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293B1 - 창호용 크리센트 - Google Patents
창호용 크리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3293B1 KR102523293B1 KR1020210157559A KR20210157559A KR102523293B1 KR 102523293 B1 KR102523293 B1 KR 102523293B1 KR 1020210157559 A KR1020210157559 A KR 1020210157559A KR 20210157559 A KR20210157559 A KR 20210157559A KR 102523293 B1 KR102523293 B1 KR 1025232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hole
- locking
- lock
- release butt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은 해정상태를 나타낸 수평가압식 크리센트의 사시도이고,
도2는 괘정상태, 즉 잠금장치를 나타낸 수평가압식 크리센트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잠금쇠의 확대사시도,
도5는 해정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하우징과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6은 괘정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하우징과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7은 하우징과 베이스를 제거하여 해정상태가 보이도록 도시한 크리센트의 저면 사시도,
도8은 하우징과 베이스를 제거하여 괘정상태가 보이도록 도시한 크리센트의 저면 사시도,
도9는 베이스를 제거하여 해정상태가 보이도록 도시한 크리센트의 저면사시도,
도10은 베이스를 제거하여 괘정상태가 보이도록 나타낸 크리센트의 저면사시도,
도11은 해정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12는 잠금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13은 커버가 조립된 하우징의 종단면예시도이다.
4 : 하우징 5 : 커버 11 : 스프링지지부
12, 12': 스프링받침벽 21 : 걸쇠 22 : 가압부
23 : 가이드단턱 24, 25, 25' : 구멍 26 : 스프링 안착홈
27, 27' : 간격벽 27a : 단턱홈부 7a' : 단차부
31 : 가이드 32 : 걸림부 33 : 누름부
34 : 스프링홈 41 : 작동홈 42 : 가이드부
43 : 사각공 44 : 원형돌부 45 : 끼움공
46, 46' : 프레임 47 : 체결공 51 : 구멍
52 : 결합편 61 : 고정부 62 : 걸림구멍
A : 본체 H : 걸림편 s, s' : 스프링
s2 : 압축스프링 100 : 크리센트
Claims (1)
- 본체(A)와 걸림편(H)으로 이루어진 크리센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A)는,
중앙부에 스프링지지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11) 양측에 한 쌍의 스프링받침벽(12)(12')이 돌출된 베이스(1);와,
선단에 걸쇠(21)가, 후미에 가압부(22)가 구비되고, 상면 양 측단부에 가이드단턱(23)이 구비되며, 걸쇠(21)와 가압부(22) 사이의 중앙부에 해정버튼(3)이 수직 관통될 수 있는 구멍(24)과, 상기 구멍(24)을 중심으로 양측에 베이스(1)의 스프링받침벽(12)(12')이 끼워지는 구멍(25)(25')을 형성하되, 상기 각각의 구멍(25)(25') 후방에는 스프링 안착홈(26)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24)과 구멍(25)(25') 사이에 형성된 간격벽(27)(27')에는 계단식으로 단차부(27a')와 단턱부홈(27a)를 형성하여 해정버튼(3)의 하단 양측의 걸림부(32)가 작용하면서 잠금 또는 해정작용을 유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스프링받침벽(12)(12')과 스프링안착홈(26) 사이에 스프링(s)(s')을 설치하여 잠금쇠(2)를 항상 해정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형성된 잠금쇠(2):와,
누름부(33)가 상단에 구비되고, 내부 하측에는 스프링홈(34)이 구비되며, 하단 양측부에 가이드(31)와 걸림부(32)가 구비되어, 베이스(1)의 스프링지지부(11) 후방에 압축스프링(s2)과 함께 설치되어 압축스프링(s2)의 복원력에 의해 항상 상승방향으로 작용하게 한 해정버튼(3);과,
상기 잠금쇠(2)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전후 이송될 수 있도록 천장 양측 코너에 가이드부(42)를 가진 잠금쇠 작동홈(41)이 구비되고, 상면 중앙부에 해정버튼(3)의 상단 누름부(33)가 돌출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해정버튼(3)이 항상 수직으로 정확하게 작동하도록 유도하는 사각공(43)을 가진 원형돌부(44)와, 상기 원형돌부(44) 양측에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커버(5)를 끼워 돌려 결합시키도록 된 원호상의 끼움공(45)이 구비된 하우징(4);,
상기 하우징(4)의 원형돌부(44) 외주면에 끼워지는 구멍(51)과 더불어 저면에 상기 끼움공(45)에 결합되는 결합편(52)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편(52)를 끼움공(45)에 끼워 돌려 하우징(4) 상부에 일치시켜 고정시키도록 된 커버(5);로 이루어지고,
걸림편(H)은 바깥쪽 창짝 프레임 내측에 피스 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부(61)와, 상기 고정부(61)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잠금쇠(2)의 걸쇠(21)가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구멍(62)으로 이루어져, 창호 괘정 및 해정을 원터치 방식으로 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크리센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7559A KR102523293B1 (ko) | 2021-11-15 | 2021-11-15 | 창호용 크리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7559A KR102523293B1 (ko) | 2021-11-15 | 2021-11-15 | 창호용 크리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3293B1 true KR102523293B1 (ko) | 2023-04-18 |
Family
ID=8610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7559A Active KR102523293B1 (ko) | 2021-11-15 | 2021-11-15 | 창호용 크리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329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0853Y1 (ko) * | 1987-07-03 | 1990-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출력포트 변환 회로 |
KR20100006507U (ko) * | 2008-12-17 | 2010-06-25 | 김진호 |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
KR200450440Y1 (ko) | 2008-04-15 | 2010-10-04 | 홍양일 | 좌우 겸용 크리센트 |
-
2021
- 2021-11-15 KR KR1020210157559A patent/KR10252329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0853Y1 (ko) * | 1987-07-03 | 1990-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출력포트 변환 회로 |
KR200450440Y1 (ko) | 2008-04-15 | 2010-10-04 | 홍양일 | 좌우 겸용 크리센트 |
KR20100006507U (ko) * | 2008-12-17 | 2010-06-25 | 김진호 |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8995B1 (ko) | 도어락 | |
US7261342B2 (en) | Automatically locking window latch | |
KR101918592B1 (ko) | 창호용 무락핸들 | |
KR101533194B1 (ko) | 도어 래치 어셈블리 | |
KR102523293B1 (ko) | 창호용 크리센트 | |
KR20200044417A (ko) |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브라켓 결합 장치 | |
KR101531758B1 (ko) | 미닫이창용 잠금장치 | |
US4688834A (en) | Locking device | |
KR101929683B1 (ko) |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 |
US3558167A (en) | Combined latch and lock mechanism | |
KR102076163B1 (ko) |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 |
JP2008261131A (ja) | プッシュラッチ装置 | |
JP6503617B2 (ja) | ラッチ錠の操作部材 | |
KR101902494B1 (ko) |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 |
KR101937142B1 (ko) |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 |
KR20170054641A (ko) | 도어 잠금장치 | |
JP3504987B2 (ja) | 開閉体取付装置 | |
JP4291250B2 (ja) | スライド蝶番 | |
KR200194167Y1 (ko) | 도어 잠금장치의 연결구 | |
JP2571496Y2 (ja) | ドア錠装置のカバーの取付構造 | |
KR101117517B1 (ko) | 'ㄷ'형상을 가진 도어락장치 | |
KR200479179Y1 (ko) | 슬라이딩 창문용 잠금장치 | |
JP6620470B2 (ja) |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扉の開閉装置 | |
JP3022138U (ja) | 裏板固定具 | |
JP3980369B2 (ja) | フラップ扉付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扉のラッ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