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1698B1 -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698B1
KR102521698B1 KR1020200172292A KR20200172292A KR102521698B1 KR 102521698 B1 KR102521698 B1 KR 102521698B1 KR 1020200172292 A KR1020200172292 A KR 1020200172292A KR 20200172292 A KR20200172292 A KR 20200172292A KR 102521698 B1 KR102521698 B1 KR 102521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layer
yarn
roving
yarn cloth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409A (ko
Inventor
강동훈
최재헌
권태순
이승정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6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6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는, 페놀 수지가 함침되어 제조되는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얀클로스가 적층된 얀클로스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빙클로스가 적층된 로빙클로스층을 포함하고, 중앙에 배치된 제1 얀클로스층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얀클로스층이 서로 대칭되고, 상기 제1 얀클로스층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로빙클로스층이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얀클로스층에 복수 개의 상기 얀클로스층 및 복수 개의 상기 로빙클로스층이 적층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COMPOSITE MATERIAL FOR RAILWAY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인 특성 및 화재 안전 성능이 우수한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 재료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케블라와 같은 강화섬유로 메트릭스를 보강 할 수 있도록 제작된 재료로서, 메트릭스로 금속을 사용하면 강화섬유 금속 복합 재료가 제조되며 메트릭스로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를 사용하면 강화섬유 플라스틱 복합 재료가 제조된다.
한편, 철도 차량의 구성 부품은 통상 금속 등으로 형성되지만, 최근에는 철도 차량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철도 차량을 경량화 하기 위해서, 철도 차량의 구성 부품을 복합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철도 차량의 전두부, 내장판 및 스커트 등을 탄소섬유나 유리섬유 등의 복합 재료로 제조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복합 재료는 강도와 강성이 높지만 화재 안전 성능은 낮으므로, 철도 차량의 구성 부품을 복합 재료로 제조하는데 문제가 있다. 철도 차량은 승객 또는 화물을 수송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화재 안전 성능이 낮은 철도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막대한 인명 또는 물적 피해가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면서도 화재 안전 성능이 높은 철도 차량의 부품용(이하, 철도 차량용 이라 한다) 복합 재료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기계적 강도와 강성이 높으면서도 화재 안전 성능이 높은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는, 페놀 수지가 함침되어 제조되는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얀클로스가 적층된 얀클로스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빙클로스가 적층된 로빙클로스층을 포함하고, 중앙에 배치된 제1 얀클로스층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얀클로스층이 서로 대칭되고, 상기 제1 얀클로스층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로빙클로스층이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얀클로스층에 복수 개의 상기 얀클로스층 및 복수 개의 상기 로빙클로스층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얀클로스층, 상기 제1 얀클로스층의 양면에 각각 적층되는 제1 로빙클로스층 및 제2 로빙클로스층, 상기 제1 얀클로스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로빙클로스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 얀클로스층 및 상기 제1 얀클로스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로빙클로스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3 얀클로스층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얀클로스층은 하나의 상기 얀클로스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로빙클로스층 및 상기 제2 로빙클로스층은 각각 세 개의 상기 로빙클로스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얀클로스층 및 상기 제3 얀클로스층은 각각 하나의 상기 얀클로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얀클로스층, 상기 제2 얀클로스층 및 상기 제3 얀클로스층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은 0.7mm이고, 상기 제1 로빙클로스층 및 상기 제2 로빙클로스층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은 2.5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얀클로스층은 두 개의 상기 얀클로스가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로빙클로스층 및 상기 제2 로빙클로스층은 각각 두 개의 상기 로빙클로스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얀클로스층 및 상기 제3 얀클로스층은 각각 두 개의 상기 얀클로스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얀클로스층, 상기 제2 얀클로스층 및 상기 제3 얀클로스층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은 1.4mm이고, 상기 제1 로빙클로스층 및 상기 제2 로빙클로스층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은 1.7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놀 수지는, 경화제를 기준으로 페놀의 비율이 10이 되도록 상기 경화제 및 상기 페놀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발명의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는, 소정의 순서로 적층된 얀클로스 및 로빙클로스에 페놀 수지가 함침되어 제조되므로,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화재 안전 성능이 높아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얀클로스로 형성되는 얀클로스층 및 하나 이상의 로빙클로스로 형성되는 로빙클로스층이 소정의 개수 및 소정의 순서를 만족하도록 적층됨에 따라서,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기계적 강도 및 강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화재 안전 성능을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는 얀클로스층(10), 로빙클로스층(20)을 포함 할 수 있다.
얀클로스층(10)은 하나 이상의 얀클로스(11)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로빙클로스층(20)은 하나 이상의 로빙클로스(21)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는 하나의 중앙에 배치된 제1 얀클로스층(10-1)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얀클로스층(10)이 서로 대칭되고, 제1 얀클로스층(10-1)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로빙클로스층(20)이 서로 대칭되도록, 제1 얀클로스층(10-1)에 복수 개의 얀클로스층(10) 및 복수 개의 로빙클로스층(20)이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적층된 제1 얀클로스층(10-1), 복수 개의 얀클로스층(10) 및 복수 개의 로빙클로스층(20)에 페놀 수지를 함침시킴으로써,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가 형성될 수 있다.
페놀 수지는 다른 수지에 비하여 화재 안전 성능이 우수하며, 본 발명의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의 형성에 사용되는 페놀 수지는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의 화재 안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화제를 기준으로 페놀의 비율이 10이 되도록 경화제와 페놀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는 제1 얀클로스층(10-1), 제1 로빙클로스층(20-1), 제2 로빙클로스층(20-2), 제2 얀클로스층(10-2) 및 제3 얀클로스층(10-3)을 포함 할 수 있다.
제1 얀클로스층(10-1)은 중앙에 배치되는 하나의 얀클로스(11)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로빙클로스층(20-1) 및 제2 로빙클로스층(20-2)은 제1 얀클로스층(10-1)의 양면에 각각 적층되며, 각각 세 개의 로빙클로스(21)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얀클로스층(10-2)은 제1 얀클로스층(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로빙클로스층(20-1)에 적층되며, 하나의 얀클로스(11)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얀클로스층(10-2)은 제1 얀클로스층(10-1)과 접촉하지 않는 제1 로빙클로스층(20-1)의 일면에 적층되는 얀클로스(11)일 수 있다.
제3 얀클로스층(10-3)은 제1 얀클로스층(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로빙클로스층(20-2)에 적층되며, 하나의 얀클로스(11)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3 얀클로스층(10-3)은 제1 얀클로스층(10-1)과 접촉하지 않는 제2 로빙클로스층(20-2)의 일면에 적층되는 얀클로스(11)일 수 있다.
이처럼, 제2 얀클로스층(10-2) 및 제3 얀클로스층(10-3)이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의 표면을 구성함으로써,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 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는 제1 얀클로스층(10-1), 제2 얀클로스층(10-2) 및 제3 얀클로스층(10-3)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이 0.7mm이고, 제1 로빙클로스층(20-1) 및 제2 로빙클로스층(20-2)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이 2.5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전체 두께가 3.2mm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와 마찬가지로 제1 얀클로스층(10-1), 제1 로빙클로스층(20-1), 제2 로빙클로스층(20-2), 제2 얀클로스층(10-2) 및 제3 얀클로스층(10-3)을 포함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200)를 구성하는 제1 얀클로스층(10-1), 제1 로빙클로스층(20-1), 제2 로빙클로스층(20-2), 제2 얀클로스층(10-2) 및 제3 얀클로스층(10-3)의 적층 순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를 구성하는 제1 얀클로스층(10-1), 제1 로빙클로스층(20-1), 제2 로빙클로스층(20-2), 제2 얀클로스층(10-2) 및 제3 얀클로스층(10-3)의 적층 순서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200)도 제2 얀클로스층(10-2) 및 제3 얀클로스층(10-3)이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200)의 표면을 구성함으로써,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200)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200)는,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200)를 구성하는 얀클로스(11) 및 로빙클로스(21)의 개수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를 구성하는 얀클로스(11) 및 로빙클로스(21)의 개수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제1 얀클로스층(10-1)은 두 개의 얀클로스(11)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로빙클로스층(20-1) 및 제2 로빙클로스층(20-2)은 각각 두 개의 로빙클로스(21)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얀클로스층(10-2) 및 제3 얀클로스층(10-3)은 각각 두 개의 얀클로스(11)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200)는 제1 얀클로스층(10-1), 제2 얀클로스층(10-2) 및 제3 얀클로스층(10-3)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이 1.4mm이고, 제1 로빙클로스층(20-1) 및 제2 로빙클로스층(20-2)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이 1.7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전체 두께가 3.1mm가 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 200)의 기계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ASTM D638에 따른 인장강도 시험 결과,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 200)의 인장강도는 필요로 하는 기준치 인장강도 보다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ASTM D790에 따른 휨강도 및 휨강성 시험 결과,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 200)의 휨강도 및 휨강성은 필요로 하는 기준치 휨강도 및 휨강성보다 높은 휨강도 및 휨강성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ASTM D695에 따른 압축강도 시험 결과,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 200)의 압축강도는 필요로 하는 기준치 압축강도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200)는 모두 철도 차량에 사용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계적 특성을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화재 안전 성능을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의 화재 안전 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ISO 5660-1에 따른 시험 결과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의 발열량은 기준치 발열량 보다 낮은 발열량을 가지며, ISO 5658-2에 따른 시험 결과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의 화염전파 정도는 기준치 화염전파 정도 보다 낮은 값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ASTM E 662에 따른 시험 결과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의 연기밀도는 기준치 연기밀도 보다 낮은 값을 가지고, BS 6853 Annex B.2에 따른 시험 결과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의 독성지수는 기준치 독성지수보다 낮은 값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100)는 철도 차량에 사용되기 위한 화재 안전 성능을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200) 또한 철도 차량에 사용되기 위한 화재 안전 성능을 만족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는, 소정의 순서로 적층된 얀클로스 및 로빙클로스에 페놀 수지가 함침되어 제조되므로,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화재 안전 성능이 높아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얀클로스로 형성되는 얀클로스층 및 하나 이상의 로빙클로스로 형성되는 로빙클로스층이 소정의 개수 및 소정의 순서를 만족하도록 적층됨에 따라서,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의 기계적 강도 및 강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10 : 얀클로스층
11 : 얀클로스 20 : 로빙클로스층
21 : 로빙클로스

Claims (7)

  1. 페놀 수지가 함침되어 제조되는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얀클로스가 적층된 얀클로스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빙클로스가 적층된 로빙클로스층을 포함하고,
    중앙에 배치된 제1 얀클로스층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얀클로스층이 서로 대칭되고, 상기 제1 얀클로스층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로빙클로스층이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얀클로스층에 복수 개의 상기 얀클로스층 및 복수 개의 상기 로빙클로스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1 얀클로스층;
    상기 제1 얀클로스층의 양면에 각각 적층되는 제1 로빙클로스층 및 제2 로빙클로스층;
    상기 제1 얀클로스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로빙클로스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 얀클로스층; 및
    상기 제1 얀클로스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로빙클로스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3 얀클로스층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얀클로스층은 하나의 상기 얀클로스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로빙클로스층 및 상기 제2 로빙클로스층은 각각 세 개의 상기 로빙클로스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얀클로스층 및 상기 제3 얀클로스층은 각각 하나의 상기 얀클로스로 형성되는,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얀클로스층, 상기 제2 얀클로스층 및 상기 제3 얀클로스층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은 0.7mm이고,
    상기 제1 로빙클로스층 및 상기 제2 로빙클로스층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은 2.5mm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얀클로스층은 두 개의 상기 얀클로스가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로빙클로스층 및 상기 제2 로빙클로스층은 각각 두 개의 상기 로빙클로스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얀클로스층 및 상기 제3 얀클로스층은 각각 두 개의 상기 얀클로스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얀클로스층, 상기 제2 얀클로스층 및 상기 제3 얀클로스층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은 1.4mm이고,
    상기 제1 로빙클로스층 및 상기 제2 로빙클로스층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은 1.7mm인,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 수지는,
    경화제를 기준으로 페놀의 비율이 10이 되도록 상기 경화제 및 상기 페놀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KR1020200172292A 2020-12-10 2020-12-10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Active KR10252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292A KR102521698B1 (ko) 2020-12-10 2020-12-10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292A KR102521698B1 (ko) 2020-12-10 2020-12-10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409A KR20220082409A (ko) 2022-06-17
KR102521698B1 true KR102521698B1 (ko) 2023-04-17

Family

ID=8226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292A Active KR102521698B1 (ko) 2020-12-10 2020-12-10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6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501B1 (ko) * 2002-05-14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리섬유 보강 열경화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1172734B1 (ko) * 2009-12-17 2012-08-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409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664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하부보호판
CN101535044B (zh) 用于具有高刚度的层压式纵梁的飞行器或航空器的加强壳体和相对应的层压式纵梁
US20060135022A1 (en) Energy absorbent laminate
JP4974916B2 (ja) 複合材料シ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複合体部品
EP0719635B1 (en) Laminated structure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and shock-absorbing structure
CN105764684B (zh) 玻璃纤维织物‑树脂组合物叠层体
KR101956131B1 (ko) 보강 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US20210370857A1 (en) Vehicle back beam and vehicle including same
CA2818343A1 (en)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fibers with interlocking shapes, and method to manufacture it
KR20160133605A (ko) 자동차 부품용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
KR102521698B1 (ko) 철도 차량용 복합 재료
KR101923381B1 (ko) 보강 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AU2022201279A1 (en) Shielding structure of safety inspection equipment and safety inspection channel
KR102335355B1 (ko) 자동차용 범퍼빔
CA2100548A1 (en) Composite structure for floor panels
JP4957681B2 (ja) レドーム
GB2277141A (en) Composite ballistic armour
US20010006131A1 (en) Composite panel constructions
US20240199141A1 (en) Vehicle body component
US20180370185A1 (en) Sandwich Panel
KR100647008B1 (ko) 하이브리드 직물 및 그를 적용하여 내화염특성이 강화된복합재료
US20210115953A1 (en) Reinforcing fiber bundle containing composite material and bolt-fastened structure
CN212666873U (zh) 一种纤维复合材料泡沫夹芯板防火结构
CN219988662U (zh) 复合实心底护板和新能源汽车
CN117681503B (zh) 一种用于民用客机手推餐车顶板的复合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