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5463B1 -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hanger of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hanger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463B1
KR102525463B1 KR1020210044022A KR20210044022A KR102525463B1 KR 102525463 B1 KR102525463 B1 KR 102525463B1 KR 1020210044022 A KR1020210044022 A KR 1020210044022A KR 20210044022 A KR20210044022 A KR 20210044022A KR 102525463 B1 KR102525463 B1 KR 102525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lothes
support bar
air
laundry trea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8193A (en
Inventor
김영종
김재상
박현익
최인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463B1/en
Publication of KR2022013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46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및 상기 의류처리실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상부공기유입구와, 상기 상부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상부공기토출구를 가진 상부기계실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기계실은, 상기 상부공기유입구와 상기 상부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하는 상부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상부팬, 및 상기 상부공기토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공기토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실로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을 전환하는 상부루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et forming a laundry treatment room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 upper air inlet provided on the top of the clothes treatment room and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is drawn out,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air inlet is passed through the clothes treatment room. An upper machine room having an upper air outlet that is re-supplied into the processing chamber, wherein the upper machine room includes an upper fan for forming an upper circulation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ir inlet and the upper air outlet, and the upper air outlet and an upper louver positioned on the upper air outlet to change the direction of discharging air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through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옷걸이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HANGER OF THE SAME}Clothes handling device and its hanger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HANGER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의류에 대하여 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의 각종 처리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와, 이의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hanger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treatments such as washing, drying, deodorizing, and wrinkle removal on clothes, and to a hanger thereof.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젖은 의류를 건조하거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개선하는 등 의류에 대한 각종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A clothes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for performing various treatments on clothes, such as washing clothes, drying wet clothes, removing odors from clothes, and improving wrinkles of clothes.

최근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개선시키는 스티머(steamer) 등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되도록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Recently, a laundry treatment device has been developed so that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clothes, a dryer for drying clothes, a refresher for refreshing clothes, and a steamer for improving unnecessary wrinkles of clothes are realized in one device. there is a trend

여기서,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개선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키고, 스티머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다리미와 다르게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의류의 구김을 개선 및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Here, the refresher is a device for making clothes pleasant and fresh,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drying clothes, supplying fragrance to clothes,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of clothes, and improving wrinkles of clothes. Pointing to a device, a steamer is a device that removes wrinkles from clothes by supplying steam to clothes, and unlike an iron, it may refer to a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improving and removing wrinkles of clothes without directly applying heat to clothes. .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된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데 통상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하며, 이때 히프펌프장치는 주변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냉매를 응축시켜 주변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usually uses a heat pump device to dry clothes by supplying hot air to a space where clothes are accommodated. In this case, the bottom pump device is an evaporator that evaporates a refrigerant by exchanging heat with the surrounding air, and condenses the refrigerant to clean the surrounding air. A condenser for heating and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may be included.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처리실 내 수용된 의류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냄새 따위를 제거하기 위해, 의류(또는 옷)을 걸치는 옷걸이나, 옷걸이가 매다는 옷걸이봉을 직접 흔들어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냄새 따위를 제거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conventional clothes handling apparatus, in order to remove dust or odor attached to clothes accommodated in a clothes treatment room, a hanger for clothes (or clothes) is directly shaken or a hanger rod on which a hanger is hung is shaken to remove dust or odor attached to clothes. removing something like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옷걸이나 옷걸이봉을 직접 흔드는 경우, 의류처리장치 전체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무거운 의류를 직접 흔들면 무게에 의해 의류처리장치나 구동장치에 데미지(damage)를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If the hanger or hanger rod is directly shaken using the driv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vibration may occur throughout the clothes handling device, and if heavy clothes are directly shaken, the clothes handling device or the driving device may be damaged by the weight. there is a problem.

또한, 의류를 향하여 송풍을 함으로써, 의류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냄새 따위를 제거할 수 있으나, 의류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냄새 따위를 제거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by blowing air toward the clothes, it is possible to remove dust or odo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es, but there is a limit in that dust or odo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es cannot be removed.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필요 기술의 제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presentation of necessary technologies to solve these problems.

KR 10-1457594 B1KR 10-1457594 B1 KR 10-1819511 B1KR 10-1819511 B1 10-2083959 B110-2083959 B1 10-1498625 B110-1498625 B1 10-1456210 B110-1456210 B1

본 발명은, 의류처리실 내 수용되거나 거치된 의류를 향하여 여러 방향에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류를 직접 흔들지 않아도 해당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lothes treatment that can efficiently remove dust, odor, wrinkles, moisture, etc. remaining in the clothes without directly shaking the clothes by allowing air to be blown from various directions toward the clothes accommodated or mounted in the clothes treatment room. We want to provide you with a devi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에 마련되어, 옷걸이를 지지하는 옷걸이봉, 및 상기 의류처리실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부공기토출구를 가진 상부기계실을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는, 옷이 걸쳐지는 옷걸이본체와, 상기 옷걸이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본체를 상기 옷걸이봉에 걸기 위한 옷걸이후크와, 상기 옷걸이본체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옷걸이본체에 걸쳐진 옷의 목부위를 상기 옷걸이본체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1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바에 의해 상기 옷걸이본체에 걸쳐진 옷의 목부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공기토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실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옷걸이의 상기 이격공간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forming a laundry treatment room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 hanger rod provided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and supporting a hanger, and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to allow air to enter the laundry treatment room. and an upper machine room having an upper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the hanger includes a hanger body on which clothes are hung, a hanger hook coupled to the hanger body to hang the hanger body on the hanger rod, and in the hanger body It is provided to protrude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for separating the neck of clothes over the hanger body from the hanger body, and a space is formed in the neck of the clothes over the hanger body by the first support ba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air discharg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through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toward the separation space of the hang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상부공기유입구와, 상기 상부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상부공기토출구를 가진 상기 상부기계실은, 상기 상부공기유입구와 상기 상부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하는 상부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상부팬, 및 상기 상부공기토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공기토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실로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을 전환하는 상부루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pper machine room having an upper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is drawn out and an upper air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air inlet is re-suppli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is provided. An upper fan for forming an upper circulation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let and the upper air outle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n upper louver positioned at the upper air outlet and changing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through the upper air outlet.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부루버는, 상부루버하우징, 상기 상부루버하우징에 마련된 상부루버구동장치, 상기 상부루버하우징 내 마련되어, 하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루버날개, 및 상기 상부루버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루버날개의 상단을 축으로 상기 상부루버날개의 하단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루버구동장치와 상기 상부루버날개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louver includes an upper louver housing, an upper louver driving device provided in the upper louver housing, and at least one upper louver wing provided in the upper louver housing to guide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downward. And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upper louver driving device and the upper louver wing to reciprocate the lower end of the upper louver wing with the upper end of the upper louver wing as an axi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upper louver driving device. ca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부루버에 의해 전환되는 공기토출방향은 상기 옷걸이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discharge direction switched by the upper louver may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ger ro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옷걸이본체에서 상기 제1 지지바의 돌출 방향은 상기 옷걸이봉의 길이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from the hanger body may be the same a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ger ba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바는, 상기 옷걸이본체의 일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바가 회동하여 전개시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지지바는 복수의 전개각도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bar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anger body, and the first support bar rotates to form the separation space when deployed, and the first support bar has a plurality of It can have a spread angl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옷걸이본체는, 상기 제1 지지바의 양단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바는,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지지바의 양단 사이에 어느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굽어진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는, 상기 제1 지지바의 양단이 결합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을 가져,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에 결합된 상기 제1 지지바가 회동시 상기 만곡부가 상기 걸림홈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지지바의 전개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lothes hanger body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couplers to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re coupled, and the first support bar has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Doedoe coupled to, including a curved port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to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re coupled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when the first support bar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rotates, the curved portion is interposed in the locking groove so that a deployment angle of the first support bar may be adjust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옷걸이본체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본체에 결쳐진 옷의 목어깨부위를 상기 옷걸이본체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2 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econd support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body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bar for separating a neck and shoulder portion of the clothes coupled to the hanger body from the hanger body.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바는, 전개시 수평의 방향을 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bar may be dir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deploy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옷걸이봉은, 상부에 상기 옷걸이후크가 개재되는 옷걸이홈을 포함하되, 상기 옷걸이홈은, 상기 옷걸이후크의 두께에 상응하는 너비를 가진 제1 옷걸이홈과, 상기 제1 옷걸이홈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 옷걸이홈보다 넓은 너비를 가진 제2 옷걸이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anger rod includes a hanger groove at an upper portion of which the hanger hook is interposed, wherein the hanger groove includes a first hanger groov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anger hook, and the first hanger groove. Doedoe extending upward from the groove may include a second hanger groove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hanger groov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옷걸이본체는, 걸쳐진 옷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좌우 양측단의 상면에 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lothes hanger body may further include concave-convex portions on upper surfaces of both left and right ends so that the clothes put on do not slip.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에 마련되어 옷걸이를 지지하는 옷걸이봉과, 상기 의류처리실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부공기토출구를 가진 상부기계실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옷걸이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는, 옷이 걸쳐지는 옷걸이본체와, 상기 옷걸이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본체를 상기 옷걸이봉에 걸기 위한 옷걸이후크와, 상기 옷걸이본체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옷걸이본체에 걸쳐진 옷의 목부위를 상기 옷걸이본체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1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바에 의해 상기 옷걸이본체에 걸쳐진 옷의 목부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공기토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실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옷걸이의 상기 이격공간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옷걸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forming a laundry treatment room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 hanger bar provided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to support hangers, and an upper air discharge por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to discharge air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In the hanger of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including an upper machine room, the hanger includes: a hanger body on which clothes are hung; a hanger hook coupled to the hanger body to hang the hanger body on the hanger rod; and the hanger body. It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for separating the neck of clothes over the hanger body from the hanger body, and a separation space is formed in the neck of the clothes over the hanger body by the first support bar , Air discharg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through the upper air outlet is discharged toward the separation space of the hanger.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처리실 내 수용되거나 거치된 의류를 향하여 여러 방향에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류를 직접 흔들지 않아도 해당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나 냄새 따위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ir is blown from various directions toward clothes accommodated or placed in a clothes treatment room, dust or odor remaining in the clothes can be efficiently removed without directly shaking the clothes.

또한, 의류처리실 내 상부에서 의류를 항하여 송풍할 때, 의류의 외측면뿐 아니라, 내측에도 충분히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류를 직접 흔들지 않아도 의류의 내측면에 잔류하는 먼지나 냄새 따위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ir is blown against cloth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air is sufficiently blown not on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es but also to the inner side of the clothes, so that dust or odor remain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es can be removed without directly shaking the clothes.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실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상부기계실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송풍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루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루버의 일부 결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루버의 일부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봉이 장착된 의류처리실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b의 옷걸이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공기토출구를 통해 옷걸이를 항하여 토출되는 공기 방향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lothes treatment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upper machine room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upper blower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upper lou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oupling view of an upper lou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view from another side of a part of the upper lou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lothes treatment room equipped with a clothes hanger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a clothes hanger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clothes hanger groove of FIG. 10B.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ward a hanger through an upper air discharg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and 14b are views showing a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unit" and "unit"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themselves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11)과,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 분리되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가열 또는 순환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되는 기계실(2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is installed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It may include a machine room 20 provided with various devices for dehumidifying, heating, or circulating air to remove dust, odor, wrinkles, or moisture remaining in clothes.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은 하나의 캐비넷(10)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의류처리실(11)의 전방에는 의류처리실(11) 개폐를 위한 도어(40)가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the machine room 2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provided in one cabinet 10, and a door ( 40) can be provided.

캐비넷(10)이나 도어(40)의 외면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작동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An outer surface of the cabinet 10 or the door 40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informing the operating state of each componen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to the outside and/or an input unit for receiving various operation inputs from a user. .

의류처리실(11)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갖되,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유입구(12a)과, 공기유입구(12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다시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하기 위한 공기토출구(12b)가 의류처리실(11)에 마련될 수 있다.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or holding clothes therein, and includes an air inlet 12a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is sucked in to circulate air inside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An air discharge port 12b for resupplying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12a back to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may be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이때,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는 기계실(20)과 근접한 의류처리실(11)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은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을 구분하는 가로면으로서 반드시 수평의 편평한 형태만을 가리키진 않는다.At this time, the air inlet 12a and the air outlet 12b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djacent to the machine room 20 . Here, the floor surface is a horizontal plane that divides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the machine room 20, and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only a horizontal flat shape.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의 의류처리실(11) 내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2a)는 의류처리실(11)의 전방 도어(40)측에 위치할 수 있고, 공기배출구(12b)는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positions of the air inlet 12a and the air outlet 12b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It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front door 40, and the air outlet 12b may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한편, 의류처리실(11)의 상부에는 천장면에 의해 구획된 상부기계실(21)이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천장면은 의류처리실(11)과 상부기계실(21)을 구분하는 가로면으로서, 수평의 편평한 형태만을 가리키지 않으며, 상부기계실(21) 내 수용공간의 형태에 따라, 일 예로 상부팬(210) 및/또는 상부루버(220) 등의 외형에 따라,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n upper machine room 21 partitioned by a ceiling surface may be provided above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 Similarly, here, the ceiling surface is a horizontal plane that divides the clothing processing room 11 and the upper machine room 21, and does not indicate only a horizontal flat shape, an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upper machine room 21, for example, the upper fan ( 210) and/or the upper louver 220, etc., of course, may be made of a curved surface.

의류처리실(11) 상측의 천장면에는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가 상부기계실(21)로 인출되는 상부공기유입구(15a)와, 상부기계실(21)로 유입된 공기가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되는 상부공기토출구(15b)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ere is an upper air inlet 15a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is drawn into the upper machine room 21,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machine room 21 is passed through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It may include an upper air discharge port 15b that is re-supplied to the inside.

상부공기유입구(15a)와 상부공기토출구(15b)의 의류처리실(11) 내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공기유입구(15a)는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측에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고, 상부공기토출구(15b)는 상기 상부공기유입구(15a)의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positions of the upper air inlet 15a and the upper air outlet 15b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upper air inlet 15a may be located close to the rear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the upper air outlet 15b may be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upper air inlet 15a.

이때, 상부공기토출구(15b)는 의류처리실(11) 내 의류가 수용 또는 거치되는 위치에 상응하도록 위치하여, 상부공기토출구(15b)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가까운 거리에서 의류를 향하여 송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나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따위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pper air outlet 15b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clothes are received or placed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air outlet 15b can be blown toward the clothes at a short distance. By doing so, it is preferable to efficiently remove dust, odor, etc. remaining in drying clothes or clothes.

상기 공기유입구(12a), 공기토출구(12b), 상부공기유입구(15a) 및/또는 상부공기토출구(15b)에는 가로방향 및/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을 가진 그릴부재(g1, g2)가 마련되어, 의류처리실(11) 내 각종의 이물질이 소정 크기의 슬릿을 통해 기계실(20) 및/또는 상부기계실(21)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inlet (12a), the air outlet (12b), the upper air inlet (15a) and / or the upper air outlet (15b) has a plurality of slit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 or vertical direction grill members (g1, g2) is provided to block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from entering the machine room 20 and/or the upper machine room 21 through a slit of a predetermined size.

이때, 그릴부재(g1, g2)는 사용자나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교체나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ll members g1 and g2 are implemented to be detachable as needed by a user or operator, so that they can be replaced or cleaned.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스팀발생장치(미도시)가 스팀을 발생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급수통(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은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물채움알림시 급수통(31)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보충한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water supply container 31 accommodating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an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20 so that the steam generator (not shown) can generate steam. there is. At this time, the water tank 31 is implemented to b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clothes handling device 1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square box, and when a user informs the user of the water refill, the water tank 31 is detachable and detachable to replenish water, and then the casing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re-install it.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통(31)에서 스팀발생장치의 급수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급수펌프장치는 급수통(31)의 일면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스팀발생장치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water supply pump devic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to the water supply inlet of the steam generating device, and the water supply pump device may include one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connected to the .

이때, 급수통(31)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미도시)는 급수통(31)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급수통(31) 내 물이 소정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저수위인 경우 외부로 물채움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31, and the controller (not shown) uses the water level sensor provided in the water tank 31 to fill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1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It is desirable to detect or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water level, and to output a water filling notification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level is low.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상기 급수통(31) 이외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배수통(32)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 내부나 기계실(20) 내부에 스팀공급 등으로 발생된 응축수를 섬프에 집수하고, 섬프에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펌프장치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a drain container 32 for collecting condensed water may be provided below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an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20. Condensate generated by supplying steam in the laundry room 11 or machine room 20 is collected in the sump, and the condensate collected in the sump may be guided to the drain trough 32 by the condensate pump device.

배수통(32)은 급수통(31)과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응축수배출알림시 배수통(32)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버린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the drain container 32 is implement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to be attachable to and detached from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so that the user can detach and detach the drain container 32 when the condensate discharge notification is received.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refit the casing after draining the water.

또한, 배수통(32) 역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는 배수통(32)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배수통(32) 내 물이 소정 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고수위인 경우 외부로 응축수배출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ain 32 is also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and the control unit uses the water level sensor provided in the drain 32 to detect whether the water in the drain 32 is fi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higher.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o output a condensate discharge notification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level is high.

한편,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실(11)에 제습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히트펌프장치(100)(또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히트펌프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 heat pump device 100 (or an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dehumidified or heated air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may be included inside the machine room 20, and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the heat pump device 100 You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히트펌프장치(100)에 의해 제습 또는 가열된 공기를 의류처리실(11) 내로 공급하기 위해 팬(10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팬(105)의 구동에 의해 히트펌프장치(100)에 의해 제습 또는 가열된 공기를 의류처리실(11) 내로 공급하기 위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fan 105 may be included to supply air dehumidified or heated by the heat pump device 100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That is, by driving the fan 105, an airflow for supplying the air dehumidified or heated by the heat pump device 100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may be formed.

또한, 상부기계실(21)의 내부에는 상부공기유입구(15a)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가 상부공기토출구(15b)로 토출되는 기류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팬(2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부팬(210)은 구동에 의해 상부공기유입구(15a)와 상부공기토출구(15b)를 상호 연통하는 상부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upper machine room 21 may include an upper fan 210 to introduce air into the upper air inlet 15a and form an air flow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air outlet 15b. That is, the upper fan 210 may form an upper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upper air inlet 15a and the upper air outlet 15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eing driven.

상부팬(210)의 구동에 의해 상부공기유입구(15a) 및 상부팬공기유입구(212a, 212b)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상부팬공기토출구(213a, 21b)의 전방에는, 상부공기토출구(15b)를 통해 의류처리실(11)로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상부루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front of the upper fan air outlets 213a and 21b,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air inlet 15a and the upper fan air inlets 212a and 212b is discharged by the driving of the upper fan 210, the upper air outlet ( An upper louver 220 may be included to change a blowing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rough 15b).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상부기계실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송풍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machine room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upper blowe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도 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실(11)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기계실(21)에는 상부팬(210) 및 상부루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5 , the upper machine room 21 provided above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may include an upper fan 210 and an upper louver 220 .

상부기계실(21)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팬(2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팬(2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따위와 같은 구동장치(211)의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 원심팬일 수 있다.At least one upper fan 21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machine room 21, and as shown in FIG. 5, the upper fan 210 rotates around a driving shaft of a driving device 211 such as a motor. It may be a centrifugal fan including a plurality of blades.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기계실(21)에는 두 개의 상부팬(210a, 210b)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두 개의 상부팬(210a, 210b)은 하나의 구동장치(211)를 중심으로 하여 구동축을 따라 좌우 양측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wo upper fans 210a and 210b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machine room 21, and at this time, the two upper fans 210a and 210b center on one driving device 211. It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long the drive shaft.

상부팬(210a, 210b) 각각에 포함된 다수의 블레이드는, 구동장치(211)의 구동축과 나란하게, 구동축을 중심으로 한 반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형성케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lades included in each of the upper fans 210a and 210b are provided parallel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device 211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radial direction centered on the driving shaft, and rotated around the driving shaft to air flow can be formed.

즉, 모터 따위와 같은 구동장치(211)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구동축의 전면에 마련된 상부팬공기유입구(212a, 212b)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구동축의 반경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device 211 such as a motor rotates a plurality of blades around the driving shaft to suck in air through the upper fan air inlets 212a and 212b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riving shaft, and transfer the sucked air to the driving shaft. can be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기계실(21) 내 의류처리장치(1)의 폭 방향(의류처리장치(1)의 도어를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좌우방향을 가리킴)으로 구동축이 마련될 수 있고, 구동축 상에 두 개의 상부팬(210a, 210b)이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 the upper machine room 21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looking at the door of the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1 from the front) A drive shaft may be provided, and two upper fans 210a and 210b may be provided on the drive shaft.

결국, 구동장치(211)의 구동에 의해 두 개의 상부팬(210a, 210b)은 구동되어, 상부공기유입구(15a)를 통해 상부기계실(21) 내로 유입된 공기는 두 상부팬(210a, 210b) 각각의 구동축의 축방향에 마련된 상부팬공기유입구(212a, 212b)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Eventually, the two upper fans 210a and 210b are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device 211,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machine room 21 through the upper air inlet 15a is transferred to the two upper fans 210a and 210b. It may be introduced through upper fan air inlets 212a and 212b provided in the axial direction of each drive shaft.

여기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팬(210a, 210b)의 상부팬공기유입구(212a, 212b) 각각은 좌우 양측에서 바깥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순환유로에서 상부기계실(21)로 공기가 흡입되는 주류는 상부팬공기유입구(212a, 212b)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부팬공기유입구(212a, 212b)로 흡입되는 것일 수 있다.Here, as shown in the drawing, since the upper fan air inlets 212a and 212b of the upper fans 210a and 210b are provided to face out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air flows from the upper circulation passage to the upper machine room 21. The mainstream to be sucked may be sucked into the upper fan air inlets 212a and 212b from both edges of the upper fan air inlets 212a and 212b.

나아가, 상부팬공기유입구(212a, 212b)를 통해 상부팬(210a, 210b)으로 유입된 공기는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등에 의해 원심력이 작용되어 구동축의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블레이드를 통과하여 배출되며, 이는 상부팬하우징의 내면(또는 내주면)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전방(의류처리장치(1)의 도어를 향한 방향을 가리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상부팬공기토출구(213a, 213b)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팬공기토출구(213a, 213b)는 상부팬하우징의 전방을 향하되, 바람직하게는 상부팬하우징의 상부 가장자리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fan (210a, 210b) through the upper fan air inlet (212a, 212b)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blade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on the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By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an housing, the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fan air outlets 213a and 213b extending forward (indicating the direction toward the do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Here, the upper fan air outlets 213a and 213b face the front of the upper fan housing, but preferably may be provided from the upper edge of the upper fan housing toward the front.

한편, 상부팬공기토출구(213a, 213b)의 전방에는 상부루버(210)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n upper louver 21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fan air outlets 213a and 213b.

상부루버(220)는 상부팬공기토출구(213a, 213b)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상부공기토출구(15b)로 유도하되, 상부공기토출구(15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The upper louver 220 guide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fan air outlets 213a and 213b to the upper air outlet 15b, but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air outlet 15b.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루버를 나타낸 도면이되, 보다 상세하게, 상부루버구동장치(222)와 적어도 하나의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결합 관계는 도 7에 도시하였고, 상부루버구동장치(222)와 상부루버날개(223a~223e)가 결합된 상태의 상부루버(220)를 후방에서 바라면 모습은 도 8에 도시하였다.6 is a view showing an upper lou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n more detail,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louver driving device 222 and at least one upper louver wing (223a to 223e) is shown in FIG. The appearance of the upper louver 22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louver driving device 222 and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are coupled is shown in FIG. 8 when viewed from the rear.

도 6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루버(220)는 상부루버하우징(221)과, 상부루버하우징(221)에 마련된 상부루버구동장치(222)와, 하방의 상부공기토출구(15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루버날개(223a~223e)와, 상부루버구동장치(222)의 구동에 따라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상단을 축으로 하여, 상부루버구동장치(222)의 하단을 의류처리실(11)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상부루버구동장치(222)와 상부루버날개(223a~223e)를 서로 연결하는 링크부재(225, 226)를 포함할 수 있다.6 to 8, the upper louver 220 includes an upper louver housing 221, an upper louver driving device 222 provided in the upper louver housing 221, and an upper air outlet 15b below. At least one upper louver wing (223a ~ 223e)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louver wing (223a ~ 223e) as an axis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upper louver driving device 222, the upper Link members 225 and 226 connecting the upper louver driving device 222 and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to reciprocate the lower end of the louver driving device 22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can include

이때, 상부루버날개(223a~223e)는 상부팬공기토출구(213a, 213b)의 전방에 위치하여, 후방으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하방의 상부공기토출구(15b)로 유도하되,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자세에 따라 상부공기토출구(15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are located in front of the upper fan air outlets 213a and 213b, and guide the air supplied from the rear to the lower upper air outlet 15b, but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b. 223e),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15b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223e).

다시 말해, 상부루버날개(223a~223e)는 상부루버하우징(221)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팬(220)의 구동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방에 위치한 상부기토출구(15b)를 통해 토출될 때,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louver housing 221,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rear by driving the upper fan 220 passes through the upper air discharge outlet 15b located at the lower side. When it is discharged through,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ir.

여기서, 상부루버날개(223a~223e)는 두께가 얇은 판상일 수 있으며, 판상의 상부루버날개(223a~223e)는 전방 단부가 상부루버하우징(221)의 내벽의 곡면에 상응하도록 곡선일 수 있다.Here,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may have a thin plate shape, and the plate-lik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may have a front end curved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upper louver housing 221 .

상부루버하우징(221)의 전방 내벽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을 향하도록 굽은 곡면을 가져, 후방에 위치한 상부팬(210)의 상부팬공기토출구(213a, 213b)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부루버하우징(221)의 전방 내벽을 따라 간섭없이 전방 하부에 마련된 상부공기토출구(15b)로 토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front inner wall of the upper louver housing 221 has a curved surface that is curv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upper fan air outlets 213a and 213b of the upper fan 210 located at the rear passes through the upper louver housing 221. ) can be induc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15b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without interference along the front inner wall of the ).

상부루버날개(223a~223e)는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상부루버날개(223a~223e)는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되,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상부루버날개(223a~223e)는 상부루버링크(22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may be plural, and the plurality of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can be connected.

대략 막대 형상의 상부루버링크(226)에 복수의 상부루버날개(223a~223e)는 상부루버링크(2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병렬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of the substantially bar-shaped upper louver link 226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louver link 226.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상단은 고정단이고,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하단은 자유단으로서,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상단을 회전축으로하여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하단은 좌우로 왕복동하되, 복수의 상부루버날개(223a~223e)가 하나의 상부루버링크(226)의 직선운동에 의해 동시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상부루버날개(223a~223e) 중 어느 일부는 상부루버링크(226)에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the upper ends of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are fixed ends, and the lower ends of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are free ends, and the upper ends of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The lower ends of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reciprocate left and right with the rotation axis, but the plurality of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are simultaneously centered on the rotation axis by the linear motion of one upper louver link 226. Some of the plurality of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may be coupled to the upper louver link 226 so as to perform rotational movement.

구체적으로, 상부루버날개(223a~223e)는 상단의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 일 예로 중간 높이에, 루버날개결합돌기(2232a~2232e)가 마련되되, 상기 루버날개결합돌기(2232a~2232e)는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후측단 일부에 개구된 부분의 내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are provided with louver wing coupling projections (2232a to 2232e) at a distance that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at the top, for example, at an intermediate height, and the louver wing coupling projections (2232a to 2232e) 2232e) may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open part of the rear end part of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복수의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루버날개결합돌기(2232a~2232e)는 상부루버링크(226)의 루버날개연결구(2262a~2262e) 각각에 삽입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louver wing coupling protrusions 2232a to 2232e of the plurality of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may be fitted so as to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louver wing connectors 2262a to 2262e of the upper louver link 226.

즉, 상부루버링크(226)는 소정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루버날개연결구(2262a~2262e)를 가져,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루버날개결합돌기(2232a~2232e)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louver link 226 has a plurality of louver wing connectors 2262a to 2262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louver wing coupling protrusions 2232a to 2232e of the upper louver wing 223a to 223e are coupled. can do.

상기 루버날개연결구(2262a~2262e)의 이격 간격은 동일하게 함으로써,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상부루버날개(223a~223e)에 의해 의류처리실(11) 내 수용 또는 거치된 의류를 향하여 송풍방향 전환시 전환방향과 무관하게 송풍량이 균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y mak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ouver wing connectors 2262a to 2262e the same, the airflow direction is changed toward the clothes accommodated or mounted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by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reciprocating left and right.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blowing amount uniform regardless of the direction.

한편, 상부루버링크(226)의 일단부에는 상부루버커넥터(225)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고, 상부루버커넥터(225)의 타단부는 상부루버바(224)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부루버커넥터(225)는 상부루버링크(226)와 상부루버바(224)를 상호 연결하여, 상부루버구동장치(222)의 편심된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부루버바(224)의 운동방향으로 상부루버링크(226)에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one end of the upper louver connector 225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louver link 226,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louver connector 225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louver bar 224. That is, the upper louver connector 225 connects the upper louver link 226 and the upper louver bar 224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louver bar 224 rotates around the eccentric drive shaft of the upper louver driving device 222.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upper louver link 226 in the movement direction.

여기서, 상기 상부루버링크(226)의 일단부에는 상기 상부루버커넥터(225)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연결구(2261)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루버커넥터(225)의 일단부에는 루버날개결합돌기(2232a~2232e)와 같이 형성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커넥터연결구(2261)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Here, a connector connector 2261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louver link 226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louver connector 225. At one end of the upper louver connector 225,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like the louver wing coupling protrusions 2232a to 2232e is formed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or connector 2261 to be fitted.

또한, 상부루버바(224)는 양측단이 고정단으로서, 양측단이 그 위치가 고정된 막대 형상이되, 일단부는 상부루버구동장치(222)의 편심된 구동축에 결합될 수 있다(도 8 참조). 상부루버바(224)의 타단부는 고정단으로서 상부루버하우징(221)의 상측 내벽에 마련된 바결합구(2211)에 자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upper louver bar 224 are fixed ends, and both ends have a rod shape whose position is fixed, and one end can be coupled to the eccentric drive shaft of the upper louver driving device 222 (FIG. 8 reference). Of course, the other end of the upper louver bar 224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ar coupler 2211 provided on the upper inner wall of the upper louver housing 221 as a fixed end.

상부루버바(224)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ㄷ'자로 굽어진 부분에 상기 상부루버링크(226)의 타단부는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상부루버링크(226)의 일단부는 상부루버링크(226)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부루버구동장치(222)의 구동에 의해 편심된 구동축과 이에 연결된 상부루버바(224)는 회동함으로써, 상부루버커넥터(225)를 매개로 상부루버링크(226)는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upper louver link 226 may be connected to a part of the upper louver bar 224, preferably a 'c'-shaped bent part, and one end of the upper louver link 226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louver link 226 ), the drive shaft eccentric by the drive of the upper louver drive device 222 and the upper louver bar 224 connected thereto rotate, thereby forming the upper louver link 226 through the upper louver connector 225 can reciprocate in a straight line.

상부루버링크(226)가 직선방향, 즉 의류처리실(11)의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함으로써, 상부루버링크(226)에 마련된 루버날개연결구(2262a~2262e)를 작용점으로 상부루버날개(223a~223e)를 동 방향으로 운동케할 수 있다.As the upper louver link 226 reciprocates in the straight direction, that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use the louver wing connectors 2262a to 2262e provided in the upper louver link 226 as action points. ) can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결국, 루버날개연결구(2262a~2262e)에 결합된 루버날개결합돌기(2232a~2232e)를 작용점으로 상부루버날개(223a~223e)는 고정단인 루버날개축지지대(2231a~2231e)를 중심으로 자유단인 하단이 의류처리실(11)의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In the end,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are free with the louver wing coupling protrusions 2232a to 2232e coupled to the louver wing connectors 2262a to 2262e as the point of action, and the louver wing shaft support 2231a to 2231e, which is a fixed end, as the center. The lower end of the single unit may reciproc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여기서, 루버날개축지지대(2231a~2231e)는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상단에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막대형상일 수 있으며, 루버날개축지지대(2231a~2231e)의 양단부는 상부루버하우징(221)의 상측 내벽에 마련된 한 쌍의 날개단결합구(2213a ~ 2216b)에 결합되되, 상부루버날개(223a~223e)의 고정단이 자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부루버날개(223a~223e)는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louver wing shaft supports 2231a to 2231e may be bar-shaped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at the top of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and the louver wing shaft supports 2231a to 223e. Both ends of 2231e) are coupled to a pair of wing end couplers 2213a to 2216b provided on the upper inner wall of the upper louver housing 221, and the fixed ends of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are coupled to rotate, The position of the upper louver wings 223a to 223e may be fixed.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팬(210) 및 상부루버(220)에 의해 의류처리실(11)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송풍을 하되, 좌우로 교번하여 반복 송풍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되거나 거치된 의류를 직접 흔들지 않아도, 의류를 신속히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따위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is blown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by the upper fan 210 and the upper louver 220, but the air is blown alternately left and right, so that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it is possible to quickly dry clothes or quickly remove dust and odors remaining on clothes without shaking the clothes stored or mounted in the room.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에 위치하여, 의류처리실(11) 내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배면공기토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air discharge port 13 may be disposed at a rea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o discharge air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결국,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토출구(12b)를 통해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송풍할 수 있고, 또 상부공기토출구(15b)를 통해 의류처리실(11)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송풍할 수 있으며, 또 배면공기토출구(13)를 통해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에서 전방으로 송풍할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3, air can be blown up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12b, and air can be blown up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rough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15b. Air can be blown out, and air can be blown forward from the back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rough the rear air discharge port 13.

이때, 공기토출구(12b)를 통해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배면공기토출구(13)를 통해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에서 전방으로 송풍되는 공기는 히트펌프장치(100)에 의해 제습되거나 건조된 공기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blown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12b and the air blown forward from the rear rear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rough the rear air discharge port 13 are a heat pump device ( 100) may be dehumidified or dried air.

결국,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되거나 거치된 의류를 향하여 다각도에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의류를 향하여 상하방향뿐만 아니라 측방향에서 송풍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 사각지대 없이 송풍할 수 있기 때문에, 의류처리실(11) 내 여러 의류에 대하여 누락없이 의류를 신속히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따위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As a result, air may be blown from various angles toward the clothes accommodated or placed in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 Since the air can be blown without a blind spot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by blowing air toward the cloth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clothes can be quickly dried without missing or left on the clothes for various clothes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It can quickly remove dust, odors, etc.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실(11) 하부에 마련된 기계실(20)에는 히트펌프장치(100)가 수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pump device 1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machine room 20 provided under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트펌프장치(100)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히트펌프장치와 유사하게 증발기(110), 응축기(120), 압축기(130), 및 유량조절밸브(미도시)를 포함하여,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heat pump device 100 includes an evaporator 110, a condenser 120, a compressor 130, and a flow control valve (not shown) similarly to a heat pump device used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or the like. ), it is possible to dehumidify and heat the air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re-supply it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냉매는 증발기(110), 응축기(120), 압축기(130) 및 유량조절밸브(140)를 순환하고,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는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 내 습기는 제거되고 가열될 수 있다. 이때, 공기가 히트펌프장치(100) 내 열교환장치인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흐름을 갖도록 증발기(110) 또는 응축기(120) 주변, 구체적으로 열교환장치인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의 전단 또는 후단, 즉 공기 흐름 기준으로 상류측단 또는 하류측단에 팬(105)이 마련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circulates through the evaporator 110, the condenser 120, the compressor 130, and the flow control valve 140, and the air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20. By circulating along the circulation passage that is re-supplied to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moisture in the air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can be removed and heated. At this time, the air around the evaporator 110 or condenser 120, specifically, the evaporator 110 as a heat exchange device, and The fan 105 may be provided at a front end or a rear end of the condenser 120, that is, at an upstream end or a downstream end based on air flow.

히트펌프장치(100)는 의류처리실(11) 내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공기 내 습도를 제거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 의류를 건조하거나 리프레쉬할 수 있다.The heat pump device 100 may dry or refresh clothes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by heating the air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simultaneously removing moisture from the air.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 내의 공기는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 위치한 공기유입구(12a)를 통해 기계실(20) 내 흡입덕트(151)를 통해 공기유입구(101a)로 유입되고,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거쳐, 배기덕트(153)를 통해 공기배출구(101b) 및 이와 연통되는 공기토출구(12b)로 배출되는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흐름은 공기유로 상에 마련된 팬(105)의 구동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ir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01a through the air inlet 12a located at the upper front end of the machine room 20 and through the suction duct 151 in the machine room 20, and the air inlet 101a. The air introduced through 101a may have a flow path discharged through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20, and through the exhaust duct 153 to the air outlet 101b and the air outlet 12b communicating therewith. . This air flow may be formed by driving the fan 105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

또한, 공기토출구(12b)를 통해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송풍되는 공기는, 배기덕트(153)에 마련된 공기의 유로를 전환하는 수단에 의해 송풍방향이 전환되어, 배면공기토출구(13)를 통해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에서 전방으로 송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blown up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12b is changed in the blowing direction by means for changing the air passage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153, so that the rear air discharge port ( 13), air can be blown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상기 의류처리실(11)로부터 인출되어 다시 의류처리실(11)로 공급되는 공기 유로 상, 특히 의류처리실(11)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흡입덕트(151) 상에는 필터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의류처리실(11) 내 공기 중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기계실(20)로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filter is provided on the air passage drawn from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particularly on the suction duct 151 flowing from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o the machine room 20. It is preferable to re-supply purified air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by filter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 the treatment chamber 11 so that they do not flow into the machine room 20 .

결국, 사용자가 도어 등에 마련된 입력부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에 건조코스나 실내제습코스 등과 같은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팬(105)을 구동시켜, 의류처리실(11) 내 공기를 순환공기유로(또는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케하되, 이때 순환공기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거쳐 열교환됨으로써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Eventually, when a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such as a drying course or an indoor dehumidifying course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on a door or the like, the control unit drives the fan 105 to circulate the air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It is circulated along the air passage (or circulation passage), but at this time, the air flowing along the circulation air passage can be dehumidified and heated by heat exchange through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20.

이때,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되거나 거치된 의류를 향하여 여러 방향(상면, 하면, 배면)에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류를 직접 흔들지 않아도 해당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t this time, air is blown from various directions (upper, lower, and rear) toward the clothes accommodated or mounted in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so that dust, odor, wrinkles, or moisture remaining in the clothes are removed without directly shaking the clothes. can be effectively remov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를 직접 흔들지 않고, 옷걸이봉(16)에 행잉(hanging)된 옷걸이(50)에 걸친 의류의 내측면에 잔류하는 먼지나 냄새 따위를 제거하기 위해, 상부공기토출구(15b) 또는 상부루버(220)의 직하부에 옷걸이봉(16)이 위치할 수 있다(도 3 및 9 참조).On the other hand,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rectly shake the clothes, and removes dust and dirt remain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es over the clothes hanger 50 hanging on the clothes hanger rod 16. In order to remove odors, a hanger rod 16 may be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upper air outlet 15b or the upper louver 220 (see FIGS. 3 and 9).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봉이 장착된 의류처리실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lothes treatment room equipped with a clothes hanger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옷걸이봉(16)은 옷걸이(50)가 걸려 이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실(11)의 상부에 의류처리실(11)을 가로지르도록 가로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hanger rod 16 is a means for hanging and supporting the hanger 50, and as shown in FIG. 9, it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ross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

이때, 옷걸이봉(16)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긴 막대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옷걸이봉(16)은 캐비넷(10)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로 왕복운동하거나 원주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At this time, the hanger rod 1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 the form of a long bar. In addition, the hanger rod 16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10 and its position may be fix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ciprocated left and right or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a driving means.

긴 막대기 형태의 옷걸이봉(16)은 상부에 옷걸이(50)의 옷걸이후크(52)가 걸쳐져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의 직선 또는 곡선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봉(16)은, 일 예로, 도 3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원형이되, 어느 한 면, 일 예로 하측면이 평면인 긴 막대형상일 수 있다.The long bar-shaped hanger rod 16 may be a polygonal or circular straight line or curved cross section as long as the hanger hook 52 of the hanger 50 can be supported by hanging on the top, bu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er rod 16 according to ,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9,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and may have a long bar shape with one side, for example, a flat lower side.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봉을 나타낸 도면이다.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a clothes hanger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및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봉(16)은 상부에 옷걸이(50)의 옷걸이후크(52)가 개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옷걸이홈(171,172)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hanger bar 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hanger groove 171 and 172 in which the hanger hook 52 of the hanger 50 can be interposed. can be formed

옷걸이봉(16)의 상부에 옷걸이봉(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옷걸이홈(171,172)을 갖되, 이때 옷걸이홈(171,172)의 너비는 옷걸이후크(52)의 두께(또는 폭)에 상응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걸이봉(16)에 옷걸이(50)가 걸렸을 때, 옷걸이홈(171,172)에 옷걸이후크(5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e top of the hanger rod 16, one or more hanger grooves 171 and 172 are formed concavely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ger rod 16, but the width of the hanger grooves 171 and 172 is 52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r width) of ), as shown in FIG. 12, when the hanger 50 is caught on the hanger rod 16, the hanger hook 52 is inserted into the hanger grooves 171 and 172 to be fixed. desirable.

이에 따라, 하나의 옷걸이봉(16)에는 옷걸이홈(171,172)의 개수만큼의 옷걸이(50)가 걸쳐져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될 수 있다.Accordingly, as many hangers 50 as the number of hanger slots 171 and 172 may be hung on one hanger rod 16 and accommodated in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

한편, 더욱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옷걸이홈(171,172)은 옷걸이후크(52)가 도입되는 상측단부의 너비(또는 폭)가 넓게 확장되어, 옷걸이홈(171,172)에 옷걸이후크(52)가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width (or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hanger grooves 171 and 172 into which the hanger hooks 52 are introduced is widened, so that the hanger hooks 52 are installed in the hanger grooves 171 and 172. It is better to make it easily induced.

즉, 도 10b 및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걸이봉(16)의 상부에 형성된 옷걸이홈(171,172)은, 옷걸이후크(52)의 두께에 상응하는 너비(w1)를 가진 제1 옷걸이홈(1721)과, 제1 옷걸이홈(172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옷걸이홈(1721)보다 넓은 너비(w2)를 가진 제2 옷걸이홈(1722)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0B and 11, the hanger grooves 171 and 172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anger rod 16 have a width w1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anger hook 52. ), and a second hanger groove 1722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hanger groove 1721 and having a wider width w2 than the first hanger groove 1721.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진 복수의 제1 및 제2 옷걸이홈(1721, 1722)은, 좁은 폭의 제1 옷걸이홈(1721) 위에 제2 옷걸이홈(1722)가 다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옷걸이후크(52)를 w1 보다 넓은 너비의 w2에만 위치시키더라도, 옷걸이후크(52)가 자중에 의해 순차로 제2 옷걸이홈(1722) 및 제1 옷거리홈(1721)의 내벽을 따라 하방 이동하여, 제1 옷걸이홈(1721) 위로 유도될 수 있다. 결국, 제2 옷걸이홈(1722)을 통해 제1 옷걸이홈(1721)의 직상부에 옷걸이후크(52)가 안착됨으로써, 옷걸이후크(52)의 두께에 상응하는 너비(w1)를 가진 제1 옷걸이홈(1721)에 옷걸이후크(52)를 용이하게 유도함은 물론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hanger grooves 1721 and 1722 having different widths, the second hanger grooves 1722 are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the first hanger groove 1721 having a narrow width,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hanger hook ( 52) is located only on w2 wider than w1, the hanger hook 52 moves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s of the second hanger groove 1722 and the first clothes groove 1721 sequentially by its own weight, It can be guided over the hanger groove 1721. As a result, the hanger hook 52 is seated directly above the first hanger groove 1721 through the second hanger groove 1722, so that the first hanger has a width w1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anger hook 52. The hanger hook 52 can be easily guided to the groove 1721 and can be easily inserted.

여기서, 제1 및 제2 옷걸이홈(1721, 1722)의 내벽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Here, the shape of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and second hanger grooves 1721 and 17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3 is a view showing a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50)는 옷이 걸쳐지는 옷걸이본체(51)와, 옷걸이본체(51)의 상부에 마련되어 옷걸이본체(51)를 옷걸이봉(16)에 걸치기 위한 옷걸이후크(52)와, 옷걸이본체(51)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옷걸이본체(51)에 걸쳐진 옷의 옷깃을 옷걸이본체(51)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1 지지바(5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hang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nger body 51 on which clothes are hung,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anger body 51, and the hanger body 51 is attached to a hanger rod ( 16) and a first support bar 53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hanger body 51 and space the collar of the clothes hung on the hanger body 51 from the hanger body 51. can do.

옷걸이본체(51)는 옷, 특히 상의가 걸쳐져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대략 '-'자나 '人'자일 수 있다.The clothes hanger body 51 is a part on which clothes, particularly tops, are placed, and may have a shape of '-' or '人'.

일 예로, 옷걸이본체(5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걸이후크(52)의 위치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소정 각도의 하향으로 뻗어나간 형태를 가져, 대략 '人'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옷걸이본체(51)의 양측단을 내측에서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옷걸이본체(51) 윗부분 이외에 추가로 의류를 걸칠 수 있는 추가옷걸이바(5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5a 참고).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the hanger body 51 has a form extending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round the position of the hanger hook 52, and has an approximate '人' shape. can At this time, it is provided to cross both ends of the hanger body 51 from the inside,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hanger bar 50a for hanging clothes in addition to the upper part of the hanger body 51 (see FIG. 15A).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옷걸이본체(51)는 위에 걸쳐진 옷이 미끌어져 흘러내리지 않도록, 양단부의 상면에 요철부(511, 512)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clothes hanger body 51 may have uneven portions 511 and 512 on the upper surface of both ends so that the clothes worn thereon do not slide down.

요철부(511, 512)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걸이본체(51)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가 교대로 반복하여 복수 개가 형성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거친 표면이거나, 또는 소정 크기의 마찰력을 가진 실리콘 소재 따위가 코팅된 표면일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uneven portions 511 and 512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are alternat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nger body 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rough surface or a surface coated with a silicon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rictional force.

또한, 옷걸이후크(52)는 옷걸이본체(51)를 옷걸이봉(16)에 걸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략 갈고리 모양을 가질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옷걸이후크(52)의 두께는 옷걸이홈(171) 또는 제1 옷걸이홈(1721)의 너비에 상응하여, 옷걸이홈(171, 172)에 옷걸이후크(52)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ger hook 52 is a means for hanging the hanger main body 51 on the hanger rod 16, and may have an approximate hook shape, and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hanger hook 52 is the hanger groove 171 ) Or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hanger groove 1721,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ger hook 52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anger grooves 171 and 172.

한편, 제1 지지바(53)는 옷걸이본체(51)의 일측에 결합되어 돌출 형성되되, 옷걸이본체(51)에 옷이 걸쳐졌을 때, 옷의 옷깃, 특히 옷의 목뒷덜미부분이 옷걸이본체(51)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바(53)에 의해 옷걸이본체(51)에 걸쳐진 옷의 옷깃은 옷걸이본체(51)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upport bar 5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anger body 51 and formed to protrude, and when clothes are hung on the hanger body 51, the collar of the clothes, particularly the nape of the neck of the clothes, is formed on the hanger body ( 51) can be spaced apart. That is, a separ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collar of the clothes strung on the hanger main body 51 by the first support bar 53 and the hanger main body 5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바(53)가 옷걸이본체(51)에서 돌출될 때, 그 돌출 방향은 옷걸이봉(16)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support bar 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from the hanger body 51, the protruding direction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ger bar 16.

또한, 옷걸이봉(16)과 나란하게 돌출된 제1 지지바(53)는 옷걸이본체(51)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분, 즉 옷걸이후크(52)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bar 53 protruding in parallel with the hanger rod 16 may be provided to be locat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hanger body 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around the hanger hook 52 .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바(53)가 옷걸이봉(16)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또는 나란하게 옷걸이본체(51)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에서 돌출 형성됨으로써, 옷걸이본체(51)에 옷이 걸쳐졌을 때, 옷의 옷깃, 특히 옷의 목뒷덜미부분은 상부가 개구지게 되어,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support bar 53 is formed in the same or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ger rod 16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ger body 51, thereby forming a hanger. When clothes are hung on the main body 51, the upper part of the collar of the clothes, especially the back of the neck of the clothes is opened, so that a separation space can be formed.

결국, 상부공기토출부(15b)로부터 토출되어 송풍된 공기는 그 하부에 위치한 옷걸이봉(16) 및 이에 걸린 옷걸이(50), 특히 제1 지지바(53)에 의해 형성된 이격공간으로 유입되어, 의류를 직접 흔들지 않아도 의류의 내측면에 잔류하는 먼지나 냄새 따위를 제거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ir discharged and blown from the upper air discharge unit 15b flows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hanger rod 16 and the hanger 50 caught thereon, especially the first support bar 53,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Even if you do not shake the clothes directly, you can remove dust or odors remain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es.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공기토출구를 통해 옷걸이를 항하여 토출되는 공기 방향을 도식화한 도면이다.Meanwhile,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ward a hanger through an upper air discharg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걸이봉(16)에 형성된 옷걸이홈(171, 172)에 끼워진 옷걸이후크(52)의 옷걸이본체(51)는 의류처리실(11)의 내측방향으로 길게 놓여지게 된다.As shown in FIG. 12, the hanger main body 51 of the hanger hook 52 inserted into the hanger grooves 171 and 172 formed in the hanger rod 16 is placed lo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옷걸이봉(16)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옷걸이홈(171, 172)의 개수만큼의 옷걸이(50)가 의류처리실(11) 내 마련될 수 있고, 옷걸이봉(16)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공기토출부(15b)로부터 토출되어 송풍된 공기에 의해 다수의 의류의 내측면에 잔류하는 먼지나 냄새 따위는 동시에 제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 one hanger rod 16, as many hangers 50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hanger grooves 171 and 172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may be provided in the clothes handling room 11, and the hanger rod ( 16), dust or odor remaining on the inner surface of a plurality of clothes can be simultaneously removed by the air discharged and blown from the upper air discharge unit 15b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clothes.

이러한 옷걸이본체(51)에 여러 벌의 옷이 걸쳐졌을 때, 복수의 의류에 대하여 동시에 먼지나 냄새 제거를 하기 위해, 상부공기토출부(15b)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옷걸이본체(51)에 걸쳐진 옷의 전면이나 후면과 같은 넓은 면적을 향하여 송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방향에서 지속적으로 송풍하는 것보다는 여러 방향에서 송풍되거나, 또는 송풍방향이 전환되면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several sets of clothes are hung on the hanger body 51,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air discharge unit 15b is used to remove dust or odor from the plurality of clothes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is blown toward a large area such as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air, and it is preferable to blow air from several directions rather than continuously blow it in one direction, or to make the air flow change while the air flow direction is switched.

따라서, 상부공기토출부(15b), 구체적으로 상부루버(22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방향은 전환되되, 옷걸이봉(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풍방향이 왕복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air discharge unit 15b, specifically the upper louver 220, is switched, but the blowing direction is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switched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ger bar 16. desirable.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3 is a view showing a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걸이본체(51)에 결합된 제1 지지바(53)는, 옷걸이본체(51)의 일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제1 지지바(53)는 옷걸이본체(51)의 저면에 결합되어 옷걸이봉(16)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first support bar 53 coupled to the hanger body 51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anger body 51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support bar 53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anger body 51 and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ger rod 16.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바(53)는 옷걸이본체(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1 지지바(53)를 펼쳐 전개시키거나 제1 지지바(53)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How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bar 5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lothes hanger body 51, so that the user can unfold and deploy the first support bar 53 as needed. 1 It is good to be able to fold the support bar (53).

만약, 제1 지지바(53)를 펼쳐 전개시킨 경우, 옷걸이본체(51)에 걸쳐진 옷의 내측면에 잔류하고 있는 먼지나 냄새는 신속하게 제고할 수 있으나, 하나의 옷걸이봉(16)에 걸린 인접한 옷걸이(50)들 간의 이격 간격은 좁아져, 동시에 먼지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의류의 개수는 줄어들 수 있다.If the first support bar 53 is unfolded and deployed, the dust or odor remain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es hanging on the hanger body 51 can be quickly removed, but it is caught on one hanger rod 16.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hangers 50 is narrowed, so the number of clothes that can remove dust or odor at the same time can be reduced.

이와 반대로, 제1 지지바(53)를 접은 경우, 하나의 옷걸이봉(16)에 더 넓은 이격 간격으로 많은 수의 옷걸이(50)를 걸을 수 있지만, 옷걸이본체(51)에 걸쳐진 옷의 내측면에 잔류하고 있는 먼지나 냄새를 제거하는 데에는 다소 비효율적이다.Conversely, when the first support bar 53 is folded, a large number of hangers 50 can be hung on one hanger bar 16 at wider intervals, but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es hanging on the hanger body 51 It is somewhat inefficient in removing dust or odors remaining on the surface.

따라서, 사용자는 먼지나 냄새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류의 내측면 위주로 할 것인지, 외측면 위주로 할 것인지에 따라, 그리고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의류의 개수에 따라, 제1 지지바(53)의 전개 여부 및/또는 전개 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support bar 53 is deployed or not and / Alternatively, the deployment angle may be varied.

물론, 선택적으로 일부의 옷걸이(50)에 대해서는 제1 지지바(53)를 전개시킬 수도 있고, 나머지의 옷걸이(50)에 대해서는 제1 지지바(53)를 접을 수도 있다.Of course, the first support bar 53 may be selectively developed for some hangers 50, and the first support bar 53 may be folded for the remaining hangers 50.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바(53)는 양단이 제1 및 제2 결합구(513, 514)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지지바(53)의 양단은 제1 및 제2 결합구(513, 514)에 삽입 결합되되, 제1 지지바(53)는 양단 사이에 어느 일 방향으로 '∪' 또는 '└┘' 형태로 돌출되도록 굽어진 만곡부를 포함하여, 결국, 제1 지지바(53)는 '

Figure 112021039672330-pat00001
'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To this end,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513 and 514 .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53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513 and 514, and the first support bar 53 is '∪' or '└ in one direction between both ends. Including the curved portion bent to protrude in the form of ┘', eventually, the first support bar 53 is '
Figure 112021039672330-pat00001
' can have the same form.

한편, 제1 및 제2 결합구(513, 514)는 제1 지지바(53)의 양단이 결합되는 부분의 외주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514a, 514b)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513, 514)에 결합된 제1 지지바(53)가 회동할 때 제1 지지바(53)의 만곡부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514a, 514b) 각각에 개재되어 걸림으로써 제1 지지바(53)의 회전각도 또는 전개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513 and 514 may have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514a and 514b formed concave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ortion to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53 are coupled, and When the first support bar 53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513 and 514 rotates, the curve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53 is inter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514a and 514b, By hanging, the rotation angle or the deployment angle of the first support bar 53 can be adjusted.

여기서, 제1 및 제2 결합구(513, 514)가 복수의 걸림홈(514a, 514b)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결합구(513, 514)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걸림홈(514a, 514b)들 사이에는, 제1 지지바(53)의 회동을 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5141, 5142)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Here, in order for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513 and 514 to form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514a and 514b,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513 and 514 are, as shown in the drawing, Between the two adjacent locking grooves 514a and 514b,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5141 and 5142 may be includ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53 .

결국, 제1 지지바(53)의 만곡부의 양측부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514a, 514b) 중 어느 하나에 개재됨으로써, 제1 지지바(53)의 회전각도 또는 전개각도는 고정되게 된다.As a result, both sides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53 are interpos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514a and 514b, so that the rotation angle or the deployment angle of the first support bar 53 is fixed.

이후, 제1 지지바(53)의 만곡부의 양측부는 내측으로 가압되면 걸림홈(514a, 514b)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제1 지지바(53)의 회전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제1 지지바(53)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하여 만곡부의 양측부는 또 다른 걸림홈(514a, 514b)에 개재됨으로써 조정된 회전각도로 제1 지지바(53)는 고정될 수 있다.Then, when both sides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53 are pressed inward, they can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s 514a and 514b, and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support bar 53. 1 The first support bar 53 can be fixed at the adjusted rotation angle by being retur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bar 53 and being interposed in the other locking grooves 514a and 514b at both sides of the curved portion.

일 예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바(53)가 도면부호 514a의 걸림홈에 개재되면 제1 지지바(53)가 수평방향, 즉 옷걸이봉(16)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전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옷걸이본체(51)와 옷의 옷깃 사이에 상부공기토출구(15b)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first support bar 53 is interposed in the locking groove of reference numeral 514a, the first support bar 53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in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hanger bar 16. Accordingly, a separation space into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15b can flow can be formed between the hanger body 51 and the collar of the clothes.

이와 다르게, 제1 지지바(53)가 회동하여, 도면부호 514b의 걸림홈이나, 이와 대향한 걸림홈(미도시)에 개재되면, 제1 지지바(53)가 상방의 수직방향으로 또는 하방의 수직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옷걸이본체(51)와 옷의 옷깃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first support bar 53 rotates and is interposed in the locking groove of reference numeral 514b or the opposite locking groove (not shown), the first support bar 53 moves upward or downward in a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and a separation space may not be formed between the hanger body 51 and the collar of the clothes.

전술한 제1 지지바(53)의 전개각도 또는 회전각도는 단위 회전각이 90°이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90°미만의 단위 회전각을 가져 복수의 전개각도를 가질 수 있다.The deployment angle or rotation angle of the first support bar 53 described above has a unit rotation angle of 90 °,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unit rotation angle of less than 90 ° and has a plurality of deployment angles. can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결합구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multi-stage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결합구(513, 514)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바(53)의 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외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걸림홈(524a ~ 524d)들 중 인접한 두 걸림홈(524a ~ 524d)들이 이루는 각도가 90°미만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513 and 514 are, as shown in FIG. 14,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ound the portion where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53 is coupled. An angle formed by two adjacent catching grooves 524a to 524d among the plurality of catching grooves 524a to 524d provided may be less than 90°.

일 예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바(53)가 도면부호 524a의 걸림홈에 개재되면 제1 지지바(53)가 수평방향, 즉 옷걸이봉(16)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전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옷걸이본체(51)와 옷의 옷깃 사이에 상부공기토출구(15b)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이격공간을 가장 크게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when the first support bar 53 is interposed in the locking groove of reference numeral 524a, the first support bar 53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in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hanger bar 16. Accordingly, the largest separation space into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15b can flow can be formed between the hanger body 51 and the collar of the clothes.

이와 다르게, 제1 지지바(53)가 회동하여, 도면부호 524c의 걸림홈이나, 이와 대향한 걸림홈(미도시)에 개재되면, 제1 지지바(53)가 상방의 수직방향 또는 하방의 수직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옷걸이본체(51)와 옷의 옷깃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Unlike this, when the first support bar 53 rotates and is interposed in the locking groove of reference numeral 524c or the opposite locking groove (not shown), the first support bar 53 moves upward or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ccordingly, a separation space may not be formed between the hanger body 51 and the collar of the clothes.

또한, 이와 다르게, 제1 지지바(53)가 회동하여, 도면부호 524b나 524d의 걸림홈에 개재되면, 제1 지지바(53)가 상방대각방향이나 하방대각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옷걸이본체(51)와 옷의 옷깃 사이에는 상부공기토출구(15b)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이격공간이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first support bar 53 rotates and is interposed in the locking groove of reference numeral 524b or 524d, the first support bar 53 can be deployed in an upward diagonal direction or a downward diagonal direction. Accordingly, a separation space into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15b can flow may be formed between the clothes hanger body 51 and the collar of the clothes in an appropriate size.

결국, 걸림홈(524a ~ 524d)에 개재되는 제1 지지바(53)의 회전각도 또는 전개각도는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어, 옷걸이본체(51)에 걸쳐진 옷의 옷깃 내측의 이격공간 크기를 세밀하게 조정하거나, 옷걸이봉(16)에 거는 옷걸이(50)의 개수를 세분화하여 조정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rotation angle or unfolding angle of the first support bar 53 interposed in the locking grooves 524a to 524d can be further varied, so that the size of the separation space inside the collar of the clothes hanging on the hanger body 51 can be finely adjusted. Or, the number of hangers 50 hanging on the hanger rod 16 may be adjusted by subdividing.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옷걸이본체(51)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옷걸이본체(51)에 걸쳐진 옷의 목어깨부위를 옷걸이본체(51)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2 지지바(54, 55)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body 51 to separate the neck and shoulder area of clothes over the hanger body 51 from the hanger body 51. Bars 54 and 55 may be included.

도 15a 및 1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15a and 15b are views showing hang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 및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바(54, 55)는 제1 지지바(53)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때, 제2 지지바(54, 55)는 옷걸이본체(51)의 양측 각각에 마련된 어느 한 제2 지지바(54, 55)는 한 쌍의 결합구(515 ~ 518)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5A and 15B,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support bar 53, and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are the clothes hanger body. Any one of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provided on both sides of 5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a pair of couplers 515 to 518.

일 예로, 어느 한 제2 지지바(54)는 양단이 제3 및 제4 결합구(515, 516)에 삽입 결합되고, 마찬가지로, 다른 한 제2 지지바(55)는 양단이 제5 및 제6 결합구(517, 518)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both ends of one second support bar 54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hird and fourth couplers 515 and 516, and similarly, the other second support bar 55 has both ends of the fifth and fourth couplers 515 and 516, respectively. It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o 6 couplers 517 and 518.

이때, 제2 지지바(54, 55)는 그 양단 사이에 어느 일 방향으로 '∪' 또는 '└┘' 형태로 돌출되도록 굽어진 만곡부를 포함하여, 결국, 제2 지지바(54, 55)는 제1 지지바(53)와 마찬가지로 '

Figure 112021039672330-pat00002
'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include a curved portion between both ends thereof bent to protrude in a '∪' or '└┘' shape in one direction, and eventually,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As with the first support bar 53 '
Figure 112021039672330-pat00002
' can have the same form.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및 제4 결합구(515, 516)와, 제5 및 제6 결합구(517, 518)는 옷걸이본체(51)의 중심측(또는 상부측)에 치우쳐져 위치할 수 있고, 각각에 결합되는 제2 지지바(54, 55)는 옷걸이본체(51)의 상면에서 말단부를 향하여 뻗치도록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third and fourth couplers 515 and 516 and the fifth and sixth couplers 517 and 518 are biased toward the center side (or upper side) of the hanger body 51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coupled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body 51 toward the distal end.

결국, 제3 내지 제6 결합구(515 ~ 518)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지지바(54, 55)는,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만곡부의 말단부가 상방으로 젖혀져 전개됨으로써, 옷걸이본체(51)에 옷이 걸쳐졌을 때, 옷의 목어깨부위를 옷걸이본체(51)로부터 이격시켜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to sixth couplers 515 to 518 are, as shown in FIG. 15A, the distal ends of each curved portion are bent upward and developed. , When clothes are hung on the hanger body 51, the neck and shoulder of the clothes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anger body 51 to form a separation space.

제3 내지 제6 결합구(515 ~ 518)는 제1 및 제2 결합구(513, 514)와 같이, 제2 지지바(54, 55)가 결합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을 가져, 제3 내지 제6 결합구(515 ~ 518)에 결합된 제2 지지바(54, 55)가 회동시 만곡부가 걸림홈에 개재되어 제2 지지바(54, 55)의 전개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Like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513 and 514, the third to sixth couplers 515 to 518 have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are coupled. When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coupled to the third to sixth couplers 515 to 518 rotate, the curved portion is interposed in the locking groove to adjust the deployment angle of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can

제2 지지바(54, 55)의 전개각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전개시 수평방향을 향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접혔을 때 옷걸이본체(51)의 상면 위에 안착하도록 옷걸이본체(51)의 상면과 같은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The deployment angle of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dir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during deployment, and on the contrary, when folded,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body 5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body 51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body can be headed in the same direction.

이에 따라, 제2 지지바(54, 55)가 전개시 상부공기토출구(15b)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제1 지지바(53)가 전개됨으로써 형성되는 이격공간, 그리고/또는 제2 지지바(54, 55)가 전개됨으로써 형성되는 이격공간으로 유입되어, 옷걸이본체(51)에 걸쳐진 옷의 내측면에 잔류하는 먼지나 냄새 따위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are deploye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air outlet 15b is separated from the space formed by the deployment of the first support bar 53, and/or the second support bar 54 , 55) is introduced into the spaced space formed by the development of the hanger body 51, and dust or odor remain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es hanging over the hanger body 51 can be effectively removed.

물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2 지지바(54, 55)만 전개시키거나, 제1 지지바(53)와 함께 전개시킬 수도 있다.Of course, the user may deploy only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or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bar 53 as need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내지 제6 결합구(515 ~ 518)는 옷걸이후크(52)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고, 제2 지지바(54, 55)는 상방의 수직방향으로 전개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o sixth couplers 515 to 518 are provid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hanger hook 52, and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are upwards. It may be possible to develop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지지바(54, 55)를 상방의 수직방향으로 전개한 다음, 제2 지지바(54, 55)와 옷걸이본체(51) 사이에 옷을 걸쳐놓고, 제2 지지바(54, 55)를 하방으로 접어, 옷걸이본체(51)의 상면 위에 안착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deploys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in an upward vertical direction, then places clothes between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and the clothes hanger body 51, and the second support bar (54, 55) can be folded downwar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body (51).

제3 내지 제6 결합구(515 ~ 518)에 형성된 걸림홈에 개재된 제2 지지바(54, 55)는 그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옷걸이본체(51)의 상면과의 사이에 개재된 옷을 홀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옷걸이본체(51)에 걸쳐진 옷은 송풍이나 진동 등에 의해 옷걸이본체(5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second support bars 54 and 55 interposed in the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third to sixth couplers 515 to 518 is fixed, so that the clothe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hanger body 51 are removed. It can be held, and accordingly, the clothes hanging on the hanger body 5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anger body 51 by blowing or vibration.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넷
11: 의류처리실 12a: 공기유입구
12b: 공기토출구 13: 배면공기토출구
15a: 상부공기유입구 15b: 상부공기토출구
16: 옷걸이봉 171, 172: 옷걸이홈
1721: 제1 옷걸이홈 1722: 제2 옷걸이홈
20: 기계실 21: 상부기계실
31: 급수통 32: 배수통
40: 도어 50: 옷걸이
50a: 추가옷걸이바 51: 옷걸이본체
511, 512: 요철부 513~518: 제1 ~ 제6 결합구
514a, 514b: 걸림홈 52: 옷걸이후크
524a ~ 524d: 걸림홈 53: 제1 지지바
54, 55: 제2 지지바 100: 히트펌프장치
105: 팬 110: 증발기
120: 응축기 130: 압축기
151: 흡입덕트 153: 배기덕트
210, 210a, 210b: 상부팬 211: 상부팬구동장치
212a, 212b: 상부팬공기유입구 213a, 213b: 상부팬공기토출구
220: 상부루버 221: 상부루버하우징
222: 상부루버구동장치 223a~223e: 상부루버날개
224: 상부루버바 225: 상부루버커넥터
226: 상부루버링크 2261: 커넥터연결구
2262a~2262e: 루버날개연결구 2231a~2231e: 루버날개축지지대
2232a~2232e: 루버날개결합돌기
1: clothes handling device 10: cabinet
11: clothing processing room 12a: air inlet
12b: air outlet 13: rear air outlet
15a: upper air inlet 15b: upper air outlet
16: hanger rod 171, 172: hanger home
1721: first hanger groove 1722: second hanger groove
20: machine room 21: upper machine room
31: water tank 32: drain tank
40: door 50: hanger
50a: Additional hanger bar 51: Hanger body
511, 512: uneven portions 513 to 518: first to sixth couplers
514a, 514b: hooking groove 52: hanger hook
524a ~ 524d: locking groove 53: first support bar
54, 55: second support bar 100: heat pump device
105: fan 110: evaporator
120: condenser 130: compressor
151: intake duct 153: exhaust duct
210, 210a, 210b: upper fan 211: upper fan driving device
212a, 212b: upper fan air inlet 213a, 213b: upper fan air outlet
220: upper louver 221: upper louver housing
222: upper louver drive device 223a ~ 223e: upper louver wing
224: upper louver bar 225: upper louver connector
226: upper louver link 2261: connector connector
2262a~2262e: Louver wing connector 2231a~2231e: Louver wing shaft support
2232a ~ 2232e: louver wing coupling protrusion

Claims (12)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에 마련되어, 옷걸이를 지지하는 옷걸이봉; 및
상기 의류처리실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부공기토출구를 가진 상부기계실;
을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는, 옷이 걸쳐지는 옷걸이본체와, 상기 옷걸이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본체를 상기 옷걸이봉에 걸기 위한 옷걸이후크와, 상기 옷걸이본체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옷걸이본체에 걸쳐진 옷의 목부위를 상기 옷걸이본체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1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바는, 상기 옷걸이본체의 일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바의 회동에 의해 전개시 상기 옷걸이본체에 걸쳐진 옷의 목부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공기토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실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옷걸이의 상기 이격공간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하되, 상기 제1 지지바는 복수의 전개각도를 갖고,
상기 옷걸이본체는, 상기 제1 지지바의 양단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바는,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지지바의 양단 사이에 어느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굽어진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는, 상기 제1 지지바의 양단이 결합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을 가져,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에 결합된 상기 제1 지지바가 회동시 상기 만곡부가 상기 걸림홈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지지바의 전개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forming a clothes processing room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 hanger rod provided inside the clothes handling room to support hangers; and
an upper machine room provided above the laundry treatment room and having an upper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including,
The hanger includes a hanger main body through which clothes are hung, a hanger hook coupled to the hanger main body to hang the hanger main body on the hanger rod, and a neck portion of clothes hung on the hanger main body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hanger main body. Including a first support bar for spaced apart from the hanger body,
The first support bar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anger body, and when deploy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a separation space is formed in the neck of the clothes strung on the hanger body, so that the upper air The air discharg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toward the separation space of the hanger, and the first support bar has a plurality of unfolding angles;
The hanger body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couplers to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re coupled, and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1 includes a curved portion bent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have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to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re coupled, so that when the first support bar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rotates, the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curved portion is interposed in the locking groove to adjust a deployment angle of the first support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상부공기유입구와, 상기 상부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상부공기토출구를 가진 상기 상부기계실은,
상기 상부공기유입구와 상기 상부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하는 상부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상부팬; 및
상기 상부공기토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공기토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실로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을 전환하는 상부루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machine room having an upper air inlet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is withdrawn and an upper air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air inlet is re-suppli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an upper fan for forming an upper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upper air inlet and the upper air outle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n upper louver positioned at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to change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through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Clothes hand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루버는,
상부루버하우징;
상기 상부루버하우징에 마련된 상부루버구동장치;
상기 상부루버하우징 내 마련되어, 하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루버날개; 및
상기 상부루버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루버날개의 상단을 축으로 상기 상부루버날개의 하단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루버구동장치와 상기 상부루버날개를 연결하는 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louver,
upper louver housing;
an upper louver driving device provided in the upper louver housing;
at least one upper louver wing provided in the upper louver housing and guid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downward; and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upper louver driving device and the upper louver wing to reciprocate the lower end of the upper louver wing with the upper end of the upper louver wing as an axi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upper louver driving device;
Clothes handling device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루버에 의해 전환되는 공기토출방향은 상기 옷걸이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ir discharge direction switched by the upper louver reciproc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othes hanger r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본체에서 상기 제1 지지바의 돌출 방향은 상기 옷걸이봉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4,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from the hanger body is the same a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ger 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본체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본체에 결쳐진 옷의 목어깨부위를 상기 옷걸이본체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2 지지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support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hanger body the neck and shoulder portion of the clothes tied to the hanger body;
Clothes hand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바는, 전개시 수평의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econd support bar is dir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deploy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봉은, 상부에 상기 옷걸이후크가 개재되는 옷걸이홈을 포함하되,
상기 옷걸이홈은,
상기 옷걸이후크의 두께에 상응하는 너비를 가진 제1 옷걸이홈과, 상기 제1 옷걸이홈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 옷걸이홈보다 넓은 너비를 가진 제2 옷걸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anger rod includes a hanger groove at an upper portion of which the hanger hook is interposed,
The clothes hanger home,
Clothing comprising a first hanger groov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anger hook, and a second hanger groove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hanger groove and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hanger groove. proces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본체는,
걸쳐진 옷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좌우 양측단의 상면에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lothes hanger body,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concave-convex portions on upper surfaces of both left and right ends to prevent clothes from slipping.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에 마련되어 옷걸이를 지지하는 옷걸이봉과, 상기 의류처리실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부공기토출구를 가진 상부기계실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옷걸이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는, 옷이 걸쳐지는 옷걸이본체와, 상기 옷걸이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본체를 상기 옷걸이봉에 걸기 위한 옷걸이후크와, 상기 옷걸이본체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옷걸이본체에 걸쳐진 옷의 목부위를 상기 옷걸이본체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1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바는, 상기 옷걸이본체의 일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바의 회동에 의해 전개시 상기 옷걸이본체에 걸쳐진 옷의 목부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공기토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실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옷걸이의 상기 이격공간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하되, 상기 제1 지지바는 복수의 전개각도를 갖고,
상기 옷걸이본체는, 상기 제1 지지바의 양단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바는,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지지바의 양단 사이에 어느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굽어진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는, 상기 제1 지지바의 양단이 결합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을 가져,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에 결합된 상기 제1 지지바가 회동시 상기 만곡부가 상기 걸림홈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지지바의 전개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옷걸이.
An upper machine room having a cabinet forming a laundry treatment room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 hanger bar provided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to support hangers, and an upper air discharge port provided at the top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and discharging air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In the hanger of the clothes handling device,
The hanger includes a hanger main body through which clothes are hung, a hanger hook coupled to the hanger main body to hang the hanger main body on the hanger rod, and a neck portion of clothes hung on the hanger main body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hanger main body. Including a first support bar for spaced apart from the hanger body,
The first support bar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anger body, and when deploy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a separation space is formed in the neck of the clothes strung on the hanger body, so that the upper air The air discharg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toward the separation space of the hanger, and the first support bar has a plurality of unfolding angles;
The hanger body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couplers to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re coupled, and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1 includes a curved portion bent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have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to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re coupled, so that when the first support bar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rotates, the The hanger of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art is interposed in the locking groove to adjust the unfolding angle of the first support bar.
KR1020210044022A 2021-04-05 2021-04-05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hanger of the same Active KR1025254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22A KR102525463B1 (en) 2021-04-05 2021-04-05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hanger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22A KR102525463B1 (en) 2021-04-05 2021-04-05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hanger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93A KR20220138193A (en) 2022-10-12
KR102525463B1 true KR102525463B1 (en) 2023-04-24

Family

ID=8359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022A Active KR102525463B1 (en) 2021-04-05 2021-04-05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hanger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463B1 (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233U (en) * 1997-02-20 1998-10-26 오창춘 hanger
KR101456210B1 (en) 2008-08-19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KR101498625B1 (en) 2008-08-19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1457594B1 (en) 2008-08-20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KR101155002B1 (en) * 2009-01-15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1819511B1 (en) 2011-10-10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multi clothes styiler system
KR102083959B1 (en) 2013-04-25 2020-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27701B1 (en) * 2018-08-20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es care apparatus
KR102789424B1 (en) * 2018-12-27 2025-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es car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93A (en)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12689B2 (en) Clothing care system
KR102150442B1 (en) Laundry Machine
CN102282309B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226443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127383B1 (en) Laundry Machine
AU2007277599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639200A (en) Clothes care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59697B2 (en) Clothes care apparatus
US1154265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090102401A (en) Cloth treating apparatus
US12203207B2 (en) Clothes care apparatus
JP2021525557A (en) Tumble dryer
KR101809130B1 (en) A clothes dryer
US20210010193A1 (en) Garment care apparatus
KR20110067754A (en) Clothing processing unit
KR2022016113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24966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1113884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505490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102505495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102525463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hanger of the same
KR102483851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30122789A (en) A washing machine with driying function
KR102544464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102505489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