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4848B1 - A flexible functional film - Google Patents

A flexible functional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848B1
KR102524848B1 KR1020170026416A KR20170026416A KR102524848B1 KR 102524848 B1 KR102524848 B1 KR 102524848B1 KR 1020170026416 A KR1020170026416 A KR 1020170026416A KR 20170026416 A KR20170026416 A KR 20170026416A KR 102524848 B1 KR102524848 B1 KR 102524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alignment
alignment laye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9250A (en
Inventor
장주열
김준석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848B1/en
Publication of KR2018009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2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84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과; 상기 제1 배향층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과; 상기 편광 코팅층 상에 형성된 분리층과; 상기 분리층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층; 상기 공통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2 배향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박형화가 가능하면서도, 고온 공정에서 크랙 및 컬 현상의 개선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functional film, and a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lignment layer formed on a base film; a polarization coa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a separation layer formed on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a common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eparation layer; and a second alignment layer formed on the common electrode layer.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rove cracking and curling in a high-temperature process while enabling thinning.

Description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A FLEXIBLE FUNCTIONAL FILM}Flexible functional film {A FLEXIBLE FUNCTIONAL FILM}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 가능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functional film usabl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터치입력방식이 차세대 입력방식으로 각광받으면서 좀 더 다양한 전자기기에 터치입력방식을 도입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고 정확한 터치인식이 가능한 터치 센서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As the touch input method has been spotlighted as a next-generation input method, attempts are being made to introduce the touch input method to more various electronic devices.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ouch sensor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and enable accurate touch recognition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t is being done.

예를 들어,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기기의 경우 초경량, 저전력을 달성하고 휴대성이 향상된 초박막의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으면서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한 터치 센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플렉서블(유연성) 디스플레이란 특성의 손실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유연한 기판상에 제작된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며, 유연성 LCD, 유연성 OLED 및 전자종이와 같은 형태로 기술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electronic devices having touch-type displays, ultra-thin flexible displays that achieve ultra-light weight, low power consumption, and improved portability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displays, and development of touch sensors applicable to such displays has been required. A flexible (flexible) display means a display manufactured on a flexible substrate that can be bent, bent, or rolled without loss of characteristics, and technology development is in progress in the form of flexible LCD, flexible OLED, and electronic paper.

특히, 최근 디스플레이의 박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됨에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포함되는 편광판 역시 박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의 연신 PVA를 사용한 편광판을 박형화 하는 경우 공정 내열성 평가 시 크랙, 박리 등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ith the recent demand for thinning and lightening of displays, the polarizing plate included in the display is also required to be thinning and lightening. there i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06664호에는 유연성 LCD의 일 예가 기재되어 있다. 예시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06664호에 개시된 발명은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제1기판 상에 제1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필름층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기판 상에 제2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필름층 상에 컬러 필터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의 액정층과 상기 제2기판의 컬러 필터 어레이가 대향하도록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각각 상기 제1필름층 및 제2필름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6664 discloses an example of a flexible LCD. The invention disclosed in exemplifie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6664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teps of attaching a first film layer on a first substrate, the first film layer Form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array on the first substrate; attaching a second film layer on the second substrate; forming a color filter array on the second film laye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bond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so that the liquid crystal layer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color filter array of the second substrate face each other; and separating the second substrate from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respectively.

그러나, 예시한 출원 공개 발명은 박형의 편광판이 필요하다는 내용은 전혀 시사하지 못하고 있으며 제1기판 및 제2기판 상에 각각 필름층을 부착하고, 그 필름층 상에 각각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혹은 컬러 필터 어레이를 형성하기에,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혹은 컬러 필터 어레이 형성을 위한 고온 공정(예를 들면 무기 절연층, 반도체층(활성층, 오믹 접촉층) 증착)을 적용하는 경우 필름층이 변형될 수 있는 문제의 소지가 있다. 더 나아가 각각의 필름층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혹은 컬러 필터 어레이를 형성하고 액정층의 초기 배열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또한 고온공정을 요구하므로 필름층이 변형될 소지가 있고, 여러 공정을 통해 각각의 필름층 상에 복수의 기능성 막(혹은 층)을 형성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함은 물론 제품 생산 수율을 향상시키는데 제약이 따른다.However, the exemplified published invention does not suggest at all that a thin polarizing plate is required, and a film layer is attached to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respectively, and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or color filter array is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lm layer. To form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or color filter array, the film layer may be deformed when applying a high-temperature process (eg, inorganic insulating layer, semiconductor layer (active layer, ohmic contact layer) deposition) for forming a color filter array. there is Furthermore, the steps of forming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or color filter array on each film layer, forming an alignment film to maintain the initial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layer, and bonding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lso require high-temperature processes. Since the film layer may be deformed and a plurality of functional films (or layers) must be formed on each film layer through various processes,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improving product production yiel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06664호 (2013.09.3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6664 (2013.09.30.)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고온 공정에서 크랙 및 컬 현상의 개선이 가능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을 제공함에 있으며,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inven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functional film capable of improving cracking and curling in a high-temperature process,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 내에 포함되는 편광자를 코팅층의 형태로 제공하여 박형화가 가능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을 제공함에 있다.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functional film that can be thinned by providing a polarizer included in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in the form of a coating layer.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과; 상기 제1 배향층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과; 상기 편광 코팅층 상에 형성된 분리층과; 상기 분리층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층; 상기 공통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2 배향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flexible functional film includes a first alignment layer formed on a base film; a polarization coa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a separation layer formed on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a common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eparation layer; and a second alignment layer formed on the common electrode lay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기판 상에 분리층, 공통전극층, 제2 배향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제조하되, 분리 공정에서 상기 기판 및 분리층이 분리된 공통 전극층 일면에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과 상기 제1 배향층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을 접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고,In addition, a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forming a separation layer, a common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alignment layer on a substrate, but one surface of the common electrode layer from which the substrate and the separation layer are separated in the separation proces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pared by bonding a first alignment layer formed on a base film and a polarizing coa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기판 상에 분리층, 공통전극층, 제2 배향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제조하되, 분리 공정에서 상기 기판 및 분리층이 분리된 공통 전극층 일면에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과; 상기 제1 배향층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을 접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며,A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forming a separation layer, a common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alignment layer on a substrate, but in the separation process, the substrate and the separation layer are separated on one side of the common electrode layer. a first alignment layer formed on the base fil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adhering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기판 상에 보호층, 공통전극층, 제2 배향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제조되되, 분리 공정에서 상기 기판 및 분리층이 분리된 보호층 일면에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과; 상기 제1 배향층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을 접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A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forming a protective layer, a common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alignment layer on a substrate,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layer from which the substrate and the separation layer are separated in a separation process a first alignment layer formed on the base fil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adhering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flexible functional film.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코팅 편광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고온공정이 적용되더라도 크랙 및 컬 발생이 억제되어 신뢰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because it includes a coated polarizing layer, and thus cracks and curls are suppressed even when a high temperature process is applied,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of excellent reliability.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기재 필름 상에 코팅 필름층을 직접 형성함으로써 제조되는 컬러 필터 어레이의 전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color filter array manufactured by directly forming the coating film layer on the base film.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 가능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단면 및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 예시도.1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flexible functional film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that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의 한 양태는,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120)과; 상기 제1 배향층(120)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130)과; 상기 편광 코팅층(130) 상에 형성된 분리층(140)과; 상기 분리층(140)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층(150); 상기 공통전극층(150) 상에 형성된 제2 배향층(16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formed on the base film 110 and; a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a separation layer 140 formed on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a common electrode layer 150 formed on the separation layer 140; It relates to a flexible functional film comprising a; second alignment layer 160 formed on the common electrode layer 15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120)과 상기 제1 배향층(120)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130)은 "광학 필름"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formed on the base film 110 and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optical film".

요컨대, 상기 광학 필름은 기재와 상기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120)과 상기 제1 배향층(120)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130)을 일컫되, 상기 광학 필름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편광 코팅층(130)이 분리층(140)에 접하도록 구비된다.In short, the optical film refers to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formed on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film 110 and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and the optical film When provided in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is provided to contact the separation layer 140 .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판"은 상기 제1 배향층(120)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130)과 혼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배향층(120)과 상기 제1 배향층(120)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130)과 혼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or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formed on the base film 110 and It may be mixed with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기재 필름(110) 및 상기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130)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film includes a base film 110 and a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formed on the base film 110 .

상기 기재 필름(110)은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에서 우수한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재 필름(110)은 제1 배향층(120), 편광 코팅층(130)을 코팅하기 위한 기재 역할을 수행한다.The base film 11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maintains transparency and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barrier properties, isotropy, etc., and the base film 110 includes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and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It serves as a substrate for coating.

예컨대, 상기 기재 필름(110)은 폴리올레핀,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base film 110 may include polyolefin, cyclic olefin resin,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imide, polymethacrylic acid ester, polyacrylic acid ester, cellulose ester,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carbonate,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It may be made of polyether ketone, polyphenylene sulfide, polyphenylene oxide,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 필름(110) 상의 코팅 편광층의 코팅성이나 투명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폴리이미드,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환상 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Specifical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thacrylic acid ester, polyimide, cellulose ester, cyclic olefin resin, or polycarbonat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coatability or transparency of the coating polarization layer on the base film 110 .

상기 코팅 편광층은 입사하는 자연광을 단일 편광상태(선편광 상태)로 바꿔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기재 필름(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코팅 편광층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재 필름(110)의 일면에 제1 배향층(120)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배향성을 부여하여 제1 배향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배향층 상에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며 액정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coating polarization layer serves to change incident natural light into a single polarization state (linear polarization state), an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ated polarizing layer,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is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and orientation is imparted to form the first alignment layer, and the first alignment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It can be prepared by forming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includ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chroic dye.

상기 제1 배향층은, 2색성 색소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갖는다. 상기 제1 배향층은, 상기 코팅층 형성 조성물의 도포 등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용제 내성을 갖고, 또한 용제의 제거나 2색성 색소를 배향시키기 위한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lignment layer has an alignment regulating force for orienting the dichroic dye and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a desired direction. The first orientation layer preferably has solvent resistance that does not dissolve when the coating layer forming composition is applied, and also has heat resistance in removal of the solvent and heat treatment for orienting the dichroic dye.

상기 제1 배향층은 표면에 요철 패턴이나 복수의 홈을 갖는 그루브 배향층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광 배향막일 수 있다. The first alignment layer may include a groove alignment layer having a concave-convex pattern or a plurality of grooves on its surface, and preferably may be a photo-alignment layer.

상기 제1 배향층의 막 두께는, 통상 10nm 내지 10000nm이며,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000n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500nm 이하이다. 상기 범위로 하면, 배향 규제력이 충분히 발현된다.The film thickness of the first alignment layer is usually 10 nm to 10000 nm, preferably 10 nm to 1000 nm, and more preferably 10 nm to 500 nm or less. If it is set as the said range, orientation regulating force will fully express.

상기 제1 배향층(120)은 통상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향층(120)은 광 반응성기를 갖는 중합체 또는 단량체 및 용제를 함유하는 제1 배향층(120)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may be formed of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hoto-alignment layer. Specifically,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may be formed of a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containing a polymer or monomer having a photoreactive group and a solvent.

상기 광 반응성기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배향능을 나타내는 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광 반응성기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분자의 배향 유기 또는 이성화 반응, 2량화 반응, 광 가교 반응, 또는 광 분해 반응과 같은, 배향능의 기원이 되는 광 반응을 한다. 당해 광 반응성기 중에서도, 2량화 반응 또는 광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배향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 반응성기로서는, 불포화 결합, 특히 이중 결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탄소 이중 결합(C=C 결합), 탄소-질소 이중 결합(C=N 결합), 질소-질소 이중 결합(N=N 결합), 및 탄소-산소 이중 결합(C=O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said photoreactive group refers to the group which shows orientation ability by irradiating light. Specifically, the photoreactive group undergoes a photoreaction that is the origin of orientation ability, such as induction of molecular orientation or isomerization reaction, dimerization reaction, photocrosslinking reaction, or photolysis reaction, by irradiation with light. Among the photoreactive groups, those that undergo a dimerization reaction or a photocrosslinking reaction are preferable in terms of excellent orientation. As the photoreactive group capable of generating the above reaction, those having an unsaturated bond, particularly a double bond are preferable, and carbon-carbon double bonds (C=C bonds), carbon-nitrogen double bonds (C=N bonds), A group hav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nitrogen-nitrogen double bond (N=N bond) and a carbon-oxygen double bond (C=O bond) is particularly preferred.

C=C 결합을 갖는 광 반응성기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기, 폴리엔기, 스틸벤기, 스틸바졸기, 스틸바졸리움기, 칼콘기 및 신나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C=N 결합을 갖는 광 반응성기로서는, 방향족 시프 염기 및 방향족 히드라존 등의 구조를 갖는 기를 들 수 있다. N=N 결합을 갖는 광 반응성기로서는, 아조벤젠기, 아조나프탈렌기, 방향족 복소환 아조기, 비스아조기 및 포르마잔기 등이나, 아족시벤젠을 기본 구조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C=O 결합을 갖는 광 반응성기로서는, 벤조페논기, 쿠마린기, 안트라퀴논기 및 말레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는,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알릴옥시기, 시아노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히드록실기, 술폰산기 및 할로겐화 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hotoreactive group having a C=C bond include a vinyl group, a polyene group, a stilbene group, a stilbazole group, a stilbazolium group, a chalcone group, and a cinnamoyl group. Examples of the photoreactive group having a C=N bond include groups having structures such as aromatic Schiff base and aromatic hydrazone. Examples of the photoreactive group having an N=N bond include an azobenzene group, an azonaphthalene group, an aromatic heterocyclic azo group, a bisazo group, and a formazan group, as well as those having azoxybenzene as a basic structure. Examples of the photoreactive group having a C=O bond include a benzophenone group, a coumarin group, an anthraquinone group and a maleimide group. These groups may have substituents such as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n aryl group, an allyloxy group, a cyano group, an alkoxycarbonyl group, a hydroxyl group, a sulfonic acid group, and a halogenated alkyl group.

그 중에서도, 광 이량화 반응하는 광 반응성기가 바람직하고, 광 배향에 필요한 편광 조사량이 비교적 적고, 또한 열 안정성이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제1 배향층(120)이 얻어지기 쉽다는 점에서, 신나모일기 및 칼콘기가 바람직하다. 광 반응성기를 갖는 중합체로서는, 당해 중합체 측쇄의 말단부가 신남산 구조가 되는 신나모일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Among them, a photoreactive group that undergoes a photodimerization reaction is preferable, and the amount of polarized light irradiation required for photo-alignment is relatively small, and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excellent in thermal stability and stability over time can be easily obtained. and a chalcone group are preferred. As the polymer having a photoreactive group, those having a cinnamoyl group at which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ide chain of the polymer concerned becomes a cinnamic acid structure are particularly preferred.

제1 배향층(120) 형성용 조성물의 용제로서는, 광 반응성기를 갖는 중합체 및 단량체를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용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또는 락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메틸아밀케톤 또는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펜탄, 헥산 또는 헵탄 등의 비염소계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톨루엔 또는 크실렌 등의 비염소계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계 용제; 클로로포름 또는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조합할 수도 있다.As a solvent for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it is preferable to dissolve a polymer and a monomer having a photoreactive group. The solvent includes alcohols such as water, methanol, ethanol, ethylene glycol, isopropyl alcohol, propylene glycol, methyl cellosolve, butyl cellosolve, o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ster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butyl acetate,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gamma butyrolactone,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or ethyl lactate; ketone solvent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cyclopentanone, cyclohexanone, methyl amyl ketone, or methyl isobutyl ketone; non-chlorine aliph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pentane, hexane or heptane; non-chlorine arom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toluene or xylene; nitrile solvents such as acetonitrile; ether solvents such as tetrahydrofuran or dimethoxyethane; Chlorine solvents, such as chloroform or chlorobenzene, etc. are mentioned.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제1 배향층(120)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광 반응성기를 갖는 중합체 또는 단량체의 함유량은, 당해 광 반응성기를 갖는 중합체 또는 단량체의 종류나 제조하려고 하는 제1 배향층(120)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데, 적어도 0.2 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배향층(120)의 특성이 현저하게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재료나 광증감제가 포함 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content of the polymer or monomer having a photoreactive group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is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lymer or monomer having the photoreactive group or the thickness of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to be produced. It can be adjusted, but it is preferably at least 0.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the range of 0.3 to 10 parts by weight is particularly preferred. In addition, a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vinyl alcohol or polyimide or a photosensitizer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are not significantly impaired.

상기 제1 배향층(120)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배향층(120)은 상기 기재 필름(110) 상에 바코팅, 그라비아 코팅, 다이 코팅, 어플리케이터법 및 플렉소법 등을 이용하여 도포한 뒤 건도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commonly used method. For example,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may be prepared by coating the substrate film 110 using bar coating, gravure coating, die coating, applicator method, flexo method, or the like, and then drying.

상기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액정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요컨대, 상기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강도가 향상되고, 색 불균일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중합성기란,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의미하며, 광중합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중합성기란, 후술하는 광중합 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 중합 반응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상기 중합성기로서는, 예컨대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서모트로믹성 액정이거나 리오트로픽 액정일 수도 있고, 또한 서모트로픽 액정에 있어서의, 네마틱액정이거나 스메틱 액정일 수도 있다.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a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group and exhibiting liquid crystallinity. In short, th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in this case, strength is improved and color non-uniformity is reduced. The polymerizable group means a group involved in a polymerization reaction, and is preferably a photopolymerizable group. Here, the photopolymerizable group refers to a group capable of undergo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with an active radical or an acid generated from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described later. 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group include a vinyl group, a vinyloxy group, a 1-chlorovinyl group, an isopropenyl group, a 4-vinylphenyl group, an acryloyloxy group, a methacryloyloxy group, an oxiranyl group, and an oxetanyl group. there is. Especially, an acryloyloxy group, a methacryloyloxy group, a vinyloxy group, an oxiranyl group, and an oxetanyl group are preferable, and an acryloyloxy group is more preferable. The compound exhibiting liquid crystallinity may be a thermotropic liquid crystal or a lyotropic liquid crystal, and may also be a nematic liquid crystal or smectic liquid crystal in the thermotropic liquid crystal.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보다 높은 편광 특성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스메틱 액정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고차 스메틱 액정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스메틱 B상, 스메틱 D상, 스메틱 E상, 스메틱 F상, 스메틱 G상, 스메틱 H상, 스메틱 I상, 스메틱 J상, 스메틱 K상 또는 스메틱 L상을 형성하는 고차 스메틱 액정 화합물이보다 바람직하고, 스메틱 B상, 스메틱 F상 또는 스메틱 I상을 형성하는 고차 스메틱 액정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preferably a smect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more preferably a higher order smectic liquid crystal compound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higher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mong them, Smetic B phase, Smetic D phase, Smetic E phase, Smetic F phase, Smetic G phase, Smetic H phase, Smetic I phase, Smetic J phase, Smetic K phase or Smetic A higher order smectic liquid crystal compound that forms an L phase is more preferred, and a higher order smectic liquid crystal compound that forms a smectic B phase, a smectic F phase or a smectic I phase is more preferred.

상기 액정 화합물은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액정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공할 때의 소위 드립이 발생하거나, 얻어진 편광 코팅층(130)에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Th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usually 1 to 7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 When the content ratio of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phenomenon in which so-called dripping occurs during coating and non-uniformity occurs in the obtained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

상기 2색성 색소란, 분자의 장축 방향에 있어서의 흡광도와, 단축 방향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상이한 성질을 갖는 색소를 말한다. 상기 2색성 색소는, 300 내지 700nm의 범위에 흡수 극대 파장(λMAX)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2색성색소는, 예를 들어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및 안트라퀴논 색소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아조 색소가 바람직하다. 아조 색소는, 모노아조 색소,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 테트라키스아조 색소 및 스틸벤아조 색소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아조 색소 및 트리스아조 색소이다. 상기 2색성 색소는 단독이거나, 조합할 수도 있는데, 3종류 이상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3종류 이상의 아조 화합물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 dichroic dye refers to a dye having a property in which the absorbance in the direction of the major axis of the molecule and the absorbance in the direction of the minor axis of the molecule are different. The dichroic dye preferably has an absorption maximum wavelength (λ MAX ) in the range of 300 to 700 nm. Examples of such dichroic pigments include acridine pigments, oxazine pigments, cyanine pigments, naphthalene pigments, azo pigments and anthraquinone pigments, and among these, azo pigments are preferable. Azo dyes include monoazo dyes, bisazo dyes, trisazo dyes, tetrakisazo dyes, and stilbenazo dyes, and are preferably bisazo dyes and trisazo dyes. The dichroic dy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but it is preferable to use three or more types in combination.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combine three or more types of azo compounds.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2색성 색소의 함유량은, 2색성 색소의 배향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외한 성분의 합계량을 말한다.The content of the dichroic dye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is 0.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orientation of the dichroic dye. 30 parts by weight or less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 parts by weight or less. Here, the solid content refers to the total amount of components excluding the solvent from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

또한,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는 용제, 중합 개시제, 증감제, 중합 금지제, 레벨링제 및 중합성 비액정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olvent,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sensitizer, a polymerization inhibitor, a leveling agent, and a polymerizable non-liquid crystal compound.

상기 용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완전히 용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에 불활성인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락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2-헵타논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제; 펜탄, 헥산 및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세토니트릴등의 니트릴 용제;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제; 클로로포름 및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함유 용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조합할 수도 있다.The solvent is preferably a solvent capable of completely dissolv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is preferably a solvent that is inactive to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alcohol solvents such as methanol, ethanol, ethylene glycol, isopropyl alcohol,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ethylene glycol butyl ether,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ster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butyl acetate,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γ-butyrolactone or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and ethyl lactate; ketone solvent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cyclopentanone, cyclohexanone, 2-heptan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aliph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pentane, hexane and heptane; arom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toluene and xylene; nitrile solvents such as acetonitrile; ether solvents such as tetrahydrofuran and dimethoxyethane; and chlorine-containing solvents such as chloroform and chlorobenzen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용제의 함유량은,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98 중량부 가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해당 고형분이 50 중량부 이하이면,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지는 것으로부터, 편광 코팅층(130)의 두께가 대략 균일해짐으로써 당해 편광 코팅층(130)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고형분은, 제조하려고 하는 편광 코팅층(130)의 두께를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solvent is preferably 50 to 9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In other word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lid cont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2 to 50 parts by weight is preferable. When the solid content is 50 parts by weight or less, since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is lowered,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becomes substantially uniform, making it difficult for non-uniformity to occur in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tend to lose In addition, this solid conten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to be manufactured.

상기 중합 개시제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 등의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광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알킬페논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시드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요오도늄염 및 술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의,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어지럽히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1 내지 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 compound capable of initiat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or the like.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y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hat generates active radicals by the action of light.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in compounds, benzophenone compounds, alkylphenone compounds, acylphosphine oxide compounds, triazine compounds, iodonium salts and sulfonium salt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when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is difficult to disturb the alignment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usually 0.1 to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5 to 10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0.5 to 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상기 증감제는, 광증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증감제는, 예를 들어 크산톤 및 티오크산톤 등의 크산톤 화합물(예를 들어,2,4-디에틸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 안트라센 및 알콕시기 함유 안트라센(예를 들어, 디부톡시안트라센 등) 등의 안트라센 화합물; 페노티아진 및 루브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증감제는,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에,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의,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증감제의 함유량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1 내지 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ensitizer is preferably a photosensitizer. Examples of the sensitizer include xanthone compounds such as xanthone and thioxanthone (eg, 2,4-diethylthioxanthone, 2-isopropylthioxanthone, etc.); anthracene compounds such as anthracene and anthracene containing an alkoxy group (eg, dibutoxyanthracene, etc.); phenothiazine and rubrene; and the like. The sensitizer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film when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the content of the sensitizer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t is usually 0.1 to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5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5 to 8 parts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중합 금지제는, 히드로퀴논, 알콕시기 함유 히드로퀴논, 알콕시기 함유 카테콜(예를 들어, 부틸카테콜등), 피로갈롤,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 라디칼 등의 라디칼 포착제; 티오페놀류; β-나프틸아민류 및 β-나프톨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중합 금지제는,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금지제에 의해,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의 진행 정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의,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증감제의 함유량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1 내지 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1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부이다.The polymerization inhibitor is hydroquinone, alkoxy group-containing hydroquinone, alkoxy group-containing catechol (for example, butylcatechol, etc.), pyrogallol, 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radical radical scavengers such as; thiophenols; β-naphthylamines and β-naphthol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polymerization inhibitor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when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 The progression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controlled by the polymerization inhibitor.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the content of the sensitizer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t is usually 0.1 to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5 to 10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0.5 to 8 parts by weight.

상기 레벨링제는,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의 유동성을 조정하여,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막을 보다 평탄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레벨링제로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 및 불소 원자 함유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로서는, "BYK-350, BYK-352, BYK-353, BYK-354, BYK-355,BYK-358N, BYK-361N, BYK-380, BYK-381 및 BYK-392(BYK 케미(Chemie)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 코팅층(130)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레벨링제의 함유량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3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이상 3 중량부 이하이다.The leveling agent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fluidity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to make the coating film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more fla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surfactant. Preferred leveling agents include a leveling agent containing a polyacrylate compound as a main component and a leveling agent containing a fluorine atom-containing compound as a main component. As the leveling agent containing the polyacrylate compound as a main component, "BYK-350, BYK-352, BYK-353, BYK-354, BYK-355, BYK-358N, BYK-361N, BYK-380, BYK-381 and BYK-392 (manufactured by BYK Chemie), etc. The leveling agent forms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The content of the leveling ag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130 is usually 0.3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Preferably they are 0.5 part by weight or more and 3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광학 필름, 요컨대 기재 필름(110) 및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120) 상에 코팅된 편광 코팅층(130)의 두께는 50㎛ 이하, 구체적으로는 35㎛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는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더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기재 필름(110),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120) 상에 코팅된 편광 코팅층(130), 상기 편광 코팅층(130)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50㎛ 이하, 구체적으로는 35㎛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는 30㎛ 이하일 수 있다.The optical film, that is,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coated on the base film 110 and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formed on the base film 110 has a thickness of 50 μm or less, specifically, 35 μm or less, Specifically, it may be 30 μm or less. The thickness may further includ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110,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coat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formed on the base film 110, and the adhesive layer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50 μm or less, specifically 35 μm or less, more specifically may be 30 μm or less.

종래에는 통상 편광자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연신한 후, 이색성 색소를 염색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고온 공정에서 크랙이 발생하기 때문에 두께가 50㎛를 초과해야 하기 때문에 박형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데 다소 제약이 있었으며, 두께를 50㎛ 이하로 하는 경우 컬 문제와 같은 다른 제약이 있었기 때문에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after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s a polarizer, a dichroic dye was dyed and used. However, in this case, since cracks occur in high-temperature processes,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applying to thin displays because the thickness must exceed 50㎛, and there are other limitations such as curl problems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50㎛. there was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120)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130)을 포함하기 때문에 50㎛ 이하, 구체적으로는 35㎛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는 30㎛ 이하의 두께를 가지더라도 고온 공정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컬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larization coating layer 130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formed on the base film 110, it has a thickness of 50 μm or less, specifically 35 μm or less, more specifically Even if the furnace has a thickness of 30 μm or les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racks do not occur in a high temperature process and curl is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by the following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분리층(140)은 우선 캐리어 기판, 즉 유리기판 상에 고분자 유기막을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리층(140)은 상기 유리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기능성 막(공통전극, 제2 배향층)을 유리기판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층으로서, 절연 기능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리층(140)을 도포하는 방법은 스핀 코팅, 다이 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과 같이 공지의 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separation layer 140 may be formed by first coating a polymer organic film on a carrier substrate, that is, a glass substrate. The separation layer 140 is a layer formed to separate a functional film (common electrode, second alignment layer)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from the glass substrate, and may perform an insulating function as well. As a method of applying the separation layer 140, a known coating method such as spin coating, die coating, or spray coating may be used.

상기 분리층(140)의 박리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0.01 내지 1N/25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N/25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리기판으로부터 잔여물 없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으며, 박리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한 컬(curl) 및 크랙을 저감할 수 있다.The peel force of the separation layer 1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0.01 to 1 N/25 mm, preferably 0.01 to 0.2 N/25 mm.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glass substrate without residue, and curl and cracks caused by tension generated during peeling can be reduced.

상기 분리층(14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0 내지 1,000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박리력이 안정되고 균일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layer 1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0 to 1,000 nm, preferably 50 to 500 nm.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peel force is stable and a uniform pattern can be formed.

상기 분리층(140)의 재료로서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계 고분자, 폴리아믹산계 고분자,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스타일렌계 고분자, 폴리노보넨계 고분자,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phenylmaleimide copolymer)계 고분자, 폴리아조벤젠계 고분자 등의 고분자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separation layer 140 include polyimide-based polymers,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s, polyamic acid-based polymers, polyamide-based polymers, polyethylene-based polymers, polystyrene-based polymers, polynorbornene-based polymers, and phenylmaleimide copolymers ( It may be made of a polymer such as a phenylmaleimide copolymer)-based polymer or a polyazobenzene-based polymer,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한편, 유리기판은 공통전극, 제2 배향층 형성시의 공정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고온에서도 변형이 되지 않는, 즉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재료를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d use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that does not deform even at a high temperature, that is, can maintain flatness, so that the glass substrate can withstand the process temperature at the time of forming the common electrode and the second alignment layer.

상기 분리층(140)을 형성하기 위한 경화 공정은 열경화 또는 UV 경화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열경화 및 UV 경화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the curing process for forming the separation layer 140, thermal curing or UV curing may be used alone or a combination of thermal curing and UV curing may be used.

상기 분리층(140) 상에 보호층(170)을 추가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170)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이다. 후술하겠지만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분리층(140)으로부터 유리기판이 박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호층(170)으로부터 유리기판과 분리층(140)이 박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A protective layer 170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separation layer 140 . This protective layer 170 is an optional component that can be omitted if necessary. As will be described lat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glass substrate may be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layer 140 , and the glass substrate and the separation layer 140 may be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layer 170 .

참고적으로 상기 보호층(170)은 상기 분리층(140)과 함께 후술할 공통전극, 제2 배향층을 피복하여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층(170)은 고분자 수지와 같은 유기물이나 질화막, 산화막과 같은 무기물로 제조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protective layer 170 covers and protects a common electrode and a second alignment layer to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separation layer 140 . The protective layer 170 may be made of an organic material such as a polymer resin or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a nitride film or an oxide film, and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layers.

분리층(140) (및 보호층(170))이 형성되면, 상기 분리층(140) 상에 호보층 상에 공통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공통전극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ITO) 전극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통전극의 형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When the isolation layer 140 (and the protective layer 170) are formed, a common electrode is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on the isolation layer 140. The common electrode may be formed using an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 Formation of such a common electrode is just one example,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formed in various known methods.

상기 공통전극이 형성되면 상기 공통전극 상에 제2 배향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향층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일 예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2 배향층은 액정층 내에 포함되는 액정의 배열을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액정층의 초기 배열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러빙된다.When the common electrode is formed, a second alignment layer may be formed on the common electrode. This is because the second alignment layer is applicable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an example of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econd alignment layer is formed to align the liquid crystals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and is rubb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maintain the initial alignment state of the liquid crystal layer.

상기 제2 배향층이 형성되면 점착제층(210)이 일면에 도포된 보호필름을 전사공정을 통해 상기 제2 배향층 상에 접합한다.When the second alignment layer is formed, the protective film coated on on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10 is bonded onto the second alignment layer through a transfer process.

전사공정을 통해 보호필름이 접합되면, 실시형태에 따라 캐리어 기판인 유리기판과 분리층(140)을 분리하거나, 유리기판 및 분리층(140)을 보호층(170)으로부터 분리한다. 분리 방법은 리프트오프(lift-off) 또는 필오프(peel-off) 방법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When the protective film is bonded through the transfer process, the glass substrate serving as the carrier substrate and the separation layer 140 are separated, or the glass substrate and the separation layer 140 are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layer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paration method includes a lift-off or peel-off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분리층(140)으로부터 상기 유리기판을 분리한 후에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광학필름을 접착한다. 요컨대, 상기 접착제는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배향층(120) 상에 형성된 코팅 편광층의 일면에 도포된다. 이어서 접합된 보호필름을 제거하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각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구조를 가지는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After separating the glass substrate from the separation layer 140, an optical film coated with an adhesive is attached to one surface. In short, the adhesive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coated polarization layer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formed on the base film 110 . Subsequently, when the bonded protective film is removed, a flexible functional film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as shown in (a) of each drawing shown in FIGS. 1 to 4 can be manufactur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제조공정에서 유리기판 상에 보호층(170) 없이 분리층(140)과 공통전극(150), 제2 배향층을 형성한 후 분리층(140)으로부터 유리기판을 분리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단면 구조를 예시한 것이며, 도 2의 (a)는 유리기판 상에 분리층(140)과 공통전극(150), 제2 배향층을 형성한 후 공통전극으로부터 유리기판 및 분리층(140)을 분리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단면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의 (a)는 유리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분리층(140)과 보호층(170)을 형성한 후 분리층(140)으로부터 유리기판을 분리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단면 구조를 예시한 것이며, 도 4의 (a)는 유리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분리층(140)과 보호층(170)을 형성한 후 보호층(170)으로부터 유리기판과 분리층(140)을 분리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단면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 of FIG. 1 shows the glass substrate from the separation layer 140 after forming the separation layer 140, the common electrode 150, and the second alignment layer without the protective layer 170 on the glass substrat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prepared by separating the substrate is exemplified, and FIG. It illustrate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prepared by separating the glass substrate and the separation layer 140 from. 3(a)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flexible functional film prepared by sequentially forming a separation layer 140 and a protective layer 170 on a glass substrate and then separating the glass substrate from the separation layer 140. 4 (a) is a flexible manufactured by separating the glass substrate and the separation layer 140 from the protective layer 170 after sequentially forming the separation layer 140 and the protective layer 170 on the glass substrate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unctional film is illust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제조사의 판매 정책 혹은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예시한 제조 공정 순서를 일부 변경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물론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보호필름은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제품 적용시,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exible functional film having various types of cross-sectional structures as shown in FIGS. Functional films can be produced. Of course, FIGS. 1 to 4 show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removed. The protective film may be removed as needed when the product of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is appli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유리기판 상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고온공정이 적용되더라도 베이스 소재의 변형 우려가 없어 신뢰성 있는 기능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on a glass substrate, there is no risk of deformation of the base material even when a high-temperature process is applied, and thus a reliable functional film can be manufactured.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이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될 경우의 단면 구조를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when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ll be further described.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 가능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단면 및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1 to 4 illustrate a cross-section of a flexible functional film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id crystal display, respectively, that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단면 구조가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분리층(140), 공통전극, 제2 배향층(160)이 적층되어 제조된 필름이고, 유리기판이 제거된 위치에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120) 상에 형성된 코팅 편광층이 접착되어 있되, 상기 코팅 편광층이 상기 분리층(140)과 접하도록 접착되어 있는 필름이라면, 이러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컬러 필터(220)와 접합되어 하나의 컬러 필터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manufactur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a) of FIG. It is a manufactured film, and the coating polarization layer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formed on the base film 110 is adhered to the position where the glass substrate is removed, and the coating polarization layer is attached to the separation layer 140 If the film is adhe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may be bonded to the color filter 220 and used as one color filter film.

즉,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광학필름 일면에 컬러 필터(220)층이 형성된 기판(유리) 혹은 필름(230)을 접착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적용 가능한 독립된 형태의 컬러 필터 필름(이를 편의상 컬러 필터 어레이(200)로 칭하기로 함)을 제조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b) of FIG. 1, a substrate (glass) or a film 230 having a color filter 220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optical film of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is adhered to form an independent type applicable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like. A color filter film (which will be referred to as the color filter array 200 for convenience) can be manufactured.

더 나아가 상술한 컬러 필터 어레이(200)를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340)을 사이에 두고 박막 트랜지스터(TFT) 어레이(300)와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후 접합하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컬러 필터 어레이(200)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urthermore, as shown in (c) of FIG. 1, the above-described color filter array 200 is positioned to face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array 300 with the liquid crystal 340 therebetween, and then bond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in which the and the color filter array 200 are integrated.

참고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상에는 액정(340)에 배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3 배향층(33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배향층과 상기 제3 배향층은 동일한 것일수도 있고, 상이한 것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3 배향층은 전술한 상기 제2 배향층에 관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alignment layer 330 for imparting alignment to the liquid crystal 340 is position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The second alignment layer and the third alignment laye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s for the third alignment layer,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regarding the second alignment layer may be applied.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 2의 (a)와 도 3의 (a), 도 4의 (a)에 도시한 단면 구조를 가지는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광학필름 일면에 컬러 필터(220)층이 형성된 기판(유리)(230) 혹은 필름을 접착하여 도 2의 (b), 도 3의 (b),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구조의 컬러 필터 어레이(200)를 제조할 수 있고,In the same way, the substrate (glass ) 230 or by attaching a film to manufacture a color filter array 200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as shown in FIGS. 2(b), 3(b), and 4(b),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컬러 필터 어레이(200)를 액정(340) 사이에 두고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300)와 마주보도록 위치시켜 접합하면 도 2의 (c), 도 5의 (c),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구조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each of the color filter arrays 200 manufactured in this way are placed between the liquid crystals 340 and positioned to face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300 and bonded, FIGS. 2(c), 5(c), and 6(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as shown in c).

참고적으로 컬러 필터(220)층이 필름 상에 형성되어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300) 역시 플렉서블한 필름에 형성되어 있다면, 결과적으로 플렉서블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For reference, if the color filter 220 layer is formed on a film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300 is also formed on a flexible film, a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can be manufactured as a resul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컬러 필터(220)층이 형성된 기판 혹은 필름(230)과 접합되어 컬러 필터 어레이(200)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300)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onded to the substrate or film 230 on which the color filter 220 layer is formed and used as the color filter array 200,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300 and may be bonded with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to form on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필름층을 이용하지 않음은 물론, 컬러 필터(220)층과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340) 사이에 형성되어야 하는 공통전극과 제2 배향층(160)을 기능성 필름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수율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separate film layer, and the common electrode and the second alignment layer 160 to be formed between the color filter 220 layer and the liquid crystal 340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are made of functional films. Since it is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oduction yield can be improved by a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은 하드(hard)한 기판 사용 없이 유연성이 있는 필름상에 공통전극과 제2 배향층(160)을 형성하여 컬러 필터(220)층이 형성된 기판 혹은 필름(230)과 결합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컬러 필터 어레이(200)의 전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common electrode and the second alignment layer 160 on a flexible film without using a hard substrate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ubstrate or film 230 on which the color filter 220 layer is form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color filter array 200 can be minimized.

특히,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되던 연신타입 편광판이 아닌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120) 상에 형성된 코팅 편광자를 사용함으로써 연신타입 편광판의 한계가 극복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은 박막 소자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공정 내열 환경에서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고, 컬 현상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tretched type polarizer by using a coated polarizer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120 formed on the base film 110 instead of the conventionally used stretched type polarizer. Specifically,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hin film device, but has an advantage in that generation of cracks is suppressed and curling is improved in a process heat-resistant environ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전술한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구체 예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액정표시장치; LCD), 유기 EL 디스플레이(유기 EL 표시장치), 액정 프로젝터, 게임기용 표시장치, 휴대전화 등의 휴대단말용 표시장치, 디지털 카메라용 표시장치, 카 네비게이션용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flexible functional film. Specific exampl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n organic EL display (organic EL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projector, a display device for game machines, a displa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a display for digital cameras. device, a display device such as a display device for car navigati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수분 또는 불순물의 확산을 차단하고 박리시 적층된 기능성 막들을 보호하기 위한 배리어층을 필요에 따라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에 추가 형성하는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barrier layer for blocking diffusion of moisture or impurities and protecting the stacked functional films during peeling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s necessary may be considere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제조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Hereinafter, examples (manufacturing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specifically describe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herei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 and "parts" indicating content below are based on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플렉서블flexible 기능성 필름의 제조 Manufacture of functional films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One

(1) 제1 (1) 1st 배향층alignment layer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Preparation of Forming Composition

하기 성분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제1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하기 제1 배향층 형성용 재료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3-3324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irst alignment layer was obtained by mixing the following components and stirring the resulting mixture at 80°C for 1 hour.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first alignment layer described below was synthesiz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3-33248.

광 배향성 재료(2부):Photo-Orientable Materials (Part 2):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1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1

용제(98부):o-크실렌Solvent (98 parts): o-xylene

(2) 편광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2) Preparation of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coating layer

하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편광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2색성 색소에는, 일본특허 공개 제2013-101328호 공보의 실시예에 기재된 아조계 색소를 사용했다.A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coating layer was obtained by mixing the following components and stirring at 80° C. for 1 hour. As the dichroic dye, the azo dye described in Examples of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3-101328 was used.

[중합성 액정 화합물][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2
75부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2
Part 75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3
25부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3
Part 25

[2색성 색소][Dichroic pigment]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4
2.5부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4
Part 2.5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5
2.5부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5
Part 2.5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6
2.5부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6
Part 2.5

[다른 성분][Other Ingredients]

중합 개시제;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이르가큐어 369; 바스프 재팬(주) 제조)6부Polymerization initiator; 2-dimethylamino-2-benzyl-1-(4-morpholinophenyl)butan-1-one (Irgacure 369; manufactured by BASF Japan Co., Ltd.) 6 parts

레벨링제;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BYK-361N; BYK-케미사 제조) 1.2부Leveling agent; polyacrylate compound (BYK-361N; manufactured by BYK-Chemistry) 1.2 parts

용제; o-크실렌 250부solvent; 250 parts o-xylene

(3) 광학필름 및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제조(3) Manufacture of optical films and flexible functional films

기재필름으로서, 25㎛ 두께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TAC)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의 일면에, 제1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100℃의 건조 오븐 속에서 2분간 가열 건조했다. 얻어진 건조 피막에 편광 UV 조사 처리를 실시하여 제1 배향층을 형성했다. 그후 코팅방향에 대해 0°방향으로 편광 UV를 20mJ/cm2(313nm 기준) 강도로 조사하였다.As a base film, a composition for forming a first alignment layer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25 μm-thick triacetyl cellulose film (TAC) (Konica Minolta Opto Co., Ltd.) by a bar coating method, and then dried in a drying oven at 100° C. It heat-dried for 2 minutes. Polarization UV irradiation treatment was given to the obtained dry film, and the 1st alignment layer was formed. Thereafter, polarized UV was irradiated at an intensity of 20 mJ/cm 2 (based on 313 nm) in a direction of 0° with respect to the coating direction.

이후, 제1 배향층 상에 편광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120℃의 건조 오븐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한 후, 실온까지 냉각했다. UV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노광량 1000 mJ/㎠(365 nm 기준)로 자외선을 건조 피막에 조사함으로써 0.10㎛ 제1 배향층 및 2.1㎛ 두께의 편광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광학필름(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후 편광 코팅층 표면에, 두께 5 ㎛의 아크릴계 점착제(린텍사제 세퍼레이터 필름 부착 넌캐리어 필름)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10×10cm로 재단한 후 Glass와 접합하여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였다.Thereafter,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coating layer was appli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by a bar coating method, dried by heating in a drying oven at 120° C. for 1 minute,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by irradiating the dried film with ultraviolet rays at an exposure amount of 1000 mJ/cm 2 (based on 365 nm) using a UV irradiation device to form a 0.10 μm first alignment layer and a 2.1 μm thick polarizing coating layer. Thereafter, an acrylic adhesive (non-carrier film with a separator film manufactured by Lintec)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to form an adhesive layer, cut to 10 × 10 cm, and then bonded with glass to prepare a flexible functional film.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2

기재필름으로 40㎛ 두께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TAC)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 및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였다.An optical film and a flexible functional film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a 40 μm-thick triacetyl cellulose film (TAC) (Konica Minolta Opto Co., Ltd.) was used as the base film.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3 3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몰% 이상으로 두께 75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의 순수에 침지한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질량비가0.02/2/100인 수용액에 30℃에서 침지하여 요오드 염색을 행하였다. 그후, 요오드화 칼륨/붕산/물의 질량비가 12/5/100인 수용액에 56.5℃에서 침지하여 붕산 처리를 행하였다. 계속해서 8℃의 순수로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편광층(연신후의 두께 18 ㎛)을 제작하였다. 연신은 요오드 염색 및 붕산 처리의 공정에서 주로 행하고, 토탈 연신 배율은 5.3배이었다. 얻어진 편광층과 기재필름으로서 25㎛ 두께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TAC)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을 수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닙롤로 접합하였다. 이후 60℃에서 2분간 건조하여 편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또한, 수계 접착제는 물 100부에,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구라레제 구라레 포발 KL318) 3부와 수용성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스미까 켐텍스제 스미레즈 레진 650 고형분 농도 30%의 수용액) 1.5부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편광층 표면에, 두께 5 ㎛의 아크릴계 점착제(린텍사제 세퍼레이터 필름 부착 넌캐리어 필름)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10×10cm로 제단한후 Glass와 접합하여 광학필름 및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였다.A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bout 2,4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or more and having a thickness of 75 μm was immersed in pure water at 30 ° C, and then immersed at 30 ° C in an aqueous solution with a mass ratio of iodine / potassium iodide / water of 0.02/2/100. and iodine staining was performed. Thereafter, boric acid treatment was performed by immersing at 56.5°C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mass ratio of potassium iodide/boric acid/water of 12/5/100. Subsequently, after washing with pure water at 8°C, drying was performed at 65°C to produce a polarizing layer (thickness after stretching: 18 µm)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oriented in polyvinyl alcohol. Stretching was mainly performed in the steps of iodine dyeing and boric acid treatment, and the total stretching ratio was 5.3 times. The obtained polarizing layer and a 25 μm-thick triacetyl cellulose film (TAC) (Konica Minolta Opto Co., Ltd.) as a base film were bonded with a nip roll through a water-based adhesive. After drying at 60 ℃ for 2 minutes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on one side. In addition, the water-based adhesive is 100 parts of water, 3 parts of carbox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Kurare Forval KL318 manufactured by Kuraray) and 1.5 parts of water-soluble polyamide epoxy resin (Sumirez Resin 650 manufactured by Sumika Chemtex,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0%). prepared by adding Then, an acrylic adhesive (Non-carrier film with separator film manufactured by Lintec)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ation layer to form an adhesive layer, cut to 10 × 10 cm, and bonded with glass to produce an optical film and a flexible functional film. did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4 4

기재필름을 25㎛ 두께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필름(코니카 미놀타 옵토(주)) 2장을 이용하여 수계 접착제로 접합한 것을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필름 및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였다.An optical film and a flexible functional film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3, except that the base film was bonded with a water-based adhesive using two sheets of cellulose ester film (Konica Minolta Opto Co., Ltd.)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

광학필름 및 optical film and 플렉서블flexible 기능성 필름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functional films

제조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의 구조와 그 성능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example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2 Preparation Example 2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구조structure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7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7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8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8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9
Figure 112017020563750-pat00009
Figure 112017020563750-pat00010
Figure 112017020563750-pat00010
두께(㎛)Thickness (㎛) 32.2(◎)32.2(◎) 47.2(○)47.2(○) 48(○)48(○) 73(××)73(××) 내열 크랙
(120℃,2hr)
heat crack
(120℃,2hr)
××××
초기 컬initial curl ×××× 내열 후 컬Curl after heat resistance ××××

(1) 두께(1) Thickness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 내의 구성의 두께를 접촉식 막두께 측정기(NIKON 모델:MS-5C)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중 편광판, 요컨대 기재필름, 제1 배향층 및 상기 제1 배향층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과 점착제층의 두께를 하기 측정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n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was measured using a contact film thickness meter (NIKON model: MS-5C), among which a polarizing plate, in short, a base film, a first alignment layer, and a polarizing coa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asurement criteria.

◎: 편광판 두께 40 미만, ○: 50 미만, ×: 60 미만, ××: 60 이상◎: less than 40 polarizer thickness, ○: less than 50, ×: less than 60, × ×: 60 or more

(2) 내열 크랙(2) Heat-resistant crack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광학 필름을 각각 3개 제작하여 내열(120도 2시간) 조건 투입한후 내열성 테스트 후 편광 코팅층 상의 크랙을 관찰하였다. 이때,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Three optical film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example were prepared and put under heat resistance (120 degrees for 2 hours) conditions, and cracks on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were observed after the heat resistance test. At this time,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 크랙 없음◎: No cracks

○: 10mm 이하 크랙 존재○: presence of cracks of 10 mm or less

×: 1개 이상 전면 크랙×: 1 or more frontal cracks

××: 3개 모두 전면 크랙××: all three front cracks

(3) 컬(3) Curl

상기의 제조예들에 따라 제조된 점착제 접합전의 편광판, 요컨대 광학필름을 10cm × 10cm 크기로 자른 후 25℃, 48RH%하에서 24시간 방치 후 바닥으로부터 네 모서리의 높이 평균으로 초기 컬을 측정하였다. 이후 120℃에서 5min 후 상온상태에서 바닥으로부터 네 모서리의 높이 평균으로 내열 컬을 측정하였다.After cutting the polarizing plate, that is, the optical film, before bonding the adhesive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s to a size of 10 cm × 10 cm, and then leaving it at 25 ° C. and 48 RH% for 24 hours, the initial curl was measured as the average height of the four corners from the bottom. Then, after 5 min at 120° C., the heat resistance curl was measured as the average height of the four corners from the bottom at room temperature.

◎: ≤10mm, ○: ≤ 30mm, ×: ≤ 50mm, ××: > 50mm◎: ≤10 mm, ○: ≤ 30 mm, ×: ≤ 50 mm, × ×: > 50 mm

상기 표 1을 보면, 제조예 1, 2는 박막을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내열환경의 크랙과 컬을 억제가 되는 것을 알수 있었고, 제조예 3의 경우 내열 크랙, 초기 컬, 내열 후 컬의 성능이 모두 우수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제조예 4의 경우 후막이 되어야만 크랙방지가 되었으며, 편광자 기준 상/하 대칭구조가 되어 컬 억제가 가능하였으나 편광판의 박막은 달성되지 않았다.Looking at Table 1, it was found that Preparation Examples 1 and 2 suppressed cracks and curls in a heat-resistant environment despite maintaining thin films, and in the case of Preparation Example 3, the performance of heat-resistant cracks, initial curl, and curl after heat resistance It was found that all of them were not excellent, and in the case of Preparation Example 4, crack prevention was achieved only when the film was thick, and curl suppression was possible due to the polarizer-based upper / lower symmetric structure, but the thin film of the polarizer was not achieved.

110: 기재 필름
120: 제1 배향층
130: 편광 코팅층
140: 분리층
150: 공통전극층
160: 제2 배향층
170: 보호층
210: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
220: 컬러 필터
230: 기판(유리 or 필름)
310: 기판(유리 or 필름)
320: TFT
330: 제3 배향층
340: 액정
110: base film
120: first alignment layer
130: polarization coating layer
140: separation layer
150: common electrode layer
160: second alignment layer
170: protective layer
210: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220: color filter
230: substrate (glass or film)
310: substrate (glass or film)
320: TFT
330: third alignment layer
340: liquid crystal

Claims (9)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과;
상기 제1 배향층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과;
상기 편광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 상에 형성된 분리층과;
상기 분리층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층;
상기 공통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2 배향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 필름, 상기 제1 배향층, 상기 편광 코팅층 및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 합은 50㎛ 이하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
a first alignment layer formed on the base film;
a polarization coa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a separation layer form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common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eparation layer;
A second alignment layer formed on the common electrode layer;
A flexible functional film in which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base film, the first alignment layer,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50 μm or les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과 상기 공통전극층 사이에 형성된 보호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
According to claim 1,
Flexible functional fil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layer formed between the separation layer and the common electrod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또 다른 일면에 접착되되, 컬러 필터층이 형성된 기판 혹은 필름;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further comprising a substrate or film attached to an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having a color filter layer formed thereon.
기판 상에 분리층, 공통전극층, 제2 배향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제조하되, 분리 공정에서 상기 기판이 분리된 분리층 일면에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접착하여 제조되며,
상기 기재 필름, 상기 제1 배향층, 상기 편광 코팅층 및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 합은 50㎛ 이하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
It is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forming a separation layer, a common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alignment layer on a substrate, but formed on a polarizing coating layer formed on a first alignment layer formed on a base film on one side of the separation layer from which the substrate is separated in the separation process. It is prepared by bonding an adhesive layer,
A flexible functional film in which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base film, the first alignment layer,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50 μm or less.
기판 상에 분리층, 공통전극층, 제2 배향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제조하되, 분리 공정에서 상기 기판 및 분리층이 분리된 공통 전극층 일면에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접착하여 제조되며,
상기 기재 필름, 상기 제1 배향층, 상기 편광 코팅층 및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 합은 50㎛ 이하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
It is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forming a separation layer, a common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alignment layer on a substrate, but in the separation process, a polarization coa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formed on the base film on one side of the common electrode layer from which the substrate and separation layer are separated. It is prepared by adhe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A flexible functional film in which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base film, the first alignment layer,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50 μm or less.
기판 상에 분리층, 보호층, 공통전극층, 제2 배향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제조되되, 분리 공정에서 상기 기판 및 분리층이 분리된 보호층 일면에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배향층 상에 형성된 편광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접착하여 제조되며,
상기 기재 필름, 상기 제1 배향층, 상기 편광 코팅층 및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 합은 50㎛ 이하인,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
It is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forming a separation layer, a protective layer, a common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alignment layer on a substrate. It is prepared by adhe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formed polarizing coating layer,
A flexible functional film in which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base film, the first alignment layer, the polarizing coating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50 μm or less.
삭제delete 제1항의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flexible functional film of claim 1.
KR1020170026416A 2017-02-28 2017-02-28 A flexible functional film Active KR1025248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16A KR102524848B1 (en) 2017-02-28 2017-02-28 A flexible functional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16A KR102524848B1 (en) 2017-02-28 2017-02-28 A flexible functional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250A KR20180099250A (en) 2018-09-05
KR102524848B1 true KR102524848B1 (en) 2023-04-21

Family

ID=6359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416A Active KR102524848B1 (en) 2017-02-28 2017-02-28 A flexible functional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8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5312B1 (en) * 2021-12-29 2025-01-2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Smart window film, smart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0468A1 (en) 2004-05-31 2005-12-08 Tae-Young Choi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6109931A1 (en) 2005-04-12 2006-10-19 Lg Innotek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station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391A (en) * 2010-07-14 2012-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n-cell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105694A (en) * 2011-03-16 2012-09-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with wide viewing angle
KR101794050B1 (en) * 2012-03-19 2017-11-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336074B1 (en) 2012-03-20 2013-12-03 주식회사 맥스텍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LCD) device
KR20160092163A (en) * 2015-01-27 2016-08-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having protective lay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0468A1 (en) 2004-05-31 2005-12-08 Tae-Young Choi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6109931A1 (en) 2005-04-12 2006-10-19 Lg Innotek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station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250A (en)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585B1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TWI634353B (en) Elliptical polarizer
JP2019135561A (e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US20160216424A1 (en) Polarizing plate having protective lay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201921001A (en) Phase difference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function
TWI820171B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TWI808224B (en) Optical film
WO2021246441A1 (en) Optical film,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773810B1 (en) A laminate comprising a horizontally aligned liquid crystal curing film
KR20230107357A (en) Laminate film, laminate, polarizer, polarizer roll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2524848B1 (en) A flexible functional film
CN117471598A (en)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7471601A (en) Optical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921000A (en) Retardation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function for flexible display
CN111487703B (en) Laminated body for organic EL display an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used therein
WO2020026804A1 (en) Optical film
TW201940905A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TWI882978B (en) Multilayer body for organic EL display
TW202405536A (en) Optical laminate
TW202404815A (en) Optical laminate
TW202514158A (en)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202434921A (en)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50047624A (en) Laminate and display device
JP2025019777A (en) Optical laminat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TW202514164A (en) Optical lami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9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0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9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