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5448B1 -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 - Google Patents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448B1
KR102525448B1 KR1020220160716A KR20220160716A KR102525448B1 KR 102525448 B1 KR102525448 B1 KR 102525448B1 KR 1020220160716 A KR1020220160716 A KR 1020220160716A KR 20220160716 A KR20220160716 A KR 20220160716A KR 102525448 B1 KR102525448 B1 KR 10252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weight
parts
cylinder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투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투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투스팜
Priority to KR102022016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4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axially mov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2005/3158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electr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a coating or protect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 A61M2205/10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recipro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35/00Medical equipment, e.g. bandage, prostheses or cath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는, 배럴 고정부와 플런저 구동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 건(gun) 타입의 의료용 인젝터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구동부는,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지지대와,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서 기립한 것으로서 상기 플런저의 단부가 결합하는 끼움홈을 구비한 제 1 지지벽 및, 관통공이 관통된 제 2 지지벽을 포함한 플런저 거치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플런저 거치부까지 연장된 푸시 로드 및, 상기 푸시 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을 포함한 구동부; 상기 푸시 로드와 플런저 거치부 사이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결합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지지벽의 관통공을 지나 상기 슬릿 내로 진입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외주면의 일 측에 레버가 돌출된 실린더 및, 상기 누름부 측 실린더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 상기 레버 측 단부가 경사진 경사 가이드를 구비한 커버를 포함한 플런저 고정 조작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Medical injector with enhanced convenience of syringe attachment and detachment}
본 발명은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프런지 자체가 아니라 플런저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왕복 운동하여 안정적인 플런저 구동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플런저를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 의료용 인젝터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는 주사액을 수용하는 배럴과 이 배럴에 결합되어 피스톤 왕복 운동을 하면서 실린더의 주사액을 니들로 분사하는 플런저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에는 의사 등의 의료 종사자가 상술한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것이 당연했으나, 현재 얼굴이나 목 부위의 다양한 국소 지점에 정확한 주사액과 깊이로 다발적으로 주사하는 피부 미용 시술 분야 등에서는 주사기를 고정한 다음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에 의해 주사기의 주사액을 주사량, 주사 깊이 등의 세부적인 주사 설정 환경을 설정하여 인체에 주입하는 인젝터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불과 얼마 전까지는 인젝터가 의료 종사자의 손길을 따를 수 없다고 인식되기도 하였으나, 현재에는 인젝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특히 점도가 높으면서 다발성 주사가 필요한 주사액이 활용되는 시술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269476호인 약액 일체형 주사기용 인젝터는 작동 로드가 플런저에 직접 접촉하여 작동 로드의 구동으로 플런저를 왕복 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작동 로드가 직접 플런저에 접하여 왕복 운동하므로 플런저의 불필요한 유동을 유발할 문제가 따른다.
더불어, 작동 로드가 플런저에 접하여 있으므로 플런저를 비롯한 주사기를 챔버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작동 로드를 추가적으로 후진 이동하도록 구동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따랐고 이 과정에서 주사기 자체에 역시 불필요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 자체가 아니라 플런저를 거치하는 플런저 거치부를 왕복 구동하여 플런저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플런저에 밀착한 로드가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구동되어 플런저를 챔버에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강화한 신규하고 진보한 의료용 인젝터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등록실용신안문헌 1)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269476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플런저 자체가 아니라 플런저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왕복 운동하여 안정적인 플런저 구동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플런저를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의료용 인젝터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런저를 고정하는 실린더에 장착된 레버의 동선이 더욱 자연스럽게 플런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런저에 직접 접촉하는 실린더의 단부에 보강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탄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보강 플레이트에 다양한 조성을 포함시켜 내구성 등의 복합적인 개선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는, 챔버에 장착된 것으로 주사기의 배럴을 고정하는 배럴 고정부와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를 조작하여 상기 주사기의 주사액을 인체로 주입하는 플런저 구동부 및, 손잡이에 장착된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플런저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건(gun) 타입의 의료용 인젝터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구동부는,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지지대와,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서 기립한 것으로서 상기 플런저의 단부가 결합하는 끼움홈을 구비한 제 1 지지벽 및, 관통공이 관통된 제 2 지지벽을 포함한 플런저 거치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플런저 거치부까지 연장된 푸시 로드 및, 상기 푸시 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을 포함한 구동부; 상기 푸시 로드와 플런저 거치부 사이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결합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지지벽의 관통공을 지나 상기 슬릿 내로 진입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외주면의 일 측에 레버가 돌출된 실린더 및, 상기 누름부 측 실린더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 상기 레버 측 단부가 경사진 경사 가이드를 구비한 커버를 포함한 플런저 고정 조작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벽의 상기 관통공의 주변 부위에서 상기 레버를 향한 외측면에는, 상기 경사 가이드의 경사각과 평행하도록 경사 돌출된 서브 경사 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서브 경사 가이드는, 상기 경사 가이드의 경사각과 평행하도록 경사 돌출된 평행 파트와, 상기 평행 파트의 단부에서 상기 레버를 향한 방향으로 라운딩지게 돌출된 라운딩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에 의하면,
1) 플런저의 안정적인 왕복 운동을 보장하여 주사 환경의 전체적인 개선을 추구할 수 있고,
2) 주사기를 챔버에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편리하고 간편한 동작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3) 실린더의 이동을 위한 레버의 동선을 자연스럽게 확보하여 더욱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뿐 아니라,
4) 탄성 및 내구성 등의 다양한 성능이 강화된 보강 플레이트에 의해 플런저의 안정성을 한층 더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젝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젝터에 멀티 니들이 장착된 주사기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플런저 거치부에 플런저 고정 조작부의 장착 전후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플런저 고정 조작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플런저 고정 조작부의 레버 조작 이전에 실린더의 단부가 끼움 슬릿 내로 진입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플런저 고정 조작부의 레버 조작 이후 실린더의 단부가 끼움 슬릿에서 진입 해제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젝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인젝터에 멀티 니들이 장착된 주사기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인젝터는 건(gun) 타입의 공지의 인젝터와 마찬가지로 주사기(1)를 챔버(11)에 고정한 다음 주사기(1)의 플런저(3)를 왕복 운동하여 주사기(1)의 배럴(2) 내의 주사액을 컨트롤러(30)에 의하여 제공된 다양한 설정 환경에 따라 인체에 주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인젝터는 본체(10)와 손잡이(20), 컨트롤러(3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본체(10)는 주사기(1)를 수용하는 챔버(11)를 포함한 상태에서 컨트롤러(30)를 포함하고, 손잡이(20)는 본체(10)의 일 측에서 연장된 구조 기반에서 조작 버튼(21)을 구비하여 사용자(의료 종사자)가 조작 버튼(21)을 누르면서 챔버(11)에 고정/수용된 주사기(1)의 플런저(3)를 구동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더불어, 컨트롤러(30)는 본체(10)의 일 측에 컨트롤 패널(31)을 장착한 상태에서 플런저(3)의 왕복 운동을 컨트롤 패널(31)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세부 환경에 따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주사기(1)의 니들(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니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멀티 니들에서 본체(10)의 일 측을 셕션 호스(50)로 연결하여 주사액을 일부 흡수하여 주사액의 불필요한 누수/유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와 손잡이(20)는 수직이 아니라 실제 총과 같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연결되어 의료 종사가 더욱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는 환경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챔버(11)에 장착되어 주사기(1)를 고정함과 동시에 플런저(3)를 왕복 구동시키는 구성을 플런저 구동부(100)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인젝터의 챔버(11)에는, 챔버(11)의 선단(인체에 근접한 방향과 부위를 나타내는 설명으로서 다른 구성에서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한다)에 장착되어 주사기(1)의 배럴(2)을 고정하는 배럴 고정부(40)와, 이러한 배럴 고정부(40)에서 일정 간격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플런저(3)를 고정한 상태로 플런저(3)의 구동을 제어/조작하는 플런저 구동부(100)를 포함하고, 이러한 플런저 구동부(100)의 구성 및 작용이 공지의 의료용 인젝터와 차별되는 핵심적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었으나 별도의 설명이 없는 구성은 공지의 인젝터의 대응 구성과 같으므로 이를 참조하면 된다.
도 3은 플런저 거치부에 플런저 고정 조작부의 장착 전후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플런저 고정 조작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런저 구동부(100)는 플런저 거치부(110)와 구동부(120) 및 플런저 고정 조작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플런저 거치부(110)는 챔버(11)의 바닥면에서 길이 방향(챔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12)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지지대(111)와 제 1,2 지지벽(113,1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대(111)는 상술한 가이드 레일(12)에 결합하여 플런저(3)를 왕복 운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플런저 거치부(110)에 결합된 플런저(3)를 후술할 구동부(120)의 구동으로 왕복 운동하고 이로 인해 플런저(3) 역시 왕복 운동하면서 배럴(2) 내의 주사액을 인체로 주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벽은 제 1,2 지지벽(113,114)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제 1,2 지지벽(113,114)은 슬릿(112)에 의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지지대(111)의 양측에서 각각 기립 형성된다.
제 1 지지벽(113)은 인젝터의 선단 측에 위치한 것으로서, 플런저(3)의 단부의 형상에 상응한 형상을 가진 상태로 플런저(3)의 단부를 결합하는 끼움홈(1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홈(113a)에 플런저(3)가 고정 결합한 상태로 후술할 실린더(132)에 밀착되어 구동부(120)의 구동으로 플런저(3)가 왕복 운동 시 불필요한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지지벽(114)은 상술한 제 1 지지벽(113)과 슬릿(112)의 너비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대(111)에서 기립된 것으로서, 후술할 실린더(132)의 단부 일부가 삽입되어 슬릿(112) 내로 진입할 수 있는 관통공(11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플런저 거치부(110)는 플런저(3)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구동부(120)의 조작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플런저(3)를 배럴(2) 내부로 밀어 배럴(2)의 주사액을 니들을 거쳐 인체로 주입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구동부(120)는 공지의 인젝터와 마찬가지로 모터(미도시)와 푸시 로드(121) 및 스프링(122)을 포함하는바, 본 발명의 구동부(120)는 직접 플런저(3)에 접촉한 것이 아니라 후술할 플런저 고정 조작부(130)를 매개로 플런저 거치부(110)에 연결되어 플런저(3)를 더욱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모터는 상술한 컨트롤러(300)의 제어로 구동되는 것으로서 컨트롤러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31)에서 주사액의 주입량, 왕복 운동 회수, 인터벌 구동 타임 등을 세부 설정하여 이 설정값을 기반으로 정밀 제어하면서 플런저(3)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푸시 로드(121)는 모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플런저 거치부(110)까지 연장된 것으로서 모터의 구동으로 왕복 운동을 한다.
이때 푸시 로드(121)의 외주면에는 스프링(122)이 감싸여져 있어 푸시 로드(121)가 인젝터의 선단 방향으로 전진한 다음 탄성 복원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바, 이는 공지의 인젝터의 원리 및 구조와 같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런저(3) 자체가 아니라 플런저 거치부(110)에 접하여 플런저 거치부(110)를 왕복 운동함으로써 불필요한 유동성 없이 플런저(3)를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플런저 고정 조작부(130)는 푸시 로드(121)와 플런저 거치부(110) 사이에 장착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누름부(131)와 실린더(132) 및 커버(140)를 포함한다.
누름부(131)는 푸시 로드(121)의 단부 또는 스프링(122)의 단부에서 스프링(122)을 압축하면서 결합된 원통형 구조체이다.
즉, 누름부(131)는 푸시 로드(121)에 감싸인 스프링(122)의 일 단을 눌러 해당 스프링(122)에 긴장력을 가하면서 푸시 로드(121)의 단부에 결합된 것으로서, 후술할 실린더(132)가 레버(133)의 조작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실린더(132)는 누름부(131)의 단부에서 제 2 지지벽(114)의 관통공(115)을 상기 슬릿(112) 내로 진입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예측할 수 있듯이 푸시 로드(121)의 단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푸시 로드(121)에 결합된 누름부(131)의 단부에 역시 푸시 로드(121)에 결합한 상태에서 접촉/결합할 수 있는 원통형 구조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실린더(132)의 외주면 일 측에는 레버(133)가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의료 종사자)가 레버(133)를 조작하여 실린더(132)를 특정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실린더(132)는 후술할 탄성 이동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푸시 로드(121)를 감싼 스프링(122)의 긴장력을 이용하는 것을 넘어서 실린더(132)와 푸시 로드(121) 사이에 별도의 코일형 스프링이나 판스프링을 추가하여 레버(133)의 동작으로 탄성 회전된 다음 레버(133)에 조작력이 사라졌을 때 더욱 손쉽게 원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설명에서는 누름부(131)와 실린더(132)가 직접 접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누름부(131)와 실린더(132) 사이에 커버(140)가 설치되어 이 커버(140)를 매개로 누름부(131)와 실린더(132)를 연결한다.
커버(140)는 실린더(132)와 달리 회전 가능하지 않도록 누름부(131)에 결합되고, 누름부(131) 역시 회전성을 막도록 스프링(122)의 단부를 감싼 다음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더불어 커버(140)는 실린더(132)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실린더(132)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데, 커버(140)의 양단 부위 중에서 실린더(132)를 향한 레버(133) 측 단부를 매개로 커버(140)와 실린더(132)의 직경차에 기인한 단턱이 발생한다.
이때, 레버(133)의 직경이 상술한 단턱과 실린더(132)의 제 2 지지벽(114) 측 단부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지면 레버(133)의 특정 부위가 단턱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술한 단턱이 레버(133)의 동선을 결정하는 일종의 가이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반에서, 단턱, 즉 커버(140)의 양단 중에서 레버(133) 측 단부를 경사지게 처리한 것이 본 발명의 핵심 구성 중 하나라 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사 처리 부위를 경사 가이드(141)라 한다.
도 5는 플런저 고정 조작부의 레버 조작 이전에 실린더의 단부가 끼움 슬릿 내로 진입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플런저 고정 조작부의 레버 조작 이후 실린더의 단부가 끼움 슬릿에서 진입 해제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레버(133)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실린더(132)의 일 단부가 슬릿(112) 내부로 일정 길이만큼 진입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132)의 슬릿(112) 측 진입 부위가 주사기(1)에서 플런저(3)의 단부 측 바닥면과 밀착하여 플런저(3)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즉, 실린더(132)가 푸시 로드(121)에 스프링(122)과 연결된 누름부(131) 또는 별도의 스프링을 매개로 탄성 결합한 상태이므로 플런저(3)가 쉽사리 실린더(132)를 밀거나 유동시킬 수 없어, 결과적으로 플런저(3)의 견고한 고정 상태를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같이 플런저(3)를 타이트하게 밀착 결합하게 되면 주사기(1)를 인젝터의 챔버(11)에서 분리하기 쉽지 않을뿐더러 억지로 분리하면 대개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플런저(3)가 자칫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할 문제가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레버(133)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조작하여 실린더(132)를 레버(133)의 조작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133)가 경사 가이드를 따라 이동(회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경사 가이드의 경사 진행 방향이 플런저(3)와 반대를 향해 있으므로 플런저(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실린더(132)가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132)는 푸시 로드(121)에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스프링(122)을 압착하면서 실린더(132) 역시 플런저(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132)의 단부가 플런저(3)의 단부(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실린더(132)에 의하여 플런저(3)를 밀착하는 힘이 해제되면서 더욱 손쉽게 플런저(3)를 비롯한 주사기(1)를 챔버(11)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인젝터는 구동부(120)가 플런저(3) 자체가 아니라 플런저(3)를 거치하는 플런저 거치부(110)를 왕복 운동시켜 플런저(3)에 불필요한 유동성(왕복 운동 방향과 다른 진동이나 미세 떨림 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차단하여 플런저(3)의 왕복 운동 시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은 물론, 플런저(3)가 챔버(11)에 결합하였을 때에 확실한 고정력을 보장하면서도 레버(133)의 손쉬운 조작으로 플런저(3)를 간편하게 챔버(11)에서 분리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2 지지벽(114)의 관통공(115)의 주변 부위에서 레버(133)를 향한 외측면에는, 경사 가이드(141)의 경사각과 평행하도록 경사 돌출된 서브 경사 가이드(116)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서브 경사 가이드(116)는 레버(133)가 제 2 지지벽(114) 측으로 쏠려 경사 가이드(141)를 따라 플런저(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실린더(132)가 이동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 레버(133)의 이동/회전 시 더욱 타이트하고 정확하게 플런저(3)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레버(133)의 이동 경로를 정확하게 설계한 것이다.
이러한 서브 경사 가이드(116)에 의하여 레버(133)는 물론 실린더(132)가 더욱 정확하게 플런저(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굳이 레버(133)를 플런저(3) 반대 방향으로 누르면서 회전시킬 필요 없이 더욱 쉽게 조작하면서 플런저(3)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4를 더욱 자세히 참조하면 서브 경사 가이드(116)는 평행 파트(117)와 라운딩 파트(118)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평행 파트(11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 가이드(141)의 경사각과 평행하도록 일정 길이만큼 경사 돌출된 부위이고, 라운딩 파트(118)는 평행 파트(117)의 단부에서 레버(133)를 향한 방향(플런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딩(도 4를 기준으로 아래로 볼록한 라운딩 형태)지게 돌출된 라운딩 파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특히 라운딩 파트(118)가 형성된 부위에서 경사 가이드(141)와의 거리가 좁아지는데, 물론 레버(133)가 지날 수 있는 거리는 확보하도록 라운딩 파트(188)의 라운딩 처리가 된 상태에서 레버(133)가 플런저(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할 때 이 라운딩 파트(118)의 라운딩 연장선에 의해 레버(133)가 플런저(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살짝 휘면서 진행하게 되어 레버(133)의 이동에 가속을 부여할 수 있어, 레버(133)가 이동 중 미끄러지거나 별도의 마찰력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더욱 원활하고 부드럽게 플런저(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끼움홈(113a)은 연장 라인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함입 홈(113b)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시중의 일반적인 플런저(3)의 형태(플런저의 돌출 부위)에 맞도록 별도의 추가적인 함입 홈(113b)을 복수 개로 형성하여 플런저(3)의 돌출 부위를 이 함입 홈(113b)에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플런저(3)가 왕복 이동할 때 불필요한 회전을 하지 않고 견고하게 제 1 지지벽(113)의 끼움홈(113a)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실린더(132)의 단부는 플런저(3)의 단부(바닥면)에 밀착하면서 플런저(3)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플런저 고정 조작부(130)에서 레버(133)의 조작으로 이동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구조적으로 플런저(3)와 잦은 마찰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즉, 실린더(132)의 단부가 금속재나 일반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보유하여 플런저(3)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실린더(132)의 단부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제 90 내지 99 중량부와,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Poly(p-phenylene benzobisoxazole)) 및 카라야검(Karaya gum)을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134)가 적층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보강 플레이트(134)는 실린더(132)의 단부를 강화 처리하기 위해 탄성제와 첨가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실린더(132)의 단부의 체적에 상응한 체적과 약 1 내지 5mm 가량의 두께를 가진 보강체라 할 수 있다.
탄성제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공지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정한 탄성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첨가제는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Poly(p-phenylene benzobisoxa zole)) 및 카라야검(Karaya gum)을 포함하는바,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은 강도, 탄성률, 내열성 및 난연성이라는 4가지 극한성능을 동시에 보유하는 혁신적인 소재로, 고강도, 고탄성, 내열성,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어 보강 플레이트(134)의 물성을 전반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이다.
카라야검은 인도에서 자라는 Sterculia 속의 나무에서 삼출물로 생산되는 물질로 약간의 초산 냄새를 가지며 갈락토스, 람노스와 갈락투론산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당류로서, 점착성을 높임과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제의 기능을 수행하여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빅스옥사졸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첨가제가 보강 플레이트(134)에 포함됨에 따라 보강 플레이트(134)의 강도, 탄성률, 내열성, 난연성과 같은 복합적 물성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정화된 조성의 보강 플레이트(134)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첨가제는 언급한 구성 이외의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첨가제를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1차 물질 제조 단계(S11), 2차 물질 제조 단계(S12), 첨가제 완성 단계(S13)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11) 1차 물질 제조 단계
가장 먼저, 폴리하이드록시아미드(PHA:polyhydroxyamide) 20 내지 50 중량부와, 폴리포스포릭산(PPA:Polyhosphoric acid) 40 내지 70 중량부와, 아라비노갈락탄(Arabinogalactan) 5 내지 15 중량부를 100 내지 200℃의 질소 분위기에서 4 내지 10시간 동안 교반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한다.
여기서 투입되는 폴리하이드록시아미드는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을 형성하는 전구체이며, 폴리포스포릭산은 폴리하이드록시아미드의 용매 역할을 수행한다.
아라비노갈락탄은 소나무과 서양 잎갈나무의 뿌리 및 줄기를 추출하여 얻을 수 있는 갈락토스, 아라비노스 등을 포함하고 있는 다당류이다. 이러한 아라비노갈락탄은 증점제, 안정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뛰어난 pH 안정성과 내염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폴리하이드록시아미드, 폴리포스포릭산, 아라비노갈락탄이 혼합된 혼합물이 100 내지 200℃의 질소 분위기에서 4 내지 10시간 동안 교반됨에 따라 폴리하이드록시아미드의 열적 고리화가 진행되어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이 합성되는데, 이때 합성 과정에서 고분자 입자 사이에 아라비노갈락탄이 침투되어 아라비노갈락탄을 통해 pH 안정성 및 내염성이 보강된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을 얻을 수 있어 보강 플레이트(134)의 물성을 보다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S12) 2차 물질 제조 단계
이어서, 1차 물질 80 내지 95 중량부와,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 poly(L-lactide) Triblockcopolymer) 5 내지 15 중량부 및,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3 내지 10 중량부를 80 내지 15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한다.
2차 물질 제조 단계에서는 상술한 1차 물질에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와 아모다이메티콘을 첨가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열가소성인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의 고른 혼합을 위해 80 내지 15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 교반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는 높은 수준의 탄성률을 제공함과 동시에 점착력이 우수하여, 보강 플레이트(134)의 탄성력을 개선함과 동시에 물질 사이의 점착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이다.
아모다이메티콘은 아미노 기능기로 말단이 치환된 실록산폴리머의 일종으로, 유화성이 뛰어나 2차 물질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들의 용해도를 보다 높임과 동시에 소포제로서의 기능을 겸비하여 보강 플레이트(134) 표면 및 내부에 대한 불필요한 공극 형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열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S13) 첨가제 완성 단계
마지막으로, 2차 물질 85 내지 98 중량부와, 카라야검(Karaya gum) 1 내지 5 중량부 및,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Sorbitan Esters of Fatty Acids)를 포함하는 혼합성 개선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첨가제를 완성한다.
카라야검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성을 높임과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제의 기능을 수행하여 첨가제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의 혼합성을 제공하고 안정화에 기여하는 물질이다.
혼합성 개선제는 그 유효 성분으로써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는 70%의 소르비톨을 탈수하고 지방산을 가하여 에스테르화한 유화제의 일종으로써 혼합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난 물질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혼합성 개선제 첨가에 따라 첨가제에 포함된 다양한 수지 성분 간의 혼합성을 증대하여, 첨가제 조성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첨가제에 따르면, 아라비노갈락탄에 의해 보강된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을 기반으로 하여 열안정성, 탄성률, 강도, 내염성을 모두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며, 나아가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 첨가에 따라 강도가 보다 증가됨과 동시에 점착성이 향상되고, 아모다이메티콘을 통해 열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불필요한 공극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포함된 물질 간의 혼합성 및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첨가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탄성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에 대한 실시예 1 내지 3로 구성되어 있고, 비교예는 종래의 탄성재이다.
<실시예 1>
폴리하이드록시이미드 30g, 폴리포스포릭산 60g, 아라비노갈락탄 10g을 170℃의 질소 분위기에서 7시간 동안 반응시켜 1차 물질 100g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1차 물질 85g,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 10g. 아모다이메티콘 5g을 1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2차 물질 100g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2차 물질 94g, 카라야검 3g,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3g을 혼합하여 첨가제 100g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첨가제를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혼합하여 첨가제 10 중량%를 포함하는 탄성재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가로 20cm, 세로 20cm, 두께 1cm의 패드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실시예 2>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 90g, 카라야검 10g을 혼합하여 첨가제 100g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첨가제를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혼합하여 첨가제 10 중량%를 포함하는 탄성재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가로 20cm, 세로 20cm, 두께 1cm의 패드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비교예>
폴리염화비닐 수지 패드(가로 20cm, 세로 20cm, 두께 1cm)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패드에 대해, 다음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49**0
[실험예 1] 물성 평가
1. 인장강도 및 신장율 시험: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KS M 6518에 준하여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2. 경도 시험: SHORE A TYPE의 경도계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3. 복원율 시험: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10N의 힘을 가한 뒤, 10초 내에 회복되는 두께를 이용하여 복원율을 측정하였다.
4. 반발탄성 시험: 본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측정하기 위해 KS M ISO 8307에 준하여 5회 반복 시험한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5. 영구압축줄음율 시험: 본래의 형태로 되돌아오지 않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KS M 6518에 준하여 영구압축줄음율을 측정하였다.
상술한 물성 평가 시험 결과는 다음의 표 1와 같다.
인장강도
(MPa)
신장율
(%)
경도
(HS)
복원율
(%)
반발탄성
(%)
영구압축
줄음율(%)
실시예 1 163 301 91 97 83 1
실시예 2 152 285 88 94 80 5
비교예 82 192 73 84 62 11
상술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는 비교예에 비하여 인장강도, 신장율, 경도, 복원율, 반발탄성, 영구압축줄음율를 포함하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 1 내지 2의 비교를 통해, 실시예 1이 실시예 2에 비해 인장강도, 신장율, 경도, 복원율, 반발탄성, 영구압축줄음율을 포함하는 기계적 물성이 보다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난연 특성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의 난연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외관: 육안으로 외관을 관찰하여 끓음, 기포 등이 발생하는지 평가하였다.
- 가공성: 시편을 180°구부려 갈라짐의 유무를 확인하고 재료의 변형능을 평가하였다.
- 난연성: Gas Torch를 이용하여 라이닝된 시편과 수직으로 15 cm에서 60 초 동안 연소시킨 후 도막 상태를 관찰하여 착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 소화 전 도막두께(T): 연소 전 도막두께를 측정하였다.
- 소화 후 도막두께(T): 연소 후 도막두께를 측정하였다.
표 2는 난연 특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실시예 비교예
1 2
외관
가공성
난연성 ×
소화 전
도막 두께
1.5 1.5 1.5
소화 후
도막 두께
1.4 1.2 0.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는 비교예에 비해 가공성, 난연성 및 소화 전후 도막 두께 비교에 있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실시예 1 내지 2의 상호 비교에 있어 실시예 1가 보다 우수한 난연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혼합성 개선제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이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혼합성 개선제를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혼합성 개선제는, 제 1 물질 제조 단계(S21), 제 2 물질 제조 단계(S22), 혼합성 개선제 완성 단계(S23)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21) 제 1 물질 제조 단계
먼저,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10 내지 25 중량부, 1, 2-헥산다이올(1, 2-Hexanediol) 50 내지 65 중량부 및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는 유화제의 일종으로써 혼합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난 물질이라 하였다.
1, 2-헥산다이올은 소수성기와 친수성기를 모두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용제로서의 기능이 뛰어나며, 제 1 물질에서도 용매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더불어,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시키거나 저해시키는 보존제의 기능을 수행하여, 카라야검을 포함하는 첨가제의 변질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모란뿌리추출물은 모란 뿌리의 껍질을 열수 추출, 아임계 추출과 같이 종래의 다양한 추출 방식을 통해 추출한 것으로, 이때 추출 방식 및 추출 용매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으므로 종래의 다양한 방식의 추출 및 다양한 용매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란뿌리추출물의 경우 산화방지 기능 및 항균 기능이 뛰어나, 혼합성 개선제에 첨가되어 첨가제에 첨가될 시, 보강 플레이트(134)의 점착력 저해를 방지하고 나아가 항균성을 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22) 제 2 물질 제조 단계
다음으로, 상술한 제 1 물질 80 내지 95 중량부와, d-α-토코페롤(d-α-Tocopherol Concentrate) 5 내지 10 중량부 및,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한다.
d-α-토코페롤은 식물유지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E로서, 특이한 냄새를 가지는 투명하고 점조한 액체이다. 토코페롤은 산화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천연항산화제의 일종으로 혼합성 개선제 조성물, 나아가 첨가제 조성물 뿐 아니라 이와 같은 첨가제 조성물이 첨가된 보강 플레이트(134)의 표면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이다.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는 식물유래 유용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이며, 혼합성 개선제에 첨가됨에 따라 다양한 물질들의 분산성 및 혼합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S23) 혼합성 개선제 완성 단계
마지막으로, 제 2 물질 85 내지 95 중량부와, 락타마이드엠이에이(Lactamide MEA) 3 내지 10 중량부 및, 구절초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성 개선제를 완성한다.
락타마이드엠이에이는 락틱애씨드와 에탄올아마이드의 혼합물로서, 계면활성 기능을 제공하여 혼합성 개선제의 혼합성 향상 효과를 강화함과 동시에 점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여, 혼합성 개선제에 포함된 다양한 계면활성 성분에 의한 점도 감소를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구절초추출물은 구절초(Chrysanthemum sibiricum(=Chrysantehmum zawadskii))의 전초에서 추출된 추출물로서, 이러한 구절초추출물은 산화방지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d-α-토코페롤을 통한 산화 방지 기능을 강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혼합성 개선제에 따르면, 혼합성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성분들을 포함하여 혼합성 개선제가 첨가된 첨가제의 혼합성을 높일 뿐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혼합성 개선 성분에 의해 저해될 수 있는 점도 역시 보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산화 방지 성분을 다수 포함하여 혼합성 개선제, 첨가제, 나아가 보강 플레이트(134)의 산화에 의한 물성 저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주사기 2: 배럴
3: 플런저 4: 니들
10: 본체 11: 챔버
12: 가이드 레일 20: 손잡이
21: 조작 버튼 30: 컨트롤러
31: 컨트롤 패널 40: 배럴 고정부
50 : 셕션 호스 100: 플런저 구동부
110: 플런저 거치부 111: 지지대
112: 슬릿 113: 제 1 지지벽
113a: 끼움홈 113b: 함입 홈
114: 제 2 지지벽 115: 관통공
116: 서브 경사 가이드 117: 평행 파트
118: 라운딩 파트 120: 구동부
121: 푸시 로드 122: 스프링
130: 플런저 고정 조작부 131: 누름부
132: 실린더 133: 레버
134: 보강 플레이트 140: 커버
141: 경사 가이드

Claims (7)

  1. 챔버에 장착된 것으로 주사기의 배럴을 고정하는 배럴 고정부와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를 조작하여 상기 배럴의 주사액을 인체로 주입하는 플런저 구동부 및, 손잡이에 장착된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플런저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건(gun) 타입의 의료용 인젝터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구동부는,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지지대와,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서 기립한 것으로서 상기 플런저의 단부가 결합하는 끼움홈을 구비한 제 1 지지벽 및, 관통공이 관통된 제 2 지지벽을 포함한 플런저 거치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플런저 거치부까지 연장된 푸시 로드 및, 상기 푸시 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을 포함한 구동부;
    상기 푸시 로드와 플런저 거치부 사이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결합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지지벽의 관통공을 지나 상기 슬릿 내로 진입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외주면의 일 측에 레버가 돌출된 실린더 및, 상기 누름부 측 실린더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 상기 레버 측 단부가 경사진 경사 가이드를 구비한 커버를 포함한 플런저 고정 조작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인젝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벽의 상기 관통공의 주변 부위에서 상기 레버를 향한 외측면에는,
    상기 경사 가이드의 경사각과 평행하도록 경사 돌출된 서브 경사 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인젝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경사 가이드는,
    상기 경사 가이드의 경사각과 평행하도록 경사 돌출된 평행 파트와, 상기 평행 파트의 단부에서 상기 레버를 향한 방향으로 라운딩지게 돌출된 라운딩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인젝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끼움홈의 연장 라인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함입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인젝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제 90 내지 99 중량부와,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Poly(p-phenylene benzobisoxazole)) 및 카라야검(Karaya gum)을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가 적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인젝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하이드록시아미드(PHA:polyhydroxyamide) 20 내지 50 중량부와, 폴리포스포릭산(PPA:Polyhosphoric acid) 40 내지 70 중량부와, 아라비노갈락탄(Arabinogalactan) 5 내지 15 중량부를 100 내지 200℃의 질소 분위기에서 4 내지 10시간 동안 교반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1차 물질 제조 단계;
    상기 1차 물질 80 내지 95 중량부와,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 poly(L-lactide) Triblockcopolymer) 5 내지 15 중량부 및,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3 내지 10 중량부를 80 내지 15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2차 물질 제조 단계;
    상기 2차 물질 85 내지 98 중량부와, 카라야검(Karaya gum) 1 내지 5 중량부 및,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Sorbitan Esters of Fatty Acids)를 포함하는 혼합성 개선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첨가제를 완성하는, 첨가제 완성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인젝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성 개선제는,
    상기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10 내지 25 중량부, 1, 2-헥산다이올(1, 2-Hexanediol) 50 내지 65 중량부 및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제 1 물질 제조 단계;
    상기 제 1 물질 80 내지 95 중량부와, d-α-토코페롤(d-α-Tocopherol Concentrate) 5 내지 10 중량부 및,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제 2 물질 제조 단계;
    상기 제 2 물질 85 내지 95 중량부와, 락타마이드엠이에이(Lactamide MEA) 3 내지 10 중량부 및, 구절초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성 개선제를 완성하는, 혼합성 개선제 완성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인젝터.
KR1020220160716A 2022-11-25 2022-11-25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 Active KR10252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716A KR102525448B1 (ko) 2022-11-25 2022-11-25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716A KR102525448B1 (ko) 2022-11-25 2022-11-25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448B1 true KR102525448B1 (ko) 2023-04-25

Family

ID=8610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716A Active KR102525448B1 (ko) 2022-11-25 2022-11-25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424829A (zh) * 2025-01-09 2025-02-14 兰州大学 一种肿胀液注射装置及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76Y1 (ko) 2001-12-14 2002-03-23 주식회사 아이.지.디 약액 일체형 주사기용 인젝터
KR20030049122A (ko) *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아이.지.디 약액 일체형 주사기용 인젝터
KR20060046872A (ko)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무한기업 의료용 주사액 주입기
JP2011188864A (ja) * 2004-09-30 2011-09-29 Hershey Co 密封型可食性フィルムの帯状パケット並びにその製造法及び使用法
JP5180379B2 (ja) * 2009-07-23 2013-04-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シリンジ駆動装置及び調剤装置
KR101260115B1 (ko) * 2008-02-28 2013-05-02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관 조인트용 소켓 및 관 조인트
KR20180115934A (ko) * 2017-04-14 2018-10-24 서울대학교병원 자동 주사장치
KR20190004720A (ko) * 2016-05-02 2019-01-14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실리콘 입자,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 및 도료 및 수지
KR20190007970A (ko) * 2017-07-14 2019-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주사 장치
JP2020516754A (ja) * 2017-07-26 2020-06-11 浙江吉利控股集団有限公司Zhejiang Geely Holding Group Co.,Ltd. 改質ゴム製造方法、改質ゴムならびに防弾性および耐穿孔性タイヤ
KR102432178B1 (ko) * 2022-04-29 2022-08-12 (주)한결테크닉스 양수 파이프와 수위 측정 파이프의 일체형 고정 브라켓
KR20220136085A (ko) * 2021-03-31 2022-10-07 메디허브 주식회사 약물의 정량 주입 기능을 갖는 자동주사기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76Y1 (ko) 2001-12-14 2002-03-23 주식회사 아이.지.디 약액 일체형 주사기용 인젝터
KR20030049122A (ko) *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아이.지.디 약액 일체형 주사기용 인젝터
JP2011188864A (ja) * 2004-09-30 2011-09-29 Hershey Co 密封型可食性フィルムの帯状パケット並びにその製造法及び使用法
KR20060046872A (ko)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무한기업 의료용 주사액 주입기
KR101260115B1 (ko) * 2008-02-28 2013-05-02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관 조인트용 소켓 및 관 조인트
JP5180379B2 (ja) * 2009-07-23 2013-04-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シリンジ駆動装置及び調剤装置
KR20190004720A (ko) * 2016-05-02 2019-01-14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실리콘 입자,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 및 도료 및 수지
KR20180115934A (ko) * 2017-04-14 2018-10-24 서울대학교병원 자동 주사장치
KR20190007970A (ko) * 2017-07-14 2019-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주사 장치
JP2020516754A (ja) * 2017-07-26 2020-06-11 浙江吉利控股集団有限公司Zhejiang Geely Holding Group Co.,Ltd. 改質ゴム製造方法、改質ゴムならびに防弾性および耐穿孔性タイヤ
KR20220136085A (ko) * 2021-03-31 2022-10-07 메디허브 주식회사 약물의 정량 주입 기능을 갖는 자동주사기
KR102432178B1 (ko) * 2022-04-29 2022-08-12 (주)한결테크닉스 양수 파이프와 수위 측정 파이프의 일체형 고정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424829A (zh) * 2025-01-09 2025-02-14 兰州大学 一种肿胀液注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5448B1 (ko)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
US11667756B2 (en) Silicone compositions rapidly cross-linkable at ambient temperatur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EP2676691A3 (en) Delivery of viscous formulations by needle-free injection
RU2007111930A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устройств для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
CA2465502A1 (en) Pneumatic powered autoinjector
WO2006035444A3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efficiency of drug delivery
WO2005069831A3 (en) Injector for viscous materials
EP2468299A3 (en) Compositions for inducing immune responses
NO20060780L (no) Injeksjonsinnretning
WO2007093182A3 (en) Packing for injection device
MY154057A (en) Drive assembly, piston rod, drug delivery device, and use of a spring
WO2006086742A3 (en) Microstream injector
CA2459801A1 (en) Poly(l-lactide-co-glycolide) copolymers,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and devices containing same
IL163943A0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dosing mechanism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WO2003009884A3 (en) Elongated syringe
CA2594711A1 (en) Somatostatin analogue formulations
AR069541A1 (es) Trans- clomifeno para el sindrome metabolico
WO2008107889A3 (en) A rapid injection device
EP0235905A1 (en) Adaptor for injection syringe
WO2008078738A1 (ja) 含フッ素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含フッ素エラストマー
US6468247B1 (en) Perfusion device for localized drug delivery
WO2005061029A8 (es) Unidad para suministro de inyectables en forma manual o automatica
JP3256232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
WO2008119691A3 (de) Injektionsgerät, insbesondere insulin-pen
TW200603827A (en) Long-acting colloidal insulin formulation and its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03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