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902B1 - 무선 충전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7902B1 KR102527902B1 KR1020180107202A KR20180107202A KR102527902B1 KR 102527902 B1 KR102527902 B1 KR 102527902B1 KR 1020180107202 A KR1020180107202 A KR 1020180107202A KR 20180107202 A KR20180107202 A KR 20180107202A KR 102527902 B1 KR102527902 B1 KR 1025279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wireless charging
- analog ping
- plate
- disp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6—One coil at each side, e.g. with primary and secondary coi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 구조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아날로그 핑의 개수에 기반하여 충전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유효한 아날로그 핑을 확인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정상적으로 거치된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거치된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거치되지 않은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아날로그 핑의 세기에 기반하여 충전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펼침 상태로 거치된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이다.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를 통하여 보이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평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코일;
상기 전도성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회로;
상기 무선 충전 회로 및 상기 전도성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무선 충전 회로 및 상기 센서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전도성 코일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을 위한 제1 아날로그 핑(analog ping)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아날로그 핑 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후 선택된 시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아날로그 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시간 내에 수신된 상기 제2 아날로그 핑 신호의 개수를 카운트(count)하고,
상기 개수가 제1 임계값(threshold)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에 알림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시간은, 상기 제1 아날로그 핑 신호를 수신 후 2초 내지 4초인, 전자 장치.
-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4개 내지 5개인, 전자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회로로부터 상기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알림 신호에 기반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코일 및 상기 센서 회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호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회로는, ESD(electrostatic discharge) 다이오드, 제너 다이오드 및/또는 쇼트키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날로그 핑 신호 및/또는 상기 제 2 아날로그 핑 신호는, 0.7 내지 1.4V의 전압을 갖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를 통하여 보이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평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코일;
상기 전도성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충전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회로는,
상기 전도성 코일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을 위한 제1 아날로그 핑(analog ping)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아날로그 핑 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후 선택된 시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아날로그 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시간 내에 수신된 상기 제2 아날로그 핑 신호의 개수를 카운트(count)하고,
상기 개수가 제1 임계값(threshold)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에 알림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시간은, 상기 제1 아날로그 핑 신호를 수신 후 2초 내지 4초인, 전자 장치.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4개 내지 5개인, 전자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충전 회로 로부터 상기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알림 신호에 기반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회로는, 상기 수신한 제2 아날로그 핑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정상적으로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날로그 핑 신호 및/또는 상기 제 2 아날로그 핑 신호는, 0.7 내지 1.4V의 전압을 갖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하여 보이는 디스플레이;
전도성 코일;
상기 전도성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회로;
상기 무선 충전 회로 및 상기 전도성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무선 충전 회로 및 상기 센서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전도성 코일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핑(analog ping) 신호를 수신하고,
기준시간 동안 수신한 상기 아날로그 핑 신호의 개수 및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은, 제1 아날로그 핑 신호를 수신 후 2초 내지 4초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기준시간 동안 수신한 상기 아날로그 핑 신호의 개수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아날로그 핑의 신호 세기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5개 내지 6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임계값은, 0.7 내지 1.4V의 전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기준시간 동안 수신한 상기 아날로그 핑 신호의 개수가 제1 임계값 이하이고, 상기 아날로그 핑의 신호 세기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정상적으로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기준시간 동안 수신한 상기 아날로그 핑의 신호 세기가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회로로부터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상태에 기반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코일 및 상기 센서 회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호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회로는, ESD(electrostatic discharge) 다이오드, 제너 다이오드 및/또는 쇼트키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202A KR102527902B1 (ko) | 2018-09-07 | 2018-09-07 | 무선 충전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US17/273,926 US11881728B2 (en) | 2018-09-07 | 2019-09-05 | Method for confirm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EP19856581.4A EP3843242B1 (en) | 2018-09-07 | 2019-09-05 | Method for confirm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PCT/KR2019/011470 WO2020050643A1 (ko) | 2018-09-07 | 2019-09-05 | 무선 충전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202A KR102527902B1 (ko) | 2018-09-07 | 2018-09-07 | 무선 충전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8729A KR20200028729A (ko) | 2020-03-17 |
KR102527902B1 true KR102527902B1 (ko) | 2023-05-03 |
Family
ID=6972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7202A Active KR102527902B1 (ko) | 2018-09-07 | 2018-09-07 | 무선 충전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881728B2 (ko) |
EP (1) | EP3843242B1 (ko) |
KR (1) | KR102527902B1 (ko) |
WO (1) | WO202005064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42689B2 (en) * | 2020-02-11 | 2023-08-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wer sens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TWI808742B (zh) * | 2022-04-29 | 2023-07-11 | 新唐科技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操作系統及電源供給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306657A1 (en) | 2011-12-14 | 2014-10-16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user indications in wpc based wireless charg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28147B2 (en) * | 2011-02-01 | 2017-04-18 |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determination voltage and voltage adjusting device thereof |
KR102342855B1 (ko) * | 2015-03-05 | 2021-12-22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코일 위치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
WO2017017618A1 (en) | 2015-07-29 | 2017-02-02 | Indi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 | Functionalised poss based hybrid silica materials as highly efficient regenerable sorbents for co2 capturing |
KR101775234B1 (ko) | 2015-10-16 | 2017-09-0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전전력전송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
KR102494013B1 (ko) * | 2015-12-09 | 2023-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JP6700470B2 (ja) * | 2016-04-04 | 2020-05-27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 誘導電力送信機 |
KR20170135492A (ko) * | 2016-05-31 | 2017-12-0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KR20180017415A (ko) | 2016-08-09 | 2018-02-2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장치 |
KR20180012961A (ko) | 2016-07-28 | 2018-02-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위치 확인 방법 및 장치 |
KR102630656B1 (ko) * | 2016-11-01 | 2024-0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KR101996966B1 (ko) | 2017-08-30 | 2019-10-0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전전력전송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
-
2018
- 2018-09-07 KR KR1020180107202A patent/KR102527902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09-05 EP EP19856581.4A patent/EP3843242B1/en active Active
- 2019-09-05 US US17/273,926 patent/US11881728B2/en active Active
- 2019-09-05 WO PCT/KR2019/011470 patent/WO2020050643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306657A1 (en) | 2011-12-14 | 2014-10-16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user indications in wpc based wireless charg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43242A1 (en) | 2021-06-30 |
US11881728B2 (en) | 2024-01-23 |
US20210313844A1 (en) | 2021-10-07 |
EP3843242B1 (en) | 2022-11-09 |
KR20200028729A (ko) | 2020-03-17 |
WO2020050643A1 (ko) | 2020-03-12 |
EP3843242A4 (en) | 2021-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729794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 |
KR102562126B1 (ko) |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719967B1 (ko) |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761558B1 (ko) | 접이식 전자 장치 | |
KR102588525B1 (ko) |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12211976B2 (en) | Battery including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ed from side of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 |
KR102749836B1 (ko) | 그립 센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그립 센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
KR102416320B1 (ko) | 전자 장치의 온도 관측을 위한 구조 | |
KR102627331B1 (ko) | 과전압 방지 소자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728121B1 (ko) | 외부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자 장치 | |
KR102570509B1 (ko) | 통신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광도전성 물질의 전기적 상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안테나 제어 방법 | |
KR102324967B1 (ko) | 외부 객체의 근접에 따라 변경된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2527902B1 (ko) | 무선 충전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102756804B1 (ko) |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무선 충전 장치의 통신 방법 | |
KR20200022574A (ko) |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 |
US20220159378A1 (en) | Method for providing audio data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 |
US20220005340A1 (en) |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US20220149669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3997777B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2485274B1 (ko) | 서지 전압으로부터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구조 | |
KR20210041985A (ko) | 복수 개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10120378A (ko) | 무선 충전을 위한 외부 전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EP3997775B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2510848B1 (ko) | 보호 구조물이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576817B1 (ko) | 진동 감쇠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