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191B1 - Glove for golf - Google Patents
Glove for gol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0191B1 KR102530191B1 KR1020210062978A KR20210062978A KR102530191B1 KR 102530191 B1 KR102530191 B1 KR 102530191B1 KR 1020210062978 A KR1020210062978 A KR 1020210062978A KR 20210062978 A KR20210062978 A KR 20210062978A KR 102530191 B1 KR102530191 B1 KR 1025301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p
- palm
- outer non
- slip portion
- gol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갑에 논슬립부를 형성하여, 골프채 스윙 시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골프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은 손바닥면과 손등면으로 이루어지며 손이 삽입 가능한 본체부와, 손바닥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외측 논슬립부와, 손바닥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외측 논슬립부와 손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내측 논슬립부를 포함하고, 외측 논슬립부 및 내측 논슬립부는 엄지 내지 소지의 첫번째 마디 부분과, 엄지 및 소지의 끝 마디 부분과, 검지의 두번째 마디 부분과, 소지구 부분과, 손금의 감정선 위 수장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검지의 두번째 마디 부분에 형성되는 논슬립부는 검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gl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lf glove that forms a non-slip portion in the glove to prevent slipping of the hand during swing of a golf club. A golf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alm surface and a back of the hand and a main body portion into which hands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outer nonslip part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lm surface, an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lm surface. , Including a plurality of inner non-slip parts formed to overlap with the outer non-slip part and the palm surfac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outer non-slip part and the inner non-slip part of the first joint of the thumb or small hand, the tip of the thumb and small hand, and the index fi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knuckle part, the small mouth part, and the palmar part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almar part on the palm line, and the non-slip part formed at the second knuckle part of the index finger is biased to one side based on the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ex finger. to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프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갑에 논슬립부를 형성하여, 골프채 스윙 시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골프 장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gl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lf glove that forms a non-slip portion in the glove to prevent slipping of the hand during swing of a golf club.
골프는 코스에 위치한 공을 골프채로 쳐서 정해진 홀에 넣는 운동으로, 홀에 공을 넣을 때까지 공을 타격하는 횟수가 적은 사람이 이기는 룰을 가진다.Golf is an exercise in which a ball located on a course is hit with a golf club and put into a designated hole, and the person who hits the ball less often until the ball is put into the hole has a rule to win.
골프에선 골프공을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 골프채의 헤드를 올바른 궤도에 따라 스윙하는 것이 중요한데, 스윙 시 손과 골프채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사용자는 골프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게임을 진행한다.In golf, it is important to swing the golf club head along the correct trajectory to send the golf ball to the desired location and direction. To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hand and the golf club during swing, most users wear golf gloves play the game in
그런데, 종래의 골프 장갑은 골프 장갑의 외측면에 논슬립부가 마련되는 것으로, 골프 장갑과 골프채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손과 골프 장갑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골프 장갑은 장갑의 손바닥면의 전면에 논슬립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신축성 및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golf glove is provided with a non-slip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olf glove, which can prevent slippage between the golf glove and the golf club, but can prevent slippage between the hand and the golf glove. There are no problems. In addition, conventional golf glov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non-slip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alm of the glove, and the elasticity and flexibility are poor.
따라서, 손과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과 골프채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성 및 유연성이 개선된 골프 장갑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golf glove with improved elasticity and flexibility, which can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hand and the golf glove or between the golf glove and the golf club.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과 골프 장갑 사이 및 골프 장갑과 골프채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성 및 유연성이 개선된 골프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glove with improved elasticity and flexibility, which can prevent slippage occurring between a hand and a golf glove or between a golf glove and a golf club.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바닥면과 손등면으로 이루어지며 손이 삽입 가능한 본체부와, 손바닥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외측 논슬립부와, 손바닥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외측 논슬립부와 손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내측 논슬립부를 포함하고, 외측 논슬립부 및 내측 논슬립부는, 엄지 내지 소지의 첫번째 마디 부분과, 엄지 및 소지의 끝 마디 부분과, 검지의 두번째 마디 부분과, 소지구 부분과, 손금의 감정선 위 수장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검지의 두번째 마디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측 논슬립부 및 내측 논슬립부는 검지의 바닥 부위와 엄지측과 인접한 측면 부위를 감싸도록 검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골프 장갑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alm surface and a back of the hand and a main body portion into which a hand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outer non-slip part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lm surface, and an inner portion of the palm surface. It is formed on the sid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ner nonslip parts formed to overlap with the outer nonslip part and the palm surface in between, the outer nonslip part and the inner nonslip part, the first joint of the thumb or small finger, and the end joint of the thumb and small finger The outer non-slip part and the inner non-slip part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joint part of the index finger, respectively,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joint part of the index finger, the small mouth part, and the palmar part on the appraisal line of the palm. Provided is a golf glove formed biased to one side based on the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ex finger so as to cover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thumb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논슬립부의 면적은 상기 외측 논슬립부의 면적보다 1.2배 이상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may be 1.2 time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100 내지 200μm이고, 외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150 내지 300μm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may be 100 to 20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may be 150 to 300 μ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프채의 파지 시 힘의 작용지점에 논슬립부가 포인트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장갑의 신축성과 유연성을 유지하며, 논슬립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n-slip par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int at the point of action of the force when gripping the golf club, the elasticity and flexibility of the glove can be maintained, and the non-slip function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의 소지 부분을 발췌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 장갑을 착용하고 골프채를 파지한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 장갑을 착용하고 골프채를 파지한 사용자의 약지와 소지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golf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ior perspective view of a golf gl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user wearing a golf glo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nlarged thumb and index finger portion of the user wearing the golf glo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gripping the golf club.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ing finger and holding portion of a user holding a golf club while wearing the golf glov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1)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1)의 내부 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골프 장갑(1)은 손이 삽입 가능한 장갑 형태의 본체부(10), 본체부(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외측 논슬립부(20) 및 본체부(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내측 논슬립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측 논슬립부(20) 및 내측 논슬립부(30)는 본체부(10)에서 사용자의 손바닥 부위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본체부(10)는 사용자의 손바닥과 접촉되는 손바닥면(11, 도 3참조) 및 손바닥면(11)에 대응되며 사용자의 손등과 접촉되는 손등면(12, 도 3참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손바닥면(11)과 손등면(12) 사이에 손이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본체부(10)는 천연 가죽, 인조 가죽 또는 패브릭을 절단 및 재봉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미 잘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외측 논슬립부(20)는 일정한 패턴 형상으로 재단된 폴리우레탄 소재의 시트를 접착제나 핫멜트를 이용해 손바닥면(11)의 외측면에 열압착하여 부착 형성될 수 있다.The
외측 논슬립부(20)는 엄지 내지 소지의 첫번째 마디 부분과, 엄지 및 소지의 끝마디 부분과, 검지의 두번째 마디 부분과, 소지구 부분과, 손금의 감정선 위 수장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본체부(10)의 외측 논슬립부 형성 위치 중 손가락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는 외측 논슬립부(20)가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즉, 손바닥면(11)에서 엄지 내지 소지의 첫번째 마디 부분과, 엄지 및 소지의 끝 마디 부분과, 검지의 두번째 마디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각각 하나의 외측 논슬립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엄지 내지 소지의 첫번째 마디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측 논슬립부(21a 내지 21e) 및 엄지 및 소지의 끝 마디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측 논슬립부(22a, 22b)는 각각 해당 손가락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그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또한, 검지의 두번째 마디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측 논슬립부(23a)는 검지의 바닥 부위와 엄지측과 인접한 측면 부위를 감싸도록 검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본체부(10)의 외측 논슬립부 형성 위치 중 손바닥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는 외측 논슬립부(20)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손바닥면(11)에서 소지구 부분과, 손금의 감정선 위 수장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각각 복수의 외측 논슬립부(20)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소지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측 논슬립부(24a, 24b)는 두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하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손금의 감정선 위 수장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측 논슬립부(25a 내지 25c)는 세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좌우로 이격 배치되되 각각 검지, 중지 및 약지 부분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위치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측 논슬립부(20)를 형성하는 시트는 발포제 10 내지 20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80 내지 90중량%의 비율로 제조될 수 있다. 발포제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밀도가 감소하며 시트가 쉽게 박리될 수 있으며, 발포제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으로 낮아지게 되면 발포율이 낮아서 충격 흡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forming the
시트는 발포제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액을 기재상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에 점착층과 이형지층이 적층 형성될 수 있다.The sheet may be formed by applying a mixture of a foaming agent and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 on a substrate and drying it, and an adhesive layer and a release paper layer may be laminated on the bottom surface.
한편, 발포제는 마타크릴산 메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80 내지 90중량%, 이소부탄 5 내지 15중량%, 비닐리덴클로라이드 0.1 내지 5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0.1 내지 5중량%로 구성될 수 있으며, 캡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물질의 함량은 외측 논슬립부(20)의 밀도, 충격흡수성, 유연성 및 내구성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oaming agent may be composed of 80 to 90% by weight of methyl matacrylate-acrylonitrile copolymer, 5 to 15% by weight of isobutane, 0.1 to 5% by weight of vinylidene chloride, and 0.1 to 5% by weight of acrylonitrile, ,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capsules. At this time, the content of each material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all the density, shock absorption, flexibility and durability of the
내측 논슬립부(30)는 일정한 패턴 형상으로 재단된 폴리우레탄 소재의 시트를 접착제나 핫멜트를 이용해 손바닥면(11)의 내측면에 열압착하여 부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측 논슬립부(30)와 외측 논슬립부(20)는 손바닥면(11)을 사이에 두고 상호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심점이 상호 일치할 수 있다.The
내측 논슬립부(30)는 외측 논슬립부(20)와 그 형성 위치가 상호 대응되며, 그 소재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골프채의 파지 시 힘의 작용지점에 논슬립부(20, 30)가 포인트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장갑의 신축성과 유연성을 유지하며, 논슬립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지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외측 논슬립부(24a, 24b)의 중심점을 잇는 가상의 제1직선(L2)은 소지의 길이 방향 중심선(L1)과 예각으로 교차될 수 있다. 또한, 손금의 감정선 위 수장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외측 논슬립부(25a 내지 25c)의 중심점을 잇는 가상의 제2직선(L3)은 소지의 길이 방향 중심선(L1)과 수직으로 교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first straight line L2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the plurality of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오버래핑 그립, 인터로킹 그립, 베이스볼 그립 등 다양한 그립 방식에도 골프채에 서로 다른 높이와 방향으로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드레스에서 백스윙, 다운 스윙을 거쳐 임팩트 이후까지도 잡은 그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ictional force can be applied to golf clubs at different heights and directions even in various grip methods such as an overlapping grip, an interlocking grip, and a baseball grip. Accordingly, the user can stably maintain the grip from address through the backswing and downswing and even after impact.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 장갑(1)을 착용한 상태에서 소지 부분의 발췌한 단면도이다.3 is an excerpted cross-sectional view of a hold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도 2를 참조하면, 내측 논슬립부(30)의 면적은 외측 논슬립부(20)의 면적보다 1.2배 이상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측 논슬립부(30)의 마찰력은 외측 논슬립부(20)의 마찰력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외측 논슬립부(20)의 면적은 5.72 내지 8.55cm2 범위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논슬립부(30)의 면적은 6.87 내지 10.26cm2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area of the inner
내측 논슬립부(30)의 면적이 외측 논슬립부(20)의 면적과 같거나, 1.2배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본체부(10)의 외측 논슬립부(20) 비형성 영역과 골프채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더해지며, 골프 장갑(1)의 내측과 외측에 그립력 차이가 발생되어 스윙 시 골프채가 손 안에서 회전할 수 있다.When the area of the in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측 논슬립부(30)는 그 두께(T2)가 100 내지 200㎛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논슬립부(20)는 그 두께(T1)가 150 내지 300㎛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내측 논슬립부(30)의 두께(T2)가 200㎛를 초과하거나 외측 논슬립부(20)의 두께(T1)가 300㎛를 초과한 경우에 유연성 감소, 신축성 감소, 이물감 등에 의해 착용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골프채에 대한 파지 감각이 저하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T2 of the inner
내측 논슬립부(30)의 두께(T2)가 100㎛ 미만인 경우에 본체부(10)에 견고하게 부착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논슬립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외측 논슬립부(20)의 두께(T1)가 150㎛ 미만인 경우에 급속한 마모로 인해 장갑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으며, 논슬립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T2 of the inner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원형의 외측 논슬립부(20)와 내측 논슬립부(30)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형, 패턴,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외측 논슬립부(20)와 내측 논슬립부(30)의 형태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 장갑(1)을 착용하고 골프채(P)를 파지한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 장갑(1)을 착용하고 골프채(P)를 파지한 사용자의 약지와 소지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humb and index finger of a user wearing a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직선(L4)과 같이 골프채(P)를 배치한 후 손가락을 말아 골프채를 파지한다. 이때, 외측 논슬립부(20)와 내측 논슬립부(30)는 손바닥 부위의 힘의 작용지점에 형성되며, 외측 논슬립부(20)는 골프채(P)와 밀착되고, 내측 논슬립부(30)는 손바닥 부위의 피부 표면과 밀착될 수 있다.After disposing the golf club P as shown in the straight line L4 shown in FIG. 2, the user rolls his or her fingers and grips the golf club. At this time, the outer
이로 인해, 골프 장갑(1)은 사용자가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골프채를 견고하고 파지할 수 있게 하고, 부드러운 손목 힘을 통해 안정적인 스윙을 수행하도록 하여 임팩트 순간에 힘이 집중되게 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오른손잡이 골퍼가 착용하는 왼손용 골프 장갑(1)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왼손잡이 골퍼가 착용하는 오른손용 골프 장갑도 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골프 장갑
10 : 본체부
20 : 외측 논슬립부
30 : 내측 논슬립부1 : Golf Glove
10: body part
20: outer non-slip part
30: inner non-slip part
Claims (3)
상기 손바닥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외측 논슬립부와,
상기 손바닥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 논슬립부와 상기 손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내측 논슬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논슬립부 및 상기 내측 논슬립부는,
엄지 내지 소지의 첫번째 마디 부분과, 엄지 및 소지의 끝 마디 부분과, 검지의 두번째 마디 부분과, 소지구 부분과, 손금의 감정선 위 수장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검지의 두번째 마디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측 논슬립부 및 내측 논슬립부는, 검지의 바닥 부위와 엄지측과 인접한 측면 부위를 감싸도록 검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상기 소지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측 논슬립부 및 상기 손금의 감정선 위 수장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외측 논슬립부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소지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외측 논슬립부의 중심점을 잇는 가상의 제1직선은 소지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예각으로 교차되고,
상기 손금의 감정선 위 수장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외측 논슬립부의 중심점을 잇는 가상의 제2직선은 소지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수직으로 교차되며,
상기 외측 논슬립부는, 일정한 패턴 형상으로 재단된 시트를 상기 손바닥면에 열압착하여 부착 형성되고,
상기 시트는, 발포제 10 내지 20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80 내지 90중량%의 비율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A body portion composed of a palm surface and a back of the hand and into which a hand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outer non-slip part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lm surface;
It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alm surfac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ner non-slip parts overlapping the outer non-slip part and the palm surface,
The outer non-slip portion and the inner non-slip portion,
It is formed at the first joint of the thumb or small finger, the tip of the thumb and small finger, the second joint of the index finger, the small mouth, an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lm on the palm line,
The outer non-slip part and the inner non-slip part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knuckle of the index finger are biased to one side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index finger so as to surround the bottom part of the index finger and the side part adjacent to the thumb side,
An outer non-slip par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mall grip part and a plurality of outer non-slip part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ad part on the palm line appraisal line ar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the plurality of outer non-slip parts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part intersects the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ing part at an acute angle,
A second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the plurality of outer non-slip parts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lmar part on the palm line is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lm,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formed by attaching a sheet cut into a predetermined pattern to the palm surface by thermal compression,
The golf gl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et is made of 10 to 20% by weight of the foaming agent and 80 to 90%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면적은, 상기 외측 논슬립부의 면적보다 1.2배 이상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According to claim 1,
The golf gl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formed to be 1.2 time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100 내지 200μm이고,
상기 외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150 내지 3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100 to 200 μm,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non-slip portion has a thickness of 150 to 300 μm, golf gl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2978A KR102530191B1 (en) | 2021-05-14 | 2021-05-14 | Glove for gol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2978A KR102530191B1 (en) | 2021-05-14 | 2021-05-14 | Glove for gol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5141A KR20220155141A (en) | 2022-11-22 |
KR102530191B1 true KR102530191B1 (en) | 2023-05-09 |
Family
ID=8423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2978A Active KR102530191B1 (en) | 2021-05-14 | 2021-05-14 | Glove for gol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0191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3927U (en) | 2007-10-24 | 2009-04-29 | 김종범 | Golf gloves with directional turning |
KR20120102884A (en) * | 2011-03-09 | 2012-09-19 | 김복남 | Non-slip groove |
KR20130002971U (en) * | 2011-11-10 | 2013-05-21 | 김민석 | A golf glove |
KR20150003357U (en) * | 2014-03-03 | 2015-09-11 | 김영성 | Golf glove |
-
2021
- 2021-05-14 KR KR1020210062978A patent/KR102530191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5141A (en) | 2022-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98397A1 (en) | Finger Cots and Sports Sleeves | |
US5924941A (en) | Hand grip for a racquet | |
US5471682A (en) | Batting glove having a ridge for use with the upper hand | |
US10016671B2 (en) | Open palm hand covers and uses of said covers | |
US20120084900A1 (en) | Uses of sport hand covers in the sport of golf | |
US20130060183A1 (en) | Attachable grip enhancers and uses and methods of said enhancers | |
KR102530191B1 (en) | Glove for golf | |
US10828553B2 (en) | Open palm hand covers and uses of said covers | |
US7086973B2 (en) | Baseball bat | |
US20130023352A1 (en) | Hand device to aid in stable grip of a golf club | |
KR200434359Y1 (en) | Golf Gloves with Hook Band | |
JP2006265804A (en) | Shock-absorbing nonslip glove | |
US20110165954A1 (en) | Golf glove | |
US20090205104A1 (en) | Golf glove | |
US10371481B2 (en) | Tactile biofeedback reference attachment | |
KR20090007471U (en) | Two-handed golf gloves for improved grip | |
KR200215471Y1 (en) | Golf glove | |
US20110197337A1 (en) | Pivoted athletic glove | |
JP7367094B2 (en) | batting practice equipment | |
JP3127829U (en) | Golf finger sack | |
KR102243051B1 (en) | Golf finger gloves and golf sw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5590261B1 (en) | Sports gloves | |
KR20100114773A (en) | A golf glove | |
US20240023653A1 (en) | Finger Cots and Sports Sleeves | |
KR102214797B1 (en) | Grip of Golf Clu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