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701B1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Google Patents
Paddy field work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4701B1 KR102524701B1 KR1020217034843A KR20217034843A KR102524701B1 KR 102524701 B1 KR102524701 B1 KR 102524701B1 KR 1020217034843 A KR1020217034843 A KR 1020217034843A KR 20217034843 A KR20217034843 A KR 20217034843A KR 102524701 B1 KR102524701 B1 KR 1025247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net
- display device
- preliminary seedling
- tablet terminal
- support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7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424 eye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주행시의 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며, 또한, 예비 묘 탑재대에 대한 액세스를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표시 장치를 배치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조향 핸들 (13) 및 대시보드 (15) 가 형성되는 보닛 (16) 과, 보닛 (16) 의 좌우 방향에 대향 배치되는 예비 묘 탑재대 (17) 와,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공간에 지지 구조 (43) 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표시 장치 (40) 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구조 (43) 는, 표시 장치 (40) 를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의 어느 일측으로 퇴피시켜,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공간을 비우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rrange a display device without deteriorating workability without deteriorating access to a preliminary cat mount table while ensuring sufficient front view during travel.
A bonnet 16 on which the steering wheel 13 and the dashboard 15 are formed, a preliminary seedling mount 17 disposed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nnet 16, and the bonnet 16 and the preliminary seedling mount ( 17)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40 installed through a support structure 43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structure 43, the display device 40 is attached to the bonnet 16 and the preliminary seedling mount 17 ),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vacate the space between the bonnet 16 and the preliminary seedling mount table 17 by retracting to one side of th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전 (水田) 작업기의 조향 핸들 근방에 표시 장치를 새롭게 배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newly arranging a display device near a steering wheel of a water power work machine.
특허문헌 1 에는,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 등과 데이터 교환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마트 폰을 지지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의 스마트 폰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은, 핸들 포스트로부터 우측 비스듬한 전방으로 연장되는 기부 (基部) 와, 기부로부터 절곡되어 횡외측으로 연장되는 중간부와, 더욱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단부를 가짐으로써, 스마트 폰을 작업자의 조향 핸들 부근에 배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스마트 폰 등의 표시 장치를 배치하는 받침대는 고정식이기 때문에, 대형의 태블릿 단말 등, 표시 장치의 대형화를 도모한 경우에, 조향 핸들의 측방의 스페이스가 좁아지고, 예비 묘 탑재대에 대한 액세스가 악화된다는 과제가 있다. 또, 그와 동시에 표시 장치의 시인성이나 주행시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 것, 조향 핸들의 조작성을 악화시키지 않는 것 등, 조향 핸들 부근으로서, 대시보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계기류와는 별도의 표시 장치를 설치할 때에 만족시켜야 할 다양한 요망이 있다. 본 발명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In the technology described in
조향 핸들 및 대시보드가 형성되는 보닛과, 상기 보닛의 좌우 방향에 대향 배치되는 예비 묘 탑재대와, 상기 조향 핸들의 측방 영역으로서, 상기 보닛과 예비 묘 탑재대 사이의 공간에 지지 구조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입력 조작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보닛과 예비 묘 탑재대의 어느 일측으로 퇴피시켜, 상기 보닛과 예비 묘 탑재대 사이의 공간을 통로로서 비우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A bonnet in which a steering wheel and a dashboard are formed, a preliminary seed mounting table disposed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nnet, and a support structure interposed in a space between the bonnet and the preliminary seed mounting table as a lateral region of the steering wheel.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nput operation is provided, and the support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retract the display device to either side of the bonnet and the preliminary seedling loading table, thereby vacating a space between the bonnet and the preliminary seedling loading table as a passage. It consists of
상기 예비 묘 탑재대는 전후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지지 구조를 개재하여 후측의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는, 적어도 상하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 (回動) 가능하고, 상기 표시 장치를 전 (前)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예비 묘 탑재대의 측으로 퇴피시킨다.The preliminary seedling mount is supported by front and rear frames, the display device is attached to the rear frame via the support structure, and the support structure rot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at least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center. movement) is possible, and by rotating the display device forward, the display device is retracted to the side of the preliminary seedling mounting table.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설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support structur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시의 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며, 또한, 예비 묘 탑재대에 대한 액세스를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표시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can be arrange|positioned without deteriorating workability|operativity, ensuring sufficient front view at the time of driving, and not impairing access to the preliminary cat mount table.
도 1 은,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배면측으로부터 운전석 근방을 본 상방 사시도이다.
도 4 는, 태블릿 단말의 지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태블릿 단말의 지지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태블릿 단말의 지지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 is a side view of a rice transplanter.
2 : is a top view of a rice transplanter.
Fig. 3 is an upward perspective view of the vicinity of the driver's seat from the rear sid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upport structure for a tablet terminal.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upport structure for a tablet terminal.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upport structure for a tablet terminal.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수전 작업기의 일례인 이앙기 (1) 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앙기 (1) 는, 주행 기체 (2) 와, 그 후방부에 장착되는 식부 작업기 (3) 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 (2) 에 의해 주행하면서 식부 작업기 (3) 에 의해 식부 작업을 실시한다. 수전 작업기로는, 이앙기 (1) 와 마찬가지로, 주행 기체와 특정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면 되고, 파종기, 이식기, 수전 관리 작업기 등을 들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주행 기체 (2) 는, 엔진 (4), 엔진 (4) 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는 트랜스미션 (5), 엔진 (4) 및 트랜스미션 (5) 을 지지하는 기체 프레임 (6), 엔진 (4) 및 트랜스미션 (5) 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 (7) 및 후륜 (8) 등을 구비한다.The traveling
엔진 (4) 및 트랜스미션 (5) 으로부터의 동력은, 각각 프론트 액슬 케이스 (9), 리어 액슬 케이스 (10) 에 전달된다. 프론트 액슬 케이스 (9) 는, 기체 프레임 (6) 의 전방부에 지지됨과 함께, 그 좌우 양 단부에 전륜 (7) 이 지승 (支承) 된다. 마찬가지로, 리어 액슬 케이스 (10) 는, 기체 프레임 (6) 의 후방부에 지지됨과 함께, 그 좌우 양 단부에 후륜 (8) 이 지승된다. 기체 프레임 (6) 의 상부는, 스텝 (11) 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오퍼레이터는, 스텝 (11) 상을 이동 가능하다.Power from the
주행 기체 (2) 의 전후 중도부에 운전석 (12) 이 배치되고, 그 전방에 조향 핸들 (13), 조작 페달 (14), 및, 대시보드 (15) 등이 형성된다. 조향 핸들 (13) 및 대시보드 (15) 는, 엔진 (4) 을 피복하는 보닛 (16) 에 형성되어 있다. 대시보드 (15) 에는, 조향 핸들 (13) 에 더하여 주변속 레버, 조 (條) 정지 스위치 등의 각종 조작용의 조작구나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패널이 배치되어 있다. 스텝 (11) 의 전방 양 측부에는, 예비 묘 탑재대 (17) 가 형성된다. 예비 묘 탑재대 (17) 는, 보닛 (16) 을 사이에 둔 좌우 대향 위치에 배치된다. 예비 묘 탑재대 (17) 는, 스텝 (11) 의 측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전후의 프레임 (18) 에 지지되어 있다.A driver's
식부 작업기 (3) 는, 주행 기체 (2) 에 대해, 승강 링크 기구 (20) 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승강 링크 기구 (20) 는, 좌우 1 쌍의 상링크 (21) 및 하링크 (22), 승강 실린더 등을 구비한다. 승강 실린더에 의해 하링크 (22), 상링크 (21) 를 회동시켜 식부 작업기 (3) 를 승강시킨다.The
식부 작업기 (3) 는, 식부 아암 (31), 식부조 (植付爪) (32), 묘 탑재대 (33), 플로트 (34) 등을 구비한다. 식부조 (32) 는, 식부 아암 (31) 에 장착되어 있다. 식부 작업기 (3) 는, 트랜스미션 (5) 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PTO 축에 의해 구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PTO 축으로부터 식부 센터 케이스 (35) 를 개재하여 식부 작업기 (3) 에 형성되는 식부 전동 (傳動) 케이스 (36) 에 동력이 전달되어, 식부 전동 케이스 (36) 로부터 식부 아암 (31), 식부조 (32) 에 동력이 분배된다.The
식부 아암 (31) 은, 식부 전동 케이스 (36) 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식부조 (32) 에는, 묘 탑재대 (33) 로부터 모종이 공급된다. 식부 아암 (31) 의 회전 운동에 수반하여, 식부조 (32) 가 포장 (圃場) 내에 삽입되고, 소정의 식부 깊이가 되도록 모종이 식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리식의 식부조를 채용하고 있지만, 크랭크식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The
묘 탑재대 (33) 는, 판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기체를 측면에서 볼 때에 전고후저 (前高後低) 상으로 경사지도록 배치 형성된다. 묘 탑재대 (33) 의 후면에는, 모종 매트를 재치 (載置) 하는 재치면이 식부 아암의 수 (이앙기의 조 수) 에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6 조 심기의 이앙기이기 때문에, 재치면이 6 개 형성되어 있다.The seed mounting table 33 is constituted by a plate-like member, and is dispos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in a height-to-height bottom when the body is viewed from the side. On the back side of the seedling mount table 33, a mounting surface for mounting seedling mats is 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anting arms (the number of rice transplanters). Since the
다음으로, 이앙기 (1) 의 조향 핸들 (13) 근방에 태블릿 단말 (40) 을 배치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태블릿 단말 (40) 은, 입력 조작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태블릿 단말로, 예를 들어, 이앙기 (1) 의 자동 주행을 실시할 때에 주행 루트를 표시하거나, 자동 주행과 수동 주행의 전환 조작을 실시하거나 하는 것이다.Next, an embodiment in which the
이하,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블릿 단말 (40) 은, 조향 핸들 (13) 의 측방으로서, 보닛 (16) 과 좌우 일측의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설치 에어리어 (A) 에 배치된다. 요컨대, 태블릿 단말 (40) 은,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통로 상에 설치된다. 또, 태블릿 단말 (40) 은, 대시보드 (15) 의 하단 위치보다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대시보드 (15) 상에 형성된 각종 조작구나 모니터 패널로부터의 시선 이동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운전 조작 장치로서의 태블릿 단말 (40) 을 도입할 때에도, 운전자가 잘 피로해지지 않는 레이아웃으로 할 수 있다. 즉, 태블릿 단말 (40) 을 설치하는 기준으로는, 시인성의 확보, 운전 조작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대시보드 (15) 의 하단 위치보다 상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the main par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3 , the
한편, 태블릿 단말 (40) 을 지나치게 상방에 배치하면, 전방 시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에서, 조향 핸들 (13) 의 높이를 크게 초과하여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요컨대, 시인성 확보 및 작업성 확보의 관점에서 태블릿 단말 (40) 의 설치 에어리어 (A) 로는, 대체로 대시보드 (15) 로부터 측방을 향해 연장된 것과 같은 영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태블릿 단말 (40) 의 배치를 조향 핸들 (13) 의 측방 영역으로 함으로써, 조향 핸들 (13) 의 조작에 대한 방해가 되는 경우가 없어진다.On the other hand, if the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태블릿 단말 (40) 의 설치 에어리어 (A) 는,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공간인 점에서, 예비 묘 탑재대 (17) 에 놓여진 예비 모종 매트를 추가할 때나, 이앙기 (1) 의 전방을 두렁 근처에 근접시켜 기체 전방측으로부터 승하차할 때에, 그 공간을 통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블릿 단말 (40) 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 즉, 태블릿 단말 (40) 을 사용할 때에는 설치 에어리어 (A) 에 배치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설치 에어리어 (A) 로부터 퇴피시켜, 그 공간을 비울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stallation area A of the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후측의 프레임 (18)) 둘레로 회동 (이앙기 (1) 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관절부 (41) 및 태블릿 단말 (40) 을 유지 가능한 유지부 (42) 를 가진 지지 프레임 (43) 을 사용하여, 예비 묘 탑재대 (17) 의 프레임 (18) 에 장착함으로써, 설치 에어리어 (A) 에 배치한 사용 위치와, 설치 에어리어 (A) 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절부 (41) 는, 프레임 (18) 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유지부 (42) 는, 관절부 (41) 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에 태블릿 단말 (40) 을 유지하는 유지구를 가지고 있다.The holding
또, 프레임 (18) 에 고정용 구멍 (44) 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 형성하고, 지지 프레임 (43) 의 장착 위치 (요컨대 관절부 (41) 의 장착 위치) 로서 예비 묘 탑재대 (17) 의 프레임 (18) 의 임의의 고정용 구멍 (44) 을 선택함으로써, 태블릿 단말 (40) 의 상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 구조에 의하면, 태블릿 단말 (40) 을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의 좌우 방향의 사이 (설치 에어리어 (A)) 에 배치함과 함께, 예비 모종 매트의 모종 추가 작업시 등, 그 공간을 통행할 때에는, 지지 프레임 (43) 을 예비 묘 탑재대 (17) 측으로 접음으로써,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공간을 통로로서 비울 수 있다. 이로써, 이앙기 (1) 의 주행시의 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예비 묘 탑재대 (17) 에 대한 액세스를 악화시키지 않으며,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대형의 표시 장치로서의 태블릿 단말 (40) 을 양호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지지 프레임 (43) 을, 비교적 설계 자유도가 높은 예비 묘 탑재대 (17) 의 프레임 (18) 에 장착함으로써 기존 기종에 대한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지지 프레임 (43) 을 프레임 (18) 의 임의의 장착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높이 방향으로 조절하여 운전자의 체격이나 자세 등에 따른 최적의 위치에 태블릿 단말 (40) 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the
도 4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태블릿 단말 (40) 의 지지 프레임 (43) 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관절부 (41) 를 형성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태블릿 단말 (40) 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로는, 태블릿 단말 (40) 을 설치 에어리어 (A) 내의 위치로부터 접은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이면 이것에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예를 들어, 다관절의 지지 구조로 해도 되고, 예비 묘 탑재대 (17) 측이 아니라, 보닛 (16) 측에 장착해도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the embodiment in which the
도 5 에 나타내는 지지 구조 (50) 는, 상하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관절부 (41) 와 태블릿 단말 (40) 을 유지하는 유지부 (42) 에 더하여,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경도 (傾倒) 되는 틸트부 (51) 를 구비한다. 지지 구조 (50) 는, 틸트부 (51) 를 구비함으로써 태블릿 단말 (40) 을 경도시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태블릿 단말 (40) 을 운전자를 향해 경도시킬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틸트부 (51) 를 유지부 (42) 에 삽입해도 된다.The
도 6 에 나타내는 지지 구조 (60) 는, 상하 방향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1 관절부 (61) 및 제 2 관절부 (62) 와, 태블릿 단말 (40) 을 3 차원 방향으로 자유롭게 경도시킬 수 있는 제 3 관절부 (63) 를 구비한다. 제 3 관절부 (63) 는, 구상의 관절 부재를 포함하고, 태블릿 단말 (40) 을 3 차원 방향으로 경도시킬 수 있게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 구조 (60) 는, 위치 조절을 위한 관절로서, 제 1 관절부 (61) 및 제 2 관절부 (62) 의 2 개의 관절을 가짐으로써, 위치 조절의 범위를 넓힐 수 있어, 보다 적정한 위치에 태블릿 단말 (40) 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함께, 지지 구조 (60) 는, 태블릿 단말 (40) 을 3 차원적으로 경도시키기 위한 관절로서, 제 3 관절부 (63) 를 구비한다. 지지 구조 (60) 는, 태블릿 단말 (40) 을 전후 방향으로 경도시킬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태블릿 단말 (40) 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관절 구조로 함으로써, 태블릿 단말 (40) 의 표시 장치로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이앙기 (1) 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또, 이상의 예에서는 태블릿 단말 (40) 을 예비 묘 탑재대 (17) 측에 장착하고 있지만, 보닛 (16) 측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때에도, 상기 서술한 바와 동일한 지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 (40) 을 예비 묘 탑재대 (17) 측과 보닛 (16) 측의 양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본 발명은, 조향 핸들 근방에 표시 장치를 새롭게 배치하는 수전 작업기에 이용 가능하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power receiving work machine in which a display device is newly disposed near a steering wheel.
1 : 이앙기 (수전 작업기)
13 : 조향 핸들
15 : 대시보드
16 : 보닛
17 : 예비 묘 탑재대
18 : 프레임
40 : 태블릿 단말 (표시 장치)
41 : 관절부
42 : 유지부
43 : 지지 프레임 (지지 구조)1 : Rice transplanter (water harvesting machine)
13: steering wheel
15 : Dashboard
16 : Bonnet
17: reserve grave mount
18 : frame
40: tablet terminal (display device)
41: joint
42: holding part
43: support frame (support structure)
Claims (4)
상기 보닛의 좌우 방향에 대향 배치되는 예비 묘 탑재대와,
상기 보닛과 예비 묘 탑재대 사이의 공간에 지지 구조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표시 장치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보닛과 예비 묘 탑재대 사이의 공간을 작업자가 통행 가능한 정도로 비우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작업기.A bonnet in which a steering wheel and a dashboard are formed;
A preliminary seedling mounting st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nnet;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bonnet and the preliminary seedling mount via a support structure,
The support structure configures the display device to be movable,
The support structur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mpty the space between the bonnet and the preliminary seedling mount to the extent that the operator can pass.
상기 표시 장치는, 보닛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작업기.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receiving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evic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tructure from the bonnet side.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보닛과 상기 예비 묘 탑재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보닛측으로 퇴피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작업기.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ower receiving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structur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etract the display device from a space between the bonnet and the preliminary seedling mount toward the bonnet side.
상기 표시 장치는, 입력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작업기.According to claim 3,
The power receiving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evice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input oper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7013207A KR102746067B1 (en) | 2017-03-31 | 2018-03-22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072553 | 2017-03-31 | ||
JP2017072553A JP6861561B2 (en) | 2017-03-31 | 2017-03-31 | Paddy field work machine |
KR1020197020866A KR102325179B1 (en) | 2017-03-31 | 2018-03-22 | faucet working machine |
PCT/JP2018/011385 WO2018180883A1 (en) | 2017-03-31 | 2018-03-22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20866A Division KR102325179B1 (en) | 2017-03-31 | 2018-03-22 | faucet working machin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13207A Division KR102746067B1 (en) | 2017-03-31 | 2018-03-22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1470A KR20210131470A (en) | 2021-11-02 |
KR102524701B1 true KR102524701B1 (en) | 2023-04-21 |
Family
ID=6367563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34843A Active KR102524701B1 (en) | 2017-03-31 | 2018-03-22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KR1020247041754A Pending KR20250004385A (en) | 2017-03-31 | 2018-03-22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KR1020237013207A Active KR102746067B1 (en) | 2017-03-31 | 2018-03-22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KR1020197020866A Active KR102325179B1 (en) | 2017-03-31 | 2018-03-22 | faucet working machine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41754A Pending KR20250004385A (en) | 2017-03-31 | 2018-03-22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KR1020237013207A Active KR102746067B1 (en) | 2017-03-31 | 2018-03-22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KR1020197020866A Active KR102325179B1 (en) | 2017-03-31 | 2018-03-22 | faucet working machin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4) | JP6861561B2 (en) |
KR (4) | KR102524701B1 (en) |
CN (2) | CN110582196B (en) |
WO (1) | WO2018180883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47107B2 (en) * | 2013-03-27 | 2016-01-20 | 株式会社クボタ | Paddy field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1109524A (en) * | 1977-07-15 | 1981-09-22 | James L. Osborn | Simulcast transmission system |
JP2001231317A (en) * | 2000-02-23 | 2001-08-28 | Iseki & Co Ltd | Farm work machine |
JP2001286211A (en) * | 2000-04-05 | 2001-10-16 | Iseki & Co Ltd | Seedling plant |
JP4378843B2 (en) * | 2000-05-15 | 2009-12-09 | 井関農機株式会社 | Seedling planting machine |
JP4754725B2 (en) * | 2001-06-20 | 2011-08-24 | ヤンマー株式会社 | Agricultural machine |
JP3945273B2 (en) | 2002-03-04 | 2007-07-18 | 井関農機株式会社 | Ride type rice transplanter |
JP4089308B2 (en) * | 2002-06-17 | 2008-05-28 | 井関農機株式会社 | Fertilizer transplanter |
JP3746037B2 (en) * | 2002-12-04 | 2006-02-15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Spare seedling mounting structure for riding rice transplanter |
JP2004201529A (en) | 2002-12-24 | 2004-07-22 | Iseki & Co Ltd | Implement |
KR20120061425A (en) * | 2010-12-03 | 2012-06-13 | 이상혁 | Supporter of portable appliance attachable in bed |
JP2012157327A (en) * | 2011-02-02 | 2012-08-23 | Yanmar Co Ltd | Rice transplanter |
JP2012157335A (en) * | 2011-02-02 | 2012-08-23 | Yanmar Co Ltd | Rice transplanter |
CN102349387A (en) * | 2011-10-12 | 2012-02-15 |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seedling planting machine with picture sensor supplied power through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
JP6060519B2 (en) * | 2012-04-27 | 2017-01-18 | 井関農機株式会社 | Walking rice transplanter |
JP2015008680A (en) * | 2013-06-28 | 2015-01-19 | 井関農機株式会社 |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
KR101518434B1 (en) * | 2013-09-13 | 2015-05-11 | 주식회사 메디칼골드 | supporter for portable phone |
JP6129044B2 (en) | 2013-09-27 | 2017-05-17 | 株式会社クボタ | Paddy field machine |
FR3012566B1 (en) * | 2013-10-30 | 2016-05-27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APPARATUS SUPPORT NOMADE ADJUSTABLE IN HEIGHT |
JP6408265B2 (en) * | 2014-06-26 | 2018-10-17 | 株式会社クボタ | Paddy field machine |
JP6618244B2 (en) * | 2014-06-26 | 2019-12-11 | 株式会社クボタ | Paddy field machine |
JP2016220615A (en) | 2015-05-29 | 2016-12-28 | 井関農機株式会社 | Fertilization device of seedling transplanter |
JP2017139982A (en) * | 2016-02-09 | 2017-08-17 | 株式会社クボタ | Work vehicle |
-
2017
- 2017-03-31 JP JP2017072553A patent/JP6861561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03-22 CN CN201880005269.5A patent/CN110582196B/en active Active
- 2018-03-22 WO PCT/JP2018/011385 patent/WO201818088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3-22 KR KR1020217034843A patent/KR102524701B1/en active Active
- 2018-03-22 KR KR1020247041754A patent/KR20250004385A/en active Pending
- 2018-03-22 KR KR1020237013207A patent/KR102746067B1/en active Active
- 2018-03-22 KR KR1020197020866A patent/KR102325179B1/en active Active
- 2018-03-22 CN CN202211126240.7A patent/CN115316090B/en active Active
-
2021
- 2021-03-30 JP JP2021058671A patent/JP7237279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2-09 JP JP2023018364A patent/JP7546708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8-27 JP JP2024145938A patent/JP2024160408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47107B2 (en) * | 2013-03-27 | 2016-01-20 | 株式会社クボタ | Paddy field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7199A (en) | 2019-08-20 |
JP2023053111A (en) | 2023-04-12 |
JP2018171034A (en) | 2018-11-08 |
KR20210131470A (en) | 2021-11-02 |
JP7546708B2 (en) | 2024-09-06 |
CN110582196B (en) | 2022-10-04 |
WO2018180883A1 (en) | 2018-10-04 |
CN115316090A (en) | 2022-11-11 |
CN110582196A (en) | 2019-12-17 |
KR20230058181A (en) | 2023-05-02 |
CN115316090B (en) | 2024-07-19 |
KR102325179B1 (en) | 2021-11-10 |
JP7237279B2 (en) | 2023-03-13 |
JP2024160408A (en) | 2024-11-13 |
JP6861561B2 (en) | 2021-04-21 |
JP2021101726A (en) | 2021-07-15 |
KR20250004385A (en) | 2025-01-07 |
KR102746067B1 (en) | 2024-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35154B2 (en) | Work vehicle | |
KR102524701B1 (en)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
JP2020076243A (en) | Work vehicle | |
ES2272868T3 (en) | EXCAVATION AND LOADING MACHINE. | |
JP2012051517A (en) | Tractor | |
JP4371233B2 (en) | Combine | |
JP7227100B2 (en) | Application programs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smartphones | |
JP7154155B2 (en) | Paddy work machine | |
JP7326176B2 (en) | transplanter | |
JP7305573B2 (en) | transplanter | |
JP2012039920A5 (en) | ||
JP3752559B2 (en) | Mid-mount agricultural machine | |
JP5769919B2 (en) | Rice transplanter | |
JPH10117549A (en) | Work device used also for work wagon | |
JP2007135600A (en) | Combine | |
KR20230032270A (en) | Agricultural Vehicle | |
JP2007054006A (en) | Work vehicle | |
JP2023091608A (en) | Paddy work machine | |
JPH10248333A (en) | Riding rice transplanter | |
JPS61193928A (en) | Prime mover mounting frame of movable agricultural machine | |
JP2007189971A (en) | Transplanter | |
JP2007068427A (en) | Agricultural equipment reversal assist device | |
JP2018100089A (en) | Work vehicle | |
JP2004041091A (en) | Implement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for sulky implement | |
JPH11113318A (en) | Marker of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4 |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1102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97020866 Filing date: 201907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1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4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