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768B1 - Blow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lower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4768B1 KR102524768B1 KR1020160047525A KR20160047525A KR102524768B1 KR 102524768 B1 KR102524768 B1 KR 102524768B1 KR 1020160047525 A KR1020160047525 A KR 1020160047525A KR 20160047525 A KR20160047525 A KR 20160047525A KR 102524768 B1 KR102524768 B1 KR 1025247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ler
- blower
- adapter
- case
- blower c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블로어케이스와 제어기의 사이에 별도의 어댑터를 설치하여 서로 조립함으로써, 상기 제어기의 종류별로 어댑터 금형만 개발하면 되기 때문에 금형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제어기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separate adapter between a blower case and a controller and assembling them togeth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only an adapter mold for each type of controller, thereby reducing mold development cos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lower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airtightness even when using various types of controll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블로어케이스와 제어기의 사이에 별도의 어댑터를 설치하여 서로 조립함으로써, 상기 제어기의 종류별로 어댑터 금형만 개발하면 되기 때문에 금형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제어기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separate adapter between a blower case and a controller and assembling them togeth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only an adapter mold for each type of controller, thereby reducing mold development cos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lower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airtightness even when using various types of controllers.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실내/외 공기를 도입하여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장치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 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입구측(43)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43)과 이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측(44)이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In general,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ools or heats the vehicle interior by introducing air inside/outside the vehicle, heating or cooling the air, and blowing the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As shown in FIG. 1, the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장치는 내,외기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 전환도어가 내부에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2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의 하부에 조립됨과 아울러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 송풍하도록 송풍팬(35)을 구비한 블로어케이스(3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와 블로어케이스(30)의 사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필터(미도시)와, 상기 송풍팬(35)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블로어케이스(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36)로 구성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blower. As shown, the blower has an
이때, 상기 블로어케이스(30)가 공조케이스(40)의 입구측과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외기모드시에는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가 내기유입구(21)를 밀폐하고 외기유입구(22)는 개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35)의 작동으로 상기 외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송풍팬(35)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반경방향으로 토출되고, 토출된 외기는 블로어케이스(30)내의 스크롤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송풍된다.Therefore, in the outdoor air mode, the indoor/outdoor air conversion door seals the
또한, 내기모드시에는 반대로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가 내기유입구(21)를 개방하고 외기유입구(22)는 밀폐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35)의 작동으로 상기 내기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상기 송풍팬(35)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반경방향으로 토출되고, 토출된 내기는 블로어케이스(30)내의 스크롤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송풍된다.In addition, in the bet mode, on the contrary, the inside/outdoor conversion door opens the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의 모터(36)는, 제어기(50)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즉, 상기 제어기(50)는 컨트롤 스위치와 연결되어 모터(36)의 온/오프는 물론 회전 속도까지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서 공조장치의 편의 사양 옵션(수동/오토)에 따라 LPM타입, PWM타입, 레지스터 타입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이처럼, 상기 제어기(50)는 모터(36)에 저항을 부여하여 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제어기(50)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줄(Joule)열이 발생하여 발열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50)의 열을 송풍장치내를 유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게 된다.As such, since the
이를 위해, 상기 송풍장치의 블로어케이스(30)에는 상기 제어기(50)가 장착되며, 이때 상기 제어기(50)의 히트싱크(51)가 블로어케이스(30)의 조립부(31)를 관통하여 블로어케이스(30) 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블로어케이스(30)내를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제어기(50)의 히트싱크(51)가 상호 열교환하게 되면서 제어기(50)가 냉각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제어기(50)의 종류별로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기(50)가 조립되는 상기 블로어케이스(30)의 조립부(31) 형상도 제어기(50)의 종류별로 다르게 구성해야만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50)의 종류별로 상기 블로어케이스(30)의 금형을 별도로 개발해야 하므로 금형 개발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shape of the
아울러, 다양한 종류의 제어기(50)와 블로어케이스(30)간에 각각 기밀성 검증을 해야하므로 기밀성 검증 등에 따른 개발비용 증가 및 각 제어기(50) 종류별로 동일한 기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confidentiality must be verified between various types of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로어케이스와 제어기의 사이에 별도의 어댑터를 설치하여 서로 조립함으로써, 상기 제어기의 종류별로 어댑터 금형만 개발하면 되기 때문에 금형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제어기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송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is to install a separate adapter between the blower case and the controller and assemble them together, so that only the adapter mold needs to be developed for each type of controller, so the mold development cost can be reduced. It is to provide a vehicle blower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airtightness even when using various types of controlle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설치된 블로어케이스와, 상기 블로어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케이스와 제어기의 사이에는, 상기 블로어케이스와 제어기 서로간에 연결 조립시켜주는 어댑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ehicle blower comprising a blower case in which a blowing fan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blowing fan are installed, and a controller mounted on the blower case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n the, between the blower case and the cont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dapter for connecting and assembling the blower case and the controller to each other is installed.
본 발명은, 블로어케이스와 제어기의 사이에 별도의 어댑터를 설치하여 서로 조립함으로써, 상기 제어기의 종류별로 블로어케이스 금형을 개발할 필요 없이 어댑터 금형만 개발하면 되기 때문에 금형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제어기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separate adapter between the blower case and the controller and assembling them together, since only the adapter mold needs to be developed without the need to develop a blower case mold for each type of controller, the mold development cost can be reduced, and various The same confidentiality can be maintained even if a controller of the kind is used.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어댑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에서 제어기의 종류에 따라 어댑터의 제2결합수단이 상이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 vehicle air condition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blowe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apter is coupled in Figure 3;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cases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means of the adapter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roller in the vehicle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100)는, 송풍팬(160)과 상기 송풍팬(160)을 회전시키는 모터(165)가 설치된 블로어케이스(130)와,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16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의 상부에는 내기와 외기를 유입하기 위한 인테이크 덕트(110)가 설치된다.The upper part of the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는, 상부에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111) 및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112)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블로어케이스(130)와 조립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111)(1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내,외기 전환도어(미도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In the
그리고, 상기 블로어케이스(130)는 상기 송풍팬(160)이 내부에 설치된 스크롤부(140)와, 상기 스크롤부(140)로 부터 연장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150)로 구성되어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개방된 하부에 조립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스크롤부(140)와 토출부(150)로 이루어진 블로어케이스(130)는 상부케이스(130a)와 하부케이스(130b)로 분할되어 서로 조립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스크롤부(140)는 상기 송풍팬(160)의 둘레를 따라 스크롤(Scroll) 형태로 형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송풍팬(16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가 스크롤면을 따라 소용돌이치며 상기 토출부(150)로 유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air blown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blowing
한편, 상기 송풍팬(160)은 원심팬으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blowing
또한, 상기 스크롤부(140)의 상부면에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내로 유입된 공기를 송풍팬(16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벨마우스(141)가 관통 형성되고, 스크롤부(140)의 하부면에는 상기 송풍팬(16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165)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토출부(150)는 상기 스크롤부(140)의 스크롤 형상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토출부(150)의 끝단은 공조케이스와 연결된다.And, the
또한,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인테이크 덕트(110)의 사이에는 필터(120)가 설치되어,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내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게 된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는, 인테이크 덕트(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케이블(미도시)이나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에 의해 구동된다.Meanwhile, the indoor/outdoor conversion door is driven by a separate cable (not shown) or an actuator (not shown) installed outside the
그리고, 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16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공조장치의 편의 사양 옵션(수동/오토)에 따라 LPM타입, PWM타입, 레지스터 타입 등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저항을 조절하여 모터(165)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어기(170)는 공지된 제품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면에서는 제어기(170)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Since the
또한,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제어기(170)의 사이에는,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제어기(170) 서로간에 연결 조립시켜주는 어댑터(18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n
상기 어댑터(180)는,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결합되는 제1결합수단(191)과, 상기 제어기(170)와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195)을 모두 구비하게 된다.The
이때, 상기 제1결합수단(191)은 상기 제어기(170)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수단(195)은 상기 제어기(17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구조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means 191 is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즉, 상기 제어기(170)의 종류에 관계없이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어댑터(180)의 결합구조(제1결합수단(191))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170)와 어댑터(180)의 결합구조(제2결합수단(195))는 제어기(170)의 종류별로 상이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따라서, 상기 제어기(170)의 종류별로 상기 블로어케이스(130) 금형을 개발할 필요 없이 상기 어댑터(180) 금형만 개발하면 되기 때문에 금형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it is only necessary to develop a mold for the
아울러, 다양한 종류의 제어기(170)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어댑터(180)간에는 동일한 결합구조를 갖기 때문에 동일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various types of
상기 제1결합수단(191)은,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어댑터(180)의 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는 텅부(192)를 돌출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텅부(192)가 삽입되는 그루브(19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coupling means 191 has a protruding
도면에서는,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측에 텅부(19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텅부(192)와 마주하는 상기 어댑터(180)측에는 그루브(193)를 형성하였지만,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In the drawing, the
아울러,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어댑터(180)의 결합시 텅부(192)와 그루브(193)의 결합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검증된 기밀성을 확보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한편,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의 텅부(192)와 상기 어댑터(180)의 그루브(193)를 서로 조립한 후에는 상기 어댑터(180)를 블로어케이스(130)측에 나사로 고정하게 되는데, 나사 외에도 다양한 고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assembling the
또한, 상기 제2결합수단(195)은, 상기 제어기(170)와 어댑터(180)를 결합하는 구조로서 상기 제어기(17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구조로 구성되며, 제어기(170)와 어댑터(180)는 나사로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means 195 is a structure for coupling the
일예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기(170)가 안착되는 어댑터(180)측에 결합홈(196)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기(170)를 상기 어댑터(180)의 결합홈(196)에 결합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a
아울러, 상기 결합홈(196)과 같은 결합구조와 나사 결합위치 등은 상기 제어기(170)의 종류별로 상이하게 형성된다.In addition, a coupling structure such as the
도 5 내지 도 7은 제어기(170)의 종류에 따라 상기 어댑터(180)의 제2결합수단(195)이 상이하게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는 LPM타입 제어기가 결합되는 어댑터(180)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PWM타입 제어기가 결합되는 어댑터(180)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레지스터 타입 제어기가 결합되는 어댑터(180)를 나타낸 것이다.5 to 7 are views showing a case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means 195 of the
이처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어댑터(180)의 다양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어기(170)의 종류에 따라 상기 어댑터(180)의 제2결합수단(195)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제어기(170)의 종류에 관계없이 제1결합수단(191)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Like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그리고, 상기 어댑터(180)는, 상기 상부케이스(130a)와 하부케이스(130b)의 조립부위에 배치되어 상,하부케이스(130a,130b)에 모두 결합된다.Also, the
즉, 상기 상부케이스(130a)와 하부케이스(130b)의 조립 라인에 상기 어댑터(180)가 걸쳐지게 위치하여 상기 어댑터(180)의 한쪽은 상부케이스(130a)와 결합되고 다른쪽은 하부케이스(130b)와 결합되는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어댑터(180)는,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의 토출부(150)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180)가 결합되는 토출부(150) 측면에는 관통부(151)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제어기(170)에는 자체 냉각을 위해 히트싱크(17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기(170)의 히트싱크(171)가 상기 토출부(150)의 관통부(151)를 관통하여 토출부(15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된다.Meanwhile, the
따라서, 상기 블로어케이스(130)내의 송풍팬(16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상기 토출부(150)내를 통해 토출되는데, 이때 상기 토출부(150)내를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제어기(170)의 히트싱크(171)가 상호 열교환하게 되면서 제어기(170)가 냉각되게 된다.Therefore, the air blown from the blowing
한편, 상기 제어기(170)의 히트싱크(171)는 상기 어댑터(180)도 관통하게 된다.Meanwhile,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상기 제어기(170)와 어댑터(180)를 조립한 후, 상기 어댑터(180)를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에 조립한다.First, after assembling the
이때, 상기 어댑터(180)의 그루브(193)가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의 텅부(192)에 끼워지도록 조립한다.At this time, the
이처럼, 상기 제어기(170)가 선조립된 어댑터(180)를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측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어기(170)의 히트싱크(171)가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된다.As such, when the
물론, 상기 어댑터(180)를 블로어케이스(130)측에 먼저 결합한 후, 상기 제어기(170)를 상기 어댑터(180)에 결합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계속해서, 상기 송풍팬(160)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기유입구(111) 또는 외기유입구(11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16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Subsequently, when the blowing
상기 송풍팬(160)으로 유입된 공기는 반경방향으로 토출되어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의 스크를부(140) 및 토출부(150)를 따라 유동한 후 공조케이스로 송풍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blowing
상기의 과정에서, 상기 토출부(150)내를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제어기(170)의 히트싱크(171)가 상호 열교환하게 되면서 제어기(170)가 냉각되게 된다.In the above process, the air flowing 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어기(170)의 종류별로 어댑터(180) 금형만 개발하면 되고, 상기 블로어케이스(130)는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금형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100: 송풍장치 110: 인테이크 덕트
111: 내기유입구 112: 외기유입구
120: 필터 130: 블로어케이스
140: 스크롤부 150: 토출부
160: 송풍팬 165: 모터
170: 제어기 171: 히트싱크
180: 어댑터 191: 제1결합수단
192: 텅부 193: 그루브
195: 제2결합수단100: blower 110: intake duct
111: bet inlet 112: outside air inlet
120: filter 130: blower case
140: scroll unit 150: discharge unit
160: blowing fan 165: motor
170: controller 171: heat sink
180: adapter 191: first coupling means
192
195: second coupling means
Claims (6)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16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제어기(170)의 사이에는,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제어기(170) 서로간에 연결 조립시켜주는 어댑터(180)가 설치고,
상기 어댑터(180)는,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결합되는 제1결합수단(191)과, 상기 제어기(170)와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195)을 모두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수단(191)은 상기 제어기(170)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수단(195)은 상기 제어기(17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A blower case 130 in which a blowing fan 160 and a motor 165 for rotating the blowing fan 160 are installed;
In the vehicle blower comprising a controller 170 mounted on the blower case 130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65,
Between the blower case 130 and the controller 170, an adapter 180 for connecting and assembling the blower case 130 and the controller 170 is installed,
The adapter 180 includes both a first coupling means 191 coupled to the blower case 130 and a second coupling means 195 coupled to the controller 170,
The first coupling means 191 is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controller 170, and the second coupling means 195 is formed in a differ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roller 170, characterized in that Ventilator for vehicle.
상기 제1결합수단(191)은, 상기 블로어케이스(130)와 어댑터(180)의 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는 텅부(192)를 돌출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텅부(192)가 삽입되는 그루브(19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upling means 191 has a protruding tongue portion 192 formed on one of the coupling surfaces of the blower case 130 and the adapter 180, and a groove into which the tongue portion 192 is inserted on the other side ( 193) for a vehicle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forming.
상기 블로어케이스(130)는, 상부케이스(130a)와 하부케이스(130b)가 서로 조립되어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180)는, 상기 상부케이스(130a)와 하부케이스(130b)의 조립부위에 배치되어 상,하부케이스(130a,130b)에 모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blower case 130 is configured by assembling an upper case 130a and a lower case 130b,
The adapter 180 is disposed at an assembly portion of the upper case 130a and the lower case 130b and coupl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cases 130a and 130b.
상기 블로어케이스(130)는, 상기 송풍팬(160)이 내부에 설치된 스크롤부(140)와, 상기 스크롤부(140)로 부터 연장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150)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180)는, 상기 토출부(15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blower case 130 is composed of a scroll unit 140 in which the blowing fan 160 is installed, and a discharge unit 150 extending from the scroll unit 140 and discharging air,
The adapter (180) is a vehicle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unit (15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7525A KR102524768B1 (en) | 2016-04-19 | 2016-04-19 | Blowe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7525A KR102524768B1 (en) | 2016-04-19 | 2016-04-19 | Blower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9769A KR20170119769A (en) | 2017-10-30 |
KR102524768B1 true KR102524768B1 (en) | 2023-04-25 |
Family
ID=6030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7525A Active KR102524768B1 (en) | 2016-04-19 | 2016-04-19 | Blower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476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8766B1 (en) * | 2017-11-23 | 2022-08-05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KR102804372B1 (en) * | 2020-10-13 | 2025-05-13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88089A (en) * | 2011-03-14 | 2012-10-04 | Japan Climate Systems Corp | Mounting structure for par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517U (en) * | 1991-06-26 | 1993-01-1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Cooling unit |
KR20060081140A (en) * | 2005-01-07 | 2006-07-12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Power T / R connection structure of automobile air conditioner |
-
2016
- 2016-04-19 KR KR1020160047525A patent/KR1025247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88089A (en) * | 2011-03-14 | 2012-10-04 | Japan Climate Systems Corp | Mounting structure for pa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9769A (en) | 2017-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21088B2 (en) | Centrifugal blower having noise-reduction structure | |
US10675938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210921588U (en) | Fresh air device and air conditioner | |
CN110621521B (en) |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524768B1 (en) | Blower for Vehicle | |
KR20110136257A (en) | Car blower | |
CN106103150B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202409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820793B1 (en) |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365016B1 (en) |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15850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330702B1 (en) |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199795B1 (en) | Blower for Vehicles | |
KR102626017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70040816A (en) | Blower for Vehicle | |
CN106196544A (en) | The air-intake device of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and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 |
KR101988343B1 (en) | Blower unit for vehicle | |
KR102445208B1 (en) | Blower for Vehicle | |
KR20180117440A (en) |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s | |
KR100942529B1 (en) | Air blower for car air conditioner | |
KR102079960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40111387A (en) | Blower for Vehicle | |
KR101695646B1 (en) | Blower for Vehicle | |
KR102079959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150093940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4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