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9101B1 -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101B1
KR102529101B1 KR1020200119296A KR20200119296A KR102529101B1 KR 102529101 B1 KR102529101 B1 KR 102529101B1 KR 1020200119296 A KR1020200119296 A KR 1020200119296A KR 20200119296 A KR20200119296 A KR 20200119296A KR 102529101 B1 KR102529101 B1 KR 102529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owder
weight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738A (ko
Inventor
김민정
양재호
서은주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1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1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 고형상의 젤리(jelly)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면서도 제형 안정도를 높여 타정 시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제품의 심미적인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킨 분체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반 고형상의 젤리(jelly)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부드럽고 말랑한 사용감과 밀착력을 제공하나, 특히 반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배합된 원료들의 분산성 및 성형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오일을 포함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오일이 고함량으로 포함되기 때문에 제형 안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낮은 제형 안정도로 인해 요철이 많은 사출팬을 사용해야 하는 제한점과 팔레트 제품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젤리 제형 화장료 조성물에 심미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형 안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47077호
본 발명은 반 고형상의 젤리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높임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일부 및 분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체부는 파우더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더바인더는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및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파우더바인더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8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우더바인더는, 상기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및 상기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의 중량비를 1:1 내지 2:1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오일부는 20 내지 40 중량% 포함되고, 상기 분체부는 30 내지 7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오일부 및 상기 분체부에 겔링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겔링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입체 타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젤리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심미적인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형 안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입체 타정성을 확인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기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오일부 및 분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체부는 파우더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더바인더는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Magnesium Myristate) 및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파우더부에 파우더바인더를 포함시킴으로써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파우더바인더는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및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및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를 혼합 사용함으로서 외관 성형성을 높이고 제형의 안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우더바인더는 상기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및 상기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파우더바인더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8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4 내지 7 중량%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안정도에 문제가 있고, 8 중량% 초과로 사용할 경우 발림성 및 사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파우더바인더에는 상기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및 상기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의 중량비를 1:1 내지 2:1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과량 투입할 경우 사용감 및 페이오프(pay-off)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를 동일하게, 혹은 더 다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함량이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에 비해 2배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페이오프 양이 현저히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분체부에 포함되는 파우더(powder)는 광택감, 펄감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분체를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칼슘소듐보로실리케이트(Calcium Sodium Borosilicate), 칼슘알루미늄보로실리케이트(Calcium Aluminum Borosilicate), 티타늄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 틴옥사이드(Tin Oxide), 탤크(Talc), 마이카(Mica), 유리(Glass), 실리카(Silica),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Polypropylsilsesquioxane),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나일론-12(Nylon-12),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Synthetic Fluorphlogopi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기타 색소가 혼합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및 분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에는 오일, 유상 점증제, 유화제, 및 분산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터 오일, 실리콘 오일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오일부를 20 내지 40 중량% 포함하고, 상기 분체부를 30 내지 7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반 고형상 젤리 제형은 오일 함량이 25 중량% 이상이나, 본 발명은 파우더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오일 함량이 더 적은 경우에도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부에 겔링제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겔링제는 조성물을 겔(gel)화 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로, 겔링제를 추가함으로써 젤리제형의 말랑하고 푹신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겔링제로는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Stearalkonium Hectorite)가 사용될 수 있다.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는 젤리제형에서의 안정도 및 탄성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가되는 겔링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제형이 묽어 성형이 어려울 수 있으며, 3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조성물 내 분체의 분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입체 타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가 향상됨으로써, 알루미늄 팬 타정이 가능하고 따라서 팔레트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품 타정 시 제형 안정도가 높으므로 입체 타정 또한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함으로써 심미적인 효과가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함량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실시예 1, 비교예 1 및 2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비교예 1은 파우더바인더로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만을 사용한 것이고, 비교예 2는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만을 사용한 것이며, 그 외의 조성 및 제조 방법은 실시예와 동일하다.
하기 표 1의 각 성분 및 함량(중량%)에 따라 계량한 후, 파우더 및 파우더 바인더를 포함하는 분체부에 색소를 혼합하여 분산시킨다. 이후, 오일부, 겔링제 및 방부 성분을 상기 분체부에 분산시킨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을 알루미늄 팬에 타정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098468494-pat00001
2.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특성 확인
(1) 제형 안정도 측정
상기 표 1에 표기된 조성으로 제조한 메이크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형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제형 안정도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최종 조성물을 입체 타정 후 50cm에서 5회 낙하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a)를 참조하면,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모두 포함하여 제조한 실시예 1의 경우 제형 안정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도 1(b)) 및 비교예 2(도 1(c))의 경우 깨짐 현상이 나타나므로 제형 안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2) 입체 타정성 확인
상기 표 1에 표기된 조성으로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메이크업 조성물을 이용하여 입체 타정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a)를 참조하면,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모두 포함하여 제조한 실시예 1의 경우 표면 입체 타정성이 좋아 표면 뜯김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도 2(b)) 및 비교예 2(도 2(c))의 경우 입체 타정 시 표면 뜯김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오일부 및 분체부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체부는 파우더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더바인더는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및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를 3:2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오일부는 오일, 유상 점증제, 유화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오일부는 20 내지 40 중량%, 상기 분체부는 30 내지 70 중량% 포함되고, 상기 파우더바인더는 1 내지 8 중량% 포함되며,
    상기 조성물은 젤리 제형의 반 고형상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겔링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겔링제는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Stearalkonium Hectorite)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겔링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 포함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KR1020200119296A 2020-09-16 2020-09-16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52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96A KR102529101B1 (ko) 2020-09-16 2020-09-16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96A KR102529101B1 (ko) 2020-09-16 2020-09-16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38A KR20220036738A (ko) 2022-03-23
KR102529101B1 true KR102529101B1 (ko) 2023-05-08

Family

ID=8096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96A Active KR102529101B1 (ko) 2020-09-16 2020-09-16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5940B1 (ko) * 2024-07-08 2025-02-12 한국콜마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한 반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870B1 (ko) * 2000-10-27 2003-11-15 애경산업(주) 비수 및 비계면활성제형 오일-분체 분산계 및 그 안정화방법
KR20160002515A (ko) * 2014-06-30 2016-01-08 한국콜마주식회사 파우더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7424B1 (ko) * 2018-12-20 2020-11-11 코스맥스 주식회사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KR102047077B1 (ko) 2019-02-19 2019-11-20 주식회사 신세계인터코스코리아 파우더형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38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0291683B1 (en) Water-in-oil-type cosmetic
KR101981794B1 (ko) 메이크 업이나 케어를 위한 화장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KR20150099002A (ko)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JP6026237B2 (ja) 固形粉末化粧料
JP6022282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102529101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9520A (ko)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62426B1 (ko) 발색력 및 글리터 효과가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용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4635A (ko) 가교 고분자를 이용한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4913A (ko)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63839B1 (ko)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417A (ko) 실리콘 겔 엘라스토머 함량이 높은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JP4484649B2 (ja) 固型粉末メーキャップ化粧料の製造方法
KR100983217B1 (ko)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JP6190153B2 (ja) 固形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H06263618A (ja) オイルゲル化粧料
JP3533860B2 (ja) 化粧料
KR101336120B1 (ko) 립 메이크업 조성물
JP2019131482A (ja) 粉体化粧料
KR101445099B1 (ko)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30356B1 (ko) 고온 안정도가 높은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1036A (ko) 실리콘 겔 및 에스터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571098B2 (ja) 油性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3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6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