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8060B1 -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 Google Patents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060B1
KR102528060B1 KR1020210078307A KR20210078307A KR102528060B1 KR 102528060 B1 KR102528060 B1 KR 102528060B1 KR 1020210078307 A KR1020210078307 A KR 1020210078307A KR 20210078307 A KR20210078307 A KR 20210078307A KR 102528060 B1 KR102528060 B1 KR 10252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teel track
rubber pad
pad body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501A (ko
Inventor
남윤태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8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060B1/ko
Priority to US17/837,332 priority patent/US20220402566A1/en
Priority to EP22179095.9A priority patent/EP4105110A1/en
Publication of KR20220168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0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 B62D55/275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with street plate, i.e. means to prevent tread from cutting into roa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means to exclude or remove foreign matter, e.g. sealing means, self-cleaning track links or sprockets, deflector plate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 B62D55/28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트랙용 러버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링크의 연결로 이루어지고 스프로켓과 맞물려 장비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부싱을 구비한, 스틸트랙에 결합되는 러버패드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무 재질의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의 외면에서 인접한 상기 패드 몸체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부싱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부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몸체에는 상기 부싱커버가 내측으로 수용되는 이물질 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틸트랙용 러버패드{RUBBER PAD FOR STEEL TRACK}
본 발명은 스틸트랙용 러버패드에 관한 것이다.
트랙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여러 종류의 주행장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탱크와 같은 군사용 장비를 비롯하여 불도저,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 그리고 스노우모빌 및 멀티 터레인 로더(Multi Terrain Loader) 등과 같은 장치가 다양한 형태의 트랙을 이용하여 주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트랙 주행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트랙을 이용하는데, 예를 들면 중장비의 경우에는 금속재의 스틸트랙을 사용하고, 경장비인 경우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로 만들어지는 러버트랙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스틸트랙의 무한궤도에 러버패드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러버패드는 러버트랙의 장점인 주행진동, 승차감, 소음 개선을 가지고 있으며, 작업 및 주행 시 포장도로 등 노면의 훼손을 방지하고, 스틸트랙이 진입할 수 없는 포장도로 등 작업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하지만, 스틸트랙에 사용되는 러버패드의 경우 패드 몸체, 부싱, 링크 등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유입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스프로켓(sprocket) 구동 시 간섭되기 때문에, 발생한 동력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링크에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체결하는 체결홀에 이물질이 고착되어 유지보수 시에 볼트의 분해, 조립이 어렵고, 철심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엣지-컷(Edge-cut)에 의해 트레드 고무가 조기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엣지-컷은 불규칙한 지면 또는 장애물에 의한 하중 발생 시 폭방향 양단부의 고무가 파손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와 같이 주행 중에 퇴적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 스프로켓, 부싱 등의 구동부품이 조기에 마모되고 패드 몸체 또한 조기에 마모 및 파손이 발생하며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0350호(2008.05.08)
본 발명은 스틸트랙의 구동부 주변에 유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틸트랙의 주행 시 볼트 체결홀에 고착된 이물질의 분리 및 배토성을 향상시켜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엣지-컷을 방지하는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배토,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틸트랙용 러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틸트랙용 러버패드는 복수의 링크의 연결로 이루어지고 스프로켓과 맞물려 장비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부싱을 구비한, 스틸트랙에 결합되는 러버패드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무 재질의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의 외면에 상기 스틸트랙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 측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질 배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배출홈의 바닥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홈의 양측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러버패드에는 상기 링크에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양측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이물질 배출홈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체결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패드 몸체의 외면에서 인접한 상기 패드 몸체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부싱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부싱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커버는 상기 이물질 배출홈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 배출홈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부싱커버가 상기 이물질 배출홈의 내측에 수용될 때, 상기 부싱커버와 이물질 배출홈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은 상기 패드 몸체의 길이, 폭, 높이 방향에 대하여 3~10mm 일 수 있다.
상기 부싱커버는 상기 패드 몸체에서 상기 스틸트랙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전단 또는 후단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커버는 상기 패드 몸체에서 외측을 향하여 하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틸트랙용 러버패드는 복수의 링크의 연결로 이루어지고 스프로켓과 맞물려 장비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부싱을 구비한, 스틸트랙에 결합되는 러버패드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무 재질의 패드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 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링크에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홀에 고착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계단부가 적어도 1단 이상의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의 내측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홀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의 내측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홀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의 내측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상단과 상기 체결홀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체결부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체결홀의 상단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틸트랙용 러버패드는 복수의 링크의 연결로 이루어지고 스프로켓과 맞물려 장비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부싱을 구비한, 스틸트랙에 결합되는 러버패드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무 재질의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의 내부에 좌우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철심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몸체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스틸트랙의 주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패드 단부면; 및 상기 패드 단부면의 전후 끝단에서 중앙부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패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심의 양측 단부는, 상기 패드 단부면과 제1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철심 단부면; 및 상기 패드 경사면과 제2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철심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 및 제2 간격은, 상기 패드 몸체의 주행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패드 단부면과 철심 단부면 사이의 간격에 대하여 0.5~1.5배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틸트랙의 구동부 주변에 유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틸트랙의 주행 시 볼트 체결홀에 고착된 이물질의 분리 및 배토성을 향상시켜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엣지-컷을 방지하는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배토,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러버패드가 스틸트랙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버패드가 스틸트랙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러버패드가 스틸트랙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러버패드의 체결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러버패드의 체결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체결홀을 종래의 체결홀과 비교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러버패드의 체결홀을 구성하는 체결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패드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러버패드의 외력에 의한 변형률을 종래와 비교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틸트랙의 러버패드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러버패드가 스틸트랙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틸트랙용 러버패드는 복수의 링크(4)의 연결로 이루어지고 스프로켓(1)과 맞물려 장비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부싱(10)을 구비한, 스틸트랙에 결합되는 러버패드에 있어서, 상기 링크(4)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무 재질의 패드 몸체(22), 및 상기 패드 몸체(22)의 외면에 상기 스틸트랙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 측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질 배출홈(2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틸트랙은 스프로켓(1)의 회전력에 의해 힘을 전달받아 구동하게 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구동부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스프로켓(1)은 링크(4)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싱(10)과 맞물리도록 결합되므로, 이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고 스틸트랙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주행하게 된다. 기존의 스틸트랙에는 스틸슈가 결합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 재질의 러버패드(20)가 이를 대체하여 링크(4)에 직접 결합되며, 이를 체인-온(Chain-on) 타입이라고 한다. 러버패드(20)가 체인-온 타입으로 결합되면 주행 및 작업 시 노면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스틸트랙에서 원주가 형성되는 부분, 즉 스틸트랙의 전단부에는 아이들러(2)가 설치되고 후단부에는 스프로켓(1)이 설치되어 스틸트랙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러버패드(20) 부분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부싱(10)은 링크(4)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하는 핀(6)이 내측에 삽입되어 상술한 스프로켓(1)의 톱니와 맞물리는 부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패드 몸체(22)의 외면에는 이물질 배출홈(26)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이물질 배출홈(26)은 본 도면에서 스틸트랙의 전진 방향 측에 요입되게 형성되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물질 배출홈(26)은 스틸트랙의 후진 방향 측에 요입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스틸트랙의 주행 시 패드 몸체(22), 링크(4) 및 부싱(10)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고 유입된 이물질이 스프로켓(1) 구동 시 간섭됨으로써, 동력이 손실되고 동력계통에 과부하가 걸리며 부싱(10), 스프로켓(1) 등의 구동부품이 조기에 마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입된 이물질로 인하여 패드 몸체(22)가 조기에 파손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패드 몸체(22)의 외면에 이물질 배출홈(26)을 형성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프로켓(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링크(4) 및 러버패드(20)가 스틸트랙의 전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주행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이물질 배출홈(26)은 스틸트랙의 전진 방향 측으로 개구된다. 따라서, 패드 몸체(22), 링크(4) 및 부싱(10)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더라도 주행 과정에서 개구된 전방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전진 주행 중 지면에 접촉한 패드 몸체(22)가 지면에서 떨어지면서 스프로켓(1)을 따라 회전되는 시점부터 이물질 배출홈(26)의 전방은 인접한 패드 몸체(22)에 가려지지 않고 개구된다. 따라서, 이물질 배출홈(26)의 개구된 전방을 통해 쌓여 있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 배출홈(26)이 패드 몸체(22)에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패드 몸체(22) 사이에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물질 배출홈(26)을 통하여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물질 배출홈(26)의 바닥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물질 배출홈(26)의 양측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배출홈(26)이 이와 같이 형성되면 이물질이 경사진 바닥면 및 폭이 좁아지는 양측면을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버패드가 스틸트랙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러버패드가 스틸트랙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부싱(10)은 스틸트랙이 바닥면과 접촉하는 부분을 지날 때에는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부분(아이들러(2) 설치 부분)을 지날 때에는 러버패드(20)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외부로 노출되고 흙이나 돌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러버패드(20)를 구성하였다.
러버패드(20)의 패드 몸체(22)의 외면에는 인접한 패드 몸체(22)를 향하여 소정의 두께 및 폭으로 연장되는 부싱커버(24)가 구비된다. 부싱커버(24)는 패드 몸체(22)의 전단 또는 후단(스틸트랙의 진행방향에 대하여)에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부싱커버(24)는 인접한 패드 몸체(22)에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홈(26)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부싱커버(24)가 구비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부싱(10)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해 부싱(10)이 충격을 받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부싱(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싱(10)으로 유입된 이물질로 인한 마찰 마모,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 고착에 의한 스프로켓(1)과 부싱(10)의 미스매칭(Mis-matching) 및 스틸트랙 탈륜을 방지할 수 있다.
부싱커버(24)는 패드 몸체(22)의 좌우 폭방향의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폭은 부싱(10)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싱커버(24)는 인접한 이물질 배출홈(26)으로 쉽게 수용될 수 있도록 상면이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싱커버(24)가 이물질 배출홈(26)의 내측에 수용될 때 부싱커버(24)와 이물질 배출홈(26)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부싱커버(24)는 항상 이물질 배출홈(26)의 내측에 수용되는 것이 아니고 도 4에서와 같이 지면과 접촉하는 구간에서는 수용되었다가 아이들러(2)를 따라 회전될 때에는 이물질 배출홈(26)의 내측에 수용되지 않고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이물질 배출홈(26)에 쌓인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부싱커버(24)는 주행 구간에 걸쳐 선택적으로 이물질 배출홈(26)의 내측에 수용되기 때문에, 이물질 배출홈(26)의 수용되고 빠져나오는 과정에서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간극은 패드 몸체(22)의 길이, 폭, 높이 방향에 대하여 3~10mm일 수 있다. 만약에 상기 간극이 3mm 미만이면 부싱커버(24)와 이물질 배출홈(26) 사이의 마찰로 인해 원활한 동작이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간극이 10mm 초과이면 부싱(10)을 충분히 커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러버패드의 체결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러버패드의 체결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체결홀을 종래의 체결홀과 비교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러버패드의 체결홀을 구성하는 체결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패드 몸체(22)의 중앙부에는 스틸트랙에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30)이 형성된다. 체결홀(30)은 충분한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스틸트랙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기존의 체결홀(30)은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트만 삽입되도록 형성되었는데, 이 경우 볼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이 쌓여서 고착화되면 패드 몸체(22)의 교체 작업 시 체결홀(30)에 고착된 이물질을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홀(30)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물질을 보다 쉽게 제거하도록 하였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체결홀(30)의 내부는 실질적으로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32)가 형성된다. 볼트는 체결부(32)를 관통하여 스틸트랙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홀(30)의 내측면에는 체결홀(30)에 고착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계단부(34)가 형성된다. 계단부(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계단부(34)가 형성되면, 작업자가 도구(꼬챙이 형태)를 경사지게 삽입하여 상부에 고착화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용이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도구를 경사지게 삽입하는 것이 필요한데 계단부(34)가 내측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도구를 삽입하기 쉬워지고 이물질을 깨뜨려 제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7을 참조하여 (a)에 도시된 종래의 계단부(34)와 (b)에 도시된 개선된 계단부(34)를 비교하면, 개선된 계단부(34)의 대각방향 각도(θ2)는 종래의 계단부(34)의 대각방향 각도(θ1)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작업자가 도구를 삽입하였을 때 작업범위가 더 커지게 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해진다.
또한, 계단부(34)가 형성되면 이물질이 일정한 횡단면을 가진 덩어리 형태로 적층되지 않기 때문에 고착화되기 어렵고 고착화되었다고 하더라도 일측에 외력을 가하면 이물질을 깨뜨리는 것이 용이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체결홀(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체결부(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30)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홀(30)의 내측면에는 체결부(32)의 측단부터 체결홀(30)의 상단까지 경사면(36)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3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32)의 가장자리 상단부터 체결홀(30)의 상단까지 경사면(36)이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체결홀(30)의 내부에 경사면(36)이 형성되면 상술한 계단부(34)와 같이 고착화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패드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러버패드의 외력에 의한 변형률을 종래와 비교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패드는 링크(4)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무 재질의 패드 몸체(22), 및 상기 패드 몸체(22)의 내부에 좌우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철심(2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 몸체(22)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스틸트랙의 주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패드 단부면(50), 및 상기 패드 단부면(50)의 전후 끝단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패드 경사면(5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패드 몸체(22)의 좌우방향 중앙에서 일측 단부까지의 거리 중 25%에 해당하는 부분은 패드 몸체(22)의 단부라고 정의한다. 패드 단부면(50)은 패드 몸체(22)의 양측 단부로서 스틸트랙의 주행 방향(도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단면이다. 그리고, 패드 경사면(52)은 패드 단부면(50)의 전후 끝단에서 경사지게 형성한 단면이다. 또한, 패드 몸체(22)의 내부에 구비되는 철심(28)의 양측 단부는 상기 패드 단부면(50)과 제1 간격(B)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철심 단부면(60), 및 상기 패드 경사면(52)과 제2 간격(C)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철심 경사면(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 몸체(22) 및 철심(28)의 양측 단부를 형성하면, 종래에 비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률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패드 몸체(22)의 양측 단부는 경사진 부분이 없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경우 외력에 의한 변형률은 약 29% 이다. 하지만, 도 11의 (b)를 참조하면, 개선된 패드 몸체(22)의 양측 단부는 경사진 패드 경사면(52) 및 철심 경사면(62)이 형성되기 때문에 고무의 실질적인 강도가 유지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변형률이 약 21%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개선된 패드 몸체(22)의 형상에 의하면 종래의 패드 몸체(22)에 비하여 변형률이 약 30% 감소하기 때문에 트레드 고무의 파손(엣지-컷)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패드 몸체(22)의 각 모서리에 경사면(52,62)을 구성하여 이물질의 배토,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패드 몸체(22)의 주행방향에 대한 중심선(도면 상 좌우방향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는 패드 단부면(50)과 철심 단부면(60) 사이의 간격에 대하여 상기 제1 간격(B) 및 제2 간격(C)은 0.5~1.5배이다. 상기 제1 간격(B) 및 제2 간격(C)은 0.5배 미만일 경우 고무의 장점인 완충, 지면 보호 등의 효과가 감소하며, 1.5배 초과일 경우 롤링 등 장비의 지지가 불안정하고, 특히 굴삭기, 크레인의 경우 측면 리프팅 용량(side lifting capacity)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스프로켓 2 : 아이들러
4 : 링크 6 : 핀
10 : 부싱 20 : 러버패드
22 : 패드 몸체 24 : 부싱커버
26 : 이물질 배출홈 28 : 철심
30 : 체결홀 32 : 체결부
34 : 계단부 36 : 경사면
40 : 보강부재 50 : 패드 단부면
52 : 패드 경사면 60 : 철심 단부면
62 : 철심 경사면

Claims (16)

  1. 복수의 링크의 연결로 이루어지고 스프로켓과 맞물려 장비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부싱을 구비한, 스틸트랙에 결합되는 러버패드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무 재질의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의 외면에 상기 스틸트랙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 측에 상면으로부터 요입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질 배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배출홈의 바닥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홈의 양측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패드에는 상기 링크에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양측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이물질 배출홈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체결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몸체의 외면에서 인접한 상기 패드 몸체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부싱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부싱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커버는 상기 이물질 배출홈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 배출홈의 내측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커버가 상기 이물질 배출홈의 내측에 수용될 때, 상기 부싱커버와 이물질 배출홈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은 상기 패드 몸체의 길이, 폭, 높이 방향에 대하여 3~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커버는 상기 패드 몸체에서 상기 스틸트랙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전단 또는 후단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커버는 상기 패드 몸체에서 외측을 향하여 하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링크에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홀에 고착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계단부가 적어도 1단 이상의 계단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내측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홀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내측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내측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상단과 상기 체결홀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체결부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체결홀의 상단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몸체의 내부에 좌우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철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 몸체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스틸트랙의 주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패드 단부면; 및
    상기 패드 단부면의 전후 끝단에서 중앙부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패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의 양측 단부는,
    상기 패드 단부면과 제1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철심 단부면; 및
    상기 패드 경사면과 제2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철심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 및 제2 간격은,
    상기 패드 몸체의 주행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패드 단부면과 철심 단부면 사이의 간격에 대하여 0.5~1.5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KR1020210078307A 2021-06-16 2021-06-16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Active KR102528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307A KR102528060B1 (ko) 2021-06-16 2021-06-16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US17/837,332 US20220402566A1 (en) 2021-06-16 2022-06-10 Rubber pad for steel track
EP22179095.9A EP4105110A1 (en) 2021-06-16 2022-06-15 Rubber pad for steel t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307A KR102528060B1 (ko) 2021-06-16 2021-06-16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501A KR20220168501A (ko) 2022-12-23
KR102528060B1 true KR102528060B1 (ko) 2023-05-04

Family

ID=8206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307A Active KR102528060B1 (ko) 2021-06-16 2021-06-16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402566A1 (ko)
EP (1) EP4105110A1 (ko)
KR (1) KR1025280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7909023A (pt) * 1979-08-23 1981-06-09 Caterpillar Tractor Co Dispositivos antitorcao para lagartas para veiculos do tipo de rastos e metodo
US5261733A (en) * 1991-05-29 1993-11-16 The Yokohama Rubber Co., Ltd. Shoe of crawler belt or chain
US5630657A (en) * 1993-11-20 1997-05-20 Bridgestone Corporation Crawler
JPH0939857A (ja) * 1995-07-31 1997-02-10 Bridgestone Corp 履帯及び履帯ゴムシュ−
JPH11171057A (ja) * 1997-12-08 1999-06-29 Bridgestone Corp クロ−ラ用弾性シュ−
JP3164344B2 (ja) * 1997-12-17 2001-05-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無限軌道履帯用履板
JP2004066997A (ja) * 2002-08-07 2004-03-04 Sumitomo Rubber Ind Ltd 弾性パッド
DE102004013705B4 (de) * 2004-03-18 2007-02-01 Lutz Hildebrandt Gleiskette für ein Kettenfahrzeug und Laufwerksplatte dafür
KR20080040350A (ko) 2006-11-03 2008-05-08 유니월드오토테크주식회사 노면보호를 위한 굴삭기 스틸 트랙용 착탈식 고무트랙무한궤도
CN101402376A (zh) * 2007-10-04 2009-04-08 柴瑟里金属和橡胶有限公司 用于重型履带车的履带板总成
US7673951B2 (en) * 2008-04-23 2010-03-09 Everpads Co., Ltd. Track shoe for caterpillar vehicle
US20110148187A1 (en) * 2009-12-18 2011-06-23 Scott Francis Lyons Replaceable Track Pad and Mounting Plate
KR101375499B1 (ko) * 2012-08-22 2014-03-17 배현웅 무한궤도용 고무패드
KR101818732B1 (ko) * 2017-08-07 2018-01-15 티알벨트랙(주) 내구성이 향상된 크롤러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02566A1 (en) 2022-12-22
EP4105110A1 (en) 2022-12-21
KR20220168501A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0026B2 (ja) 履帯アイドラのスクレーパ装置
US6478389B2 (en) Low ground pressure tire chains for skid-steer loaders and other construction machinery
JP4828059B2 (ja) 弾性クローラ
KR20170120026A (ko) 트랙 슈 패드 구조 조립체
US6196646B1 (en) Endless drive track system with reinforcing brace and method
EP3241725B1 (en) Crawler with wear limit indicator
KR102528060B1 (ko)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US6450593B2 (en) Elastic crawler shoe for discharging snow
CA2966511A1 (en) Track pads and track assembly
EP1353835B1 (en) Low ground pressure tire chains for skid-steer loaders and other construction machinery
AU2002232720A1 (en) Low ground pressure tire chains for skid-steer loaders and other construction machinery
AU2019310317B2 (en) Attachable track shoe cover
JP7206463B1 (ja) 無限軌道車両用滑り止め具及び無限軌道車両
US20100088931A1 (en) Trenching Chain
US6857208B2 (en) Rebuildable elevator flight for scraper
CN101321657A (zh) 履带链条组件
CN119611565A (zh) 链轨及履带
JP3164344B2 (ja) 無限軌道履帯用履板
JPH08104262A (ja) 無限軌道履帯
JP3447020B2 (ja) 弾性体履板
JP2001151167A (ja) 無限軌道履帯用履板
KR20100007273U (ko) 내부공간이 구비된 철재크롤러용 고무패드
WO2000055032A1 (en) Endless drive track with improved drive lug configuration and reinforcing brace and method
JP2003200866A (ja) クローラ式作業機のグローサシュー
HK1246255B (zh) 環形履帶胎面花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4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