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4130B1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130B1
KR102524130B1 KR1020180048120A KR20180048120A KR102524130B1 KR 102524130 B1 KR102524130 B1 KR 102524130B1 KR 1020180048120 A KR1020180048120 A KR 1020180048120A KR 20180048120 A KR20180048120 A KR 20180048120A KR 102524130 B1 KR102524130 B1 KR 10252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sposed
lens holder
housing
modu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24054A (en
Inventor
홍민수
김유동
유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130B1/en
Publication of KR2019012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0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13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의 아래 배치되는 센서 모듈;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을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를 상기 센서 모듈의 위에 배치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와 상기 센서 모듈을 얼라인 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한다.A camera module is provided.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to third lens modu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a sensor module disposed under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a first driver for disposing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on the sensor module by moving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 second driver for aligning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with the sensor module.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Camera Module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below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but do not describe the prior art.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various portable terminals is widely generalized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are commercialized, consumers' demands related to portable terminals are also diversifying, and various types of additional devices are being installed in portable terminals.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듀얼(dual) 또는 트리플(triple) 카메라모듈이 연구되고 있는데 듀얼 또는 트리플 카메라모듈은 각각의 카메라가 서로 다른 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2개 또는 3개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싱글 카메라모듈로는 촬영이 불가능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Among them, a typical example is a camera module that takes a picture or video of a subject. Meanwhile, a dual or triple camera module has recently been studied. In the dual or triple camera module, each camera takes pictures of different parts and combines two or three captured images into one im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ake pictures that cannot be taken with the existing single camera module.

다만, 듀얼 또는 트리플 카메라모듈의 경우 부품 수 증가로 인해 제품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dual or triple camera modu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 competitiveness de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품 수를 감소시켜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capable of improving product competitiveness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의 아래 배치되는 센서 모듈;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을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를 상기 센서 모듈의 위에 배치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와 상기 센서 모듈을 얼라인 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한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first to third lens module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a sensor module disposed under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a first driver for disposing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on the sensor module by moving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 second driver for aligning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with the sensor module.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렌즈 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lens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lens holder accommodating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and the first driver may move the lens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또한, 상기 렌즈 홀더의 밖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가동자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자와 대향되는 고정자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disposed outside the lens holder, wherein the first driving unit includes a move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a stator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facing the mover. can include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피에조(Piezo) 모터 또는 스텝(Step)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piezo motor or a step motor.

또한, 상기 가동자와 고정자 중 하나는 코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마그네트로 형성될 수 있다.Also, one of the mover and the stator may be formed of a coil and the other may be formed of a magnet.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to guide movement of the lens holder.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 중 하나에 배치되는 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 중 나머지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와 접촉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includes a roller disposed on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a rail disposed on the oth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contacting the roller. can include

또한, 상기 제1 구동부의 스트로크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스트로크보다 클 수 있다.Also, a stroke of the first driving unit may be greater than a stroke of the second driving unit.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제1 내지 제3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e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보이스 코일 모터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과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보이스 코일 모터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각각을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first to third voice coil motors (VCMs), and the first to third voice coil motors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and the lens holder. , where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voice coil motors may move each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또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의 아래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lens module and an image senso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멤스(Mems)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유효화상 영역을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driver may include a Mems actuator, and the MEMS actuator may move an effective image area of the image sens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는 표준 렌즈 모듈이고, 다른 하나는 광각 렌즈 모듈이고, 또 다른 하나는 망원 렌즈 모듈일 수 있다.Also,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may be a standard lens module, another may be a wide-angle lens module, and another may be a telephoto lens module.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의 하면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lower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렌즈 모듈; 상기 제1 및 제2 렌즈 모듈의 아래 배치되는 센서 모듈; 상기 제1 및 제2 렌즈 모듈을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렌즈 모듈 중 하나를 상기 센서 모듈의 위에 배치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렌즈 모듈 중 하나와 상기 센서 모듈을 얼라인 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first and second lens module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a sensor module dispos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lens modules; a first driver for dispos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modules on the sensor module by moving the first and second lens modul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 second driving unit for align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modules with the sensor module.

본 실시예를 통해 부품 수를 감소시켜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mera module capable of improving product competitiveness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C-C`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C-C`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A-A`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B-B`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C′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B`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C`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B`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Also,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and/or operations in addition to the elements, steps and/or operations mentioned. use.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not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lements.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카메라 모듈에 결합된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The 'optical axis direction' used below is defined as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coupled to the camera module. Meanwhile, the 'optical axis direction' may correspond to 'up and down directions' and 'z-axis directions'.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The 'auto focus function' used below is to adjust the distance to the image sensor by moving the len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subject so that a clear image of the subject can be obtained from the image sensor. defined as a function. Meanwhile, 'auto focus'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uto focus (AF)'.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를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와 혼용될 수 있다.The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used below is defined as a function of moving or tilting a le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direction to offset vibration (movement) generated in an image sensor by an external force. Meanwhile, 'hand shake correction' may be mixed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is any one of mobile phones, mobile phones, smart phones, portable smart devices, digital camera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nd navigation devices. can be However, the type of optical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device for taking a video or photo may be included in the optical device.

광학기기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는 카메라 모듈(10)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의 일면에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모듈(10)이 배치되고 본체의 타면(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카메라 모듈(1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body. The main body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optical device. The main body may accommodate the camera module 10 . A display unit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and the camera module 1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camera module 10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a surface positioned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광학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display unit may output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0 .

광학기기는 카메라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적어도 일부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본체의 일면 및 본체의 타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the camera module 10 . The camera module 10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ody. At least a part of the camera module 1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The camera module 1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camera module 1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camera module 10 may capture an image of a subject.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C-C`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B-B`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C-C`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A-A`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B-B`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4 is a C-C`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B`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FIG. 7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C′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B-B` section of the module.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모듈(100), 렌즈 홀더(200), 센서 모듈, 제1 구동부(300), 가이드부(400), 하우징(600), 제2 구동부(70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1 to 10, the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module 100, a lens holder 200, a sensor module, a first driving unit 300, a guide unit 400, It may include the housing 600, the second driving unit 700, and a control unit, but may be implemented except for some of these configurations, and other additional configurations are not excluded.

렌즈 모듈(100)은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트리플(triple)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은 같은 라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의 하면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의 하면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므로,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을 하나의 센서 모듈과 얼라인 시키는 경우 광축 방향의 얼라인을 별도로 진행할 필요가 없다. The lens module 100 may includ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 That is, the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riple camera module.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lso, lower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Since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when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are aligned with one sensor module,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ceed with the alignment of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렌즈 홀더(20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각각은 렌즈 홀더(200)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개구(210, 220, 23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렌즈 홀더(20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은 렌즈 홀더(20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렌즈 홀더(200)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렌즈 홀더(2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lens. The lens module 10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ens holder 200 . Each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o third openings 210 , 220 , and 230 provided in the lens holder 200 . The lens module 100 may move integrally with the lens holder 200 .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may move integrally with the lens holder 200 . The lens module 100 may be coupled to the lens holder 200 by an adhesive. The lens module 100 may be screwed to the lens holder 200 .

렌즈 모듈(100)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520)에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중 하나와 센서 모듈이 얼라인(align)된 경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중 하나를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520)에 조사될 수 있다.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module 100 may be irradiated to the image sensor 520 . For example, when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and the sensor module are aligned,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passes through. One light may be irradiated to the image sensor 520 .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중 하나는 표준(normal) 렌즈 모듈이고, 다른 하나는 광각(wide) 렌즈 모듈이고, 또 다른 하나는 망원(telescope) 렌즈 모듈일 수 있다. 여기에서, 광각 렌즈 모듈은 표준 렌즈 모듈에 비해 넓은 폭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망원 렌즈 모듈은 표준 렌즈 모듈에 비해 원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기능의 렌즈 모듈을 탑재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촬영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may be a normal lens module, another may be a wide lens module, and another may be a telescope lens module. Here, the wide-angle lens module can capture a wider subject than the standard lens module. In addition, the telephoto lens module can capture a distant subject compared to a standard lens module. By mounting a lens module with various functions,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nd the quality of a captured image can be improved. The types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렌즈 홀더(200)는 렌즈 모듈(100)을 수용할 수 있다. 렌즈 홀더(200)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을 수용할 수 있다. 렌즈 홀더(200)는 제1 내지 제3 개구(210, 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210)는 제1 렌즈 모듈(110)을 수용하고, 제2 개구(220)는 제2 렌즈 모듈(120)을 수용하고, 제3 개구(230)는 제3 렌즈 모듈(130)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개구(210, 220, 230)는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개구(210, 220, 230)는 같은 라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개구(210, 220, 230)에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이 접착제에 의한 결합 또는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렌즈 홀더(200)의 이동에 의해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을 한번에 광축과 수직인 방향(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lens holder 200 may accommodate the lens module 100 . The lens holder 200 may accommodate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 The lens holder 200 may include first to third openings 210 , 220 , and 230 . The first opening 210 accommodates the first lens module 110, the second opening 220 accommodates the second lens module 120, and the third opening 230 accommodates the third lens module 130. can accommodate The first to third openings 210, 220, and 2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rst to third openings 210, 220, and 230 may be arranged in the same line.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o third openings 210 , 220 , and 230 by adhesives or screws. That is, by moving one lens holder 200 ,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may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horizontal direction) at once.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에는 가동자(310)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은 가동자(310)가 배치되는 홈(25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에는 가이드부(400)의 일부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은 가이드부(400)의 일부 구성이 배치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00)의 일부 구성이 배치되는 렌즈 홀더(200)의 홈은 가동자(310)가 배치 되는 렌즈 홀더(200)의 홈(250)의 상측과 하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에 형성되는 홈을 통해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mover 31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may include a groove 250 in which the mover 310 is disposed. A part of the guide part 40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may include a groov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guide unit 400 are disposed. The shape of the groove of the lens holder 200,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guide unit 400 are disposed,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roove 250 of the lens holder 200, in which the mover 310 is disposed. can be formed as Space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rough the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

센서 모듈은 렌즈 모듈(100)의 아래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의 아래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500)과, 필터(510)와, 이미지 센서(5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may be disposed below the lens module 100 . The sensor module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 The sensor module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500, a filter 510, and an image sensor 520.

필터(510)는 적외선 필터일 수 있다. 필터(510)는 이미지 센서(520)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510)는 렌즈 모듈(100)과 이미지 센서(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510)는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510)는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와 같은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필터(510)는 적외선을 흡수하는 적외선 흡수 필터(Blue filter)일 수 있다. 다른 례로, 필터(510)는 적외선을 반사하는 적외선 반사 필터(IR cut filter)일 수 있다.The filter 510 may be an infrared filter. The filter 510 may block infrared light from being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520 . The filter 5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ens module 100 and the image sensor 520 . The filter 510 may be formed of a film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The filter 510 may be formed by coating an infrared blocking coating material on a flat plate-shaped optical filter such as a cover glass for protecting an imaging surface or a cover glass. For example, the filter 510 may be an infrared absorption filter (Blue filter) that absorbs infrared rays. As another example, the filter 510 may be an IR cut filter that reflects infrared rays.

인쇄회로기판(500)은 렌즈 모듈(1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0)은 렌즈 홀더(200) 또는 하우징(600)에 결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0)에는 이미지 센서(520)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0)은 이미지 센서(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렌즈 모듈(400)을 통과한 광이 인쇄회로기판(500)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520)에 조사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0)은 제1 구동부(300)와 제2 구동부(700)에 전원(전류)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500)에는 제1 구동부(300)와 제2 구동부(7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may be disposed below the lens module 100 .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may be coupled to the lens holder 200 or the housing 600 . An image sensor 520 may b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520 .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module 400 may be irradiated to the image sensor 520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may supply power (current) to the first driving unit 30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700 . Meanwhil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unit 30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700 may b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

이미지 센서(520)는 인쇄회로기판(5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20)는 인쇄회로기판(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510)는 인쇄회로기판(50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520)는 인쇄회로기판(500)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20)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중 하나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520)의 광축과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중 하나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520)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중 하나를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20)는 이미지 센서(520)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2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52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 센서(520)는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sensor 520 may b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 The image sensor 5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 As an example, the image sensor 510 may be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by 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 As another example, the image sensor 520 may be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by flip chip technology. The image sensor 520 may be disposed such that an optical axis coincides with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 That is, an optical axis of the image sensor 520 and an optical axis of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may be aligned. Through this, the image sensor 520 may acquire light passing through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 The image sensor 520 may convert light irradiated onto an effective image area of the image sensor 520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image sensor 520 may be any one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a CPD, and a CID. However, the type of image sensor 5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mage sensor 520 may include any configuration capable of converting incident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제1 구동부(300)는 렌즈 모듈(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300)는 렌즈 모듈(100)을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300)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을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300)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중 하나를 센서 모듈의 위에 배치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300)는 렌즈 홀더(200)를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300)는 인쇄회로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구동부(300)의 작동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300 may move the lens module 100 . The first driving unit 300 may move the lens module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rst driving unit 300 may move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rst driver 300 may place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on the sensor module. The first driving unit 300 may move the lens holder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rst driver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to receive power (current).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300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제1 구동부(300)는 가동자(310)와 고정자(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자(310)는 고정자(32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가동자(310)는 렌즈 홀더(200)에 배치될 수 있다. 가동자(310)는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에 배치될 수 있다. 가동자(310)는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에 형성되는 홈(250)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320)는 하우징(600)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320)는 하우징(600)의 내측면(610)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320)는 하우징(600)의 내측면(610)에 결합된 결합 부재(62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자(320)는 결합 부재(620)에 배치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고정자(320)는 하우징(600)의 내측면(610)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가동자(310)와 고정자(320)는 서로 대향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300 may include a mover 310 and a stator 320 . The mover 310 may move by interaction with the stator 320 . The mover 310 may be disposed on the lens holder 200 . The mover 31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 The mover 31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25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 The stator 32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600 . The stator 32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610 of the housing 600 . The stator 320 may be disposed on a coupling member 620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610 of the housing 600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or 320 is shown as an example to be disposed on the coupling member 6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ator 320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610 of the housing 600. can The mover 310 and the stator 320 may face each other.

제1 구동부(300)의 스트로크는 제2 구동부(700)의 스트로크보다 클 수 있다. 제1 구동부(300)는 렌즈 홀더(200)를 이동시킨다. 이 후, 제2 구동부(200)는 렌즈 모듈(100)을 미세하게 이동시키거나, 이미지 센서(520)의 유효화상 영역을 미세하게 이동시켜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중 하나와 이미지 센서(520)를 얼라인 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스트로크란 움직임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 구동부(300)가 이동시키는 렌즈 홀더(200)의 이동 거리가 제2 구동부(700)가 이동시키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또는 이미지 센서(520)의 유효화상 영역의 이동 거리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The stroke of the first driving unit 300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driving unit 700 . The first driving unit 300 moves the lens holder 200 . Thereafter, the second driving unit 200 minutely moves the lens module 100 or minutely moves the effective image area of the image sensor 520 to move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One of the image sensors 520 may be aligned. Here, the stroke indicates the size of the movement,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lens holder 200 moved by the first drive unit 300 is equal to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and 120 moved by the second drive unit 700. , 130) or greater than the moving distance of the effective image area of the image sensor 5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자(310)와 고정자(320) 중 하나는 코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마그네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동자(310)는 코일로 형성되고, 고정자(320)는 마그네트로 형성되는 일례가 도시되었지만, 가동자(310)가 마그네트로 형성되고, 고정자(320)가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자(310)는 고정자(320)와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자(310) 및/또는 고정자(320)에 전원(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가동자(310)와 고정자(320) 간에 자기적 상호작용이 발생하므로, 가동자(310)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자(320)의 크기나 폭은 가동자(310)의 크기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자기적 상호작용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mover 310 and the stator 320 may be formed of a coil, and the other may be formed of a magnet. Referring to FIGS. 2 to 6 , an example in which the mover 310 is formed of a coil and the stator 320 is formed of a magnet is shown, but the mover 310 is formed of a magnet and the stator 320 is formed of a magnet. It can be formed into a coil. The mover 310 may move by 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stator 320 . Specifically, when power (current) is supplied to the mover 310 and/or the stator 320, magnetic interaction occurs between the mover 310 and the stator 320, so the mover 310 It can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horizontal direction). The size or width of the stator 320 is larger than that of the mover 310, so that the efficiency of magnetic interaction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자(310)는 복수의 가동자를 포함하고, 고정자(320)는 복수의 고정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동자는 렌즈 모듈(10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자는 렌즈 모듈(10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동자 각각은 복수의 고정자 각각과 서로 대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r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vers, and the stator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ators. A plurality of movers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lens module 100 . The plurality of stators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lens module 100 . Each of the plurality of movers may be oppos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ator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동부(300)는 피에조(Piezo) 모터 또는 스텝(Step)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자(330)는 하우징(600)의 내측면(510)에 배치되고, 가동자(340)는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배치도 가능하다. 고정자(330)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여 가동자(3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가동자(340) 크기나 폭은 고정자(330)의 크기나 폭보다 클 수 있다. 여기에서, 피에조 모터란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를 이용한 모터이다. 압전 소자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압전 소자의 크기 변형에 따라 가동자(3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텝 모터란 모터의 회전을 잘게 쪼갠 조각(step)을 이용해 제어하는 모터이다. 피에조 모터와 같이 펄스 전압을 인가하여 구동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iving unit 300 may include a piezo motor or a step motor. 7 to 10, it is shown that the stator 33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510 of the housing 600, and the mover 34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However, the same arrangement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ossible. The mover 340 may be moved by applying a pulse voltage to the stator 330 . At this time, the size or width of the mover 34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tator 330 . Here, the piezo motor is a motor using a piezoelectric effect. When a pulse voltag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mover 340 may be moved according to the size chang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In addition, a stepper motor is a motor that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motor using finely divided pieces (steps). Like a piezo motor, it is driven by applying a pulse volt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부(300)는 자기적 상호작용을 이용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부(300)는 압전 효과를 통한 기계적 상호작용을 이용한다. 즉, 다른 구성들 간 발생하는 상호작용들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magnetic interaction, and the first driving uni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mechanical interaction through a piezoelectric effect. That is, it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to avoid interference with interactions occurring between other components.

하우징(600)은 렌즈 홀더(200)의 밖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600)은 카메라 모듈(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600)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600)은 비자성체일 수 있다. 만약, 하우징(600)이 자성체인 경우, 제1 및/또는 제2 구동부(300, 700)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우징(600)은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하우징(600)은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600)은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하우징(600)은 인쇄회로기판(500)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600)은 그라운드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600)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600)은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는 하우징의 상판에 형성될 수 있고, 렌즈 모듈(100)을 노출시킬 수 있다. The housing 6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lens holder 200 . The housing 60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amera module 10 . The housing 60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bottom. The housing 600 may be a non-magnetic material. If the housing 600 is a magnetic material, it may affect 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and/or second driving units 300 and 700 . The housing 600 may be formed of a metal member. 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600 may be made of a metal plate. In this case, the housing 600 may block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 The housing 600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 Through this, the housing 600 may be grounded. However, the material of the housing 600 is not limited thereto. The housing 6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A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formed on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and may expose the lens module 100 .

제2 구동부(700)는 렌즈 모듈(100)과 센서 모듈을 얼라인(align) 시킬 수 있다. 제2 구동부(700)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중 하나와 센서 모듈을 얼라인 시킬 수 있다. 제2 구동부(700)의 스트로크는 제1 구동부(300)의 스트로크보다 작을 수 있다. 이 때, 제2 구동부(700)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The second driver 700 may align the lens module 100 and the sensor module. The second driver 700 may align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with the sensor module. The stroke of the second driving unit 70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driving unit 300 . At this time, the second driving unit 700 may control the movement in micrometer uni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부(700)는 멤스(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멤스 액츄에이터는 이미지 센서(520)에 배치될 수 있다. 멤스 액츄에이터는 이미지 센서(520)의 유효화상 영역을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멤스 액츄에이터란 미소 단위의 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전 효과를 이용해 이미지 센서(520)의 유효화상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멤스 액츄에이터는 이미지 센서(5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unit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actuator (not shown). A MEMS actuator may be disposed on the image sensor 520 . The MEMS actuator may move the effective image area of the image sensor 5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Here, the MEMS actuator may be formed as a microscopic chip, and the effective image area of the image sensor 520 may be moved using a piezoelectric effect. The MEMS actuat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mage sensor 52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부(700)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er)를 포함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 모터는 렌즈 모듈(100)과 렌즈 홀더(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구동부(700)는 제1 내지 제3 보이스 코일 모터(710, 720, 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보이스 코일 모터(710, 720, 730) 각각은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과 렌즈 홀더(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이스 코일 모터는 코일과 마그넷 간 자기적 상호작용을 이용해 렌즈 모듈(100)을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보이스 코일 모터(710)는 자기적 상호작용을 이용해 제1 렌즈 모듈(110)을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보이스 코일 모터(720)는 자기적 상호작용을 이용해 제2 렌즈 모듈(120)을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3 보이스 코일 모터(730)는 자기적 상호작용을 이용해 제3 렌즈 모듈(130)을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oice coil motor (VCM). The voice coil mot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ens module 100 and the lens holder 200 . Referring to FIGS. 7 to 10 , the second driving unit 700 may include first to third voice coil motors 710 , 720 , and 730 . Each of the first to third voice coil motors 710 , 720 , and 7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and the lens holder 200 . Here, the voice coil motor may move the lens module 100 in units of micrometers using 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coil and the magnet. The first voice coil motor 710 moves the first lens module 1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using magnetic interaction, and the second voice coil motor 720 uses magnetic interaction to move the second lens module 110. The module 120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the third voice coil motor 730 may move the third lens module 13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by using a magnetic intera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부(700)는 압전 효과를 통한 기계적 상호작용을 이용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부(700)는 자기적 상호작용을 이용한다. 즉, 다른 구성들 간 발생하는 상호작용들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unit 7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mechanical interaction through the piezoelectric effec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magnetic interaction. That is, it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to avoid interference with interactions occurring between other components.

가이드부(400)는 렌즈 홀더(20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하우징(600)과 렌즈 홀더(200)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600)의 내측면(610)과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레일(410)과 롤러(4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unit 400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lens holder 200 . The guide part 400 may be disposed on the housing 600 and the lens holder 200 . It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610 of the housing 600 and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 The guide part 400 may include a rail 410 and a roller 420 .

레일(410)은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에 배치된 홈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410)은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에 배치된 홈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레일(410)은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240)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410)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레일(410)은 하우징(600)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레일(41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레일(410)과 롤러(420) 간 접촉하는 접촉점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마찰력으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레일(410)은 복수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일은 가동자(3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일은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렌즈 홀더(2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The rail 410 may be disposed in a groov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 The rail 410 may be seated in a groov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 Alternatively, the rail 41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240 of the lens holder 200 . The rail 410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rail 410 may protrude toward the housing 6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ail 410 may have a semicircular shape. Through this, space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energy lost due to frictional force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between the rail 410 and the roller 420 . The rail 4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ails. A plurality of rails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mover 310 . A plurality of rail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is, the movement of the lens holder 200 can be stably guided.

롤러(420)는 하우징(600)의 내측면(610)에 배치된 결합 부재(620)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롤러(420)는 하우징(600)의 내측면(6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롤러(420)는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420)는 결합 부재(620) 또는 하우징(600)의 내측면(6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렌즈 홀더(200)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롤러(420)는 레일(410)과 접촉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롤러(420)는 결합 부재(62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롤러(420)의 적어도 일부는 양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지름이 줄어드는 형상일 수 있다. 롤러(420)의 양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줄어드는 지름의 비율은 일정할 수도 있고, 점점 커질 수도 있고, 점점 줄어들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러(420)와 레일(410)간 접촉하는 접촉점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롤러(420)와 레일(410)은 2개의 접촉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롤러(420)의 중심부의 지름은 롤러(420)의 양단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러(420)와 레일(410) 간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롤러(420)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420)는 고정자(32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렌즈 홀더(200)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The roller 420 may be disposed on the coupling member 62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610 of the housing 600, but otherwise, the roller 42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610 of the housing 600. can The roller 4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oller 4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620 or the inner surface 610 of the housing 600 . When the lens holder 200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roller 420 may contact the rail 410 and rotate in place. The roller 4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member 620 . At least some of the rollers 42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The ratio of the diameters of the roller 420 that decrease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may be constant, may gradually increase, or may decrease gradually, but may be variously chang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rough this,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between the roller 420 and the rail 410 may be minimized. The roller 420 and the rail 410 may contact at two contact points. The diameter of the center of the roller 42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s of both ends of the roller 420 . Through this,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roller 420 and the rail 410 can be minimized. The roller 4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The rollers 420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stator 320 . Through this, the movement of the lens holder 200 can be stably gu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레일(410)과 롤러(420)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부(400)는 4개가 도시되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400)는 2개가 도시되었으나, 가이드부(40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rail 410 and the roller 420 may be interchang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guide parts 400 are shown,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guide parts 400 are shown, but the number of guide parts 4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ly. can be changed.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5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구동부(300)와 제2 구동부(700)에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 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제1 구동부(300)와 제2 구동부(700)에 공급하는 펄스의 크길르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렌즈 홀더(200)의 이동을 제어하고, 제2 구동부(700)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의 이동이나 이미지 센서(520)의 유효화상의 이동을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110, 120, 130) 중 하나와 이미지 센서(520)를 얼라인 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00 . The control unit individually controls the direction, intensity, and amplitude of currents supplied to the first driving unit 30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700, or controls the pulses supplied to the first driving unit 30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700. You can control the siz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lens holder 200 by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unit 300,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or the image sensor by controlling the second driving unit 700. The movement of the effective image of 520 may be controlled to align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110 , 120 , and 130 with the image sensor 520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모듈(100), 렌즈 홀더(200), 센서 모듈, 제1 구동부(300), 가이드부(400), 하우징(600), 제2 구동부(70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module 100, a lens holder 200, a sensor module, a first driving unit 300, a guide unit 400, a housing 600, It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unit 700 and a control unit, but may be implemented except for some of these configurations, and other additional configurations are not exclu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제1 및 제2 렌즈 모듈(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듀얼(dual)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의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일 및/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lens modul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lens modules 110 and 120 . That is, the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ual camera module. Other configurations of the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a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one and/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0)은 복수의 렌즈 모듈(110, 120, 130)과 하나의 센서 모듈을 통해 듀얼 또는 트리플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구성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의 구성은 마이크로 분야의 구성으로서 다른 구성에 비해 비용이 현저하게 높다. 따라서, 듀얼 또는 트리플 카메라 모듈을 구현하면서도, 센서 모듈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Since the lens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dual or triple camera module through a plurality of lens modules 110, 120, and 130 and one sensor module,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drastically reduced. .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module is a configuration in the micro field, and the cost is remarkably high compared to other configura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competitiveness by minimizing the number of sensor modules while implementing a dual or triple camera modul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 카메라 모듈 100: 렌즈 모듈
200: 렌즈 홀더 300: 제1 구동부
400: 가이드부 500: 인쇄회로기판
600: 하우징 700: 제2 구동부
10: camera module 100: lens module
200: lens holder 300: first driving unit
400: guide unit 500: printed circuit board
600: housing 700: second driving unit

Claims (15)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의 아래 배치되는 센서 모듈;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을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를 상기 센서 모듈의 위에 배치시키고 다른 두개의 렌즈 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와 상기 센서 모듈을 얼라인 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irst to third lens modu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 sensor module disposed under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By moving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is placed on top of the sensor module, and the other two lens modules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sensor module. a first driving unit that does;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second driving unit for aligning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and the sensor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렌즈 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ens holder accommodating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driver moves the lens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밖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가동자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자와 대향되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disposed outside the lens holder,
The first driving unit,
A move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 camera module including a stator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facing the mo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피에조(Piezo) 모터 또는 스텝(Step)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driving unit,
A camera module that includes a piezo motor or step mo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와 고정자 중 하나는 코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마그네트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3,
A camera module wherein one of the mover and the stator is formed of a coil and the other is formed of a magn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3,
The camera module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to guide movement of the lens hold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 중 하나에 배치되는 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 중 나머지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와 접촉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6,
The guide part,
a roller disposed on one of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 camera module comprising a rail disposed on the oth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contacting the 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의 스트로크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스트로크보다 큰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module wherein a stroke of the first driving unit is greater than a stroke of the second dr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제1 내지 제3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e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보이스 코일 모터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과 상기 제1 내지 제3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보이스 코일 모터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각각을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rive unit includes first to third voice coil motors (VCMs),
each of the first to third voice coil motors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and a lens holder accommodating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Each of the first to third voice coil motors moves each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의 아래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module,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lens module;
A camera module including an image senso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멤스(Mems)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유효화상 영역을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0,
The second drive unit includes a Mems actuator,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 wherein the MEMS actuator moves an effective image area of the image sens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는 표준 렌즈 모듈이고, 다른 하나는 광각 렌즈 모듈이고, 또 다른 하나는 망원 렌즈 모듈인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is a standard lens module, another is a wide-angle lens module, and another is a telephoto lens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의 하면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의 아래 배치되는 센서 모듈;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을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를 상기 센서 모듈의 위에 배치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와 상기 센서 모듈을 얼라인 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홀더 밖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 중 하나에는 롤러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 중 나머지 하나에는 레일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first to third lens modu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 sensor module disposed under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a first driver for disposing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on the sensor module by moving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 second driver for aligning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with the sensor module;
a lens holder accommodating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and
A housing disposed outside the lens holder;
A roller is disposed on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a rail is disposed on the oth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의 아래 배치되는 센서 모듈;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을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를 상기 센서 모듈의 위에 배치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 중 하나와 상기 센서 모듈을 얼라인 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렌즈 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렌즈 홀더의 밖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가동자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자와 대향되는 고정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 중 하나에 배치되는 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 중 나머지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와 접촉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irst to third lens modu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 sensor module disposed under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a first driver for disposing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on the sensor module by moving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 second driving unit for aligning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and the sensor module;
Further comprising a lens holder accommodating the first to third lens modules,
The first driving unit moves the lens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disposed outside the lens holder,
The first driving unit,
A move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 stator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facing the mover;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to guide movement of the lens holder;
The guide part,
A camera module comprising: a roller disposed on one of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a rail disposed on the oth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contacting the roller.
KR1020180048120A 2018-04-25 2018-04-25 Camera Module Active KR102524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120A KR102524130B1 (en) 2018-04-25 2018-04-25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120A KR102524130B1 (en) 2018-04-25 2018-04-25 Camer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054A KR20190124054A (en) 2019-11-04
KR102524130B1 true KR102524130B1 (en) 2023-04-21

Family

ID=6857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120A Active KR102524130B1 (en) 2018-04-25 2018-04-25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1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754A1 (en) * 2020-10-26 2022-05-05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cameras
WO2024248578A1 (en) * 2023-06-02 2024-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9233A (en) * 2001-12-03 2003-06-13 Toyoda Gosei Co Ltd Camera mounted on automobile
JP2018018021A (en) * 2016-07-29 2018-02-0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Lens drive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 loa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42B1 (en) * 2013-12-18 2016-01-18 (주)옵티스 Camera module having separated auto-focusing device and image stabiliz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9233A (en) * 2001-12-03 2003-06-13 Toyoda Gosei Co Ltd Camera mounted on automobile
JP2018018021A (en) * 2016-07-29 2018-02-0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Lens drive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 loa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054A (en)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4332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JP7065909B2 (en) Lens drive motor
KR102806036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N212723615U (en) Camera module
EP3457188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109477998B (en)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112363293A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710772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86187B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680165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250003423A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240038689A (en) Camera module,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24130B1 (en) Camera Module
KR20170092809A (en) A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KR102669072B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40064611A (en)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TWI797006B (en) Periscope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EP4213477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220034612A (en) Lens drivi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47417B1 (en) Optical Apparatus
KR102704943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EP4582846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KR20250064585A (en) A camera device and an optical apparatus
KR20250112145A (en) A camera device and an optical apparatus
KR20250017576A (en) A camera device and an optic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4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