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30956B1 - 아밀로이드 베타 유래 에피토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아밀로이드 베타 유래 에피토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956B1
KR102530956B1 KR1020220114057A KR20220114057A KR102530956B1 KR 102530956 B1 KR102530956 B1 KR 102530956B1 KR 1020220114057 A KR1020220114057 A KR 1020220114057A KR 20220114057 A KR20220114057 A KR 20220114057A KR 102530956 B1 KR102530956 B1 KR 102530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yloid beta
disease
peptide
amyloid
vacci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츠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14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9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07Nervous system antigens; Pr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6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the entire peptide or protein drug conjugate elicits an immune response, e.g. conjugate vac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Vi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상기 펩타이드 및 캐리어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조성물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병 또는 치매 등과 같은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아밀로이드 베타 유래 에피토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Alzheimer's disease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epitope derived from amyloid beta as effective component and thereof}
본 발명은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 유래 에피토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은 비정상적 단백질의 응집이 신경 세포의 사멸 유도 및 신경교세포의 활성을 유발하여 뇌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퇴행성 뇌 질환이다. 이로 인해, 현대의 알츠하이머병 연구는 비정상적 단백질의 축적을 제어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특히 비정상적 축적 단백질의 단위체라 할 수 있는 아밀로이드 베타 (Amyloid beta, Aβ 또는 Abeta)가 발병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아밀로이드 베타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발견되는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의 주요 성분으로서, 36 내지 43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이고,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myloid precursor protein, APP)로부터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은 β-와 γ-세크레타아제에 의해 분해되는데, 상기 분해효소를 타겟으로 하여 아밀로이드 베타의 농도를 줄이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아밀로이드 베타의 생성 기전을 타겟으로 하는 치료물질들은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치료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비정상적 단백질의 제거를 위해, 일반적인 천연물질이 아닌 인간 B 세포에서 생산된 아밀로이드 베타에 특이적인 단클론항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부작용으로 인해 임상이 중단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정제하는 방식이 아닌, 체내의 B 세포를 이용한 체액성 면역을 이용하여 치매 단백질을 제거하는 연구가 새로이 각광받고 있으나, 아직까지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체내에 생성되는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하기 위해, 아밀로이드 베타를 투여하여 그것에 대한 항체를 생성시킨 다음, 향후 아밀로이드 베타가 생성되었을시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 체액성 면역을 기반으로 한 단백질 제거의 원리이다. 하지만 전체 서열 길이의 펩타이드를 투여하여 항체를 생성하기에는, 여러 면역 세포를 자극하여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되므로, B 세포 특이적인 단백질 서열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짧은 서열을 사용할 경우 안정적으로 B 세포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는 화학적 변형도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세 가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B 세포 특이적으로 아밀로이드 베타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신규 아밀로이드 베타 항원을 선정하였다. 후보 항원 에피토프 예측을 위해서, 1) B 세포를 인지하는 항원 서열을 찾은 뒤, 2) 안정화할 수 있는 잔기 변이(mutation) 및 독성 검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3) 치매 동물 모델에서의 생화학 및 행동학적 검증으로 항원 에피토프를 선별하였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802251호에는 '아밀로이드 베타(Aβ) 펩타이드 및 bvPLA2(bee venom phospholipase A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또는 치매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926030호에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예방 및 면역요법을 위한 펩티드 백신'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아밀로이드 베타 유래 에피토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백신의 제조를 위해 B 세포 특이적인 면역원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아밀로이드 베타 유래 항원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후보 항원 에피토프를 예측하였고, 면역원성의 증대를 위해 예측된 후보 에피토프 서열의 일부 잔기 치환 및/또는 캐리어 단백질의 결합 등의 변형을 적용한 신규한 항원을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항원의 백신으로서의 효과를 아밀로이드 베타 주입을 통해 제조한 알츠하이머성 치매 동물 모델에서 확인한 결과, 특정 잔기 치환 및 캐리어 단백질이 결합된 항원에서 기억 및 인지능의 개선 효과와 더불어 뇌 조직 내 아밀로이드 베타 수준의 현저한 감소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및 캐리어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 또는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백신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조성물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병 또는 치매 등과 같은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B 세포 특이 에피토프 예측을 위한 알고리즘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선별된 10개의 후보 아밀로이드 베타 에피토프의 GOLD 스코어를 보여준다.
도 3은 아밀로이드 베타 에피토프 D1H 및 S8R의 B 세포에 대한 도킹 및 동적 시뮬레이션(docking and dynamic simulation) 모습을 보여준다.
도 4는 B 세포에 대한 도킹 및 동적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한 아밀로이드 베타 에피토프 D1H 및 S8R의 결합친화도(binding affinity), 안정성(stability) 및 독성(toxicity)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된 알츠하이머성 치매 동물 모델 실험 개요도이다.
도 6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동물 모델에서 선발된 항원(D1H, S8R-OVA, S8R-KLH)의 기억 및 인지 기능 개선 효과를 분석한 행동실험 결과로, (A)는 Y-maze에서 측정한 자발적 교대 행동의 결과이고, (B)는 수동 회피 실험 결과이다. CTL: 정상 대조구, CTL+Aβ: 아밀로이드 베타만 주입, D1H: D1H 전처리 후 Aβ 주입, S8R-OVA: S8R-OVA 전처리 후 Aβ 주입, S8R-KLH: S8R-KLH 전처리 후 Aβ 주입, *: p< 0.05, **: p< 0.01, ***: p< 0.001.
도 7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동물 모델에서 선발된 항원(D1H, S8R-OVA, S8R-KLH) 투여시 뇌의 피질(cortex) 또는 해마(hippocampus)에서 나타나는 아밀로이드 베타 감소 효과를 확인한 웨스턴 블랏(A, B), 이의 정량화 그래프(C, D), 면역화학염색 결과(E) 및 형광 강도의 정량화 그래프(F)이다. (C)는 CTL(정상 대조구)의 발현 수준을 기준으로, (D)는 Aβ(아밀로이드 베타만 주입)의 발현 수준을 기준으로 각 실험군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CTL: 정상 대조구, Aβ: 아밀로이드 베타만 주입, WT: WT(서열번호 2) 전처리 후 Aβ 주입, D1H: D1H 전처리 후 Aβ 주입, S8R: S8R 전처리 후 Aβ 주입, S8R-OVA: S8R-OVA 전처리 후 Aβ 주입, S8R-KLH: S8R-KLH 전처리 후 Aβ 주입, ***: p< 0.001.
도 8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동물 모델에서 선발된 항원(D1H, S8R-OVA, S8R-KLH) 투여시 나타나는 비장의 IgG 수준 변화(A), 혈장 내 IL-10 및 IgG의 수준 변화(B) 및 비장의 면역화학염색 결과(C)이다. CTL: 정상 대조구, Aβ: 아밀로이드 베타만 주입, D1H: D1H 전처리 후 Aβ 주입, S8R-OVA: S8R-OVA 전처리 후 Aβ 주입, S8R-KLH: S8R-KLH 전처리 후 Aβ 주입, ***: p< 0.001.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아밀로이드 베타(서열번호 1) 유래 단편으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첫 번째부터 열 번째까지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짧은 단편(서열번호 2)에서 8번째 잔기인 세린(S)을 아르기닌(R)으로 치환한 것이다. 상기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은 B 세포 특이적 면역원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아밀로이드 베타"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발견되는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amyloid beta plaque)의 주요 성분으로서, 36 내지 43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이고,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myloid precursor protein, APP)로부터 β-와 γ-세크레타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및 캐리어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융합 단백질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단백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KLH (Keyhole Limpet Haemocyanin) 또는 OVA (ovalbumin)일 수 있다. 상기 KLH는 Uniprot no. Q10583 또는 Uniprot no. Q10584일 수 있고, 상기 OVA는 Uniprot no. P0101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캐리어 단백질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C-말단에 티올기를 가진 시스테인 등의 링커를 통해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융합 단백질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N-말단은 아세틸화(acetylation)에 의해 변형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및 캐리어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은 뇌 조직에서 아밀로이드 베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및 캐리어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조성물은 뇌 조직에서 아밀로이드 베타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또는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재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 또는 융합 단백질은 전술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은 치매, 알츠하이머병, 아밀로이드맥관병증,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Dutch)형 아밀로이드증 및 봉입체 구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면역증강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면역증강제"는 면역세포의 초기 활성화 과정에서 비특이적으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물질로, 면역원은 아니지만 숙주에게 면역계의 세포활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면역을 강화하는 제제, 분자등을 의미한다(Warren et al., 1986, Annu.Rev.Immunol,. 4:369). 본 발명의 면역증강제는 임의의 다양한 면역증강제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프로인트 면역증강제(Freund adjuvant), 알룸 화합물(alum compound), 무라밀 디펩타이드(muramyl dipeptide),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모노포스포릴 리피드 A, 또는 쿠일 A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용매, 부형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에는 생리식염수, 증류수 등이 포함되며, 상기 부형제에는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백신 제조에 사용하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경구형 또는 비경구형 제제로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경구형 제제인 주사액제로 제조하며, 진피 내, 근육 내, 복막 내, 정맥 내, 피하 내, 비강 또는 경막 외(eidural)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백신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백신 조성물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및 캐리어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세한 내용은 전술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면역학적 유효량으로 개체에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면역학적 유효량"이란 알츠하이머병 또는 치매 등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과, 부작용이나 심각한 또는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정확한 투여 농도는 투여될 특정 면역원에 따라 달라지며, 예방 접종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개체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경로, 투여 방법 등 의학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1회 내지 수회 투여가능하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면역증강제와 함께 투여할 수 있고, 상기 면역증강제는 백신 조성물과 동시에 투여되거나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B 세포 특이적 아밀로이드 베타 에피토프 선발
아밀로이드 베타의 서열 중, B 세포에 결합하여 체액성 면역을 자극하는 항원 부위를 찾기 위해, The Immune Epitope Database (IEDB)를 사용하여 서열을 예측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 서열 (DAEFRHDSGYEVHHQKLVFFAEDVGSNKGAIIGLMVGGVVIA, 서열번호 1)을 소프트웨어에 입력한 다음 IEDB에 있는 B 세포 에피토프 대표 예측 알고리즘 3가지를 이용하였다. Bepipred Linear Epitope Prediction 2.0, Bepipred Linear Epitope Prediction 및 Emini Surface Accessibility Prediction로 예측한 결과는 도 1과 같다. 상기 언급된 예측 시스템을 통해 아밀로이드 베타의 42개 서열 중, 앞 부분의 10개~15개의 서열이 B 세포에 결합할 수 있는 항원으로 추정되었다. 일차적으로 아밀로이드 베타 10개 서열(DAEFRHDSGY, 서열번호 2)을 야생형(WT)으로 선정하였다.
WT 서열을 기반으로 안정성과 독성을 검사하였다. 분자 도킹 시뮬레이션은 타겟 분자간의 결합 모드를 분석하였다. 분자는 각 원자마다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조이므로 원자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한 분자 내에서도 수많은 모습을 생성해 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러 번 반복실험을 실시하여 에너지적으로 가장 안정하거나 혹은 자주 반복되는 결합구조를 최종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단백질과 기질 혹은 단백질 간의 결합모드를 예측한다.
GOLD (Genetic optimization for ligand docking)을 통해 GOLD 스코어로 결합모드의 클러스터링 형성 정보를 얻었다. 분자 도킹 시뮬레이션으로 결합 친화력(binding affinity)과 안정성(stability)을 계산하여, 상위 10개의 아미노산 잔기 치환 변이된 펩타이드를 선별하였고, 교차 검증을 위해 Galaxypepdock 웹 서버에서 에피토프의 결합 친화력를 예측하였다. 10번의 GOLD를 시도하여, 나온 GOLD 스코어의 평균값을 WT 대비 높은 것을 선별하되 독성이 있는 것을 제외한 상위 2개 (D1H, S8R)의 펩타이드를 후보 아밀로이드 베타 에피토프로 선정하였다(도 2).
선별된 D1H, S8R의 B 세포와의 분자 도킹 및 동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WT 서열보다 B 세포와의 결합 친화력 및 안정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도 3), 펩타이드 독성검사를 통해 인체 내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2. 백신용 아밀로이드 베타 항원 합성
생체 내 아밀로이드 베타가 B 세포 수용체에 특이적이나, 생체 내로 전달하기까지의 과정이 워낙 복잡하고, B 세포 기반 체액성 면역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펩타이드 변형과정이 필요하다. 면역 체계는 전체 펩타이드-단백질 접합체에 반응하므로 일부 항체는 펩타이드, 링커 및 캐리어 단백질 모두에 대해 생성 유발된다. 이는 면역을 좀 더 촉진할 수 있는 발화점이 되므로, 본 발명의 후보 아밀로이드 베타 10개 서열의 펩타이드에 대표적인 캐리어 단백질인 KLH (keyhole limpet hemocyanin) 또는 OVA (ovalbumin)를 붙이기로 하였다. 또한, 펩타이드의 N-말단에 아세틸화(acetylation), C-말단에 아미드화(amidation)를 통해 실제 아밀로이드 베타와 더 가까운 펩타이드 항원을 제작함으로써 여러 가지 분해 효소에 대한 펩타이드의 안정성과 생체 내 생물학적 면역 활성을 증가시켰다.
백신용 항원의 제작은 WT 서열(DAEFRHDSGY, 서열번호 2)을 기반으로 음전하(negative charge)를 띠는 1번째 아미노산 D(Aspartic acid)를 양전하(positive charge)를 띠는 H(Histidine)으로 치환시킨 D1H 펩타이드(HAEFRHDSGY, 서열번호 3)의 N-말단은 아세틸화, C-말단은 아미드화시켜 D1H epitope (Ac-HAEFRHDSGY-NH2)를 제작하였다.
또한 WT 서열을 기반으로 uncharged의 8번째 아미노산 S(Serine)을 양전하를 띠는 R(Arginine)로 치환시킨 S8R 펩타이드(DAEFRHDRGY, 서열번호 4)의 N-말단을 아세틸화시키고, C-말단에는 캐리어 단백질을 붙이기 위해 티올기(thiol group)가 포함된 C(Cysteine) 아미노산을 추가하여 KLH 또는 OVA가 결합된 S8R-OVA epitope (Ac-DAEFRHDRGY-C-OVA) 및 S8R-KLH epitope (Ac-DAEFRHDRGY-C-KLH)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합성한 아밀로이드 베타 항원의 백신으로서의 효과: 기억 및 인지능 개선
합성된 아밀로이드 베타 항원을 이용하여, 생체 내 실험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 항원을 복강내(intraperitoneal, IP) 주사로 마우스당 30㎍씩 주 1회 투여하였다. 총 6주령부터 10주령까지 4회 주사하였고, 4주 후에 1x PBS에 녹인 아밀로이드 베타(Aβ) 용액 (0.2㎍/㎕)을 총 0.5㎕ 뇌실에 주입하고, 1주일의 회복 기간을 거쳐 알츠하이머성 치매 동물 모델을 확립하였다(도 5). 각 실험군 당 마우스는 8마리로 설정하였다.
기억 및 인지 기능을 측정하는 행동 실험(Y-maze 및 수동 회피 실험)을 진행하였다. Y-maze에서는 인지 기능 측정으로 자발적 교대 행동(spontaneous altneration)을 측정하였다. Y-maze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동물(CTL+Aβ, 이하 치매 쥐)은 정상군(CTL)에 비해 낮은 수준의 자발적 교대 행동을 보였으나, 아밀로이드 베타 항원 투여군에서는 자발적 교대 행동이 유의적으로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A). 특히, S8R-OVA 투여군이 가장 극적으로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 출입 횟수도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으로 보아, 공간 인지 기능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두려움을 이용하여 학습 기억력을 생성시키는 수동 회피 실험(passive avoidance test)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밝은(light) 박스와 어두운(dark) 박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쥐가 어두운 곳으로 진입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어두운 박스로 진입시에 전기 자극을 주어 어두운 박스에 들어가면 전기자극을 받는다는 기억을 심어준 후, 실험쥐가 밝은 곳에서 어두운 박스로 들어가는게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24시간 뒤 Day2에 실험을 진행한 결과, 정상군의 쥐(CTL)는 전기 자극으로 인해 어두운 박스에 들어가려고 하지 않았으나, 치매 쥐(CTL+Aβ)의 경우 지속적으로 어두운 박스에 진입하려고 하였으며, 아밀로이드 베타 항원을 투여한 치매 쥐는 정상군의 쥐처럼 밝은 박스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48시간 뒤인 Day3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여 Aβ에 의해 떨어진 전기자극 학습 기억력이 아밀로이드 베타 항원을 처리하였을 때 회복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B).
실시예 4. 합성한 아밀로이드 베타 항원의 백신으로서의 효과: 뇌 내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 억제
실시예 3의 기억 및 인지능 개선 효과가 비정상적 단백질의 응집이 감소된 것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아밀로이드 베타 관련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웨스턴 블랏 및 조직 면역화학염색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발현 수준 분석은 실험동물의 대뇌 피질(cerebral cortex)과 해마(hippocampus) 조직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APP와 Aβ의 발현이 치매 쥐에서 정상군(CTL) 대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WT 항원을 투여한 군(Aβ+N)에서 APP와 Aβ의 감소 수준 또한 치매 쥐와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A 및 7C). 또한, D1H 및 S8R 항원 투여군은 WT 항원 투여군에 비해 APP와 Aβ의 발현 수준이 대뇌 피질에서는 현저히 낮았으나, 해마 조직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7B 및 7D). 또한, S8R 항원 투여군(S8R) 보다 캐리어가 융합된 항원(S8R-OVA 및 S8R-KLH) 투여군에서 APP 및 Aβ의 감소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7B 및 7D).
본 발명의 항원 투여시 APP 및 Aβ의 발현 수준이 감소된 것으로 볼 때, 치매 쥐에서 체액성 면역 반응에 따른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제거가 일어났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특히, Aβ 유래 항원 중 S8R에 캐리어를 결합한 항원이 가장 극적으로 아밀로이드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낮추었다. APP를 가공하여 Aβ 생성을 촉진하는 프로테아제 BACE1 (beta-secretase 1)의 발현도 치매 동물 모델에서 높아져 있으나, 본 발명의 항원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볼 때, 체액성 면역 반응에 의해 아밀로이드 베타가 제거되고 이에 따라 활성이 감소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도 7).
상기 치매 백신제로 선별된 항원 투여 시, 치매 모델 동물의 비장과 혈장(plasma)에서의 IgG 수준을 확인해 항체 생성 정도를 평가하였고, 혈장 내 IL-10 (Interleukin 10) 수치로 항체 생성에 따른 염증 정도를 확인한 결과는 도 8과 같다. 선발된 항원 투여 시 비장과 혈장에서 더 많은 IgG 수치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선별된 항원이 B 세포에 결합하여 아밀로이드 베타 항체를 생성함을 알 수 있었으며, 혈장 내 IL-10 수치를 통해 항체 생성에 따른 염증 수치의 감소도 알 수 있었다.

Claims (9)

  1.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B 세포 특이적인 면역원성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3.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및 캐리어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단백질은 KLH (Keyhole Limpet Haemocyanin) 또는 OVA (ovalbu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은 아세틸화(acetylation)에 의해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6. 제1항의 펩타이드 또는 제3항의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로서,
    상기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은 치매, 알츠하이머병, 아밀로이드맥관병증,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Dutch)형 아밀로이드증 및 봉입체 구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제6항의 백신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으로서,
    상기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은 치매, 알츠하이머병, 아밀로이드맥관병증,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Dutch)형 아밀로이드증 및 봉입체 구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KR1020220114057A 2022-09-08 2022-09-08 아밀로이드 베타 유래 에피토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ctive KR102530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057A KR102530956B1 (ko) 2022-09-08 2022-09-08 아밀로이드 베타 유래 에피토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057A KR102530956B1 (ko) 2022-09-08 2022-09-08 아밀로이드 베타 유래 에피토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956B1 true KR102530956B1 (ko) 2023-05-11

Family

ID=8637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057A Active KR102530956B1 (ko) 2022-09-08 2022-09-08 아밀로이드 베타 유래 에피토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9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400A (ko) * 2006-03-30 2012-08-22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에 대한 항체
KR20130051021A (ko) * 2007-11-16 2013-05-16 더 락커펠러 유니버시티 원섬유 형태의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
US20170107252A1 (en) * 2015-09-10 2017-04-20 Aileron Therapeutics, Inc. Peptidomimetic macrocycles as modulators of mcl-1
KR20180030653A (ko) * 2015-07-16 2018-03-23 프로비오드룩 아게 항-피로글루타메이트화된 아밀로이드 베타 인간화 항체
KR20180119670A (ko) * 2016-03-15 2018-11-02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bace 억제제와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의 조합
KR20180132962A (ko) * 2013-03-15 2018-12-12 유나이티드 바이오메디칼 인크.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예방 및 면역요법을 위한 펩티드 백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400A (ko) * 2006-03-30 2012-08-22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에 대한 항체
KR20130051021A (ko) * 2007-11-16 2013-05-16 더 락커펠러 유니버시티 원섬유 형태의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
KR20180132962A (ko) * 2013-03-15 2018-12-12 유나이티드 바이오메디칼 인크.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예방 및 면역요법을 위한 펩티드 백신
KR20180030653A (ko) * 2015-07-16 2018-03-23 프로비오드룩 아게 항-피로글루타메이트화된 아밀로이드 베타 인간화 항체
US20170107252A1 (en) * 2015-09-10 2017-04-20 Aileron Therapeutics, Inc. Peptidomimetic macrocycles as modulators of mcl-1
KR20180119670A (ko) * 2016-03-15 2018-11-02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bace 억제제와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의 조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611B1 (ko) 치료 백신
ES2688118T3 (es) Mimotopos de alfa-sinucleína y vacunas de los mismos para el tratamiento de los trastornos neurodegenerativos
JP6041917B2 (ja) 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化合物
KR101831459B1 (ko) 올리고머 특이적 아밀로이드 베타 에피토프 및 항체
RU2532351C2 (ru) Применение мимеотопов альфа-синуклеиновых эпитопов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связанных с тельцами леви
EP2310033B1 (en) Peptide compounds for treating amyloidoses
US20130287807A1 (en) Compounds for treating symptoms associated with parkinson&#39;s disease
KR20080089596A (ko) 치료적 특성을 갖는 베타 1-42 특이적인 단일클론성 항체
EA010586B1 (ru) Иммуноге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циклические пептиды, полученные из бета-амилоидного пептида
CN104981479B (zh) 用免疫抑制性Tat衍生多肽治疗炎症、自身免疫和神经退行性疾病
KR102530956B1 (ko) 아밀로이드 베타 유래 에피토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04529179A (ja) 神経線維タンパク質のセグメントを使用する細胞死の予防法
EP1387698B1 (en) Method of preventing cell death using antibodies to neural thread proteins
DK2465533T3 (en)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upramolecular constructs
AU2002308327A1 (en) Method of preventing cell death using antibodies to neural thread proteins
MX2008007149A (en) Therapeutic vaccine
HK1127486B (en) Therapeutic vac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