷을 계합시킴으로써 해당 클립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하며,Limiting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to a predetermined speed by engaging the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 with a link mechanism that changes the clip pitch between holding the film with the left and right clips and ending the thermal fixing,
해당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대로의 위상에 가까워지도록 해당 회전의 위상을 조정한다.The rotational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is monitored, and the rotational phase is adjusted so as to approach the set phase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1. 연신 장치A-1. stretch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연신 대상인 필름의 좌우 단부를 파지하여 예열 존, 연신 존 및 열 고정 존을 이 순서대로 통과함과 함께, 각각 주행 이동에 따라 종방향의 클립 피치가 변화하는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을 포함하고, 해당 연신 존에서, 해당 좌우의 클립을 적어도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주행 이동시켜, 해당 필름을 경사 연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 필름을 파지하는 존으로부터 해당 열 고정 존까지의 사이에서, 해당 좌우의 클립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하는 정속 회전 스프로킷과, 해당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와,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보정하는 보정 장치를 구비하는, 필름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행하여질 수 있다.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etch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ile holdi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a film to be stretched and passing through a preheating zone, a stretching zone, and a heat setting zone in this ord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ncludes left and right clips of a variable pitch type whose clip pitch changes, and in the stretching zone, the left and right clips are run while changing the clip pitch of at least one clip, and the film is obliquely stretched. A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for limiting the movement speed of the left and right clips to a predetermined speed between the film gripping zone and the corresponding heat fixing zone, a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the rotation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and monitoring This can be done using a film stretching device having a correction device for correcting the phase of rotation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based on the result.
상기 연신 장치로서는, 예컨대, 예열 존, 연신 존 및 열 고정 존을 이 순서대로 통과하는 무단 형상의 좌우의 기준 레일과, 해당 좌우의 기준 레일의 내주 측에 마련된 좌우의 피치 설정 레일과, 해당 좌우의 기준 레일로 안내되어 주행 이동하는 복수의 좌우의 클립 담지 부재와, 해당 좌우의 클립 담지 부재에 담지되고 연신 대상인 장척상의 필름의 좌우 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좌우의 클립과, 해당 클립 담지 부재에 주행력을 부여하는 구동 수단과, 해당 기준 레일과 해당 피치 설정 레일의 이간 거리에 의해 해당 클립 담지 부재 간의 피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해당 링크 기구와 계합되어 해당 좌우의 클립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하는 정속 회전 스프로킷과, 해당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와,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보정하는 보정 장치를 더 구비하는, 필름 연신 장치를 들 수 있다.As the stretching device, for example, an endless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 passing through a preheating zone, a stretching zone, and a heat setting zone in this order, left and right pitch setting rail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s, and the left and right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clip holding members guided by the reference rail and traveling, and left and right clips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clip holding members and respectively gripping left and right ends of the elongated film to be stretched, and driving force on the clip holding members and a link mechanism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pitch between the clip-bearing members by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rail and the pitch setting rail, and engaged with the link mechanism to move the left and right clips. A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for limiting to a predetermined speed, a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the rotation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and a correction device for correcting the rotation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Further comprising, A film stretching apparatus is mentio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연신 장치의 일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연신 장치(100)에서는, 필름의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을 향하여, 파지 존(A), 예열 존(B), 연신 존(C), 열 고정 존(D) 및 개방 존(E)이 이 순서대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존은, 연신 대상이 되는 필름이 실질적으로 파지, 예열, 경사 연신, 열 고정 및 개방되는 존을 의미하고, 기계적, 구조적으로 독립된 구획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연신 장치에서의 각각의 존의 길이의 비율은 실제의 길이의 비율과 상이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stretching device that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도 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연신 존(C)과 열 고정 존(D)의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처리를 하기 위한 존이 마련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처리로서는, 횡 수축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연신 장치는 대표적으로는 예열 존(B)으로부터 열 고정 존(D) 또는 개방 존(E)까지를 가열 환경으로 하기 위한 가열 장치(예컨대, 열풍식, 근적외선식, 원적외선식 등의 각종 오븐)를 구비하고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zone for performing any appropriate treatmen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awing zone C and the heat setting zone D as needed. Examples of such a treatment include a transverse shrinkage treatment and the like. Also, although not shown, the stretching device is typically a heating device (for example, a hot air type, a near infrared ray type) for setting a heating environment from the preheating zone B to the heat setting zone D or the open zone E. , various types of ovens such as far-infrared rays) are provided.
연신 장치(100)는, 평면시에서 좌우 양측에 무단 형상의 좌우의 기준 레일(10L, 10R)을 좌우 대칭으로 포함한다. 연신 장치(100)는 또한 좌우의 기준 레일(10L, 10R)의 내주 측에 마련된 피치 설정 레일(20L, 20R)과, 클립(40)을 담지하고 좌우의 기준 레일(10L, 10R)로 안내되어 주행 이동하는 복수의 좌우의 클립 담지 부재(30L, 30R)와, 좌우의 클립 담지 부재(30L, 30R)에 주행력을 부여하는 구동 수단(도시예에서는 구동용 스프로킷)(50L, 50R)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필름의 입구 측으로부터 보아 좌측의 기준 레일을 좌측의 기준 레일(10L), 우측의 기준 레일을 우측의 기준 레일(10R)이라고 칭한다. 클립(40)을 담지하는 클립 담지 부재(30L, 30R)는, 기준 레일(10L, 10R)로 안내되어 루프 형상으로 순회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의 기준 레일(10L)로 안내되는 클립 담지 부재(30L)(결과로서, 해당 클립 담지 부재에 담지되는 클립(좌클립)(40))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하고, 우측의 기준 레일(10R)로 안내되는 클립 담지 부재(30R)(결과로서, 해당 클립 담지 부재에 담지되는 클립(우클립)(40))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한다.The stretching
상기 연신 장치(100)의 파지 존(A) 및 예열 존(B)에서는, 좌우의 기준 레일(10L, 10R)은, 연신 대상이 되는 필름의 초기 폭에 대응하는 이간 거리에서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신 존(C)에서는, 예열 존(B)의 측으로부터 열 고정 존(D)을 향함에 따라 좌우의 기준 레일(10L, 10R)의 이간 거리가 상기 필름의 연신 후의 폭에 대응할 때까지 서서히 확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열 고정 존(D) 및 개방 존(E)에서는, 좌우의 기준 레일(10L, 10R)은, 상기 필름의 연신 후의 폭에 대응하는 이간 거리에서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좌우의 기준 레일(10L, 10R)의 구성은 상기 도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좌우의 기준 레일(10L, 10R)은, 파지 존(A)으로부터 개방 존(E)까지 연신 대상이 되는 필름의 초기 폭에 대응하는 이간 거리에서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holding zone A and the preheating zone B of the stretching
좌클립(40) 및 우클립(4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순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립 담지 부재(30L, 30R)에, 구동용 스프로킷(50L, 50R)과 선택적으로 계합 가능한 구동 롤러(39)를 마련하고, 구동 롤러(39)를 전동 모터(60L, 60R)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용 스프로킷(50L, 50R)과 선택적으로 계합시킴으로써, 클립 담지 부재(30L, 30R)에 주행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좌측의 기준 레일(10L)용의 구동용 스프로킷(50L)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우측의 기준 레일(10R)용의 구동용 스프로킷(50R)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좌클립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하고, 우클립은 시계 회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한다. 전동 모터의 출력을 조정하여 구동용 스프로킷으로부터 클립 담지 부재에 전달하는 주행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좌우의 클립 담지 부재의 주행 속도(결과로서, 좌우의 클립의 주행 속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의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입구 측에는 클립에 의한 필름 파지의 타이밍을 좌우 동시에 하기 위한 클립 위치 조정용 스프로킷(52L, 52R)이 배치되어 있고, 각각 전동 모터(62L, 62R)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있지만, 이들 스프로킷은 클립의 주행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도시예와는 달리, 필름 입구 측에 구동용 스프로킷을 배치하여도 된다.The
또한, 좌측의 클립 담지 부재(결과로서, 좌클립) 및 우측의 클립 담지 부재(결과로서, 우클립)는 각각 가변 피치형이다. 즉, 좌우의 클립 담지 부재(결과로서, 좌우의 클립)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에 따라 종방향의 클립 피치가 변화할 수 있다. 가변 피치형의 구성은, 기준 레일과 피치 설정 레일의 이간 거리에 의해 클립 담지 부재 간의 피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링크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링크 기구(팬터그래프 기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Further, the left clip-bearing member (result, left clip) and the right-side clip-bearing member (result, right clip) are each of a variable pitch type. That is, the left and right clip holding members (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clips) can each independently change the clip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pitch type can be realized by adopting a link mechanism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pitch between the clip carrying members b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rail and the pitch setting rail. An example of the link mechanism (pantograph mechanism)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연신 장치에서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개략 평면도이고, 도 2는 클립 피치가 최소인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클립 피치가 최대인 상태를 나타낸다.2 and 3 are respectively schematic plan views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a link mechanism for changing the clip pitch in the stretching device of FIG. 1, FIG. 2 shows a state where the clip pitch is minimum, and FIG. 3 shows a state where the clip pitch is maximum. indicate state.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립 담지 부재(30)는 평면시 횡방향으로 세장(細長)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고, 긴 방향의 일단부에 클립(40)을 개개로 담지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클립 담지 부재(30)는 상 대들보, 하 대들보, 전벽(클립 측의 벽) 및 후벽(클립과 반대 측의 벽)에 의해 닫힌 단면의 강고한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 담지 부재(30)는, 그의 양단의 주행륜(38)에 의해 주행 노면(81, 82) 위를 전동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전벽 측의 주행륜(주행 노면(81) 위를 전동하는 주행륜)은 도시되지 않는다. 주행 노면(81, 82)은, 전역에 걸쳐 기준 레일(10)에 병행하고 있다. 클립 담지 부재(30)의 상 대들보와 하 대들보의 후측(클립 측의 반대 측(이하, 반클립 측))에는, 클립 담지 부재의 긴 방향을 따라 긴 구멍(31)이 형성되고, 슬라이더(32)가 긴 구멍(31)의 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클립 담지 부재(30)의 클립(40) 측 단부의 근방에는, 상 대들보 및 하 대들보를 관통하여 1개의 제1 축 부재(33)가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제1 축 부재(33)의 하단에는 안내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안내 롤러는 기준 레일(10)에 마련되어 있는 오목 홈에 계합되어 있다. 또한, 제1 축 부재(33)의 상단에는 구동 롤러(39)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한편, 클립 담지 부재(30)의 슬라이더(32)에는, 1개의 제2 축 부재(34)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제2 축 부재(34)의 하단에는 피치 설정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피치 설정 롤러는 피치 설정 레일(20)에 마련되어 있는 오목 홈에 계합되어 있다. 각 클립 담지 부재(30)의 제1 축 부재(33)에는 주(主)링크 부재(35)의 일단이 추동(樞動) 연결되어 있다. 주링크 부재(35)는, 다른 단을 인접하는 클립 담지 부재(30)의 제2 축 부재(34)에 추동 연결되어 있다. 각 클립 담지 부재(30)의 제1 축 부재(33)에는, 주링크 부재(35)에 더하여, 부링크 부재(36)의 일단이 추동 연결되어 있다. 부링크 부재(36)는, 다른 단을 주링크 부재(35)의 중간부에 추축(37)에 의해 추동 연결되어 있다. 주링크 부재(35), 부링크 부재(36)에 의한 링크 기구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2)가 클립 담지 부재(30)의 후측(반클립 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만큼, 클립 담지 부재(30)끼리의 종방향의 피치(결과로서, 클립 피치)가 작아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2)가 클립 담지 부재(30)의 전측(클립 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만큼, 클립 담지 부재(30)끼리의 종방향의 피치(결과로서, 클립 피치)가 커진다. 슬라이더(32)의 위치 결정은, 피치 설정 레일(20)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레일(10)과 피치 설정 레일(20)의 이간 거리가 작을수록 클립 피치가 커진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연신 장치(100)는 더욱 예열 존(B)의 반송 방향의 동위치에 배치된 좌우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54L, 54R)과, 정속 회전 스프로킷(54L, 54R)의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70L, 70R)와,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보정하는 보정 장치(80L, 80R)를 포함한다.The stretching
좌우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54L, 54R)은 각각 전동 모터(64L, 64R)에 의해 정속 회전 구동되어 있다.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좌우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54L, 54R)을,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립 담지 부재)와 계합시킴으로써, 클립의 주행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은 보정 장치(80L, 80R)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전동 모터의 출력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임의로 조정 가능한 전동 모터로서는, 예컨대 스테핑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constant
도시예와는 달리, 좌우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은 서로 반송 방향이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좌우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 중 어느 한쪽만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eft and right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s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in which the conveying dire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only either one of left and right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s may be provided.
정속 회전 스프로킷이 마련되는 장소는 예열 존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정속 회전 스프로킷은 파지 존(단, 필름을 클립으로 파지한 후), 예열 존, 연신 존 및 열 고정 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존에 마련되고, 바람직하게는 예열 존 및 연신 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에서, 1개의 존에 2개 이상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이 마련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존에 각각 1개 이상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이 마련되어도 된다.The place where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is provided is not limited to the preheating zone.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is provided in at least one zone selected from a holding zone (but after holding the film with a clip), a preheating zone, a stretching zone and a heat setting zone,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preheating zone and the stretching zone. It can be provided in one zone.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two or mor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s may be provided in one zone, and one or mor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s may be provided in each of two or more zones.
모니터링 장치(70L, 70R)는 정속 회전 스프로킷(54L, 54R)의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 센서나 반사광을 측정하는 광학 센서를 모니터링 장치로서 이용하여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톱니의 통과를 검출함으로써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보정 장치(80L, 80R)는,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과 소망되는 회전의 위상(즉, 설정값으로서의 회전의 위상)의 어긋남을 특정하고, 당해 어긋남을 상쇄(캔슬)하여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설정대로의 회전의 위상에 가깝게 하는 신호를 전동 모터의 제어부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에서, 보정 장치를 마련하지 않고, 작업자가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대로의 회전의 위상에 가까워지기 위한 보정량(위상 어긋남량)을 산출하고, 전동 모터의 제어부에 보정량을 입력하여도 된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process is demonstrated in detail.
A-2. 파지 공정A-2. holding process
파지 존(A)(연신 장치(100)의 필름 취입의 입구)에서는, 대표적으로는 좌우의 기준 레일(10L, 10R)의 클립(40)에 의해, 연신 대상이 되는 필름의 좌우 단부를 소정의 클립 피치로 위상을 맞추어, 즉, 서로 동일한 일정한 클립 피치로, 동시에 파지한다. 이때, 좌우의 클립의 중심을 연결한 선은 대표적으로는 필름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예컨대 90°±3°, 바람직하게는 90°±1°,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5°,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90°)하게 된다. 파지시의 좌우의 클립의 클립 피치는 예컨대 100mm~200mm, 바람직하게는 125mm~17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mm~160mm이다.In the gripping zone A (entrance for taking in the film of the stretching device 100), typically,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lm to be stretched are fixed by the
좌우의 클립의 이동(실질적으로는, 좌우의 기준 레일(10L, 10R)로 안내된 각 클립 담지 부재의 이동)에 의해, 당해 필름이 예열 존(B)으로 보내진다.The film is sent to the preheating zone B b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clip (actually, the movement of each clip holding member guided by the left and
A-3. 예열 공정A-3. preheating process
예열 존(B)에서는, 좌우의 기준 레일(10L, 10R)은, 상기와 같이 연신 대상이 되는 필름의 초기 폭에 대응하는 이간 거리에서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횡연신도 종연신도 행하지 않고, 필름이 가열된다. 단, 예열에 의해 필름의 휨이 일어나, 오븐 내의 노즐에 접촉하는 등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근소하게 좌우 클립 간의 거리(폭 방향의 거리)를 확장하여도 된다.In the preheating zone B, since the left and
예열 공정에서는, 필름을 온도 T1(℃)까지 가열한다. 온도 T1은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g+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Tg+5℃ 이상이다. 한편, 가열 온도 T1은, 바람직하게는 Tg+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g+30℃ 이하이다. 이용하는 필름에 따라 상이하지만, 온도 T1은 예컨대 70℃~190℃이고, 바람직하게는 80℃~180℃이다.In the preheating step, the film is heated to a temperature T1 (° C.). The temperature T1 is preferably equal to or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film, more preferably equal to or higher than Tg+2°C, still more preferably equal to or higher than Tg+5°C.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temperature T1 is preferably Tg+40°C or lower, more preferably Tg+30°C or lower. Although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lm used, the temperature T1 is, for example, 70°C to 190°C, preferably 80°C to 180°C.
상기 온도 T1까지의 승온 시간 및 온도 T1에서의 유지 시간은, 필름의 구성 재료나 제조 조건(예컨대, 필름의 반송 속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이들 승온 시간 및 유지 시간은 클립(40)의 이동 속도, 예열 존의 길이, 예열 존의 온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The heating time up to the temperature T1 and the holding time at the temperature T1 may be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film or manufacturing conditions (eg, film conveyance speed). These heating times and holding times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moving speed of the
A-4. 경사 연신 공정A-4. oblique stretching process
연신 존(C)에서는, 좌우의 클립(40)을, 그의 적어도 한쪽 클립의 종방향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주행 이동시켜 필름을 경사 연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클립을 각각 상이한 위치에서 클립 피치를 증대 또는 축소시키면서 주행 이동시키는 것, 각각 상이한 변화 속도로 클립 피치를 변화(증대 및/또는 축소)시키면서 주행 이동시키는 것 등에 의해, 필름을 경사 연신한다. 이와 같이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좌우의 클립을 주행 이동시킨 결과, 연신 존으로 동시에 이행한 한쌍의 좌우의 클립 중, 한쪽 클립이 다른 쪽 클립에 선행하여 연신 존의 종단에 도달한다. 이와 같은 경사 연신에 따르면, 당해 선행하는 클립 측의 단부가 후행하는 클립 측의 단부보다도 높은 연신 배율로 연신됨으로써, 그 결과로서, 장척 필름의 소망하는 방향(예컨대, 긴 방향에 대하여 45°의 방향)으로 지상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In the stretching zone C, the left and
경사 연신은 횡연신을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경사 연신은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구성과 같이, 좌우의 클립 간의 거리(폭 방향의 거리)를 확대시키면서 행하여질 수 있다. 또는, 도 1에 나타내는 구성과는 상이하게, 좌우의 클립 간의 거리를 유지한 채로 행하여질 수 있다.Oblique stretching may include transverse stretching. In this case, oblique stretching can be performed while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s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as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for example. Alternatively, unlik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it may b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s.
경사 연신이 횡연신을 포함하는 경우, 횡방향(TD)의 연신 배율(필름의 초기 폭(Winitial)에 대한 경사 연신 후의 필름의 폭(Wfinal)의 비(Wfinal/Winitial))은, 바람직하게는 1.05~6.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5.00이다.When oblique stretching includes transverse stretching, the draw ratio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film after oblique stretching (W final ) to the initial width of the film (W initial ) (W final /W initial )) is , preferably 1.05 to 6.00, more preferably 1.10 to 5.00.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경사 연신은 상기 좌우의 클립 중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가 증대 또는 감소하기 시작하는 위치와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가 증대 또는 감소하기 시작하는 위치를 종방향에서의 상이한 위치로 한 상태에서, 각각의 클립의 클립 피치를 소정의 피치까지 증대 또는 감소함으로써 행하여질 수 있다. 당해 실시형태의 경사 연신에 대해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238524호 등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blique stretching moves the position where the clip pitch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starts to increase or decrease and the position where the clip pitch of the other clip starts to increase or decrease to different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ne state, it can be don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lip pitch of each clip to a predetermined pitch. Regarding the oblique stretching of the embodiment, descriptions such as Patent Document 1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4-238524 can be referred, for example.
다른 실시형태에서, 경사 연신은 상기 좌우의 클립 중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고정한 채로,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소정의 피치까지 증대 또는 감소시킨 후, 당초의 클립 피치까지 되돌림으로써 행하여질 수 있다. 당해 실시형태의 경사 연신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543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94482호 등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blique stretching can be perform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lip pitch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to a predetermined pitch while fixing the clip pitch of the other clip, and then returning it to the original clip pitch. . Regarding the oblique stretching of the embodiment, descriptions such as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3-54338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4-194482 can be referred to, for example.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경사 연신은 (i) 상기 좌우의 클립 중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에서 P2까지 증대시키면서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에서 P3까지 감소시키는 것, 및 (ii) 해당 감소된 클립 피치와 해당 증대된 클립 피치가 소정의 동일한 피치가 되도록, 각각의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행하여질 수 있다. 당해 실시형태의 경사 연신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94484호 등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당해 실시형태의 경사 연신은 좌우의 클립 간의 거리를 확대시키면서,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에서 P2까지 증대시키면서,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에서 P3까지 감소시켜,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것(제1 경사 연신), 및 좌우의 클립 간의 거리를 확대시키면서, 좌우의 클립의 클립 피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해당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로 유지 또는 P4까지 감소시키고, 또한, 해당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 또는 P4까지 증대시켜,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것(제2 경사 연신)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blique stretching is (i) the clip pitch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at P 1 reducing the clip pitch of the other clip from P 1 to P 3 while increasing it to P 2 , and (ii) the clip of each clip such that the corresponding reduced clip pitch and the corresponding increased clip pitch are the same predetermined pitch. This can be done by changing the pitch. Regarding the oblique stretching of the embodiment, descriptions such as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4-194484 can be referred, for example. In the oblique stretching of the embodiment, the clip pitch of one clip is increased from P 1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s is increased. up to P2 while increasing the clip pitch of the other clip at P 1 up to P3 to obliquely stretch the film (first oblique stretching), and while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s, the clip pitch of the left and right clips is maintained at P 2 or P 4 so that the clip pitches of the left and right clips are the same. until decrease, and also set the clip pitch of the corresponding other clip to P 2 or up to P4 It may include stretching the film obliquely by increasing it (second oblique stretching).
상기 제1 경사 연신에서는, 필름의 한쪽 단부를 장척 방향으로 신장시키면서, 다른 쪽 단부를 장척 방향으로 수축시키면서 경사 연신을 행함으로써, 소망하는 방향(예컨대, 장척 방향에 대하여 45°의 방향)으로 높은 일축성(一軸性) 및 면내 배향성으로 지상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 연신에서는, 좌우의 클립 피치의 차를 축소하면서 경사 연신을 행함으로써, 여분의 응력을 완화시키면서 경사 방향으로 충분히 연신할 수 있다. In the first oblique stretching, oblique stretching is performed while one end of the film is stretched in the direction of a long picture and the other end is contracted in the direction of a long picture, so that the film is stretched in a desired direction (for example, in a direction at 45°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a long picture). A slow axis can be expressed with uniaxiality and in-plane orientation. Further,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 by performing the oblique stretch while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 pitches, the film can be sufficiently stretched in an oblique direction while relieving excess stress.
상기 3개의 실시형태의 경사 연신에서, 좌우의 클립의 이동 속도가 동일하게 된 상태에서 필름을 클립으로부터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의 클립의 개방 시에 필름의 반송 속도 등의 편차가 생기기 어렵고, 그 후의 필름의 권취가 적합하게 행하여질 수 있다.In the oblique stretching of the above three embodiments, since the film can be released from the clips in a state where the moving speeds of the left and right clips are the same, deviation in the transport speed of the film or the like is difficult to occur when the clips on the left and right are released, Winding of the film thereafter can be suitably performed.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상기 제1 경사 연신 및 제2 경사 연신을 포함하는 경사 연신에서의 클립 피치의 프로파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제1 경사 연신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서, 횡축은 클립의 주행 거리에 대응한다. 제1 경사 연신 개시 시에서는, 좌우의 클립 피치는 모두 P1로 되어 있다. P1은, 대표적으로는, 필름을 파지하였을 때의 클립 피치이다. 제1 경사 연신이 개시됨과 동시에, 한쪽 클립(이하, 제1 클립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클립 피치의 증대를 개시하고, 또한, 다른 쪽 클립(이하, 제2 클립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클립 피치의 감소를 개시한다. 제1 경사 연신에서는,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까지 증대시키고,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P3 까지 감소시킨다. 따라서, 제1 경사 연신의 종료 시(제2 경사 연신의 개시 시)에서, 제2 클립은 클립 피치 P3으로 이동하고, 제1 클립은 클립 피치 P2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클립 피치의 비는 클립의 이동 속도의 비에 대체로 대응할 수 있다.4A and 4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clip pitch profile in oblique stretching including the first oblique stretching and the second oblique stretching, respectively. Hereinafter, 1st oblique stretch is demonstrated concretely, referring these drawings. 4A and 4B, the horizontal axis corresponds to the travel distance of the clip. No. 1 At the start of oblique stretching, both the left and right clip pitches are P 1 . P 1 is typically a clip pitch when the film is gripped. Simultaneously with the start of the first oblique stretching, the increase in the clip pitch of one clip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first clip) is started, and the other clip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second clip) Initiates a decrease in clip pitch. In the first oblique stretching,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is set to P 2 increase, and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up to P 3 Decrease. Therefore, at the end of the first oblique stretch (start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 the second clip moves at the clip pitch P 3 and the first clip moves at the clip pitch P 2 . Further, the ratio of the clip pitches may correspond substantially to the ratio of the moving speeds of the clips.
도 4a 및 도 4b에서는,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증대시키기 시작하는 타이밍 및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키기 시작하는 타이밍을 모두 제1 경사 연신의 개시 시로 하고 있지만, 도시예와는 달리,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증대시키기 시작한 후에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키기 시작하여도 되고,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키기 시작한 후에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증대시키기 시작하여도 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증대시키기 시작한 후에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키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미 필름이 폭 방향으로 일정 정도(바람직하게는 1.2배~2.0배 정도) 연신되어 있는 점에서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크게 감소시켜도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다 예각인 경사 연신이 가능하게 되고, 일축성 및 면내 배향성이 높은 위상차 필름이 적합하게 얻어질 수 있다.In FIGS. 4A and 4B, the timing at which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starts to increase and the timing at which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starts to decrease are both taken as the start of the first oblique stretch, but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You may start decreasing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after you start increasing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or you may start increasing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after you start decreasing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n one preferred embodiment, after starting to increase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start decreasing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film is already stretched to a certain extent (preferably, about 1.2 to 2.0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wrinkles are unlikely to occur even if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s greatly reduced. Therefore, oblique stretching at a more acute angle becomes possible, and a retardation film having high uniaxiality and high in-plane orientation can be obtained suitably.
마찬가지로, 도 4a 및 도 4b에서는 제1 경사 연신의 종료 시(제2 경사 연신의 개시 시)까지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 및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감소가 이어져 있지만, 도시예와는 달리, 클립 피치의 증대 또는 감소 중 어느 한쪽이 다른 쪽보다도 빨리 종료되고, 다른 쪽이 종료될 때까지(제1 경사 연신의 종료 시까지) 그 클립 피치가 그대로 유지되어도 된다.Similarly, in FIGS. 4A and 4B,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is increased and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s decreased until the end of the first oblique stretch (when the second oblique stretch is started). Alternatively, either increase or decrease of the clip pitch may end earlier than the other, and the clip pitch may be maintained as it is until the other end (until the end of the first oblique stretch).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2/P1)은 바람직하게는 1.25~1.75,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1.70,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1.65이다. 또한,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3/P1)은, 예컨대 0.50 이상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50~0.95,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9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0.85이다. 클립 피치의 변화율이 이와 같은 범위내이면, 필름의 긴 방향에 대하여 대략 45도의 방향으로, 높은 일축성 및 면내 배향성으로, 지상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P 2 /P 1 ) is preferably 1.25 to 1.75, more preferably 1.30 to 1.70, still more preferably 1.35 to 1.65. Further, the change rate of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P 3 /P 1 ) is, for example, 0.50 or more 1 less than, preferably 0.50 to 0.95, more preferably 0.55 to 0.90, still more preferably 0.55 to 0.85. If 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is within this range, a slow axis can be developed with high uniaxiality and in-plane orientation in a direction of approximately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클립 피치는 상기와 같이 연신 장치의 피치 설정 레일과 기준 레일의 이간 거리를 조정하여 슬라이더를 위치 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The clip pitch can be adjusted by positioning the slider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itch setting rail of the stretching device and the reference rail as described above.
제1 경사 연신에서의 필름의 폭 방향의 연신 배율(제1 경사 연신 종료 시의 필름 폭/제1 경사 연신 전의 필름 폭)은, 바람직하게는 1.1배~3.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배~2.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배~2.0배이다. 당해 연신 배율이 1.1배 미만이면, 수축시킨 측의 단부에 함석 형상의 주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당해 연신 배율이 3.0배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이축성이 높아지게 되어, 원편광판 등에 적용한 경우에 시야각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The draw ratio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in the first oblique stretch (film width at the end of the first oblique stretch/film width before the first oblique stretch) is preferably 1.1 to 3.0 times, more preferably 1.2 to 1.2 times. 2.5 times, more preferably 1.25 times to 2.0 times. When the draw ratio is less than 1.1 times, tin-like wrinkles may be formed at the end portion on the contracted side. Moreover, when the said draw ratio exceeds 3.0 times, the biaxiality of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will become high, and when applied to a circular polarizing plate etc.,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may fall.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1 경사 연신은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과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의 곱이 바람직하게는 0.7~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8~1.45,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1.40이 되도록 행하여진다. 변화율의 곱이 이와 같은 범위 내이면, 일축성 및 면내 배향성이 높은 위상차 필름이 얻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first oblique stretching, the product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s preferably 0.7 to 1.5, more preferably 0.8 to 1.45, still more preferably 0.85. It is done so that it becomes ~1.40. When the product of change rates is within this range, a retardation film having high uniaxiality and high in-plane orientation can be obtained.
다음으로, 제2 경사 연신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 4a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경사 연신에서는,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P3에서 P2까지 증대시킨다. 한편,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는 제2 경사 연신 동안 P2인 채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2 경사 연신의 종료 시에서, 좌우의 클립은 모두 클립 피치 P2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Next, one Embodiment of 2nd diagonal stretch is concretely demonstrated, referring FIG. 4A.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s set at P 3 Increase up to P 2 . On the other hand,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remains P 2 during the second oblique stretching. maintain. Therefore, at the end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 both the left and right clips move at the clip pitch P 2 .
도 4a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제2 경사 연신에서의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2/P3)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에서 제한은 없다. 해당 변화율(P2/P3)은, 예컨대 1.3~4.0, 바람직하게는 1.5~3.0이다.The change rate (P 2 /P 3 ) of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A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The rate of change (P 2 /P 3 ) is, for example, 1.3 to 4.0, preferably 1.5 to 3.0.
제2 경사 연신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4b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경사 연신에서는,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킴과 함께,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증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에서 P4까지 감소시키고,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P3에서 P4까지 증대시킨다. 따라서, 제2 경사 연신의 종료 시에서, 좌우의 클립은 모두 클립 피치 P4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제2 경사 연신의 개시와 동시에,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감소 및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들은 상이한 타이밍으로 개시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감소 및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는 상이한 타이밍에서 종료하여도 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B.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is reduced and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s increased. Specifically,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is set at P 2 Decrease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to P 4 , and set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to P 3 . up to P4 increase Therefore, the second At the end of the oblique stretching, both the left and right clips move at the clip pitch P 4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duction of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and the increase of the pitch of the second clip are disclosed simultaneously with the start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 but these may be started at different timings. Similarly, the reduction of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and the increase of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may end at different timings.
도 4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제2 경사 연신에서의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4/P2) 및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4/P3)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에서 제한은 없다. 변화율(P4/P2)은, 예컨대 0.4 이상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0.6~0.95이다. 또한, 변화율(P4/P3)은, 예컨대 1.0 초과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1.8이다. 바람직하게는, P4는 P1 이상이다. P4<P1이면, 단부에 주름이 생기는 것, 이축성이 높아지는 것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Change rate of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B (P 4 /P 2 ) and second 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of the clip (P 4 /P 3 )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The rate of change (P 4 /P 2 ) is , for example, 0.4 It is more than 1.0 and less than 1.0, Preferably it is 0.6-0.95. In addition, the rate of change (P 4 /P 3 ) is, for example, more than 1.0 and 2.0 or less, preferably 1.2 to 1.8. Preferably, P 4 is greater than or equal to P 1 . If P 4 < P 1 , problems such as wrinkles at the end and increased biaxiality may occur.
제2 경사 연신에서의 필름의 폭 방향의 연신 배율(제2 경사 연신 종료 시의 필름 폭/제1 경사 연신 종료 시의 필름 폭)은, 바람직하게는 1.1배~3.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배~2.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배~2.0배이다. 당해 연신 배율이 1.1배 미만이면, 수축시킨 측의 단부에 함석 형상의 주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당해 연신 배율이 3.0배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이축성이 높아지게 되어, 원편광판 등에 적용한 경우에 시야각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경사 연신 및 제2 경사 연신에서의 폭 방향의 연신 배율(제2 경사 연신 종료 시의 필름 폭/제1 경사 연신 전의 필름 폭)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배~4.0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배~3.0배이다.The draw ratio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 (film width at the end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film width at the end of the first oblique stretch) is preferably 1.1 times to 3.0 times, more preferably 1.2 times. times - 2.5 times, more preferably 1.25 times - 2.0 times. When the draw ratio is less than 1.1 times, tin-like wrinkles may be formed at the end portion on the contracted side. Moreover, when the said draw ratio exceeds 3.0 times, the biaxiality of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will become high, and when applied to a circular polarizing plate etc.,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may fall. In addition, the draw ratio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oblique stretch and the second oblique stretch (film width at the end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film width before the first oblique stretch) is preferably 1.2 from the viewpoint similar to the above. times - 4.0 times, more preferably 1.4 times - 3.0 times.
경사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온도 T2에서 행하여질 수 있다. 온도 T2는,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에 대하여, Tg-20℃~Tg+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Tg-10℃~Tg+20℃, 특히 바람직하게는 Tg 정도이다. 이용하는 필름에 따라 상이하지만, 온도 T2는 예컨대 70℃~180℃이고, 바람직하게는 80℃~170℃이다. 상기 온도 T1과 온도 T2의 차(T1-T2)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T1>T2이고, 따라서 예열 존에서 온도 T1까지 가열된 필름은 온도 T2까지 냉각될 수 있다.The oblique stretching may be typical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T2. Regard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film, the temperature T2 is preferably Tg-20°C to Tg+30°C, more preferably Tg-10°C to Tg+20°C,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bout Tg. . Although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lm used, the temperature T2 is, for example, 70°C to 180°C, preferably 80°C to 170°C. The difference (T1-T2) between the temperature T1 and the temperature T2 is preferably ±2°C or more, more preferably ±5°C or more. In one embodiment, T1 > T2, so a film heated to temperature T1 in the preheat zone can be cooled to temperature T2.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 연신 후에 횡수축 처리가 행하여져도 된다. 경사 연신 후의 당해 처리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94483호의 0029~0032 단락을 참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ransverse shrinkage treatment may be performed after oblique stretching. Regarding the treatment after oblique stretching, paragraphs 0029 to 0032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4-194483 can be referred.
A-5. 열 고정 공정A-5. heat setting process
열 고정 존(D)에서는, 경사 연신된 필름을 열 처리한다. 열 고정 존(D)에서는, 통상적으로 횡연신도 종연신도 행하여지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종방향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켜, 이에 의해 응력을 완화하여도 된다.In the heat setting zone D, the obliquely stretched film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In the heat setting zone D, neither transverse stretching nor longitudinal stretching is normally performed, but the clip pitch in the machine direction may be reduced as necessary to relieve stress thereby.
열처리는 대표적으로는 온도 T3에서 행하여질 수 있다. 온도 T3은 연신되는 필름에 따라 상이하고, T2≥T3인 경우도, T2<T3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름이 비정성 재료인 경우는 T2≥T3이고, 결정성 재료인 경우는 T2<T3으로 함으로써 결정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도 있다. T2≥T3인 경우, 온도 T2와 T3의 차(T2-T3)는 바람직하게는 0℃~50℃이다. 열처리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10초~10분이다. 열 처리 시간은 열 고정 존의 길이 및/또는 필름의 반송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Heat treatment may be typical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T3. The temperature T3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lm to be stretched, and may be T2≥T3 or T2<T3. In general, when the film is an amorphous material, T2 ≥ T3, and when the film is a crystalline material, T2 < T3 may be used to perform the crystallization treatment. When T2≥T3,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s T2 and T3 (T2-T3) is preferably 0°C to 50°C. The heat treatment time is typically 10 seconds to 10 minutes. The heat treatment time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heat setting zone and/or the transport speed of the film.
A-6. 개방 공정A-6. open process
개방 존(E)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필름이 클립으로부터 개방된다. 개방 존(E)에서는, 통상적으로 열 고정 후의 필름에 대하여 횡연신도 종연신도 행하지 않고, 소망하는 온도까지 필름을 냉각하고, 이어서, 필름을 클립으로부터 개방한다. 클립으로부터 개방될 때의 필름 온도는, 예컨대 15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70℃~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30℃이다.At any position in the opening zone E, the film is opened from the clip. In the open zone E, neither transverse nor longitudinal stretching is normally performed on the film after heat setting, the film is cooled to a desired temperature, and then the film is released from the clip. The temperature of the film when released from the clip is, for example, 150°C or lower, preferably 70°C to 140°C, more preferably 80°C to 130°C.
A-7. 정속 회전 스프로킷에 의한 클립의 이동 속도의 제한 및 회전의 위상의 조정A-7. Limitation of clip movement speed and adjustment of rotation phase by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필름을 좌우의 클립으로 파지하고 나서 열 고정이 종료되기까지의 사이에,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에 정속 회전 스프로킷을 계합시킴으로써 클립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한다. 이에 의해, 경사 연신에서, 얻어지는 연신 필름의 배향각(장척 방향에 대한 각도), 예컨대 폭 방향 중앙에서의 배향각이 초기부터 소정의 기간에 걸쳐 설정값으로부터 경시적으로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속 회전 스프로킷과의 계합에 의해 클립의 이동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경사 연신에 의해 필름에 생기는 경사 방향의 힘 및 클립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레일의 사이의 유격에서 기인하는 클립의 소망하지 않는 이동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클립의 이동 속도가 설정 속도로 수정되는 결과, 얻어지는 연신 필름의 배향각의 경시적인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holding the film by the left and right clips and ending the thermal fixation, the clip is moved by engaging a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 with a link mechanism that changes the clip pitch. Limit the speed to a certain speed. Thereby, in oblique stretching, the orientation angle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a long picture) of the resulting stretched film, for example, the orientation angle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with time from the set value from the beginn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 More specifically, by precisely controlling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by engagement with a constant-speed rotating sprocket, the clip resulting from the force in the oblique direction generated on the film by oblique stretching and the clearance between the bearing supporting the clip and the rail. prevent unwanted movement of As a result of this,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is corrected to the set speed, shifting with time of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sulting stretched film can be prevented.
클립의 이동 속도의 제한은 필름을 좌우의 클립으로 파지하고 나서 열 고정이 종료되기까지의 사이에 행하여지고, 바람직하게는 예열 및 경사 연신의 사이에 행하여진다.The movement speed of the clips is limited between holding the film by the left and right clips and ending the heat fixation, preferably between preheating and oblique stretch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하고, 설정대로의 위상에 가까워지도록 당해 회전의 위상을 조정한다. 상기 클립의 이동 속도의 제한에서는,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와의 계합을 반복함으로써,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이 서서히 어긋나, 좌우의 클립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변화하는 결과, 얻어지는 연신 필름의 폭 방향에서 면내 위상차에 편차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설정대로의 위상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좌우의 클립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그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할 수 있다. 그 결과, 얻어지는 연신 필름의 배향각의 경시적인 어긋남 및 폭 방향에서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etched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is monitored, and the rotation phase is adjusted so as to approach the set phase. In the limitation of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by repeating the engagement with the link mechanism that changes the clip pitch, the rotational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gradually shifts, and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s changes, resulting in a stretched film obtained. Deviations may occur in the in-plane retardation in the width direction. In contrast, by adjusting the rotational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to be the set phase, the moving speed of the left and right clips can be limited to a predetermined speed while maintaining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itably prevent the deviation of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sulting stretched film over time and the deviation of the in-plane retardation in the width direction.
회전의 위상의 모니터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 센서나 반사광을 측정하는 광학 센서를 모니터링 장치로서 이용하여,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톱니의 통과를 검출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하여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monitoring of the rotational phase can be performed by detecting passage of teeth of a constant-speed rotating sprocket, for example, by using a displacement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displacement or an optical sensor that measures reflected light as a monitor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회전의 위상의 조정은, 모니터링 장치에서 관측되는 회전의 위상과 소망되는 회전의 위상(즉, 설정값으로서의 회전의 위상)의 어긋남에 기초하여, 당해 어긋남을 상쇄하여 설정대로의 위상에 가까워지기 위해 필요한 보정량(위상 어긋남량)을 결정하고, 정속 회전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예컨대, 스테핑 모터)의 제어부에 당해 보정량을 입력함으로써 행하여질 수 있다. 예컨대, 설정된 위상으로부터 소정량 지연된 회전의 위상이 모니터링된 경우, 회전의 위상을 당해 소정량 빠르게 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회전의 위상의 조정은, 좌우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에 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행하여질 수 있다.Adjustment of the rotation phase is based o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rotation phase observed by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desired rotation phase (ie, the rotation phase as a set value), in order to offset the discrepancy and approach the set phase. This can be done by determining a necessary correction amount (amount of phase shift) and inputting the correction amount to a controller of an electric motor (for example, a stepping motor) that rotationally drives the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 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phase delayed by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set phase is monitored, the rotation phase is controlled to increase by a predetermined amount. Further, adjustment of the rotation phase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left and right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s.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차(모니터링되는 회전의 위상(즉, 회전의 위상의 실측값)과 회전의 위상의 설정값의 차)가 -1mm~+1mm의 범위 내로 되도록 상기 회전의 위상의 조정을 행한다. 회전의 위상차가 당해 범위 내이면, 면내 위상차 및 배향각의 편차를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phase dif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nitored rotation phase (ie, the measured value of the rotation phase) and the set value of the rotation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is within the range of -1 mm to +1 mm. Adjust the phase of rotation. If the phase difference of rotation is within the said range, the in-plane phase difference and the deviation of an orientation angle can be suitably suppressed.
B. 연신 대상인 필름B. Film to be stretched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위상차 필름으로서 적용 가능한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이다. 이들 수지이면, 이른바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소망하는 특성에 따라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suitable film can be used. For example, the resin film applicable as retardation film is mentioned. Examples of materials constituting such a film include polycarbonate-based resins, polyvinyl acetal-based resins, cycloolefin-based resins, acrylic resins, cellulose ester-based resins, cellulose-based resins, polyester-based resins, polyester carbonate-based resins, and olefins. system resin, polyurethane type resin, etc. are mentioned. Preferably, they are polycarbonate type resin, cellulose ester type resin, polyester type resin, polyester carbonate type resin, and cycloolefin type resin. This is because, with these resins, a retardation film exhibiting the so-called wavelength dependence of reverse dispersion can be obtained. These resins may be used alone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desired properties.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이용된다. 예컨대,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에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n-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n-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sec-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이소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tert-부틸-6-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 외에,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이데트, 스피로글리콜, 디옥산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DEG), 트리에틸렌글리콜(TE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시클로헥산디메탄올(CHDM),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TCDDM), 비스페놀류 등의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As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any suitable polycarbonate-based resin is used. For example, a polycarbonate-based resin containing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dihydroxy compound is preferred. As a specific example of a dihydroxy compound, 9,9-bis (4-hydroxyphenyl) fluorene, 9,9-bis (4-hydroxy-3-methylphenyl) fluorene, 9,9-bis (4-hydroxyl) Roxy-3-eth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n-prop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isopropylphenyl)fluorene , 9,9-bis (4-hydroxy-3-n-butylphenyl) fluorene, 9,9-bis (4-hydroxy-3-sec-butylphenyl) fluorene, 9,9-bis (4 -Hydroxy-3-tert-but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cyclohex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phenylphenyl) Fluorene, 9,9-bis (4- (2-hydroxyethoxy) phenyl) fluorene, 9,9-bis (4- (2-hydroxyethoxy) -3-methylphenyl) fluorene, 9, 9-bis(4-(2-hydroxyethoxy)-3-isoprop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isobut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tert-but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cyclohexylphenyl) 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phen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5-dimethyl Phenyl) fluorene, 9,9-bis (4- (2-hydroxyethoxy) -3-tert-butyl-6-methylphenyl) fluorene, 9,9-bis (4- (3-hydroxy-2 , 2-dimethylpropoxy) phenyl) fluorene and the like. Polycarbonate resins, in addition to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 above dihydroxy compounds, are isosorbide, isomannide, isoidet, spiroglycol, dioxane glycol, diethylene glycol (DEG), triethylene glycol (TEG), polyethylen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dihydroxy compounds such as glycol (PEG), cyclohexanedimethanol (CHDM), tricyclodecane dimethanol (TCDDM), and bisphenols may be included.
상기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67300호 및 일본 특허 제3325560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특허문헌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Details of the above polycarbonate-based resins are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2-67300 and Japanese Patent No. 3325560. Description of the said patent document is used as a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11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230℃ 이하이다. 유리전이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내열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필름 성형 후에 치수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유리전이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필름 성형시의 성형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필름의 투명성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리전이온도는 JIS K 7121(1987)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carbonate resin is preferably 110°C or more and 250°C or less, more preferably 120°C or more and 230°C or less.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excessively low, the heat resistance tends to deteriorate,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dimensional change after forming the film.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excessively high, the molding stability at the time of forming the film may deteriorate, and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may also be impaired. 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JIS K 7121 (1987).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적어도 2종류의 알데히드 화합물 및/또는 케톤 화합물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축합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구체예 및 상세한 제조 방법은,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161994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Any appropriate polyvinyl acetal-based resin can be used as the polyvinyl acetal-based resin. Typically, polyvinyl acetal-based resin can be obtained by subjecting at least two types of aldehyde compounds and/or ketone compounds to a condensation reaction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pecific examples and detailed production methods of polyvinyl acetal-based resin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7-161994. This description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상기 연신 대상인 필름을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위상차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굴절률 특성이 nx>ny의 관계를 나타낸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위상차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λ/4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위상차 필름(λ/4판)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바람직하게는 100nm~18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nm~155nm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위상차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λ/2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위상차 필름(λ/2판)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바람직하게는 230nm~31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nm~290nm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Re(λ)는 23℃에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다. 따라서, Re(550)는 23℃에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다. Re(λ)는 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 Re(λ)=(nx-ny)×d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다.A stretched film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stretching the film to be stretched preferably has a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 of nx > ny. In one embodiment, the retardation film may preferably function as a λ/4 plate. In this embodiment, the in-plane retardation Re (550) of the retardation film (λ/4 plate) is preferably 100 nm to 180 nm, more preferably 135 nm to 155 nm. In another embodiment, the retardation film may preferably function as a λ/2 plate. In this embodiment, the in-plane retardation Re (550) of the retardation film (λ/2 plate) is preferably 230 nm to 310 nm, more preferably 250 nm to 290 n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λ) is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film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λ nm at 23°C. Therefore, Re(550) is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film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50 nm at 23°C. Re(λ) can be obtained by the formula: Re(λ)=(nx-ny)×d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d(nm). Here, 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plane refractive index is maximized (ie, the slow axis direction), and n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ie, the fast axis direction).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경사 연신 조건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소망하는 범위로 할 수 있다. 예컨대, 경사 연신에 의해 100nm~180nm의 면내 위상차 Re(550)를 갖는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543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944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2385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94484호 등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당해 개시에 기초하여 적절한 경사 연신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The in-plane retardation Re (550) of the retardation film can be set to a desired range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oblique stretching conditions. For example, a metho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Re (550) of 100 nm to 180 nm by oblique stretching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3-54338,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4-194482, and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It is disclosed in detail, such as No. 2014-238524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4-194484.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set appropriate conditions for oblique stretching based on the disclosure.
1매의 위상차 필름을 이용하여 원편광판을 제작하는 경우, 또는 1매의 위상차 필름을 이용하여 직선 편광의 방향을 90°회전시키는 경우, 이용되는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은 당해 필름의 장척 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60° 또는 120°~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8°~52° 또는 128°~142°,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7° 또는 133°~ 137°,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또는 135° 정도이다.When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manufactured using one sheet of retardation film, or when the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is rotated by 90° using one sheet of retardation film,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used is the same as the long direction of the film. , preferably 30 ° to 60 ° or 120 ° to 150 °, more preferably 38 ° to 52 ° or 128 ° to 142 °, still more preferably 43 ° to 47 ° or 133 ° to 137 °, particularly preferably It is about 45° or 135°.
또한, 2매의 위상차 필름(구체적으로는, λ/2판과 λ/4판)을 이용하여 원편광판을 제작하는 경우, 이용되는 위상차 필름(λ/2판)의 지상축 방향은 당해 필름의 장척 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60°~90°, 보다 바람직하게는 65°~85°,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정도이다. 또한, 위상차 필름(λ/4판)의 지상축 방향은 당해 필름의 장척 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0°,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정도이다.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circular polarizing plate using two retardation films (specifically, a λ/2 plate and a λ/4 plate),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λ/2 plate) used is It is preferably about 60° to 90°, more preferably 65° to 85°,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bout 75° with respect to the elongated direction. Further,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λ/4 plate) is preferably 0° to 30°, more preferably 5° to 25°,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bout 15° with respect to the long direction of the film.
위상차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이른바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그의 면내 위상차는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충족한다. Re(450)/Re(550)는,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0.95이다. Re(550)/Re(650)는,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0.97이다.The retardation film preferably exhibits so-called reverse dispersion wavelength dependence. Specifically, its in-plane retardation satisfies the relationship Re(450)<Re(550)<Re(650). Re(450)/Re(550) is preferably 0.8 or more and less than 1.0, more preferably 0.8 to 0.95. Re(550)/Re(650) is preferably 0.8 or more and less than 1.0, more preferably 0.8 to 0.97.
위상차 필름은, 그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바람직하게는 2×10-12(m2/N)~100×10-12(m2/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12(m2/N)~50×10-12(m2/N)이다.The absolute value of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film is preferably 2×10 -12 (m 2 /N) to 100×10 -12 (m 2 /N), more preferably 5×10 -12 (m 2 /N). 2 /N) to 50×10 -12 (m 2 /N).
C. 광학 적층체 및 해당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C. Optical laminat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laminates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연신 필름은, 다른 광학 필름과 첩합되어 광학 적층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 필름은, 편광판과 첩합되어 원편광판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stretched film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onded together with other optical films to be used as an optical laminate. For example,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onded to a polarizing plate and suitably used as a circular polarizing plate.
도 5는 그와 같은 원편광판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원편광판(500)은, 편광자(510)와, 편광자(510)의 편측에 배치된 제1 보호 필름(520)과, 편광자(510)의 다른 편측에 배치된 제2 보호 필름(530)과, 제2 보호 필름(530)의 외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540)을 포함한다. 위상차 필름(540)은, A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연신 필름(예컨대, λ/4판)이다. 제2 보호 필름(530)은 생략되어도 된다. 그 경우, 위상차 필름(540)이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편광자(510)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540)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3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38°~52°,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7°,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정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such a circular polarizing plate. The illustrated circular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 필름은 장척상이고, 또한 경사 방향(장척 방향에 대하여, 예컨대 45°의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다. 또한, 많은 경우, 장척상의 편광자는 장척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 필름을 이용하면, 이른바 롤투롤을 이용할 수 있고, 극히 우수한 제조 효율로 원편광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롤투롤이란, 장척상의 필름끼리를 롤 반송하면서, 그의 장척 방향을 맞추어 연속적으로 첩합하는 방법을 말한다.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ng and has a slow axis in an oblique direction (for example, at an angle of 45° to the long direction). In many cases, a long picture-like polarizer has an absorption axis in the direction of a long picture or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if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so-called roll-to-roll can be used, and a circular polarizing plate can be produced with extremely excellent production efficiency. In addition, a roll-to-roll refers to the method of continuously bonding together the elongate direction while roll-conveying the elongated films.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A항에 기재된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얻는 것, 및 장척상의 광학 필름과 해당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반송하면서, 그의 장척 방향을 맞추어 연속적으로 첩합하는 것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of this invention obtains a long stretched film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etched film of item A, and conveying the long optical film and this long stretched film, , including continuously bonding together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pictur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측정 및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y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In addition,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s in Examples are as follows.
(1) 두께(1) Thickness
다이얼게이지(피콕(PEACOCK)사 제조, 제품명 'DG-205 type pds-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It was measured using a dial gauge (manufactured by PEACOCK, product name 'DG-205 type pds-2').
(2) 위상차값(2) Phase difference value
위상차계(오지계측기기사 제조, KOBRA 시리즈)를 이용하여 파장 55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550)를 측정하였다. 인라인에서 측정하는 경우에는 인라인 위상차계를 이용하여 0.5초 간격으로 측정을 행하였다.The in-plane retardation Re(550) at a wavelength of 550 nm was measured using a retardometer (manufactured by Oji Instruments, KOBRA series). In the case of in-line measurement,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intervals of 0.5 seconds using an in-line retardation meter.
(3) 배향각(지상축의 발현 방향)(3) Orientation angl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low axis)
위상차계(오지계측기기사 제조, KOBRA 시리즈)를 이용하여 파장 550㎚에서의 배향각(θ)을 측정하였다. 인라인에서 측정하는 경우에는 인라인 위상차계를 이용하여 0.5초 간격으로 측정을 행하였다.The orientation angle (θ) wa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550 nm using a retardometer (manufactured by Oji Instruments Co., Ltd., KOBRA series). In the case of in-line measurement,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intervals of 0.5 seconds using an in-line retardation meter.
(4) 유리전이온도(Tg)(4)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JIS K 712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It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 7121.
<실시예 1><Example 1>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polyester carbonate resin film)
교반 날개 및 100℃로 제어된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종형 반응기 2기를 포함하는 배치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중합을 행하였다. 비스[9-(2-페녹시카보닐에틸)플루오렌-9-일]메탄 29.60질량부(0.046mol), ISB 29.21질량부(0.200mol), SPG 42.28질량부(0.139mol), DPC 63.77질량부(0.298mol) 및 촉매로서 초산칼슘 1수화물 1.19×10-2질량부(6.78×10-5mol)를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를 감압 질소 치환한 후, 열매로 가온을 행하고, 내부 온도가 100℃가 된 시점에서 교반을 개시하였다. 승온 개시 40분 후에 내부 온도를 220℃로 도달시키고, 이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감압을 개시하고, 220℃에 도달하고 나서 90분에서 13.3kPa로 하였다. 중합 반응과 함께 부생하는 페놀 증기를 100℃의 환류 냉각기로 인도하고, 페놀 증기 중에 약간량 포함되는 모노머 성분을 반응기로 되돌려, 응축하지 않은 페놀 증기는 45℃의 응축기로 유도하여 회수하였다. 제1 반응기에 질소를 도입하여 일단 대기압까지 복압시킨 후, 제1 반응기 내의 올리고머화된 반응액을 제2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제2 반응기 내의 승온 및 감압을 개시하여, 50분에서 내부 온도 240℃, 압력 0.2kPa로 하였다. 그 후, 소정의 교반 동력이 될 때까지 중합을 진행시켰다. 소정 동력에 도달한 시점에서 반응기에 질소를 도입하여 복압하고, 생성한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를 수중에 압출하며, 스트랜드를 커팅하여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의 Tg는 140℃이었다.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batch polymerization apparatus including two vertical reactors equipped with stirring blades and a reflux condenser controlled at 100°C. Bis [9- (2-phenoxycarbonylethyl) fluoren-9-yl] methane 29.60 parts by mass (0.046 mol), ISB 29.21 parts by mass (0.200 mol), SPG 42.28 parts by mass (0.139 mol), DPC 63.77 parts by mass part (0.298 mol) and 1.19 × 10 -2 parts by mass (6.78 × 10 -5 mol) of calcium acetate monohydrate as a catalyst. After replacing the inside of the reactor with reduced pressure nitrogen, heating was performed with a heat medium, and stirring was starte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reached 100°C. The internal temperature reached 220°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를 80℃에서 5시간 진공 건조를 한 후, 단축 압출기(도시바기계사 제조, 실린더 설정 온도: 250℃), T다이(폭 1500mm, 설정 온도: 250℃), 칠드 롤(설정 온도: 120~130℃) 및 권취기를 구비한 필름 제막 장치를 이용하여 두께 135㎛의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After vacuum drying the obtained polyester carbonate resin at 80 ° C. for 5 hours, a single screw extruder (manufactured by Toshiba Machinery Co., Ltd., cylinder set temperature: 250 ° C.), T die (width 1500 mm, set temperature: 250 ° C.), chilled roll (set Temperature: 120 to 130 ° C.) and a film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winding machine was used to prepare a res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135 μm.
(연신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stretched film)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을,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름 연신 장치, 구체적으로는 예열 존(B)의 반송 방향의 동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좌우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과, 해당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와,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보정하는 보정 장치를 구비하는 필름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장척 방향에 대하여 45° 방향으로 지상축이 발현되도록(즉, 목적으로 하는 배향각을 장척 방향에 대하여 45° 방향으로 설정하여), 경사 연신하여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The polyester carbonate resin film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s a film stretching device as shown in Figs. 1 to 3, specifically, a pair of left and right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eheating zone (B), A film stretching device having a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the rotation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and a correction device for correcting the rotation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is used, in a direction of 45° with respect to the long direction. obliquely stretched so that the slow axis is expressed (that is, the target orientation angle is set in the direction of 45° with respect to the long direction) to obtain a retardation film.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의 좌우 단부를 연신 장치의 입구에서 좌우의 클립에 의해 파지하고, 예열 존(B)에서 145℃로 예열하였다. 예열 존에서는 좌우의 클립의 클립 피치(P1)는 125mm이었다.Specifically,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olyester carbonate resin film were held at the inlet of the stretching device by the clips on the left and right, and preheated at 145°C in the preheating zone (B). In the preheating zone, the clip pitch (P 1 )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as 125 mm.
다음으로, 필름이 연신 존(C)에 들어감과 동시에, 우측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 및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의 감소를 개시하고, 우측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까지 증대시킴과 함께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를 P3까지 감소시켰다(제1 경사 연신). 이 때, 우측 클립의 클립 피치 변화율(P2/P1)은 1.42이고,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 변화율(P3/P1)은 0.78이며, 필름의 원폭에 대한 횡연신 배율은 1.45배이었다. 이어서, 우측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로 유지한 채로,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를 개시하고, P3에서 P2까지 증대시켰다(제2 경사 연신). 이 사이의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2/P3)은 1.82이고, 필름의 원폭에 대한 횡연신 배율은 1.9배이었다. 또한, 연신 존(C)은 Tg+3.2℃(143.2℃)로 설정하였다.Next, as soon as the film enters the stretching zone C, the increase in the clip pitch of the right clip and the decrease in the clip pitch of the left clip are started, and the clip pitch of the right clip is increased to P 2 . Along with the increase, the clip pitch of the left clip was reduced to P 3 (first oblique stretching) . At this time, the clip pitch change rate (P 2 /P 1 ) of the right clip is 1.42, The clip pitch change rate (P 3 /P 1 ) of the left clip was 0.78, and the transverse stretch ratio to the original width of the film was 1.45 times. Next, while maintaining the clip pitch of the right clip at P 2 , the increase in the clip pitch of the left clip was started and increased from P 3 to P 2 (second oblique stretch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of the left clip between them (P 2 /P 3 ) was 1.82, and the transverse stretch ratio to the original width of the film was 1.9 times. In addition, the drawing zone (C) was set to Tg+3.2°C (143.2°C).
이어서, 열 고정 존(D)에서, 125℃에서 60초간 필름을 유지하여 열 고정을 행하였다. 열 고정된 필름을, 개방 존(E)에서 100℃까지 냉각 후, 좌우의 클립을 개방하였다.Then, in the heat setting zone (D), the film was held at 125°C for 60 seconds to perform heat setting. After the heat-set film was cooled to 100°C in the open zone (E), the left and right clips were opened.
또한, 상기 연신 필름의 제작 개시 시점에서, 좌우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동기함과 함께, 동일한 회전 속도(클립을 설정대로의 속도로 주행시키는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좌우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각각에 관하여 모니터링 장치로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회전의 위상과 회전의 위상의 설정값과의 차를 상쇄하여 설정대로의 회전의 위상에 가까워지기 위한 신호를 구동 모터의 제어부로 출력하도록 보정 장치를 설정하였다.In addition, at the time of starting production of the stretched film, the rotational phases of the left and right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s were synchronized and set to rotate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rotational speed at which the clip travels at a set speed). In addition, a signal for monitoring the rotation phas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s with a monitoring device, and cancel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nitored rotation phase and the set value of the rotation phase to approximate the rotation phase as set. The calibration device was set to output to the controller of the drive motor.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좌우의 정속 회전 스프로킷, 모니터링 장치 및 보정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 이용한 필름 연신 장치와 동일한 필름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연신 필름을 얻었다.A stretched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same film stretching apparatus as the film stretching apparatus used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left and right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s,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correction device were not provid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한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의 조정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연신 필름을 얻었다.A stretched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hase of rotation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was not adjusted.
[배향각 및 면내 위상차의 측정][Measurement of orientation angle and in-plane phase difference]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연신 필름에 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효 폭을 특정하였다. 당해 유효 폭 내에서, 필름의 폭 방향 중앙 및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25mm 내방의 총 3개소에서, 배향각(장척 방향에 대한 각도) 및 면내 위상차(Re(550))를 인라인에서 측정하였다. 연신 필름의 제작 개시로부터 60분 후 및 24시간 후에 측정된 폭 방향 중앙의 배향각 및 면내 위상차 및 면내 위상차의 편차(3개소에서 측정된 Re(550)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를 표 1에 나타낸다.The effective width was specified for the stretched film obtained in Example 1 as described below. Within the effective width, the orientation angle (angle with respect to the elongated direction) and the in-plane retardation (Re (550)) were measured in-line at a total of three locations within 25 mm from the center and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Table 1 shows the orientation angle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eviation of the in-plane retardation and in-plane retardation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Re (550) measured at three locations) measured 60 minutes and 24 hours after the start of production of the stretched film. indicate
[유효 폭][effective width]
연신 필름의 폭 방향에서의 복수 개소에서 면내 위상차를 측정하고, 그의 평균 면내 위상차값에 대하여 ±4㎚의 면내 위상차를 나타내는 폭을 유효 폭으로 하고, 제작 개시로부터 24시간 후에 얻어진 연신 필름의 전체 폭에 대한 유효 폭의 비율(%)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The overall width of the stretched film obtained 24 hours after the start of production by measuring the in-plane retardation at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etched film, and setting the width showing the in-plane retardation of ±4 nm with respect to the average in-plane retardation value to the effective width. The ratio (%) of the effective width to was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외관 및 취급성 평가][Evaluation of appearance and handling]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연신 필름에 관하여, 외관 및 취급성을 육안에 의해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With regard to the stretched film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appearance and handleability were visually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롤 반송시의 연신 필름에 주름 및 늘어짐이 확인되지 않는다○: Wrinkles and sagging are not observed on the stretched film during roll conveyance
×: 롤 반송시의 연신 필름에 주름 및/또는 늘어짐이 확인된다×: Wrinkles and/or sagging are observed on the stretched film during roll conveyance
[표 1][Table 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상의 경사 연신 필름의 연속 생산에서, 정속 회전 스프로킷을 이용하여 클립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함과 함께, 그의 회전의 위상을 설정대로의 위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얻어지는 연신 필름의 배향각의 경시적인 어긋남 및 면내 위상차의 편차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n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 long obliquely stretched film, while limiting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to a predetermined speed using a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by maintaining the phase of its rotation at the set phase, Shift in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sulting stretched film over time and variation in in-plane retardation can be suitably prevented.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은, 위상차 필름의 제조에 적합하게 이용되고, 결과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OLE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에 기여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y use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and as a result can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s (OLEDs). there is.
10: 기준 레일
20: 피치 설정 레일
30: 클립 담지 부재
40: 클립
54: 정속 회전 스프로킷
70: 모니터링 장치
80: 보정 장치
100: 연신 장치
500: 원편광판10: reference rail
20: pitch setting rail
30: clip holding member
40: clip
54: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70: monitoring device
80: correction device
100: stretching device
500: circular polarizer
Claims (7)
상기 필름을 예열하는 것(예열 공정),
상기 좌우의 클립을 적어도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주행 이동시켜, 상기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것(경사 연신 공정),
상기 필름을 열 고정하는 것(열 고정 공정), 및
상기 필름을 상기 좌우의 클립으로부터 개방하는 것(개방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을 상기 좌우의 클립으로 파지하고 나서 열 고정이 종료되기까지의 사이에, 상기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에 정속 회전 스프로킷을 계합시킴으로써 상기 클립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하며,
상기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대로의 위상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회전의 위상을 조정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Holdi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longated film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with variable pitch type left and right clips in which the clip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nges (gripping step),
Preheating the film (preheating process),
Moving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changing the clip pitch of at least one clip to obliquely stretch the film (oblique stretching step);
heat setting the film (heat setting process), and
Including opening the film from the left and right clips (opening step),
Limiting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to a predetermined speed by engaging a constant-speed rotation sprocket with a link mechanism that changes the clip pitch between gripping the film with the left and right clips and ending the thermal fix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tretched film, wherein the rotation phase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is monitored, and the rotation phase is adjusted so as to approach the set phase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상기 예열 공정, 상기 경사 연신 공정 및 상기 열 고정 공정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공정에서, 상기 클립의 이동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제한하는,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1,
In at least one step selected from the preheating step, the oblique stretching step, and the heat setting step,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speed.
상기 정속 회전 스프로킷의 회전의 위상차를 -1mm~+1mm로 조정하는,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1,
A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the phase difference of rotation of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procket is adjusted to -1 mm to +1 mm.
상기 경사 연신이 (i) 상기 좌우의 클립 중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에서 P2까지 증대시키면서,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에서 P3까지 감소시키는 것, 및 (ii) 상기 감소된 클립 피치와 상기 증대된 클립 피치가 소정의 동일한 피치가 되도록, 각각의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oblique stretching (i) sets the clip pitch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to POneat P2increase the clip pitch of the other clip to POneat P3and (ii) changing the clip pitch of each clip so that the reduced clip pitch and the increased clip pitch become the same predetermined pitch.
P2/P1이 1.25~1.75이고, P3/P1이 0.50 이상 1 미만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4,
P 2 /P 1 is 1.25 to 1.75, and P 3 /P 1 is 0.50 or more 1 less than, a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장척상의 광학 필름과 상기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반송하면서, 그의 장척 방향을 맞추어 연속적으로 첩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Obtaining a long stretched film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includes matching the long picture direction and bonding continuously, conveying a long picture-like optical film and the said long picture-like stretched film.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판이고,
상기 연신 필름이 λ/4판 또는 λ/2판인,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6,
The optical film is a polarizing plate,
The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laminate wherein the stretched film is a λ/4 plate or a λ/2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156907 | 2021-09-27 | ||
JP2021156907A JP7079885B1 (en) | 2021-09-27 | 2021-09-27 |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4942A KR20230044942A (en) | 2023-04-04 |
KR102531094B1 true KR102531094B1 (en) | 2023-05-11 |
Family
ID=81847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7782A Active KR102531094B1 (en) | 2021-09-27 | 2022-09-19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079885B1 (en) |
KR (1) | KR102531094B1 (en) |
CN (1) | CN115871209B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37772A (en) * | 1998-07-24 | 2000-02-08 | Hitachi Ltd |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device |
JP2005262677A (en) | 2004-03-18 | 2005-09-29 | Fuji Photo Film Co Ltd | Plastic film manufacturing method |
KR101393754B1 (en) | 2006-12-28 | 2014-05-12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er, polarizer,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e polarizing plat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85658B2 (en) * | 2002-11-08 | 2007-10-03 |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 Sheet material drawing machine |
JP4845619B2 (en) | 2006-07-19 | 2011-12-28 | 東芝機械株式会社 | Sheet / film oblique stretching method and clip-type sheet / film stretching apparatus |
JP5922007B2 (en) * | 2012-11-27 | 2016-05-24 | 株式会社日本製鋼所 | Method for controlling clip chain traveling speed of stretching device |
JP5755675B2 (en) * | 2013-03-29 | 2015-07-29 | 日東電工株式会社 | Method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circularly polarizing plate |
JP5755684B2 (en) * | 2013-06-10 | 2015-07-29 | 日東電工株式会社 | Method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circularly polarizing plate |
JP6009024B2 (en) * | 2014-04-09 | 2016-10-19 | 日東電工株式会社 | Method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method for producing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film stretching apparatus |
JP2016107494A (en) * | 2014-12-05 | 2016-06-20 | 株式会社日本製鋼所 | Speed control device and method |
JP6617494B2 (en) * | 2015-09-18 | 2019-12-11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Manufacturing method of obliquely stretched film |
JP6836849B2 (en) * | 2015-09-24 | 2021-03-03 | 日東電工株式会社 |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ly anisotropic film |
JP7253413B2 (en) * | 2019-03-20 | 2023-04-06 | 日東電工株式会社 | Stretched film manufacturing method |
-
2021
- 2021-09-27 JP JP2021156907A patent/JP7079885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9-19 KR KR1020220117782A patent/KR102531094B1/en active Active
- 2022-09-27 CN CN202211183370.4A patent/CN115871209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37772A (en) * | 1998-07-24 | 2000-02-08 | Hitachi Ltd |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device |
JP2005262677A (en) | 2004-03-18 | 2005-09-29 | Fuji Photo Film Co Ltd | Plastic film manufacturing method |
KR101393754B1 (en) | 2006-12-28 | 2014-05-12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er, polarizer,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e polarizing plat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079885B1 (en) | 2022-06-02 |
CN115871209A (en) | 2023-03-31 |
JP2023047791A (en) | 2023-04-06 |
CN115871209B (en) | 2024-03-12 |
KR20230044942A (en) | 2023-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53413B2 (en) | Stretched film manufacturing method | |
WO2021192463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retardation film | |
JP7012179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 | |
KR102461852B1 (en)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 |
KR102531094B1 (en)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 |
KR102531093B1 (en)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 |
JP2022149739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tretched film | |
KR102530417B1 (en)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and device for stretching film | |
JP7142758B1 (en)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 |
JP7096940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 |
KR102555876B1 (en)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 |
JP7038240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 | |
JP7015950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 | |
JP7048814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 |
KR20220133101A (en)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9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0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