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9848B1 - 식물 스트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스트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848B1
KR102529848B1 KR1020190110462A KR20190110462A KR102529848B1 KR 102529848 B1 KR102529848 B1 KR 102529848B1 KR 1020190110462 A KR1020190110462 A KR 1020190110462A KR 20190110462 A KR20190110462 A KR 20190110462A KR 102529848 B1 KR102529848 B1 KR 10252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stalk
straw
hours
dr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361A (ko
Inventor
오환섭
정현영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오환섭
정현영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환섭, 정현영, 김인수 filed Critical 오환섭
Priority to KR102019011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8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8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 제조방법은, 보리에서 이삭을 털어내고 제거하여 보릿대를 만드는 단계, 상기 보릿대의 겉껍질을 24 내지 36시간 내에 제거하는 제거단계, 겉껍질이 제거된 보릿대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보릿대를 재단하는 단계 및 재단된 상기 보릿대를 살균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스트로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STRAW BY USING PLANT}
본 발명은 스트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음용 스트로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진다. 최근 환경적인 문제가 사회문제로 부각됨에 따라, 플라스틱 스트로의 사용제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그 대체재로서, 종이 스트로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종이 스트로는 종이를 이용한 지관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내부 표면에 파라핀 성분이 코팅되고, 액체의 온도나 흡습강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몇겹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여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종이 스트로를 장기간 사용시 내부표면의 일부 성분들이 인체에 직접 흡음용 되어 건강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스트로를 생산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재료인 보리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균일한 색상의 스트로를 제조할 수 있는 스트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 제조방법은, 보리에서 이삭을 털어내고 제거하여 보릿대를 만드는 단계, 상기 보릿대의 겉껍질을 24 내지 36시간 내에 제거하는 제거단계, 겉껍질이 제거된 보릿대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보릿대를 재단하는 단계 및 재단된 상기 보릿대를 살균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릿대를 재단하는 단계 전에, 상기 건조된 상기 보릿대에 화학약품 처리를 통해 색상을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릿대를 살균처리 하기 전에, 재단된 상기 보릿대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보릿대를 4 ~ 10시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 전에, 상기 보릿대를 삶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처리 하는 단계는, 제1 챔버에 상기 보릿대를 길이 방향으로 적재하는 단계, 상기 보릿대 중앙 부근에 위치하여 상기 보릿대의 양단이 구획된 공간에 위치시키는 중간벽을 가지는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에 연결하여 밀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가 연결된 공간에 오존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 제조방법은, 천연 재료인 보리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균일한 색상의 스트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제조된 보리 스트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보리에서 이삭을 털어내고 제거하여 보릿대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보리는 국내에 널리 재배되는 곡류로서, 약 90일간의 생육기간을 갖는 곡류이다. 특히, 보리는 밭이나 논에 심어 기르는 두해살이 곡식으로 보통 10월 중순 정도에 씨앗을 뿌려 이듬해 4 ~ 5월에 꽃이 피고 6월에 수확을 하게 된다. 보릿대는 수확이후 이삭을 털어내고 잘라 만들어진다.
이후, 보릿대의 겉껍질을 24 내지 36시간 내에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할수 있다. 수확 직후의 보릿대는 매우 연하기 때문에 겉껍질의 제거가 다소 용이한 면이 있으나, 겉껍질이 제거되면서 겉껍질에 쌓인 표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에 겉껍질을 제거한다. 예를 들면, 수확후 24시간이 지나고 36시간이 지나기 이전에 겉껍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4시간 이전에는 표면 손상율이 25%를 넘어서는 경향을 보이며, 36시간이 지나면 보릿대의 함수율이 급격히 떨어져 겉껍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시험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험예 1]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표면 손상율 8% 25% 15% 17%
겉껍질 제거율 75% 100% 85% 65%
함수율 5% 15% 8% 2%
비교예1은 수확후 바로 겉껍질을 제거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비교예2는 수확후 20 ~ 24 미만을 나타낸다. 비교예 3은 수확후 36시간 ~ 40시간을 나타낸다. 보릿대 100개씩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함수율은 수확후 시간동안의 평균을 함수율을 나타낸다.
먼저, 비교예1 에서 볼 수 있듯이, 표면 손상율은 25%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겉껍질 제거율은 100%였다. 함수율을 측정한 결과 약 15%로 나타났다. 즉, 함수율이 높이 겉껍질 제거가 매우 잘되나, 표면 역시 매우 연한상태로 손상이 가해져 스트로로 상품성은 급격히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비교예2의 경우, 함수율이 8%로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표면 손상율은 비교예1에 비해 크게 줄어 약 15%로 나타나며 겉껍질 제거율은 약 85%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동안 함수율은 평균적으로 5%를 나타내었으며, 이로 인해 표면 손상율은 약 10% 미만으로 떨어졌으며, 겉껍질 제거율은 80%로 나타났다. 비교예 3에서는 평균 함수율이 2% 미만으로 완전건조되었으며, 겉껍질 제거율이 65% 정도로 급격하게 낮아지고, 표면 손상율은 오히려 17%로 나타났다. 이는 겉껍질이 오히려 건조상태에서 제거됨으로써 표면에 손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보리 수확후 보릿대를 만든 뒤, 보릿대 겉껍질을 제거하기 까지의 시간이 보리 스트로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스트로의 경우 표면에 손상이 있는 경우 내부 공간의 압력이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에 스트로로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릿대로 만든 뒤, 겉껍질을 제거를 시작하고 끝내는 시간이 매우 중요하다.
겉껍질이 제거된 보릿대를 삶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삶는 단계를 통해 껍질이 제거된 보릿대의 함수율을 높이고, 보릿대 표면 및 내부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겉껍질이 제거된 보릿대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겉껍질이 제거된 보릿대는 건조를 통해 보릿대 표면의 색상이 결정될 수 있다. 잘 건조된 보릿대의 표면은 자연적인 금빛을 띄며 자체 광택을 나타내어 매우 심미적으로 뛰어나다. 다른 예로, 건조가 과하거나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메마르고 오래된 듯한 느낌이 나게 되어 건조 시간과 건조 방법이 중요하다.
자외선 건조를 이용하게 되며, 건조 시간은 4시간에서 10시간이 바람직하다. 연속적인 건조가 이뤄져야 하므로 일조시간이 비교적 짧은 국내에서는 햇볕건조보다는 자외선 건조가 적당하다.
[실험예 2]
구분 실험예 비교예1 비교예2
건조시간 4~10시간 ~ 4시간 10시간 초과
색상 금빛 연노랑 짙은 금빛
광택 중간 없음 or 하
갈라짐 없음 없음 있음
비교에 1과 같이 건조를 4시간 이하로 할 경우, 색상이 금빛이라기 보다는 연노란색에 가깝게 나타났다. 또한 광택 부분에 있어서도 차이가 컸다. 비교예 2와 같이 10시간을 초과할 경우, 색상의 경우 짙은 금빛이 나타났으며, 15시간을 넘어가자 잿빛이 일부분에서 발생되었다. 또한, 광택이 10시간을 초과하면서 급격하게 없어지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갈라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실시예와 같이 4 시간 에서 10시간 사이의 건조가 적당하다. 다음으로, 건조된 상기 보릿대를 재단하는 단계와 재단된 상기 보릿대를 살균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릿대의 경우, 윗대는 가늘고 길며 부드럽고, 반면에 중간대의 경우 굵고 짧으며 단단하다. 따라서 스트로의 용도에 따라 윗대 또는 중간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릿대를 사용용도 또는 길이에 따라 재단한 뒤, 살균처리를 하게 된다. 살균처리는 표면과 내면을 할 수 있다. 보리 스트로의 살균처리는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을 하게 된다. 오존은 상온에서 무색의 기체이나 15%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푸른색을 띠며 살균성능이 뛰어나고 반감기가 30분 정도로 매우 짧아 보리 스트로의 살균에 매우 적합한다. 다른 예로,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훈증 멸균을 할 수 있다. 멸균은 미생물의 영양세포 뿐 아니라 포자를 사멸시키는 것으로, 영양세포만을 사멸시키는 살균보다 위생적이다.
살균 처리하는 단계는, 제1 챔버에 상기 보릿대를 길이 방향으로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보릿대 중앙 부근에 위치하여 상기 보릿대의 양단이 구획된 공간에 위치시키는 중간벽을 가지는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에 연결하여 밀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밀폐된 공간에서 보릿대를 살균하게 되는데, 제1 챔버와 제2 챔버의 연결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가 연결된 공간에 오존을 주입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존은 밀폐된 공간에서 농도가 15% 이상이 되도록 주입하게 된다.
주입된 오존이 보릿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도록 보릿대 중간 쯤에 중간벽을 설치하여 주입된 오존이 보릿대 내부를 통해 흐르도록 유도한다. 예를 들면, 제1 챔버로 오존을 주입하고, 주입된 오존은 제2 챔버로 배출 될 수 있다. 이때 중간벽에 의해 주입된 오존은 제1 챔버 부근에 위치한 보릿대의 표면에 머물다 지속적인 주입으로 압력이 높아지면서 보릿대 내부를 거쳐 중간벽의 반대편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챔버에 오존이 다시 채워지게 되면서 압력이 높아지면서 제2 챔버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보릿대의 표면과 내부를 살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6)

  1. 보리에서 이삭을 털어내고 제거하여 보릿대를 만드는 단계;
    상기 보릿대의 겉껍질을 24 내지 36시간 내에 제거하는 제거단계;
    겉껍질이 제거된 보릿대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보릿대를 재단하는 단계; 및
    재단된 상기 보릿대를 살균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릿대를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보릿대를 4 ~ 10시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보릿대를 재단하는 단계는,
    보릿대의 윗대 또는 중간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릿대를 살균처리하는 단계는,
    오존이나 훈증 멸균을 이용하는 스트로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릿대를 건조하는 단계 전에,
    상기 보릿대를 삶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트로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90110462A 2019-09-06 2019-09-06 식물 스트로 제조방법 Active KR10252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62A KR102529848B1 (ko) 2019-09-06 2019-09-06 식물 스트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62A KR102529848B1 (ko) 2019-09-06 2019-09-06 식물 스트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361A KR20210029361A (ko) 2021-03-16
KR102529848B1 true KR102529848B1 (ko) 2023-05-15

Family

ID=7522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462A Active KR102529848B1 (ko) 2019-09-06 2019-09-06 식물 스트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8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1054U (ja) * 2019-01-24 2019-04-25 正治 長尾 植物茎ストロ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361A (ko)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cobi et al. Quality of ‘Kensington’mango (Mangifera indica Linn.) following hot water and vapour-heat treatments
AR092235A2 (es) Tratamiento de semillas con combinaciones de insecticidas
KR100970227B1 (ko) 발아 오분도미 제조방법
Chakraborty et al. A review on post-harvest profile of sweet potato
JPWO2018061870A1 (ja) 植物体、植物体の製造方法、抵抗性付与方法、トマト、及びトマトの製造方法
KR102529848B1 (ko) 식물 스트로 제조방법
CN107692135A (zh) 一种桑叶菜的制作方法
CN110089322A (zh) 一种猕猴桃溃疡病的有效治疗方法
CN101285028B (zh) 金桔白兰地酒的加工方法
KR101702843B1 (ko) 자실체 배면부에 절단면을 가지는 영지버섯의 열풍건조방법
FICIOR et al. Importance of substrat dizinfection on Oyster mushroom (Pleurotus sp.) culture
KR101098160B1 (ko) 연근 가공 방법
CA3122052A1 (en) Method for increasing shelf life of fruit
KR101289730B1 (ko) 유용성 미생물로 발효된 쌀뜨물발효액을 이용한 곶감과 그 제조방법
Schirra et al. Influence of postharvest hot-dip fungicide treatments on Redblush grapefruit quality during long-term storage/Efecto de los tratamientos fungicidas postcosecha por inmersión en agua caliente sobre la calidad del pomelo Redblush durante el almacenamiento en frío
KR101690031B1 (ko) 황칠나무 발효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황칠나무 발효차
CN106031349B (zh) 一套评测杀菌剂对枝干表层腐烂病菌铲除效果的方法
KR100624544B1 (ko)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46488B1 (ko) 고로쇠 수액을 이용하여 풍미를 개선한 된장의 제조방법
Hawthorne et al. Possibility for fungicidal control of kiwifruit fungal storage rots
KR20070063970A (ko) 탁주의 제조방법
CN113633690A (zh) 川青皮及其制备方法
KR101677468B1 (ko) 세척감자 녹화 및 부패 방지를 위한 통합 세척 및 포장 방법
JP4088673B2 (ja) 藺草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02074B1 (ko) 재배수율과 관능특성이 향상된 숙주나물의 생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