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494B1 -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6494B1 KR102526494B1 KR1020170167601A KR20170167601A KR102526494B1 KR 102526494 B1 KR102526494 B1 KR 102526494B1 KR 1020170167601 A KR1020170167601 A KR 1020170167601A KR 20170167601 A KR20170167601 A KR 20170167601A KR 102526494 B1 KR102526494 B1 KR 1025264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plunger
- cover body
- cover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원천 차단하고, 단순한 구조로 푸시 조작력 전달이 용이하며, 조작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하우징 개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 개방부를 덮도록 하우징에 결합되고 일측에 커버 바디 개구가 마련된 커버 바디 및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커버 바디에 배치되어 커버 바디 개구를 덮는 가요성 노브를 갖는 커버 조립체와, 가요성 노브의 움직임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가요성 노브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스위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가요성 노브와 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that fundamentally blocks the inflow of moisture or foreign matter, has a simple structure, easily transmits a push manipulation force, and has improved manipulability and convenience. A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upled to a vehicle body and having a housing opening on one side, a cover body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housing opening and having a cover body opening on one side, and a cover to be elastically deformed. A cover assembly having a flexible knob disposed on the body and covering an opening of the cover body, a switch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by operating by the movement of the flexible knob, and a switch transmitted by deformation of the flexible knob and a plunger disposed between the flexible knob and the switch to transmit a pressing force to the switch.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that does not cause a problem of inflow of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차량의 트렁크는 차체 후방에 형성되어 짐을 실을 수 있는 적재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트렁크는 트렁크 리드에 의해 적재 공간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구조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트렁크 리드는 래치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에 의해 잠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은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전동식 잠금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동식 잠금장치는 트렁크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작동 신호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The trunk of a vehicle is formed at the rear of a vehicle body and provides a loading space for loading luggage. Such a trunk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ading space is opened or closed by a trunk lid. Typically, the trunk lid may be configured to be locked by a locking means including a latch. The locking means may be formed of an electric locking device including a solenoid, and the electric locking device may be unlocked by an operation signal generated from a trunk switch.
최근 차량의 제조사를 표시하기 위해 트렁크 리드에 장착되는 엠블럼과 일체화된 트렁크 스위치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는 부품수를 줄이고 차량 외관의 디자인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cently, a trunk switch integrated with an emblem mounted on a trunk lid to display a manufacturer of a vehicle is being applied to a vehicle. This emblem-integrated trunk swit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design quality of the exterior of the vehicle.
이러한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의 일예가 공개특허공보 제2016-0137001호(2016. 11. 30.)와 공개특허공보 제2015-0102762호(2015. 09. 08.) 등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such an emblem-integrated trunk switch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37001 (November 30, 2016) and Publication No. 2015-0102762 (November 30, 2015).
공개특허공보 제2016-0137001호에 개시되어 있는 트렁크 스위치는 바디에 엠블럼이 고정되고, 바디에 마련된 버튼 홀에 푸시 타입의 푸시 버튼이 장착되며, 바디에 마련된 커버 홀에 푸시 커버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푸시 커버는 바디 안쪽에 배치되는 트렁크 록의 전면을 덮는다. 이러한 트렁크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푸시 버튼이 눌리면 푸시 버튼이 바디 안쪽에 배치된 텍 스위치와 접촉하여 작동하게 된다.In the trunk switch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37001, an emblem is fixed to the body, a push-type push button is installed in a button hole provided in the body, and a push cover is movably mounted in a cover hole provided in the body. has a structure that The push cover covers the front of the trunk lock disposed inside the body. In such a trunk switch, when a push button is pressed by a user, the push button contacts a tex switch disposed inside the body to operat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트렁크 스위치는 푸시 버튼이 바디에 형성된 버튼 홀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버튼 홀을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trunk switch, since the push button is moved in a button hole formed in the body,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are easily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button hole.
공개특허공보 제2015-0102762호에 개시되어 있는 트렁크 스위치는 로고 타입 노브가 아우터 노브 및 이너 노브로 분리 구성되고, 이너 노브와 컨택터 사이에 링크 조립체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트렁크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하 아우터 노브가 푸시 조작되면 링크 조립체가 이노 노브를 통해 조작력을 제공받아 컨텍터를 스위칭시키게 된다.The trunk switch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2015-0102762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go type knob is separated into an outer knob and an inner knob, and a link assembly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knob and the contactor. In such a trunk switch, when an outer knob is pushed and manipulated by a user, the link assembly receives an operating force through the inno knob to switch the contactor.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트렁크 스위치는 노브가 아우터 노브와 이너 노브로 분리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푸시 조작력의 전달이 용이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 시 아우터 노브가 손상되기 쉬우며, 아우터 노브의 손상 시 이물질이나 수분 유입으로 인한 오동작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컨택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복잡한 링크 구조로 인해 작동 소음이 발생하고, 조립이 번거로우며, 조립 불량 가능성이 높다.However, since the knob of the conventional trunk switch is composed of an outer knob and an inner knob, it is not easy to transmit the user's push operation force, and the outer knob is easily damaged during long-term use, and when the outer knob is damaged, foreign substances or moisture may enter. Malfunctions may occur due to In addition, operating noise is generated due to a complex link structure for operating the contactor, assembly is cumbersome,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ssembly failur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원천 차단하고, 단순한 구조로 푸시 조작력 전달이 용이하며, 조작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s that fundamentally blocks the inflow of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easily transmits a push operation force with a simple structure, and has improved operability and convenience. The purpos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하우징 개방부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일측에 커버 바디 개구가 마련된 커버 바디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 개구를 덮는 가요성 노브를 갖는 커버 조립체; 상기 가요성 노브의 움직임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 및 상기 가요성 노브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상기 스위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노브와 상기 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A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s a housing coupled to a vehicle body and having a housing opening at one side; a cover assembly having a cover body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housing opening and having a cover body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a flexible knob disposed on the cover body to cover the cover body opening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a switch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by being op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flexible knob; and a plunger disposed between the flexible knob and the switch so as to transfer a press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deformation of the flexible knob to the switch.
상기 가요성 노브와 상기 플런저는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The flexible knob and the plunger may be integrally formed by insert injection.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가요성 노브 및 상기 플런저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The cover body may be insert-injected together with the flexible knob and the plunger to form an integral body.
상기 가요성 노브와 상기 플런저는 이중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The flexible knob and the plunger may be double-injected to form an integral body.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가요성 노브 및 상기 플런저와 함께 이중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The cover body may be integrally formed by being double-injected together with the flexible knob and the plunger.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스위치 측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하우징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가요성 노브의 일면에 접촉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와 접촉할 수 있는 플런저 바디와, 상기 하우징 가이드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에 배치되는 플런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guide for guiding the plunger to move linearly toward the switch, and the plunger includes a plunger body tha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lexible knob and can contact the switch, and the housing guide It may include a plunger guide disposed on the plunger body so as to contact and slid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런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스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plunger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plung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witch.
상기 하우징 가이드는 상기 플런저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측에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housing guide has a guide groov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lunger, and the plunger guide ha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plunger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the elastic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guide groove. A guide inser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커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노브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부재 개구를 갖는 장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corative member coupled to the cover assembly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and having a decorative member opening exposing the flexible knob to the outside.
상기 커버 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장식부재의 일면에는 장식부재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커버 바디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홈에 대응하는 커버 바디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버 바디 관통홀에 대응하는 하우징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하우징 관통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상기 커버 바디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장식부재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버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다.A decorative member coupling groov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decorative member facing the cover assembly, a cover body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decorative member coupling groove is provided in the cover body of the cover assembly, and the cover body penetrates the cover body in the housing. A housing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the hole is provided, and the decorative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ver assembly and the housing by a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housing through-hole passing through the cover body through-hol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decorative member coupling groove. can be combined
상기 가요성 노브는 상기 장식부재 개구보다 넓게 배치될 수 있다.The flexible knob may be wider than the opening of the decorative member.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버 바디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하우징 맞물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바디에는 상기 하우징 맞물림부와 맞물림 결합되는 커버 바디 맞물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 housing engaging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cover body, and the cover body may include a cover body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housing engaging portion.
상기 하우징 맞물림부와 상기 커버 바디 맞물림부는 상기 하우징 개방부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engaging portion and the cover body engaging portion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housing opening portion.
상기 하우징 맞물림부와 상기 커버 바디 맞물림부는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The housing engagement portion and the cover body engagement portion may be ultrasonically weld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를 지지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바디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바디를 접착시키는 접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support the switch; and an adhesive film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over body to adhere the substrate and the cover body.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차체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조작성이 우수하다.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use and excellent in manipulability by being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 조립체가 완전히 덮어 외부로 드러나는 틈새가 없으므로, 방수 성능이 우수하고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cover assembly completely covers the open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re is no gap exposed to the outside, 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waterproof performance and does not cause a problem of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is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차량의 엠블럼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어 디자인 품질이 우수하며,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emblem of the vehicle, so that the design quality is excellent and the emotional feeling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고, 부품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excellent assembly, and easy replacement or repair of part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종래 기술과 같은 불필요한 링크 구조를 삭제함으로써, 푸시 조작력 전달이 용이하고, 트렁크 오픈 조작성 및 편의성이 우수하며, 종래에 비해 디자인 설계의 제약이 적고,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an unnecessary link structure as in the prior art, so that push operation force is easily transmitted, trunk open operation and convenience are excellent, and design restrictions are less than those of the prior art. ,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 조립체를 발췌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excerpt of a cover assembly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rtially cut away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1 shows a state in which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사용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조작하여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차량의 트렁크 리드 등 차체(10)에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차체(10)에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130)와, 하우징(110)을 덮는 커버 조립체(140)와, 커버 조립체(140) 상에 배치되는 장식부재(17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vehicle
하우징(110)은 스위치(13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바디(111)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111)의 일측에는 하우징 개방부(112)가 구비되고, 이 하우징 개방부(112)는 커버 조립체(140)에 의해 덮인다. 하우징 바디(111)의 상단부에는 하우징 맞물림부(114)가 커버 조립체(140)를 향해 돌출 구비된다. 하우징 맞물림부(114)는 하우징 개방부(112)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하우징 맞물림부(114)가 커버 조립체(140)에 구비되는 커버 바디 맞물림부(144)와 맞물림됨으로써 하우징(110)이 커버 조립체(14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하우징 바디(111)의 내측에는 복수의 하우징 가이드(116)(117)가 배치된다. 하우징 가이드(116)(117)는 플런저(151)를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가이드(116)(117)의 내측에는 플런저(15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홈(118)(119)이 마련된다. 플런저(151)가 가이드홈(118)(119)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가이드홈(118)(119)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Inside the
이 밖에, 하우징(110)은 하우징 관통홀(121)과 하우징 고정부(123)를 포함한다. 하우징 관통홀(121)은 장식부재(170)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하우징 개방부(112)의 외측, 즉 하우징 바디(111)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하우징 고정부(123)는 하우징 바디(111)로부터 하우징 맞물림부(114)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구비된다. 하우징 고정부(123)는 하우징 바디(111)를 차량의 차체(10)에 고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하우징(11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스위치(130) 등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커버 조립체(140)에 의해 덮일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structure, the
스위치(130)는 커버 조립체(140)에 구비되는 가요성 노브(149)의 움직임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스위치(130)로는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푸시형 스위치, 또는 커버 조립체(140)의 가요성 노브(149)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130)는 푸시형 스위치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스위치(13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135)에 지지된다. 스위치(130)는 기판(135)에 구비되는 기판 배선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판(135)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스위칭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기판(135)에는 복수의 기판 관통홀(136)이 마련된다. 기판 관통홀(136)은 플런저(151)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커버 조립체(140)는 하우징(1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10)의 하우징 개방부(112)를 덮는다. 커버 조립체(140)는 커버 바디(141)와, 커버 바디(141)의 내측에 배치되는 가요성 노브(149)와, 스위치(130)와 가요성 노브(149) 사이에 배치되도록 가요성 노브(149)와 결합되는 플런저(151)를 포함한다.4 to 9 , the
커버 바디(141)는 하우징 개방부(112)를 덮도록 하우징(110)과 결합된다. 커버 바디(141)의 중간 부분에는 커버 바디 개구(142)가 마련된다. 커버 바디 개구(142)를 통해 가요성 노브(149)에 가해지는 푸시 조작력이 플런저(151)로 전달될 수 있다. 커버 바디(141)의 하우징(110)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커버 바디 맞물림부(144)가 구비된다. 커버 바디 맞물림부(144)는 하우징(110)의 하우징 맞물림부(114)와 맞물림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커버 바디 맞물림부(144)는 하우징 맞물림부(114)가 삽입될 수 있는 맞물림홈(145)을 갖는다. 맞물림홈(145)은 하우징 맞물림부(114)에 대응하는 형태, 즉 하우징(110)의 하우징 개방부(112)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맞물림홈(145)에 하우징 맞물림부(114)가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10)과 커버 바디(141)가 틈새없이 견고하게 밀착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110)과 커버 바디(141) 사이의 연결 부분을 통한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The
하우징 맞물림부(114)와 커버 바디 맞물림부(144)는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의 제조 시 하우징 맞물림부(114)를 맞물림홈(145)에 삽입한 후,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여 하우징 맞물림부(114)와 커버 바디 맞물림부(144)를 상호 융착시킬 수 있다. 하우징 맞물림부(114)와 커버 바디 맞물림부(144)를 융착시킴으로써 하우징(110)과 커버 바디(141)를 틈새없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의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하우징 맞물림부(114)와 커버 바디 맞물림부(144)는 초음파 융착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법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커버 바디(141)의 가장자리 즉, 커버 바디 맞물림부(144)의 외측에는 커버 바디 관통홀(147)이 마련된다. 커버 바디 관통홀(147)은 하우징(110)의 하우징 관통홀(121)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커버 바디 관통홀(147)은 하우징 관통홀(121)과 함께 장식부재(170)를 하우징(110)에 결합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 cover body through
가요성 노브(149)는 커버 바디 개구(142)를 덮도록 커버 바디(141)에 결합된다. 가요성 노브(149)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요성 노브(149)는 사용자의 푸시 조작력에 의해 스위치(130) 측으로 굽힘 변형될 수 있다. 가요성 노브(149)는 장식부재(170)에 마련되는 장식부재 개구(171)보다 넓게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푸시 조작력이 가해질 때 가요성 노브(149)가 넓은 부분에 걸쳐 탄성 변형될 수 있고, 가요성 노브(149)가 받는 충격이 넓은 부위로 분산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 따른 가요성 노브(149)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The
플런저(151)는 가요성 노브(149)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스위치(1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가요성 노브(149)와 스위치(130)의 사이에 배치된다. 플런저(151)는 스위치(130)와 접촉할 수 있도록 가요성 노브(149)의 일면에 접촉 배치되는 플런저 바디(152)와, 하우징(110)의 하우징 가이드(116)(117)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런저 바디(152)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런저 가이드(154)(155)를 포함한다. 플런저 가이드(154)(155)는 플런저 바디(152)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플런저 가이드(154)(155)는 기판(135)의 기판 관통홀(136)을 통과하여 하우징 가이드(116)(117)의 가이드홈(118)(119)에 삽입된다. 플런저 가이드(154)(155)가 가이드홈(118)(119)에 삽입되어 가이드홈(118)(119)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플런저(151)가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스위치(130)를 가압할 수 있다. 복수의 플런저 가이드(154)(155)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런저 가이드(154)는 가이드 삽입홈(156)을 갖는다. 가이드 삽입홈(156)에는 탄성부재(160)가 배치된다.The
탄성부재(160)는 하우징(110)과 플런저(151) 사이에서 플런저(151)에 대해 스위치(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부재(160)가 수용된 플런저 가이드(154)가 하우징 가이드(116)의 가이드홈(118)에 삽입됨으로써 탄성부재(160)는 플런저 가이드(154)에 수용된 상태로 하우징 가이드(116) 내측에 수용된다. 탄성부재(160)는 그 일단이 하우징(110)에 접하고 타단이 플런저(151)에 접하여 플런저(151)가 스위치(13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스위치(130) 측으로 이동한 플런저(151)는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플런저 가이드(154)의 내측에는 가이드 지지돌기(158)가 구비된다. 가이드 지지돌기(158)는 플런저(15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탄성부재(160)를 지지한다. 가이드 지지돌기(158)가 탄성부재(160)를 지지함으로써 탄성부재(160)의 압축 시 탄성부재(160)의 굽힘 변형을 막을 수 있고,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플런저(151)를 원상 복귀 시키는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A
플런저(151)는 커버 바디(141) 및 가요성 노브(149)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커버 바디(141)와 플런저(151)를 각각 제조한 후, 인서트 사출 방식을 이용하여 커버 바디(141)와 플런저(151)를 가요성 노브(149)와 일체형으로 만들 수 있다. 다른 예로, 두 개 이상의 재료를 이중 사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커버 바디(141)와 가요성 노브(149) 및 플런저(151)를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일체형의 커버 조립체(140)를 만들 수도 있다. 커버 바디(141)와 가요성 노브(149) 및 플런저(151)의 일체형 구조는 인서트 사출이나 이중 사출 이외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커버 조립체(140)는 접착 필름(165)을 통해 기판(135)과 접착된다. 접착 필름(165)은 기판(135)과 커버 바디(141)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판(135)과 커버 바디(141)를 상호 접착시킨다. 접착 필름(165)에 의해 커버 바디(141)가 기판(135)에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가요성 노브(149)를 푸시 조작할 때 푸시 조작력이 플런저(151)를 통해 더욱 정확하게 스위치(130)에 전달될 수 있다.The
커버 조립체(14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커버 바디(141)와, 커버 바디(141)에 지지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가요성 노브(149)와, 가요성 노브(149)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스위치(130)에 전달할 수 있는 플런저(151)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플런저(151)는 가요성 노브(149)와 별도의 부품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런저(151)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스위치(130)와 가요성 노브(149) 사이에서 가요성 노브(149)의 가압력을 스위치(130)에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151)에 구비되는 플런저 가이드(154)(155)의 구조나, 플런저 가이드(154)(155)와 함께 플런저(151)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하우징 가이드(116)(117)도 도시된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structure, the
장식부재(170)는 커버 조립체(14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 조립체(140)에 결합된다. 장식부재(170)는 제조사의 로고를 형상화한 엠블럼 형태나, 또는 심미성 및 디자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장식부재(170)에는 커버 조립체(140)의 가요성 노브(149)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부재 개구(171)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장식부재 개구(171)를 통해 가요성 노브(149)를 푸시 조작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40)와 마주하는 장식부재(170)의 일면에는 장식부재 결합보스(173)가 돌출 구비된다. 장식부재 결합보스(173)에는 커버 조립체(140)의 커버 바디 관통홀(147)에 대응하는 장식부재 결합홈(174)이 마련된다. 장식부재(170)는 고정부재(180)를 통해 하우징(110) 및 커버 조립체(140)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180)는 하우징(110)의 하우징 관통홀(121)과 커버 조립체(140)의 커버 바디 관통홀(147)을 통해 장식부재 결합홈(174)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10)과 커버 조립체(140) 및 장식부재(170)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다.The
장식부재(17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제조사의 엠블럼을 표현한 형태 등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장식부재(170)의 결합 방법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structure, the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완충 패드(185)를 포함한다. 완충 패드(185)는 하우징 바디(111)의 하측에 결합되며, 고무 등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완충 패드(185)는 차량의 차체(10) 등에 밀착되어 탄성 변형함으로써 하우징(110)이 틈새없이 차체(10)에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차체(10)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조작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차량 엠블럼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어, 디자인 품질이 우수하며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고, 부품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종래 기술과 같이 아우터 노브와 이너 노브를 분리 구성하지 않고 사용자가 푸시 조작하는 가요성 노브(149)와 스위치(130)를 작동시키는 플런저(151)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안정적인 푸시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푸시 조작력 전달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가요성 노브(149)의 어느 부분을 누르더라도 동일한 스트로크로 작동하여 스위칭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종래 기술과 같은 불필요한 링크 구조를 삭제함으로써, 푸시 조작력 전달이 용이하고, 트렁크 오픈 조작성 및 편의성이 우수하며, 종래에 비해 디자인 설계의 제약이 적고,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푸시 조작력을 스위치(130)에 전달하는 플런저(151)를 탄성부재(160)가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고압 세차 시의 수압 등 의도하지 않은 외력의 작용으로 작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10 : 하우징
111 : 하우징 바디 114 : 하우징 맞물림부
116, 117 : 하우징 가이드 130 : 스위치
135 : 기판 140 : 커버 조립체
141 : 커버 바디 144 : 커버 바디 맞물림부
149 : 가요성 노브 151 : 플런저
152 : 플런저 바디 154, 155 : 플런저 가이드
160 : 탄성부재 165 : 접착 필름
170 : 장식부재 185 : 완충 패드100: vehicle trunk switch unit 110: housing
111: housing body 114: housing engaging portion
116, 117: housing guide 130: switch
135: substrate 140: cover assembly
141: cover body 144: cover body engagement part
149: flexible knob 151: plunger
152:
160: elastic member 165: adhesive film
170: decorative member 185: buffer pad
Claims (15)
상기 가요성 노브와 상기 플런저는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루고,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가요성 노브 및 상기 플런저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 housing coupled to a vehicle body and having a housing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 cover assembly having a cover body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housing opening and having a cover body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a flexible knob disposed on the cover body to cover the cover body opening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a switch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by being op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flexible knob; And a plunger disposed between the flexible knob and the switch so as to transmit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knob to the switch,
The flexible knob and the plunger are insert-injected to form an integral body,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body is insert-injected together with the flexible knob and the plunger to form an integral body.
상기 가요성 노브와 상기 플런저는 이중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루고,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가요성 노브 및 상기 플런저와 함께 이중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 housing coupled to a vehicle body and having a housing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 cover assembly having a cover body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housing opening and having a cover body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a flexible knob disposed on the cover body to cover the cover body opening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a switch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by being op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flexible knob; And a plunger disposed between the flexible knob and the switch so as to transmit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knob to the switch,
The flexible knob and the plunger are double-injected to form an integral body,
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ver body is integrally formed by being double-injected together with the flexible knob and the plunger.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스위치 측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하우징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가요성 노브의 일면에 접촉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와 접촉할 수 있는 플런저 바디와,
상기 하우징 가이드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에 배치되는 플런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guide for guiding the plunger to move linearly toward the switch,
The plunger,
a plunger body disposed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lexible knob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switch;
and a plunger guide disposed on the plunger body to slide in contact with the housing guide.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런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스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ccording to claim 6,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plunger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plung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witch.
상기 하우징 가이드는 상기 플런저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측에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삽입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ccording to claim 7,
The housing guide has a guide groove disposed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nger,
The plunger guide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protruding from the plunger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a guide inser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side the plunger guide.
상기 커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노브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부재 개구를 갖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ccording to claim 1,
and a decorative member coupled to the cover assembly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and having a decorative member opening exposing the flexible knob to the outside.
상기 커버 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장식부재의 일면에는 장식부재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커버 바디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홈에 대응하는 커버 바디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버 바디 관통홀에 대응하는 하우징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하우징 관통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상기 커버 바디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장식부재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버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ccording to claim 9,
A decorative member coupling groov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decorative member facing the cover assembly,
A cover body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the decorative member coupling groove is provided in the cover body of the cover assembly,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housing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the cover body through-hole,
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decorative member is coupled to the cover assembly and the housing by a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housing through-hole passing through the cover body through-hol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decorative member coupling groove.
상기 가요성 노브는 상기 장식부재 개구보다 넓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ccording to claim 9,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knob is disposed wider than the opening of the decorative member.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버 바디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하우징 맞물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바디에는 상기 하우징 맞물림부와 맞물림 결합되는 커버 바디 맞물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housing engagement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cover body,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body is provided with a cover body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housing engaging portion.
상기 하우징 맞물림부와 상기 커버 바디 맞물림부는 상기 하우징 개방부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ccording to claim 12,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housing engaging portion and the cover body engaging portion are disposed to surround the housing opening portion.
상기 하우징 맞물림부와 상기 커버 바디 맞물림부는 초음파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ccording to claim 13,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engaging portion and the cover body engaging portion are ultrasonically welded.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를 지지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바디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바디를 접착시키는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According to claim 1,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support the switch; and
and an adhesive film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over body to adhere the substrate and the cover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7601A KR102526494B1 (en) | 2017-12-07 | 2017-12-07 |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7601A KR102526494B1 (en) | 2017-12-07 | 2017-12-07 |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7550A KR20190067550A (en) | 2019-06-17 |
KR102526494B1 true KR102526494B1 (en) | 2023-04-26 |
Family
ID=6706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7601A Active KR102526494B1 (en) | 2017-12-07 | 2017-12-07 |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649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0972B1 (en) | 2010-05-18 | 2011-04-28 | 덕일산업 주식회사 | Waterproof switch on the car trunk |
KR200477718Y1 (en) | 2014-03-17 | 2015-07-13 | 진영전기 주식회사 | Trunk switch for vehicle |
KR101594334B1 (en) * | 2014-10-13 | 2016-02-16 | 주식회사 서연전자 | A Trunk Switch Assembly of Integrated type with Emblem for Vehicles |
KR101789925B1 (en) | 2016-06-05 | 2017-10-25 |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 Push button switch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85542U (en) * | 1990-11-30 | 1992-07-24 | ||
JP3069726B2 (en) * | 1995-11-28 | 2000-07-24 |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 Keyboard switch |
KR101566914B1 (en) | 2013-10-07 | 2015-11-06 | 주식회사 대동 | Tailgate switch assembly having Logo for vehicels |
KR101745091B1 (en) | 2015-05-22 | 2017-06-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Emblem integrated trunk switch module |
-
2017
- 2017-12-07 KR KR1020170167601A patent/KR1025264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0972B1 (en) | 2010-05-18 | 2011-04-28 | 덕일산업 주식회사 | Waterproof switch on the car trunk |
KR200477718Y1 (en) | 2014-03-17 | 2015-07-13 | 진영전기 주식회사 | Trunk switch for vehicle |
KR101594334B1 (en) * | 2014-10-13 | 2016-02-16 | 주식회사 서연전자 | A Trunk Switch Assembly of Integrated type with Emblem for Vehicles |
KR101789925B1 (en) | 2016-06-05 | 2017-10-25 |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 Push button switch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7550A (en) | 2019-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38758B2 (en) | Trunk switch module for vehicle | |
US8895881B2 (en) | Power window switch | |
WO2014092117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waterproof structure | |
KR100999966B1 (en) | Emblem integrated trunk opening | |
JP5615774B2 (en) | Packing for switch and electronic key using the same | |
KR102770292B1 (en) | Tail-gate switching unit | |
KR102526494B1 (en) |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 |
JP4707565B2 (en) | Latch release operation device | |
CN103828004B (en) | Water proof and dust proof is switched | |
JP4537858B2 (en) | Open switch for vehicle door or trunk | |
JP2013500561A (en) | Electrical switch for vehicle rear door or tailgate | |
JP5096210B2 (en) | Vehicle door handle | |
JP4607697B2 (en) | Waterproof pushbutton switch device | |
CN104853550B (en) | Electronic equipment | |
US9870882B2 (en) | Push button for motor vehicle key module | |
KR101125375B1 (en) | A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 |
KR102726889B1 (en) | Mirror Switch for Vehicle | |
JP7568887B2 (en) | Switching device | |
KR102341160B1 (en) |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 |
KR102675893B1 (en) | Push switch device and a switching unit with the same | |
JP4524247B2 (en) | Switch device | |
KR101507561B1 (en) | Doorhandle switch assembly for car | |
JP2015032352A (en) | Waterproof push button switch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2006147158A (en) | Keypa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WO2009101720A1 (en) | Control device getting pressing operation and switch devic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7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